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974Y1 -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 Google Patents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974Y1
KR200479974Y1 KR2020150002614U KR20150002614U KR200479974Y1 KR 200479974 Y1 KR200479974 Y1 KR 200479974Y1 KR 2020150002614 U KR2020150002614 U KR 2020150002614U KR 20150002614 U KR20150002614 U KR 20150002614U KR 200479974 Y1 KR200479974 Y1 KR 200479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frame
guide rail
main roll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031U (ko
Inventor
장 제임스
장 리카르도
Original Assignee
장 제임스
장 리카르도
김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 제임스, 장 리카르도, 김상규 filed Critical 장 제임스
Priority to KR2020150002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974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0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9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롤러의 측방에 복잡한 구성을 요구하는 측방롤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퍼스라인의 마찰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제 1 측부 또는 제 2 측부의 내측에 복잡한 구성을 요구하는 측방롤러 대신에,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여, 퍼스라인의 마찰력을 지지부와 메인롤러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지지부 또는 메인롤러는 따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마모된 지지부 또는 메인롤러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Snap Ring having Multi Roller}
본 고안은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롤러의 측방에 복잡한 구성을 요구하는 측방롤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퍼스라인의 마찰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업용 어로 작업에 있어서, 건착망은 정어리, 전갱이, 고등어와, 가다랭이, 다랭이 등을 어획하는 그물 어구로서, 도 1 및 도 2 에 건착망 및 종래 스냅링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건착망(200)은 중앙이 약간 넓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물의 표면에 떠 있기 위한 부표와 같은 부력장치(202)가 설치되며, 그 하단부에는 건착망(200)을 가라앉히기 위한 체인 같은 브라이들 체인(Bridle Chain)(205)이 설치된다. 이처럼 부력장치(202) 및 브라이들 체인(205)에 의해서 건착망(200)은 바다에서 수직으로 펼쳐지면서, 건착망(200)이 대략적으로 원 형상으로 전개되어 고기가 포획된다.
그리고 원 형상으로 전개된 건착망(200)이 회수되도록 하기 위해, 건착망(200)의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퍼스라인(Purse line)(210)이 위치되고, 상기 퍼스라인(210)과 브라이들 체인(205)은 스냅링(100)으로 알려진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이들 체인(205)의 단부에 로프 또는 스트랩 등의 연결부(207)가 장착되며, 이 연결부(207)가 스냅링(100)의 일측과 연결되고, 스냅링(100)의 타측에 퍼스라인(210)이 관통 위치됨으로써, 퍼스라인(210)과 브라이들 체인(205)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퍼스라인(210)이 어선(220) 위에 있는 유압 퍼스윈치(Purse Winch)에 의하여 당겨질 때, 건착망(200)의 브라이들 체인(205) 또한, 함께 잡아 당겨지면서, 건착망(200) 내에 들어온 고기를 가두게 되고, 건착망(200)이 인양되게 된다.
그러나 어획고의 무게 및 건착망(200)의 무게로 인하여, 건착망(200)을 회수하는데 사용되는 퍼스라인(210) 및 스냅링(100)의 서로 맞닿는 표면에는 상당한 마찰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퍼스라인(210) 및 스냅링(100)의 표면에는 심각한 마모와 찢김이 발생된다. 이는, 어로 작업에 심각한 지장을 유발시키며, 퍼스라인(210) 또는 스냅링(100)의 잦은 교체로 인한 교체비용을 증가시켜서, 결과적으로 소득 감소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86008호(등록일자 2010년 9월 30일)와 같이, 멀티 롤러 스냅링을 제시하여, 퍼스라인과 스냅링 간의 서로 맞닿는 표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줄이고자 하였다.
도 3은 종래 멀티 롤러 스냅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착망과 퍼스라인을 서로 연결시키는 스냅링(100)은 일측으로 상기 건착망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퍼스라인이 관통 위치되는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에서 상기 퍼스라인이 맞닿는 위치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멀티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롤러는 상기 프레임(110)의 양 측에 위치되는 제 1, 2 측방롤러(141, 142)와, 상기 프레임(110)의 양 측를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며 그 양측이 각각 제 1, 2 측방롤러(141, 142)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메인롤러(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퍼스라인이 프레임(110)에 관통 위치될 때, 퍼스라인의 일측은 제 1 측방롤러(141) 및 제 2 측방롤러(142) 중 어느 한 롤러에 맞닿도록 위치되고, 퍼스라인의 타측은 메인롤러(143)에 맞닿도록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퍼스라인이 이동되면, 퍼스라인의 하중이 퍼스라인과 맞닿은 두 개의 롤러, 예를 들면, 제 1 측방롤러(141)와 메인롤러(143)로 분산된 상태에서, 제 1 측방롤러(141)와 메인롤러(143)가 회전되어, 퍼스라인과 프레임(110)과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어로작업에 사용되는 배는 바다의 환경조건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요동치므로, 배와 연결된 퍼스라인 또한, 앞뒤, 전후로 민감하게 흔들리게 되는데, 종래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100)에 구비되는 제 1 측방롤러(141)와 메인롤러(143), 또는 제 2 측방롤러(142)와 메인롤러(143)가 직각으로 구비되므로, 제 1 측방롤러(141) 또는 제 2 측방롤러(142)에 위치된 퍼스라인은 메인롤러(143)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지 못하고, 제 1 측방롤러(141) 또는 제 2 측방롤러(142)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대로 인양작업이 진행된다. 이 경우, 퍼스라인의 하중이 두 군데 즉, 제 1 측방롤러(141)와 메인롤러(143) 또는 제 2 측방롤러(142)와 메인롤러(143)로 분산되지 못하고, 한 군데 즉, 퍼스라인이 위치된 제 1 측방롤러(141) 또는 제 2 측방롤러(142)로 쏠리게 되어, 스냅링(100)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며, 이는 스냅링(100)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결국, 스냅링(100)의 교체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 1 측방롤러(141)와 제 2 측방롤러(142)를 프레임(110)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롤러에 대한 각각의 회전축 및 회전축을 고징시키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구성이 요구되는데, 이는 스냅링(100)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스냅링(100)은 퍼스라인을 설치하도록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프레임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록킹부재(150)를 구비한다. 상기 록킹부재(150)는 일단부는 프레임(110)의 프레임개방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프레임(110)의 프레임개방부의 타측과 대향 위치되는 제 1 실린더(151)와, 상기 제 1 실린더(15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프레임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 2 실린더(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실린더(151)의 길이방향 측부에 가이드레일(154)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실린더(160)를 관통하는 가이드핀(180)이 가이드레일(154)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레일(154)의 일측 및 타측에는 가이드핀(180)이 걸림 위치되도록 제 1 걸림부(155) 및 제 2 걸림부(156)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핀(180)이 가이드레일(154)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 2 실린더(160)를 상하 이동시켜서, 상기 제 2 실린더(160)가 프레임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어로 작업에서 건착망을 회수하는 작업은 긴급한 상황이며, 스냅링(100)을 퍼스라인에 설치하기 위하여 제 2 실린더(160)를 상하 이동시키는 작업 또한,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 2 실린더(160)가 자동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실린더(151)의 내부에는 스프링(172)이 수용되어, 스프링(172)의 상하 운동 및 트위스트 운동에 의하여, 가이드핀(180)이 제 1 걸림부(155) 또는 제 2 걸림부(156)로 용이하게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 2 실린더(160)가 자동으로 상하 이동되어, 프레임(110)의 개방 또는 폐쇄가 용이해진다.
그러나 스프링(172)이 트위스트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172)의 양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2 결착수용부(174a, 178a) 등의 복잡한 구성이 요구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프링(172)이 트위스트 운동을 하다 보니 스프링(172)의 탄성이 저하되어, 부품 교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98600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의 제 1 측부 또는 제 2 측부 내측에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여 메인롤러의 측방에 복잡한 구성을 요구하는 측방롤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퍼스라인의 마찰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퍼스라인이 지지부 또는 메인롤러에 가하는 압력이 어느 한쪽으로 몰리지 않고, 지지부와 메인롤러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교체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부가 트위스트 운동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탄성부의 내구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 1 측부와, 상기 제 1 측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 1 측부와 상호 연결되는 제 2 측부와,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퍼스라인이 삽입 위치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길이방향 일측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그 외주연에 상기 퍼스라인이 맞닿도록 위치되는 메인롤러;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중 어느 한 측부에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개방부; 및 상기 프레임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부 또는 상기 제 2 측부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 장착되되, 그 일측은 상기 메인롤러의 단부 방향에 근접 위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롤러와 맞닿는 상기 퍼스라인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에 맞닿거나, 상기 지지부에 맞닿는 상기 퍼스라인의 일부가 상기 메인롤러에 맞닿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 측부 또는 상기 제 2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퍼스라인과 맞닿는 상기 지지부의 외면은 상기 메인롤러의 단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부 또는 상기 제 2 측부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부가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내면에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부 또는 상기 제 2 측부의 외측에는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관통부와 상기 삽입부에 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에는 상기 메인롤러의 축 역할을 하는 메인샤프트가 삽입되도록 축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결합부의 측방에 위치되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축결합부와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수용부의 타측 방향으로 보강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샤프트를 지지하는 상기 축결합부의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강돌출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은 상기 메인롤러의 외주연보다 안쪽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일측이 상기 메인롤러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에는 상기 메인롤러의 축 역할을 하는 메인샤프트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부 또는 상기 제 2 측부에는 상기 메인롤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돌출되어,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이 상호 맞닿을 때, 상기 메인롤러와 상기 돌출부 간의 간격으로 인하여, 상기 메인롤러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는 보조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실린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개방부를 개폐시키는 제 2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부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안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고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실린더의 정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에 위치될 때, 상기 제 2 실린더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실린더의 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에서 그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때, 상기 제 2 실린더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를 수용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는 각각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실린더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 1 경사면이 상기 제 2 경사면에 접촉될 때, 상기 제 1 실린더가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제 2 경사면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호 맞물리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린더의 길이방향 측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제 2 실린더를 관통하는 가이드핀이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 2 실린더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 1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레일과,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일측에서 상기 제 2 실린더가 자전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은 상기 제 1 실린더의 일단부와 대향되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부의 타측 방향에 위치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수용홀이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핀이 자동으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타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 1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위치될 때,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타측에는 오목하게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위치된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고정부에 위치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실린더가 자전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레일과, 상기 연결레일의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3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레일의 단부에서 상기 제 3 가이드레일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 3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연결레일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프레임의 제 1 측부 또는 제 2 측부 내측에 복잡한 구성을 요구하는 측방롤러 대신에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여 퍼스라인의 마찰력을 지지부와 메인롤러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지지부 또는 메인롤러는 따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마모된 지지부 또는 메인롤러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메인 롤러의 단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므로, 지지부에 위치된 퍼스라인은 지지부를 따라 메인롤러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어, 퍼스라인이 스냅링 또는 메인롤러에 가하는 압력이 어느 한쪽으로 몰리지 않고, 지지부와 메인롤러로 분산되며, 이에 따라 스냅링의 수명이 길어지게 되고, 스냅링의 교체 비용을 감소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맞닿을 때, 메인롤러와 돌출부 간의 간격으로 인하여, 서로 인접한 메인롤러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메인롤러와 지지부가 상호 근접하게 위치되므로, 지지부에 위치된 퍼스라인이 메인롤러로 다이렉트로 이동되거나, 메인롤러에 위치된 퍼스라인이 지지부로 다이렉트로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부의 하측이 메인롤러의 안쪽에 견고하게 위치되므로, 퍼스라인이 지지부에 강한 압력을 가한다 하더라도, 지지부가 어느 한쪽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동부가 가이드핀을 따라 회전될 때, 탄성부가 이동부와 결합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이동부가 회전된다 하더라도 탄성부는 비틀어지지 않게 되어, 탄성부의 내구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착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스냅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멀티 롤러 스냅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분해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지지부가 탈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가 개폐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결합안내부와 고정결합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가이드레일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은 어로 작업에 있어서, 건착망(미도시)과 퍼스라인(210: 도 7 도시)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프레임(10), 록킹부재(50), 메인롤러(40), 제 1, 2 지지부(42, 45) 및 보조 롤러(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은 퍼스라인(210)이 관통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퍼스라인(210)이 관통하기에 충분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프레임(10)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측부(20)와, 상기 제 1 측부(20)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호 연결되는 제 2 측부(25)와, 상기 제 1 측부(20)와 상기 제 2 측부(25)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부는 제 1 공간부(11), 제 2 공간부(12) 및 제 3 공간부(13)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2, 3 공간부(11, 12, 13)는 각각 독립된 공간이 아니라, 프레임(10)에 일체로 된 하나의 공간을 각각의 목적에 따라 분리한 것이다. 먼저, 제 1 공간부(11)는 상기 퍼스라인(210)이 관통되도록 프레임(10)의 중앙에 구비되는 빈 공간으로, 제 1 공간부(11)를 통하여 상기 퍼스라인(210)이 프레임(10)에 관통 위치되어, 후술하는 메인롤러(40)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제 2 공간부(12)는 프레임(10)에 메인롤러(40)가 설치될 때, 메인롤러(40)와 프레임(10)의 하측 사이에 구비되는 빈 공간으로, 제 2 공간부(12)의 공간으로 인하여 메인롤러(4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제 3 공간부(13)는 건착망에 설치되는 브라이들 체인의 단부에 로프 등의 연결부(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가 프레임(10)의 상측과 연결될 때,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중공의 공간으로서, 후술하는 보조 롤러(48)와 프레임(10)의 내경 상측 사이에 구비되며, 제 3 공간부(13)를 통하여 상기 연결부가 프레임(10)에 관통 위치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제 1 공간부(11)로 퍼스라인(210)이 위치되도록 제 1 측부(20)의 상측에 프레임개방부(15: 도 5 도시)가 개구된 공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록킹부재(50)가 프레임개방부(15)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록킹부재(50)는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롤러(40)는 건착망에 포획된 고기를 끌어올리기 위하여, 유압 퍼스윈치(Purse Winch) 등에 의해 퍼스라인(210)이 당겨질 때, 어획고의 무게 및 건착망의 무게로 인하여 퍼스라인(210) 및 스냅링의 서로 맞닿는 표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5)의 하측을 가로지르도록 제 1 공간부(11)의 하측에 설치된다.
제 1 지지부(42)는 제 1 측부(20)를 따라 메인롤러(4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다. 제 2 지지부(45)는 제 2 측부(25)를 따라 메인롤러(40)의 타측 상부에 설치된다. 그 결과 메인롤러(40)의 양측은 제 1 지지부(42)와 제 2 지지부(45)에 근접되게 위치된다. 상기 제 1 지지부(42)와 상기 제 2 지지부(45)는 경우에 따라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둘 다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2 지지부(42, 45)가 제 1, 2 측부(20, 25)에 설치될 때, 제 1, 2 지지부(42, 45)의 하측이 메인롤러(40)의 양측 외주연보다 안쪽에 위치되는바, 제 1, 2 지지부(42, 45)와 메인롤러(40) 사이에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에 위치된 퍼스라인(210)이 메인롤러(40)로 이동되거나, 메인롤러(40)에 위치된 퍼스라인(210)이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로 이동되는 중간에, 제 1 측부(20) 또는 제 2 측부(25)의 내측에 닿지 않고, 다이랙트로 이동되므로, 퍼스라인(210)이 제 1, 2 측부(20, 25)의 내측을 마모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 2 지지부(42, 45)는 상기 메인롤러(40)와 마주보는 외면 하측에서 그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내면 방향 즉, 프레임(1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 1 지지부(42)와 제 2 지지부(45)의 상호 마주보는 외면은 제 1 경사부(42b)와 제 2 경사부(45b)가 대각선으로 구비된다. 그 결과, 제 1 지지부(42)와 제 2 지지부(45)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공간부(11)의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에 위치된 퍼스라인(210)은 대각선으로 형성된 제 1 경사부(42b) 또는 제 2 경사부(45b)를 따라 메인롤러(4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퍼스라인(210)의 하중이 제 1 지지부(42)와 메인롤러(40) 또는, 제 2 지지부(45)와 메인롤러(40)로 분산된다. 이는 하기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보조 롤러(48)는 프레임(10)의 내경 상측의 양 측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며, 상기 보조롤러(48)에 의하여 프레임(10)의 내경 상측과 보조롤러(48) 사이에 제 3 공간부(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건착망에 설치되는 연결부(미도시)가 프레임(10)의 상측에 장착될 때, 제 3 공간부(13)로 상기 연결부가 용이하게 삽입된 후 프레임(10)의 상측에 용이하게 장착된다. 상기 보조 롤러(48)는 그 상측이 상기 연결부와 맞닿으면서 회전되어, 상기 연결부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롤러(48)는 건착망이 퍼스라인(210)을 따라 바다에 펼쳐질 때, 프레임(10)에 관통된 퍼스라인(210)과 프레임(10)의 보조 롤러(48)가 서로 맞닿으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므로, 퍼스라인(210)과 프레임(1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고, 부품 교체 비용이 감소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메인롤러(40)는 원통 형상 또는 단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지는 나비넥타이 형상 또는 모래시계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 및 상기 메인롤러(40)의 재질은 어로작업시 스냅링에 인가되는 힘을 견디기에 충분한 재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 합금 또는, 항 부식 합금 또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 1 지지부(42), 제 2 지지부(45), 메인롤러(40) 및 보조 롤러(48)가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은 제 1 지지부(42), 제 2 지지부(45), 메인롤러(40) 및 보조 롤러(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지지부(42)는 퍼스라인(210)이 프레임(10)의 제 1 공간부(11)를 통하여 프레임(10)의 내경 하측으로 관통 위치될 때,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에 구비되어, 퍼스라인(210)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측부(20)에 제 1 지지부(42)가 구비되기 위하여,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의 하측에 제 1 수용부(30)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부(30)에 제 1 지지부(42)의 내면이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지지부(42)를 제 1 수용부(3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1 측부(20)의 외측에서 제 1 지지부(42) 방향으로 제 1 결합부(44)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 1 측부(20)의 외측에서 제 1 삽입부(43) 방향으로 제 1 관통부(32)가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결합부(44)가 제 1 관통부(32)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지지부(42)의 내면에는 제 1 관통부(32)에 삽입된 제 1 결합부(44)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제 1 삽입부(43)가 형성되어, 제 1 결합부(44)가 제 1 관통부(32)를 통하여 제 1 지지부(42)의 제 1 삽입부(43)에 삽입 결합된다. 한편, 제 1 결합부(44)는 볼트 등으로 구성되어, 제 1 결합부(44)가 제 1 관통부(32) 및 제 1 삽입부(43)에 볼트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지지부(42)가 마모되어, 제 1 지지부(42)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제 1 결합부(44)를 회전시켜서 제 1 결합부(44)가 제 1 관통부(32) 및 제 1 삽입부(43)에서 탈거되도록 하여, 제 1 지지부(42)를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한다. 이는 하기 도 11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지지부(45)는 상술한 제 1 지지부(42)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간략하게 설명하면, 제 2 지지부(45)는 프레임(10)의 제 2 측부(25)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 수용부(33)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 2 지지부(45)의 내면에는 제 2 결합부(47)가 삽입되도록 제 2 삽입부(46)가 형성되고, 제 2 측부(25)의 외측에서 제 2 삽입부(46) 방향으로 제 2 삽입부(46)가 천공된다. 그리고 제 2 결합부(47)가 제 2 관통부(35) 및 제 2 삽입부(46)에 볼트 결합되어, 제 2 지지부(45)가 제 2 수용부(3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롤러(40)는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5)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5) 하측 외주연에서 내주연 방향으로 각각 제 1 축결합부(24)와 제 2 축결합부(28)가 관통 형성되고, 제 1 축결합부(24)와 제 2 축결합부(28)에 메인롤러(40)의 축 역할을 하는 메인샤프트(41)가 일체로 삽입되어, 메인샤프트(41)에 메인롤러(4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5)의 하측에는 그 외면에서 제 1 축결합부(24)와 제 2 축결합부(28) 방향으로 제 1 고정공(22)과 제 2 고정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고정핀(23)과 제 2 고정핀(27)이 제 1 고정공(22)과 제 2 고정공(26)을 통하여 메인샤프트(41)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 1, 2 측부(20, 25)에 관통 위치된 메인샤프트(41)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2 측부(20, 25)의 하측에 메인롤러(40)가 위치될 때, 메인롤러(40)의 일측과 타측 상부에 제 1, 2 지지부(42, 45)가 구비되므로, 메인롤러(40)가 위치되도록 제 1, 2 측부(20, 25)의 하측에 제 1, 2 축결합부(24, 26)가 형성되면, 제 1, 2 측부(20, 25)의 내면에 구비되는 제 1, 2 축결합부(24, 26)의 상측에 제 1, 2 수용부(30, 33)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2 수용부(30, 33)에 제 1, 2 지지부(42, 45)의 내면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1, 2 축결합부(24, 26)에 메인샤프트(41)가 삽입될 때, 제 1, 2 축결합부(24, 26)와 제 1, 2 측부(20, 25)의 외측 간의 길이가 길수록, 즉, 면적이 넓을수록 제 1, 2 축결합부(24, 26)가 메인샤프트(4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이 증대된다. 그런데, 제 1, 2 측부(20, 25)에 형성되는 제 1, 2 축결합부(24, 26)의 상측에는 제 1, 2 지지부(42, 45)가 삽입되기 위한 제 1, 2 수용부(30, 33)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거리 또한 메인롤러(40)의 외주연 안쪽에 제 1, 2 수용부(30, 33)의 하측이 위치될 정도로 가까워서, 제 1, 2 축결합부(24, 26)가 메인샤프트(4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 1, 2 수용부(30, 33)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제 1, 2 보강돌출부(31, 34)가 돌출 형성되어, 제 1, 2 축결합부(24, 26)와 제 1, 2 보강돌출부(31, 34)의 상측 간의 이격 거리가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2 수용부(30, 33)에 삽입되는 제 1, 2 지지부(42, 45)의 하측에는 제 1, 2 보강돌출부(31, 34)가 삽입되도록 제 1, 2 수용홈(42a, 45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2 보강돌출부(31, 34)의 상측은 메인롤러(40)의 외주연 안쪽에 위치되어, 제 1, 2 지지부(42, 45)의 하측이 메인롤러(40)의 외주연보다 안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에 위치된 퍼스라인(210)이 메인롤러(40)로 다이렉트로 이동되거나, 메인롤러(40)에 위치된 퍼스라인(210)이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로 다이렉트로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보조 롤러(48)는 프레임(10)의 내경 상측의 양 측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의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5)의 상측에 보조관통홀(36)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관통홀(36)에 보조 롤러(48)의 축 역할을 하는 보조 샤프트(49)가 삽입되며, 보조 샤프트(49)에 보조 롤러(48)가 삽입 및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보조관통홀(36)의 일측에는 보조 샤프트(49)의 일단부가 걸리도록 걸림부(37)가 형성되고, 보조관통홀(36)의 타측에는 보조 샤프트(49)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캡 형상의 이탈방지부(38)가 삽입되어, 보조 샤프트(49)가 보조관통홀(36)에 고정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에 가해지는 퍼스라인의 하중이 메인롤러와 지지부로 분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어로작업에 사용되는 건착망 등을 인양할 때, 퍼스라인(210)과 스냅링의 서로 맞닿는 표면에는 상당한 마찰력이 발생된다. 배와 연결된 퍼스라인(210)이 배의 요동에 의하여 민감하게 흔들리므로, 퍼스라인(210)은 스냅링의 메인롤러(40)에 위치될 수도 있고, 스냅링의 제 1 지지부(42)나 제 2 지지부(45)에 위치될 수도 있다. 만일, 퍼스라인(210)이 스냅링의 메인롤러(40)에 위치된 상태라면, 메인롤러(40)는 회전되면서 퍼스라인(210)의 마찰력을 일부 상쇄시키므로, 퍼스라인(2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런데, 퍼스라인(210)이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에 위치된 상태라면, 퍼스라인(210)이 스냅링에 가하는 압력이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로 몰리게 되므로,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에 가해지는 압력이 너무 강해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의 수명 및 스냅링의 수명이 감소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제 1 지지부(42) 및 제 2 지지부(45)의 상호 마주보는 외면에 제 1 경사부(42b)와 제 2 경사부(45b)를 구비하여,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에 위치된 퍼스라인(210)은 대각선으로 형성된 제 1 경사부(42b) 또는 제 2 경사부(45b)를 따라 메인롤러(4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에 가해지는 퍼스라인(210)의 압력이 제 1 지지부(42)와 메인롤러(40) 또는, 제 2 지지부(45)와 메인롤러(40)로 분산되어, 제 1, 2 지지부(42, 45)의 수명 및 스냅링의 수명이 길어지게 되고, 이들의 교체 비용을 감소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지지부가 메인롤러에 걸림 위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2 수용부(30, 33)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제 1, 2 보강돌출부(31, 34: 도 6 도시)가 돌출 형성될 때, 제 1, 2 보강돌출부(31, 34)의 상측은 메인롤러(40)의 외주연보다 안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2 지지부(42, 45)의 하측은 메인롤러(40)의 외주연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제 1, 2 지지부(42, 45)의 하측이 메인롤러(40)의 안쪽에 견고하게 위치되므로, 퍼스라인(210: 도 7 도시)이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에 강한 압력을 가한다 하더라도, 제 1 지지부(42) 또는 제 2 지지부(45)가 어느 한쪽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메인롤러(40)와 대향되는 제 1 측부(20)와 제 2 측부(25)의 양측에는 메인롤러(40)의 외측 방향으로 제 1, 2 돌출부(20a, 25a)가 돌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하기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어로 작업에서 건착망 등을 인양할 때, 종래 스냅링은 다수 개의 프레임이 서로 맞닿게 되면서 조금씩 마모가 생겨, 메인롤러의 외주연이 프레임 외측에 위치되게 된다. 이때, 일 메인롤러와 타 메인롤러 끼리 서로 맞닿게 되어,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메인롤러를 따라 이동하는 퍼스라인이 메인롤러와의 마찰에 의하여 심하게 손상되고, 메인롤러에는 퍼스라인과의 마찰에 의하여 홈이 파이게 된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측부(20, 20')와 제 2 측부(25: 도 7 도시)의 메인롤러(40, 40')와 대향되는 양측에 상기 메인롤러(40, 40')의 외측 방향으로 제 1 돌출부(20a, 20a')와 제 2 돌출부(25a: 도 8 도시)가 돌출된다. 이에 따라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10: 도 7 도시)이 상호 맞닿을 때, 상기 메인롤러(40, 40')와 제 1, 2 돌출부(20a, 20a', 25a) 간의 간격으로 인하여, 서로 인접한 메인롤러(40, 40')가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서로 인접한 메인롤러(40, 40')가 용이하게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분해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조립 및 해제가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스냅링의 해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메인샤프트(41)를 고정시키는 제 1, 2 고정핀(23, 27)을 프레임(10)에서 제거한다. 이어서, 메인샤프트(41)를 프레임(10)의 제 1, 2 축결합부(24, 28)에서 외측으로 이동시켜서 메인샤프트(41)를 프레임(10)에서 제거한 후, 메인롤러(40)를 프레임(10)에서 외부로 이탈시킨다. 그 후, 제 1, 2 결합부(44, 47)를 프레임(10)의 제 1, 2 관통부(32, 35)에서 제거하여 제 1, 2 지지부(42, 45)를 프레임(10)의 제 1, 2 수용부(30, 33)에서 외부로 탈거시킨다.
이처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은 제 1, 2 고정핀(23, 27)을 프레임(10)에서 제거하고, 제 1, 2 결합부(44, 47)를 프레임(10)에서 제거하면 메인롤러(40) 및 제 1, 2 지지부(42, 45)를 프레임(10)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조립 및 해제가 용이하고, 조립의 단순화에 따른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며, 스냅링에 고장 또는 마모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고장난 부품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지지부가 탈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지지부(45)가 마모되어 제 2 지지부(45)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도 11의 (a)와 같이,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 2 결합부(47)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 2 결합부(47)가 제 2 지지부(45)의 제 2 삽입부(46) 및 프레임(10)의 제 2 관통부(35)에서 차례로 탈거된다. 이렇게 제 2 결합부(47)가 탈거되면 도 11의 (b)와 같이, 제 2 지지부(45)가 프레임(10)의 제 2 수용부(33)에서 그 외측으로 용이하게 탈거되며, 그 후, 제 2 지지부(45)를 새것으로 교체하도록 한다.
한편, 제 1 지지부(42: 도 10 도시) 또한 제 2 지지부(45)와 같은 방법으로 교체가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50)는 프레임개방부(15)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제 1 실린더(51), 탄성부재(70) 및 제 2 실린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실린더(51)는 프레임(10)에서 프레임개방부(15)의 일측방향에 위치되며, 그 일단부는 회전축(52)에 의해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부는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의 타측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부(16: 도 10 도시)와 결합되도록 고정결합부(53)가 돌출된다. 한편, 프레임(10)에 힌지결합된 제 1 실린더(51)가 프레임(10) 안쪽으로 회전될 때, 제 1 실린더(51)의 단부가 프레임(10)의 제 2 측부(25)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실린더(51)는 일정각도 비틀어진 상태로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고정결합부(53)는 제 1 실린더(51)의 타단부에서 프레임개방부(15)의 타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선단부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실린더(51)가 회동되어, 프레임개방부(15)에 위치될 때,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의 타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안내부(16)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안내부(16)와 고정결합부(53)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는 각각 제 1 경사면(16a)과 제 2 경사면(53a)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실린더(51)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 1 경사면(16a)이 상기 제 2 경사면(53a)에 접촉될 때, 상기 제 1 실린더(51)가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제 2 경사면(53a)이 상기 프레임(10)의 내측과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이처럼 제 1 실린더(51)는 제 1 경사면(16a)과 제 2 경사면(53a)에 의하여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실린더(51)의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 2 실린더(60)가 제 1 실린더(51)를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제 2 실린더(60)의 일측이 결합안내부(16)와 고정결합부(53)를 수용 또는 수용하지 않게 되어,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실린더(51)의 길이방향 측부에는 가이드레일(55)이 형성되며, 핀 형상의 가이드핀(80)이 가이드레일(55)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 및 가이드 되어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55)은 제 1 실린더(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레일(55a)과, 프레임개방부(15)의 일측과 대향되는 제 1 가이드레일(55a)의 일측에서 후술하는 제 2 실린더(60)가 자전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레일(55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가이드레일(55a)은 제 1 실린더(51)의 길이방향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가이드레일(55b)의 단부는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제 1 가이드레일(55a)의 타측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가이드레일(55b)의 단부에는 제 1 실린더(51)의 타단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걸림부(55c)가 형성되어, 가이드핀(80)이 제 2 가이드레일(55b)의 단부에 위치될 때, 후술하는 탄성부(72)의 탄성에 의하여 걸림부(55c)에 걸림 위치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가이드레일(55a)의 타측에는 가이드핀(8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고정부(55d)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이드레일(55)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80)이 고정부(55d)에 위치되면, 가이드핀(80)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 실린더(5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70)가 삽입 위치되도록 수용부(51c)가 구비된다. 수용부(51c)는 탄성부재(70)가 삽입되도록 제 1 실린더(51)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제 1 실린더(51)의 타단부에는 탄성부재(7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51a)이 형성되어, 탄성부재(7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실린더(51)의 일단부에는 제 1 실린더(51)의 가이드레일(55)을 통하여 수용부(51c)로 인입된 물 등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배출구(51b)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제 1 실린더(51)의 삽입홀(51a) 통하여 수용부(51c)에 삽입 위치되는 것으로, 탄성부(72) 및 이동부(74)가 수용부(51c)에 차례로 삽입된다. 탄성부(72)는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며, 그 일단부는 이동부(74)에 밀착되고, 그 타단부는 제 1 실린더(51)의 일단부에 밀착된다. 이동부(74)는 가이드핀(80)이 삽입되도록 수용홀(76)이 형성되고, 제 1 실린더(51)의 수용부(51c)에 위치되어 수용부(51c)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부(74)의 수직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수용부(51c)의 수직 단면 또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이동부(74)가 수용부(51c)에서 용이하게 자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부(74)에서 탄성부(72)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탄성부(7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스프링연결부(77)가 돌출 형성된다.
제 2 실린더(60)는 제 1 실린더(51)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실린더(51)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프레임개방부(15)가 폐쇄될 때, 제 2 실린더(60)의 일측이 제 1 실린더(51)에서 그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 결과, 제 2 실린더(60)가 제 1 실린더(51)의 타단부에 위치되된 고정결합부(53)와 결합안내부(16)를 수용하게 되어, 상호 걸림 결합된 고정결합부(53)와 결합안내부(16)의 결합이 해체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착망 또는 상기 퍼스라인(210) 등의 하중에 의하여 프레임(10)에 강한 하중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고정결합부(53)와 결합안내부(16)가 제 2 실린더(60)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맞물리면서 결합 위치되도록 구성되므로, 록킹부재(50)가 프레임개방부(15)를 견고하게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가이드핀(80)이 제 1 실린더(51)의 가이드레일(55)을 따라 이동될 때, 제 2 실린더(60)가 가이드핀(80)에 견인되어 이동되기 위하여, 제 2 실린더(60)에는 가이드핀(80)이 관통되도록 가이드공(6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62)은 제 2 실린더(60)가 제 1 실린더(51)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 위치된 가이드핀(80)과 대향되는 제 2 실린더(60)의 외측에 천공되어, 가이드핀(80)이 가이드공(62)을 통하여 제 2 실린더(60)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가이드핀(80)이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서 제 1 가이드레일(55a)의 단부로, 또는 제 1 가이드레일(55a)의 단부에서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로 이동될 때, 제 2 실린더(60)가 가이드핀(80)에 견인되면서 제 1 실린더(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제 2 실린더(60)는 제 1 가이드레일(55a)의 비스듬하게 경사진 각도를 따라 자전되면서 이동되어, 프레임개방부(15)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이는 하기 도 14 및 도 15 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록킹부재가 개폐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가 개방된 상태로서, 이를 위하여 제 1 실린더(51)의 타단부 방향에 위치된 제 2 실린더(60)를 제 1 실린더(51)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 1 가이드레일(55a)의 단부에 위치된 가이드핀(80)이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탄성부(72)의 탄성에 의하여 가이드핀(80)이 걸림부(55c)를 가압하게 되어, 강한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가이드핀(80)이 걸림부(55c)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가이드핀(80)이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 위치되면, 제 2 실린더(60)가 제 1 실린더(51)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2 실린더(60)의 일측이 프레임(10)의 결합안내부(16)와 제 1 실린더(51)의 고정결합부(53)를 수용하지 않게 되어,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가 개방되게 된다.
한편, 가이드핀(80)이 제 1 가이드레일(55a)에서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 위치될 때, 가이드핀(80)의 일단부에 위치된 제 2 실린더(60)가 가이드핀(80)을 따라 일 방향으로 자전되며, 이와 동시에 가이드핀(80)의 타단부에 위치된 이동부(74) 또한 가이드핀(80)을 따라 일 방향으로 자전된다. 이때, 탄성부(72)는 이동부(74)와 밀착되기만 할 뿐, 상호 결합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이동부(74)의 자전에 의하여 탄성부(72)가 이동부(74)를 따라 비틀어지지 않게 되며, 이동부(74)는 탄성부(72)의 단부에서 슬라이딩 자전된다. 이처럼 이동부(74)가 자전된다 하더라도 탄성부(72)는 비틀어지지 않게 되므로, 탄성부(72)의 내구성이 증가되어, 부품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부(74)와 탄성부(72)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단가가 낮아지게 되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가 폐쇄된 상태로서, 이를 위하여 제 2 실린더(60)를 역 자전시켜서 제 2 가이드레일(55b)의 걸림부(55c)에 위치된 가이드핀(80)이 걸림부(55c)에서 이탈되어 제 1 가이드레일(55a)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가이드핀(80)은 탄성부(72)의 탄성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 1 가이드레일(55a)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부(55d)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탄성부(72)의 탄성에 의하여 가이드핀(80)이 고정부(55d)를 가압하게 되어, 강한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가이드핀(80)이 고정부(55d)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핀(80)이 고정부(55d)에 삽입되면, 제 2 실린더(60)가 가이드핀(80)을 따라 가이드레일(55)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2 실린더(60)의 일측이 프레임(10)의 결합안내부(16)와 제 1 실린더(51)의 고정결합부(53)를 수용하게 되어,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가 폐쇄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탄성부(72)는 이동부(74)와 결합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이동부(74)가 자전 또는 역자전될 때, 이동부(74)는 탄성부(72)의 단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자전 또는 역자전되어, 탄성부(72)가 이동부(74)를 따라 비틀어지지 않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제 2 실린더(60)가 제 1 실린더(51)를 따라 이동될 때, 탄성부(72)를 비틀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탄성부(72)의 내구성이 증가되어, 부품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일 실시예로서 어로 작업에서 퍼스라인(210)과 건착망(Seine)을 연결시키는 스냅링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중하중이 걸리는 굵은 로프 또는 케이블이 사용되는 작업 환경에서, 프레임(10)의 제 1 공간부(11)에 로프 또는 케이블을 관통 위치시켜서, 프레임(10)과 로프 또는, 프레임(10)과 케이블간의 마찰력을 상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결합안내부와 고정결합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결합안내부(17)와 고정결합부(54)는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결합안내부(17)는 프레임(10)에 형성되고, 고정결합부(54)는 제 1 실린더(51)의 타단부에서 결합안내부(17)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선단부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안내부(17)에 고정결합부(54)가 삽입되면서 상호 맞물리도록 위치되어, 고정결합부(54)가 결합안내부(17)에 견고하게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1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의 가이드레일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56)은 제 1 실린더(51)의 길이방향 측부에 형성되어 가이드핀(80)을 안내하는 것으로, 제 1 실린더(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레일(56a)과, 프레임개방부(15)의 일측과 대향되는 제 1 가이드레일(56a)의 일측에서 제 2 실린더(60)가 자전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레일(56b)과, 제 1 가이드레일(56a)의 타측에서 제 2 실린더(60)가 자전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레일(56d)과, 상기 연결레일(56d)의 단부에서 프레임개방부(15)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3 가이드레일(56e)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핀(80)이 제 3 가이드레일(56e)에서 연결레일(56d)과 제 1 가이드레일(56a)을 거쳐 제 2 가이드레일(56b)의 단부로, 또는 제 2 가이드레일(56b)의 단부에서 제 1 가이드레일(56a)과 연결레일(56d)을 거쳐 제 3 가이드레일(56e)로 이동될 때, 제 2 실린더(60)가 가이드핀(80)에 견인되면서 제 1 실린더(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제 2 실린더(60)가 결합안내부(17)와 고정결합부(54)를 수용 또는 수용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가 개방 또는 폐쇄되게 된다. 이때, 가이드핀(80)은 제 2 실린더(60)의 이동에 의하여 가이드레일(56)을 따라 이동되는데, 제 1 가이드레일(56a)에서 제 2 가이드레일(56b)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제 1 가이드레일(56a) 또는 제 3 가이드레일(56e)에서 연결레일(56d) 방향으로 이동될 때, 사용자가 제 2 실린더(60)를 억지로 자전시켜서 가이드핀(8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가이드레일(56b)의 단부에는 제 1 실린더(51)의 타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 1 걸림부(56c)가 형성되어, 가이드핀(80)이 제 2 가이드레일(56b)을 거쳐 제 1 걸림부(56c)에 위치될 때, 탄성부(72)의 탄성에 의하여 제 1 걸림부(56c)에 걸림 위치되어, 제 2 실린더(6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핀(80)이 제 3 가이드레일(56e)에 위치되면, 제 2 실린더(60)는 결합안내부(17)와 고정결합부(54)를 수용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가이드핀(80)은 탄성부(72)의 탄성에 의하여 제 3 가이드레일(56e)의 단부 방향으로 가압되며, 이에 따라 제 2 실린더(60)는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나, 바다에 떠다니는 이물질 등에 의하여 제 2 실린더(60)에 탄성부(72)의 탄성력보다 강한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제 2 실린더(60)는 제 1 실린더(51)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실린더(60)가 결합안내부(17)와 고정결합부(54)를 수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결레일(56d)의 단부에서 프레임개방부(15)의 일측방향으로 오목하게 제 2 걸림부(56f)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실린더(60)가 임의로 제 1 실린더(51)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하더라도, 제 2 실린더(60)의 이동에 의하여 제 3 가이드레일(56e)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80)이 제 2 걸림부(56f)에 걸림 위치되어, 제 2 실린더(60)의 이동이 중지된다. 이때, 제 2 실린더(60)의 하단은 여전히 결합안내부(17)와 고정결합부(54)를 수용하고 있으므로, 제 2 실린더(60)는 프레임(10)의 프레임개방부(15)를 안전하게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 1 걸림부(56c) 또는 제 2 걸림부(56f)에 위치된 가이드핀(80)은 외부 압력 없이는 다른 곳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사용자가 제 2 실린더(60)를 자전시켜서 제 1 가이드레일(56a) 또는 연결레일(56d)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프레임 11: 제 1 공간부
12: 제 2 공간부 13: 제 3 공간부
15: 프레임개방부 16: 결합안내부
16a: 제 1 경사면 17: 결합안내부
20: 제 1 측부 20a: 제 1 돌출부
22: 제 1 고정공 23: 제 1 고정핀
24: 제 1 축결합부 25: 제 2 측부
25a: 제 2 돌출부 26: 제 2 고정공
27: 제 2 고정핀 28 제 2 축결합부
30: 제 1 수용부 31: 제 1 보강돌출부
32: 제 1 관통부 33: 제 2 수용부
34: 제 2 보강돌출부 35: 제 2 관통부
36: 보조관통홀 37: 걸림부
38: 이탈방지부 40: 메인롤러
41: 메인샤프트 42: 제 1 지지부
42a: 제 1 수용홈 42b: 제 1 경사부
43: 제 1 삽입부 44: 제 1 결합부
45: 제 2 지지부 45a: 제 2 수용홈
45b: 제 2 경사부 46: 제 2 삽입부
47: 제 2 결합부 48: 보조 롤러
49: 보조 샤프트 50: 록킹부재
51: 제 1 실린더 51a: 삽입홀
51b: 배출구 51c: 수용부
52: 회전축 53: 고정결합부
53a: 제 2 경사면 54: 고정결합부
55: 가이드레일 55a: 제 1 가이드레일
55b: 제 2 가이드레일 55c: 걸림부
55d: 고정부 56: 가이드레일
56a: 제 1 가이드레일 56b: 제 2 가이드레일
56c: 제 1 걸림부 56d: 연결레일
56e: 제 3 가이드레일 56f: 제 2 걸림부
60: 제 2 실린더 62: 가이드공
70: 탄성부재 72: 탄성부
74: 이동부 76: 수용홀
77: 스프링연결부 80: 가이드핀

Claims (12)

  1. 제 1 측부와, 상기 제 1 측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 1 측부와 상호 연결되는 제 2 측부와,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퍼스라인이 삽입 위치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길이방향 일측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그 외주연에 상기 퍼스라인이 맞닿도록 위치되는 메인롤러;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중 어느 한 측부에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개방부; 및
    상기 프레임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록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부 또는 상기 제 2 측부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 장착되되, 그 일측은 상기 메인롤러의 단부 방향에 근접 위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롤러와 맞닿는 상기 퍼스라인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에 맞닿거나, 상기 지지부에 맞닿는 상기 퍼스라인의 일부가 상기 메인롤러에 맞닿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측부 또는 상기 제 2 측부의 외면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결합부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1 측부 또는 상기 제 2 측부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부가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면에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부 또는 상기 제 2 측부의 외측에는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관통부와 상기 삽입부에 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라인과 맞닿는 상기 지지부의 외면은 상기 메인롤러의 단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에는 상기 메인롤러의 축 역할을 하는 메인샤프트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는 보조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실린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개방부를 개폐시키는 제 2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부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안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고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실린더의 정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에 위치될 때, 상기 제 2 실린더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실린더의 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타측에서 그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때, 상기 제 2 실린더가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를 수용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는 각각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실린더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 1 경사면이 상기 제 2 경사면에 접촉될 때, 상기 제 1 실린더가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제 2 경사면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와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호 맞물리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의 길이방향 측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제 2 실린더를 관통하는 가이드핀이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 2 실린더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 1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레일과, 상기 프레임개방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일측에서 상기 제 2 실린더가 자전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KR2020150002614U 2015-04-22 2015-04-22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KR200479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614U KR200479974Y1 (ko) 2015-04-22 2015-04-22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614U KR200479974Y1 (ko) 2015-04-22 2015-04-22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061A Division KR20140108514A (ko) 2014-08-21 2014-08-21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31U KR20150002031U (ko) 2015-05-28
KR200479974Y1 true KR200479974Y1 (ko) 2016-03-28

Family

ID=5351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614U KR200479974Y1 (ko) 2015-04-22 2015-04-22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97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008B1 (ko) 2009-01-16 2010-10-06 장 리카르도 멀티 롤러 스냅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5013A (en) * 1995-02-16 1996-04-09 Gois; John F. Purse r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008B1 (ko) 2009-01-16 2010-10-06 장 리카르도 멀티 롤러 스냅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31U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7535B2 (en) Snap ring having easily replaceable support
US7743475B2 (en) Purse ring having multiple rollers
US8359719B2 (en) Snap ring having multiple rollers
KR101363165B1 (ko)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US7624483B1 (en) Multi-roller snap ring
KR101414139B1 (ko)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US9212688B2 (en) Snap ring having multiple rollers
KR200479974Y1 (ko)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KR101455270B1 (ko)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KR20130093580A (ko) 경화된 퍼스 링
US20100084319A1 (en) Support Chain with Wear Protection for a Support Device for Separating Substances Having Different Flowabilities
KR20140108514A (ko) 교체가 용이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냅링
KR100986008B1 (ko) 멀티 롤러 스냅링
KR20140108907A (ko)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KR100880958B1 (ko) 제작 조립이 용이한 퍼스링
JP533186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97553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0354900Y1 (ko) 인장기
KR100543722B1 (ko) 가이드로울러의 방향 조절이 가능한 체인 컴프레서
US7637208B2 (en) Apparatus for strapping articles and profile strip, in particular for covering the band channel of the article-strapping apparatus
US20200208714A1 (en) Cover for rope or cable loop end
KR100592483B1 (ko) 컨베이어용 임팩트롤러
KR20120002503U (ko) 가이드 롤러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체인 컴프레서
KR940004747B1 (ko) 퍼스링(purse ring)
JP201906007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