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781B1 - 주낙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주낙 기구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낙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주낙 기구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781B1
KR100635781B1 KR1020040098653A KR20040098653A KR100635781B1 KR 100635781 B1 KR100635781 B1 KR 100635781B1 KR 1020040098653 A KR1020040098653 A KR 1020040098653A KR 20040098653 A KR20040098653 A KR 20040098653A KR 100635781 B1 KR100635781 B1 KR 100635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fishing
hairline
connec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986A (ko
Inventor
박명오
Original Assignee
박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오 filed Critical 박명오
Priority to PCT/KR2005/0007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5086997A1/en
Priority to JP2006508553A priority patent/JP4422145B2/ja
Publication of KR2005009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986A/ko
Priority to NO20064635A priority patent/NO20064635L/n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짓줄이 필요 없는 주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낙 기구는 모릿줄; 모릿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구; 및 각 연결구에 고정되는 낚시 바늘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해 모릿줄을 투승하면서 낚시 바늘이 고정된 다수의 연결구를 모릿줄에 차례로 결합하고, 모릿줄을 양승하면서 낚시 바늘이 고정된 다수의 연결구를 모릿줄로부터 차례로 분리하는 주낙 방법을 실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낙용 연결구는 상·하 개방된 관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승강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단부와 밀착하여 모릿줄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헤드, 및 하부에 낚시 바늘을 연결하는 구멍을 가지는 연결 바아;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클램핑 헤드가 모릿줄을 클램핑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 바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연결 바아의 하부가 관통하도록 상·하 관통되고, 연결 바아의 단부와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캡;을 포함한다.
낚시, 어구, 어로, 주낙, 연결구, 모릿줄, 아릿줄, 가짓줄

Description

주낙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주낙 기구 및 방법{Connector of Longline Fishing, and Implement and Method of Longline Fishing using the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낙 기구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낙 기구에 포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주낙용 연결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주낙용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국부 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주낙 기구에서 도 2의 주낙용 연결구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주낙 기구에서 도 2의 주낙용 연결구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경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주낙 기구에 포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주낙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주낙용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국부 횡단면도.
도 8은 도 1의 주낙 기구에서 도 6의 주낙용 연결구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주낙 기구에서 도 6의 주낙용 연결구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경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릿줄 100,100' : 연결구
110,110' : 하우징 112 : 헤드부
120,120' : 연결 바아 121 : 클램핑 헤드
130,130' : 지지캡 140,140' : 스프링
본 발명은 가짓줄이 필요 없는 주낙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낚시 바늘과 같은 어구를 달고 모릿줄에 직접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짓줄 역할을 하는 연결구, 그리고 이러한 연결구를 이용한 주낙 방법 및 기구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주낙은 기다란 모릿줄에 다수의 가짓줄(다르게는 '아릿줄'이라고도 한다)을 일정한 간격으로 달고, 가짓줄 끝에 낚시 바늘이나 부표, 추 등과 같은 어구를 달아서 고기를 낚는 어법으로, 외줄낚시에 비해 어획 성능이 우수하다.
그러나, 투승(어로 작업을 위해 모릿줄을 바다로 풀어 내리는 것), 양승(어획이 완료된 모릿줄을 배 위로 감아올리는 것) 또는 보관 과정에서 가짓줄 또는 가짓줄에 달린 낚시 바늘이 걸리고 꼬이거나 손상될 경우 이를 바로잡고 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로 인해 주낙을 자동화하려는 시도에 있어서도 가짓줄과 낚시 바늘이 꼬이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가지런히 정리하는 기구나 방법이 최우선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짓줄 자체를 모릿줄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에 착안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은 모릿줄로부터 분리가능한 연결구를 가짓줄 대신 사용하는 주낙 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구 및 방법에서 가짓줄을 대신하여 낚시 바늘을 모릿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낙 기구는 모릿줄; 모릿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구; 및 각 연결구에 고정되는 낚시 바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낙 방법은 모릿줄을 투승하면서 낚시 바늘이 고정된 다수의 연결구를 모릿줄에 차례로 결합하는 단계, 및 모릿줄을 양승하면서 낚시 바늘이 고정된 다수의 연결구를 모릿줄로부터 차례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낙용 연결구는, 상·하 개방된 관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승강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단부와 밀착하여 모릿줄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헤드, 및 하부에 낚시 바늘을 연결하는 구멍을 가지는 연결 바아;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클램핑 헤드가 모릿줄을 클램핑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 바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연결 바아의 하부가 관통하도록 상·하 관통되고, 연결 바아의 단부와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캡; 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이의 중앙에 상하 개방된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은 그 입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내부에 단턱부를 가지며, 상기 단턱부의 하방에 형성된 대경부에 상기 탄성부재인 스프링이 내장되어서 상기 연결바아를 매개로 상기 단턱부와 지지캡의 사이를 탄성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은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받아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상부에 스커트 형상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헤드부의 외주 상단에는 모릿줄이 통과하는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클램핑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을 커버하도록 헤드부의 상단에 대해 동일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구비하도록 한다.
지지캡의 중앙에는 상하 개방된 통공이 구비되어 이 통공의 내면에 상기 연결 바아의 슬라이딩 삽입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아의 표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는 복수의 삽입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하방에서 상기 통공의 내부를 평면의 공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 좌우 양방향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가이드홈을 통과한 상태에서 지지캡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돌기가 걸림턱에 걸림상태로 되면서 상기 연결 바아와 지지캡 간에 상호 결합된다.
클램핑 헤드는 모릿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의 외주에, 상기 헤드부의 홈에 대응하여 모릿줄이 통과하는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서 투승 또는 양승시 모릿줄이 상기 헤드부와 클램핑 헤드 사이를 대각선의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는 홈을 통과하게 된다.
헤드부는 바람직하게는, 투승 또는 양승시 모릿줄을 안내하도록 상기 홈의 외면이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한다.
헤드부는 이의 상면에 모릿줄의 단부가 수용 및 통과하는 일정 깊이의 요부를 가지며, 상기 클램핑 헤드는 모릿줄의 단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모릿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의 저면에 상기 요부 안으로 삽입되는 누름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외력에 의해 지지캡이 스스로 회전하여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이의 표면에 상기 삽입돌기의 상단이 끼워져서 안착되는 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가짓줄을 대신하여 이상과 같은 연결구가 모릿줄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모릿줄 및 낚시 바늘이 가지런하게 정리될 수 있고 낚싯바늘이 꼬이거나 손상될 가능성도 크게 낮아지며, 아울러 투승 및 양승시에 모릿줄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 및 이 연결구를 이용한 주낙 기구를 도시한 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낙 기구는 모릿줄(10)과 이 모릿줄(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구(100)를 포함한다. 연결구(100)는 일정한 간격으로 모릿줄(10)에 결합된다. 연결구(100)의 끝에는 낚시 바늘, 부표, 추 등이 연결된다. 이하, 명세서 내에서 낚시 바늘은 부표나 추와 같이 연결구의 끝에 부착되는 기타 어구까지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주낙 기구의 작동, 즉 본 발명에 따른 주낙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평소 연결구(100)는 모릿줄(10)과 분리된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투승할 때 각각의 연결구(100)는 모릿줄(10)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어 바다로 내려진다. 그리고, 양승시 배 위에서 연결구들(100)은 모릿줄(10)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연결구들(100)은 다음 사용을 위하여 모릿줄(10)과 별도로 가지런하게 정리되어 보관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주낙용 연결구(100)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낙용 연결구(100)는 하우징(110), 연결바아(120), 지지캡(130) 및 탄성수단인 스프링(140)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한다.
하우징(110)은 상·하 개방된 대략 관 형상의 부재로서 중앙에 관통공(111)이 천공되어 있고, 이 하우징(110)의 상부에 위치한 헤드부(112)는 그 외주면이 대략 스커트(skirt)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헤드부(112)의 상단에는 그 원주를 따 라서, 상기 연결구(100) 설치시 모릿줄(10; 도 1참조)이 지나게 되는, 줄 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줄 홈(114)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주낙용 연결구(10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도 2의 관통공(111)은 하우징(110) 내부에서 대경부(111a)를 가진다. 이 대경부(111a)는 관통공(111)의 상단 입구측으로부터 일정거리 하방에 형성된 단턱부(112a)에 의해 구분되며, 이 대경부(111a)에는 스프링(140)이 내장된다. 이 스프링(140)은 하우징(110)의 하단에 지지캡(130)이 끼워진 상태에서 이하 설명될 연결바아(120)에 의해 상기 단턱부(111a)와 지지캡(130)의 몸체(132) 상단에 탄성 지지된다.
하우징(110)의 헤드부(112)로부터 중앙의 관통공(111)을 통해서는 연결바아(120)가 삽입된다. 지지캡(130)은 하우징(110)과 마찬가지로 그 중앙이 상하 관통된 구조로서, 상기 연결바아(120)는 하우징(100)과 지지캡(130)을 통과하며 그 하부가 지지캡(130)의 하방으로 노출된다. 연결바아(120)의 하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 바늘(F, 도 4 참조)이 연결되는 연결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과 지지캡(130)은 각각 그 중앙의 통공 내면에 상기 연결바아(120)의 슬라이딩 삽입시 이를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홈(116)(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바아(120)의 상·하 표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16)(133)을 따라 안내되는 복수의 삽입돌기(123)(124)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바아(120)의 삽입에 의해 이들 삽입돌기(123)(124)가 각 가이드홈(116)(133)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연결바아(120)가 걸림상태로 되어 사실상 좌우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삽입돌기(123)(124)는 연결바아(120)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것으 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형태이다. 또한, 삽입돌기(123)(124)는 그 개수에 있어서 제한은 없으나, 하우징(110)의 관통공(111) 상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16)을 연속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일직선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연결바아(120)는, 하우징(110) 상단의 줄 홈(114)을 통과하게 되는 모릿줄(10)로부터 본 발명 연결구(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의 상단에 상기 줄 홈(114)의 상부를 커버하는 클램핑 헤드(130)를 구비한다. 클램핑 헤드(130)는, 바람직하게는 연결바아(1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경은 하우징(110)의 헤드부(112) 상면과 동일한 크기로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클램핑 헤드(130)는 이의 저면에 하우징(110) 상단의 줄 홈(114)과 마찬가지로 방사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11)을 통해서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된 연결바아(120)는 그 표면 하부에 돌출되어진 삽입돌기(124)를 통해, 하우징(110)의 하단에 끼워지는 지지캡(130)에 결합되는데, 이 결합은 지지캡(130)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며 또 회전에 의해 분리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지지캡(130)의 통공(135) 내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33)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하고 그 하부에서 상기 통공(135)의 내부를 평면의 넓은 공간으로 구성하여, 상기 삽입돌기(124)가 가이드홈(133)을 통과한 상태에서는 아무런 간섭없이 지지캡(130)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가이드홈(133)의 하단 좌우 양방향에는 상기 통공(135)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진 걸림턱(134)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돌기(124) 와 상호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연결바아(120)와 지지캡(130)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걸림턱(134)에 의한 삽입돌기(124)의 걸림은 이 삽입돌기(124)가 가이드홈(133)을 슬라이딩 통과한 상태에서 지지캡(130)을 회전시켜 줌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즉, 지지캡(130)의 회전에 의해 삽입돌기(124)가 가이드홈(133)의 하부를 이탈함과 동시에 걸림턱(134)의 하부에 걸림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삽입돌기(124)의 걸림상태는 지지캡(130)의 추가의 회전에 의해 삽입돌기(124)가 다시 가이드홈(13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돌기(124)와 가이드홈(133) 간에 슬라이딩을 통해 하우징(110)의 상·하 방향으로 연결바아(120) 및 지지캡(130)의 자유로운 분리 또는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110) 내부의 대경부(111a)에는 상술한 스프링(140)이 연결바아(120)의 외주를 둘러싸면서 내장되는 바, 연결바아(120)와 지지캡(130)의 결합에 의해 스프링(140)은 대경부(111a) 상단의 단턱부(112a)와 지지캡(130)의 몸체(132) 상단에 탄성 지지됨과 동시에 하우징(110)의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연결바아(120)와 지지캡(130)의 결합에 의해 스프링(140)은 소정의 가압력을 받게 되고, 아울러 그 표면에 일정한 탄발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상기 걸림턱(134)에 대한 삽입돌기(124)의 걸림상태가 안정화되고, 그와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아(120)의 클램핑 헤드(121)는 하우징(110)의 상단을 밀착 커버하면서 줄 홈(114; 도 1참조)으로부터 모릿줄(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주낙용 연결구 (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낙 기구에 설치되는 것이다. 반대로, 걸림턱(134)에 대한 삽입돌기(124)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프링(140)의 탄성력을 극복할 만한 일정 강도 이상의 힘을 가하여 지지캡(130)을 회전시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133)을 삽입돌기(124)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연결구의 설치 또는 분리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 5에 따르면, 도 1의 주낙기구의 구성인 모릿줄(10)에 상기 주낙용 연결구(100)를 설치하거나 또는 모릿줄(10)로부터 주낙용 연결구(100)를 분리하는 것은 클램핑 헤드(121)가 하우징(110)의 상단에서 이격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때, 클램핑 헤드(121)와 헤드부(112) 사이에 이격되어진 간격을 통해서 모릿줄(10)이 상기 줄 홈(114)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데, 이러한 클램핑 헤드(121)의 이격은 하우징(110)의 헤드부(112)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110)은 연결바아(120)를 중심으로 클램핑 헤드(121)와 반대 방향인 하방으로 상대이동하게 된다.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누르는 힘, 즉 외력은 사람의 인력(人力)이나 소정의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의 헤드부(112)로부터 클램핑 헤드(121)가 이격될 경우 그와 일체인 연결바아(120)도 상기 클램핑 헤드(121)를 따라 동시에 하우징(110)의 상부로 인출되어 일정부분 노출된다. 이때, 스프링(140) 표면은 소정의 압축력을 받게 되고 그와 동시에 하우징(110)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연결바아 (120)와 결합되어진 지지캡(130)도 상방향인 하우징(110)의 내부로 일정부분 인입된다. 이 경우 하우징(110) 내부로의 지지캡(130)의 인입 정도는 그 몸체(132) 부분에 한정하며, 클램핑 헤드(121)의 이격시 지지캡(130)은 그 몸체(132) 하부에 형성된 캡헤드(131)가 도 5에서와 같이 하우징(110)의 하단에 걸림된 상태로 지지된다.
한편, 헤드부(112)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1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데, 이때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 헤드(121)가 하우징(110)의 헤드부(112) 상면에 밀착 커버되면서 도 4와 같이 다시 모릿줄(10)을 물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는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연결구(100)에서 모릿줄(10)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그리고 결합 및 작동 특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연결구(100)는 하우징(110)의 상부로부터 관통공(111)을 통해 연결바아(120)가 삽입된 다음 하우징(110)의 하부로부터 스프링(140)이 삽입되고 지지캡(130)의 상방향으로의 가압 및 회전을 통해 연결바아(120)의 삽입돌기(124)가 걸림턱(134)에 억지로 걸림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며, 연결바아(120)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공(122)에 낚시바늘(F)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최종적으로 사용가능한 조립상태가 완성하게 된다.
도 1 및,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구(100)는 연결바아(120)와 클램핑 헤드(121)가 대략 'T' 형상을 이루고 있어 모릿줄(10)이 어느 방향으로도 연결바아(120)에 걸릴 수가 있다. 따 라서, 모릿줄(10)에 연결할 때 방향을 맞출 필요가 없어 연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주낙용 연결구(100)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6 및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낙용 연결구(100')는 하우징(110'), 연결바아(120'), 지지캡(130') 및 탄성수단인 스프링(140')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상술한 도 2 내지 도 3과 같은 결합형태로 이루어지며, 실질적으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작동관계를 실현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9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주낙용 연결구(100')는 모릿줄(10; 도 1참조)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클램핑 헤드(121)의 외주에 다수의 이탈방지홈(12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홈(121a)은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헤드(121)의 외주 선단에 방사상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의 헤드부(112) 상단에는 그 둘레단을 따라 상기 이탈방지홈(121a)에 대응하는 다수의 줄 홈(114)이 형성된다. 이 줄 홈(114)은 상기 헤드부(112)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진 일정 깊이의 연장홈(114a)을 가진다. 이탈방지홈(121a)과 줄 홈(114)은 이들 사이에 모릿줄(10)이 동시에 걸림이 가능하도록 서로 동일한 수로 구성하되, 클램핑 헤드(121) 밀착시 이들 간에 상호 일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10')의 헤드부(112)의 상면에는 줄 홈(114)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요부(113)를 형성한다. 이 요부(113)의 중앙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통공(111)이 하우징(110')의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고, 이 관통공(111)을 통해 하우징(110')의 상부로부터 연결바아(120')가 삽입된다. 상기 줄 홈(114)의 바닥은 요부(113)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부(113)를 가로지르며 줄 홈(114)의 양측으로 인출되는 모릿줄(10)의 이탈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해 클램핑 헤드(121)의 저면에는 상기 요부(113) 안으로 삽입되는 누름부(121b)가 돌출 형성된다. 이 누름부(121b)는 요부(113)를 통과하는 모릿줄(10)을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14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압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모릿줄(10)과의 안정적인 면접촉을 위해 상기 요부(113)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요부(113)의 중심으로부터 시작되는 관통공(111)의 둘레에는 연결바아(120')의 삽입시 이 연결바아(120')의 표면에 형성된 삽입돌기(123)(124)를 안내하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가이드홈(116)이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133" 은 물론 '가이드 홈'을 나타낸다. 이들 삽입돌기(123)(124) 및 가이드홈(116)(133)은 그 수에 있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작 및 조립상의 편리를 위해 각각 2개씩 상호 대칭하여 배열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주낙용 연결구(100')의 조립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의 대경부(111a)에 위치된 스프링(140')과 하우징(110')의 하단에 위치된 지지캡(130')을 연결바아(120')가 관통한 상태에서 지지캡(130')의 상방향으로의 가압 및 회전을 통해 연결바아(120')의 삽입돌기(124)가 가이드홈(133)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134)에 억지로 걸림상태로 됨 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임의의 외력에 의해 지지캡(130')이 회전하여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걸림턱(134)의 표면에는 상기 삽입돌기(124)의 상단이 끼워져서 안착되는 홈을 형성하여 제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착홈은 제조 및 조립상의 편리를 위해 각각의 걸림턱(134) 표면에 하나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 및 조립으로부터 도 6의 연결구(100')를 도 1의 주낙 기구의 구성인 모릿줄(10)에 설치하거나 또는 모릿줄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력이나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하우징(110')을 연결바아(120')에 대해 반대방향인 하방으로 상대 이동시켜 클램핑 헤드(121)가 하우징(110')의 상단에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반대로, 헤드부(112)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10)과 연결바아(12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스프링(140)의 탄력에 의해 클램핑 헤드(12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113)를 커버함과 동시에 헤드부(112)의 상단에 밀착되어 모릿줄(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주낙용 연결구(100')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투승장치에 의해 모릿줄(10)에 설치되어 바다에 방출되고, 별도의 양승장치에 의해 모릿줄(10)로부터 분리되어 다시 수거된다. 이때, 낚시 바늘에 물고기가 걸려 연결구(100')에 상당한 하중이 발생된 상태에서 양승장치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릿줄(10)을 끌어올리는 중, 모릿줄(10)의 장력에 의해 클램핑 헤드(121)가 하우징(110')의 상단으로부터 다소 이격되더라도 그로 인해 본 발명의 연결구(100')가 스 스로 모릿줄(10)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결코 없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연결구(100')의 경우 모릿줄(10)이 하우징(110') 상면의 요부(113)를 통과하여 이 요부(113)의 양측으로 클램핑 헤드(121)의 이탈방지홈(121a)과 하우징(110')의 줄 홈(114)을 통해 인출되고, 동시에 상기 클램핑 헤드(121)와 하우징(110')의 헤드부(112) 사이에 대각선의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게 연결되어서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주낙 기구에서 본 발명의 연결구를 모릿줄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양승장치에 구비되는 별도의 분리수단을 통한 기계적인 힘에 의해서만 가능하고 그 외에는 분리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어로 작업중 연결구가 이탈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예시되어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백히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짓줄을 대신하는 연결구가 모릿줄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모릿줄 및 낚시 바늘이 가지런하게 정리될 수 있고 낚싯바늘이 꼬이거나 손상될 가능성도 크게 낮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주낙용 연결구는 모릿줄이 클램핑 헤드와 하우징 사이에 상하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려서 걸 림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분리수단을 통한 기계적인 힘에 의하지 않고서는 분리 자체가 불가능하고 그로부터 어로작업 중 연결구의 이탈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4)

  1. 상·하 개방된 관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승강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단부와 밀착하여 모릿줄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헤드, 및 하부에 낚시 바늘을 연결하는 구멍을 가지는 연결 바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클램핑 헤드가 모릿줄을 클램핑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 바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연결 바아의 하부가 관통하도록 상·하 관통되고, 상기 연결 바아의 단부와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캡; 을 포함하는 주낙용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이의 중앙에 상하 개방된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은 그 입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내부에 단턱부를 가지며, 상기 단턱부의 하방에 형성된 대경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내장되어서 상기 연결바아를 매개로 상기 단턱부와 지지캡의 사이를 탄성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연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받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응하 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상부에 스커트 형상의 헤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연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이의 외주 상단에 모릿줄이 통과하는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연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헤드는 상기 홈을 커버하도록 헤드부의 상단에 대해 동일 이상의 직경을 가지되,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에 의해 헤드부로부터 이격됨으로 인해 모릿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연결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의 중앙에는 상하 개방된 통공이 구비되어 이 통공의 내면에 상기 연결 바아의 슬라이딩 삽입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아의 표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는 복수의 삽입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하방에서 상기 통공의 내부를 평면의 공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 좌우 양방향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가이드홈을 통과한 상태에서 지지캡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돌기가 걸림턱에 걸림상태로 되면서 상기 연결 바아와 지지캡 간에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연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연결 바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면에는 상기 삽입돌기를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바아는 이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는 복수의 삽입돌기가 더 구비하되, 상기 상·하 삽입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을 연속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일직선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연결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헤드는 모릿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의 외주에, 상기 헤드부의 홈에 대응하여 모릿줄이 통과하는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서 투승 또는 양승시 모릿줄이 상기 헤드부와 클램핑 헤드 사이를 대각선의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는 홈을 통과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연결구.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투승 또는 양승시 모릿줄을 안내하도록 상기 홈의 외면이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연결구.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이의 상면에 모릿줄의 단부가 수용 및 통과하는 일정 깊이의 요부를 가지며, 상기 클램핑 헤드는 모릿줄의 단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모릿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의 저면에 상기 요부 안으로 삽입되는 누름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연결구.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외력에 의해 지지캡이 스스로 회전하여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의 표면에 상기 삽입돌기의 상단이 끼워져서 안착되는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연결구.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연결구.
  13. 모릿줄;
    상기 모릿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제 1항에 따른 연결구; 및
    상기 각 연결구에 고정되는 낚시 바늘; 을 포함하는 주낙 기구.
  14. 모릿줄을 투승하면서 낚시 바늘이 고정된 다수의 연결구를 모릿줄에 차례로 결합하고, 모릿줄을 양승하면서 낚시 바늘이 고정된 다수의 연결구를 모릿줄로부터 차례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3항의 주낙 기구를 이용한 주낙 방법.
KR1020040098653A 2004-03-12 2004-11-29 주낙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주낙 기구 및 방법 KR100635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0706 WO2005086997A1 (en) 2004-03-12 2005-03-11 Connector of longline fishing, and implement and method of longline fishing using the connector
JP2006508553A JP4422145B2 (ja) 2004-03-12 2005-03-11 延縄用連結具と、これを用いた延縄器具及び方法
NO20064635A NO20064635L (no) 2004-03-12 2006-10-12 Koblingsenhet for langlinefisking, samt anvendelse og fremgangsmate for langlinefisking med koblingsen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7069 2004-03-12
KR1020040017069 2004-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986A KR20050091986A (ko) 2005-09-16
KR100635781B1 true KR100635781B1 (ko) 2006-10-18

Family

ID=3727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653A KR100635781B1 (ko) 2004-03-12 2004-11-29 주낙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주낙 기구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339A (ko) 2020-11-26 2022-06-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낙용 클립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339A (ko) 2020-11-26 2022-06-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낙용 클립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986A (ko) 200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6739B2 (ja) 釣針保管用ケース構造
KR100635781B1 (ko) 주낙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주낙 기구 및 방법
KR101239929B1 (ko) 주낙용 투승장치
KR101384116B1 (ko) 연승수하식 어패류 양식장치용 양식부
AU2012101255A4 (en) Apparatus for Preparing Knots and its Method of Use
US2226402A (en) Fish stringer
JP4897498B2 (ja) 鳥害防止装置、鳥害防止具、鳥害防止具の配設構造、鳥害防止具の配設方法、および、鳥害防止具の回収方法
KR100285578B1 (ko)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및 그 방법
US20050172535A1 (en) Line guide for fishing rods
KR200424858Y1 (ko) 가리비 양식용 어구
JP4422145B2 (ja) 延縄用連結具と、これを用いた延縄器具及び方法
KR101082128B1 (ko)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
KR100311902B1 (ko)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KR200462419Y1 (ko)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헤어핀셋
KR102698483B1 (ko)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200263089Y1 (ko) 통발의 고리줄 탈착장치
JP2021175384A (ja) 網とロープの連結フック
ES2806979T3 (es) Cuerda flotante de herramienta de pesca
CN218389439U (zh) 一种多钩型钓鱼器
CN109561671A (zh) 冲击引线回转器
KR101043442B1 (ko) 낚시대용 소품부재
KR200285637Y1 (ko)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
KR20060008846A (ko) 주낙용 양승장치
KR20070052829A (ko) 주낙용 후크 카트리지
KR200282171Y1 (ko) 엉킴방지용 낚시채비의 처짐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