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628A -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 Google Patents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628A
KR20140030628A KR1020120097037A KR20120097037A KR20140030628A KR 20140030628 A KR20140030628 A KR 20140030628A KR 1020120097037 A KR1020120097037 A KR 1020120097037A KR 20120097037 A KR20120097037 A KR 20120097037A KR 20140030628 A KR20140030628 A KR 20140030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ylinder
guide rail
shaf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139B1 (ko
Inventor
장 제임스
장 리카르도
Original Assignee
장 제임스
장 리카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 제임스, 장 리카르도 filed Critical 장 제임스
Priority to KR102012009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139B1/ko
Priority to ES201300812A priority patent/ES2530593B2/es
Priority to CN201310392969.3A priority patent/CN103821816B/zh
Publication of KR2014003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라인이 스냅링 또는 멀티롤러에 가하는 압력이 어느 한쪽으로 몰리지 않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롤러로 분산되도록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제 1 측부와 제 2 측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제 1 측방롤러 또는 제 2 측방롤러에 위치된 퍼스라인은 제 1 측부 또는 제 2 측부를 따라 중앙롤러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며, 이에 따라, 퍼스라인이 스냅링 또는 멀티롤러에 가하는 압력이 어느 한쪽으로 몰리지 않고, 제 1 측방롤러와 중앙롤러로 분산되거나 또는 제 2 측방롤러와 중앙롤러로 분산되도록 구성되어, 스냅링의 수명이 길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Snap Ring having Multi Roller}
본 발명은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스라인이 스냅링 또는 멀티롤러에 가하는 압력이 어느 한쪽으로 몰리지 않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롤러로 분산되도록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업용 어로 작업에 있어서, 건착망은 정어리, 전갱이, 고등어와, 가다랭이 다랭이 등을 어획하는 그물 어구로서, 도 1 및 도 2 에 건착망 및 종래 스냅링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건착망(200)은 중앙이 약간 넓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물의 표면에 떠 있기 위한 부표와 같은 부력장치(202)가 설치되며, 그 하단부에는 건착망(200)을 가라앉히기 위한 체인 같은 브라이들 체인(Bridle Chain)(205)이 설치된다. 이처럼 부력장치(202) 및 브라이들 체인(205)에 의해서 건착망(200)은 바다에서 수직으로 펼쳐지면서, 건착망(200)이 대략적으로 원 형상으로 전개되어 고기가 포획된다.
그리고 원 형상으로 전개된 건착망(200)이 회수되도록 하기 위해, 건착망(200)의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퍼스라인(210)이 위치되고, 상기 퍼스라인(210)과 브라이들 체인(205)은 스냅링(100)으로 알려진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이들 체인(205)의 단부에 로프 또는 스트랩 등의 연결부(207)가 장착되며, 이 연결부(207)가 스냅링(100)의 일측과 연결되고, 스냅링(100)의 타측에 퍼스라인(210)이 관통 위치됨으로써, 퍼스라인(210)과 브라이들 체인(205)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퍼스라인(210)이 어선(220) 위에 있는 유압 퍼스윈치(Purse Winch)에 의하여 당겨질 때, 건착망(200)의 브라이들 체인(205) 또한, 함께 잡아 당겨지면서, 건착망(200) 내에 들어온 고기를 가두게 되고, 건착망(200)이 인양되게 된다.
그러나 어획고의 무게 및 건착망(200)의 무게로 인하여, 건착망(200)을 회수하는데 사용되는 퍼스라인(210) 및 스냅링(100)의 서로 맞닿는 표면에는 상당한 마찰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퍼스라인(210) 및 스냅링(100)의 표면에는 심각한 마모와 찢김이 발생된다. 이는, 어로 작업에 심각한 지장을 유발시키며, 퍼스라인(210) 또는 스냅링(100)의 잦은 교체로 인한 교체비용을 증가시켜서, 결과적으로 소득 감소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냅링(100)에 걸리는 중하중에 의하여 스냅링(100)이 부러지게 되는바, 부러진 스냅링(100)에 건착망(200)이 걸리게 되면서 건착망(200)이 스냅링(100)에 엉키게 되거나, 또는, 조류나 하중의 불균형으로 찢어지게 되면서 대형 그물사고를 야기시키게 되어, 건착망(200) 인양작업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86008호(등록일자 2010년 9월 30일)와 같이, 멀티 롤러 스냅링을 제시하여, 퍼스라인과 스냅링 간의 서로 맞닿는 표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줄이고자 하였다.
도 3은 종래 멀티 롤러 스냅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착망과 퍼스라인을 서로 연결시키는 스냅링(100)은 일측으로 상기 건착망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퍼스라인이 관통 위치되는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에서 상기 퍼스라인이 맞닿는 위치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멀티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롤러는 상기 프레임(110)의 양 측에 위치되는 제 1, 2 롤러(141, 142)와, 상기 프레임(110)의 양 측를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며 그 양측이 각각 제 1, 2 롤러(141, 142)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중앙롤러(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퍼스라인이 프레임(110)에 관통 위치될 때, 퍼스라인의 일측은 제 1 측방롤러(141) 및 제 2 측방롤러(142) 중 어느 한 롤러에 맞닿도록 위치되고, 퍼스라인의 타측은 중앙롤러(143)에 맞닿도록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퍼스라인이 이동되면, 퍼스라인의 하중이 퍼스라인과 맞닿은 두 개의 롤러, 예를 들면, 제 1 측방롤러(141)와 중앙롤러(143)로 분산된 상태에서, 제 1 측방롤러(141)와 중앙롤러(143)가 회전되어, 퍼스라인과 프레임(110)과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어로작업에 사용되는 배는 바다의 환경조건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요동치므로, 배와 연결된 퍼스라인 또한, 앞뒤, 전후로 민감하게 흔들리게 되는데, 종래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100)에 구비되는 제 1 측방롤러(141)와 중앙롤러(143), 또는 제 2 측방롤러(142)와 중앙롤러(143)가 직각으로 구비되므로, 제 1 측방롤러(141) 또는 제 2 측방롤러(142)에 위치된 퍼스라인은 중앙롤러(143)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지 못하고, 제 1 측방롤러(141) 또는 제 2 측방롤러(142)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대로 인양작업이 진행된다. 이 경우, 퍼스라인의 하중이 두 군데 즉, 제 1 측방롤러(141)와 중앙롤러(143) 또는 제 2 측방롤러(142)와 중앙롤러(143)로 분산되지 못하고, 한 군데 즉, 퍼스라인이 위치된 제 1 측방롤러(141) 또는 제 2 측방롤러(142)로 쏠리게 되어, 스냅링(100)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며, 이는 스냅링(100)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결국, 스냅링(100)의 교체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스냅링(100)은 퍼스라인을 설치하도록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프레임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록킹부재(150)를 구비하는데, 상기 록킹부재(150)는 일단부는 프레임(110)의 프레임개방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프레임(110)의 프레임개방부의 타측과 대향 위치되는 제 1 실린더(151)와, 상기 제 1 실린더(15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프레임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 2 실린더(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실린더(151)의 길이방향 측부에 가이드레일(154)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실린더(160)를 관통하는 가이드핀(180)이 가이드레일(154)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레일(154)의 일측 및 타측에는 가이드핀(180)이 걸림 위치되도록 제 1 걸림부(155) 및 제 2 걸림부(156)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핀(180)이 가이드레일(154)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 2 실린더(160)를 상하 이동시켜서, 상기 제 2 실린더(160)가 프레임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어로 작업에서 건착망을 회수하는 작업은 긴급한 상황이며, 스냅링(100)을 퍼스라인에 설치하기 위하여 제 2 실린더(160)를 이동시키는 작업 또한,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 2 실린더(160)가 자동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실린더(151)의 내부에는 스프링(172)이 수용되어, 스프링(172)의 상하 운동 및 트위스트 운동에 의하여, 가이드핀(180)이 제 1 걸림부(155) 또는 제 2 걸림부(156)로 용이하게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 2 실린더(160)가 자동으로 상하 이동되어, 프레임(110)의 개방 또는 폐쇄가 용이해진다.
그러나 스프링(172)이 트위스트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172)의 양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2 결착수용부(174a, 178a) 등의 복잡한 구성이 요구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프링(72)이 트위스트 운동을 하다 보니 스프링(72)의 탄성이 저하되어, 부품 교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퍼스라인이 스냅링 또는 멀티롤러에 가하는 압력이 어느 한쪽으로 몰리지 않고, 제 1 측방롤러와 중앙롤러 또는 제 2 측방롤러와 중앙롤러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교체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부가 트위스트 운동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탄성부의 내구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측부와, 상기 제 1 측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호 연결되는 제 2 측부와,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에 구비되며 퍼스라인이 관통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길이방향 하측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공간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중앙롤러와, 상기 제 1 측부를 따라 상기 중앙롤러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는 제 1 측방롤러와, 상기 제 2 측부를 따라 상기 중앙롤러의 타측 상부에 위치되는 제 2 측방롤러를 포함하는 멀티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측방롤러와 상기 제 2 측방롤러의 이격 거리는 상기 공간부의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부에는 상기 제 1 측방롤러가 수용되도록 제 1 롤러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부에는 상기 제 2 측방롤러가 수용되도록 제 2 롤러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방롤러와 상기 제 2 측방롤러와 상기 중앙롤러는 각각 축 역할을 하는 제 1 샤프트와 제 2 샤프트와 중앙샤프트가 구비되되, 상기 중앙샤프트의 양 단부는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하측 사이에 삽입 위치되고, 상기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하측은 상기 중앙샤프트의 양 단부에 각각 맞닿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상측은 각각 상기 제 1 롤러수용부와 상기 제 2 롤러수용부의 측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하측에서 상기 중앙샤프트 방향으로 제 1 고정핀이 탈착 가능하게 관통 위치되고, 상기 제 1 측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샤프트 방향으로 제 2 고정핀이 탈착 가능하게 관통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부의 상측에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샤프트는 상기 제 1 측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롤러수용부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 1 롤러수용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샤프트와 상기 중앙샤프트의 마주보는 측부 및 상기 제 2 샤프트와 상기 중앙샤프트의 마주보는 측부는 상호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공간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보조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중 어느 한 측부의 상측에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개방부; 및 상기 프레임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록킹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실린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개폐부를 개폐시키는 제 2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에 고정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결합부와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결합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실린더의 힌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에 위치될 때, 상기 제 2 실린더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실린더의 힌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에서 그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때, 상기 제 2 실린더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를 수용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린더의 길이방향 측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제 2 실린더를 관통하는 가이드핀이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 2 실린더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 1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레일과,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일측에서 상기 제 2 실린더가 자전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은 상기 제 1 실린더의 일단부와 대향되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부의 타측 방향에 위치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수용홀이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핀이 자동으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타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 1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위치될 때,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핀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오목하게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위치된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은 대각선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제 1 측부 또는 제 2 측부를 구비하므로, 제 1 측방롤러 또는 제 2 측방롤러에 위치된 퍼스라인은 제 1 측부 또는 제 2 측부를 따라 중앙롤러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어, 퍼스라인이 스냅링 또는 멀티롤러에 가하는 압력이 어느 한쪽으로 몰리지 않고, 제 1 측방롤러와 중앙롤러로 분산되거나 또는 제 2 측방롤러와 중앙롤러로 분산되며, 이에 따라 스냅링의 수명이 길어지게 되고, 스냅링의 교체 비용을 감소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은 이동부가 가이드핀을 따라 회전될 때, 탄성부가 이동부와 결합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이동부가 회전된다 하더라도 탄성부는 비틀어지지 않게 되어, 탄성부의 내구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착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스냅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멀티 롤러 스냅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개폐부가 개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분해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가 개폐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은 어로 작업에 있어서, 건착망(미도시)과 퍼스라인(미도시)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프레임(10), 록킹부재(50), 멀티롤러(40) 및 보조 롤러(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0)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2)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퍼스라인이 관통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퍼스라인이 관통하기에 충분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프레임(10)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측부(20)와, 상기 제 1 측부(20)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호 연결되는 제 2 측부(22)와, 상기 제 1 측부(20)와 상기 제 2 측부(22)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부는 제 1 공간부(11), 제 2 공간부(12) 및 제 3 공간부(13)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2, 3 공간부(11, 12, 13)는 각각 독립된 공간이 아니라, 일체로 된 하나의 공간을 각각의 목적에 따라 분리한 것이다. 먼저, 제 1 공간부(11)는 상기 퍼스라인이 관통되도록 프레임(10)의 중앙에 구비되는 빈 공간으로, 제 1 공간부(11)를 통하여 상기 퍼스라인이 프레임(10)에 관통 위치되어, 후술하는 멀티롤러(40)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제 2 공간부(12)는 프레임(10)에 중앙롤러(43)가 설치될 때, 중앙롤러(43)와 프레임(10)의 하측 사이에 구비되는 빈 공간으로, 제 2 공간부(12)의 공간으로 인하여 중앙롤러(43)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제 3 공간부(13)는 건착망에 설치되는 브라이들 체인의 단부에 로프 등의 연결부(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가 프레임(10)의 상측과 연결될 때,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중공의 공간으로서, 후술하는 보조 롤러(48)와 프레임(10)의 내경 상측 사이에 구비되며, 제 3 공간부(13)를 통하여 상기 연결부가 프레임(10)에 관통 위치된다.
록킹부재(50)는 프레임(10)의 제 1 공간부(11)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롤러(40)는 건착망에 포획된 고기를 끌어올리기 위하여, 유압 퍼스윈치(Purse Winch) 등에 의해 퍼스라인이 당겨질 때, 어획고의 무게 및 건착망의 무게로 인하여 퍼스라인 및 스냅링의 서로 맞닿는 표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퍼스라인이 프레임(10)의 제 1 공간부(11)를 통하여 프레임(10)의 내경 하측으로 관통 위치될 때, 프레임(10)의 내경에서 퍼스라인과 맞닿는 위치에 중앙롤러(43), 제 1 측방롤러(41) 및 제 2 측방롤러(42)가 설치된다.
중앙롤러(43)는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2)의 하측을 가로지르도록 제 1 공간부(11)의 하측에 설치된다. 제 1 측방롤러(41)는 제 1 측부(20)를 따라 중앙롤러(43)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다. 제 2 측방롤러(42)는 제 2 측부(22)를 따라 중앙롤러(43)의 타측 상부에 설치된다. 그 결과 중앙롤러(43)의 양측은 제 1 측방롤러(41)와 제 2 측방롤러(42) 방향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측방롤러(41)와 상기 제 2 측방롤러(42)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공간부(11)의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2)의 하측은 그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이격 거리가 벌어지도록 대각선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측방롤러(41) 또는 제 2 측방롤러(42)에 위치된 퍼스라인은 대각선으로 형성된 제 1 측부(20) 또는 제 2 측부(22)를 따라 중앙롤러(4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퍼스라인의 하중이 두 개의 롤러 즉, 제 1 측방롤러(41)와 중앙롤러(43) 또는, 제 2 측방롤러(42)와 중앙롤러(43)로 분산된다. 이처럼 퍼스라인이 스냅링에 가하는 압력 또는 멀티롤러(40)에 가하는 압력이 두 군데로 분산되므로, 스냅링의 수명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냅링의 교체 비용을 감소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보조 롤러(48)는 프레임(10)의 내경 상측의 양 측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며, 상기 보조롤러(48)에 의하여 프레임(10)의 내경 상측과 보조롤러(48) 사이에 제 3 공간부(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건착망에 설치되는 연결부(미도시)가 프레임(10)의 상측에 장착될 때, 제 3 공간부(13)로 상기 연결부가 용이하게 삽입된 후 프레임(10)의 상측에 용이하게 장착된다. 상기 보조 롤러(48)는 그 상측이 상기 연결부와 맞닿으면서 회전되어, 상기 연결부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롤러(48)는 건착망이 퍼스라인을 따라 바다에 펼쳐질 때, 프레임(10)에 관통된 퍼스라인과 프레임(10)의 보조 롤러(48)가 서로 맞닿으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므로, 퍼스라인과 프레임(1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고, 부품 교체 비용이 감소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4 개의 롤러가 사용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롤러 및 공간부(24)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멀티롤러(40)에 구비된 롤러(41, 42, 43)는 원통 형상 또는 단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지는 나비넥타이 형상 또는 모래시계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 및 상기 멀티롤러(40)의 재질은 어로작업시 스냅링에 인가되는 힘을 견디기에 충분한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 합금 또는, 항 부식 합금 또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은 제 1 측방롤러(41), 제 2 측방롤러(42), 중앙롤러(43) 및 보조 롤러(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측방롤러(41)는 퍼스라인이 프레임(10)의 제 1 공간부(11)를 통하여 프레임(10)의 내경 하측으로 관통 위치될 때,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에 구비되어, 퍼스라인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측부(20)에 제 1 측방롤러(41)가 구비되기 위하여,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의 하측에 제 1 롤러수용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롤러수용부(30)에 제 1 측방롤러(41)의 축 역할을 하는 제 1 샤프트(45)가 삽입되며, 제 1 샤프트(45)에 제 1 측방롤러(41)가 삽입 및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샤프트(45)는 제 1 측부(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후술하는 프레임개방부(15)에서 제 1 롤러수용부(30)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20a)을 통하여, 제 1 롤러수용부(30)에 위치된다. 이때, 제 1 샤프트(45)의 일측은 중앙샤프트(47)에 형성되는 걸림홈(47b)에 맞닿아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돌기(45a)가 형성되고, 제 1 샤프트(45)의 타측은 제 1 롤러수용부(30)의 측부 즉, 관통홀(20a)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샤프트(45)의 타측에는 걸림홀(45b)이 형성된다. 이는 제 1 샤프트(45)를 관통홀(20a)에서 외측으로 빼낼 때, 갈고리(미도시) 등을 걸림홀(45b)에 삽입하여 용이하게 제 1 샤프트(45)를 빼내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 1 측부(20)의 상측에는 제 1 샤프트(45) 방향으로 제 2 고정핀(25)이 탈착 가능하게 관통 위치되어, 제 1 샤프트(45)가 제 1 롤러수용부(30)에서 외부로 이탈되거나, 외부에서 제 1 롤러수용부(30)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개방부(15)는 프레임(10)의 제 1 공간부(11)로 퍼스라인이 위치되도록 제 1 측부(20)의 상측에 개구된 공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록킹부재(50)가 프레임개방부(15)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측방롤러(42)는 프레임(10)의 제 2 측부(22)에 구비되어, 퍼스라인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프레임(10)의 제 2 측부(22) 하측에 제 2 롤러수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롤러수용부(32)에 제 2 측방롤러(42)의 축 역할을 하는 제 2 샤프트(46)가 삽입되며, 제 2 샤프트(46)에 제 2 측방롤러(42)가 삽입 및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2 샤프트(46)의 일측은 후술하는 제 2 삽입공(23)을 관통하여 중앙샤프트(47)에 맞닿도록 위치되고, 제 2 샤프트(46)의 타측은 제 1 롤러수용부(30)의 측부에 삽입된다.
한편, 중앙샤프트(47)와 대향되는 제 2 샤프트(46)의 단부에는 중앙샤프트(47)의 후술하는 단차부(47a)에 걸리도록 고정돌기(46a)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46a)에 의하여 중앙샤프트(47)가 일 방향으로 고정 위치되며, 이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롤러(43)는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2)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는 것으로,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2) 하측 단부에 각각 제 1 삽입공(21)과 제 2 삽입공(23)이 형성되고, 제 1 삽입공(21)과 제 2 삽입공(23)에 중앙롤러(43)의 축 역할을 하는 중앙샤프트(47)가 삽입되며, 중앙샤프트(47)에 중앙롤러(43)가 삽입 및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2)의 일측에서 중앙샤프트(47)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두 개의 제 1 고정핀(26)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관통 위치되어, 제 1, 2 측부(20, 22)에 관통 위치된 중앙샤프트(47)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2 샤프트(46)와 마주보는 중앙샤프트(47)의 일측에는 제 2 샤프트(46)의 고정돌기(46a)가 걸리도록 단차부(47a)가 형성되는데, 상기 단차부(47a)는 중앙샤프트(47)의 일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제 1, 2 측부(20, 22)에 관통 위치된 중앙샤프트(47)가 일 방향 즉, 단차부(47a)가 형성되어 높이가 낮은 중앙샤프트(47)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 2 샤프트(46)의 고정돌기(46a)에 단차부(47a)가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중앙샤프트(47)가 타 방향 즉, 단차부(47a)보다 높게 형성된 중앙샤프트(47)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 2 샤프트(46)의 고정돌기(46a)에 중앙샤프트(47)의 타측이 걸리게 되어, 이동이 불가능하다. 이처럼 중앙샤프트(47)는 일 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만 타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다.
보조 롤러(48)는 프레임(10)의 내경 상측의 양 측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2)의 상측에 보조관통홀(34)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관통홀(34)에 보조 롤러(48)의 축 역할을 하는 보조 샤프트(49)가 삽입되며, 보조 샤프트(49)에 보조 롤러(48)가 삽입 및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보조관통홀(34)의 일측에는 보조 샤프트(49)의 일단부가 걸리도록 걸림부(36)가 형성되고, 보조관통홀(34)의 타측에는 보조 샤프트(49)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캡 형상의 이탈방지부(38)가 삽입되어, 보조 샤프트(49)가 보조관통홀(34)에 고정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개폐부가 개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분해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조립 및 해제가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스냅링의 해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레임개방부(15)를 폐쇄하고 있는 록킹부재(50)를 외측으로 이동시켜서, 프레임개방부(15)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 후, 제 1 샤프트(45)와 중앙샤프트(47)를 고정시키는 제 2 고정핀(25)과 제 1 고정핀(26)을 프레임(10)에서 제거한다. 그리고, 제 1 샤프트(45)를 프레임(10)의 관통홀(20a)에서 외측으로 이동시켜서 제 1 샤프트(45)가 프레임(10)에서 제거되도록 한다. 이때, 제 1 샤프트(45)에 형성된 걸림홀(45b)에 갈고리(미도시) 등을 삽입하여 제 1 샤프트(45)를 프레임(10)에서 용이하게 외부로 빼낼 수도 있다.
이어서, 중앙샤프트(47)를 프레임(10)의 제 1, 2 삽입공(21, 23)에서 외측으로 이동시켜서 중앙샤프트(47)를 프레임(10)에서 제거하며, 이때, 제 1 측방롤러(41)와 중앙롤러(43)를 프레임(10)에서 외부로 이탈시킨다. 그 후, 제 2 샤프트(46)의 일측을 제 2 삽입공(23)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 2 샤프트(46)의 타측이 제 2 롤러수용부(32)의 측부에서 외측으로 빠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샤프트(46)와 제 2 측방롤러(42)를 제 2 롤러수용부(32)에서 외측으로 이탈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은 제 1 샤프트(45)와 중앙샤프트(47)를 고정시키는 제 2 고정핀(25)과 제 1 고정핀(26)을 프레임(10)에서 제거하면, 중앙롤러(43), 제 1 측방롤러(41) 및 2 롤러(42)를 프레임(10)에서 차례대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립 및 해제가 용이하고, 조립의 단순화에 따른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며, 스냅링에 고장 또는 마모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고장난 부품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50)는 프레임개방부(15)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제 1 실린더(51), 탄성부재(70) 및 제 2 실린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실린더(51)는 프레임(10)에서 프레임개방부(15)의 일측방향에 위치되며, 그 일단부는 힌지핀(52)에 의해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부는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의 타측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부(16: 도 8 도시)와 결합되도록 고정결합부(53)가 돌출된다. 한편, 프레임(10)에 힌지결합된 제 1 실린더(51)가 프레임(10) 안쪽으로 회전될 때, 제 1 실린더(51)의 단부가 프레임(10)의 제 2 측부(22)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실린더(51)는 일정각도 비틀어진 상태로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된다.
고정결합부(53)는 제 1 실린더(51)의 타단부에서 프레임개방부(15)의 타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선단부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실린더(51)가 회동되어, 프레임개방부(15)에 위치될 때,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의 타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안내부(16)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안내부(16)에 상기 고정결합부(53)가 삽입되면서 상호 맞물리도록 위치되어, 제 1 실린더(51)가 힌지운동되지 않는 한, 고정결합부(53)가 결합안내부(16)에 맞물리면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실린더(51)의 길이방향 측부에는 가이드레일(55)이 형성되며, 핀 형상의 가이드핀(80)이 가이드레일(55)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 및 가이드 되어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55)은 제 1 실린더(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레일(55a)과, 프레임개방부(15)의 일측과 대향되는 제 1 가이드레일(55a)의 일측에서 후술하는 제 2 실린더(60)가 자전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레일(55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가이드레일(55a)은 제 1 실린더(51)의 길이방향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가이드레일(55b)의 단부는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제 1 가이드레일(55a)의 타측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가이드레일(55b)의 단부에는 제 1 실린더(51)의 타단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걸림부(55c)가 형성되어, 가이드핀(80)이 제 2 가이드레일(55b)의 단부에 위치될 때, 후술하는 탄성부(72)의 탄성에 의하여 걸림부(55c)에 걸림 위치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가이드레일(55a)의 타측에는 가이드핀(8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고정부(55d)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이드레일(55)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80)이 고정부(55d)에 위치되면, 가이드핀(80)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 실린더(5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70)가 삽입 위치되도록 수용부(51c)가 구비된다. 수용부(51c)는 탄성부재(70)가 삽입되도록 제 1 실린더(51)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제 1 실린더(51)의 타단부에는 탄성부재(7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51a)이 형성되어, 탄성부재(7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실린더(51)의 일단부에는 제 1 실린더(51)의 가이드레일(55)을 통하여 수용부(51c)로 인입된 물 등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배출구(51b)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제 1 실린더(51)의 삽입홀(51a) 통하여 수용부(51c)에 삽입 위치되는 것으로, 탄성부(72) 및 이동부(74)가 수용부(51c)에 차례로 삽입된다. 탄성부(72)는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며, 그 일단부는 이동부(74)에 밀착되고, 그 타단부는 제 1 실린더(51)의 일단부에 밀착된다. 이동부(74)는 가이드핀(80)이 삽입되도록 수용홀(76)이 형성되고, 제 1 실린더(51)의 수용부(51c)에 위치되어 수용부(51c)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부(74)의 수직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수용부(51c)의 수직 단면 또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이동부(74)가 수용부(51c)에서 용이하게 자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부(74)에서 탄성부(72)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탄성부(7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스프링연결부(77)가 돌출 형성된다.
제 2 실린더(60)는 제 1 실린더(51)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실린더(51)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프레임개방부(15)가 폐쇄될 때, 제 2 실린더(60)의 일측이 제 1 실린더(51)에서 그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 결과, 제 2 실린더(60)가 제 1 실린더(51)의 타단부에 위치되된 고정결합부(53)와 결합안내부(16)를 수용하게 되어, 상호 걸림 결합된 고정결합부(53)와 결합안내부(16)의 결합이 해체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착망 또는 상기 퍼스라인 등의 하중에 의하여 프레임(10)에 강한 하중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고정결합부(53)와 결합안내부(16)가 제 2 실린더(60)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맞물리면서 결합 위치되도록 구성되므로, 록킹부재(50)가 프레임개방부(15)를 견고하게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가이드핀(80)이 제 1 실린더(51)의 가이드레일(55)을 따라 이동될 때, 제 2 실린더(60)가 가이드핀(80)에 견인되어 이동되기 위하여, 제 2 실린더(60)에는 가이드핀(80)이 관통되도록 가이드공(6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62)은 제 2 실린더(60)가 제 1 실린더(51)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 위치된 가이드핀(80)과 대향되는 제 2 실린더(60)의 외측에 천공되어, 가이드핀(80)이 가이드공(62)을 통하여 제 2 실린더(60)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가이드핀(80)이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서 제 1 가이드레일(55a)의 단부로, 또는 제 1 가이드레일(55a)의 단부에서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로 이동될 때, 제 2 실린더(60)가 가이드핀(80)에 견인되면서 제 1 실린더(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제 2 실린더(60)는 제 1 가이드레일(55a)의 비스듬하게 경사진 각도를 따라 자전되면서 이동되어, 프레임개방부(15)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이는 하기 도 11 및 도 12 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가 개폐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가 개방된 상태로서, 이를 위하여 제 1 실린더(51)의 타단부 방향에 위치된 제 2 실린더(60)를 제 1 실린더(51)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 1 가이드레일(55a)의 단부에 위치된 가이드핀(80)이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탄성부(72)의 탄성에 의하여 가이드핀(80)이 걸림부(55c)를 가압하게 되어, 강한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가이드핀(80)이 걸림부(55c)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가이드핀(80)이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 위치되면, 제 2 실린더(60)가 제 1 실린더(51)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2 실린더(60)의 일측이 프레임(10)의 결합안내부(16)와 제 1 실린더(51)의 고정결합부(53)를 수용하지 않게 되어,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가 개방되게 된다.
한편, 가이드핀(80)이 제 1 가이드레일(55a)에서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 위치될 때, 가이드핀(80)의 일단부에 위치된 제 2 실린더(60)가 가이드핀(80)을 따라 일 방향으로 자전되며, 이와 동시에 가이드핀(80)의 타단부에 위치된 이동부(74) 또한 가이드핀(80)을 따라 일 방향으로 자전된다. 이때, 탄성부(72)는 이동부(74)와 밀착되기만 할 뿐, 상호 결합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이동부(74)의 자전에 의하여 탄성부(72)가 이동부(74)를 따라 비틀어지지 않게 되며, 이동부(74)는 탄성부(72)의 단부에서 슬라이딩 자전된다. 이처럼 이동부(74)가 자전된다 하더라도 탄성부(72)는 비틀어지지 않게 되므로, 탄성부(72)의 내구성이 증가되어, 부품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부(74)와 탄성부(72)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단가가 낮아지게 되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12을 참조하면, 도 12은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가 폐쇄된 상태로서, 이를 위하여 제 2 실린더(60)를 역 자전시켜서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 위치된 가이드핀(80)이 걸림부(55c)에서 이탈되어 제 1 가이드레일(55a)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가이드핀(80)은 탄성부(72)의 탄성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 1 가이드레일(55a)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부(55d)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탄성부(72)의 탄성에 의하여 가이드핀(80)이 고정부(55d)를 가압하게 되어, 강한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가이드핀(80)이 고정부(55d)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핀(80)이 고정부(55d)에 삽입되면, 제 2 실린더(60)가 가이드핀(80)을 따라 가이드레일(55)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2 실린더(60)의 일측이 프레임(10)의 결합안내부(16)와 제 1 실린더(51)의 고정결합부(53)를 수용하게 되어,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가 폐쇄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탄성부(72)는 이동부(74)와 결합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이동부(74)가 자전 또는 역자전될 때, 이동부(74)는 탄성부(72)의 단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자전 또는 역자전되어, 탄성부(72)가 이동부(74)를 따라 비틀어지지 않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2 실린더(60)가 제 1 실린더(51)를 따라 이동될 때, 탄성부(72)를 비틀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탄성부(72)의 내구성이 증가되어, 부품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어로 작업에서 퍼스라인(Purse line)과 건착망(Seine)을 연결시키는 스냅링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중하중이 걸리는 굵은 로프 또는 케이블이 사용되는 작업 환경에서, 프레임(10)의 제 1 공간부(11)에 로프 또는 케이블을 관통 위치시켜서, 프레임(10)과 로프 또는, 프레임(10)과 케이블간의 마찰력을 상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프레임 11: 제 1 공간부
12: 제 2 공간부 13: 제 3 공간부
15: 프레임개방부 16: 결합안내부
20: 제 1 측부 20a: 관통홀
21: 제 1 삽입공 22: 제 2 측부
23: 제 2 삽입공 25: 제 2 고정핀
26: 제 1 고정핀 30: 제 1 롤러수용부
32: 제 2 롤러수용부 34: 보조관통홀
36: 걸림부 38: 이탈방지부
40: 멀티롤러 41: 제 1 측방롤러
42: 제 2 측방롤러 43: 중앙롤러
45: 제 1 샤프트 45a: 걸림돌기
45b: 걸림홀 46: 제 2 샤프트
46a: 고정돌기 47: 중앙샤프트
47a: 단차부 47b: 걸림홈
48: 보조 롤러 49: 보조 샤프트
50: 록킹부재 51: 제 1 실린더
51a: 삽입홀 51b: 배출구
51c: 수용부 52: 힌지핀
53: 고정결합부 55: 가이드레일
55a: 제 1 가이드레일 55b: 제 2 가이드레일
55c: 걸림부 55d: 고정부
60: 제 2 실린더 62: 가이드공
70: 탄성부재 72: 탄성부
74: 이동부 76: 수용홀
77: 스프링연결부 80: 가이드핀

Claims (14)

  1. 제 1 측부와, 상기 제 1 측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호 연결되는 제 2 측부와,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에 구비되며 퍼스라인이 관통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길이방향 하측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공간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중앙롤러와, 상기 제 1 측부를 따라 상기 중앙롤러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는 제 1 측방롤러와, 상기 제 2 측부를 따라 상기 중앙롤러의 타측 상부에 위치되는 제 2 측방롤러를 포함하는 멀티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측방롤러와 상기 제 2 측방롤러의 이격 거리는 상기 공간부의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에는 상기 제 1 측방롤러가 수용되도록 제 1 롤러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부에는 상기 제 2 측방롤러가 수용되도록 제 2 롤러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방롤러와 상기 제 2 측방롤러와 상기 중앙롤러는 각각 축 역할을 하는 제 1 샤프트와 제 2 샤프트와 중앙샤프트가 구비되되,
    상기 중앙샤프트의 양 단부는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하측 사이에 삽입 위치되고,
    상기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하측은 상기 중앙샤프트의 양 단부에 각각 맞닿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상측은 각각 상기 제 1 롤러수용부와 상기 제 2 롤러수용부의 측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하측에서 상기 중앙샤프트 방향으로 제 1 고정핀이 탈착 가능하게 관통 위치되고,
    상기 제 1 측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샤프트 방향으로 제 2 고정핀이 탈착 가능하게 관통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의 상측에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샤프트는 상기 제 1 측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롤러수용부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 1 롤러수용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샤프트와 상기 중앙샤프트의 마주보는 측부 및 상기 제 2 샤프트와 상기 중앙샤프트의 마주보는 측부는 상호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공간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보조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중 어느 한 측부의 상측에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개방부; 및
    상기 프레임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록킹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실린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개폐부를 개폐시키는 제 2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에 고정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결합부와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결합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실린더의 힌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에 위치될 때, 상기 제 2 실린더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실린더의 힌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에서 그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때, 상기 제 2 실린더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를 수용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의 길이방향 측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제 2 실린더를 관통하는 가이드핀이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 2 실린더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 1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레일과,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일측에서 상기 제 2 실린더가 자전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은 상기 제 1 실린더의 일단부와 대향되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부의 타측 방향에 위치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수용홀이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핀이 자동으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타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 1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위치될 때,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핀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오목하게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위치된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KR1020120097037A 2012-09-03 2012-09-03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KR10141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037A KR101414139B1 (ko) 2012-09-03 2012-09-03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ES201300812A ES2530593B2 (es) 2012-09-03 2013-09-02 Anillo de fijación con múltiples rodillos
CN201310392969.3A CN103821816B (zh) 2012-09-03 2013-09-02 具有多个辊的卡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037A KR101414139B1 (ko) 2012-09-03 2012-09-03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628A true KR20140030628A (ko) 2014-03-12
KR101414139B1 KR101414139B1 (ko) 2014-08-06

Family

ID=5064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037A KR101414139B1 (ko) 2012-09-03 2012-09-03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14139B1 (ko)
CN (1) CN103821816B (ko)
ES (1) ES2530593B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973A (ko) 2016-08-31 2019-04-19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필터 및 광학 필터를 사용한 장치
KR20200125604A (ko) 2018-02-27 2020-11-04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필터 및 광학 필터를 사용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8354A (zh) * 2015-06-30 2015-11-11 浙江海洋学院 围网养殖的沉浮式板网捕捞设备
CN111520394A (zh) * 2020-03-30 2020-08-11 遵义宏港机械有限公司 一种扣钩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5327A (en) * 1993-11-12 1997-08-12 Cooper Industries, Inc. Purse seine link
US5505013A (en) * 1995-02-16 1996-04-09 Gois; John F. Purse ring
JPH10295217A (ja) * 1997-04-21 1998-11-10 Kaiken:Kk 旋網の網捌き装置
ES2284386B1 (es) * 2006-04-06 2008-11-16 Albacora S.A. Anilla para redes de cerco.
US7624483B1 (en) * 2006-12-27 2009-12-01 James Jang Multi-roller snap ring
US7743475B2 (en) * 2007-02-02 2010-06-29 James Jang Purse ring having multiple rollers
US20100088945A1 (en) * 2008-10-13 2010-04-15 Gois John F Hardened Purse Ring
KR100986008B1 (ko) 2009-01-16 2010-10-06 장 리카르도 멀티 롤러 스냅링
US8359719B2 (en) * 2009-01-16 2013-01-29 Ricardo Jang Snap ring having multiple rollers
FR2944842A1 (fr) * 2009-04-22 2010-10-29 Zedel Maillon d'attache a bague rotative verrouillable
SG172592A1 (en) * 2010-01-04 2011-07-28 Mrm Holdings Ltd Carabi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973A (ko) 2016-08-31 2019-04-19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필터 및 광학 필터를 사용한 장치
KR20210150591A (ko) 2016-08-31 2021-12-10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필터 및 광학 필터를 사용한 장치
KR20200125604A (ko) 2018-02-27 2020-11-04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필터 및 광학 필터를 사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30593A1 (es) 2015-03-03
ES2530593B2 (es) 2015-10-02
CN103821816A (zh) 2014-05-28
KR101414139B1 (ko) 2014-08-06
CN103821816B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628B1 (ko) 멀티 롤러가 구비된 퍼스링
KR20140030628A (ko)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JP2010162022A (ja) マルチローラースナップリング
US9267535B2 (en) Snap ring having easily replaceable support
US7624483B1 (en) Multi-roller snap ring
US9212688B2 (en) Snap ring having multiple rollers
CA2730602A1 (en) Improved shackle
KR20130093580A (ko) 경화된 퍼스 링
CN202529706U (zh) 一种起吊辅助装置
KR20100105300A (ko) 힘 저항성이 개선된 퍼스 링
KR100986008B1 (ko) 멀티 롤러 스냅링
KR200479974Y1 (ko)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KR101455270B1 (ko)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KR20140108514A (ko)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KR100880958B1 (ko) 제작 조립이 용이한 퍼스링
KR101749950B1 (ko) 2중 회전에 의한 다단 잠금장치가 구비된 퍼스링
KR102258734B1 (ko)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CN216627168U (zh) 一种蟹笼自脱钩
KR200410280Y1 (ko) 콘테이너 자동 록킹장치.
KR940004747B1 (ko) 퍼스링(purse ring)
KR200407548Y1 (ko)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JP4422145B2 (ja) 延縄用連結具と、これを用いた延縄器具及び方法
JP2016096876A (ja) カヌー競技用ゲート固定具、及びそれを用いたカヌー競技用ゲートの固定方法
KR200428952Y1 (ko) 통발용 고리줄 탈착구
KR20050091986A (ko) 주낙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주낙 기구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