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755B1 -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755B1
KR100624755B1 KR1020030081410A KR20030081410A KR100624755B1 KR 100624755 B1 KR100624755 B1 KR 100624755B1 KR 1020030081410 A KR1020030081410 A KR 1020030081410A KR 20030081410 A KR20030081410 A KR 20030081410A KR 100624755 B1 KR100624755 B1 KR 10062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butylene terephthalate
terephthalate resin
flame retardant
weight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539A (ko
Inventor
노형진
김명욱
김도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ublication of KR20040105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22Halogen free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비할로겐 난연제로서 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과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을 적정 비율로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난연 상승작용에 의해 난연성이 우수하고, 가공시 독성가스 발생 및 색상과 물성 저하를 방지하며, 적인계 난연제와 금속화합물의 다량사용을 배제하여 고온에서 수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기타 난연조제의 함유량을 최소화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 물성을 유지하면서 환경 친화적인,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50~98중량%, (B) 제1 난연제로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
[화학식 1]
Figure 112003043372859-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가 1~4인 선형 또는 가지화된 알킬그룹이고, X는 0 또는 1이다)로 표시되는 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 1~20중량%, 및 (C) 제2 난연제로서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 1~3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비할로겐, 난연성, 난연제, 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 징크보레이트

Description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Halogen free flame retardant polybutylene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butyleneterephthalate)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비할로겐 난연제로서 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과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을 적정 비율로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난연 상승작용에 의해 난연성이 우수하고, 가공시 독성가스 발생 및 색상과 물성 저하를 방지하며, 적인계 난연제와 금속화합물의 다량사용을 배제하여 고온에서 수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기타 난연조제의 함유량을 최소화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 물성을 유지하면서 환경 친화적인,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강인하고 강성도 크며, 내열성, 내열노화성(고온에서도 양호한 기계적 성질을 유지)등이 우수한 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 넓은 온도 범위에서 전기특성이 양호하며, 흡수율도 작고, 내후성, 내약품성도 우수하다. 이처럼 우수한 내화학성, 기계적 강도, 및 전기절연성으로 폴리부 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전기, 전자 및 자동차 부품의 하우징, 커넥터 등에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용도에 따라 재료의 난연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할로겐계 난연제와 산화안티몬계 난연상승제, 및 금속산화물 등의 조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가공시 유독한 할로겐화 가스가 발생하고, 발생된 할로겐화 가스에 의해 기기가 부식되며, 작업환경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재 및 소각시 발생하는 할로겐화 다이옥신은 인체에 치명적일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주가 되어 현재 유럽에서는 TCO 규제(The Swedish Confederation of professional employees) 등을 통해 할로겐계 난연제의 사용을 법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할로겐계 난연제 대신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난연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인계화합물을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기술로는 적인계와 기타 난연보조제(미합중국 특허 제6,084,012호, 제6,133,358호,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제1999-040577호)를 이용한 기술과 멜라민계, 인산에스테르계 및 무기금속화합물을 이용한 기술(미합중국 특허 제4,278,591호 및 제6,025,419호) 등이 있다.
그러나, 난연제로서 적인계를 이용하는 경우, 고온에서 가공시 안정성 저하로 독성가스인 포스핀가스가 발생하고, 이 포스핀가스로 인하여 작업환경이 악화되며, 나아가 적인의 고유한 붉은 색상으로 제품의 용도전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리페닐포스페이트 계통의 인산에스테르 및 수산화마그네슘과 같은 금속화합물을 이용할 경우 다량의 첨가로 인하여 물성이 저하되고, 내열성 및 전기적 특성이 감소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비할로겐 난연제로서 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과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을 적정 비율로 사용함으로써, 난연성이 우수하고, 가공시 독성가스 발생 방지 및 색상과 물성 저하를 방지하며, 적인계 난연제와 금속화합물의 사용을 배제하여 고온에서 수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기타 난연조제의 함유량을 최소화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 물성을 유지하면서 환경친화적인,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50~98중량%, (B) 제1 난연제로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
Figure 112003043372859-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가 1~4인 선형 또는 가지화된 알킬그룹이고, X는 0 또는 1이다)로 표시되는 사이클릭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 1~20중량%, 및 (C) 제2 난연제로서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 1~3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 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공중합하거나, 충격보강제로 블렌딩한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제1 난연제인 사이클릭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3~1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제2 난연제인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은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 및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질소계 또는 질소-인계 멜라민 유도체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제2 난연제인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난연조제로서 징크보레이트를 전체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 중량부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성 보강재로서 탈크, 유리섬유, 유리 비드, 유리 플레이크, 탄소섬유, 카본 블랙, 클레이, 실리카, 카올린, 탄산칼슘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러를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50 중량부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성분(A)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단량체로 사용하여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터 교환반응을 통하여 축중합한 중합체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성분(A)의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서, 충격강도를 높이기 위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공중합하거나, 충격보강제를 블렌딩한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비하여 연성이 우수한 구조로 되어 있어 상온에서 점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에 대한 저항이 우수하고, 가공 온도가 낮아서 전기전자 및 자동차 부품 등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사용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내에서 50~98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0~90중량%이 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사용량이 5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전체 조성물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특성이 구현되지 않으며, 사용량이 98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난연제 함량이 줄어들어 전체 조성물이 난연성을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성분(B)의 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은 제1 난연제로서, 제2 난연제인 성분(C)의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과 함께 사용시 보다 효과적인 난연상승 효과를 발휘하여 전체 난연제 함량을 최소화하고, 가공시 가스발생을 줄여 환경오염방지가 용이하다.
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은 상기 전체 수지 조성물에서 1~20중량% 범위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3~15중량% 정도로 사용한다. 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의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효과가 미미하고, 사용량이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난연제의 가소화 효과 및 블루밍 현상으로 인해 제품의 물성저하가 초래되며, 원가 부담으로 인하여 제조가가 상승하게 된다.
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의 대표적인 상용제품으로는 로디아사(Rodia)의 안티블레이즈 1045(상품명)가 있으며, 주로 섬유의 방염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성분(C)의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은 제2 난연제로서 질소계 또는 질소-인계 난연제이다.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은 제1 난연제와 함께 사용시 난연상승화 효과를 보인다.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은 전체 수지조성물의 1~30중량% 범위로 사용하며, 바 람직하게는 3~15중량% 정도로 사용한다.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의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효과 및 상승효과가 미미하며, 사용량이 3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의 내부 수분에 의한 열분해로 물성 및 색상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은 최적의 함량으로 제1 난연제와 함께 우수한 난연상승 효과를 발휘하여 전체적인 난연제 함량을 줄이고, 가공시 열분해로 발생하는 부산물인 유독가스를 최소화하여 가공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그 결과 제조되는 수지 조성물이 최적의 물성을 갖게 한다.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멜라민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질소계 또는 질소-인계 멜라민 유도체 군으로 1이상 선택하여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난연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난연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난연조제로서 징크보레이트는 첨가시 상기 난연제 (A) 및 (B)와 함께 연소시 흡열 및 차(Char)를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추가적인 난연상승효과를 보여준다.
난연조제로서 징크보레이트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징크보레이트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조제로서의 역할이 미미하며, 그 함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체 조성물의 충격강도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상기 조성 성분 이외에 기계적 내열성, 치수 안정성 등을 보강하기 위 해 물성 보강재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물성 보강재로서, 탈크, 유리섬유, 유리 비드, 유리 플레이크, 탄소섬유, 카본 블랙, 클레이, 실리카, 카올린, 탄산칼슘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물성 보강재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 50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물성 보강재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물성보강의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함량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체조성물의 충격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의 급격한 저하를 초래하고, 압출 및 사출가공시 압력이 증가하여 가공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가공조제로서 산화방지제, 윤활제, UV 안정제 등을 더 첨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기존의 조성물에 비해 적은 양의 난연제를 사용하여 보다 환경친화적이고, 난연성 및 색상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기전자 부품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고찰함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예 및 이렇게 제조된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그 범위가 제한 받지 않는다.
<실시예 1-9 및 비교예 1-7>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조성 성분과 함유량으로 원료물질을 혼합하여 240∼250℃의 온도에서 이축용융혼련 압출기로 혼련압출하여 성형용 펠렛을 제조하고, 110℃에서 6시간 열풍건조한 후, 240∼250℃의 온도로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성형하고, 항온항습기(25℃, 상대습도 40%)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조성(중량%) 1 2 3 4 5 6 7 8 9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1) 82 85 90 90 92 80 75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2) 90 89
제1 난연제(3) 3 10 4 5 3 5 5 10 10
제2 난연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4) 15 5 5 5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5) 6 3 10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6) 5 3 15
난연조제(7) (중량부,phr) 2 5 5
탈크(중량부,phr) 10 10
(1) (주)삼양사의 트리비트(TRIBIT) 1700
(2) (주)삼양사의 트리엘(TRIEL) 5400
(3) 로디아 사의 안티블레이즈 1045(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
(4) 부덴힘(BUDENHEIM) 사의 부디트(BUDIT) 315E(멜라민시아누레이트)
(5) 대만 선샤인 커머셜 & 인더스트리얼(SUNSHINE COMMERCIAL & INDUSTRIAL) 사의 MPyrpP
(6) 대만 선샤인 커머셜 & 인더스트리얼(SUNSHINE COMMERCIAL & INDUSTRIAL) 사의 MPolyP
(7) 보락스(BORAX)사의 파이어브레이크 500
비교예
조성(중량%) 1 2 3 4 5 6 7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1) 82 80 85 75 80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2) 80 85
제1 난연제(3) 8
제2 난연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4) 20 10 5 10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5)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6)
적인(8) 5 5 5
인산에스테르(RDP)(9) 5 10 10 15
수산화마그네슘 5 5 5
난연조제(7) (중량부,phr) 5
탈크(중량부,phr) 10 10
(1) (주)삼양사의 트리비트(TRIBIT) 1700
(2) (주)삼양사의 트리엘(TRIEL) 5400
(3) 로디아 사의 안티블레이즈 1045(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
(4) 부덴힘(BUDENHEIM) 사의 부디트(BUDIT) 315E(멜라민시아누레이트)
(5) 대만 선샤인 커머셜 & 인더스트리얼(SUNSHINE COMMERCIAL & INDUSTRIAL) 사의 MPyrpP
(6) 대만 선샤인 커머셜 & 인더스트리얼(SUNSHINE COMMERCIAL & INDUSTRIAL) 사의 MPolyP
(7) 보락스(BORAX)사의 파이어브레이크 500
(8) 니폰 화학(NIPPON CHEM.)의 히시구아드(HISHIGUARD) TP-10
(9) 대팔화학사의 레소시놀디페닐포스페이트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에 의해 제조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시 인장 및 충격강도는 ASTM D-256, 열변형온도는 ASTM D-648, 난연성은 UL-94, 산소지수는 ASTM D 2863-87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물성 1 2 3 4 5 6 7 8 9
인장강도 (Kgf/㎠) 582 536 560 552 545 47 47 726 728
충격강도 (1/8", kgf㎝/㎝) 5 5 5 5 4 N.B.* N.B.* 3 3
열변형온도 (18.6Kgf/㎠) 73 68 70 72 73 -** -** 84 86
난연성 (UL 94, 1/16") V-0 V-0 V-0 V-0 V-0 V-0 V-0 V-0 V-0
산소지수 (LOI, %) 31 32 32 31 31 31 31 31 31
외관(색상) 천연 아이보리 천연 아이보리 천연 아이보리 천연 아이보리 천연 아이보리 천연 아이보리 천연 아이보리 천연 아이보리 천연 아이보리
* : 비파괴 (None Break)
** : 측정불가
- 실시예 6 및 7에서 사용한 변성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상온에서 연성과 점탄성이 일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여 열변형온도를 측정 할 수 없었음.
비교예
물성 1 2 3 4 5 6 7
인장강도 (Kgf/㎠) 550 562 565 46 45 720 733
충격강도 (1/8", kgf㎝/㎝) 5 5 5 N.B.* N.B.* 3 3
열변형온도 (18.6Kgf/㎠) 64 69 65 -** -** 76 78
난연성 (UL 94, 1/16") V-2 V-2 V-2 V-2 V-2 V-2 V-2
산소지수 (LOI, % ) 27 27 28 28 29 28 28
외관(색상) 천연 아이보리 천연 아이보리 붉은 주홍색 천연 아이보리 붉은 주홍색 천연 아이보리 붉은 주홍색
* : 비파괴 (None Break)
** : 측정불가
- 비교예 4 및 5에서 사용한 변성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상온에서 연성과 점탄성이 일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여 열변형온도를 측정 할 수 없었음.
상기 표 3 및 표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는 비교예 1 내지 7 에 비해 난연성과 색상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비할로겐 난연제로서 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과 멜라민 유도 체 화합물을 적정량 사용하고, 선택적으로 난연조제인 징크보레이트와 물성 보강재를 적정량 더 추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난연 특성 및 물성을 가지며, 종래의 난연제와 비교하여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환경오염 예방 차원에서 그 효과가 탁월하며, 적인계 난연제 사용의 단점인 고온 불안정성 및 색상 문제를 해결하여 다양한 용도 전개가 요구되는 전기, 전자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50~98중량%,
    (B) 제1 난연제로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
    [화학식 1]
    Figure 112006032684474-pat00003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가 1~4인 선형 또는 가지화된 알킬그룹이고, X는 0 또는 1이다)로 표시되는 사이클릭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 1~20중량%, 및
    (C) 제2 난연제로서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 1~30중량%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폴리테트라 메틸렌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공중합하거나, 충격보강제로 블렌딩한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난연제인 사이클릭알킬포스포닉에시드 화합물이 3~1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제2 난연제인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은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 및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질소계 또는 질소-인계 멜라민 유도체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2 난연제인 멜라민 유도체 화합물이 5~1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난연조제로서 징크보레이트를 전체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 중량부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성 보강재로서 탈크, 유리섬유, 유리 비드, 유리 플레이크, 탄소섬유, 카본 블랙, 클레이, 실리카, 카올린, 탄산칼슘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러를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50 중량부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20030081410A 2003-06-05 2003-11-18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624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6280 2003-06-05
KR1020030036280 2003-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539A KR20040105539A (ko) 2004-12-16
KR100624755B1 true KR100624755B1 (ko) 2006-09-19

Family

ID=3738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410A KR100624755B1 (ko) 2003-06-05 2003-11-18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7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262A (ko) * 1997-06-13 2000-11-06 가스가 다쿠조우 난연성열가소성폴리에스테르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262A (ko) * 1997-06-13 2000-11-06 가스가 다쿠조우 난연성열가소성폴리에스테르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539A (ko)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734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5166866B2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EP0791634B1 (en) Fire 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TW201625651A (zh) 阻燃劑組合物及阻燃性合成樹脂組合物
KR101849822B1 (ko) 와이어 및 케이블용 할로겐-없는 난연성 tpu 조성물
CN110691819A (zh) 热塑性聚酯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WO2021153414A1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07045952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被覆電線
KR101207183B1 (ko)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EP3808821A1 (en) Polyphosphate amine salt composition, flame retardant polyphosphate amine salt composition, flame 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olded body thereof
EP3943554A1 (en) Phosphate amine salt composition, phosphate amine salt flame retardant composition, flame 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olded article of flame 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KR20130132004A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090066599A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366360B1 (ko) 내열성과 가공성이 뛰어난 비할로겐계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24755B1 (ko)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584909B1 (ko) 비할로겐 난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865612B1 (ko)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비할로겐 난연성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얼로이수지 조성물
JP2005306975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6057037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KR20110072828A (ko)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2007126538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2021014478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101891338B1 (ko)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975738B1 (ko) 비할로겐계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529142B1 (ko)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 함유 비할로겐 난연성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