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708A - 스킨 케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킨 케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708A
KR20140040708A KR1020137027669A KR20137027669A KR20140040708A KR 20140040708 A KR20140040708 A KR 20140040708A KR 1020137027669 A KR1020137027669 A KR 1020137027669A KR 20137027669 A KR20137027669 A KR 20137027669A KR 20140040708 A KR20140040708 A KR 20140040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lkyl
care composition
skin care
derivat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아라 푸마갈리
에바 발다로
발렌티나 란겔라
마우로 텐코니
라파엘라 페리짜리
지오반니 플로리디
지우세페 리 바씨
Original Assignee
램베르티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램베르티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램베르티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4004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적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 1.5 내지 3.5의 MS를 갖는 디폴리머화된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0.0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피부의 질을 향상시키고, 노화된 피부를 처리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킨 케어 조성물{SKIN CARE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료적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 1.5 내지 3.5의 MS(molar substitution)를 갖는 디폴리머화된(depolymerized)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0.0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피부의 질을 향상시키고, 노화된 피부를 처리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생명체에서, 이들이 늙어감에 따라 피부와 같은 기관은 점차적으로 열화된다.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산화 스트레스와 같은 자극에 대한 피부 보호는 약화되어 피부 내의 상태를 악화되게 하고, 그에 따라 노화를 촉진한다. 몇 가지 인자는 피부의 노화에 기여하고, 피부의 주름 및 늘어짐에 의해 입증되는 가속된 열화를 초래하는데, 예를 들어 자외선 및 일광에 대한 과도한 노출은 피부를 너무 빨리 노화되어 보이게 한다. 피부 노화의 결과로, 진피 및 표피 수준 모두에서 깊은 변화가 발생하고, 특히, 피부는 그 탄력을 상실하고: 체내 유리-라디칼의 결과로 주름, 임신선 및 늘어짐이 더욱 명백해지고 초췌해질 때, 피부는 신속히 회복되지 않는다.
피부의 결합 조직은 주로 콜라겐 및 엘라스틴으로 구성된다. 콜라겐은 진피에 기계적 및 구조적 온전함을 부여하고, 반면 엘라스틴은 피부의 탄력을 제공한다. 노화의 첫 번째 및 가장 주목할 만한 싸인은 피부의 수분 보유력의 감소이고, 그 결과 진피 탄력이 감소한다. 게다가 갱년기 동안 진피가 얇아지고, 그들의 생성이 변화됨에 따라 엘라스틴 섬유는 위축되고; 그에 따라 진피는 그 점탄성 특성을 상실한다.
스킨 케어의 개선에서 주요한 관심사는, 특히 스트레스에 보다 더 직면하는 얼굴 및 신체의 일부에서, 노화의 싸인을 처리하는 것이다. 그 결과, 피부 탄력 및 견고성의 상실, 눈꺼풀의 주름, 피부 늘어짐, 노화 싸인, 예컨대 미세 주름 및 주름 등과 관련된 다양한 피부 상태에 대항하는 것으로 지향된, 시장에서의 많은 상품이 존재한다.
천연 및 가수분해된 형태 양자로, 콜라겐 또는 엘라스틴의 첨가는 피부 탄력에 대한 효과를 제공하지 않지만, 콜라겐 및 엘라스틴은 필름화, 컨디셔닝 및 수화 특성을 나타내고, 그에 따라 안티 에이징 제품에서의 적용을 발견한다. 또한, 이들은 동물, 전형적으로 어린 소로부터 추출되고, 퍼스널 케어에서, 동물 기원의 제품의 사용이 감소되는 트렌드가 있다.
히알루론산은, 성공적인 다당류 안티 에이징 성분이며, 피부의 수화에 작용하고, 피부 탄력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식물성 단백질, 식물 또는 해조류로부터 추출된 가수분해 펩티드, 피토스테롤, 식물 또는 식물 줄기 세포로부터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몇가지 기원의 식물 추출물과 같은 제품은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많고 또한 피부 탄력에 대한 약간의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스킨 케어는 사람마다 변화될 필요가 있고, 어떠한 단일 제품도 모든 개인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노화와 관련된 피부 상태의 처리에 효과적인, 비-동물 기원이고 민감성 피부 타입에 우수한 적합성을 갖는 향상된 제품, 특히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항상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제 놀랍게도 및 예측치 못하게, 높은 몰 치환을 갖는 비이온성 디폴리머화된 히드록시프로필 구아가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키고, 퍼스널 케어 적용에 대한 안티-에이징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HPG)는, 염기성 조건 하에서 프로필렌 옥사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구아 검, 약 2/1의 만노스/갈락토스 비율을 갖는 폴리갈락토만난으로부터 제조된다. 히드록시프로필기의 도입은, 특히 높은 몰 치환에서, 구아에 보다 유기물친화성을 부여하고, 알코올 및 글리콜과 같은 유기 용매에서의 용해도를 증가시킨다.
몇몇 연구는 다당류 및 특히 폴리갈락토만난, 예컨대 구아 및 구아 유도체의 디폴리머화를 위한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를 들어, US 3,728,331, US 4,874,854, US 5,708,162, US 4,753,659, US 6,884,884, EP 030443, EP 1417240, JP 7100017, WO 93/15116, WO 99/04027, 또는 Craig, D., 등 (Proceedings of the Thirty-Ninth Annual Southwestern Petroleum Short Course, Southwestern Petroleum Short Course Association, Inc., Apr. 22-23, 1992, Texas Tech University, Lubbock, Texas), Vijayendran 및 Bone (Carbohydrate Polymers 1994, 4: 299-313), Frollini, E. 등 (Carbohydrate Polymers 1995, 27 : 129-135), Ouchi, T., 등 (J. M.S. -Pure Appl. Chem. 1997, A34(6) : 975-989), Tayal, A., 등 (Macromolecules 2000, 33 :9488-9484)을 인용할 수 있다. 결과물인 디폴리머화된 조성물은 오일 드릴링, 건축 산업, 식품 산업, 제지 산업, 농약 등과 같은 상이한 분야들에서 이용되어 오고 있다.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유도체는 또한 비이온성 폴리머 증점제 및 필름 형성제로서 화장료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들이 높은 수준의 윤활성과, 수용액 중 우수한 염 및 알코올 내성과 같은 그들의 특성을 활용하는 것은 퍼스널 케어 제형에서 종종 명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원인이 아는 바로는, 높은 몰 치환을 갖는 디폴리머화된 HPG의 인간 피부에 대한 효과를 기재한 것은 없었다. 이러한 효과의 발견은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기 위한 특별히 독창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처리될 피부의 일부에, 높은 몰 치환을 갖는 디폴리머화된 HPG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텍스트에서, "몰 치환(molar substitution)" (MS)이라는 표현은, 예를 들어, 1H-NM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구아의 각각의 단당류 단위에서 히드록시프로필기의 수를 의미한다.
"디폴리머화된 히드록시프로필 구아"는 그 평균 분자량이 디그레이딩 처리(degrading treatment)를 사용하여 현저히 감소된 히드록시프로필 구아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허용가능한 화장료 또는 약제학적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물 중 10 중량%, 20℃, 20 rpm에서 50 내지 5000 mPa*s의 RVT 브룩필드(등록상표) 점도 및 1.5 내지 3.5의 몰 치환을 갖는, 0.05 내지 5.0 중량%의 디폴리머화된 히드록시프로필 구아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물 중 10 중량%, 20℃, 20 rpm에서 50 내지 5000 mPa*s의 RVT 브룩필드(등록상표) 점도 및 1.5 내지 3.5의 몰 치환을 갖는 디폴리머화된 히드록시프로필 구아의 용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디폴리머화된 히드록시프로필 구아는 2.0 내지 3.2의 몰 치환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HPG는 물 중 10 중량%, 20℃, 20 rpm에서 100 내지 2000 mPa*s의 RVT 브룩필드(등록상표) 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높은 MS를 갖는 디폴리머화된 HPG는, 앞서 언급된 문헌에 기재된 것들과 같이,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높은 MS를 갖는 디폴리머화된 HPG는, 높은 MS를 갖는 히드록시프로필 구아의 분자량을 저하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구아의 히드록시프로필 유도체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과정에 따라서, 알칼리 촉매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중에서,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폴리갈락토만난 사슬의 히드록실기의 화학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구체적인 세부사항은 예를 들어 "Industrial Gums: Polysaccharides and their derivatives", 3rd Ed., Whistler, Roy, L, 및 BeMilier, James N., Academic Press (1993)에서 찾을 수 있다.
"구아 검" 또는 단순히 "구아"는 약 2:1의 몰 비율로 갈락토스 단위의 사슬을 보유하는 만노스 단위의 메인 선형 사슬로 구성되고, 열대 국가의 반-건조 지역에서, 특히 인도 및 파키스탄에서 재배되는 콩과인, "Cyamopsis Tetragonolobus"의 씨를 열-기계적 처리하여 만들어진다. 이는 통상적으로 싹, 내부로부터 및 겉껍질로부터 박리한 씨의 배젖인 "스플리트(splits)"의 형태로, 또는 밀링에 의해 스플리트로부터 얻어지는, 상이한 입자-크기의 파우더(곡물가루)의 형태로 발견된다.
프로필렌 옥사이드로의 유도체화 프로세스는 곡물가루 형태의 구아 또는 "스플리트" 형태의 구아에 무관하게 적용가능하다.
유도체화 프로세스의 마지막에 HPG는 통상적으로 500,000 내지 2,000,000 Da을 포함하는 평균 분자량, 및 물 중 2 중량%의 농도, 20℃, 20 rpm에서 1,000 내지 30,000 mPa*s의 RVT 브룩필드(등록상표) 점도를 갖는다.
디폴리머화되기 전,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사용되는 높은 MS를 갖는 HPG는, 화학 반응 도중 생성된 부산물(글리콜, 폴리글리콜, 무기/유기 염)로부터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으로, 예를 들어 물 또는 유기 용매, 또는 양자의 혼합물로 세척하여 정제될 수 있다.
높은 MS를 갖는 HPG는, 예를 들어 알칼리 또는 과산화수소로의 산화에 의해, 또는 기타 디폴리머화 반응, 예컨대 효소적 또는 열적 디폴리머화, 또는 산 가수분해에 의해 디폴리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폴리머화된 HPG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중 히드록시프로필 구아의 산 가수분해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프로세스의 마지막에, 높은 MS를 갖는 디폴리머화된 HPG는 반응 배지에 남겨질 수 있거나,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방법, 예컨대 여과, 용매의 첨가, 냉동 건조 등을 사용하여 회수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높은 MS를 갖는 디폴리머화된 HPG는, 첫번째로 구아의 분자량을 감소시키고, 이어서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유도체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모든 반응은 이미 언급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높은 MS를 갖는 디폴리머화된 HPG의 평균 분자량은 2,000 내지 200,000 Da이다.
적절한 화장료적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폴리올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오일 및 적절한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분산 배지 또는 용매일 수 있다. 전형적인 담체/희석제는 수성 또는 하이드로-알코올 시스템, 에멀전 또는 겔의 형태일 수 있고; 에멀전은 또한 마이크로에멀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조성물이 에멀전 형태로 제공될 때, 이러한 에멀전은 유화제 및 오일(물 수용성)의 존재를 필요로 하며, 이들은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에멀전 형태의 스킨 케어 조성물은 0.1 내지 15.0 중량%의 유화제 및 1.0 내지 60 중량%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오일은 탄화수소 오일 및 왁스, 실리콘 오일, 지방산 유도체,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유도체, 디글리세리드, 트리글리세리드, 식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유도체, 알킬 또는 알케닐 에스테르, 라놀린 및 그 유도체, 왁스 에스테르, 밀랍 유도체 및 스테롤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탄화수소 오일 및 왁스의 예는 광유, 미네랄 오일, 미세 결정형(micro-crystalline) 왁스, 폴리알켄, 파라핀, 세라신, 폴리에틸렌, 퍼히드로스쿠알렌, 폴리 알파-올레핀,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실리콘 오일의 예는 디메티콘 코폴리올, 디메틸폴리실록산, 디에틸폴리실록산, 혼합된 C1-C30 알킬 폴리실록산, 페닐 디메티콘, 디메티콘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디글리세리드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예는 캐스터 오일, 대두유, 유도체화된 대두유, 예컨대 말리에이트화된 대두유, 홍화유, 면실유 및 유도체화된 면실유, 콘 오일, 월넛 오일, 피넛 오일, 올리브 오일, 코드 리버 오일, 아몬드 오일, 팜 오일 및 참기름, 해바라기씨 오일, 코코넛 오일 및 유도체화된 코코넛 오일, 코코아 버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알킬 에스테르의 예는 세틸 리시놀리에이트, 스테아릴 리시놀리에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헥실 라우레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데실 올리에이트, 이소데실 올리에이트, 헥사데실 스테아레이트, 데실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디헥실데실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세틸 락테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알케닐 에스테르의 예는 올레일 미리스테이트, 올레일 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올리에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라놀린 및 라놀린 유도체의 예는 라놀린, 라놀린 오일, 라놀린 왁스, 라놀린 알코올,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놀레이트, 아세틸화된 라놀린, 아세틸화된 라놀린 알코올, 라놀린 알코올 리놀리에이트, 라놀린 알코올 리시놀리에이트, 히드록실화된 라놀린, 수소화된 라놀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기타 적절한 오일은 밀크 트리글리세리드(예를 들어, 히드록실화된 밀크 글리세리드) 및 폴리올 지방산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적절한 오일은 왁스 에스테르, 식물성 왁스 및 스테롤을 포함하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밀랍 및 밀랍 유도체,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카나우바 및 칸데릴라 왁스; 콜레스테롤, 세라미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절한 유화제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amphoteric), 쌍성이온성(zwitterionic), 양이온성 유화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유화제의 예는 또한 천연 또는 합성 폴리머 유화제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유화제는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및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킬 또는 알킬 에테르 술포숙시네이트, 알킬 폴리글루코시드의 시트르, 타르타르 또는 술포숙신 에스테르와 같은,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및 알킬 폴리글리코시드의 음이온성 유도체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유화제는 소수성 모이어티 및 비이온성 친수성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 광범위하게 정의될 수 있다. 소수성 모이어티의 예는 알킬, 알킬 방향족, 및 아릴 방향족일 수 있다. 친수성 모이어티의 예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 산화물, 및 알칸올 아미드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유화제의 예는 알콕실화된 지방 알코올 또는 지방산, 알콕실화된 디- 및 트리-스티릴 페놀,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 당 에스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알콕실화된 당 에스테르, 소르비탄 및 알콕실화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유화제의 기타 예는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예컨대 코코폴리글루코시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양이온성 유화제는, 아미노 또는 4차 암모늄 친수성 모이어티를 함유하며, 이들은 물에 용해되었을 때 양으로 하전된다. 암모늄 화합물의 예는 장쇄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장쇄 알킬 벤질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알킬아민 아세테이트 및 디(장쇄 알킬) 디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양쪽성 유화제는 지방족 4차 암모늄의 유도체로서 광범위하게 기재될 수 있는 것들이고, 여기서 지방족 치환체 중 하나는 음이온성 수-용해성 기, 예를 들어, 카르복실레이트, 술포네이트, 술페이트를 함유한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코코암포카르복시프로피오네이트, 코코암포아세테이트,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쌍성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알킬 베타인 및 아미도 베타인, 알킬 술타인, 알킬 글리시네이트 및 알킬 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폴리머 유화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크릴산, 치환된 아크릴산, 및 이들 아크릴산 및 치환된 아크릴산의 염 및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가교된 화합물인 카르복시산 폴리머를 포함한다. 이들 카르복시산 폴리머는 또한 증점제로서 작용한다.
이들은 아크릴아미도프로필술폰산과 같은, 아크릴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의 가교된 호모폴리머일 수 있다. 이들은 또한 (i) (메트)아크릴산, 이들의 유도체, 단쇄 (즉, C1-C4)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모노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제1 모노머; 및 (ii) 장쇄 (즉, C8-C40) 치환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모노머인 제2 모노머를 갖는, 가교된 코폴리머일 수 있다.
여기에서 유용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카르복시산 폴리머의 예는 Carbopol 1342, Pemulen TR-1, Pemulen TR-2 (Lubrizol Corp.으로부터); Sepigel 305, Simulgel EG, Simulgel NS, Simulgel 600 (Seppic S.A.로부터); Viscolam AT100P 및 Viscofam AT64/P (Lamberti S.p.A.로부터)이다.
폴리머 유화제로서 적절할 수 있는 기타 물질은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코폴리머, 예를 들어 상표명 Pluronic (BASF)으로 시판중인 것들을 포함한다.
기타 적절한 폴리머 유화제는 소수성 모이어티로 유도체화될 수 있는 다당류와 같은 천연 폴리머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유화제의 추가적인 예는 "McCutcheon's Detergents and Emulsifiers", North American Edition (2003), Allured Publishing Corporation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인 화장료-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화장료-작용제"는, 화장료 범주로 피부에 적용될 수 있는 임의의 물질,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킨 케어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이들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하기와 같다 :
- 안티-링클제, 예컨대 레티놀, 히드록시산 (예를 들어, 알파-히드록시산, 예컨대 락트산 및 글리콜산 또는 베타-히드록시산, 예컨대 살리실산 및 살리실산 유도체, 예컨대 옥타노일 유도체) 및 토코페롤;
- 항산화제/라디칼 스캐빈저,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및 그 염, 지방산의 아스코르빌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의 기타 에스테르, 갈산 및 그 알킬 에스테르, 요산 및 그 염 및 알킬 에스테르, 소르브산 및 그 염, 등;
- 피부에 냉감의 형태로 촉각 반응을 일으키는 피부 냉각제, 예컨대 멘톨, 멘틸 아세테이트, 및 멘톨의 기타 유도체;
- 피부 윤활성 증가의 형태로 촉각 반응을 일으키는 진정제, 예컨대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C12-C15 알킬 벤조에이트, 실리콘 물질, 미네랄 오일 및 식물성 오일;
- 피부 미백 및 라이트닝제, 예컨대 하이드로퀴논, 코지산,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이들의 유도체, 추출물 (예를 들어, 멀버리 추출물, 태반 추출물) 및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
- 자외선 차단제, 그 중 무기 자외선 차단제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예컨대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산화철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 (예를 들어 p-아미노벤조산, 그 염 및 그 유도체, 안트라닐레이트, 벤잘아세토페논, 벤조페논, 신남산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디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트리히드록시-신남산 유도체, 탄화수소, 디벤잘아세톤, 나프톨술포네이트, 디-히드록시나프토산 및 그 염, 살리실레이트, 퀴닌 염, 퀴놀린 유도체, 히드록시- 또는 메톡시-치환된 벤조페논, 요산 및 비오루르산(violuric acid), 탄닌산 및 그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옥토크릴렌, 및 이들의 혼합물;
- 태닝제, 예컨대 디히드록시아세톤, 이는 또한 DHA 또는 1,3-디히드록시-2-프로판온으로서 알려짐;
- 스킨 수딩 및/또는 힐링제, 예컨대 판테온산 유도체, 예를 들어 판테놀, 덱스판테놀 및 에틸 판테놀, 알로에 베라, 레티노이드, 비타민 및 이들의 유도체;
- 수분을 가하거나 또는 피부로부터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피부 수분을 유지하는 보습제;
- 국소 마취제, 예컨대 벤조카인, 리도카인, 클로르프로카인, 디부카인, 에티도카인, 테트라카인, 프로카인, 케타민, 프라목신, 페놀,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들의 조합;
- 향수 형태의, 후각 반응을 일으키는 향료 또는, 신체 악취를 또한 감소시키는 데오도런트 향료;
- 특히 신체 악취의 발생의 원인이 되는 마이크로 플로라를 피부 표면에서 제거 또는 수준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는, 향료 이외의 데오도런트.
- 화장품 - 예컨대 파운데이션 파우더;
- 쉐이빙 액티브;
- 항 여드름제, 예컨대 레조르시놀, 황, 살리실산, 벤조일 페록사이드, 에리스로마이신, 아연, 및 기타 유사한 물질;
- 킬레이팅제 - 예컨대 푸릴디옥심, 푸릴모노옥심, 및 이들의 유도체;
- 피부 유효 작용제로서 피부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플라보노이드, 예컨대 비치환된 플라바논, 모노-치환된 플라바논, 칼콘, 플라본, 쿠마린 및 이들의 혼합물;
- 스테로이드계 또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 항미생물제, 예컨대 노르플록사신, 테트라사이클린, 에탐부톨, 에리스로마이신, 페녹시에탄올, 페녹시 프로판올, 메타사이클린, 페녹시이소프로판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헥사미딘 이세티오네이트, 메트로니다졸, 스트렙토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아연 피리티온, 및 이들의 조합;
- 수많은 피부 결점, 예컨대 검버섯, 미세 주름, 주름 및 결점의 출현을 마스크하는 시각적 피부 향상제,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과, 피부에 위치될 때 빛을 분산시키는 유기 미립자.
추가적인 화장료-작용제는 스킨 케어 조성물의 0.01 내지 30 중량%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화장료-작용제는 단지 예시이고,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의 완전한 리스트는 아니다. 이들 타입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제제가 화장품 산업에서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화장료-작용제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로 또한, 화장품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 예컨대 색료, 보존제 (예를 들어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 항-기포제, 영양 보충제, 활성 향상제, 용해제, 기능성 폴리머, 증점제, 안정화제, 현탁제 (예컨대 클레이, 실리카 및 잔탄), 실리콘 물질, 탄화수소 폴리머, 약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증점제의 예는 지방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클레이; 실리카; 음이온성, 양이온성, 소수성으로-변형된 및 양쪽성 아크릴 코폴리머; 비이온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양쪽성 셀룰로오스 폴리머 (예컨대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양이온성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비이온성, 음이온성, 소수성으로-변형된, 양쪽성 및 양이온성 다당류 (예컨대 잔탄,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구아,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양이온성 히드록시프로필 구아)를 포함한다.
적절한 안정화제는 (메트)아크릴 코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사이클로덱스트린;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의 pH는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조성물의 안정성에 중요한 인자이다. 바람직하게는 pH 범위는 3.5 내지 9.0이다. 다양한 산, 염기 및 버퍼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pH를 조정 및/또는 유지할 수 있다. pH를 조정 및/또는 유지하는데 유용한 물질의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암모니아,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염산, 인산, 인산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시트르산 등을 포함한다.
피부 탄력은 늘어짐, 저하된 피부 견고성 및 젊은 외모의 결여와 같은 데미지를 개선하고, 미세 주름 및 주름의 출현을 개선하는데 결정적이다. 피부에 적용되는 조성물에 본 발명의 높은 MS를 갖는 디폴리머화된 HPG를 사용하는 것은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기타 잘 알려진 화장료 작용제와 조합하여, 피부 노화의 싸인을 처리, 복구 및/또는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킨 케어 조성물은 스킨 로션, 스킨 크림, 바디 버터, 애프터-샤워 로션, 애프터-클린징 로션, 클린징 밀크, 애프터-쉐이브 제품, 데오도런트 제품, 발한억제제 제품, 선 케어 제제 및 셀프-태닝 크림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스킨 케어 조성물은 스킨 크림, 예컨대 안티 에이징 크림 (안티 에이징 데이 크림, 안티 에이징 나이트 크림, 아이 컨투어 크림, 립 컨투어 크림), 안티-셀룰라이트 크림, (방지 및 저하용) 안티-스트레치 마크 크림 및 흉터 감소 크림; 선 케어 제제(선스크린 및 애프터-선) 및 핸드 케어 크림이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예시를 위해 의도된 하기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모든 부 및 퍼센트는 달리 언급이 없다면 중량(wt) 기준이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성분을 사용하여 하기 제조 과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1
제조 과정: 메인 용기에 상 B의 성분을 칭량하고, 70-75℃로 가열하고; 사이드 용기에 상 A의 성분을 칭량하고, 70-75℃로 가열하였다. 일단 온도에 도달하면, 2개의 혼합물을 혼합하고 에멀전이 형성될 때까지(약 5분) 교반하였다. 이어서 에멀전을 30℃로 냉각하고, 상 C의 성분 7 및 8을 가하였다. 마지막으로, pH를 1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6.0 - 6.5의 값으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2 (비교)
디폴리머화된 HPG를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 및 제조 과정을 사용하여 크림(플라시보)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피부 탄력 평가
큐토미터® SEM 575 (Courage & Khazaka)로 탄력 측정을 수행하였다. 탄력 측정에서, 피부 표면은 기계에 의해 유도된 디프레션으로부터 탄력계의 측정 프로브의 구경으로 흡입된다. 프로브 내 피부 투과의 깊이는 광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흡입 사이클의 마지막에서 얻어진 피부의 전체 변형은 피부 신장성 (Uf)으로 정의된다. 릴리즈 상 도중, 전체 변형 회복의 양을 관찰할 수 있다 (Ua= 변형 회복).
피부의 탄력 (또는 종합적인 탄력)은 하기 비율로서 정의된다:
U a / U f
0 내지 1(최대 탄력) 범위의 값인 종합적인 탄력은, 수축에 대한 피부의 잠재 능력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스트를 위해서, 350 mbar 진공에서 1초의 석션 사이클에 이어 1초의 릴리즈 사이클을 선택하였다. 3번의 측정 사이클(1 사이클 : 석션/릴리즈)을 동일 포인트에서 수행하였다.
3번의 석션/릴리즈 사이클은 3번의 연속적인 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피부의 탄력 특성과 관련된 변형 파라미터의 평균 값을 제공한다.
40 내지 60세(평균 연령 50.5세)의 백인 여성 12명을 본 연구에 포함시켰다.
연구를 생물기후실 (24 +/- 2 ℃; 50 +/- 10 % rh)에서 수행하였다. 기구 측정을 수행하기 전 적어도 12시간 동안 얼굴에 어떠한 제품도 적용하지 않도록 지원자에게 요청하였다.
테스트 첫째 날 종합적인 탄력의 최초 기구 측정(T0)을 수행하였다.
그 후 즉시, 실시예 1 및 2의 각각의 크림 2mg/cm2을 지원자의 얼굴에 절반씩 각각 적용하였다.
종합적인 탄력 측정을 제품 적용 후 15분에 반복하였다(T15).
2주 동안 각각의 여성에게 하루 2회 처리를 반복하였다. 처리 기간의 마지막에 지원자들을 다시 연구실로 불러서 종합적인 탄력의 최종 측정을 반복하였다(Tf).
종합적인 탄력 값 T0, T15 및 Tf에 대한 평균 값 및 표준 편차는 표 2에 나타냈다.
추가로, T15 또는 Tf 및 T0 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변동의 퍼센트와 함께 표 3에 나타냈다.
t 테스트(표 3)를 사용하여 처리 전 및 후에 발견된 차이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p ≤ 0.05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실시예 2 (플라시보)의 크림으로는, 피부 탄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크림으로는, 15분 후 및 2주 후 모두에서, 피부 탄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1).
특히 2주 후 피부 탄력은 12.3%의 현저한 증가가 있었다.

Claims (14)

  1. 허용가능한 화장료의 또는 약제학적의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물 중 10 중량%, 20℃, 20 rpm에서 50 내지 5000 mPa*s의 RVT 브룩필드(등록상표) 점도 및 1.5 내지 3.5의 몰 치환을 갖는, 0.05 내지 5.0 중량%의 디폴리머화된(depolymerized) 히드록시프로필 구아(HPG)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폴리머화된 HPG는 2.0 내지 3.2의 몰 치환을 갖는 것인, 스킨 케어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폴리머화된 HPG는, 물 중 10 중량% 및 20℃, 20 rpm에서 100 내지 2000 mPa*s의 RVT 브룩필드(등록상표) 점도를 갖는 것인, 스킨 케어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성 또는 하이드로-알코올 시스템, 에멀전 또는 겔의 형태인, 스킨 케어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0.1 내지 15.0 중량%의 유화제 및 1.0 내지 60 중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전인, 스킨 케어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탄화수소 오일 및 왁스, 실리콘 오일, 지방산 유도체,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유도체, 디글리세리드, 트리글리세리드, 식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유도체, 알킬 또는 알케닐 에스테르, 라놀린 및 그 유도체, 왁스 에스테르, 밀랍 유도체 및 스테롤과,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인, 스킨 케어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amphoteric), 쌍성이온성(zwitterionic) 및 비이온성 유화제; 천연 또는 합성 폴리머 유화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인, 스킨 케어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는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및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킬 또는 알킬 에테르 술포숙시네이트 및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알킬 폴리글리코시드의 음이온성 유도체의 그룹에서 선택된 것인, 스킨 케어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는 알콕실화된 지방 알코올 또는 지방산, 알콕실화된 디- 및 트리-스티릴 페놀,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 당 에스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알콕실화된 당 에스테르, 소르비탄 및 알콕실화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인, 스킨 케어 조성물.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유화제는 아크릴산, 치환된 아크릴산, 및 이들 아크릴산 및 치환된 아크릴산의 염 및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가교된 카르복시산 폴리머 및/또는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코폴리머인 것인, 스킨 케어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안티-링클제, 항산화제/라디칼 스캐빈저, 피부 냉각제, 진정제, 피부 미백 및 라이트닝제, 자외선 차단제, 태닝제, 스킨 수딩 및 힐링제, 보습제, 국소 마취제, 향료, 향료 이외의 데오도런트, 화장품, 쉐이빙 액티브, 항 여드름제, 킬레이팅제, 플라보노이드, 스테로이드계 또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시각적 피부 향상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0.01 중량% 내지 30 중량%의 화장료-작용제를 더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색료, 보존제, 항기포제, 영양 보충제, 활성 향상제, 용해제, 기능성 폴리머, 증점제, 안정화제, 현탁제, 실리콘 재료, 탄화수소 폴리머, 약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종래의 화장료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킨 로션, 스킨 크림, 바디 버터, 애프터-샤워 로션, 애프터-클린징 로션, 클린징 밀크, 애프터-쉐이브 제품, 데오도런트 제품, 발한억제제 제품, 선 케어 제제 및 셀프-태닝 크림으로 제형화된, 스킨 케어 조성물.
  14.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물 중 10 중량%, 20℃, 20 rpm에서 50 내지 5000 mPa*s의 RVT 브룩필드(등록상표) 점도 및 1.5 내지 3.5의 몰 치환을 갖는 디폴리머화된 히드록시프로필 구아의 용도.
KR1020137027669A 2011-03-25 2012-03-16 스킨 케어 조성물 KR201400407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009A ITVA20110009A1 (it) 2011-03-25 2011-03-25 Composizione cosmetica per la pelle
ITVA2011A000009 2011-03-25
PCT/EP2012/054708 WO2012130642A2 (en) 2011-03-25 2012-03-16 Skin care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708A true KR20140040708A (ko) 2014-04-03

Family

ID=4397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669A KR20140040708A (ko) 2011-03-25 2012-03-16 스킨 케어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023600A1 (ko)
EP (1) EP2688548B1 (ko)
KR (1) KR20140040708A (ko)
BR (1) BR112013021244A2 (ko)
ES (1) ES2624909T3 (ko)
IT (1) ITVA20110009A1 (ko)
WO (1) WO20121306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0430A (ko) * 2012-11-29 2014-06-10 (주)네오팜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8331A (en) 1969-04-04 1973-04-17 Dow Chemical Co Process for reducing the viscosity of a cellulose ether with hydrogen peroxide
CH642669A5 (de) 1979-12-03 1984-04-30 Meyhall Chemical Ag Wasserloesliches guarproduk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4645812A (en) * 1983-02-28 1987-02-24 Henkel Corporation Method of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DE3478226D1 (en) 1983-12-29 1989-06-22 Diamalt Ag Derivatives of polysaccharides from cassia tora, and their application
US4874854A (en) 1985-10-08 1989-10-17 Merck & Co., Inc. Low viscosity heteropolysaccharides
JPH07100017B2 (ja) 1987-07-16 1995-11-01 日清製粉株式会社 グアガム含有食品
AU3594893A (en) 1992-01-31 1993-09-01 Dow Chemical Company, The Process for reducing the viscosity of natural carbohydrate gums
DE4411681A1 (de) 1994-04-05 1995-10-12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niedermolekularer Polysaccharidether
AU8406298A (en) 1997-07-16 1999-02-10 Rhodia Inc. Production of galactomannan products by enzymatic reaction on guar splits
WO2002100902A1 (en) * 2001-06-11 2002-12-19 Rhodia, Inc Galactomann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FR2862235B1 (fr) * 2003-11-13 2007-12-28 Rhodia Chimie Sa Emulsion pour vehiculer une matiere active hydrophobe vers un substrat en milieu aqueux
FR2865647B1 (fr) * 2004-02-02 2006-04-07 Silab Sa Activites d'un principe actif obtenu a partir de poudre de semences d'alfalfa (medicago sativa), principe actif utilise et peocede d'obtention
FR2881349B1 (fr) * 2005-01-28 2007-04-20 Biolog Vegetale Yves Rocher Sa Nouvelle utilisation des galactomannanes en tant qu'agent actif en cosmetique.
EP2337544A2 (en) * 2007-04-30 2011-06-29 Living Proof, Inc. Us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in skin c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0642A2 (en) 2012-10-04
EP2688548B1 (en) 2017-02-01
WO2012130642A3 (en) 2013-02-07
ITVA20110009A1 (it) 2012-09-26
ES2624909T3 (es) 2017-07-18
US20140023600A1 (en) 2014-01-23
BR112013021244A2 (pt) 2016-08-09
EP2688548A2 (en)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9750C (en)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6218380B2 (ja) 肌質改善用外用組成物
JP2004203811A (ja) 化粧料
KR101881954B1 (ko) 돌외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8340A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6504282A (ja) 化粧用又は薬用製剤
JP4869751B2 (ja) サンバーンセル形成抑制剤及びdna損傷修復促進剤
JP6263346B2 (ja) 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2005022993A (ja) コラーゲン及び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並びにこれを含む老化防止化粧料
JP2021098655A (ja) 皮膚外用組成物
EP2688548B1 (en) Skin care composition
US11278484B2 (en) Skin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non-hydrolyzed nucleic acid material extracted from tuna
JP2001302440A (ja) 化粧料
JP2004307437A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2003238429A (ja) 線維芽細胞賦活剤及びこれを含む皮膚外用剤
JP2005145938A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化粧料
JP2002128654A (ja) 皮膚外用剤
JP2002114629A (ja) 化粧料
JP2019077675A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KR101973111B1 (ko) 신규한 레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80023643A (ko) 둥글레 유래 사용감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H1192328A (ja) 皮膚外用製剤
KR20160123070A (ko)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15803A (ko)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JPH09241147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