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389A -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389A
KR20140041389A KR1020137013673A KR20137013673A KR20140041389A KR 20140041389 A KR20140041389 A KR 20140041389A KR 1020137013673 A KR1020137013673 A KR 1020137013673A KR 20137013673 A KR20137013673 A KR 20137013673A KR 20140041389 A KR20140041389 A KR 20140041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retchable
tape
main body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1145B1 (ko
Inventor
유코 후쿠다
시노부 타케이
토모코 후지나카
토시아키 이치마타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660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765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7319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643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77355A external-priority patent/JP57837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78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57214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776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253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81308A external-priority patent/JP57643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90014A external-priority patent/JP4976541B1/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MYPI201370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MY163620A/en
Publication of KR2014004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61F13/4901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56Applying tabs, strips, tapes, loops; Knotting the ends of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1)는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 및 이들 두 시트 사이에 개재 배치된 흡수체(4)를 구비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5)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한 쌍의 신축 패널(6)을 가지며,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패스닝 테이프의 체결부(71)가 고정되어 있다. 신축 패널(6)은 외측 가장자리부(6A)보다 본체 폭 방향(Y)의 내방에 신축부(6B)를 가지고 있다. 외측 가장자리부(6A)를 포함하는, 신축 패널(6)의 신축부(6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끼리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이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 중 본체 길이 방향(X)의 가장 내방에 배치된 탄성 부재(62t)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외방에 위치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DISPOSABLE DIAP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이들 두 시트 사이에 개재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한 쌍의 신축 패널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신축 패널 각각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외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패스닝 테이프의 체결부를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대향면의 피체결 영역에 체결하여 착용자에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소위 전개형의 패널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완만하게 회복되는 특정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을 구비한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기재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패널의 일례로서 특허 문헌 1의 도 6에는 상기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며 본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선형의 신축성 영역이 본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신축 패널을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통기성이 있는 신장성 적층체로 구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흡수성 본체에 고정되는 체결부와 상기 흡수성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체결부를 갖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보다 베이스단측의 본체부로 이루어지는 패스닝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선단부에 걸친 기본 부직포층의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선단부에 보강 부직포층을 고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본체부에 걸치도록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선단부에 걸치도록 본체 폭 방향을 따라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 자체가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2장의 시트재 사이에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구성되는, 신축부를 갖는 복합 신축 부재를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되는 부위에 적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5에는 전개형의 패널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로서 지지부(흡수성 본체)와 체결 테이프를 가지고, 상기 체결 테이프가 선단부, 본체부 및 체결부를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으로 가지며,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체결 테이프에는 선단부로부터 본체부를 통해 체결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상기 탄성 부재는 선단부 및 체결부에서는 비신장 상태에서 접착 고정되고, 본체부에서는 폭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접착 고정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탄성 부재가 체결부에서 비신장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부가 수축하지 않고, 그에 따라 체결부의 접착 강도가 저하하지 않으며, 또한 탄성 부재의 신축 작용에 의한 기저귀의 형상 추종성이 손상되지 않는다고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에는 체결 테이프에 있어서 선단부, 본체부 및 체결부 각각의 탄성 부재에 대한 접착력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26386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9-5235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958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8085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9225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72472호 일본 특허공보 40217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66200호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는 사람의 체형은 통상적으로 배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등쪽이 움푹 들어가 있으며, 또한 배의 하방에서는 엉덩이 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되고 나아가 다리의 부들기(서혜부)의 존재에 의해 좌우 방향의 폭이 다른 부위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특유의 울퉁불퉁함을 갖는 체형에 대해 종래의 전개형의 패널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를 적용하기 위해 상법에 따라 등쪽부의 신축 패널에 부착된 패스닝 테이프를 잡아당겨 배쪽부의 피체결 영역에 체결시키려고 하면, 상기 체형 특유의 울퉁불퉁함 및 주위 길이에 따라 신축 패널의 신장 정도가 불균형해진다. 특히, 기저귀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쪽의 웨이스트부에 위치하는 부위(등쪽 단부)는 착용자의 등의 함몰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를 잡아당겼을 때의 신장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고, 한편 기저귀의 가랑이부는 돌출 정도가 비교적 큰 엉덩이부나 다리 둘레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신장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다. 종래의 전개형의 패널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는 이러한 착용시에 있어서 신축 패널의 신장 정도의 불균형으로 인해 착용자의 등쪽의 웨이스트부에 밀착되지 않아 상기 웨이스트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기 쉽고, 상기 틈새로부터 액샘이 생길 우려가 있으며, 또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세게 조이기 때문에 상기 다리 둘레에 조임 자국을 남기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신축 패널에 끼인 등쪽의 웨이스트 영역에 탄성 부재를 복수 개 배치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기저귀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또한 기저귀의 등쪽부의 통기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전개형의 패널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착용시에 있어서 신축 패널의 신장 정도의 불균형을 시정하고, 착용자의 등쪽의 웨이스트부에 대한 피트성이 뛰어나며 다리 둘레에 조임 자국을 잘 남기지 않게 하는 기술은 아직도 제공되지 않고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어 틈새를 잘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틈새로부터의 액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피트성 양호하게 적당히 조이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조임 자국을 잘 남기지 않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이들 두 시트 사이에 개재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한 쌍의 신축 패널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신축 패널 각각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외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패스닝 테이프의 체결부를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대향면에 체결하여 착용자에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상기 신축 패널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보다 본체 폭 방향 내방에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신축부는, 패널재와, 상기 패널재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며 본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는 본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신축부보다 본체 폭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기 신축 패널의 구성 부재끼리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체결부를 갖는 테이프 기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기재는,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테이프 베이스단부와,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에 연접되며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본체 폭 방향 외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부를 갖는 테이프 선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는 본체 폭 방향을 따르는 외측 단 및 내측 단을 가지며, 상기 외측 단보다 본체 길이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상기 내방 단이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 중 본체 길이 방향의 가장 내방에 배치된 탄성 부재보다 본체 길이 방향 외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개형의 패널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는 신축 패널에 부착된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되어 있는 신축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선형의 탄성 부재가 접착제로 패널재에 접합되어 있고, 따라서 신축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강성이 높아져 폭신폭신함 등의 감촉을 악화시켰다. 장착시에 패스닝 테이프를 잡아당겨 배쪽부의 피체결 영역에 체결시키려고 하면, 신축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꺾여 옷에 걸리거나 착용자의 피부에 딱딱한 부분이 닿을 우려가 있다. 또한, 신축 패널의 강성을 높게 하지 않기 위해 실 형태의 탄성 부재 단부를 가는 폭의 접착제로 접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 기저귀의 장착시 등에 신축 패널을 신장시키면 실 형태의 탄성 부재가 빠질 우려가 있어 탄성 부재의 고정 안정성이 저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신축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유연성을 가지며, 신축 패널을 구성하는 탄성 부재의 고정 안정성이 뛰어난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이들 두 시트 사이에 개재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한 쌍의 신축 패널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신축 패널 각각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외측 가장자리부에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신축 패널은, 패널재와, 상기 패널재에 고정되며 본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와,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는 비신축부를 본체 폭 방향으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비신축부를 포함하고 있고,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는 본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신축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신축부로부터 상기 비신축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비신축부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패널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이하, 제2 발명이라고 할 때에는 이 발명을 말한다)
도 39에는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신축 패널(체결 테이프)의 제조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신축 패널의 제조 공정에서는, 먼저, 도 3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탄성 부재(90) 각각의 전체를 제조 라인의 흐름 방향(MD)과 직교하는 방향(CD)으로 신장시켜 둠과 아울러, 도 3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재(99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해당하는 부위(CD의 중앙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MD로 연장되는 선형의 접착부(92)를 CD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해 둔다. 단, 패널재(991)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체결부에 해당하는 부위(CD의 좌우 양측부)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다. 즉, 패널재(991)는 CD의 중앙부가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 영역(91A)이 되고, CD의 좌우 양측부가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비접착 영역(91B)이 된다.
그리고, 도 3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탄성 부재(90) 각각을 전체가 CD로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패널재(991)의 접착제 도포면에 맞닿게 하여 패널재(91)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패널재(991)에 고정된 복수 개의 탄성 부재(90)는 패널재(991)의 접착 영역(91A)에 대응하는 CD의 중앙부가 접착부(92)에 의해 패널재(991)에 접착 고정되는데, 패널재(991)의 비접착 영역(91B)에 대응하는 CD의 좌우 양측부는 패널재(91)에 접착 고정되지 않고 비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신장 상태의 복수 개의 탄성 부재(90) 각각의 CD의 좌우 양측부를 패널재(991)의 접착 영역(91A)의 CD의 외방에서 커터로 절단하고, 각 탄성 부재(90)의 신장 상태를 해제하여 수축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탄성 부재(90) 각각의 CD의 중앙부는 접착부(92)에 의해 신장 상태인 채 패널재(991)에 접착 고정되는 한편, 이러한 절단에 의해 생긴 탄성 부재(90)의 절단 단부는 패널재(991)의 비접착 영역(91B) 위에서 수축하여 비신장 상태가 된다. 도 39(d)에는 이러한 탄성 부재(90)의 수축 공정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수축 공정 후, 패널재(91)에 있어서 탄성 부재(90)의 접착 고정면에 탄성 부재(90)를 신장 상태에서 고정하는 부분 및 비신장 상태에서 고정하는 부분의 양쪽 모두에 접착제가 도포된, 도시하지 않은 다른 패널재를 붙이고, 이들 2장의 패널재로 복수 개의 탄성 부재(90)를 협지 고정하고, 추가로 패스닝 테이프를 부착하여 목적으로하는 신축 패널을 얻는다.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신축 패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탄성 부재(90) 각각의 절단 단부의 수축이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패널재(91)의 비접착 영역(91B) 위에서 일어나고, 이들 절단 단부의 근방에는 그들이 수축할 때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절단 단부는 본래 평면에서 보아 CD(기저귀의 폭 방향)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이어야하는 바, 도 3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개로 불규칙하게 오그라져서 절곡형이나 루프형이 되어 평면에서 본 형상이 통일성이 없는 것이 되어 버려, 그 결과, 신축 패널의 외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전개형의 패널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신축 패널을 구성하는 탄성 부재의 단부의 형상에 착안하여, 이를 개선하여 신축 패널의 외관의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은 아직도 제공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신축 패널의 외관이 양호한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이들 두 시트 사이에 개재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한 쌍의 신축 패널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신축 패널 각각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외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패스닝 테이프의 체결부를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대향면에 체결하여 착용자에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신축 패널은, 패널재와, 상기 패널재에 고정되며 본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축 패널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측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는 본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 사이에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가 존재하며,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신축부를 본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패널재에 설치된 제1 접착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신축부를 본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가 존재하며,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존재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상기 패널재에 설치된 제2 접착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고정되며 평면에서 보아 상기 본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이며,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부보다 접착력이 낮은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이하, 제3 발명이라고 할 때에는 이 발명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신축 패널의 제조 공정과, 상기 제조 공정으로 얻어진 신축 패널을 상기 흡수성 본체의 구성 부재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 패널의 제조 공정은, 1) 복수 개의 탄성 부재를 각각을 일 방향으로 잡아당긴 신장 상태에서 접착부가 미리 설치된 패널재의 상기 접착부에 고정하여 복합체를 얻는 공정과, 2) 상기 복합체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신장 상태를 해제하고, 각 상기 탄성 부재를 수축시키는 수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신장 상태를 해제하기 전의 상기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패널재의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좌우 양측부 및 상기 좌우 양측부에 끼인 상기 패널재의 중앙부 각각에 상기 접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 양측부의 접착부는 상기 중앙부의 접착부보다 접착력이 낮은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이하, 제4 발명이라고 할 때에는 이 발명을 말한다).
또한, 흡수체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 착용시에 착용자의 등쪽에 배치되는 부분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재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6 참조). 이러한 종류의 일회용 기저귀는 사이드 패널재를 흡수성 본체와 별도의 공정으로 제조해 두고, 이를 흡수성 본체에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사이드 패널에 사용하는 자재의 사용량이나 상기 자재로부터 생기는 폐기물을 억제할 수 있어 환경이나 비용면에서 뛰어나다.
그런데, 사람의 체형은 복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등쪽은 움푹 들어가 있다. 나아가 그들 부분보다 하방에서는 엉덩이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다리의 부들기 부분이 측방으로 퍼져 폭이 확대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신축하는 사이드 패널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에는 사이드 패널을 잡아당겨 기저귀를 장착하면 상기 기저귀가 입체적인 울퉁불퉁함을 갖는 체형에 피트되지 않고, 특히 등의 허리 근방의 약간 움푹 들어간 부분에 틈새가 생기기 쉽다.
특허 문헌 6에는 사이드 패널의 연장 방향의 일부의 탄성 변형시 인장 응력을 탄성 부재의 절단 등에 의해 다른 부분에 있어서 탄성 변형시 인장 응력보다 약하게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사이드 패널의 연장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 인장 응력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영역을 설치해도, 등의 허리 근방에 틈새가 생기기 쉽다는 문제는 해소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완만하게 회복되는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신축성 영역을 갖는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도 등의 허리 근방에 틈새를 발생시키지 않는 구성에 대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착용자의 등쪽에 틈새가 잘 생기지 않고,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뛰어난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사이드 패널은 2장의 부직포 사이에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이간 배치된 신축부를 가지며, 선단부에 체결부를 갖는 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사이드 패널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탭을 갖는 범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신장 응력이 높은 고신장 응력부로 되어 있고, 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고신장 응력부보다 가랑이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고신장 응력부보다 신장 응력이 낮은 저신장 응력부로 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이하, 제5 발명이라고 할 때에는 이 발명을 말한다).
또한, 흡수체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 착용시에 착용자의 등쪽에 배치되는 부분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재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이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할 때에는 사이드 패널재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패널을 손으로 잡아당기고, 그 선단에 설치한 체결재 등을 흡수성 본체의 배쪽에 배치되는 부분의 외면 등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또한, 이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은 기저귀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통기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재로는 신축성의 필름을 이용한 패널재나 소위 실고무를 이용한 패널재가 알려져 있으며, 필름을 이용한 패널재에 있어서는 통기성을 높이기 위해 필름을 천공하는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천공한 필름을 부직포 등의 다른 시트와 적층하면 투습성이나 통기성이 저하되기 쉽고, 또한 천공한 필름을 잡아늘이면 넥인(neck-in)으로 인해 개구 면적이 감소하여 투습성이나 통기성이 저하하기 쉽다.
다른 한편, 실고무를 이용한 패널재는 부직포 사이에 실고무를 접착제로 고정한 것이 많으며, 본래 비교적 통기성은 높은 것이지만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직포끼리나 탄성 부재와 부직포를 접합시킨 경우에는 접착제 도공 부분의 통기성이 저해되어 버린다. 또한, 패널재의 세로 방향(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면 그 도포 부분의 강성이 높아져 체형의 만곡이 많은 착용자의 측부 등에서 피트성이나 피부 감촉이 나빠진다.
본 출원인은, 특허 문헌 4에 있어서, 2장의 시트재와 이들 두 시트재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신축부를 갖는 복합 신축 부재를 제안했다. 이 복합 신축 부재는 시트 사이를 분산한 다수 개의 접합부에서 접합하고, 탄성 부재를 그들 접합부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그들 양단에서만 시트재에 접합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복합 신축 부재는 유연하다는 등의 뛰어난 성질을 갖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의 신축부의 구성재로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전술한 전개형 기저귀의 사이드 패널재로서 이 복합 신축 부재를 이용한 경우에는 사이드 패널에 강한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 단부에서 고정되어 있는 탄성 부재가 빠지면 그 탄성 부재가 배치된 영역 전체의 신축성이 소실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이드 패널의 통기성 및 피트성이 뛰어나고, 강한 인장력이 가해져도 사이드 패널의 신축성이 잘 손상되지 않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으로부터 연장되는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사이드 패널은 그 연장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를 가지며, 상기 신축부에 있어서는 2장의 부직포 사이에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상기 연장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패널은 그 연장 방향의 선단측에 복수 개의 연속 접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속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상기 연장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접착제를 통해 상기 2장의 부직포 사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패널의 베이스단과 상기 연속 접합부 사이에 상기 2장의 부직포 사이가 분산 배치된 다수 개의 융착부에 있어서 융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가 그들 융착부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중간 신축 영역을 가지고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이하, 제6 발명이라고 할 때에는 이 발명을 말한다).
또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 착용시에 착용자의 등쪽에 배치되는 부분(등쪽부)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7, 8 참조). 이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할 때에는 사이드 패널에 설치한 패스닝 테이프를 손으로 잡아당기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에 설치한 체결재 등을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쪽에 배치되는 부분(배쪽부)의 외면 등에 체결한다.
그러나, 패스닝 테이프가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이 잡아늘여진 상태에서 체결되기 때문에 장착시나 착용중에 패스닝 테이프의 사이드 패널에 대한 접합부 부근에 큰 인장력이 가해질 수가 있으며, 그에 따라 패스닝 테이프에 늘어남이나 찢어짐이 생기거나 패스닝 테이프가 사이드 패널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패스닝 테이프에 늘어남, 찢어짐, 박리 등이 잘 생기지 않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흡수체를 포함하며, 배쪽부, 가랑이부 및 등쪽부를 갖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등쪽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사이드 패널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사이드 패널은 2장의 패널재 사이에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각각 상기 사이드 패널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신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사이드 패널의 선단부에 패스닝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사이드 패널에 포갠 상태로 고정된 테이프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사이드 패널은 상기 테이프 체결부의 하방 인접 부위에 상기 신축부가 수축하여 생긴 복수 개의 주름을 가지고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이하, 제7 발명이라고 할 때에는 이 발명을 말한다).
종래로부터 흡수성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신장성 적층체로 형성된 귀부가 탑 시트, 백 시트 및 탑 시트와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샤시에 접합되어 형성된 기저귀가 기재되어 있고, 귀부에는 결합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저귀는 착용시에 귀부가 신축을 반복함으로써 귀부에 배치된 결합 부재가 벗겨지기 쉽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이 귀부에 배치된 결합 부재가 벗겨지면, 결합 부재의 귀퉁이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를 손상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결합 돌기를 갖는 후크 테이프를 시트 기재 위에 고정한 패스닝 테이프가 흡수체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흡수성 본체의 등쪽부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에 고정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무게 중심이 상기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의 무게 중심보다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고, 상기 후크 테이프와 상기 시트 기재가 고정된 제1 고정부와, 상기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이 고정된 제2 고정부는 중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시트 기재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는 일치해 있고,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고, 상기 시트 기재의 상기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이하, 제8 발명이라고 할 때에는 이 발명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 부분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평면 형태로 펼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피부 대향면측(표면 시트측)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 도 16 및 도 29의 I-I선 단면(가랑이부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선 단면(등쪽부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도 16 및 도 29의 III-III선 단면(배쪽부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기저귀의 패스닝 테이프를 피체결 영역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기저귀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의 확대도로서, 각 부분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평면 형태로 펼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피부 대향면측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주요부의 일부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기저귀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의 확대도로서, 도 8(a)는 신축 패널의 자연 상태의 평면도, 도 8(b)는 신축 패널을 그 신축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제2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 부분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평면 형태로 펼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피부 대향면측(표면 시트측)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II-II선 단면(등쪽부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한 기저귀의 패스닝 테이프를 피체결 영역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한 기저귀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의 확대도로서, 각 부분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평면 형태로 펼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피부 대향면측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주요부의 일부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각각, 도 16에 도시한 기저귀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의 확대도로서, 도 21(a)는 신축 패널의 자연 상태의 평면도, 도 21(b)는 신축 패널을 그 신축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제3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 부분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평면 형태로 펼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피부 대향면측(표면 시트측)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II-II선 단면(등쪽부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에 도시한 기저귀의 패스닝 테이프를 피체결 영역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2는 도 29에 도시한 기저귀의 신축 패널 및 그 근방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한 신축 패널 및 그 근방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제3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실시 형태의 신축 패널 및 그 근방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한 신축 패널 및 그 근방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제3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신축 패널 및 그 근방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제3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신축 패널 및 그 근방의 본체 폭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8(a) 내지 도 38(d)는 각각 도 29에 도시한 기저귀의 제조 공정의 일부(신축 패널의 제조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39(a) 내지 도 39(d)는 각각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공정의 일부(신축 패널의 제조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제5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일회용 기저귀를 표면 시트측에서 본 전개 평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0에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패널 및 그 근방을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IV-IV선 절단부 끝면도(수축 상태)이다.
도 44는 도 40의 기저귀의 착용 상태를 측방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제5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 및 그 근방을 도시한 확대 평면도(도 42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46은 본 발명(제5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 및 그 근방을 도시한 확대 평면도(도 42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47은 본 발명(제6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일회용 기저귀를 표면 시트측에서 본 전개 평면도이다.
도 48은 도 47에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47에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패널 및 그 근방을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IV-IV선 절단부 끝면도(수축 상태)이다.
도 51은 본 발명(제6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 및 그 근방을 도시한 확대 평면도(도 49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52는 본 발명(제6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 및 그 근방을 도시한 확대 평면도(도 49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53은 사이드 패널이 선단측 연속 접합부를 하나만 가지고 있는 참고 형태의 기저귀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을 그 선단측을 향해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사이드 패널의 탄성 부재에 소위 고무 빠짐이 생긴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제7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일회용 기저귀를 표면 시트측에서 본 전개 평면도이다.
도 5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 및 그 근방을 기저귀 외면측에서 본 확대 평면도(수축 상태)이다.
도 56은 도 55의 III-III선 단면도(수축 상태)이다.
도 57은 도 55의 IV-IV선 단면도(수축 상태)이다.
도 58은 도 54에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한 사이드 패널을 단독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신장 상태)이다.
도 59는 도 54에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상태를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60은 도 54에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일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제7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 및 그 근방을 기저귀 외면측에서 본 확대 평면도(도 55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62는 도 61의 VIII-VIII선 단면도(수축 상태)이다.
도 63은 본 발명(제7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 사용한 사이드 패널을 단독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신장 상태)이다.
도 64는 본 발명(제8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신장시켜 펼친 상태를 표면 시트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5는 도 64의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갖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66은 도 64의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의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 상태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67은 본 발명(제8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갖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의 확대 평면도이다(도 65에 해당하는 도면).
도 68은 본 발명(제8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갖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의 확대 평면도이다(도 65에 해당하는 도면).
도 69는 본 발명(제8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갖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의 확대 평면도이다(도 65에 해당하는 도면).
도 70은 제8 발명의 참고예 1의 일회용 기저귀가 갖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의 확대 평면도이다(도 65에 해당하는 도면).
도 71은 제8 발명의 참고예 2의 일회용 기저귀가 갖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의 확대 평면도이다(도 65에 해당하는 도면).
도 72는 제8 발명의 참고예 3의 일회용 기저귀가 갖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의 확대 평면도이다(도 65에 해당하는 도면).
도 73은 제8 발명의 참고예 4의 일회용 기저귀가 갖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의 확대 평면도이다(도 65에 해당하는 도면).
도 74는 제8 발명의 참고예 5의 일회용 기저귀가 갖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의 확대 평면도이다(도 65에 해당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를 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는 소위 전개형의 패널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2), 액불투과성 내지 발수성(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액불투과성이라고 함)의 이면 시트(3) 및 이들 두 시트(2, 3) 사이에 개재 배치된 액유지성의 흡수체(4)를 구비한 세로로 긴(일 방향(X)으로 긴) 흡수성 본체(5)와, 상기 흡수성 본체(5)의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한 쌍의 신축 패널(6, 6)을 가지고 있다. 표면 시트(2)는 흡수성 본체(5)의 피부 대향면(5a)을 형성하고, 이면 시트(3)는 흡수성 본체(5)의 비피부 대향면(5b)을 형성하고 있다.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는 각각 직사각형을 이루며, 흡수체(4)보다 폭이 넓고 길다. 표면 시트(2)는 이면 시트(3)보다 폭이 좁다. 한 쌍의 신축 패널(6, 6) 각각의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외측 가장자리부(6A)에는 체결부(71)를 갖는 패스닝 테이프(7)가 설치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7)의 체결부(71)를 흡수성 본체(5)의 비피부 대향면(5b)에 체결하여 착용자에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은 일회용 기저귀 및 그 구성 부재에 있어서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 측을 향하는 면이고, 비피부 대향면은 일회용 기저귀 및 그 구성 부재에 있어서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측과 반대 측을 향하는 면이다. 또한, 길이 방향은 일회용 기저귀 또는 그 구성 부재의 장변을 따르는 방향이고, 폭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면 중에서 부호 X로 나타낸 방향은 흡수성 본체(5)의 길이 방향(본체 길이 방향)이고, 부호 Y로 나타낸 방향은 흡수성 본체(5)의 폭 방향(본체 폭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회용 기저귀(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쪽부(A) 및 등쪽부(B) 및 및 이들 A, B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C)를 본체 길이 방향(X)으로 가지고 있다. 배쪽부(A)는 기저귀의 착용자의 배쪽에 위치하는 부위, 등쪽부(B)는 기저귀의 착용자의 등쪽에 위치하는 부위(한 쌍의 신축 패널(6, 6)을 갖는 부위), 가랑이부(C)는 기저귀의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배쪽부(A), 가랑이부(C) 및 등쪽부(B)는 일회용 기저귀(1)(흡수성 본체(5))를 그 본체 길이 방향(X)의 전체 길이를 3 등분하도록 하여 3개의 영역으로 구분했을 때의 각 영역에 해당한다.
흡수체(4)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유지성의 흡수성 코어(41) 및 상기 흡수성 코어(41)를 에워싸는 액투과성의 코어 랩 시트(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4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5)와 동일한 방향(착용시에 착용자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본체 길이 방향(X)의 중앙부가 동여매어져 있다. 흡수성 코어(41)는 상하 2장의 코어 랩 시트(42) 사이에 협지되어 있으며, 그 피부 대향면측 및 비피부 대향면측의 전체 영역이 코어 랩 시트(42)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41)와 코어 랩 시트(42) 사이는 소정의 부위에 있어서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5)는, 그 본체 길이 방향(X)의 적어도 일단부 측에 흡수성 코어(41)가 배치되지 않은 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D)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코어(4)의 본체 길이 방향(X)의 전체 길이는 흡수성 본체(5)의 본체 길이 방향(X)의 전체 길이보다 짧고, 상기 흡수성 코어(4)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수성 본체(5)의 본체 길이 방향(X)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흡수성 본체(5)의 배쪽부(A) 및 등쪽부(B) 각각에 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D)이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D)은 기저귀의 착용자 웨이스트부에 위치하는 부위이며, 등쪽부(A) 및 배쪽부(B) 각각에 있어서 기저귀(1)의 웨이스트단 가장자리(길이 방향 끝 가장자리)(1t)로부터 본체 길이 방향(X)의 내방으로 기저귀(1)의 본체 길이 방향(X) 전체 길이의 대략 10%의 길이의 영역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D)은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코어 랩 시트(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성 본체(5)의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양측부 각각에는 일측 가장자리부에 탄성 부재(81)가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사이드 시트(82)가 배치되어 있고, 착용시에 있어서 가랑이부(C)에는 한 쌍의 입체 개더가 형성된다. 또한,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좌우의 레그부에는 탄성 부재(83)가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착용시에 있어서 레그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83)의 수축에 의해 한 쌍의 레그 개더가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 시트(82, 82), 표면 시트(2), 흡수체(4), 탄성 부재(81, 83) 및 이면 시트(3)는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일체화되어 흡수성 본체(5)를 구성하고 있다. 사이드 시트(82)(입체 개더)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쪽부(A) 및 배쪽부(B)에 있어서 입체 개더의 본체 길이 방향(X)의 양단부에 있어서, 탄성 부재(81)의 배치 부위(입체 개더가 기립했을 때의 선단부)에서 표면 시트(2)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82)를 표면 시트(2)에 고정하는 접착제는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칠해져 있다. 또한, 사이드 시트(82)의 표면 시트(2)와의 고정 부위는 탄성 부재(81)의 배치 부위뿐만 아니라, 탄성 부재(81)의 배치 부위를 포함하는, 사이드 시트(82)의 표면 시트(2)와의 대향부의 전체 영역이라고 해도 좋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의 배쪽부(A)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5)의 비피부 대향면(5b)에는 기계적 면 패스너의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피체결 영역(55)이 형성되어 있다. 피체결 영역(55)은 이면 시트(3)의 비피부 대향면에 기계적 면 패스너의 암부재를 공지의 접합 수단(예를 들면, 접착제나 히트 씰 등)으로 접합 고정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패스닝 테이프(7)의 체결부(71)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 가능하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의 배쪽부(A)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5)의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배쪽 플랩(9, 9)이 형성되어 있다. 배쪽 플랩(9)은 비신축성의 시트재(91)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재(91)는 그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내측 가장자리부(흡수성 본체(5) 근방의 측 가장자리부)가 사이드 시트(8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신축 패널(6, 6)은 각각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고정되어 있는 외측 가장자리부(6A)보다 본체 폭 방향(Y)의 내방에 본체 폭 방향(Y)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6B)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축 패널(6)은 외측 가장자리부(6A)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6A)와 본체 폭 방향(Y)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6C)를 가지며, 이들 양측 가장자리부(6A, 6C) 사이에 신축부(6B)가 설치되어 있다. 신축 패널(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 가장자리부(6C)가 사이드 시트(8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신축 패널(6)(신축부(6B))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형상(직사각형 형상)의 패널재(61)와, 패널재(61)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며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패널재(61)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축 패널(6)(신축부(6B))은 서로 대향하는 2장의 패널재(61, 61) 사이에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실 형태의 탄성 부재(62)가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개재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2장의 패널재(61, 61)끼리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직선 형상의 접합부(63)에서 접합되어 있다. 복수 개의 접합부(63)는 본체 폭 방향(Y)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접합부(63)는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패널재(61)의 본체 길이 방향(X)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되며, 탄성 부재(62)의 신축 방향(Y)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연속 직선 형상의 접합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각각 적어도 신축부(6B)의 본체 폭 방향(Y)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신축부(6B)의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부에 도달해 있으며, 신축부(6B)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접합부(63)와 중첩되고, 각 상기 접합부(63)에서 패널재(61)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접합부(63)가 외부로부터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기재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그와 같이 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축부(6B)는 신축 패널(6)(패널재(61))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접합부(63) 중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내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에 가장 가까운) 접합부(63a)와,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에서 가장 먼) 접합부(63b)에 끼인 부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측 가장자리부(6A)는, 신축 패널(6)에 있어서, 접합부(63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외측 가장자리부(6A)는, 신축부(B)와 같이, 신장 상태에서 고정된 탄성 부재(62)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본체 폭 방향(Y)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는 비신축 영역이다.
외측 가장자리부(6A)를 포함하는, 신축 패널(6)의 신축부(6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는 영역, 즉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 접합부(63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는 영역(비신축 영역)에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비신축 영역에서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끼리의 접합에 접착제는 사용되지 않았다. "상기 비신축 영역에 상기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는다"란, 상기 비신축 영역에 있어서,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의 접합(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 이외의 다른 부재를 개재시키지 않고 상기 구성 부재끼리를 직접 접합하는 경우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도포량이 0g/m2인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비신축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되어 있는 접착제 접합부는 어디까지나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를(다른 부재를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접합하는 것이며,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와 다른 부재를 접합하는 접착제 접합부, 예를 들면 패널재(61)와 테이프 기재(72)를 접합하는 접착제 접합부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비신축 영역에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와 다른 부재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해 있어도 좋으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비신축 영역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기재(72)가 패널재(61)에 융착(융착부(75)) 및 접착제(접착제 접합부(7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요약하면, 상기 비신축 영역에 있어서,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와 다른 부재와의 접합 수단으로는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해도 좋으며, 혹은 접착제 이외의 다른 접합 수단, 예를 들면 히트 씰 등의 융착을 이용해도 좋고, 혹은 접착제와 접착제 이외의 다른 접합 수단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축부(6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는 신축 패널(6)의 비신축 영역(외측 가장자리부(6A))에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비신축 영역(외측 가장자리부(6A))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기재(72))가 부착되지 않은 영역(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 이하, 테이프 비고정 영역이라고도 함)에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의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테이프 비고정 영역의 형성 재료(부직포 등)가 본래 갖는 유연성이 확보되어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비신축 영역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기재(72))가 부착되어 있는 영역(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중첩되는 영역, 이하, 테이프 고정 영역이라고도 함)과의 강성의 차이가 크게 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7)는,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71)를 갖는 테이프 기재(7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기재(72)는,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고정된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연접되며 외측 가장자리부(6A)로부터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으로 돌출되고 체결부(71)를 갖는 테이프 선단부(74)를 가지고 있다. 체결부(71)는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로 이루어지고, 테이프 선단부(74)의 한쪽 면(피부 대향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술한 기계적 면 패스너의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피체결 영역(55)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패스닝 테이프(7)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의해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의 비피부 대향면(6b)에 고정되어 있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는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융착을 포함하는 접합 수단, 구체적으로는 융착 및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신축 패널(6)(패널재(61))이 중첩되는 영역〔외측 가장자리부(6A)(비신축 영역)의 상기 테이프 고정 영역〕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접합부(77) 이외에, 평면에서 보아 타원 형상의 융착부(75)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외측 가장자리부(6A)는, 전술한 비신축 영역의 일부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신축 영역(외측 가장자리부(6A))에서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의 접합에 접착제는 사용되지 않지만,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와 다른 부재(테이프 기재(72))와의 접합 수단으로는 접착제 및/또는 접착제 이외의 다른 접합 수단(히트 씰 등의 융착)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합 수단으로서 융착 및 접착제의 조합이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융착"은 복수 개의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2장의 패널재(61) 및 테이프 베이스단부(73)) 중 하나 이상을 가열 용융하여 상기 복수 개의 부재를 서로 접합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공지의 히트 씰법, 초음파 씰법, 고주파 씰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융착부(75)는, 공지의 히트 씰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융착부(75)를 형성하기 위한 히트 씰은, 외측 가장자리부(6A)(패널재(61))의 피부 대향면(6a)측으로부터 수행해도 좋고, 비피부 대향면(6b)측으로부터 수행해도 좋다. 복수 개의 융착부(7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길이 방향(X) 및 본체 폭 방향(Y)의 양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융착부(75)가 외부로부터 명료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기재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그와 같이 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도 6 및 도 7 이외의, 테이프 베이스단부(73)를 도시한 다른 도면(도 1, 도 3, 도 5, 도 8 내지 도 15)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융착부(75)의 도시를 생략했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며, 본체 폭 방향(Y)을 따르는 외측단(73s) 및 내측단(73t)을 가지고 있다. 외측단(73s) 및 내측단(73t)은 직사각형 형상의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한 쌍의 단변을 구성하고 있으며, 내측단(73t)은 외측단(73s)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내방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가랑이부(C)에 가깝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내측단(73t)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패널(6)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 중 본체 길이 방향(X)의 가장 내방에 배치된(가랑이부(C)에 가장 가까운) 탄성 부재(이하, 가장 내방 탄성 부재라고도 함)(62t)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외방(도 6에서는 상방)에 위치해 있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이 본체 길이 방향(X)에 있어서 가장 내방 탄성 부재(62t)와 동일한 위치이거나 그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내방(도 6에서는 하방)에 있으면, 후술하는 신축 패널(6)의 신축 특성을 얻을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1) 패스닝 테이프(7)의 신축 패널(6)과의 고정 부위인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이 신축 패널(6)의 가장 내방 탄성 부재(62t)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외방에 위치해 있는 것, 및 전술한 바와 같이, 2) 신축부(6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며, 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고정되어 있는 신축 패널(6)의 비신축 영역(외측 가장자리부(6A))에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의 접합 수단으로서의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상기 비신축 영역의 일부인 상기 테이프 비고정 영역(상기 비신축 영역에 있어서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있는 것의 2점의 채용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를 장착할 때에 패스닝 테이프(7)을 피체결 영역(55)에 체결시켰을 때의 신축 패널(6)의 신축 특성을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신축 특성의 제어에 의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중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쪽의 웨이스트부와 일회용 기저귀(1)의 등쪽 단부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이 방지되고,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상기 레그 개더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83)의 조임으로 인한 자국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
도 8(a)에는 신축 패널(6)의 자연 상태(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 도 8(b)에는 신축 패널(6)을 그 신축 방향(Y)으로 신장시킨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신축 패널(6)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62)의 가장 외방 접합부(62a, 62b)를 기점으로 하여 탄성 부재(62)가 수축하여,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재(61)가 신축 방향(본체 폭 방향)(Y)과 직교하는 방향(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주름(65)을 형성하고 있다. 각 주름(65)은 서로 이웃하는 접합부(63, 63)(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도 6 참조)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주름(65)은 신축 패널(6)의 피부 대향면(6a) 및 비피부 대향면(6b)의 양면에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주름(65)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는 단면 원호형의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일회용 기저귀(1)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할 때, 패스닝 테이프(7)의 체결부(71)를 피체결 영역(55)에 체결하기 위해, 도 8(a)에 도시한 신축 패널(6)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 상법에 따라 패스닝 테이프(7)의 선단을 손가락으로 잡고 똑바로 잡아당기고,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패널(6)에 그 신축 방향(Y)을 따라 외력(인장력)(F)을 작용시키면, 전술한 1) 및 2)의 2점의 채용에 기인하는 신축 패널(6)의 신축 특성에 의해, 신축 패널(6)에 있어서,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흡수성 본체(5) 사이에 위치하는 신축부(6B)의 일부(이하,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라고도 함)는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의 탄성 부재(62)의 가장 외방 접합부(62a)에 패스닝 테이프(7)의 외력(인장력)(F)이 직접 전달됨으로써 상기 가장 외방 접합부(62a)를 기점으로 하여 꼬이지 않고 신장 상태가 되어 탄성 부재(62)의 신장 후 길이(w6)(도 8(b) 참조)가 된다. 한편, 신축 패널(6)에 있어서,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내방(도 8(b)에서는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신축 패널(6)의 하부)에는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존재하지 않아, 패스닝 테이프(7)의 선단을 잡고 똑바로 잡아당겼을 때의 외력(인장력)(F)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부위에 존재하는 가장 내방 탄성 부재(62t)를 비롯한 탄성 부재(62)의 가장 외방 접합부(62b)가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의 가장 외방 접합부(62a)보다 흡수성 본체(5) 측(등쪽부(B) 측)으로 잡아당겨지고, 이에 따라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부(6B)의 하부의 폭 방향 외방이 꼬여 약신장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7)의 선단을 잡고 똑바로 잡아당김으로써 신축 패널(6)에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을 향하는 외력(인장력)(F)을 작용시켰을 때에 본체 길이 방향(X)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탄성 부재(62)(가장 외방 접합부(62a)와 중첩되는 탄성 부재(62))는 외력(F)에 의해 상대적으로 세게 잡아당겨져서 신장되고, 그에 따라 신축 패널(6)의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가 신장 상태가 되는데 반해,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내방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62, 62t)(가장 외방 접합부(62b)와 중첩되는 탄성 부재(62))는 패스닝 테이프(7)의 인장에 수반되는 외력(F)에 의해서는 잘 잡아당겨지지 않아 가장 외방 접합부(62a)와 중첩되는 탄성 부재(62)에 비해 신장 정도가 약하기 때문에 내측단(73t)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내방에 위치하는(가장 외방 접합부(62b)가 존재하는) 신축 패널(6)의 하부는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장 정도가 약한 약신장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신축 패널(6)의 하부에 있어서 2개의 탄성 부재(62)의 신장 후 길이(w6', w6")는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의 신축부(6B)의 신장 후 길이(w6)보다 작아져 신축 패널(6)의 하부의 신장량이 경감된다.
실제로 패스닝 테이프(7)의 체결부(71)를 피체결 영역(55)에 체결시켜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자에게 장착했을 때에는,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위는 착용자의 엉덩이부의 볼록 튀어나온 곳이나 다리의 부들기에 닿기 때문에 주위 길이가 커지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 패널(6)의 하부가 약신장 상태가 됨으로써 신축 패널(6)이 테이프 베이스단부(73)보다 신장에 여유가 있음으로써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위치하는 신축 패널(6)의 하부의 다리 둘레에의 조임력이 경감되고, 다리에 단단히 조임 자국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7)의 신장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의 신축부(6B)의 신장 후 길이(w6)가 신축 패널(6)의 하부의 탄성 부재(62)의 신장 후 길이(w6', w6")보다 큼으로써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의 수축력이 커지고, 그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쪽의 웨이스트부에 위치하는 등쪽 단부(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D))에는 직접적으로 인장력(F)이 전달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중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과 상기 등쪽 단부 사이에 틈새가 잘 생기지 않아 피트성 및 누설 방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신축 패널(6)에 융착부(75) 및 접착제 접합부(77)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체결 조작 시에 패스닝 테이프(7)을 잡아당겼을 때에 패스닝 테이프(7)가 끌러져 버리는 문제가 회피됨과 아울러,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강성이 접착제의 사용과 융착부(75)의 형성에 의해 향상되어 있기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7)를 잡아당겨도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꼬임이 잘 생기지 않아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와의 인장력의 차이가 커져 상기 하부가 약신장 상태가 되기 쉬워져 전술한 효과를 보기가 훨씬 쉬워진다.
전술한 신축 패널(6)에 의한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보도록 하기 위한 관점에서, 각종 부재의 치수, 개수 등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연 상태에 있어서 신축 패널(6)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w1)(도 8(a)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mm이다.
자연 상태에 있어서 신축 패널(6)의, 흡수성 본체(5)로부터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외측 가장자리부(6A) 및 신축부(6B))의 길이(w2)(도 8(a)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mm이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w3)(도 8(a)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mm이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본체 폭 방향(Y)의 길이(w4)(도 8(a)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mm이다.
서로 이웃하는 탄성 부재(62, 62)의 간격(w5)(도 8(a) 참조)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mm이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과 가장 내방 탄성 부재(62t)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62)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이다.
일회용 기저귀(1)(및 후술하는 일회용 기저귀(1A, 1B))에 있어서 각 부분의 형성 재료에 대해 설명하면,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로는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2)로는 부직포나 개공 필름 등의 각종 액투과성의 시트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3)로는 투습성을 갖지 않는 수지 필름이나, 미세 구멍을 가지며, 투습성을 갖는 수지 필름, 발수 부직포 등의 부직포, 이들과 다른 시트와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각종 액불투과성 내지 발수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4)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41)로는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액유지성의 재료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목재 펄프 등의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 집합체, 상기 섬유 집합체에 입자 형태의 흡수성 수지를 유지시킨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4)를 구성하는 코어 랩 시트(42)로는, 예를 들면, 종이, 부직포, 개공 필름 등의 액투과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시트(82)로는 이면 시트(3)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신축 패널(6)을 구성하는 패널재(61)로는, 예를 들면, 에어쓰루 부직포, 히트 롤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등의 각종 제법에 의한 부직포, 직포, 편포, 종이, 수지 필름 등 및 이들 둘 이상을 적층 일체화시켜 이루어지는 시트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7)를 구성하는 테이프 기재(72)로는, 예를 들면, 부직포나 부직포와 수지 필름의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다른 구성 부분을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구성 부분은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도 9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있어서, 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서로 대향하는 2장의 패널재(61, 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영역(상기 테이프 비고정 영역)(6A1)의 상기 2장의 패널재(61, 61)가 서로 융착되어 있고, 테이프 베이스단부 비고정 영역(6A1)에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신축 패널(6)을 고정하고 있는 융착부(도 9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와 동일한, 평면에서 보아 타원 형상의 융착부(75)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의 약신장 상태를 방해하지 않고 테이프 베이스단부 비고정 영역(6A1)을 구성하는 패널재(61)의 벗겨짐이나 말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선단부(74)를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양분하는 가상 직선(L1)이 신축 패널(6)을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양분하는 가상 직선(L2)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외방(도 10에서는 상방)에 위치해 있다. 즉, 가랑이부(C)에 대해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다. 도 10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패스닝 테이프(7)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 직선(L1)과 신축 패널(6)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 직선(L2)과의 위치 관계를 조정함으로써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과 신축 패널(6)의 본체 폭 방향(Y)을 따르는 내측단(신축 패널(6)의 본체 폭 방향(Y)을 따르는 상하 한 쌍의 단부 중 가랑이부(C)에 가장 가까운 단부)(6t) 사이의 거리를 길게 취하고, 그에 따라 패스닝 테이프(7)의 피체결 영역(55)(도 1, 도 4 및 도 5 참조)에의 체결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의 인장력과 등쪽의 웨이스트부에의 인장력과의 차이를 크게 하고,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의 약신장 상태의 발생을 촉진하도록 한 것이다. 가상 직선(L1)과 가상 직선(L2)과의 거리(w7)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mm이다.
도 11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선단부(74)를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양분하는 가상 직선(L1)이 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D)을 본체 폭 방향(Y)으로 횡단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중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과 기저귀(1)의 등쪽 단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훨씬 더 잘 생기지 않아 흡수성 코어가 오줌 등의 배설액을 흡수 유지하여 팽창한 경우에도 상기 틈새가 잘 생기지 않게 된다.
도 12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선단부(74)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테이프 선단부(74)의 폭)(w8)가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테이프 베이스단부(34)의 폭)(w3)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짧다. 또한, "테이프 선단부의 본체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대 길이를 의미하고, "테이프 베이스단부의 본체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12에 도시한 패스닝 테이프(7A)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며, 양자(73, 74)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폭)는 동일하다. 도 12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테이프 선단부(74)에 본체 폭 방향(Y)을 따라 외력(F)을 작용시켜 이를 잡아당겼을 때 그 외력(F)이 테이프 선단부(74)와 동일한 폭의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스컬이트로 전달되기 때문에 신축 패널(6)에 있어서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주변부의 꺾임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패스닝 테이프(7)는 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테이프 선단부(74)보다 폭이 넓었지만, 도 12에 도시한 패스닝 테이프(7A)는 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테이프 선단부(74)와 폭이 같거나 그보다 폭이 좁기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7)에 비해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과 신축 패널(6)의 내측단(6t) 사이의 거리를 비교적 길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패스닝 테이프(7A)의 피체결 영역(55)(도 1, 도 4 및 도 5 참조)에의 체결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의 인장력과 등쪽의 웨이스트부에의 인장력과의 차이가 훨씬 커져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의 약신장 상태의 발생이 촉진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테이프 선단부(74)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w8)를 신축 패널(6)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신축 패널(6)의 폭)(w1)의 절반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짧게 함으로써 전술한 효과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신축 패널의 본체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대 길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테이프 선단부(74)의 길이(w8)를 신축 패널(6)의 길이(w1)의 절반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짧게하는 것은 도 12에 도시한 패스닝 테이프(7A)뿐만 아니라, 도 6 등에 도시한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테이프 선단부(74)보다 폭이 넓은 패스닝 테이프)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신축 패널이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도 6에 도시한 신축 패널(6)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각각 신축 패널(6)의 내측 가장자리부(6C) 및 신축부(6B)에 있어서,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속 직선 형상의 접합부(63)와 중첩되고, 각 상기 접합부(63)에서 패널재(61)에 고정되어 있었지만, 도 13에 도시한 신축 패널(6P)에 있어서는 신축부(6B)의 본체 폭 방향(Y)의 일단측(접합부(63a)가 존재하는 부위) 및 타단측(접합부(63b)가 존재하는 부위)을 제외하고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패널재(61)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즉, 도 13에 도시한 신축 패널(6P)의 신축부(6B)에 있어서는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내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에 가장 가까운) 접합부(63a)와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로부터 가장 먼) 접합부(63b)에 끼인 영역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접합부(66)가 각각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 개의 소접합부(66s)가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열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파선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복수 개의 파선형의 접합부(66)에 대해 소접합부(66a)와는 중첩되지 않고,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서로 이웃하는 소접합부(66a, 66a) 사이의 틈새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신축부(6B)의 본체 폭 방향(Y)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속 직선형의 접합부(63a 및 63b)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접합부(63a 및 63b)에서만 패널 부재(61)에 고정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7)의 신장시에 있어서,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의 약신장 상태의 발생에 수반하여 신축부(6B)에 있어서 패널재(61)와 탄성 부재(62)와의 접합점 각각이 경사 방향으로 인장력(F)이 가해짐으로써 패널재(61)의 컬(curl)이 생기고, 그에 따라 신축부(6B) 내에 있어서 본체 폭 방향(Y)에 있어서 탄성 부재(62)의 신장이 일부 제한되어 탄성 부재(62)의 신장에 불균형이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13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축부(6B)의 탄성 부재(62)는 패널재(61)와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패널재(61)의 컬에 의한 신장의 제한을 받지 않아 신축부(6B) 내에서 균일하게 신장할 수 있고, 그 결과 다리 둘레의 자국이 더 잘 생기지 않는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접착제에 의한 패널재(61)의 투습성의 저하 및 강성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신축 패널(6P)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따른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복합 신축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모두 패스닝 테이프(7)의 신축 패널(6)에의 접합 형태가 상기 실시 형태(도 7 참조)와 다르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접합 형태는 패스닝 테이프(7A)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4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패스닝 테이프(7)가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의해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의 피부 대향면(6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7)의 비피부 대향면(7b) 및 신축 패널(6)의 비피부 대향면(6b)에는 패스닝 테이프(7)의 신축 패널(6)에의 고정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76)가 패스닝 테이프(7)의 테이프 선단부(74)와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걸치도록 고정되어 있다. 보강 부재(76)로는, 예를 들면, 부직포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축 패널(6)을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2장의 패널재(61, 61) 사이에서 패스닝 테이프(7)의 테이프 기재(72)(테이프 베이스단부(73))를 협지 고정하고 있다.
또한, 보강 부재(76)는, 도 7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도 7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7)의 피부 대향면(7a) 및 신축 패널(6)의 피부 대향면(6a)에 보강 부재(76)를 패스닝 테이프(7)의 테이프 선단부(74)에 있어서 체결부(71)보다 본체 폭 방향(Y)의 내방의 부위(체결부(71)와 패널재(61)에 끼인 부위)와 외측 가장자리부(6A)에 걸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제2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일회용 기저귀(1A)는, 소위 전개형의 패널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로서, 도 16, 도 2, 도 17,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2), 액불투과성 내지 발수성(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액불투과성이라고 함)의 이면 시트(3) 및 이들 두 시트(2, 3) 사이에 개재 배치된 액유지성의 흡수체(4)를 구비한 세로로 긴(일방향(X)으로 긴) 흡수성 본체(5)와, 상기 흡수성 본체(5)의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한 쌍의 신축 패널(6, 6)을 가지고 있다. 표면 시트(2)는 흡수성 본체(5)의 피부 대향면(5a)를 형성하고, 이면 시트(3)는 흡수성 본체(5)의 비피부 대향면(5b)을 형성하고 있다.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는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흡수체(4)보다 폭이 넓고 길다. 표면 시트(2)는 이면 시트(3)보다 폭이 좁다. 한 쌍의 신축 패널(6, 6) 각각의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외측 가장자리부(6A)에는 체결부(71)를 갖는 패스닝 테이프(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회용 기저귀(1A)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7)의 체결부(71)를 흡수성 본체(5)의 비피부 대향면(5b)에 체결하여 착용자에게 장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A)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회용 기저귀(1A)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쪽부(A) 및 등쪽부(B) 및 및 이들 A, B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C)를 본체 길이 방향(X)으로 가지고 있다. 배쪽부(A)는 기저귀의 착용자의 배쪽에 위치하는 부위, 등쪽부(B)는 기저귀의 착용자의 등쪽에 위치하는 부위(한 쌍의 신축 패널(6, 6)을 갖는 부위), 가랑이부(C)는 기저귀의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배쪽부(A), 가랑이부(C) 및 등쪽부(B)는 일회용 기저귀(1A)(흡수성 본체(5))를 그 본체 길이 방향(X)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하도록 하여 3개의 영역으로 구분했을 때의 각 영역에 해당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A)는, 도 16, 도 2, 도 17,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일회용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5) 및 배쪽 플랩(9)의 각각 동일 구성의 흡수성 본체(5) 및 배쪽 플랩(9)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흡수성 본체(5) 및 배쪽 플랩(9)에 대해서는 전술한 일회용 기저귀(1)에 대한 설명(보다 바람직한 구성이나 변형예를 포함함)이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A)에도 적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A)의 한 쌍의 신축 패널(6, 6)에 대해 설명한다.
한 쌍의 신축 패널(6, 6)은 각각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형상(직사각형 형상)의 패널재(61)와, 패널재(61)에 고정되며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 폭 방향(Y)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6B)와, 본체 폭 방향(Y)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는 비신축부(6A)를 본체 폭 방향(Y)으로 가지고 있다.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고정되어 있는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는 비신축성이며, 그 전체 영역이 비신축부(6A)이다.
신축 패널(6)에 대해 더 설명하면, 신축 패널(6)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신축성의 외측 가장자리부(6A)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6A)와 본체 폭 방향(Y)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비신축성의 내측 가장자리부(6C)를 가지며, 이들 양측 가장자리부(6A, 6C) 사이에 신축성의 신축부(6B)가 설치되어 있다. 신축 패널(6)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내측 가장자리부(6C)가 사이드 시트(8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신축 패널(6, 6)은 각각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가장자리부(6C)에 있어서 탄성 부재(62)가 배치되지 않은 부위에서 흡수성 본체(5)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흡수성 본체(5)와 신축 패널(6)(내측 가장자리부(6C))이 중첩되는 부위에 탄성 부재(62)가 존재하지 않은 것이 흡수성 본체(5)와 패널재(61)의 접착성을 강고하게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신축부(6B)에서 패널재(61)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고, 신축부(6B)로부터 비신축부(외측 가장자리부)(6A)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축 패널(6)(신축부(6B))은 서로 대향하는 2장의 패널재(61, 61) 사이에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실 형태의 탄성 부재(62)가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개재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2장의 패널재(61, 61)끼리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직선형의 접합부(63)에서 접합되어 있다. 복수 개의 접합부(63)는 본체 폭 방향(Y)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접합부(63)는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패널재(61)의 본체 길이 방향(X)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되고, 탄성 부재(62)의 신축 방향(Y)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연속 직선형의 접합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각각 신축부(6B)의 본체 폭 방향(Y)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신축부(6B)의 외측 가장자리부측으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부측에 도달해 있으며, 또한 신축부(6B)와 비신축부(6A)와의 경계로부터 비신축부(6A) 측으로 연장되어 비신축부(6A)에 들어가 있다. 즉, 신축 패널(6)의 비신축부(외측 가장자리부)(6A)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부(6B)를 본체 폭 방향(Y)으로 횡단하는 탄성 부재(62)의 일단부가 존재해 있다. 또한, 도 19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접합부(63)가 외부로부터 명료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기재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그와 같이 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신축부(6B)에서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각각 복수 개의 접합부(63)와 중첩되고, 각 상기 접합부(63)에서 패널재(61)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반해, 외측 가장자리부(6A)에서는 패널재(61)와 탄성 부재(62)(탄성 부재(62)의 일단부)는 접합되어 있지 않고,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있어서 탄성 부재(62)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로 되어 있다. 외측 가장자리부(6A)는 패널재(61)와 탄성 부재(62)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신축부(6A)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62)의, 신축부(6B)로부터 비신축부(외측 가장자리부)(6A)로의 연장 길이는 신축부(6B)에 있어서 복수 개의 직선형의 접합부(63) 중에서 비신축부(6A)에 가장 가까운 2개의 접합부(63b, 63)의 간격보다 길게 되어 있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62)의 비신축부(6A) 측으로의 연장 길이(La)는 신축 패널(6)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접합부(63) 중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로부터 가장 먼) 접합부(63b)와, 상기 접합부(63b)에 인접하는 다른 접합부(63)와의 간격(Lb)(도 19 참조)보다 길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62)의 연장 길이(La)를 접합부(63b, 63)끼리의 간격(Lb)보다 길게 설정함으로써 연장 길이(La)에 해당하는 탄성 부재(62)의 일단부를 최초의 배치 위치인, 접합부(63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즉 비신축부(6A))에 안정적으로 체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기저귀(1A)의 장착시 등에 패스닝 테이프(7)를 잡고 신축 패널(6)을 본체 폭 방향(Y)으로 잡아당기면, 탄성 부재(62)에 있어서 접합부(63b, 63)와 접합되어 있는 부위(신축부(6B)에 존재하는 부위)가 신장 상태가 되어 상기 부위에 수축력이 생기고, 그 수축력이 접합부(63b, 63)에 의한 상기 부위의 패널재(61)에의 고정력을 웃돈 경우에는 연장 길이(La)에 해당하는 탄성 부재(62)의 일단부가 상기 부위의 수축에 의해 접합부(63b)를 넘어 본체 폭 방향(Y)의 내방으로 이동하고(소위 고무 빠짐이 생기고), 신축부(6B)에 완전히 들어가 버리는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있는 바, 연장 길이(La)를 접합부(63b, 63)끼리의 간격(Lb)보다 길게 설정함으로써 고무 빠짐이 생긴 경우에도 연장 길이(La)에 해당하는 탄성 부재(62)의 일단부의 본체 폭 방향(Y)의 내방으로의 이동량이 제한되고, 그에 따라 탄성 부재(62)의 일단부가 신축부(6B)에 완전히 들어가는(비신축부(6A)에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러한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기 위한 관점에서, 탄성 부재(62)의 연장 길이(La)와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 접합부(63b, 63)끼리의 간격(Lb)과의 비(La/Lb)는 0.8 내지 2가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각각 신축부(6B)와 내측 가장자리부(6C)와의 경계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부(6C) 측으로 연장되어 내측 가장자리부(6C)에 들어가 있어도 좋고, 내측 가장자리부(6C)에는 신축부(6B)를 본체 폭 방향(Y)으로 횡단하는 탄성 부재(62)의 타단부가 존재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내측 가장자리부(6C)에 있어서 탄성 부재(62)(탄성 부재(62)의 타단부)는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있어서 탄성 부재(62)(탄성 부재(62)의 일단부)와 동일하게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로 되어 있고, 내측 가장자리부(6C)는 패널재(61)와 탄성 부재(62)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신축부(6C)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축부(6B)는 신축 패널(6)(패널재(61))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접합부(63) 중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내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에 가장 가까운) 접합부(63a)와,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로부터 가장 먼) 접합부(63b)에 끼인 부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비신축부(외측 가장자리부)(6A)는 신축 패널(6)에 있어서, 접합부(63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외측 가장자리부(6A)는 신축부(B)와 같이 신장 상태가 아니라 탄성 부재(62)의 단부를 자연 상태에서 가지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본체 폭 방향(Y)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은 비신축부(6A)이다.
외측 가장자리부(6A)를 포함하는, 신축 패널(6)의 신축부(6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는 영역, 즉,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 접합부(63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는 영역(비신축부(6A))에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의 일단부가 비신축 상태에서 존재하지만,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고, 비신축부(6A)에서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끼리의 접합에 접착제는 사용되지 않았다. "상기비신축 영역에 상기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란, 비신축부(6A)에 있어서,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의 접합(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 이외의 다른 부재를 개재시키지 않고 상기 구성 부재끼리를 직접 접합하는 경우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도포량이 0g/m2인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비신축부(6A)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되어 있는 접착제 접합부는 어디까지나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를 (다른 부재를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접합하는 것이며,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와 다른 부재를 접합하는 접착제 접합부, 예를 들면 패널재(61)와 테이프 기재(72)를 접합하는 접착제 접합부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신축부(6A)에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와 다른 부재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해 있어도 좋으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비신축부(6A) 영역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기재(72)가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서 패널재(61)에 융착(융착부(75)) 및 접착제(접착제 접합부(7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는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접착제 및 복수 개의 융착부(75a)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약하면, 비신축부(6A)에 있어서,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와 다른 부재와의 접합 수단으로는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해도 좋으며, 혹은 접착제 이외의 다른 접합 수단, 예를 들면 히트 씰 등의 융착을 이용해도 좋고, 혹은 접착제와 접착제 이외의 다른 접합 수단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축부(6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는 신축 패널(6)의 비신축부(외측 가장자리부)(6A)에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의 일단부가 비신축 상태에서 존재하지만,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비신축부(외측 가장자리부)(6A)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기재(72))가 부착되지 않은 영역(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 이하, 테이프 비고정 영역이라고도 함)에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의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상기 테이프 비고정 영역의 형성 재료(부직포 등)가 본래 갖는 유연성이 확보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비신축부(6A)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기재(72))가 부착되어 있는 영역(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중첩되는 영역, 이하, 테이프 고정 영역이라고도 함)과의 강성의 차이가 크게 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7)는, 도 17,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71)를 갖는 테이프 기재(7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기재(72)는,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고정된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연접되며 외측 가장자리부(6A)로부터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으로 돌출되고 체결부(71)를 갖는 테이프 선단부(74)를 가지고 있다. 체결부(71)는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로 이루어지며, 테이프 선단부(74)의 한쪽 면(피부 대향면)에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기계적 면 패스너의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피체결 영역(55)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패스닝 테이프(7)는, 도 17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의해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비신축부)(6A)의 비피부 대향면(6b)에 고정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베이스단부(73))는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융착을 포함하는 접합 수단, 구체적으로는 융착 및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신축 패널(6)(패널재(61))가 중첩되는 영역(외측 가장자리부(6A)의 상기 테이프 고정 영역)에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접합부(77) 이외에, 평면에서 보아 타원 형상의 융착부(75)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신축부(외측 가장자리부)(6A)에서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의 접합에 접착제는 사용되지 않으나,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와 다른 부재(테이프 기재(72))와의 접합 수단으로는 접착제 및/또는 접착제 이외의 다른 접합 수단(히트 씰 등의 융착)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합 수단으로서 융착 및 접착제의 조합이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융착"은 복수 개의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2장의 패널재(61) 및 테이프 베이스단부(73)) 중 하나 이상을 가열 용융하여 상기 복수 개의 부재를 서로 접합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공지의 히트 씰법, 초음파 씰법, 고주파 씰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융착부(75)는 공지의 히트 씰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융착부(75)를 형성하기 위한 히트 씰은, 외측 가장자리부(6A)(패널재(61))의 피부 대향면(6a) 측으로부터 수행해도 좋고, 비피부 대향면(6b) 측으로부터 수행해도 좋다. 복수 개의 융착부(75)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길이 방향(X) 및 본체 폭 방향(Y)의 양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융착부(75)가 외부로부터 명료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기재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그와 같이 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도 19 및 도 20 이외의, 테이프 베이스단부(73)를 도시한 다른 도면(도 16, 도 17, 도 18, 도 21 내지 도 28)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융착부(75)의 도시를 생략했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며, 본체 폭 방향(Y)을 따르는 외측단(73s) 및 내측단(73t)을 가지고 있다. 외측단(73s) 및 내측단(73t)은 직사각형 형상의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한 쌍의 단변을 구성하고 있으며, 내측단(73t)은 외측단(73s)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내방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가랑이부(C)에 가깝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내측단(73t)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패널(6)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 중 본체 길이 방향(X)의 가장 내방에 배치된(가랑이부(C)에 가장 가까운) 탄성 부재(이하, 가장 내방 탄성 부재라고도 함)(62t)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외방(도 19에서는 상방)에 위치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A)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1)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가 각각 신축부(6B)로부터 외측 가장자리부(비신축부)(6A)로 연장되어 있는 것, 2)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있어서 탄성 부재(62)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로 되어 있는 것, 및 3) 외측 가장자리부(6A)에서는 패널재(61)와 탄성 부재(62)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의 채용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A)를 장착할 때 패스닝 테이프(7)를 피체결 영역(55)에 체결시켰을 때의 신축 패널(6)의 장착 특성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신축 패널(6)의 구성에 의해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가 유연성을 가지며, 장착시에 있어서 신축 패널(6)은 본체 폭 방향(Y)으로 신축되어도 탄성 부재(62)가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 접합부(63b)로부터 빠져나오지 않으므로 탄성 부재(62)의 단부 고정을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A)에 있어서는, 4) 패스닝 테이프(7)의 신축 패널(6)과의 고정 부위인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이 신축 패널(6)의 가장 내방 탄성 부재(62t)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외방에 위치해 있는 것 및 전술한 바와 같이, 5) 신축부(6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며 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고정되어 있는, 신축 패널(6)의 비신축부(외측 가장자리부)(6A)에는 신축 패널(6)의 구성 부재(패널재(61))끼리의 접합 수단으로서의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비신축부(6A)의 일부인 상기 테이프 비고정 영역(비신축부(6A)에 있어서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있는 것의 2점의 채용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A)를 장착할 때에 패스닝 테이프(7)을 피체결 영역(55)에 체결시켰을 때의 신축 패널(6)의 신축 특성을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신축 특성의 제어에 의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A)의 착용중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쪽의 웨이스트부와 일회용 기저귀(1A)의 등쪽 단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이 방지되고,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상기 레그 개더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83)의 조임에 의한 자국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
도 21(a)에는 신축 패널(6)의 자연 상태(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 도 21(b)에는 신축 패널(6)을 그 신축 방향(Y)으로 신장시킨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신축 패널(6)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62)의 가장 외방 접합부(62a, 62b)를 기점으로 하여 탄성 부재(62)가 수축하여,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재(61)가 신축 방향(본체 폭 방향)(Y)과 직교하는 방향(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주름(65)을 형성하고 있다. 각 주름(65)은 서로 이웃하는 접합부(63, 63)(도 2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도 19 참조)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주름(65)은 신축 패널(6)의 피부 대향면(6a) 및 비피부 대향면(6b)의 양면에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주름(65)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는 단면 원호형의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일회용 기저귀(1A)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할 때에 패스닝 테이프(7)의 체결부(71)를 피체결 영역(55)에 체결하기 위해, 도 21(a)에 도시한 신축 패널(6)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 상법에 따라 패스닝 테이프(7)의 선단을 손가락으로 잡고 똑바로 잡아당기고,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패널(6)에 그 신축 방향(Y)을 따라 외력(인장력)(F)을 작용시키면, 전술한 4) 및 5)의 2점의 채용에 기인하는 신축 패널(6)의 신축 특성에 의해 신축 패널(6)에 있어서,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흡수성 본체(5) 사이에 위치하는 신축부(6B)의 일부(이하,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라고도 함)는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의 탄성 부재(62)의 가장 외방 접합부(62a)에 패스닝 테이프(7)의 외력(인장력)(F)이 직접 전달됨으로써 상기 가장 외방 접합부(62a)를 기점으로 하여 꼬이지 않고 신장 상태가 되고, 탄성 부재(62)의 신장 후 길이(w6)(도 21(b) 참조)가 된다. 한편, 신축 패널(6)에 있어서,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내방(도 21(b)에서는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신축 패널(6)의 하부)에는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존재하지 않으며, 패스닝 테이프(7)의 선단을 잡고 똑바로 잡아당겼을 때의 외력(인장력)(F)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부위에 존재하는 가장 내방 탄성 부재(62t)를 비롯한 탄성 부재(62)의 가장 외방 접합부(62b)가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의 가장 외방 접합부(62a)보다 흡수성 본체(5) 측(등쪽부(B) 측)으로 잡아당겨지고, 이에 따라,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부(6B)의 하부의 폭 방향 외방이 꼬여 약신장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7)의 선단을 잡고 똑바로 잡아당김으로써 신축 패널(6)에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을 향하는 외력(인장력)(F)을 작용시켰을 때에 본체 길이 방향(X)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탄성 부재(62)(가장 외방 접합부(62a)와 중첩되는 탄성 부재(62))는 외력(F)에 의해 상대적으로 세게 잡아당겨져서 신장하고, 그에 따라 신축 패널(6)의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가 신장 상태가 되는데 반해,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내방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62, 62t)(가장 외방 접합부(62b)와 중첩되는 탄성 부재(62))는 패스닝 테이프(7)의 인장에 수반되는 외력(F)에 의해서는 잘 잡아당겨지지 않아 가장 외방 접합부(62a)와 중첩되는 탄성 부재(62)에 비해 신장 정도가 약하기 때문에 내측단(73t)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내방에 위치하는(가장 외방 접합부(62b)가 존재하는) 신축 패널(6)의 하부는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장 정도가 약한 약신장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신축 패널(6)의 하부에 있어서 2개의 탄성 부재(62)의 신장 후 길이(w6', w6")는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의 신축부(6B)의 신장 후 길이(w6)보다 작아져 신축 패널(6)의 하부의 신장량이 경감된다.
실제로 패스닝 테이프(7)의 체결부(71)를 피체결 영역(55)에 체결시켜 일회용 기저귀(1A)를 착용자에게 장착했을 때에는,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위는 착용자의 엉덩이부의 볼록 튀어나온 곳이나 다리의 부들기에 닿기 때문에 주위 길이가 커지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 패널(6)의 하부가 약신장 상태로 됨으로써 신축 패널(6)이 테이프 베이스단부(73)보다 신장에 여유가 있음으로써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위치하는 신축 패널(6)의 하부의 다리 둘레에의 조임력이 경감되고 다리에 조임 자국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7)의 신장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의 신축부(6B)의 신장 후 길이(w6)가 신축 패널(6)의 하부의 탄성 부재(62)의 신장 후 길이(w6', w6")보다 큰 것에 의해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 인접부의 수축력이 커지고, 그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A)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쪽의 웨이스트부에 위치하는 등쪽 단부(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D))에는 직접적으로 인장력(F)이 전달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A)의 착용중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과 상기 등쪽 단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잘 생기지 않게 되어 피트성 및 누설 방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신축 패널(6)에 융착부(75) 및 접착제 접합부(77)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체결 조작 시에 패스닝 테이프(7)를 잡아당겼을 때에 패스닝 테이프(7)가 빠져 버리는 문제가 회피됨과 아울러,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강성이 접착제의 사용과 융착부(75)의 형성에 의해 향상되어 있기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7)를 잡아당겨도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꼬임이 잘 생기지 않아,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와의 인장력의 차이가 커져, 상기 하부가 약신장 상태가 되기 쉬워져 전술한 효과가 훨씬 얻어지기 쉬워진다.
전술한 신축 패널(6)에 의한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게 하는 관점에서, 각종 부재의 치수, 개수 등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연 상태에 있어서 신축 패널(6)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w1)(도 21(a)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mm이다.
자연 상태에 있어서 신축 패널(6)의, 흡수성 본체(5)로부터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외측 가장자리부(6A) 및 신축부(6B))의 길이(w2)(도 21(a) 참조)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mm이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w3)(도 21(a)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mm이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본체 폭 방향(Y)의 길이(w4)(도 21(a)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mm이다.
서로 이웃하는 탄성 부재(62, 62)의 간격(w5)(도 21(a) 참조)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mm이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과 가장 내방 탄성 부재(62t)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62)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는, 전술한 일회용 기저귀(1A)의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A)와 다른 구성 부분을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구성 부분은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도 22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비신축부)(6A)의 상기 테이프 비고정 영역에 있어서, 2장의 패널재(61, 61)끼리가 간헐적으로 배치된 융착부(75)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즉,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있어서, 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고정되지 않고 서로 대향하는 2장의 패널재(61, 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영역(상기 테이프 비고정 영역)(6A1)의 상기 2장의 패널재(61, 61)가 간헐적으로 융착부(75)에서 서로 융착되어 있고, 테이프 비고정 영역(6A1)에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신축 패널(6)을 고정하고 있는 융착부(도 22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와 동일한, 평면에서 보아 타원 형상의 융착부(75)가 간헐적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의 약신장 상태를 방해하지 않고 테이프 비고정 영역(6A1)을 구성하는 패널재(61)의 벗겨짐이나 말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선단부(74)를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양분하는 가상 직선(L1)이 신축 패널(6)을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양분하는 가상 직선(L2)보다 본체 길이 방향(X)의 외방(도 23에서는 상방)에 위치해 있다. 즉, 가랑이부(C)에 대해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다. 도 23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패스닝 테이프(7)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 직선(L1)과 신축 패널(6)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 직선(L2)과의 위치 관계를 조정함으로써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과 신축 패널(6)의 본체 폭 방향(Y)을 따르는 내측단(신축 패널(6)의 본체 폭 방향(Y)을 따르는 상하 한 쌍의 단부 중 가랑이부(C)에 가장 가까운 단부)(6t) 사이의 거리를 길게 취하고, 그에 따라 패스닝 테이프(7)의 피체결 영역(55)(도 16, 도 4 및 도 18 참조)에의 체결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의 인장력과 등쪽의 웨이스트부에의 인장력과의 차이를 크게 하여,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의 약신장 상태의 발생을 촉진하도록 한 것이다. 가상 직선(L1)과 가상 직선(L2) 간의 거리(w7)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8 ㄴ내지 mm이다.
도 24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선단부(74)를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양분하는 가상 직선(L1)이 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D)을 본체 폭 방향(Y)으로 횡단하고 있다. 도 24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회용 기저귀(1A)의 착용중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과 기저귀(1A)의 등쪽 단부 사이에 틈새가 훨씬 잘 생기지 않게 되어, 흡수성 코어가 오줌 등의 배설액을 흡수 유지하여 팽창한 경우라도 상기 틈새가 잘 생기지 않게 된다.
도 25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선단부(74)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테이프 선단부(74)의 폭)(w8)가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테이프 베이스단부(34)의 폭)(w3)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짧다. 또한, "테이프 선단부의 본체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대 길이를 의미하고, "테이프 베이스단부의 본체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25에 도시한 패스닝 테이프(7A)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며, 양자(73, 74)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폭)는 동일하다. 도 25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테이프 선단부(74)에 본체 폭 방향(Y)을 따라 외력(F)을 작용시켜 이것을 잡아당겼을 때에 그 외력(F)이 테이프 선단부(74)와 동일한 폭의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스트레이트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신축 패널(6)에 있어서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주변부의 꺾임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패스닝 테이프(7)는 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테이프 선단부(74)보다 폭이 넓었지만, 도 25에 도시한 패스닝 테이프(7A)는 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테이프 선단부(74)와 폭이 동일하거나 그보다 폭이 좁기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7)에 비해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내측단(73t)과 신축 패널(6)의 내측단(6t) 사이의 거리를 비교적 길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패스닝 테이프(7A)의 피체결 영역(55)(도 16, 도 4 및 도 18 참조)에의 체결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의 인장력과 등쪽의 웨이스트부에의 인장력과의 차이가 훨씬 커져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의 약신장 상태의 발생이 촉진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테이프 선단부(74)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w8)를 신축 패널(6)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신축 패널(6)의 폭)(w1)의 절반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짧게 함으로써 전술한 효과가 보다 안정적으로 얻어지게 된다. 또한, "신축 패널의 본체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대 길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테이프 선단부(74)의 길이(w8)를 신축 패널(6)의 길이(w1)의 절반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짧게 하는 것은 도 25에 도시한 패스닝 테이프(7A)뿐만 아니라, 도 19 등에 도시한 패스닝 테이프(7)(테이프 베이스단부(73)가 테이프 선단부(74)보다 폭이 넓은 패스닝 테이프)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6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신축 패널이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도 19에 도시한 신축 패널(6)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각각 신축 패널(6)의 신축부(6B)에 있어서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속 직선형의 접합부(63)와 신장 상태에서 중첩되고, 각 상기 접합부(63)에서 패널재(61)에 고정되어 비신축부(외측 가장자리부)(6A)에 있어서 자연 상태(비신장 상태)에서 존재했으나, 도 26에 도시한 신축 패널(6P)에 있어서는 신축부(6B)의 본체 폭 방향(Y)의 일단측(접합부(63a)가 존재하는 부위) 및 타단측(접합부(63b)가 존재하는 부위)을 제외하고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패널재(61)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즉, 도 26에 도시한 신축 패널(6P)의 신축부(6B)에 있어서는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내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에 가장 가까운) 접합부(63a)와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로부터 가장 먼) 접합부(63b)에 끼인 영역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접합부(66)가 각각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 개의 소접합부(66s)가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열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평면에서 보아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파선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복수 개의 파선형의 접합부(66)에 대해 소접합부(66a)와 중첩되지 않고 ,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서로 이웃하는 소접합부(66a, 66a) 사이의 틈새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신축부(6B)의 본체 폭 방향(Y)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속 직선형의 접합부(63a 및 63b)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접합부(63a 및 63b)에서만 패널 부재(61)에 고정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7)의 신장시에 있어서, 전술한 신축 패널(6)의 하부의 약신장 상태의 발생에 수반하여 신축부(6B)에 있어서 패널재(61)와 탄성 부재(62)와의 접합점 각각이 경사 방향으로 인장력(F)이 가해짐으로써 패널재(61)의 컬이 생기고, 그에 따라 신축부(6B) 내에 있어서 본체 폭 방향(Y)에 있어서 탄성 부재(62)의 신장이 일부 제한되어 탄성 부재(62)의 신장에 불균형이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26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축부(6B)의 탄성 부재(62)는 패널재(61)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위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전술한 패널재(61)의 컬에 의한 신장의 제한을 받지 않고 신축부(6B) 내에서 균일하게 신장할 수 있고, 그 결과 다리 둘레의 자국이 더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접착제에 의한 패널재(61)의 투습성의 저하 및 강성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신축 패널(6P)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따른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복합 신축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모두 패스닝 테이프(7)의 신축 패널(6)에의 접합 형태가 상기 실시 형태(도 20 참조)와 다르다. 또한,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접합 형태는 패스닝 테이프(7A)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7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패스닝 테이프(7)가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의해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의 피부 대향면(6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7)의 비피부 대향면(7b) 및 신축 패널(6)의 비피부 대향면(6b)에는 패스닝 테이프(7)의 신축 패널(6)에의 고정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76)가 패스닝 테이프(7)의 테이프 선단부(74)와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걸치도록 고정되어 있다. 보강 부재(76)로는, 예를 들면, 부직포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8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축 패널(6)을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2장의 패널재(61, 61) 사이에서 패스닝 테이프(7)의 테이프 기재(72)(테이프 베이스단부(73))를 협지 고정하고 있다.
또한, 보강 부재(76)는, 도 20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도 20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7)의 피부 대향면(7a) 및 신축 패널(6)의 피부 대향면(6a)에 보강 부재(76)를 패스닝 테이프(7)의 테이프 선단부(74)에 있어서 체결부(71)보다 본체 폭 방향(Y)의 내방의 부위(체결부(71)와 패널재(61)에 끼인 부위)와 외측 가장자리부(6A)에 걸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제3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B)는, 소위 전개형의 패널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로서, 도 29, 도 2, 도 3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2), 액불투과성 내지 발수성(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액불투과성이라고 함)의 이면 시트(3) 및 이들 두 시트(2, 3) 사이에 개재 배치된 액유지성의 흡수체(4)를 구비한 세로로 긴(일방향(X)으로 긴) 흡수성 본체(5)와, 상기 흡수성 본체(5)의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한 쌍의 신축 패널(6, 6)을 가지고 있다. 표면 시트(2)는 흡수성 본체(5)의 피부 대향면(5a)을 형성하고, 이면 시트(3)는 흡수성 본체(5)의 비피부 대향면(5b)을 형성하고 있다.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는 각각 직사각형을 이루며, 흡수체(4)보다 폭이 넓고 길다. 표면 시트(2)는 이면 시트(3)보다 폭이 좁다. 한 쌍의 신축 패널(6, 6) 각각의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외측 가장자리부(6A)에는 체결부(71)를 갖는 패스닝 테이프(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회용 기저귀(1B)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7)의 체결부(71)를 흡수성 본체(5)의 비피부 대향면(5b)에 체결하여 착용자에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B)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회용 기저귀(1B)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쪽부(A) 및 등쪽부(B) 및 및 이들 A, B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C)를 본체 길이 방향(X)으로 가지고 있다. 배쪽부(A)는 기저귀의 착용자의 배쪽에 위치하는 부위, 등쪽부(B)는 기저귀의 착용자의 등쪽에 위치하는 부위(한 쌍의 신축 패널(6, 6)을 갖는 부위), 가랑이부(C)는 기저귀의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배쪽부(A), 가랑이부(C) 및 등쪽부(B)는 일회용 기저귀(1B)(흡수성 본체(5))를 그 본체 길이 방향(X)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하도록 하여 3개의 영역으로 구분했을 때의 각 영역에 해당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B)는, 도 29, 도 2, 도 3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일회용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5) 및 배쪽 플랩(9)의 각각과 동일 구성의 흡수성 본체(5) 및 배쪽 플랩(9)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흡수성 본체(5) 및 배쪽 플랩(9)에 대해서는 전술한 일회용 기저귀(1)에 대한 설명(보다 바람직한 구성이나 변형예를 포함함)이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B)에도 적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B)의 한 쌍의 신축 패널(6, 6)에 대해 설명한다.
한 쌍의 신축 패널(6, 6)은 각각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형상(직사각형 형상)의 패널재(61)와, 패널재(61)에 고정되며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신축 패널(6)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내측 가장자리부(6C)에서 흡수성 본체(5)에 고정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내측 가장자리부(6C)가 사이드 시트(8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패널재(61)에 배치되어 있다.
도 32 및 도 33에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신축 패널(6)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2 및 도 33에서는 한 쌍의 신축 패널(6, 6) 중 일측 및 그 주변부만을 도시했으나, 도시되지 않은 타측의 신축 패널(6) 및 그 주변부도,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패널(6)의 내측 가장자리부(6C)와 외측 가장자리부(6A) 사이에는 본체 폭 방향(Y)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6B)가 존재해 있다. 신축부(6B)는 상기 신축부(6B)를 본체 폭 방향(Y)으로 횡단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가 패널재(61)에 설치된 제1 접착부(67)에서 상기 패널재(61)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축부(6B)는 신축 패널(6)을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2장의 패널재(61, 61) 사이에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실 형태의 탄성 부재(62)가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에서 개재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2장의 패널재(61, 61)끼리는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속 직선형의 제1 접착부(67)에서 접합되어 있다.
복수 개의 제1 접착부(67)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패널(6)의 신축부(6B)에 있어서 본체 폭 방향(Y)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접착부(67)는 패널재(61)의 소정 부위에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패널재(61)의 본체 길이 방향(X)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되며, 탄성 부재(62)의 신축 방향(Y)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연속 직선형의 접합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각각 복수 개의 제1 접착부(67)와 중첩되며, 각 제1 접착부(67)에서 패널재(61)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32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제1 접착부(67)가 외부로부터 명료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기재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그와 같이 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축부(6B)는 신축 패널(6)(패널재(61))에 배치된 복수 개의 직선형의 제1 접착부(67) 중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내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에 가장 가까운) 제1 접착부(67a)와,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로부터 가장 먼) 제1 접착부(67b)에 끼인 부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측 가장자리부(6A)는 신축 패널(6)에 있어서, 직선형의 제1 접착부(67b)보다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에 위치하는 부위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측 가장자리부(6C)는 신축 패널(6)에 있어서, 직선형의 제1 접착부(67a)보다 본체 폭 방향(Y)의 내방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신축 패널(6)(신축부(6B))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는, 신축부(6B)의 본체 폭 방향(Y)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접착부(67a, 67b)를 기점으로 하여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가 수축하여 패널재(61)가 신축 방향(본체 폭 방향)(Y)과 직교하는 방향(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주름(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각 주름은 서로 이웃하는 제1 접착부(67, 67) 사이(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부위)에 형성된다. 각 주름은 신축 패널(6)의 피부 대향면(6a) 및 비피부 대향면(6b)의 양면에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각 주름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는 단면 원호형의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각각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부(6B)의 본체 폭 방향(Y)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되며, 또한 외측 가장자리부(6A) 및 내측 가장자리부(6C)에 들어가 있다.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는 신축부(6B)를 본체 폭 방향(Y)으로 횡단하는 탄성 부재(62)의 일단부(62p)가 존재해 있으며, 내측 가장자리부(6C)에는 상기 탄성 부재(62)의 타단부(62q)가 존재해 있다.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존재하는 탄성 부재(62)의 일단부(62p)는 외측 가장자리부(6A)(신축 패널(6))를 구성하는 패널재(61)에 설치된 제2 접착부(68)에서 패널재(61)에 고정되며,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이다. 또한, 신축 패널(6)의 내측 가장자리부(6C)에 존재하는 탄성 부재(62)의 타단부(62q)는 내측 가장자리부(6C)(신축 패널(6))를 구성하는 패널재(61)에 설치된 제3 접착부(69)에서 패널재(61)에 고정되며,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이다.
이와 같이 신축 패널(6)을 구성하는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 각각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62p, 62q)가 모두 평면에서 보아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임으로써, 이들 양단부(62p, 62q)가 도 39(d)에 도시한 탄성 부재(90)의 절단 단부와 같이 개개로 불규칙하게 오그라져서 절곡형이나 루프형이 되어 복수 개의 상기 양단부 전체에서 평면에서 보아 형상이 통일성이 없는 경우에 비해 신축 패널(6)의 외관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기저귀(1B)의 품질 등에 대해 좋은 인상을 주는 것이 가능해지며, 기저귀(1B)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특히, 패스닝 테이프(7)가 고정되어 있는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는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쉬운 부위이며, 이러한 시각적 인식성이 높은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62)의 일단부(62p)가 직선형인 것은 신축 패널(6)의 외관의 향상에 특히 유효하다.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 및 내측 가장자리부(6C)에 존재하는 탄성 부재(62)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62p, 62q)가 도 39(d)에 도시한 탄성 부재(90)의 절단 단부와 같은 절곡형이나 루프형이 되지 않고, 신축부(6B)에 존재하는 탄성 부재(62)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탄성 부재(62)에 있어서 양단부(62p, 62q) 이외의 부위)와 동일하게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는 이유는, 주로 외측 가장자리부(6A) 및 내측 가장자리부(6C)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제2 접착부(68) 및 제3 접착부(6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있다. 즉, 탄성 부재(62)는, 도 39(d)에 도시한 탄성 부재(90)와 동일하게, 일방향으로 잡아당겨진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62)를 소정 부위에서 절단하고 수축시켜 얻어지는 것이고, 그 양단부(62p, 62q)는 이러한 절단에 의해 생기는 절단 단부로서, 외측 가장자리부(6A) 및 내측 가장자리부(6C) 위에서 신장 상태로부터 수축하는 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것인 바, 이러한 수축이 일어나는 외측 가장자리부(6A) 및 내측 가장자리부(6C)에 접착부(68, 69)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양단부(62p, 62q)의 수축시에 본체 폭 방향(X)으로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접착부(68, 69)에 의해 제한되고, 한편, 당초에 신장 상태였던 양단부(62p, 62q)는 본체 폭 방향(Y)으로 원활하게 수축하고, 최종적으로 평면에서 보아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이 된다.
이에 반해,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90)의 절단 단부의 수축을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패널재(91)의 비접착 영역(91B) 위에서 발현시키기 때문에 상기 절단 단부의 수축시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제한되지 않아,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단부가 개개 제각각의 움직임으로 수축되기 때문에 직선형의 절단 단부를 얻기가 어렵고, 따라서 신축 패널의 양호한 외관을 얻기가 어렵다.
단, 외측 가장자리부(6A)의 제2 접착부(68) 및 내측 가장자리부(6C)의 제3 접착부(69)가 탄성 부재(62)를 신장 상태에서 패널재(61)에 고정 할 수 있는 신축부(6B)의 제1 접착부(67(67a, 67b))와 동등 이상의 접착력을 가지고 있으면, 전술한 신축 패널(6)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탄성 부재(62)의 양단부(62p, 62q)의 수축이 방해되고, 그 결과, 양단부(62p, 62q)가 탄성 부재(62)로부터 튀어나온 채 제품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접착부(68) 및 제3 접착부(69) 각각의 접착력을 제1 접착부(67(67a, 67b))의 접착력보다 낮게 설정하고 있다. 즉, 제1 접착부(67)의 접착력에 대해서는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62)를 그대로 패널재(61)에 고정 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하는 데 반해, 제2 접착부(68) 및 제3 접착부(69) 각각의 접착력에 대해서는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62)를 그대로는 패널재(61)에 고정할 수 없고, 상기 탄성 부재(62)의 수축시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제한하면서도 최종적으로는 상기 탄성 부재(62)의 수축을 허용해 버릴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접착부(68)와 제3 접착부(69)와의 접착력은 통상 동일하게 설정하는데, 서로 달라도 좋다.
접착부(67, 68, 69)의 접착력은 접착제의 도포량이나 종류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접착부(68) 및 제3 접착부(69)의 접착력을 제1 접착부(67)에 비해 낮게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A) 접착부(68, 69)를 구성하는 접착제의 도포량을 접착부(67)를 구성하는 접착제의 도포량보다 적게 하는 방법, 혹은 B) 접착부(68, 69)를 구성하는 접착제로서 접착부(67)를 구성하는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낮은 것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A) 및 B) 방법을 조합해도 좋다. 접착부(67, 68, 69)를 구성하는 접착제로는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A) 방법이 바람직하고, 제2 접착부(68) 혹은 제3 접착부(69)는 제1 접착부(67)보다 접착제의 도포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착부(67)의 접착제의 도포량(V1), 제2 접착부(68)의 접착제의 도포량(V2) 및 제3 접착부(69)의 접착제의 도포량(V3)은 각각 패널재(61)나 탄성 부재(62)의 종류, 특히 탄성 부재(62)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량(V1)은 탄성 부재(62)가 패널재(61)에 확실하게 고정되는 양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포량(V2) 및 도포량(V3)은 각각 탄성 부재(62)(일단부(62p), 타단부(62q))의 본체 폭 방향(X)으로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제한하면서 상기 탄성 부재(62)가 본체 폭 방향(Y)으로 원활하게 수축 가능해지는 양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량(V1)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0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g/m2이다. 또한, 도포량(V2 및 V3)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0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g/m2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접착제의 도포량은 접착제가 건조한 상태에 있어서 도포량을 의미한다.
제2 접착부(68) 및 제3 접착부(69)는 각각 접착제를 소정 부위(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 또는 내측 가장자리부(6C))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도포(소위 솔리드(solid) 도포)하여 형성해도 좋고, 혹은 소정 부위에 스파이럴 형태로 도포하여 형성해도 좋다.
신축 패널(6)에 있어서, 신축부(6B)에서는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높은 제1 접착부(67)에 의해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가 그들 제조 초기의 신장 상태가 대략 유지된 상태에서 패널재(61)에 고정되어 있는 데 반해, 외측 가장자리부(6A) 및 내측 가장자리부(6C)에서는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낮은 제2 접착부(68) 및 제3 접착부(69)의 영향에 의해 이들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의 제조 초기의 신장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그들 양단부(62p, 62q)는 비신장 상태 또는 탄성 부재(62)에 있어서 신축부(6B)에 고정되어 있는 부위보다 신장 정도가 낮은 약신장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신장 정도가 부분적으로 다르다. 따라서, 신축 패널(6)에 있어서는 본체 폭 방향(Y)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신축부(6B)가 본체 폭 방향(Y)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데 반해, 신축부(6B)를 사이에 두고 본체 폭 방향(Y)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부(6A) 및 내측 가장자리부(6C)는 모두 실질적으로 본체 폭 방향(Y)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은 비신축부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B)에 대해 더 설명하면, 각종 부재의 치수, 개수 등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62)의 직선형의 양단부(62p, 62q) 각각의 길이〔신축부(6B)(접착부(67a, 67b))로부터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 길이〕는 외측 가장자리부(6A) 및 내측 가장자리부(6C)의 본체 폭 방향(X)의 길이(폭)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 ㄴ내지 %,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이다.
자연 상태(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신축 패널(6)의, 흡수성 본체(5)로부터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외측 가장자리부(6A) 및 신축부(6B))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mm이다.
 서로 이웃하는 탄성 부재(62, 62)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mm이다.
패스닝 테이프(7)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71)를 갖는 테이프 기재(7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기재(72)는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고정된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테이프 베이스단부(73)와,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연접되며 외측 가장자리부(6A)로부터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으로 돌출되며 체결부(71)를 갖는 테이프 선단부(74)를 가지고 있다. 체결부(71)는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로 이루어지고, 테이프 기재(72)의 피부 대향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술한 기계적 면 패스너의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피체결 영역(55)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패스닝 테이프(7)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서 접착제에 의해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의 비피부 대향면(6b)에 고정되어 있다.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신축 패널(6)에의 고정 수단은 접착제 대신 히트 씰법, 초음파 씰법, 고주파 씰법 등의 융착을 이용해도 좋고, 접착제 및 융착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 패널 및 패스닝 테이프는, 전술한 일회용 기저귀(1B)의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B)와 다른 구성 부분을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구성 부분은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축 패널(6)의 신축부(6B)에 설치되는 제1 접착부(67)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이었지만,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축부(6B)를 구성하는 패널재(61)의 내면의 전체 영역에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소위 단일 색으로 빈틈없이 칠함)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접착부(67)가 접착제의 단일색으로 빈틈없이 칠해져서 형성되어 있는,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해,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 각각의 양단부(62p, 62q)가 평면에서 보아 직선형이 되기 때문에 신축성 패널(6)의 외관 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도 36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신축부(6B)가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도 32에 도시한 신축 패널(6)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각각 신축부(6B)에 있어서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속 직선형의 제1 접착부(67)와 중첩되고, 각 상기 접착부(67)에서 패널재(61)에 고정되어 있었으나, 도 36에 도시한 신축부(6B)에 있어서는 그 본체 폭 방향(Y)의 일단측(제1 접착부(67a)가 존재하는 부위) 및 타단측(제1 접착부(67b)가 존재하는 부위)을 제외하고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신축부(6B)를 구성하는 패널재(61)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즉, 도 36에 도시한 신축부(6B)에 있어서는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내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에 가장 가까운) 제1 접착부(67a)와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흡수성 본체(5)로부터 가장 먼) 제1 접착부(67b)에 끼인 영역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접착부(66)가 각각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 개의 소접합부(66s)가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열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평면에서 보아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파선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복수 개의 파선형의 접합부(66)에 대해 소접합부(66a)와 중첩되지 않고 본체 길이 방향(X)으로 서로 이웃하는 소접합부(66a, 66a) 사이의 틈새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신축부(6B)의 본체 폭 방향(Y)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속 직선형의 접착부(67a 및 67b)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신축부(6B)에 있어서는 접착부(67a 및 67b)에서만 패널 부재(61)에 고정되어 있다. 도 36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축부(6B)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따른 일본 특허 공개 2005-80859호 공보에 기재된 복합 신축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6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패스닝 테이프가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도 36에 도시한 패스닝 테이프(7A)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며, 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테이프 베이스단부(73)의 폭)와 테이프 선단부(74)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테이프 선단부(74)의 폭)가 동일하다.
도 37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패스닝 테이프(7)의 신축 패널(6)에의 접합 형태가 상기 실시 형태(도 33 참조)와 다르다. 또한, 도 37에 도시한 접합 형태는 패스닝 테이프(7A)(도 36 참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37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패스닝 테이프(7)가 테이프 베이스단부(73)에 의해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의 피부 대향면(6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7)의 비피부 대향면(7b) 및 신축 패널(6)의 비피부 대향면(6b)에는 패스닝 테이프(7)의 신축 패널(6)에의 고정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76)가 패스닝 테이프(7)의 테이프 선단부(74)와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걸치도록 고정되어 있다. 보강 부재(76)로는, 예를 들면, 부직포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76)는 도 33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도 33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7)의 피부 대향면(7a) 및 신축 패널(6)의 피부 대향면(6a)에 보강 부재(76)를 패스닝 테이프(7)의 테이프 선단부(74)에 있어서 체결부(71)보다 본체 폭 방향(Y)의 내방의 부위(체결부(71)와 패널재(61)에 끼인 부위)와 외측 가장자리부(6A)에 걸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을 도 29 내지 도 33에 도시한 기저귀(1B)의 제조 방법을 예로 들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제4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B)의 제조 방법은, 신축 패널(6)의 제조 공정과, 상기 제조 공정으로 얻어진 신축 패널(6)을 흡수성 본체(5)의 구성 부재(이면 시트(3), 사이드 시트(82) 등)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도 38에는 본 실시 형태의 신축 패널의 제조 공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신축 패널의 제조 공정은, 1)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를 각각 전체를 일방향〔제조 라인의 흐름 방향(MD)과 직교하는 방향(CD)〕으로 잡아당긴 신장 상태에서 접착부(67, 68, 69)가 미리 설치된 패널재(61)의 상기 접착부(67, 68, 69)에 고정되어 복합체(6')를 얻는 공정과, 2) 복합체(6')에 있어서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의 상기 신장 상태를 해제하고, 각 탄성 부재(62)를 수축시키는 수축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신축 패널의 제조 공정은, 특허 문헌 5에 기재돈 바와 같은 공지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신축 패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먼저, 도 3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를 각각 전체를 CD로 잡아당긴 신장 상태로 한다. 신장 상태의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는 MD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상태에서 제조 장치에 감긴다.
또한, 1장의 패널재(61)를 준비하고, 상기 패널재(61)에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부(67, 68, 69)를 설치한다. 도 38(b)에는 접착부(67, 68, 69)가 설치된 패널재(61)의 접착제 도포면이 도시되어 있다. 패널재(61)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며, 패널재(61)의 폭 방향(CD)의 중앙부(6B')에 길이 방향(MD)으로 연장되는 연속 직선형의 복수 개의 접착부(67)가 설치되고, CD의 좌우 양측부(6A', 6C') 각각에 접착부(68, 69)가 설치되어 있다. 접착부(68, 69)는 모두 패널재(61)의 좌우 양측부(6A', 6C')의 전체 영역에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단일 색으로 빈틈없이 칠함)되어 형성되어 있다. CD로 인접하는 접착부(67, 67) 사이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아 비접착부로 되어 있다.
이어서,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를 각각을 CD로 잡아당긴 신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패널재(61)의 접착제 도포면에 맞닿게 하고, 접착부(67, 68, 69)에서 패널재(61)에 고정하고, 패널재(61)와 탄성 부재(62)와의 복합체를 얻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착부(67, 68, 69)가 미리 설치된 패널재(61) 이외에 상기 패널재(61)와 동일한 치수의 다른 패널재(61)를 1장 더 사용하고, 이들 2장의 패널재(61, 61)로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를 동시에 끼워넣어 복합체(6')를 얻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2장의 패널재(61, 61) 중 일측에는, 도 3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를 미리 도포해 두지만, 타측에는 접착제는 도포하지 않는다. 단, 2장의 패널재(61, 61) 둘 모두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해 두어도 좋다. 도 38(c)에는 2장의 패널재(61, 61) 사이에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가 협지 고정된 구성의 복합체(6')가 도시되어 있다. 복합체(6')에 있어서, 2장의 패널재(61, 61)끼리는 접착부(67, 68, 69)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다음 공정인 상기 수축 공정의 실시 전에 있어서 복합체(6')에 있어서는, 패널재(61)의 CD(탄성 부재(62)의 신장 방향)의 좌우 양측부(6A', 6C')의 접착부(68, 69)는 패널재(61)의 CD의 중앙부(6B')의 접착부(67)보다 접착력이 낮게 되어 있다. 접착부(67, 68, 69)의 접착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착부(68, 69)를 접착부(67)보다 적은 접착제 도포량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착부(68, 69)의 접착력을 상대적으로 낮게 하고 있다.
이어서, 복합체(6')에 있어서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의 신장 상태를 해제하고, 각 탄성 부재(62)를 수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장 상태의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 각각을 패널재(61)의 측부(6A')의 CD의 외방과 측부(6C')의 CD의 외방의 총 2곳에서 도시하지 않은 커터에 의해 절단하고, 각 탄성 부재(62)의 신장 상태를 해제한다. 이러한 절단에 의해 탄성 부재(62)에 있어서는 패널재(61)의 CD의 중앙부(6B')에 위치하는 부위는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높은 접착부(67)에 의해 신장 상태인 채 패널재(61)에 접착 고정되는 한편, 이러한 절단에 의해 생긴 탄성 부재(62)의 양단부(62p, 62q)는 각각 절단 당초의 패널재(61)의 CD의 외방 위치로부터 수축에 의해 패널재(61) 내로 이동하고, 패널재(61)의 CD의 좌우 양측부(6A', 6C')에서도 계속 수축하여 최종적으로 비신장 상태 또는 약신장 상태에서 접착부(68, 69)에 의해 패널재(61)에 접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38(d)에 도시한 신축 패널(6)이 얻어진다. 패널재(61)의 중앙부(6B')는 신축 패널(6)의 신축부(6B)가 되고, 패널재(61)의 측부(6A')는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가 되며, 패널재(61)의 측부(6C')는 신축 패널(6)의 내측 가장자리부(6C)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62)의 양단부(62p, 62q)의 수축시의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낮은 접착부(68, 69)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있어서 일단부(62p) 및 내측 가장자리부(6C)에 있어서 타단부(62q)는 모두 평면에서 보아 CD(신축 패널(6)의 폭 방향)로 연장되는 직선형이 되어 패널재(61)에 접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신축 패널의 제조 공정에서 얻어진 신축 패널(6)을 별도로 제조된 흡수성 본체(5)의 소정 부위에 부착하여 목적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1B)를 얻는다. 흡수성 본체(5)는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5 내지 제 7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제5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01)는,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123)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102)와, 상기 흡수성 본체(102)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103, 103)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제6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201)는,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123)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102)와, 상기 흡수성 본체(102)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203, 203)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제7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301)는,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123)를 포함하며, 배쪽부(A), 가랑이부(C) 및 등쪽부(B)를 갖는 흡수성 본체(2)와, 등쪽부(B)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2)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사이드 패널(303, 303)을 구비하고 있다. 신축성의 사이드 패널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신축성 패널이다.
일회용 기저귀(101, 201, 301)에 공통되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일회용 기저귀(101, 201, 30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는, 도 40, 도 47 및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121)와,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 시트(122)와, 이들 두 시트(121, 122) 사이에 개재된 액유지성의 흡수체(123)를 가지고 있다. 흡수성 본체(102)는, 도 40, 도 47 및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101, 201, 301)의 내면을 이루는 표면 시트(121)와 기저귀(101, 201, 301)의 외면을 이루는 이면 시트(122)를 이들 두 시트(121, 122) 사이에 흡수체(123)를 개재시켜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102)는 그 길이 방향의 양측부를 따라 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 124)가 배치되어 있다. 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는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있어서 표면 시트(121) 및 상기 표면 시트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이면 시트(122)에 고정되어 있다. 각 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는 흡수성 본체(102)의 폭 방향(Y 방향) 내방측의 끝 가장자리 근방에 상기 끝 가장자리를 따라 입체 가드 형성용 탄성 부재(125)를 가지고 있으며, 착용시에는 그 탄성 부재(125)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끝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폭의 부분이 표면 시트(121)로부터 이간되어 입체 가드를 형성한다. 또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 양측부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부분에는 레그 개더 형성용 탄성 부재(126)가 배치되어 있다. 착용시에는 탄성 부재(126)의 수축에 의해 레그 개더가 형성되고, 다리 둘레에 대해 양호하게 피트된다.
흡수성 본체(102)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배쪽에 위치하는 배쪽부(A), 등쪽에 위치하는 등쪽부(B) 및 고간부에 위치하는 가랑이부(C)를 갖는 세로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사이드 패널(103, 103, 203, 203, 303, 303)은 등쪽부(B)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패널(103, 103, 203, 203)은 각각의 연장 방향(Y 방향)의 선단측에 체결부(141) 달린 탭(104)이 설치되어 있다. 일회용 기저귀(301)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303, 303)에도 각각의 연장 방향(Y 방향)의 선단부에 패스닝 테이프(30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체결부(141) 달린 탭(104)은 본원 발명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에 해당하므로, 이하, 탭(104)을 패스닝 테이프(104)라고도 한다. 한편, 기저귀(101, 201, 301)의 배쪽부(A)의 외면에는 체결부(141, 341)를 고정시키는 랜딩 존(105)이 설치되어 있으며, 기저귀(101, 201)를 장착할 때에는 패스닝 테이프(104, 304)를 손으로 잡아당기고, 그 패스닝 테이프(104)를 도 41, 도 48 및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랜딩 존(105)에 가압하여 상기 패스닝 테이프(104)를 랜딩 존(105)에 체결하여 착용자에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104, 304)는 테이프 기재(142, 342)와, 상기 테이프 기재(142, 342)에 접합되어 체결부(141, 341)를 형성하는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143, 343)로 이루어진다.
기저귀(101)는,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 중앙선(CL)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패널(103, 103)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0의 좌측의 사이드 패널의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하지만, 우측의 사이드 패널의 구성도 좌우 대칭인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기저귀(201)는,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 중앙선(CL)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패널(203, 203)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7의 좌측의 사이드 패널의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하지만, 우측의 사이드 패널의 구성도 좌우 대칭인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기저귀(301)는,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 중앙선(CL)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패널(303, 303)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4의 좌측의 사이드 패널의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하지만, 우측의 사이드 패널의 구성도 좌우 대칭인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사이드 패널(103, 203)은, 도 42및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형태로 펼친 상태에 있어서 직사각형이다. 또한, 사이드 패널(103, 203)은, 도 42 및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부직포(131, 132)와 그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탄성 부재(133)를 가지고 있다. 탄성 부재(133)는 각각 흡수성 본체(102)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사이드 패널(103, 203)의 연장 방향(Y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가, 상기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X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102)의 폭 방향을 따르는 사이드 패널(103, 203)의 연장 방향을 단순히 Y 방향, 사이드 패널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단순히 X 방향이라고도 한다.
사이드 패널(103, 203)에 배치된 복수 개의 탄성 부재(133)는 사이드 패널(103, 203)에 Y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130, 230)를 형성하고 있다. 신축부(130, 230)는 사이드 패널(103, 203)의 Y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있어도 좋으나, 두 실시 형태의 기저귀(103, 203)에 있어서는 사이드 패널(103, 203)의 Y 방향의 양단부의 소정 폭을 제외한 부분이 신축부(130, 230)로 되어 있다. 신축부(130, 230)는 탄성 부재(133)의 탄성 신축력에 의해 사이드 패널(103, 203)의 Y 방향으로 신축한다.
제5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01)에 대해 더 설명하면, 사이드 패널(103)의 신축부(130)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03)의 연장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Y 방향)에 있어서 탭(104)을 갖는 범위(H1)에 위치하는 부분(도 42 중의 사선부)이 신장 응력이 높은 고신장 응력부(Ga)로 되어 있고, 동 방향(Y 방향)에 있어서 고신장 응력부(Ga)보다 가랑이부(C)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고신장 응력부(Ga)보다 신장 응력이 낮은 저신장 응력부(Gb)로 되어 있다. 고신장 응력부(Ga) 및 저신장 응력부(Gb)는 양자를 비교했을 때에 상대적으로 신장 응력이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이다.
또한, "신장 응력"은 사이드 패널(103)의 Y 방향의 단위 길이 당 100% 신장시의 하중이며, 하기 방법에 의해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 응력의 측정 방법>
신장 응력은 시마즈 제작소 오토 그래프에 의한 인장 시험에 의해 구했다. 시험편은 기저귀(101)로부터 사이드 패널을 본체에 부착된 부분(본체 부착부)째로 잘라내고, 기저귀의 Y 방향의 길이가 사이드 패널의 전체 길이, X 방향의 길이(폭)가 25mm인 시험편을 얻었다. 상기 시험편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103)의 테이프 부착측의 비신축 영역과, 본체 부착 부분을 척으로 파지하고, 인장 속도 300mm/min으로 신장시켰다. 자연스럽게 수축된 상태의 길이로부터 사이드 패널을 설계 치수(탄성 부재의 영향을 일절 배제한 상태에서 평면 형태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동일(사이드 패널(103)을 구성하는 부직포가 찢어지지 않는 상태의 범위에서))가 될 때까지 신장시켰을 때(100% 신장시)의 하중(풀 스페이스:50N)을 구하고, 이를 X 방향의 단위 길이(25mm) 당 100% 신장시의 하중으로 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103)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03)은 그 연장 방향(Y 방향)의 선단(103a) 측에 2장의 부직포(131, 132) 사이가 X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접합된 선단측 체결부(135)를 가지며, 그 연장 방향(Y 방향)의 베이스단(103b) 측에 2장의 부직포(131, 132) 사이가 X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접합된 베이스단측 체결부(137)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사이드 패널(103)에 배치된 탄성 부재(133)는 모두 선단측 체결부(135)와 베이스단측 체결부(137) 사이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측 체결부(135) 및 베이스단측 체결부(137) 각각에 있어서 접착제(135A, 137A)를 통해 부직포(131, 132)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103)에 있어서는, X 방향에 있어서, 선단측 체결부(135)와 베이스단측 체결부(137) 사이가 X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130)로 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130) 전체가 2장의 부직포(131, 132) 사이가 분산 배치된 다수 개의 융착부(139)에 있어서 융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탄성 부재(133)가 그들 융착부(139)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유연 신축부(138)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단측 체결부(135)와 베이스단측 체결부(137) 사이에 부직포(131, 132) 사이가 열 엠보싱 가공에 의해 열융착된 다수 개의 도트형 융착부(139)가 형성되어 있고, 그들 도트형 융착부(139)는 사이드 패널(103)의 Y 방향 및 X 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다. 또한, 도트형 융착부(139)는 복수 개(도시한 예에서는 11개)의 도트형 융착부(139)가 X 방향으로 직렬되어 이루어지는 융착부열(S)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융착부열(S)이 Y 방향으로 복수 열(도시한 예에서는 6열) 형성되어 있다.
유연 신축부(138)인 신축부(130)에 있어서는, 사이드 패널에 배치된 복수 개의 탄성 부재(133)가 모두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도트형 융착부(139, 139)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고, 어느 탄성 부재(133)도 도트형 융착부(139)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들 탄성 부재(133)는 선단측 체결부(135)와 베이스단측 체결부(137) 사이에 있어서는 어느 부직포(131, 132)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다. 단, 융착부열(S) 내의 서로 이웃하는 융착부(139, 139) 사이에 있어서는 부직포(131, 132)가 신축부(130)에 있어서 다른 부위에 비해 강하게 탄성 부재(133)에 접촉되어 있다.
탄성 부재(133)는 선단측 체결부(135) 및 베이스단측 체결부(137)를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135A, 137A)를 부직포(131, 132)의 어느 일측에 도공한 후, 그 도공부 위에 탄성 부재를 신장 상태에서 배치하고, 그 신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들 상기 탄성 부재 위에 타측의 부직포를 더 배치한 후, 그들을 일체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부직포(131, 132)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트형 융착부(139)는 부직포(131, 132) 사이에 탄성 부재(133)를 고정한 후에 열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기저귀(101)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103)은, X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탭(104)을 갖는 범위(H1)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33)를 배치할 때의 탄성 부재(133)의 신장률을, 상기 범위(H1)보다 가랑이부(C) 측에 위치하는 탭(104)을 갖지 않는 범위(H2)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33)를 배치할 때의 탄성 부재(133)의 신장률보다 높게 함으로써 전술한 고신장 응력부(Ga) 및 저신장 응력부(G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패널(103)에 고신장 응력부(Ga) 및 저신장 응력부(Gb)를 형성함에 있어서, 종류나 굵기가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탄성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재 관리의 부담이나 제조 비용의 경감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단, 고신장 응력부(Ga) 및 저신장 응력부(Gb)에 종류나 굵기 등이 서로 다른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기저귀(101)를 착용자에게 장착할 때에는 탭(104)을 손으로 잡아당기고, 사이드 패널(103)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탭(104)을 랜딩 존(105)에 가압하여 체결한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01)에 따르면, 신축부(130)에 있어서, 탭(104)을 갖는 범위(H1)에 위치하는 부분이 고신장 응력부(Ga)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탭(104)을 잡아당겨 기저귀(101)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03)의 수축력을, 등쪽부(B)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의 움푹 들어간 부분(P)에 맞닿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등의 움푹 들어간 부분(P)에 착용자의 피부와 기저귀 사이의 틈새가 잘 생기지 않는다.
또한, 사이드 패널(103)은, 탭(104)을 갖는 범위(H1)보다 하방(가랑이부(C)측)에 위치하는 부분(H2)을 가지며, 상기 부분(H2)에 고신장 응력부(Ga)보다 신장 응력이 낮은 저신장 응력부(Gb)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필요 이상의 인장력을 가하지 않아도 되어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신장 응력부(Ga)는 착용자의 등쪽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기한 신장 응력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 사이드 패널(103)의 X 방향의 길이 25mm 당 신장 응력이 1.3N 내지 3.5N, 특히 2.0N 내지 3.5N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신장 응력부(Gb)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과도하게 조이지 않고 적당한 피트성을 갖게 하는 관점에서, 동일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 사이드 패널(103)의 X 방향의 길이 25mm 당 신장 응력이 0.3N 내지 2.5N, 특히 0.5N 내지 2.0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다리 둘레의 자국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고신장 응력부(Ga)의 상기 신장 응력은 상기 저신장 응력부(Gb)의 상기 신축 응력에 대한 비(전자/후자)가 1.3 내지 3.0배, 특히 1.4 내지 2.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탄성 부재(133)를 고정할 때의 신장률을 다르게 하여 고신장 응력부(Ga)와 저신장 응력부(Gb)를 형성하는 경우, 고신장 응력부(Ga)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33a)의 신장률은 2.0배 내지 4.0배, 특히 2.5배 내지 3.5배로 하는 것이 장착시의 인장 용이함 및 배 둘레의 피트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저신장 응력부(Gb)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33b)의 신장률은 1.1배 내지 3.0배, 특히 1.2배 내지 2. 5배로 하는 것이 다리 둘레의 피트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고신장 응력부(Ga)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33a)의 신장률은 저신장 응력부(Gb)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33b)의 신장률에 대한 비(전자/후자)가 1.3 내지 3.0, 특히 1.4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신장 응력부(Ga)에는 3 내지 10개, 특히 4 내지 8개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신장 응력부(Gb)에도 1 내지 9개, 특히 2 내지 8개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부분의 탄성 부재의 신장률은 하기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탄성 부재의 신장률의 측정 방법>
수축(자연 길이) 상태의 사이드 패널에 X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2곳의 표시를 한다. 다음, 사이드 패널을 설계 치수(탄성 부재의 영향을 모두 배제한 상태에서 평면 형태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동일)가 될 때까지 신장시키고, 그 때의 표시의 간격을 측정한다. 이 신장 전후의 측정치로부터 하기식에 의해 신장 배율로서 구한다.
[신장시 간격]/[수축시 간격]= 신장률(배)
또한, 착용자의 등쪽측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사이드 패널(103)의 상단(103c)부터 탭(104)까지의 거리(L1)는 사이드 패널(103)의 X 방향의 전체 길이(L)의 0 내지 30%, 특히 5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고, 사이드 패널(103)의 하단(103d)부터 탭(104)까지의 거리(L2)는 사이드 패널(103)의 X 방향의 전체 길이(L)의 30 내지 60%, 특히 35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거리(L2)는 상기 거리(L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거리(L2)와 상기 거리(L1)의 차(L2-L1)는 상기 전체 길이(L)의 10 내지 55%, 특히 1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패널(103)의 X 방향의 전체 길이(L)는 흡수성 본체(102)의 X 방향의 전체 길이(중앙선(CL)을 따라 측정)의 15 내지 25%, 특히 16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 등쪽부 측의 끝 가장자리(102b)부터 사이드 패널(103)까지의 거리(L3)는 0 내지 2.5cm, 특히 0.5 내지 2.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패널(103)의 X 방향의 전체 길이(L), 상기 거리(L1, L2)는 사이드 패널(103)의 선단(103a)의 위치, 상기 거리(L3)는 사이드 패널(103)의 베이스단(103b)의 위치에서 측정한다.
사이드 패널재의 각 부분의 치수 등은 탄성 부재 등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사이드 패널을 설계 치수(탄성 부재의 영향을 모두 배제한 상태에서 평면 형태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동일)가 될 때까지 펼친 상태에서 측정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는 관점에서, 신축부(130)의 Y 방향의 길이(L4)(도 42 참조)는 사이드 패널(103)의 연장 방향(Y 방향)의 전체 길이(L5)(도 42 참조)에 대해 65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내지 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고신장 응력부(Ga)와 저신장 응력부(Gb)는 Y 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부(130), 고신장 응력부(Ga), 저신장 응력부(Gb)에 형성된 융착부(139)는 복수 개의 융착부(139)가 X 방향으로 직렬된 융착부열(S)을 Y 방향으로 복수 열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33)가 수축했을 때 융착부열(S)들 사이에 있어서 2장의 부직포(131, 132)가 각각 탄성 부재(133)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면 볼록형으로 변형되기 쉽고, 복수 개의 탄성 부재(133)에 걸쳐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134)이 형성되기 쉽다. 따라서, 신축부(130), 고신장 응력부(Ga) , 저신장 응력부(Gb)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부분이 유연하고, 착용자의 측부나 다리 둘레 등에 닿는 감촉도 뛰어나다.
기저귀(101, 201)의 구성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사이드 패널(103, 203)을 구성하는 부직포(131, 132), 탭(104)의 테이프 기재(142)로는 종래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부직포 등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102)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121), 이면 시트(122), 흡수체(123)로는 각각 종래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 등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121)로는 친수성 및 액투과성의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면 시트(122)로는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수지 필름이나 수지 필름과 부직포의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123)로는 펄프 섬유 등의 섬유의 집합체(부직포여도 좋음). 또는 여기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유지시켜 이루어지는 흡수성 코어를 투수성의 얇은 종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 시트로 피복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체 가드를 구성하는 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로는 신축성의 필름, 부직포, 직물 또는 그들의 적층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133), 입체 가드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125), 레그부 탄성 부재(126)로는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틸-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 형태 내지 끈 형태의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실 형태 내지 끈 형태의 탄성 부재로는 단면이 원형, 정사각형인 것 이외에, 단면이 타원형, 단면 직사각형 등의 폭이 가는 띠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멀티필라멘트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이드 패널(103)에 있어서 탄성 부재(133)의 폭(또는 지름)은, 예를 들면, 0.1 내지 1mm이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mm이다.
탭(104)으로는 부직포 등의 테이프 기재의 일측 면 위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후크 부재를 열융착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붙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제5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는, 사이드 패널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03)와 다르다.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이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하여 적당히 적용된다.
제2 실시 형태의 기저귀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103A)에 있어서는,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03A)의 Y 방향에 있어서 P1부터 P2까지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2장의 부직포(131, 132) 사이가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며, 도면 중에 부호 130A으로 표시한 범위가 Y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130A)로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축부(130A)는,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03)의 연장 방향(Y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 방향)에 있어서 탭(104)을 갖는 범위(H1)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탄성 부재(133a)가 상대적으로 좁은 피치로 배치되고, 해당 부분이 신장 응력이 높은 고신장 응력부(Ga)로 되어 있다. 다른 한편, 동 방향(X 방향)에 있어서 고신장 응력부(Ga)보다 가랑이부(C)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고신장 응력부(Ga)보다 넓은 피치로 탄성 부재가 배치되고, 해당 부분이 고신장 응력부(Ga)보다 신장 응력이 낮은 저신장 응력부(Gb)로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사이드 패널(103A)에 고신장 응력부(Ga) 및 저신장 응력부(Gb)를 형성함에 있어서, 종류나 굵기가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탄성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재 관리의 부담이나 제조 비용의 경감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단, 고신장 응력부(Ga) 및 저신장 응력부(Gb)에 종류나 굵기 등이 서로 다른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기저귀에 따르면, 신축부(130A)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103)의 X 방향의 탭(104)을 갖는 범위(H1)에 위치하는 부분이 고신장 응력부(Ga)로 되어 있는 한편, 탭(104)을 갖는 범위(H1)보다 하방(가랑이부(C) 측)에 위치하는 부분(H2)을 가지며, 해당 부분(H2)이 고신장 응력부(Ga)보다 신장 응력이 낮은 저신장 응력부(Gb)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기저귀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탄성 부재(133)를 고정할 때의 X 방향의 배치 피치를 다르게 하여 고신장 응력부(Ga)와 저신장 응력부(Gb)를 형성하는 경우, 고신장 응력부(Ga)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33a)의 배치 피치는 저신장 응력부(Gb)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33b)의 배치 피치에 대한 비(전자/후자)가 0.1 내지 0.6, 특히 0.2 내지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의 피치는 X 방향에 있어서 탄성 부재의 동 위치 사이(X 방향의 중앙 위치 등)의 거리를 측정한다.
고신장 응력부(Ga)에는 3 내지 12개, 특히 4 내지 10개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신장 응력부(Gb)에도 1 내지 8개, 특히 2 내지 6개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 형태의 기저귀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103B)에 있어서는,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03B)의 연장 방향(Y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 방향)에 있어서 탭(104)을 갖는 범위(H1)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굵기가 상대적으로 큰 탄성 부재(133a)가 배치되고, 해당 부분이 신장 응력이 높은 고신장 응력부(Ga)로 되어 있다. 다른 한편, 동 방향(X 방향)에 있어서 고신장 응력부(Ga)보다 가랑이부(C)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고신장 응력부(Ga)보다 굵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 부재(133b)가 배치되고, 해당 부분이 고신장 응력부(Ga)보다 신장 응력이 낮은 저신장 응력부(Gb)로 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사이드 패널(103B)은 제1 실시 형태의 사이드 패널(103)과 동일하게, 연장 방향(X 방향)에 있어서, 선단측 체결부(135)와 베이스단측 체결부(137) 사이가 X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130)로 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130) 전체가 2장의 부직포(131, 132) 사이가 분산 배치된 다수 개의 융착부(139)에 있어서 융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탄성 부재(133)가 그들 융착부(139)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유연 신축부(138)로 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기저귀에 따르면, 신축부(130)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103)의 Y 방향의 탭(104)을 갖는 범위(H1)에 위치하는 부분이 고신장 응력부(Ga)로 되어 있는 한편, 탭(104)을 갖는 범위(H1)보다 하방(가랑이부(C) 측)에 위치하는 부분(H2)을 가지며, 해당 부분(H2)이, 고신장 응력부(Ga)보다 신장 응력이 낮은 저신장 응력부(Gb)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기저귀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탄성 부재(133)의 굵기를 다르게 하여 고신장 응력부(Ga)와 저신장 응력부(Gb)를 형성하는 경우, 고신장 응력부(Ga)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33a)의 폭 또는 직경은, 저신장 응력부(Gb)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33b)의 폭 또는 직경 대한 비(전자/후자)가 1.5 내지 10, 특히 2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제5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이드 패널의 신축부(130, 130A)는 사이드 패널의 연장 방향(Y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 방향)에 있어서 탭(104)을 갖는 범위(H1)보다 상단(103c) 측에 단위 길이 당 신장 응력이 탭(104)을 갖는 범위(H1)의 고신장 응력부(Ga)보다 낮은 제2 저신장 응력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단, 제2 저신장 응력부의 X 방향의 길이는 고신장 응력부(Ga)보다 가랑이부 측에 위치하는 저신장 응력부(Gb)의 X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부(130)는 Y 방향 전체 대신 일부가 유연 신축부(138)이어도 좋다. 유연 신축부(138)에 형성하는 융착부열(S)의 갯수도 도 42나 도 46에 도시한 6개 대신, 3개 내지 12개, 또는 13개 이상(예를 들면 5 내지 20개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융착부열(S)을 구성하는 도트형 융착부(139)의 갯수도 사이드 패널에 배치하는 탄성 부재(133)의 갯수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트형 융착부(139)의 형상은 직사각형, 장원, 원, 타원, 마름모꼴, 삼각형, 오각형 등의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융착부열(S) 대신 2장의 부직포 사이가 접착제 또는 히트 씰 등에 의해 Y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선 또는 띠형의 접합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한 장의 사이드 패널에 배치하는 탄성 부재(133)의 갯수도 적당히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5 내지 20개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개 정도이다.
또한, 탭(104)의 체결부는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 대신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부일 수도 있다.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체결부(141)를 체결하는 랜등 존은 이면 시트(122)의 외면에 기계적 면 패스너의 암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해도 좋고, 이면 시트(122)의 외면을 결합성이 뛰어난 부직포로 구성하고, 그 소정 영역을 랜딩 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융착부(139)는 열 엠보싱 가공 외에, 초음파 엠보싱, 고주파 엠보싱에 의해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선단측 접합부 및 베이스단측 접합부도 접착제 대신 열 엠보싱 가공, 초음파 엠보싱, 고주파 엠보싱에 의한 융착 등에 의해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접착제와 열 엠보싱 가공 등의 병용에 의한 접합부이어도 좋다.
또한, 도 43에는 탭(104)의 테이프 기재(142)를 부직포(131, 132) 사이에 접착제(142A)를 통해 고정한 예를 도시했지만, 상기 테이프 기재(142)를 부직포(131, 132) 사이에 열엠보싱 가공 등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고정해도 좋고, 상기 테이프 기재(142)를 부직포(132)의 외면(부직포(131) 측이 아닌 면) 측에 접착제나 열융착 등에 의해 접합해도 좋다.
사이드 패널(103)의 흡수성 본체(102)에 대한 고정도 동일하며, 도 43에는 사이드 패널을 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와 이면 시트(122) 사이에 접착제(127)를 통해 고정한 예를 도시했지만, 사이드 패널을 흡수성 본체(102)를 구성하는 시트 사이에 열융착 등에 의해 고정해도 좋고, 사이드 패널을 이면 시트(122)의 외면(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 측이 아닌 면) 측에 접착제나 열융착 등에 의해 접합해도 좋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는 입체 가드를 갖지 않는 것이어도 좋고, 사이드 패널을 흡수성 본체(102)의 양측부에 있어서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나 표면 시트 위에 고정해도 좋다.
제6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203)에 대해 더 설명하면, 사이드 패널(203)은, 그 연장 방향(Y 방향)의 선단측에 3개의 띠 형태의 연속 접합부(235)를 가지고 있다. 이들 연속 접합부(235)(이하, 선단측 연속 접합부라고도 함)는,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부직포(131, 132) 사이를 접착제(235A)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접착제(235A)는,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203)의 X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속 접합부(235)를 형성하는 접착제(235A)는 사이드 패널(203)에 배치된 모든 탄성 부재(133)를 부직포(131 및/또는 132)에 대해 고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속 접합부(235)를 형성하는 접착제(235A)는 사이드 패널(203)의 상단 가장자리(203c)에 가장 가까운 탄성 부재(133)의 배치 위치로부터 하단 가장자리(203d)에 가장 가까운 탄성 부재(133)의 배치 위치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이드 패널(203)의 평면에서 보아 연속 접합부(235)가 모든 탄성 부재(133)와 교차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연속 접합부(235)가 사이드 패널(203)의 X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사이드 패널(203)의 상단 가장자리(203c)는 사이드 패널(203)의 X 방향에 있어서, 기저귀의 웨이스트단(102b) 측에 위치하는 끝 가장자리이며, 하단 가장자리(203d)는 사이드 패널(203)의 X 방향에 있어서 기저귀의 가랑이부(C) 측에 위치하는 끝 가장자리이다.
또한, 연속 접합부를 형성하는 접착제(235A)는 부직포(131, 132)의 어느 일측에 도공한 후, 그 도공부 위에 탄성 부재(133)를 배치하고, 그 위에 타측의 부직포를 배치한 것이어도 좋고, 부직포(131, 132) 둘 모두에 도공하고, 그 도공부들 사이에 탄성 부재(133)를 끼운 것이어도 좋다. 후술하는 접착제(137A)나 중앙 연속 접합부(140)를 형성하는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의 Y 방향의 폭(W1)(도 49 참조)은 사이드 패널에 딱딱한 부분을 가능한 한 만들지 않게 하는 관점 및 탄성 부재(133)를 부직포(131, 132) 사이에 강고하게 고정하는 필요성에서 1 내지 6mm, 특히 2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Y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들 사이의 폭(W2)(도 49 참조)은 탄성 부재의 신축 물성의 효율적인 발현과 시각적 인상의 점에서 2 내지 8mm, 특히 3 내지 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이웃하는 연속 접합부(235)들 사이는 부직포(131)와 부직포(132) 사이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136)로 되어 있으며, 비접합부(136)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133)와 부직포(131) 사이, 탄성 부재(133)와 부직포(132) 사이 및 부직포(131)와 부직포(132) 사이의 어느 것도 접합되어 있지 않다.
또한, 패널의 양호한 신축성 발현과 투습성이나 통기성의 확보의 관점에서, 복수 개의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가 형성되는 Y 방향 길이(L1)(가장 선단(203a)에 가까운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의 선단(203a) 측의 끝 가장자리부터 가장 베이스단(203b)에 가까운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에 있어서 베이스단(203b) 측의 끝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사이드 패널(203)의 신축부(230)의 길이(L2)에 대해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치수는 탄성 부재(133) 등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사이드 패널을 설계 치수(탄성 부재의 영향을 모두 배제한 상태에서 평면 형태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동일)가 될 때까지 펼친 상태에서 측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203)은, 그 연장 방향(Y 방향)의 베이스단측에도 전술한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도 2장의 부직포(131, 132) 사이를 접착제(237A)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접착제(237A)도,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203)의 X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를 형성하는 접착제(237A)는 사이드 패널(203)에 배치된 모든 탄성 부재(133)를 부직포(131 및/또는 132)에 대해 고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를 형성하는 접착제(237A)도 사이드 패널(203)의 상단 가장자리(203c)에 가장 가까운 탄성 부재(133)의 배치 위치부터 하단 가장자리(203d)에 가장 가까운 탄성 부재(133)의 배치 위치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이드 패널(203)의 평면에서 보아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가 모든 탄성 부재(133)와 교차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가 사이드 패널(203)의 X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의 Y 방향의 폭(W3)(도 49 참조)은 사이드 패널에 딱딱한 부분을 가능한 한 만들지 않게 하는 관점 및 탄성 부재(133)를 부직포(131, 132) 사이에 강고하게 고정하는 필요성에서 1 내지 6mm, 특히 2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203)은, 사이드 패널의 베이스단(203b)과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 사이에, 2장의 부직포(131, 132) 사이가 분산 배치된 다수 개의 융착부(139)에 있어서 융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탄성 부재(133)가 그들 융착부(139)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중간 신축 영역(238)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 중 가장 베이스단(203b) 측의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와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 사이에 부직포(131, 132) 사이가 열 엠보싱 가공에 의해 열융착된 다수 개의 도트형 융착부(139)가 형성되어 있고, 그들 도트형 융착부(139)는 사이드 패널(203)의 Y 방향 및 X 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트형 융착부(139)는 복수 개(도시한 예에서는 11개)의 도트형 융착부(139)가 X 방향으로 직렬되어 이루어지는 융착부열(S)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융착부열(S)이 Y 방향으로 복수 열(도시한 예에서는 4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신축 영역(238)에 있어서는 사이드 패널에 배치된 복수 개의 탄성 부재(133) 모두가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도트형 융착부(139, 139)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고, 모두 탄성 부재(133)도 도트형 융착부(139)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탄성 부재(133)는 중간 신축 영역(238)에 있어서는 어느 부직포(131, 132)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다. 단, 융착부열(S) 내의 서로 이웃하는 융착부(139, 139) 사이에 있어서는 부직포(131, 132)가 중간 신축 영역(238)에 있어서 다른 부위에 비해 강하게 탄성 부재(133)에 접촉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기저귀(201)를 착용자에게 장착할 때에는 탭(104)을 손으로 잡아당기고, 사이드 패널(203)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탭(104)을 랜딩 존(105)에 가압하여 체결한다.
그와 같이 하여 기저귀(201)를 장착할 때, 혹은, 그와 같이 하여 장착한 기저귀(201)의 착용 중에는 사이드 패널(203)에 강한 인장력이 가해질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201)에 따르면, 사이드 패널(203)에 강한 인장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인장력이 가해지는 단부, 특히 힘이 집중되기 쉬운 탭(104)을 갖는 선단측의 단부에 복수 개의 연속 접합부(235)를 갖기 때문에, 한 개의 연속 접합부(235)로부터 탄성 부재(133)가 빠져 버려도, 다른 연속 접합부(235)에 의한 고정 상태는 유지되기 때문에 사이드 패널 전체의 신축성이 손상되는 것은 방지된다. 이에 반해, 예를 들면,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가 1개인 경우에는, 그 접합부(235)에서 고정되어 있던 탄성 부재(133)가 그 접합부(235)로부터 빠지면, 그 탄성 부재의 신장 상태가 해제되어 사이드 패널의 신축부 전체의 신축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사이드 패널(203)의 Y 방향에 있어서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보다 베이스단(203b) 측은 기저귀(201)의 착용중에 피부에 직접 맞닿은 상태가 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201)에 있어서 중간 신축 영역(238)은 비교적 피부에 닿기 쉬운 부위에 배치되는데, 부직포(131, 132) 사이가 분산 배치된 융착부(139)에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패널(203)에 양호한 투습성이나 통기성이 유지되고 있어 땀참 등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이 잘 생기지 않는다. 또한, 융착부(139)가 사이드 패널의 X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중간 신축 영역(238)은 유연하다. 따라서, 피부에 닿는 감촉이 보드러워 착용자에게 불쾌감 등을 잘 주지 않는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사이드 패널(203)은 신장했을 때에 패널 자체가 잘 넥인되지 않기 때문에 인장력이 패널 전체에 분산되어 피부 감촉이 훨씬 보드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사이드 패널(203)에 있어서는, 사이드 패널의 베이스단(203b) 측에도 전술한 구성의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를 갖기 때문에 사이드 패널의 베이스단측에 있어서도 탄성 부재(133)에 빠짐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이드 패널(203)의 신축성이 손상되는 것이 훨씬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중간 신축 영역(238)에 형성된 융착부(139)는 복수 개의 융착부(139)가 X 방향으로 직렬된 융착부열(S)을 Y 방향으로 복수 열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33)가 수축했을 때에 융착부열(S)들 사이에 있어서 2장의 부직포(131, 132)가 각각 탄성 부재(1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면 볼록형으로 변형되기 쉽고, 복수 개의 탄성 부재(133)에 걸쳐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134)이 형성되기 쉽다. 따라서, 중간 신축 영역(238)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부분이 훨씬 유연해지고, 추종 변형성도 훨씬 양호하기 때문에 피부에 닿는 감촉 등이 훨씬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는 관점에서, 중간 신축 영역(238)의 Y 방향의 길이(L)3(도 49 참조)는 사이드 패널(203)의 신축부(230)의 길이(L2)(도 49 참조)에 대해 5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융착부열(S)의 Y 방향의 총 길이는 중간 신축 영역(238)의 Y 방향의 길이(L3)에 대해 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이드 패널(203)에 있어서 탄성 부재(133)의 폭(또는 지름)은, 예를 들면, 0.13mm이고, 바람직하게는 0.52mm이다.
탭(104)으로는 부직포 등의 테이프 기재의 일측 면 위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후크 부재를 열융착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붙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장의 사이드 패널에 배치하는 탄성 부재(133)는 동일 종류의 것을 동일한 신장률로 배치하는 것이 제조 비용이나 제조 공정의 간이화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제6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도 5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는 사이드 패널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제2 실시 형태의 기저귀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203A)에 있어서는,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가 2개 형성되고,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가 하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패널(203A)의 연장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와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 사이에 중앙 연속 접합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Y 방향에 있어서, 중앙 연속 접합부(240)를 사이에 둔 양측에 중간 신축 영역(238A) 및 중간 신축 영역(238B)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신축 영역(238A, 238B)에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203)의 중간 신축 영역(238)에 있어서 융착부열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융착부열(S)이 복수 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신축 영역(238A, 238B)은 각각 융착부열(S)의 갯수가 서로 다른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중간 신축 영역(238)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이드 패널(203A)에 형성된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는 설치된 갯수가 서로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이드 패널(203A)에 형성된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중앙 연속 접합부(240)도 2장의 부직포(131, 132) 사이를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접착제도,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203A)의 X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중앙 연속 접합부(240)를 형성하는 접착제는 사이드 패널(203A)에 배치된 모든 탄성 부재(133)를 부직포(131 및/또는 132)에 대해 고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앙 연속 접합부(240)를 형성하는 접착제도 사이드 패널(203A)의 상단 가장자리(203c)에 가장 가까운 탄성 부재(133)의 배치 위치부터 하단 가장자리(203d)에 가장 가까운 탄성 부재(133)의 배치 위치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이드 패널(203A)의 평면에서 보아 중앙 연속 접합부(240)가 모든 탄성 부재(133)와 교차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 연속 접합부(240)가 사이드 패널(203)의 X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중앙 연속 접합부(240)의 Y 방향의 폭(W4)(도 51 참조)은 사이드 패널에 딱딱한 부분을 가능한 한 만들지 않게 하는 관점 및 탄성 부재(133)를 부직포(131, 132) 사이에 강고하게 고정하는 필요성에서 1 내지 6mm, 특히 2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 이외에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이드 패널의 선단측에서는 장착하려고 잡아당길 때의 인장 방향이 비스듬해지거나 비틀어져서 부직포와 접착제 도공 부분에 부하가 걸리기 쉽다. 또한, 장착중에 있어서도 복부나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부직포에 꼬임이나 신장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인장력이 가해져 큰 부하가 걸린다. 따라서, 테이프 기재 접합 부분에 가까운 탄성 부재 체결부에서는 특히 탄성 부재의 빠짐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시의 인장 방향이나 장착 후의 동작에 의한 부직포(131, 132)와 접착제 도공 부분에 가해지는 부담이 영향을 잘 미치지 않는 사이드 패널(203A)의 중앙부 부근에 중앙 연속 접합부(240)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탄성 부재(133)의 빠짐을 방지하고 신축부(230) 전체의 신축성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제6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237)를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와 동일하게 Y 방향으로 이간시켜 복수 개 설치해도 좋다. 도 52에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를 2개 설치한 예를 도시했다.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를 복수 개 설치함으로써 사이드 패널의 베이스단(203b) 측에 있어서 탄성 부재(133)의 소위 고무 빠짐을 훨씬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 연속 접합부(235)의 갯수는, 도 49에 도시한 3개 대신,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할 수도 있고, 또한 4개 이상(예를 들면 48개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간 신축 영역(238)에 형성하는 융착부열(S)의 갯수도 도 49에 도시한 4개 대신, 1개,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예를 들면 4 내지 15개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융착부열(S)을 구성하는 도트형 융착부(139)의 갯수도 사이드 패널에 배치하는 탄성 부재(133)의 갯수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트형 융착부(139)의 형상은 직사각형, 장원, 원, 타원, 마름모꼴, 삼각형, 오각형 등의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한 장의 사이드 패널에 배치하는 탄성 부재(133)의 갯수도 적당히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5 내지 20개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개 정도이다.
또한, 탭(104)의 체결부는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 대신,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부이어도 좋다.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체결부(141)를 체결하는 랜딩 존은 이면 시트(122)의 외면에 기계적 면 패스너의 암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해도 좋고, 이면 시트(122)의 외면을 결합성이 뛰어난 부직포로 구성하고, 그 소정 영역을 랜딩 존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사이드 패널(203)의 선단(203a) 근방에 직접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 등을 고정하여 체결부(141)로 해도 좋다.
또한, 중간 신축 영역(238, 238A, 238B) 등에 설치하는 융착부(139)는 열 엠보싱 가공 이외에 초음파 엠보싱, 고주파 엠보싱에 의해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50에는 탭(104)의 테이프 기재(142)를 부직포(131, 132) 사이에 접착제(142A)를 통해 고정한 예를 도시했는데, 상기 테이프 기재(142)를 부직포(131, 132) 사이에 열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고정해도 좋고, 상기 테이프 기재(142)를 부직포(132)의 외면(부직포(131) 측이 아닌 면) 측에 접착제나 열융착 등에 의해 접합해도 좋다.
사이드 패널(203)의 흡수성 본체(102)에 대한 고정도 동일하며, 도 50에는 사이드 패널을 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와 이면 시트(122) 사이에 접착제(127)를 통해 고정한 예를 도시했는데, 사이드 패널을 흡수성 본체(102)를 구성하는 시트 사이에 열융착 등에 의해 고정해도 좋고, 사이드 패널을 이면 시트(122)의 외면(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 측이 아닌 면) 측에 접착제나 열융착 등에 의해 접합해도 좋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는 입체 가드를 갖지 않는 것이어도 좋으며, 사이드 패널을 흡수성 본체(102)의 양측부에 있어서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나 표면 시트 위에 고정해도 좋다.
제7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301)에 대해 더 설명하면, 사이드 패널(303)은,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부직포(패널재)(331, 332)과, 그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탄성 부재(33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이드 패널(303)은 신장 상태 및 자연스럽게 수축시킨 상태의 어느 것에서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탄성 부재(333)는 각각 흡수성 본체(102)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사이드 패널(303)의 연장 방향(Y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가 상기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X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102)의 폭 방향을 따르는 사이드 패널(303)의 연장 방향을 단순히 Y 방향, 사이드 패널의 연장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단순히 X 방향이라고도 한다.
사이드 패널(303)에 배치된 복수 개의 탄성 부재(333)는 사이드 패널(303)에 Y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330)을 형성하고 있다. 신축부(330)는 탄성 부재(333)의 탄성 신축력에 의해 사이드 패널(303)의 Y 방향으로 신축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303)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5 및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303)은 그 연장 방향(Y 방향)의 선단(303a) 측에 2장의 부직포(331, 332) 사이가 X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접합된 선단측 고정부(336)를 가지며, 그 연장 방향(Y 방향)의 베이스단(303b) 측에 2장의 부직포(331, 332) 사이가 X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접합된 베이스단측 고정부(337)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사이드 패널(303)에 배치된 탄성 부재(333)는 모두 선단측 고정부(336)와 베이스단측 고정부(337)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측 고정부(336) 및 베이스단측 고정부(337)의 각각에 있어서 접착제(336a, 337a)를 통해 부직포(331, 332)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패널(303)의 Y 방향에 있어서, 선단측 고정부(336)와 베이스단측 고정부(337) 사이가 Y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330)로 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330) 전체가 유연 신축부(338)로 되어 있다. 유연 신축부(338)에 있어서는,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부직포(331, 332) 사이가 분산 배치된 다수 개의 융착부(339)에 있어서 융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탄성 부재(333)가 그들 융착부(339)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303)에 있어서, 선단측 고정부(336)와 베이스단측 고정부(337) 사이에는 부직포(331, 332) 사이가 열 엠보싱 가공에 의해 열융착된 다수 개의 도트형 융착부(339)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 도트형 융착부(339)는 사이드 패널(303)의 Y 방향 및 X 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다. 또한, 도트형 융착부(339)는 그 복수 개(도시한 예에서는 11개)가 X 방향으로 직렬되어 이루어지는 융착부열(S)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융착부열(S)이 Y 방향으로 복수 열(도시한 예에서는 8열) 형성되어 있다.
유연 신축부(338)인 신축부(330)에 있어서는 사이드 패널(303)에 배치된 복수 개의 탄성 부재(333)가 모두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도트형 융착부(339, 339)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고, 어느 탄성 부재(333)도 도트형 융착부(339)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들 탄성 부재(333)는 선단측 고정부(336)와 베이스단측 고정부(337) 사이에 있어서는 어느 부직포(331, 332)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다. 단, 융착부열(S) 내의 서로 이웃하는 융착부(339, 339) 사이에 있어서는 부직포(331, 332)가 신축부(330)에 있어서 다른 부위에 비해 세게 탄성 부재(333)에 접촉해 있다.
수축 상태의 신축부(330)에 있어서는 융착부열(S)들 사이에 있어서 2장의 부직포(331, 332)가 각각 탄성 부재(3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하여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334, 335)이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 외면 측에 배치된 부직포(331)는 주름(334)을 형성하고, 기저귀 내면 측에 배치된 부직포(332)는 Y 방향에 있어서 주름(334)과 중첩되는 위치에 주름(335)을 형성하고 있다. 주름(334) 및 주름(335)은 모두 복수 개의 탄성 부재(333)에 걸쳐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304)는, 도 55 및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303)에 중첩한 상태로 고정된 테이프 고정부(344)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테이프 고정부(344)의 신축부(330) 위에 위치하는 부분(344a)은 신축부(330)가 수축하여 생긴 주름(334, 334) 위에 고정되어 있다. 테이프 고정부(344)는 접착제(344c)를 통해 부직포(331)의 기저귀 외면측의 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신축부(330) 위에 위치하는 부분(344a)이 복수 개의 주름(334)의 적어도 꼭대기부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고정부(344)에 있어서, 신축부(330) 위에 위치하는 부분(344a)은,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직포(332)에 의해 형성된 복수 개의 주름(335, 335)과도 중첩되어 있다.
테이프 고정부(344)는 사이드 패널(303)의 X 방향의 일부(R1)에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303)은 X 방향에 있어서 테이프 고정부(344)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R2)을 가지고 있으며, 테이프 고정부(344)의 하방 인접 부위(4N)에도 신축부(330)가 수축하여 생긴 복수 개의 주름(334, 334)을 가지고 있다.
사이드 패널(303)은, 장착시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등부분의 피트성 향상과 사이드 패널(303)의 다리 둘레에 대한 조임 방지의 관점에서, 테이프 고정부(344)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R2)의 X 방향의 길이(L2)(도 55 참조)가 X 방향의 전체 길이(L)의 25 내지 70%, 특히 35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303)은, Y 방향에 있어서 신축부(330)의 양측에 비신축부(340)를 가지고 있다. 사이드 패널(303)의 선단측의 비신축부(340)는,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33)가 어느 부직포(331, 332)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로 되어 있다. 또한, 비신축부(340)로서 2장의 부직포(331, 332) 사이가 선단측 고정부나 베이스단측 고정부의 접착제 등에 비해 저평량의 접착제에 의해 탄성 부재(333)와 부직포(331, 332) 사이에 어긋남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약하게 접합된 약접합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301)를 착용자에게 장착할 때에는 패스닝 테이프(304)를 손으로 잡아당기고, 사이드 패널(303)을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304)를 랜딩 존(105)에 대해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장착한 기저귀에 있어서는, 장착시나 착용중에 패스닝 테이프(304)의 사이드 패널(303)에 대한 접합부(테이프 고정부(344)) 부근에 큰 인장력이 가해지기 쉽다. 특히, 사이드 패널(303)의 하부 부근에 있어서 착용자의 주위 길이는 착용자의 다리의 부들기나 엉덩이부를 지나 길며, 또한 착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신축의 부하가 가해지기 쉽다. 따라서, 테이프 고정부(344)를 신축부(330)보다 Y 방향의 외방 측에 위치하는 비신축부(340)의 평탄한 패널재에만 고정한 경우에는 패스닝 테이프(304)의 하부 가장자리부 부근에 늘어남이나 찢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패스닝 테이프(304)의 사이드 패널(303)로부터의 박리도 생기기 쉽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304)의 하부 가장자리부 부근이 뻗는 것은, 예를 들면, 패스닝 테이프의 선단부가 X 방향의 상측을 향하게 되어, 흡수성 본체(102)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쪽 외면에 체결할 때에 시착하는 방향(Y 방향)으로 원활하게 늘이면서 체결하기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301)에 있어서는, 테이프 고정부(344)의 하방 인접 부위(4N)에 신축부(330)가 수축하여 생긴 복수 개의 주름(334, 334)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 인접 부위(4N)가 유연하게 변형하여 테이프 고정부(344)의 하부 가장자리부(344d) 부근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완화시킨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304)에 늘어남이나 찢어짐이 생기거나 패스닝 테이프(304)가 사이드 패널(303)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러한 효과는 본 실시 형태의 사이드 패널(303)과 같이 테이프 고정부(344)의 일부(344a)가 신축부(330)가 수축하여 생긴 주름(334) 위에 고정되어 있으면 훨씬 확실하게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테이프 고정부(344)는,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부(330) 위에 고정된 부분(344a)과, 사이드 패널(303)의 선단측의 비신축부(340) 위에 고정된 부분(344b)을 가지고 있다.
테이프 고정부(344)의 하방 인접 부위(4N)에 위치하는 주름(334)의 갯수 및 테이프 고정부(344)와 중첩되는 부위에 존재하는 주름(334)의 갯수는, 도시한 예에서는 3개이지만, 모두 복수 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축부(330)는 상기 구성의 유연 신축부(338)이며, 주름(334, 335)의 유연성이나 Y 방향으로의 변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가 훨씬 확실하게 얻어진다.
기저귀(301)의 구성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사이드 패널(303)을 구성하는 부직포(331, 332), 패스닝 테이프(304)의 테이프 기재(342)로는 종래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부직포 등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패널(303)을 구성하는 패널재나 패스닝 테이프의 테이프 기재(342)로는 부직포 대신 수지 필름이나 부직포와 수지 필름을 적층 일체화한 시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흡수성 본체(102)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121), 이면 시트(122), 흡수체(123)로는 각각 종래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 등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121)로는 친수성 및 액투과성의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면 시트(122)로는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수지 필름이나 수지 필름과 부직포의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123)로는 펄프 섬유 등의 섬유의 집합체(부직포이어도 좋음). 또는 여기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유지시켜서 이루어지는 흡수성 코어를 투수성의 얇은 종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 시트로 피복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체 가드를 구성하는 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로는 신축성의 필름, 부직포, 직물 또는 그들 적층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333), 입체 가드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125), 레그부 탄성 부재(126)로는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틸-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 형태 내지 끈 형태의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실형태 내지 끈 형태의 탄성 부재로는 단면이 원형, 정사각형 형태인 것 외에, 단면이 타원형, 단면 직사각형 등의 폭이 가는 띠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멀티필라멘트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기저귀(301)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사이드 패널을 제조하는 사이드 패널의 제조 공정 및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그 일부가 제조한 사이드 패널에 있어서 수축된 신축부에 중첩되도록 사이드 패널에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 접합 공정을 구비한다.
사이드 패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사이드 패널을 구성하는 2장의 부직포(패널재)(331, 332) 사이에 탄성 부재(333)을 신장 상태에서 고정하고, 도 58에 도시한 사이드 패널(303)을 제조한다. 예를 들면, 선단측 고정부(336) 및 베이스단측 고정부(337)를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336a, 337a)를 부직포(331, 332)의 어느 일측에 도공한 후, 탄성 부재(333)를 그 도공부 사이에 걸쳐놓도록 하여 신장 상태에서 배치하고, 그 신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들 탄성 부재상 에 타측의 부직포를 더 배치하고, 그들을 닙 롤러나 공지의 프레스 장치 등을 이용하여 가압하여 일체화시킨다. 또한, 부직포(331, 332) 사이에 탄성 부재(333)를 배치한 후, 열 엠보싱 가공, 초음파 엠보싱 가공, 고주파 엠보싱 가공 등을 이용하여 도트형 융착부(339)를 형성한다.
패스닝 테이프 접합 공정에 있어서는,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303)의 신축부(330)을 수축시켜 전술한 주름(334, 335)을 발생시킨 후, 한쪽 면의 소정 부위에 접착제(344c)를 도공한 패스닝 테이프의 테이프 기재(342)를 그 접착제 도공부의 일부를 수축한 신축부(330)에 중첩시키도록 하여 사이드 패널(303)에 중첩시키고, 그들을 닙 롤러나 공지의 프레스 장치 등을 이용하여 가압하여 일체화시킨다. 패스닝 테이프 접합 공정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303)에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는 그 시점에서 이미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343) 등이 고정되어 체결부(3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체결부(341)를 형성하기 전의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패스닝 테이프 및 사이드 패널의 복합체를 흡수성 본체(102)의 구성 부재, 예를 들면, 표면 시트(121)의 양측에 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가 접합되어 있는 복합 시트에 공지의 접합 방법에 의해 접합하고, 그리고 흡수성 본체(102)의 다른 구성 부재, 예를 들면, 이면 시트(122)나 흡수체(123)를 일체화시켜 일회용 기저귀(301)를 얻는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 접합 공정은 사이드 패널의 제조 공정에서 제조한 사이드 패널(303)을 본체(102)의 구성 부재에 고정한 후에 수행해도 좋다. 또한, 제조 방법에 관하여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사이드 패널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의 종래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제7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도 61 내지 도 6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는, 사이드 패널 및/또는 패스닝 테이프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의 기저귀(301)와 다르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기저귀(301)와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기저귀(301)에 관한 설명이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하여 적당히 적용된다.
제2 실시 형태의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기저귀(301)에서와 동일 구성의 사이드 패널(303)에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형태로 패스닝 테이프(304A)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304A)는, 도 61 및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303)의 한쪽 면 측에 테이프 기재(342)를 중첩시킴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 패널(303)의 타측 면 측에 보조 시트(347)를 중첩하고, 양자 사이에 사이드 패널(303)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열 엠보싱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가열 및 가압하는 것으로써 사이드 패널(303)에 고정되어 있다. 보조 시트(347)로는 부직포나 부직포와 수지 시트와의 적층체 등이 사용된다. 제2 실시 형태의 패스닝 테이프(304A)에는 테이프 기재(342)의 한쪽 면에 점착제가 도공되어 체결부(34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기저귀에 있어서도, 테이프 고정부(344)의 하방 인접 부위(4N)에 신축부(330)가 수축하여 생긴 복수 개의 주름(334, 3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고정부(344)는 열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도트형의 융착부(345, 346)에 의해 사이드 패널(303)에 고정되어 있으며, 테이프 고정부(344)의 일부(344a)는 신축부(330)가 수축하여 생긴 주름(334) 위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303A)은,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부직포(패널재)(331, 332) 사이가 사이드 패널의 연장 방향(Y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X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연속 접합부(336')를 상기 연장 방향으로 복수 개 가지고 있다. 탄성 부재(333)는 각 연속 접합부(336')에 있어서 패널재(331, 332)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수축 상태의 사이드 패널(303A)에 있어서는, 서로 이웃하는 연속 접합부(336', 36')들 사이에 있어서 부직포(패널재)(331, 332)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팽출하여 사이드 패널(303A)의 양면 각각에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주름(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303A)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패스닝 테이프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303A)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패스닝 테이프가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패스닝 테이프의 테이프 고정부의 일부가 신축부(330)의 수축에 의해 생긴 주름 위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테이프 고정부의 하방 인접 부위에 신축부(330)의 수축에 의해 생긴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제7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신축부(330)는 Y 방향 전체 대신 일부가 유연 신축부(338)이어도 좋다. 유연 신축부(338)에 형성하는 융착부열(S)의 갯수도, 도 58에 도시한 8개 대신, 1개 내지 7개, 또는 9개 이상(예를 들면 4 내지 15개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융착부열(S)을 구성하는 도트형 융착부(339)의 갯수도 사이드 패널에 배치하는 탄성 부재(333)의 갯수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트형 융착부(339)의 형상은 직사각형, 장원, 원, 타원, 마름모꼴, 삼각형, 오각형 등의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한 장의 사이드 패널에 배치하는 탄성 부재(333)의 갯수도 적당히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5 내지 20개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개 정도이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304, 4A)의 체결부는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 대신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부이어도 좋다. 기계적 면 패스너의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체결부를 체결하는 랜딩 존은 이면 시트(122)의 외면에 기계적 면 패스너의 암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해도 좋고, 이면 시트(122)의 외면을 결합성이 뛰어난 부직포로 구성하고, 그 소정 영역을 랜딩 존으로 해도 좋다. 또한, 배쪽부(A)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양측에 배쪽 사이드 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배쪽 사이드 패널에 패스닝 테이프의 체결부(341)를 체결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융착부(339), 융착부(345) 및 융착부(346)는 각각 열 엠보싱 가공의 외에 초음파 엠보싱, 고주파 엠보싱에 의해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선단측 고정부 및 베이스단측 고정부도 접착제 대신 열 엠보싱 가공, 초음파 엠보싱, 고주파 엠보싱에 의한 융착 등에 의해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접착제와 열 엠보싱 가공 등의 병용에 의한 접합부이어도 좋다.
또한, 도 56 및 도 62에는 패스닝 테이프(304, 4A)의 테이프 기재(342)를 부직포(331)의 기저귀 외면측의 면에 고정한 예를 도시했으나, 부직포(332)의 기저귀 내면(착용자의 피부 측을 향하는 면) 측의 면에 고정해도 좋다.
또한, 테이프 고정부(344)는 사이드 패널(303)의 신축부(330) 위에만 고정되고, 사이드 패널(303)의 선단측의 비신축부(340) 위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좋다. 또한, 선단측의 비신축부(340) 자체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사이드 패널(303)의 흡수성 본체(102)에 대한 고정에 관해, 도 56에는 사이드 패널을 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와 이면 시트(122)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를 통해 고정한 예를 도시했으나, 사이드 패널을 흡수성 본체(102)를 구성하는 시트 사이에 열융착 등에 의해 고정해도 좋고, 사이드 패널을 이면 시트(122)의 외면(입체 가드 형성용 시트(124) 측이 아닌 면) 측에 접착제나 열융착 등에 의해 접합해도 좋다.
또한, 사이드 패널은 사이드 패널(303)에 있어서 융착부열(S)의 어느 하나 이상을 연속 접합부(336')로 대신한 것이어도 좋고, 사이드 패널(303A)에 있어서 연속 접합부(336')의 어느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Y 방향으로 연속되는 둘 이상)을 융착부열(S)로 대신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는 입체 가드를 갖지 않는 것이어도 좋고, 사이드 패널을 흡수성 본체(102)의 양측부에 있어서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나 표면 시트 위에 고정해도 좋다.
제8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이하, "기저귀(401A)"라고도 함.)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결합 돌기를 갖는 후크 테이프(441)을 시트 기재(442) 위에 고정한 패스닝 테이프(40404)가 흡수체(123)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흡수성 본체(102)의 등쪽부(B)의 양측 가장자리(2s1, 2s1)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에 고정된 일회용 기저귀이다.
기저귀(401A)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선(CL)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우 대칭인 부분에 대해서는 주로 좌측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에 도시한 "X" 방향은 기저귀(401A)의 길이 방향으로서, 중심선(CL)에 평행한 방향이고, 각 도면 중에 도시한 "Y" 방향은 기저귀(401A)의 폭 방향으로서, 중심선(CL)에 수직한 방향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기저귀(401A)에 대해 설명한다.
기저귀(401A)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시에 착용자의 배쪽에 위치하는 배쪽부(A), 등쪽에 위치하는 등쪽부(B) 및 배쪽부(A)와 등쪽부(B)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C)를 갖는 흡수성 본체(102)와, 흡수성 본체(102)의 등쪽부(B)의 양측 가장자리(2s1, 2s1)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 403)을 갖는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흡수성 본체(102)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형태로 펼친 상태에서 직사각형이다. 직사각형의 흡수성 본체(102)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121)와,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 시트(122)와, 이들 두 시트(21, 22) 사이에 개재된 액유지성의 흡수체(123)를 가지고 있다. 흡수성 본체(102)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401)의 내면을 이루는 표면 시트(121)와 기저귀(401)의 외면을 이루는 이면 시트(122)를 이들 두 시트(21, 22) 사이에 흡수체(123)를 개재시켜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 시트(121)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의 길이가 이면 시트(122)의 Y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102)에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의 양측부(2s, 2s) 각각에 표면 시트(121)를 통해 사이드 시트(124)가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124)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121)의 피부 대향면으로서, X 방향의 측부 전체 영역에 걸쳐 배치 고정되어 있다. 각 사이드 시트(124)의 Y 방향의 내방(중심선(CL) 근방)의 단부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가랑이부(C)에 있어서 자유단 근방에는 입체 개더 형성용 탄성 부재(125)가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신장 상태에서 배치 고정되어 있고, 착용시에는 그 탄성 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자유단으로부터 소정 폭의 부분이 표면 시트(121)로부터 이간되어 입체 개더를 형성한다. 또한, 흡수성 본체(102)의 양측부(2s, 2s)에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의 외방으로 연장된 사이드 시트(124)와 이면 시트(122)가 접합되어 플랩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랑이부(C)에 있어서 플랩부에는 레그 개더 형성용 탄성 부재(126)가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신장 상태에서 배치 고정되어 있으며, 착용시에는 그 탄성 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레그 개더가 형성된다.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로는 2장의 부직포 사이에 엘라스토머 필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네트, 복수 개의 실 형태의 실형 탄성체 등을 배치 고정한 복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저귀(401A)에 있어서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부직포 사이에 복수 개의 실 형태의 실형 탄성체를 배치 고정한 복합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실형 탄성체에는 단면이 대략 원형, 정사각형인 것 외에, 단면 직사각형 등의 폭이 가는 띠 모양의 것도 포함된다. 기저귀(401A)의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은, 도 64,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형태로 펼친 상태에서 직사각형이다. 기저귀(401A)의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은,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시트(431, 432)와, 2장의 시트(431, 432) 사이에 신장한 상태에서 배치된 복수 개의 대략 원형 단면의 실형 탄성체(433)를 가지고 있다. 기저귀(401A)의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은 동일한 형태 및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의 2장의 시트(431, 432) 사이에 Y 방향으로 신장한 실형 탄성체(433)를 X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접착제나 융착 등의 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기저귀(401A)의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은, 그 Y 방향 내방측(중심선(CL) 측)의 단부가 접착제나 융착 등의 공지의 수단에 의해 흡수성 본체(102)의 등쪽부(B)에 고정되어 등쪽부(B)의 Y 방향 외방에 연속되어 설치 있다.
패스닝 테이프(404)는, 다수 개의 결합 돌기를 갖는 후크 테이프(441)와 시트 기재(442)를 가지며, 시트 기재(442)의 일측 면에 후크 테이프(441)를 고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시트 기재(442)는, 기저귀(401A)에 있어서는, 도 64,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2)의 폭 방향(Y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다. 즉, 기저귀(401A)의 시트 기재(442)는, 시트 기재(442)에 있어서 X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 구체적으로는, 상단 가장자리(442b) 및 하단 가장자리(442a) 각각이 흡수성 본체(102)의 폭 방향(Y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Y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다. 이러한 직사각형의 시트 기재(442)의 피부 대향면에 후크 테이프(441)를 고정하여 형성된 패스닝 테이프(404)가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시트 기재(442)가 직사각형이면, 패스닝 테이프(404)의 연속체를 커팅하여 각 패스닝 테이프(404)를 제조할 때 간단히 제조할 수 있어 재료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404)의 무게 중심(G1)이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무게 중심(G2)보다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으며, 기저귀(401A)에 있어서는,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404) 전체가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무게 중심(G2)보다 길이 방향(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기저귀(401A)에 있어서는, 패스닝 테이프(404) 전체가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무게 중심(G2)보다 길이 방향(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는데, 패스닝 테이프(404) 전체가 상방에 위치해 있지 않아도 되며, 패스닝 테이프(404)의 무게 중심(G1)이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무게 중심(G2)보다 길이 방향(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도 64,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테이프(441)와 시트 기재(442)가 고정된 제1 고정부(406)와, 패스닝 테이프(404)와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이 고정된 제2 고정부(407)를 가지고 있다.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는 중첩되어 있지 않으며, 기저귀(401A)에 있어서는,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간격(d1)을 두고 이간되어 있다. 간격(d1)이 길어지면, 기저귀 착용시에 후크 테이프(441)와 패스닝 테이프(404) 및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이 고정된 제2 고정부(407) 사이에 도 65의 X 방향으로의 만곡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이에 따라 기저귀 착용시에서의 피트성을 손상시킨다. 간격(d1)이 0mm보다 작아지면(즉,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가 중첩되는 경우), 기저귀 착용시에 후크 테이프(441)에 가해지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수축력이 제1 고정부(406)의 내방 가장자리(406s)뿐만 아니라 후크 테이프(441)의 상단 가장자리(441b) 및 하단 가장자리(441a)에도 가해지게 되고, 그 결과 후크 테이프(441)의 상단 가장자리(441b) 및 하단 가장자리(441a)의 젖혀짐이 생긴다. 착용중에 후크 테이프(441)의 상단 가장자리(441b) 및 하단 가장자리(441a)가 젖혀지면, 이 젖혀진 부분이 기저귀 위에 착용하는 옷 등에 걸려, 착용중에 후크 테이프(441)가 타겟 시트로부터 벗겨지는 원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간격(d1)은 0 내지 20mm가 바람직하다.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406)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하단 가장자리(406a)와 시트 기재(442)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하단 가장자리(442a)는 일치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401A)의 후크 테이프(441)는,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다.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테이프(441)에 있어서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41b) 및 하단 가장자리(441a) 각각과 시트 기재(442)에 있어서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42b) 및 하단 가장자리(442a) 각각이 동일 형상이며, X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 테이프(441)의 상단 가장자리(441b) 및 하단 가장자리(441a) 각각과 시트 기재(442)의 상단 가장자리(442b) 및 하단 가장자리(442a) 각각은 일치해 있다. 또한, 후크 테이프(441)의 전체면이 시트 기재(442)의 일측 면(피부 대향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406)의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06b) 및 하단 가장자리(406a) 각각과 시트 기재(442)의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42b) 및 하단 가장자리(442a) 각각이 일치해 있다.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401A)의 제1 고정부(406)는 기저귀(401A)의 후크 테이프(441)와 동일 형상이며, X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407)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하단 가장자리(407a)는 제1 고정부(406)의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하단 가장자리(406a)보다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으며, 시트 기재(442)의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하단 가장자리(442a)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404)와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고정은, 패스닝 테이프(404)의 Y 방향 내방측(중심선(CL) 측)의 단부 전 영역이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영역인 제2 고정부(407)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407)의 X 방향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제1 고정부(406)의 X 방향의 하단 가장자리(406a)는 X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며, 제2 고정부(407)의 X 방향의 하단 가장자리(407a)가 제1 고정부(406)의 X 방향의 하단 가장자리(406a)보다 X 방향의 상방에 위치해 있고, 제2 고정부(407)의 X 방향의 하단 가장자리(407a)가 시트 기재(442)의 X 방향의 하단 가장자리(442a)로부터 간격(d2)을 두고 이간되어 있다. 또한, 제2 고정부(407)의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07b)와 시트 기재(442)의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42b)는 일치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패스닝 테이프(404)와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은 제2 고정부(407)를 통해 고정되어 있지만,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 사이에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401A)의 제2 고정부(407)는 X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부(406)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내측 가장자리(406s)의 최하단점(α) 및 제2 고정부(407)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외측 가장자리(407s)의 최하단점(β)을 연결하는 직선과, 흡수성 본체(102)의 폭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W)에 평행한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γ)은 3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9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루는 각(γ)의 바람직한 범위의 이유에 대해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저귀 착용시 및 착용중에는 허리둘레 방향으로 신축 웨이스트 패널(403)의 수축력이 패스닝 테이프(404)에 항상 가해지게 된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404)의 무게 중심(G1)이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무게 중심(G2)보다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으므로, 패스닝 테이프(404)의 상단측보다 하단측에 보다 수축력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제1 고정부(406)에 있어서 후크 테이프(441)의 하단 가장자리(441a)의,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로부터의 벗겨짐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 특히 제1 고정부(406)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내측 가장자리(406s)의 최하단점(α)에서의 연장에 의해 일으나기 쉽다. 그러나, 최하단점(α)에서는 상기한 각(γ)이 90°에 가까워짐에 따라 신축 웨이스트 패널(403)의 수축력이 잘 가해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후크 테이프(441)의 하단 가장자리(441a)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로부터 잘 벗겨지지 않아 기저귀 착용시 및 착용중의 후크 테이프(441)와 시트 기재(442)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d2)은 2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5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시트 기재(442)의 X 방향의 길이(L)에 대한 간격(d2)의 비(d2/L)는 5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65 내지 7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기저귀(401A)는 흡수성 본체(102)의 배쪽부(A)의 이면 시트(122) 위에 패스닝 테이프(404)와 결합하는 타겟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기저귀(401A)의 형성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흡수성 본체(102)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121), 이면 시트(122)로는 각각 통상적으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121)로는 친수성 및 액투과성의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면 시트(122)로는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수지 필름이나 수지 필름과 부직포의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123)로는 펄프 섬유 등의 섬유의 집합체(부직포이어도 좋다) 또는 여기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유지시켜 이루어지는 흡수성 코어를 투수성의 얇은 종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 시트로 피복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체 개더를 형성하는 사이드 시트(124)로는 신축성의 필름, 부직포, 직물 또는 그들의 적층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체 개더 형성용 탄성 부재(125) 및 레그 개더 형성용 탄성 부재(126)로는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틸-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 형태의 신축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구성하는 시트(431, 432)로는 통상적으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431, 432)로는 발수성의 부직포, 예를 들면, 스펀본드 부직포(S)와 멜트블로 부직포(M)가 특정한 층 순으로 적층되어 복합화된 시트(예를 들면 SM, SMS, SMMS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구성하는 실형 탄성체(433)로는 천연 고무(또는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의 스판덱스 탄성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형 탄성체(433)로서 천연 고무(합성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0.2 내지 1.5mm, 폭이 0.5 내지 2mm인 탄성체가 사용된다. 이러한 천연 고무(합성 고무)는 단사에서의 100% 신장시의 응력이 5 내지 65gf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50gf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응력의 천연 고무(합성 고무)의 단사를 100% 이상, 특히 150% 이상의 신장 배율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장 배율은 자연 길이에 대한 신장되어 증가한 만큼의 길이의 비율이며, 예를 들면, 길이 10cm인 것을 20cm로 신장하면 그 신장률은 100%가 된다.
실형 탄성체(433)로서 폴리우레탄의 스판덱스 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사의 사이즈가 300 내지 1500 데시텍스인 것, 특히 500 내지 1200 데시텍스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데시텍스는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10,000m에 대하여 1g을 1 데시텍스라고 부른다. 이러한 스판덱스 탄성 섬유를 100% 이상, 특히 150% 이상의 신장 배율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스닝 테이프(404)를 구성하는 시트 기재(442)로는 통상적으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 기재(442)로는 발수성의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패스닝 테이프(404)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결합 돌기를 갖는 후크 테이프(441)로는 통상적으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크 테이프(441)의 결합 돌기로는 "매직 테이프(등록상표)"(쿠라레사 제조), "퀵론(등록상표)"(XKK사 제조), "매지 클로스(Magi Cloth)(등록상표)"(가네보 벨 터치(Kanebo Bell touch)사 제조) 등에 있어서 수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타겟 시트(도시하지 않음)로는 결합 돌기를 누름으로써 결합 돌기를 체결 가능한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각종 공지의 기계적 면 패스너에 있어서 암부재나 결합성이 뛰어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121), 이면 시트(122), 사이드 시트(124) 및 타겟 시트(도시하지 않음)의 고정에는 통상적으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또한, 후크 테이프(441)와 시트 기재(442)의 고정(제1 고정부(406)), 패스닝 테이프(404)와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고정(제2 고정부(407))에는 통상적으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접착제나 히트 엠보싱, 초음파 엠보싱, 고주파 엠보싱 등의 융착 수단이 사용된다.
다음,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기저귀(401A)는, 도 64,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404)의 무게 중심(G1)이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무게 중심(G2)보다 X 방향 상방에 위치하도록 패스닝 테이프(404)가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가 중첩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기저귀(401A)는, 도 64,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406)의 X 방향 하단 가장자리(406a)와 시트 기재(442)의 X 방향 하단 가장자리(442a)가 일치하고, 제2 고정부(407)의 X 방향 하단 가장자리(407a)가 제1 고정부(406)의 X 방향 하단 가장자리(406a)보다 X 방향 상방에 위치하며, 시트 기재(442)의 X 방향 하단 가장자리(442a)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기저귀(401A)를 착용하면,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시 및 착용중에 패스닝 테이프(404)에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에 의한 몸통 둘레 방향의 수축력이 항상 가해지게 된다. 그러나,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가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06a)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로부터 이간되어 있으므로,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시 및 착용중의 패스닝 테이프(404)를 구성하는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에는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에 의한 몸통 둘레 방향의 수축력이 잘 가해지지 않아 하단 가장자리(442a)가 잘 늘어나지 않는다. 또한,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06a)에도 상기 몸통 둘레 방향의 수축력이 잘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 및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06a)에의 상기 몸통 둘레 방향의 수축력이 잘 집중되지 않아 후크 테이프(441)의 하단 가장자리(441a)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로부터 잘 벗겨지지 않고 착용자의 피부를 잘 손상시키지 않아 사용감이 향상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도 6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B)(이하, "기저귀(401B)"라고도 함)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기저귀(401A)와 동일하며, 기저귀(401A)의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기저귀(401B)에 있어서는,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406)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내측 가장자리(406s)와 제2 고정부(407)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외측 가장자리(407s)가 일치하여 접해 있는데,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는 중첩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테이프(441)에 있어서 X 방향의 내측 가장자리(441s) 및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에 있어서 X 방향의 외측 가장자리(403s) 각각이 동일 형상이고, Y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 테이프(441)의 내측 가장자리(441s)와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외측 가장자리(403s)는 일치해 있다. 또한, 후크 테이프(441)의 전체 면이 시트 기재(442)의 일측 면(피부 대향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406)의 X 방향의 내측 가장자리(406s)와 제2 고정부(407)의 X 방향의 외측 가장자리(407s)가 일치해 있고, 간격(d1)은 0mm이다.
또한, 도 67에 도시한 기저귀(401B)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내측 가장자리(406s)의 최하단점(α) 및 제2 고정부(407)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외측 가장자리(407s)의 최하단점(β)을 연결하는 직선과, 흡수성 본체(102)의 폭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W)에 평행한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γ)은 90°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B)의 형성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B)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형성 재료와 동일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B)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B)의 효과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효과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효과와 동일하며,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효과의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기저귀(401B)는,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는 각(γ)이 90°이며, 제1 고정부(406)의 내측 가장자리(406s)와 제2 고정부(407)의 외측 가장자리(407s)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시 및 착용중의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에 의한 몸통 둘레 방향의 수축력이 제1 고정부(406)의 길이 방향(X 방향) 내측 가장자리(406s)의 최하단점(α)에 잘 집중되지 않고, 후크 테이프(441)가 시트 기재(442)로부터 잘 벗겨지지 않으며, 착용자의 피부를 잘 손상시키기 않아 사용감이 향상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도 6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C)(이하, "기저귀(401C)"라고도 함)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기저귀(401A)와 동일하며, 기저귀(401A)의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기저귀(401C)에 있어서는,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기재(442)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401C)의 사다리꼴 형상의 시트 기재(442)는,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 외방 측의 윗바닥의 길이가 내방측(중심선(CL) 측)의 아랫바닥의 길이보다 짧고, 시트 기재(442)의 상단 가장자리(442b)가 흡수성 본체(102)의 폭 방향(Y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기저귀(401C)의 시트 기재(442)는,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가장자리(442b)와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이 Y 방향 외방을 향해 점차 짧아지고 있다.
기저귀(401C)의 후크 테이프(441)는,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가장자리(441b)가 Y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Y 방향 외방 측의 윗바닥의 길이가 내방측(중심선(CL) 측)의 아랫바닥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상이다.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테이프(441)에 있어서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41b) 및 하단 가장자리(441a) 각각과 시트 기재(442)에 있어서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42b) 및 하단 가장자리(442a) 각각이 동일 형상이며, X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 테이프(441)의 상단 가장자리(441b) 및 하단 가장자리(441a) 각각과 시트 기재(442)의 상단 가장자리(442b) 및 하단 가장자리(442a) 각각은 일치해 있다. 또한, 후크 테이프(441)의 전체 면이 시트 기재(442)의 일측 면(피부 대향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406)의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06b) 및 하단 가장자리(406a) 각각과 시트 기재(442)의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42b) 및 하단 가장자리(442a) 각각이 일치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401C)의 제1 고정부(406)는 기저귀(401C)의 후크 테이프(441)와 동일 형상이며, 상단 가장자리(406b)가 Y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Y 방향 외방 측의 윗바닥의 길이가 내방측(중심선(CL) 측)의 아랫바닥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저귀(401C)의 제1 고정부(406)는 상단 가장자리(406b)와 하단 가장자리(406a)의 간격이 Y 방향 외방을 향해 점차 짧아지고 있다.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407)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하단 가장자리(407a)는, 제1 고정부(406)의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하단 가장자리(406a)보다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고, 시트 기재(442)의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하단 가장자리(442a)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401C)의 제2 고정부(407)는 X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저귀(401C)의 제1 고정부(406)는 Y 방향 외방 측의 윗바닥의 길이가 내방측(중심선(CL) 측)의 아랫바닥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저귀(401C)의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는,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401C)의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06a) 중에서 가장 X 방향의 최상방에 위치하는 점(하단 가장자리(406a)에 있어서 Y 방향가장 외방 점)보다 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C)의 형성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C)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형성 재료와 동일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C)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C)의 효과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효과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효과와 동일하며,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효과의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기저귀(401C)는,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가 Y 방향(폭 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Y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직선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404)가 착용중에 착용자가 다리를 끌어올리는 동작을 저해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어 있어 사용감이 향상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도 6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D)(이하, "기저귀(401D)"라고도 함)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기저귀(401A)와 동일하며, 기저귀(401A)의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기저귀(401D)에 있어서는,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기재(442)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401D)의 사다리꼴 형상의 시트 기재(442)는,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 외방 측의 윗바닥의 길이가 내방측(중심선(CL) 측)의 아랫바닥의 길이보다 짧고, 기저귀(401D)의 시트 기재(442)는,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가장자리(442b)와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이 Y 방향 외방을 향해 점차 짧아지고 있다.
기저귀(401D)의 후크 테이프(441)는,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 외방측의 윗바닥의 길이가 내방측(중심선(CL) 측)의 아랫바닥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상이다.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테이프(441)에 있어서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41b) 및 하단 가장자리(441a) 각각과 시트 기재(442)에 있어서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42b) 및 하단 가장자리(442a) 각각이 동일 형상이며, X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 테이프(441)의 상단 가장자리(441b) 및 하단 가장자리(441a) 각각과 시트 기재(442)의 상단 가장자리(442b) 및 하단 가장자리(442a) 각각은 일치해 있다. 또한, 후크 테이프(441)의 전체 면이 시트 기재(442)의 일측 면(피부 대향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406)의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06b) 및 하단 가장자리(406a) 각각과 시트 기재(442)의 X 방향의 상단 가장자리(442b) 및 하단 가장자리(442a) 각각이 일치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401D)의 제1 고정부(406)는 기저귀(401D)의 후크 테이프(441)와 동일 형상이며, Y 방향 외방측의 윗바닥의 길이가 내방측(중심선(CL) 측)의 아랫바닥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저귀(401D)의 제1 고정부(406)는 상단 가장자리(406b)와 하단 가장자리(406a)의 간격이 Y 방향 외방을 향해 점차 짧아지고 있다.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407)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하단 가장자리(407a)는 제1 고정부(406)의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하단 가장자리(406a)보다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으며, 시트 기재(442)의 흡수성 본체(102)의 길이 방향(X 방향) 하단 가장자리(442a)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401D)의 제2 고정부(407)는 X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저귀(401D)의 제1 고정부(406)는 Y 방향 외방측의 윗바닥의 길이가 내방측(중심선(CL) 측)의 아랫바닥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저귀(401D)의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는,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401D)의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06a) 중에서 가장 X 방향의 최상방에 위치하는 점(하단 가장자리(406a)에 있어서 Y 방향 가장 외방 점)보다 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D)의 형성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D)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형성 재료와 동일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D)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D)의 효과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효과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효과와 동일하며,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의 효과의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기저귀(401D)는,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가 Y 방향(폭 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Y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직선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시트 기재(442)의 상단 가장자리(442b)가 Y 방향(폭 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Y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직선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404)가 착용중에 착용자가 다리를 끌어올리는 동작을 저해하기 어렵고, 또한, 착용자가 배를 부풀렸을 때에도 잘 압박하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사용감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 제2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B), 제3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C) 및 제4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D)에 전혀 제한되지 않으며,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제1, 제2, 제3, 제4, 제5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각 구성 요건은 본 발명의 취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1, 제2, 제3, 제4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 1B, 1C, 1D)에 있어서는, 도 65, 도 67, 도 68,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407)는 X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직사각형이 아니어도 좋다. 제2 고정부(407)가 직사각형이 아닌 경우에,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가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06a)보다 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다란,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 중에서 가장 X 방향의 최하방에게 위치하는 점이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06a) 중에서 가장 X 방향의 최상방에 위치하는 점보다 X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제2, 제3, 제4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401A, 1B, 1C, 1D)에 있어서는, 도 65, 도 67, 도 68,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이 평면 형태로 펼친 상태에서 직사각형이지만 직사각형이 아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유아 또는 성인용의 일회용 기저귀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해 이하의 부기(일회용 기저귀)를 더 개시한다.
[1]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이들 두 시트 사이에 개재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한 쌍의 신축 패널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신축 패널 각각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외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패스닝 테이프의 체결부를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대향면에 체결하여 착용자에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신축 패널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보다 본체 폭 방향 내방에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신축부는 패널재와 상기 패널재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며 본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는 본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신축부보다 본체 폭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기 신축 패널의 구성 부재끼리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체결부를 갖는 테이프 기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기재는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테이프 베이스단부와,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에 연접되며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본체 폭 방향 외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부를 갖는 테이프 선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는 본체 폭 방향을 따르는 외측단 및 내측단을 가지며, 상기 외측단보다 본체 길이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상기 내측단이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 중 본체 길이 방향의 가장 내방에 배치된 탄성 부재보다 본체 길이 방향 외방에 위치해 있는 일회용 기저귀.
[2]상기 신축 패널은,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와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는 비신축부를 본체 폭 방향으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비신축부를 포함하고 있고,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신축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신축부로부터 상기 비신축부에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비신축부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패널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상기 비신축 영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재끼리가 직접 접합되어 있는[1]또는[2]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상기 비신축 영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재끼리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도포량이 0g/m2인[1]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5]상기 신축 패널은 상기 신축 패널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측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 사이에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가 존재해 있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신축부를 본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패널재에 설치된 제1 접착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신축부를 본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가 존재해 있고,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존재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상기 패널재에 설치된 제2 접착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고정되고 평면에서 보아 본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이며,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부보다 접착력이 낮은 [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6]상기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2 접착부는 각각 상기 패널재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부보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량이 적은 [5]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7]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신축부를 본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부가 존재해 있고,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에 존재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상기 패널재에 설치된 제3 접착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고정되며, 평면에서 보아 본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이며, 상기 제3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부보다 접착력이 낮은 [5]또는[6]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8]상기 제1 접착부의 접착제의 도포량(V1)은 5 내지 90g/m2,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g/m2인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9]상기 제2 접착부의 접착제의 도포량(V2)은 0.3 내지 3.0 g/m2,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g/m2인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0]상기 제3 접착부의 접착제의 도포량(V3)은 0.3 내지 3.0g/m2,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g/m2인 [5]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1]상기 신축 패널은 비신축성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와 본체 폭 방향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비신축성의 내측 가장자리부를 갖는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2]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비신장 상태로 되어 있는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3]상기 내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비신장 상태로 되어 있는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4]상기 신축 패널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형상인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5]자연 상태에 있어서 신축 패널의 본체 길이 방향(X)의 길이(w1)가 50 내지 120mm,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mm인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6]자연 상태에 있어서 신축 패널의, 흡수성 본체로부터 본체 폭 방향(Y)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w2)가 20 내지 60mm,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mm인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7]상기 테이프 선단부의 본체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의 본체 길이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짧은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8]상기 테이프 선단부의 본체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기 신축 패널의 본체 길이 방향의 길이의 절반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짧은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9]상기 테이프 선단부를 본체 길이 방향으로 양분하는 가상 직선이 상기 신축 패널을 본체 길이 방향으로 양분하는 가상 직선보다 본체 길이 방향 외방에 위치해 있는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20]상기 흡수체는 액유지성의 흡수성 코어 및 상기 흡수성 코어를 감싸는 액투과성의 코어 랩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21]상기 흡수성 본체는 그 본체 길이 방향(X)의 적어도 일단부 측에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을 가지고 있는 [20]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22]상기 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은 기저귀의 착용자 웨이스트부에 위치하는 부위이며, 등쪽부 및 배쪽부 각각에 있어서 기저귀의 웨이스트단 가장자리(길이 방향 끝 가장자리)(1t)로부터 본체 길이 방향(X)의 내방으로 기저귀의 본체 길이 방향(X) 전체 길이의 대략 10%의 길이의 영역인 [2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23]상기 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은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코어 랩 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21] 또는 [22]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24]상기 테이프 선단부를 본체 길이 방향으로 양분하는 가상 직선이 상기 흡수성 코어 비배치 영역을 본체 폭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는 [21]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25]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동일한 방향(착용시에 착용자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본체 길이 방향(X)의 중앙부가 동여매어져 있는 [20] 내지 [2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26]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는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융착을 포함하는 접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1]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27]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는 신축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융착 및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1] 내지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28]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복수 장의 상기 패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영역이 존재해 있으며, 상기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장의 패널재가 서로 융착되어 있는 [1]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29]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가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는 비신축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보다 본체 길이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테이프 비고정 영역이 상기 비신축부인 [1] 내지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0]상기 신축부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는, 본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직선형의 접합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고정되어 있는[1]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1]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신축부로부터 상기 비신축부로의 연장 길이는 복수 개의 상기 접합부 중에서 상기 비신축부에 가장 가까운 2개의 접합부의 간격보다 긴 [30]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2]상기 탄성 부재의 연장 길이(La)와 본체 폭 방향(Y)의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 접합부끼리의 간격(Lb)의 비(La/Lb)가 0.82인 [30]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3]상기 신축 패널은 그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1] 내지 [3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4]상기 신축 패널은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가 이간 배치된 신축부를 가지며, 선단부에 상기 패스닝 테이프에 해당하는 체결부를 갖는 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신축 패널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탭을 갖는 범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신장 응력이 높은 고신장 응력부로 되어 있고, 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고신장 응력부보다 가랑이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고신장 응력부보다 신장 응력이 낮은 저신장 응력부로 되어 있는 [1] 내지 [3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5]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탭을 갖는 범위에 배치된 탄성 부재의 신장률이 상기 범위보다 가랑이부 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의 신장률보다 높음으로써 상기 고신장 응력부 및 상기 저신장 응력부가 형성되어 있는 [34]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6]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탭을 갖는 범위에 배치된 탄성 부재의 피치가 상기 범위보다 가랑이부 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의 피치보다 좁음으로써 상기 고신장 응력부 및 상기 저신장 응력부가 형성되어 있는 [34]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7]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탭을 갖는 범위에 배치된 탄성 부재의 굵기가 상기 범위보다 가랑이부 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의 굵기보다 굵음으로써 상기 고신장 응력부 및 상기 저신장 응력부가 형성되어 있는 [34]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8]상기 신축 패널은 그 연장 방향의 선단측에 복수 개의 연속 접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속 접합부의 각각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상기 연장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접착제를 통해 상기 패널재로서의 부직포 사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신축 패널의 베이스단과 상기 연속 접합부 사이에 상기 패널재 사이가 분산 배치된 다수 개의 융착부에 있어서 융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가 그들 융착부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중간 신축 영역을 가지고 있는 [1] 내지 [3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9]상기 중간 신축 영역에 복수 개의 상기 융착부가 상기 교차 방향으로 직렬된 융착부열이 상기 연장 방향으로 복수열 형성되어 있는 [38]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0]상기 신축 패널은 그 연장 방향의 베이스단측에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상기 연장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접착제를 통해 상기 패널재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38] 또는 [39]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1]상기 신축 패널의 연장 방향의 선단측에 형성된 상기 연속 접합부와 상기 베이스단측 연속 접합부 사이에 중앙 연속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 연속 접합부를 사이에 둔 양측에 상기 중간 신축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 연속 접합부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상기 신축 패널의 연장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접착제를 통해 상기 패널재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40]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2]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신축 패널에 중첩시킨 상태로 고정된 테이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신축 패널은 상기 테이프 고정부의 하방 인접 부위에 상기 신축부가 수축하여 생긴 복수 개의 주름을 가지고 있는 [1] 내지 [4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3]상기 테이프 고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신축부가 수축하여 생긴 주름 위에 고정되어 있는 [1] 내지 [4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4]상기 신축 패널은 그 연장 방향의 선단측에 상기 2장의 패널재 사이가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선단측 고정부를 가지며, 그 연장 방향의 베이스단측에 상기 2장의 패널재 사이가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선단측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선단측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단측 고정부 사이에 상기 신축부로서 상기 2장의 패널재 사이가 분산 배치된 다수 개의 융착부에 있어서 융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가 그들 융착부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유연 신축부를 가지고 있는 [34] 내지 [43]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5]상기 신축 패널은 상기 패널재 사이가 상기 사이드 패널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연속 접합부를 상기 연장 방향으로 복수 개 가지고 있고, 서로 이웃하는 연속 접합부들 사이에 상기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4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6]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무게 중심이 상기 신축 패널의 무게 중심보다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고,
상기 후크 테이프와 상기 테이프 기재가 고정된 제1 고정부와, 상기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신축 패널이 고정된 제2 고정부는 중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테이프 기재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는 일치해 있고,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고, 상기 시트 기재의 상기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1] 내지 [4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7]상기 테이프 기재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인 [46]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8]상기 제1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내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외측 가장자리가 일치하여 접해 있는 [46]또는[47]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9]상기 제1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내측 가장자리의 최하단점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외측 가장자리의 최하단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평행한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이 30 내지 90°인 [46] 내지 [4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실시예
이하, 제8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전술한 도 64, 도 65에 도시한 제8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도시한 구조의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102)에는 카오 주식회사 제조의 메리즈(등록상표) 사라사라 에어쓰루(Sarasara Air-through)를,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시켜 펼친 상태에서 직사각형이 되도록 커팅한 것을 사용했다.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2장의 시트(431, 432)에는 평량 13g/m2의 SMS 부직포를 사용했다. 2장의 시트(431, 432)는 Y 방향의 길이가 100mm, X 방향의 길이가 84mm였다.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실형 탄성체(433)에는 780 데시텍스의 스판덱스 탄성 섬유를 사용했다.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은 2장의 시트(431, 432) 사이에 실형 탄성체(433)를 200%의 신장 배율로 신장한 것을 X 방향으로 7mm의 간격으로 배치하고, X 방향으로 연속적인 줄무늬형(도포부 2mm, 비도포부 4mm)으로 도포된 핫 멜트 접착제(평량 50g/m2)로 고정하여 제작했다.
패스닝 테이프(404)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결합 돌기를 갖는 직사각형의 후크 테이프(441)는 Y 방향의 길이가 20mm, X 방향의 길이가 25mm였다. 패스닝 테이프(404)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시트 기재(442)에는 평량 55g/m2의 SMS 부직포를 사용했다.
시트 기재(442)는 Y 방향의 길이가 50mm, X 방향의 길이가 35mm였다. 패스닝 테이프(404)는 후크 테이프(441) 및 시트 기재(442)를 면 형태로 도포된 핫 멜트 접착제(평량 20g/m2)로 고정하여 제작했다. 또한, 제1 고정부(406)는 후크 테이프(441)와 동일한 형상의 직사각형이었다.
패스닝 테이프(404) 및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은 면 형태로 핫 멜트 접착제(평량 20g/m2)를 도포하고, 패스닝 테이프(404)의 무게 중심(G1)이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무게 중심(G2)보다 X 방향으로 25mm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2 고정부(407)에서 고정했다. 제2 고정부(407)는 직사각형이며, Y 방향의 길이가 10mm, X 방향의 길이가 25mm였다.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의 간격(d1)은 5mm이며,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d2)은 10mm였다. 제1 고정부(406)의 최하단점(α)과 제2 고정부(407)의 최하단점(β)을 연결하는 직선과 중심선(CW)에 평행한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γ)은 63°였다.
실시예 1의 일회용 기저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404)를 고정한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면 형태로 핫 멜트 접착제(평량 30g/m2)를 도포하여 흡수성 본체(102)에 고정하여 제작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전술한 도 67에 도시한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갖는 제2 실시 형태에 도시한 구조의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실시예 2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간격(d1), 이루는 각(γ)을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실시예 2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의 간격(d1)은 0mm이고,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d2)은 10mm였다. 제1 고정부(406)의 최하단점(α)과 제2 고정부(407)의 최하단점(β)을 연결하는 직선과 중심선(CW)에 평행한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γ)은 90°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전술한 도 64, 65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도시한 구조의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실시예 3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간격(d1), 이루는 각(γ)을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실시예 3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의 간격(d1)은 10mm이며,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d2)은 10mm였다. 제1 고정부(406)의 최하단점(α)과 제2 고정부(407)의 최하단점(β)을 연결하는 직선과 중심선(CW)에 평행한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γ)은 45°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전술한 도 68에 도시한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갖는 제3 실시 형태에 도시한 구조의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실시예 4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후크 테이프(441)의 형상, 시트 기재(442)의 형상, 제1 고정부(406)의 형상, 간격(d2) 및 이루는 각(γ)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실시예 4에 사용하는 후크 테이프(441)는 사다리꼴 형상이며, Y 방향 외방측의 윗바닥의 X 방향 길이가 36.5mm, 아랫바닥의 X 방향 길이가 38.5mm, Y 방향의 높이가 20mm였다. 실시예 4에 사용하는 시트 기재(442)는 사다리꼴 형상이며, Y 방향 외방측의 윗바닥의 X 방향 길이가 35mm, 아랫바닥의 X 방향 길이가 40mm, Y 방향의 높이가 50mm였다. 또한, 실시예 4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제1 고정부(406)는 실시예 4에 사용하는 후크 테이프(441)와 동일한 형상인 사다리꼴 형상이었다.
실시예 4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 간격(d1)은 5mm이고,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d2)은 14mm였다. 제1 고정부(406)의 최하단점(α)과 제2 고정부(407)의 최하단점(β)을 연결하는 직선과 중심선(CW)에 평행한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γ)은 70°였다.
또한, 실시예 4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간격(d2)은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06a) 중에서 가장 X 방향의 최상방에 위치하는 점과의 사이의 거리이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전술한 도 69에 도시한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갖는 제4 실시 형태에 도시한 구조의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실시예 5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후크 테이프(441)의 형상, 시트 기재(442)의 형상, 제1 고정부(406)의 형상, 간격(d2) 및 이루는 각(γ)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실시예 5에 사용하는 후크 테이프(441)는 사다리꼴 형상이며, Y 방향 외방측의 윗바닥의 X 방향 길이가 35.5mm, 아랫바닥의 X 방향 길이가 39.5mm, Y 방향의 높이가 20mm였다. 실시예 5에 사용하는 시트 기재(442)는 사다리꼴 형상이며, Y 방향 외방측의 윗바닥의 X 방향 길이가 32.5mm, 아랫바닥의 길이가 42.5mm, Y 방향의 높이가 50mm였다. 또한, 실시예 5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제1 고정부(406)는 실시예 5에 사용하는 후크 테이프(441)와 동일한 형상인 사다리꼴 형상이었다.
실시예 5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의 간격(d1)은 5mm이며,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d2)은 14mm였다. 제1 고정부(406)의 최하단점(α)과 제2 고정부(407)의 최하단점(β)을 연결하는 직선과 중심선(CW)에 평행한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γ)은 70°였다.
또한, 실시예 5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간격(d2)은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06a) 중에서 가장 X 방향의 최상방에 위치하는 점과의 사이의 거리이다.
〔참고예 1〕
참고예 1에서는, 도 70에 도시한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참고예 1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2 고정부(407)의 형상 및 간격(d2)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참고예 1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제2 고정부(407)는 시트 기재(442)의 상단 가장자리(442b)와 하단 가장자리(442a) 사이에 걸친 직사각형이었다.
참고예 1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의 간격(d1)은 5mm이며,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d2)은 0mm였다.
〔참고예 2〕
참고예 2에서는, 도 71에 도시한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참고예 1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의 형상, 제2 고정부(407)의 형상, 간격(d2) 및 이루는 각(γ)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참고예 2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제1 고정부(406)는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06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 사이에 간격 10mm를 두고 직사각형으로 형성했다.
참고예 2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제2 고정부(407)는, 시트 기재(442)의 상단 가장자리(442b)와 하단 가장자리(442a) 사이에 걸친 직사각형이었다.
참고예 2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의 간격(d1)은 5mm이며,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d2)는 0mm였다. 제1 고정부(406)의 최하단점(α)과 제2 고정부(407)의 최하단점(β)을 연결하는 직선과 중심선(CW)에 평행한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γ)은 117°였다.
〔참고예 3〕
참고예 3에서는 도 72에 도시한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참고예 3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의 형상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참고예 3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제1 고정부(406)는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06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 사이에 간격 10mm를 두고 직사각형으로 형성했다.
참고예 3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의 간격(d1)은 5mm이며,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d2)은 10mm였다.
〔참고예 4〕
참고예 4에서는, 도 73에 도시한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참고예 4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후크 테이프(441)의 형상, 시트 기재(442)의 형상, 제1 고정부(406)의 형상, 제2 고정부(407)의 형상 및 간격(d2)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참고예 4에 사용하는 후크 테이프(441)는 사다리꼴 형상이며, Y 방향 외방측의 윗바닥의 X 방향 길이가 32mm, 아랫바닥의 길이가 28mm, Y 방향의 높이가 20mm였다. 참고예 4에 사용하는 시트 기재(442)는 사다리꼴 형상이며, Y 방향 외방측의 윗바닥의 X 방향 길이가 35mm, 아랫바닥의 X 방향 길이가 25mm, Y 방향의 높이가 50mm였다. 또한, 참고예 4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제1 고정부(406)는 참고예 4에 사용하는 후크 테이프(441)와 동일한 형상인 사다리꼴 형상이었다.
참고예 4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의 간격(d1)은 5mm이며,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d2)은 0mm였다.
〔참고예 5〕
참고예 5에서는, 도 74에 도시한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참고예 5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간격(d1), 이루는 각(γ)을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참고예 5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의 간격(d1)은 ―5mm이며, 제1 고정부(406)와 제2 고정부(407)가 중첩되어 있었다. 또한, 참고예 5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2 고정부(407)의 하단 가장자리(407a)와 시트 기재(442)의 하단 가장자리(442a)의 간격(d2)는 10mm였다. 제1 고정부(406)의 최하단점(α)과 제2 고정부(407)의 최하단점(β)을 연결하는 직선과 중심선(CW)에 평행한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γ)은 117°였다.
〔평가〕
실시예 15, 참고예 15의 각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하기 방법에 의해 후크 테이프(441)와 시트 기재(442)의 벗겨지기 쉬움을 평가함과 아울러, 후크 테이프(441)의 하단 가장자리(441a)의 젖혀짐을 평가했다. 후크 테이프(441)의 하단 가장자리(441a)의 젖혀짐을 평가한 이유는 착용중에 후크 테이프(441)의 하단 가장자리(441a)가 젖혀지면, 기저귀 위에 착용하는 옷 등에 걸려 착용중에 후크 테이프(441)가 타겟 시트로부터 벗겨지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벗겨지기 쉬움 및 젖혀짐의 각각에 대해 실시예 1 내지 5, 참고예 1 내지 5의 일회용 기저귀를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평가 방법>
실시예 1의 일회용 기저귀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 1의 일회용 기저귀의 배쪽부를 잘라내어 타겟 시트가 상면이 되도록 평면의 실험대에 고정한다. 한편, 패스닝 테이프(404)가 고정된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흡수성 본체(102)와의 고정부를 따라 잘라내고, 패스닝 테이프(404)의 후크 테이프(441)를 타겟 시트 위에 결합시킨 후,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의 흡수성 본체(102) 측이 타겟 시트 폭 방향과 직교하도록 유지하면서 타겟 시트의 폭 방향을 따라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이 200% 신장이 되는 상태까지 잡아당겨 고정한다. 그 상태에서 후크 테이프(441)의 타겟 시트에 대한 젖혀짐 상태를 관찰했다. 또한, 신축성 웨이스트 패널(403)을 신장 상태에서 5분간 방치한 후에, 후크 테이프(441)의 후크 테이프(441)와 시트 기재(442)의 벗겨짐 상태를 관찰했다. 실시예 2 내지 5, 참고예 1 내지 5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관찰했다.
<벗겨지기 쉬움의 평가>
하기를 기준으로 판정했다.
×××:후크 테이프의 박리가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41a)를 따라 점(α)으로부터 4mm 이상
××:후크 테이프의 박리가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41a)를 따라 점(α)으로부터 2mm 이상 4mm 미만
×:후크 테이프의 박리가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41a)를 따라 점(α)으로부터 1mm 이상 2mm 미만
○:후크 테이프의 박리가 제1 고정부(406)의 하단 가장자리(441a)를 따라 점(α)으로부터 1mm 미만
<젖혀짐의 평가>
하기를 기준으로 판정했다.
×:타겟 시트에 대해 후크 테이프의 들뜸이 관찰됨.
○:타겟 시트에 대해 후크 테이프의 들뜸이 관찰되지 않음.
Figure 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일회용 기저귀는 모두 착용중에 후크 테이프(441)가 타겟 시트로부터 잘 벗겨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착용자의 피부를 잘 손상시키지 않고 사용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표 1의 결과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일회용 기저귀는 모두 착용중에 후크 테이프(441)의 하단 가장자리(441a)가 잘 젖혀지지 않고, 착용중에 후크 테이프(441)가 타겟 시트로부터 잘 벗겨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융착부(75)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타원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연속 직선형, 도트형 등의 비교적 작은 복수 개의 소융착부가 일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파선형, 격자형 등 다양한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하나의 실시 형태만이 갖는 부분은 모두 적당히 서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3 및/또는 제4 발명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 패널(6)을 구성하는 탄성 부재(62)의 길이 방향(본체 폭 방향(Y))의 양단부(62p, 62q)가 모두 평면에서 보아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이었지만, 적어도 신축 패널(6)의 외측 가장자리부(6A)에 존재하는 탄성 부재(62)의 일단부(62p)가 평면에서 보아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이면 되며, 내측 가장자리부(6C)에 존재하는 타단부(62q)는 본체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이 아니어도 된다. 즉, 내측 가장자리부(6C)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제3 접착부(69)는 없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하나의 실시 형태만이 갖는 부분은 모두 적당히 서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 생략한 부분 및 하나의 실시 형태만이 갖는 요건은 각각 다른 실시 형태에 적당히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요건은 적당히 실시 형태 사이에서 서로 치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어 틈새를 잘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틈새로부터의 액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피트성 양호하게 적당히 조이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조임 자국을 잘 남기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장착시에 신축 패널에 부착된 패스닝 테이프를 몸통 둘레 방향으로 곧바로 당겨 그 체결부를 소정의 피체결 영역에 체결했을 때에 상기 신축 패널의 본체 길이 방향의 내방단측의 실질적인 신장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 둘레의 조임력이 경감되고, 그에 따라 조임 자국이 잘 생기지 않는 등 상기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제2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신축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부드럽고, 또한, 신축 패널을 구성하는 탄성 부재의 고정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장착시에 신축 패널이 신축되어도 탄성 부재가 잘 빠지지 않는다.
본 발명(제3 및 제4 발명)에 따르면, 신축 패널의 외관이 양호한 일회용 기저귀가 제공된다.
본 발명(제5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착용자의 등쪽에 틈새가 잘 생기지 않아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제6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사이드 패널의 통기성 및 피트성이 뛰어나고, 강한 인장력이 가해져도 사이드 패널의 신축성이 잘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제7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패스닝 테이프에 늘어남, 찢어짐, 박리 등이 잘 생기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제8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후크 테이프가 시트 기재로부터 잘 벗겨지지 않고, 착용자의 피부를 잘 손상시키지 않아 사용감이 향상된다.

Claims (14)

  1.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이들 두 시트 사이에 개재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된 한 쌍의 신축 패널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신축 패널 각각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외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패스닝 테이프의 체결부를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대향면에 고정하여 착용자에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신축 패널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보다 본체 폭 방향 내방에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신축부는, 패널재와, 상기 패널재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며 본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는 본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신축부보다 본체 폭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기 신축 패널의 구성 부재끼리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접착제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체결부를 갖는 테이프 기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기재는,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테이프 베이스단부와,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에 연접되며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본체 폭 방향 외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부를 갖는 테이프 선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는 본체 폭 방향을 따르는 외측 단 및 내측 단을 가지며, 상기 외측 단보다 본체 길이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상기 내방 단이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 중 본체 길이 방향의 가장 내방에 배치된 탄성 부재보다 본체 길이 방향 외방에 위치해 있는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패널은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와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는 비신축부를 본체 폭 방향으로 가지고 있고,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비신축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신축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며 상기 신축부로부터 상기 비신축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비신축부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패널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패널은 상기 신축 패널의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측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 사이에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가 존재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신축부를 본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패널재에 설치된 제1 접착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신축부를 본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가 존재하고,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존재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상기 패널재에 설치된 제2 접착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고정되며 평면에서 보아 상기 본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이며, 상기 제 2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부보다 접착력이 낮은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는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융착을 포함하는 접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복수 개의 상기 패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영역이 존재하며, 상기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패널재가 서로 융착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가 본체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는 비신축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신축 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베이스단부보다 본체 길이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테이프 비고정 영역이 상기 비신축부인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는 본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직선 형상의 접합부에서 상기 패널재에 고정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신축부로부터 상기 비신축부로의 연장 길이는 복수 개의 상기 접합부 중에서 상기 비신축부에 가장 가까운 2개의 접합부의 간격보다 긴 일회용 기저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패널은 그 본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부위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패널은 복수 개의 상기 탄성 부재가 이간 배치된 신축부를 가지며, 선단부에 상기 패스닝 테이프에 해당하는, 체결부를 갖는 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신축 패널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탭을 갖는 범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신장 응력이 높은 고신장 응력부로 되어 있고, 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고신장 응력부보다 가랑이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고신장 응력부보다 신장 응력이 낮은 저신장 응력부로 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패널은 그 연장 방향의 선단측에 복수 개의 연속 접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연속 접합부 각각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상기 연장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접착제를 통해 상기 패널재로서의 부직포 사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 패널의 베이스단과 상기 연속 접합부 사이에, 상기 패널재 사이가 분산 배치된 다수 개의 융착부에서 융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가 그들 융착부를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중간 신축 영역을 가지고 있는 일회용 기저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신축 패널에 포갠 상태에서 고정된 테이프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신축 패널은 상기 테이프 체결부의 하방 인접 부위에 상기 신축부가 수축하여 생긴 복수 개의 주름을 가지고 있는 일회용 기저귀.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체결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신축부가 수축하여 생긴 주름 위에 고정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무게 중심이 상기 신축 패널의 무게 중심보다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고,
    상기 후크 테이프와 상기 테이프 기재가 고정된 제1 고정부와, 상기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신축 패널이 고정된 제2 체결부는 중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아래 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테이프 기재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는 일치해 있으며,
    상기 제2 체결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상방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시트 기재된 상기 길이 방향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137013673A 2010-11-30 2011-11-28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1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13700776A MY163620A (en) 2010-11-30 2011-11-28 Disposable diap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6040 2010-11-30
JP2010266040A JP4976536B2 (ja) 2010-11-30 2010-11-30 使い捨ておむつ
JP2010273190A JP5764316B2 (ja) 2010-12-08 2010-12-08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0-273190 2010-12-08
JPJP-P-2010-277355 2010-12-13
JP2010277355A JP5783711B2 (ja) 2010-12-13 2010-12-13 使い捨ておむつ
JP2010278381A JP5721419B2 (ja) 2010-12-14 2010-12-14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0-277626 2010-12-14
JPJP-P-2010-278381 2010-12-14
JP2010277626A JP2012125313A (ja) 2010-12-14 2010-12-14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0-281308 2010-12-17
JP2010281308A JP5764319B2 (ja) 2010-12-17 2010-12-17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0-290014 2010-12-27
JP2010290014A JP4976541B1 (ja) 2010-12-27 2010-12-27 使い捨ておむつ
PCT/JP2011/077417 WO2012073901A1 (ja) 2010-11-30 2011-11-28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389A true KR20140041389A (ko) 2014-04-04
KR101501145B1 KR101501145B1 (ko) 2015-03-10

Family

ID=4617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673A KR101501145B1 (ko) 2010-11-30 2011-11-28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647360B1 (ko)
KR (1) KR101501145B1 (ko)
CN (1) CN103237533B (ko)
MY (1) MY163620A (ko)
RU (1) RU2580990C2 (ko)
TW (1) TWI584792B (ko)
WO (1) WO20120739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379A (ko) * 2016-12-28 2019-08-30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5810B2 (ja) * 2012-09-12 2016-08-23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04703567B (zh) * 2012-10-31 2019-04-02 花王株式会社 一次性尿布
JP6180110B2 (ja) * 2012-12-25 2017-08-16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175227B2 (ja) * 2012-10-31 2017-08-0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205244B2 (ja) * 2012-11-09 2017-09-27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112707B2 (ja) * 2012-12-25 2017-04-1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157110B2 (ja) * 2012-12-25 2017-07-05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4004334A (ja) * 2013-05-02 2014-01-16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着用物品
DE112014002253T5 (de) 2013-05-03 2016-02-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hnlaminate umfassende Absorptionsartikel
JP5579334B1 (ja) * 2014-01-14 2014-08-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5580949B1 (ja) * 2014-04-09 2014-08-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591413B1 (ja) * 2014-04-14 2014-09-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6031850A1 (ja) * 2014-08-29 2016-03-03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121975A1 (ja) * 2015-01-30 2016-08-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412861B2 (ja) * 2015-12-28 2018-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02016102684A1 (de) 2016-02-16 2017-08-17 Paul Hartmann Ag Inkontinenzwegwerfwindel
US10980679B2 (en) 2016-05-20 2021-04-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waist gasketing element
WO2017201402A1 (en) 2016-05-20 2017-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waist gasketing element
US20180042786A1 (en) 2016-08-12 2018-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ray of absorbent articles with ear portions
CN117503488A (zh) 2016-08-12 2024-02-06 宝洁公司 带有耳片部分的吸收制品
US10568775B2 (en) 2016-08-12 2020-02-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bsorbent articles
BR112019003961B1 (pt) * 2016-08-31 2022-05-31 Unicharm Corporation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 membro semelhante à folha para um artigo absorvente e dispositivo para fabricação de membro semelhante à folha para um artigo absorvente
EP3527182B1 (en) * 2016-10-14 2021-10-27 Zuiko Corporation Stretchable sheet, wearable article using same, and stretchable sheet production device
WO2018183315A1 (en) 2017-03-27 2018-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laminates with crimped spunbond fiber webs
RU2736267C1 (ru) * 2017-08-31 2020-11-12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Натягиваемое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CN112714640B (zh) * 2018-09-13 2022-06-28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
US11944522B2 (en) 2019-07-01 2024-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ar portion
US20240156654A1 (en) * 2021-03-02 2024-05-16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absorbent hygiene article
EP4059483A1 (en) * 2021-03-19 2022-09-21 Fameccanica.Data S.p.A. A transversely extensible continuous elastic laminat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4059482A1 (en) * 2021-03-19 2022-09-21 Fameccanica.Data S.p.A. A transversely extensible continuous elastic laminat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4053036B (zh) * 2021-12-02 2022-08-26 瑞光(上海)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裤型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
CN114028079B (zh) * 2021-12-02 2022-09-06 瑞光(上海)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裤型吸收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2889A (ja) 1985-11-12 1987-05-23 清水建設株式会社 シールドルーム等に用いるブラインド
MY106077A (en) * 1990-05-09 1995-03-31 Kao Corp Disposable diapers.
US6200299B1 (en) * 1995-01-11 2001-03-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stress relaxing structures and fasteners positioned for improved fit
JP3162592B2 (ja) * 1995-01-11 2001-05-08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使い捨ておむつ
JP4021798B2 (ja) * 2002-09-30 2007-1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3883530B2 (ja) 2003-09-08 2007-02-21 花王株式会社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215972A1 (en) * 2004-03-29 2005-09-29 Roe Donald 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zones comprising elastomeric components
US8419701B2 (en) 2005-01-10 2013-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stretch zones comprising slow recovery elastic materials
CN101083968B (zh) * 2005-01-10 2011-12-21 宝洁公司 包括缓慢恢复拉伸层压材料的吸收制品
JP4813156B2 (ja) * 2005-02-16 2011-11-09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070073260A1 (en) * 2005-09-29 2007-03-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garment-like character
US7806883B2 (en) 2006-01-17 2010-10-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a breathable stretch laminate
JP5113429B2 (ja) 2007-05-31 2013-01-09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JP5079434B2 (ja) 2007-09-21 2012-11-2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JP5328168B2 (ja) * 2008-02-04 2013-10-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5135097B2 (ja) 2008-07-18 2013-01-30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5476017B2 (ja) * 2009-03-30 2014-04-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379A (ko) * 2016-12-28 2019-08-30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28616A (ru) 2015-01-10
TW201320977A (zh) 2013-06-01
KR101501145B1 (ko) 2015-03-10
MY163620A (en) 2017-10-13
WO2012073901A1 (ja) 2012-06-07
RU2580990C2 (ru) 2016-04-10
EP2647360A1 (en) 2013-10-09
TWI584792B (zh) 2017-06-01
CN103237533A (zh) 2013-08-07
CN103237533B (zh) 2015-09-02
EP2647360A4 (en) 2016-07-20
EP2647360B1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1389A (ko)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
JP4783723B2 (ja) 伸縮性止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テープ型おむつ
JP487535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764319B2 (ja) 使い捨ておむつ
US9980860B2 (en) Pull-on wearing article
JP2012125313A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5625358B2 (ja)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JP4794314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3089198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5097481B2 (ja) 伸縮性止着テープを備えたテープ型おむつ
JP6924295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976541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6099130B2 (ja) パッド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481315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074184B2 (ja) パッド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497653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087087B2 (ja) パッド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3211442U (ja) パンツ型の着用物品
JP552528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7315432B2 (ja) 吸収性物品
JP5721419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22070793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625357B2 (ja)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JP6724063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22050193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