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418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5418A KR20230155418A KR1020237012951A KR20237012951A KR20230155418A KR 20230155418 A KR20230155418 A KR 20230155418A KR 1020237012951 A KR1020237012951 A KR 1020237012951A KR 20237012951 A KR20237012951 A KR 20237012951A KR 20230155418 A KR20230155418 A KR 202301554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earring
- mask body
- joint
- horizont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
- 101100269850 Caenorhabditis elegans mask-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6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50 melt-blown nonwov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39077 Copu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4 ear auri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77 elastic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2 stretch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마스크 본체와, 1 쌍의 환상 시트상의 귀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귀걸이부가 각각,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얼굴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에,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각 단부에 접합되어, 세로 방향에 걸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의 가로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의 윤곽이, 가로 방향 외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얼굴에 장착하는 마스크의 구성으로서, 장착자의 얼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에 각각 결합된 1 쌍의 귀걸이부, 즉 마스크 본체를 그 장착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장착자의 각 귀에 걸 수 있는 1 쌍의 부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 마스크의 장착 중에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끈상이 아니라, 시트상의 귀걸이부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1 개 또는 복수의 시트편으로 형성된 제 1 귀걸이부 및 제 2 귀걸이부가 각각, 제 2 방향 (세로 방향) 을 따른 제 1 접합부 및 제 2 접합부에 의해서 마스크 본체부의 일방의 면에 접합된 마스크가 기재되어 있다. 당해 마스크는, 적어도 마스크 장착시에, 제 1 귀걸이부가 제 1 접합부의 지점에서 제 1 방향 (가로 방향) 을 따라서 되접어 꺾임과 함께, 제 2 귀걸이부가 제 2 접합부의 지점에서 제 1 방향을 따라서 되접어 꺾이도록 되어 있다.
마스크를 장착할 때에,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마스크 본체를 얼굴의 입체 형상에 맞추어 변형시킨다. 이 변형에 수반하여,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단부도 입체적으로 만곡되고, 귀걸이부와 마스크 본체의 접합부도 만곡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 접합부는 각각, 적어도 세로 방향의 중앙 영역이 가로 방향 중앙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시킬 수 있다. 이 만곡에 의해서, 귀걸이부의, 접합부의 지점에서 되접어 꺾인 부분도 동일하게 입체적으로 변형되게 된다. 여기에서, 귀걸이부가 마스크 본체의 외면 (얼굴에 대향시키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 에 접합되어 있을 경우, 상기 변형에 의해서 귀걸이부가 마스크 본체로부터 국소적으로 들떠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귀걸이부가 들뜬 부분은, 마스크 장착 중에 장착자의 동작의 방해가 될 가능성이 있고, 외관도 해칠 수 있다.
상기를 감안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장착시에, 시트상의 귀걸이부의 마스크 본체로부터의 들뜸이 잘 발생되지 않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마스크 본체와, 1 쌍의 환상 시트상의 귀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귀걸이부가 각각,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얼굴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에,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각 단부에 접합되어, 세로 방향에 걸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의 가로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의 윤곽이, 가로 방향 외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장착시에, 시트상의 귀걸이부의 마스크 본체로부터의 들뜸이 잘 발생되지 않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마스크를 외면측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마스크의 내면측 (안측) 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귀걸이부가 측방으로 벌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마스크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5 는, 종래의 마스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도면이다.
도 6 은,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도면이다.
도 7 은, 도 1 의 접합부의 확대 도면이다.
도 8 은, 접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9 는, 접합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0 은, 접합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마스크를 외면측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X-X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마스크의 내면측 (안측) 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귀걸이부가 측방으로 벌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마스크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5 는, 종래의 마스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도면이다.
도 6 은,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도면이다.
도 7 은, 도 1 의 접합부의 확대 도면이다.
도 8 은, 접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9 는, 접합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0 은, 접합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마스크를 외면측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X-X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마스크의 기본 구성)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는, 장착자의 얼굴,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착자의 적어도 코 및 입을 덮을 수 있는 마스크이면 된다.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는, 이물질이 얼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장착자가 발하는 비말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서, 위생 마스크 또는 서지컬 마스크라고도 불린다. 마스크는, 일회용의 것이어도 되고, 세탁에 의해서 반복 사용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도 1 에,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 (1)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은, 마스크 (1) 를 외측 (혹은 외면측), 즉 장착시에 얼굴에 대향시키지 않고 외부에 노출시키는 면측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또, 도 2 에, 마스크를 내측 (얼굴에 대향시키는 면측) 에서 바라 본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 (1) 는, 장착시에 장착자의 얼굴의 정면에 배치되고, 장착자의 주로 코 및 입을 덮을 수 있는 마스크 본체 (10) 와, 마스크 본체 (10) 에 결합된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크 (1) (마스크 본체 (10)) 는, 장착시에 장착자의 얼굴의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는 상하 방향 (세로 방향) (D1) 과, 장착시에 장착자의 얼굴의 좌우 방향으로 대응하는 좌우 방향 (가로 방향) (D2) 를 갖는다. 세로 방향 (D1) 과 가로 방향 (D2) 은 직교한다.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양 단부에, 세로 방향 (D1) 을 따라서 형성된 접합부 (50, 50) 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마스크 본체 (10) 는, 가로 방향 (D2) 으로 장변을 갖는 장방형의 평면에서 바라 본 형상을 갖지만, 마스크 본체 (10) 의 평면에서 바라 본 형상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 (10) 는, 세로 방향 (D1) 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주름 (플리츠) 에 의해서 형성되는 플리츠 구조 (15) 를 갖고 있다. 플리츠 구조 (15) 의 주름은, 마스크 본체 (10) 를 구성하는 시트를 가로 방향 (D2) 을 따른 접음선에서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 상태에서,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양 단부가, 히트 시일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그 때문에, 마스크 (1) 의 사용시에는, 플리츠 구조 (15) 의 주름을 세로 방향 (D1) 으로 넓힘으로써,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중앙이, 마스크 (1) 의 외면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얼굴의 입체 형상에 적합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플리츠 구조 (15) 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 본체에 형성되는 공지된 구성이면 되지만,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 (D1) 의 중앙에 박스 플리츠가 형성되어 있으면, 장착시에 마스크 본체 (10) 의 세로 방향 (D1) 의 중앙을 얼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시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마스크 본체 (10) 는,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이물질 (먼지, 화분, 세균, 바이러스 등) 을 포집하는 기능이 높여진 중간층을, 외층 및 내층 사이에 끼운 3 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구조이면 된다. 마스크 본체 (10) 를 구성하는 각 층은, 부직포, 직물, 편물 등의 섬유 함유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로는,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멜트 블론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 중간층에는, 가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는 멜트 블론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섬유 함유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수지 섬유이면 바람직하고, 수지 섬유의 수지의 종류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외층 및 내층의 겉보기 중량은 10 ∼ 50 g/㎡ 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15 ∼ 50 g/㎡ 이면 된다. 이물질 포집성이 높은 중간층의 겉보기 중량은, 10 ∼ 100 g/㎡ 이면 바람직하고, 15 ∼ 50 g/㎡ 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각각, 평면에서 보았을 때 환상 (혹은 닫은 띠상) 이면 된다. 장착시에는, 귀걸이부 (20a) 의 고리의 내측, 즉 귀걸이부 (20a) 의 중앙의 개구 (29) 에 장착자의 귀가 들어오도록 하여, 귀걸이부 (20a) 를 귀에 걸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끈상 또는 사상 (絲狀) 과 달리, 시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가 시트상임으로써, 마스크 장착시에 귀걸이부 (20a) 를 귀에 걸었을 때에, 귀의 뒤 또는 귓불의 이면에 면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였다고 해도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귀걸이부 (20a) 의 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등이면 되지만,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에 가까운 형상이면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귀걸이부 (20a) 는, 세로 방향 (D1) 을 따라서 연장되며 또한 세로 방향 (D1) 을 따라서 마스크 본체 (10) 에 고정되어 있는 기부 (22) 와, 장착시에 장착자의 귀의 뒤에 위치하는 귀 후방 배치부 (24) 와, 상측에 있어서 기부 (22) 와 귀 후방 배치부 (24) 사이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 (23) 와, 하측에 있어서 기부 (22) 와 귀 후방 배치부 (24) 사이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 (26) 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가로 방향 (D2) 의 중앙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단일 시트상으로서, 즉, 귀걸이부 시트 (20) 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단일 시트란, 연속된 1 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가리킨다. 이 1 장의 시트는, 단층이어도 되고,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여도 된다.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가 단일 시트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제조시에 귀걸이부 (20a, 20a) 의 위치 결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마스크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반드시 결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가 귀걸이부 시트 (20) 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귀걸이부 시트 (20) 는, 소정 위치에서 파단시킴으로써 분리된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의 형태에서는,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결합부 (28) 에서 결합되어 있다. 결합부 (28) 의 결합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자의 통상적인 힘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분리 가능한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취선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시트의 두께를 작게 하는 것, 또는 그 밖의 수단에 의해서,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의 경계를 취약화하거나, 응력이 가해지기 쉽게 하거나 함으로써, 결합부 (28) 를 형성해도 된다. 또, 결합부 (28) 는, 사용자가 가위 등의 도구에 의해서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귀걸이부 (20a, 20a) (또는 귀걸이부 시트 (20)) 는, 신축성을 갖는 재료, 적어도 가로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귀걸이부 (20a, 20a) 가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마스크의 장착 동작시에는, 사용자는, 귀걸이부 (20a, 20a) 를 귀의 뒤까지 잡아 당기고 나서 귀에 건다는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 장착시 (장착 중) 에도, 귀걸이부 (20a, 20a) 에 발생되는 인장 응력에 의해서, 마스크 본체 (10) 를 얼굴에 피트시킬 수 있다.
귀걸이부 (20a) 는,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층 시트여도 되고, 신축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 시트여도 된다. 신축성의 재료란, 신축성의 부직포, 신축성 필름, 또는 실 고무 등의 사상 혹은 끈상의 신축성 부재이면 된다. 신축성의 부직포가 포함되는 경우, 당해 부직포의 신축성은, 부직포가 신축성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어 섬유의 재료 자체가 신축성을 갖거나 또는 섬유가 권축 섬유임으로써 발현되어도 된다. 혹은, 소정의 물리적 구조에 의해서, 예를 들어 표면에 요철을 가짐으로써 신축성이 발현되어도 된다. 신축성의 부직포의 구체예로는, 축성 에어 스루 부직포, 신축성 스펀본드 부직포, 신축성 스펀레이스 부직포, 신축성 니들 펀치 부직포, 신축성 케미컬 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5 ∼ 5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35 g/㎡ 이면 된다.
귀걸이부 (20a) 가, 복수의 부직포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스펀본드 부직포/멜트 블론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 등의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이 중 적어도 1 층에 신축성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귀걸이부 (20a) 가, 신축성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부직포/신축성 필름, 부직포/신축성 필름/부직포 (예를 들어, 스펀본드 부직포/신축성 필름/스펀본드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신축성 필름/에어 스루 부직포 등) 등의 구성을 들 수 있다. 2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시트의 경우, 어느 일방의 층을 신축성으로 하고, 당해 신축성의 층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다른 일방의 층을 적층시켜 간헐적으로 고정시킨 후, 이완시켜 자연 상태로 되돌려, 귀걸이부 (20a) 용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 3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시트의 경우, 중앙의 층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양면에 각각 층을 적층시켜 간헐적으로 고정시킨 후, 이완시켜 자연 상태로 되돌려, 귀걸이부 (20a) 용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중, 제조가 용이하고, 높은 신축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신축성 필름을 사용한 구성, 특히 신축성 필름의 양면에 부직포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신축성 필름의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신축성 필름의 신축성은, 인장 시험기에 의한 측정으로 최대 신장률 (인장 파단시의 신장률) 이 3.5 ∼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신축성 필름은, 습기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신축성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신축성 필름을 자연 길이에 대한 소정 배율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부직포를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서 신축성 필름에 간헐적으로 접합시킨 후, 이완시켜 자연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귀걸이부 (20a) 용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신축성 필름의 이완에 의해서 부직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솟아오르기 때문에, 얻어지는 시트에는, 신축 방향과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다수의 잔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귀걸이부 (20a) 용의 시트는, 사상 고무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신축성이 작거나 또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부직포 사이에 끼움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한 재료끼리를,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의 핫 멜트 부직포 (가열에 의해서 섬유가 연화 또는 용융되어 타부재와 접착 가능한 부직포) 로 첩합시켜도 된다.
귀걸이부 (20a) (귀걸이부 시트 (20)) 의 겉보기 중량은, 20 ∼ 150 g/㎡ 이면 된다. 또, 귀걸이부 (20a) 의 두께는, 100 ∼ 3,000 ㎛ 이면 된다.
(마스크의 사용)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 (1) 의 사용을 개시할 때에, 사용자는, 마스크 (1) 의 장착 전에, 귀걸이부 (20a, 20a) 를 각각 가로 방향 (D2) 측방으로 벌린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끼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개 전에, 결합을 해제하여 귀걸이부 (20a, 20a) 를 서로 분리시킨다.
도 3 에, 마스크 (1) 의 귀걸이부 (20a, 20a) 를 전개한 후의 상태의 우측 부분을 나타낸다. 귀걸이부 (20a) 를 가로 방향 (D2) 외방으로 전개시킨 후에는, 귀걸이부 (20a) 가 뒤집어지고, 귀걸이부 (20a) 의 마스크 본체 (10) 와 대향하고 있던 면이 노출된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의 거의 전체도 노출된다.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끼리를 분리시켜 가로 방향 (D2) 외방으로 벌리는 동작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 (10) 의 내면에 만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거나 또는 그 가능성을 없앨 수 있어, 위생적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 (1) 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을 위로 하여 마스크 (1) 가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각각 손으로 파지하여 가로 방향 (D2) 외방으로 벌린 후,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파지한 채로 마스크 (1) 를 타인 (장착자) 의 얼굴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 (10) 를 그 타인의 얼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잡는 법을 바꾸지 않고,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각각 타인의 귀에 걸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 (1) 는, 예를 들어 아이, 환자 등의, 마스크를 스스로 장착하기 곤란한 사람에게 마스크를 장착시키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에는,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서로 분리하여 가로 방향 (D2) 외방으로 벌릴 때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25, 25)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손잡이부 (25, 25) 는, 하측 연장부 (26)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마스크 본체 (10) 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마스크 (1) 의 하단 (또는 마스크 본체 (10) 의 하단)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그 경우, 마스크 본체 (10) 자체에, 즉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 및 내면 중 어느 쪽도 만지지 않거나 또는 거의 만지지 않고, 사용자가 양손으로 손잡이부 (25, 25) 를 잡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스크 본체 (10) 를 만지지 않거나 또는 거의 만지지 않고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분리·전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의 위생에 충분한 배려를 할 수 없는 상황이어도, 양호한 위생 상태의 마스크 (1) 를 스스로에게 또는 타인에게 장착할 수 있다.
또, 귀걸이부 (20a) 가 손잡이부 (25, 25) 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귀걸이부 (20a) 를 장착자의 귀에 걸 때 또는 건 후에, 손잡이부 (25, 25) 로 귀걸이부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도 있다. 즉, 손잡이부 (25, 25) 로, 귀걸이부 (20a) 를, 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귀걸이부 (20a) 의 둘레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위치 조정을 행하는 것, 혹은 귀걸이부 (20a) 를 후측을 향하여 잡아 당기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하여 귀걸이부 (20a) 의 당김 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가 마스크 본체의 외면의 양 측부에 각각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 1 ∼ 도 3), 마스크 (1) 의 장착시, 즉 귀걸이부 (20a, 20a) 를 측방으로 벌려 귀에 걸고 있는 상태에서는, 마스크 본체 (10) 의 양 측부는, 귀걸이부 (20a) 에 의해서 외면측으로부터 얼굴을 향하여 눌려진다. 이로써, 마스크 본체 (10) 의 양 측부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 (10) 와 얼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마스크의 기능, 예를 들어 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 장착자가 발한 비말을 비산시키지 않는 기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체의 양 측부의 내면측 (안측) 에 귀걸이부 (20a) 가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장착 중에, 마스크 본체 (10) 의 양 측부에 있어서 귀걸이부 (20a) 가 장착자의 얼굴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위화감도 저감된다.
또한, 마스크 본체 (10) 에는,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 및 내면의 구별을 시각에 의해서 또는 손으로 만지는 것에 의해서 가능하게 하는 마크 (18) 를, 엠보싱 가공, 인쇄, 시접 등에 의해서 형성해도 된다. 마크 (18) 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마크 (18) 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여도 되고, 숫자, 기호, 도형, 로고 등이어도 된다.
(접합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시트상의 귀걸이부 (20a, 20a) (혹은 귀걸이부 시트 (20)) 는,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에 중첩되고, 가로 방향 (D2) 의 양 단부에서, 접합부 (50, 50) (그레이로 나타내는 영역) 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접합부 (50, 50) 는, 예를 들어, 압력 및/또는 열을 가함으로써, 귀걸이부 (20a) 및 마스크 본체 (10) 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시키는 수단, 예를 들어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비가열의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귀걸이부 (20a) 및 마스크 본체 (10) 의 소재가 합성 수지인 경우에는, 양자가 융착되어 보다 확실한 접합이 가능한 점에서, 히트 시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부 (50) 는, 세로 방향 (D1) 을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귀걸이부 (20a) 의 세로 방향 (D1) 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접합부 (50) 는, 세로 방향 (D1) 을 따라서 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접합부 (50, 50) 는, 가로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이, 가로 방향 (D2) 외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 의 예에서는, 접합부 (50) 의 가로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에 형성된 오목부는, 짧은 상변을 가로 방향 (D2) 외측에 갖는 사다리꼴로 되어 있다.
이하, 접합부 (50, 50) 가, 가로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이 가로 방향 (D2) 외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것의 이점에 대해서 말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종래의 마스크의 장착시의 형상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에, 종래의 마스크 (1') 의,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측에서 바라 본 평면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마스크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 (1) 와 기본 구조는 동일하지만, 접합부 (50', 50') 가, 세로 방향 (D1) 을 따라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마스크 (1) 와 상이하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내는 종래의 마스크 (1') 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시에는, 마스크 (1') 의 마스크 본체 (10) 의 플리츠 구조 (15) 는, 얼굴의 입체 형상에 대응하도록, 폭 방향 (D2) 중앙에 있어서 세로 방향 (D1) 으로 넓어지고, 또,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중앙이 외면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마스크 본체 (10) 의 중앙의 변형에 수반하여,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단부도 변형되기 때문에, 당해 가로 방향 (D2) 의 단부에 형성된 접합부도 변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합부 (50) 는, 당해 접합부 (50) 세로 방향 (D1) 의 중앙이, 적어도 가로 방향 (D2) 의 중앙에 근접하도록 (가로 방향 (D2) 중앙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은 접합부 (50') 의 변형에 의해서, 귀걸이부 (20a) 가 접합부 (50') 에서 되접어 꺾인 부분, 특히 귀걸이부 (20a) 의 기부 (22) 도 만곡 변형되어,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부 (22) 의 세로 방향 (D1) 의 중앙 부근에서, 마스크 본체 (10) 로부터 기부 (22) 가 떨어진 지점 (들뜸 r) 이 발생될 수 있다 (도 5). 기부 (22) 의 들뜸 r 은, 접힘 또는 주름이 되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비해서, 도 6 에,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 (1) (도 1 및 도 2) 를 장착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도 5 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마스크 (1') 의 경우 (도 5) 와 마찬가지로, 마스크 본체 (10) 가 얼굴의 입체 형상에 대응시켜 변형되어 있다. 이 마스크 본체 (10) 의 변형에 수반하여,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단부 자체는, 당해 단부의 세로 방향 (D1) 의 중앙이, 적어도 가로 방향 (D2) 의 중앙에 근접하도록 변형되어 있다. 그러나, 본 형태에 있어서는, 접합부 (50) 의 폭 방향 (D2)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은, 장착 전의 상태에서 폭 방향 (D2) 외방으로 패여 있기 때문에 (도 1), 장착시에 마스크 본체 (10) 를 변형시킨 상태에서는,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의 세로 방향 (D1) 의 중앙이 돌출되지 않고, 세로 방향 (D1) 을 따라서 직선상 또는 그것에 가까운 형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 (50) 에서 되접어 꺾여 있는 귀걸이부 (20a) 의 부분, 특히 접합부 (50) 에 가까운 기부 (22) 의 만곡 변형은 적고, 변형도 적다. 그렇다면, 귀걸이부 (20a), 특히 기부 (22) 가 마스크 본체 (10) 로부터 들떠 오르는 현상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져 일어나는 현상) 은 억제된다. 귀걸이부 (20a) 의 외면측으로의 들뜸은 장착자의 동작의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지만, 그와 같은 문제도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위로부터 페이스 실드 등의 추가적인 방호 수단을 장착하는 경우에, 방호 수단의 부품에 귀걸이부 (20a) 가 들뜬 부분이 걸리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시의 귀걸이부 (20a) 가 마스크 본체 (10) 에 의해서 밀착되기 때문에, 마스크 (1) 의 외관도 양호해진다.
도 7 에, 도 1 의 우측의 접합부 (50) 근방의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접합부 (50) 의 폭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은, 폭 방향 (D2) 의 외방으로 패여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오목 부분 (오목부) 은, 짧은 상변을 가로 방향 (D2) 외측에 갖는 사다리꼴로 되어 있지만, 직사각형 (장방형 또는 정방형) 등이어도 된다. 단, 오목부 형상이 사다리꼴인 경우와 같이, 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선이, 세로 방향 (D1) 중앙 영역에 근접함에 따라서, 점차적 또는 단계적으로 폭 방향 (D2) 외측을 향하도록 되어 있으면, 세로 방향 (D1) 및 가로 방향 (D2) 으로 완만하게 방향이 변화되고 있는 윤곽선이 얻어지기 때문에, 윤곽의 방향이 변화된 위치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합부 (50)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에는, 마스크 본체 (10) 의 상방 영역 (UR), 중앙 영역 (MR), 하방 영역 (LR) 도 나타낸다. 이들 영역의 세로 방향 (D1) 의 길이는 각각, 마스크 (1) 의 가로 방향 (D2) 의 단부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 (세로 방향 (D1) 의 전체 길이) 를 거의 3 등분한 길이로 할 수 있다. 접합부 (50) 의 가로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의 오목부의 바닥부 (51a) 는, 중앙 영역 (MR) 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의 장착시에는,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단부에 있어서는, 중앙 영역 (MR) 이 가장 만곡되기 쉽고, 귀걸이부 (20a) 의 기부 (22) 의, 중앙 영역 (MR) 에서 접합되어 있는 부분이 가장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중앙 영역 (MR) 에 있어서 접합부 (50) 의 폭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가, 보다 폭 방향 (D2)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기부 (22) 의 들뜸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 6).
접합부 (50) 의 가로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가장 폭 방향 (D2) 내측의 위치와 가장 폭 방향 (D2) 의 외측의 위치의 거리 d1 는, 2 ∼ 18 ㎜ 이면 된다. 거리 d1 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장착시에 접합부 (50) 가 만곡된 상태로 되기 어렵다는 상기 서술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접합부 (50) 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세로 방향 (D1) 에서의 분포가 과도하게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마스크 (1) 에 불필요한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접합부 (50) 의 최대 폭 wmax 는, 3 ∼ 20 ㎜ 이면 된다. 최대 폭 wmax 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마스크 본체 (10) 와 귀걸이부 (20a) 의 접합 강도를 높임과 함께, 접합부 (50) 가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 (1) 의 가로 방향 (D2) 단부가 과도하게 딱딱해져 쾌적한 장착감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접합부 (50) 의 최소폭 wmin 은, 1 ∼ 18 ㎜ 이면 된다. 최소폭 wmin 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폭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폭 방향 (D2) 외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형성하기 쉬워짐과 함께, 접합부 (50) 의 경도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최대 폭 wmax 는, 마스크 본체 (10) 의 상방 영역 (UR) 및/또는 하방 영역 (LR) 에 있고, 최소폭 wmin 은, 마스크 본체 (10) 의 중앙 영역 (MR) 내의 위치에 있어도 된다.
도 8 ∼ 도 10 에 접합부 (50) 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접합부 (50) 의 형상은, 폭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이 폭 방향 (D2) 외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가 사다리꼴 또는 다른 사각형이 아니고, 오목부의 바닥부 (51a) 가 저점으로 되어 있는 형상이어도 된다. 즉, 접합부 (50) 의 폭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이, 폭 방향 (D2) 내방에 저변을 갖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부 (50) 의 폭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은, 곡선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타낸 바와 같이,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이, 곡률 반경의 중심이 폭 방향 (D2) 내측에 있는 원형의 일부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부 (50) 의 폭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은, 그 일부가 곡선 부분으로 되어 있는 형상이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합부 (50) 의 내단 가장자리 (51) 의 윤곽이, 마스크 본체 (10) 의 중앙 영역 (MR) 내에 바닥부 (저점) (51a) 를 갖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오목부보다 상측 및 하측에서는, 세로 방향 (D1) 을 따른 직선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접합부 (50) 는, 접합부 (50) 내의 영역 전체에서 연속하여, 귀걸이부 (20a) 와 마스크 본체 (10) 가 접합되어도 된다. 혹은, 접합부 (50) 가, 미시적으로 귀걸이부 (20a) 와 마스크 본체 (10) 가 접합되어 있는 접합 소부분과, 미시적으로 귀걸이부 (20a) 와 마스크 본체 (10) 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소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후자와 같이, 접합 소부분과 비접합 소부분을 포함하는 접합부 (50) 에 의하면, 유연성 및 접착 강도의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접합 소부분은, 접합부 (50) 의 영역 내에서 산재하고 있는 도트상, 세로 방향 (D1) 또는 가로 방향 (D2) 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선, 격자, 크로스해치 등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조재 부착 마스크)
도 11 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마스크 (101) 를 외면측에서 바라 본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12 에, 도 11 의 X-X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마스크 (101) 의 기본적인 구조 및 얻어지는 효과 등은, 마스크 (1) (도 1) 과 동일하다. 그러나, 마스크 (101) 는, 귀걸이부 (20a) 가 마스크 본체 (10) 에 직접적으로 접합되어 있지 않고, 시트상의 보조재 (130) 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점에서, 마스크 (1) (도 1) 와 상이하다.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재 (130, 130) 는,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재 (130, 130) 는, 마스크 본체 (10) 의,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가 중첩되어 있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단부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 (10), 귀걸이부 (20a), 및 보조재 (130) 가 중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보조재 (130) 는, 폭 방향 (D2) 의 외측에서 마스크 본체 (10) 와 접합되고, 폭 방향 (D2) 의 내측에서 귀걸이부 (20a) 와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귀걸이부 (20a) 는, 보조재 (130) 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단부에 접합되고, 세로 방향 (D1) 에 걸치는 접합부 (150) 가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 (150) 는, 보조재 (130) 와 마스크 본체 (10) 가 직접 접합되어 형성된 접합부이다. 한편, 보조재 (130) 와 귀걸이부 (20a) 는 제 2 접합부 (160) 에 의해서 직접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귀걸이부 (20a) 가 마스크 본체 (10) 에 직접은 아니고, 보조재 (130) 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여러 가지 이점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 (10) 및 귀걸이부 (20a) 는, 통상적으로 각각 목적에 맞는 상이한 재료 (예를 들어 신축성이 상이한 재료) 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로는 직접 접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본 형태와 같이 보조재 (130) 를 개재시킴으로써, 귀걸이부 (20a) 와 마스크 본체 (10) 의 신축성의 차가 완충되어, 귀걸이부 (20a, 20a) 와 마스크 본체 (10) 를 강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 보조재 (130) 를 사용함으로써, 귀걸이부 (20a, 20a) 가, 마스크 본체 (10) 에 대해서 보다 자유롭게 변형되거나, 움직이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의 얼굴에 피트시킬 수 있다.
마스크 (101) 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귀걸이부 (20a, 20a) 끼리의 결합부 (28) 에 있어서의 결합을 해제하여, 귀걸이부 (20a, 20a) 를 폭 방향 (D2) 외방으로 벌리고, 귀걸이부 (20a, 20a) 를 장착자의 각 귀에 건다. 이 때, 제 2 접합부 (160) 에서 접합되어 있는 귀걸이부 (20a) 와 보조재 (130) 는, 일체적으로 전개된다. 귀걸이부 (20a) 가 전개되면, 보조재 (130) 가 접합부 (150) 에서 되접어 꺾인다. 따라서, 보조재 (130) 는, 귀걸이부 (20a) 의 일부 또는 연장 부분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마스크 (101) 에 있어서도, 접합부 (150) 의 가로 방향 (D2) 의 내단 가장자리 (151) 의 윤곽은, 가로 방향 (D2) 외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도 11 에 나타내는 접합부 (150) 의 형상은, 도 1 에 나타내는 마스크 (1) 의 접합부 (50) 와 마찬가지로, 폭 방향 (D2) 외측에 짧은 상변을 갖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마스크 (101) 에 있어서도, 장착시의 마스크 본체 (10) 의 변형에 수반하는 귀걸이부 (20a) 의 변형 혹은 왜곡을 저감하여, 귀걸이부 (20a) 의 마스크 본체 (10) 로부터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 (10) 에 직접 접합되어 있는 보조재 (130) 가 되접어 꺾인 부분의 일어남 (들뜸) 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귀걸이부 (20a) 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재 (130) 는, 마스크 (1) 의 세로 방향 (D1) 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보조재 (130) 의 가로 방향 (D2) 의 길이 (폭) 는, 마스크 (1) 전체의 사이즈 및 구성, 마스크 본체 (10) 및 귀걸이부 (20a) 의 사이즈, 형상, 재질에 따라서 상이하기도 하지만, 15 ∼ 35 ㎜ 이면 바람직하다. 보조재 (130) 의 겉보기 중량은, 5 ∼ 100 g/㎡ 이면 된다. 또, 보조재 (30) 의 두께는, 100 ∼ 1,000 ㎛ 이면 된다.
보조재 (130) 는, 신축성이 없거나 혹은 작은 재료로 형성해도 되고,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조재 (30) 에는, 예를 들어, 신축성 부직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보조재 (130) 는, 적어도 가로 방향 (D2) 에서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조재 (130) 의 신축성은 귀걸이부 (20a) 의 신축성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재 (130) 는, 힘이 가해지면 형상이 불가역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를 기재한다.
(부기 1)
부기 1 에 관련된 양태는, 마스크 본체와, 1 쌍의 환상 시트상의 귀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귀걸이부가 각각,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얼굴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에,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각 단부에 접합되어, 세로 방향에 걸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의 가로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의 윤곽이, 가로 방향 외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부기 1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시트상의 귀걸이부가 각각,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각 단부에 접합되어, 세로 방향에 걸쳐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마스크는, 장착시에, 시트상의 귀걸이부를 각각 가로 방향으로 벌리고, 접합부에서 되접어 꺾어 사용된다. 여기에서, 마스크 본체를 얼굴의 형상에 대응시킬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변형시키면,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된, 마스크 본체와 귀걸이부의 접합부도 만곡되게 된다. 예를 들어, 접합부는, 접합부의 세로 방향의 중앙 부근이 가로 방향 중앙에 근접하도록 만곡된 형상이 될 수 있다. 이 접합부의 만곡에 수반하여, 귀걸이부의, 접합부에서 되접어 꺾인 부분도 만곡 변형되어, 변형이 일어날 수도 있다. 귀걸이부는 마스크 본체의 외면 (얼굴에 대항시키는 면과 반대측의 면) 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귀걸이부가 되접어 꺾인 부분 및 그 근방의 부분이 마스크 본체로부터 떨어지고, 들뜨기 쉬워진다.
이에 비해서, 본 양태에 의하면, 귀걸이부와 마스크 본체의 접합부의 가로 방향 내측의 단 가장자리의 윤곽이, 가로 방향 외방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마스크의 장착시에,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단부가 가로 방향 내방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되었다고 해도, 접합부의 내단 가장자리의 윤곽의 변형은, 원래 윤곽이 구비하고 있던 오목 형상에 의해서 상쇄되기 때문에, 마스크 장착시의 당해 윤곽의 만곡 정도는 작아진다. 이로써, 귀걸이부의 접합부에서 되접어 꺾인 부분의 변형을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어, 귀걸이부가 되접어 꺾인 부분의 마스크 본체로부터의 들뜸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양태의 마스크에 의하면, 귀걸이부의 마스크 본체로부터의 들뜸이 장착자의 동작의 방해가 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위로부터 페이스 실드 등의 추가적인 방호 수단을 장착하는 경우에, 방호 수단의 부품에 귀걸이부가 걸리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귀걸이부의 들뜸이 없는 점에서, 장착 중인 마스크의 외관도 양호해진다.
(부기 2)
부기 2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오목한 형상의 바닥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세로 방향 중앙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부기 2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귀걸이부가 되접어 꺾인 부분 중, 가장 변형되기 쉬운 세로 방향 중앙 부분의 변형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부기 3)
부기 3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접합부의 가로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의 윤곽이, 세로 방향 중앙 영역에 근접함에 따라서 점차적 또는 단계적으로,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부기 3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접합부의 가로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의 위치가 서서히, 완만하게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단 가장자리의 윤곽에 있어서 소정 지점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귀걸이부에 강한 힘이 걸린 경우여도 접합부가 잘 파손되지 않는다.
(부기 4)
부기 4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접합부의 가로 방향의 최대 폭이 3 ∼ 20 ㎜ 이다.
상기 부기 4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와 귀걸이부의 접합 강도를 높임과 함께, 접합부가 형성된 마스크의 폭 방향 단부가 과도하게 딱딱해져 쾌적한 장착감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 2021년 3월 1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1-04209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 내용을 참조에 의해서 여기에 원용한다.
1 : 마스크
1' : 종래의 마스크
10 : 마스크 본체
15 : 플리츠
18 : 마크
20 : 귀걸이부 시트
20a : 귀걸이부
22 : 기부
23 : 상측 연장부
24 : 귀 후방 배치부
25 : 손잡이부
26 : 하측 연장부
28 : 분리 가능한 결합부
29 : 개구
30 : 보조재
50, 150 : 접합부
50' : 종래의 접합부
51, 151 : 접합부의 폭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
51' : 종래의 접합부의 폭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
51a : 내단 가장자리의 오목부의 바닥부
130 : 보조재
160 : 제 2 접합부
D1 : 세로 방향 (상하 방향)
D2 : 가로 방향 (좌우 방향)
LR : 하방 영역
MR : 중앙 영역
UR : 상방 영역
1' : 종래의 마스크
10 : 마스크 본체
15 : 플리츠
18 : 마크
20 : 귀걸이부 시트
20a : 귀걸이부
22 : 기부
23 : 상측 연장부
24 : 귀 후방 배치부
25 : 손잡이부
26 : 하측 연장부
28 : 분리 가능한 결합부
29 : 개구
30 : 보조재
50, 150 : 접합부
50' : 종래의 접합부
51, 151 : 접합부의 폭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
51' : 종래의 접합부의 폭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
51a : 내단 가장자리의 오목부의 바닥부
130 : 보조재
160 : 제 2 접합부
D1 : 세로 방향 (상하 방향)
D2 : 가로 방향 (좌우 방향)
LR : 하방 영역
MR : 중앙 영역
UR : 상방 영역
Claims (4)
- 마스크 본체와, 1 쌍의 환상 시트상의 귀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귀걸이부가 각각,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얼굴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에,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각 단부에 접합되어, 세로 방향에 걸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의 가로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의 윤곽이, 가로 방향 외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형상의 바닥부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세로 방향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마스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가로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의 윤곽이, 세로 방향 중앙 영역에 근접함에 따라서 점차적 또는 단계적으로,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마스크.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가로 방향의 최대 폭이 3 ∼ 20 ㎜ 인,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042093 | 2021-03-16 | ||
JP2021042093A JP7543954B2 (ja) | 2021-03-16 | 2021-03-16 | マスク |
PCT/JP2022/003802 WO2022196142A1 (ja) | 2021-03-16 | 2022-02-01 | マスク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5418A true KR20230155418A (ko) | 2023-11-10 |
Family
ID=8332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12951A KR20230155418A (ko) | 2021-03-16 | 2022-02-01 | 마스크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4309531A4 (ko) |
JP (1) | JP7543954B2 (ko) |
KR (1) | KR20230155418A (ko) |
CN (1) | CN116583201A (ko) |
TW (1) | TW202241553A (ko) |
WO (1) | WO2022196142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36262U (ko) | 1977-08-17 | 1979-03-09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94264B2 (ja) * | 2005-10-05 | 2011-10-19 | 花王株式会社 | マスク |
JP2008000191A (ja) * | 2006-06-20 | 2008-01-10 | Kao Corp | マスク |
JP4528881B1 (ja) * | 2009-12-21 | 2010-08-25 | 株式会社杉山 | マスク用耳掛け部 |
JP5318002B2 (ja) | 2010-02-19 | 2013-10-1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マスク |
JP5436262B2 (ja) * | 2010-02-19 | 2014-03-0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マスク |
JP6242352B2 (ja) * | 2015-01-28 | 2017-12-06 | 株式会社白鳩 | 衛生マスク |
JP6700097B2 (ja) | 2016-04-28 | 2020-05-2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マスク |
JP6644184B1 (ja) | 2019-09-06 | 2020-02-12 | クリオン株式会社 |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用リサイクル原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
CN111227374B (zh) | 2020-03-19 | 2022-02-22 | 深圳市六方吉星科技有限公司 | 一种高效生产安全易撕口罩的自动化装置及其生产方法 |
-
2021
- 2021-03-16 JP JP2021042093A patent/JP7543954B2/ja active Active
-
2022
- 2022-02-01 KR KR1020237012951A patent/KR2023015541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02-01 CN CN202280008111.XA patent/CN116583201A/zh active Pending
- 2022-02-01 WO PCT/JP2022/003802 patent/WO202219614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2-01 EP EP22770904.5A patent/EP4309531A4/en active Pending
- 2022-02-15 TW TW111105398A patent/TW202241553A/zh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36262U (ko) | 1977-08-17 | 1979-03-0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543954B2 (ja) | 2024-09-03 |
JP2022142086A (ja) | 2022-09-30 |
CN116583201A (zh) | 2023-08-11 |
WO2022196142A1 (ja) | 2022-09-22 |
EP4309531A1 (en) | 2024-01-24 |
TW202241553A (zh) | 2022-11-01 |
EP4309531A4 (en) | 2024-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8457B1 (ko) | 일회용 마스크 | |
JP7264579B2 (ja) | 使い捨てマスク | |
WO2022201872A1 (ja) | マスク用耳掛け部材、及びマスク | |
KR20230155418A (ko) | 마스크 | |
JP2019183354A (ja) | 使い捨てマスク | |
WO2022209333A1 (ja) | マスク、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 |
JP7210512B2 (ja) | マスク | |
JP6968231B1 (ja) | マスク | |
JP7386756B2 (ja) | マスク | |
JP7296918B2 (ja) | マスク | |
JP2023128038A (ja) | マスク | |
JP2023128037A (ja) | マスク | |
JP7386760B2 (ja) | マスクの製造方法 | |
JP2024146148A (ja) | マスク | |
JP2022150304A (ja) | マスク | |
JP2023125998A (ja) | マス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