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028B1 - 동축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028B1
KR102667028B1 KR1020210016963A KR20210016963A KR102667028B1 KR 102667028 B1 KR102667028 B1 KR 102667028B1 KR 1020210016963 A KR1020210016963 A KR 1020210016963A KR 20210016963 A KR20210016963 A KR 20210016963A KR 102667028 B1 KR102667028 B1 KR 102667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fitting body
mating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086A (ko
Inventor
유진 하가
마사히로 츠치다
츠바사 가네코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2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케이블이 접속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외부 도체에 있어서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가 이간하여 위치하고 있어도 충분한 실드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동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외부 도체 (70) 는, 끼워 맞춤 동체부 (73) 로부터 연장되는 아암 형상부 (74) 를 갖고, 아암 형상부 (74) 는,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 (73) 에 접촉 가능한 전방 접촉부 (74B-2) 와, 복판부 (76) 에 접촉 가능한 후방 접촉부 (74B-1) 를 갖고, 상기 전방 접촉부 (74B-2) 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 (73) 에 접촉함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 (74B-1) 가 상기 복판부 (76) 에 접촉함으로써, 상대 외부 도체와 복판부 (76) 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 (73), 상기 전방 접촉부 (74B-2) 및 상기 후방 접촉부 (74B-1) 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동축 전기 커넥터{COAXIAL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전단부가 결선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동축 커넥터 축선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동축 전기 커넥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플러그 커넥터 (특허문헌 1 에서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이하, 특허문헌 1 에 사용되는 말은 ( ) 안에 나타낸다) 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의 플러그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실장된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직각인 상하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삽입 발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 플러그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평행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축 케이블의 전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춤 접속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탄성 접촉편 (접촉부) 을 갖는 내부 도체로서의 플러그 단자 (단자) 와, 그 플러그 단자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플러그 하우징 (하우징) 과, 그 플러그 하우징을 수용하는 외부 도체로서의 플러그 쉘 (외부 도체 쉘) 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 쉘은, 금속판 부재를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의 평판부 (하우징 수용부) 와, 그 평판부의 전반부의 범위에 위치하여 그 평판부로부터 기립하는 끼워 맞춤 동체부 (통부) 와, 그 끼워 맞춤 동체부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평판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복판부 (심선 코킹부) 와, 상기 평판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복판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블 유지부 (외부 도체 코킹부) 를 가지고 있다.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는, 상기 플러그 단자의 상기 탄성 접촉편을 전방 및 측방으로부터 둘러싸고 있다. 상기 복판부는, 케이블의 심선과 플러그 단자의 결선 부분을 덮고 있고, 굴곡 변형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부를 개재하여 상기 결선 부분을 간접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상기 케이블 유지부는, 상기 복판부보다 후방 위치에서 코킹되어 케이블의 실드 선 (외부 도체) 을 직접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상대 커넥터인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축부 (접촉부) 를 갖는 내부 도체로서의 리셉터클 단자 (단자)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접촉 축부를 둘러싸는 통상부 (통부) 를 가지는 외부 도체로서의 리셉터클 쉘 (외부 도체 쉘) 과, 상기 접촉 축부의 하단부 및 상기 통상부의 하단부를 일체적으로 유지하는 절연성의 판상의 리셉터클 하우징 (통내 절연체 및 통외 절연체) 을 가지고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춤 접속되면, 상기 플러그 단자의 탄성 접촉편과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접촉 축부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여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플러그 쉘의 끼워 맞춤 동체부와 상기 리셉터클 쉘의 통상부가 서로 끼워 맞춤된 상태에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고, 상기 플러그 쉘 및 상기 리셉터클 쉘에 의해 실드성이 확보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006012
특허문헌 1 에서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쉘의 끼워 맞춤 동체부와 상기 리셉터클 쉘의 통상부가 끼워 맞춤되어 접촉함으로써, 실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플러그 쉘에서는,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는 전후 방향으로 근접하고 있기는 하지만, 서로 이간되어 있어,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양자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는 직접적으로는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신호의 전송 경로를 따라 그 끼워 맞춤 동체부 그리고 그 복판부가 접하여 연결되는 리턴 패스 (이른바 리턴 전류의 전송 경로) 가 형성되는 경우는 없다. 이 결과, 상기 플러그 쉘의 끼워 맞춤 동체부와 상기 리셉터클 쉘의 통상부가 끼워 맞춤되어도, 충분한 실드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케이블이 접속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의 외부 도체에 있어서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가 이간하여 위치하고 있어도 충분한 실드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동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과제는, 다음의 제 1 발명 내지 제 5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에 의해 해결된다.
<제 1 발명>
제 1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전단부가 결선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동축 커넥터 축선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내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내부 접촉부를 갖는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를 수용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내부 접촉부를 포위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외부 도체에 끼워 맞춤하여 접촉 가능한 끼워 맞춤 동체부와, 그 끼워 맞춤 동체부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케이블의 결선 부분을 덮는 복판부를 갖는다.
이러한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아암 형상부를 갖고, 상기 아암 형상부는,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에 접촉 가능한 전방 접촉부와, 상기 복판부에 접촉 가능한 후방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전방 접촉부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에 접촉함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가 상기 복판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대 외부 도체와 상기 복판부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 상기 전방 접촉부 및 상기 후방 접촉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 발명에서는, 외부 도체의 끼워 맞춤 동체부가 상대 외부 도체에 끼워 맞춤되어 접촉함과 함께, 아암 형상부의 전방 접촉부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에 접촉하고 있고, 또한, 그 아암 형상부의 후방 접촉부가 복판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아암 형상부가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간극이, 상기 아암 형상부에 의해 덮이게 된다. 또한, 상대 외부 도체와 복판부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 상기 전방 접촉부 및 상기 후방 접촉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상대 외부 도체, 아암 형상부 그리고 복판부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되어, 실드성이 향상된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암 형상부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 (基) 아암부와, 삽입 발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상기 기아암부보다 내측 위치에서, 상기 기아암부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 아암부를 갖고, 상기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전방 접촉부를 그 탄성 아암부의 전단부에 가지고 있음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를 상기 전방 접촉부보다 후방 위치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방 접촉부를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에 대하여 충분한 접압을 가지고 접촉시킬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판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측판부와, 그 측판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단판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탄성 아암부는, 상기 단판부와 삽입 발출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중복하여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그 부분에 상기 후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접촉부에서 상기 단판부의 판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2 발명>
제 2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전단부가 결선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동축 커넥터 축선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내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내부 접촉부를 갖는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를 수용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내부 접촉부를 포위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외부 도체에 끼워 맞춤되어 접촉 가능한 끼워 맞춤 동체부와, 그 끼워 맞춤 동체부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케이블의 결선 부분을 덮는 복판부를 갖는다.
이러한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2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복판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전방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전방 접촉부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대 외부 도체와 상기 복판부가 상기 전방 접촉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 발명에서는, 복판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편에 형성된 전방 접촉부가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접촉편이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대 외부 도체와 복판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대 외부 도체와 복판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간극이, 상기 접촉편에 의해 덮이게 된다. 또한, 전방 접촉부가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함으로써, 상대 외부 도체, 끼워 맞춤 동체부, 상기 접촉편 그리고 복판부를 거치는 리턴 패스, 혹은, 상대 외부 도체, 상기 접촉편 그리고 복판부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되어, 실드성이 향상된다.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판부는, 삽입 발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측판부와, 그 측판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단판부를 갖고, 상기 단판부는, 그 단판부의 전단 근처 위치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그 슬릿보다 전방 위치에서 그 슬릿을 따라 연장되어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탄성편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접촉편의 전방 접촉부를,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대 외부 도체에 대하여, 충분한 접압을 가지고 접촉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삽입 발출 방향에서의 상기 단판부보다 상기 결선 부분측에서, 전후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는 내판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위치에 내판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판부에 슬릿을 형성한 것에 의한 실드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3 발명>
제 3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전단부가 결선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동축 커넥터 축선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내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내부 접촉부를 갖는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를 수용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내부 접촉부를 포위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외부 도체에 끼워 맞춤하여 접촉 가능한 끼워 맞춤 동체부와, 그 끼워 맞춤 동체부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케이블의 결선 부분을 덮는 복판부를 갖는다.
이러한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3 발명에서는, 상기 동축 전기 커넥터는, 상기 복판부에 장착되는 금속제의 중계 부재를 갖고, 상기 중계 부재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전방 접촉부와, 상기 복판부에 접촉 가능한 후방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전방 접촉부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함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가 상기 복판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대 외부 도체와 상기 복판부가 상기 전방 접촉부 및 상기 후방 접촉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 발명에서는, 중계 부재의 전방 접촉부가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함과 함께, 후방 접촉부가 복판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중계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대 외부 도체와 복판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대 외부 도체와 복판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간극이, 중계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덮이게 된다. 또한, 전방 접촉부가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함과 함께, 후방 접촉부가 복판부에 접촉함으로써, 상대 외부 도체, 끼워 맞춤 동체부, 중계 부재 그리고 복판부를 거치는 리턴 패스, 혹은, 상대 외부 도체, 중계 부재 그리고 복판부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되어, 실드성이 향상된다.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판부는, 삽입 발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측판부와, 그 측판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단판부를 갖고, 상기 중계 부재는, 상기 단판부를 따라 연장되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전방 접촉부는, 상기 접촉편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 접촉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전방 접촉부는, 상기 접촉편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접촉편의 전방 접촉부는 끼워 맞춤 동체부 혹은 상대 외부 도체에 대하여, 충분한 접압을 가지고 접촉할 수 있다.
<제 4 발명>
제 4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전단부가 결선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동축 커넥터 축선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내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내부 접촉부를 갖는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를 수용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내부 접촉부를 포위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외부 도체에 끼워 맞춤하여 접촉 가능한 끼워 맞춤 동체부와, 그 끼워 맞춤 동체부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케이블의 결선 부분을 덮는 복판부를 갖는다.
이러한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4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아암 형상부를 갖고, 상기 아암 형상부는,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전방 접촉부와, 상기 복판부에 접촉 가능한 후방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전방 접촉부가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함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가 상기 복판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대 외부 도체와 상기 복판부가 상기 전방 접촉부 및 상기 후방 접촉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4 발명에서는, 아암 형상부의 전방 접촉부가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함과 함께, 그 아암 형상부의 후방 접촉부가 복판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아암 형상부가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간극이, 상기 아암 형상부에 의해 덮이게 된다. 또한, 상대 외부 도체와 복판부가 상기 전방 접촉부 및 상기 후방 접촉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상대 외부 도체, 아암 형상부 그리고 복판부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되어, 실드성이 향상된다.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암 형상부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아암부와, 삽입 발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상기 기아암부보다 내측 위치에서, 상기 기아암부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삽입 발출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 아암부를 갖고, 상기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전방 접촉부를 그 탄성 아암부의 전단부에 가지고 있음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를 상기 전방 접촉부보다 후방 위치에 가지고 있고, 상기 전방 접촉부는, 상기 삽입 발출 방향으로 상기 상대 커넥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보다 외측에서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암 형상부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아암부와, 삽입 발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상기 기아암부보다 내측 위치에서, 상기 기아암부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 아암부를 갖고, 상기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전방 접촉부를 그 탄성 아암부의 전단부에 가지고 있음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를 상기 전방 접촉부보다 후방 위치에 가지고 있고, 상기 전방 접촉부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에 끼워 맞춤하는 상기 상대 외부 도체의 상대 끼워 맞춤 동체부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판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측판부와, 그 측판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단판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탄성 아암부는, 상기 단판부와 삽입 발출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중복하여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그 부분에 상기 후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접촉부에서 상기 단판부의 판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2 발명, 제 3 발명 및 상기 전방 접촉부가 상대 끼워 맞춤 동체부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의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는, 그 끼워 맞춤 동체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간극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방 접촉부는, 상기 간극 내에 위치하여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에 상기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상기 전방 접촉부가 상기 간극 내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그 간극에 있어서의 실드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제 5 발명>
제 5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전단부가 결선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동축 커넥터 축선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내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내부 접촉부를 갖는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를 수용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내부 접촉부를 포위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외부 도체에 끼워 맞춤하여 접촉 가능한 끼워 맞춤 동체부와, 그 끼워 맞춤 동체부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케이블의 결선 부분을 덮는 복판부를 갖는다.
이러한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5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복판부에 접촉하는 접점부를 갖고, 상기 접점부가 상기 복판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대 외부 도체와 상기 복판부가 상기 접점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5 발명에서는,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촉편의 접점부가 복판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접촉편이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간극이, 상기 접촉편에 의해 덮이게 된다. 또한, 상대 외부 도체와 복판부가 상기 접촉편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상대 외부 도체, 끼워 맞춤 동체부, 접촉편 그리고 복판부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되어, 실드성이 향상된다.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판부는, 삽입 발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측판부와, 그 측판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단판부를 갖고, 상기 접촉편은, 전후 방향으로 상기 단판부의 범위 내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접촉편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삽입 발출 방향으로 상기 단판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판부는, 상기 접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단판부의 판면으로부터 삽입 발출 방향으로 상기 접점부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가지고 있고, 그 돌기부에서 상기 접점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단판부와 접촉편을 접점부에서 접압을 가지고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판부의 범위 내까지 이르는 걸림편을 갖고, 그 걸림편은, 삽입 발출 방향으로 상기 단판부보다 상기 결선 부분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 결선 부분측으로부터 상기 단판부의 판면에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동축 전기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로부터 발출할 때, 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끼워 맞춤 동체부는, 상대 커넥터와의 마찰 등에 의해 발출력과는 반대 방향의 외력을 받는다. 제 5 발명에서는,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편이 삽입 발출 방향으로 단판부의 판면에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발출시에, 그 걸림편이 단판부와 걸림됨으로써, 그 걸림편이 단판부로부터 받는 걸림력 (상기 발출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으로 상기 외력에 대항할 수 있기 때문에, 동축 전기 커넥터를 파손시키지 않고, 보다 확실하게 발출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상기 접촉편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걸림편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단판부와 측판부의 연결 부분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결과, 커넥터 발출시에 있어서 걸림편이 단판부와 걸림되었을 때에, 그 단판부가 삽입 발출 방향에서의 결선 부분측과는 반대측으로 변위하게 되는 것을 최대한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여 위치하고 있어도, 그 끼워 맞춤 동체부와 복판부 사이에, 그 외부 도체의 일부 혹은 그 외부 도체에 장착되는 중계 부재의 일부가 위치하고, 그 외부 도체의 일부 혹은 그 중계 부재의 일부를 통하여, 신호의 전송 경로를 따른 리턴 패스가 형성되기 때문에, 실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 동축 전기 커넥터와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로, 커넥터 끼워 맞춤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 는 사시도, 도 4(B) 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리셉터클 동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A) 는 평면도, 도 5(B) 는 저면도이다.
도 6 은, 리셉터클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각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6(A) 는,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내부 도체를 내부 유전체로 유지한 상태, 도 6(B) 는,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외부 도체, 도 6(C) 는, 도 6(A) 의 내부 도체를 도 6(B) 의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외부 도체에 압입한 상태를,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도 1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8(A) 는, 플러그 내부 도체를 단체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B) 는 도 8(A) 의 플러그 내부 도체를 내부 유전체로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플러그 외부 도체의 제 1 중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는, 플러그 외부 도체의 제 2 중간 부재에 도 8(B) 의 플러그 내부 도체를 유지한 내부 유전체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B) 는, 도 10(A) 의 플러그 내부 도체에 케이블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 는, 도 10(B) 의 제 2 중간 부재의 일부를 굴곡함으로써 완성된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1(B) 는, 도 7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XIB-XIB 단면도이다.
도 12(A)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2(B) 는 도 12(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외부 도체의 복판부, 실드 유지부, 케이블 유지부를 절곡 가공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A) 는, 도 12(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13(B) 는 도 13(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XIIIB-XIIIB 단면도이다.
도 14(A)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4(B) 는 도 14(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를, 중계 부재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14(C) 는 중계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5(A)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5(B) 는 도 15(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외부 도체의 복판부, 실드 유지부, 케이블 유지부를 절곡 가공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 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16(A)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직전의 상태, 도 16(B)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 은,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17(A)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직전의 상태, 도 17(B)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A) 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8(B) 는 도 18(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외부 도체의 복판부, 실드 유지부, 케이블 유지부를 절곡 가공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9(A) 는, 도 18(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19(B) 는 도 19(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XIXB-XIXB 단면도이다.
도 20(A)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외부 도체의 복판부, 실드 유지부, 케이블 유지부를 절곡 가공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0(B) 는 도 20(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1(A)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를 도 20(A) 의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21(B) 는 도 21(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XXIB-XXIB 단면도이고, 도 21(C) 는 도 21(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XXIC-XXIC 단면도이다.
도 22(A) 는, 제 6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외부 도체의 복판부, 실드 유지부, 케이블 유지부를 절곡 가공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2(B) 는 도 22(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3(A) 는, 제 6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를 도 22(A) 의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23(B) 는 도 23(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XXIIIB-XXIIIB 단면도이고, 도 23(C) 는 도 23(A) 의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의 XXIIIC-XXIIIC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 동축 전기 커넥터 (1) (이하, 「리셉터클 커넥터 (1)」 라고 한다) 와, 플러그 동축 전기 커넥터 (2) (이하, 「플러그 커넥터 (2)」 라고 한다) 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로, 커넥터 끼워 맞춤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에 실장된 상태로 나타나 있지만, 도 2 에서는 회로 기판 (B) 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3 은,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 는 사시도, 도 4(B) 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셉터클 커넥터 (1)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 상에 실장되고, 그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 (Z 축 방향) 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플러그 커넥터 (2) 가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2)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을 이루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C) 의 전단부 (도 1 에서 X1 측의 단부) 가 결선되고, 상하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1) 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이다. 리셉터클 커넥터 (1) 에 대한 상대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2) 이고, 플러그 커넥터 (2) 에 대한 상대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 (1) 이다.
리셉터클 커넥터 (1)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통상부 (11) 를 갖는 금속제의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와, 그 통상부 (11) 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금속제의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및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를 유지하는 내부 유전체 (30) 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후술하는 돌출부 (12) 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유전체 (40) 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는, 도 1 및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통상부 (11) 와, 그 통상부 (11) 의 하단부로부터 그 통상부 (11) 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12) 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 (11) 는,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그 통상부 (11) 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되는 원통상을 이루고 있다.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부 (11) 는, 상하 방향으로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후술하는 직립부 (21) 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연장되어 있다 (도 6(C) 도 참조).
통상부 (11) 는,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 (2) 의 후술하는 플러그 외부 도체 (70) 의 끼워 맞춤 동체부 (73) 가 상방으로부터 외감되도록 되어 있다. 통상부 (11) 는, 도 1, 도 3 및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외부 도체 (70) 의 끼워 맞춤 동체부 (73) 에 접촉 가능한 외부 접촉부 (11A) 를 그 통상부 (11) 의 상단부측에 가지고 있다. 외부 접촉부 (11A) 는, 통상부 (11) 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그 통상부 (11) 의 외주면이 잠긴 환상을 이루고 있다. 외부 접촉부 (11A) 는, 통상부 (11) 의 외주면이 잠기는 것에 의해 형성된 단차부에서 플러그 외부 도체 (70) 의 끼워 맞춤 동체부 (73)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걸림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2) 의 예기치 않은 발출을 저지하도록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B) 참조).
돌출부 (12) 는, 도 1, 도 3 및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부 (11) 의 하단부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친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그 통상부 (11) 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즉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정방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도 5(A) 참조). 돌출부 (12) 는,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후술하는 연장부 (22) 나아가서는 접속부 (22A) 와 대략 동일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도 6(C) 도 참조). 또한, 돌출부 (12) 의 하면은 접속부 (22A) 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돌출부 (12) 는, 도 3 및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 상의 그라운드 회로부 (B1) 에 땜납 접속되고, 이에 의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가 그라운드 회로부 (B1) 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도 5(A) 는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평면도이고, 도 5(B) 는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저면도이다.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는, 도 3 및 도 5(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상의 직립부 (21) 와, 그 직립부 (21) 의 하단측 부분으로부터 통상부 (11) 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즉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을 따라 연장되는 띠상의 연장부 (22) 를 가지고 있다. 직립부 (21) 는, 통상부 (11) 의 내부 공간에서 후술하는 내부 유전체 (30) 의 저판부 (31) 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내부 접촉부 (21A) 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 접촉부 (21A) 에서 플러그 커넥터 (2) 의 후술하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B)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전체가 통상부 (11) 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연장부 (22) 는, 도 3, 도 4(B), 도 5(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반경 방향으로 통상부 (11) 의 내부 공간의 반경, 나아가서는 내부 유전체 (30) 의 후술하는 수용부 (33) 의 반경보다 짧게 되어 있다. 요컨대, 연장부 (22) 의 외단, 다시 말하면 후술하는 접속부 (22A) 의 외단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통상부 (11) 의 내부, 그리고 내부 유전체 (30) 의 수용부 (33) 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연장부 (22) 의 선단측 부분 (외단측 부분) 은,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직립부 (21) 에 연결되어 있는 근원측 부분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회로 기판 (B) 의 신호 회로부 (B2) 에 접속되는 접속부 (22A) 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22A) 의 하면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실장면의 신호 회로부 (B2) 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다. 접속부 (22A) 는, 상기 실장면 상의 신호 회로부 (B2) 에 접면한 상태로 땜납 접속되고, 이에 의해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가 신호 회로부 (B2) 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내부 유전체 (30) 는, 도 3 및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원판상의 저판부 (31) 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의 내주면을 따라 저판부 (31) 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여 상방으로 개구한 기립부 (32) 를 가지고 있다. 저판부 (31) 는,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판부 (31) 의 하면이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저판부 (31) 는, 상하 방향으로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직립부 (21) 의 하단부 및 연장부 (22) 를 포함하는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고, 직립부 (21) 의 하단부 및 연장부 (22)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고 있다.
저판부 (31) 에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개구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결상의 관통부 (31A)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저판부 (31) 는, 상하 방향으로 보아 원형의 둘레 방향의 일부를 절결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도 5(A), (B) 참조). 관통부 (31A) 는, 도 5(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부 (11) 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부 (22) 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반경 방향으로 저판부 (31) 의 중간 위치부터 외측 가장자리 위치까지 연장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참조).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판부 (31) 의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 (31B) 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기립부 (32) 보다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의 판 두께의 범위 내에서, 통상부 (11)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요컨대, 상기 반경 방향에서의 관통부 (31A) 의 개구부는, 통상부 (11) 의 판 두께의 범위 내에서 통상부 (11)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1) 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관통부 (31A) 는, 통상부 (11) 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막힌 구멍부 (창부) 를 이루고 있다.
기립부 (32) 는 상방으로 개구한 원통상을 이루고 있다. 기립부 (32) 는, 그 외경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고, 통상부 (11) 내에 하방으로부터 압입하여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립부 (32) 가 압입됨으로써, 내부 유전체 (30) 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를 유지하고 있다. 내부 유전체 (30) 의 내부 공간, 즉 기립부 (32) 로 둘러싸인 공간은, 플러그 커넥터 (2) 의 후술하는 소직경부 (61B)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33) 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4(B) 참조).
외부 유전체 (4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돌출부 (12) 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방으로부터 보아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돌출부 (12) 보다 약간 작은 대략 정방형의 외형의 박판상을 이루고 있다. 외부 유전체 (40) 는, 돌출부 (12) 가 회로 기판 (B) 의 그라운드 회로부 (B1) 에 땜납 접속되었을 때의 예기치 않은 땜납 오름, 즉, 용융된 땜납이 돌출부 (12) 의 상면에서 광범위하게 이르러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 (1) 는, 다음의 요령으로 만들어진다. 도 6 은,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각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A) 는,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내부 도체를 내부 유전체로 유지한 상태, (B) 는,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외부 도체, (C) 는, (A) 의 리셉터클 내부 도체를 (B) 의 캐리어가 부착된 리셉터클 외부 도체에 압입한 상태를,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연장부 (22) 의 외단 (선단) 으로부터 띠상의 캐리어 (P1) 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는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 (20P) (도 6(A) 참조) 를 준비하고, 캐리어 (P1) 와 연장부 (22) 의 외단, 다시 말하면 접속부 (22A) 의 외단과의 경계 위치 (도 6(A) 에서의 일점 쇄선의 위치) 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 (20P) 를 성형 금형 (도시 생략) 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유지한다.
다음으로, 용융된 유전성 재료 (수지 재료) 를 상기 성형 금형의 공간 내에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킴으로써 내부 유전체 (30) 를 성형한다 (도 6(A) 참조). 이 결과,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직립부 (21) 의 하단부 및 연장부 (22) 가 내부 유전체 (30) 의 저판부 (31) 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된다. 계속해서, 상기 성형 금형을 발출함으로써,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개구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결상의 관통부 (31A) 를 저판부 (31) 에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성형 금형으로 유지되어 있던 부분, 즉 상기 경계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은, 관통부 (31A) 내에 위치하고, 저판부 (31) 에 유지되지 않고 내부 유전체 (30) 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캐리어 절제용의 지그 (도시 생략) 에 의해 상기 경계 위치에서 캐리어 (P1) 를 접속부 (22A) 로부터 절제한다. 이 결과, 접속부 (22A) 의 외단측 부분은 관통부 (31A) 내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도 5(A), (B) 도 참조).
또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돌출부 (12) 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로부터 캐리어 (P2) 가 돌출부 (12) 의 판면 (판 두께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 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캐리어가 부착된 외부 도체 (10P) (도 6(B) 참조) 를 준비하고, 돌출부 (12) 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성형 금형 (도시 생략) 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유지한다. 다음으로, 용융된 유전 재료 (수지 재료) 를 상기 성형 금형의 공간 내에 주입하여, 돌출부 (12) 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유전체 (40) 를 성형한다 (도 6(B) 참조).
다음으로, 도 6(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유전체 (30) 의 기립부 (32) 를 캐리어가 부착된 외부 도체 (10P) 의 통상부 (11) 내에 하방으로부터 압입하여 장착한다. 그리고, 캐리어 절제용의 지그 (도시 생략) 에 의해, 돌출부 (12) 의 둘레 가장자리와 캐리어 (P2) 의 경계 위치 (도 6(C) 에서의 일점 쇄선의 위치) 에서 캐리어 (P2) 를 돌출부 (12) 로부터 절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1) 가 완성된다.
이상의 요령으로 만들어진 리셉터클 커넥터 (1) 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가 통상부 (11) 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전체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실드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는, 상하 방향으로 내부 접촉부 (21A) 전체와 연장부 (22) 전체를 포함함과 함께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하단이 접속부 (22A) 의 하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요컨대, 리셉터클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하단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거의 간극이 없는 상태로 근접하게 되기 때문에, 더욱 실드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부 (22) 전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충분한 실드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부 (22) 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에는, 그 둘레 방향의 일부에 종래와 같은 절결부는 원래 존재하고 있지 않아, 그 절결부를 막는 것과 같은 금속판 부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 (1) 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 (1) 에서는, 그 제조 과정에 있어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에 내부 유전체 (30) 의 기립부 (32) 를 압입함으로써 장착하는 것으로 했지만, 장착의 공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외부 도체의 통상부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의 기립부를 갖는 내부 유전체를 준비해 두고, 그 기립부를 상기 통상부에 하방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통상부를 반경 방향으로 코킹함으로써 장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장착의 공정에 의해서도 리셉터클 외부 도체를 유전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 (2) 의 구성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 (2)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C) 의 전단부가 결선된 동축 전기 커넥터이다. 케이블 (C) 은,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로서, 금속제의 심선 (C1) 이 유전재제의 케이블 유전체 (C2) 내에 배치되고, 그 케이블 유전체 (C2) 의 주위에는 실드 선 (C3) 이 형성되고, 추가로 그 외주에 유전재제의 외피 (C4) (도 1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C) 의 전단부에서는, 실드 선 (C3) 이 노출되어 있음과 함께, 추가로 실드 선 (C3) 보다 전방에서 심선 (C1) 이 노출되어 있다. 이 노출된 심선 (C1) 은, 플러그 커넥터 (2) 의 후술하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에 대하여 결선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블 (C) 의 전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피 (C4) 및 노출된 실드 선 (C3) 이 플러그 외부 도체 (70) 에 의해 죄어져 유지되어 있다 (도 7 도 참조).
플러그 커넥터 (2) 는,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에 접촉 가능한 금속제의 플러그 내부 도체 (50) 와, 그 플러그 내부 도체 (50)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수지제의 유전체 (60) 와, 그 유전체 (60) 를 수용하는 금속제의 플러그 외부 도체 (7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8(A) 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를 단체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B) 는 도 8(A) 의 플러그 내부 도체 (50) 를 유전체 (60) 로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플러그 내부 도체 (50) 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8(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는 띠판상의 띠판부 (51) 와, 띠판부 (51) 의 전단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 (Z2 방향) 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내부 접촉부 (52) 와, 띠판부 (51)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 (X2 방향) 으로 연장되어 케이블 (C) 의 심선 (C1) 이 결선되는 결선부 (53) 를 가지고 있다.
1 쌍의 내부 접촉부 (52) 는, 도 8(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으로 판면끼리가 대면하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내부 접촉부 (52) 끼리는 도 8(A) 에서의 상단측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돌출되는 접촉 돌기부 (52A) 를 가지고 있다.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내부 접촉부 (21A) 가 1 쌍의 접촉 돌기부 (52A) 에 협압되어 그 접촉 돌기부 (52A) 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결선부 (53) 는 유전체 (60) 의 후술하는 기부 (62A)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도 8(B) 참조).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결선부 (53) 의 전반부 (X1 측 부분) 는 그 전체 둘레면이 덮이도록 기부 (62A) 내에 매설 유지되어 있지만, 결선부 (53) 의 후반부 (X2 측 부분) 는 그 하면 (도 8(B) 에서는 상면) 을 이루는 판면이 노출된 상태로 기부 (62A) 에 유지되어 있다. 이 결선부 (53) 의 노출된 판면에 케이블 (C) 의 심선 (C1) 이 압착에 의해 결선된다 (도 3 참조). 심선 (C1) 은 땜납 접속에 의해 결선부 (53) 에 결선되어도 된다.
유전체 (60) 는, 도 8(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가지는 유저 통상의 단차상 통부 (61) 와, 그 단차상 통부 (61) 의 후술하는 대직경부 (61A) 의 후단에 연결된 결선 유지부 (62) 를 가지고 있다. 단차상 통부 (61) 는, 도 8(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반부를 이루는 대직경부 (61A) 와, 상반부를 이루고 대직경부 (61A) 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 (61B) 를 가지고 있고, 대직경부 (61A) 와 소직경부 (61B) 의 경계 부분이 단차상을 이루고 있다. 단차상 통부 (61) 는, 그 저부에서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띠판부 (51) 를 유지함과 함께, 그 단차상 통부 (61) 의 내부 공간을 이루는 내측 수용부 (61C) 에서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1 쌍의 내부 접촉부 (52) 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도 3 도 참조). 내측 수용부 (61C) 는, 도 8(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방 (Z2 방향) 으로 개구하고 있고, 그 내측 수용부 (61C) 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내부 접촉부 (21A) 를 수용하여, 그 내부 접촉부 (21A) 와 내부 접촉부 (52) 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4(B) 참조).
결선 유지부 (62) 는, 대직경부 (61A)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 (X2 방향) 으로 연장되는 기부 (62A) 와, 그 기부 (62A) 의 양측 가장자리의 각각의 상부에 연결된 압접부 (62B) 를 가지고 있다. 기부 (62A) 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를 유지하고 있다. 압접부 (62B) 는, 기부 (62A) 와의 연결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쓰러지도록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와 케이블 (C) 의 심선 (C1) 의 결선 부분을 도 8(B) 에서의 상방으로부터 압접함으로써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도 참조).
플러그 외부 도체 (70) 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플러그 외부 도체 (70) 는, 도 1 내지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의 저면 (도 1 에서는 상면) 을 따라 연장되는 덮개부 (71) 와, 덮개부 (71) 로부터 후방 (X2 방향) 을 향하여 연장되는 배판부 (72)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를 포위하는 끼워 맞춤 동체부 (73) 와,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후단에 연결된 아암 형상부 (74) 와, 덮개부 (71) 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도 1 에서의 하방 (Z2 방향) 으로 연장되는 전방측 판부 (75) 와, 배판부 (72) 의 전단부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복판부 (76), 실드 유지부 (77), 케이블 유지부 (78) 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 (71) 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 (판 두께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 을 가지는 평판상을 이루고 있고,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의 저면 (도 3 에서의 상면) 을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배판부 (72) 는, 전후 방향으로 케이블 (C) 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도 3 참조). 도 1 의 플러그 커넥터 (2) 를 상하 반전하여 나타낸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 동체부 (73) 는, 덮개부 (71) 의 전단 가장자리에서 굴곡되어 도 2 에서의 상방 (Z2 방향) 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판부 (73A) 와, 그 전판부 (73A) 의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를 따라 만곡하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만곡판부 (73B) 를 가지고 있다 (도 7 도 참조).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판부 (73A) 는, 그 전판부 (73A) 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나서 후방측에서 하방으로 되접어 꺾인 제 1 외부 접촉부 (73A-1) 를 가지고 있다 (도 3 도 참조). 이 제 1 외부 접촉부 (73A-1)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외부 접촉부 (11A) 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하 방향에서는 외부 접촉부 (11A) 에 걸림되어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B) 참조).
1 쌍의 만곡판부 (73B) 는, 도 2 에서의 만곡판부 (73B) 의 상단부측에서,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됨과 함께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외부 접촉부 (73B-1) 를 가지고 있다. 제 2 외부 접촉부 (73B-1) 는, 상기 반경 방향에서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외부 접촉부 (11A) 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하 방향에서는 외부 접촉부 (11A) 에 걸림되어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B) 참조). 또한, 도 2 및 도 7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 쌍의 만곡판부 (73B) 의 후단 사이에는 간극 (73C)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7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판부 (73A) 와 1 쌍의 만곡판부 (73B) 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가 수용되어 있다. 이 전판부 (73A) 및 1 쌍의 만곡판부 (73B) 와 단차상 통부 (61) 사이에 형성되는 대략 환상 공간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를 수용 가능한 외측 수용부 (73D) 를 이루고 있다 (도 4(B) 도 참조).
아암 형상부 (74) 는, 도 7 및 도 10(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만곡판부 (73B) 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아암부 (74A) 와, 커넥터 폭 방향으로 기아암부 (74A) 보다 내측 위치에서 기아암부 (74A) 의 후단부에 연결된 탄성 아암부 (74B) 를 가지고 있다 (도 9 도 참조). 탄성 아암부 (74B) 는, 도 10(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보아 L 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기아암부 (74A) 의 후단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접촉부 (74B-1) 와, 후방 접촉부 (74B-1) 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접촉부 (74B-2) 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탄성 아암부 (74B) 는, 그 전단부에 전방 접촉부 (74B-2) 를 가지고 있음과 함께, 전방 접촉부 (74B-2)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후단부에 후방 접촉부 (74B-1) 를 가지고 있다.
후방 접촉부 (74B-1) 는,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면 (도 10(A), (B) 에서의 상면) 에서 복판부 (76) 의 후술하는 단판부 (76B)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방 접촉부 (74B-2)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그 전단면 (판 두께면) 에서 만곡판부 (73B) 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B) 참조). 탄성 아암부 (74B) 는, 상하 방향 (Z 축 방향) 및 전후 방향 (Y 축 방향) 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성 아암부 (74B) 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후방 접촉부 (74B-1) 가 단판부 (76B) 와 충분한 접압을 가지고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아암부 (74B) 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전방 접촉부 (74B-2) 가 만곡판부 (73B) 의 후단부와 충분한 접압을 가지고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 형상부 (74) 의 탄성 아암부 (74B) 의 전방 접촉부 (74B-2) 가 전후 방향에서의 끼워 맞춤 동체부 (73) 와 복판부 (76)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끼워 맞춤 동체부 (73) 와 복판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간극이, 전방 접촉부 (74B-2) 에 의해 덮이게 되어, 실드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전방측 판부 (75) 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갖고, 도 7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끼워 맞춤 동체부 (73) 보다 외측의 위치에서,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만곡판부 (73B) 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전방측 판부 (75) 는, 도 1 및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판부 (76) 의 후술하는 후방측 판부 (76A) 의 전단과 연결되어 있다.
복판부 (76) 는, 끼워 맞춤 동체부 (73) 보다 후방에서 그 끼워 맞춤 동체부 (73) 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도 7 참조). 복판부 (76) 는, 전후 방향으로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와 케이블 (C) 의 심선 (C1) 의 결선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그 결선 부분을 덮음으로써 실드성을 확보하고 있다. 복판부 (76) 는,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후방측 판부 (76A) 와, 후방측 판부 (76A) 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단판부 (76B) 를 가지고 있다. 단판부 (76B) 는, 유전체 (60) 의 압접부 (62B) 가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쓰러져 변위하도록 그 압접부 (62B) 를 상기 결선 부분을 향하여 압압하고 있고, 그 압접부 (62B) 를 통하여 상기 결선 부분을 확실하게 유지하고 있다.
실드 유지부 (77) 는, 복판부 (76) 의 후방에서 케이블 (C) 의 노출된 실드 선 (C3) 의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실드 유지부 (77) 는, 이 노출된 실드 선 (C3) 과 함께 코킹됨으로써, 그 실드 선 (C3) 을 유지함과 함께, 그 실드 선 (C3) 과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케이블 유지부 (78) 는, 실드 유지부 (77) 의 후방에서 케이블 (C) 의 외피 (C4) 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블 유지부 (78) 는, 외피 (C4) 의 전단부와 함께 코킹됨으로써, 그 케이블 (C) 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의 플러그 커넥터 (2) 는 다음의 요령으로 만들어진다. 먼저, 도 8(A) 에 나타내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를 성형 금형 (도시 생략) 내에 배치하고, 용융된 유전 재료 (수지 재료) 를 상기 성형 금형의 공간 내에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킴으로써, 유전체 (60) 를 성형한다. 이 결과, 도 8(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내부 도체 (50) 가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전체 (60) 에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띠판부 (51) 가 유전체 (60) 의 대직경부 (61A) 에 유지됨과 함께,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가 유전체 (60) 의 기부 (62A) 에 유지된다 (도 3 도 참조).
다음으로, 플러그 외부 도체 (70) 를 굴곡 형성하기 전의 금속판 부재를 준비하고, 덮개부 (71) 및 배판부 (72) 의 양측의 측가장자리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부) 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금속판 부재를 직각으로 굴곡하고, 도 9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제 1 중간 부재 (70A) 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1 중간 부재 (70A) 상에 유전체 (60) 를 배치한다. 이 때, 제 1 중간 부재 (70A) 의 덮개부 (71) 상에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가 위치함과 함께, 배판부 (72) 의 전반부 상에 결선 유지부 (62) 가 위치하도록, 유전체 (60) 를 배치한다. 또한, 제 1 중간 부재 (70A) 의 전단측 부분을 굴곡하여 끼워 맞춤 동체부 (73) 및 아암 형상부 (74) 를 형성함으로써, 도 10(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제 2 중간 부재 (70B) 를 형성한다. 이 결과, 끼워 맞춤 동체부 (73) 내에 유전체 (60) 의 단차상 통부 (61) 가 수용된다. 또한,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내주면과 단차상 통부 (61) 의 외주면 사이에 환상의 외측 수용부 (73D) 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0(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C) 의 전단부를 배판부 (72) 상에 배치한다. 이 때, 케이블 (C) 의 전단부에서 노출된 심선 (C1) 이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의 후반부의 노출된 판면에 배치된다 (도 3 참조). 계속해서, 심선 (C1) 을 결선부 (53) 에 대하여 땜납 접속한다. 다음으로, 도 11(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외부 도체 (70) 를 부분적으로 굴곡하여, 복판부 (76), 실드 유지부 (77) 및 케이블 유지부 (78) 를 형성한다. 이 결과, 복판부 (76) 의 단판부 (76B) 는, 유전체 (60) 의 압접부 (62B) 를 상기 결선 부분을 향하여 압압하고, 압접부 (62B) 를 통하여 상기 결선 부분을 확실하게 유지한다 (도 3 참조).
또한, 도 7 의 XIB-XIB 단면도인 도 11(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판부 (76B) 의 하면 (판면) 이 아암 형상부 (74) 의 후방 접촉부 (74B-1) 의 상면 (판면) 에 접압을 가지고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1(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드 유지부 (77) 가, 노출된 실드 선 (C3) 과 함께 코킹되어, 그 실드 선 (C3) 을 유지함과 함께, 그 실드 선 (C3) 과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케이블 유지부 (78) 가, 외피 (C4) 의 전단부와 함께 코킹되어, 그 케이블 (C) 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러그 커넥터 (2) 가 완성된다.
이상의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 (1) 와 플러그 커넥터 (2) 는, 다음의 요령으로 끼워 맞춤 접속된다. 먼저, 도 1 및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에 리셉터클 커넥터 (1) 를 배치하고,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접속부 (22A) 를 신호 회로부 (B2) 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돌출부 (12) 를 그라운드 회로부 (B1) 에 땜납 접속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1) 를 회로 기판 (B) 에 실장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1) 를 수용부 (33) 가 상방을 향하여 개구한 자세로 위치시킴과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상방에서, 플러그 커넥터 (2) 의 내측 수용부 (61C) (도 3 참조) 및 외측 수용부 (73D) (도 3 참조) 가 하방을 향한 자세로 그 플러그 커넥터 (2) 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 (2) 를 하강시켜 리셉터클 커넥터 (1) 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춤 접속시킨다. 이 때,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가 플러그 커넥터 (2) 의 외측 수용부 (73D) 내에 하방으로부터 진입한다. 그 결과,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외부 접촉부 (11A) 와, 플러그 외부 도체 (70) 의 제 1 외부 접촉부 (73A-1) 및 제 2 외부 접촉부 (73B-1) 가 서로 접압을 가지고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 때, 외부 접촉부 (11A) 와 제 1 외부 접촉부 (73A-1) 및 제 2 외부 접촉부 (72A) 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걸림되어 로크 상태가 되어, 커넥터끼리의 예기치 않은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 의 내부 접촉부 (21A) 가,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1 쌍의 내부 접촉부 (52)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진입하고, 그 내부 접촉부 (52) 의 접촉 돌기부 (52A) 에 의해 협압되어 접촉함으로써, 내부 접촉부 (21A) 와 내부 접촉부 (52) 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넥터 끼워 맞춤 동작이 완료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2) 의 외측 수용부 (73D) 내에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가 진입했을 때, 플러그 커넥터 (2) 의 만곡판부 (73B) 가 끼워 맞춤 동체부 (73) 의 반경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확대되도록 탄성 변위한다. 그 결과,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만곡판부 (73B) 가 플러그 외부 도체 (70) 의 아암 형상부 (74) 의 전방 접촉부 (74B-2) 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접압을 가지고 접촉한다. 또한, 아암 형상부 (74) 의 후방 접촉부 (74B-1) 는 복판부 (76) 의 단판부 (76B) 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도 11(B) 참조),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만곡판부 (73B) 와 전방 접촉부 (74B-2) 의 접촉에 의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와 복판부 (76) 가, 만곡판부 (73B), 전방 접촉부 (74B-2) 및 후방 접촉부 (74B-1) 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 결과,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아암 형상부 (74) 의 탄성 아암부 (74B), 및 복판부 (76) 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내부 도체 (50) 의 결선부 (53) 와 케이블 (C) 의 결선 부분을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보았을 때, 그 결선 부분을 둘러싸도록 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턴 패스가 존재하게 되고, 그 결과, 실드성이 대폭 향상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70) 가, 끼워 맞춤 동체부 (73) 로부터 연장되는 아암 형상부 (74) 를 가지고 있고, 그 아암 형상부 (74) 의 탄성 아암부 (74B) 가 끼워 맞춤 동체부 (73) 및 단판부 (76B) 와 접촉함으로써, 리턴 패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판부의 단판부에 형성된 접촉편이 리셉터클 외부 도체와 접촉함으로써, 리턴 패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이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구성이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외부 도체를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 (2) 와 구성이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10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2) 의 사시도이고, 도 12(B) 는, 도 12(A) 의 플러그 커넥터 (10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170) 의 복판부 (176), 실드 유지부 (177), 케이블 유지부 (178) 를 절곡 가공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A) 는, 도 12(A) 의 플러그 커넥터 (102) 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13(B) 는 도 13(A) 의 플러그 커넥터 (102) 의 XIIIB-XIIIB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10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170)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끼워 맞춤 동체부 (173) 가 1 쌍의 만곡판부 (173B) 를 가지고 있지만, 도 13(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만곡판부 (173B) 의 후단끼리 형성되는 간극 (173C)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간극 (73C) (도 7 이나 도 11(A) 등을 참조)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아암 형상부 (174) 는, 도 12(B) 및 도 13(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고 만곡판부 (173B)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아암부 (174A) 와, 기아암부 (174A) 의 후단측 부분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판부 (174B) 를 가지고 있다. 내판부 (174B) 는, 도 13(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단판부 (176B) 의 후술하는 슬릿 (176B-1) 을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내판부 (174B) 는, 상하 방향으로 보아 슬릿 (176B-1) 의 주위에서 단판부 (176B) 와 중복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부분의 판면이, 단판부 (176B) 의 판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도 13(B) 참조).
복판부 (176)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후방측 판부 (176A) 와 단판부 (176B) 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단판부 (176B) 는, 도 12(A) 및 도 13(A) 에 그 단판부 (176B) 의 전단 근처 위치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176B-1)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슬릿 (176B-1) 보다 전방 위치에서 그 슬릿 (176B-1) 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편 (176B-2) 이 형성되어 있다. 그 탄성편 (176B-2) 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102) 를 상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슬릿 (176B-1) 은 내판부 (174B) 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도 13(A) 참조), 단판부 (176B) 에 슬릿 (176B-1) 을 형성한 것에 의한 실드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탄성편 (176B-2) 의 선단부의 전측 가장자리에서는 접촉편 (179) 이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접촉편 (179) 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편 (179) 은, 그 전단부가 끼워 맞춤 동체부 (173) 의 간극 (173C) 내에 진입해 있다. 따라서, 끼워 맞춤 동체부 (173) 에 간극 (173C) 이 존재하는 것에 의한 실드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이 접촉편 (179) 의 전단부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상대 외부 도체) 의 통상부 (11) 에 접촉 가능한 전방 접촉부 (179A) 를 이루고 있다. 전방 접촉부 (179A) 는, 탄성편 (176B-2) 의 탄성 변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변위에 의해 통상부 (11) 와 충분한 접압을 가지고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 (102) 에 리셉터클 커넥터 (1) 가 끼워 맞춤 접속되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외부 도체 (170) 의 접촉편 (179) 의 전방 접촉부 (179A) 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와 접촉하면, 통상부 (11), 접촉편 (179) 그리고 단판부 (176B) 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되어, 실드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편 (179) 이 전후 방향에서의 끼워 맞춤 동체부 (173) 와 단판부 (176B) 의 간극에 위치하여 그 간극을 덮고 있기 때문에, 실드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 3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70) 가, 끼워 맞춤 동체부 (73) 로부터 연장되는 아암 형상부 (74) 를 가지고 있고, 그 아암 형상부 (74) 의 탄성 아암부 (74B) 가 끼워 맞춤 동체부 (73) 및 단판부 (76B) 와 접촉함으로써, 리턴 패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외부 도체와는 별체를 이루는 금속제의 중계 부재가 플러그 외부 도체의 복판부에 장착되고, 그 중계 부재가 끼워 맞춤 동체부 및 복판부와 접촉함으로써 리턴 패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이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 (1) 와 구성이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중계 부재를 형성하는 것 및 플러그 외부 도체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와 구성이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20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202) 의 사시도이고, 도 14(B) 는, 도 14(A) 의 플러그 커넥터 (202) 를, 중계 부재 (280) 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14(C) 는 중계 부재 (280) 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20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270) 는, 제 1 실시형태의 플러그 외부 도체 (70) 로부터 아암 형상부 (74) 를 제거한 것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중계 부재 (280) 는, 금속판 부재의 일부를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플러그 외부 도체 (270) 의 단판부 (276B) 의 판면 (판 두께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 을 따라 연장되는 판면을 가지는 평판상의 본체부 (281) 와, 본체부 (281) 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전방 레그부 (282) 와, 본체부 (281) 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후방 레그부 (283) 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 (281) 는, 1 쌍의 단판부 (276B) 의 판면의 대략 전역을 덮는 사각 형상의 판면을 가지고 있고, 그 단판부 (276B) 에 대향하는 판면 (도 14(A) ∼ (C) 에서의 하면) 이, 단판부 (276B) 와 접촉하기 위한 후방 접촉부 (281A) 를 이루고 있다. 전방 레그부 (282) 는, 도 14(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 (281) 의 전단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굴곡되어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기 (基) 레그부 (282A) 와, 전방 기레그부 (282A) 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그리고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접촉부로서의 전방 접촉편 (282B) 과, 전방 기레그부 (282A) 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전방 걸림부 (282C) 를 가지고 있다.
전방 접촉편 (282B) 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14(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전면 (판면) 에서 끼워 맞춤 동체부 (273) 의 만곡판부 (273B) 의 외주면에 접압을 가지고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 걸림부 (282C) 는, 도 14(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 (281) 의 하면, 다시 말하면 후방 접촉부 (281A)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중계 부재 (280) 가 단판부 (276B) 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판부 (276B) 의 전단부에 대하여 하방측으로부터 걸림되도록 되어 있다.
후방 레그부 (283) 는, 도 14(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 (281) 의 후단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굴곡되어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기레그부 (283A) 와, 후방 기레그부 (283A) 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후방 걸림부 (283B) 를 가지고 있다. 후방 걸림부 (283B) 는, 도 14(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 (281) 의 하면, 다시 말하면 후방 접촉부 (281A)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중계 부재 (280) 가 단판부 (276B) 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판부 (276B) 의 후단부에 대하여 하방측으로부터 걸림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중계 부재 (280) 는, 단판부 (276B) 에 대하여, 도 14(B) 에서의 상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중계 부재 (280) 는, 단판부 (276B) 에 장착된 상태로, 중계 부재 (280) 가 전방 걸림부 (282C) 가 단판부 (276B) 의 전단부에 걸림됨과 함께, 후방 걸림부 (283B) 가 단판부 (276B) 의 후단부에 걸림된다. 또한, 중계 부재 (280) 의 전방 접촉편 (282B) 이 탄성 변형 상태에서 끼워 맞춤 동체부 (273) 의 만곡판부 (273B) 의 외주면에 접압을 가지고 접촉하고, 중계 부재 (280) 의 후방 접촉부 (281A) 가 단판부 (276B) 의 판면에 접면한다. 그 결과,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와 복판부 (276) 가, 전방 접촉편 (282B) 및 후방 접촉부 (281A) 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게 되고, 리셉터클 외부 도체, 끼워 맞춤 동체부 (273), 중계 부재 (280) 그리고 복판부 (276) 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계 부재 (280) 의 전방 접촉편 (282B) 이 플러그 외부 도체 (270) 의 끼워 맞춤 동체부 (273) 에 접촉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중계 부재의 전방 접촉편이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로 리셉터클 외부 도체의 통상부에 접촉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 해도 된다. 그러한 형태에서는, 통상부, 중계 부재 그리고 복판부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되어, 실드성이 향상된다.
<제 4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70) 가, 끼워 맞춤 동체부 (73) 로부터 연장되는 아암 형상부 (74) 를 가지고 있고, 그 아암 형상부 (74) 의 탄성 아암부 (74B) 가 끼워 맞춤 동체부 (73) 및 단판부 (76B) 와 접촉함으로써, 리턴 패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암 형상부의 탄성 아암부가 리셉터클 외부 도체의 돌출부와 접촉함으로써, 리턴 패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이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 (1) 와 구성이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외부 도체를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와 구성이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30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5(B) 는, 도 15(A) 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외부 도체의 복판부, 실드 유지부, 케이블 유지부를 절곡 가공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A), (B)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A)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직전의 상태, 도 16(B)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30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370) 의 아암 형상부 (374) 의 탄성 아암부 (374B) 는, 도 15(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아암 형상부 (74) 의 탄성 아암부 (74B) (도 10(A), (B) 참조) 의 전단부가 판 두께 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된 것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탄성 아암부 (374B) 의 전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리셉터클 커넥터 (1) 측을 향하여, 즉, 도 15(B) 의 상방 (Z2 방향) 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돌출부 (12) 에 접촉 가능한 전방 접촉부 (374B-2) 를 이루고 있다 (도 16(B) 참조). 전방 접촉부 (374B-2) 는, 도 15(A) 및 도 16(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끼워 맞춤 동체부 (373) 와 단판부 (376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302) 가 리셉터클 커넥터 (1) 에 끼워 맞춤 접속되면, 도 16(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플러그 외부 도체 (370) 의 끼워 맞춤 동체부 (373) 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가 접촉함과 함께, 플러그 외부 도체 (370) 의 전방 접촉부 (374B-2) 의 하단면이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돌출부 (12) 의 상면에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암 형상부 (374) 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전방 접촉부 (374B-2) 는 돌출부 (12) 에 접압을 가지고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접촉부 (374B-2) 와 돌출부 (12) 가 접촉함으로써,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와 플러그 외부 도체 (370) 의 복판부 (376) 가 전방 접촉부 (374B-2) 및 후방 접촉부 (374B-1) 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그 결과,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아암 형상부 (374) 그리고 복판부 (376) 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되어, 실드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방 접촉부 (374B-2) 가 전후 방향으로 끼워 맞춤 동체부 (373) 와 단판부 (376B) 사이의 간극에 위치하여 그 간극을 덮고 있기 때문에, 실드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7(A), (B)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A)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직전의 상태, 도 17(B)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7(A), (B) 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30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도 17(A),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외부 도체 (310) 에는, 돌출부 (312) 로부터 기립함과 함께 통상부 (311) 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돌출 벽부 (313)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벽부 (313) 는, 통상부 (311) 의 반경 방향으로 그 통상부 (311) 에 대하여 간극을 가지고 위치하고 있고,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외부 도체 (370) 의 제 1 외부 접촉부 (373A-1) 및 전방 접촉부 (374B-2) 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전방 접촉부 (374B-2) 는, 도 16(A), (B)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돌출 벽부 (313) 의 높이 치수 (상하 방향에서의 치수) 의 분만큼 짧게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302) 가 리셉터클 커넥터 (1) 에 끼워 맞춤 접속되면, 도 17(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외부 도체 (370) 의 제 1 외부 접촉부 (373A-1) 의 하단면 및 전방 접촉부 (374B-2) 의 하단면이 리셉터클 외부 도체 (310) 의 돌출 벽부 (313) 의 상단면에 접촉한다. 도 16(A), (B)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실드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제 5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70) 가 아암 형상부 (74) 를 가지고 있고, 그 아암 형상부 (74) 의 탄성 아암부 (74B) 가 끼워 맞춤 동체부 (73) 및 단판부 (76B) 와 접촉함으로써, 리턴 패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암 형상부에 형성된 전방 접촉부가 리셉터클 외부 도체와 접촉함으로써, 리턴 패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이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 (1) 와 구성이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외부 도체를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와 구성이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40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A) 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8(B) 는 도 19(A) 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외부 도체의 복판부, 실드 유지부, 케이블 유지부를 절곡 가공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9(A) 는 도 18(A) 의 플러그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19(B) 는 도 18(A) 의 플러그 커넥터의 XIXB-XIXB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40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470)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끼워 맞춤 동체부 (473) 가 1 쌍의 만곡판부 (473B) 를 가지고 있지만, 도 18(A) 및 도 19(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만곡판부 (473B) 의 후단끼리 형성되는 간극 (473C)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간극 (73C) (도 7 이나 도 11(A) 등을 참조)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아암 형상부 (474) 는, 도 18(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아암 형상부 (74) (도 10(B) 참조) 와 동일하게, 기아암부 (474A) 및 탄성 아암부 (474B) 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아암부 (474B) 는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19(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아암부 (474B) 의 전단부, 즉 전방 접촉부 (474B-2) 가 끼워 맞춤 동체부 (473) 의 둘레 방향으로 간극 (473C)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결과, 전방 접촉부 (474B-2)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1) 의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에 대하여 접압을 가지고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탄성 아암부 (474B) 는, 제 1 실시형태의 아암 형상부 (74) 와 동일하게, 전방 접촉부 (474B-2) 보다 후방에 후방 접촉부 (474B-1) 를 가지고 있고, 복판부 (476) 의 단판부 (476B) 와 접촉하고 있다 (도 19(B) 참조).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 (402) 에 리셉터클 커넥터 (1) 가 끼워 맞춤 접속되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외부 도체 (470) 의 전방 접촉부 (474B-2) 가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상대 끼워 맞춤 동체부로서의 통상부 (11) 와 접촉하면, 통상부 (11) 와 단판부 (476B) 가 전방 접촉부 (474B-2) 및 후방 접촉부 (474B-1) 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통상부 (11), 탄성 아암부 (474B) 그리고 단판부 (476B) 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되어, 실드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접촉부 (474B-2) 가 전후 방향으로 끼워 맞춤 동체부 (473) 와 단판부 (476B) 사이의 간극에 위치하여 그 간극을 덮고 있기 때문에, 실드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 6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70) 가, 끼워 맞춤 동체부 (73) 로부터 연장되는 아암 형상부 (74) 를 가지고 있고, 그 아암 형상부 (74) 의 탄성 아암부 (74B) 가 끼워 맞춤 동체부 (73) 및 단판부 (76B) 와 접촉함으로써, 리턴 패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편이 단판부와 접촉함으로써 리턴 패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이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 (1) 와 구성이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외부 도체를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와 구성이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50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50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570) 의 복판부 (576), 실드 유지부 (577), 케이블 유지부 (578) 를 절곡 가공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0(B) 는 도 20(A) 의 플러그 커넥터 (502) 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1(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502) 를 도 20(A) 의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21(B) 는 도 21(A) 의 플러그 커넥터 (502) 의 XXIB-XXIB 단면도이고, 도 21(C) 는 도 21(A) 의 플러그 커넥터 (502) 의 XXIC-XXIC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502) 의 플러그 외부 도체 (570) 는, 도 20(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 동체부 (573) 의 만곡판부 (573B) 의 상하 방향 중간 위치에서 그 만곡판부 (573B) 의 후단부를 후방을 향하여 잘라내어 형성된 접촉편 (579) 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플러그 외부 도체 (570)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암 형상부 (74) 에 대응하는 부분 대신에, 접촉편 (579) 보다 하방 위치에서 만곡판부 (173B) 의 후단부를 후방을 향하여 잘라내어 크랭크상으로 연장되는 걸림편 (574) 을 가지고 있다.
도 20(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걸림편 (574) 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접촉편 (579)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그 접촉편 (579) 보다 후방까지 연장되어 단판부 (576B) 의 범위 내까지 이르러 있다. 걸림편 (574) 의 후반부는, 도 21(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판부 (576) 의 내면을 따라서 위치하고, 단판부 (576B) 의 위치까지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걸림편 (574) 의 후반부가 전후 방향으로 단판부 (576B) 의 범위에 이르러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그 후반부가 단판부 (576B) 에 대하여 도 21(C) 에서의 하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 (1) 와 끼워 맞춤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 (502) 를 리셉터클 커넥터 (1) 로부터 발출할 때, 플러그 커넥터 (502) 의 끼워 맞춤 동체부 (573) 는,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와의 마찰 등에 의해 발출력과는 반대 방향 (도 20(A) 에서의 상방) 의 외력을 받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끼워 맞춤 동체부 (573) 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편 (574) 이 상하 방향으로 단판부 (576B) 의 판면에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발출시에, 그 걸림편 (574) 이 단판부 (576B) 와 걸림됨으로써, 그 걸림편 (574) 이 단판부 (576B) 로부터 받는 걸림력 (상기 발출력과 동일한 방향 (도 20(A) 에서의 하방) 에 작용하는 힘) 으로 상기 외력에 대항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 (502) 를 파손시키지 않고, 보다 확실하게 발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편 (574) 의 후반부가 후방측 판부 (576A) 를 따른 위치, 다시 말하면, 커넥터 폭 방향으로 후방측 판부 (576A) 와 단판부 (576B) 의 연결 부분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결과, 커넥터 발출시에 있어서 걸림편 (574) 이 단판부 (576B) 와 걸림되었을 때에, 그 단판부 (576B) 가 삽입 발출 방향에서의 결선 부분측과는 반대측 (도 21(A) 에서의 상방측) 으로 변위하게 되는 것을 최대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접촉편 (579) 은, 그 후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단판부 (576B) 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편 (579) 의 후단부는, 단판부 (576B)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단판부 (576B) 의 후술하는 돌기부 (576C) 와 접촉하는 접점부 (579A) 를 이루고 있다 (도 21(B) 참조).
단판부 (576B) 의 전단부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방 위치, 다시 말하면 접점부 (579A)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단판부 (576B) 의 판면 (도 21(B) 에서의 하면) 으로부터 접점부 (579A) 측으로, 즉 도 21(B) 에서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 (576C)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0(A) 도 참조). 도 21(B) 및 도 21(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돌기부 (576C) 는, 접압을 가지고 접점부 (579A) 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 (576C) 가 접점부 (579A) 와 접촉함으로써, 단판부 (576B) 와 접촉편 (579) 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끼워 맞춤 동체부 (573) 와 단판부 (576B) 가 접촉편 (579) 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외부 도체 (10) 의 통상부 (11), 끼워 맞춤 동체부 (573), 접촉편 (579) 그리고 단판부 (576B) 를 거치는 리턴 패스가 형성되어, 실드성이 향상된다. 또한, 접촉편 (579) 이 전후 방향으로 끼워 맞춤 동체부 (573) 와 단판부 (576B)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끼워 맞춤 동체부 (573) 와 단판부 (576B) 사이의 간극이 접촉편 (579) 에 의해 덮여, 실드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판부는 전후 방향 전역에 걸쳐 연속된 1 개의 판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단판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판부는 슬릿에 의해 전후로 분할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22(A) 는, 제 6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외부 도체의 복판부, 실드 유지부, 케이블 유지부를 절곡 가공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2(B) 는, 도 22(A) 의 플러그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3(A) 는, 제 6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도이고, 도 23(B) 는 도 23(A) 의 플러그 커넥터의 XXIIIB-XXIIIB 단면도이고, 도 23(C) 는 도 23(A) 의 플러그 커넥터의 XXIIIC-XXIIIC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제 6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이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 6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10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23(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판부 (676B) 는, 그 전단측에서 슬릿 (676B-1) 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중간 위치로부터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슬릿 (676B-1) 의 전방에는, 슬릿 (676B-1) 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편 (676B-2) 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 (676B-2) 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방 위치, 다시 말하면 접촉편 (679) 의 접점부 (679A)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탄성편 (676B-2) 의 판면 (도 23(B) 에서의 하면) 으로부터 접점부 (679A) 측으로, 즉 도 23(B) 에서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 (676C)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2(A) 도 참조).
걸림편 (674) 은, 끼워 맞춤 동체부 (673) 의 만곡판부 (673B) 의 후단부로부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아암부 (674A) 와, 그 기아암부 (674A) 의 후단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판부 (674B) 를 가지고 있다. 내판부 (674B) 는, 전후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단판부 (676B) 의 슬릿 (676B-1) 을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602) 를 상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슬릿 (676B-1) 은 내판부 (674B) 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도 23(A) 참조), 단판부 (676B) 에 슬릿 (676B-1) 을 형성한 것에 의한 실드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판부 (674B) 는, 상하 방향으로 보아 슬릿 (676B-1) 의 주위에서 단판부 (676B) 와 중복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부분의 판면이, 단판부 (676B) 의 판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판부 (676B) 는, 슬릿 (676B-1) 의 전방에 위치하는 탄성편 (676B-2) 이 타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슬릿 (676B-1) 의 돌기부 (676C) 가 접촉편 (679) 에 대하여 접압을 가지고 접촉하여 그 접촉편 (579) 으로부터 반력을 받았을 때에, 탄성편 (676B-2) 이 독립적으로 탄성 변위하기 때문에, 단판부 (676B) 의 타부가 변위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단판부 (676B) 가 케이블 (C) 의 결선 부분을 덮은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1 ; 리셉터클 커넥터
2, 102, 202, 302, 402, 502 ; 플러그 커넥터
10, 310 ; 리셉터클 외부 도체
11, 311 ; 통상부
20 ; 리셉터클 내부 도체
20P ; 캐리어가 부착된 내부 도체
21 ; 직립부
21A ; 내부 접촉부
22 ; 연장부
22A ; 접속부
30 ; 내부 유전체
31 ; 저판부
31A ; 관통부
32 ; 기립부
33 ; 수용부
50 ; 플러그 내부 도체
52 ; 내부 접촉부
60 ; 유전체
70, 170, 270, 370, 470, 570 ; 플러그 외부 도체
73, 173, 273, 373, 473, 573 ; 끼워 맞춤 동체부
73C, 173C, 473C ; 간극
74, 374, 474, 574 ; 아암 형상부
74A, 174A, 474A ; 기아암부
74B, 174B, 474B ; 탄성 아암부
74B-1, 374B-1, 474B-1 ; 후방 접촉부
74B-2, 374B-2, 474B-2 ; 전방 접촉부
76, 176, 276, 376, 476, 576 ; 복판부
76A, 176A, 576A ; 후방측 판부
76B, 176B, 276B, 376B, 476B, 576B ; 단판부
176B-1 ; 슬릿
176B-2 ; 탄성편
179 ; 접촉편
179A ; 전방 접촉부
280 ; 중계 부재
281 ; 본체부
281A ; 후방 접촉부
282B ; 전방 접촉편
576B ; 단판부
576C ; 돌기부
579 ; 접촉편
579A ; 접점부
B ; 회로 기판
C ; 케이블
P1, P2 ; 캐리어

Claims (19)

  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전단부가 결선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동축 커넥터 축선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내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내부 접촉부를 갖는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를 수용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내부 접촉부를 포위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외부 도체에 끼워 맞춤하여 접촉 가능한 끼워 맞춤 동체부와, 그 끼워 맞춤 동체부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케이블의 결선 부분을 덮는 복판부를 갖는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아암 형상부를 갖고,
    상기 아암 형상부는,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에 접촉 가능한 전방 접촉부와, 상기 복판부에 접촉 가능한 후방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전방 접촉부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에 접촉함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가 상기 복판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대 외부 도체와 상기 복판부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 상기 전방 접촉부 및 상기 후방 접촉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형상부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아암부와, 삽입 발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상기 기아암부보다 내측 위치에서, 상기 기아암부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 아암부를 갖고,
    상기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전방 접촉부를 그 탄성 아암부의 전단부에 가지고 있음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를 상기 전방 접촉부보다 후방 위치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판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측판부와, 그 측판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단판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탄성 아암부는, 상기 단판부와 삽입 발출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중복되어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그 부분에 상기 후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접촉부에서 상기 단판부의 판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4.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전단부가 결선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동축 커넥터 축선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내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내부 접촉부를 갖는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를 수용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내부 접촉부를 포위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외부 도체에 끼워 맞춤하여 접촉 가능한 끼워 맞춤 동체부와, 그 끼워 맞춤 동체부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케이블의 결선 부분을 덮는 복판부를 갖는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복판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에 접촉 가능한 전방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전방 접촉부가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대 외부 도체와 상기 복판부가 상기 전방 접촉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판부는, 삽입 발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측판부와, 그 측판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단판부를 갖고,
    상기 단판부는, 그 단판부의 전단 근처 위치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그 슬릿보다 전방 위치에서 그 슬릿을 따라 연장되어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탄성편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삽입 발출 방향에서의 상기 단판부보다 상기 결선 부분측에서, 전후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는 내판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7.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전단부가 결선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동축 커넥터 축선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내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내부 접촉부를 갖는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를 수용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내부 접촉부를 포위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외부 도체에 끼워 맞춤하여 접촉 가능한 끼워 맞춤 동체부와, 그 끼워 맞춤 동체부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케이블의 결선 부분을 덮는 복판부를 갖는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아암 형상부를 갖고,
    상기 아암 형상부는,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전방 접촉부와, 상기 복판부에 접촉 가능한 후방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전방 접촉부가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함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가 상기 복판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대 외부 도체와 상기 복판부가 상기 전방 접촉부 및 상기 후방 접촉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형상부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아암부와, 삽입 발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상기 기아암부보다 내측 위치에서, 상기 기아암부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삽입 발출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 아암부를 갖고,
    상기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전방 접촉부를 그 탄성 아암부의 전단부에 가지고 있음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를 상기 전방 접촉부보다 후방 위치에 가지고 있고,
    상기 전방 접촉부는, 상기 삽입 발출 방향으로 상기 상대 커넥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보다 외측에서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형상부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아암부와, 삽입 발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상기 기아암부보다 내측 위치에서, 상기 기아암부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 아암부를 갖고,
    상기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전방 접촉부를 그 탄성 아암부의 전단부에 가지고 있음과 함께, 상기 후방 접촉부를 상기 전방 접촉부보다 후방 위치에 가지고 있고,
    상기 전방 접촉부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에 끼워 맞춤하는 상기 상대 외부 도체의 상대 끼워 맞춤 동체부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판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측판부와, 그 측판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단판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탄성 아암부는, 상기 단판부와 삽입 발출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중복되어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그 부분에 상기 후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접촉부에서 상기 단판부의 판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11. 제 4 항 내지 제 8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는, 그 끼워 맞춤 동체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간극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방 접촉부는, 상기 간극 내에 위치하여 상기 상대 외부 도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12.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전단부가 결선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동축 커넥터 축선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발출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내부 도체에 접촉 가능한 내부 접촉부를 갖는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유지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를 수용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서 상기 내부 접촉부를 포위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외부 도체에 끼워 맞춤하여 접촉 가능한 끼워 맞춤 동체부와, 그 끼워 맞춤 동체부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케이블의 결선 부분을 덮는 복판부를 갖는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복판부에 접촉하는 접점부를 갖고,
    상기 접점부가 상기 복판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대 외부 도체와 상기 복판부가 상기 접점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복판부는, 삽입 발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측판부와, 그 측판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단판부를 갖고,
    상기 접촉편은, 전후 방향으로 상기 단판부의 범위 내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접촉편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삽입 발출 방향으로 상기 단판부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단판부는, 상기 접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단판부의 판면으로부터 삽입 발출 방향으로 상기 접점부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가지고 있고, 그 돌기부에서 상기 접점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끼워 맞춤 동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판부의 범위 내까지 미치는 걸림편을 갖고,
    그 걸림편은, 삽입 발출 방향으로 상기 단판부보다 상기 결선 부분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 결선 부분측으로부터 상기 단판부의 판면에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상기 접촉편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10016963A 2020-02-10 2021-02-05 동축 전기 커넥터 KR102667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0416 2020-02-10
JP2020020416A JP7407611B2 (ja) 2020-02-10 2020-02-10 同軸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086A KR20210102086A (ko) 2021-08-19
KR102667028B1 true KR102667028B1 (ko) 2024-05-20

Family

ID=7717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963A KR102667028B1 (ko) 2020-02-10 2021-02-05 동축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03076B2 (ko)
JP (1) JP7407611B2 (ko)
KR (1) KR102667028B1 (ko)
CN (1) CN113258331B (ko)
TW (1) TWI8216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636B1 (ko) * 2018-02-28 2023-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5858A (ja) * 2018-04-02 2019-10-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1806B1 (en) * 2000-11-08 2002-04-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accurately positioned connection terminal therein
US6340312B1 (en) * 2001-02-28 2002-01-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a complete EMI shielding
US6447335B1 (en) * 2001-07-16 2002-09-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US6572407B1 (en) * 2002-04-05 2003-06-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cable end connector
TWM318262U (en) * 2007-03-02 2007-09-01 Speed Tech Corp Coaxial cable connector
TWM324334U (en) * 2007-05-08 2007-12-21 Insert Entpr Co Ltd Microwave connector for RF communication
EP2154758B1 (en) * 2007-06-01 2016-08-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axial connector
JP4720881B2 (ja) 2008-09-10 2011-07-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L型同軸コネクタ
JP4923085B2 (ja) * 2009-08-10 2012-04-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5561970B2 (ja) * 2009-08-27 2014-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M387409U (en) * 2009-12-24 2010-08-21 Flexible Mfg Technology Co Ltd Coaxial cable connector
US8262409B2 (en) * 2010-11-29 2012-09-11 Ezconn Corporation Connection terminal with a base with two upwardly extending sections with angled and oblique edges to clamp an internal conductor of a coaxial cable
WO2013058015A1 (ja) * 2011-10-19 2013-04-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JP5408239B2 (ja) 2011-12-09 2014-02-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取り付け方法
JP2013157113A (ja) 2012-01-27 2013-08-15 Hosiden Corp 同軸コネクタ
CN105518947A (zh) * 2013-08-22 2016-04-2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以及连接部
CN203415727U (zh) * 2013-08-30 2014-01-29 信维创科通信技术(北京)有限公司 同轴连接器及其连接端子
JP5949838B2 (ja) * 2014-06-16 2016-07-13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6379403B2 (ja) * 2014-12-02 2018-08-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芯線の保持、固定機能を有し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2017220358A (ja) * 2016-06-07 2017-12-1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688696B2 (ja) 2016-06-28 2020-04-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6839969B2 (ja) * 2016-11-28 2021-03-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939530B2 (ja) * 2017-12-26 2021-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74226B2 (ja) * 2018-03-23 2021-1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対の圧着片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CN113574747B (zh) 2019-03-18 2023-11-03 爱沛股份有限公司 同轴连接器装置
JP6844760B1 (ja) 2019-05-10 2021-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5858A (ja) * 2018-04-02 2019-10-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25441A (ja) 2021-08-30
CN113258331B (zh) 2024-06-25
CN113258331A (zh) 2021-08-13
KR20210102086A (ko) 2021-08-19
US20210249828A1 (en) 2021-08-12
TWI821632B (zh) 2023-11-11
JP7407611B2 (ja) 2024-01-04
TW202137635A (zh) 2021-10-01
US11303076B2 (en)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7029B1 (ko) 동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6879648B2 (ja)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US20110028034A1 (en) Hoop material, method of making inner conductor terminal, and coaxial connector
CN111628321B (zh)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EP3096409A1 (en) A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JP2009016178A (ja) 同軸コネクタ
US11088483B2 (en) Terminal metal fitting with spring contact and spring contact deformation restriction portion
KR102667028B1 (ko) 동축 전기 커넥터
JP4632454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10700476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1740274A (zh) 连接器以及连接器装置
EP3883069A1 (en) Structure for fixing connector
JP2023048411A (ja) コネクタ
CN118630531A (zh) 连接器
JP2023048413A (ja) コネクタ
JP2023048414A (ja) コネクタ
JP2023048410A (ja) コネクタ
CN118630532A (zh) 连接器
JP2012120397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