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290A - 건설 기계용 아암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용 아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290A
KR20140027290A KR1020137030711A KR20137030711A KR20140027290A KR 20140027290 A KR20140027290 A KR 20140027290A KR 1020137030711 A KR1020137030711 A KR 1020137030711A KR 20137030711 A KR20137030711 A KR 20137030711A KR 20140027290 A KR20140027290 A KR 20140027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hick
welding
side plates
jo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1273B1 (ko
Inventor
마코토 스가야
다케시 다카하시
다카유키 시모다이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12820A external-priority patent/JP55629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12821A external-priority patent/JP55117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1282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95974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4Booms only for booms with cable suspension arrangements; Cable susp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유압 셔블(1)의 아암(11)을, 좌, 우의 측판(12, 13)과, 각 측판(12, 13)의 상단측에 접합되는 상판(14)과, 각 측판(12, 13)의 하단측에 접합되는 하판(15)과, 각 측판(12, 13)과 상판(14)의 후단측에 접합되는 두꺼운 후판(16)에 의해서 둘러싸인 상자형 구조체로서 형성한다. 좌측판(12)은,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2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하고, 우측판(13)은,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앞쪽 얇은 측판(13B)의 2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하며, 상판(14)은,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앞쪽 얇은 상판(14B)의 2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하고, 하판(15)은,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앞쪽 얇은 하판(15B)의 2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용 아암{ARM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shovel) 등의 건설 기계에 탑재된 작업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건설 기계용 아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당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를 구성하는 선회 프레임의 전측(前側)에는, 토사 등의 굴삭 작업을 행하는 작업 장치가 부앙(俯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의 작업 장치는, 통상, 기단(基端)측이 선회 프레임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붐과, 당해 붐의 선단(先端)측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과, 당해 아암의 선단측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버킷 등의 작업구(具)와, 이들 붐, 아암, 버킷을 구동하는 붐 실린더, 아암 실린더, 버킷 실린더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작업 장치를 구성하는 아암은, 통상, 전체 길이가 몇 미터나 달하는 긴 용접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아암은 좌, 우의 측판과, 이들 좌, 우의 측판의 상단(上端)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상판(上板)과, 좌, 우의 측판의 하단(下端)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하판(下板)과, 좌, 우의 측판과 상판의 후단(後端)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후판(後板)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아암은, 횡단면이 사각형인 폐쇄 단면 구조를 이루는 상자형 구조체로 되어 있다.
아암의 후부(後部) 하측에는, 붐의 선단측에 연결 핀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붐 연결 보스(boss)가 설치되고, 아암의 후단측에는, 아암 실린더가 연결 핀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아암 실린더 브래킷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아암의 후부 상측에는, 버킷 실린더가 연결 핀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버킷 실린더 브래킷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암의 전단(前端)에는, 버킷이 연결 핀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버킷 연결 보스가 설치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3-261956호 공보
그런데, 아암의 후측(後側)에는 붐 연결 보스, 아암 실린더 브래킷, 버킷 실린더 브래킷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암에 요구되는 강도는, 후측에서는 크고, 전측에서는 작아져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아암은, 통상, 상판과 하판이, 균등한 판 두께를 가지는 강판재 등의 1장의 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아암의 전측에서는, 요구되는 강도에 대해 상판과 하판의 판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운 경향이 있어, 아암 전체의 중량이 필요 이상으로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전체의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용 아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 우의 측판과, 당해 좌, 우의 측판의 상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상판과, 상기 좌, 우의 측판의 하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하판과, 상기 좌, 우의 측판의 후단측과 상기 상판의 후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후판에 의해 횡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상자형 구조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좌, 우의 측판의 후부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좌, 우의 측판과 상기 하판의 후단과 상기 후판의 전단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붐 연결 보스를 설치하며, 상기 좌, 우의 측판, 상판 및 하판의 전단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버킷 연결 보스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의 외면(外面)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좌, 우 한 쌍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상판을,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상판과, 당해 뒤쪽 두꺼운 상판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상판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버킷 실린더 브래킷은,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의 외면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아암을 구성하는 상판 중 큰 강도를 필요로 하는 후측을, 판 두께가 큰 뒤쪽 두꺼운 상판에 의해서 구성하고, 후측에 비해 큰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측을, 판 두께가 작은 앞쪽 얇은 상판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암의 후측에서는 뒤쪽 두꺼운 상판에 의해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아암의 전측에서는 앞쪽 얇은 상판에 의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결과, 균일한 판 두께를 가지는 1장의 판재를 이용하여 상판을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아암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특징은, 하판을,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하판과, 당해 뒤쪽 두꺼운 하판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하판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붐 연결 보스는,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의 후단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아암을 구성하는 하판 중 큰 강도를 필요로 하는 후측을, 판 두께가 큰 뒤쪽 두꺼운 하판에 의해서 구성하고, 후측에 비해 큰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측을, 판 두께가 작은 앞쪽 얇은 하판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암의 후측에서는 뒤쪽 두꺼운 하판에 의해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아암의 전측에서는 앞쪽 얇은 하판에 의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특징은, 상판을,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상판과, 당해 뒤쪽 두꺼운 상판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상판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하판은,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하판과, 당해 뒤쪽 두꺼운 하판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하판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며, 버킷 실린더 브래킷은,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의 외면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붐 연결 보스는,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의 후단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아암을 구성하는 상판 및 하판 중 큰 강도를 필요로 하는 후측을, 판 두께가 큰 뒤쪽 두꺼운 상판과 뒤쪽 두꺼운 하판에 의해서 구성하고, 후측에 비해 큰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측을, 판 두께가 작은 앞쪽 얇은 상판과 앞쪽 얇은 하판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아암의 후측에서는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아암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상판은,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상판과, 당해 뒤쪽 두꺼운 상판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상판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하판은,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하판과, 당해 뒤쪽 두꺼운 하판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하판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며, 상기 좌, 우의 측판은,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측판과, 당해 뒤쪽 두꺼운 측판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측판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버킷 실린더 브래킷은,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의 외면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붐 연결 보스는,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의 후단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뒤쪽 두꺼운 측판과 상기 앞쪽 얇은 측판의 접합부는, 그 상단을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에 접합하고, 하단을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아암을 구성하는 좌, 우의 측판, 상판 및 하판에 대해, 후측에서는 후육(厚肉)으로 구성하고, 전측에서는 박육(薄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아암의 후부측에서는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아암 전체의 경량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뒤쪽 두꺼운 측판과 앞쪽 얇은 측판의 접합부의 상단을 뒤쪽 두꺼운 상판에 접합하고, 뒤쪽 두꺼운 측판과 앞쪽 얇은 측판의 접합부의 하단을 뒤쪽 두꺼운 하판에 접합함으로써, 뒤쪽 두꺼운 측판과 앞쪽 얇은 측판의 접합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아암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5)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의 내면측과 상기 붐 연결 보스의 사이에는, 보강용의 내부 격벽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좌, 우의 측판과, 하판의 후단과, 후판의 전단에 접합된 붐 연결 보스와, 뒤쪽 두꺼운 상판의 사이를 내부 격벽에 의해서 서로 연결함으로써, 붐 연결 보스, 버킷 실린더 브래킷이 설치된 아암의 후측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6)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후판을,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 및 상기 뒤쪽 두꺼운 측판과 동등 이상의 판 두께를 가지는 판재를 이용한 두꺼운 후판으로서 형성하고, 당해 두꺼운 후판은, 상기 좌, 우의 뒤쪽 두꺼운 측판의 후단과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의 후단에 접합함과 함께, 상기 두꺼운 후판의 전단을 상기 붐 연결 보스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뒤쪽 두꺼운 상판과 좌, 우의 뒤쪽 두꺼운 측판과 동등 이상의 판 두께를 가지는 두꺼운 후판의 전단을 붐 연결 보스에 접합함으로써, 아암의 후부측의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7)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뒤쪽 두꺼운 측판의 전단과 상기 앞쪽 얇은 측판의 후단에는, 루트면(root face) 없이 컷아웃(cut out)함으로써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선(開先)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뒤쪽 두꺼운 측판의 개선과 상기 앞쪽 얇은 측판의 개선을 맞댐으로써, 루트면이 없고 또한 갭이 없는 V형 개선을 형성하며, 당해 V형 개선의 위치에서 상기 뒤쪽 두꺼운 측판과 상기 앞쪽 얇은 측판의 사이에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뒤쪽 두꺼운 측판의 전단과 앞쪽 얇은 측판의 후단을 맞댄 V형 개선의 위치에서 맞대기 용접을 행함으로써, 뒤쪽 두꺼운 측판과 앞쪽 얇은 측판이 판 두께의 전역에 걸쳐 용해된 완전 용접을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뒤쪽 두꺼운 측판과 앞쪽 얇은 측판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아암 전체의 강도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뒤쪽 두꺼운 측판과 앞쪽 얇은 측판의 맞댐 부분에 루트면이 없고, 또한 갭이 없는 V형 개선을 형성함으로써, 당해 V형 개선의 이면측에 백킹(backing)재를 배치하지 않고, 뒤쪽 두꺼운 측판과 앞쪽 얇은 측판의 맞댐 부분에 대해 완전 용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뒤쪽 두꺼운 측판과 앞쪽 얇은 측판의 사이에 맞대기 용접을 행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8)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버킷 연결 보스에는, 원통 형상 보스부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여 좌, 우의 측판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좌, 우의 측판의 전단에는, 루트면 없이 컷아웃함으로써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선을 각각 설치하며, 상기 버킷 연결 보스의 좌, 우의 플랜지부의 후단에는, 루트면 없이 컷아웃함으로써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선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좌, 우의 측판의 개선과 상기 좌, 우의 플랜지부의 개선을 맞댐으로써, 루트면이 없고 또한 갭이 없는 V형 개선을 형성하며, 당해 V형 개선의 위치에서 상기 좌, 우의 측판과 상기 좌, 우의 플랜지부의 사이에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9)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의 전단과 상기 앞쪽 얇은 상판의 후단에는, 루트면 없이 컷아웃함으로써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선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의 개선과 상기 앞쪽 얇은 상판의 개선을 맞댐으로써, 루트면이 없고 또한 갭이 없는 V형 개선을 형성하며, 당해 V형 개선의 위치에서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과 상기 앞쪽 얇은 상판의 사이에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10)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의 전단과 상기 앞쪽 얇은 하판의 후단에는, 루트면 없이 컷아웃함으로써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선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의 개선과 상기 앞쪽 얇은 하판의 개선을 맞댐으로써, 루트면이 없고, 또한 갭이 없는 V형 개선을 형성하며, 당해 V형 개선의 위치에서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과 상기 앞쪽 얇은 하판의 사이에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11) 본 발명에 의하면, V형 개선의 개선 각도는, 43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로 설정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아크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2부재를 맞대기 용접하는 경우에, 맞대어진 한 쪽의 부재의 개선과 다른 쪽의 부재의 개선에 대해, 충분히 아크의 열을 공급할 수 있어, 2부재를 판 두께의 전역에 걸쳐 용해시킬 수 있다. 또, 2부재의 맞댐 부분의 V형 개선의 개선 각도를 90도 이하로 함으로써, 이 V형 개선 내를 과부족 없이 용융 금속으로 채울 수 있어, 2부재 사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12)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판의 후부측의 외면에는, 상기 좌, 우 한 쌍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과 상기 상판의 용접부를 둘러싸도록 평판 형상의 보조 용접 부재를 설치하고, 당해 보조 용접 부재의 주위에 필렛 용접(fillet-welding)을 실시함으로써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조 용접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판 중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이 접합된 부위의 판 두께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에 작용하는 부하에 의해서 상판이나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이 크게 변형하는 것을 억제하여, 아암 전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조 용접 부재의 주위에 필렛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과 상판의 용접부를, 보조 용접 부재와 상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에 의해서 보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과 상판의 용접부에 생기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상판이나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이들 상판이나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아암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13)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붐 연결 보스와, 상기 상판의 내면측이고 상기 버킷 실린더 브래킷에 설치된 연결 핀의 위치보다 전측의 위치의 사이에, 보강용의 내부 격벽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 용접 부재의 후단은, 상기 내부 격벽의 상단 위치보다 후측까지 연장시키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에 따라, 상판이 하중을 받아서 내면측에 가라앉도록 변형하는 것을 내부 격벽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다.
(14)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판의 외면에 있어서 상기 버킷 실린더 브래킷과 상기 보조 용접 부재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은, 상기 버킷 실린더 브래킷의 용접 비드와, 상기 보조 용접 부재의 용접 비드에 의해 매립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에 따라, 버킷 실린더 브래킷과 상판의 사이에 형성된 용접 비드와, 보조 용접 부재와 상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상판에 대한 버킷 실린더 브래킷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15)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보조 용접 부재는, 평면에서 보아 M자형으로 형성하고, 당해 M자형 보조 용접 부재의 전부(前部)측에는, 후방을 향해 오목 형상으로 컷아웃한 컷아웃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조 용접 부재의 주위에 필렛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용접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상판에 대한 보조 용접 부재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이 보조 용접 부재에 의해서 보강되는 상판과 버킷 실린더 브래킷의 용접부의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아암을 구비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아암을 단체(單體)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아암을 도 2 중의 화살표 Ⅲ-Ⅲ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아암을 도 3 중의 화살표 Ⅳ-Ⅳ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 중의 뒤쪽 두꺼운 상판, 앞쪽 얇은 상판, 뒤쪽 두꺼운 하판, 앞쪽 얇은 하판, 두꺼운 후판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좌, 우의 측판, 뒤쪽 두꺼운 상판, 뒤쪽 두꺼운 하판을 도 5 중의 화살표 Ⅵ-Ⅵ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우측판을 떼어낸 상태에서 아암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아암을 구성하는 측판, 상판, 하판, 후판, 붐 연결 보스, 아암 실린더 브래킷, 버킷 실린더 브래킷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뒤쪽 두꺼운 측판과 앞쪽 얇은 측판의 접합부를 도 5 중의 화살표 Ⅸ-Ⅸ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뒤쪽 두꺼운 측판의 개선과 앞쪽 얇은 측판의 개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뒤쪽 두꺼운 측판의 개선과 앞쪽 얇은 측판의 개선에 의해서 형성된 V형 개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V형 개선의 위치에서 뒤쪽 두꺼운 측판과 앞쪽 얇은 측판을 맞대기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앞쪽 얇은 측판과 버킷 연결 보스의 접합부를 도 2 중의 화살표 ⅩⅢ-ⅩⅢ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앞쪽 얇은 측판의 개선과 버킷 연결 보스의 플랜지부의 개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앞쪽 얇은 측판의 개선과 버킷 연결 보스의 플랜지부의 개선에 의해서 형성된 V형 개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V형 개선의 위치에서 앞쪽 얇은 측판과 버킷 연결 보스의 플랜지부를 맞대기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뒤쪽 두꺼운 상판과 앞쪽 얇은 상판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뒤쪽 두꺼운 상판의 개선과 앞쪽 얇은 상판의 개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뒤쪽 두꺼운 상판의 개선과 앞쪽 얇은 상판의 개선에 의해서 형성된 V형 개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V형 개선의 위치에서 뒤쪽 두꺼운 상판과 앞쪽 얇은 상판을 맞대기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뒤쪽 두꺼운 하판과 앞쪽 얇은 하판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뒤쪽 두꺼운 하판의 개선과 앞쪽 얇은 하판의 개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뒤쪽 두꺼운 하판의 개선과 앞쪽 얇은 하판의 개선에 의해서 형성된 V형 개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V형 개선의 위치에서 뒤쪽 두꺼운 하판과 앞쪽 얇은 하판을 맞대기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3 중의 상판, 버킷 실린더 브래킷, 보조 용접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26은 상판, 버킷 실린더 브래킷, 보조 용접 부재의 용접부를 도 25 중의 화살표 ⅩⅩⅥ-ⅩⅩⅥ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7은 상판과 버킷 실린더 브래킷의 용접부의 근방에 보조 용접 부재를 배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상판과 버킷 실린더 브래킷의 사이의 용접 비드와 보조 용접 부재의 사이를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보조 용접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5와 동일한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된 건설 기계용 아암의 실시형태를, 유압 셔블의 아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1은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고 있다.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크롤러(crawler)식의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3)의 베이스가 되는 선회 프레임(3A)의 전부측에는, 작업 장치(4)가 부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업 장치(4)는, 기단부가 선회 프레임(3A)의 전측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핀 결합된 붐(5)과, 기단부가 붐(5)의 선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핀 결합된 후술의 아암(11)과, 당해 아암(11)의 선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핀 결합된 버킷(6)과, 아암(11)의 선단측과 버킷(6)의 사이에 설치된 버킷 링크(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작업 장치(4)는, 붐(5)을 선회 프레임(3A)에 대해 부앙 이동시키는 붐 실린더(8)와, 아암(11)을 붐(5)에 대해 회전 운동시키는 아암 실린더(9)와, 버킷(6)을 아암(11)에 대해 회전 운동시키는 버킷 실린더(1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버킷 링크(7)는, 일단(一端) 측이 아암(11)의 선단측에 연결된 후측 링크(7A)와, 일단측이 후측 링크(7A)의 타단(他端) 측에 연결되고 타단 측이 버킷(6)에 연결된 전측 링크(7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버킷 실린더(10)의 보텀 측은, 후술하는 아암(11)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에 연결 핀(10A)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버킷 실린더(10)의 로드(rod) 측은, 버킷 링크(7)의 후측 링크(7A)와 전측 링크(7B)의 연결 부분에 연결 핀(10B)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아암에 대해,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1은 붐(5)의 선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을 나타내고 있다. 이 아암(11)은, 전체적으로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상자형 구조체로서 형성되고, 아암 실린더(9)에 의해 붐(5)에 대해 상, 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아암(11)은, 후술하는 좌, 우의 측판(12, 13)과, 상판(14)과, 하판(15)과, 두꺼운 후판(16)에 의해 형성되고, 당해 아암(11)은, 전체적으로 횡단면이 사각형인 폐쇄 단면 구조를 이루는 상자형 구조체를 이루고 있다. 아암(11)의 후측(붐(5) 측)에는 후술의 붐 연결 보스(18), 아암 실린더 브래킷(22), 버킷 실린더 브래킷(23)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아암(11)의 전측(버킷(6) 측)에는, 후술의 버킷 연결 보스(20), 후측 링크 연결 보스(21) 등이 설치되어 있다.
12는 아암(11)의 좌측면을 구성하는 좌측판을 나타내고 있다. 좌측판(12)은, 후술하는 우측판(13)과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하면서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판(12)은, 전, 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전, 후 방향의 전측에 위치하는 앞쪽 얇은 측판(12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측판(12A)에는, 후술의 붐 연결 보스(18)가 고정되고, 앞쪽 얇은 측판(12B)에는, 후술의 버킷 연결 보스(20), 후측 링크 연결 보스(21)가 고정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측판(12A)은, 판 두께가 두꺼운 강판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판 접합 부위(12A1)와, 하판 접합 부위(12A2)와, 후판 접합 부위(12A3)와, 앞쪽 얇은 측판 접합 부위(12A4)에 의해서 둘러싸인 육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 앞쪽 얇은 측판 접합 부위(12A4)는, 상판 접합 부위(12A1)로부터 하판 접합 부위(12A2)를 향해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접합부의 길이를 크게 확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판 접합 부위(12A2)와 후판 접합 부위(12A3)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는, 붐 연결 보스(18)의 플랜지부(18B)를 접합하기 위해 원호 형상으로 컷아웃된 붐 연결 보스 접합 홈(12A5)이 설치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전단에는, 개선(12A6)이 설치되고, 당해 개선(12A6)은, 후술하는 앞쪽 얇은 측판(12B)의 후측 개선(12B6)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선(12A6)은, 뒤쪽 두꺼운 측판(12A)을 구성하는 앞쪽 얇은 측판 접합 부위(12A4)의 단(端) 가장자리를, 외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개선(12A6)은,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고, 앞쪽 얇은 측판 접합 부위(12A4)의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앞쪽 얇은 측판(12B)은, 뒤쪽 두꺼운 측판(12A)보다 판 두께가 얇은 강판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판 접합 부위(12B1)와, 하판 접합 부위(12B2)와, 버킷 연결 보스 접합 부위(12B3)와, 뒤쪽 두꺼운 측판 접합 부위(12B4)에 의해서 둘러싸인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 뒤쪽 두꺼운 측판 접합 부위(12B4)는, 상판 접합 부위(12B1)로부터 하판 접합 부위(12B2)를 향해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앞쪽 얇은 측판(12B)의 전단측에는, 후측 링크 연결 보스(21)의 플랜지부(21B)를 접합하기 위한 원형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후측 링크 연결 보스 접합 구멍(12B5)이 설치되어 있다.
앞쪽 얇은 측판(12B)의 후단에는, 후측 개선(12B6)이 설치되고, 당해 후측 개선(12B6)은,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개선(12A6)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개선(12B6)은, 앞쪽 얇은 측판(12B)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 접합 부위(12B4)의 단 가장자리를, 외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개선(12B6)은,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고, 뒤쪽 두꺼운 측판 접합 부위(12B4)의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앞쪽 얇은 측판(12B)의 전단에는, 전측 개선(12B7)이 설치되고, 당해 전측 개선(12B7)은, 후술하는 버킷 연결 보스(20)의 좌측 플랜지부(20B)에 설치된 개선(20B1)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개선(12B7)은, 앞쪽 얇은 측판(12B)을 구성하는 버킷 연결 보스 접합 부위(12B3)의 단 가장자리부를, 내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판(12)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판 두께를 12At로 하고, 앞쪽 얇은 측판(12B)의 판 두께를 12Bt로 하면, 판 두께(12At)와 판 두께(12Bt)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수학식 1]
12At>12Bt
여기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개선(12A6)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후측 개선(12B6)을 간극(갭) 없이 맞댐으로써,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내면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내면은 단차가 없는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외면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외면은 판 두께차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에는, 루트면이 없고 갭이 없는 V형 개선(12C)이 형성된다. 이 경우, V형 개선(12C)의 개선 각도를 θ로 하면, 이 개선 각도(θ)는, 하기 수학식 2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수학식 2]
43˚≤θ≤90˚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V형 개선(12C)의 위치에서 용접 토치(100) 등을 이용하여 맞대기 용접을 행함으로써,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앞쪽 얇은 측판 접합 부위(12A4)와 앞쪽 얇은 측판(12B)의 뒤쪽 두꺼운 측판 접합 부위(12B4)가 완전 용접의 상태로 접합되고,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으로 이루어지는 좌측판(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V형 개선(12C)의 개구 폭은, 용접 토치(100)의 외경 치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또, V형 개선(12C)의 개선 각도(θ)는, 용접 토치(100)의 외경 치수,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판 두께(12At) 및 앞쪽 얇은 측판(12B)의 판 두께(12Bt), 필요한 용접 비드의 양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이 경우, 개선 각도(θ)가 지나치게 작으면,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고, 개선 각도(θ)가 너무 크면 사용하는 비드의 양이 증대되어 용접 작업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개선 각도(θ)는 상기 수학식 2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V형 개선(13C, 14C, 15C, 20D, 20E)의 개선 각도(θ)에 대해서도, V형 개선(12C)의 개선 각도(θ)와 동일하게, 상기 수학식 2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13은 아암(11)의 우측면을 구성하는 우측판을 나타내고, 당해 우측판(13)은, 좌측판(12)과 동일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우측판(13)은, 전, 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전, 후 방향의 전측에 위치하는 앞쪽 얇은 측판(13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측판(13A)에는, 후술의 붐 연결 보스(18)가 고정되고, 앞쪽 얇은 측판(13B)에는, 후술의 버킷 연결 보스(20), 후측 링크 연결 보스(21)가 고정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측판(13A)은, 판 두께가 두꺼운 강판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판 접합 부위(13A1)와, 하판 접합 부위(13A2)와, 후판 접합 부위(13A3)와, 앞쪽 얇은 측판 접합 부위(13A4)에 의해서 둘러싸인 육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판 접합 부위(13A2)와 후판 접합 부위(13A3)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는, 원호 형상으로 컷아웃된 붐 연결 보스 접합 홈(13A5)이 설치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전단에는, 개선(13A6)이 설치되고, 당해 개선(13A6)은, 후술하는 앞쪽 얇은 측판(13B)의 후측 개선(13B6)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선(13A6)은, 뒤쪽 두꺼운 측판(13A)을 구성하는 앞쪽 얇은 측판 접합 부위(13A4)의 단 가장자리를, 외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앞쪽 얇은 측판(13B)은, 뒤쪽 두꺼운 측판(13A)보다 판 두께가 얇은 강판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판 접합 부위(13B1)와, 하판 접합 부위(13B2)와, 버킷 연결 보스 접합 부위(13B3)와, 뒤쪽 두꺼운 측판 접합 부위(13B4)에 의해서 둘러싸인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앞쪽 얇은 측판(13B)의 전단측에는, 원형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후측 링크 연결 보스 접합 구멍(13B5)이 설치되어 있다.
앞쪽 얇은 측판(13B)의 후단에는, 후측 개선(13B6)이 설치되고, 당해 후측 개선(13B6)은,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개선(13A6)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개선(13B6)은, 앞쪽 얇은 측판(13B)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 접합 부위(13B4)의 단 가장자리를, 외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앞쪽 얇은 측판(13B)의 전단에는, 전측 개선(13B7)이 설치되고, 당해 전측 개선(13B7)은, 후술하는 버킷 연결 보스(20)의 우측 플랜지부(20C)에 설치된 개선(20C1)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개선(13B7)은, 앞쪽 얇은 측판(13B)을 구성하는 버킷 연결 보스 접합 부위(13B3)의 단 가장자리를, 내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판(13)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판 두께를 13At로 하고, 앞쪽 얇은 측판(13B)의 판 두께를 13Bt로 하면, 판 두께(13At)와 판 두께(13Bt)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수학식 3]
13At>13Bt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개선(13A6)과 앞쪽 얇은 측판(13B)의 후측 개선(13B6)을 간극(갭) 없이 맞댐으로써,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내면과 앞쪽 얇은 측판(13B)의 내면은 단차가 없는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외면과 앞쪽 얇은 측판(13B)의 외면은 판 두께차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에는, 루트면이 없고 갭이 없는 개선 각도(θ)의 V형 개선(13C)이 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V형 개선(13C)의 위치에서 용접 토치(100) 등을 이용하여 맞대기 용접을 행한다. 이에 따라,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앞쪽 얇은 측판 접합 부위(13A4)와 앞쪽 얇은 측판(13B)의 뒤쪽 두꺼운 측판 접합 부위(13B4)가 완전 용접의 상태로 접합되고,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앞쪽 얇은 측판(13B)으로 이루어지는 우측판(13)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14는 아암(11)의 상면을 구성하는 상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 상판(14)은, 좌, 우의 측판(12, 13)의 상단측에 접합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판(14)은, 전, 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전, 후 방향의 전측에 위치하는 앞쪽 얇은 상판(14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상판(14A)에는, 후술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이 고정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상판(14A)은, 판 두께가 두꺼운 강판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버킷 실린더 브래킷(23)보다 후측의 부위가, 약간 비스듬히 하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후단 가장자리는, 후술의 두꺼운 후판(16)에 접합되는 후판 접합 부위(14A1)가 되고,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전단 가장자리는, 앞쪽 얇은 상판(14B)에 접합되는 앞쪽 얇은 상판 접합 부위(14A2)로 되어 있다. 또,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14A4)에는, 후술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이 접합되고,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내면(14A5)에는, 후술하는 내부 격벽(19)의 상단부(19A)가 접합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전단에는, 개선(14A3)이 설치되고, 당해 개선(14A3)은, 후술하는 앞쪽 얇은 상판(14B)의 개선(14B3)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17 내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선(14A3)은, 뒤쪽 두꺼운 상판(14A)을 구성하는 앞쪽 얇은 상판 접합 부위(14A2)의 단 가장자리를, 외면(14A4)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앞쪽 얇은 상판(14B)은, 뒤쪽 두꺼운 상판(14A)보다 판 두께가 얇은 강판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쪽 얇은 상판(14B)의 후단 가장자리는 뒤쪽 두꺼운 상판 접합 부위(14B1)로 되고, 앞쪽 얇은 상판(14B)의 전단 가장자리는, 후술하는 버킷 연결 보스(20)에 접합되는 버킷 연결 보스 접합 부위(14B2)로 되어 있다.
앞쪽 얇은 상판(14B)의 후단에는, 개선(14B3)이 설치되고, 당해 개선(14B3)은,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개선(14A3)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17 내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선(14B3)은, 앞쪽 얇은 상판(14B)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상판 접합 부위(14B1)의 단 가장자리를, 외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판(14)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판 두께를 14At로 하고, 앞쪽 얇은 상판(14B)의 판 두께를 14Bt로 하면, 판 두께(14At)와 판 두께(14Bt)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수학식 4]
14At>14Bt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개선(14A3)과 앞쪽 얇은 상판(14B)의 개선(14B3)을 간극(갭) 없이 맞댐으로써,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내면(14A5)과 앞쪽 얇은 상판(14B)의 내면은 단차가 없는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14A4)과 앞쪽 얇은 상판(14B)의 외면은 판 두께차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에는, 루트면이 없고 갭이 없는 개선 각도(θ)의 V형 개선(14C)이 형성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V형 개선(14C)의 위치에서 용접 토치(100) 등을 이용하여 맞대기 용접을 행한다. 이에 따라,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앞쪽 얇은 상판 접합 부위(14A2)와 앞쪽 얇은 상판(14B)의 뒤쪽 두꺼운 상판 접합 부위(14B1)가 완전 용접의 상태로 접합되고,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앞쪽 얇은 상판(14B)으로 이루어지는 상판(14)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15는 아암(11)의 하면을 구성하는 하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 하판(15)은, 좌, 우의 측판(12, 13)의 하단측에 접합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하판(15)은, 전, 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전, 후 방향의 전측에 위치하는 앞쪽 얇은 하판(15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하판(15A)은, 판 두께가 두꺼운 강판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후단 가장자리는, 후술의 붐 연결 보스(18)에 접합되는 붐 연결 보스 접합 부위(15A1)로 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전단 가장자리는, 앞쪽 얇은 하판(15B)에 접합되는 앞쪽 얇은 하판 접합 부위(15A2)로 되어 있다.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전단에는, 개선(15A3)이 설치되고, 당해 개선(15A3)은, 후술하는 앞쪽 얇은 하판(15B)의 개선(15B3)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21 내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선(15A3)은, 뒤쪽 두꺼운 하판(15A)을 구성하는 앞쪽 얇은 하판 접합 부위(15A2)의 단 가장자리를, 외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앞쪽 얇은 하판(15B)은, 뒤쪽 두꺼운 하판(15A)보다 판 두께가 얇은 강판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쪽 얇은 하판(15B)의 후단 가장자리는 뒤쪽 두꺼운 하판 접합 부위(15B1)로 되어 있다. 앞쪽 얇은 하판(15B)의 전단 가장자리는, 후술하는 버킷 연결 보스(20)에 접합되는 버킷 연결 보스 접합 부위(15B2)로 되어 있다.
앞쪽 얇은 하판(15B)의 후단에는, 개선(15B3)이 설치되고, 당해 개선(15B3)은,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개선(15A3)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21 내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선(15B3)은, 앞쪽 얇은 하판(15B)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하판 접합 부위(15B1)의 단 가장자리를, 외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판(15)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판 두께를 15At로 하고, 앞쪽 얇은 하판(15B)의 판 두께를 15Bt로 하면, 판 두께(15At)와 판 두께(15Bt)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수학식 5]
15At>15Bt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개선(15A3)과 앞쪽 얇은 하판(15B)의 개선(15B3)을 간극(갭) 없이 맞댐으로써,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내면과 앞쪽 얇은 하판(15B)의 내면은 단차가 없는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외면과 앞쪽 얇은 하판(15B)의 외면은 판 두께차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에는, 루트면이 없고 갭이 없는 개선 각도(θ)의 V형 개선(15C)이 형성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V형 개선(15C)의 위치에서 용접 토치(100) 등을 이용하여 맞대기 용접을 행한다. 이에 따라,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앞쪽 얇은 하판 접합 부위(15A2)와 앞쪽 얇은 하판(15B)의 뒤쪽 두꺼운 하판 접합 부위(15B1)가 완전 용접의 상태로 접합되고,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앞쪽 얇은 하판(15B)으로 이루어지는 하판(15)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16은 아암(11)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판으로서의 두꺼운 후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 두꺼운 후판(16)은, 강판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산형으로 굴곡되어 있다(도 5 참조). 이 두꺼운 후판(16)의 판 두께(16t)는, 좌측판(12)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판 두께(12At), 우측판(13)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판 두께(13At), 상판(14)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판 두께(14At), 하판(15)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판 두께(15At)와 동일한 두께, 또는 이들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수학식 6]
16t≥12At, 13At, 14At, 15At
여기서, 두꺼운 후판(16)은, 좌, 우의 측판(12, 13)과 상판(14)의 후단측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되고, 중공(中空)된 아암(11)의 후단을 폐색하는 것이다. 이 경우, 두꺼운 후판(16)은, 좌측판(12)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후판 접합 부위(12A3)와, 우측판(13)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후판 접합 부위(13A3)와, 상판(14)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후판 접합 부위(14A1)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두꺼운 후판(16)의 전단 가장자리는, 후술의 붐 연결 보스(18)에 접합되는 붐 연결 보스 접합 부위(16A)로 되어 있다. 두꺼운 후판(16)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아암 실린더 브래킷(22)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측판(12)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상판 접합 부위(12A1)와 상판(14)의 사이에 필렛 용접이 실시된다. 동일하게, 앞쪽 얇은 측판(12B)의 상판 접합 부위(12B1)와 상판(14)의 사이에 필렛 용접이 실시된다. 한편, 우측판(13)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상판 접합 부위(13A1)와 상판(14)의 사이에 필렛 용접이 실시된다. 동일하게, 앞쪽 얇은 측판(13B)의 상판 접합 부위(13B1)와 상판(14)의 사이에 필렛 용접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좌, 우의 측판(12, 13)의 상단에 상판(14)이 강고하게 접합되어 있다.
또, 좌측판(12)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하판 접합 부위(12A2)와 하판(15)의 사이에 필렛 용접이 실시된다. 동일하게, 앞쪽 얇은 측판(12B)의 하판 접합 부위(12B2)와 하판(15)의 사이에 필렛 용접이 실시된다. 한편, 우측판(13)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하판 접합 부위(13A2)와 하판(15)의 사이에 필렛 용접이 실시된다. 동일하게, 앞쪽 얇은 측판(13B)의 하판 접합 부위(13B2)와 하판(15)의 사이에 필렛 용접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좌, 우의 측판(12, 13)의 하단에 하판(15)이 강고하게 접합되어 있다.
또한, 좌측판(12)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후판 접합 부위(12A3)와 두꺼운 후판(16)의 사이에 필렛 용접이 실시된다. 동일하게, 우측판(13)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후판 접합 부위(13A3)와 두꺼운 후판(16)의 사이에 필렛 용접이 실시된다. 또한, 상판(14)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후판 접합 부위(14A1)와 두꺼운 후판(16)의 사이에도, 필렛 용접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좌, 우의 측판(12, 13)과 상판(14)의 후단측에 두꺼운 후판(16)이 강고하게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판(12)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접합부의 상단(12D)은,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중간부의 위치에서 접합되고, 접합부의 하단(12E)은,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전측의 위치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판(13)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앞쪽 얇은 측판(13B)의 접합부에 대해 보면, 상단(13D)은,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중간부의 위치에서 접합되고, 접합부의 하단(13E)은,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전부측의 위치에서 접합되어 있다.
17은 좌측판(12)의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두꺼운 후판(16)의 사이, 우측판(13)의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두꺼운 후판(16)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 좌, 우의 백킹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백킹재(17)는, 예를 들면 가늘고 긴 각재(角材)를 산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고,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의 후판 접합 부위(12A3, 13A3)의 내면에 스폿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좌측판(12)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후판 접합 부위(12A3)와 두꺼운 후판(16)의 사이는, 백킹재(17)를 이용하여 필렛 용접되고, 우측판(13)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후판 접합 부위(13A3)와 두꺼운 후판(16)의 사이는, 백킹재(17)를 이용하여 필렛 용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들 필렛 용접 부위는 완전 용접으로 된다.
다음으로, 18은 좌, 우의 측판(12, 13)의 후부 하측에 설치된 붐 연결 보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 붐 연결 보스(18)는, 붐(5)과 아암(11)의 사이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핀(도시 생략)이 삽입 통과되는 것이다. 여기서, 붐 연결 보스(18)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된 원통 보스부(18A)와, 당해 원통 보스부(18A)의 좌, 우 방향의 양단(兩端)측에 설치된 원호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좌, 우의 플랜지부(1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붐 연결 보스(18)의 원통 보스부(18A)는,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붐 연결 보스 접합 부위(15A1)와, 두꺼운 후판(16)의 붐 연결 보스 접합 부위(16A)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붐 연결 보스(18)의 좌측의 플랜지부(18B)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붐 연결 보스 접합 홈(12A5)에 접합되고, 우측의 플랜지부(18B)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붐 연결 보스 접합 홈(13A5)에 접합되어 있다.
19는 상판(14)의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내면과 붐 연결 보스(18)의 사이에 설치된 내부 격벽을 나타내고 있다. 이 내부 격벽(19)은, 아암(11) 내에 2개의 폐쇄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아암(11)의 강성(剛性)을 높이는 것이다. 이 내부 격벽(19)은, 좌, 우의 측판(12, 13)의 간격과 대략 같은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격벽(19)의 상단(19A)은,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앞쪽 얇은 상판(14B)의 접합부의 근방 위치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내부 격벽(19)의 하단(19B)은, 붐 연결 보스(18)의 원통 보스부(18A)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내부 격벽(19)의 상단(19A)은, 후술하는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핀 삽입 통과 구멍(23A)보다 전측의 위치, 즉, 버킷 실린더(10)가 연결되는 연결 핀(10A)보다 전측의 위치에서,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내면(14A5)에 접합되어 있다. 한편, 내부 격벽(19)의 좌측의 측단(19C)은, 좌측판(12)의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되고, 우측의 측단(19C)은, 우측판(13)의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앞쪽 얇은 측판(13B)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20은 좌, 우의 측판(12, 13), 상판(14) 및 하판(15)의 전단에 설치된 버킷 연결 보스를 나타내고 있다. 버킷 연결 보스(20)는, 버킷(6)과 아암(11)의 사이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핀(도시 생략)이 삽입 통과되는 것이다. 이 버킷 연결 보스(20)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된 원통 보스부(20A)와, 당해 원통 보스부(20A)의 좌, 우 방향의 양단측에 설치된 평판 형상의 좌측 플랜지부(20B), 우측 플랜지부(2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측 플랜지부(20B)의 후단에는, 개선(20B1)이 설치되고, 당해 개선(20B1)은, 앞쪽 얇은 측판(12B)에 설치된 전측 개선(12B7)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선(20B1)은, 좌측 플랜지부(20B)의 후단 가장자리를 내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좌측 플랜지부(20B)는, 앞쪽 얇은 측판(12B)의 판 두께(12Bt)와 대략 같은 판 두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얇은 측판(12B)의 전측 개선(12B7)과 좌측 플랜지부(20B)의 개선(20B1)을 간극(갭) 없이 맞댐으로써, 앞쪽 얇은 측판(12B)의 외면과 좌측 플랜지부(20B)의 외면은 단차가 없는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앞쪽 얇은 측판(12B)과 좌측 플랜지부(20B)의 내면측에는, 루트면이 없고 갭이 없는 개선 각도(θ)의 V형 개선(20D)이 형성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V형 개선(20D)의 위치에서 용접 토치(100) 등을 이용하여 맞대기 용접을 행함으로써, 앞쪽 얇은 측판(12B)의 버킷 연결 보스 접합부(12B3)와 버킷 연결 보스(20)의 좌측 플랜지부(20B)가 완전 용접의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우측 플랜지부(20C)의 후단에는, 개선(20C1)이 설치되고, 당해 개선(20C1)은, 앞쪽 얇은 측판(13B)에 설치된 전측 개선(13B7)과 맞대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개선(20C1)은, 우측 플랜지부(20C)의 후단 가장자리를 내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하여 컷아웃함으로써 형성되고, 루트면을 가지지 않는 똑같은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우측 플랜지부(20C)는, 앞쪽 얇은 측판(13B)의 판 두께(13Bt)와 대략 같은 판 두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쪽 얇은 측판(13B)의 전측 개선(13B7)과 우측 플랜지부(20C)의 개선(20C1)을 간극(갭) 없이 맞댐으로써, 앞쪽 얇은 측판(13B)의 외면과 우측 플랜지부(20C)의 외면은 단차가 없는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앞쪽 얇은 측판(13B)과 우측 플랜지부(20C)의 내면측에는, 루트면이 없고 갭이 없는 개선 각도(θ)의 V형 개선(20E)이 형성된다.
V형 개선(20E)의 위치에서 용접 토치(100) 등을 이용하여 맞대기 용접을 행함으로써, 앞쪽 얇은 측판(13B)의 버킷 연결 보스 접합부(13B3)와 버킷 연결 보스(20)의 우측 플랜지부(20C)가 완전 용접의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버킷 연결 보스(20)의 원통 보스부(20A)는, 상판(14)을 구성하는 앞쪽 얇은 상판(14B)의 버킷 연결 보스 접합 부위(14B2)와, 하판(15)을 구성하는 앞쪽 얇은 하판(15B)의 버킷 연결 보스 접합 부위(15B2)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21은 버킷 연결 보스(20)에 인접하여 좌, 우의 측판(12, 13)의 전단측에 설치된 후측 링크 연결 보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 후측 링크 연결 보스(21)는, 버킷 링크(7)의 후측 링크(7A)와 아암(11)의 사이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핀(도시 생략)이 삽입 통과되는 것이다. 여기서, 후측 링크 연결 보스(21)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된 원통 보스부(21A)와, 당해 원통 보스부(21A)의 좌, 우 방향의 양단측에 설치된 원판 형상의 좌, 우의 플랜지부(2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측 링크 연결 보스(21)의 좌측의 플랜지부(21B)는, 앞쪽 얇은 측판(12B)의 후측 링크 연결 보스 접합 구멍(12B5)에 접합되고, 우측의 플랜지부(21B)는, 앞쪽 얇은 측판(13B)의 후측 링크 연결 보스 접합 구멍(13B5)에 접합되어 있다.
22는 두꺼운 후판(16)의 외면에 설치된 한 쌍의 아암 실린더 브래킷을 나타내고, 당해 각 아암 실린더 브래킷(21)은, 좌, 우 방향에서 쌍을 이루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아암 실린더 브래킷(22)은, 아암 실린더(9)의 로드 선단이, 연결 핀(도시 생략)을 개재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각 아암 실린더 브래킷(22)은, 강판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판체로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상술의 연결 핀을 삽입 통과하기 위한 핀 삽입 통과 구멍(22A)이 뚫려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아암 실린더 브래킷(22)은, 좌, 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두꺼운 후판(16)의 외면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23은 상판(14)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14A4)에 설치된 한 쌍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을 나타내고 있다.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은, 좌, 우 방향에서 쌍을 이루어서 배치되고, 버킷 실린더(10)의 보텀 측이, 연결 핀(10A)을 개재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은, 강판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판체로서 형성되고, 그 선단측에는, 상술의 연결 핀(10A)을 삽입 통과하기 위한 핀 삽입 통과 구멍(23A)이 뚫려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은, 좌, 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14A4)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24는 상판(14)의 후측에 설치된 보조 용접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보조 용접 부재(24)는, 상판(14)의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용접부를 둘러싸도록,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14A4)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용접 부재(24)는,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보아 대략 M자형을 이루는 평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보조 용접 부재(24)는, 전체적으로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보다 약간 작은 폭 치수를 가지는 사각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보조 용접 부재(24)는, 좌, 우 방향의 중간에 위치하여 전단(24A)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오목 형상으로 컷아웃된 컷아웃부(24B)와, 후단(24C)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홈부(24D)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보조 용접 부재(24)의 주위(외주연부(外周緣部))는, 전체 둘레에 걸쳐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14A4)에 필렛 용접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판 두께(14At)에 보조 용접 부재(24)의 판 두께(24t)가 중첩되고, 뒤쪽 두꺼운 상판(14A) 중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이 접합된 부위의 판 두께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용접 부재(24)의 전단(24A)은,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핀 삽입 통과 구멍(23A)보다 전측에 배치되고, 보조 용접 부재(24)의 후단(24C)은, 내부 격벽(19)의 상단부(19A)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용접 부재(24)는, 내부 격벽(19)의 상단부(19A)를 사이에 두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14A4)과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접합부에는, 후술의 용접 비드(26)를 구성하는 브래킷측 용접 비드(26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 용접 부재(24)의 홈부(24D)를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전부측에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는, 보조 용접 부재(24)의 홈부(24D)와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사이에는 간극(25)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보조 용접 부재(24)에 설치된 홈부(24D)의 주연부에 대해, 예를 들면 용접 토치(100)를 이용하여 필렛 용접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버킷 실린더 브래킷(23)과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사이에 형성된 브래킷측 용접 비드(26A)와, 보조 용접 부재(24)의 홈부(24D)와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사이에 형성된 보조 용접 부재측 용접 비드(26B)가 일체화하여 용접 비드(26)가 형성된다. 이 용접 비드(26)는, 보조 용접 부재(24)의 홈부(24D)와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25)을 매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용접 부재(24)의 각 홈부(24D)와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사이를, 매끄럽게 연속하는 용접 비드(26)에 의해서 접합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용접 부재(24)의 전단부(24A)에 설치한 컷아웃부(24B)의 주위에 필렛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뒤쪽 두꺼운 상판(14A)에 대한 보조 용접 부재(24)의 용접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아암(11)은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고, 이 아암(11)을 제조하는 순서의 일례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판(12)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개선(12A6)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후측 개선(12B6)을 맞대어서 V형 개선(12C)을 형성하고, 이 V형 개선(12C)의 위치에서 아크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맞대기 용접을 행한다. 이 경우, V형 개선(12C)은, 루트면이 없고, 또한 갭이 없기 때문에, 용접 토치(100)로부터의 아크를 각 개선(12A6, 12B6)의 전체 면에 걸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이 판 두께의 전역에 걸쳐 용해된 완전 용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V형 개선(12C)의 개선 각도(θ)가, 43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 개선(12A6, 12B6)에 대해 충분히 아크의 열을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V형 개선(12C) 내를 과부족 없이 용융 금속으로 채울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사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용접 비드(12F)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V형 개선(12C)의 이면측에 백킹재 등을 배치하지 않고,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이 강고하게 접합된 좌측판(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우측판(13)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개선(13A6)과 앞쪽 얇은 측판(13B)의 후측 개선(13B6)을 맞대어서 V형 개선(13C)을 형성하고, 이 V형 개선(13C)의 위치에서 맞대기 용접을 행한다. 이에 따라,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앞쪽 얇은 측판(13B)의 사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용접 비드(13F)를 형성할 수 있고,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앞쪽 얇은 측판(13B)이 강고하게 접합된 우측판(13)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좌측판(12)의 붐 연결 보스 접합 홈(12A5)과, 우측판(13)의 붐 연결 보스 접합 홈(13A5)에 대해, 붐 연결 보스(18)의 좌, 우의 플랜지부(18B)를 각각 용접에 의해서 접합한다. 또한, 좌측판(12)의 후측 링크 연결 보스 접합 구멍(12B5)과, 우측판(13)의 후측 링크 연결 보스 접합부(13B5)에 대해, 후측 링크 연결 보스(21)의 좌, 우의 플랜지부(21B)를 각각 용접에 의해서 접합한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판(12)을 구성하는 앞쪽 얇은 측판(12B)의 전측 개선(12B7)과, 버킷 연결 보스(20)를 구성하는 좌측 플랜지부(20B)의 개선(20B1)을 맞대어서 V형 개선(20D)을 형성하고, 이 V형 개선(20D)의 위치에서 맞대기 용접을 행한다. 이에 따라, 앞쪽 얇은 측판(12B)과 좌측 플랜지부(20B)의 사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용접 비드(20F)를 형성할 수 있고, 앞쪽 얇은 측판(12B)과 좌측 플랜지부(20B)를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한편, 우측판(13)을 구성하는 앞쪽 얇은 측판(13B)의 전측 개선(13B7)과, 버킷 연결 보스(20)를 구성하는 우측 플랜지부(20C)의 개선(20C1)을 맞대어서 V형 개선(20E)을 형성하고, 이 V형 개선(20E)의 위치에서 맞대기 용접을 행한다. 이에 따라, 앞쪽 얇은 측판(13B)과 우측 플랜지부(20C)의 사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용접 비드(20G)를 형성할 수 있고, 앞쪽 얇은 측판(13B)과 우측 플랜지부(20C)를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개선(14A3)과, 앞쪽 얇은 상판(14B)의 개선(14B3)을 맞대어서 V형 개선(14C)을 형성하고, 이 V형 개선(14C)의 위치에서 맞대기 용접을 행한다. 이에 따라,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앞쪽 얇은 상판(14B)의 사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용접 비드(14D)를 형성할 수 있고,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앞쪽 얇은 상판(14B)이 강고하게 접합된 상판(14)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개선(15A3)과, 앞쪽 얇은 하판(15B)의 개선(15B3)을 맞대어서 V형 개선(15C)을 형성하고, 이 V형 개선(15C)의 위치에서 맞대기 용접을 행한다. 이에 따라,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앞쪽 얇은 하판(15B)의 사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용접 비드(15D)를 형성할 수 있어,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앞쪽 얇은 하판(15B)이 강고하게 접합된 하판(15)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좌측판(12)과 우측판(13)의 상측에 상판(14)을 배치하고, 좌측판(12)과 상판(14)의 사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필렛 용접을 실시한다. 동일하게, 우측판(13)과 상판(14)의 사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필렛 용접을 실시한다. 또한, 상판(14)을 구성하는 앞쪽 얇은 상판(14B)의 버킷 연결 보스 접합 부위(14B2)를, 버킷 연결 보스(20)의 원통 보스부(20A)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한다. 이에 따라, 좌, 우의 측판(12, 13)의 상단측에 상판(14)을 접합할 수 있다.
한편, 내부 격벽(19)을 준비하고, 이 내부 격벽(19)의 상단부(19A)는, 상판(14)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앞쪽 얇은 상판 접합 부위(14A2)의 근방 부위에 용접한다. 또, 내부 격벽(19)의 하단(19B)을, 붐 연결 보스(18)의 원통 보스부(18A)에 용접한다. 또한, 내부 격벽(19)의 좌측단(19C)은, 좌측판(12)의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내면에 용접하고, 내부 격벽(19)의 우측단(19C)은, 우측판(13)의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앞쪽 얇은 측판(13B)의 내면에 용접한다.
다음으로, 좌측판(12)과 우측판(13)의 하단측에 하판(15)을 배치하고, 좌측판(12)과 하판(15)의 사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필렛 용접을 실시한다. 이와 동일하게, 우측판(13)과 하판(15)의 사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필렛 용접을 실시한다. 한편,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붐 연결 보스 접합 부위(15A1)를, 붐 연결 보스(18)의 원통 보스부(18A)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한다. 또한, 앞쪽 얇은 하판(15B)의 버킷 연결 보스 접합 부위(15B2)를, 버킷 연결 보스(20)의 원통 보스부(20A)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한다. 이에 따라, 좌, 우의 측판(12, 13)의 하단측에 하판(15)을 접합할 수 있다.
좌, 우의 측판(12, 13)의 상단측에 상판(14)을 접합하고, 하단측에 하판(15)을 접합한 후에는, 두꺼운 후판(16)을 준비한다. 좌측판(12)의 뒤쪽 두꺼운 측판(12A)에 고정한 백킹재(17)와 두꺼운 후판(16)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뒤쪽 두꺼운 측판(12A)의 후판 접합 부위(12A3)와 두꺼운 후판(16)의 사이에 필렛 용접을 실시한다. 우측판(13)의 뒤쪽 두꺼운 측판(13A)에 고정한 백킹재(17)와 두꺼운 후판(16)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뒤쪽 두꺼운 측판(13A)의 후판 접합 부위(13A3)와 두꺼운 후판(16)의 사이에 필렛 용접을 실시한다. 한편, 상판(14)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후판 접합 부위(14A1)와 두꺼운 후판(16)의 사이에 필렛 용접을 실시함과 함께, 두꺼운 후판(16)의 붐 연결 보스 접합 부위(16A)를, 붐 연결 보스(18)의 원통 보스부(18A)에 용접한다.
다음으로, 상판(14)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에, 좌, 우 한 쌍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을 용접에 의해서 접합한다. 또,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용접부를 둘러싸도록,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14A4) 상에 보조 용접 부재(24)를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보조 용접 부재(24)의 외주연을, 전체 둘레에 걸쳐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14A4)에 필렛 용접한다. 이에 따라,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판 두께(14At)에 보조 용접 부재(24)의 판 두께(24t)를 중첩할 수 있어, 뒤쪽 두꺼운 상판(14A) 중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이 접합된 부위의 판 두께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14A4)과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접합부에는 브래킷측 용접 비드(26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조 용접 부재(24)의 홈부(24D)와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사이에는 간극(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보조 용접 부재(24)에 설치된 홈부(24D)의 주연에 대해, 용접 토치(100)를 이용하여 필렛 용접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버킷 실린더 브래킷(23)과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사이에 형성된 브래킷측 용접 비드(26A)와, 보조 용접 부재(24)의 홈부(24D)와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용접 부재측 용접 비드(26B)가 용해된 용접 비드(26)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용접 비드(26)는, 보조 용접 부재(24)의 홈부(24D)와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25) 내를 매립한다. 이 결과, 보조 용접 부재(24)의 각 홈부(24D)와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사이를, 매끄럽게 연속하는 용접 비드(26)에 의해서 접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좌, 우의 측판(12, 13), 상판(14), 하판(15), 두꺼운 후판(16) 등을 서로 용접함으로써, 횡단면이 사각형인 폐쇄 단면 구조를 이루는 아암(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판(14)을, 큰 판 두께(14At)를 가지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작은 판 두께(14Bt)를 가지는 앞쪽 얇은 상판(14B)을 용접에 의해서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버킷 실린더(10)가 연결되는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을,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에 접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판(14) 중 큰 강도를 필요로 하는 후측을, 뒤쪽 두꺼운 상판(14A)에 의해서 구성하고, 후측에 비해 큰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측을, 앞쪽 얇은 상판(14B)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암(11)의 후측에서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에 의해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아암(11)의 전측에서는 앞쪽 얇은 상판(14B)에 의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결과, 균일한 판 두께를 가지는 1장의 판재를 이용하여 상판을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아암(11)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하판(15)도, 큰 판 두께(15At)를 가지는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작은 판 두께(15Bt)를 가지는 앞쪽 얇은 하판(15B)을 용접에 의해서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또한, 좌측판(12)도, 큰 판 두께(12At)를 가지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작은 판 두께(12Bt)를 가지는 앞쪽 얇은 측판(12B)을 용접에 의해서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우측판(13)도, 큰 판 두께(13At)를 가지는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작은 판 두께(13Bt)를 가지는 앞쪽 얇은 측판(13B)을 용접에 의해서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붐 연결 보스(18), 아암 실린더 브래킷(22), 버킷 실린더 브래킷(23) 등이 설치되는 아암(11)의 후부측에서는, 뒤쪽 두꺼운 하판(15A), 좌, 우의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에 의해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아암(11)의 전부측에서는, 앞쪽 얇은 하판(15B), 좌, 우의 앞쪽 얇은 측판(12B, 13B)에 의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균일한 판 두께를 가지는 1장의 판재를 이용하여 하판 및 각 측판을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아암(11) 전체의 경량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판(12)의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접합부에 대해 보면, 이 접합부의 상단(12D)을, 상판(14)의 뒤쪽 두꺼운 상판(14A)에 접합하고, 접합부의 하단(12E)을, 하판(14)의 뒤쪽 두꺼운 하판(15A)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판(13)의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앞쪽 얇은 측판(13B)의 접합부에 대해 보면, 이 접합부의 상단(13D)을, 상판(14)의 뒤쪽 두꺼운 상판(14A)에 접합하고, 접합부의 하단(13E)을, 하판(14)의 뒤쪽 두꺼운 하판(15A)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좌측판(12)의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접합부의 강도를 높임과 함께, 우측판(13)의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앞쪽 얇은 측판(13B)의 접합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아암(11)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좌, 우의 측판(12, 13)과, 붐 연결 보스(18)와, 상판(14)의 사이에 내부 격벽(19)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내부 격벽(19)에 의해서 아암(11) 내에 2개의 폐쇄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아암(11)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두꺼운 후판(16)을, 좌, 우의 측판(12, 13)의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 상판(14)의 뒤쪽 두꺼운 상판(14A), 하판(15)의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동등 이상의 판 두께를 가지는 판재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암 실린더 브래킷(22)이 설치되는 아암(11)의 후단의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좌측판(12)의 뒤쪽 두꺼운 측판(12A)에 설치한 개선(12A6)과, 앞쪽 얇은 측판(12B)에 설치한 후측 개선(12B6)의 사이에 V형 개선(12C)을 형성함으로써, 뒤쪽 두꺼운 측판(12A)과 앞쪽 얇은 측판(12B)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우측판(13)의 뒤쪽 두꺼운 측판(13A)에 설치한 개선(13A6)과, 앞쪽 얇은 측판(13B)에 설치한 후측 개선(13B6)의 사이에 V형 개선(13C)을 형성함으로써, 뒤쪽 두꺼운 측판(13A)과 앞쪽 얇은 측판(13B)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앞쪽 얇은 측판(12B)의 전측 개선(12B7)과, 버킷 연결 보스(20)의 좌측 플랜지부(20B)의 개선(20B1)의 사이에 V형 개선(20D)을 형성하고, 앞쪽 얇은 측판(13B)의 전측 개선(13B7)과, 버킷 연결 보스(20)의 우측 플랜지부(20C)의 개선(20C1)의 사이에 V형 개선(20E)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좌측판(12)과 버킷 연결 보스(20)의 좌측 플랜지부(20B)의 접합 강도를 높이고, 우측판(13)과 버킷 연결 보스(20)의 우측 플랜지부(20C)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판(14)의 뒤쪽 두꺼운 상판(14A)에 설치한 개선(14A3)과, 앞쪽 얇은 상판(14B)에 설치한 개선(14B3)의 사이에 V형 개선(14C)을 형성함으로써,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앞쪽 얇은 상판(14B)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하판(15)의 뒤쪽 두꺼운 하판(15A)에 설치한 개선(15A3)과, 앞쪽 얇은 하판(15B)에 설치한 개선(15B3)의 사이에 V형 개선(15C)을 형성함으로써,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앞쪽 얇은 하판(15B)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조 용접 부재(24)의 외주연과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필렛 용접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뒤쪽 두꺼운 상판(14A) 중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이 접합된 부위의 판 두께를, 보조 용접 부재(24)의 판 두께분만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에 작용하는 부하에 의해서 뒤쪽 두꺼운 상판(14A)이나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이 크게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여, 아암(11) 전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조 용접 부재(24)에 설치된 홈부(24D)의 주연과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사이에 필렛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보조 용접 부재(24)의 각 홈부(24D)와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사이를, 매끄럽게 연속하는 용접 비드(26)에 의해서 접합할 수 있다. 이 결과,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뒤쪽 두꺼운 상판(14A)에 대한 각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컷아웃부(24B)와 좌, 우의 홈부(24D)를 가지는 1개의 M자형의 보조 용접 부재(24)를 이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좌, 우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에 대해 1개씩, 합계 2개의 보조 용접 부재(2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보조 용접 부재(27)는,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에 의해 형성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홈부(27A) 내에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을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 그 외주연이 전체 둘레에 걸쳐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14A4)에 필렛 용접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아암(11)을 조립하는 순서의 일례로서, 좌, 우의 측판(12, 13)에 붐 연결 보스(18), 버킷 연결 보스(20), 후측 링크 연결 보스(21)를 접합한 후, 각 측판(12, 13)에 상판(14)을 접합한다. 다음으로, 상판(14)과 붐 연결 보스(18)의 사이에 내부 격벽(19)을 접합한 후, 각 측판(12, 13)에 하판(15)과 두꺼운 후판(16)을 접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아암(11)의 조립 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아암(11)을 조립하는 순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좌, 우의 측판(12, 13)을 구성하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에 백킹재(17)를 고정하고, 이 백킹재(17)를 이용하여 각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과 두꺼운 후판(16)의 사이에 필렛 용접을 실시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백킹재(17)를 이용하지 않고, 각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과 두꺼운 후판(16)의 사이에 필렛 용접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1)을 예에 들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휠식 유압 셔블에 이용되는 아암 등의 다른 건설 기계용의 아암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10: 버킷 실린더
10A: 연결 핀 11: 아암
12: 좌측판 12A, 13A: 뒤쪽 두꺼운 측판
12A6, 13A6, 14A3, 14B3, 15A3, 15B3, 20B1, 20C1: 개선
12B, 13B: 앞쪽 얇은 측판 12B6, 13B6: 후측 개선(개선)
12B7, 13B7: 전측 개선(개선)
12C, 13C, 14C, 15C, 20D, 20E: V형 개선 13: 우측판
14: 상판 14A: 뒤쪽 두꺼운 상판
14A4: 외면 14B: 앞쪽 얇은 상판
15: 하판 15A: 뒤쪽 두꺼운 하판
15B: 앞쪽 얇은 하판 16: 두꺼운 후판
18: 붐 연결 보스 19: 내부 격벽
19A: 상단 20: 버킷 연결 보스
20A: 원통 형상 보스부 20B: 좌측 플랜지부
20C: 우측 플랜지부 23: 버킷 실린더 브래킷
24, 27: 보조 용접 부재 24A: 전단
24B: 컷아웃부 24C: 후단
25: 간극 26: 용접 비드
26A: 브래킷측 용접 비드
26B: 보조 용접 부재측 용접 비드

Claims (15)

  1. 좌, 우의 측판(12, 13)과, 당해 좌, 우의 측판(12, 13)의 상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상판(14)과,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하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하판(15)과,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후단측과 상기 상판(14)의 후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후판(16)에 의해 횡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상자형 구조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후부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좌, 우의 측판(12, 13)과 상기 하판(15)의 후단과 상기 후판(16)의 전단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붐 연결 보스(18)를 설치하며,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 상판(14) 및 하판(15)의 전단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버킷 연결 보스(20)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14)의 외면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좌, 우 방향으로 한 쌍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에 있어서,
    상기 상판(14)은,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당해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상판(14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은,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아암.
  2. 좌, 우의 측판(12, 13)과, 당해 좌, 우의 측판(12, 13)의 상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상판(14)과,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하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하판(15)과,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후단측과 상기 상판(14)의 후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후판(16)에 의해 횡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상자형 구조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후부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좌, 우의 측판(12, 13)과 상기 하판(15)의 후단과 상기 후판(16)의 전단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붐 연결 보스(18)를 설치하며,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 상판(14) 및 하판(15)의 전단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버킷 연결 보스(20)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14)의 외면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좌, 우 방향으로 한 쌍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에 있어서,
    상기 하판(15)은,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당해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하판(15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붐 연결 보스(18)는,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후단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아암.
  3. 좌, 우의 측판(12, 13)과, 당해 좌, 우의 측판(12, 13)의 상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상판(14)과,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하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하판(15)과,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후단측과 상기 상판(14)의 후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후판(16)에 의해 횡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상자형 구조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후부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좌, 우의 측판(12, 13)과 상기 하판(15)의 후단과 상기 후판(16)의 전단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붐 연결 보스(18)를 설치하며,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 상판(14) 및 하판(15)의 전단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버킷 연결 보스(20)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14)의 외면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좌, 우 방향으로 한 쌍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에 있어서,
    상기 상판(14)은,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당해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상판(14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하판(15)은,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당해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하판(15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며,
    상기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은,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붐 연결 보스(18)는,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후단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아암.
  4. 좌, 우의 측판(12, 13)과, 당해 좌, 우의 측판(12, 13)의 상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상판(14)과,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하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하판(15)과,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후단측과 상기 상판(14)의 후단측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후판(16)에 의해 횡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상자형 구조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후부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좌, 우의 측판(12, 13)과 상기 하판(15)의 후단과 상기 후판(16)의 전단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붐 연결 보스(18)를 설치하며,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 상판(14) 및 하판(15)의 전단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버킷 연결 보스(20)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14)의 외면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 좌, 우 방향으로 한 쌍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에 있어서,
    상기 상판(14)은,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당해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상판(14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하판(15)은,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당해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하판(15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며,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은, 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는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과, 당해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의 전측에 위치하여 판 두께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앞쪽 얇은 측판(12B, 13B)의 2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은,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외면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붐 연결 보스(18)는,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후단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과 상기 앞쪽 얇은 측판(12B, 13B)의 접합부는, 그 상단(12D, 13D)을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14A)에 접합하고, 하단(12E, 13E)을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15A)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아암.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내면측과 상기 붐 연결 보스(18)의 사이에는, 보강용의 내부 격벽(19)을 설치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16)은,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14A) 및 상기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과 동등 이상의 판 두께를 가지는 판재를 이용한 두꺼운 후판(16)으로서 형성하고,
    당해 두꺼운 후판(16)은, 상기 좌, 우의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의 후단과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후단에 접합함과 함께, 상기 두꺼운 후판(16)의 전단을 상기 붐 연결 보스(18)에 접합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의 전단과 상기 앞쪽 얇은 측판(12B, 13B)의 후단에는, 루트면 없이 컷아웃함으로써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선(12A6, 13A6, 12B6, 13B6)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의 개선(12A6, 13A6)과 상기 앞쪽 얇은 측판(12B, 13B)의 개선(12B6, 13B6)을 맞댐으로써, 루트면이 없고 또한 갭이 없는 V형 개선(12C, 13C)을 형성하며,
    당해 V형 개선(12C, 13C)의 위치에서 상기 뒤쪽 두꺼운 측판(12A, 13A)과 상기 앞쪽 얇은 측판(12B, 13B)의 사이에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용접 비드(12F, 13F)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연결 보스(20)에는, 원통 형상 보스부(20A)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20B, 20C)를 설치하고,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전단에는, 루트면 없이 컷아웃함으로써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선(12B7, 13B7)을 각각 설치하며,
    상기 버킷 연결 보스(20)의 좌, 우의 플랜지부(20B, 20C)의 후단에는, 루트면 없이 컷아웃함으로써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선(20B1, 20C1)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의 개선(12B7, 13B7)과 상기 좌, 우의 플랜지부(20B, 20C)의 개선(20B1, 20C1)을 맞댐으로써, 루트면이 없고 또한 갭이 없는 V형 개선(20D, 20E)을 형성하며,
    당해 V형 개선(20D, 20E)의 위치에서 상기 좌, 우의 측판(12, 13)과 상기 좌, 우의 플랜지부(20B, 20C)의 사이에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용접 비드(20F, 20G)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
  9.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전단과 상기 앞쪽 얇은 상판(14B)의 후단에는, 루트면 없이 컷아웃함으로써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선(14A3, 14B3)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14A)의 개선(14A3)과 상기 앞쪽 얇은 상판(14B)의 개선(14B3)을 맞댐으로써, 루트면이 없고 또한 갭이 없는 V형 개선(14C)을 형성하며,
    당해 V형 개선(14C)의 위치에서 상기 뒤쪽 두꺼운 상판(14A)과 상기 앞쪽 얇은 상판(14B)의 사이에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용접 비드(14D)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
  10.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전단과 상기 앞쪽 얇은 하판(15B)의 후단에는, 루트면 없이 컷아웃함으로써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선(15A3, 15B3)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15A)의 개선(15A3)과 상기 앞쪽 얇은 하판(15B)의 개선(15B3)을 맞댐으로써, 루트면이 없고, 또한 갭이 없는 V형 개선(15C)을 형성하며,
    당해 V형 개선(15C)의 위치에서 상기 뒤쪽 두꺼운 하판(15A)과 상기 앞쪽 얇은 하판(15B)의 사이에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용접 비드(15D)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V형 개선(12C, 13C, 14C, 15C, 20D, 20E)의 개선 각도는, 43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로 설정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4)의 후부측의 외면(14A4)에는, 상기 좌, 우 방향으로 한 쌍의 버킷 실린더 브래킷(23)과 상기 상판(14)의 용접부를 둘러싸도록 평판 형상의 보조 용접 부재(24)를 설치하고,
    당해 보조 용접 부재(24)의 주위에 필렛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용접 비드(26)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붐 연결 보스(18)와, 상기 상판(14)의 내면측이고 상기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에 설치된 연결 핀(10A)의 위치보다 전측의 위치의 사이에, 보강용의 내부 격벽(19)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 용접 부재(24)의 후단(24C)은, 상기 내부 격벽(19)의 상단 위치보다 후측까지 연장시키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4)의 외면(14A)에 있어서 상기 버킷 실린더 브래킷(23)과 상기 보조 용접 부재(24)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25)은, 상기 버킷 실린더 브래킷(23)의 용접 비드(26A)와, 상기 보조 용접 부재(24)의 용접 비드(26B)에 의해 매립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접 부재(24)는, 평면에서 보아 M자형으로 형성하고,
    당해 M자형 보조 용접 부재(24)의 전부측에는, 후방을 향해 오목 형상으로 컷아웃한 컷아웃부(24B)를 설치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아암.
KR1020137030711A 2011-05-19 2012-05-16 건설 기계용 아암 KR101821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12820A JP5562903B2 (ja) 2011-05-19 2011-05-19 建設機械用アーム
JP2011112821A JP5511732B2 (ja) 2011-05-19 2011-05-19 建設機械用アーム
JPJP-P-2011-112825 2011-05-19
JPJP-P-2011-112821 2011-05-19
JPJP-P-2011-112820 2011-05-19
JP2011112825A JP5595974B2 (ja) 2011-05-19 2011-05-19 建設機械用アーム
PCT/JP2012/062514 WO2012157675A1 (ja) 2011-05-19 2012-05-16 建設機械用ア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290A true KR20140027290A (ko) 2014-03-06
KR101821273B1 KR101821273B1 (ko) 2018-01-23

Family

ID=4717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711A KR101821273B1 (ko) 2011-05-19 2012-05-16 건설 기계용 아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55378B2 (ko)
EP (1) EP2711466B1 (ko)
KR (1) KR101821273B1 (ko)
CN (1) CN103547739B (ko)
WO (1) WO20121576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3001006B4 (de) * 2012-02-16 2021-06-1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tiel für Baumaschine
GB2518000B (en) * 2013-09-10 2017-05-31 Jc Bamford Excavators Ltd Welded component and method of fabrication
JP6232643B2 (ja) * 2014-06-05 2017-11-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ブーム
JP6178284B2 (ja) * 2014-06-13 2017-08-0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作業要素
KR101674736B1 (ko) * 2014-10-02 2016-1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공기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6507990B2 (ja) 2014-11-06 2019-05-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ア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433782B2 (ja) * 2014-12-24 2018-12-0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アームおよび建設機械用アームに用いるバケット連結ボスの交換方法
GB201506783D0 (en) * 2015-04-21 2015-06-03 Bamford Excavators Ltd A method of mounting an attachment
DE102016112748A1 (de) 2016-07-12 2018-01-18 Schwing Gmbh Großmanipulator mit gewichtoptimiertem Knickmast
JP6829674B2 (ja) * 2017-09-25 2021-02-10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作業腕
CN115218739B (zh) * 2022-06-29 2023-10-10 湖南金石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对孔机械手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2295A (en) * 1974-05-28 1975-09-02 Caterpillar Tractor Co Boom construction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S6127199A (ja) * 1984-07-17 1986-02-06 Nippon Steel Corp 片面溶接用裏当材
JPH1110383A (ja) * 1997-06-17 1999-01-19 Komatsu Ltd 溶接部材及びその溶接部成形方法
DE19882546T1 (de) * 1997-07-15 2000-07-27 Komatsu Mfg Co Ltd Konstruktion für den Arbeitsmechanismus eines Löffelbaggers sowie Herstellverfahren hierfür
JP2000248576A (ja) * 1999-03-03 2000-09-1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作業腕構造
JP2003034946A (ja) * 2001-07-23 2003-02-07 Kubota Corp 掘削作業機のアーム補強構造
US7165929B2 (en) * 2001-12-20 2007-01-23 Caterpillar Inc Load bearing member arrangement and method
JP4030833B2 (ja) 2002-01-04 2008-01-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の長尺構造部材
JP2004270269A (ja) * 2003-03-07 2004-09-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作業腕駆動用シリンダのブラケット
CN1530496B (zh) 2003-03-10 2010-04-21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建筑机械的履带构架
KR100613743B1 (ko) * 2003-06-30 2006-08-22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용 작업 암 및 그 제조 방법
JP2005029984A (ja) * 2003-07-08 2005-02-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作業腕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13819A (ja) * 2004-01-28 2005-08-1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作業腕
JP4695355B2 (ja) 2004-07-15 2011-06-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接部疲労強度に優れる建設機械のブーム・アーム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48080B2 (ja) 2006-08-11 2012-06-06 株式会社クボタ ブーム
US8610031B2 (en) * 2009-11-11 2013-12-17 Lincoln Global, Inc. Method of arc welding root pass
CN201574412U (zh) * 2009-12-31 2010-09-08 斗山工程机械(中国)有限公司 一种挖掘机动臂加强结构及挖掘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1466B1 (en) 2018-02-21
EP2711466A4 (en) 2015-05-20
KR101821273B1 (ko) 2018-01-23
WO2012157675A1 (ja) 2012-11-22
EP2711466A1 (en) 2014-03-26
CN103547739A (zh) 2014-01-29
CN103547739B (zh) 2016-06-08
US9255378B2 (en) 2016-02-09
US20140010624A1 (en)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7290A (ko) 건설 기계용 아암
JP5937626B2 (ja) 建設機械用アーム
KR20140027288A (ko) 건설 기계용 아암
EP1640511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working arm of a construction machine.
WO2010007870A1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08050807A (ja) 溶接構造体
JP5562903B2 (ja) 建設機械用アーム
KR20130135229A (ko) 건설 기계의 선회 프레임
JP5511732B2 (ja) 建設機械用アーム
JP4938637B2 (ja) 平板材間の溶接継手および箱型構造体間の溶接継手
JP2013147794A (ja) 建設機械用アーム
WO2012157673A1 (ja) 建設機械用アーム
JP5595974B2 (ja) 建設機械用アーム
JP2012021336A (ja) 建設機械のアーム及びその製作方法
KR102131317B1 (ko) 유압 셔블의 작업기, 및 유압 셔블의 작업기의 제조 방법
JP2008081018A (ja) 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1323496A (ja) 建設機械の缶組構造物の板継ぎ構造
JP2010042800A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17214715A (ja) 建設機械用作業腕
JP2001311181A (ja) 作業機械のスイングポスト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