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2087A - 동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동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2087A
KR20210102087A KR1020210016964A KR20210016964A KR20210102087A KR 20210102087 A KR20210102087 A KR 20210102087A KR 1020210016964 A KR1020210016964 A KR 1020210016964A KR 20210016964 A KR20210016964 A KR 20210016964A KR 20210102087 A KR20210102087 A KR 2021010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outer conductor
cylindrical portion
dielectric
inn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029B1 (ko
Inventor
유진 하가
마사히로 츠치다
츠바사 가네코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과제) 제조가 간단하고 충분한 실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내부 도체 (20) 는,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외부 도체 (10) 에 둘러싸여 있고, 상하 방향으로 내부 접촉부 (21A) 전체와 연장부 (22) 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도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고, 유전체 (30) 는, 회로 기판의 면을 따른 하면을 가지고 외부 도체 (10) 의 하단부 및 내부 도체 (20) 의 연장부 (22) 를 유지하는 저판부 (31) 를 갖고, 내부 도체 (20) 의 접속부 (22A) 의 통상부 (11) 의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유전체 (30) 의 저판부 (31) 는, 적어도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의 내부에서 접속부 (22A) 의 외단을 포함하는 범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 (31A) 가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 (22A) 의 외단측 부분이, 관통부 (31A) 내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동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COAXIAL ELECTRIC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회로 기판에 접속되고, 그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동축 전기 커넥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동축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의 동축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상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가 끼워 맞춤 접속된다. 그 동축 커넥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 (특허문헌 1 에서는 「제 1 도체부」, 이하, 특허문헌 1 에 사용되는 말은 ( ) 안에 나타낸다) 를 갖는 내부 도체 (내부 단자)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접촉부를 둘러싸는 끼워 맞춤 동체부 (외부 도체부) 를 갖는 외부 도체 (외부 단자) 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판상을 이루고, 상기 내부 도체의 접촉부의 하단부 및 상기 외부 도체의 끼워 맞춤 동체부의 하단부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유전체 (제 1 절연성 부재)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부 도체의 끼워 맞춤 동체부는, 상기 축선 주위의 둘레 방향에서의 일부가 절결되어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보아 대략 C 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내부 도체는, 상기 접촉부에 더하여, 그 접촉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의 반경 방향으로 그 끼워 맞춤 동체부의 상기 절결부측을 향하여 외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제 2 도체부) 를 가지고 있다. 그 연장부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그 연장부의 저면에서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동축 커넥터는, 다음의 요령으로 제조된다. 먼저, 상기 내부 도체의 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으로 캐리어가 끼워 맞춤 동체보다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를 준비하고, 그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의 접촉부를 외부 도체의 끼워 맞춤 동체부의 중심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의 절결부를 거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경 방향으로 그 끼워 맞춤 동체부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접촉부의 하단부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의 하단부를 상기 유전체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한다. 이 때, 상기 유전체는, 상기 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부분, 즉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절결부를 거쳐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범위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요컨대, 그 캐리어는, 상기 유전체에 의해 유지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를 상기 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절제하고 나서, 그 캐리어가 존재하고 있던 상기 공간을 매립하도록 다른 유전체 (제 2 절연성 부재) 를 성형함으로써 상기 동축 커넥터가 완성된다. 또한, 이 특허문헌 1 에는, 변형예로서,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와는 별체를 이루는 금속판 부재 (제 2 통상부) 에 의해 그 끼워 맞춤 동체부의 절결부를 막는 형태도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016460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 의 동축 커넥터에서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외부 도체의 끼워 맞춤 동체부의 일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부의 위치에서는 내부 도체의 접촉부가 둘러싸여 있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실드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특허문헌 1 의 이미 서술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절결부를 금속판 부재에 의해 막음으로써 실드성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지만, 동축 커넥터의 제조시에, 상기 금속판 부재로 상기 절결부를 막는 공정이 필요하여, 동축 커넥터의 제조가 번잡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제조가 간단하고 충분한 실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과제는, 다음의 제 1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 제 2 발명 및 제 3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제 1 발명>
제 1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접속되고, 그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통상부를 갖는 금속제의 외부 도체와, 그 통상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금속제의 내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및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도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부와, 그 직립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통상부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직립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을 위한 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측 부분에,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 도체는, 상기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외부 도체에 둘러싸여 있고, 상하 방향으로 상기 내부 접촉부 전체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도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유전체는, 상기 회로 기판의 면을 따른 하면을 가지고 상기 외부 도체의 하단부 및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연장부를 유지하는 저판부를 갖고,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접속부의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통상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유전체의 상기 저판부는, 적어도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통상부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의 상기 외단을 포함하는 범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의 외단측 부분이, 상기 관통부 내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도체는, 상기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외부 도체에 둘러싸여 있고, 상하 방향으로 상기 내부 접촉부 전체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도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도체에 의해 충분한 실드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외부 도체의 통상부에는, 종래와 같은 절결부는 원래 존재하고 있지 않아, 그 절결부를 막는 것과 같은 금속판 부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동축 전기 커넥터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2 발명>
제 2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회로 기판에 접속되고, 그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통상부를 갖는 금속제의 외부 도체와, 그 통상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금속제의 내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및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 재료제의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도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부와, 그 직립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통상부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직립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을 위한 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측 부분에,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2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연장부의 외단으로부터 캐리어가 상기 통상부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를, 상기 캐리어와 상기 접속부의 경계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상기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를 성형 금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지하고, 용융된 유전성 재료를 성형 금형의 공간 내에 주입하고, 상기 회로 기판의 면을 따라 연장되는 저판부와 그 저판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여 상기 외부 도체의 통상부 내에 장착되는 통상의 기립부를 갖는 상기 유전체를 성형하여, 상기 저판부에서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연장부를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하고, 상기 성형 금형을 발출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상기 저판부에 형성하고, 상기 관통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경계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접속부로부터 절제하고, 상기 유전체의 상기 기립부를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통상부 내에 삽입하고, 상기 내부 도체가, 상기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외부 도체에 둘러싸여, 상하 방향으로 상기 내부 접촉부 전체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도체의 범위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유전체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 발명에서는, 상기 유전체의 상기 관통부 내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어와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접속부의 상기 경계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를 절제한 후에, 상기 유전체의 기립부가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통상부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유전체에 장착한다. 요컨대, 상기 캐리어의 절제시, 아직, 상기 유전체의 상기 기립부는 외부 도체의 통상부 내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의 절제시에 있어서, 캐리어 절제용의 지그가 외부 도체의 통상부에 간섭하지 않아, 간단하게 캐리어를 절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발명에 의해 완성된 동축 커넥터는, 이미 서술한 제 1 발명과 동일하게, 상기 내부 도체가, 상기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외부 도체에 둘러싸여, 상하 방향으로 상기 내부 접촉부 전체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도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도체에 의해 충분한 실드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외부 도체의 절결부를 막는 것과 같은 금속판 부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동축 전기 커넥터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의 상기 기립부를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통상부 내에 압입하여 장착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유전체에 장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유전체의 상기 기립부를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통상부 내에 삽입한 상태로 그 통상부를 코킹하여 장착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유전체에 장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3 발명>
제 3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회로 기판에 접속되고, 그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통상부를 갖는 금속제의 외부 도체와, 그 통상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금속제의 내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및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 재료제의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도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부와, 그 직립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통상부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직립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을 위한 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측 부분에,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3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연장부의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으로부터 캐리어가 상기 통상부의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방으로 연장되고, 그 캐리어가 상기 반경 방향으로 그 통상부의 위치에서 그 통상부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크랭크상으로 굴곡된 부분을 가지고 있는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를 외부 도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내부 도체가, 상기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외부 도체에 둘러싸이고, 상하 방향으로 상기 내부 접촉부 전체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도체의 범위에 위치한 상태로 하고, 상기 통상부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와 상기 접속부의 경계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상기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를 성형 금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지하고, 용융된 유전성 재료를 성형 금형의 공간 내에 주입하고, 상기 회로 기판의 면을 따라 연장되는 저판부를 갖는 상기 유전체를 성형하여, 상기 저판부에서 상기 외부 도체의 하단부와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연장부를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하고, 상기 성형 금형을 발출함으로써, 상기 통상부의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상기 저판부에 형성하고, 상기 관통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경계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접속부로부터 절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 발명에서는, 상기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의 상기 캐리어가 크랭크상으로 굴곡된 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유전체를 성형하기 전에, 상기 캐리어가 상기 외부 도체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면서, 상기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를 상기 외부 도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에서는, 상기 통상부의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 관통부를 상기 유전체의 저판부에 형성하고, 상기 관통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캐리어와 상기 접속부의 경계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를 절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통상부의 둘레 방향 전역으로 그 통상부에 의해 상기 내부 도체가 덮여 있어도, 커넥터 제조시에, 상방 혹은 하방으로부터 캐리어 절제용의 지그를 배치하여 상기 경계 위치의 부분을 절단하면, 그 지그를 상기 통상부와 간섭시키지 않고 상기 캐리어의 절제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발명에 의해 완성된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가 상기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외부 도체에 둘러싸여 있는 것, 상하 방향으로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내부 접촉부 전체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도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충분한 실드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이미 서술한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과 동일하다. 또한, 종래와 같이 외부 도체의 절결부를 막는 것과 같은 금속판 부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동축 전기 커넥터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도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 및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동축 전기 커넥터에서는, 이상과 같이, 상기 내부 도체가 상기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외부 도체에 둘러싸여 있음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내부 접촉부 전체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도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 도체에 의해 충분한 실드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외부 도체의 절결부를 막는 것과 같은 금속판 부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동축 전기 커넥터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 동축 전기 커넥터와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로, 커넥터 끼워 맞춤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 는 사시도, 도 4(B) 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리셉터클 동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A) 는 평면도, 도 5(B) 는 저면도이다.
도 6 은, 리셉터클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각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6(A) 는,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내부 도체를 내부 유전체로 유지한 상태, 도 6(B) 는,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외부 도체, 도 6(C) 는, 도 6(A) 의 내부 도체를 도 6(B) 의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외부 도체에 압입한 상태를,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도 1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8(A) 는, 플러그 내부 도체를 단체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B) 는 도 8(A) 의 플러그 내부 도체를 내부 유전체로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플러그 외부 도체의 제 1 중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는, 플러그 외부 도체의 제 2 중간 부재에 도 8(B) 의 플러그 내부 도체를 유지한 내부 유전체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B) 는, 도 10(A) 의 플러그 내부 도체에 케이블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 는, 도 10(B) 의 제 2 중간 부재의 일부를 굴곡함으로써 완성된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1(B) 는, 도 7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XIB-XIB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각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12(A) 는,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외부 도체와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내부 도체를 배치한 상태, 도 12(B) 는, 도 12(A) 의 리셉터클 외부 도체 및 리셉터클 내부 도체를 내부 유전체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한 상태, 도 12(C) 는, 캐리어를 절제하여 완성한 리셉터클 동축 전기 커넥터를,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 동축 전기 커넥터 (1) (이하, 「리셉터클 커넥터 (1)」 라고 한다) 와,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 (2) (이하, 「플러그 커넥터 (2)」 라고 한다) 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로, 커넥터 끼워 맞춤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에 실장된 상태로 나타나 있지만, 도 2 에서는 회로 기판 (B) 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3 은,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 는 사시도, 도 4(B) 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 커넥터 (1)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 상에 실장되고, 그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 (Z 축 방향) 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플러그 커넥터 (2) 가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2)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을 이루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C) 의 전단부 (도 1 에서 X1 측의 단부) 가 결선되고, 상하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1) 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이다. 리셉터클 커넥터 (1) 에 대한 상대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2) 이고, 플러그 커넥터 (2) 에 대한 상대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 (1) 이다.
리셉터클 커넥터 (1)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통상부 (11) 를 갖는 금속제의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와, 그 통상부 (11) 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금속제의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및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를 유지하는 내부 유전체 (30) 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후술하는 돌출부 (12) 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유전체 (40) 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는, 도 1 및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통상부 (11) 와, 그 통상부 (11) 의 하단부로부터 그 통상부 (11) 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12) 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 (11) 는,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그 통상부 (11) 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되는 원통상을 이루고 있다.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부 (11) 는, 상하 방향으로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후술하는 직립부 (21) 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연장되어 있다 (도 6(C) 도 참조).
통상부 (11) 는,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 (2) 의 후술하는 플러그 외부 도체 (70) 의 끼워 맞춤 동체부 (73) 가 상방으로부터 외감되도록 되어 있다. 통상부 (11) 는, 도 1, 도 3 및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외부 도체 (70) 의 끼워 맞춤 동체부 (73) 에 접촉 가능한 외부 접촉부 (11A) 를 그 통상부 (11) 의 상단부측에 가지고 있다. 외부 접촉부 (11A) 는, 통상부 (11) 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그 통상부 (11) 의 외주면이 잠긴 환상을 이루고 있다. 외부 접촉부 (11A) 는, 통상부 (11) 의 외주면이 잠기는 것에 의해 형성된 단차부에서 플러그 외부 도체 (70) 의 끼워 맞춤 동체부 (73)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걸림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2) 의 예기치 않은 발출을 저지하도록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B) 참조).
돌출부 (12) 는, 도 1, 도 3 및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부 (11) 의 하단부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친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그 통상부 (11) 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즉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정방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도 5(A) 참조). 돌출부 (12) 는,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후술하는 연장부 (22) 나아가서는 접속부 (22A) 와 대략 동일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도 6(C) 도 참조). 또한, 돌출부 (12) 의 하면은 접속부 (22A) 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돌출부 (12) 는, 도 3 및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 상의 그라운드 회로부 (B1) 에 땜납 접속되고, 이에 의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가 그라운드 회로부 (B1) 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도 5(A) 는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평면도이고, 도 5(B) 는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저면도이다.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는, 도 3 및 도 5(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상의 직립부 (21) 와, 그 직립부 (21) 의 하단측 부분으로부터 통상부 (11) 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즉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을 따라 연장되는 띠상의 연장부 (22) 를 가지고 있다. 직립부 (21) 는, 통상부 (11) 의 내부 공간에서 후술하는 내부 유전체 (30) 의 저판부 (31) 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내부 접촉부 (21A) 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 접촉부 (21A) 에서 플러그 커넥터 (2) 의 후술하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B)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전체가 통상부 (11) 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연장부 (22) 는, 도 3, 도 4(B), 도 5(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반경 방향으로 통상부 (11) 의 내부 공간의 반경, 나아가서는 내부 유전체 (30) 의 후술하는 수용부 (33) 의 반경보다 짧게 되어 있다. 요컨대, 연장부 (22) 의 외단, 다시 말하면 후술하는 접속부 (22A) 의 외단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통상부 (11) 의 내부, 그리고 내부 유전체 (30) 의 수용부 (33) 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연장부 (22) 의 선단측 부분 (외단측 부분) 은,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직립부 (21) 에 연결되어 있는 근원측 부분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회로 기판 (B) 의 신호 회로부 (B2) 에 접속되는 접속부 (22A) 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22A) 의 하면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실장면의 신호 회로부 (B2) 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다. 접속부 (22A) 는, 상기 실장면 상의 신호 회로부 (B2) 에 접면한 상태로 땜납 접속되고, 이에 의해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가 신호 회로부 (B2) 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내부 유전체 (30) 는, 도 3 및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원판상의 저판부 (31) 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의 내주면을 따라 저판부 (31) 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여 상방으로 개구한 기립부 (32) 를 가지고 있다. 저판부 (31) 는,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판부 (31) 의 하면이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저판부 (31) 는, 상하 방향으로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직립부 (21) 의 하단부 및 연장부 (22) 를 포함하는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고, 직립부 (21) 의 하단부 및 연장부 (22)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고 있다.
저판부 (31) 에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개구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결상의 관통부 (31A)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저판부 (31) 는, 상하 방향으로 보아 원형의 둘레 방향의 일부를 절결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도 5(A), (B) 참조). 관통부 (31A) 는, 도 5(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부 (11) 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부 (22) 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반경 방향으로 저판부 (31) 의 중간 위치부터 외측 가장자리 위치까지 연장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참조).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판부 (31) 의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 (31B) 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기립부 (32) 보다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의 판 두께의 범위 내에서, 통상부 (11)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요컨대,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관통부 (31A) 의 개구부는, 통상부 (11) 의 판 두께의 범위 내에서 통상부 (11)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1) 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관통부 (31A) 는, 통상부 (11) 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막힌 구멍부 (창부) 를 이루고 있다.
기립부 (32) 는 상방으로 개구한 원통상을 이루고 있다. 기립부 (32) 는, 그 외경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고, 통상부 (11) 내에 하방으로부터 압입하여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립부 (32) 가 압입됨으로써, 내부 유전체 (30) 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를 유지하고 있다. 내부 유전체 (30) 의 내부 공간, 즉 기립부 (32) 로 둘러싸인 공간은, 플러그 커넥터 (2) 의 후술하는 소직경부 (61B)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33) 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4(B) 참조).
외부 유전체 (4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돌출부 (12) 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방으로부터 보아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돌출부 (12) 보다 약간 작은 대략 정방형의 외형의 박판상을 이루고 있다. 외부 유전체 (40) 는, 돌출부 (12) 가 회로 기판 (B) 의 그라운드 회로부 (B1) 에 땜납 접속되었을 때의 예기치 않은 땜납 오름, 즉, 용융된 땜납이 돌출부 (12) 의 상면에서 광범위하게 이르러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 (1) 는, 다음의 요령으로 만들어진다. 도 6 은,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각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A) 는,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내부 도체를 내부 유전체로 유지한 상태, (B) 는,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외부 도체, (C) 는, (A) 의 리셉터클 내부 도체를 (B) 의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외부 도체에 압입한 상태를,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연장부 (22) 의 외단 (선단) 으로부터 띠상의 캐리어 (P1) 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는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 (20P) (도 6(A) 참조) 를 준비하고, 캐리어 (P1) 와 연장부 (22) 의 외단, 다시 말하면 접속부 (22A) 의 외단과의 경계 위치 (도 6(A) 에서의 일점 쇄선의 위치) 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 (20P) 를 성형 금형 (도시 생략) 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유지한다.
다음으로, 용융된 유전성 재료 (수지 재료) 를 상기 성형 금형의 공간 내에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킴으로써 내부 유전체 (30) 를 성형한다 (도 6(A) 참조). 이 결과,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직립부 (21) 의 하단부 및 연장부 (22) 가 내부 유전체 (30) 의 저판부 (31) 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된다. 계속해서, 상기 성형 금형을 발출함으로써,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개구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결상의 관통부 (31A) 를 저판부 (31) 에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성형 금형으로 유지되어 있던 부분, 즉 상기 경계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은, 관통부 (31A) 내에 위치하고, 저판부 (31) 에 유지되지 않고 내부 유전체 (30) 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캐리어 절제용의 지그 (도시 생략) 에 의해 상기 경계 위치에서 캐리어 (P1) 를 접속부 (22A) 로부터 절제한다. 이 결과, 접속부 (22A) 의 외단측 부분은 관통부 (31A) 내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도 5(A), (B) 도 참조).
또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돌출부 (12) 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로부터 캐리어 (P2) 가 돌출부 (12) 의 판면 (판 두께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 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캐리어가 부착된 외부 도체 (10P) (도 6(B) 참조) 를 준비하고, 돌출부 (12) 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성형 금형 (도시 생략) 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유지한다. 다음으로, 용융된 유전 재료 (수지 재료) 를 상기 성형 금형의 공간 내에 주입하여, 돌출부 (12) 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유전체 (40) 를 성형한다 (도 6(B) 참조).
다음으로, 도 6(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유전체 (30) 의 기립부 (32) 를 캐리어가 부착된 외부 도체 (10P) 의 통상부 (11) 내에 하방으로부터 압입하여 장착한다. 그리고, 캐리어 절제용의 지그 (도시 생략) 에 의해, 돌출부 (12) 의 둘레 가장자리와 캐리어 (P2) 의 경계 위치 (도 6(C) 에서의 일점 쇄선의 위치) 에서 캐리어 (P2) 를 돌출부 (12) 로부터 절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1) 가 완성된다.
이상의 요령으로 만들어진 리셉터클 커넥터 (1) 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가 통상부 (11) 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전체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실드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는, 상하 방향으로 내부 접촉부 (21A) 전체와 연장부 (22) 전체를 포함함과 함께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하단이 접속부 (22A) 의 하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요컨대, 리셉터클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하단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거의 간극이 없는 상태로 근접하게 되기 때문에, 더욱 실드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부 (22) 전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충분한 실드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부 (22) 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에는, 그 둘레 방향의 일부에 종래와 같은 절결부는 원래 존재하고 있지 않아, 그 절결부를 막는 것과 같은 금속판 부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 (1) 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 (1) 에서는, 그 제조 과정에 있어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에 내부 유전체 (30) 의 기립부 (32) 를 압입함으로써 장착하는 것으로 했지만, 장착의 공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외부 도체의 통상부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의 기립부를 갖는 내부 유전체를 준비해 두고, 그 기립부를 상기 통상부에 하방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통상부를 반경 방향으로 코킹함으로써 장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장착의 공정에 의해서도 리셉터클 외부 도체를 유전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 (2) 의 구성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 (2)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C) 의 전단부가 결선된 동축 전기 커넥터이다. 케이블 (C) 은,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로서, 금속제의 심선 (C1) 이 유전재제의 케이블 유전체 (C2) 내에 배치되고, 그 케이블 유전체 (C2) 의 주위에는 실드 선 (C3) 이 형성되고, 추가로 그 외주에 유전재제의 외피 (C4) (도 1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C) 의 전단부에서는, 실드 선 (C3) 이 노출되어 있음과 함께, 추가로 실드 선 (C3) 보다 전방에서 심선 (C1) 이 노출되어 있다. 이 노출된 심선 (C1) 은, 플러그 커넥터 (2) 의 후술하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에 대하여 결선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블 (C) 의 전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피 (C4) 및 노출된 실드 선 (C3) 이 플러그 외부 도체 (70) 에 의해 죄어져 유지되어 있다 (도 7 도 참조).
플러그 커넥터 (2) 는,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에 접촉 가능한 금속제의 플러그 내부 도체 (50) 와, 그 플러그 내부 도체 (50)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수지제의 유전체 (60) 와, 그 유전체 (60) 를 수용하는 금속제의 플러그 외부 도체 (7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8(A) 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를 단체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B) 는 도 8(A) 의 플러그 내부 도체 (50) 를 유전체 (60) 로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플러그 내부 도체 (50) 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8(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는 띠판상의 띠판부 (51) 와, 띠판부 (51) 의 전단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 (Z2 방향) 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내부 접촉부 (52) 와, 띠판부 (51)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 (X2 방향) 으로 연장되어 케이블 (C) 의 심선 (C1) 이 결선되는 결선부 (53) 를 가지고 있다.
1 쌍의 내부 접촉부 (52) 는, 도 8(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으로 판면끼리가 대면하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내부 접촉부 (52) 끼리는 도 8(A) 에서의 상단측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돌출되는 접촉 돌기부 (52A) 를 가지고 있다.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내부 접촉부 (21A) 가 1 쌍의 접촉 돌기부 (52A) 에 협압되어 그 접촉 돌기부 (52A) 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결선부 (53) 는 유전체 (60) 의 후술하는 기부 (62A)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도 8(B) 참조).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결선부 (53) 의 전반부 (X1 측 부분) 는 그 전체 둘레면이 덮이도록 기부 (62A) 내에 매설 유지되어 있지만, 결선부 (53) 의 후반부 (X2 측 부분) 는 그 하면 (도 8(B) 에서는 상면) 을 이루는 판면이 노출된 상태로 기부 (62A) 에 유지되어 있다. 이 결선부 (53) 의 노출된 판면에 케이블 (C) 의 심선 (C1) 이 압착에 의해 결선된다 (도 3 참조). 심선 (C1) 은 땜납 접속에 의해 결선부 (53) 에 결선되어도 된다.
유전체 (60) 는, 도 8(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가지는 유저 통상의 단차상 통부 (61) 와, 그 단차상 통부 (61) 의 후술하는 대직경부 (61A) 의 후단에 연결된 결선 유지부 (62) 를 가지고 있다. 단차상 통부 (61) 는, 도 8(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반부를 이루는 대직경부 (61A) 와, 상반부를 이루고 대직경부 (61A) 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 (61B) 를 가지고 있고, 대직경부 (61A) 와 소직경부 (61B) 의 경계 부분이 단차상을 이루고 있다. 단차상 통부 (61) 는, 그 저부에서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띠판부 (51) 를 유지함과 함께, 그 단차상 통부 (61) 의 내부 공간을 이루는 내측 수용부 (61C) 에서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1 쌍의 내부 접촉부 (52) 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도 3 도 참조). 내측 수용부 (61C) 는, 도 8(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방 (Z2 방향) 으로 개구하고 있고, 그 내측 수용부 (61C) 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내부 접촉부 (21A) 를 수용하여, 그 내부 접촉부 (21A) 와 내부 접촉부 (52) 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4(B) 참조).
결선 유지부 (62) 는, 대직경부 (61A)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 (X2 방향) 으로 연장되는 기부 (62A) 와, 그 기부 (62A) 의 양측 가장자리의 각각의 상부에 연결된 압접부 (62B) 를 가지고 있다. 기부 (62A) 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를 유지하고 있다. 압접부 (62B) 는, 기부 (62A) 와의 연결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쓰러지도록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와 케이블 (C) 의 심선 (C1) 의 결선 부분을 도 8(B) 에서의 상방으로부터 압접함으로써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도 참조).
플러그 외부 도체 (70) 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플러그 외부 도체 (70) 는, 도 1 내지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의 저면 (도 1 에서는 상면) 을 따라 연장되는 덮개부 (71) 와, 덮개부 (71) 로부터 후방 (X2 방향) 을 향하여 연장되는 배판부 (72)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를 포위하는 끼워 맞춤 동체부 (73) 와,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후단에 연결된 아암 형상부 (74) 와, 덮개부 (71) 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도 1 에서의 하방 (Z2 방향) 으로 연장되는 전방측 판부 (75) 와, 배판부 (72) 의 전단부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복판부 (76), 실드 유지부 (77), 케이블 유지부 (78) 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 (71) 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 (판 두께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 을 가지는 평판상을 이루고 있고,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의 저면 (도 3 에서의 상면) 을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배판부 (72) 는, 전후 방향으로 케이블 (C) 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도 3 참조). 도 1 의 플러그 커넥터 (2) 를 상하 반전하여 나타낸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 동체부 (73) 는, 덮개부 (71) 의 전단 가장자리에서 굴곡되어 도 2 에서의 상방 (Z2 방향) 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판부 (73A) 와, 그 전판부 (73A) 의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를 따라 만곡하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만곡판부 (73B) 를 가지고 있다 (도 7 도 참조).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판부 (73A) 는, 그 전판부 (73A) 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나서 후방측에서 하방으로 되접어 꺾인 제 1 외부 접촉부 (73A-1) 를 가지고 있다 (도 3 도 참조). 이 제 1 외부 접촉부 (73A-1)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외부 접촉부 (11A) 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하 방향에서는 외부 접촉부 (11A) 에 걸림되어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B) 참조).
1 쌍의 만곡판부 (73B) 는, 도 2 에서의 만곡판부 (73B) 의 상단부측에서,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됨과 함께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외부 접촉부 (73B-1) 를 가지고 있다. 제 2 외부 접촉부 (73B-1) 는, 상기 반경 방향에서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외부 접촉부 (11A) 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하 방향에서는 외부 접촉부 (11A) 에 걸림되어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B) 참조). 또한, 도 2 및 도 7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 쌍의 만곡판부 (73B) 의 후단 사이에는 간극 (73C)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7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판부 (73A) 와 1 쌍의 만곡판부 (73B) 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가 수용되어 있다. 이 전판부 (73A) 및 1 쌍의 만곡판부 (73B) 와 단차상 통부 (61) 사이에 형성되는 대략 환상 공간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를 수용 가능한 외측 수용부 (73D) 를 이루고 있다 (도 4(B) 도 참조).
아암 형상부 (74) 는, 도 7 및 도 10(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만곡판부 (73B) 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 (基) 아암부 (74A) 와, 커넥터 폭 방향으로 기아암부 (74A) 보다 내측 위치에서 기아암부 (74A) 의 후단부에 연결된 탄성 아암부 (74B) 를 가지고 있다 (도 9 도 참조). 탄성 아암부 (74B) 는, 도 10(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보아 L 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기아암부 (74A) 의 후단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접촉부 (74B-1) 와, 후방 접촉부 (74B-1) 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접촉부 (74B-2) 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탄성 아암부 (74B) 는, 그 전단부에 전방 접촉부 (74B-2) 를 가지고 있음과 함께, 전방 접촉부 (74B-2)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후단부에 후방 접촉부 (74B-1) 를 가지고 있다.
후방 접촉부 (74B-1) 는,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면 (도 10(A), (B) 에서의 상면) 에서 복판부 (76) 의 후술하는 단판부 (76B)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방 접촉부 (74B-2)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그 전단면 (판 두께면) 에서 만곡판부 (73B) 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B) 참조). 탄성 아암부 (74B) 는, 상하 방향 (Z 축 방향) 및 전후 방향 (Y 축 방향) 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성 아암부 (74B) 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후방 접촉부 (74B-1) 가 단판부 (76B) 와 충분한 접압을 가지고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아암부 (74B) 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전방 접촉부 (74B-2) 가 만곡판부 (73B) 의 후단부와 충분한 접압을 가지고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 형상부 (74) 의 탄성 아암부 (74B) 의 전방 접촉부 (74B-2) 가 전후 방향에서의 끼워 맞춤 동체부 (73) 와 복판부 (76)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끼워 맞춤 동체부 (73) 와 복판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간극이, 전방 접촉부 (74B-2) 에 의해 덮이게 되어, 실드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전방측 판부 (75) 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갖고, 도 7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끼워 맞춤 동체부 (73) 보다 외측의 위치에서,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만곡판부 (73B) 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전방측 판부 (75) 는, 도 1 및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판부 (76) 의 후술하는 후방측 판부 (76A) 의 전단과 연결되어 있다.
복판부 (76) 는, 끼워 맞춤 동체부 (73) 보다 후방에서 그 끼워 맞춤 동체부 (73) 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도 7 참조). 복판부 (76) 는, 전후 방향으로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와 케이블 (C) 의 심선 (C1) 의 결선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그 결선 부분을 덮음으로써 실드성을 확보하고 있다. 복판부 (76) 는,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후방측 판부 (76A) 와, 후방측 판부 (76A) 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단판부 (76B) 를 가지고 있다. 단판부 (76B) 는, 유전체 (60) 의 압접부 (62B) 가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쓰러져 변위하도록 그 압접부 (62B) 를 상기 결선 부분을 향하여 압압하고 있고, 그 압접부 (62B) 를 통하여 상기 결선 부분을 확실하게 유지하고 있다.
실드 유지부 (77) 는, 복판부 (76) 의 후방에서 케이블 (C) 의 노출된 실드 선 (C3) 의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실드 유지부 (77) 는, 이 노출된 실드 선 (C3) 과 함께 코킹됨으로써, 그 실드 선 (C3) 을 유지함과 함께, 그 실드 선 (C3) 과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케이블 유지부 (78) 는, 실드 유지부 (77) 의 후방에서 케이블 (C) 의 외피 (C4) 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블 유지부 (78) 는, 외피 (C4) 의 전단부와 함께 코킹됨으로써, 그 케이블 (C) 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의 플러그 커넥터 (2) 는 다음의 요령으로 만들어진다. 먼저, 도 8(A) 에 나타내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를 성형 금형 (도시 생략) 내에 배치하고, 용융된 유전 재료 (수지 재료) 를 상기 성형 금형의 공간 내에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킴으로써, 유전체 (60) 를 성형한다. 이 결과, 도 8(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내부 도체 (50) 가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전체 (60) 에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띠판부 (51) 가 유전체 (60) 의 대직경부 (61A) 에 유지됨과 함께,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가 유전체 (60) 의 기부 (62A) 에 유지된다 (도 3 도 참조).
다음으로, 플러그 외부 도체 (70) 를 굴곡 형성하기 전의 금속판 부재를 준비하고, 덮개부 (71) 및 배판부 (72) 의 양측의 측가장자리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부) 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금속판 부재를 직각으로 굴곡하고, 도 9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제 1 중간 부재 (70A) 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1 중간 부재 (70A) 상에 유전체 (60) 를 배치한다. 이 때, 제 1 중간 부재 (70A) 의 덮개부 (71) 상에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가 위치함과 함께, 배판부 (72) 의 전반부 상에 결선 유지부 (62) 가 위치하도록, 유전체 (60) 를 배치한다. 또한, 제 1 중간 부재 (70A) 의 전단측 부분을 굴곡하여 끼워 맞춤 동체부 (73) 및 아암 형상부 (74) 를 형성함으로써, 도 10(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제 2 중간 부재 (70B) 를 형성한다. 이 결과, 끼워 맞춤 동체부 (73) 내에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가 수용된다. 또한,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내주면과 단차상 통부 (61) 의 외주면 사이에 환상의 외측 수용부 (73D) 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0(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C) 의 전단부를 배판부 (72) 상에 배치한다. 이 때, 케이블 (C) 의 전단부에서 노출된 심선 (C1) 이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의 후반부의 노출된 판면에 배치된다 (도 3 참조). 계속해서, 심선 (C1) 을 결선부 (53) 에 대하여 땜납 접속한다. 다음으로, 도 11(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외부 도체 (70) 를 부분적으로 굴곡하여, 복판부 (76), 실드 유지부 (77) 및 케이블 유지부 (78) 를 형성한다. 이 결과, 복판부 (76) 의 단판부 (76B) 는, 유전체 (60) 의 압접부 (62B) 를 상기 결선 부분을 향하여 압압하고, 압접부 (62B) 를 통하여 상기 결선 부분을 확실하게 유지한다 (도 3 참조).
또한, 도 7 의 XIB-XIB 단면도인 도 11(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판부 (76B) 의 하면 (판면) 이 아암 형상부 (74) 의 후방 접촉부 (74B-1) 의 상면 (판면) 에 접압을 가지고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1(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드 유지부 (77) 가, 노출된 실드 선 (C3) 과 함께 코킹되어, 그 실드 선 (C3) 을 유지함과 함께, 그 실드 선 (C3) 과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케이블 유지부 (78) 가, 외피 (C4) 의 전단부와 함께 코킹되어, 그 케이블 (C) 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러그 커넥터 (2) 가 완성된다.
이상의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 (1) 와 플러그 커넥터 (2) 는, 다음의 요령으로 끼워 맞춤 접속된다. 먼저, 도 1 및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에 리셉터클 커넥터 (1) 를 배치하고,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접속부 (22A) 를 신호 회로부 (B2) 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돌출부 (12) 를 그라운드 회로부 (B1) 에 땜납 접속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1) 를 회로 기판 (B) 에 실장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1) 를 수용부 (33) 가 상방을 향하여 개구한 자세로 위치시킴과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상방에서, 플러그 커넥터 (2) 의 내측 수용부 (61C) (도 3 참조) 및 외측 수용부 (73D) (도 3 참조) 가 하방을 향한 자세로 그 플러그 커넥터 (2) 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 (2) 를 하강시켜 리셉터클 커넥터 (1) 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춤 접속시킨다. 이 때,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가 플러그 커넥터 (2) 의 외측 수용부 (73D) 내에 하방으로부터 진입한다. 그 결과,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외부 접촉부 (11A) 와, 플러그 외부 도체 (70) 의 제 1 외부 접촉부 (73A-1) 및 제 2 외부 접촉부 (73B-1) 가 서로 접압을 가지고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 때, 외부 접촉부 (11A) 와 제 1 외부 접촉부 (73A-1) 및 제 2 외부 접촉부 (72A) 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걸림되어 로크 상태가 되어, 커넥터끼리의 예기치 않은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내부 접촉부 (21A) 가,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1 쌍의 내부 접촉부 (52)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진입하고, 그 내부 접촉부 (52) 의 접촉 돌기부 (52A) 에 의해 협압되어 접촉함으로써, 내부 접촉부 (21A) 와 내부 접촉부 (52) 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넥터 끼워 맞춤 동작이 완료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2) 의 외측 수용부 (73D) 내에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가 진입했을 때, 플러그 커넥터 (2) 의 만곡판부 (73B) 가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확대되도록 탄성 변위한다. 그 결과,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만곡판부 (73B) 가 플러그 외부 도체 (70) 의 아암 형상부 (74) 의 전방 접촉부 (74B-2) 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접압을 가지고 접촉한다. 또한, 아암 형상부 (74) 의 후방 접촉부 (74B-1) 는 복판부 (76) 의 단판부 (76B) 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도 11(B) 참조),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만곡판부 (73B) 와 전방 접촉부 (74B-2) 의 접촉에 의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와 복판부 (76) 가, 만곡판부 (73B), 전방 접촉부 (74B-2) 및 후방 접촉부 (74B-1) 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 결과,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아암 형상부 (74) 의 탄성 아암부 (74B), 및 복판부 (76) 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와 케이블 (C) 의 결선 부분을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보았을 때, 그 결선 부분을 둘러싸도록 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턴 패스가 존재하게 되고, 그 결과, 실드성이 대폭 향상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에 내부 유전체 (30) 의 기립부 (32) 를 삽입한 상태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를 내부 유전체 (30) 에 장착함으로써, 그 내부 유전체 (30) 에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를 유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지만, 유지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유전체가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리셉터클 외부 도체 및 리셉터클 내부 도체의 양방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이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 도 12(A) ∼ (C) 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도 12(A) ∼ (C)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 커넥터 (101)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각 부재를,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A) 는, 캐리어 (P3) 가 부착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0P) (이하, 「캐리어가 부착된 외부 도체 (110P)」 라고 한다) 와 캐리어 (P4) 가 부착된 리셉터클 내부 도체 (120P) (이하,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 (120P)」 라고 한다) 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 는, 도 12(A) 의 캐리어가 부착된 외부 도체 (110P) 및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 (120P) 를 내부 유전체 (130) 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C) 는, 캐리어 (P3, P4) 를 절제하여 완성한 리셉터클 커넥터 (101) 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A) ∼ (C) 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10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부호 「101」 을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 (101) 의 구성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0) 및 리셉터클 내부 도체 (120) 의 양방이 내부 유전체 (130) 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 (1) 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0) 의 통상부 (111) 에는, 도 12(A) ∼ (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통상부 (111) 의 내주면으로부터 잠김과 함께 그 통상부 (111) 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는 걸림 오목부 (111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유전체 (130) 의 기립부 (132) 에는, 도 12(B), (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기립부 (132)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그 통상부 (111) 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는 걸림 돌기부 (132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B), (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걸림 돌기부 (132A) 는, 걸림 오목부 (111B) 내에 위치하고, 그 걸림 오목부 (111B)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걸림되어 있고, 이에 의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0) 로부터의 내부 유전체 (130) 의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내부 도체 (120) 의 연장부 (122) 는, 그 하면이 전역에서 평탄면을 이루고 있고,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실장면에 배치되었을 때에, 하면 전역에서 실장면에 접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2(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 (P4) 는, 리셉터클 내부 도체 (120) 의 연장부 (122) 의 외단 (통상부 (111) 의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 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캐리어 (P4)는,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통상부 (111) 보다 내측으로 크랭크상으로 굴곡된 내측 크랭크부 (P4A) 와,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통상부 (111) 보다 외측에서 크랭크상으로 굴곡된 외측 크랭크부 (P4B) 를 가지고 있다. 내측 크랭크부 (P4A) 와 외측 크랭크부 (P4B) 의 연결 부분 (P4C) 은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통상부 (111) 의 위치에서 그 통상부 (111)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통상부 (111) 의 하단이 상하 방향으로 리셉터클 내부 도체 (120) 의 연장부 (122) 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있어도, 캐리어 (P4) 와 통상부 (111) 가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P4) 에 내측 크랭크부 (P4A) 와 외측 크랭크부 (P4B) 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외측 크랭크부 (P4B) 를 형성하지 않고 내측 크랭크부 (P4A) 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캐리어 (P4) 와 통상부 (111) 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 (101) 는, 다음의 요령으로 만들어진다. 먼저, 리셉터클 내부 도체 (120) 의 연장부 (122) 의 외단 (선단) 으로부터 캐리어 (P4) 가 연장되어 있는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 (120P) (도 12(A) 참조) 를 준비한다. 캐리어 (P4) 는, 연장부 (122) 의 외단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0) 의 돌출부 (112) 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로부터 캐리어 (P3) 가 그 돌출부 (112) 의 판면 (판 두께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 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캐리어가 부착된 외부 도체 (110P) (도 12(A) 참조) 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12(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내부 도체 (120P) 를 캐리어가 부착된 외부 도체 (110P) 의 내부 공간에 배치한다. 이 결과,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0) 가, 통상부 (111) 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리셉터클 내부 도체 (120) 를 둘러싸, 상하 방향으로 내부 접촉부 (121A) 전체를 포함함과 함께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0) 의 하단이 접속부 (122A) 의 범위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또한, 내부 접촉부 (121A) 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통상부 (111) 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통상부 (111) 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캐리어 (P4) 와 접속부 (122A) 의 경계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 (120P) 를, 그리고 캐리어 (P3) 의 일부에서 캐리어가 부착된 외부 도체 (110P) 를, 성형 금형 (도시 생략) 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지한다. 다음으로, 용융된 유전성 재료를 상기 성형 금형의 공간 내에 주입하고, 내부 유전체 (130) 를 성형하여, 그 내부 유전체 (130) 의 저판부 (131) 에서 리셉터클 내부 도체 (120) 의 직립부 (121) 의 하단부 및 리셉터클 내부 도체 (120) 의 연장부 (122)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한다 (도 12(B) 참조). 또한, 내부 유전체 (130) 의 걸림 돌기부 (132A) 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0) 의 걸림 오목부 (111B) 내에 형성되고, 그 걸림 돌기부 (132A) 가 걸림 오목부 (111B)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걸림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 금형을 발출함으로써, 통상부 (111) 의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 (131A) 를 저판부 (131) 에 형성한다 (도 12(B) 참조).
다음으로, 캐리어 (P3) 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0) 의 돌출부 (112) 의 경계 위치 (도 12(B) 에서 파선으로 도시) 에서, 캐리어 절제용의 지그 (도시 생략) 에 의해 캐리어 (P3) 를 돌출부 (112) 로부터 절제한다. 또한, 관통부 (131A)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경계 위치 (도 12(B) 에서 파선으로 도시) 에서, 캐리어 절제용의 지그 (도시 생략) 에 의해 캐리어 (P4) 를 접속부 (122A) 로부터 절제한다. 이 때, 캐리어 절제용의 지그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0) 의 통상부 (111) 에 간섭하지 않도록 상방 혹은 하방으로부터도 가져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캐리어 (P3, P4) 를 절제함으로써, 도 12(C) 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 (101) 가 완성된다.
1, 101 ; 리셉터클 커넥터
2 ; 플러그 커넥터
10, 110 ;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 111 ; 통상부
20, 120 ;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P ;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
21, 121 ; 직립부
21A, 121A ; 내부 접촉부
22, 122 ; 연장부
22A, 122A ; 접속부
30, 130 ; 내부 유전체
31, 131 ; 저판부
31A, 131A ; 관통부
32, 132 ; 기립부
33 ; 수용부
50 ; 플러그 내부 도체
52 ; 내부 접촉부
60 ; 유전체
70 ; 플러그 외부 도체
73 ; 끼워 맞춤 동체부
73C ; 간극
74 ; 아암 형상부
74A ; 기아암부
74B ; 탄성 아암부
74B-1 ; 후방 접촉부
74B-2 ; 전방 접촉부
76 ; 복판부
76A ; 후방측 판부
76B ; 단판부
B ; 회로 기판
C ; 케이블
P1, P2, P3, P4 ; 캐리어

Claims (5)

  1. 회로 기판에 접속되고, 그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통상부를 갖는 금속제의 외부 도체와, 그 통상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금속제의 내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및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도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부와, 그 직립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통상부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직립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을 위한 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측 부분에,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는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는, 상기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외부 도체에 둘러싸여 있고, 상하 방향으로 상기 내부 접촉부 전체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도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유전체는, 상기 회로 기판의 면을 따른 하면을 가지고 상기 외부 도체의 하단부 및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연장부를 유지하는 저판부를 갖고,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접속부의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통상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유전체의 상기 저판부는, 적어도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통상부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의 상기 외단을 포함하는 범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의 외단측 부분이, 상기 관통부 내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2. 회로 기판에 접속되고, 그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통상부를 갖는 금속제의 외부 도체와, 그 통상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금속제의 내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및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 재료제의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도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부와, 그 직립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통상부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직립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을 위한 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측 부분에,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연장부의 외단으로부터 캐리어가 상기 통상부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를, 상기 캐리어와 상기 접속부의 경계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상기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를 성형 금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지하고,
    용융된 유전성 재료를 성형 금형의 공간 내에 주입하고, 상기 회로 기판의 면을 따라 연장되는 저판부와 그 저판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여 상기 외부 도체의 통상부 내에 장착되는 통상의 기립부를 갖는 상기 유전체를 성형하여, 상기 저판부에서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연장부를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하고,
    상기 성형 금형을 발출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상기 저판부에 형성하고,
    상기 관통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경계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접속부로부터 절제하고,
    상기 유전체의 상기 기립부를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통상부 내에 삽입하고, 상기 내부 도체가, 상기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외부 도체에 둘러싸이고, 상하 방향으로 상기 내부 접촉부 전체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도체의 범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유전체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의 상기 기립부를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통상부 내에 압입하여 장착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유전체에 장착하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의 상기 기립부를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통상부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그 통상부를 코킹하여 장착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유전체에 장착하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5. 회로 기판에 접속되고, 그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통상부를 갖는 금속제의 외부 도체와, 그 통상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금속제의 내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및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 재료제의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도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부와, 그 직립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통상부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직립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을 위한 내부 접촉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측 부분에,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연장부의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단으로부터 캐리어가 상기 통상부의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방으로 연장되고, 그 캐리어가 상기 반경 방향으로 그 통상부의 위치에서 그 통상부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크랭크상으로 굴곡된 부분을 가지고 있는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를 외부 도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내부 도체가, 상기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외부 도체에 둘러싸여, 상하 방향으로 상기 내부 접촉부 전체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도체의 범위에 위치한 상태로 하고,
    상기 통상부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와 상기 접속부의 경계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상기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를 성형 금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지하고,
    용융된 유전성 재료를 성형 금형의 공간 내에 주입하고, 상기 회로 기판의 면을 따라 연장되는 저판부를 갖는 상기 유전체를 성형하여, 상기 저판부에서 상기 외부 도체의 하단부와 상기 내부 도체의 상기 연장부를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하고,
    상기 성형 금형을 발출함으로써, 상기 통상부의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상기 저판부에 형성하고,
    상기 관통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경계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접속부로부터 절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210016964A 2020-02-10 2021-02-05 동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7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0414 2020-02-10
JP2020020414A JP7344150B2 (ja) 2020-02-10 2020-02-10 同軸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087A true KR20210102087A (ko) 2021-08-19
KR102667029B1 KR102667029B1 (ko)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6460A (ja) 2017-07-04 2019-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基板実装型同軸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6460A (ja) 2017-07-04 2019-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基板実装型同軸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58322B (zh) 2024-02-06
JP2023115392A (ja) 2023-08-18
JP2021125440A (ja) 2021-08-30
US20210249827A1 (en) 2021-08-12
TW202135402A (zh) 2021-09-16
TWI803814B (zh) 2023-06-01
JP7344150B2 (ja) 2023-09-13
US11367982B2 (en) 2022-06-21
CN113258322A (zh)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9970B1 (en) Cable assembly,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CN113258322B (zh) 同轴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2016072067A (ja) コネクタ
JP670802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EP1098397B1 (en) Equipment direct-mounting type shiel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2022000836A (ja)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US11303076B2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KR102667029B1 (ko) 동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CN113196580B (zh) 端子模块及连接器
JP7363703B2 (ja) コネクタ構造体
CN113196583B (zh) 带端子电线、端子模块及连接器
JP3824269B2 (ja) 電線用コネクタ
KR102667028B1 (ko) 동축 전기 커넥터
WO2024048238A1 (ja) コネクタ
US10700476B2 (en) Electrical connector
JP745412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11742624B2 (en) High-frequency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s covering cable conductors and terminals
JP2023171106A (ja) コネクタ
CN111864434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2006107802A (ja) 電子素子内蔵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5317257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5149905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100330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