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164A -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감작 라텍스 입자 및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 - Google Patents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감작 라텍스 입자 및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164A
KR20140030164A KR1020137027898A KR20137027898A KR20140030164A KR 20140030164 A KR20140030164 A KR 20140030164A KR 1020137027898 A KR1020137027898 A KR 1020137027898A KR 20137027898 A KR20137027898 A KR 20137027898A KR 20140030164 A KR20140030164 A KR 20140030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latex
latex particles
monomer
polymerizable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464B1 (ko
Inventor
신이치로 기타하라
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organic
    • G01N33/545Synthetic res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a particulate label, e.g. coloured latex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물질의 농도가 희박한 측정 시료를 측정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고감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a) ∼ (c) 의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C1-4 알코올을 7.5 ∼ 25 중량% 함유하는 수성 매체 중에서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이다.
(a) 페닐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b) 페닐기 및 술폰산염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Description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감작 라텍스 입자 및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 {LATEX PARTICLE FOR MEASUREMENT REAGENT, SENSITIZED LATEX PARTICLE, AND MEASUREMENT REAGENT FOR IMMUNONEPHELOMETRY}
본 발명은 피검물질의 농도가 희박한 측정 시료를 측정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고감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에 관한 것이다.
임상 검사를 비롯한 여러 가지 분야에 있어서, 측정 시료 중의 미량의 피검물질을 정량하는 방법으로서, 항원 항체 반응을 이용한 면역학적 측정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라텍스 입자를 항원 또는 항체의 담체로서 사용한 라텍스 면역 비탁법은 조작이 간편하며, 또한, 측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짧다. 그래서, 측정 방법으로서 라텍스 면역 비탁법을 채용하는 미량 피검물질의 종류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라텍스 면역 비탁법에 의한 측정 시료 중의 항원 또는 항체 등의 피검물질의 정량은 항원 또는 항체를 담지한 라텍스 입자 (이하, 「감작 라텍스 입자」라고도 한다) 의 응집에 의해 발생하는 흡광도의 변화를 광학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실시된다. 이 흡광도의 변화는 감작 라텍스 입자의 응집에 의해 형성되는 응집괴에서 유래하는 외관의 입자직경 변화에 기초하는 것이다.
종래, 라텍스 면역 비탁법에 있어서 담체로서 사용되는 라텍스 입자에는, 항원 또는 항체의 감작 (고정화) 이 용이하고, 비교적 저렴하며, 또한, 중합 반응도 제어하기 쉬운 점에서, 폴리스티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스티렌계 라텍스 입자가 사용되어 왔다 (특허문헌 1 등). 그러나, 폴리스티렌계 라텍스 입자를 라텍스 면역 비탁법에 있어서의 담체로서 사용한 경우, 측정 시료 중의 피검물질의 농도가 희박하면, 형성되는 응집괴의 수가 적어지고, 또한, 응집괴의 외관의 입자직경도 라텍스 입자수에 대한 피검물질의 농도가 적당한 범위인 경우에 비해 작아지는 점에서, 충분한 감도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피검물질의 농도가 희박한 경우에 있어서 저하되는 측정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형성되는 응집괴의 외관의 입자직경이 커지도록, 폴리스티렌계 라텍스 입자의 입자직경을 크게 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라텍스 입자의 입자직경을 지나치게 크게 하면, 사용하는 광학적 측정 기기의 측정 가능한 흡광도 상한과의 관계로부터, 반응액 중에 있어서의 감작 라텍스 입자의 농도를 낮게 하여 사용하는 광학적 측정 기기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생긴다. 반응액 중의 감작 라텍스 입자의 농도를 낮게 하면, 일정 시간 내에 감작 라텍스 입자와 피검물질이 만나는 확률이 저하되어 버려, 기대한 측정 감도의 향상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담체가 되는 라텍스 입자의 입자직경을 크게 하면 침강되기 쉬워져, 감작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는 측정 시약을 용액 상태로 보존하는 경우에 보존 안정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폴리스티렌계 라텍스 입자의 입자직경을 크게 하는 방법에서는, 일정한 크기까지는 측정 감도의 향상을 예상할 수 있지만, 일정한 크기를 초과하여 입자직경을 크게 하면, 오히려 측정 감도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측정 시약의 보존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특허문헌 2 에서는, 라텍스 입자의 굴절률을 높임으로써 입자직경을 크게 하지 않고 측정 감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라텍스 입자를 사용해도, 실제로는 기대하는 측정 감도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국제 공개 WO2003/005031호 팸플릿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96299호
본 발명은 피검물질의 농도가 희박한 측정 시료를 측정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고감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a) ∼ (c) 의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C1-4 알코올을 7.5 ∼ 25 중량% 함유하는 수성 매체 중에서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이다.
(a) 페닐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b) 페닐기 및 술폰산염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라텍스 입자를 사용하여 조제한 감작 라텍스 입자에 의해 라텍스 면역 비탁법을 실시해도 기대한 측정 감도가 얻어지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라텍스 입자 중에 함유되는 계면 활성제가 원인인 것을 알아냈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굴절률이 높은 라텍스 입자를 입자직경이 고른 상태에서 제조하기 위하여, 유화제로서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 계면 활성제가 라텍스 입자 중에 잔존하고, 그 결과, 계면 활성제가 항원 또는 항체의 라텍스 입자 표면에 대한 감작 (고정화) 을 방해하여, 라텍스 입자의 항원 또는 항체의 흡착량이 불충분해져, 기대하는 만큼은 높은 측정 감도가 얻어지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라텍스 입자를 사용하면, 종래의 폴리스티렌계 라텍스 입자와 동일한 정도의 입자직경이라 하더라도, 피검물질의 농도가 희박한 측정 시료를 측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고감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는 하기 (a) ∼ (c) 의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하기 (a) ∼ (c) 의 중합성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를 갖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며, 또한,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a) 페닐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b) 페닐기 및 술폰산염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상기 (a) 페닐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티렌, o-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4-비닐벤조산, 디비닐벤젠, 비닐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있어서의 상기 (a) 페닐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40 몰%, 바람직한 상한은 94.9 몰% 이다. 상기 (a) 페닐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이 40 몰% 미만이면, 입자직경 분포가 넓어지는 경우가 있고, 94.9 몰% 를 초과하면,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있어서의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이 적어져 고감도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a) 페닐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9.9 몰% 이다.
상기 (b) 페닐기 및 술폰산염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는, 중합 후의 담체 입자 표면에 술폰산기를 함유시킬 수 있는 단량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티렌술폰산염, 디비닐벤젠술폰산염, o-메틸스티렌술폰산염, p-메틸스티렌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의 염으로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술폰산염이 바람직하고, 스티렌술폰산나트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있어서의 상기 (b) 페닐기 및 술폰산염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1 몰%, 바람직한 상한은 5 몰% 이다. 상기 (b) 페닐기 및 술폰산염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이 0.01 몰% 미만이면, 입자직경이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가 있고, 5 몰% 를 초과하면, 입자직경 분포가 지나치게 넓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b) 페닐기 및 술폰산염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5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 몰% 이다.
상기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비닐나프탈렌, 2-비닐나프탈렌, (메트)아크릴산α-나프틸, (메트)아크릴산β-나프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1-비닐나프탈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있어서의 상기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5 몰%, 바람직한 상한은 59.9 몰% 이다. 상기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이 5 몰% 미만이면, 고감도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59.9 몰% 를 초과하면, 중합시에 입자가 되지 않거나, 입자직경 분포가 넓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9.9 몰% 이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추가로,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통상의 라디칼 중합에 사용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산아미드, 할로겐화비닐, 비닐에스테르, (메트)아크롤레인, 말레산 유도체, 푸마르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한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추가로 상기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a) 페닐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b) 페닐기 및 술폰산염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 및,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바람직한 배합량을 저해하는 경우가 없도록, 그 배합량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이 상기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의 배합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20 몰% 이다. 상기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의 배합량이 20 몰% 를 초과하면, 고감도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의 배합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 몰% 이다.
상기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의 배합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라텍스 입자의 경도, 탄성, 내수성 등, 제어하고자 하는 성질에 따라 상이하며, 실험을 통하거나 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여기서, 공중합시에, 유화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알킬벤젠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등) 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계면 활성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얻어지는 라텍스 입자 중에 계면 활성제가 잔존하고, 그 계면 활성제가 항원 또는 항체의 라텍스 입자 표면에 대한 감작 (고정화) 을 방해하여, 라텍스 입자의 항원 또는 항체의 흡착량이 불충분해져, 높은 측정 감도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공중합의 방법으로는, 수성 매체 중에서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하는 것 이외에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매로서 수성 매체가 주입된 반응 용기 내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 및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성 매체는 물과 탄소수 1 ∼ 4 의 1 가 알코올 (이하, 「C1 -4 알코올」이라고도 한다) 을 함유하는 혼합 용매로, C1 -4 알코올을 7.5 ∼ 25 중량% 함유한다. C1 -4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직사슬 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t-부틸알코올 등의 분기 사슬 알코올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수성 매체 중에 있어서의 C1 -4 알코올의 농도는 7.5 ∼ 25 중량% 의 범위이다. C1 -4 알코올의 농도가 25 중량% 보다 높으면, 입자직경 분포가 넓어져 입자직경이 불균일해진다. 한편, C1 -4 알코올의 농도가 7.5 중량% 보다 낮으면, 입자직경의 확산은 발생하지 않지만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조제하기 위해 이 수성 매체를 사용하였을 때에 높은 측정 감도를 얻을 수 없다. 상기 농도 범위에서 이 수성 매체를 사용함으로써 입자직경 분포의 확산을 제어하여 입자직경의 편차가 적으며, 또한, 항원 또는 항체의 흡착량이 충분하여, 높은 측정 감도가 얻어지는, 우수한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로는, 공지된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이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이나, 벤조일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과황산염이 바람직하고, 과황산칼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중합성 단량체량의 전체량에 대하여 0.01 ∼ 1 중량% 를 배합한다.
상기 공중합에 있어서의 중합 온도로는 50 ∼ 100 ℃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85 ℃ 이다. 또한, 중합 시간으로는, 중합성 단량체의 조성, 농도, 및, 중합 개시제 등의 조건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 5 ∼ 50 시간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는 물 또는 수계 용매에 현탁한 상태에서 얻어진다. 그 현탁액 중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의 농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 ∼ 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이면, 감작 라텍스 입자 조제시에 농축할 필요가 있고, 20 중량% 를 초과하면, 응집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라텍스 면역 비탁법의 구체적인 방법이나 사용하는 측정 기기의 사양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01 ㎛, 바람직한 상한은 1.0 ㎛ 이다. 평균 입자직경이 0.01 ㎛ 미만이면, 응집에 의한 광학적 변화량이 지나치게 작아 측정에 필요한 감도가 얻어지지 않거나, 감작 라텍스 입자 조제시의 원심 분리시 등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여 제조 비용이 높아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평균 입자직경이 1.0 ㎛ 를 초과하면, 측정 시료 중의 피검물질이 고농도일 때에 감작 라텍스 입자의 응집에 의한 광학적 변화량이 광학적 측정 기기의 측정 가능 영역을 초과해 버려, 피검물질의 양에 따른 광학적 변화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평균 입자직경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7 ㎛,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1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4 ㎛ 이다.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의 입자직경의 변동 계수 (CV 값) 는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동 계수 (CV 값) 가 10 % 를 초과하면, 감작 라텍스 입자 조제시의 제조 재현성이 저하되어, 측정 시약의 성능 (측정 재현성) 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변동 계수 (CV 값) 는 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자직경의 변동 계수는 하기 식 (1) 에 의해 산출된다.
식 (1) : 입자직경의 변동 계수 (CV 값) = 입자직경의 표준 편차/평균 입자직경
상기한 바와 같이, 입자직경 분포의 확산은 공중합 반응을 실시할 때의 수성 용매 중의 C1 -4 알코올의 농도에 따라 일정 범위로 수속시킬 수 있다. 당업자이면, 피검물질의 특성 (물성이나 측정 시료 중에서의 농도 등), 라텍스 입자에 감작 시키는 항원이나 항체의 특성, 제조 로트 간에 있어서의 재현성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변동 계수를 갖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담체로 하여, 피검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담지시켜, 감작 라텍스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에, 피검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담지시킨 감작 라텍스 입자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피검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로는, 면역 혈청학적 측정 시약 (면역학적 응집 반응 및 응집 저지 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 생화학 측정법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생리 활성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항원 항체 반응에 이용할 수 있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항원 항체 반응에 이용할 수 있는 물질로는, 예를 들어, 단백질, 핵산, 핵단백질, 에스트로겐 등의 호르몬, 지질 등의 항원 또는 항체를 들 수 있다.
상기 항원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항원, 리셉터, 효소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β2 마이크로글로블린, C-반응성 단백 (CRP), 인간 피브리노겐, 페리틴, 류머티즘 인자 (RA), α-페토프로테인 (AFP), 미코플라스마 항원, HBs 항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체로는, 예를 들어, 각종 독소나 병원균 등에 대한 항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항스트렙톨리신 O 항체, 항에스트로겐 항체, β2 마이크로글로블린 항체, 매독 트레포네마 항체, 매독 지질 항원에 대한 항체, 항 HBs 항체, 항 HBc 항체, 항 Hbe 항체, 항 PSA 항체, 항 CRP 항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감작 라텍스 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에 담지시키는 항체로는, 면역 글로블린 분자 자체 외에, 예를 들어, F(ab')2 와 같은 단편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항체는 폴리클로날 항체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 중 어느 쪽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상기 항체의 취득 방법도 통상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항원 항체 반응」, 「항원」, 「항체」의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인 의미에 더하여, 특이적 결합 반응에 의해 감작 라텍스 입자를 응집시킬 수 있는 상기의 개념·형태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어,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에 피검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담지시켜, 감작 라텍스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결합에 의해 담지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작 라텍스 입자에 있어서의 피검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의 담지량은 사용되는 피검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여, 실험적으로 최적의 양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담지」, 「감작」, 「고정화」의 단어는 통상적인 의미를 갖고,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얻어진 본 발명의 감작 라텍스 입자는 필요에 따라 소 혈청 알부민 등으로 피복 (블로킹) 처리를 실시하고, 적당한 완충액에 분산시켜 감작 라텍스 입자 분산액으로서 사용한다. 감작 라텍스 입자 분산액은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작 라텍스 입자가 완충액 중에 분산되어 있는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은 측정에 사용하는 희석액 (완충액) 이나 표준 물질 등을 조합하여 측정 시약 키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희석액은 측정 시료 등을 희석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희석액으로는, pH 5.0 ∼ 9.0 의 완충액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인산 완충액, 글리신 완충액, 트리스 완충액, 붕산 완충액, 시트르산 완충액, 굿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이나 희석액은, 측정 감도의 향상이나 항원 항체 반응의 촉진을 위하여, 여러 가지의 증감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증감제로는,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알킬화 다당류나, 풀루란,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이나 희석액은, 측정 시료 중에 존재하는 피검물질 이외의 물질에 의해 일어나는 비특이적 응집 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또는, 측정 시약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 난성 (卵性) 알부민), 카세인, 젤라틴 등의 단백질이나 그 분해물, 아미노산 또는 계면 활성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을 사용하면, 측정 시료 중의 피검물질과 감작 라텍스 입자에 담지된 피검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감작 라텍스 입자의 응집 정도를 광학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측정 시료 중의 피검물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광학적 측정에는, 산란광 강도, 투과광 강도, 흡광도 등을 검출할 수 있는 광학 기기, 또는, 이들 검출 방법을 복수 구비한 광학 기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임상 검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화학 자동 분석기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응집 정도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응집의 형성을 탁도의 증가로서 파악하는 비탁법, 응집의 형성을 입도 분포 또는 평균 입자직경의 변화로서 파악하는 방법, 응집의 형성에 의한 전방 산란광의 변화를 적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투과광 강도와의 비를 비교하는 적분구 탁도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측정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이한 시점에서 적어도 2 개의 측정값을 얻고, 이들 시점 간에 있어서의 측정값의 증가분 (증가 속도) 에 기초하여 응집 정도를 구하는 속도 시험 (레이트 어세이) 이나, 임의의 시점 (통상은 반응의 종점이라고 생각되는 시점) 에서 1 개의 측정값을 얻고, 이 측정값에 기초하여 응집 정도를 구하는 종점 시험 (엔드 포인트 어세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측정의 간편성, 신속성의 면에서 비탁법에 의한 종점 시험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면역 비탁」, 「면역 비탁법」의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의 개념·형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물질의 농도가 희박한 측정 시료라 하더라도 고감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는, 종래의 폴리스티렌계 라텍스 입자에 대하여, 입자직경은 동일한 정도인 채로, 단백질의 흡착량을 저하시키지 않고, 희박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피검물질의 측정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사용하면, 입자 침강에 의한 측정 시약의 보존 안정성의 저하가 없고, 고감도의 측정 시약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에서 얻어진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사용하여 CRP 항원 표준액을 측정한 감도 곡선 (검량선) 이다.
도 2 는 실시예 1 ∼ 5, 비교예 1 ∼ 5 에서 얻어진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사용하여 CRP 항원 표준액을 측정한 감도 곡선 (검량선) 이다. (a) 는 측정한 전체 농도 범위를 표시하고, (b) 는 0.6 ㎎/㎗ 이하의 농도 범위에 대하여 감도 곡선을 확대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 온도 검출기, 질소 도입관 및 재킷을 구비한 유리제 반응 용기 (용량 1 ℓ) 에, 초순수 400 g, 에탄올 100 g, 스티렌 모노머 19 g, 1-비닐나프탈렌 25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5 g 을 첨가하고, 용기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70 ℃ 에서 160 rpm 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24 시간 중합을 실시하였다.
중합 종료 후, 상기 용액을 페이퍼 여과지로 여과 처리하여, 라텍스 입자를 취출하였다. 그 후, 투석막으로 48 시간 투석 처리를 실시하여, 정제된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 0.351 ㎛, 입자직경의 CV 값은 3.8 % 였다.
또한, 라텍스 입자의 입자직경 및 CV 값은 라텍스 입자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콜로디온막상으로 얹고,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입자 화상을 촬영하여, 화상 상에서 관찰된 100 개 이상의 입자의 입자직경을 계측하는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실시예 2)
「초순수 400 g, 에탄올 100 g, 스티렌 모노머 19 g, 1-비닐나프탈렌 25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5 g」대신에, 초순수 450 g, 에탄올 50 g, 스티렌 모노머 35 g, 1-비닐나프탈렌 20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8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0.355 ㎛, 입자직경의 CV 값은 2.2 % 였다.
(비교예 1)
「초순수 400 g, 에탄올 100 g, 스티렌 모노머 19 g, 1-비닐나프탈렌 25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5 g」대신에, 초순수 200 g, 에탄올 200 g, 스티렌 모노머 12 g, 1-비닐나프탈렌 18 g, 과황산칼륨 0.30 g,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계면 활성제) 0.06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0.433 ㎛, 입자직경의 CV 값은 15.0 % 였다.
본 비교예의 라텍스 입자는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라텍스 입자에 상당한다.
(비교예 2)
「초순수 400 g, 에탄올 100 g, 스티렌 모노머 19 g, 1-비닐나프탈렌 25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5 g」대신에, 초순수 500 g, 스티렌 모노머 45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5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0.405 ㎛, 입자직경의 CV 값은 3.3 % 였다.
본 비교예의 라텍스 입자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라텍스 입자에 상당한다.
(평가 1)
(1)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의 단백질 흡착량의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에서 얻어진 각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사용하여, 최종 농도가 0.4 중량% 인 라텍스 입자 (고형량으로서 4 ㎎), 0.8 ㎎/㎖ 인 BSA, 20 mmol/ℓ 인산 완충액 (pH 7.4) 이 되도록 혼합하고, 4 ℃ 의 저온실에서, 웨이브 로터 (50 rpm) 를 사용하면서 3 시간 진탕시켜, 라텍스 입자에 BSA 를 흡착시켰다. 그 후, 원심 분리 (12000 rpm, 30 분, 15 ℃) 를 실시하여, 상청을 분리 채취하고, A/G 테스트 와코 (와코 쥰야쿠 공업사 제조) 측정 키트를 사용하여, 상청 중의 단백 농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 (라텍스 입자 미첨가) 의 단백 농도로부터 각 상청 중의 단백 농도를 뺌으로써, 라텍스 입자에 흡착된 단백 결합량 (라텍스 입자 단위 면적당 BSA 결합량) 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표 1 로부터, 비교예 1 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에서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2 의 라텍스 입자에 비해, BSA 흡착량이 현저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 2 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는 비교예 2 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와 동일한 정도의 BSA 흡착량이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가,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1 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에 비해,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의 구축에 유용한 항체 등을 다량으로 흡착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2) 감작 라텍스 입자를 사용한 측정 시약의 측정 감도의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에서 얻어진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원심 분리로 정제한 후, 항 CRP 항체를 감작하여 감작 라텍스 입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작 라텍스 입자를, 0.1 % BSA 를 함유하는 완충액으로 3 회 원심 세정하여 블로킹 처리하였다. 이어서, 감작 라텍스 입자의 농도를 완충액으로 0.025 중량% 로 조정하여, 감작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는 측정 시약 (제 2 시약)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측정 시약을 사용하여 CRP 항원 표준액을 측정하고 감도 곡선 (검량선) 을 작성하였다.
얻어진 감도 곡선을 도 1 에 나타냈다.
측정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측정 조건 A)
장치 : 히타치 7170 형 자동 분석 장치
사용 파장 : 570 ㎚/800 ㎚
측광 포인트 : 18-34 (엔드 포인트 어세이)
측정 온도 : 37 ℃
측정 시료 (0 ∼ 36 ㎎/㎗ 의 CRP 표준액) : 2 uL
각 CRP 표준액의 CRP 농도 : 0.2, 0.3, 0.6, 6, 18, 36 ㎎/㎗
제 1 시약 : 나노피아 (등록 상표) CRP 완충액 100 ㎕
제 2 시약 : 100 ㎕
측정은, 측정 시료, 제 1 시약을 혼합 교반한 후, 추가로 제 2 시약을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였다. 그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의 탁도를 계측하는 엔드 포인트 어세이로 실시하였다.
도 1 로부터, 비교예 1 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공중합시에 계면 활성제를 사용) 로부터 조제한 감작 라텍스 입자를 사용한 측정 시약에서는, CRP 0.6 ㎎/㎗ 이하에서 실질적인 감도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6 ㎎/㎖ 이상에 있어서도 각 농도 간의 감도차가 충분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2 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지 않는다) 로부터 조제한 감작 라텍스 입자를 사용한 측정 시약에서는, 6 ㎎/㎗ 의 감도가 비교예 1 에 대하여 현저하게 향상되었지만, 0.6 ㎎/㎗ 이하에서는 비교예 1 과의 감도차는 적었다.
이것들에 반해, 실시예 1 및 2 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로부터 조제한 감작 라텍스 입자를 사용한 측정 시약에서는, 어느 CRP 농도에서도 비교예 1, 2 에 대하여 감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비교예 1 및 2 에서 실질적인 감도가 얻어지지 않았던 0.6 ㎎/㎗ 이하에서의 감도 향상이 명확하였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예 1, 2 에서는, 비교예 2 에 대하여 단백질의 흡착량은 동일한 정도라 하더라도, 감도 향상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초순수 400 g, 에탄올 100 g, 스티렌 모노머 19 g, 1-비닐나프탈렌 25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5 g」대신에, 초순수 375 g, 에탄올 125 g, 스티렌 모노머 35 g, 1-비닐나프탈렌 20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8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0.361 ㎛, 입자직경의 CV 값은 7.8 % 였다.
(실시예 4)
「초순수 400 g, 에탄올 100 g, 스티렌 모노머 19 g, 1-비닐나프탈렌 25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5 g」대신에, 초순수 400 g, 에탄올 100 g, 스티렌 모노머 35 g, 1-비닐나프탈렌 20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8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0.359 ㎛, 입자직경의 CV 값은 4.1 % 였다.
(실시예 5)
「초순수 400 g, 에탄올 100 g, 스티렌 모노머 19 g, 1-비닐나프탈렌 25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5 g」대신에, 초순수 462.5 g, 에탄올 37.5 g, 스티렌 모노머 35 g, 1-비닐나프탈렌 20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8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0.345 ㎛, 입자직경의 CV 값은 3.1 % 였다.
(비교예 3)
「초순수 400 g, 에탄올 100 g, 스티렌 모노머 19 g, 1-비닐나프탈렌 25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5 g」대신에, 초순수 250 g, 에탄올 250 g, 스티렌 모노머 35 g, 1-비닐나프탈렌 20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8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0.401 ㎛, 입자직경의 CV 값은 17.1 % 였다.
(비교예 4)
「초순수 400 g, 에탄올 100 g, 스티렌 모노머 19 g, 1-비닐나프탈렌 25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5 g」대신에, 초순수 350 g, 에탄올 150 g, 스티렌 모노머 35 g, 1-비닐나프탈렌 20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8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0.368 ㎛, 입자직경의 CV 값은 13.0 % 였다.
(비교예 5)
「초순수 400 g, 에탄올 100 g, 스티렌 모노머 19 g, 1-비닐나프탈렌 25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5 g」대신에, 초순수 475 g, 에탄올 25 g, 스티렌 모노머 35 g, 1-비닐나프탈렌 20 g,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01 g, 과황산칼륨 0.18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0.343 ㎛, 입자직경의 CV 값은 2.8 % 였다.
(평가 2)
(1)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의 단백질 흡착량의 평가
실시예 3 ∼ 5, 비교예 3 ∼ 5 에서 얻어진 각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사용하여, 상기 「(평가 1)」에 있어서의 「(1)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의 단백질 흡착량의 평가」의 기재와 동일한 조작, 방법에 의해 라텍스 입자에 흡착된 단백 결합량 (라텍스 입자 단위 면적당 BSA 결합량) 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2) 감작 라텍스 입자를 사용한 측정 시약의 측정 감도의 평가
실시예 3 ∼ 5, 비교예 3 ∼ 5 에서 얻어진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사용하여 상기 「(평가 1)」에 있어서의 「(2) 감작 라텍스 입자를 사용한 측정 시약의 측정 감도의 평가」의 기재와 동일한 조작, 방법에 의해, 실시예 3 ∼ 5, 비교예 3 ∼ 5 에서 얻어진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각각 함유하는 측정 시약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측정 시약 각각을 사용하여 CRP 항원 표준액을 상기 측정 조건 A 에 의해 측정하고 감도 곡선 (검량선) 을 작성하였다.
얻어진 감도 곡선을 도 2, 측정된 흡광도를 표 2 에 나타냈다.
또한, 도 2, 표 2 는 상기한 실시예 1, 2, 비교예 1, 2 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도 포함하여 일람으로 정리하였다.
Figure pct00002
표 1 로부터, 비교예 1 및 3 (에탄올 농도 50 %), 비교예 4 (동 30 %) 에서 제조한 라텍스 입자에서는, 실시예 1 및 4 (동 20 %), 실시예 2 (동 10 %), 실시예 3 (동 25 %), 실시예 5 (동 7.5 %) 및 비교예 5 (동 5 %) 에서 제조한 라텍스 입자에 비해, CV 값이 10 % 를 초과하였다. 이상으로부터, 에탄올 농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농도 범위보다 고농도가 되면 CV 값이 변동되어, 얻어진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의 입자직경의 변동폭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 (동 0 %), 비교예 5 (동 5 %) 에서 제조한 라텍스 입자에서는, CV 값은 실시예의 라텍스 입자와 동일한 정도이지만 (이상, 표 1 로부터), 측정 시약에 있어서의 측정 감도는 실시예의 라텍스 입자를 사용한 측정 시약과 비교하여 낮아, 충분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측정 감도에 대해서는, 비교예 1, 3 및 4 도 마찬가지로, 실시예의 라텍스 입자를 사용한 측정 시약과 비교하여 낮아, 충분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도 2 및 표 2 로부터).
또한, BSA 흡착량은, 공중합시에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비교예 1 을 제외하고,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서 거의 동일하였다 (이상, 표 1 로부터).
표 1 로부터, 실시예 3 ∼ 5 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와 비교예 3 ∼ 5 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간에 BSA 흡착량은 동일한 정도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물질의 농도가 희박한 측정 시료라 하더라도 고감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제조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는, 종래의 폴리스티렌계 라텍스 입자에 대하여, 입자직경은 동일한 정도인 채로, 단백질의 흡착량을 저하시키지 않고, 희박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피검물질의 측정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의 입자직경의 분포는 CV 값으로 10 % 이하로 수속되어 있어, 입자직경의 편차가 적기 때문에 감작 라텍스 입자 조제시의 제조 재현성이 안정되고, 결과적으로 측정 시약의 성능 (측정 재현성) 도 안정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물질의 농도가 희박한 측정 시료를 측정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고감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하기 (a) ∼ (c) 의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C1 -4 알코올을 7.5 ∼ 25 중량% 함유하는 수성 매체 중에서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a) 페닐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b) 페닐기 및 술폰산염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2. 제 1 항에 있어서,
    C1 -4 알코올이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물은 추가로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4. 하기 (a) ∼ (c) 의 중합성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를 갖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며, 또한,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a) 페닐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b) 페닐기 및 술폰산염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5. 제 4 항에 있어서,
    (a) ∼ (c) 의 중합성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를 갖는 공중합체는 C1 -4 알코올을 7.5 ∼ 25 중량% 함유하는 수성 매체 중에서 단량체 혼합물을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6. 제 5 항에 있어서,
    C1 -4 알코올이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물은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a) 페닐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가 스티렌, (b) 페닐기 및 술폰산염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가 스티렌술폰산염, 또한, (c) 나프틸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가 1-비닐나프탈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평균 입자직경이 0.01 ∼ 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기재된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에, 피검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담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작 라텍스 입자.
  11. 제 10 항에 기재된 감작 라텍스 입자가 완충액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
KR1020137027898A 2011-03-31 2012-03-30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감작 라텍스 입자 및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 KR102013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0374 2011-03-31
JPJP-P-2011-080374 2011-03-31
PCT/JP2012/058590 WO2012133771A1 (ja) 2011-03-31 2012-03-30 測定試薬用ラテックス粒子、感作ラテックス粒子及び免疫比濁法用測定試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164A true KR20140030164A (ko) 2014-03-11
KR102013464B1 KR102013464B1 (ko) 2019-08-22

Family

ID=4693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898A KR102013464B1 (ko) 2011-03-31 2012-03-30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감작 라텍스 입자 및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48268B2 (ko)
EP (1) EP2693214B1 (ko)
JP (1) JP5170806B2 (ko)
KR (1) KR102013464B1 (ko)
CN (1) CN103460046B (ko)
CA (1) CA2831544C (ko)
ES (1) ES2592163T3 (ko)
WO (1) WO2012133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6557B1 (ja) 2012-09-27 2014-08-06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粒子凝集測定用ラテックス粒子
JP6442291B2 (ja) * 2015-01-07 2018-12-19 Jsr株式会社 粒子分散液、標的物質の検出に用いるためのキット、及び標的物質の検出方法
WO2017097255A1 (zh) * 2015-12-11 2017-06-15 北京大学第一医院 一种检测h因子浓度的方法及试剂盒
WO2018062557A1 (ja) * 2016-09-30 2018-04-05 積水化学株式会社 測定試薬用ラテックス粒子、感作ラテックス粒子及び免疫比濁法用測定試薬
US11867694B2 (en) * 2017-05-24 2024-01-09 Sekisui Medical Co., Ltd. Latex particles for measurement reagents, sensitized latex particles, and measurement reagent for turbidimetric immunoassay
CN108663526B (zh) * 2018-09-06 2019-01-08 长沙文瀚生物技术有限责任公司 二抗竞争免疫比浊测定试剂盒及其制作和使用方法
CN111239406B (zh) * 2020-01-17 2023-06-30 王兰珍 一种肝细胞生长因子胶乳免疫比浊检测试剂盒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6299A (ja) 2000-04-17 2001-10-26 Jsr Corp 診断薬用粒子および免疫比濁方法
WO2003005031A1 (fr) 2001-07-02 2003-01-16 Sekisui Chemical Co., Ltd. Latex a particules supports pour reactif d'essai, et reactif d'essai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6762A (ja) * 1981-10-31 1983-05-09 Sekisui Chem Co Ltd 診断試薬用ラテツクスの製造方法
US5401633A (en) * 1992-10-01 1995-03-28 Eastman Kodak Company Biologically active reagent prepared from aldehyde-containing polymer, test kit, analytical element and methods of use
CN101273270A (zh) * 2005-07-28 2008-09-24 株式会社益力多本社 抗体敏化乳胶
US20090117596A1 (en) 2005-07-28 2009-05-07 Toshikazu Hashimoto Antibody-Sensitized Latex
CN102128924A (zh) * 2010-01-12 2011-07-20 上海景源医疗器械有限公司 乳胶增强免疫比浊法测定尿液转铁蛋白试剂盒及其制备方法
WO2013100146A1 (ja) * 2011-12-28 2013-07-04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粒子凝集測定用ラテックス粒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6299A (ja) 2000-04-17 2001-10-26 Jsr Corp 診断薬用粒子および免疫比濁方法
WO2003005031A1 (fr) 2001-07-02 2003-01-16 Sekisui Chemical Co., Ltd. Latex a particules supports pour reactif d'essai, et reactif d'essai
KR20090013238A (ko) * 2001-07-02 2009-02-04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측정 시약용 담체 입자 라텍스 및 측정 시약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ovindaiah et al., Monodisperse and fluoresent poly(styrene-co-methacrylic acid-co2-naphthyl methacrylate)/Fe3O4 composite particles, J.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010, Vol. 343, pp. 484-490.* *
Y. Niushijima, Fluorescence methods in polymer science, J. Polymer Sci., 1970, No.31, pp. 353-37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70806B2 (ja) 2013-03-27
US10048268B2 (en) 2018-08-14
CN103460046B (zh) 2016-08-03
EP2693214A1 (en) 2014-02-05
EP2693214A4 (en) 2014-12-03
EP2693214B1 (en) 2016-08-31
CN103460046A (zh) 2013-12-18
CA2831544C (en) 2021-03-09
JPWO2012133771A1 (ja) 2014-07-28
CA2831544A1 (en) 2012-10-04
ES2592163T3 (es) 2016-11-28
WO2012133771A1 (ja) 2012-10-04
US20140065726A1 (en) 2014-03-06
KR102013464B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464B1 (ko)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 감작 라텍스 입자 및 면역 비탁법용 측정 시약
JP6348239B1 (ja) アナライト濃度測定法、凝集蛍光材料含有粒子及び検査デバイス
JP5430804B1 (ja) 粒子凝集測定用ラテックス粒子
KR100924625B1 (ko) 측정 시약용 담체 입자 라텍스 및 측정 시약
WO2013100146A1 (ja) 粒子凝集測定用ラテックス粒子
JP4853666B2 (ja) 標的物質の検出方法、混合粒子、および標的物質の検出試薬
WO2018062557A1 (ja) 測定試薬用ラテックス粒子、感作ラテックス粒子及び免疫比濁法用測定試薬
JP5566557B1 (ja) 粒子凝集測定用ラテックス粒子
JP2008215816A (ja) 免疫診断用中空ポリマー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免疫診断用試薬
JP2005069891A (ja) 測定試薬用担体粒子及び測定試薬
JP2006329959A (ja) 測定試薬用担体粒子及び測定試薬
JP2006329958A (ja) 測定試薬用担体粒子及び測定試薬
JP2005300355A (ja) 測定試薬用担体粒子及び測定試薬
JP2004325416A (ja) 測定試薬用担体粒子ラテックス及び測定試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