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907A -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907A
KR20140108907A KR1020130022776A KR20130022776A KR20140108907A KR 20140108907 A KR20140108907 A KR 20140108907A KR 1020130022776 A KR1020130022776 A KR 1020130022776A KR 20130022776 A KR20130022776 A KR 20130022776A KR 20140108907 A KR20140108907 A KR 20140108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drum
bracket
preventing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석
김병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2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907A/ko
Publication of KR20140108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8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guides movable relative to drum or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는, 외주면에는 와이어 로프가 권취될 수 있도록 감김홈이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 회전시 상기 감김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 로프가 상기 감김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매개하는 슬라이딩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DEVIATION OF WIRE ROPE FOR OVERHEAD TRAVELLING CRANE}
본 발명은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 현장의 한정된 작업 공간 내에서 중량물을 권상하여 운반하는 천정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천정 크레인(1)은 중량물을 줄걸이하여 권상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와이어 로프(W)는 원통형 드럼(2)에 권취된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W)의 끝단에 결합된 후크(H)가 중량물을 걸은 상태에서 원통형 드럼(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을 회전하면, 와이어 로프(W)가 원통형 드럼(2)에 감기거나, 그로부터 풀리면서 중량물을 권상, 운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중량물의 양 측 중량 편차가 발생하면 와이어 로프(W)로 전달되는 하중이 불균일해져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바, 원통형 드럼(2)에 형성됨 홈(2a)에서 와이어 로프(W)가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로프(W)가 와이어 드럼(2)에 형성된 홈(2a)에서 빈번하게 이탈하게 되면, 마찰 및 마모에 의해 와이어 로프(W) 소선들이 부분적으로 단락되어 와이어 로프(W) 수명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통상 와이어 로프(W)는 공칭 직경 7% 마모 및 소선 단락 10%를 그 마모 한계로 설정하여 관리되고 있는데, 상술한 와이어 로프(W) 이탈에 의한 조기 마모 현상은 상술한 마모 한계에 이르는 시점을 단축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77135호(2000.1.21.)에는 "크레인 와이어 로프의 드럼 이탈감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대형 구조물을 리프팅하는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가 크레인 작동시 드럼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안정적으로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크레인 와이어 로프 드럼 이탈감지장치'는 외주면에 와이어 로프가 권선될 수 있도록 로프 안내홈이 형성된 드럼과, 이 드럼의 일측에 설치되며 그 내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 내측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블록과, 이 이동블록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는 그 사이에 와이어 로프가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이동블록의 상부 중앙(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사이)에 수직 설치된 가이드바아, 이 가이드바아의 상부 양 측에 설치되어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롤을 포함한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크레인의 심한 유동이나 전기적인 오작동시 와이어 로프가 드럼 안내홈에서 이탈하면 와이어 로프가 리미트 스위치를 터치함으로써, 와이어 로프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크레인 와이어 로프의 드럼 이탈감지장치'는 와이어 로프가 드럼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은 감지할 수는 있어도, 그 이탈을 방지할 수는 없는바, 이미 이탈이 감지된 상태에서는 와이어 로프 이탈에 의한 조기 마모 현상이 이미 발생된 상태인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3585호(2011.12.13.)에는 "와이어 로프 수명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와이어 로프의 수명을 중량물의 하중 데이터를 기초로 연산,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와이어 로프의 조기 마모를 방지하는데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77135호(2000.1.21.)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3585호(2011.12.13.)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와이어 로프가 드럼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와이어 로프의 마모 및 소선 단락에 의한 수명 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는, 외주면에는 와이어 로프가 권취될 수 있도록 감김홈이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 회전시 상기 감김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 로프가 상기 감김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매개하는 슬라이딩 브라켓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은,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프레임과, 이 수평 프레임의 양 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부 브라켓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감김홈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는 압착홈이 형성된 상부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부 가압롤러와 동일한 회전축을 기준을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가압롤러가 상기 감김홈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브라켓과 별도로 하부 브라켓이 더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하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외주면은 상기 와이어 로프의 외주면 일측에 접하는 제1하부 가압롤러 및 상기 와이어 로프 외주면 타측에 접하여 상기 제1하부 가압롤러와 함께 상기 와이어 로프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제2하부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라켓과 상기 고정 프레임은 스프링 쇼바를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 회동시 이 하부 브라켓의 하단이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는 수직 방향으로 터치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부 가압롤러는 상기 상부 가압롤러와 동일 수직축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와이어 로프가 드럼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가 드럼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발생하는 와이어 로프 조기 마모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정 크레인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천정 크레인 사용시 와이어가 드럼으로부터 이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일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상부 가압롤러 및 가이드 롤러의 조립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이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는, 드럼(10), 이탈방지부(20), 지지 프레임(30) 및 슬라이딩 브라켓(40)을 포함한다.
드럼(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드럼(10)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으로 감김홈(10a)이 형성되는바, 와이어 로프(W)는 이러한 나선 형상의 감김홈(10a)에 안착된 상태로 드럼(10)에 감기거나, 드럼(10)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즉, 드럼(1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 로프(W)는 드럼(10)의 감김홈(10a)에 안착된 상태로 감기거나 풀리게 되는바, 그 끝단에 결합된 후크에 걸린 중량물을 운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와이어 로프(W)가 드럼(10)에 감기거나 드럼(10)으로부터 풀릴 때, 중량물의 중량 편차로 인해 와이어 로프(W)가 드럼(10)의 감김홈(10a)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드럼(10) 회전시 감김홈(10a)을 따라 회전하면서 와이어 로프(W)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20)는 감김홈(10a)에 감겨 있는 와이어 로프(W)를 감김홈(10a)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가 감김홈(10a)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는 지지 프레임(30)을 포함하며, 이탈방지부(20)가 지지 프레임(30)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탈방지부(20)와 지지 프레임(30)은 슬라이딩 브라켓(40)을 매개로 연결된다.
즉, 드럼(10) 회전시 나선 형상의 감김홈(10a)을 따라 이탈방지부(20)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슬라이딩 브라켓(40)은 지지 프레임(3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이탈방지부(20)가 드럼(10)의 감김홈(10a)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돕는 것이다.
지지 프레임(30)은 드럼(10)의 회전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프레임(32)과, 이 수평 프레임(32)의 양 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 프레임(34)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브라켓(40)은 수평 프레임(32)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42)와 이 슬라이더(42)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드럼(10)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44)을 포함한다.
슬라이더(42)는 내부가 관통된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32)에 끼워지는데, 슬라이더(42)의 형상은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술한 봉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4)은 슬라이더(42)의 외주면에 그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술한 이탈방지부(20)가 결합된다.
상부 브라켓(44)은, 이탈방지부(20)가 와이어 로프(W)에 접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42) 외주면에 결합되며, 그 끝단이 드럼(10)을 향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이탈방지부(20) 구성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20)는 상부 브라켓(4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가압롤러(22)를 포함한다.
상부 가압롤러(22)의 외주면에는 안착홈(22a)이 그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고, 와이어 로프(W)는 그 일측이 감김홈(10a)에 안착되며, 그 타측은 상부 가압롤러(22)의 안착홈(22a)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부 가압롤러(22)가 와이어 로프(W)를 감김홈(10a) 방향으로 누르게 되므로, 드럼(10)으로부터 와이어 로프(W)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부 가압롤러(22)가 와이어 로프(W)에 접하면서 감김홈(10a) 상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가압롤러(22)의 회전축에는 가이드 롤러(24)가 결합된다.
즉, 상부 가압롤러(22)와 가이드 롤러(24)는 동일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 롤러(24)는 드럼(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김홈(10a)에 대응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럼(10) 회전시 가이드 롤러(24)는 나선 형상의 감김홈(10a)과 접촉하면서 구름 운동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부 가압롤러(22)도 회전, 와이어 로프(W)를 감김홈(10a)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가 감김홈(10a)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더(42)의 외주면에는 상부 브라켓(44)과는 별도로 하부 브라켓(26)이 결합된다.
드럼(10)에서 풀린 와이어 로프(W)는 그 하단에 후크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바람 등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부(20)는 제1하부 가압롤러(28a) 및 제2하부 가압롤러(28b)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하부 가압롤러(28a)는 와이어 로프(W) 외주면 일측에 접할 수 있도록 하부 브라켓(26)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하부 가압롤러(28b)는 와이어 로프(W) 외주면 타측에 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바, 제1하부 가압롤러(28a) 및 제2하부 가압롤러(28b)의 외주면 사이에 와이어 로프(W)가 끼임으로써 와이어 로프(W)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하부 가압롤러(28b)는 제1하부 가압롤러와 다양한 수단으로 연결, 고정할 수도 있고, 별도의 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제1하부 브라켓(26)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위치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는 수직 프레임(34)의 하단을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36)과, 하부 브라켓(26) 및 고정 프레임(36)을 매개하는 스프링 쇼바(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그 끝단에 후크가 결합된 와이어 로프(W)가 흔들리면, 그 외력은 하부 브라켓(26)에 전달된다.
하부 브라켓(26)에 지속적, 반복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하부 브라켓(26)에 피로가 누적되고, 이는 하부 브라켓(26)의 파손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스프링 쇼바(50)는 하부 브라켓(26)과 고정 프레임(36)을 매개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를 통해 하부 브라켓(26)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고정 프레임(36)에는 리미트 스위치(60)가 결합되고, 하부 브라켓(26) 회동시 하부 브라켓(26)의 하단이 접촉될 수 있도록 리미트 스위치(60)에는 수직 방향으로 터치바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 와이어 로프(W)가 감김홈(10a)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하부 브라켓(26)이 일측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하부 브라켓(26) 회동시 고정 프레임(36)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터치바(70)를 접촉하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60)가 이러한 접촉 정보를 수신받아 와이어 로프(W)가 드럼(10)의 감김홈(10a)으로부터 이탈되었음을 인지, 이로 인한 대형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1하부 가압롤러(28a)는 상부 가압롤러(22)와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와이어 로프(W)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압롤러(22) 및 가이드 롤러(24)는 각각의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조립되는바, 상부 가압롤러(22)와 가이드 롤러(24)의 일측면이 접한 상태에서, 상부 가압롤러(22)의 타측면과, 가이드 롤러(24)의 타측면에는 각각 고정링(FR) 및 체결링(JR)을 위치시켜 그 중심을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부 브라켓(44)의 체결공(44a)을 상술한 구성들의 중심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핀(FP)을 삽입함으로써 상부 가압롤러(22)와 가이드 롤러(24)를 조립하고, 상부 브라켓(44)의 하단을 슬라이더(42)의 외주면에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요부에 대한 조립을 완성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중량물을 권상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드럼(10)을 회전시켜 감김홈(10a)으로부터 와이어 로프(W)를 중량물을 향하여 낙하시킨다.
상부 가압롤러(22)에 와이어 로프(W)는 드럼(10)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며, 드럼(10)에서 소정 길이만큼 풀린 와이어 로프(W)는 제1하부 가압롤러(28a) 및 제2하부 가압롤러(28b)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중량물이 있는 방향으로 수직 낙하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드럼 10a : 감김홈
20 : 이탈방지부 22 : 상부 가압롤러
22a : 안착홈 24 : 가이드 롤러
26 : 하부 브라켓 28a : 제1하부 가압롤러
28b : 제2하부 가압롤러 30 : 지지 프레임
32 : 수평 프레임 34 : 수직 프레임
36 : 고정 프레임 40 : 슬라이딩 브라켓
42 : 슬라이더 44 : 상부 브라켓
44a : 체결공 50 : 스프링 쇼바
60 : 리미트 스위치 70 : 터치바
W : 와이어 로프 FR : 고정링
JR : 체결링 FP : 고정핀

Claims (8)

  1. 외주면에는 와이어 로프가 권취될 수 있도록 감김홈이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 회전시 상기 감김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 로프가 상기 감김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매개하는 슬라이딩 브라켓을 포함하는,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은,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프레임과, 이 수평 프레임의 양 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부 브라켓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감김홈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는 압착홈이 형성된 상부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부 가압롤러와 동일한 회전축을 기준을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가압롤러가 상기 감김홈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브라켓과 별도로 하부 브라켓이 더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하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외주면은 상기 와이어 로프의 외주면 일측에 접하는 제1하부 가압롤러 및 상기 와이어 로프 외주면 타측에 접하여 상기 제1하부 가압롤러와 함께 상기 와이어 로프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제2하부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라켓과 상기 고정 프레임은 스프링 쇼바를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 회동시 이 하부 브라켓의 하단이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는 수직 방향으로 터치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 가압롤러는 상기 상부 가압롤러와 동일 수직축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KR1020130022776A 2013-03-04 2013-03-04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KR20140108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776A KR20140108907A (ko) 2013-03-04 2013-03-04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776A KR20140108907A (ko) 2013-03-04 2013-03-04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907A true KR20140108907A (ko) 2014-09-15

Family

ID=5175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776A KR20140108907A (ko) 2013-03-04 2013-03-04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890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2497A (zh) * 2018-11-30 2019-03-22 邬成眉 一种高空作业的三段式辊筒错位卷绳的钢丝下放机构
CN110240063A (zh) * 2019-06-20 2019-09-17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大吨位架桥机用吊杆螺母安装装置及其方法
CN114314398A (zh) * 2021-12-24 2022-04-12 无锡市申锡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深海水文绞车系统
CN114524090A (zh) * 2022-04-08 2022-05-24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一种翼伞操纵绳防缠绕装置以及翼伞
US20220185620A1 (en) * 2019-03-27 2022-06-16 Movecat GmbH Winch comprising a winding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2497A (zh) * 2018-11-30 2019-03-22 邬成眉 一种高空作业的三段式辊筒错位卷绳的钢丝下放机构
US20220185620A1 (en) * 2019-03-27 2022-06-16 Movecat GmbH Winch comprising a winding device
CN110240063A (zh) * 2019-06-20 2019-09-17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大吨位架桥机用吊杆螺母安装装置及其方法
CN110240063B (zh) * 2019-06-20 2024-04-16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大吨位架桥机用吊杆螺母安装装置及其方法
CN114314398A (zh) * 2021-12-24 2022-04-12 无锡市申锡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深海水文绞车系统
CN114524090A (zh) * 2022-04-08 2022-05-24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一种翼伞操纵绳防缠绕装置以及翼伞
CN114524090B (zh) * 2022-04-08 2024-02-23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一种翼伞操纵绳防缠绕装置以及翼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8907A (ko) 천정 크레인용 드럼 와이어 로프 탈선 방지장치
CN111377339B (zh) 电梯轿厢停车制动器和电梯
US9279476B2 (en) Rope braking system
CN106744414B (zh) 具有机械式防坠功能的舞台吊杆卷扬机
AU2013292128B2 (en) Elevator system having a safety device
KR101254767B1 (ko) 천정기중기의 와이어로프 탈선 감지장치
CN111302251A (zh) 一种卷筒
CN112623985B (zh) 一种防跌落的单绳缠绕式矿井提升机
JP5919856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用制動装置
JP2009220911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主ロープ断線検出装置
CN114314403B (zh) 一种带载排绳装置
CN211169381U (zh) 一种电梯钢丝绳跳槽脱槽检测装置
CN106629450A (zh) 用于电动葫芦防坠落安全装置
CN211769977U (zh) 一种卷筒
KR101930750B1 (ko) 크레인 점검 장치 및 방법
JP2011214683A (ja) ブレーキシュー及び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CN210973681U (zh) 一种防爆葫芦用导绳装置及防爆葫芦
CN204727525U (zh) 一种高扬程电动葫芦缠绕排绳装置
JP5184143B2 (ja) 昇降装置
CN114084827A (zh) 一种带有防乱绳判断装置的单层钢丝绳卷筒
KR101370571B1 (ko) 천정 크레인의 훅크 과 권상 방지장치
CN105967086A (zh) 一种提升机制动装置
KR101301986B1 (ko) 와이어로프 리빙용 텐션장치
CN212317508U (zh) 绳索承重机构及伸缩臂
CN212050230U (zh) 简易防碰天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