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258Y1 - 목줄길이조절 채비 - Google Patents

목줄길이조절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258Y1
KR200212258Y1 KR2020000023843U KR20000023843U KR200212258Y1 KR 200212258 Y1 KR200212258 Y1 KR 200212258Y1 KR 2020000023843 U KR2020000023843 U KR 2020000023843U KR 20000023843 U KR20000023843 U KR 20000023843U KR 200212258 Y1 KR200212258 Y1 KR 200212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fishing
neck
coupled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배
Original Assignee
이원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배 filed Critical 이원배
Priority to KR2020000023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25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목줄을 원하는 길이로 신속,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고리부(3) 양측으로 목줄(2,2')이 형성되는 낚시채비(1)에 있어서, 양단에 낚시바늘(4,4')이 결합된 목줄(2,2')의 중앙을 포개어 포개진 부분이 고리부(3)를 형성하도록 조절부재(5)상에 결합하되, 포개진 양측 목줄(2,2')은 조절부재(5)의 끼움핀(51)과 끼움핀(51)에 결합되는 끼움관(52) 사이에서 유동가능한 삽입상태로 결합하며, 조절부재(5) 양측으로 형성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목줄(2,2')을 원하는 길이로 손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낚시효율성과 함께 초심자나 숙련자 누구라도 용이하게 목줄의 길이조절을 행하여 낚시를 할 수 있는 잇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줄길이조절 채비{Fishing tackle adjustable to the length of a side line}
본 고안은 낚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쌍바늘채비 등의 낚시채비에 있어서, 목줄을 원하는 길이로 신속,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낚시바늘이 각각 연결된 2개의 목줄로 이루어지는 쌍바늘채비는 합사 등의 목줄 양단에 낚싯바늘을 결합하고 대략 중앙측을 매듭하여 고리부에 원줄이 연결되는 모듬쌍바늘채비와, 비닐튜브 등을 이용하여 양측 목줄이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벌린쌍바늘채비 등으로 크게 구성되는 바,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쌍바늘채비(주로 모듬쌍바늘채비)와 관련된다.
기존의 쌍바늘채비(이하, 낚시채비라 함)는 도 5에서와 도시한 예와 같이 양단에 낚시바늘(103,103')이 연결된 목줄(100.100')의 중앙을 매듭(102)으로 묶어서 고리부(101)를 형성하여 고리부(101) 양측으로 2개의 목줄(103,103')이 형성되도록 제품화하고 있는 바, 이러한 낚시채비는 대부분 양측 목줄(100,100')을 동일한 길이로 설정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목줄의 길이는 포인트의 조건 등에 따라 양측 목줄의 길이를 서로 다른 길이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매듭으로 고리부를 형성한 기존의 낚시채비는 목줄을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이하 기존 낚시채비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낚시채비는 매듭으로 형성된 고리부 양측으로 목줄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일측 목줄의 길이를 타측 목줄의 길이에 대하여 비교적 길게 형성하거나 짧게 형성하는 등 목줄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시에 고리부를 형성한 매듭을 풀어야만 하는 바, 한번 묶여서 매듭이 지어진 매듭은 풀기가 쉽지 않을 뿐만 하니라 매듭을 푼 상태에서도 목줄을 원하는 길이를 단축하거나 연장시키는 길이조절작업이 매우 곤란한 것이다.
즉, 고리부를 형성하기 위해 묶은 매듭을 푸는 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번거로우며, 설령 매듭을 풀었다 하더라도 목줄을 원하는 길이로 정확하게 설정하여 매듭하는 것 역시 매우 곤란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목줄의 길이는 개인의 경험이나 포인터의 조건, 어종 등에 따라서 사용자마다 그 길이를 매우 다양하게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여러 조건 등에 맞춰 목줄의 길이를 정밀히 조절하는 것은 좋은 채비를 꾸미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중요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에는 양측 목줄이 동일 길이나 또는 서로 다른 길이로 매듭에 의해 이미 설정된 상태로 채비가 제품화됨으로서 목줄의 길이 조절에 상당한 불편을 있는 것이었다.
이하 상기한 문제점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개 목줄의 길이는 한번에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포인트의 조건 등에 따라 수회에 걸쳐 조절하여 최적으로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입질이 약할 때 목줄의 길이를 점진적으로 줄여서 찌가 민감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경우나 일측 목줄을 타측 목줄 보다 짧게 하여 짧은 목줄의 미끼가 바닥에서 떠서 붕어의 눈에 더 잘 띄게 하는 경우 등 여러 목적으로 목줄의 길이조절을 하게 되는 바, 기존에는 매듭으로 목줄의 길이가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손으로 풀어내어 목줄을 정확한 길이로 설정한 상태에서 다시 묶어 매듭하기야 하므로 이 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속성도 기할 수 없어 좋은 조과(釣果)를 기대할 수 없는 등의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목줄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목줄길이조절채비가 이미 알려져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양단에 낚시바늘(203,203')이 결속된 목줄(200,200')을 반으로 접고 여기에 멈춤고무(찌스톱고무)(202)을 빡빡한 상태로 끼움결합하여 멈춤고무(202) 상측에 고리부(201)를 형성하고 고리부(201) 양측으로 목줄(200,200')이 연결되게 하여 멈춤고무(202)로부터 목줄(200,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기존 목줄길이조절 채비는 양 목줄을 멈춤고무의 내경에 긴밀하게 밀착삽입시켜 멈춤고무로부터 목줄이 변동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목줄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여러번 길이조절을 하게 되면 멈춤고무의 내경이 확장되어 멈춤고무에 삽입된 목줄부분이 쉽게 변동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사용수명이 짧은 문제점과 겹친 목줄에 멈춤고무를 긴밀한 밀착구조로 삽입하는 결합작업이 쉽지 않은 등,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어 보다 편리한 사용성으로 목줄길이조절의 용이성을 부여하고, 장기간 수회에 걸쳐 사용하더라도 길이조절에 따른 변동의 우려가 없는 우수한 사용안정성을 갖춘 새로운 목줄길이조절 채비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목줄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신속,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목줄 길이를 다양한 길이로 빈번하게 설정하여야 하는 여러 경우에 있어서, 편리한 사용성과 신속성으로 초심자나 숙련자 모두 나름대로 다양한 테크닉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수명을 장기간 보장하며, 우수한 조과(釣果)를 기대할 수 있는 목줄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채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도 5는 기존 쌍바늘채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기존 목줄길이조절 채비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채비 2,2';목줄
3;고리부 4,4';낚시바늘
5;조절부재 51;끼움핀
52;끼움관 53,53';안내홈
6;원줄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일분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고리부(3) 양측으로 목줄(2,2')이 연결된 통상의 낚시채비(1)에 있어서, 양측 목줄(2,2')을 임의의 길이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합사 등의 1개 줄로 된 목줄(2,2') 양단에 낚시바늘(4,4')을 결속하여 연결하고, 양단에 낚시바늘(4,4')이 결속된 목줄(2,2')은 도 1에서와 같이 대략 중앙을 중심으로 접어서 낚시바늘(4,4')이 결속된 목줄(2,2) 양측이 하측으로 드리워지도록 하여 목줄(2,2')의 포개진 부분을 조절부재(5)에 결합함으로서 포개진 상측 부분이 원줄(6)과 연결하기 위한 고리부(3)를 형성하도록 조절부재(5)에 결합한다.
상기 조절부재(5)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하되, 상측에 끼움핀(51)을 일체로 형성하여 여기에 연질수지제의 튜브 등으로 된 끼움관(52)를 삽입결합함으로서 목줄(2,2')의 일부분이 끼움관(52)에 의해 조절부재(5)의 끼움핀(51)에 고정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양단에 낚시바늘(4,4')이 결속된 목줄(2,2')을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측에 고리부(3)가 형성되게 포개어 양측 목줄(2,2')의 겹친 부분이 조절부재(5)의 상측 끼움핀(51)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양측 목줄(2,2')의 겹친 부분에 끼움관(52)을 삽입하여 목줄(2,2')의 겹친 부분이 끼움핀(51)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끼움결합함으로서 조절부재(5)의 끼움핀(51)과 끼움관 (52)사이에 양측 목줄(2,2') 일부가 삽입되게 결합한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목줄(2,2')의 일부가 끼움핀(51)에 삽입되어 끼움관(52)내측에 결합된 목줄(2,2')이 조절부재(5)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형성되게 연결함으로서 채비(1)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부재(5) 양측에는 끼움핀(51)에 끼움관(52)으로 결합된 양측 목줄(2,2')이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안내홈(53,53')을 요입 형성하여 목줄(2,2')이 조절부재(5) 양측에 형성된 안내홈(53,53')에 의해 안정된 위치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조절부재(5)는 그 형상이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끼움핀(51)을 구비하는 조절부재(5)와 끼움관(52) 등은 그 형상과 재질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측 고리부(3)를 원줄(6)의 도래 등에 연결하여 사용케 되는 것이며, 양측 목줄(2,2')의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하고 용이한 사용성과 낚시효율성 등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쌍바늘채비 등의 낚시채비(1)에 있어서, 양측 목줄(2,2')의 길이를 동일하게 설정하거나 일측 목줄(2,2')의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포인트의 조건이나 사용자 개개인에 따라 다르며, 매우 복합적이고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이 낚시채비(1)에 있어서 사용자가 목줄(2,2')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언급은 생략하며, 본 고안의 주요 특징이 되는 목줄(2,2')의 길이조절 기능과 작용에 대하여서만 집중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어느 일측 목줄(2,2')의 길이를 길게 늘이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부재(5)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목줄(2,2') 하측 즉, 조절부재(5)와 낚시바늘(4,4') 사이의 목줄(2,2')을 다른 한 손으로 잡고 당겨주게 되면 이 힘에 의해 조절부재(5)의 끼움핀(51)과 끼움관(52)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목줄(2,2')이 끼움관(52)와 끼움핀(51) 사이에서 빠져 나오면서 당겨지게 되므로 목줄(2,2')의 길이를 늘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일측 목줄(2,2')의 길이를 줄이고자 할 시에는 고리부(3)측에서 줄이고자하는 목줄(2,2')을 손으로 잡고 당겨주면 역시 조절부재(5)의 끼움부(51)와 끼움관(52)사이에 위치된 목줄(2,2')의 삽입 부분이 끼움관(52)과 끼움핀(51) 사이에서 빠져 나오면서 당겨지게 되어 사용자는 목줄(2,2')을 원하는 길이만큼 축소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부재(5)상에 길이가 조절이 이루어진 목줄(2,2')은 조절부재(5) 양측의 안내홈(53,53')에 안내되어 조절부재(5) 양측에서 분리된 상태로 연결되어 채비(1)가 갖춰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원하는 목줄(2,2')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만큼 간편히 연장, 축소 조절할 수 있으며, 비교적 미세한 정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숙련자나 초심자에 관계없이 정밀한 채비(1)를 꾸밀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테크닉을 구사하여 낚시를 할 수 있으며, 목줄(2,2')의 길이조절을 위한 조절부재(5)의 결합부위가 빈번한 길이조절 등으로 인해 훼손될 염려 등이 없어 장기간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고리부(3)는 원줄(6)과 연결하게 되는 바, 본 고안은 매듭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기존과 같이 목줄(2,2')의 길이 조절을 위해 원줄(6)로부터 채비(1)를 분리하고 매듭을 풀어야 하는 불필요한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것이며, 원줄(6)에 채비(1)를 연결한 상태에서 목줄(2,2')을 원하는 길이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신속, 용이하고 편리하게 낚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목줄(2,2')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길이로 용이하고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낚시의 효율성과 우수한 사용편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기존과 같이 목줄(2,2') 중앙을 묶어서 매듭으로 고리부(5)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고, 매듭없이 고리부(3)가 형성되어 원줄(6)에 간편히 연결할 수 있고 연결상태에서 목줄(2,2')을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초심자나 숙련자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채비(1)를 꾸며서 다양한 테크닉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고, 빈번한 길이조절작업에도 길이조절이 이루어진 목줄의 변동의 우려가 없어 장기간의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등의 여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목줄(2,2')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낚시채비(1)에 있어서,
    양단에 낚시바늘(4,4')이 결합된 목줄(2,2')의 중앙을 포개어 포개진 부분이 고리부(3)를 형성하도록 조절부재(5)상에 결합하되,
    포개진 양측 목줄(2,2')은, 조절부재(5)의 끼움핀(51)과 끼움핀(51)에 결합되는 끼움관(52) 사이에서 유동가능한 삽입상태로 조절부재(5) 양측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줄길이조절 채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5)에는 결합된 목줄(2,2')의 위치가 고수되도록 안내홈(53,5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줄길이조절 채비.
KR2020000023843U 2000-08-23 2000-08-23 목줄길이조절 채비 KR200212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843U KR200212258Y1 (ko) 2000-08-23 2000-08-23 목줄길이조절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843U KR200212258Y1 (ko) 2000-08-23 2000-08-23 목줄길이조절 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258Y1 true KR200212258Y1 (ko) 2001-02-15

Family

ID=7305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843U KR200212258Y1 (ko) 2000-08-23 2000-08-23 목줄길이조절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2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60B1 (ko) * 2017-10-17 2019-04-01 주식회사 마그마 다기능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60B1 (ko) * 2017-10-17 2019-04-01 주식회사 마그마 다기능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15486A (en) Fast-threading needls with trailing flexible link
US4121369A (en) Hollow fishing rod with elastic line
US4875239A (en) Pre-tied necktie
US2843961A (en) Hook and leader supporting structure
US4173793A (en) Knot retaining implement for necktie or scarf
KR200212258Y1 (ko) 목줄길이조절 채비
US3565640A (en) Strap for hanging sausages
US5127868A (en) Holder and controller for yo-yo type toys
US6247992B1 (en) Finger attachment device for holding and controlling a yo-yo type toy
US2450471A (en) Necktie forming device
KR200384841Y1 (ko) 낚시목줄매듭형성용 자
KR200186720Y1 (ko) 다용도 낚시채비
KR200207782Y1 (ko) 낚시채비 연결구
KR960000074Y1 (ko) 넥타이 매듭구
KR900004029Y1 (ko) 대낚시용 봉돌
KR200176859Y1 (ko) 쌍바늘 낚시채비
JPH0261Y2 (ko)
KR200207828Y1 (ko) 찌 스토퍼
KR200217404Y1 (ko) 풀기수단을 구비한 낚시채비
KR200376323Y1 (ko) 멈춤고무를 삽입한 묶음바늘 채비
JPH0357725B2 (ko)
KR930004661Y1 (ko) 개량 넥타이
JPH0711586Y2 (ja) 竿先と道糸との接続具
KR870001489Y1 (ko) 넥타이
KR200364296Y1 (ko) 바늘 목 줄 길이 조절 묶음바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