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128B1 -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 - Google Patents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128B1
KR101082128B1 KR1020090085408A KR20090085408A KR101082128B1 KR 101082128 B1 KR101082128 B1 KR 101082128B1 KR 1020090085408 A KR1020090085408 A KR 1020090085408A KR 20090085408 A KR20090085408 A KR 20090085408A KR 101082128 B1 KR101082128 B1 KR 10108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knot
line
fixing groov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351A (ko
Inventor
황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이십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이십일
Priority to KR1020090085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1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7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굴양식줄에 일정 간격마다 체결되어 양식굴집을 지지하는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에 있어서, 중간부의 횡홈을 통해 접을 수 있도록 양측에 하판과 상판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 상에는 걸림턱을 갖는 걸고리가 입설되고 중간 부위에 상기 굴양식줄이 한번 감아져 고리 형태를 이룬 상태로 위치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 상에는 상기 걸고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굴양식줄을 한번 감아서 매듭 집게의 고정홈에 결합시키므로, 일단 체결된 매듭 집게는 이후 외력이나 무거운 중량의 부가에도 절대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음에 따라 양식되는 굴의 손상이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굴, 수하식, 양식, 줄, 매듭, 집게

Description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KNOT TONGS FOR OYSTER FARMING ROPE}
본 발명은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양식줄에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체결되어 각기 양식굴집을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유지시킬 수 있는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전에는 수산물을 바다에서 직접 채취하거나 채집하여 양식으로 사용하는 것에 그쳤으나, 최근에는 인공적인 양식을 통해 수산물을 성장시켜 적정 크기가 되었을 때 수확하여 양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수산물 양식 중에서 굴(oyster) 양식은 어린 종자인 종패가 채묘(採苗)된 천연 빈 굴 껍질이나 인조 패각과 같은 양식굴집을 굴양식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은 상태로 바닷물 속에 투입하여 일정 기간 유지시킴으로써 종패들이 성패로 양성되면 수확하는 것으로, 즉 수하식(垂下式) 양식을 통해 실시된다.
수하식 양식에 의한 굴 양식 방법을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해수면 위에 계류되도록 적절히 설치되는 현수용 로프(10)에 일정 간격마다 굴양식줄(20)이 연결되어 매달리며, 매달린 굴양식줄(20)은 해수면 아래로 수하된다.
각 굴양식줄(20)에는 일정 간격마다 양식굴집(30)이 결합되며, 즉 하나의 굴 양식줄(20)에 다수개의 양식굴집(30)이 결합된다.
이때, 각 양식굴집(30)의 중앙부에는 관통되도록 천공된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통공에 굴양식줄(20)이 통과되어 우선 결합된다.
굴양식줄(20)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양식굴집(30)의 표면에는 종패가 부착되어 바닷물 속에 수하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양성된다.
여기서, 굴양식줄(20)에 양식굴집(30)을 적정한 이격 간격으로 결합시키는 이유는 양식이 진행됨에 따라 양식굴집(30)은 성장된 굴들로 둘러싸이거나 뒤덮이게 되어 상하 이웃하는 양식굴집(30)에서 성장되는 굴들이 서로 간섭되어 성장이 방해되고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굴양식줄(20)에 양식굴집(30)을 적정 간격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초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양식줄(20)의 일정 간격마다 직접 수작업으로 매듭(22)을 형성하여 각 매듭(22)에 양식굴집(30)이 각기 지지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양식굴집(30) 하나를 굴양식줄(20)에 끼운 후 해당 양식굴집(30)을 지지하기 위한 하나의 매듭(22)을 만들고, 다시 양식굴집(30) 하나를 재차 끼우고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듭(22)을 재차 만드는 과정을 반복하여, 약 7m 정도의 길이가 되는 굴양식줄(20)에 약 24개의 양식굴집(30)을 매달았으며, 이때 수작업으로 매듭을 만드는 방식은 굴양식줄(20)을 꼬아서 우선 고리 형태를 만든 후에 해당 고리의 내측으로 길이가 긴 굴양식줄(20)을 통과시켜 당기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직접 매듭(22)을 만들면서 작업하는 방식은 시간과 노동력의 소요가 과다하여 비능률적이면서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매듭을 형성하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능률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듭(22)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굴양식줄(20)에 일정 간격으로 양식굴집(30)을 결합시킬 수 있는 여러 기술이 개발되었다.
해당 기술 중의 하나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1998-067003호의 "굴양식 노끈의 매듭용 글립"에 의하면(도 3 참조), 플라스틱으로 된 캡 부분(42)과 뚜껑 부분(44)의 사이에 굴양식줄(20)을 끼우고 글립(40) 안의 빈 공간에 수지(46)를 녹여 채운 뒤 냉각되면 글립(40)이 굴양식줄(2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됨으로써, 글립(40)이 매듭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 의하면, 글립(40)이 캡 부분(42)과 뚜껑 부분(44)의 두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서로 짝을 찾아 결합시키는 과정이 다소 번거롭고, 무엇보다도 글립(40) 안에 수지(46)를 녹여 채운 후 냉각되기를 대기하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이나 작업 생산성 면에서 사실상 채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 다른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03-0018628호의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에 의하면(도 4 내지 도 7 참조), 해당 매듭 집게(50)는, 중간부에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횡홈(51)을 통해 서로 접을 수 있도록 양측에 하판(52)과 상판(53)이 형성되며, 일측 하판(52) 상에는 걸림턱(54')을 가진 걸고리(54)가 입설되고 반대측 상판(53)의 결합 위치에는 삽입공(55)과 그 외측면에 키편(56)이 형성 되어 걸고리(54)가 삽입 고정되고, 하판(52)의 중앙부에는 굴양식줄(20)의 삽입 고정을 위한 반원형의 고정홈(58)이 형성됨과 아울러 해당 고정홈(58) 내측에 삼각침(57')이 형성되며, 상판(53)의 결합 위치에도 삼각침(57)이 형성되어 상·하판(52, 53)의 밀착 결합시 삼각침들(57, 57')이 고정홈(58)에 삽입된 굴양식줄(20)의 외면을 눌러서 고정하며, 하판(52)의 양측에는 상판(53)을 받쳐줄 수 있도록 받침돌기(59)가 형성된다.
그 작용은, 하판(52) 상의 고정홈(58)에 굴양식줄(20)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중간부의 횡홈(51)을 꺾어 상판(53)을 접어서 하판(52) 측의 걸고리(54)가 상판(53) 측의 삽입공(55)에 끼워져 그 걸림턱(54')이 키편(56) 위에 걸려 체결되도록 하며, 그 체결에 따라 하판(52) 상의 양측 받침돌기(59)가 상판(53)을 받쳐 주어 키편(56) 위에 걸린 걸고리(54)가 견고히 고정되며, 고정홈(58)에 삽입된 굴양식줄(20)은 양측의 삼각침(57, 57')에 의해 눌러져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기술을 이용하면, 굴양식줄(20)에 매듭 집게(50)를 간단히 체결시킴으로써 양식굴집(30)의 위치를 결정하여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그 결합 작업이 매우 신속하면서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과 아울러, 삼각침(57, 57')으로 굴양식줄(20)을 강하게 물어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오랜 기간 경과되어도 양식굴집(30)이 초기의 간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해당 매듭 집게(5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현장에서는 굴양식줄(20)로서 5합사(合絲), 6합사, 7합사와 같이 여러 굵기의 것을 상황에 따라 이용하는데, 굵기가 두꺼운 7합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와 같이 두꺼운 굴양식줄(20)을 삼각침(57, 57')으로 물리기 위해 상판(53)과 하판(52)을 밀착시키는데 많은 힘이 필요되므로 작업성이 불량하고, 반면 굵기가 얇은 5합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삼각침(57, 57')이 견고히 물리지 않음으로써 결국 양식되는 굴의 중량이 증가되면 굴양식줄(20)에 대해 매듭 집게(50)가 하방으로 미끄러져 위치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굵기의 굴양식줄(20)을 원하는 대로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단순히 굴양식줄(20)을 고정홈(58)에 일자 형태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양측의 삼각침(57, 57')으로 물어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으로, 양식 도중에 만약 매듭 집게(50)가 굴양식줄(20)에 대해 미끄러져 위치 이동되면 양식되는 굴이 손상되거나 손실될 수 있음으로써, 매듭 집게(50)를 생산한 생산자는 양식 어민에게 그 피해를 배상해야만 한다.
둘째, 삼각침(57, 57')을 이용하여 굴양식줄(20)을 물어서 고정시키는데, 오히려 삼각침들(57, 57')에 의해 굴양식줄(20)이 파손되어 단선됨으로써 양식굴집(30)을 소실시키는 문제점도 있으며, 즉 견고한 고정을 위해 채택한 삼각침(57, 57')이 오히려 굴양식줄(20)을 파손시키는 부작용이 있다.
셋째, 굴 양식장에서는 일 회에 수많은 개수의 매듭 집게(50)를 이용하므로 해당 매듭 집게(50)의 가격이 저렴해야만 양식 어민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키편(56), 양측 삼각침(57, 57'), 받침돌기(59)를 구비하는 등 그 구성이 다소 복잡함에 따라 그 제조를 위한 원재료 소모량이 과다하여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점도 있다.
즉, 해당 매듭 집게(50)의 하나의 제조 원가는 통상 7원 정도인데, 더욱 그 비용을 저하시켜 양식 어민의 부담을 최소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넷째,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을 이루는 상판(53)과 하판(52) 중에서 하판(52) 측에만 굴양식줄(20)의 삽입 결합을 위한 고정홈(58)이 형성되므로, 결합 작업시에 작업자가 먼저 상판(53)과 하판(52)을 구별하고 구별된 하판(52)의 고정홈(58)에 대해 굴양식줄(20)을 위치시켜야 함에 따라 구별 과정의 개입으로 작업의 신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굵기의 굴양식줄에 대해서도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고, 굴양식줄의 파손 및 단선을 방지시킬 수 있는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화된 구성으로 그 제조를 위한 원재료 소모량을 줄여 가격이 저렴할 수 있는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결합 작업시 구지 상판과 하판을 구별할 필요가 없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는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는, 굴양식줄에 일정 간격마다 체결되어 양식굴집을 지지하는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에 있어서, 중간부의 횡홈을 통해 접을 수 있도록 양측에 하판과 상판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 상에는 걸림턱을 갖는 걸고리가 입설되고 중간 부위에 상기 굴양식줄이 한번 감아져 고리 형태를 이룬 상태로 위치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 상에는 상기 걸고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판 상의 상기 고정홈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상판 상에 도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굴양식줄이 고리 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홈에 위치됨에 있어 상기 고정홈의 내측에 상기 굴양식줄이 두개의 줄로 존재하여 위치되고 상기 고정홈의 외측에는 한개의 줄로 존재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양식줄을 한번 감아서 매듭 집게의 고정홈에 결합시키므로, 일단 체결된 매듭 집게는 이후 외력이나 무거운 중량의 부가에도 절대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음에 따라 양식되는 굴의 손상이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굴양식줄을 손상 및 단선시키던 삼각침이 삭제되므로, 굴양식줄의 손상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이 점에서도 양식되는 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굵기의 굴양식줄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현장 활용성도 우수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에 구비되던 양측 삼각침, 받침돌기 및 키편의 구성요소들이 삭제되어 구성이 단순화되므로, 그 제조를 위한 원재료 소모량을 줄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상판과 하판의 양측 모두에 각기 고정홈이 형성되므로, 어느 쪽의 고정홈을 이용해서도 선택적으로 굴양식줄을 결합시킬 수 있음에 따라, 결합 작업시에 상판과 하판을 구지 구별할 필요가 없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그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듭 집게(100)는 상단에 입설되는 걸림턱(140a)을 갖는 걸고리(140)와, 중간 부위에 굴양식줄(20)이 한번 감아져 고리 형태를 이룬 상태로 위치되는 고정홈(170)을 구비하여 중간부의 횡홈(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판(120) 및 사다리꼴 형상의 삽입공(160)을 구비하여 횡홈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매듭 집게(100)는 염기가 있는 바닷물 속에서도 장기간 화학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그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등의 제법을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 전체가 일체화되도록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게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해당 매듭 집게(100)는, 중간부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횡홈(110)을 통해 서로 접어질 수 있도록 양측에 동일 길이의 하판(120)과 상판(130)이 일체로 형성되며, 하판(120)과 상판(130)은 폭 방향에 비해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횡홈(110)을 통해 접어질 수 있음에 따라 상판(130)과 대향되게 되는 하판(120)의 넓은 일면 상에는 상단부에 걸림턱(140a)을 갖는 걸고리(140)가 입설되도록 형성되며, 걸고리(140)의 외측 방향 쪽의 측부에는 관통공(15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무게를 최소화하면서 그 제조를 위한 원재료의 양을 절약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걸고리(140)를 기준으로 관통공(150)의 반대편 측에 해당하는 하 판(120)의 중간 부위에는 반원형의 고정홈(170)이 형성되며, 이 고정홈(170) 부분을 한번 감싸도록 굴양식줄(20)이 결합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횡홈(110)을 통해 접어질 수 있음에 따라 하판(120)과 대향되게 되는 상판(130)의 넓은 일면 상에는 하판(120) 측의 걸고리(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160)이 형성되며, 이 삽입공(160)에 걸고리(140)가 삽입되어 걸고리(140)의 걸림턱(140a)이 상판(130)의 타면에 걸림으로써 상판(130)과 하판(120)이 체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양측 삼각침, 받침돌기, 키편의 구성요소들이 삭제되므로, 구성이 대폭 단순화됨에 따라 그 제조를 위한 원재료의 소모량을 줄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판(120) 측의 고정홈(170)에 대해 굴양식줄(20)을 결합함에 있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홈(170)을 둘러싸도록 굴양식줄(20)을 한바퀴 돌려 고리 형태(R)를 이룬 상태에서 상·하판(120, 130)을 서로 밀착시켜 체결시킨다.
즉, 종래에는 고정홈(170) 내에 단순히 굴양식줄(20)을 일자 형태로 삽입한 상태로 체결시켰으나, 본 발명에서는 한바퀴 돌려 고리 형태(R)를 이룬 상태로 체결시킨다.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하판(120) 측의 고정홈(170)을 둘러싸도록 굴양식줄(20)을 한바퀴 돌린 상태에서 중간부의 횡홈(110) 부분을 꺾어 상판(130)을 접어서 상판(130)의 삽입공(160)에 하판(120) 측의 걸고리(140)가 끼워져 걸고리(140) 의 걸림턱(140a)이 상판(130)의 타면에 걸려 체결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하나의 매듭 집게(100)가 굴양식줄(20)에 대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체결된 상태에서 굴양식줄(20)의 고리 형태(R)에 의해 해당 매듭 집게(100)는 외력이나 중량의 부가에도 절대 미끄러지거나 위치 이동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작업자는 고정홈(170)을 둘러싸도록 굴양식줄(20)을 한바퀴 돌려 고리 형태(R)를 만들기만 하면 되므로, 고리 형태(R)를 만드는 작업도 매우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나아가,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매듭 집게(100)를 현장에서 실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굴양식줄(20)에 대해 미리 필요한 모든 개수의 양식굴집(30)을 끼워 놓는다.
그런 다음,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양식줄(20)의 하단부에 하나의 매듭 집게(100)를 위치시키고 위치된 매듭 집게(100)의 고정 홈(170)에 대해 굴양식줄(20)의 하단부를 한바퀴 돌려 고리 형태(R)를 만든 상태에서 상판(130)과 하판(120)을 밀착시켜 체결시키며, 이로써 굴양식줄(20)의 하단부에 하나의 매듭 집게(100)가 체결된다.
그 후,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된 매듭 집게(100) 쪽으로 미리 끼워져 있던 하나의 양식굴집(30)을 내려서 지지되도록 한다.
그 다음, 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식굴집(30)이 지지된 매듭 집 게(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상부 위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하나의 매듭 집게(100)를 체결시키며, 해당 매듭 집게(100)에 대해 다음 차례의 양식굴집(30)을 내려서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매듭 집게(100)를 체결하고, 체결된 매듭 집게(100)에 대해 하나의 양식굴집(30)을 내려서 지지되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굴양식줄(20)에 대해 모든 양식굴집(30)이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도록 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홈(110)을 통해 접어질 수 있음에 따라 하판(120) 측의 고정홈(170)에 대응될 수 있는 위치의 상판(130) 상에도 고정홈(180)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상·하판(120, 130) 모두에 각기 고정홈(170, 180)이 형성되면, 작업자는 구지 상판(130)과 하판(120)을 구별할 필요없이 어느 쪽의 고정홈(170, 180)을 이용해서도 선택적으로 굴양식줄(20)을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면서 신속하게 결합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듭 집게(100)의 고정홈(170)에 대해 굴양식줄(20)을 한번 감아 고리 형태(R)를 만든 상태에서 상판(130)과 하판(120)을 밀착시켜 매듭 집게(100)를 체결시키므로, 체결된 매듭 집게(100)는 이후 외력이나 무거운 중량의 부가에도 절대 굴양식줄(20)에 대해 미끄러지거나 위치 이동되지 않을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매듭 집게(100) 자체가 굴양식줄(20)을 전혀 손상시키거나 단선시키지도 않을 수 있게 되므로, 그 결과로서 양식굴집(30)을 오랜 기간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음에 따라 양식되는 굴의 손상이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어떠한 굵기의 굴양식줄(20)도 고리 형태(R)로 만들어 결합시키면 되므로, 굵기에 관계없이 굴양식줄(20)을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음에 따라 현장 활용성도 우수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것에 비해 양측 삼각침, 받침돌기 및 키편의 다소 불필요한 구성요소들이 삭제되므로, 구성의 단순화에 따라 그 제조를 위한 원재료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것은 그 제조 원가가 통상 7원 정도인데, 본 발명의 것은 그에 비해 2, 3원 정도 저렴한 4, 5원에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 원가의 인하는 양식 어민에게 막대한 비용 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판(130)과 하판(120)의 어느 쪽의 고정홈(170, 180)을 이용해서도 굴양식줄(20)을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구지 상판(130)과 하판(120)을 구별하는 과정이 불필요할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수산물 중에서 굴을 양식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매듭 집게(100) 및 그 체결 방법은 가능한 모든 수산물의 수하식 양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함을 밝힌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수하식 굴 양식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수하식 굴 양식에서 굴양식줄에 매듭을 형성하여 양식굴집을 일정 간격으로 위치시키는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1998-067003호의 굴양식 노끈의 매듭용 글립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03-0018628호의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의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4의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의 체결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의 체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의 사용 상 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를 이용하여 굴양식줄에 양식굴집을 일정 간격으로 결합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굴양식줄 R : 고리 형태
30 : 양식굴집 100 : 매듭 집게
110 : 횡홈 120 : 하판
130 : 상판 140 : 걸고리
140a : 걸림턱 150 : 관통공
160 : 삽입공 170, 180 : 고정홈

Claims (6)

  1. 굴양식줄(20)에 일정 간격마다 체결되어 양식굴집을 지지하는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에 있어서,
    상단에 입설되는 걸림턱(140a)을 갖는 걸고리(140)와, 중간 부위에 상기 굴양식줄(20)이 한번 감아져 고리 형태를 이룬 상태로 위치되는 고정홈(170)을 구비하여 중간부의 횡홈(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판(120); 및
    사다리꼴 형상의 삽입공(160)을 구비하여 상기 횡홈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판(130);을 포함하되,
    상기 횡홈(110)에 의해 상기 상판(130)이 꺽여 상기 하판(120)을 향하여 접혀질 경우, 상기 삽입공(160)에 상기 걸고리(140)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140a)이 상기 상판(130)의 타면에 걸쳐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20) 상의 상기 고정홈(170)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상판(130) 상에도 고정홈(18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양식줄(20)이 고리 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홈(170)에 위치됨에 있어 상기 고정홈(170)의 내측에 상기 굴양식줄(20)이 두개의 줄로 존재하여 위치되고 상기 고정홈(170)의 외측에는 한개의 줄로 존재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85408A 2009-09-10 2009-09-10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 KR101082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408A KR101082128B1 (ko) 2009-09-10 2009-09-10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408A KR101082128B1 (ko) 2009-09-10 2009-09-10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351A KR20110027351A (ko) 2011-03-16
KR101082128B1 true KR101082128B1 (ko) 2011-11-10

Family

ID=4393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408A KR101082128B1 (ko) 2009-09-10 2009-09-10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312A (ko) * 2019-08-07 2021-02-17 김광수 굴 양식용 패각의 위치 고정용 스토퍼 및 그 스토퍼들이 연결된 스토퍼 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164B1 (ko) * 2015-09-08 2017-02-28 백경율 자동매듭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785Y1 (ko) * 2000-06-29 2000-12-15 김형호 굴양식용 종패 고정 클립
KR200324868Y1 (ko) 2003-06-13 2003-08-27 강석경 굴양식줄의 매듭집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785Y1 (ko) * 2000-06-29 2000-12-15 김형호 굴양식용 종패 고정 클립
KR200324868Y1 (ko) 2003-06-13 2003-08-27 강석경 굴양식줄의 매듭집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312A (ko) * 2019-08-07 2021-02-17 김광수 굴 양식용 패각의 위치 고정용 스토퍼 및 그 스토퍼들이 연결된 스토퍼 카트리지
KR102486215B1 (ko) 2019-08-07 2023-01-10 김광수 굴 양식용 패각의 위치 고정용 스토퍼 및 그 스토퍼들이 연결된 스토퍼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351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6739B2 (ja) 釣針保管用ケース構造
KR101465721B1 (ko) 해조류 양식로프
KR101082128B1 (ko) 굴양식줄의 매듭 집게
US9943072B2 (en) Loopwork rope for mussel culture
KR200207785Y1 (ko) 굴양식용 종패 고정 클립
KR101582104B1 (ko) 굴 양식 설비
KR200392561Y1 (ko) 가리비 양식용 어구
JP5302789B2 (ja) 海藻類の養殖方法
JP5924605B2 (ja) 藻類の育成方法
KR102095777B1 (ko) 해조류 뿌리 활착용 링을 갖는 종묘 줄로 이루어진 양식로프
KR101703559B1 (ko) 전복 양식용 해상가두리 장치
JP3201075U (ja) 牡蠣類の掛止具
JP6218080B2 (ja) 強化貝掛止具およびその成形法
KR20030094717A (ko) 바다낚시용 채비
JP2007244371A (ja) ブレード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508831B (zh) 渔具浮子绳
JP3779781B2 (ja) 牡蠣養殖用u字型吊下げ連結具
JP3182444U (ja) 貝類養殖の係止具
KR200298800Y1 (ko) 민물중층낚시용 찌겸용채비케이스
JP2011142858A (ja) 貝類養殖の係止具
KR200338846Y1 (ko) 갈치 낚시용 벌림 두바늘 채비
KR200487689Y1 (ko) 굴양식용 금속재 와이어를 이용한 패각걸이
JPH0633821Y2 (ja) 帆立貝養殖用垂れ糸の保持具
KR200278185Y1 (ko) 패각 고정용 고정체
KR100635781B1 (ko) 주낙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주낙 기구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