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493B1 -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493B1
KR102059493B1 KR1020130102575A KR20130102575A KR102059493B1 KR 102059493 B1 KR102059493 B1 KR 102059493B1 KR 1020130102575 A KR1020130102575 A KR 1020130102575A KR 20130102575 A KR20130102575 A KR 20130102575A KR 102059493 B1 KR102059493 B1 KR 102059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terephthalate resin
formula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4063A (ko
Inventor
김태영
신종욱
김진환
강수정
안해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3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난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난연제의 함량은 8 내지 13중량%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78676181-pat00007

[화학식 2]
  
Figure 112013078676181-pat00008

상기에서, m은 1 이상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R1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록시기 이고, M은 알칼리토류금속, 알칼리금속, 아연, 알루미늄, 또는 철이다.

Description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Non-halogen flame-retarding polycyclohexylenedimethyleneterephtalat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난연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료들의 고내열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연속사용온도 270℃ 이상의 내열성과 복잡한 형상의 전자 재료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에 적합한 성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수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고내열 고분자 소재는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전자종이용 플렉시블 플라스틱 소재, 우주산업용 소재, 기타 전자/반도체 등의 차세대 첨단산업의 핵심부품소재로서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및 태양전지용 플렉시블 플라스틱 소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유리전이온도 330℃ 이상의 높은 내열성과 함께 고투명성, 저흡습성, 저수축 특성을 보유한 고분자 소재가 요구되나 아직까지 개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고분자의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방향족 도입을 통해 열에 매우 안정한 분자구조를 가져야 한다. 하지만, 방향족 고분자 사슬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한 낮은 투명성, 광학적 이방성 및 유기 고분자 자체가 가지는 높은 열팽창 계수 등이 개발에 장애가 되고 있다.
최근 내열성은 만족하나 성형성이 나쁜 PEEK(Poly(Ether Ether Ketone))을 대체할 새로운 수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 고분자로는 i)PA 계통의 PA46(Stanyl®, DSM), PPA(Polyphthalamide 혹은 PA6T 혹은 Nylon6T; 대표적 상품으로는 Zytel HTN, Amodel 및 Grivory)와 PA9T(혹은 Nylon9T; Genestar®, ii)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액정고분자(Liquid crystalline polymer; 이하 LCP; 대표적 상품으로는 Xydar 및 Sumikasuper), 및 iii)지방족 고리 화합물 단량체로부터 출발한 폴리에스테르계 PCT(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대표적 상품으로 DuPont의 Thermx)가 있다.
이 중 PCT는 결정화 속도가 PBT보다는 늦지만 PET보다는 월등히 빠르고 사출 성형이 가능하면서도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높아 잠재적 용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이 PCT는 액정 폴리머를 제외하고 현존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중에서 가장 높은 용융점을 갖는 고분자이며, PA계 고분자 대비 수분 흡수율이 낮고 열에 의한 내변색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는 우수한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으로 인하여 많은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 자체는 화재에 대하여 저항성이 없으므로 세계 각 국에서는 난연규격을 만족하는 고분자 수지만을 사용하도록 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종래에는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로 할로겐계 난연제와 산화 안티몬을 열가소성 수지에 혼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할로겐계 난연제는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가 인체 및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비할로겐계 화합물을 이용한 난연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비할로겐계 화합물을 이용한 난연제로서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등의 무기 화합물을 이용한 고분자 수지 난연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일본 특개평10-204276호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수산화알루미늄(ATH)과 하나이상의 질소 화합물 및 적인을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량의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7-0064924호에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수지(ABS수지)의 난연화 기술이 명시되어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난연제가 브롬계 유기화합물이므로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일본 특개평 10-204276호 2. 한국공개특허 2007-0064924호
본 발명은 액정폴리머를 제외한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중에서 가장 높은 용융점을 갖는 고분자이며 PA계 고분자 대비 수분 흡수율이 낮고 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매우 우수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비할로겐 난연제로서 친환경적이며 사용시 기존 무기화합물에 비해 뛰어난 난연성능을 갖는 인계 난연제를 함유한 난연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난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난연제의 함량은 8 내지 13중량% 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78676181-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3078676181-pat00002
상기에서, m은 1 이상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R1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록시기 이고, M은 알칼리토류금속, 알칼리금속, 아연, 알루미늄, 또는 철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2의 R1 및 R2 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헥실, 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헥실록시기, 및 페녹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유리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UL 94 VB 난연 규정에 따른 난연도가 1/8"의 두께에서 V-1 이상인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하며, 연소 시에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할로겐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난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난연제의 함량은 8 내지 13중량% 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78676181-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13078676181-pat00004
상기에서, m은 1 이상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R1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록시기 이고, M은 알칼리토류금속, 알칼리금속, 아연, 알루미늄, 또는 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구성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결정화 속도가 PBT보다는 늦지만 PET보다는 월등히 빠르고 사출 성형이 가능하면서도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높아 잠재적 용도 가능성이 매우 높고, 액정 폴리머를 제외하고 현존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중에서 가장 높은 용융점을 갖는 고분자이며, PA계 고분자 대비 수분 흡수율이 낮고 열에 의한 내변색성이 매우 우수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난연제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포스핀산 금속염으로, 난연제 역할을 하며, 아울러 인장강도 저하 방지를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의 R1 및 R2 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헥실, 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헥실록시기, 및 페녹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M은 알칼리토류금속, 알칼리금속, 아연, 알루미늄, 및 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1급 암모늄 포스페이트(Primaryammoniumphospate), 2급 암모늄포스페이트 (Secondary ammoniumphospate), 암모늄포스파이트(Ammoniumphospite), 아민/아마이드포스페이트 (Amine/Amidephophate), 아민설페이트(Aminesulfate), 멜라민포스페이트 (Melaminephosphate), 디멜라민포스페이트 (Dimelaminephosphate), 멜라민파이로포스페이트 (Melaminepyrophosphate),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 (Melaminepolyphosphate),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Tricrecyl phosphate), 및 트리클로로알킬포스페이트(Trichloro alkylphosphate) 중에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비할로겐 난연제인 유기화합물, 및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등의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난연제는 전체 수지 조성물 중 8 내지 13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난연제가 8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난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3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인장강도(tensile strength)가 20MPa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자동차부품소재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의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유리섬유(Glass fib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섬유 단면의 직경은 10-100㎛m일 수 있고, 길이는 1-20mm 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난연제를 컴파운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성형품은 UL 94 VB 난연 규정에 따른 난연도가 1/8"의 두께에서 V-1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하기와 같이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성분들을 준비하였다.
(A)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SK케미칼 사의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상품명:Puratan®를 사용하였다.
(B) 비할로겐 난연제 Organic phosphinate
Clariant 사의 Organic phosphinate(상품명 Exolit OP 1240)을 사용하였다.
(C)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 GF ( Glass fiber ) 복합수지
상기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에 대하여GF(Glass fiber) 1~60중량%를 컴파운딩하였다.
(D)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제일모직 사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수지 (상품명 VB-5150G)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상기 (A)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90중량%와 (B)비할로겐 난연제 10중량%를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상기 (A)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B)비할로겐 난연제를 표1에 나타난 조성비로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C)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GF(Glass fiber) 복합수지 90중량%와 (B)비할로겐 난연제 10중량%를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내지 8
상기 (C)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GF(Glass fiber) 복합수지와 (B)비할로겐 난연제를 표2에 나타난 조성비로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A)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를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D)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90중량%와 (B)비할로겐 난연제 10중량% 조성으로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20 내지 250℃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A)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95중량%와 (B)비할로겐 난연제 5중량%를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A)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93중량%와 (B)비할로겐 난연제 7중량%를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A)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6중량%와 (B)비할로겐 난연제 14중량%를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C)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GF(Glass fiber) 복합수지 100중량%를 Thermo Electron Corporation의 HAAKE PolyDrive R600을 이용하여 28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컴파운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중량%) 실시예(중량%)
1 2 3 4 5 1 2 3 4
(A) 100 - 95 93 86 90 92 89 87
(B) - 10 5 7 14 10 8 11 13
(D) - 90 - - - - - - -
UL-94 난연도(1/8") V-2 V-2 V-2 V-2 V-0 V-0 V-0 V-0 V-0
Tensile Strength(MPa)
40 32 28 26 18 23 25 21 20
비교예(중량%) 실시예
(중량%)
6 5 6 7 8
(C) 100 90 89 88 87
(B)   10 11 12 13
UL-94 난연도(1/8") No
class
V-1 V-1 V-1 V-0
Tensile Strength (MPa) 122 81 73 63 52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나타낸 조성을 지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시편들 각각을 UL 94 VB 난연 규정에 따라 1/8"의 두께에서 난연도를 측정하였고, 각각 시편들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난연성, 및 인장강도는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난연성 및 인장강도 측정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난연제 함량이 8중량% 미만인 비교예 3 및 4의 경우 난연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고, 난연제 함량이 13중량% 초과인 비교예 5의 경우는 인장강도가 저하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하며, 연소 시에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할로겐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난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난연제의 함량은 8 내지 13중량%인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80412076-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19080412076-pat00006

    상기에서, m은 1 이상의 정수이고, n은 3의 정수이며, R1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알킬기이고, M은 알루미늄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R1 및 R2 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및 부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유리섬유를 더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60중량부로 포함되는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
  6. 제5항에 있어서, UL 94 VB 난연 규정에 따른 난연도가 1/8"의 두께에서 V-1 이상인 성형품.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KR1020130102575A 2012-08-29 2013-08-28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2059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5100 2012-08-29
KR1020120095100 2012-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063A KR20140034063A (ko) 2014-03-19
KR102059493B1 true KR102059493B1 (ko) 2019-12-26

Family

ID=5018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575A KR102059493B1 (ko) 2012-08-29 2013-08-28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9493B1 (ko)
WO (1) WO2014035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604B1 (ko) 2014-04-17 2015-12-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내변색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제 및 비할로겐 난연조제를 함유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CN109880317B (zh) * 2019-03-11 2021-01-12 东莞市东翔塑胶有限公司 一种玻纤增强无卤阻燃pct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6397B2 (ja) * 1990-12-28 1998-06-18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溶融熱安定性の高い成形用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その成形品
JPH07188521A (ja) * 1993-12-27 1995-07-25 Polyplastics Co 変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0366360B1 (ko) * 1997-03-21 2003-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성과 가공성이 뛰어난 비할로겐계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8034870B2 (en) * 2003-12-17 2011-10-1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KR101116480B1 (ko) * 2007-03-30 2012-03-0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162A1 (ko) 2014-03-06
KR20140034063A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89B1 (ko) 할로겐 무함유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JP5492082B2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JP6129464B1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EP2870196B1 (en)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
TW201923050A (zh) 難燃劑組合物及包含該難燃劑組合物之難燃性熱塑性樹脂組合物
KR101578604B1 (ko) 내변색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제 및 비할로겐 난연조제를 함유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2016176060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品
KR101632571B1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12070598A1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CN110177839B (zh) 聚酰胺树脂组合物及将其成型而成的成型体
KR102059493B1 (ko)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2006117722A (ja)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5717378B2 (ja) 難燃性強化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6904173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5372453B2 (ja) 環境配慮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KR101748243B1 (ko) 유동성과 표면 광택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891338B1 (ko)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2021014478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15224313A (ja) 繊維強化樹脂材料、樹脂成形品および繊維強化樹脂材料の製造方法
KR101483264B1 (ko) 비할로겐 난연제 및 핵제를 함유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466508B1 (ko) 비할로겐 난연제를 함유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120078474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2013056969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KR20120056477A (ko)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