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428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428A
KR20140038428A KR1020137031129A KR20137031129A KR20140038428A KR 20140038428 A KR20140038428 A KR 20140038428A KR 1020137031129 A KR1020137031129 A KR 1020137031129A KR 20137031129 A KR20137031129 A KR 20137031129A KR 20140038428 A KR20140038428 A KR 20140038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earring
extension
region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스케 다케다
아키라 시바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는, 마스크 본체부(20)와, 마스크 본체부(20)에 연접되는 귀걸이부(30)를 구비하고, 마스크 본체부(20)는, 평면부(20a)와, 주름(27)과, 단부 영역(21)을 가지며, 귀걸이부(30)는, 접합부(31)와, 고리형부(32)를 가지며, 접합부(31)는 단부 영역(21)에 접합되고, 고리형부(32)는, 접합부(31)와 일체형이 되어 접합부(31)와 함께 귀걸이 공간(33)을 형성하고, 또 단부 영역(2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32a)와, 단부 영역(2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연장부(32a)에 연접되는 제2 연장부(32b)를 포함하고, 또한, 귀걸이부(30) 중 마스크 본체부(20)와의 연접 부분에, 마스크 장착시에 제1 연장부(32a) 및 제2 연장부(32b)의 적어도 한쪽을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상연 또는 하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시키기 위한 이완 억제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마스크 착용시에 생기는 귀걸이부의 이완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9-149946호는,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마스크는, 대체로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 본체부와, 마스크 본체부의 양 단부 영역의 각각 연접되어, 귀걸이 공간을 형성하는 귀걸이부를 구비하고, 마스크 착용시에 귀걸이부가 마스크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지의 마스크에서는, 귀걸이부를 소정의 시트폭을 갖는 부직포 시트로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귀걸이부를 고무끈으로 구성한 경우에 비해서, 마스크 착용시에 귀걸이부의 장력이 마스크 착용자의 귀의 일부에 집중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자는 귀의 통증을 느끼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 반면, 귀걸이부는, 소정의 시트폭을 갖는 구성상, 마스크 착용시에 착용자의 귀를 향해서 인장되었을 때의 인장 방향에 따라서는 상기 귀걸이부에 이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특히, 귀걸이부 중 마스크 본체부와의 연접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귀걸이부의 시트 폭 방향의 양 연부 중 어느 한쪽에 이완이 생기기 쉽고, 이 귀걸이부의 이완이 마스크 착용자의 볼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키는 요인이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9-149946호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착용시에 생기는 귀걸이부의 이완을 억제하는 데 유효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부와, 이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되는 귀걸이부를 구비한다. 마스크 본체부는, 소정의 제1 방향 및 그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평면부와, 평면부 상을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주름과, 제1 방향 상의 단부 영역을 갖는다. 귀걸이부는, 접합부와, 고리형부를 갖는다. 접합부는, 시트형으로 형성되며, 제2 방향에 대해 단부 영역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장척형으로 연장되면서 단부 영역에 접합된다. 고리형부는, 시트형으로 형성되며, 접합부와 일체형이 되어 접합부와 함께 귀걸이 공간을 형성한다. 또, 이 고리형부는, 접합부의 제2 방향 상의 한쪽 연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접합부의 제2 방향 상의 다른 쪽 연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연장부에 연접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에서는, 귀걸이부 중 마스크 본체부와의 연접 부분에 이완 억제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이완 억제 기구는, 마스크 장착시에 귀걸이부의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적어도 한쪽을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상연 또는 하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전형적으로는, 귀걸이부의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에 관하여, 상기 연장부의 마스크 장착전의 연장 방향과 마스크 장착시의 인장 방향이 대략 합치하는 경우에, 상기 연장부의 이완이 억제된다. 이 경우, 귀걸이부의 제1 연장부만의 이완이 억제되는 형태, 귀걸이부의 제2 연장부만의 이완이 억제되는 형태, 또 귀걸이부의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쌍방의 이완이 억제되는 형태가 포함된다. 또한, 귀뿌리는, 귀와 머리의 경계 부분으로서, 귀걸이부가 귀에 걸린 경우에, 실질적으로 상기 귀걸이부에 의해서 압박되는 부분으로서 특정된다. 이에 의해, 마스크 착용자의 귀에 귀걸이부가 걸렸을 때, 이 귀걸이부의 이완이 마스크 착용자의 볼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마스크에서는, 이완 억제 기구는, 마스크 본체부의 단부 영역의 연장선과, 귀걸이부의 제1 연장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귀걸이 공간측의 각도가 80°부터 140°까지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귀걸이부가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된 연접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스크 장착시에 제1 연장부가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상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된다. 따라서, 귀걸이부의 제1 연장부와 마스크 착용자의 볼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마스크에서는, 이완 억제 기구는, 마스크 본체부의 단부 영역의 연장선과, 귀걸이부의 제2 연장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귀걸이 공간측의 각도가 70°부터 130°까지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귀걸이부가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된 연접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스크 장착시에 제2 연장부가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하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된다. 따라서, 귀걸이부의 제2 연장부와 마스크 착용자의 볼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부는, 단부 영역에서 주름의 제2 방향을 따른 전개 동작이 저지되고, 또한 제1 방향 상의 양 단부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에서 주름의 전개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중간 영역에서의 주름의 상기 동작에 따라서 단부 영역이 만곡된 상태로 상기 마스크가 마스크 착용자에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특히 마스크 본체부의 주름을 전개시킨 상태의 마스크 장착시에, 귀걸이부의 이완을 억제함으로써, 귀걸이부와 마스크 착용자의 볼부 사이의 간극의 형성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마스크에서는, 접합부 및 고리형부는, 단일 시트형 부직포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접합부가 마스크 본체부의 단부 영역에 열융착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귀걸이부의 구조, 및 접합부와 단부 영역의 접합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마스크에서는, 접합부 및 고리형부는 서로 고리형으로 연접되어 있고, 귀걸이 공간이, 접합부와 고리형부 사이에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귀걸이 공간을 갖는 귀걸이부를, 간단한 형상의 펀칭 부재에 의한 펀칭 가공에 의해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착용시에 생기는 귀걸이부의 이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를 외면측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마스크(10)를 내면측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의 마스크(10)의 A-A선에 대한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 중의 단면 구조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 중의 단면 구조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 중의 B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 중의 마스크(10)의 전개 상태를 외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귀걸이부(30)의 각도 설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마스크 착용시의 마스크(10)를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귀걸이부(30)의 다른 실시형태의 연접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나타내는 귀걸이부(30)의 다른 실시형태의 연접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도 9와 동일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마스크」는,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적어도 입가 내지 상기 입가 주변의 입가 공간을 덮도록 구성된다.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0)를 외면측에서 본 모습이, 또 도 2에는 이 마스크(10)를 내면측에서 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마스크(10)의 내면은, 마스크 장착시에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규정되고, 그 반대측의 면이 마스크(10)의 외면으로서 규정된다. 이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마스크(10)는, 특히 마스크 착용자의 입(입가) 및 코(비강)를 주체로 피복하는 마스크 본체부(20)와, 마스크 본체부(20)에 연접되어 마스크 착용자의 귀에 거는 데에 이용하는 한쌍의 귀걸이부(30, 30)를 포함하는 구성이 된다. 이 마스크(10)는, 1회 내지 수회의 사용을 상정한 일회용 마스크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용도로서 전형적으로는, 감기 등의 바이러스 대책, 꽃가루 대책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마스크 본체부(20) 및 한쌍의 귀걸이부(30, 30)가 각각, 본 발명에서의 「마스크 본체부」 및 「귀걸이부」에 해당한다.
마스크 본체부(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방향(11)(가로 방향) 및 그 제1 방향(11)과 교차하는 제2 방향(12)(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평탄형의 평면부(20a)를 갖는다. 여기서 말하는 평면부(20a)가, 본 발명에서의 「평면부」에 해당한다. 또, 여기서 말하는 제1 방향(11) 및 제2 방향(12)이 각각, 본 발명에서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해당한다. 마스크 본체부(20)가 횡폭 L1이고 종폭 L2(<L1)인 장방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방향(11)은 마스크 본체부(20)의 횡폭 방향으로서도 규정되고, 또 제2 방향(12)은 마스크 본체부(20)의 종폭 방향으로서도 규정된다. 이 마스크 본체부(20)의 제1 방향(11) 상의 2개의 단부 영역(21, 21)에는 각각, 접합점(22)이 제2 방향(12)을 따라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단부 영역(21, 21)이, 본 발명에서의 「단부 영역」에 해당한다. 이 접합점(22)은, 마스크 본체부(20)와 각 귀걸이부(30)를 서로 융착(「용착」이라고도 함)하는 접합 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이 경우의 융착으로서, 열에 의한 것이나 초음파에 의한 것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마스크 본체부(20)의 제2 방향(12) 상의 한쪽 단부 영역(23)에는, 각각 제1 방향(11)을 따라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접합점(24, 24)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접합점(24, 24)에 의해서 마스크 본체부(20)의 내부에 수용 공간(25)이 형성되고, 이 수용 공간(25)에는, 마스크 착용자의 코 상부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변형 가능한 노우즈 피트 부재(26)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합점(22, 24)에서의 각 융착 대신에, 또는 그것에 더하여, 접착제에 의한 접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마스크 본체부(20)는, 평면부(20a) 상을 제1 방향(11)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플리츠)(27)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주름(27)은, 단부 영역(21)에 있어서는 주름이 부여된 상태로 접합점(22)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고, 따라서 단부 영역(21)에서의 제2 방향(12)을 따른 전개 동작이 저지되고, 또한 제1 방향(11) 상의 양 단부 영역(21, 21) 사이의 중간 영역(28)에서 상기 전개 동작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주름(27) 및 중간 영역(28)이 각각, 본 발명에서의 「주름」 및 「중간 영역」에 해당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귀걸이부(30, 30)는, 마스크 본체부(20)의 내면측에 접합된 귀걸이 시트(30a)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귀걸이 시트(30a)는, 단일 시트형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즉, 이 귀걸이 시트(30a)에서는, 2개의 귀걸이부(30, 30)가 서로 연접하면서 동일 평면상에 연장되어 있다. 또, 마스크(10)는, 상기 마스크(10)의 평면에서 볼 때 마스크 본체부(20)의 외형 내에 귀걸이 시트(30a)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마스크 본체부(20)와 각 귀걸이부(30)의 중첩 부분을 그대로 접합함으로써, 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고, 특히 마스크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때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단일 시트형의 귀걸이 시트(30a)에 의해서 양 귀걸이부(30, 30)가 구성되기 때문에, 마스크 제조시의 부품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크 본체부(20)의 제1 방향(11) 또는 제2 방향(12)의 길이가, 귀걸이 시트(30a)(귀걸이부(30))의 제1 방향(11) 또는 제2 방향(12)의 길이와 대략 합치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또는 마스크 본체부(20)의 제1 방향(11) 또는 제2 방향(12)의 길이가, 귀걸이 시트(30a)(귀걸이부(30))의 제1 방향(11) 또는 제2 방향(12)의 길이를 상회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마스크(10)의 평면에서 볼 때 마스크 본체부(20)의 외형 내에 한쌍의 귀걸이부(30, 30)가 들어가게 된다. 한편, 귀걸이 시트(30a)는, 마스크(10)의 평면에서 볼 때 그 일부가 마스크 본체부(20)의 외형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배치 구성되어도 좋다.
귀걸이 시트(30a)의 각 귀걸이부(30)는, 단일 시트형 부직포로 상호 일체형으로 형성된 접합부(31) 및 고리형부(3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접합부(31) 및 고리형부(32)는 각각 소정의 시트폭을 갖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따로따로 제조된 접합부(31) 및 고리형부(32)가 서로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접합부(31)는,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에 접합점(22)을 통해 융착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즉, 마스크 본체부(20)의 한쪽 단부 영역(21)에 한쪽 귀걸이부(30)의 접합부(31)가 접합되고, 또 마스크 본체부(20)의 다른 쪽 단부 영역(21)에 다른 쪽 귀걸이부(30)의 접합부(31)가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귀걸이부(30)의 구조, 및 접합부(31)와 단부 영역(21)의 접합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접합부(31)는, 제2 방향(12)에 대해 단부 영역(21)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면서, 접합점(22)을 통해 단부 영역(21)에 융착된 부위로서 구성된다. 이 경우,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의 제2 방향(12)에 대한 2개의 모서리부(도 2 중의 상하의 모서리부)는 각각, 귀걸이부(30)의 접합부(31)의 제2 방향(12)에 대한 2개의 모서리부(도 2 중의 상하의 모서리부)에 합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귀걸이부(30)의 접합부(31) 및 고리형부(32)는 서로 고리형으로 연접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귀걸이부(30)의 개구 부분인 귀걸이 공간(33)을 형성하고 있다. 즉, 각 귀걸이부(30)는, 그 전체적인 형상이 접합부(31) 및 고리형부(32)에 의해서 D자형 내지 O자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귀걸이 공간(33)은, 접합부(31)와 고리형부(32) 사이에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어, 고리형부(32)가 마스크 착용자의 귀에 걸린 경우에 그 귀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귀걸이부(30)의 접합부(31) 및 고리형부(32)가 각각 소정의 시트폭을 갖는 구성이므로, 귀걸이부를 고무끈으로 구성한 경우에 비교해서, 마스크 착용시에 귀걸이부의 장력이 마스크 착용자의 귀의 일부에 집중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자는 귀의 아픔을 느끼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각 접합부(31)는, 제2 방향(12)에 대해 2개의 연부 영역(31a, 31b)을 구비하고 있다. 각 고리형부(32)는, 접합부(31)의 제2 방향(12) 상의 한쪽 연부 영역(31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32a)와, 접합부(31)의 제2 방향(12) 상의 다른 쪽 연부 영역(31b)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연장부(32a)에 연접되는 제2 연장부(32b)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접합부(31), 고리형부(32), 제1 연장부(32a), 제2 연장부(32b) 및 귀걸이 공간(33)이 각각, 본 발명에서의 「접합부」, 「고리형부」,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귀걸이 공간」에 해당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귀걸이 공간(33)을 갖는 귀걸이부(30)를, 귀걸이 공간(33)에 대응한 간단한 형상의 펀칭 부재에 의한 펀칭 가공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그 변경예로서, 귀걸이부(30)가 절입 가공된 개구 부분에 의해서 귀걸이 공간(3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귀걸이 시트(30a)는, 한쪽 귀걸이부(30)의 고리형부(32)와, 다른 쪽 귀걸이부(30)의 고리형부(32)의 연접 부분에 접속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일 시트형의 귀걸이 시트(30a)에 있어서 양 귀걸이부(30, 30)가 고리형부(32)에서 서로 연접한 구성이 실현된다. 이 접속부(34)는, 한쪽 귀걸이부(30)와 다른 쪽 귀걸이부(30)를, 마스크 본체부(20)의 외형 내에서 서로 접속하는 접속 부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 귀걸이부(30, 30)가 미리 접속부(34)로 접속되어 일체화된 상태에서의 취급이 가능해진다. 또, 양 귀걸이부(30, 30)를 서로 접속하는 접속부(34)를 설치함으로써, 마스크(10)가 미사용 상태인 것이 용이하게 인식된다.
이 접속부(34)는, 각 귀걸이부(30)를 손으로 인장함으로써 상기 접속부(34)의 접속이 해제 가능해지도록, 즉 규정의 인장 하중을 하회하는 접속 강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형적으로는, 한쪽 고리형부(32)와 다른 쪽 고리형부(32)를 재봉선이나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속하는 형태 등을 이용함으로써 접속부(34)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스크 착용자는, 한쌍의 귀걸이부(30, 30)의 접속부(34)에서의 접속을 용이하게 해제하여 마스크의 사용에 대비할 수 있다. 이 접속부(34)는, 1점 또는 복수 점으로 이루어진 접속 부분이어도 좋고, 제2 방향(12)을 따라서 연장되는 선형의 접속 부분이어도 좋다. 또, 이 접속부(34)는, 가위나 커터 등에 의한 절단 처리를 요하는 정도의 접속 강도를 갖는 접속 부분이어도 좋다. 또, 양 귀걸이부(30, 30)는, 단일 귀걸이 시트(30a)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형태 대신에, 각각 별체로 구성되는 형태여도 좋다. 별체인 경우는, 양 귀걸이부(30, 30)가 접속부에서 서로 접속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연장되는 구성이어도 좋고, 또는 접속부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의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면 구조에 관해서는, 도 3 및 도 4가 참조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제3 방향(13)은, 제1 방향(11) 및 제2 방향(12)의 쌍방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구성된다. 이 제3 방향(13)은, 마스크 본체부(20) 또는 귀걸이 시트(30a)(귀걸이부(30))의 시트 두께 방향으로서, 또는 마스크 본체부(20)와 귀걸이 시트(30a)(귀걸이부(30))의 중첩 방향으로서도 규정된다. 도 3에 의하면, 복수의 주름(27)은, 마스크 본체부(20)의 외면측은 접은 볼록금(「접은 금」 내지 「주름 볼록금」이라고도 함)이 상하로 외측으로 접혀 있고, 마스크 본체부(20)의 내면측의 접은 볼록금이 맞대어진 형태로 형성된 주름 부여 형태(「상자 접기」라고도 함)로서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이 주름 부여 형태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이 가능하며, 예컨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스크 본체부(20)의 외면측에 접은 볼록금을 반복해서 만드는 주름 부여 형태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스크 본체부(20)의 내면측에 접은 볼록금을 반복해서 만드는 주름 부여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 중의 마스크 본체부(20)는, 또한 모두 시트형 부직포로 이루어진 외측 시트(20b), 및 중간 시트(20c) 및 내측 시트(20d)를 포함하며, 이들 시트가 제3 방향(13)에 대해 순차적으로 중첩된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외측 시트(20b)는, 마스크 본체부(20)의 외면, 즉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 외측에 노출되는 면을 갖는다. 내측 시트(20d)는, 마스크 본체부(20)의 내면, 즉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 마스크 착용자에 대향하는 면을 갖는다. 이들 외측 시트(20b) 및 내측 시트(20d)는 모두, 기지의 스펀본드(SB) 부직포, 포인트본드(PB) 부직포, 스펀레이스(SL) 부직포, 에어스루(AT) 부직포 등에 의해 구성되며, 그 단위 중량이 예컨대 10∼100 g/m2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스크 본체부(20)의 원하는 통기성이 확보된다. 단, 내측 시트(20d)와 외측 시트(20b)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있어서, 내측 시트(20d)에는 외측 시트(20b)보다 촉감이 좋은 섬유 부직포 시트, 예컨대, 외측 시트(20b)와 동일한 종류의 섬유 부직포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비교적 가는 섬유를 이용한 유연성이 있는 것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시트(20c)는, 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해서 소정의 포집성을 갖는 필터 시트로서 구성된다. 이 중간 시트(20c)는, 기지의 멜트블로운(MB) 부직포 등에 의해서 구성되며, 그 단위 중량이 예컨대 1∼50 g/m2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스크 본체부(20)의 원하는 통기성이 확보되고, 또한 원하는 포집성이 확보된다. 또한, 이 중간 시트(20c)를, 핫멜트 접착제(HMA)를 이용하여 외측 시트(20b)와 일체화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한편, 귀걸이부(30)의 재질로서, 기지의 신축 스펀본드(SB) 부직포, 신축 스펀본드ㆍ멜트블로운ㆍ스펀본드(SMS) 부직포, 신축 스펀본드ㆍ필름ㆍ스펀본드 부직포, 신장성 스펀레이스 부직포, 신축 핫멜트 접착제(HMA)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 상기 부직포의 단위 중량이 예컨대 20∼120 g/m2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귀걸이부(30)의 원하는 신축성이 확보된다.
도 7에는, 마스크 본체부(20)의 복수의 주름(27)이 제2 방향(12)을 따라서 전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사용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20)는, 각 단부 영역(21)에서는 복수의 주름(27)의 제2 방향(12)을 따른 전개 동작이 저지되는 한편, 중간 영역(28)에서는, 복수의 주름(27)의 제2 방향(12)을 따른 전개 동작(「마스크 본체부(20)의 전개 동작」이라고도 함)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각 단부 영역(21)은, 제2 방향(12)을 따른 길이가 확장되지 않고 만곡 형상을 이루는 한편, 중간 영역(28)은, 제2 방향(12)을 따른 길이(L3)를 확장하면서 만곡 형상을 이룬다. 이에 의해, 마스크 본체부(20)는, 마스크 착용자측이 움푹 패인 입체 형상을 이루고, 마스크 본체부(20)의 내면과 마스크 착용자 사이에 소정의 입가 공간(29)이 형성된다. 한편, 귀걸이부(30)의 고리형부(32)가 마스크 착용자의 귀에 걸려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이 마스크 본체부(20)에 의해 피복될 때,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이 만곡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단부 영역(21)과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0)는, 이 간극을 억제하기 위해, 귀걸이부(30)의 접합부(31)가, 제2 방향(12)에 대해 단부 영역(21)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장척형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스크 착용시에 고리형부(32)에 생기는 장력이 접합부(31)에 작용함으로써, 접합부(31)가 마스크 착용자의 볼부의 형상에 추종하여 상기 볼부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고, 특히 단부 영역(21)과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의 경계부(도 7 중의 경계부(41))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때, 귀걸이부(30)의 접합부(31)의 상측의 모서리부가,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의 상측의 모서리부에 연접하고, 또 귀걸이부(30)의 접합부(31)의 하측의 모서리부가,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의 하측의 모서리부에 연접된다. 이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계부(41)의 양측의 경계부(42, 43)에 있어서, 단부 영역(21)과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접합부(31)의 상하의 모서리부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과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귀걸이부(30)의 접합부(31)에 의해 제2 방향(12)에 대해 경계부(41∼43)의 광범위에 걸쳐서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각 귀걸이부(30)는, 소정의 시트폭을 갖는 구성상, 마스크 착용시에 착용자의 귀를 향해서 인장되었을 때의 인장 방향에 따라서는 상기 귀걸이부(30)에 이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인장 방향은, 예컨대 마스크 착용시에 마스크 본체부(20)가 주름(27)의 전개와 함께 평면 형상으로부터 입체 형상이 될 때의 동작에 따라서 변화하고, 또 착용자의 귀의 위치나 얼굴의 크기 등에 따라서 변화한다. 특히, 귀걸이부(30) 중 마스크 본체부(20)와의 연접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귀걸이부(30)의 시트 폭 방향의 양 측면 중 어느 한쪽에 이완이 생기기 쉬워, 이 귀걸이부(30)의 이완이 마스크 착용자의 볼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0)는, 귀걸이부(30)의 이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귀걸이부(30) 중 마스크 본체부(20)와의 연접 부분에 이완 억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완 억제 기구는, 도 8이 참조되는 바와 같이, 마스크 장착시에 귀걸이부(30)(고리형부(32))의 제1 연장부(32a) 및 제2 연장부(32b)의 적어도 한쪽을,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상연(도 9 중의 「상연(51)」) 또는 하연(도 9 중의 「하연(52)」)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이완 억제 기구는, 전형적으로는, 귀걸이부(30)의 제1 연장부(32a) 및 제2 연장부(32b)에 관하여, 상기 연장부의 마스크 장착전의 연장 방향과 마스크 장착시의 인장 방향이 대략 합치하도록 구성된 하기의 제1 연접 구조 및 제2 연접 구조 중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한다. 즉, 이 이완 억제 기구는, 제1 연접 구조 및 제2 연접 구조 중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형태여도 좋고, 또는 제1 연접 구조 및 제2 연접 구조의 쌍방을 포함하는 형태여도 좋다. 또한, 귀뿌리는, 귀와 머리의 경계 부분으로서, 귀걸이부(30)가 귀에 걸린 경우에, 실질적으로 상기 귀걸이부(30)에 의해서 압박되는 부분으로서 특정된다.
<제1 연접 구조>
제1 연접 구조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의 연장선(S1)과, 귀걸이부(30)의 제1 연장부(32a)의 연장선(S2)이 이루는 귀걸이 공간(33)측의 각도 α가 소정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귀걸이부(30)가 마스크 본체부(20)에 연접된 연접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연접 구조에서는, 단부 영역(21)의 연장선(S1)은, 제2 방향(12) 상의 직선으로서 구성되고, 제1 연장부(32a)의 연장선(S2)은, 상기 제1 연장부(32a)의 폭 방향(제2 방향(12))에 관한 중심선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한 경우, 전술한 각도 α의 설정 각도는, 80°부터 140°까지의 사이의 적정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스크 장착시에 있어서, 제1 연장부(32a)를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상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제1 연접 구조는, 본 발명에서의 「이완 억제 기구」 및 「연접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제2 연접 구조>
제2 연접 구조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의 연장선(S1)과, 귀걸이부(30)의 제2 연장부(32b)의 연장선(S3)이 이루는 귀걸이 공간(33)측의 각도 β가 소정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귀걸이부(30)가 마스크 본체부(20)에 연접된 연접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연접 구조에서는, 단부 영역(21)의 연장선(S1)은, 제2 방향(12) 상의 직선으로서 구성되고, 제2 연장부(32b)의 연장선(S3)은, 상기 제2 연장부(32b)의 폭 방향(제2 방향(12))에 대한 중심선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한 경우, 전술한 각도 β의 설정 각도는, 70°부터 130°까지의 사이의 적정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스크 장착시에 있어서, 제2 연장부(32b)를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하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제2 연접 구조는, 본 발명에서의 「이완 억제 기구」 및 「연접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각도 α 및 β의 설정 각도에 관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정 범위를 도출하기 위한 측정을 실시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면서, 이 측정에 관한 실시예 1∼4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측정 조건)
상기 구성의 마스크(10)의 구체적인 구조로서, L1=175[mm], L2=90[mm], L3=154[mm], R=38[mm], L1/(RㆍL2)=0.0512의 치수 설정을 전제 조건으로 하여, 각도 α를 50°∼160°(10° 피치의 12 패턴)의 범위내에서 변화시키고, 또 각도 β를 40°∼150°(10° 피치의 12 패턴)의 범위내에서 변화시킨 복수의 마스크 샘플을 제작했다. 이 경우, 각도 α의 범위의 중앙값 α1이 105[mm]이고, 각도 β의 범위의 중앙값 β1이 95[mm]였다. 그리고, 각 마스크 샘플을 실제 인간의 얼굴에 장착한 경우에, 또는 마스크 착용자를 본뜬 인형(doll)에 장착한 경우에, 귀걸이부(30)의 이완에 기인하는 간극을 실제로 확인하는 측정을 했다.
(실시예 1의 측정 결과)
각도 α가 미리 5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귀걸이부(30)의 제1 연장부(32a)의 폭 방향 상의 양 연부(35, 36)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과는 반대측의 연부(35)(「상연부」라고도 함)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상부 영역(45)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또, 각도 α가 미리 16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제1 연장부(32a)의 양 연부(35, 36)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의 연부(36)(「하연부」라고도 함)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영역(44)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한편, 각도 α가 미리 60°부터 150°까지의 범위로 설정된 그 밖의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볼 영역(44) 및 볼 상부 영역(45) 중 어디에서도, 각 귀걸이부(30)와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각도 β가 미리 4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각 귀걸이부(30)의 제2 연장부(32b)의 폭 방향 상의 양 연부(37, 38)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과는 반대측의 연부(38)(「하연부」라고도 함)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하부 영역(46)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또, 각도 β가 미리 15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제2 연장부(32b)의 양 연부(37, 38)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의 연부(37)(「상연부」라고도 함)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영역(44)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한편, 각도 β가 미리 50°부터 140°까지의 범위로 설정된 그 밖의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볼 영역(44) 및 볼 하부 영역(46) 중 어디에서도, 각 귀걸이부(30)와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측정 조건)
상기 구성의 마스크(10)의 구체적인 구조로서, L1=175[mm], L2=80[mm], L3=144[mm], R=38[mm], L1/(RㆍL2)=0.0576의 치수 설정을 전제 조건으로 하여, 각도 α를 50°∼170°(10° 피치의 13 패턴)의 범위내에서 변화시키고, 또 각도 β를 60°∼170°(10° 피치의 12 패턴)의 범위내에서 변화시킨 복수의 마스크 샘플을 제작했다. 이 경우, 각도 α의 상기 범위의 중앙값 α1이 115[mm]이고, 각도 β의 상기 범위의 중앙값 β1이 115[mm]였다. 그리고, 각 마스크 샘플에 대한 간극 측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2의 측정 결과)
각도 α가 미리 50° 및 6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2a)의 양 연부(35, 36)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과는 반대측의 연부(35)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상부 영역(45)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또, 각도 α가 미리 17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제1 연장부(32a)의 양 연부(35, 36)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의 연부(36)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영역(44)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한편, 각도 α가 미리 70°부터 160°까지의 범위로 설정된 그 밖의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볼 영역(44) 및 볼 상부 영역(45) 중 어디에서도, 각 귀걸이부(30)와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각도 β가 미리 6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제2 연장부(32b)의 양 연부(37, 38)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과는 반대측의 연부(38)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하부 영역(46)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또, 각도 β가 미리 17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제2 연장부(32b)의 양 연부(37, 38)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의 연부(37)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영역(44)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한편, 각도 β가 미리 70°부터 160°까지의 범위로 설정된 그 밖의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볼 영역(44) 및 볼 하부 영역(46) 중 어디에서도, 각 귀걸이부(30)와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측정 조건)
상기 구성의 마스크(10)의 구체적인 구조로서, L1=175[mm], L2=100[mm], L3=164[mm], R=41[mm], L1/(RㆍL2)=0.0427의 치수 설정을 전제 조건으로 하여, 각도 α를 30°∼150°(10° 피치의 13 패턴)의 범위내에서 변화시키고, 또 각도 β를 30°∼150°(10° 피치의 13 패턴)의 범위내에서 변화시킨 복수의 마스크 샘플을 제작했다. 이 경우, 각도 α의 상기 범위의 중앙값 α1이 90[mm]이고, 각도 β의 상기 범위의 중앙값 β1이 85[mm]였다. 그리고, 각 마스크 샘플에 대한 간극 측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3의 측정 결과)
각도 α가 미리 3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2a)의 양 연부(35, 36)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과는 반대측의 연부(35)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상부 영역(45)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또, 각도 α가 미리 15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제1 연장부(32a)의 양 연부(35, 36)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의 연부(36)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영역(44)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한편, 각도 α가 미리 40°부터 140°까지의 범위로 설정된 그 밖의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볼 영역(44) 및 볼 상부 영역(45) 중 어디에서도, 각 귀걸이부(30)와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각도 β가 미리 3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제2 연장부(32b)의 양 연부(37, 38)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과는 반대측의 연부(38)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하부 영역(46)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또, 각도 β가 미리 140° 및 15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제2 연장부(32b)의 양 연부(37, 38)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의 연부(37)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영역(44)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한편, 각도 β가 미리 40°부터 130°까지의 범위로 설정된 그 밖의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볼 영역(44) 및 볼 하부 영역(46) 중 어디에서도, 각 귀걸이부(30)와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측정 조건)
상기 구성의 마스크(10)의 구체적인 구조로서, L1=175[mm], L2=90[mm], L3=170[mm], R=32[mm], L1/(RㆍL2)=0.0608의 치수 설정을 전제 조건으로 하여, 각도 α를 60°∼170°(10° 피치의 12 패턴)의 범위내에서 변화시키고, 또 각도 β를 60°∼170°(10° 피치의 12 패턴)의 범위내에서 변화시킨 복수의 마스크 샘플을 제작했다. 이 경우, 각도 α의 상기 범위의 중앙값 α1이 120[mm]이고, 각도 β의 상기 범위의 중앙값 β1이 115[mm]였다. 그리고, 각 마스크 샘플에 대한 간극 측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4의 측정 결과)
각도 α가 미리 60° 및 7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2a)의 양 연부(35, 36)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과는 반대측의 연부(35)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상부 영역(45)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또, 각도 α가 미리 17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제1 연장부(32a)의 양 연부(35, 36)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의 연부(36)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영역(44)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한편, 각도 α가 미리 80°부터 160°까지의 범위로 설정된 그 밖의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볼 영역(44) 및 볼 상부 영역(45) 중 어디에서도, 각 귀걸이부(30)와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각도 β가 미리 6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제2 연장부(32b)의 양 연부(37, 38)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과는 반대측의 연부(38)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하부 영역(46)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또, 각도 β가 미리 170° 및 150°로 설정된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제2 연장부(32b)의 양 연부(37, 38) 중, 특히 귀걸이 공간(33)측의 연부(37)에 이완이 생기고, 이에 의해 볼 영역(44)에 판정 기준을 상회하는 간극이 확인되었다. 한편, 각도 β가 미리 70°부터 160°까지의 범위로 설정된 그 밖의 마스크 샘플을 장착한 경우, 볼 영역(44) 및 볼 하부 영역(46) 중 어디에서도, 각 귀걸이부(30)와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한 경우, 각도 α의 설정 각도의 적정 범위를 바람직하게는 80°부터 140°까지로 하고, 또 각도 β의 설정 각도의 적정 범위를 바람직하게는 70°부터 130°까지로 함으로써, 마스크 착용자의 볼부와 각 귀걸이부(30) 사이의 간극 방지에 유효한 것이 확인되었다. 즉, 실시예 1∼4와 같은 치수 설정이 상이한 형태의 마스크라 하더라도, 각 귀걸이부(30)(고리형부(32))의 제1 연장부(32a) 및 제2 연장부(32b)를 각각, 마스크 착용자의 귀(50)뿌리의 상연(51) 및 하연(52)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시킬 수 있어, 각도 α, β에 관한 상기 범위는, 마스크 착용자의 볼부와 각 귀걸이부(30) 사이의 간극 방지에 유효하다. 여기서 말하는 귀(50)뿌리의 상연(51) 및 하연(52)이 각각, 본 발명에서의 귀뿌리의 「상연」 및 「하연」에 해당한다.
또한, 실시예 1∼4에 기초한 경우, 마스크 착용자의 볼부와 각 귀걸이부(30) 사이의 간극 방지에 유효한 형태에서는, 전술한 각도 α1 및 β1은 각각, L1/(RㆍL2)에 비례하는 근사식으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α1=1657ㆍ{L1/(RㆍL2)}+20의 근사식, 및 β1=1825ㆍ{L1/(RㆍL2)}+6의 근사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연접 구조의 일례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제1 연접 구조에서의 각도 α가 90°를 상회하는 각도로 설정되고, 또한 제2 연접 구조에서의 각도 β가 90°를 상회하는 각도로 설정된 귀걸이부(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변경예로서, 각도 α 및 각도 β 중 어느 한쪽을 90° 이하의 각도로 설정한 귀걸이부(30)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도 11에는, 제1 연접 구조에서의 각도 α가 90°를 하회하는 각도로 설정되고, 또한 제2 연접 구조에서의 각도 β가 90°를 하회하는 각도로 설정된 귀걸이부(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변경예로서, 각도 α 및 각도 β 중 어느 한쪽을 90° 이상의 각도로 설정한 귀걸이부(30)를 채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마스크 사용시에 마스크 본체부(20)가 주름(27)을 통해 전개되고, 이것에 따라서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이 만곡되었을 때, 귀걸이부(30)의 제1 연장부(32a)와 제2 연장부(32b) 사이의 최단 거리가 만곡전보다 작아져 귀걸이 공간(33)의 마스크 상하 방향의 크기가 좁아지므로, 마스크 착용자의 귀에 귀걸이부(30)를 걸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부(20)와 각 귀걸이부(30) 사이에, 간격 설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간격 설정 기구는,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의 만곡시에 제1 연장부(32a) 및 제2 연장부(32b)를, 미리 설정된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시키기 위한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간격 설정 기구는, 도 10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의 만곡전의 각도 α가 90°를 상회하도록 구성된 제1 연접 구조와,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의 만곡전의 각도 β가 90°를 상회하도록 구성된 제2 연접 구조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연접 구조에 관한 각도 α가 90°보다 크고 140° 이하인 설정 각도가 되고, 제2 연접 구조에 관한 각도 β가 90°보다 크고 130° 이하인 설정 각도가 되도록, 간격 설정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이들 연접 구조에 의해서,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의 만곡전에는, 각 귀걸이부(30)의 제1 연장부(32a)와 제2 연장부(32b)의 간격이,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직선형으로 확장된 테이퍼 형상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각 귀걸이부(30)의 제1 연장부(32a) 및 제2 연장부(32b)의 연장 각도를 각각 적정하게 설정함으로써, 마스크 사용시에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이 만곡되었을 때에도, 제1 연장부(32a)와 제2 연장부(32b)의 간격이 미리 정해진 소정 간격을 하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착용자의 귀(50)뿌리의 상연(51)과 하연(52) 사이의 길이(L4)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서 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 설정 기구에서는, 제1 연장부(32a)와 제2 연장부(32b) 사이의 최단 거리가 마스크 본체부(20)의 단부 영역(21)의 만곡시에 작아지는 점을 감안하여, 그것을 미리 보상하도록 상기 각도 α 및 β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마스크 사용시에 귀걸이 공간(33)의 마스크 상하 방향의 크기가 원하는 크기보다 좁아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귀걸이 공간(33)의 원하는 형상이 확보되게 되고, 마스크 착용자의 귀에 귀걸이부(30)를 걸기 쉬워져, 마스크의 장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응용이나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를 응용한 다음 각 형태를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도 9와 동일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부(20)의 표면의 하측 단부에 있어서 표시 요소(60)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 요소(60)가 마스크(10)의 표면측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는 착용시에 용이하게 마스크(10)의 표리면을 구별할 수 있다. 특히, 내측 시트(20d)에 외측 시트(20b)보다 촉감이 좋은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촉감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마스크의 표리면을 구별할 수 있는 표시 요소(60)를 설치함으로써, 확실하게 촉감이 좋은 내측 시트(20d)를 안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 표시 요소(60)를 마스크 본체부(20)의 하방 단부측 또는 상방 단부측(문자 표시 등을 하는 경우에는 양 단측이어도 좋음)에 설치함으로써, 마스크(10)의 상하에 관해서도 구별할 수 있다.
표시 요소(60)는, 마스크 본체부(20)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부위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20)를 표면측으로부터 비교적 강하게 압축시킴으로써, 손가락으로 접촉하여 표시 요소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 표시 요소는, 마스크 본체부(20)의 표면측에 그라비아 인쇄, 잉크젯 인쇄, 플렉소 인쇄 등의 각종 인쇄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요소(60)는, 마스크 본체부(20)의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을 향하여 국소적으로 압박함으로써 형성된 돌기 부위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시예에서는, 표시 요소(60)는, 마스크 본체부(20)의 하단측에 있어서 제1 방향(11)에서 나열된 복수의 대략 별 모양의 도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마스크의 표면측 및/또는 상하의 위치를 나타내는 한자, 히라가나 문자, 알파벳 문자나 도안, 또한, 상품의 상표, 제조자의 표기 등이어도 좋다. 특히, 표시 요소(60)로서 캐릭터 등의 디자인성을 갖는 도안을 붙인 경우에는, 의장적인 효과를 발휘하여, 마스크(10)의 외관이 향상된다. 또, 사용자가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는, 크기에 상관없이, 마스크 본체부(20)의 중앙부나 단부 영역(20, 21, 23) 근방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중간 시트(20c)의 표면측에 표시 요소를 설치하여, 외측 시트(20b)를 통해 시인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부(20)를 3층의 시트 부직포로 이루어진 3층 구조로 하는 경우에 관해서 기재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시트 부직포의 수, 종류, 적층수에 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회 사용 내지 수회 사용을 기준으로 한 일회용 타입의 마스크에 관해서 기재했지만, 마스크 본체부(20)나 귀걸이부(30)의 소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세탁 등을 한 뒤에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의 마스크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나 여러가지 변경예의 기재에 기초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각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양태 1)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되는 귀걸이부를 구비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소정의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 상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주름과, 상기 제1 방향 상의 단부 영역을 가지며,
상기 귀걸이부는, 접합부와, 고리형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시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상기 단부 영역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장척형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단부 영역에 접합되고,
상기 고리형부는, 시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와 일체형이 되어 상기 접합부와 함께 귀걸이 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접합부의 상기 제2 방향 상의 한쪽 연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기 제2 방향 상의 다른 쪽 연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연장부에 연접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귀걸이부 중 상기 마스크 본체부와의 연접 부분에, 마스크 장착시에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적어도 한쪽을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상연 또는 하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시키기 위한 이완 억제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2)
「양태 1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이완 억제 기구는,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단부 영역의 연장선과,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제1 연장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상기 귀걸이 공간측의 각도가 80°부터 140°까지의 소정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된 연접 구조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마스크 장착시에 상기 제1 연장부가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상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3)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이완 억제 기구는,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단부 영역의 연장선과,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제2 연장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상기 귀걸이 공간측의 각도가 70°부터 130°까지의 소정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된 연접 구조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된 연접 구조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마스크 장착시에 상기 제2 연장부가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하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4)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서 상기 주름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전개 동작이 저지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 상의 양 단부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에서 상기 주름의 상기 전개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상기 주름의 상기 전개 동작에 따라서 상기 단부 영역이 만곡된 상태로 상기 마스크가 마스크 착용자에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5)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접합부 및 상기 고리형부는, 단일 시트형 부직포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접합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단부 영역에 열융착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6)
「양태 5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접합부 및 상기 고리형부는 서로 고리형으로 연접되어 있고, 상기 귀걸이 공간이, 상기 접합부와 상기 고리형부 사이에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7)
「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제1 방향 상의 양 단부 영역의 각각에 접합되고,
상기 마스크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외형 내에 상기 양 단부 영역에 접합된 양 귀걸이부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8)
「양태 7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양 귀걸이부를,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외형 내에서 서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9)
「양태 8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접합된 단일 시트형의 귀걸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귀걸이 시트는, 상기 양 귀걸이부가 상기 접속부에서 서로 접속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마스크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외형 내에 상기 양 귀걸이부가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10)
「양태 9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귀걸이 시트는, 한쪽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고리형부와, 다른 쪽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고리형부가 서로 연접하는 구성이며, 그 연접 부분에 상기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11)
「양태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접속부는, 각 귀걸이부를 손으로 인장함으로써 상기 접속부의 접속이 해제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12)
「양태 8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접속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접속점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13)
「양태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제2 방향 상의 한쪽 단부 영역에, 마스크 착용자의 코 상부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변형 가능한 노우즈 피트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14)
「양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그 표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 요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15)
「양태 14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표시 요소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양태 16)
「양태 14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표시 요소는, 인쇄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라는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나 여러가지 변경예의 기재에 기초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각 애스펙트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애스펙트 1)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되는 귀걸이부를 구비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소정의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 상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주름과, 상기 제1 방향 상의 단부 영역을 가지며,
상기 귀걸이부는, 접합부와, 고리형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시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상기 단부 영역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장척형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단부 영역에 접합되고,
상기 고리형부는, 시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와 일체형이 되어 상기 접합부와 함께 귀걸이 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접합부의 상기 제2 방향 상의 한쪽 연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기 제2 방향 상의 다른 쪽 연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연장부에 연접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귀걸이부 중 상기 마스크 본체부와의 연접 부분에, 마스크 장착시에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적어도 한쪽을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상연 또는 하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시키기 위한 이완 억제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2)
애스펙트 1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이완 억제 기구는,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단부 영역의 연장선과,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제1 연장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상기 귀걸이 공간측의 각도가 80°부터 140°까지의 소정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된 연접 구조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마스크 장착시에 상기 제1 연장부가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상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3)
애스펙트 1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이완 억제 기구는,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단부 영역의 연장선과,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제2 연장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상기 귀걸이 공간측의 각도가 70°부터 130°까지의 소정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된 연접 구조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된 연접 구조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마스크 장착시에 상기 제2 연장부가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하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4)
애스펙트 1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서 상기 주름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전개 동작이 저지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 상의 양 단부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에서 상기 주름의 상기 전개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상기 주름의 상기 전개 동작에 따라서 상기 단부 영역이 만곡된 상태로 상기 마스크가 마스크 착용자에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5)
애스펙트 1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접합부 및 상기 고리형부는, 단일 시트형 부직포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접합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단부 영역에 열융착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6)
애스펙트 5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접합부 및 상기 고리형부는 서로 고리형으로 연접되어 있고, 상기 귀걸이 공간이, 상기 접합부와 상기 고리형부 사이에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7)
애스펙트 1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제1 방향 상의 양 단부 영역의 각각에 접합되고,
상기 마스크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외형 내에 상기 양 단부 영역에 접합된 양 귀걸이부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8)
애스펙트 7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양 귀걸이부를,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외형 내에서 서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9)
애스펙트 8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접합된 단일 시트형의 귀걸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귀걸이 시트는, 상기 양 귀걸이부가 상기 접속부에서 서로 접속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마스크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외형 내에 상기 양 귀걸이부가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10)
애스펙트 9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귀걸이 시트는, 한쪽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고리형부와, 다른 쪽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고리형부가 서로 연접하는 구성이며, 그 연접 부분에 상기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11)
애스펙트 8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접속부는, 각 귀걸이부를 손으로 인장함으로써 상기 접속부의 접속이 해제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12)
애스펙트 8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접속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접속점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13)
애스펙트 1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제2 방향 상의 한쪽 단부 영역에, 마스크 착용자의 코 상부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변형 가능한 노우즈 피트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14)
애스펙트 1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그 표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 요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15)
애스펙트 7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표시 요소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애스펙트 16)
애스펙트 7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표시 요소는, 인쇄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0: 마스크, 11: 제1 방향, 12: 제2 방향, 13: 제3 방향, 20: 마스크 본체부, 20a: 평면부, 20b: 외측 시트, 20c: 중간 시트, 20d: 내측 시트, 21: 단부 영역, 22: 접합점, 23: 단부 영역, 24: 접합점, 25: 수용 공간, 26: 노우즈 피트 부재, 27: 주름, 28: 중간 영역, 29: 입가 공간, 30: 귀걸이부, 30a: 귀걸이 시트, 31: 접합부, 32: 고리형부, 32a: 제1 연장부, 32b: 제2 연장부, 33: 귀걸이 공간, 34: 접속부, 35, 36, 37, 38: 연부, 41, 42, 43: 경계부, 44: 볼 영역, 45: 볼 상부 영역, 46: 볼 하부 영역, 50: 귀, 51: 상연, 52: 하연, 60: 표시 요소

Claims (9)

  1.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되는 귀걸이부를 구비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 상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주름과, 상기 제1 방향 상의 단부 영역을 가지며,
    상기 귀걸이부는, 접합부와, 고리형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시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상기 단부 영역의 전체에 걸쳐서 장척형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단부 영역에 접합되고,
    상기 고리형부는, 시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와 일체형이 되어 상기 접합부와 함께 귀걸이 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접합부의 상기 제2 방향 상의 한쪽 연부(緣部)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기 제2 방향 상의 다른 쪽 연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연장부에 연접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귀걸이부 중 상기 마스크 본체부와의 연접 부분에, 마스크 장착시에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중 하나 또는 둘다를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상연(上緣) 또는 하연(下緣)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시키기 위한 이완 억제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완 억제 기구는,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단부 영역의 연장선과,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제1 연장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상기 귀걸이 공간측의 각도가 80°부터 140°까지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된 연접 구조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마스크 장착시에 상기 제1 연장부가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상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완 억제 기구는,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단부 영역의 연장선과,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제2 연장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상기 귀걸이 공간측의 각도가 70°부터 130°까지의 설정 각도로 설정되도록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연접된 연접 구조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마스크 장착시에 상기 제2 연장부가 마스크 착용자의 귀뿌리의 하연으로 상기 연장부의 이완을 억제한 상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상기 단부 영역에서 상기 주름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전개 동작이 저지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 상의 양 단부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에서 상기 주름의 상기 전개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상기 주름의 상기 전개 동작에 따라서 상기 단부 영역이 만곡된 상태로 상기 마스크가 마스크 착용자에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및 상기 고리형부는, 단일 시트형 부직포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접합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단부 영역에 열융착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및 상기 고리형부는 서로 고리형으로 연접되어 있고, 상기 귀걸이 공간이, 상기 접합부와 상기 고리형부 사이에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그 표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 요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요소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요소는, 인쇄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37031129A 2011-06-28 2012-06-26 마스크 KR201400384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3399 2011-06-28
JP2011143399 2011-06-28
JPJP-P-2011-146785 2011-06-30
JP2011146785A JP5901900B2 (ja) 2011-06-28 2011-06-30 マスク
PCT/JP2012/066298 WO2013002226A1 (ja) 2011-06-28 2012-06-26 マス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428A true KR20140038428A (ko) 2014-03-28

Family

ID=4742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129A KR20140038428A (ko) 2011-06-28 2012-06-26 마스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01900B2 (ko)
KR (1) KR20140038428A (ko)
CN (1) CN103635233B (ko)
WO (1) WO201300222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661A (ko) * 2015-02-16 2016-08-24 (주)파인텍 폴더형 방진 마스크
KR102044165B1 (ko) * 2018-08-31 2019-11-13 이영욱 방제용 마스크
KR20200121258A (ko) 2020-08-26 2020-10-23 기태이 안면 마스크용 걸이장치
KR20220147982A (ko) 2021-04-28 2022-11-04 이진희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5995A (ja) * 2013-09-26 2015-04-13 優 今泉 衛生マスク
JP5937746B1 (ja) * 2015-09-04 2016-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JP5917757B1 (ja) * 2015-09-04 2016-05-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TWI645883B (zh) 2017-07-24 2019-01-01 台灣康匠製造股份有限公司 具展翼之口罩及其製造工序
CN111184291B (zh) * 2020-03-02 2020-09-29 黄山富田精工智造股份有限公司 一种口罩的连续化制造方法
WO2021226998A1 (zh) * 2020-05-15 2021-11-18 艾多美股份有限公司 口罩
JP7386756B2 (ja) * 2020-05-29 2023-11-27 大王製紙株式会社 マスク
JP7296918B2 (ja) * 2020-05-29 2023-06-23 大王製紙株式会社 マスク
JP6968231B1 (ja) * 2020-05-29 2021-11-17 大王製紙株式会社 マスク
JP7210512B2 (ja) * 2020-07-31 2023-01-23 大王製紙株式会社 マスク
ES1258729Y (es) * 2020-09-23 2021-03-22 Alvarez Juan Fernandez Mascarilla para diversas morfologías faciales
KR102583446B1 (ko) * 2020-11-20 2023-10-06 (주)피앤티디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22153831A (ja) * 2021-03-30 2022-10-13 大王製紙株式会社 マスク、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195Y2 (ko) * 1984-09-26 1991-07-19
JP3660037B2 (ja) * 1995-11-30 2005-06-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衛生マスク
CN2638770Y (zh) * 2003-07-17 2004-09-08 杨红恩 纳米抗菌口罩
JP4471760B2 (ja) * 2004-07-23 2010-06-02 株式会社 ユニティー マスク
JP2006320475A (ja) * 2005-05-18 2006-11-30 Kunitada Takahashi 配布用マスク
JP2007054381A (ja) * 2005-08-25 2007-03-08 Kurashiki Seni Kako Kk 立体形マスク
JP2008000191A (ja) * 2006-06-20 2008-01-10 Kao Corp マスク
CN101195062B (zh) * 2006-12-04 2012-07-18 联合纳米实业私人有限公司 纳米口罩
JP4921305B2 (ja) * 2007-09-28 2012-04-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
JP5068129B2 (ja) * 2007-09-28 2012-1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
US8061356B2 (en) * 2008-02-19 2011-11-22 Prestige Ameritech Ltd. Directional flat face mask
JP3144813U (ja) * 2008-07-03 2008-09-11 横井定株式会社 衛生マスク
JP4528881B1 (ja) * 2009-12-21 2010-08-25 株式会社杉山 マスク用耳掛け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661A (ko) * 2015-02-16 2016-08-24 (주)파인텍 폴더형 방진 마스크
KR102044165B1 (ko) * 2018-08-31 2019-11-13 이영욱 방제용 마스크
KR20200121258A (ko) 2020-08-26 2020-10-23 기태이 안면 마스크용 걸이장치
KR20220147982A (ko) 2021-04-28 2022-11-04 이진희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2226A1 (ja) 2013-01-03
CN103635233B (zh) 2016-04-20
JP5901900B2 (ja) 2016-04-13
CN103635233A (zh) 2014-03-12
JP2013031469A (ja)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8428A (ko) 마스크
JP5436262B2 (ja) マスク
JP6499032B2 (ja) 使い捨てマスク
JP4594182B2 (ja) 立体マスク
KR20140033032A (ko) 마스크의 제조 방법, 마스크
KR20140036169A (ko) 마스크
JP5068129B2 (ja) マスク
KR102498457B1 (ko) 일회용 마스크
KR20140034170A (ko) 마스크
JP2007021031A5 (ko)
KR20200141025A (ko) 일회용 마스크
WO2011116173A2 (en) Mask with leak preventing section
JP4996264B2 (ja) マスク
JP2006345996A (ja) マスクの製造方法
JP5837252B1 (ja) 使い捨てマスク
JP4921305B2 (ja) マスク
JP2015126821A (ja) 保湿体、マスク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JP3156690U (ja) マスク
JP4912167B2 (ja) マスク、マスク用被着部材
JP6081725B2 (ja) マスク
JP3203072U (ja) 使い捨てマスク
JP5901899B2 (ja) マスク
JP3209423U (ja) 保湿体及びマスク
JP3203087U (ja) 使い捨てマスク
KR20230155418A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