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296A - 방수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296A
KR20140034296A KR1020147002663A KR20147002663A KR20140034296A KR 20140034296 A KR20140034296 A KR 20140034296A KR 1020147002663 A KR1020147002663 A KR 1020147002663A KR 20147002663 A KR20147002663 A KR 20147002663A KR 20140034296 A KR20140034296 A KR 20140034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lat cable
waterproof
terminal
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시 진노
코이치 오야마
카즈노리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4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는 도체배선이 절연막으로 피복되는 절연 시드부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도체배선에 접속되는 단자, 및 단자를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에 접속하기 위해 상대 단자에 감합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은 플랫 케이블의 연장방향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도체배선과 단자 간의 접속부를 덮는 성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WATERPROOF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 및 그 방수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좁은 공간에 배선을 하기 위해, 가요성을 가진 평판형 플랫 케이블이 사용된다. 이 플랫 케이블의 경우,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에 접속되는 단자는 플랫 케이블의 도체배선이 노출된 부분에 접속된다. 이러한 도체배선과 단자 간의 접속부는 방수 처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방수 성능을 가진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특허문헌1에 개시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에는 커넥터 하우징과 플랫 케이블 사이에 방수 플러그가 배치된다.
JP-A-2008-171597
그러나, 특허문헌1에 개시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에 방수 플러그를 장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착 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문제를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방수 성능을 달성할 수 있으면서 장착 작업이 용이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와 그 방수 커넥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방수 커넥터는: 도체배선이 절연막으로 피복되는 절연 시드부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상기 도체배선에 접속되는 단자; 및 상기 단자를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에 접속하기 위해 상대 단자에 감합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연장방향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도체배선과 상기 단자 간의 접속부를 덮는 성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성형부는: 상기 접속부를 덮는 방수 성형부; 및 상기 플랫 케이블을 덮도록 상기 방수 성형부와 상기 플랫 케이블 사이에 배치되는 홀딩 성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 시드부는 커팅부 쌍 또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커팅부 쌍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 덮이고, 상기 절연 시드부의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절연 시드부의 측단부에 소재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 덮이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감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합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후드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감합부는 상대 커넥터에 대해 감합 상태를 유지하는 감합 잠금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방수 커넥터 제조 방법은:
도체 배선이 절연막으로 피복되는 절연 시드부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단자가 상기 도체배선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 그리고 상기 도체배선과 단자 간의 접속부 양쪽 모두와 함께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단자를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은 플랫 케이블의 연장 방향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도체배선과 단자 간의 접속부를 덮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과 플랫 케이블 사이에 방수 플러그를 장착하지 않고 방수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수 성능을 달성하는 한편,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경우, 성형부는 접속부를 덮는 방수 성형부와, 플랫 케이블을 덮기 위해 방수 성형부 보다 플랫 케이블의 연장방향으로 더 내측으로 위치하는 홀딩 성형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방수 성형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홀딩 성형부에 의해 감소된다. 따라서, 방수 성형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수 성형부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을 형성하는 수지가 커팅부 쌍 내에 또는 관통구멍 내에 진입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이 플랫 케이블 상에서 강하게 유지된다.
상기 구성에 다른 방수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이 상대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후드부를 가진 감합부를 포함하여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기 때문에, 단자와 상대 단자 간의 접속부를 위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경우, 감합부는 상대 커넥터에 대해 감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감합 잠금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의 감합 상태가 더욱 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방수 커넥터의 제조방법은 커넥터 하우징이 도체배선과 단자 간의 접속부, 및 플랫 케이블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 형성 단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과 플랫 케이블 사이에 방수 플러그를 장착하지 않고 방수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수 성능을 달성하는 한편,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성형부의 주변부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과 이 플랫 케이블에 접속된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대 커넥터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되기 이전 상태에서 도 1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커넥터 하우징이 도 6에 도시한 상대 커넥터에 감합한 상태에서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1변형예의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과 플랫 케이블에 접속된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2변형예의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과 플랫 케이블에 접속된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성형부(32)의 주변부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10)과 이 플랫 케이블(10)에 접속된 단자(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대 커넥터(50)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하우징(30)에 감합되기 이전 상태에서 도 1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 및 상대 커넥터(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커넥터 하우징(30)이 도 6에 도시한 상대 커넥터(50)에 감합한 상태에서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는 플랫 케이블(10), 3개의 단자(20), 및 커넥터 하우징(30)을 포함한다.
플랫 케이블(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부(11), 및 절연 시드부(12)를 포함한다.
도체부(11)는 동 및 동합금으로 형성되고, 3개의 가요성 도체배선(11a)을 구비한다. 3개의 도체배선(11a)은 각각 단자(20)가 병렬로 배열된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병렬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개의 도체배선(11a)을 구비한 도체부(11)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체배선(11a)의 개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절연 시드부(12)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절연막(12a)으로 피복된 도체부(11)를 구비한 부분이다.
절연 시드부(12)는 커팅부(12b) 쌍을 구비한다. 커팅부(12b) 쌍은 사각형 커팅부로서 적어도 일부가 절연 시드부(12)의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측단부(12d)에서,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30)으로 덮이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팅부(12b) 쌍은 플랫 케이블(10)의 연장방향으로 커넥터 하우징(30) 중에서 플랫 케이블(10) 장착측 단부(30a)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플랫 케이블(10)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부(11)에는 플랫 케이블(10)이 가요성을 갖도록 평판형으로 절연막(12a)이 피복된다. 또한, 플랫 케이블(10)의 경우, 단자(20)에 접속되는 측의 단부(10a)의 절연막(12a)이 제거되어 도체배선(11a)이 각각 노출되어 있다. 이 노출된 도체배선(11a)에 단자(20)가 각각 접속된다.
이하, 3개의 단자(20)에 대하여 설명한다.
3개의 단자(20) 각각은 도체배선(11a)의 형태와 대응하는 형태를 구비하는 한편, 초음파 용접법 또는 압착 용접법에 의해 도체배선(11a)에 각각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20)는 각각 메일 단자이고, 도체배선(11a)에 접속되는 측에서의 단부(20a)와 반대되는 측의 단부(20b)는 상대단자(51)(후술함)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개의 단자(20)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체배선(11a)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를 구비한 단자(20)가 단순히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 커넥터 하우징(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30)은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접속 상대인 기존의 상대 커넥터(50)에 감합되어 단자(20)가 상대 단자(51)에 접속된다.
커넥터 하우징(30)은 도체배선(11a)과 단자(20) 간의 접속부(40), 및 플랫 케이블(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대 커넥터(50)에 감합되는 감합부(31), 및 성형부(32)를 포함한다.
감합부(31)는 단면 타원 관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기존 상대 커넥터(50)가 이 감합부(31)에 감합된다. 즉, 상대 커넥터(50)가 감합부(31)에 감합될 때, 단자(20)는 각각 상대 단자(51)에 접속된다. 또한, 감합부(31)는 후드부(31a)와 감합 잠금부(31b)를 구비한다.
후드부(31a)는 상대 커넥터(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감합 잠금부(31b)는 상대 커넥터(50)에 대해 감합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감합 잠금부(31b)는 예를 들면, 감합부(31)의 외면으로부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직선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50)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50)의 감합 잠금부(50a)는 감합 잠금부(31b)에 대응하여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30)이 상대 커넥터(50)에 감합될 때, 감합 잠금부(31b)는 감합 잠금부(50a) 측으로 감합된다. 따라서, 감합 상태가 더욱 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성형부(32)는 접속부(40)를 성형하는 한편, 단자(20)가 접속되는 측에서 플랫 케이블(10)의 단부(10a), 즉 플랫 케이블(10)의 연장방향 단부(10a)를 감합부(31)와 일체로 유지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성형부(3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성형부(32a)와 홀딩 성형부(32b)를 포함한다.
방수 성형부(32a)는 감합부(31)로부터 플랫 케이블(1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속부(40)를 덮게 됨에 따라서 이 접속부(40)를 방수하게 된다. 따라서, 접속부(40)는 커넥터 하우징(30)에 의해 강하게 밀접될 수 있기 때문에, 접속부(40)에서 방수 특성이 향상된다.
홀딩 성형부(32b)는 플랫 케이블(10)을 덮기 위해 방수 성형부(32a) 보다 플랫 케이블(10)의 연장방향으로 더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홀딩 성형부(32b)는 방수 성형부(32a)로부터 플랫 케이블(10)의 연장방향으로 더욱 연장되어 플랫 케이블(10)의 연장방향 단부(10a)를 덮는다. 따라서, 연장방향 단부(10a)는 보다 넓은 영역에서 커넥터 하우징(30)으로 덮이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10)이 홀딩 성형부(32b)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방수 성형부(32a)에 가해진 하중이 홀딩 성형부(32b)에 의해 감소하여 방수 성형부(32a)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수 성형부(32a)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 하우징(30)이 접속부(40)와 플랫 케이블(10)에 커넥터 하우징(30)을 형성하는 수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30)이 접속부(40)와 플랫 케이블(10)에 밀접되는 것이 가능하여 접속부(40)와 플랫 케이블(10)을 덮는다. 따라서, 방수 플러그가 커넥터 하우징(30)으로부터 별도로 제공될 필요가 없고, 커넥터 하우징(30)에 의해 방수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30)의 장착측 단부(30a)가 플랫 케이블(10)의 연장방향으로 그리고 커팅부(12b) 쌍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30)을 형성하는 수지가 커팅부(12b) 쌍에 진입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30)이 플랫 케이블(10) 상에서 강하게 유지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0)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커팅부(12)를 형성하는 측을 덮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10)이 그 연장방향으로 인장력(도 2의 화살표 D 방향)에 대해 높은 유지력으로 유지된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연장방향 단부(10a)의 절연막(12a)을 제거하여 도체배선(11a)의 단부를 노출시킨다. 도체배선(11a)의 노출 단부를 초음파 용접법 또는 가압 용접법과 같은 방법으로 단자(20)에 각각 접속한다(도 8a 참조).
이후, 플랫 케이블(10)에서 커팅부(12b) 쌍을 형성한다(도 8b 참조). 커팅부(12b) 쌍은 적어도 일부가 절연 시드부(12)의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측단부(12d)에서,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30)으로 덮이는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팅부(12b) 쌍의 커팅부(12b)는 커넥터 하우징(30)의 플랫 케이블(10)에서 그 장착측 단부(30a)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후, 커넥터 하우징(30)이 플랫 케이블(10)의 연장방향 단부(10a)에 일체로 형성되어 접속부(40)를 덮는다(도 8c 참조). 그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30)이 접속부(40)와 플랫 케이블(10)에 밀접되는 것이 가능하여 접속부(40)와 플랫 케이블(10)을 덮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30)이 플랫 케이블(10)의 연장방향 단부(10a)와 일체로 형성된 성형부(32)를 포함하여 도체배선(11a)과 단자(20) 간의 접속부(40)를 덮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30)과 플랫 케이블(10) 사이에 방수 플러그를 장착하지 않고 방수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수 성능의 달성과 아울러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에 있어서, 접속부(40)는 커넥터 하우징(30)을 형성하는 수지로 덮이기 때문에 접속부(4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30)을 형성하는 수지가 커팅부(12b) 쌍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10) 상에서 커넥터 하우징(30)을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에 있어서, 성형부(32)는 접속부(40)를 덮는 방수 성형부(32a)와, 플랫 케이블(10)을 덮기 위해 방수 성형부(32a) 보다 플랫 케이블(10)의 연장방향으로 더욱 내측으로 위치하는 홀딩 성형부(32b)를 포함하기 때문에, 방수 성형부(32a)에 가해진 하중이 홀딩 성형부(32b)에 의해 감소된다. 따라서, 방수 성형부(32a)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수 성형부(32a)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30)은 상대 커넥터(5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후드부(31a)를 구비하여 이 상대 커넥터(50)에 감합되는 감합부(31)를 포함하기 때문에, 단자(20)와 상대 단자(51) 간의 접속부를 위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에 있어서, 감합부(31)가 상대 커넥터(50)에 대해 감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감합 잠금부(31b)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50)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30)의 감합 상태를 더욱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의 제조 방법은 커넥터 하우징(30)이 도체배선(11a)과 단자(20) 간의 접속부(40)와, 플랫 케이블(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 형성 단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30)과 플랫 케이블(10) 사이에 방수 플러그를 장착하지 않고 방수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수 성능을 달성하면서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변형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의 제1변형예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60)과 플랫 케이블(60)에 접속된 단자(20)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변형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2)는 플랫 케이블에 커팅부(12b) 쌍 외에도 추가의 커팅부(12c) 쌍이 형성된 점에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와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본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본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커팅부(12c) 쌍은 사각형 커팅부로서 모든 부분들이 절연 시드부(12)의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측단부(12d)에서,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30)으로 덮이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변형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2)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30)을 형성하는 수지가 커팅부(12b) 쌍과, 커팅부(12c) 쌍에 진입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30)이 플랫 케이블(60) 상에서 강하게 유지된다.
(제2변형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의 제2변형예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2변형예의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플랫 케이블(70)과 플랫 케이블(70)에 접속된 단자(20)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변형예의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3)는 커팅부(12b) 쌍 대신에 플랫 케이블(70)의 절연 시드부(12)에 관통구멍(12e)이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와는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본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본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관통구멍(12e)은 커넥터 하우징(30)으로 덮인 위치에 형성된다. 제2변형예에서, 관통구멍(12e)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배선(11a)들 사이에 형성된다.
관통구멍(12e)이 형성되는 위치는 도체배선(11a)들 사이의 위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관통구멍(12e)은 커넥터 하우징(30)으로 덮이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변형예의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3)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30)을 형성하는 수지가 관통구멍(12e)에 진입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30)이 플랫 케이블(70)에 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 2)는 각각 사각형 커팅부(12b, 12c)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을 구비한 커팅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자형 커팅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 2)의 경우, 커팅부(12b) 쌍으로된 커팅부(12b)가 커넥터 하우징(30)의 장착측 단부(30a)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커팅부(12b) 쌍은 절연 시드부(12)의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측단부(12d)에서,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30)으로 적어도 일부가 덮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커팅부(12b) 쌍의 모든 커팅부(12b) 각각이 커넥터 하우징(30)으로 덮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 2, 3)의 경우, 단자(20)는 메일 단자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단자(20)가 피메일 단자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1, 2, 3)의 경우, 단면 타원형 관상 외형의 감합부(31)를 구비하고 상대 커넥터(50)가 감합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대 단자(50)가 감합되는데 사용되기 위해 다른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발명자가 제안한 본 발명에 대하여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다.
본 출원은 2011. 08. 20. 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1-175612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서, 방수 성능을 달성하면서 장착 작업이 용이한 방수 커넥터를 획득할 수 있다.
1, 2, 3. 방수 커넥터
10, 60, 70. 플랫 케이블
10a. 연장방향 단부
11. 도체부
11a. 도체배선
12. 절연 시드부
12a. 절연막
12b, 12c. 커팅부
12d. 측단부
12e. 관통구멍
20. 단자
20a, 20b. 단부
30. 커넥터 하우징
30a. 장착측 단부
31. 감합부
31a. 후드부
31b. 감합 잠금부
32. 성형부
32a. 방수 성형부
32b. 홀딩 성형부
40. 접속부
50. 상대 커넥터
50a. 감합 잠금부
51. 상대 단자

Claims (6)

  1. 방수 커넥터로서, 상기 방수 커넥터는:
    도체배선이 절연막으로 피복되는 절연 시드부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상기 도체배선에 접속되는 단자; 및
    상기 단자를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에 접속하기 위해 상대 단자에 감합되는 커넥터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연장방향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도체배선과 상기 단자 간의 접속부를 덮는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접속부를 덮는 방수 성형부; 및
    상기 플랫 케이블을 덮도록 상기 방수 성형부와 상기 플랫 케이블 사이에 배치되는 홀딩 성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시드부는 커팅부 쌍 또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커팅부 쌍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 덮이고, 상기 절연 시드부의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절연 시드부의 측단부에 소재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 덮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감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합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후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는 상대 커넥터에 대해 감합 상태를 유지하는 감합 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6. 방수 커넥터 제조 방법으로서,
    도체 배선이 절연막으로 피복되는 절연 시드부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단자가 상기 도체배선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 그리고 상기 도체배선과 단자 간의 접속부 양쪽 모두와 함께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단자를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KR1020147002663A 2011-08-11 2012-08-10 방수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42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5612 2011-08-11
JP2011175612A JP2013038039A (ja) 2011-08-11 2011-08-11 フラットケーブル防水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2/070865 WO2013022124A1 (en) 2011-08-11 2012-08-10 Waterproof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296A true KR20140034296A (ko) 2014-03-19

Family

ID=4675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663A KR20140034296A (ko) 2011-08-11 2012-08-10 방수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70049B2 (ko)
JP (1) JP2013038039A (ko)
KR (1) KR20140034296A (ko)
CN (1) CN103733447B (ko)
DE (1) DE112012003330T5 (ko)
WO (1) WO2013022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7849B2 (ja) * 2012-02-28 2016-06-2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窓シャッターの防火構造
JP6040914B2 (ja) * 2013-11-12 2016-12-07 住友電装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
JP2015210952A (ja) * 2014-04-25 2015-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EP2955797A1 (en) * 2014-06-13 2015-12-16 Delphi Technologies, Inc. Cable strain relief
JP6524961B2 (ja) * 2016-05-13 2019-06-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止水ケーブル
WO2019023374A1 (en) 2017-07-26 2019-01-31 Brewer Science, Inc. REUSABLE, WATERPROOF CONNECTOR FOR ELECTRONIC PRINTED ELECTRONICS
GB201719522D0 (en) 2017-11-24 2018-01-10 Pilkington Group Ltd Electrical connector glazing havingthe same and method of fitting the glazing
DE102018207794A1 (de) * 2018-05-17 2019-11-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Flachbandkabelstecker, Steckeranordnung und Verwendung eines Steckers
JP7121914B2 (ja) * 2019-05-29 2022-08-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および端子付き可撓性基板
CN113994294A (zh) * 2019-06-10 2022-01-2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8131A (en) * 1969-11-26 1971-03-02 Bobby W Kennedy Electrical connector
JPH06310224A (ja) * 1993-04-27 1994-11-04 Mitsubishi Cable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JP3311640B2 (ja) * 1996-12-26 2002-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導出部の防水構造
JP4387055B2 (ja) * 2000-11-30 2009-12-16 株式会社フジクラ 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70313A (ja) * 2001-03-09 2002-09-20 Yazaki Corp 補機モジュール用中継部品および補機モジュール
JP3927391B2 (ja) * 2001-09-19 2007-06-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3174266A (ja) * 2001-12-07 2003-06-20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外部端子部付き電子部品用ケ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27602B4 (de) * 2002-06-20 2017-06-22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eckverbinders für Flachleiter
JP2004349026A (ja) * 2003-05-20 2004-12-09 Yazaki Corp ホルダ及びコネクタ
JP4267518B2 (ja) * 2004-05-13 2009-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4044939B2 (ja) * 2005-03-24 2008-02-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R2889626B1 (fr) * 2005-08-03 2016-08-19 Yazaki Corp Connecteur etanche a l'eau pour un cable plat
US7309256B2 (en) * 2006-01-11 2007-12-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t flexible cable assembly with integrally-formed sealing members
JP4159593B2 (ja) * 2006-06-28 2008-10-01 原田工業株式会社 回路基板内蔵コネクタ及びキャッチャ
JP2008171597A (ja) 2007-01-09 2008-07-24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92545A (ja) * 2007-02-07 2008-08-21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基板ケーブル用防水コネクタ
JP5454187B2 (ja) * 2009-03-27 2014-03-26 日立金属株式会社 ケーブル固定方法及びケーブル接続部
KR20110082463A (ko) 2010-02-24 2011-07-1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JP5603695B2 (ja) * 2010-07-26 2014-10-0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3330T5 (de) 2014-04-24
JP2013038039A (ja) 2013-02-21
CN103733447A (zh) 2014-04-16
US9270049B2 (en) 2016-02-23
CN103733447B (zh) 2016-05-25
US20140154916A1 (en) 2014-06-05
WO2013022124A1 (en)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4296A (ko) 방수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5896531B2 (ja) 端子
EP1598901B1 (en) Joint box for connecting electrical wires
JP4364265B2 (ja) 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5619471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固定具
EP1992048B1 (en) Connector cover with fastener
JP5074316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キット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ハーネス
KR20160017624A (ko)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KR20140018428A (ko) 플랫 케이블 방수 커넥터 및 플랫 케이블용 방수 커넥터 구조체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US10249985B2 (en) Waterproof connector
KR102463691B1 (ko) 커넥터
JP5007161B2 (ja) 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KR20130133873A (ko) 방수형 플랫 케이블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4317079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の電線収束構造
JP2019114521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210068287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585175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防水コネクタ
JP7107659B2 (ja) 電気接続箱
JP5407990B2 (ja) 端子用のキャップ
JP3754641B2 (ja) コネクタ
EP3376597A1 (en) Wire to wire conne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wire to wire connector
JP4937841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JP5949647B2 (ja) 電線スプライス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