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566A -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566A
KR20140028566A KR1020120095101A KR20120095101A KR20140028566A KR 20140028566 A KR20140028566 A KR 20140028566A KR 1020120095101 A KR1020120095101 A KR 1020120095101A KR 20120095101 A KR20120095101 A KR 20120095101A KR 20140028566 A KR20140028566 A KR 20140028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terephthalate resin
resin composition
formula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338B1 (ko
Inventor
김태영
신종욱
김진환
강수정
안해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338B1/ko
Priority to PCT/KR2013/007778 priority patent/WO2014035161A1/ko
Publication of KR2014002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및 이를 함유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고내열 비할로겐 난연제와 난연조제를 적정비율로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난연상승작용에 의해 난연성이 우수하고, 고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화학식 2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난연제, 및 멜라민계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6

[화학식 2]
Figure pat00017

[화학식 3]
Figure pat00018

상기에서, m은 1 이상의 정수이고,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알킬, 알콕시, 아릴, 아릴록시기 및 에틸기이고, M은 알카리토류금속, 알카리금속, 아연, 알루미늄 또는 철이며, R3와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종류의 수소원자, 아미노기, 아릴기 또는 탄소수 1부터 3까지의 유기 알킬기이다.

Description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Polycyclohexylenedimethyleneterephtalat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non-halogen flame retardant and flame retardant aid}
본 발명은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고내열 비할로겐 난연제와 난연조제를 적정비율로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난연상승작용에 의해 난연성이 우수하고, 고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료로서의 고내열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연속사용온도 270 ℃ 이상의 내열성과 복잡한 형상의 전자 재료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에 적합한 성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수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고내열 고분자 소재는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전자종이용 플렉시블 플라스틱 소재, 우주산업용 소재, 기타 전자/반도체 등의 차세대 첨단산업의 핵심부품소재로서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및 태양전지용 플렉시블 플라스틱 소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유리전이온도 330 ℃ 이상의 높은 내열성과 함께 고투명성, 저흡습성, 저수축 특성을 보유한 고분자 소재가 요구되나 아직까지 개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종래 합성수지는 우수한 화학적, 기계적 특성에 의해 건축재료, 자동차 부품, 포장용 재료, 농업용 자재, 가전제품의 하우징재, 완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합성수지는 가연성 물질이며, 용도에 따라서는 난연화가 불가결하였다. 그리고, 난연화 방법으로서는 할로겐계 난연제, 붉은인이나 폴리인산암모늄 등의 폴리인산계 난연제로 이루어지는 무기 인계 난연제, 트리아릴인산 에스테르 화합물로 대표되는 유기 인계 난연제, 금속 수산화물이나 난연조제인 산화안티몬, 멜라민 화합물을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8-176343호에는, 수지에 대하여, 폴리인산암모늄, 다가 수산기 함유화합물, 트리아진 고리(triazine ring) 함유 화합물 및 금속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난연성 합성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3936416호 및 미국특허 4010137호에는, 수지에 대하여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 및 (펜타∼트리펜타)에리스리톨을 함유하는 난연성 합성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11-152402호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멜라민피로포스페이트 및 방향족 포스페이트·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난연성 합성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4278591호 및 미국특허5618865호에는, PBT 등의 폴리머의 난연화에 멜라민피로포스페이트 및 다른 인화합물이 유효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10-183124호에는, 멜라민, 무수인산 및 피페라진(piperazine) 수화물로부터 얻어지는 난연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난연화 효과는 아직 불충분하여, 적은 배합량으로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하는 난연제가 요망되고 있었다.
고분자의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방향족 도입을 통해 열에 매우 안정한 분자구조를 가져야 한다. 하지만, 방향족 고분자 사슬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한 낮은 투명성, 광학적 이방성 및 유기 고분자 자체가 가지는 높은 열팽창 계수 등이 개발에 장애가 되고 있다.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수지는 결정화 속도가 PBT보다는 늦지만 PET보다는 월등히 빠르고 사출 성형이 가능하면서도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높아 잠재적 용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이 PCT는 현존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중 (액정폴리머를 제외할 때) 가장 높은 용융점을 갖는 고분자이며, PA계 고분자 대비 수분 흡수율이 낮고 열에 의한 내변색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는 우수한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으로 인하여 많은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열가소성 수지 자체는 화재에 대하여 저항성이 없으므로 세계 각 국에서는 난연규격을 만족하는 고분자 수지만을 사용하도록 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종래에는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로 할로겐계 난연제와 산화 안티몬을 열가소성 수지에 혼합한 처방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유기 할로겐계 난연제, 할로겐을 함유한 유기인 난연제는 난연 효과가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가공 도중에 할로겐계 화합물이 휘발되어 할로겐화 수소가스를 발생시켜서 금형을 부식시킬 수가 있으며, 연소 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인체 유해성 문제 때문에 비할로겐계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함유한 수지에 대한 수요가 최근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난연제 및 난연조제로는 할로겐계 난연제, 적인 및 폴리인산암모늄 등의 폴리인산계 난연제 등의 무기 인계 난연제, 트리아릴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로 대표되는 유기 인계 난연제, 금속 수산화물 또는 난연 조연제인 산화안티몬, 멜라민 화합물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해 왔다.
이 중 유기 할로겐계 난연제, 할로겐을 함유한 유기인 난연제는 난연 효과가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가공 도중에 할로겐계 화합물이 휘발되어 할로겐화 수소가스를 발생시켜서 금형을 부식시킬 수가 있으며, 연소 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인체 유해성 문제 때문에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함유한 수지에 대한 수요가 최근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한편, 비할로겐계 화합물을 이용한 난연제로서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등의 무기 화합물을 이용한 고분자 수지 난연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일본 특개평 제10-204,276호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수산화알루미늄(ATH)과 하나이상의 질소 화합물 및 적인을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다량의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2007-0064924호에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수지(ABS수지)의 난연화 기술이 명시되어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난연제가 브롬계 유기화합물이므로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일본특허공개 평8-176343호 2. 미국등록특허 3936416호 3. 미국등록특허 4010137호 4. 일본특허공개 평11-152402호 5. 미국등록특허 4278591호 6. 미국등록특허 5618865호 7. 일본특허공개 평10-183124호 8. 일본특허공개 평 10-204276호 9. 한국공개특허 2007-0064924호
본 발명은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비할로겐 인계 난연제, 및 멜라닌계 난연조제를 포함하여 난연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화학식 2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난연제, 및 멜라민계 난연조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에서, m은 1 이상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R1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록시기 이고, M은 알칼리토류금속, 알칼리금속, 아연, 알루미늄, 또는 철이며, R3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수소원자, 아미노기, 아릴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유기 알킬기이다.
상기에서, 난연제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2의 R1 및 R2 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헥실, 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헥실록시기, 및 페녹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멜라민계 난연조제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또는 하기 화학식 5으로 표시되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상기에서 n은 3 이상의 정수이다.
그리고, 상기 멜라민계 난연조제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유리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UL 94 VB 난연 규정에 따른 난연도가 1/8"의 두께에서 V-1 이상인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하며, 연소 시에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할로겐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화학식 2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난연제, 및 멜라민계 난연조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화학식 2]
Figure pat00007
  
[화학식 3]
Figure pat00008
상기에서, m은 1 이상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R1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록시기 이고, M은 알칼리토류금속, 알칼리금속, 아연, 알루미늄, 또는 철이며, R3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수소원자, 아미노기, 아릴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유기 알킬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난연성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구성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결정화 속도가 PBT보다는 늦지만 PET보다는 월등히 빠르고 사출 성형이 가능하면서도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높아 잠재적 용도 가능성이 매우 높고, 액정 폴리머를 제외하고 현존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중에서 가장 높은 용융점을 갖는 고분자이며, PA계 고분자 대비 수분 흡수율이 낮고 열에 의한 내변색성이 매우 우수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 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상기 화학식 2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난연제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포스핀산 금속염으로, 난연제 역할을 하며, 아울러 인장강도 저하 방지를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의 R1 및 R2 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헥실, 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헥실록시기, 및 페녹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의 M은 알칼리토류금속, 알칼리금속, 아연, 알루미늄, 또는 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1급 암모늄 포스페이트(Primaryammoniumphospate), 2급 암모늄포스페이트 (Secondary ammoniumphospate), 암모늄포스파이트(Ammoniumphospite), 아민/아마이드포스페이트 (Amine/Amidephophate), 아민설페이트(Aminesulfate), 멜라민포스페이트 (Melaminephosphate), 디멜라민포스페이트 (Dimelaminephosphate), 멜라민파이로포스페이트 (Melaminepyrophosphate),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 (Melaminepolyphosphate),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Tricrecyl phosphate) 및 트리클로로알킬포스페이트(Trichloro alkylphosphate) 중에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비할로겐 난연제인 유기화합물, 및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등의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난연제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난연제가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난연성 저하의 문제가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멜라민계 난연조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멜라민계 난연조제는 멜라민 유도체들이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또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9
[화학식 5]
Figure pat00010
상기에서 n은 3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에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또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난연제로 사용되는 포스핀 금속염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여, 난연성의 강화 및 인장강도 저하 방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멜라민계 난연조제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난연성 강화 효과가 미약하고, 50 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경우 성형품의 충격강도가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유리섬유(Glass fib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섬유는 단면직경이 10 내지 100 ㎛m이고, 길이가 1 내지 20 mm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6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화학식 2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난연제, 및 멜라민계 난연조제를 컴파운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성형품은 UL 94 VB 난연 규정에 따른 난연도가 1/8"의 두께에서 V-1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하기와 같이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성분들을 준비하였다.
(A)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SK케미칼 사의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상품명 PURATAN®를 사용하였다.
(B) 비할로겐 난연제 Organic phosphinate
Clariant 사의 Organic phosphinate(상품명 Exolit OP 1240)을 사용하였다.
(C) 난연조제
( C1 )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Do boon Inc.사의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상품명 Nonfla MC600)을 사용하였다.
( C2 )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상품명 MPP)을 사용하였다.
(D)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 GF ( Glass fiber ) 복합수지
상기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에 대하여GF(Glass fiber) 1~60중량%를 컴파운딩하였다.
(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제일모직 사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수지 (상품명 VB-5150G)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상기 (A)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B)비할로겐 난연제, 및 (C)난연조제를 하기 표 1의 조성비로,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oC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내지 8
상기 (D)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GF(Glass fiber) 복합수지, (B)비할로겐 난연제, 및 (C)난연조제를 표 2의 조성비로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oC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A)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를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oC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E)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85중량%와 (B)비할로겐 난연제 8중량%, 난연조제 중 (C1)멜라민 시아누레이트 7중량%의 조성으로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20 내지 250oC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D)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GF(Glass fiber) 복합수지 100중량%를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oC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중량%)
실시예
(중량%)
1 2 1 2 3 4
(A) 100  - 85 86 87 84
(B)  - 8 6 7 8 8
(C) C1 - 7 9  7  -  -
C2 - - - - 5 8
(E) - 85 - - - -
UL-94 난연도(1/8") V-2 V-2 V-1 V-0 V-1 V-0
 

비교예
(중량%)
실시예
(중량%)
3 5 6 7 8
(D) 100 85 86 86 88
(B)  - 6 9 7 7
(C) (C1) - 9 5 - -
(C2) - - - 7 5
UL-94 난연도(1/8") No
class
V-1 V-0 V-0 V-1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나타낸 조성을 지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시편들 각각을 UL 94 VB 난연 규정에 따라 1/8"의 두께에서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난연성은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난연성 측정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하며, 연소 시에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할로겐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화학식 2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난연제, 및 멜라민계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1

    [화학식 2]
    Figure pat00012

      
    [화학식 3]
    Figure pat00013

    상기에서, m은 1 이상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R1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록시기 이고, M은 알칼리토류금속, 알칼리금속, 아연, 알루미늄, 또는 철이며, R3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수소원자, 아미노기, 아릴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유기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R1 및 R2 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헥실, 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헥실록시기, 및 페녹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계 난연조제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또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at00014

    [화학식 5]
    Figure pat00015

    상기에서 n은 3 이상의 정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계 난연조제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유리섬유를 더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
  9. 제8항에 있어서, UL 94 VB 난연 규정에 따른 난연도가 1/8"의 두께에서 V-1 이상인 성형품.
KR1020120095101A 2012-08-29 2012-08-29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891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01A KR101891338B1 (ko) 2012-08-29 2012-08-29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PCT/KR2013/007778 WO2014035161A1 (ko) 2012-08-29 2013-08-29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01A KR101891338B1 (ko) 2012-08-29 2012-08-29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566A true KR20140028566A (ko) 2014-03-10
KR101891338B1 KR101891338B1 (ko) 2018-08-23

Family

ID=5018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101A KR101891338B1 (ko) 2012-08-29 2012-08-29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1338B1 (ko)
WO (1) WO20140351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4357B2 (en) 2014-04-17 2017-04-18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with high color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comprising a non-halogen flame retardant and a non-halogen flame retardant ai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8521A (ja) * 1993-12-27 1995-07-25 Polyplastics Co 変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0366360B1 (ko) * 1997-03-21 2003-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성과 가공성이 뛰어난 비할로겐계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8034870B2 (en) * 2003-12-17 2011-10-1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JP5271894B2 (ja) * 2007-03-30 2013-08-21 三井化学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アミド組成物
KR101322145B1 (ko) * 2009-08-04 2013-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할로겐-프리 열가소성 abs 난연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4357B2 (en) 2014-04-17 2017-04-18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with high color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comprising a non-halogen flame retardant and a non-halogen flame retardant a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161A1 (ko) 2014-03-06
KR101891338B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89B1 (ko) 할로겐 무함유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JP6004493B2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コンパウンド
US20120322923A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for thermoplastic molding compounds
KR102604622B1 (ko) 난연성 조성물 및 난연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578604B1 (ko) 내변색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제 및 비할로겐 난연조제를 함유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100118374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2010077333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30132004A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JP2006117722A (ja)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2059493B1 (ko)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891338B1 (ko)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6904173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01279092A (ja) 難燃性強化ポリアミド樹脂系組成物
KR20130130320A (ko) 할로겐―안티몬 프리 친환경 폴리에스테르 난연수지 조성물
KR20130021502A (ko) 재생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난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748243B1 (ko) 유동성과 표면 광택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466508B1 (ko) 비할로겐 난연제를 함유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483264B1 (ko) 비할로겐 난연제 및 핵제를 함유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584909B1 (ko) 비할로겐 난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2005154635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101215315B1 (ko) 할로겐 비함유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2001279090A (ja) 難燃性強化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100624755B1 (ko)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140072371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8474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