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79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797A
KR20140035797A KR1020130066971A KR20130066971A KR20140035797A KR 20140035797 A KR20140035797 A KR 20140035797A KR 1020130066971 A KR1020130066971 A KR 1020130066971A KR 20130066971 A KR20130066971 A KR 20130066971A KR 20140035797 A KR20140035797 A KR 20140035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se
binding band
recess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 카와카미
다이스케 사사키
타카유키 나가타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5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내에서 결속 밴드에 의해 케이블의 제1단부를 결속할 때, 케이블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결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는 케이블(100)과 컨택트(300a)와 결속 밴드(500)와 제1, 제2케이스(700a), (700b)를 포함하고 있다. 컨택트(300a)는 케이블(100)에 접속되어 있다. 결속 밴드(500)는, 걸어맞춤 구멍(511)을 가지는 헤드(510)와,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를 결속하고 또한 걸어맞춤 구멍(511)에 걸어맞춤된 스트랩(520)을 가지고 있다. 제1케이스(700a)는, 스트랩(520)을 수용한 제1오목부(740a)와, 제1오목부(740a)의 Y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를 수용하며 또한 위치 결정되어 유지한 제2오목부(750a)와, 제1오목부(740a)의 X방향에 형성되고 또한 헤드(510)가 수용된 수용 구멍(760a)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결속 밴드를 내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는 하기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를 제1커넥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커넥터를 제2커넥터라 칭한다. 제1, 제2커넥터는 케이블과 결속 밴드와 케이스를 가지고 있다.
제1커넥터는, 결속 밴드의 스트랩(strap)이 케이블의 길이 방향의 제1단부에 감겨 있고, 헤드의 걸어맞춤 구멍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결속 밴드가 케이블의 제1단부를 결속하고 있다. 케이스에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바닥에 형성되고 또한 해당 오목부와 케이스의 외부를 연결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결속 밴드의 헤드가 케이스의 오목부에 끼워맞춤되고, 스트랩의 헤드의 걸어맞춤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 케이스의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제1커넥터는,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케이블의 제1단부에 감아서, 해당 스트랩을 헤드의 걸어맞춤 구멍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결속 밴드를 케이블의 제1단부에 임시 체결시킨다. 이 임시 체결 상태에서, 결속 밴드 및 케이블의 제1단부를 케이스 내에 넣고, 결속 밴드의 스트랩의 걸어맞춤 구멍으로부터 도출하는 부분(도출부)을 케이스의 구멍에 삽입하여, 해당 헤드를 케이스의 오목부에 끼워맞춤시킨다. 그 후, 스트랩의 도출부를 잡아 당겨(즉, 인장시켜), 해당 스트랩을 더욱 체결함으로써, 결속 밴드가 케이블의 제1단부를 케이스 내에서 결속된다.
제2커넥터는, 케이스에 블록 및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결속 밴드의 스트랩이 케이블의 길이 방향의 제1단부 및 케이스의 블록에 감겨서, 헤드의 걸어맞춤 구멍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결속 밴드가 케이블의 제1단부 및 블록을 결속하고 있다. 결속 밴드의 헤드는, 케이스의 오목부에 끼워맞춤되고, 스트랩의 헤드의 걸어맞춤 구멍으로부터 도출된 부분(도출부)이 케이스의 오목부로부터 케이스 외부로 도출되고 있다.
제2커넥터는, 결속 밴드를 케이스에 넣고, 결속 밴드의 헤드를 케이스의 오목부에 끼워맞춤시킨다. 그 후, 케이블의 제1단부를 케이스 내에 넣고,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케이블의 제1단부 및 블록에 감아서, 해당 스트랩을 헤드의 걸어맞춤 구멍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결속 밴드에 의해 케이블의 제1단부 및 블록을 결속한다.
JP 2002-118936 A JPS56-62683 A
제1커넥터는, 결속 밴드의 헤드가 케이스의 오목부에 끼워맞춤되고 있지만, 케이블의 제1단부가 케이스 내에서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인장시켜서, 케이스 내에서 해당 결속 밴드에 의해 케이블의 제1단부를 결속할 때, 케이블이 결속 밴드의 헤드 측으로 이동하여, 케이블과 그 케이블의 접속 대상의 접속 부위에 부하가 걸리는 일이 있었다.
한편, 제2커넥터는, 케이블을 케이스의 블록에 맞닿게 해두면, 케이스 내에서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인장시켜서 케이블의 제1단부를 결속할 때, 케이블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 내에서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케이블의 제1단부 및 블록에 감아서, 해당 스트랩을 헤드의 걸어맞춤 구멍에 걸어맞춤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케이블의 결속 작업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케이스 내에서 결속 밴드에 의해 케이블의 제1단부를 결속할 때, 케이블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결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는, 케이블과, 접속부와, 결속 밴드와, 제1, 제2케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블은, 길이 방향의 제1단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케이블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결속 밴드는, 걸어맞춤 구멍을 가지는 헤드와,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를 결속하고 또한 상기 헤드의 걸어맞춤 구멍에 걸어맞춤된 스트랩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제2케이스는, 서로 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 상기 접속부 및 상기 결속 밴드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제1케이스는 제1, 제2오목부와, 수용 구멍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오목부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방향으로 뻗고 있고 또한 상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상기 제2오목부는, 상기 제1오목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 측 및 다른 쪽 측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오목부의 상기 직교방향의 치수가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상기 제2오목부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 유지하고 있다. 상기 수용 구멍은, 상기 제1오목부의 상기 직교방향의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해당 제1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에 걸쳐서 관통하고 있다. 상기 수용 구멍에 상기 결속 밴드의 상기 헤드가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1오목부가 직교방향으로 뻗어 있다. 수용 구멍이 제1오목부의 직교방향의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의 제1단부를 임시 체결한 결속 밴드의 스트랩의 일부를 제1오목부에 부분적으로 수용시키고, 헤드를 수용 구멍에 수용시키면, 결속 시, 결속 밴드의 스트랩의 걸어맞춤 구멍으로부터 도출된 부분은 직교방향의 한쪽 측으로 인장되는 것으로 된다. 한편, 케이블의 제1단부는, 직교방향의 치수가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제2오목부에 수용 유지되어 있다. 즉, 케이블의 제1단부는 제2오목부에 직교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결속 밴드의 스트랩의 걸어맞춤 구멍으로부터 도출된 부분을 인장시켜, 제1, 제2케이스 내에 있어서, 해당 결속 밴드에서 케이블의 제1단부를 결속할 때, 케이블의 제1단부가 제1, 제2케이스 내에서 직교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과 접속부의 접속 부위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결속 밴드의 결속 작업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케이블의 제1단부를 제2오목부에,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제1오목부에, 결속 밴드의 헤드를 수용 구멍에 수용시키는 것만으로, 결속 밴드 케이블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결속 밴드 케이블에 대한 결속 위치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오목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를 상기 결속 밴드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 구멍의 내형(內形)을 상기 헤드의 외형(外形)보다도 약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의 걸어맞춤 구멍으로부터 도출된 부분을 잡아 당길 때, 스트랩이 제1오목부에 안내되는 동시에, 헤드가 수용 구멍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결속 밴드의 결속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게다가, 결속 밴드의 스트랩이 제1오목부에, 헤드가 수용 구멍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어 있으므로, 해당 결속 밴드에 결속된 케이블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오목부가 상기 제1오목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 측 및 다른 쪽 측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오목부가 상기 제2오목부 사이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상기 제1오목부가 상기 제2오목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결속 밴드에 결속된 케이블의 인장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는, 제1, 제2오목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케이스의 제1오목부는, 상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가 상기 결속 밴드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크다. 상기 제2케이스의 제2오목부는, 상기 제1오목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 측 및 다른 쪽 측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오목부의 상기 직교방향의 치수가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상기 제2오목부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태양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의 걸어맞춤 구멍으로부터 도출된 부분을 잡아 당길 때, 스트랩이 제1, 제2케이스의 제1오목부에 안내된다. 따라서, 결속 밴드의 결속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게다가, 결속 밴드의 스트랩이 제1, 제2케이스의 제1오목부에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고, 케이블의 제1단부가 제1, 제2케이스의 제2오목부에 직교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므로, 해당 결속 밴드에 결속된 케이블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의 수용 구멍은, 해당 제1케이스의 외부 측의 외측 개구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속 밴드의 상기 스트랩의 선단면은, 절단면이며 또한 상기 수용 구멍의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노출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헤드의 절단면이 수용 구멍의 벽면을 향하고 있을 경우, 수용 구멍의 외측 개구부로부터 도출된 스트랩을 절단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러나, 전술한 양상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헤드의 절단면이 수용 구멍의 외측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즉, 절단 전의 스트랩이 수용 구멍의 외측 개구부로부터 도출되어 있으므로, 해당 스트랩을 헤드 근방에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특히, 결속 밴드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 공구를 이용해서, 스트랩을 헤드 근방에서 절단하기 쉬워진다.
상기 케이블은 외측 절연체와, 상기 외측 절연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선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속부는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접속부는 상기 신호선을 사이에 유지하고 또한 해당 신호선에 접속된 상기 두 갈래 형태의 테일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만일, 케이블의 신호선과 접속부의 접속 부위에 부하가 걸려도, 해당 접속 부위의 접속이 해제되는 등의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밑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중의 2A-2A 단면도;
도 2b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중의 2B-2B 단면도;
도 2c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중의 2C-2C 단면도;
도 3a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b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밑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는 상기 커넥터의 케이블, 제1 내지 제3동체(body), 컨택트, 걸림부 및 결속 밴드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상기 커넥터의 케이블, 제1 내지 제3동체, 컨택트, 걸림부 및 결속 밴드의 배면, 밑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상기 커넥터의 케이블, 제1 내지 제3동체, 컨택트, 걸림부 및 결속 밴드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b는 상기 커넥터의 케이블, 제1 내지 제3동체, 컨택트, 걸림부 및 결속 밴드의 배면, 밑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는 상기 커넥터의 케이블, 제2 내지 제3동체, 컨택트, 걸림부 및 결속 밴드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2동체를 제3동체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상기 커넥터의 케이블, 제2 내지 제3동체, 컨택트, 걸림부 및 결속 밴드의 정면, 밑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2동체를 제3동체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도 1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는 케이블(100)과, 복수의 컨택트(200a)(접속부), (200b)와, 컨택트(200c)와, 1쌍의 걸림부(300)와, 제1, 제2, 제3동체(400a), (400b), (400c)와, 결속 밴드(500)와, 차폐 커버(600)와, 제1, 제2케이스(700a), (700b)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커넥터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b, 도 3a 내지 도 3b 및 도 5a 내지 도 5b에 나타낸 Y는 상기 커넥터 및 케이블(100)의 길이 방향이다. 도 2b 내지 도 2c, 도 3a 내지 도 3b 및 도 5a 내지 도 5b에 나타낸 X는 상기 커넥터의 폭방향 및 케이블(10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방향이다. 도 2a, 도 2b, 도 3a 내지 도 3b 및 도 5a 내지 도 5b에 나타낸 Z는 상기 커넥터의 높이 방향이다. X방향은 Y방향과 직교하고, Z방향은 X방향 및 Y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케이블(100)은,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내지 도 3b 및 도 5a 내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선(110)과, 도시하지 않은 차폐 도체와, 외측 절연체(120)를 가지고 있다. 신호선(110)은 심선(芯線)과, 상기 심선을 덮는 절연체를 가지고 있다. 차폐 도체는 모든 신호선(110)을 덮는 통 형상이다. 외측 절연체(120)는 차폐 도체를 덮는 통 형상이다. 즉, 신호선(110)은 차폐 도체 및 외측 절연체(12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100)의 길이 방향의 제1단부(101)에 있어서, 신호선(110)의 길이 방향의 제1단부가 차폐 도체 및 외측 절연체(120)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도 2c에 있어서,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의 내부 구조가 도시 생략되어 있다.
결속 밴드(500)는,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내지 내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510)와 스트랩(520)을 가지고 있다. 헤드(510)에는 해당 헤드(510)를 관통한 걸어맞춤 구멍(511)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랩(520)은 기단부가 헤드(510)에 연접(連接)되어 있다. 스트랩(520)은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에 감겨서, 걸어맞춤 구멍(511)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결속 밴드(500)가,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 내의 신호선(110)을 결속하고 있다. 스트랩(520)은 걸어맞춤 구멍(511)으로부터 도출된 부분이 절단되어 있다. 즉, 스트랩(520)의 선단면이 절단면(521)으로 되어 있다.
제3동체(400c)는, 도 4a 내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수지제의 블록이다. 제3동체(400c)의 전단부(Y방향의 일단부)의 하부에는, 복수의 위치 결정 오목부(410c)가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동체(400c)의 후단면(Y방향의 타단면)에는, 복수의 위치 결정 구멍(420c)이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420c)은, 뒤쪽(Y방향의 다른 쪽 측)에 개구되어, Y방향으로 뻗고 또한 위치 결정 오목부(420c)에 연통하고 있다. 이 위치 결정 오목부(410c) 및 위치 결정 구멍(420c)에 케이블(100)의 신호선(110)의 제1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어 있다.
제3동체(400c)의 앞부분의 상부에는, 부착 오목부(430c)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 오목부(430c)의 X방향 측의 가장자리부에는, 걸어맞춤 오목부(431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3동체(400c)에는, 제1슬릿(440c)이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슬릿(440c)은, 제3동체(400c)의 뒷부분에서부터 부착 오목부(430c)의 밑면에 걸쳐서 Y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부착 오목부(430c)의 밑면에는, 제1슬릿(440c)과 부착 오목부(430c)의 상기 가장자리부 사이 및 이웃하는 제1슬릿(440c) 사이에 제2슬릿(450c)이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제2슬릿(450c)은 X방향으로 뻗어 있고 또한 위치 결정 구멍(420c)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제2동체(400b)는 절연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동체(400b)에는, 도 4a 내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택트가 (200a), (200a), (200b), (200a), (200a), (200b), (200a), (200a), (200b), (200a), (200a), (200c)의 순으로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립되어 있다. 제2동체(400b)는 부착부(410b)와 1쌍의 맞닿음판(420b)과 1쌍의 걸림편(430b)과 끼워맞춤부(440b)를 가지고 있다.
부착부(410b)는 제2동체(400b)의 후단부(Y방향의 타단부)에 설치된 대략 직사각 형상의 블록이다. 부착부(410b)가 부착 오목부(430c)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부착부(410b)의 X방향의 양단부에는 걸어맞춤편(41l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편(41lb)이 제3동체(400c)의 걸어맞춤오목부(431c)에 각각 걸어맞춤되어 있다.
맞닿음판(420b)은, 부착부(410b)의 앞면의 X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Z방향으로 뻗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이다. 맞닿음판(420b)의 앞면(Y방향의 일단면)에는 돌기(42l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410b)의 앞면의 중간부에는 끼워맞춤부(440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410b)의 하부면의 중앙부에는 1쌍의 걸림편(430b)이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걸림편(430b)은 앞쪽(Y방향의 한쪽 측)으로 뻗어 있다.
컨택트(200a)는, 도 2a, 도 2b 및 도 4a 내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L자 형상의 금속판이다. 각 컨택트(200a)는 접점부(210a)와 테일부(220a)와 중간부(230a)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230a)는, 접점부(210a)와 테일부(220a) 사이에 위치하는 판으로서, 제2동체(400b)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부(230a)의 전단부(Y방향의 일단부)는 제2동체(400b)의 전면(前面)(Y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앞쪽(Y방향의 한쪽 측)으로 돌출하고, 중간부(230a)의 후단부(Y방향의 타단부)는 제2동체(400b)의 부착부(410b)의 후면(Y방향의 타단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접점부(210a)는 중간부(230a)의 전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위쪽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판이다. 테일부(220a)는 중간부(230a)의 후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중간부(230a)에 대해서 직각으로 꺾여 구부러져 있다. 테일부(220a)는 두 갈래 형태로 되어 있다. 테일부(220a)는 제3동체(400c)의 대응하는 제2슬릿(450c)에 삽입되어 있다. 이 삽입 상태에서, 테일부(220a) 사이에 케이블(100)의 신호선(110)의 제1단부가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일부(220a)가 신호선(110)의 제1단부의 절연체를 돌파하여, 해당 신호선(110)의 심선을 사이에 유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컨택트(200a)가 신호선(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컨택트(200b)는, 도 2b 및 도 4a 내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택트 본체(210b)와 차폐판(220b)을 가지고 있다. 컨택트 본체(210b)는 금속판이다. 컨택트 본체(210b)는 접점부(211b)와 테일부(212b)와 중간부(213b)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213b)는, 접점부(211b)와 테일부(212b) 사이에 위치하는 판으로서, 제2동체(400b)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부(213b)의 전단부(Y방향의 일단부)는 제2동체(400b)의 전면(Y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앞쪽(Y방향의 한쪽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접점부(211b)는 중간부(213b)의 전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위쪽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판이다. 테일부(212b)는 중간부(230a)의 후단부에 연접된 판이다. 차폐판(220b)은 금속판이다. 차폐판(220b)은 컨택트 본체(210b)의 테일부(212b)에 부착되어 있다. 테일부(212b) 및 차폐판(220b)의 전단부(Y방향의 일단부)가 제2동체(400b)의 부착부(410b) 내에 매립되어 있다. 즉, 차폐판(220b)의 전단부 이외의 부분(이하, 돌출부)이, 부착부(410b)의 후면의 컨택트(200a)가 이웃하는 테일부(220a) 사이에서 뒤쪽(Y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각각 돌출하고 있다. 차폐판(220b)의 돌출부는 제3동체(400c)의 대응하는 제1슬릿(440c)에 삽입되어 있다.
컨택트(200c)는, 도 2b 및 도 4a 내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이다. 컨택트(200c)는 접점부(210c)와 테일부(220c)와 중간부(230c)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230c)는, 접점부(210c)와 테일부(220c) 사이에 위치하는 판으로서, 제2동체(400b)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부(230c)의 전단부(Y방향의 일단부)는 제2동체(400b)의 전면(Y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앞쪽(Y방향의 한쪽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접점부(210c)는 중간부(230c)의 전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위쪽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판이다. 테일부(220c)는, 중간부(230c)의 후단부에 연접된 판으로서, 제2동체(400b)의 부착부(410b) 내에 매립되어 있다.
제1동체(400a)는 절연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동체(400a)는, 도 4a 내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410a)와 블록(420a)과 1쌍의 플랜지(430a)와 1쌍의 걸림편(440a)과 1쌍의 슬릿(450a)을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410a)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으로서, 전단부(Y방향의 일단부)의 상부에 오목부(413a)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410a)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수용 홈(411a)이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411a)은 오목부(413a)에 연통하고 있다. 플레이트(410a) 내의 수용 홈(411a)의 뒤쪽(Y방향의 타단 측) 부분에는 해당 수용 홈(411a)에 연통하는 직사각 형상의 끼워맞춤구멍(412a)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구멍(412a)으로부터 수용 홈(411a)에 컨택트(200a), (200b), (200c)의 접점부(210a), (211c), (210c)가 삽입되고 또한 해당 수용 홈(411a)으로부터 위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끼워맞춤구멍(412a)에는 제2동체(400b)의 끼워맞춤부(440b)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블록(420a)은 플레이트(410a)의 후단부(Y방향의 타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대략 U자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420a)의 양쪽 상단부(Z방향의 일단부) 사이에 플레이트(410a)의 후단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블록(420a)의 하단부(Z방향의 타단부)에는 직사각 형상의 오목부(421a)가 형성되어 있다. 블록(420a)의 후면(Y방향의 타단면)의 X방향의 양단부에는, 플랜지(430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430a)는 블록(420a)의 X방향의 양단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직사각 형상의 블록이다. 플랜지(430a)의 뒷면(Y방향의 타단면)에는, 구멍(4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431a)에 제2동체(400b)의 맞닿음판(420b)의 돌기(42lb)가 끼워맞춤되고, 맞닿음판(420b)이 플랜지(430a)에 맞닿아 있다. 블록(420a)의 후면의 중앙부에는 걸림편(440a)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440a)은, 뒤쪽(Y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뻗어 있고, 제2동체(400b)의 걸림편(430b)에 걸려 있다.
플레이트(410a) 및 블록(420a)의 X방향의 양단부에는 1쌍의 슬릿(450a)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300)는, 도 5a 내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의 금속판으로서, 슬릿(450a)에 삽입되어, 고착되어 있다. 걸림부(300)는 제1, 제2아암(arm)(310), (320)을 가지고 있다. 제1아암(310)의 길이 치수는 제2아암(320)의 길이 치수보다도 길다. 제1아암(310)의 선단부에는 클릭부(311)가 설치되어 있다. 제1아암(310)의 기단부에는 볼록부(312)가 설치되어 있다. 클릭부(311) 및 볼록부(312)는 슬릿(450a)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차폐 커버(600)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폐 커버(600)는,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610)과 커버(620)를 가지고 있다. 통(610)의 내형은 제1동체(400a)의 플레이트(410a)의 외형에 대응한 대략 각진 통 형상이다. 통(610) 내에 플레이트(410a)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커버(620)는, 통(610)에 연접된 대략 U자 형상의 판으로서, 제1동체(400a)의 플랜지(430a), 걸림편(440a), 제2동체(400b), 제3동체(400c) 및 신호선(110)의 제1단부를 덮고 있다.
제1, 제2케이스(700a), (700b)는 서로 조합된 절연 수지제의 케이스이다. 제1케이스(700a)는,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710a)와 수용부(720a)와 개구부(730a)와 제1오목부(740a)와 2개의 제2오목부(750a)와 수용 구멍(760a)과 제3오목부(770a)를 가지고 있다. 제2케이스(700b)는,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수용부(710b)와 제2수용부(720b)와 개구부(730b)와 제1오목부(740b)와 2개의 제2오목부(750b)와 제3오목부(760b)와 버튼(770b)을 가지고 있다.
수용 오목부(710a)는 제1케이스(700a)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수용부(710b)는 제2케이스(700b)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710a) 및 제1수용부(710b)는, 서로 연통하여, 제1수용 공간을 구획한다. 이 제1수용 공간에 차폐 커버(600)의 커버(620), 제1동체(400a)의 플랜지(430a), 걸림편(440a), 제2동체(400b), 제3동체(400c), 컨택트(200a), (200b), (200c)의 후단부 및 신호선(110)의 제1단부가 수용되어 있다.
수용부(720a)는, 제1케이스(700a)의 수용 오목부(710a)의 앞쪽(Y방향의 한쪽 측)에 설치되어, 해당 수용 오목부(710a)에 연통하는 공간이다. 개구부(730a)는 제1케이스(700a)의 수용부(720a)의 앞쪽(Y방향의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730a)는, 앞쪽(Y방향의 한쪽 측)이 제1케이스(700a)의 외부에 개방되고, 뒤쪽이 해당 수용부(720a)에 연통하고 있다. 제2수용부(720b)는, 제2케이스(700b)의 제1수용부(710b)의 앞쪽(Y방향의 한쪽 측)에 설치되어, 해당 제1수용부(710b)에 연통하는 공간이다. 개구부(730b)는, 앞쪽(Y방향의 한쪽 측)이 제2케이스(700b)의 외부에 개방되고, 뒤쪽이 해당 제2수용부(720b)에 연통하고 있다. 수용부(720a), 제2수용부(720b) 및 개구부(730a), (730b)는, 서로 연통하여, 제2수용 공간을 구획한다. 이 제2수용 공간에 차폐 커버(600)의 통(610)의 후단부, 제1동체(400a)의 플레이트(410a)의 후단부, 컨택트(200a), (200b), (200c)의 중간부가 수용되어 있다. 개구부(730a), (730b)로부터 차폐 커버(600)의 통(610)의 후단부 이외의 부분, 제1동체(400a)의 플레이트(410a)의 후단부 이외의 부분, 컨택트(200a), (200b), (200c)의 선단부가 제1, 제2케이스(700a), (700b) 밖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3오목부(770a)는, 제1케이스(700a)의 수용 오목부(710a)의 뒤쪽(Y방향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되어, 해당 수용 오목부(710a)에 연통하고 있다. 제3오목부(760b)는, 제2케이스(700b)의 제1수용부(710b)의 뒤쪽(Y방향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되어, 해당 제1수용부(710b)에 연통하고 있다. 제3오목부(770a), (760a)는, 서로 연통하여, 케이블 수용 공간을 구획한다. 이 케이블 수용 공간에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가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제1오목부(740a)는 제1케이스(700a)의 제3오목부(770a)의 뒤쪽(Y방향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오목부(740b)는 제2케이스(700b)의 제3오목부(760b)의 뒤쪽(Y방향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오목부(740a), (740b)는 X방향(직교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오목부(740a), (740b)의 Y방향의 치수는 결속 밴드(500)의 스트랩(520)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크다. 제1오목부(740a), (740b)에 결속 밴드(500)의 스트랩(520)이 삽입되어, Y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어 있다.
제2오목부(750a) 중 한쪽의 제2오목부(750a)는, 제1케이스(700a)의 제1오목부(740a)의 Y방향의 한쪽 측에 형성되고 또한 제1오목부(740a) 및 제3오목부(770a)에 연통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2오목부(750a)는 제1케이스(700a)의 제1오목부(740a)의 Y방향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되고 또한 제1오목부(740a)에 연통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2오목부(750a)는, 뒤쪽(Y방향의 다른 쪽 측)이 제1케이스(700a)의 외부에 개방되어 있다. 제2오목부(750b) 중 한쪽의 제2오목부(750b)는, 제2케이스(700b)의 제1오목부(740b)의 Y방향의 한쪽 측에 형성되고 또한 제1오목부(740b) 및 제3오목부(760b)에 연통하고 있다. 다른 쪽의 제2오목부(750b)는 제2케이스(700b)의 제1오목부(740b)의 Y방향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되고 또한 제1오목부(740b)에 연통하고 있다. 다른 쪽의 제2오목부(750b)는, 뒤쪽(Y방향의 다른 쪽 측)이 제2케이스(700b)의 외부에 개방되어 있다. 제2오목부(750a), (750b)는 원호 형상의 오목부이다. 제2오목부(750a), (750b)의 X방향의 치수는 케이블(100)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제2오목부(750a), (750b)에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가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해당 케이블(100)의 반경방향(X방향 및 Z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어 있다.
수용 구멍(760a)은, 제1케이스(700a)의 제1오목부(740a)의 X방향(직교방향)의 한쪽 측에 형성되고 또한 제1오목부(740a)에 연통하고 있다. 수용 구멍(760a)은, 제1케이스(700a)의 내부에서부터 외부에 걸쳐서 관통된 관통 구멍으로서, 외측 개구부(761a)와, 내측 개구부(762a)를 가지고 있다. 수용 구멍(760a)의 내형은 결속 밴드(500)의 헤드(510)의 외형보다도 약간 크다. 수용 구멍(760a)에 결속 밴드(500)의 헤드(510)가 수용되어, X방향 및 Y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어 있다. 이 수용 상태에서, 헤드(510)의 걸어맞춤 구멍(511)은, 그 길이 방향이 수용 구멍(760a)의 관통 방향을 대략 따르도록 배치되고, 스트랩(520)의 절단면(521)이 수용 구멍(760a)의 외측 개구부(761a)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절단면(521)은 헤드(510)의 근방에 위치한다. 헤드(510) 및 절단면(521)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구멍(760a)으로부터 제1케이스(700a)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고 있다.
버튼(770b)은 제1수용부(710b) 및 제2수용부(720b)의 밑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 버튼(770b)의 선단부에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300)의 제1아암(310)의 볼록부(312) 상에 배치된 볼록 형상의 누름부(771b)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770b)이 눌림으로써, 누름부(771b)가 볼록부(312)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제1아암(310)을 눌러 내려, 제1아암(310)의 클릭부(311)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전술한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컨택트(200a), 컨택트(200b) 및 컨택트(200c)를 준비한다. 컨택트(200b)에는 컨택트 본체(210b)의 테일부(213b)에 차폐판(220b)이 고착되어 있다. 그 후, 도시하지 않은 금형 내에 상기 컨택트를, (200a), (200a), (200b), (200a), (200a), (200b), (200a), (200a), (200b), (200a), (200a), (200c)의 순으로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그 후, 상기 금형 내에 절연 수지를 사출하고, 해당 절연 수지에 컨택트(200a)의 중간부(230a), 컨택트(200b)의 컨택트 본체(210b)의 중간부(213b)와, 테일부(213b) 및 차폐판(220b)의 전단부와, 컨택트(200c)의 중간부(230c) 및 테일부(220c)를 삽입 성형한다. 경화된 절연 수지가 제2동체(400b)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2동체(400b)에 상기 컨택트가 전술한 배열순으로 매립된다.
한편, 케이블(100) 및 제3동체(400c)를 준비한다. 케이블(100)은, 제1단부(101)의 외측 절연체(120) 및 차폐 도체가 커트되어, 신호선(110)이 돌출되어 있다. 그 후, 제3동체(400c)의 위치 결정 구멍(420c) 및 위치 결정 오목부(410c)에 신호선(110)을 각각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신호선(110)이 제3동체(400c)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
그 후, 제2동체(400b)의 부착부(410b)를 제3동체(400c)의 부착 오목부(430c)에 끼워맞춤시킨다. 이 때, 부착부(410b)의 걸어맞춤편(41lb)이 제3동체(400c)의 걸어맞춤오목부(431c)에 각각 걸어맞춤된다. 이것과 함께, 컨택트(200a)의 테일부(220a)가, 제3동체(400c)의 제2슬릿(450c)에 각각 삽입되고, 테일부(220a)가 신호선(110)의 절연체를 돌파하여, 심선을 사이에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컨택트(200a)와 케이블(100)의 신호선(11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컨택트(200b)의 차폐판(220b)의 상기 돌출부가 제3동체(400c)의 제1슬릿(440c)에 각각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차폐판(220b)이, 도 2b,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컨택트(200a)의 테일부(220a)와 신호선(110) 사이에 배치된다.
그 후, 제1동체(400a) 및 걸림부(300)를 준비한다. 그 후, 걸림부(300)를 제1동체(400a)의 슬릿(450a)에 각각 삽입하고, 고착시킨다. 그러면, 걸림부(300)의 클릭부(311) 및 볼록부(312)가 슬릿(450a)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그 후, 제1동체(400a)의 끼워맞춤구멍(412a)으로부터 수용 홈(411a)에, 컨택트(200a), (200b), (200c)의 접점부(210a), (21lb), (210c)를 삽입한다. 이것과 함께, 제1동체(400a)의 끼워맞춤구멍(412a)에, 제2동체(400b)의 끼워맞춤부(440b)를 끼워맞춤시킨다. 그러면, 제2동체(400b)의 맞닿음판(420b)의 돌기(42lb)가 플랜지(430a)의 구멍(431a)에 끼워맞춤되고, 맞닿음판(420b)이 플랜지(430a)에 맞닿는다. 이것과 함께, 제1동체(400a)의 걸림편(440a)이 제2동체(400b)의 걸림편(430b)에 걸린다.
그 후, 차폐 커버(600)를 준비한다. 그 후, 제1동체(400a)의 플레이트(410a)를 차폐 커버(600)의 통(610)에 삽입한다. 그러면, 차폐 커버(600)의 커버(620)가 제1동체(400a)의 플랜지(430a), 걸림편(440a), 제2동체(400b), 제3동체(400c) 및 신호선(110)의 제1단부를 덮는다.
그 후, 결속 밴드를 준비한다. 이 결속 밴드는, 스트랩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만 결속 밴드(500)와 상이하다. 그 후, 상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에 감아서, 해당 결속 밴드의 헤드의 걸어맞춤 구멍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이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를 임시 체결시킨다.
그 후, 제1케이스(700a)를 준비한다. 그 후, 제1케이스(700a)의 수용 오목부(710a)에, 차폐 커버(600)의 커버(620), 제1동체(400a)의 플랜지(430a), 걸림편(440a), 제2동체(400b), 제3동체(400c), 컨택트(200a), (200b), (200c)의 후단부 및 신호선(110)의 제1단부를 삽입한다. 이것과 함께, 제1케이스(700a)의 수용부(720a) 및 개구부(730a)에, 차폐 커버(600)의 통(610)의 후단부, 제1동체(400a)의 플레이트(410a)의 후단부, 컨택트(200a), (200b), (200c)의 중간부를 삽입한다. 개구부(730a)로부터 차폐 커버(600)의 통(610)의 후단부 이외의 부분, 제1동체(400a)의 플레이트(410a)의 후단부 이외의 부분, 컨택트(200a), (200b), (200c)의 선단부가 돌출된다.
이 때, 제1케이스(700a)의 수용 구멍(760a)에, 상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의 걸어맞춤 구멍으로부터 도출된 부분(이하, 도출부)을 삽입하고, 해당 결속 밴드의 헤드를 수용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헤드가 수용 구멍(760a)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고, 상기 스트랩의 도출부가 수용 구멍(760a)으로부터 제1케이스(700a)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것과 함께, 제1케이스(700a)의 제1오목부(740a)에 상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부분적으로 삽입하고, 제1케이스(700a)의 제2오목부(750a) 및 제3오목부(770a)에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를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스트랩이 제1오목부(740a)에 Y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고,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가 제2오목부(750a)에 X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
그 후, 제2케이스(700b)를 준비한다. 그 후, 제2케이스(700b)를 제1케이스(700a)에 조합시킨다. 그러면, 제2케이스(700b)의 제1수용부(710b)에 차폐 커버(600)의 커버(620), 제1동체(400a)의 플랜지(430a), 걸림편(440a), 제2동체(400b), 제3동체(400c), 컨택트(200a), (200b), (200c)의 후단부 및 신호선(110)의 제1단부가 삽입된다. 제2케이스(700b)의 제2수용부(720b) 및 개구부(730b)에, 차폐 커버(600)의 통(610)의 후단부, 제1동체(400a)의 플레이트(410a)의 후단부, 컨택트(200a), (200b), (200c)의 중간부가 삽입된다. 개구부(730b)로부터 차폐 커버(600)의 통(610)의 후단부 이외의 부분, 제1동체(400a)의 플레이트(410a)의 후단부 이외의 부분, 컨택트(200a), (200b), (200c)의 선단부가 돌출된다. 제2케이스(700b)의 제1오목부(740b)에 상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이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제2케이스(700b)의 제2오목부(750b) 및 제3오목부(760b)에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가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상기 스트랩이 제1오목부(740b)에 Y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고,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가 제2오목부(750b)에 X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
그 후, 상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의 도출부를 결속 밴드용 결속 공구(예를 들어, 헤라마운트타이톤사 제품인 타이메이트(등록상표))를 이용해서 인장시켜서 더욱 체결하여, 절단한다. 이 때, 상기 스트랩이 제1오목부(740a), (740b)에 의해 Y방향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는 한편, X방향의 한쪽 측에 대한 이동이 허용된다(즉, X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스트랩의 도출부가 절단된 상기 결속 밴드가 결속 밴드(500)로 된다. 결속 밴드(500)의 스트랩(520)의 절단된 면이 절단면(521)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1, 제2케이스(700a), (700b) 내에서, 결속 밴드(500)에 의해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 내의 신호선(110)이 결속된다. 또, 결속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의 도출부를 작업자가 X방향의 한쪽 측으로 잡아당기고, 해당 결속 밴드에 의해,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 내의 신호선(110)을 결속한 후에, 가위 등의 공구를 이용해서 상기 도출부를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에 의한 경우, 결속 밴드(500)는, 결속 시, 제1, 제2케이스(700a), (700b)의 제1오목부(740a), (740b)에 안내되어, X방향으로 인장된다. 한편,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가 제1, 제2케이스(700a), (700b)의 제2오목부(750a), (750b)에 반경방향(X방향을 포함함)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케이스(700a), (700b) 내에서 결속 밴드(500)에 의해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를 결속할 때,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가 제1, 제2케이스(700a), (700b) 내에서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100)의 신호선(110)과 컨택트(200a)의 접속 부위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결속 밴드의 결속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케이블(100)의 신호선(110)은, 컨택트(200a)의 두 갈래 형태의 테일부(220a) 사이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만일, 케이블(100)의 신호선(110)과 컨택트(200a)의 접속 부위에 부하가 걸려도, 해당 접속 부위의 접속이 해제되는 등의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스트랩(520)의 절단면(521)이 수용 구멍(760a)의 외측 개구부(761a)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즉, 절단 전의 스트랩이 수용 구멍(760a)의 외측 개구부(761a)로부터 도출되어 있으므로, 해당 스트랩을 헤드(510) 근방에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특히, 결속 밴드(500)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 공구를 이용해서, 스트랩을 헤드 근방에서 절단하기 쉬워진다.
또, 제1오목부(740a) 및 수용 구멍(760a)이 제2오목부(750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1오목부(740a)에 결속 밴드(500)의 스트랩(520)이 Y방향에 있어서 위치 규제되고, 수용 구멍(760a)에 결속 밴드(500)의 헤드(510)가 X방향 및 Y방향에 있어서 위치 규제되어 있다. 제2오목부(750a), (750b)에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가 반경방향에 있어서 위치 규제된다. 따라서, 케이블(100)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100)의 제1단부(101)를 제2오목부(750a), (750b)에, 결속 밴드(500)의 스트랩(520)을 제1오목부(740a), (740b)에, 결속 밴드(500)의 헤드(510)를 수용 구멍(760a)에 수용시키는 것만으로, 결속 밴드(500)의 케이블(100)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결속 밴드(500)의 케이블(100)에 대한 결속 위치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커넥터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케이스(700a)가 수용 오목부(710a)와 수용부(720a)와 개구부(730a)와 제1오목부(740a)와 2개의 제2오목부(750a)와 수용 구멍(760a)과 제3오목부(770a)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케이스는 제2케이스와 조합되어, 케이블의 제1단부, 컨택트 및 결속 밴드를 수용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제1, 제2오목부 및 수용 구멍을 가지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오목부(740a)가 Y방향의 치수가 결속 밴드(500)의 스트랩(520)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큰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오목부는 결속 밴드의 스트랩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오목부(750a)가 제1오목부(740a)의 Y방향의 한쪽 측 및 다른 쪽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2오목부(750a)는 제1오목부(740a)의 Y방향의 한쪽 측 및 다른 쪽 측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용 구멍(760a)은, 제1케이스(700a)의 제1오목부(740a)의 X방향의 한쪽 측에 설치되어, 제1케이스(700a)의 내부에서부터 외부에 걸쳐서 관통된 관통 구멍으로서, 수용 구멍(760a)의 내형이 결속 밴드(500)의 헤드(510)의 외형보다도 약간 큰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수용 구멍은, 제1오목부의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한쪽 측에 해당 제1오목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해당 제1케이스의 내부에서부터 외부에 걸쳐서 관통한 구멍으로서, 결속 밴드의 헤드가 수용가능한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케이스(700b)는 제1오목부(740b) 및 제2오목부(750b)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2케이스는, 제1케이스와 조합되어, 케이블의 제1단부, 컨택트 및 결속 밴드를 수용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오목부(740b), 제2오목부(750b), 제3오목부(760b) 및/또는 버튼(770b)은 생략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케이블(100)은 복수의 신호선(110)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케이블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블은 복수 종류의 신호선을 가지는 복합 케이블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은 단선 케이블로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신호선(110)에 접속된 컨택트(200a)가 특허청구범위의 접속부에 상당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접속부는 케이블과 접속되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속부는 케이블 또는 케이블의 신호선에 접속되는 기판이나 동체에 형성된 도전 라인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기판 및 도전 라인이 컨택트에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컨택트(200a)의 두 갈래 형태의 테일부(220a)가 신호선(110)을 사이에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컨택트의 테일부를 땜납 접속 등에 의해, 케이블 또는 케이블의 신호선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넥터가 제1, 제2, 제3동체(400a), (400b), (400c)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커넥터는 컨택트 등의 접속부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체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차폐 커버(600) 및/또는 걸림부(300)는 생략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넥터의 각 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 마찬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케이블
101: 제1단부
110: 신호선
120: 외측 절연체
200a: 컨택트(접속부)
210a: 접점부
220a: 테일부
230a: 중간부
200b: 컨택트
210b: 컨택트 본체
211b: 접점부
212b: 테일부
213b: 중간부
220b: 차폐판
200c: 컨택트
210c: 접점부
220c: 테일부
230c: 중간부
300: 걸림부
400a: 제1동체
400b: 제2동체
400c: 제3동체
500: 결속 밴드
510: 헤드
511: 걸어맞춤 구멍
600: 차폐 커버
700a: 제1케이스
710a: 수용 오목부
720a: 수용부
730a: 개구부
740a: 제1오목부
750a: 제2오목부
760a: 수용 구멍
770a: 제3오목부
700b: 제2케이스
710b: 제1수용부
720b: 제2수용부
730b: 개구부
740b: 제1오목부
750b: 제2오목부
760b: 제3오목부
770b: 버튼

Claims (6)

  1. 길이 방향의 제1단부를 가지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에 접속된 접속부;
    걸어맞춤 구멍을 가지는 헤드와,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를 결속하고 또한 상기 헤드의 걸어맞춤 구멍에 걸어맞춤된 스트랩(strap)을 가지는 결속 밴드; 및
    서로 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 상기 접속부 및 상기 결속 밴드를 수용하는 제1, 제2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방향으로 뻗고 있고 또한 상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부분적으로 수용한 제1오목부와,
    상기 제1오목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 측 및 다른 쪽 측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교방향의 치수가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고 또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 유지한 제2오목부와,
    상기 제1오목부의 상기 직교방향의 한쪽 측에 해당 제1오목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해당 제1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에 걸쳐서 관통한 수용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용 구멍에 상기 결속 밴드의 상기 헤드가 수용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목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가 상기 결속 밴드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크고,
    상기 수용 구멍의 내형(內形)이 상기 헤드의 외형(外形)보다도 약간 큰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목부가 상기 제1오목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 측 및 다른 쪽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오목부가 상기 제2오목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결속 밴드의 스트랩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가 상기 결속 밴드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큰 제1오목부와,
    상기 제2케이스의 상기 제1오목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 측 및 다른 쪽 측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교방향의 치수가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고 또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유지한 제2오목부를 가지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의 수용 구멍은 해당 제1케이스의 외부 측의 외측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결속 밴드의 상기 스트랩의 선단면은 절단면이고 또한 상기 수용 구멍의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외측 절연체와,
    상기 외측 절연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선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접속부는 복수이며, 해당 접속부는, 상기 신호선을 사이에 유지하고 또한 해당 신호선에 접속된 상기 두 갈래 형태의 테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인 커넥터.
KR1020130066971A 2012-09-14 2013-06-12 커넥터 KR201400357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03194A JP2014059985A (ja) 2012-09-14 2012-09-14 コネクタ
JPJP-P-2012-203194 2012-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797A true KR20140035797A (ko) 2014-03-24

Family

ID=4923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971A KR20140035797A (ko) 2012-09-14 2013-06-12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80351A1 (ko)
EP (1) EP2709215A1 (ko)
JP (1) JP2014059985A (ko)
KR (1) KR20140035797A (ko)
CN (1) CN103682804A (ko)
TW (1) TW2014141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7375B2 (ja) * 2016-02-19 2019-10-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構造
US10096930B2 (en) * 2016-02-24 2018-10-09 Hosiden Corporation Connector
EP3376606B1 (en) * 2017-03-17 2021-05-05 Aptiv Technologies Limited Cable harness plug
JP6792801B2 (ja) * 2017-07-04 2020-12-02 住友電装株式会社 細長部材の保持構造
JP7322599B2 (ja) * 2019-08-28 2023-08-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140733B2 (ja) * 2019-09-26 2022-09-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956A (en) * 1978-08-07 1982-05-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insertion force dual beam pin terminal and connector
JPS5662683U (ko) 1979-10-22 1981-05-27
US4842549A (en) * 1987-04-16 1989-06-27 Amp Incorporated Dual diameter cable strain relief
US5211706A (en) * 1992-06-09 1993-05-18 Molex Incorporated Strain relief shel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210178B1 (en) * 1999-04-16 2001-04-03 Pen Cabling Technologies Llc Extender card
JP2002118936A (ja) 2000-10-06 2002-04-19 Hirokimi Kawai 太さが変動的な物を定位置へ結束固定する方法と使用部品。
JP4146473B2 (ja) * 2006-02-23 2008-09-10 株式会社東芝 ケーブル結束装置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82804A (zh) 2014-03-26
US20140080351A1 (en) 2014-03-20
TW201414100A (zh) 2014-04-01
JP2014059985A (ja) 2014-04-03
EP2709215A1 (en)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5797A (ko) 커넥터
JP6132868B2 (ja) コネクタ
JP5798360B2 (ja) 電線挿通部の結束バンド組付構造
DE102009010733A1 (de) Elektrisches Verteilergehäuse für Kraftfahrzeuge
MX2015000529A (es) Conector de cables.
US9385469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WO2017099148A1 (ja) コネクタ用ワイヤカバー
KR20140034296A (ko) 방수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6226203B2 (ja) コネクタ、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コンタクト、ハウジング、電線付ハウジングおよび電線付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WO2017038414A1 (ja) シールド導電路
KR20210102087A (ko) 동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19088153A (ja) プロテクタおよび配索構造
JP2013021828A (ja) 結束バンドの取付構造
JP2010165486A (ja) 電線接続ユニット
JP2016091677A (ja) コネクタ
JP6132711B2 (ja) 挿通用治具及び挿通方法
JP5769024B2 (ja) 電線固定部材
JP2015204135A (ja) コネクタ付ワイヤハーネスの防水構造
JP2014199071A (ja) 自動変速機用保持プレー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配線ユニット
US10186800B2 (en) Wiring cover, and connector having wiring cover
US20100178785A1 (en) Wire connection unit
JP5908301B2 (ja) モジュラプラグ構造
JP2013153568A (ja) ジョイント部材のワイヤハーネス固定構造
JP2014194890A (ja) プロテクタ付き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3251115A (ja) 電線保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