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637Y1 -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 - Google Patents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637Y1
KR200285637Y1 KR2020010024474U KR20010024474U KR200285637Y1 KR 200285637 Y1 KR200285637 Y1 KR 200285637Y1 KR 2020010024474 U KR2020010024474 U KR 2020010024474U KR 20010024474 U KR20010024474 U KR 20010024474U KR 200285637 Y1 KR200285637 Y1 KR 200285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ing
hook
present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충목
Original Assignee
변충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충목 filed Critical 변충목
Priority to KR2020010024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63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줄에 낚시 봉돌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낚시목줄의 부착 및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낚시 목줄의 착탈이 쉬우며 낚시 채비 자체의 엉킴이 적으며 착탈 고리봉돌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이 적은 편리한 착탈식 고리봉돌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낚시 채비는 낚시 목줄의 묶음에 의하여 사용하는데, 본 고안은 묶지 않고 걸이식으로 사용하므로 착탈이 용이하며 종래의 불편과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여 낚시 애호인들이 낚시에 있어 보다 편리한 여가 선용을 즐길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on & off ring shaped sinker}
본 고안은 금속줄에 낚시 봉돌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낚시 목줄의 부착 및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도 1의 (A) 조개 봉돌, 도 1 (B)의 구멍 봉돌과 도 2의 (A)의 고리봉돌, 도 2의 (B) 고리 도래봉돌과 같은 봉돌을 사용하여 낚시 채비 자체에 엉킴이 많았으며 원줄이나 목줄의 교체에 어려움이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봉돌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낚시 목줄의 착탈이 쉬우며 낚시 채비 자체의 엉킴이 적고 경제적 손실이 적은 편리한 착탈식 고리봉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또한, 종래의 낚시 채비에 있어서는 낚시 목줄을 묶어서 사용하여 온 것에 반해, 본 고안에 따른 고리봉돌을 사용할 경우에는 묶지 않고 걸이식으로 사용함으로써 착탈이 용이하여 종래의 불편과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여 낚시 애호인들이 낚시에 있어 보다 편리한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의 (A), (B)는 종래의 봉돌 사용 상태도.
도 2의 (A), (B)는 종래의 고리봉돌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리봉돌을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의 고리봉돌의 작용도.
도 4는 도 3의 고리봉돌을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의 고리봉돌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리봉돌에 있어서의 고리부분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봉돌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봉돌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형 고리 2. 봉돌
3. 각형 고리 4. 평행 금속줄
5. 금속줄 여백
8. 봉돌 내부홈
9. 낚시 원줄 10. 낚시 목줄
본 고안의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의 구성은,평행한 두 줄의 내부홈이 형성된 봉돌과, 두가닥의 평행 금속줄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고리들 및 상기 평행 금속줄의 어느 한 가닥에 형성된 금속줄 여백을 갖는 고리용 금속줄이, 상기 봉돌의 내부홈에 상기 평행 금속줄이 삽입되는 형태로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 상기 평행 금속줄 하단에 형성된 고리는 ""형의 각형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 상기 금속줄 여백은 상기 봉돌이 상기 평행 금속줄의 상부로 이동시에는 상기 금속줄 여백이 노출되고, 하부로 이동시에는 금속줄 여백이 봉돌 내부에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고리봉돌의 전체 구조를 살펴보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리 봉돌 자체에서 낚시 목줄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평행 금속줄(4)의 상하단에 고리(1),(3)와 금속줄 여백(5)이 형성된 고리의 상기 평행 금속줄(4)에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돌이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봉돌(2)에 삽입되는 평행 금속줄(4)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가닥의 금속줄이 평행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그 상부는 원형 고리(1)가 형성되어 있어 낚시 원줄의 삽입이 가능하고, 그 하부는 낚시 목줄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각형 고리(3)를 구비하게 된다.상기 두가닥의 평행 금속줄(4)과 그 하단에 형성된 각형 고리(3)는 도면상으로 보아, 평행 금속줄(4)의 어느 한 가닥과 각형 고리의 어느 한 가닥은 상호 연설되는데 반하여, 그 타측의 금속줄은 상호 연설되지 않으므로써, 낚시 목줄(10)이 삽입되는 공극인 금속줄 여백(5)을 형성하게 된다.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봉돌의 정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봉돌의 평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봉돌구조를 설명한다.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봉돌(2)은 그 내부에 평행 금속줄(4)이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평행한 두 줄의 내부홈(8)이 형성되어 있어,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행 금속줄(4)이 삽입되어 봉돌(2)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나, 봉돌(2)내에 평행 금속줄(4)을 통한 2개의 중심축을 형성함에 따라, 봉돌(2)과 평행 금속줄(4)은 상호 회동운동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있다.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평행 금속줄(4)을 상기 내부홈(8)이 형성된 봉돌(2)에 삽입시키면,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돌(2)을 평행 금속줄(4)을 따라 일정 거리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즉, 상기 봉돌(2)을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줄 여백(5)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금속줄 여백(5)을 통하여 낚시 목줄(10)의 삽입이 가능한 반면, 봉돌(2)을 하부로 내리게 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에 노출된 금속줄 여백(5)은 봉돌(2)내로 삽입된 형태를 취하게 되어, 낚시 목줄(1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형 고리(3)는 ""모양을 형성하여 봉돌의 강도와 금속줄의 강도에 의하여 평행 금속줄(4)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낚시 도중에 돌발 사태가 발생하여 더욱 강도가 요구될 때에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시 목줄(10)이 각형 고리(3) 좌측 끝(a)에 몰리게 되어 평행 금속줄(4)의 좌측 쪽에서 힘을 받기 때문에 각형 고리(3)가 펴지는 것이 방지되어, 낚시 목줄의 안정된 결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낚시 목줄과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기존에 낚시 목줄 및 낚시 원줄의 교체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 및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또한, 본 고안은 낚시 목줄과 낚시 원줄의 엉김현상을 현저히 줄어들어, 기존과 같이 다수개의 봉돌을 준비할 필요성이 없으며, 그에 따라 경제적, 환경적인 측면에서 효과가 크게 기대된다.

Claims (3)

  1. 평행한 두 줄의 내부홈이 형성된 봉돌과,
    두가닥의 평행 금속줄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고리들 및 상기 평행 금속줄의 어느 한 가닥에 형성된 금속줄 여백을 갖는 고리용 금속줄이,
    상기 봉돌의 내부홈에 상기 평행 금속줄이 삽입되는 형태로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에 형성된 고리는 ""형의 각형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줄 여백은 상기 봉돌이 상기 평행 금속줄의 상부로 이동시에는 상기 금속줄 여백이 노출되고, 하부로 이동시에는 금속줄 여백이 봉돌 내부에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
KR2020010024474U 2001-08-09 2001-08-09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 KR200285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474U KR200285637Y1 (ko) 2001-08-09 2001-08-09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474U KR200285637Y1 (ko) 2001-08-09 2001-08-09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637Y1 true KR200285637Y1 (ko) 2002-08-13

Family

ID=7306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474U KR200285637Y1 (ko) 2001-08-09 2001-08-09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6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33B1 (ko) * 2009-11-10 2010-05-18 장충 낚시용 봉돌 및 이를 위한 지그
KR20190141888A (ko) * 2018-06-15 2019-12-26 변재만 낚시용 연결고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33B1 (ko) * 2009-11-10 2010-05-18 장충 낚시용 봉돌 및 이를 위한 지그
KR20190141888A (ko) * 2018-06-15 2019-12-26 변재만 낚시용 연결고리
KR102138364B1 (ko) 2018-06-15 2020-07-27 변재만 낚시용 연결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5637Y1 (ko) 걸이고리를 이용한 착탈식 고리봉돌
KR200446455Y1 (ko) 훌치기 낚시
KR100434973B1 (ko) 바다낚시용 채비
KR200176859Y1 (ko) 쌍바늘 낚시채비
KR200217404Y1 (ko) 풀기수단을 구비한 낚시채비
KR200333506Y1 (ko) 낚시바늘 엉킴방지수단이 구비된 낚시채비
KR200204990Y1 (ko) 낚시용 봉돌
KR20220000835U (ko) 8자 도래
KR200174184Y1 (ko) 낚시용 연결구의 구조
KR20200000362U (ko) 오징어 낚시용 루어
KR200221750Y1 (ko) 끼움봉돌
KR200221730Y1 (ko) 양쪽교체 도래
KR200186654Y1 (ko) 낚시채비
KR200221728Y1 (ko) 착탈이 신속한 만능 교체바늘
KR200334481Y1 (ko) 낚시용 목줄 찌의 채비
KR101386880B1 (ko) 루어 낚시대 제조용 금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루어 낚시대
KR101052255B1 (ko) 주낙용 착탈식 낚시채비
KR200338846Y1 (ko) 갈치 낚시용 벌림 두바늘 채비
KR200401480Y1 (ko) 매듭처리가 가능한 고무 편납홀더
KR200202805Y1 (ko) 낚시바늘
KR200249249Y1 (ko) 우럭채비를 겸한 지선연결구
KR200212258Y1 (ko) 목줄길이조절 채비
KR200386201Y1 (ko) 중량 추를 삽입한 삼각 멈춤 고무를 이용한 묶음바늘
KR900004029Y1 (ko) 대낚시용 봉돌
KR200357379Y1 (ko) 완충쿠션을 구비한 집어용 미끼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