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803A - 광 커넥터 청소공구 및 광 커넥터 청소방법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청소공구 및 광 커넥터 청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803A
KR20140042803A KR1020137029792A KR20137029792A KR20140042803A KR 20140042803 A KR20140042803 A KR 20140042803A KR 1020137029792 A KR1020137029792 A KR 1020137029792A KR 20137029792 A KR20137029792 A KR 20137029792A KR 20140042803 A KR20140042803 A KR 2014004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tool
optical connector
head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167B1 (ko
Inventor
준이치 나카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74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4395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7410A external-priority patent/JP54395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7412A external-priority patent/JP545349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4004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66Devices, tools or methods for cleaning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40/00Type of materials or objects being cleaned
    • B08B2240/02Optical fibers or optical fiber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 본체와,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밀어 맞댄 헤드를 가지며, 상기 공구 본체에서 뻗어나온 연출부이며, 상기 공구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출부를 갖춘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다.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상태에서 상기 공구본체를 상기 연출부로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청소체에 의해 광 커넥터를 청소한다. 상기 공구본체는 상기 공구본체의 상기 연출 부에 대한 상기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에서 권취하는 상기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 릴과, 1회의 청소동작의 상기 권취 릴의 권취량을 일정하게 하는 권취량 조절기구을 가진다.

Description

광 커넥터 청소공구 및 광 커넥터 청소방법 {Optical connector cleaning tool and optical connector cleaning method}
본 발명은 광 커넥터 청소공구 및 광 커넥터 청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커넥터 간의 연결은 각 광 커넥터의 접합 단면에서의 광섬유 단면끼리 맞댐으로써 실현된다. 광 커넥터의 접합 단면이나 광섬유 단면에 오염이 부착하고 있으면, 착탈시에 광 커넥터 또는 광섬유의 손상이나, 전송손실의 증가 등의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광 커넥터 청소공구를 사용하여 광 커넥터의 접합 단면을 청소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청소체의 공급 릴 및 권취 릴이 포함된 공구 본체와 청소체(cleaning body)를 광 커넥터의 접합 단면에 밀어 맞댄 헤드를 갖는 연출부(삽입부)를 구비한 광 커넥터 청소공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광 커넥터 청소공구에 따르면,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헤드로 억누른 상태에서 공구 본체를 연출부(延出部)에 이동시킴으로써, 광 커넥터의 접합 단면을 청소체로 닦아낼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 커넥터 청소공구에 따르면, 공구 본체와 연출부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이용하여 권취 릴을 회전시킴으로써, 청소체가 권취 릴에 권취된다. 권취 릴에 권취되는 량과 동일한 량의 청소체가 공급 릴에서 공급되는 것과 동시에, 헤드로 사용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광 커넥터 청소공구로서 그 밖에도 특허문헌 2 내지 4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제 4579330 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개 2012-53270 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특개 2008-46218 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특개 2000-284147 호 공보
권취 릴에 권취된 청소체의 외경이 커지게 되면 권취 릴의 회전량(회전각도)이 동일하더라도, 회전 릴에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이 많아져 버린다. 따라서 일정한 회전량으로 권취 릴을 회전시켜 청소체를 권취하는 구조로는 권취 릴의 외경이 클수록 1회의 청소동작으로 사용되는 청소체의 량이 많아져 버린다. 그 결과, 사용 횟수가 늘어날수록 1회의 청소동작에 사용되는 청소체의 량이 많아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권취 릴의 청소체의 외경이 커지더라도,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공구본체와,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밀어 맞댄 헤드를 가지며, 상기 공구 본체에서 뻗어나온 연출부이며, 상기 공구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 본체는, 상기 공구 본체의 상기 연출부에 대한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에서 송출된 상기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 릴과, 1회의 청소동작의 상기 권취 릴의 권취량을 일정하게 하는 권취량 조절기구를 가지며,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상태에서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청소체에 의해 광 커넥터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취 릴의 청소체의 외경이 커지더라도,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제 1 실시형태의 광 커넥터 청소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커버 5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정상상태의 청소공구 1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푸시 상태의 청소공구 1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청소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3A는 연출부 60의 원통체 71과 공구 본체 10의 우측 하우징 11을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공구 본체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연출부 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연출부 60의 헤드 61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청소시의 헤드 61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정량 송출기구 83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A는 푸시 동작 이전의 정상상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B는 푸시 상태에서의 정량 송출기구 83의 설명도이다. 도 7C는 풀 동작 후의 정상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마찰 전동기구 84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A는 푸시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도 8B는 풀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도 9A는 푸시 동작 전에서의 충돌음 발생기구 90의 모습을 나타내는 조감도이다. 도 9B는 푸시 상태에서의 충돌음 발생기구 90의 모습을 나타내는 조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푸시 동작 및 풀 동작을 할 때의 충돌음 발생기구 90의 동작을 시간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
도 11A 및 도 11B는 비교예의 충돌음 발생기구 9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제2 실시형태의 마찰 전동 기구 84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제3 실시형태에서 푸시 동작 및 풀 동작을 할 때 충돌 음 발생기구 90의 동작을 시간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
도 14A 및 도 14B는 참고예의 핀치 기구 86 및 태엽 기구 87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4A는 푸시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도 14B는 풀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도 15 은 제 4 실시형태의 청소공구 1의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공구 본체 10의 우측 하우징 11을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16A는 정상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6B는 푸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공구 본체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A는 제4 실시형태의 푸시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도 19B는 풀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클 때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0A는 푸시 동작시의 설명도이고, 도 20B는 풀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청소체 3의 권취량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1A는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작을 때의 권취량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1B는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클 때의 권취량에 대한 설명도이다.
후술하는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로부터 적어도 다음 사항이 분명하게 된다.
공구본체와,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밀어 맞댄 헤드를 가지며, 상기 공구 본체에서 뻗어 나온 연출부이며,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 본체는, 상기 공구 본체의 상기 연출부에 대한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에서 송출된 상기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 릴과, 1회의 청소동작의 상기 권취 릴의 권취량을 일정하게 하는 권취량 조절기구를 가지며,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상태에서 상기 공구본체를 상기 연출부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청소체에 의해 광 커넥터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가 분명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광 커넥터 청소 공구에 따르면, 권취 릴의 청소체의 외경이 커져도,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광 커넥터 청소 공구는, 상기 공구 본체와 상기 연출부 사이의 상대적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량 조절기구 는 상기 변환기구에 의해 변환된 회전운동의 회전력을, 마찰 부재와 마찰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권취 릴에 전동하는 마찰 전동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권취 릴의 청소체의 외경이 커지더라도,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을 억제할 수 있다.
(1)
또한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 릴을 갖는 공구 본체와, 상기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밀어 맞댄 헤드를 가지며, 상기 공구 본체에서 뻗어나온 연출부이며,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상태에서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청소체에 의해 광 커넥터를 청소하는 광 커넥터 청소도구 이며, 상기 광 커넥터 청소 공구는, 상기 공구 본체와 상기 연출부 사이의 상대적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와, 상기 변환기구에 의해 변환된 회전운동의 회전력을, 마찰부재와 마찰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권취 릴에 전동하는 마찰 전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가 분명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광 커넥터 청소공구에 따르면, 권취 릴의 청소체의 외경이 커지더라도,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운동이 상기 권취 릴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공구 본체가 상기 연출부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청소체에 소정의 장력이 작용하면, 상기 마찰 전동기구의 상기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면 사이의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마찰부재와 마찰면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한 만큼만, 권취 릴의 회전량(회전각도)을 감소하기 때문에, 권취 릴에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광 커넥터 청소공구는, 1회의 청소동작으로 상기 헤드에 송출되는 상기 청소체를 일정량으로 하는 정량 송출 기구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회전운동이 상기 권취 릴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공구 본체가 상기 연출부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마찰 전동기구의 상기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면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상기 권취 릴에 권취되는 상기 청소체가 상기 일정량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권취 릴의 청소체의 외경이 커지더라도,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공구 본체는 본체측 걸림부을 가지며, 상기 연출부는 헤드측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와의 사이에 상기 청소체가 걸려 통과하고 있으며,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 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가 이격함으로써, 이동량 만큼의 상기 청소체가 상기 헤드에 공급되고,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가 근접할 때에, 상기 마찰 전동기구의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면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량 만큼의 상기 청소체가 상기 권취 릴에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권취 릴에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광 커넥터 청소공구는, 상기 권취 릴이 상기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권취릴이 상기 권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기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회전운동이 상기 권취 릴을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공구 본체가 상기 연출부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제한기구에 의해 상기 권취 릴이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며, 상기 마찰 전동기구의 상기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면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권취 릴을 권취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공구 본체가 연출부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변환기구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rack-and-pinion mechanism)이고, 상기 연출부는 상기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구성하는 랙을 가지며, 상기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구성하는 피니언에는, 상기 마찰 전동기구를 구성하는 상기 마찰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권취 릴이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권취 릴이 권취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은 상기 권취 릴의 회전축과 동축이고,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 주위에 2개 이상의 상기 마찰 부재가 회전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2개 이상의 마찰 부재에 균등하게 마찰력이 작용하게 하게 된다.
또한 (1)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 릴을 갖는 공구본체와, 상기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밀어 맞댄 헤드를 가지며, 상기 공구본체로부터 뻗어나온 연출부이며,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 본체와 상기 연출부 사이의 상대적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와, 상기 변환기구에 의해 변환된 회전 운동의 회전력을, 마찰 부재와 마찰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권취 릴에 전동하는 마찰 전동기구를 구비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것, 및 (2)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상태에서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청소체에 의해 광 커넥터를 청소하는 것을 행하는 광 커넥터 청소방법이 분명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광 커넥터 청소방법에 의하면, 권취 릴의 청소체의 외경이 커지더라도,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을 억제할 수 있다.
(2)
그런데 광 커넥터 청소공구를 이용하여 광 커넥터의 접합 단면을 청소할 때에, 공구 본체를 연출부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동작 (푸시 동작이라고도 함)이 부정확하게 행해지면 충분한 청소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공구 본체와 연출부 사이에 캔틸레버와 충돌면을 갖는 충돌음 발생기구를 설치하고, 푸시 동작이 종료하였 때에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푸시 동작이 정상으로 완료하였다는 것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충돌음 발생기구에서는 이동시에 큰 응력이 캔틸레버에 걸림으로써 캔틸레버가 손상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캔틸레버의 내구성을 높이려고 하면 충돌음 발생기구를 컴팩트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렵고, 광 커넥터 청소 공구 전체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제 2의 발명은 컴팩트하고 손상하기 어려운 충돌음 발생 기구를 구비하는 광 커넥터 청소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제2의 발명은 공구 본체와,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밀어 붙여진 헤드를 가지며, 상기 공구 본체로부터 뻗어나온 연출부이며,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출부를 구비 하고,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상태에서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청소체에 의해 광 커넥터를 청소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며, 상기 공구 본체 및 상기 연출부의 한쪽에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캔틸레버가 설치되고, 한편으로 상기 캔틸레버의 단부를 변위시키는 가이드와, 상기 캔틸레버의 단부를 충돌시켜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충돌면이 설치되고,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가이드에 의해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단부가 상기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단부가 상기 가이드에서 분리되었을 때에 상기 캔틸레버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충돌면에 충돌하여 충돌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다.
이와 같은 광 커넥터 청소공구에 따르면, 컴팩트하고 손상하기 어려운 충돌음 발생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공구본체를 상기 연출부로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가이드에 의해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단부가 반대쪽으로 변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캔틸레버의 변위량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여 캔틸레버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고, 손상을 억제하기 쉽게 된다.
상기 공구본체를 상기 연출부로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상기 단부의 변위량은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킬 때의 상기 단부의 변위량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풀 동작 시의 캔틸레버의 변형량이 푸시 동작시의 캔틸레버의 변형량보다 작게 되고, 더욱 손상을 억제하기 쉽게 된다.
상기 가이드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캔틸레버의 이동방향의 뒤쪽의 경사가 상기 캔틸레버의 이동방향의 앞쪽의 경사보다 경사 각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가이드의 표면이나 캔틸레버 의 충돌부가 마모하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캔틸레버의 상하방향의 굴곡량을 조정하여 캔틸레버가 손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충돌면의 상기 캔틸레버의 단부가 충돌하는 면과, 반대 쪽에는 상기 충돌음을 반향시키는 공간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작업자가 알아들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충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로 향하는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캔틸레버의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푸시 동작 및 풀 동작 시에 캔틸레버는 양단이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밀어 맞댄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상태에서, 공구 본체를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출부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공구 본체 및 상기 연출부의 한쪽에 설치된 가이드에 의해, 다른 한편에 설치된 캔틸레버의 단부가 상기 이동방향 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과,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단부가 상기 가이드에서 분리하였을 때에 상기 캔틸레버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캔틸레버의 단부를 충돌시켜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충돌면에 충돌하여 충돌음이 발생하는 것을 갖는 광 커넥터 청소방법이 분명하게 된다.
(3)
또한 권취 릴에 권취된 청소체의 외경이 커지면, 권취 릴의 회전량(회전각도)이 동일하여도, 회전 릴에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이 많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일정한 회전량으로 권취 릴을 회전시켜 청소체를 권취하는 구조에서는 권취 릴의 외경이 클수록, 1회의 청소동작에 사용되는 청소체의 량이 많아져 버린다. 이 결과, 사용횟수가 증가할수록 1회의 청소동작에 사용되는 청소체의 량이 많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제3의 발명은 사용되는 청소체의 량을 일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제3의 발명은 공구 본체와,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밀어 맞대는 헤드를 가지며, 상기 공구 본체에서 뻗어나온 연출부이며,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상태에서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 쪽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청소체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를 청소하는 광 커넥터 청소 공구이며, 상기 공구 본체는 본체측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연출부는 헤드측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 사이에 상기 청소체가 건너지르고 있으며,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 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가 이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가 떨어져 있는 만큼의 상기 청소체가 상기 헤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다.
이와 같은 광 커넥터 청소 공구에 따르면, 사용되는 청소체의 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광 커넥터 청소 공구는 상기 청소체가 상기 본체측 걸림부에서 상기 헤드측 걸림부에 보내지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기구를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체가 역으로 보내지는 것이 제한되기 때문에, 헤드측 걸림부와 본체측 걸림부가 떨여져 있는 만큼의 청소체가 헤드의 상류 쪽에서 하류 쪽으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공구 본체는 상기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 릴을 가지며, 상기 제한기구는 상기 권취릴이 상기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권취 릴이 상기 권취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래칫 (ratchet) 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청소체가 역으로 보내지는 것을 제한하면서 청소체를 권취 릴에 권취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광 커넥터 청소공구는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가 근접할 때에 상기 청소체를 권취 릴에 권취하는 권취 기구를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헤드측 걸림부와 본체측 걸림부가 근접한 만큼의 청소체를 권취 릴에 권취할 수 있다.
상기 권취기구는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가 근접할 때에 상기 청소체에 소정의 장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헤드측 걸림부와 본체측 걸림부가 근접할 때에 헤드의 청소체가 헤드와 광 커넥터 사이에 끼여 있지 않았더라도, 헤드의 하류 쪽의 청소체가 헤드의 상류 쪽으로 역으로 보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권취 기구는 상기 공구 본체와 상기 연출부 사이의 상대적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와, 상기 변환기구에 의해 변환된 회전 운동의 회전력을 마찰부재와 마찰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권취릴에 전동하는 마찰 전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헤드측 걸림부와 본체측 걸림부가 근접할 때에 헤드측 걸림부와 본체측 걸림부 사이의 청소체에 소정의 장력을 작용시킨다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청소체는 테이프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1) 공구본체와,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밀어 맞대는 헤드를 가지며, 상기 공구 본체로부터 뻗어나온 연출부이며,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출부를 구비한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며, 상기 공구 본체가 본체측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연출부가 헤드측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 사이에 상기 청소체가 건너지르고 있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르는 것, 및 (2)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상태에서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를 떨어지게 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가 떨어져 있는 만큼의 상기 청소체를 상기 헤드에 공급시키고, 상기 청소체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를 청소하는 것을 행하는 광 커넥터 청소방법이 명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광 커넥터 청소방법에 따르면, 사용되는 청소체의 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 제1 실시 형태 ===
< 광 커넥터 청소공구의 개요 >
도 1A는 제1 실시형태의 광 커넥터 청소공구 (이하, 단순히 " 청소도구"라고 할 수 있다)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커버 5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청소 공구 1은 공구 본체 10과, 공구 본체 10에서 뻗어나온 연출부 60을 구비하고 있다. 공구 본체 10은 커버 5 (앞쪽 커버 5A 및 뒤쪽 커버 5B)에 의해 덮여져 있다. 연출부 60은 앞쪽 커버 5A의 구멍에서 뻗어나오고 있으며, 커버 5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연출부 60은 헤드 61을 가지고 있다. 헤드 61은 광 커넥터의 접합 단면에 청소체 3을 억누르기 위한 부재이다. 헤드 61은 연출부 60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 커넥터에 청소체 3을 억누를 수 있도록 청소체 3이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청소공구 1은, 예를 들어 MPO 커넥터의 청소에 사용된다. MPO 커넥터는 MT형 플라스틱 멀티코어 광 커넥터 (JIS, C5981)를 광 커넥터 덮개로서 사용한 광 커넥터이며, 광 어댑터에 의해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된 광 커넥터이다. 멀티코어 광 커넥터를 청소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체 3은 실 모양이 아니고, 폭이 있는 테이프 모양이다. 그러나 청소공구 1은 다른 종류의 광 커넥터를 청소대상으로 하여도 좋고, 청소 대상이 단일 코어 광 커넥터이면 청소체 3이 실 모양이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좌우, 상하를 정의한다. 즉 공구본체 10에서 연출부 60이 뻗어나오는 방향 (혹은 공구 본체 10으로부터 연출부 60이 신축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고, 공구본체 10에서 보아 연출부 60 쪽을 "전"으로 하고, 반대쪽을 "후"로 한다. 또한 공구본체 10 중에 있는 권취 릴 35 (도 4 참조, 도 1A 및 도 1B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축의 축 방향을 " 좌우방향"으로 하고, 앞에서 보았을 때 오른손 쪽을 "우"로 하고, 반대쪽을 "좌"로 한다. 또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고, 광 커넥터를 접속하는 광 어댑터의 열쇠 구멍에 삽입되는 돌기부 (키 74A)가 있는 쪽을 "상"으로 하고, 반대쪽을 "하"로 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청소 몸체 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류'와 '하류'라고 하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도 2A는 정상상태의 청소공구 1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푸시 상태의 청소공구 1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청소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A와 도 2B를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연출부 60은 공구본체 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연출부 60은 공구 본체 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신축한다. 푸시 상태에서는 정상상태보다 연출부 60이 공구본체 10의 내부에 끌어넣여져 있다. 도 2B에서는 연출부 60이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의 청소동작에서는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 본체 10이 연출부 60을 향하여 앞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청소공구 1의 구조나 동작에 대한 설명을 단순화 하기 위해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출부 60을 뒤쪽으로 이동시켜서 설명할 수 있다.
청소공구 1을 사용하여 광 커넥터를 청소할 때 작업자는 커버 5 너머로 공구본체 10을 유지하고, 연출부 60의 앞쪽의 헤드 61을 광 어댑터에 삽입하여 광 어댑터내의 광 커넥터에 헤드 61의 청소체 3을 억누르고, 그 상태에서 공구 본체 10을 앞쪽으로 이동시킨다 (푸시 동작). 그리하여 청소공구 1은 도 2A의 정상상태에서 도 2B 및 도 2C의 푸시 상태로 된다. 또한 작업자는 광 어댑터에 삽입되어 있는 헤드 61을 인출하여 청소 공구 1을 취출하기 위해서, 보유하고 있는 공구 본체 10을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풀 동작). 그리하여 청소 공구 1은 도 2B나 도 2C의 푸시 상태에서 도 2A의 정상상태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한 번의 청소 동작 중에서 푸시 동작과 풀 동작을 행하게 된다. 푸시 동작에서는 공구 본체 10이 연출부 60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공구 본체 10 쪽에서 보면, 연출부 60이 공구 본체 1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풀 동작에서는 공구 본체 10이 연출부 60에 대하여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공구 본체 10 쪽에서 보면, 연출부 60이 공구 본체 10에서 분리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작업자가 행하는 푸시 동작 및 풀 동작에 따라,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청소 공구 1은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 사이의 상대이동(직선운동)을 이용하여 미사용의 청소체 3의 공급과, 사용 후 청소체 3의 권취를 실시하고 있다.
< 전체 구성 >
도 3A는 연출부 60의 원통체 71과 공구 본체 10의 우측 하우징 11을 분리 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공구본체 10과 연출부 60은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1은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 사이의 상대적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이며, 원형 기어인 피니언 52와, 직선 기어인 랙 67B를 갖는다. 피니언 52는 공구본체 10 쪽에 설치되어 있고, 랙 67B는 연출부 60 쪽에 설치되어 있다.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7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 7은 공구본체 10에 대하여 연출부 60을 앞쪽으로 활성화시키는 스프링이다. 코일 스프링 7은 공구 본체 10과 원통체 71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 7의 후단은 공구 본체 10의 앞쪽의 스프링 누름 면 20 (공구본체 10으로부터 연출부 60 (자세하게는 연출부 60의 동체부 65: 도 5 참조)가 앞쪽으로 뻗어나도록 설치된 공구본체 10의 개구의 주위 전면)과 접촉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 7의 전단은 원통체 71의 내벽과 접촉하고 있다. 그리하여 코일 스프링 7은 공구본체 10과 연출부 60을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다시 말하면, 코일 스프링 7은 공구본체 10에 대하여 연출부 60 (자세하게는 원통체 71)을 항상 앞쪽으로 밀고 있다. 코일 스프링 7의 반발력에 의해, 풀 동작시에 청소 공구 1이 푸시 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 공구 본체 10
도 4는 공구 본체 10의 분해사시도이다.
공구 본체 10은 우측 하우징 11과, 좌측 하우징 12와, 공급 릴 31과, 권취 릴 35와, 가이드 통 41을 가진다.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는 공구 본체 10의 다른 구성요소를 좌우 에서 덮기위한 하우징이다. 좌측 하우징 12에는 공급 릴 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하는 공급 릴 지지축 13과, 권취 릴 3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권취 릴 지지축 14와, 래칫 네일 45의 축구멍과 감합하는 래칫 네일 축 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하우징 12에는 가이드 통 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축 16으로서, 공급측 가이드 축 16A 및 권취측 가이드 축 16B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는 수지로 만들며, 좌측 하우징 12에는 공급 릴 지지축 13, 권취 릴 지지축 14, 래칫 네일 축 15 및 가이드 축 16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에는 걸림 네일 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걸림 네일 17은 공급 릴 31의 좌우 측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계합 홈 32에 계합함으로써, 공급 릴 31의 공회전(idling)을 억제한다.
또한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에는 이동 제한 창 1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동 제한창 18의 앞쪽 가장자리 18A는 정상상태에서 연출부 60 (자세하게는 연출부 60의 지지부재 63의 쇼울더(shoulder) 부분 66: 도 5 참조)과 접촉하는 접촉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정상상태에서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의 위치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이동제한 창 18의 뒤쪽 가장자리 18B는 푸시 상태에서 연출부 60 (자세하게는 연출부 60의 지지부재 63의 쇼울더 부분 66)와 접촉하는 접촉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푸시 상태에서의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의 위치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이동 제한 창 18에 의하여, 공구본체 10에 대한 연출부 60의 이동범위가 규정되어 있다.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의 내측에는 팔 수용부 1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팔 수용부 19는 랙 67B의 형성된 연출부 60의 팔 부분 67 (도 5 참조)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부위이다.
또한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를 결합시켰을 때, 연출부 60 (자세하게는 연출부 60의 지지부재 63의 동체부 65: 도 5 참조)가 앞쪽으로 뻗어나가기 위한 구멍이 앞쪽에 형성된다. 이 구멍 주위의 전면은 연출부 60을 앞쪽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 7 (도 5 참조)의 후단의 스프링 누름 면 20으로 되어 있다.
공급 릴 31은 청소체 3을 공급하기 위한 릴 (원통형 보빈)이다. 공급 릴 31 에는 미사용의 청소체 3이 감겨져 있다. 공급 릴 31은 좌측 하우징 12의 공급 릴 지지축 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공급 릴 31에서 청소체 3이 공급되면, 공급 릴 31이 공급 릴 지지축 1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공급 릴 31의 좌우 측면에는 계합 홈 32가 설치되어 있고,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의 걸림 네일 17에 의해 공급 릴 31의 공회전이 억제되어 있다.
권취 릴 35는 청소체 3을 권취하기 위한 릴이다. 권취 릴 35에 의해, 사용된 청소체 3이 권취된다. 권취 릴 35는 좌측 하우징 12의 권취 릴 지지축 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권취 릴 35가 권취 릴 지지축 14를 중심으로 회전 함으로써 권취 릴 35에 청소체 3가 권취된다 .
권취 릴 35의 좌우 측면에는 외측 고리 부분(ring part) 36 및 내측 고리부분 37이 설치되어 있다. 외측 고리 부분 36 및 내측 고리 부분 37은 권취 릴 35의 측면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둥근 환상의 부위이며, 권취 릴 35의 축 구멍을 둘러싸도록, 축 구멍과 동심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고리 부분 36의 내주면에는 래칫 기구 82를 구성하는 래칫 기어 36A 형성되어 있다. 내측 고리 부분 37의 내주면은 마찰 전동 기구 84를 구성하는 마찰면 37A (슬립 면 )으로 된다. 마찰 전동 기구 8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이드 원통 41은 청소체 3을 안내하기 위한 원통형 부재이다. 공구본체 10은 공급측 가이드 원통 41A 및 권취측 가이드 통 41B의 두개의 가이드 통 41을 가지지만, 이외의 가이드 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공급측 가이드 통 41A는 공급측 가이드 축 1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공급 릴 31에서 공급된 청소체 3은 공급측 가이드 통 41A에 의해 연출부 60의 헤드 61 쪽으로 안내되게 된다. 권취측 가이드 통 41B는 권취측 가이드 축 1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용된 청소체 3, 권취측 가이드 통 41B에 의해 권취 릴 35 쪽으로 안내되게 된다.
또한 회전 가능한 가이드 통 41 대신에, 좌측 하우징 12에 원통형 가이드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그러나 회전가능한 가이드 통 41을 설치함으로써, 청소체 3을 원활하게 송출할 수 있다.
또한, 공구본체 10은 본체측 걸림부 42와, 한 쌍의 래칫 네일 45와, 한 쌍의 전동차 51을 갖는다 .
본체측 걸림부 42는 헤드측 걸림부 68(후술함)과 함께 정량 송출 기구 83 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청소체 3은 본체측 걸림부 42에 걸리게 되어, 본체측 걸림부 42와 헤드측 걸림부 68 사이의 건너지르게 된다 (도 7A ~ 도 7C 참조). 본체측 걸림부 42는 본체측 회전통 42A와 본체측 핀 42B를 갖는다. 본체측 회전통 42A는 전술한 가이드 통 41과 같은 관형 부재이며, 본체측 핀 42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다. 본체측 핀 42B는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에 의해 협지되며,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체측 핀 42B 가 전술한 가이드 축 16과 같이 좌측 하우징 1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측 걸림부 42가 구성하는 정량 송출 기구 8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래칫 네일 45, 래칫 기어 36A와 함께 래칫 기구 82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래칫 네일 45는 권취 릴 35의 좌우 각각의 측면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있으며, 권취 릴 35의 외측 고리부 36과 내측 고리부 3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하우징 11 또는 좌측 하우징 12에 설치된 래칫 네일 축 15에 래칫 네일 45의 축 구멍이 끼워지게 함으로써 래칫 네일 45가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에 설치되어 있다. 래칫 네일 45의 스프링 부 45A의 단부가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에서 활성화함으로써, 래칫 네일 45가 래칫 기어 36A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래칫기구 82는 권취 릴 35가 청소체 3을 권취하는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권취 릴 35가 권취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이다. 래칫 네일 45가 래칫 기어 36A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권취 릴 35의 회전방향이 한 방향(권취방향)으로 되도록 제한되어 있다. 그리하여 청소체 3이 처지는 방향으로 권취 릴 35가 회전하는 것(권취 릴 35가 권취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전동차 51은 피니언 52와 마찰판 53을 갖는 회전 부재이다. 전동차 51은 권취 릴 35의 내측 고리부 37의 마찰면 37A (내주면)에 끼워지게 배치되어 있다. 전동차 51은 좌측 하우징 12의 권취 릴 지지축 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차 51은 권취 릴 35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다.
전동차 51의 피니언 52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1을 구성하는 원형 기어이다. 피니언 52가 랙 67B에서 힘을 받음으로써 전동차 51이 회전한다. 피니언 52는 연출부 60의 랙 67B (도 5 참조)와 연결할 수 있도록 권취 릴 35의 외측 고리부 36 및 내측 고리부 37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동차 51의 마찰판 53은 권취 릴 35의 내측 고리부 37의 마찰면 37A와 함께 마찰 전동기구 84를 구성한다. 마찰판 53은 권취 릴 35의 내측 고리부 37의 마찰면 37A 에 접촉하고, 마찰력에 의해 권취 릴 35에 회전력을 전동하기 위한 마찰부재이다. 마찰판 53은 판 스프링으로서의 기능도 가진다. 마찰판 53의 스프링 힘에 의해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한다.
2개의 마찰판 53이 축 구멍 주위에 회전대칭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마찰판 53의 중앙부를 축 구멍 쪽으로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전동차 51이 권취 릴 35의 내측 고리부 37의 마찰면 37A에 끼워지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마찰판 53과 권취 릴 35의 내측 고리부 37의 마찰면 37A와의 접촉 부분에 마찰력이 작동하게 된다. 또한 전동차 51의 마찰판 53은 2개 이상이어도 좋다. 2개 이상의 마찰판 53을 축 구멍 주위에 회전대칭으로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마찰판 53에 균등하게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전동차 51이 구성하는 마찰 전동 기구 84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공구 본체 10의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의 앞쪽 상부에는 각각 캔틸레버 가이드 91 및 충돌면 92가 형성되어 있다. 캔틸레버 가이드 91 및 충돌면 92는 연출부 60의 캔틸레버 93 (후술함)과 함께 충돌음 발생기구 90을 구성 한다. 캔틸레버 가이드 91은 청소공구 1의 푸시 동작 및 풀 동작을 행할 때에, 후술하는 캔틸레버 93이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캔틸레버 가이드 91은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에 각각 좌우방향의 바깥 쪽에서 안쪽으로 돌출한 거의 평행사변형상의 부재이다. 충돌면 92는 푸시 동작이 끝났을 때 (푸시 상태가 되었을 때)에, 캔틸레버 93이 충돌함으로써 충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벽면이다. 충돌면 92는 각각의 하우징의 상방부로부터 전방 쪽을 향하여 경사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판상의 부재이다. 충돌면 92의 크기나 설치각도는 발생시켜려는 충돌음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캔틸레버 가이드 91 및 충돌면 92이 구성하는 충돌음 발생기구 9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 연출부 60
도 5는 연출부 6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연출부 60의 헤드 61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청소시의 헤드 61 근방의 단면도이다.
연출부 60은 헤드 61과, 가압 스프링 62와, 지지부재 63과, 원통체 71을 가진다.
헤드 61은 청소체 3을 광 커넥터에 밀어 맞대기 위한 부재이다. 헤드 61의 앞쪽 단면은 광 커넥터에 청소체 3을 밀어 맞대기 위한 가압면 61A로 이루어져 있다. 가압면 61A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청소체 3이 감겨 걸려있다 (도 1A 참조). 헤드 61의 가압면 61A에서는 미사용의 청소체 3이 위쪽에서 공급되어, 사용된 청소체 3이 아래쪽으로 송출되게 된다. 가압면 61A의 뒤쪽에는 경사 스프링 61B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스프링 61B는 탄성 변형함으로써, 광 커넥터의 접합단면의 경사에 따라 가압면 61A를 경사시킨다. 헤드 61의 뒤쪽에는 한 쌍의 돌출부 61C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61C는 좌우대칭으로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부위이다.
가압 스프링 62는 헤드 61과 지지부재 63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부재 63에 대하여 헤드 61을 앞쪽으로 활성화하는 스프링이다. 가압 스프링 62의 전단은 헤드 61의 가압면 61A의 뒷면을 앞쪽으로 활성화하고 있다. 광 커넥터에서의 가압 압력 에 의해 헤드 61이 뒤쪽으로 힘을 받으면 가압 스프링 62가 탄성변형하고, 헤드 61이 지지부재 63에 대하여 뒤쪽으로 미끄러진다.
지지 부재 63은 헤드 61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다. 지지부재 63의 앞 쪽에는 한 쌍의 가이드 창 64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창 64는 헤드 61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창이다. 가이드 창 64 안에는, 헤드 61의 돌출부 61C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창 64의 앞쪽 가장자리는 가압 스프링 62에 의해 활성화되는 헤드 61이 앞쪽으로부터 떨어져 나오지 않도록 헤드 61의 돌출부 61C를 고정한다.
지지부재 63의 중앙부에는, 동체부 65가 형성되어 있다. 동체부 65는 전후 방향으로 긴 부위이다. 동체부 65의 뒤쪽은 공구본체 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동체부 65의 전방은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의 앞쪽에 형성된 구멍에서 뻗어 나오도록 배치된다.
동체부 65의 상면은 공구 본체 10에서 공급되는 청소체 3을 헤드 61까지 안내하는 안내면이 있다. 동체부 65의 하면은 헤드 61에서 사용된 청소체 3을 헤드 측 걸림부 68 (후술함)까지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동체부 65는 코일 스프링 7 (도 3A 참조)을 관통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 7을 지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지지부재 63의 동체부 65의 뒤쪽에는 한쌍의 쇼울더 부분 66이 형성되어 있다. 쇼울더 부분 66은 동체부 65의 좌우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우측 하우징 11 또는 좌측 하우징 12의 이동 제한창 18 (도 4 참조) 내에 배치된다. 쇼울더 부분 66의 전면 66A는 정상상태에서 공구본체 10의 이동 제한창 18의 앞쪽 가장자리 18A 와 접촉하는 면으로 되어 있다. 쇼울더 부분 66의 후면 66B는 푸시 상태에서 공구 본체 10의 이동 제한 창 18의 뒤쪽 가장자리 18B와 접촉하는 접촉면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쇼울더 부분 66의 각각의 바깥쪽 측면에는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기 66C 가 형성되어 있다. 쇼울더 부분 66이 우측 하우징 11 또는 좌측 하우징 12의 이동 제한 창 18에 배치되어 있으면, 쇼울더 부분 66의 돌기 66C는 이동 제한창 18에서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동 제한창 18에서 돌출한 돌기 66C가 원통체 71의 취부창 76A에 고정시킴으로써 원통체 71의 취부 지지 부재 63에 장착되게 된다. 원통체 71의 취부창 76A에 돌기 66C를 끼워넣기 쉽도록 하기 위해, 돌기 66C의 앞쪽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체 71은 코일 스프링 7에 의해 항상 앞쪽으로 힘을 받고 있지만, 지지 부재 63의 쇼울더 부분 66의 돌기 66C이 원통체 71의 취부창 76A의 뒤쪽 가장자리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원통체 71이 지지부재 63에서 앞쪽으로 떨어져 나오지 않고, 원통체 71과 지지 부재 63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한 쌍의 쇼울더 부분 66은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쇼울더 부분 66 사이의 간격은 헤드측 걸림부 68을 구성하는 회전통 68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쇼울더 부분 66 사이의 간격은 청소체 3의 경로에도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쇼울더 부분 66의 아래 쪽에는 뒤쪽으로 뻗은 팔부분 67이 형성되어 있다. 팔 부분 67은 우측 하우징 11 또는 좌측 하우징 12의 팔 수용부 19에 수용된다. 각각의 팔 부분 67의 앞쪽에는 핀 구멍 67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팔 부분 67의 뒤쪽에는 랙 67B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팔 부분 67의 앞쪽(후술함)도 쇼울더 부분 66과 마찬가지로 간격을 두고 좌우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다. 팔 부분 67의 앞쪽 간격도 회전통 68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성하고 있다. 팔 부분 67의 뒤쪽은 앞쪽보다 슬림화되어 있고, 앞쪽보다 간격이 넓혀져 있다. 이것은 팔 부분 67의 앞쪽 간격을 청소체 3의 폭에 맞추고, 팔 부분 67의 뒤쪽 간격을 권취 릴 35의 폭에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팔 부분 67의 앞쪽과 뒤쪽의 두께나 간격은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뒤쪽의 간격이 앞쪽 간격보다 좁은 구성이어도 좋다. 한 쌍의 랙 67B 사이에 공구 본체 10의 권취 릴 35가 배치된다. 한 쌍의 랙 67B는 권취 릴 35의 외측 고리부 36 및 내측 고리부 37 보다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고, 권취 릴 35의 외측 고리부 36 및 내측 고리부 37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피니언 52에 연결된다.
지지 부재 63에는 헤드측 걸림부 6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연출부 60은 헤드측 걸림부 68을 가지고 있다. 헤드측 걸림부 68은 본체측 걸림부 42와 함께 정량 송출 기구 83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청소체 3는 헤드측 걸림부 68에 걸려있고, 헤드측 걸림부 68과 공구 본체 10의 본체측 걸림부 42 사이에 건너지르게 된다 (도 7A ~ 도 7C 참조).
헤드측 걸림부 68은 본체측 걸림부 42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 사이의 간격은 정상상태에서 푸시 상태가 될 때에 떨어지게 하고, 푸시 상태에서 정상상태가 될 때에 근접한다.
헤드측 걸림부 68은 회전통 68A와 핀 68B를 갖는다. 회전통 68A는 전술한 가이드 통 41과 같은 관형 부재이며, 핀 68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통 68A는 한 쌍의 쇼울더 부분 66 사이의 간격과 한쌍의 팔 부분 67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다. 회전통 68A는 한 쌍의 쇼율더 부분 66과 한 쌍의 팔 부분 67에 의해 좌우에서 좁혀지게 배치되어 있고, 좌우로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핀 68B는 팔 부분 67의 핀 구멍 67A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 사이에 끼워지게 배치되어 있다. 헤드측 걸림부 68이 구성하는 정량 송출기구 8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원통체 71은 연출부 60의 바깥쪽을 덮는 원통형 부재이다. 원통체 71은 지지 부재 63의 상면 및 하면에 안내되는 청소체 3을 덮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원통체 71의 앞쪽에 있는 앞쪽 개구 72로부터는 헤드 61이 돌출하여 노출되어 있다. 광 커넥터에서의 가압 압력에 의해 헤드 61이 뒤쪽으로 미끄러지면, 원통체 71이 앞쪽 개구 72 주위에서 광 커넥터의 하우징에서 뒤쪽으로 힘을 받는다 (도 6B 참조). 이 힘에 의해, 연출부 60이 공구 본체 10에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원통체 71의 뒤쪽에 있는 뒤쪽 개구 73에서는, 지지 부재 63의 쇼울더 부분 66과 팔 부분 67이 뒤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러나, 뒤쪽 개구 73에서 돌출한 쇼울더 부분 66과 팔 부분 67는 공구 본체 10의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외부에 노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
원통체 71의 앞쪽 선단부 74는 광 어댑터의 커넥터 수용구멍에 삽입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 74의 상면에는 광 어댑터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열쇠 구멍에 삽입되는 키 74A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 74의 좌우 측면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凹홈 74B가 형성되어 있다. 凹 홈 74B는 광 어댑터의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계합 조각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부위이다. 선단부 74의 내벽 74C는 헤드 61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면으로 되어 있다.
원통체 71의 중앙부에는 테이퍼 부분 75이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 부분 75의 뒤쪽은 테이퍼 부분 75의 앞쪽보다 외경 및 내경이 크게 되어 있다. 원통체 71의 테이퍼 부분 75보다도 뒤쪽에는 코일 스프링 7이 배치되어 있다.
원통체 71의 뒤쪽의 좌우 측면에는 한 쌍의 판부 76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체 71의 판부 76은 공구본체 10의 우측 하우징 11이나 좌측 하우징 12보다도 외측에 배치된다. 판부 76은 원통체 71에서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돌출 된 부분에 취부 창 7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취부창 76A에는 우측 하우징 11 또는 좌측 하우징 12의 이동 제한창 18에서 돌출된 돌기 66C (지지부재 63의 돌기 66C)가 끼워져 있다.
또한 원통체 71의 뒤쪽 상부에는 캔틸레버 93이 형성되어 있다. 캔틸레버 93 은 상기한 캔틸레버 가이드 91 및 충돌면 92와 함께 충돌음 발생기구 90을 구성한다. 그리고 캔틸레버 93은 청소공구 1의 푸시 동작을 행할 때에, 공구본체 10의 우측 하우징 11 및 좌측 하우징 12에 설치된 충돌면 92와 충돌함으로써 충돌음을 발생시킨다. 캔틸레버 93은 앞쪽이 지지되어서 뒤쪽에 돌출한 판상의 부재인 빔부분(beam part) 93A와, 빔 부분 93A의 단부 (후단)에 좌우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둥근 막대 모양의 부재인 충돌부 93B를 갖는다 . 충돌음 발생기구 90에 의해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동작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 정량 송출 기구 83 >
본 실시형태의 청소 공구 1은 공구본체 10의 본체측 걸림부 42와, 연출부 60의 헤드측 걸림부 68에 의해 정량 송출 기구 83이 구성되어 있다. 정량 송출 기구 83는 헤드 61에 공급하는 청소체 3의 량을 일정하게 하는 기구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정량 송출 기구 83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A는 푸시 동작 이전의 정상상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B는 푸시 상태에서 정량 송출 기구 83의 설명도이다. 도 7C는 풀 동작 후 정상상태의 설명도이다. 도면 중에서 청소체 3의 경로를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공급 릴 31에서 공급된 청소체 3은 공급측 가이드 통 41A에 의해 공구 본체 10에서 연출부 60에 안내되고 있다. 연출부 60에 안내된 청소체 3은 헤드 61의 가압면 61A에 있어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감겨 걸려있음과 동시에, 연출부 60의 헤드측 걸림부 68에 단단히 묶여 있으므로써, 헤드 61 및 헤드측 걸림부 68 사이에 건너지르고 있는 (오른쪽에서 보았을 때 S자 모양으로 건너지르고 있다). 또한 청소체 3은, 연출부 60의 헤드측 걸림부 68에 단단히 묶여 있음과 동시에, 공구 본체 10의 본체측 걸림부 42에 단단히 묶이게 함으로써,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 사이에 건너지르고 있다 (오른쪽에서 보았을 때, 역 S자 모양으로 건너지르고 있다). 그리고 청소체 3은 권취측 가이드 통 41B에 의해 권취 릴 35에 안내되고, 권취 릴 35에 권취되고 있다.
먼저 푸시 동작에 의해 청소공구 1이 정상상태 (도 7A 참조)에서 푸시 상태 (도 7B 참조)로 될 때의 정량 송출 기구 8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푸시 동작에서는 헤드 61에 의해 청소체 3을 광 커넥터에 억누른 상태에서 공구 본체 10이 연출부 60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한다. 연출부 60의 헤드측 걸림부 68이 공구 본체 10의 본체측 걸림부 42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 동작에서는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이격한다.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 사이에는 청소체 3을 건너지르고 있기 때문에, 헤드 61에서 본체측 걸림부 42 사이의 청소체 3의 길이는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이격한 만큼(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만 길게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헤드 61보다 하류측의 청소체 3의 길이는 이동량 만큼만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권취 릴 35는 래칫 기구 82에 의해 권취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고, 청소체 3이 본체 측 걸림부 42에서 헤드측 걸림부 68에 보내지는 것(청소체 3이 반대로 보내지는 것)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길어지는 만큼의 청소체 3을 권취 릴 35에서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헤드 61의 상류 쪽에서 하류 쪽으로,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이격된 만큼(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청소체 3이 송출되게 된다. 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미사용 청소체 3이 헤드 61에 공급되고,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사용후 청소체 3이 헤드 61에서 송출된다.
한편, 공급측 가이드 통 41A에서 헤드 61까지 사이의 거리는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 근접한다. 이 결과, 공급측 가이드 통 41A에서 헤드 61까지의 청소체 3의 길이 (또는 공급 릴 31에서 헤드 61까지 사이의 청소체 3의 길이)는 이동량 만큼 짧아진다. 다시 말하면, 헤드 61 보다 상류 쪽의 청소체 3의 길이는 이동량 만큼 짧아진다. 따라서 이만큼의 청소체 3이 헤드 61의 하류 쪽에 송출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푸쉬 동작 때,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 사이에는 청소체 3을 건너지르는 상태에서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이격하기 때문에, 헤드 61보다도 하류 쪽의 청소체 3의 장력이 높아진다. 한편, 푸시 동작의 경우, 헤드 61보다 상류 쪽의 청소체 3의 장력은 낮아진다. 이 때문에, 헤드 61의 상류쪽과 하류 쪽의 장력 차이에 의해, 헤드 61의 상류 쪽의 청소체 3이 헤드 61의 하류쪽으로 송출된다.
또한 푸시 동작시에는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 사이의 청소체 3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권취 릴 35에 권취 방향과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지만, 래칫 기구 82의 작용에 의해 권취 릴 35는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푸시 동작시에는 헤드 61의 상류 쪽의 청소체 3이 헤드 61 하류 쪽으로 이동할 뿐이므로, 공급 릴 31도 회전하지 않는다.
다음에, 풀 동작에 의해 청소 공구 1이 푸시 상태 (도 7B 참조)에서 정상 상태(도 7C 참조)로 될 때의 정량 송출 기구 8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풀 동작에서는 공구 본체 10이 연출부 60에 대하여 뒤쪽으로 이동한다. 연 출부 60의 헤드측 걸림부 68이 공구본체 10의 본체측 걸림부 42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풀 동작에서는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만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한다.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 사이에는 청소체 3을 건너지르고 있기 때문에, 헤드 61로부터 본체측 걸림부 42까지 사이의 청소체 3의 길이는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한 만큼(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잉여가 발생한다. 한편, 풀 동작에서는 권취 릴 35가 권취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후술함). 이 때문에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한 만큼(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청소체 3은 권취 릴 35에 의해 권취된다.
한편, 공급측 가이드 통 41A에서 헤드 61까지 사이의 거리는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 이격한다. 따라서 공급측 가이드 통 41A에서 헤드 61까지 사이의 청소체 3의 길이 (또는 공급 릴 31에서 헤드 61까지 사이의 청소체 3의 길이)는 이동량 만큼만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상상태로 돌아가기 전까지는 헤드 61의 청소체 3은 헤드 61과 광 커넥터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헤드 61의 하류쪽의 청소체 3이 헤드 61의 상류쪽에 역으로 보내지는 어려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 청소체 3을 공급 릴 31에서 공급된다. 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 청소체 3을 공급 릴 31에서 잡아당겨 나오게 된다.
또한, 풀 동작의 경우, 마찰 전동 기구 84 (및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1)에 의해 청소체 3에 소정의 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후술함),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하여도, 헤드 61보다 하류 쪽의 청소체 3의 장력은 저하되지 않고, 소정의 장력으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만일 헤드 61의 청소체 3이 헤드 61 와 광 커넥터 사이에 끼여 있지 않았더라도 (만일 공청소작업을 행하고 있더라도),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할 때에, 헤드 61의 하류 쪽의 청소 체 3이 헤드 61의 상류 쪽에 역으로 보내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정량 송출 기구 83은 공구 본체 10에 설치된 본체측 걸림부 42 와 연출부 60에 설치된 헤드측 걸림부 68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측 걸림부 42와 헤드측 걸림부 68 사이에 청소체 3을 건너지르고 있고, 푸시 동작시의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 사이의 상대이동 (직선운동)에 의해 본체측 걸림부 42와 헤드측 걸림부 68이 이격함으로써, 그 이격한 만큼 청소체 3이 헤드 61의 상류 쪽에서 하류 쪽에 송출된 것이다. 따라서 권취 릴 35에 권취되어 있는 청소체 3의 외경에 상관없이 헤드 61에 공급되는 청소체 3의 양이 일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청소 공구 1은 래칫 기구 82에 의해 청소체 3이 본체측 걸림부 42에서 헤드측 걸림부 68에 보내지는 것(청소체 3이 역으로 보내지는 것)을 제한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본체측 걸림부 42와 헤드측 걸림부 68을 이격할 때에, 헤드 61의 상류 쪽에서 하류 쪽으로,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이격된 만큼(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청소체 3이 송출된다.
< 마찰 전동 기구 84 >
본 실시형태의 청소 공구 1은 전동차 51의 마찰판 53과, 권취 릴 35의 내측 고리부 37의 마찰면 37A에 의해 마찰 전동 기구 84가 구성되어 있다. 마찰 전동 기구 84는 마찰력에 의해 권취 릴 35에 회전력을 전동하는 기구이다. 마찰 전동 기구 84는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그 이상의 회전력을 권취 릴 35에 전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마찰 전동 기구 84는 토크 리미터 (torque limiter)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마찰 전동 기구 84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1과 함께 청소체 3을 권취 릴 35에 권취시키는 권취 기구를 구성한다.
도 8A 및 도 8B는 마찰 전동 기구 84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A는 푸시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도 8B는 풀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도면중의 권취 릴 35의 권취 방향은 시계 반대방향이다. 또한 권취 릴 35는 래칫 기구 82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 (권취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한(금지)되고 있다.
먼저 푸시 작동시의 마찰 전동 기구 8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참조).
푸시 동작에서는 공구 본체 10이 연출부 60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한다. 연출부 60의 랙 67B가 피니언 52에 대하여 뒤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직선운동은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1에 의해 도면중의 시계 방향의 회전운동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권취 릴 35를 회전시키는 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전동차 51은 피니언 52에서 도면중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전동차 51는 피니언 52에서 받은 회전력을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권취 릴 35에 전동한다. 그러나, 권취 릴 35는 마찰면 37A를 통해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받더라도 래칫 기구 8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고, 전동차 51은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
또한 전동차 51이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함으로써, 연출부 60의 랙 67B가 피니언 52에 대하여 뒤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칫 기구 82이 권취 릴 35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어도, 공구 본체 10은 연출부 60에 앞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풀 동작시의 마찰 전동 기구 84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B 참조).
풀 동작은 공구본체 10이 연출부 60에 대하여 뒤쪽으로 이동한다. 연출부 60의 랙 67B가 피니언 52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직선운동은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1에 의해, 도면중의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운동 (권취 릴 35를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전동차 51은 피니언 52 에서 도면중의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전동차 51은 피니언 52로부터 받은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권취 릴 35에 전동한다. 래칫 기구 82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권취 릴 35의 회전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권취 릴 35는 마찰면 37A 를 통해 받은 마찰력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 (권취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하여 청소체 3이 권취 릴 35에 권취된다.
권취 릴 35가 청소체 3을 권취함으로써, 청소체 3에 장력이 작용한다. 청소 체 3의 장력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의 회전력을 권취 릴 35에 주게 된다. 청소체 3의 장력에 의해 권취 릴 35가 받는 회전력은 마찰력에 의해 권취 릴 35가 받는 회전력과는 반대방향이다. 그리고 청소체 3의 장력에 의해 권취 릴 35가 받는 회전력이 마찰력에 의해 권취 릴 35가 받는 회전력을 초과하면 (마찰 전동 기구 84 에서 전동가능한 회전력을 초과하면),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고, 전동차 51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전동차 51이 공회전한 만큼 권취 릴 35의 회전량 (회전각도)을 감소하기 때문에, 권취 릴 35가 권취하는 청소체 3의 량이 감소하고, 청소체 3에 작용하는 장력도 억제된다.
그런데 청소 공구 1의 사용횟수가 증가하면 권취 릴 35에 권취된 청소체 3 의 외경이 커진다. 청소체 3의 외경이 커지게 되면 권취 릴 35의 회전량 (회전 각도)가 동일하여도 회전릴에 권취되는 청소체 3의 량이 많아져 버린다. 따라서 일정한 회전량으로 권취 릴 35를 회전시켜 청소체 3을 권취하는 구조에서는 권취 릴 35의 외경이 클수록 1회의 청소동작에 사용되는 청소체 3의 량이 많아져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커지더라도 1회의 청소동작에 사용되는 청소체 3의 량은 정량 송출 기구 83에 의해 일정하게 제한되어 있다 (도7A ~ 도 7C 참조).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커지더라도, 풀 동작시의 전동차 51의 공회전량이 증가하고, 권취 릴 35의 회전량 (회전각도)가 감소하고, 권취 릴 35에 권취되는 청소체 3은 일정량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청소 공구 1의 사용 횟수가 증가해도 1회의 청소동작 에 사용되는 청소체 3의 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풀 동작의 경우, 마찰 전동 기구 84에 의해 청소 체 3에 소정의 장력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에 미끄러짐을 야기할 수 있을 정도의 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정량 송출 기구 83의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 측 걸림부 42가 근접하여도, 헤드 61 보다도 하류 쪽의 청소체 3의 장력은 저하되지 않고, 소정의 장력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 결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일 헤드 61의 청소체 3이 헤드 61과 광 커넥터 사이에 끼여 있지 않았더라도,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할 때에 헤드 61의 하류 쪽의 청소체 3이 헤드 61의 상류 쪽에 다시 보내지는 것은 아니다.)
< 충돌음 발생기구 90 >
충돌음 발생기구 90에 의해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푸시 동작 및 풀 동작을 할 때마다 청소체 3이 일정량씩 헤드 61에 공급된다. 따라서 광 커넥터의 청소시에 청소체 3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푸시 동작, 풀 동작이 각각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청소 공구 1에서는 푸시 동작이 종료하였을 때 소정의 음(충돌음)을 발생시켜, 푸시 동작이 정상으로 완료하였다는 것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충돌음은 캔틸레버 가이드 91, 충돌면 92 및 캔틸레버 93으로 이루어진 충돌음 발생기구 90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다.
도 9A는 푸시 동작 이전의 충돌음 발생기구 90의 모습을 나타내는 조감도이다. 도 9B는 푸시 상태에서의 충돌음 발생기구 90의 모습을 나타내는 조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푸시 동작 및 풀 동작을 할 때 충돌음 발생기구 90의 동작을 시간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
푸시 작동 전의 상태에서 캔틸레버 93은 캔틸레버 가이드 91 (및 충돌면 92) 의 전방에 위치하고, 양자는 접촉하지 않는다 (도 9A 및 도 10A). 이 상태에서 푸시 동작이 시작되면 캔틸레버 93은 연출부 60과 함께 본체부 10에 대하여 뒤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캔틸레버 93의 충돌부 93B는 캔틸레버 가이드 91의 상면 쪽과 접촉한다. 캔틸레버 가이드 91의 윗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가이드 윗면 91A와, 가이드 윗면 A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진 (또는 경사하지 않은) 가이드 윗면 91B가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윗면 91A의 선단부의 상하방향 위치는 캔틸레버 93의 충돌부 93B의 상하방향 위치보다 낮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푸시 동작시 에 있어서 캔틸레버 93의 충돌부 93B는 캔틸레버 가이드 91의 밑면 측 (도 10A에서 91D ) 대신에 윗면 쪽 (도 10A에서 91A)와 접촉하게 된다 .
캔틸레버 93의 충돌부 93B는 가이드 윗면 91A를 따라 후방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방향으로 변위한다. 이때 캔틸레버 93의 빔 부분 93A는 앞쪽을 지지된 외팔보와 같은 상태이기 때문에 캔틸레버 93은 상방향으로 휘어지는 것 처럼 변형한다 (도 10B ).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버 93의 충돌부 93B는 좌우방향으로 돌출하고, 그 돌출된 부분이 캔틸레버 가이드 91에 의해 지지된다. 다시 말하면, 캔틸레버 93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캔틸레버 93의 좌우방향의 양쪽 끝이 캔틸레버 가이드 91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된다. 양단이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캔틸레버 93의 동작이 안정하다. 또한 이동시 캔틸레버 가이드 91 및 빔 부분 93A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푸시 동작 및 풀 동작을 통해 캔틸레버 가이드 91에 의해 캔틸레버 93의 이동이 방해받는 것은 아니다.
캔틸레버 93의 충돌부 93B는 가이드 윗면 91A를 통과한 후 가이드 윗면 91B 를 따라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가이드 윗면 91B의 후단에서 분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캔틸레버 93은 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변형하고 있기 때문에, 충돌부 93B가 가이드 윗면 91B에 의한 지지를 벗어나면 빔 부분 93A가 판 스프링처럼 작용하여 충돌부 93B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변위하여 충돌면 92와 충돌한다 (도 10C). 충돌부 93B가 충돌면 92와 충돌함으로써 충돌음이 발생하고, 푸시 동작이 정상으로 완료되었음을 작업자에게 알린다.
본 실시형태의 충돌음 발생기구 90에서는 충돌면 92와 공구 본체 10 사이에 공간 92S가 형성된다. 공간 92S는 충돌면 92에서 충돌부 93B가 충돌하는 면과는 반대편에 설치된다. 충돌부 93B가 충돌면 92와 충돌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충돌음을 상기 공간 92S에서 반향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충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공간 92S의 크기나 형상은 발생시키고자 하는 충돌음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충돌부 93B의 단면형상은 원형이다 (예를 들어, 도 10A 참조). 그리하여 충돌부 93B는 캔틸레버 가이드 91의 표면을 미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하여 충돌면 92의 설치각도 등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충돌면 92에 대하여 충돌부 93B를 균등하게 충돌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충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충돌부 93B의 단면형상을 타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도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캔틸레버 가이드 91의 표면 (윗면)은 가이드 윗면 91A 및 가이드 윗면 91B의 2 단계로 경사가 설치되며, 가이드 윗면 91B의 경사 각도는 가이드 윗면 91A 의 경사 각도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윗면 91B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여 캔틸레버 가이드 91이나 충돌부 93B가 마모하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빔 부분 93A의 상하방향의 굴곡 량을 조정하여 캔틸레버 93이 손상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가이드 윗면의 경사 각도는 반드시 변경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가이드 윗면이 곡선 모양이어도 좋다.
푸시 동작이 정상으로 종료한 후, 풀 동작이 시작된다. 캔틸레버 93은 연출 부 60과 함께 본체부 10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충돌부 93B는 캔틸레버 가이드 91의 밑면 쪽과 접촉한다. 캔틸레버 가이드 91의 밑면 쪽은 가이드 밑면 91C와 가이드 밑면 91D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밑면 91C 및 가이드 밑면 91D는 각각 가이드 윗면 91A 및 가이드 윗면 91B와 대응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며, 캔틸레버 가이드 91은 거의 평행 사변형 모양이다. 따라서 풀 동작 시에는 푸시 동작시와 반대로 충돌부 93B는 캔틸레버 가이드 91의 가이드 밑면 91C 및 가이드 밑면 91D를 따라 앞쪽으로 이동한다. 가이드 밑면 91D와 가이드 밑면 91C 의 경사가 다른 것은 상기한 가이드 윗면 91A 및 가이드 윗면 91B 와 거의 같은 이유 때문이다.
풀 동작 시, 충돌부 93B가 캔틸레버 가이드 91의 밑면측과 접촉함으로써, 캔틸레버 93이 아래 방향으로 변형하고, 충돌부 93B가 아래쪽으로 변위한다. 즉 충돌부 93B는 푸시 동작시의 변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변위한다. 풀 동작 후에는 충돌음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풀 동작시의 충돌부 93B의 아래쪽으로 변위량은 푸시 작동시의 충돌부 93B의 위쪽으로 변위량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캔틸레버 93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고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충돌음 발생기구 90에서는 푸시 동작 및 풀 동작시에서의 공구 본체 10에 대한 연출부 6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캔틸레버 93의 충돌부 93B가 변위함으로써, 충돌음을 발생시킨다. 즉, 캔틸레버 93을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것으로, 작은 굴곡량으로 효율적으로 충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1에, 비교예의 충돌음 발생기구 90'를 도시한다. 비교예의 충돌음 발생기구 90'에서는 본체부 10에 돌기 95 및 충돌면 96이 설치되며, 연출부 60의 후단부에 캔틸레버 97이 설치되어 있다. 비교예의 캔틸레버 97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되도록 형성되고, 하나의 끝쪽은 연출부 60에 접합되며, 다른 끝쪽 (도 11A의 97A)는 본체부 10의 벽면에 접촉하고 있다.
푸시 동작 시에, 본체부 10에 대하여 연출부 60이 후방 쪽으로 이동하면 캔틸레버 97도 본체부 10의 벽면을 따라 이동한다 (도 11A 참조). 이동중, 캔틸레버 97의 단부 97A가 본체부 10의 벽면에 설치된 돌기 95에 걸리면, 캔틸레버 97은 전방 쪽으로 휘어진다. 그리고 연출부 60이 후방 쪽으로 이동을 계속하면, 다른 단부 97A가 돌기부 95에서 탈락하고, 굴곡의 반발력에 의해 캔틸레버 97이 충돌면 96에 충돌하고, 충돌음을 발생시킨다 (도 11B 참조 ).
비교예에서는 본체부 10에 대한 연출부 60의 이동방향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캔틸레버 97의 굴곡(deflection)이 발생한다. 이 경우 굴곡량이 크기 때문에 캔틸레버 97 및 연출부 60의 접합부에 응력 집중이 생기기 쉽고, 캔틸레버 97이 손상하기 쉽다. 또한 돌기부 95등의 마모에 의해, 안정된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비교예에서는 푸시 동작시의 캔틸레버의 변형량과 풀 동작시의 캔틸레버의 변형량이 동일한 정도로 되고, 캔틸레버 97이 피로하기 쉬운 구조였다.
이와 비교하여, 본 실시형태의 충돌음 발생기구 90에서는 캔틸레버 93의 굴곡방향이 위와 같이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응력 집중 등이 생기기 어렵고 캔틸레버 93이 손상되기 어렵게 되고, 안정적으로 충돌음을 발생시키기 쉽게 된다.
=== 제2 실시형태 ===
제1 실시형태의 청소 공구 1은 일정량의 청소체를 전달하는 정량 송출 기구 83 (본체측 걸림부 42와 헤드측 걸림부 68)를 갖추고 있었지만, 정량 송출 기구 83이 없어도 좋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제2 실시형태의 마찰 전동 기구 84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권취 릴 35의 권취방향은 제1 실시형태와는 반대이며, 시계방향이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래칫 기구 82도, 제1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설치되어 있다. 권취 릴 35는 래칫 기구 82에 의해 시계방향 (권취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한(금지)되어 있다.
푸시 동작에서는 공구본체 10이 연출부 60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연출부 60의 랙 67B이 피니언 52에 대하여 뒤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직선 운동은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1에 의해, 도면중의 시계방향의 회전운동 (권취 릴 35를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마찰 차 51은 피니언 52로부터 도면 중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마찰차 51은 피니언 52로부터 받은 회전력을,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 의 마찰력에 의해 권취 릴 35에 전동한다. 래칫 기구 82는 시계방향으로 권취 릴 35의 회전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권취 릴 35는 마찰면 37A를 통해 받은 마찰력에 의해 시계방향(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하여 청소체 3이 권취 릴 35에 권취된다 .
권취 릴 35가 청소체 3을 권취함으로써, 청소체 3에 장력이 작용한다. 청소 체 3의 장력에 의해 권취 릴 35가 받는 회전력이 마찰력에 의해 권취 릴 35가 받는 회전력을 초과하면 (마찰 전동 기구 84에서 전동 가능한 회전력을 초과하면),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에 미끄럼이 생겨 마찰차 51이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한다. 마찰차 51이 공회전한 만큼 권취 릴 35의 회전량 (회전각도)이 감소하기 때문에, 권취 릴 35가 권취되는 청소체 3의 량이 감소하고, 청소체 3에 작용하는 장력도 억제된다.
풀 동작에서는 공구 본체 10이 연출부 60의 뒤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연출부 60의 랙 67B가 피니언 52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직선운동은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1에 의해서, 도면중의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운동 (권취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권취 릴 35를 회전시키는 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마찰 차 51은 피니언 52로부터 도면중의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그러나, 권취 릴 35는 래칫 기구 82에 의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에 미끄럼이 생겨 마찰 차 51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
또한, 풀 동작시에는 헤드 61의 청소체 3이 헤드 61과 광 커넥터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돌아가기 때문에,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청소체 3이 공급 릴 31로부터 인장되어 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청소 공구 1은 마찰 전동 기구 84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푸시 동작시 (권취 릴 35를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이 되도록 공구본체가 연출부에 이동할 때)에, 청소체 3에 소정의 장력이 작용하면 마찰 전동 기구 84의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에 미끄럼이 생겨 마찰 차 51이 공회전한다. 그리하여 마찰 차 51이 공회전한 만큼 권취 릴 35의 회전량 (회전 각도)이 감소하기 때문에, 권취 릴 35가 권취되는 청소체 3의 량을 줄일 수 있다.
=== 제3 실시 형태 ===
제3 실시형태의 청소공구 1에서는 충돌음 발생기구 90의 캔틸레버 93이 본체 부 10 쪽에 설치된 캔틸레버 가이드 91 및 충돌벽 92가 연출부 60 쪽에 설치된다. 즉, 제1 실시형태의 충돌음 발생기구 90과 반대의 구성을 갖는다. 충돌음을 발생 시킬 때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제3 실시형태에서 푸시 동작 및 풀 동작을 할 때의 충돌음 발생기구 90의 동작을 시간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푸시 동작이 시작되면 캔틸레버 가이드 91 및 충돌 벽 92이 연출부 60과 함께 본체부 10에 대하여 뒤쪽으로 이동한다. 캔틸레버 가이드 91이 캔틸레버 93의 충돌부 93B의 위치에 도달하면 충돌부 93B 는 캔틸레버 가이드 91의 가이드 윗면 91A에 접촉한다. 그리고 가이드 윗면 91A가 후방으로 이동 하는 것에 따라 해당 가이드 윗면 91A을 따라 충돌부 93B가 상방향으로 변위한다 (도 13B).
캔틸레버 가이드 91은 그대로 이동을 계속하고, 충돌부 93B이 가이드 윗면 91B의 전단부에서 분리되면 충돌부 93B는 탄성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변위하여 충돌 면 92와 충돌하여(도 13C), 충돌음이 발생한다.
푸시 작동시와는 반대로 풀 동작은 캔틸레버 가이드 91이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충돌부 93B가 가이드 밑면 91C를 따라 아래 쪽으로 변위한다 (도 13D).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이동방향에 따른 캔틸레버의 끝 부분에 설치된 충돌부가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변위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충돌면에 충돌함으로써 충돌음을 발생한다. 그리하여 작은 굴곡량으로 효율적으로 충돌음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캔틸레버가 손상하기 어렵게 되고 또한 청소공구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 변형예 >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캔틸레버의 단부에 설치되는 충돌부가 상하방향으로 변위하는 구성 (캔틸레버가 상하방향으로 휘어지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캔틸레버 93, 캔틸레버 가이드 91 등의 배치를 전후방향을 축으로 90도 회전함으로써, 캔틸레버 93이 도 9의 좌우방향으로 휘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충돌부가 좌우방향으로 변위하여 충돌음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에도 충돌부 93B의 변위방향 (캔틸레버 93의 굴곡방향)은 이동방향 과 교차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작은 변위량 (굴곡량)에서 안정되어 충돌음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즉 컴팩트하고 손상하기 어려운 충돌음 발생 기구를 구비하는 청소 도구를 실현할 수 있다.
=== 참고예 ===
제1 실시형태에서는 청소체 3이 본체측 걸림부 42에서 헤드측 걸림부 68에 보내지는 것(청소체 3이 역으로 보내지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로서 라쳇 기구 82로 채택되고 있었다. 그러나, 제한 기구는 래쳇 기구 82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음에 설명하는 참고예에서는 제한 기구로서 핀치 기구 86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참고예에서는 청소체 3을 권취 릴 35에 권취시키는 권취 기구로서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1과 마찰 전동 기구 84가 채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권취 장치 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1과 마찰 전동 기구 84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자. 다음에 설명하는 참고예에서는 권취 기구로서 태엽 스프링을 이용한 태엽 기구 87을 채용하고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참고예의 핀치 기구 86 및 태엽 기구 87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4A는 푸시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도 14B는 풀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또한 정량 송출 기구 83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에 대하여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핀치 기구 86은 청소체 3의 앞뒤에 설치된 핀치 부재에 의해 청소체 3을 끼우는 기구이다. 핀치 기구 86은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에 의해, 푸시 동작시 ( 공구 본체 10이 연출부 60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할 때)에 핀치 부재로 청소체 3 을 구속하고, 풀 동작시 (공구 본체 10이 연출부 60의 뒤쪽으로 이동할 때)에 청소 체 3을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핀치 기구 86은 정량 전달 기구 83의 하류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태엽장치 87은 태엽 스프링에 의해 권취 릴 35를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기구이다. 태엽 스프링의 바깥쪽 끝은 권취 릴 35에 고정되어 있다. 태엽 스프링의 중심 가장자리는 수동에 의해, 혹은 공구본체 10과 연출부 60의 상대이동을 이용한 링크 기구에 의해, 권취 릴 35를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감겨진다.
푸시 동작에서는 정량 전달 기구 83의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이격한다. 이때 핀치기구 86이 청소체 3을 구속하고 있고, 청소체 3이 본체측 걸림부 42로부터 헤드측 걸림부 68에 보내지는 것(청소체 3이 역으로 보내지는 것)이 제한되고 있다. 이 때문에, 헤드 61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이격된 만큼 (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청소체 3이 송출하게 된다. 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본체 10의 이동량 만큼 미사용 청소체 3이 헤드 61에 공급되고,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 의 이동량 만큼의 사용한 청소체 3이 헤드 61에서 송출될 것이다.
또한 푸시 동작시에는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 사이의 청소체 3에 장력이 작용하지만, 핀치 기구 86에 의해 청소체 3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 릴 35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푸시 동작시에는 헤드 61의 상류 쪽의 청소체 3이 헤드 61의 하류 쪽으로 이동할 뿐이므로, 공급 릴 31도 회전하지 않았다.
풀 동작에는 정량 송출기구 83의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한다. 이때 핀치 기구 86은 청소체 3을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태엽 기구 87에 의해,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한 만큼(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청소체 3이 권취 릴 35에 의해 권취된다.
상기 청소공구 1은 핀치 기구 86에 의해 청소체 3이 본체측 걸림부 42에서 헤드측 걸림부 68에 보내지는 것 (청소체 3이 역으로 보내지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체측 걸림부 42와 헤드측 걸림부 68을 이격할 때에 헤드 61의 상류 측에서 하류측으로,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이격된 만큼 (즉, 연 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청소체 3이 송출하게 된다.
또한 위의 청소 공구 1은 태엽기구 87에 의해,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할 때에 청소체 3을 권취 릴 35에 권취하고 있다. 그리하여 헤드 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한 만큼(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청소체 3을 권취 릴 35에 권취할 수 있다. 또한, 헤드측 걸ㄹ침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할 때 청소체 3을 권취 릴 35에 권취시키는 권취기구이면, 전술한 마찰 전동 기구 84이나 태엽기구 87과는 별도의 구성이더라도 일정량의 청소체 3을 권취 릴 35에 권취시킨다고 하는 효과를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 공구 1은 태엽기구 87에 의해, 청소체 3에 소정의 장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그리하여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하여도, 헤드 61보다 하류측의 청소체 3의 장력은 저하되지 않고, 소정의 장력으로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헤드 61의 청소체 3이 헤드 61과 광 커넥터 사이에 끼여 있지 않았더라도,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할 때에, 헤드 61의 하류 측의 청소체 3이 헤드 61의 상류측에 역으로 보내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근접하여도 청소체 3의 소정의 장력을 작용시키는 권취 기구라면, 전술한 마찰 전동 기구 84나 태엽 기구 87과 다른 구성이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제 4 실시 형태 ===
< 전체 구성 >
도 15는 제4 실시형태의 청소 공구 1의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공구 본체 10의 우측 하우징 11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16A는 정상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16B는 푸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공구본체 10과 연출부 60을 분리 한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이면, 전술한 부재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공구본체 10과 연출부 60은 변환기구 8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16A 및도 16B 참조). 변환기구 85는 공구본체 10과 연출부 60 사이의 상대적인 직선운동을 요동운동(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이다. 변환기구 85는 핀 구멍 67C 및 핀 구멍 55B와, 조정 핀 56을 갖는다.
· 공구본체 10
도 18은 공구본체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공구본체 10은 우측 하우징 11과, 좌측 하우징 12와, 공급 릴 31과, 권취 릴 35와, 한 쌍의 요동판 55를 가진다.
권취 릴 35의 좌우 측면에는 래칫 기어 35A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래칫 기어 35A는 요동판 55의 제1 래칫 네일 55C와 함께 제1 래칫 기구 86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또한, 래칫 기어 35A는 우측 하우징 11의 제2 래칫 네일 11A와 함께 제 2 래칫 기구 87을 구성하는 부재이기도 하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좌측 하우징 12에도 제2 래칫 네일이 형성되어 있다.
요동판 55는 축 구멍 55A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운동(회전운동)하는 원반 모양의 부재이다. 한 쌍의 요동판 55는 권취 릴 35를 좌우로부터 끼워져 있는 것과 같이 배치되어 있으며, 권취 릴 35에 권취된 청소체 3을 좌우에서 누르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요동판 55는 축 구멍 55A와, 핀 구멍 55B와, 한 쌍의 제1 래칫 네일 55C를 가진다. 축 구공 55A는 권취 릴 35에서 좌우로 돌출하는 래칫 기어 35A를 축으로 하는 축 구공이다. 핀 구멍 55B는 조정핀 56이 삽입되는 구멍이다. 이 핀 구멍 55B는 축 구공 55A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 크기에 따라 핀 구멍 55B 안의 조정 핀 56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제1 래칫 네일 55C는 래칫 기어 35A와 함께 제1 래칫 기구 86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제1 래칫 기구 86은 요동판 55의 회전력을 권취 릴 35에 전하는 전동기구이다. 제1 래칫 기구 86은 요동판 55가 한 방향(권취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래칫 기어 35A와 제1 래칫 네일 35C를 맞물려 회전력을 권취 릴 35에 전달하고, 요동판 55가 다른 방향(권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래칫 기어 35A와 제1 래칫 네일 35C를 공회전시켜 회전력을 권취 릴 35에 전달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요동판 55가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요동판 55와 함께 권취 릴 35가 권취방향으로 회전하여 청소체 3을 권취하고, 요동판 55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권취 릴 35는 회전하지 않는다.
제2 래칫 기구 87는 권취 릴 35가 청소체 3을 권취하는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권취 릴 35가 권취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기구이다. 우측 하우징 11의 제2 래칫 네일 11A가 래칫 기어 35A에 맞물림으로써, 권취 릴 35의 회전 방향이 한 방향 (권취 방향)이 되도록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래칫 기구 86의 래칫 기어 35A와 제1 래칫 네일 35C가 공회전할 때 (요동판 55가 권취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권취 릴 35가 권취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청소체 3이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권취 릴 35가 회전하는 것 (권취 릴 35가 권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제1 래칫 기구 86이 공회전할 때에 권취 릴 35가 회전하지 않는 것이면, 제2 래칫 기구 87은 없어도 된다. 예를 들어, 권취 릴 지지축 14와 권취 릴 35 사이의 마찰력이 큰 경우, 제1 래칫 기구 86이 공회전할 때에 권취 릴 35가 회전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2 래칫 기구 87의 제2 래칫 네일 11A (좌측 하우징 12의 도시하지 않은 제2 래칫 네일)를 생략할 수 있다.
- 연출부 60
지지 부재 63의 한 쌍의 쇼울더 부분 66에는 뒤쪽으로 뻗은 팔 부분 6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7 참조). 팔 부분 67은 한 쌍의 요동판 55의 좌우 외측에 배치된다 (도 16A 및 도 16B 참조). 팔 부분 67은 핀 구멍 67C이 형성되어 있다. 핀 구멍 67C는 상하방향에 따른 긴 구멍이며, 조정핀 56이 삽입되어 있다. 핀 구멍 67C가 긴 구멍이어서, 핀 구멍 55B 안의 조정 핀 56의 위치가 변화하는 것이 허용되고 있다.
조정 핀 56은 공구 본체 10 쪽에 설치된 핀 구멍 55B와, 연출부 60 쪽에 설치된 핀 구멍 67C에 삽입되어 있으며,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을 연결하고 있다. 조정 핀 56은 원통형상이고, 핀 구멍 55B 및 핀 구멍 67C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하여 연출부 60이 공구 본체 10에 대하여 왕복운동(직선운동)하면 조정 핀 56을 통해 요동판 55가 요동운동(회전운동)하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의 크기에 따라 핀 구멍 55B나 핀 구멍 67C의 조정 핀 56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 동작 설명 >
도 19A는 제4 실시형태의 푸시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도면중의 권취 릴 35의 권취방향은 시계방향이다.
푸시 동작에서는 공구본체 10이 연출부 60에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연출부 60의 팔 부분 67이 공구본체 10에 대하여 뒤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직선운동은 변환기구 85 (핀 구멍 67C, 핀 구멍 55B 및 조정핀 56)에 의해 도면중의 시계 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고, 요동판 55가 도면중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요동판 55는 도면중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요동판 55는 변환장치 85에서 받은 회전력을, 제1 래칫 기구 86을 통해 권취 릴 35에 전한다.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요동판 55가 회전할 때, 제1 래칫 기구 86의 래칫 기어 35A와 제1 래칫 네일 35C가 맞물리고, 요동판 55의 회전력이 권취 릴 35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푸시 동작에서는 권취 릴 35는 요동판 55와 함께 도면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청소체 3이 권취 릴 35에 권취하게 된다 .
도 19B는 풀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풀 동작에서는 공구본체 10이 연출부 60에 대하여 뒤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연출부 60의 팔 부분 67이 공구본체 10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직선운동은 변환기구 85에 의해 도면중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고, 요동판 55가 도면중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받게된다. 따라서 요동판 55는 도면중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도면중 시계 반대방향으로 요동판 55가 회전할 때, 제1 래칫 기구 86의 래칫 기어 35A와 제1 래칫 네일 35C가 공회전하기 때문에, 요동판 55의 시계 반대방향 의 회전력은 권취 릴 35에는 전해지지 않는다. 또한 제2 래칫 기구 86 (래칫 기어 35A 및 제2 래칫 네일 11A: 도 17 참조)에 의해 권취 릴 35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풀 동작에서는 권취 릴 35는 회전하지 않고 요동판 55만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20A 및 도 20B는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클 때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0A는 푸시 동작시의 설명도이고, 도 20B는 풀 동작시의 설명도이다.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커지면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에 의해 조정 핀 56이 밀어올려지며, 핀 구멍 55B 중의 조정핀 56이 위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즉, 조정핀 56이 요동판 55의 회전중심 (축 구멍 55A)에서 이탈한다. 청소 동작시의 공구본체 10과 연출부 60의 상대적인 이동량은 일정하기 때문에 요동판 55의 역점이 되는 조정핀 56이 요동판 55의 회전중심(축 구멍 55A)에서 이탈하면, 요동판 55의 회전량(회전각도)이 작아진다.
도 21A 및 도 21B는 청소체 3의 권취량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1A 는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작을 때의 권취량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1B는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클 때의 권취량에 대한 설명도이다.
청소체 3의 권취량은 권취 릴 35가 권취 방향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 할 때의 조정핀 56의 이동량에 해당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동작시의 공구 본체 10과 연출부 60의 상대 이동량 L은 일정하므로 도 21A에 도시하는 조정 핀 56의 이동량과 도 21B에 도시하는 조정핀 56의 이동량은 동일한 정도가 된다. 따라서 1회의 청소동작의 권취 릴 35의 권취량은 권취 릴 35에 권취된 청소체 3의 외경 크기의 영향을 거의 받지않고 거의 일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요동판 55의 회전중심 (축 구멍 55A)에서 방사형으로 뻗은 긴 구멍 (핀 구멍 55B)을 설치함으로써, 1회의 청소동작의 권취 릴의 권취량을 일정하게 하는 권취량 조정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마찰 전동기구 84에서 권취량 조절기구를 구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커져도, 권취되는 청소체의 량을 억제할 수 있다.
=== 기타 ===
상기 실시형태는 주로 광 커넥터 청소 공구 1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지만, 그 기재 중에는 광 커넥터 청소 공구 1의 사용방법 또는 제조방법, 광 커넥터 청소방법 등 의 공개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개량 될 수 있음과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의 등가물이 포함된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 청소동작에 대하여 >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청소 공구 1을 이용하여 광 커넥터를 청소할 때, 작업자는 커버 5 안에 공구 본체 10을 유지하고, 연출부 60 앞쪽의 헤드 61을 광 어댑터에 삽입하여, 광 어댑터 안의 광 커넥터를 청소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 공구 1을 이용한 광 커넥터 내의 청소동작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청소 대상은 광 어댑터의 광 커넥터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청소공구 1의 연출부 60의 선단에 광 어댑터 모양의 캡(도시하지 않음)을 부착하고, 이 캡에 청소대상이 되는 광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캡 안에서 광 플러그의 광 커넥터를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작업자가 청소 공구 1에 대하여 청소대상을 이동시킴으로써, 연출부 60을 공구본체 10을 향하여 뒤쪽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 청소체 3에 대하여 >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청소체 3은 테이프 모양이다. 그러나 청소체 3은 실 모양도 좋고, 다른 단면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청소체 3이 테이프 모양인 경우, 실 모양인 경우에 비해,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크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청소체 3이 테이프 모양의 경우에 청소공구 1이 마찰 전동기구 8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특히 나타나기 쉽다. 즉, 청소체 3이 테이프 모양의 경우에 청소공구 1이 마찰 전동기구 84를 갖추는 것은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청소체 3가 테이프 모양의 경우 실 모양의 경우에 비해, 권취 릴 35의 청소체 3의 외경이 커지기 쉽기 때문에, 청소체 3이 테이프 모양의 경우에, 청소 공구 1이 정량 송출 기구 83을 구비한 것에 의한 효과가 특히 나타나기 쉽다. 즉, 청소체 3이 테이프 모양의 경우에 청소공구 1이 정량 송출 기구 83을 갖추는 것은 특히 효과적이다.
< 래칫 기구 82에 대하여 >
제1 실시형태의 래칫 기구 82에 따르면, 권취 릴 35 쪽에 래칫 기어 36A가 설치되며, 하우징 쪽에 래칫 네일 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권취 릴 35 쪽에 래칫 네일 45를 배치하고, 하우징 쪽에 래칫 기어 36A를 배치함으써, 래칫 기구 82 가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청소 공구 1이 래칫 기구 82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권취 릴 35가 청소체 3을 권취하는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권취 릴 35가 권취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 (예를 들면, 일 방향 클러치)를 청소공구 1가 갖추고 있으면 된다. 이러한 청소공구에 의하면, 권취 릴 35가 권취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공구 본체 10이 연출부 60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제한기구에 의해 권취 릴 35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며, 마찰 전동 기구 84의 마찰판 53과 마찰면 37A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권취 릴 35가 권취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공구 본체 10이 연출부 60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또한 참고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소 공구 1이 래칫 기구 82를 구비하지 않아도, 청소체 3이 본체측 걸림부 42에서 헤드측 걸림부 68에 보내지는 것 (청소 체 3이 역으로 보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제한기구를 갖추고 있으면, 본체측 걸림부 42와 헤드측 걸림부 68이 이격할 때에, 헤드 61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헤드측 걸림부 68과 본체측 걸림부 42가 이격된 만큼 (즉, 연출부 60에 대한 공구 본체 10의 이동량 만큼)의 청소체 3을 송출할 수 있다.
< 마찰 전동기구 84에 대하여 >
제1 실시형태의 마찰 전동기구 84에 따르면 권취 릴 35 쪽에 마찰면이 설치되며, 전동차 51 쪽에 마찰판 53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권취 릴 35 쪽에 마찰판 53을 배치하고, 전동차 51 쪽에 마찰면을 배치함으로써 마찰 전동기구 84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마찰 전동기구 84의 마찰판 53은 마찰면에 접촉하는 마찰 부재로서의 기능과 판 스프링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마찰면에 접촉하는 마찰부재와 마찰부재를 마찰면에 억누르는 스프링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
1 청소 공구, 3 청소체,
5 커버, 5A 앞쪽 커버, 5B 뛰쪽 커버, 7 코일 스프링 ,
10 공구 본체, 11 우측 하우징 , 11A 제2 래칫 네일,
12 우측 하우징,
13 공급 릴 지지축, 14 권취 릴 지지축 15 래칫 네일축,
16 가이드 축, 16A 공급측 가이드 축, 16B 권취측 가이드 축,
17 걸림 네일, 18 이동 제한창, 18A 앞쪽 가장자리 , 18B 뒤쪽 가장자리,
19 팔 수용부 20 스프링 누름 면,
31 공급 릴, 32 계합 홈,
35 권취 릴, 35A 래칫 기어,
36 외측 고리부, 36A 래칫 기어,
37 내측 고리부 , 37A 마찰면 ,
41 가이드 통 , 41A 공급측 가이드 통, 41B 권취측 가이드 통 ,
42 본체측 걸림부, 42A 본체측 회전통 , 42B 본체측 핀,
45 래칫 네일, 45A 스프링 부 ,
51 전동차, 52 피니언, 53 마찰판 ,
55 요동판, 55A 축 구멍, 55B 핀 구멍, 55C 제1 래칫 네일,
56 조정핀,
60 연출부, 61 헤드,
61A 가압 면 61B 경사 스프링, 61C 돌출부 ,
62 가압 스프링 63 지지부재 64 가이드 창, 65 동체 부 ,
66 쇼울더부분, 66A 전면, 66B 후면, 66C 돌기,
67 팔 부분, 67A 핀 구멍, 67B 랙, 67C 핀 구멍,
68 헤드측 걸림부 , 68A 회전통, 68B 핀,
71 원통체 72 앞쪽 개구, 73 뛰쪽 개구,
74 선단부, 74A 키, 74B 凹 홈, 74C 내벽 ,
75 테이퍼 부, 76 판부 , 76A 취부 창,
81 랙 앤드 피니언 기구, 82 래칫 기구,
83 정량송출기구, 84 마찰 전동 기구,
85 변환 장치, 86 제1 래칫 기구, 87 제2 래칫 기구,
90 충돌음 발생기구, 91 캔틸레버 가이드,
91A · 91B 가이드 윗면, 91C · 91D 가이드 밑면
92 충돌면, 93 캔틸레버, 93A 빔 부분, 93B 충돌부

Claims (10)

  1. 공구본체와,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밀어 맞댄 헤드를 가지며, 상기 공구 본체에서 뻗어 나온 연출부이며,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구 본체는,
    상기 공구본체의 상기 연출부에 대한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에서 송출된 상기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 릴과,
    1회의 청소동작의 상기 권취 릴의 권취량을 일정하게 하는 권취량 조절기구 를 가지며,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상태에서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로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청소체에 의해 광 커넥터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며,
    상기 광 커넥터 청소 공구는 상기 공구 본체와 상기 연출부 사이의 상대적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량 조절기구는 상기 변환기구에 의해 변환된 회전운동의 회전력을, 마찰부재와 마찰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권취릴에 전동하는 마찰 전동 기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
  3. 제 2항에 있어서,
    광 커넥터 청소 공구이며,
    상기 회전 운동이 상기 권취 릴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공구본체가 상기 연출부에 이동할 때에, 상기 청소체에 소정의 장력이 작용 하면, 상기 마찰 전동 기구의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면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
  4. 제 3항에 있어서,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며,
    상기 광 커넥터 청소공구는 1회의 청소동작으로 상기 헤드에 송출되는 상기 청소체를 일정량으로 하는 정량 송출기구를 가지며,
    상기 회전운동이 상기 권취 릴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공구본체가 상기 연출부에 이동할 때에, 상기 마찰 전동기구의 상기 마찰부재 와 상기 마찰면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상기 권취 릴의 권취량이 일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커넥터 청소공구이며,
    상기 공구 본체는 본체측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연출부는 헤드측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 사이에 상기 청소체가 건너지르며,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 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가 이격하여 이동량 만큼 상기 청소체가 상기 헤드에 공급되고,
    헤드측 걸림부와 상기 본체측 걸림부가 근접할 때에, 상기 마찰 전동 기구 의 상기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면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이동량 만큼의 상기 청소체가 상기 권취 릴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
  6. 제 1항에 있어서,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며,
    상기 광 커넥터 청소공구는 상기 권취릴이 상기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권취 릴이 상기 권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기구를 갖추고 ,
    상기 회전운동이 상기 권취 릴을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공구 본체가 상기 연출부에 이동할 때에, 상기 제한기구에 의해 상기 권취 릴이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
  7. 제 2항에 있어서,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며,
    상기 변환 기구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이며,
    상기 연출부는 상기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구성하는 랙을 가지며,
    상기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구성하는 피니언에는 상기 마찰 전동 기구를 구성 하는 상기 마찰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
  8. 제 7항에 있어서,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며,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은 상기 권취릴의 회전축과 동축이고,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 주위에 2개 이상의 상기 마찰부재가 회전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
  9. 제 1항에 있어서,
    광 커넥터 청소공구이며,
    상기 공구본체 및 상기 연출부의 한쪽에, 상기 공구본체와 상기 연출부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에 따른 캔틸레버가 설치되고, 한편으로 상기 캔틸레버의 끝 부분을 변위시키는 가이드와, 상기 캔틸레버의 끝 부분을 충돌시켜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충돌면이 설치되고,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가이드에 의해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단부가 상기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단부가 상기 가이드에서 분리하였을 때에 상기 캔틸레버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충돌면에 충돌하여 충돌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청소공구.
  10. (1) 공구 본체와,
    청소체를 광 커넥터에 밀어 맞대는 헤드를 가지며, 상기 공구 본체에서 뻗어 나온 연출부이며, 상기 공구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출부를 가지며,
    상기 공구 본체는,
    상기 공구본체의 상기 연출부에 대한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에서 송출된 상기 청소체를 권취하는 권취 릴과,
    1회의 청소 동작의 상기 권취 릴의 권취량을 일정하게 하는 권취량 조절기구,
    를 갖는 광 커넥터 청소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르는 것, 및
    (2)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광 커넥터에 상기 청소체를 억누른 상태에서 상기 공구 본체를 상기 연출부로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청소체에 의해 광 커넥터를 청소하는 것
    을 하는 광 커넥터 청소방법.
KR1020137029792A 2012-08-09 2013-08-08 광 커넥터 청소공구 및 광 커넥터 청소방법 KR101558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7411A JP5439558B2 (ja) 2012-08-09 2012-08-09 光コネクタ清掃工具及び光コネクタ清掃方法
JPJP-P-2012-177411 2012-08-09
JPJP-P-2012-177412 2012-08-09
JPJP-P-2012-177410 2012-08-09
JP2012177410A JP5439557B2 (ja) 2012-08-09 2012-08-09 光コネクタ清掃工具及び光コネクタ清掃方法
JP2012177412A JP5453496B2 (ja) 2012-08-09 2012-08-09 光コネクタ清掃工具及び光コネクタ清掃方法
PCT/JP2013/071540 WO2014024985A1 (ja) 2012-08-09 2013-08-08 光コネクタ清掃工具及び光コネクタ清掃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803A true KR20140042803A (ko) 2014-04-07
KR101558167B1 KR101558167B1 (ko) 2015-10-12

Family

ID=5006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792A KR101558167B1 (ko) 2012-08-09 2013-08-08 광 커넥터 청소공구 및 광 커넥터 청소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21347B2 (ko)
EP (1) EP2746829B1 (ko)
KR (1) KR101558167B1 (ko)
CN (1) CN103797390B (ko)
ES (1) ES2761451T3 (ko)
WO (1) WO20140249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1440B2 (ja) * 2014-06-13 2017-11-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の清掃工具
JP6247199B2 (ja) 2014-12-09 2017-12-13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US9910227B2 (en) * 2014-12-11 2018-03-06 Illinois Tool Works Inc. Oscillating fiber optic cleaning tool
JP6321537B2 (ja) * 2014-12-26 2018-05-0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US9776231B2 (en) * 2015-01-09 2017-10-03 Illinois Tool Works Inc. Portable, self-contained fiber optic cleaning tool
JP6912216B2 (ja) 2017-02-09 2021-08-0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の清掃工具
JP6807614B2 (ja) 2017-07-04 2021-01-06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JP7095856B2 (ja) 2017-07-04 2022-07-05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EP3672738A4 (en) * 2017-08-22 2021-05-26 Molex, LLC CLEANING TOOL FOR CLEANING CONNECTING OPTICAL FIBER CONNECTORS
JP7219943B2 (ja) 2018-03-13 2023-02-0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感圧転写修正テープ
JP6498814B1 (ja) 2018-04-12 2019-04-1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清掃工具及び光コネクタの清掃方法
WO2020170539A1 (ja) * 2019-02-20 2020-08-27 エヌ・ティ・ティ・アドバンステクノロジ株式会社 光コネクタ用清掃具
JP6886997B2 (ja) * 2019-05-10 2021-06-16 株式会社フジクラ 清掃工具
US11808658B2 (en) 2019-09-27 2023-11-07 Panduit Corp. Visual inspector attachment for fiber connector cleaners
US11644626B2 (en) * 2019-09-30 2023-05-09 Panduit Corp. Fiber optic inspection tool with integrated cleaning mechanism
JP7252414B2 (ja) * 2020-04-27 2023-04-04 株式会社フジクラ 清掃工具
US20230204869A1 (en) * 2020-06-01 2023-06-29 Tomoegawa Co., Ltd. Structure for attaching object to be attached and method for attaching object to be attached
CN115870258B (zh) * 2023-03-01 2023-05-09 山东省地质科学研究院 一种显微镜镜头清洁装置
CN116495634B (zh) * 2023-06-25 2023-09-15 河南坤宇市政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管道施工用起重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820Y1 (ko) * 1995-08-14 1998-12-15 유기범 벨트형 플래이트가 장착된 광커넥터 페롤 크리너
US6209163B1 (en) 1999-03-26 2001-04-03 Molex Incorporated Cleaner for fiber optic connectors
JP4689552B2 (ja) 2006-08-11 2011-05-2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清掃工具、光部品清掃工具
JP4579330B2 (ja) 2007-02-28 2010-11-1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清掃工具
JP2012166342A (ja) 2009-06-17 2012-09-06 Baldwin Japan Ltd シリンダ洗浄装置
JP2012053270A (ja) 2010-09-01 2012-03-15 Fujikura Ltd 光コネクタ清掃工具
JP5492720B2 (ja) * 2010-09-17 2014-05-1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清掃工具
JP5238873B2 (ja) * 2011-12-05 2013-07-1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清掃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97390B (zh) 2016-01-20
ES2761451T3 (es) 2020-05-19
US20140144468A1 (en) 2014-05-29
KR101558167B1 (ko) 2015-10-12
CN103797390A (zh) 2014-05-14
EP2746829A4 (en) 2015-07-01
EP2746829B1 (en) 2019-10-02
WO2014024985A1 (ja) 2014-02-13
US9821347B2 (en) 2017-11-21
EP2746829A1 (en)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2803A (ko) 광 커넥터 청소공구 및 광 커넥터 청소방법
JP5439557B2 (ja) 光コネクタ清掃工具及び光コネクタ清掃方法
JP5955453B2 (ja) 光コネクタ用清掃具
US8418305B2 (en) Optical connector cleaning tool
US8266755B2 (en) Cleaning device of optical connector
US11226454B2 (en) Cleaning tool for optical connector
JP5453496B2 (ja) 光コネクタ清掃工具及び光コネクタ清掃方法
WO2020170539A1 (ja) 光コネクタ用清掃具
JP5439558B2 (ja) 光コネクタ清掃工具及び光コネクタ清掃方法
JP2012063506A (ja) 光コネクタ清掃工具
US20220187545A1 (en) Clean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ning tool
US20240184059A1 (en) Optical connector cleaning tool
JP2020187189A (ja) 清掃工具及び清掃工具の製造方法
JP2007033549A (ja) 光コネクタ清掃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