KR20140043150A -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및 키 스위치 - Google Patents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및 키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150A
KR20140043150A KR1020147004956A KR20147004956A KR20140043150A KR 20140043150 A KR20140043150 A KR 20140043150A KR 1020147004956 A KR1020147004956 A KR 1020147004956A KR 20147004956 A KR20147004956 A KR 20147004956A KR 20140043150 A KR20140043150 A KR 20140043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ase film
shaping
molding
ke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나오 다시로
게이스케 쓰쓰미
미노루 후지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다테호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테호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테호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Force concentrator; Actuating dimp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01H2229/047Preformed layer in moul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필름의 양면에 키 톱과 압자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키 톱(2)을 성형하기 위한 제 1 성형 오목부(7)를 갖는 제 1 성형형(5)을 준비하고, 상기 제 1 성형 오목부(7)에 광 경화성의 수지(10)를 충전한 후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1)을 탑재하고, 상기 기재 필름(1)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1)의 한 면에 키 톱(2)을 형성하고, 상기 키 톱(2)이 형성된 기재 필름(1)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3)을 형성하고, 압자(4)를 성형하기 위한 제 2 성형 오목부(8)를 갖는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6)을 준비하고, 상기 제 2 성형 오목부(8)에 자외선 광 경화 수지(10)를 충전한 후, 키 톱(2)이 형성된 기재 필름(1)을 탑재하고, 상기 제 2 성형형(6)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1)의 인쇄층 형성면에 압자(4)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및 키 스위치{KEY SWITCH MANUFACTURING METHOD AND KEY SWITCH}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등의 통신 단말 기기로 대표되는 각종 전자 기기에 있어서,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및 키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 등에 사용되는 키 스위치는 손가락으로 입력할 때 압압 동작을 접수하는 키 톱(key top)과, 키 톱이 눌러졌을 때 그 압압 변동을 기판에 전달하는 압자(plunger)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키 스위치에 관한 기술로서,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5에 기재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인몰드 성형으로 키 톱을 일체화시킨 수지 필름과, 마찬가지로 인몰드 성형으로 압자를 일체화시킨 수지 필름을 접착제로 접합하여 키 스위치를 구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유리제 형틀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주입하여 인쇄 필름을 적층하고, 형틀 하부에 배치한 램프로 자외선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를 경화시켜, 인쇄 필름 위에 누름 버튼을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성형형(成形型)의 상면 및 하면을 유리로 하고, 유리의 하측 또는 상측에 UV 램프를 형성하고, 성형형에 주입한 UV 경화 수지에 자외선을 비추어 경화시킴으로써, 필름 시트의 한 면에 압자를 형성한 키 베이스를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EL 시트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스크린 인쇄하고, 그것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돌기부(압자)를 형성하고, 상기 EL 시트에 대하여 키 톱을 테이프로 접착하거나 일체 성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키 톱과 압자를 갖는 엘라스토머 키 패드를 일체 성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85754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09987호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13874호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014143호 특허문헌 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42495호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키 톱을 몰드 성형한 수지 필름과, 압자를 몰드 성형한 수지 필름을 각각 따로따로 만들고, 그 후 양자를 접착하는 작업을 행해야 한다. 필름의 접착은 사이에 공기를 취입하여 기포가 형성되기 쉬워 작업이 곤란하고 불량품도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인쇄 필름의 한 면에 누름 버튼을 형성하는 기술을 개시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결국, 특허문헌 1과 같이, 키 톱을 한 면에 형성한 인쇄 필름과, 압자를 성형한 인쇄 필름을 각각 따로따로 만들고, 그 양자를 접착해야만 한다.
상기 특허문헌 3도 필름 베이스의 한 면에 압자를 형성하는 기술을 개시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결국, 특허문헌 1과 같이, 키 톱을 한 면에 형성한 인쇄 필름과, 압자를 성형한 인쇄 필름을 각각 따로따로 만들고, 그 양자를 접착해야만 한다.
상기 특허문헌 4는 스크린 인쇄로 압자를 형성한 EL 시트에 대하여, 별도 성형해 둔 키 톱을 접착 등을 하는 기술을 개시하는데 그치고 있다. 키 톱을 별도 형성해 두어야 하고, 하나하나 압자 형성면의 반대면에 위치 결정하면서 접착하는 공정이 곤란하여 불량품도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5는 키 톱과 압자를 갖는 엘라스토머 키 패드를 일체 성형하는 기술을 개시하는 것에 불과하고, 필름의 양면에 키 톱과 압자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기술을 개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필름의 양면에 키 톱과 압자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및 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은, 제 1 볼록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 1 성형 오목부를 갖는 제 1 성형형을 준비하고,
상기 제 1 성형 오목부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후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을 탑재하고, 상기 기재 필름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볼록부가 형성된 기재 필름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을 형성하고,
제 2 볼록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 2 성형 오목부를 갖는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을 준비하고,
상기 제 2 성형 오목부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후, 제 1 볼록부가 형성된 기재 필름을 탑재하고, 상기 제 2 성형형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키 스위치는,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은, 제 1 볼록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 1 성형 오목부를 갖는 광 투과성의 제 1 성형형과, 제 2 볼록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 2 성형 오목부를 갖는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을 준비하고,
상기 제 1 성형 오목부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제 1 성형형에 대하여 광 불투과성의 필름을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성형 오목부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제 2 성형형을 합치고,
상기 제 1 성형형 및 제 2 성형형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필름의 다른 면에 제 2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키 스위치는, 광 불투과성의 기재 필름에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면에 제 1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은,
우선,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을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제 1 성형형에 탑재하고, 상기 기재 필름을 통해서 광을 조사하여 기재 필름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를 형성한다.
이어서, 그 기재 필름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을 형성하고,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에 상기 기재 필름을 탑재하고, 제 2 성형형을 통해서 광을 조사하여 기재 필름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을 형성한 기재 필름의 양면에 각각 제 1 볼록부와 제 2 볼록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예와 같은 필름끼리를 접착한다든가, 별도 형성해 둔 키 톱을 위치 결정하면서 접착하는 것 같은 곤란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불량품도 감소한다.
본 발명의 제 1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은 순도가 99.5질량% 이상의 SiO2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 2 성형형의 광 투과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그 균일성을 확보하고,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을 없애서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또한 불필요하게 광 조사 시간을 연장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은 Ca, Na, K 및 B의 각각의 원소 함유량이 0.1질량% 이하인 경우에는,
제 2 성형형의 광 투과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그 균일성을 확보하고,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을 없애서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또한 불필요하게 광 조사 시간을 연장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 키 스위치는,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을 형성한 기재 필름의 양면에 각각 제 1 볼록부와 제 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예와 같은 필름끼리를 접착한다든가, 별도 형성해 둔 키 톱을 위치 결정하면서 접착하는 것 같은 곤란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불량품도 감소한다.
본 발명의 제 2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은,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제 1 성형형에 대하여 필름을 적층한 상태에서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제 2 성형형을 합치고, 상기 제 1 성형형 및 제 2 성형형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필름의 다른 면에 제 2 볼록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광 불투과성 필름의 양면에 각각 제 1 볼록부와 제 2 볼록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예와 같은 필름끼리를 접착한다든가, 별도 형성해 둔 키 톱을 위치 결정하면서 접착하는 것 같은 곤란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불량품도 감소한다.
본 발명의 제 2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불투과성의 필름은 기재 필름에 인쇄층을 형성한 것이며,
인쇄층을 형성한 기재 필름을, 제 1 성형형에 대하여, 인쇄층이 없는 면을 제 1 성형 오목부에 대면시키도록 적층하는 경우에는,
인쇄층을 형성한 기재 필름의 양면에 각각 제 1 볼록부와 제 2 볼록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예와 같은 필름끼리를 접착한다든가, 별도 형성해 둔 키 톱을 위치 결정하면서 접착하는 것 같은 곤란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불량품도 감소한다.
본 발명의 제 2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의 제 1 성형형 및 제 2 성형형은 순도가 99.5질량% 이상의 SiO2로부터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 1 성형형 및 제 2 성형형의 광 투과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그 균일성을 확보하고,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을 없애서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또한 불필요하게 광 조사 시간을 연장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의 제 1 성형형 및 제 2 성형형은 Ca, Na, K 및 B의 각각의 원소 함유량이 0.1질량% 이하인 경우에는,
제 1 성형형 및 제 2 성형형의 광 투과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그 균일성을 확보하고,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을 없애서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또한 불필요하게 광 조사 시간을 연장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키 스위치는,
광 불투과성의 기재 필름에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면에 제 1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쇄층이 형성된 광 불투과성의 기재 필름의 양면에 각각 제 1 볼록부와 제 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예와 같은 필름끼리를 접착한다든가, 별도 형성해 둔 키 톱을 위치 결정하면서 접착하는 것 같은 곤란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불량품도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상기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상기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 키 스위치는,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1)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1)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3)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l)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로서 압자(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 필름(1)은 키 톱(2)을 압압 조작했을 때에 그 압압 변동을 압자(4)에 의해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한다는 키 스위치의 특성상, 가요성이 있는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PET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은 차광, 은폐, 가식(加飾;decoration), 필요한 정보의 표시 등의 목적으로, 각종 잉크, 도료, 안료, 페이스트 등에 의해 인쇄된 층이다.
상기 키 톱(2) 및 압자(4)는 광 경화성의 수지를 기재 필름(1) 위에서 경화시켜서 형성된다. 키 톱(2)은 기재 필름(1)의 인쇄층(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압자(4)도 기재 필름(1)의 인쇄층(3)이 형성된 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키 톱(2)과 압자(4)는 키 톱(2)을 압압 조작했을 때 그 압압 변동을 압자(4)에 의해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한다는 키 스위치의 특성상, 1 대 1로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소정의 배치가 이루어진 키 톱(2) 각각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1개씩 압자(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공정을 (A) 내지 (G)로 나타내고 있다.
(A) 우선, 제 1 볼록부인 키 톱(2)을 성형하기 위한 제 1 성형 오목부(7)를 갖는 제 1 성형형(5)을 준비한다. 이 제 1 성형형(5)은, 사용하는 광경화 수지의 이형성이 유지되어, 소정의 치수 정밀도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각종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이나 각종 경질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제 1 성형형(5)은 광 투과성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B) 이어서, 상기 제 1 성형 오목부(7)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후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1)을 탑재한다.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로서는 자외선 경화 수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재 필름(1)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키 톱(2)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재 필름(1)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제 1 성형 오목부(7)가 위치하도록, 제 1 성형형(5)에 대한 기재 필름(1)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위치 결정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제 1 성형형(5)에 형성된 위치 결정 핀을 기재 필름(1)에 형성한 위치 결정 구멍에 삽입 통과시키는 수법, 제 1 성형형(5)에 형성된 위치 결정 리브에 기재 필름(1)의 단부를 접촉시키는 수법 등, 종래 공지의 각종 위치 결정 수법을 적용할 수 있다.
(C) 다음에, 상기 기재 필름(1)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1)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을 형성한다. 상기 광으로서는 자외선 램프(9)에 의한 자외광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 수지(10)가 경화하여 키 톱(2)이 형성되면, 제 1 성형형(5)으로부터 기재 필름(1)을 박리한다. 기재 필름(1)의 박리는 예를 들어, 기재 필름(1)의 단부를 고정시킨 박리 롤러를 회전시켜서 박리하는 수법 등 각종 박리 수법을 적용할 수 있다.
(D) 다음에, 상기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이 형성된 기재 필름(1)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3)을 형성한다. 인쇄층(3)을 형성하는 인쇄 수법은 예를 들어, 볼록판 인쇄, 오목판 인쇄, 평판 인쇄,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열 전사 인쇄 등, 각종 인쇄 수법을 적용할 수 있다.
(E) 다음에, 제 2 볼록부로서 압자(4)를 성형하기 위한 제 2 성형 오목부(8)를 갖는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6)을 준비하고, 상기 제 2 성형 오목부(8)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후,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이 형성된 기재 필름(1)을 탑재한다.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로서는 자외선 경화 수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기재 필름(1)의 인쇄층 형성면을 제 2 성형형(6)의 제 2 성형 오목부(8)에 대하여 대면시킨다. 또한, 기재 필름(1)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압자(4)를 형성하기 때문에, 기재 필름(1)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제 2 성형 오목부(8)가 위치하도록, 제 2 성형형(6)에 대한 기재 필름(1)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위치 결정에 대해서는 상기한 각종 종래 공지의 위치 결정 수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6)은 순도가 99.5질량% 이상의 SiO2로 이루어진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SiO2의 순도가 99.5질량% 미만에서는, 제 2 성형형(6)의 충분한 광 투과성을 확보할 수 없는 우려가 있는데다, 광 투과성의 균일성도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어,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이 발생하여, 불량율이 높아지거나, 경화 시간을 여분으로 취해야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6)은 Ca, Na, K 및 B의 각각의 원소 함유량이 0.1질량% 이하인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a, Na, K 및 B의 각각의 원소 함유량이 0.1질량%를 초과하면, 제 2 성형형(6)의 충분한 광 투과성을 확보할 수 없는 우려가 있는데다, 광 투과성의 균일성도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어,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이 발생하여, 불량율이 높아지거나, 경화시간을 여분으로 취해야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이다..
(F) 그 상태에서, 상기 제 2 성형형(6)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1)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로서 압자(4)를 형성한다. 상기 광으로서는 자외선 램프(9)에 의한 자외광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 수지(10)가 경화하여 압자(4)가 형성되면, 제 2 성형형(6)으로부터 기재 필름(1)을 박리한다. 기재 필름(1)의 박리는 상기한 각종 박리 수법을 적용할 수 있다.
(G) 이와 같이 하여,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1)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1)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3)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1)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로서 압자(4)가 형성된 키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은,
우선,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1)을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인 자외선 경화 수지(10)를 충전한 제 1 성형형(5)에 탑재하고, 상기 기재 필름(1)을 통해서 광을 조사하여 기재 필름(1)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을 형성한다.
이어서, 그 기재 필름(1)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3)을 형성하고,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로서 자외선 경화 수지(10)를 충전한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6)에 상기 기재 필름(1)을 탑재하고, 제 2 성형형(6)을 통해서 광을 조사하여 기재 필름(1)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로서 압자(4)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3)을 형성한 기재 필름(1)의 양면에 각각 키 톱(2)과 압자(4)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예와 같은 필름끼리를 접착한다든가, 별도 형성하여 둔 키 톱을 위치 결정하면서 접착하는 것 같은 곤란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불량품도 감소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6)은 순도가 99.5질량% 이상의 SiO2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2 성형형(6)의 광 투과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그 균일성을 확보하고,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을 없애서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또한 불필요하게 광 조사 시간을 연장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6)은 Ca, Na, K 및 B의 각각의 원소 함유량이 0.1질량% 이하이기 때문에,
제 2 성형형(6)의 광 투과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그 균일성을 확보하고,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을 없애서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또한 불필요하게 광 조사 시간을 연장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는,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1)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1)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3)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1)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로서 압자(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3)을 형성한 기재 필름(1)의 양면에 각각 키 톱(2)과 압자(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예와 같은 필름끼리를 접착한다든가, 별도 형성해 둔 키 톱을 위치 결정하면서 접착하는 것 같은 곤란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불량품도 감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공정을 (A) 내지 (C)에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을 성형하기 위한 제 1 성형 오목부(7)를 갖는 광 투과성의 제 1 성형형(15)과, 제 2 볼록부로서 압자(4)를 성형하기 위한 제 2 성형 오목부(8)를 갖는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6)을 준비한다.
상기 광 투과성의 제 1 성형형(15) 및 제 2 성형형(6)은 순도가 99.5질량% 이상의 SiO2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SiO2의 순도가 99.5질량% 미만에서는, 제 1 성형형(15) 및 제 2 성형형(6)의 충분한 광 투과성을 확보할 수 없는 우려가 있는데다, 광 투과성의 균일성도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이 발생하여, 불량율이 높아지거나, 경화 시간을 여분으로 취해야 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이다.
상기 광 투과성의 제 1 성형형(15) 및 제 2 성형형(6)은 Ca, Na, K 및 B의 각각의 원소 함유량이 0.1질량%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Ca , Na, K 및 B의 각각의 원소 함유량이 0.1질량%를 초과하면, 제 1 성형형(15) 및 제 2 성형형(6)의 충분한 광 투과성을 확보할 수 없는 우려가 있는데다, 광 투과성의 균일성도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이 발생하여, 불량율이 높아지거나, 경화 시간을 여분으로 취해야 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이다.
(A) 상기 제 2 성형 오목부(7)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제 2 성형형(6)에 대하여 광 불투과성의 필름을 적층한다.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 수지(1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불투과성의 필름은 기재 필름(11)에 인쇄층(3)을 형성한 것이다. 기재 필름(11)으로서는 예를 들어, 광 투과성의 수지 필름이나, 광 불투과성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3)은 차광, 은폐, 가식, 필요한 정보의 표시 등의 목적으로, 각종 잉크, 도료, 안료, 페이스트 등에 의해 인쇄된 층이다. 인쇄층(3)을 형성하는 인쇄 수법은 예를 들어, 볼록판 인쇄, 오목판 인쇄, 평판 인쇄,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열 전사 인쇄 등, 각종 인쇄 수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10)를 제 1 성형 오목부(7)에 충전한 제 l 성형형(15)에 대하여, 기재 필름(11)의 인쇄층이 없는 면을 상기 제 1 성형 오목부(7)에 대면시켜서 적층한다. 이것에 의해, 기재 필름(11)의 인쇄층이 없는 면에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이 형성되게 된다.
(B) 제 1 성형형(15)에 대하여 광 불투과성의 필름을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성형 오목부(8)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제 2 성형형(6)을 합친다. 이 예에서는 인쇄층(3)을 형성한 기재 필름(11)을, 제 2 성형형(6)에 대하여, 인쇄층 형성면을 제 2 성형 오목부(8)에 대면시키도록 적층하고, 제 2 성형형(6)에 대하여 제 1 성형형(15)을 합치고 있다.
(C) 상기 제 1 성형형(15) 및 제 2 성형형(6)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필름의 다른 면에 제 2 볼록부로서 압자(4)를 형성한다. 광의 조사는 자외선 램프(9)로 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성형형(15)측과 제 2 성형형(6)측을 동시에 광 조사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성형형(15)측과 제 2 성형형(6)측을 한쪽씩 광 조사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필름의 인쇄층이 없는 면에 키 톱(2)을 형성하고, 인쇄층 형성면에 압자(4)를 형성하고 있다.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키 스위치는, 광 불투과성의 기재 필름(11)에 인쇄층(3)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11)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로서 압자(4)가 형성되고, 다른 면에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은,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제 1 성형형(15)에 대하여 광 불투과성의 필름을 적층한 상태에서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제 2 성형형(6)을 합치고, 상기 제 1 성형형(15) 및 제 2 성형형(6)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을 형성하고, 상기 필름의 다른 면에 제 2 볼록부로서 압자(4)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광 불투과성 필름의 양면에 각각 키 톱(2)과 압자(4)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예와 같은 필름끼리를 접착한다든가, 별도 형성해 둔 키 톱을 위치 결정하면서 접착하는 것 같은 곤란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불량품도 감소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광 불투과성의 필름은 기재 필름(11)에 인쇄층(3)을 형성한 것이고,
인쇄층(3)을 형성한 기재 필름(11)을, 제 2 성형형(6)에 대하여, 인쇄층 형성면을 제 2 성형 오목부(8)에 대면시키도록 적층하기 때문에,
인쇄층(3)을 형성한 기재 필름(11)의 양면에 각각 키 톱(2)과 압자(4)가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예와 같은 필름끼리를 접착한다든가, 별도 형성해 둔 키 톱을 위치 결정하면서 접착하는 것 같은 곤란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불량품도 감소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광 투과성의 제 1 성형형(15) 및 제 2 성형형(6)은 순도가 99.5질량% 이상의 SiO2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1 성형형(15) 및 제 2 성형형(6)의 광 투과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균일성을 확보하고,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을 없애서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또한 불필요하게 광 조사 시간을 연장하지 않아도 좋다.
제 2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광 투과성의 제 1 성형형(15) 및 제 2 성형형(6)은 Ca, Na, K 및 B의 각각의 원소 함유량이 0.1질량% 이하이기 때문에,
제 1 성형형(15) 및 제 2 성형형(6)의 광 투과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그 균일성을 확보하고, 수지 재료의 경화 얼룩을 없애서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또한 불필요하게 광 조사 시간을 연장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는,
광 불투과성의 기재 필름(11)에 인쇄층(3)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11)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로서 압자(4)가 형성되고, 다른 면에 제 1 볼록부로서 키 톱(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쇄층(3)이 형성된 광 불투과성의 기재 필름(11)의 양면에 각각 키 톱(2)과 압자(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예와 같은 필름끼리를 접착한다든가, 별도 형성해 둔 키 톱을 위치 결정하면서 접착하는 것 같은 곤란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불량품도 감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인쇄층(3)이 형성된 기재 필름(11)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로서 키 톱(2)이 형성되고, 반대면의 인쇄층(3)이 없는 면에 제 1 볼록부로서 압자(4)가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와 동일하다.
이 키 스위치를 제조하는 경우, 압자(4)를 성형하기 위한 제 1 성형 오목부를 형성한 제 1 성형형(5)과, 키 톱(2)을 성형하기 위한 제 2 성형 오목부를 형성한 제 2 성형형(6)을 사용한다. 그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도 2a, 도 2b에 기초한 설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2 실시형태의 키 스위치와 같이, 불투명한 기재 필름(11)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압자(4)를 성형하기 위한 제 1 성형 오목부를 형성한 제 1 성형형(15)과, 키 톱(2)을 성형하기 위한 제 2 성형 오목부를 형성한 제 2 성형형(6)을 사용한다. 그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도 3에 기초한 설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1: 기재 필름
2: 키 톱
3: 인쇄층
4: 압자
5; 제 1 성형형
6: 제 2 성형형
7: 제 1 성형 오목부
8: 제 2 성형 오목부
9: 자외선 램프
10: 자외선 경화 수지
11: 기재 필름
15: 제 1 성형형

Claims (9)

  1. 제 1 볼록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 1 성형 오목부를 갖는 제 1 성형형(成形型)을 준비하고,
    상기 제 1 성형 오목부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후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을 탑재하고, 상기 기재 필름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볼록부가 형성된 기재 필름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을 형성하고,
    제 2 볼록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 2 성형 오목부를 갖는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을 준비하고,
    상기 제 2 성형 오목부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후, 제 1 볼록부가 형성된 기재 필름을 탑재하고, 상기 제 2 성형형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은 순도가 99.5질량% 이상의 SiO2로 이루어진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은 Ca, Na, K 및 B의 각각의 원소 함유량이 0.1질량% 이하인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4. 광 투과성의 기재 필름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면에 광 불투과성의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5. 제 1 볼록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 1 성형 오목부를 갖는 광 투과성의 제 1 성형형과, 제 2 볼록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 2 성형 오목부를 갖는 광 투과성의 제 2 성형형을 준비하고,
    상기 제 1 성형 오목부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제 1 성형형에 대하여 광 불투과성의 필름을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성형 오목부에 광 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 제 2 성형형을 합치고,
    상기 제 1 성형형 및 제 2 성형형을 통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한 면에 제 1 볼록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필름의 다른 면에 제 2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불투과성의 필름은 기재 필름에 인쇄층을 형성한 것이고,
    인쇄층을 형성한 기재 필름을, 제 1 성형형에 대하여, 인쇄층이 없는 면을 제 1 성형 오목부에 대면시키도록 적층하는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의 제 1 성형형 및 제 2 성형형은 순도가 99.5질량% 이상의 SiO2로 이루어진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의 제 1 성형형 및 제 2 성형형은 Ca, Na, K 및 B의 각각의 원소 함유량이 0.1질량% 이하인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9. 광 불투과성의 기재 필름에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의 인쇄층 형성면에 제 2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면에 제 1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KR1020147004956A 2011-09-22 2012-09-20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및 키 스위치 KR201400431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7240A JP5833395B2 (ja) 2011-09-22 2011-09-22 キー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JP-P-2011-207240 2011-09-22
PCT/JP2012/074817 WO2013042798A1 (ja) 2011-09-22 2012-09-20 キースイッチの製造方法およびキースイッ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150A true KR20140043150A (ko) 2014-04-08

Family

ID=4791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956A KR20140043150A (ko) 2011-09-22 2012-09-20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및 키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33395B2 (ko)
KR (1) KR20140043150A (ko)
CN (1) CN103814422A (ko)
TW (1) TWI618106B (ko)
WO (1) WO20130427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1326B2 (ja) * 1994-10-14 2006-03-0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高純度透明石英ガラスの製造方法
JP3897188B2 (ja) * 1997-04-02 2007-03-22 株式会社ニコン 合成石英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CN1061294C (zh) * 1998-06-29 2001-01-31 旭丽股份有限公司 聚氨基甲酸乙酯按键的制造方法
JP2001048571A (ja) * 1999-06-04 2001-02-20 Sumitomo Metal Ind Ltd 短波長光の透過性に優れた石英ガラスとその製造方法
JP2001302275A (ja) * 2000-04-26 2001-10-31 Asahi Glass Co Ltd 合成石英ガラス製光学部材
JP2006106229A (ja) * 2004-10-04 2006-04-20 Nippon Sheet Glass Co Ltd 透過型光学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透過型光学素子
JP2007073483A (ja) * 2005-09-09 2007-03-22 Polymatech Co Ltd 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93869A (ja) * 2007-10-05 2009-04-30 Sunarrow Ltd キー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0931467A (en) * 2008-01-10 2009-07-16 Ichia Tech Inc Manufacturing process and structure of micro-hole array keystroke panel
JP5101325B2 (ja) * 2008-02-07 2012-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光導波路の製造方法
JP2011175815A (ja) * 2010-02-24 2011-09-08 Shin Etsu Polymer Co Ltd キー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キーパッドを備え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33395B2 (ja) 2015-12-16
TWI618106B (zh) 2018-03-11
JP2013069546A (ja) 2013-04-18
TW201334007A (zh) 2013-08-16
WO2013042798A1 (ja) 2013-03-28
CN103814422A (zh)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170B1 (ko) 성형품 및 인-몰드 전사박
US8242396B2 (en) Keypad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4797104A (zh) 一种玻璃与塑胶一体结构及制作方法
CN102480865A (zh) 一种电子产品壳体及其制造方法
KR102279018B1 (ko) 3중 적층 포밍시트
JP5245003B1 (ja)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04587B1 (ko) 복합패턴의 구현방법 및 그 복합패턴이 구현된 시트
KR101694097B1 (ko) 곡면을 가진 물체에 데코레이션층을 형성하는 방법
JP5769478B2 (ja) 転写材およびこの転写材を用いた成型品の製造方法
CN110275635B (zh)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和电子装置
KR20140043150A (ko) 키 스위치의 제조 방법 및 키 스위치
JP6528198B2 (ja) 射出成形方法
KR200386686Y1 (ko) 적층인쇄 키패드
KR100905343B1 (ko) 몰딩 키 패드 조립체 제조방법
KR100952994B1 (ko) 입체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입체시트
KR100917559B1 (ko) 자외선 몰딩 키 패드 조립체 제조방법
JP2015120309A (ja) 立体エンブレムの製造方法
CN202796587U (zh) 一种具有导光功能的按键结构
WO2019111530A1 (ja)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加飾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加飾成形品
KR100967453B1 (ko) 웨이퍼 스케일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JP4965313B2 (ja) 押釦スイッチ部材、プランジャーシート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90016925A (ko) 스핀 윈도우 제작 구조
JP2008107406A (ja) ハードコート処理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処理パネル
KR100797000B1 (ko)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이용한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8183A (ko) 휴대기기의 윈도우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