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759A -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759A
KR20140019759A KR1020130093562A KR20130093562A KR20140019759A KR 20140019759 A KR20140019759 A KR 20140019759A KR 1020130093562 A KR1020130093562 A KR 1020130093562A KR 20130093562 A KR20130093562 A KR 20130093562A KR 20140019759 A KR20140019759 A KR 20140019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double
adhesive sheet
adhesive layer
side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211B1 (ko
Inventor
마사히토 니와
나오아키 히구치
에이지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8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8Spheres
    • C08L2205/20Hollow 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 접착력 및 내낙하충격 특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100)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9 내지 30질량%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갖는 점착제층(11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 기기{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 가지 기술분야에 있어서, 양면 점착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의 분야에 있어서, 각종 부재간의 고정에 양면 점착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그 일례로서,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휴대 전자 기기의 표시부를 보호하는 보호 패널(렌즈)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는, 보호 패널과 하우징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 부재에 접착함과 함께 이들 부재끼리를 서로 고정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08314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양면 점착 시트에는, 휴대 전자 기기가 변형되지 않은 통상의 사용 상태뿐만 아니라, 휴대 전자 기기가 외력을 받아서 왜곡(변형)이 발생한 상태에서도, 상기 부재끼리를 양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접착력이 요구되고 있다. 각 부재에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이용자가 휴대 전자 기기를 바지 뒤 포켓에 수납한 상태에서 의자에 앉거나 해서, 상기 휴대 전자 기기가 이용자의 둔부에서 압박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양면 점착 시트에는, 부재끼리를 계속해서 고정하는 접착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휴대 전자 기기의 표시부가 대형화(대면적화)되고 있는 것 등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에 의해 고정해야 할 부품도 대형화되고 있다. 즉, 양면 점착 시트가 고정되어 지지해야만 하는 부재의 질량이, 최근 들어, 증가 경향에 있다. 또한, 디자인성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양면 점착 시트의 접착 면적(고정 면적)이, 부재의 대형화에 반하여, 협소화되는 경향도 있다. 따라서, 양면 점착 시트에는, 작은 접착 면적으로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정에 의해, 최근 들어, 이러한 종류의 양면 점착 시트에는, 더 높은 접착력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양면 점착 시트에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접착력 이외의 접착 성능으로서, 휴대 전자 기기의 낙하 시에 순간적으로 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고정되어 있는 부재를 탈락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내낙하충격 특성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를 해결하여,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가압 접착력 및 내낙하충격 특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시트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9 내지 30질량%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갖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가, 우수한 가압 접착력을 구비함과 함께, 우수한 내낙하충격 특성을 구비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는,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 고정에 사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테이프 형상, 스트립 형상, U자 형상, L자 형상 및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극성 단량체가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및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기포의 함유율이 3체적%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90㎛ 내지 1,500㎛인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열 발포제를 더 함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가 상기 양면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고정된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있어서의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가압 접착력 및 내낙하충격 특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시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양면 점착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가압 접착력을 측정할 때에 사용하는 평가용 샘플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가압 접착력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내낙하충격 특성을 평가할 때에 사용하는 평가용 샘플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내낙하충격 특성의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양면 점착 시트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이하,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적어도 1층 갖는 양면 점착 시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양면 점착 시트」는, 「양면 점착 테이프」, 「양면 점착 필름」 등으로 상이한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표현을 「양면 점착 시트」로 통일한다. 또한,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표면을, 「점착면」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로서는, 기재(지지체)를 구비하지 않은, 소위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이어도 되고, 기재를 구비하고 있는, 소위 기재 부착 양면 점착 시트이어도 된다. 상기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점착제층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를 들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기재 부착 양면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의 양면측에 각각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를 들 수 있다. 단, 상기 기재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기재 이외의 기재(기포 등의 중공부를 포함하지 않는 비발포체 기재)가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이나 기재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다른층(예를 들어, 중간층, 하도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로서는, 우수한 가압 접착력 및 내낙하충격 특성 등을 발휘하기 쉬운 등의 관점으로부터, 점착제층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위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다. 이하, 양면 점착 시트가 구비하는 점착제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크릴계 점착제층)
점착제층은, 양면 점착 시트의 점착면을 제공하는 층이며, 주로, 아크릴계 중합체(A)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점착제층 중에는,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성분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하, 아크릴계 중합체(A) 및 그 밖의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크릴계 중합체(A)>
점착제층은, 베이스 중합체(주성분)로서, 아크릴계 중합체(A)를 포함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 중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5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하이다.
아크릴계 중합체(A)는 극성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9 내지 30질량% 포함한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a1)(이하,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a1)라고 칭함)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
아크릴계 중합체(A) 중에 포함되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a1)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비율(질량%)은 65 내지 91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8 내지 91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1질량%이다.
또한,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a1)의 사용량(질량%)은 아크릴계 중합체(A)의 형성에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의 질량에 대하여, 65 내지 91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8 내지 91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1질량%이다.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a1)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a1)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a1)로서는, 탄소수가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n-부틸(BA), 아크릴산 2-에틸헥실(2EHA), 아크릴산 이소옥틸, 아크릴산 이소노닐 등을 들 수 있다.
극성 단량체(a2)는 적어도 극성기를 1종 가짐과 함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단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크릴계 중합체(A) 중에 포함되는, 극성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질량의 비율(질량%)이 9 내지 30질량%이면, 얻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점착제층)의 가압 접착력 및 내낙하충격 특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극성 단량체(a2)의 사용량(질량%)은 아크릴계 중합체(A)의 형성에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의 질량에 대하여 9 내지 30질량%이다.
극성 단량체(a2)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이들의 산 무수물(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 함유 단량체)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6-히드록시헥실,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등의 수산기(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 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메틸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등의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 비닐술폰산 나트륨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극성 단량체(a2)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극성 단량체(a2)로서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및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AA),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HEA), N-히드록시에틸 아크릴아미드(HEAA), N-비닐-2-피롤리돈(NVP)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로서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산성기 함유 단량체와,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및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염기성기 함유 단량체를 병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는 공중합성 단량체의 1종이며,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a3)(이하, 다관능성 단량체(a3)라고 칭함)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해도 된다.
다관능성 단량체(a3)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a3)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a3)로서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중합체(A) 중에 포함되는, 다관능성 단량체(a3)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질량의 비율(질량%)은 0.01 내지 0.5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3질량%이다. 다관능성 단량체(a3)의 상기 비율이, 0.01 내지 0.5 질량%이면, 적당한 점착제층의 응집성이 얻어져, 가압 접착력 및 내낙하충격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관능성 단량체(a3)의 사용량(질량%)은 아크릴계 중합체(A)의 형성에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의 질량에 대하여 0.01 내지 0.5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3질량%이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 중에 다관능성 단량체(a3)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포함되어 있으면, 아크릴계 중합체(A)는 가교형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게 되어, 점착제층의 응집성이나, 접착력 등이 향상된다.
또한, 다관능성 단량체(a3) 이외의 공중합성 단량체를, 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나,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상기 (a1) 이외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 또는 디엔류, 비닐알킬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 중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중합체(A)의 함유량(질량%)은 50 내지 100질량%이다.
아크릴계 중합체(A)는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괴상 중합법, 광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중합체(A)의 제조 시에,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예를 들어, 자외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합 시간의 단축 등의 이점을 갖는 것으로부터,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경화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광중합 개시제가 배합된 단량체 조성물에, 활성 에너지선(예를 들어, 자외선)을 조사하여, 단량체를 중합시킴으로써, 아크릴계 중합체(A)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의 제조 시에, 중합 개시제와 함께, 점착제층에 포함시키는 그 밖의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의 제조에 이용되는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 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 발레리안산, 아조비스이소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 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 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이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 이소부틸아미딘)디히드로 클로라이드 등],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디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퍼말레에이트, 과산화 라우로일 등),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열중합 개시제로서 이용 가능한 범위이면 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옥시드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BASF사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BASF사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BASF사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2959],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BASF사제, 상품명: 다로큐어―1173], 메톡시 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 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이 포함된다. 상기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이 포함된다. 상기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 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이 포함된다. 상기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이 포함된다. 상기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 티오크산톤 등이 포함된다.
상기 아실포스핀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n-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t-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 시클로헥실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 옥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부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4-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펜톡시 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 벤질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 벤질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 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벤질부틸 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벤질옥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이소프로필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메틸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4-메틸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에틸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3,5,6-테트라메틸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n-부톡시페닐 포스핀옥시드,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이소부틸 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2,4,6-트리메틸벤조일-n-부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부톡시페닐 포스핀옥시드, 1,10-비스[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옥시드]데칸, 트리(2-메틸벤조일) 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광중합 반응에 의해 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3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질량부이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0.01 내지 5질량부이면, 충분히 중합 반응을 행할 수 있고, 생성하는 중합체의 분자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확보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활성화 시에는, 활성 에너지선을, 광중합 개시제가 배합된 단량체 조성물에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적합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 조사시간, 조사 방법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광중합 개시제를 활성화시켜서, 단량체 성분의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된다.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예를 들어 100,000 내지 5,000,000이다.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HPLC8020에, 칼럼으로서 TSKgelGMH-H(20)×2개를 사용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로 유속 0.5ml/분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그 밖의 성분>
[아크릴계 중합체(B)]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A) 이외의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중합체(B)를 포함해도 된다. 이 아크릴계 중합체(B)는 아크릴계 중합체(A)보다도 중량 평균 분자량이 작은 중합체이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등의 탄소수가 1 내지 12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나,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나 (메트)아크릴산 이소보르닐 등의 (메트)아크릴산의 지환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페닐, (메트)아크릴산 벤질 등의 (메트)아크릴산 아릴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계 중합체(B)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단량체 단위)으로서는,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예를 들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 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DCPMA), 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레이트(DCPA))나, 탄소수가 1 내지 12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등의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B)는 상술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에,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공유 합성 단량체를 공중합시켜서 얻는 것도 가능하다.
아크릴계 중합체(B)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질량의 비율(질량%)은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질량%이다.
또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사용량(질량%)은 아크릴계 중합체(B)의 형성에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의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질량%이다.
아크릴계 중합체(B)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IBMA)의 공중합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IBXMA)의 공중합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아크릴로일모르폴린(ACMO)의 공중합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디에틸 아크릴아미드(DEAA)의 공중합체, 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DCPMA)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크릴계 중합체(B) 중에 있어서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예를 들어, CHMA, DCPMA)의 질량의 비율(질량%)은 50 내지 85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질량%이다.
또한,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사용량 (질량%)은 아크릴계 중합체(B)의 형성에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의 질량에 대하여, 50 내지 85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질량%이다.
아크릴계 중합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30,0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1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0,000이다.
아크릴계 중합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이면, 아크릴계 중합체(A)와의 상용성이 확보되고,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점착 성능(접착 성능)이나 보유 성능이 확보된다.
아크릴계 중합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HPLC8020에, 칼럼으로서 TSKgelGMH-H(20)×2개를 사용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로 유속 0.5ml/분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아크릴계 중합체(B)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질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질량부이다. 아크릴계 중합체(B)의 사용량이 10 내지 40질량부이면, 아크릴계 중합체(A)와의 상용성이 확보되어,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점착 성능(접착 성능)이나 보유 성능이 확보된다.
아크릴계 중합체(B)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40 내지 300℃가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Tg)가 40 내지 300℃이면, 실온 이상에서의 응집력이 확보되어, 보유 성능이나 고온 접착 성능도 확보된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B)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문헌, 카탈로그 등에 기재된 공칭값이나, 하기 식(Fox식)에 기초하는 계산값에 의해 구해진다.
<식> 1/Tg=Σ(Wi/Tgi)
상기 식 중, Tg는, 아크릴계 중합체(B)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Tgi는, 단량체 i로 이루어지는 호모 폴리머(단독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Wi는, 단량체 i의 전체 단량체 성분 중의 질량 분율을 나타낸다(i=1, 2, … n). 또한, 상기 식은, 아크릴계 중합체(B)가 단량체 1, 단량체 2, … 단량체 n의 n종류의 단량체 성분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계산식이다.
아크릴계 중합체(B)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단량체 성분을, 용액 중합법이나 벌크 중합법, 유화 중합법,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의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B)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그 중합계 중에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사용하는 연쇄 이동제의 예로서는, 옥틸메르캅탄, 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등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화합물;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에틸, 티오글리콜산 프로필, 티오글리콜산 부틸, 티오글리콜산t-부틸, 티오글리콜산 2-에틸헥실, 티오글리콜산 옥틸, 티오글리콜산 데실, 티오글리콜산 도데실, 에틸렌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 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의 티오글리콜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 중에서, 특히, 티오글리콜산류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아크릴계 중합체(B)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연쇄 이동제를 0.1 내지 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질량부 사용된다. 이렇게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을 조정함으로써, 적합한 분자량의 아크릴계 중합체(B)를 얻을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B)를 점착제층 중에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A)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량체 조성물 중에, 중합 개시제와 함께, 아크릴계 중합체(B)를 혼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수소 첨가형 점착 부여 수지]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A) 이외의 성분으로서, 수소 첨가형 점착 부여 수지 등의 각종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수소 첨가형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석유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로진계 수지, 알킬페놀 수지, 크실렌 수지 등의 점착 부여 수지에 수소 첨가한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 첨가형 석유계 수지로서는, 방향족 계,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지방족계, 방향족-디시클로펜타디엔 공중합계 등으로부터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수소 첨가형 테르펜계 수지로서는, 테르펜페놀 수지, 방향족 테르펜 수지 등으로부터 적절히 선택된다. 이들 중에서도, 수소 첨가형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특히, 수소 첨가형 석유계 수지, 또는 수소 첨가형 테르펜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 첨가형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은 80 내지 200℃가 바람직하고, 100 내지 2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소 첨가형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이 80 내지 200℃이면, 높은 응집력이 얻어진다.
수소 첨가형 점착 부여 수지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질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질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질량부이다. 수소 첨가형 점착 부여 수지의 사용량이 1 내지 50질량부이면,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확보되면서, 점착제층의 점착 성능(접착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출시되어 있는 수소 첨가형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알콘 P125(수소 첨가형 석유계 수지)」(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YS 폴리스터 TH130(수소 첨가형 테르펜페놀 수지)」(야스하라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A) 이외의 성분으로서,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첨가제는, 필요에 따라, 보강성, 가공성, 취급성, 접착성 등의 다양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점착제층에 배합된다. 첨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구리, 니켈, 알루미늄, 크롬,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분, 탄산칼슘(예를 들어, 중질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탄산염,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 탈크, 운모, 클레이, 벤토나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산화티타늄, 중공 미소 구상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중공 미소 구상체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계의 중공 미소 구상체나, 유기계의 중공 미소 구상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인 무기계의 중공 미소 구상체로서는, 예를 들어 중공 유리 벌룬 등의 유리로 만든 중공 벌룬, 중공 알루미나 벌룬 등의 금속 화합물제의 중공 벌룬, 중공 세라믹 벌룬 등의 자기제 중공 벌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유기계의 중공 미소 구상체로서는, 예를 들어 중공 아크릴 벌룬, 중공 염화 비닐리덴 벌룬 등의 수지제 중공 벌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공 미소 구상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중공 미소 구상체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특히, 자외선)에 의한 중합 효율이나, 가중치 등의 관점에서, 무기계의 중공 미소 구상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중공 유리 벌룬이 바람직하다. 중공 미소 구상체로서, 중공 유리 벌룬을 사용하면, 전단력, 보유 지지력 등의 다른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점착제층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출시되어 있는 중공 유리 벌룬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후지 벌룬 H-40」(후지 시리시아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Sphericel(등록 상표) 25P45(규산염 유리)」(포타즈 바로티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공 미소 구상체의 표면에는, 각종 표면 처리(예를 들어, 실리콘계 화합물이나 불소계 화합물 등에 의한 저표면 장력화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첨가제의 입경(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 내지 5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0㎛이다.
첨가제의 비중(진밀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g/㎤ 내지 5.0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g/㎤ 내지 3.0g/㎤이다. 첨가제(특히, 중공 미소 구상체)의 비중이 0.1g/㎤ 내지 3.0g/㎤이면,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 중에 배합할 때의 부상이 억제되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첨가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0질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0질량부이다. 첨가제의 사용량이, 0.1 내지 100질량부이면,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 중에 혼합·분산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에는, 사용 시에 있어서의 재접합성(리페어 작업성)이나, 접합부의 분리·해체성(박리 용이성)을 양면 점착 시트에 갖게 하기 위해서, 열 발포제가 배합되어도 된다. 열 발포제로서는, 예를 들어 열팽창성을 갖는 미소구(이하, 열팽창성 미소구)가 바람직하다.
열팽창성 미소구는, 가열에 의해 팽창 및/또는 발포되는 미소구이다. 점착제층이 열팽창성 미소구를 포함함으로써, 가열 시에 있어서 피착체와, 양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의 계면에서, 분리 내지 해체되는 특성이 얻어진다. 이러한 특성은, 가열에 의해, 점착제층 중의 열팽창성 미소구가 팽창 및/또는 발포되고, 점착제층이 팽창 변형됨으로써 요철 형상으로 변형되어, 피착체와 점착제층의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되는 것에 의한다. 또한, 상기 특성은, 피착체의 소재의 종류에 따라서는, 가열에 의해, 점착제층 중의 열팽창성 미소구가 팽창 및/또는 발포되어 점착제층이 팽창 변형됨으로써, 점착제층의 접착력의 저하나 접착력의 상실이 발생하여, 피착체와 점착제층의 계면에서 박리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가열 처리는, 예를 들어 핫 플레이트, 열풍 건조기, 근적외선 램프, 에어 드라이어 등 가열 수단을 적절히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열팽창성 미소구의 팽창 개시 온도 이상이면 되지만, 피착체의 표면 상태나, 미소구의 종류 등, 피착체 등의 내열성, 가열 방법(열용량, 가열 수단 등) 등에 의해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가열 처리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온도 100 내지 250℃에서, 5 내지 90초간(핫 플레이트 등), 또는 5 내지 15분간(열풍 건조기 등)이다.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열팽창성 미소구로서는, 가열에 의해 팽창 및/또는 발포되는 성질을 구비하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공지된 열팽창성 미소구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들 중에서도, 마이크로 캡슐화되어 있는 열팽창성 미소구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캡슐화되어 있는 열팽창성 미소구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부탄, 프로판, 펜탄 등의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가스화하여 팽창하는 물질을, 탄성을 갖는 껍데기 내에 내포시킨 미소구를 들 수 있다.
열팽창성 미소구의 껍데기는, 통상, 열가소성 물질, 열용융성 물질 및 열팽창에 의해 파열되는 물질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열팽창성 미소구의 껍데기를 형성하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 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술폰 등을 들 수 있다. 열팽창성 미소구는, 관용의 방법(예를 들어, 코아세르베이션법, 계면 중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열팽창성 미소구로서는, 열팽창성 미소구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열팽창성 미소구의 시판품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품명 「마쯔모또 마이크로스피어 F-30D」, 「마쯔모또 마이크로스피어 F-50D」, 「마쯔모또 마이크로스피어 F-80SD」, 「마쯔모또 마이크로스피어 F-48D*」(이상, 마쯔모또 유시 세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엑스팬슬 051DU40」(EXPANCEL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열팽창성 미소구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분산성이나 박층 형성성 등의 점에서, 예를 들어, 1㎛ 내지 80㎛가 바람직하고, 3㎛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열팽창성 미소구로서는, 가열 처리에 의해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효율적으로 저하시키기 위해서, 체적 팽창률이 5배 이상, 특히 10배 이상으로 될 때까지 파열되지 않는 적당한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낮은 팽창률에서 파열되는 미소구를 사용한 경우나, 마이크로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미소구를 사용한 경우에는, 점착제층과 피착체의 점착 면적이 충분히 저감되지 않고 양호한 박리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나, 가열에 의해 분리·해체되는 특성(예를 들어, 점착제층과 박리성 필름층의 계면에서 해체되는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열팽창성 미소구의 배합량은, 그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내지 2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8 내지 12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100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15 내지 70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20 내지 50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팽창성 미소구의 배합량이 이러한 범위이면, 응집 파괴를 발생하지 않고, 가열 처리 후의 점착제층을 충분히 팽창 변형시켜, 가열에 의한 분리·해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그 밖의 열 발포제로서는, 예를 들어 여러 가지 무기계 발포제나 유기계 발포제를 들 수 있다. 무기계 발포제의 대표예로서는,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아질산암모늄, 수소화붕소나트륨, 아지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계 발포제의 대표예로서는, 물;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등의 염불화 알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바륨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의 아조계 화합물; 파라톨루엔 술포닐히드라지드나 디페닐술폰-3,3'-디술포닐히드라지드, 4,4'-옥시비스(벤젠술포닐 히드라지드), 알릴 비스(술포닐히드라지드) 등의 히드라진계 화합물; p-톨루일렌술포닐 세미카르바지드, 4,4'-옥시비스(벤젠술포닐 세미카르바지드) 등의 세미카르바지드계 화합물; 5-모르포릴-1,2,34-티아트리아졸 등의 트리아졸계 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등의 N-니트로소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열 발포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에는, 필요에 따라 발포 보조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가교제]
점착제층은, 양면 점착 시트의 용도 등에 따라, 아크릴계 중합체(A) 이외의 성분으로서, 가교제를 포함해도 된다. 가교제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조정하거나 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가교제로서, 예를 들어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실리콘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알킬에테르화 멜라민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적합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과의 어덕트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비스페놀 A, 에피클로로히드린형 에폭시계 수지, 에틸렌 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 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아민글리시딜 아민,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및 1,3-비스(N,N'-디아민글리시딜 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또한, 점착제층에는,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가교 촉진제, 실란 커플링제, 노화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가소제, 연화제, 대전 방지제, 용제 등이 첨가되어도 된다. 이들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착색제는, 광학 특성(예를 들어, 차광성), 의장성 등을 부여할 목적으로, 점착제층에, 적절히 배합되어도 된다. 특히, 점착제층에 차광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흑색 안료인 카본 블랙(예를 들어,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퍼니스 블랙, 채널 블랙, 서멀 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질량부이다.
또한, 점착제층에는,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등의 다른 점착제가 함유되어도 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실질적으로 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
점착제층은, 바람직하게는 기포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포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기포를 능동적으로 점착제층에 형성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기포의 함유량은, 이상적으로는 제로가 된다. 또한, 실제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기포의 함유율은, 점착제층의 전체 부피(100 체적%)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체적%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체적% 이하이다. 점착제층 중에 기포가, 3체적% 이하이면, 점착제층이 단단해져, 변형에 대한 강도가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점착제층 중에 있어서의 기포의 함유율(체적%)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측정 방법)
(1) 점착제층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에의 대미지가 최대한 억제된 상태의 측정 샘플을 제작한다. 또한, 점착제층을 액체 질소에 침지한 후에, 상기 점착제층을 파단하여, 측정 샘플을 제작해도 된다.
(2) 이어서, 얻어진 측정 샘플의 단면(절단면, 파단면)을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가부시끼가이샤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제, 형식: S-4800)에 의해 100배로 확대 표시한다.
(3) 그리고, 확대 표시된 상기 단면에 있어서, (폭 1㎜)×(점착제층의 두께)로 둘러싸인 사각형 부분을 기준 면적 S1로 하고, 그 S1 중에 포함되는 기포 부분의 합계 면적 S2를 구한다.
(4) (S2/S1)×100에 의해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기포율(%)이 구해진다.
(5) 상술한 (1) 내지 (4)의 조작을 반복하여, 점착제층을 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전부 5개소 샘플링하고, 얻어진 각 기포율의 평균값을, 점착제층 중에 있어서의 기포의 함유율(체적%)로서 채용한다.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에 이용되는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각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량체 조성물과, 상기 단량체 성분을 중합시키기 위한 중합 개시제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그 밖의 성분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상기 중합 개시제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소위 무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이며, 상기 단량체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중합 개시제 등이 혼합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상기 단량체 조성물은, 통상,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a1), 극성 단량체(a2) 등의 각 단량체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량체 조성물은, 단량체 성분의 종류나 조성비 등에 의해 상이하지만, 통상은, 액상을 이루고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단량체 조성물의 점도를 높게 하여, 작업성(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 단량체 조성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단량체 성분을 부분적으로 중합하여, 부분 중합체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부분 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단량체 조성물은, 시럽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미반응된 단량체 성분은, 상기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 제조된 후, 적절히 중합된다.
상기 부분 중합체의 중합에는,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A)의 항목에 있어서 예시한, 각종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광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상기 단량체 조성물 중의 단량체 성분을 적절히 중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부분 중합체의 중합률은, 예를 들어 5 내지 15질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질량%로 조절된다. 상기 부분 중합체의 중합률은, 예를 들어 상기 단량체 조성물의 점도와 상기 부분 중합체의 중합률의 상관 관계를 미리 파악해 두고, 그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단량체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 중합체는, 최종적으로, 아크릴계 중합체(A)의 일부로서, 점착제층 중에 포함되게 된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다관능성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다관능성 단량체는, 상기 부분 중합체가 형성되기 전의 상기 단량체 조성물에 배합되어도 되고, 상기 부분 중합체가 형성된 후의 상기 단량체 조성물에 배합되어도 된다. 단, 가교형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고, 점착제층의 응집성을 확실하게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다관능성 단량체는, 상기 부분 중합체가 형성된 후의 상기 단량체 조성물에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된 후의 상기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기재나 박리 라이너 등의 적당한 지지체 상에 층상으로 도포된다. 그 후, 층상의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경화 공정이 실시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경화 공정 전후에, 건조 공정이 실시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중합 개시제로서 열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열에 의해 중합 반응이 개시되어 경화된다. 이에 반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중합 개시제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중합 반응이 개시되어, 경화(광경화)된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층상의 점착제 조성물의 편면측으로부터 행해도 되고, 양면측으로부터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경화되면,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에 이용 가능한, 점착제층이 얻어진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광경화)를 행할 때, 중합 반응이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공지 내지 관용의 산소 차단 방법(예를 들어, 층상의 상기 점착제 조성물(점착제층) 상에 박리 라이너나 기재 등의 적당한 지지체를 접합하는 것, 질소 분위기 하에서 광경화 반응을 행하는 것)이 적절히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도포 시공)에는, 공지 내지 관용의 코팅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코터(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은,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상술한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이외의 점착제 조성물(예를 들어,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에멀전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점착제층의 두께)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높은 가압 접착력, 우수한 내충격 특성의 확보 등의 관점에서, 90㎛ 내지 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8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600㎛,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400㎛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90㎛ 내지 1,500㎛이면, 접착면에의 추종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가 90㎛ 내지 800㎛이면, 양면 점착 시트의 제작의 용이성(반응성을 포함함)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특히, 점착제층의 두께가, 90㎛ 내지 600㎛이면, 점착제층이 왜곡되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표면(점착면)은, 사용시까지는, 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양면 점착 시트는, 각 점착면이 따로 따로의 박리 라이너에 의해 각각 보호되어도 되고, 롤 형상으로 권회되는 형태로 각 점착면이 1매의 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되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는 점착면의 보호재로서 사용되어 있고, 피착체에 부착할 때에 박리된다. 또한, 양면 점착 시트가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박리 라이너는 지지체로서의 역할도 담당한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반드시 양면 점착 시트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박리 라이너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박리 라이너로서는, 예를 들어 박리 처리층을 갖는 기재, 불소 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나 무극성 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처리층을 갖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 등의 박리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기재를 들 수 있다. 상기 불소 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에 있어서의 불소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극성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되는 상기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올레핀계 수지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나일론 필름 등의 폴리아미드 필름; 레이온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상질지, 일본 종이, 크라프트지, 글라신지, 합성지, 톱 코트지 등의 종이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공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종이류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의 두께 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
양면 점착 시트가 기재를 갖는 구성의 경우, 상기 기재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기재 이외의 기재(기포 등의 중공부를 포함하지 않는 비발포체 기재)가 사용된다. 상기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제의 기재(이하, 플라스틱 필름 기재)가 사용된다.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상품명 「아톤(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JSR제)」, 상품명 「제오노아(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닛본 제온제)」 등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란,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부착)할 때에 점착제층과 함께, 피착체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양면 점착 시트의 사용시(부착시)에 박리되는 박리 라이너는, 상기 「기재」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양면 점착 시트)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는, 상술한 점착제층을, 적어도 1층 갖는 것이며,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양면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기재의 유무 등에 관계없이, 90㎛ 내지 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8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600㎛,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400㎛이다.
양면 점착 시트의 형상은,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양면 점착 시트의 구체적인 형상으로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예를 들어 테이프 형상(띠 형상), 스트립 형상, U자 형상(역ㄷ자 형상), L자 형상, 프레임 형상(루프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들 수 있다. 상기 테이프 형상(띠 형상)의 양면 점착 시트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폭이 좁은 형상이다. 상기 스트립 형상의 양면 점착 시트는, 통상, 상기 테이프 형상의 것보다도 길이가 짧은 폭이 좁은 형상이며, I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U자 형상의 양면 점착 시트는, 스트립 형상의 양면 점착 시트의 양단에, 다른 스트립 형상의 양면 점착 시트가 각각 1개씩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U자 형상의 양면 점착 시트로서는, 코너부가 라운딩 처리된 것이어도 되고, 코너부가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 것(소위, 역ㄷ자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L자 형상의 양면 점착 시트는, 2개의 상기 스트립 형상의 양면 점착 시트가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 형상이다. 상기 프레임 형상의 양면 점착 시트는, 폭이 좁은 선상 부분이 환상으로 이음매가 없는 상태로 연결된 형상이다. 상기 프레임 형상으로서는, 코너부가 라운딩 처리되어 있어도 되고, 코너부가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프레임 형상의 전형예로서는, 4개의 폭이 좁은 선상 부분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이음매가 없는 상태로 연결된 형상이다.
양면 점착 시트가,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한 형태(형상)로서는, 선 폭이 0.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내지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태블릿 PC 등의 중형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한 형태(형상)로서는, 선 폭이 0.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내지 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압 접착력)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는, 25.0N/㎠ 이상, 바람직하게는 28.0N/㎠ 이상의 가압 접착력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압 접착력은, 예를 들어 「가로: 40㎜, 세로: 60㎜, 폭: 1㎜의 창틀 형상의 양면 점착 시트에 의해, 소정의 압축 하중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판과 아크릴판을 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측정 샘플에서, 아크릴판을 10㎜/min으로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아크릴판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아크릴판과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이 분리될 때까지의 최대 응력」이라고 정의된다.
양면 점착 시트가, 이렇게 정의되는 가압 접착력을 25.0N/㎠ 이상 구비하고 있으면, 예를 들어 양면 점착 시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부재끼리가 외력을 받아서 상기 부재에 휨이나 왜곡 등의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양면 점착 시트는, 상기 부재끼리를 계속해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내낙하충격 특성)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는, 상온(23℃) 조건 하에 있어서의 내낙하충격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내낙하충격 특성이란, 양면 점착 시트가 내장된 장치(예를 들어, 휴대 전자 기기)가 낙하에 의해 충격을 받았을 때에, 그 충격에 의해 접합된 부재간의 탈락에 의한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운 특성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는, 내낙하충격 특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 전자 기기의 낙하시에 순간적으로 큰 충격을 받아도,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일, 또는 양면 점착 시트(점착제층) 자체가 파괴되는 일이 억제되어, 고정되어 있는 부재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그 밖의 특성)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는, 절단(타발) 가공성, 작업성(취급성), 접착성(피착체에 대한 접착성), 내구성, 내후성 등의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는, 여러가지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양면 점착 시트의 용도)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나 각 모듈을 고정할 때에 이용된다. 이러한 휴대 전자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PHS, 스마트폰, 태블릿(태블릿형 컴퓨터), 모바일 컴퓨터(모바일PC), 휴대 정보 단말기(PDA), 전자 수첩, 휴대형 텔레비전이나 휴대형 라디오 등의 휴대형 방송 수신기, 휴대형 게임기, 포터블 오디오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의 카메라, 캠코더형 비디오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양면 점착 시트의 구체적인 사용 형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렌즈(특히 유리 렌즈)의 하우징에의 고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우징에의 고정, 시트 형상 키보드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의 하우징에의 고정, 정보 표시부의 보호 패널과 하우징의 접합, 하우징끼리의 접합, 하우징과 장식용 시트의 접합,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나 모듈의 고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렌즈」는, 광의 굴절 작용을 나타내는 투명체 및 광의 굴절 작용이 없는 투명체의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렌즈」에는, 굴절 작용이 없는 단순한 창 패널도 포함된다.
또한,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바람직한 휴대 전자 기기의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광학 부재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면 점착 시트는,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광학 부재끼리의 부착,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광학 부재의 하우징에의 고정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광학 부재란, 광학적 특성(예를 들어, 편광성, 광 굴절성, 광 산란성, 광 반사성, 광 투과성, 광 흡수성, 광 회절성, 선광성, 시인성 등)을 갖는 부재를 말한다. 상기 광학 부재로서는, 광학적 특성을 갖는 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광판,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투명 도전 필름(ITO 포름), 의장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판, 프리즘, 렌즈, 컬러 필터, 투명 기판, 이들 적층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판」 및 「필름」은, 각각 판상, 필름 형상, 시트 형상 등의 휴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은, 「편광판」, 「편광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광학 부재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재료, 유리, 금속(금속 산화물을 포함함)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는, 플라스틱(특히, 아크릴이나 폴리카르보네이트)제의 광학 부재에 대하여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는, 특히, 우수한 가압 접착력을 구비함과 함께, 우수한 내낙하충격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는, 화면 면적이 작은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나 모듈 외에, 화면 면적이 35㎠ 이상(예를 들어, 35㎠ 내지 650㎠)인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나 모듈, 특히 화면 면적이 40㎠ 이상(예를 들어, 40㎠ 내지 650㎠)인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나 모듈의 고정이나 접합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는, 상술한 휴대 전자 기기 이외의 장치에 있어서, 각종 부품이나 각종 모듈을 고정하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상기 휴대 전자 기기 이외의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 입력 장치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럽I의 제작)
단량체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90질량부 및 아크릴산(AA) 10질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액상의 단량체 혼합물(단량체 조성물)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5질량부 및 상품명 「이르가큐어 184(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5질량부를 배합한 후, 점도(BH 점도계 No.5 로터, 10rpm, 측정 온도: 30℃)가 약 15Pa·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단량체 성분의 일부가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부분 중합체(중합률: 약 10질량%)를 포함하는 시럽I(2EHA/AA=90/10)을 얻었다.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시럽I의 100질량부에,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07질량부와, 중공 유리 벌룬(평균 입경 45㎛, 비중 0.25g/㎤, 상품명 「Sphericel(등록 상표) 25P45(규산염 유리)」(포타즈 바로티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9질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시럽의 혼합물을 얻었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산화 방지제로서, 상품명 「이르가녹스 1010」(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0.5질량부 첨가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1을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0.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0질량부).
(양면 점착 시트의 제작)
상기 점착제 조성물 1을, 박리 라이너의 박리 처리면에 도포하고, 도포층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도포층 상에 다른 박리 라이너를 도포층과 박리 라이너의 약리 처리면이 접하는 형태로 접합하였다. 또한, 박리 라이너로서는, 편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기재(상품명 「MRF」, 미쯔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또는, 상품명 「MRN」, 미쯔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도포층을, 조도 5mW/㎠의 자외선을 양면으로부터 3분간 조사하고,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켜서, 두께 200㎛의 점착제층(감압 접착제층)을 얻었다. 또한, 자외선의 발생원으로서, 도시바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외선의 조도는, UV 체커(상품명 「UVR-T1」, 가부시끼가이샤 탑콘제, 최대 감도: 350㎚로 측정)를 사용하여 조절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실시예 1의 양면 점착 시트(박리 라이너(120)/점착제층(110)/박리 라이너(130)의 적층 구조를 갖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100)를 얻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양면 점착 시트(100)의 개략도이다. 점착제층(110)의 두께 d는, 200㎛이었다.
또한, 얻어진 양면 점착 시트(100)가 구비하는 점착제층(110)의 용제 불용분율(질량%)은 63질량%이었다. 이 용제 불용분율(질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구하였다.
(용제 불용분율의 측정)
소정량의 점착제층(최초의 질량 W1)을 아세트산 에틸 용액에 침지하여, 실온에서 1주일 방치한 후, 불용분을 취출하고, 건조시킨 후의 질량(W2)을 측정하여, 하기와 같이 구하였다.
용제 불용분율=(W2/W1)×100
(시럽II의 제작)
단량체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80질량부,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2MEA) 11.5질량부, N-비닐-2-피롤리돈(NVP) 7질량부 및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HEAA) 1.5질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액상의 단량체 혼합물(단량체 조성물)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5질량부 및 상품명 「이르가큐어 184(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5질량부를 배합한 후, 점도(BH 점도계 No.5 로터, 10rpm, 측정 온도: 30℃)가 약 15Pa·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단량체 성분의 일부가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부분 중합체(중합률: 약 10질량%)를 포함하는 시럽II(2EHA/2MEA/NVP/HEAA=80/11.5/7/1.5)를 얻었다.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시럽II의 100질량부에, 아크릴산(AA) 3질량부와,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12질량부와, 제1 중합체(B) 10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2를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2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1.2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3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1.5질량부).
(양면 점착 시트의 제작)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0㎛)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62질량%이었다.
또한, 상기 제1 중합체(B)의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다.
(제1 중합체(B)의 제조)
톨루엔 100질량부, 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DCPMA)(상품명 「FA-513M」, 히타치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60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40질량부 및 연쇄 이동제로서 티오글리콜산(GSH산) 3질량부를 4개구 플라스크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70℃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열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질량부를 투입하고, 70℃에서 2시간 반응시키고, 계속해서 8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130℃의 온도 분위기 하에 투입하고, 톨루엔, 연쇄 이동제 및 미반응 단량체를 건조 제거시키고, 고형 형상의 (메트)아크릴 중합체(제1 중합체(B), DCPMA/MMA=60/40)를 얻었다.
얻어진 제1 중합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5,500이었다. 또한, 얻어진 제1 중합체(B)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144℃이었다.
시럽II의 100질량부에, 아크릴산(AA) 3질량부와,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12질량부와, 제1 중합체(B) 15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3을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3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1.2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3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1.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3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45㎛)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55질량%이었다.
제1 중합체(B) 10질량부 대신에, 상품명 「중질탄산칼슘(천연 중질 탄산칼슘, 평균 입경 3.2 내지 12㎛, 비중 2.71g/㎤)」(마루오 칼슘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80질량부를, 100질량부의 시럽II에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4를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4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1.2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3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1.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4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56㎛)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94질량%이었다.
시럽II의 100질량부에, 아크릴산(AA) 3질량부와,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025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5를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5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1.2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3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1.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5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40㎛)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60질량%이었다.
시럽II의 100질량부에, 아크릴산(AA) 3질량부와,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12질량부와, 제2 중합체(B) 15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6을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6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1.2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3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1.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6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45㎛)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77질량%이었다.
또한, 상기 제2 중합체(B)의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다.
(제2 중합체(B)의 제조)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 60질량부,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IBMA) 40질량부 및 티오글리콜산 4질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혼합물에, 질소 가스를 불어 넣어서 상기 혼합물 중의 용존 산소를 제거하였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90℃까지 승온한 시점에서, 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 「퍼헥실 O(t-헥실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니찌유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5질량부 및 상품명 「퍼헥실 D(디-t-헥실퍼옥시드)」(니찌유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1질량부를 상기 혼합물에 배합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교반하고, 그 후, 1시간에 걸쳐 150℃까지 승온하여, 또한 15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 170℃까지 승온하고, 또한 17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혼합물을 170℃의 상태에서 감압하고, 1시간 교반하여 잔류 단량체를 제거하여, 제2 중합체(B)(CHMA/IBMA=60/40)를 얻었다. 얻어진 제2 중합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3,500이었다. 또한, 얻어진 제2 중합체(B)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59℃이었다.
제1 중합체(B) 10질량부 대신에 제1 중합체(B) 5질량부를 100질량부의 시럽II에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7을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7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1.2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3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1.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7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48㎛)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79질량%이었다.
아크릴산(AA) 3질량부 대신에 아크릴산(AA) 4질량부를 100질량부의 시럽II에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8을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8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2.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4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2.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8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46㎛)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59질량%이었다.
아크릴산(AA) 3질량부 대신에 아크릴산(AA) 5질량부를 100질량부의 시럽II에 첨가하는 것, 및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12질량부 대신에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0.05질량부를 상기 시럽II에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9를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9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2.9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5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3.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9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4㎛)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66질량%이었다.
아크릴산(AA) 3질량부 대신에 아크릴산(AA) 5질량부를 100질량부의 시럽II에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0을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10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2.9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5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3.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10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38㎛)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60질량%이었다.
시럽II의 100질량부에, 아크릴산(AA) 5질량부와,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0.05질량부와, 상품명 「하쿠레이카(白艶花) CC-R(합성 경질 탄산칼슘, 평균 입경 80㎛, 비중 2.52g/㎤)」(시라이시 칼슘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40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11을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11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2.9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5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3.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11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17㎛)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76질량%이었다.
시럽I의 100질량부에, N-비닐-2-피롤리돈(NVP) 4질량부와,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035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12를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12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3.5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4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4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12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94㎛)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75질량%이었다.
N-비닐-2-피롤리돈(NVP) 4질량부 대신에 N-비닐-2-피롤리돈(NVP) 8질량부를 시럽I의 100질량부에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3을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13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6.7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8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8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13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94㎛)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76질량%이었다.
(시럽III의 제작)
단량체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78질량부, N-비닐-2-피롤리돈(NVP) 18질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4질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액상의 단량체 혼합물(단량체 조성물)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5질량부 및 상품명 「이르가큐어 184(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5질량부를 배합한 후, 점도(BH 점도계 No.5 로터, 10rpm, 측정 온도: 30℃)가 약 15Pa·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단량체 성분의 일부가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부분 중합체(중합률: 약 10질량%)를 포함하는 시럽III(2EHA/NVP/HEA=78/18/4)을 얻었다.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시럽III의 100질량부에,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12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14를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14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2.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2질량부).
(양면 점착 시트의 제작)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14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44㎛)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82질량%이었다.
시럽III의 100질량부에, 아크릴산(AA) 1질량부와,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025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15를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15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 구성 단위가 22.8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1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3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15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49㎛)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80질량%이었다.
아크릴산(AA) 1질량부 대신에 아크릴산(AA) 2질량부를 100질량부의 시럽III에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6을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16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3.5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2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4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16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43㎛)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6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83질량%이었다.
아크릴산(AA) 1질량부 대신에 아크릴산(AA) 3질량부를 100질량부의 시럽III에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7을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17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4.3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3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17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43㎛)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7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81질량%이었다.
아크릴산(AA) 1질량부 대신에 아크릴산(AA) 4질량부를 100질량부의 시럽III에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8을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18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5.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4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6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18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145㎛)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8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82질량%이었다.
시럽III의 100질량부에, 아크릴산(AA) 4질량부와,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025질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시럽의 혼합물을 얻었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5질량부를 첨가하였다. 그 후, 그 밖의 첨가 성분으로서, 또한, 흑색 안료로서, 상품명 「AT DN101 블랙」(다이니찌 세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0.3질량부,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19가 얻어졌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19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5.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4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6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19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0㎛)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9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35질량%이었다.
또한, 실시예 19에 있어서의 양면 점착 시트의 헤이즈 및 전체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헤이즈가 44%이며, 전체 광선 투과율이 18%이었다. 헤이즈 및 전체 광선 투과율의 측정 방법은, JISK7361에 준거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와 같다.
(헤이즈 및 전체 광선 투과율의 측정 방법)
양면 점착 시트를, 한쪽의 박리 라이너를 제외하고, 슬라이드 글래스(마쯔나미 가라스 고교사제, 상품명 「S-1111」, 전체 광선 투과율 91.8%, 헤이즈 0.4%)에 접합하고, 그 후 다른 한쪽의 박리 라이너를 제외하고, 시험편[(점착 시트)/(슬라이드 글래스)의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 시험편의 헤이즈 및 전체 광선 투과율을, 헤이즈 미터(「무라까미 시끼사이 기쥬츠 겐큐쇼제, 상품명 「HM-15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흑색 안료 0.3질량부 대신에 흑색 안료 0.8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HDDA 0.025질량부 대신에 HDDA 0.03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및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5질량부 대신에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3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럽III을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 20을 제조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20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5.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4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6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0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7㎛)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0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41질량%이었다. 또한, 실시예 20에 있어서의 양면 점착 시트의 헤이즈는 66%이며, 전체 광 투과율은 2.9%이었다.
흑색 안료 0.3질량부 대신에 흑색 안료 1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HDDA 0.025질량부 대신에 HDDA 0.03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및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5질량부 대신에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3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럽III을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 21을 제조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21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5.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4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6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1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7㎛)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14질량%이었다. 또한, 실시예 21에 있어서의 양면 점착 시트의 헤이즈는 72%이며, 전체 광 투과율은 1.8%이었다.
흑색 안료 0.3질량부 대신에 흑색 안료 1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및 HDDA 0.025질량부 대신에 HDDA 0.05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럽III을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 22를 제조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22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5.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4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6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2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6㎛)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2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41질량%이었다. 또한, 실시예 22에 있어서의 양면 점착 시트의 헤이즈는 71%이며, 전체 광 투과율은 1.7%이었다.
흑색 안료 0.3질량부 대신에 흑색 안료 1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HDDA 0.025질량부 대신에 HDDA 0.07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및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5질량부 대신에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7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럽III을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 23을 제조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23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5.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4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6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3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9㎛)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3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55질량%이었다. 또한, 실시예 23에 있어서의 양면 점착 시트의 헤이즈는 69%이며, 전체 광 투과율은 1.3%이었다.
흑색 안료 0.3질량부 대신에 흑색 안료 0.8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HDDA 0.025질량부 대신에 HDDA 0.056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5질량부 대신에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7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및 중공 유리 벌룬(평균 입경 45㎛, 비중 0.25g/㎤, 상품명 「Sphericel(등록 상표) 25P45(규산염 유리)」(포타즈 바로티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4질량부를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럽III을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 24를 제조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24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5.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4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6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4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12㎛)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4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56질량%이었다. 또한, 실시예 24에 있어서의 양면 점착 시트의 헤이즈는 80%이며, 전체 광 투과율은 2.0%이었다.
흑색 안료 0.3질량부 대신에 흑색 안료 0.8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HDDA 0.025질량부 대신에 HDDA 0.03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5질량부 대신에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7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및 수산화알루미늄(평균 입경 18㎛, 비중 0.9g/㎤, 상품명 「H31(히길리트)」(쇼와 덴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10질량부를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럽III을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 25를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25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5.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4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6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5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5㎛)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5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23질량%이었다. 또한, 실시예 25에 있어서의 양면 점착 시트의 헤이즈는 93%이며, 전체 광 투과율은 2.8%이었다.
흑색 안료 0.3질량부 대신에 흑색 안료 0.8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HDDA 0.025질량부 대신에 HDDA 0.08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5질량부 대신에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7질량부를 이용하는 것, 및 수소 첨가 석유 수지(연화점 125℃, 상품명 「알콘 P125」(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10질량부를 첨가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시럽III을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 26을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28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5.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4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6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6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4㎛)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6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57질량%이었다. 또한, 실시예 26에 있어서의 양면 점착 시트의 헤이즈는 85%이며, 전체 광 투과율은 3.4%이었다.
시럽III의 100질량부에, 아크릴산(AA) 3질량부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5질량부, HDDA 0.025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27을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27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7.8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8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6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7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0㎛)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7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68질량%이었다.
시럽I의 40질량부에, N-비닐-2-피롤리돈(NVP) 17질량부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4질량부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39질량부와,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07질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시럽의 혼합물을 얻었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7질량부를 첨가하였다. 그 후, 그 밖의 첨가 성분으로서, 또한, 흑색 안료로서, 상품명 「AT DN101 블랙」(다이니찌 세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1질량부,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28이 얻어졌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28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1.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8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0㎛)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8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61질량%이었다.
(시럽IV의 제작)
단량체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94질량부 및 아크릴산(AA) 6질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액상의 단량체 혼합물(단량체 조성물)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5질량부 및 상품명 「이르가큐어 184(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5질량부를 배합한 후, 점도(BH 점도계 No.5 로터, 10rpm, 측정 온도: 30℃)가 약 15Pa·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단량체 성분의 일부가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부분 중합체(중합률: 약 10질량%)를 포함하는 시럽IV(2EHA/AA=94/6)를 얻었다.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시럽IV의 66.7질량부에, N-비닐-2-피롤리돈(NVP) 17질량부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4질량부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2.3질량부와,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07질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시럽의 혼합물을 얻었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추가분의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7질량부를 첨가하였다. 그 후, 그 밖의 첨가 성분으로서, 또한, 흑색 안료로서, 상품명 「AT DN101 블랙」(다이니찌 세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1질량부,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29가 얻어졌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29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21.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2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29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0㎛)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9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59질량%이었다.
시럽I의 100질량부에, 열 발포제 1(열팽창성 미소구, 상품명 「열팽창성 마이크로스피어 051DU40」EXPANCEL사제) 30질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0.2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열 발포제 1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30을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30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0.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30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0㎛)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가열 팽창형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30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89질량%이었다.
점착제 조성물 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15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30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30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가열 팽창형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3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89질량%이었다.
시럽I의 100질량부에, 열 발포제 2(열팽창성 미소구, 상품명 「마쯔모또 마이크로스피어 F-48D*」 마쯔모또 유시 세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30질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0.2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열 발포제 2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32를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32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0.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32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0㎛)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가열 팽창형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32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86질량%이었다.
시럽I의 100질량부에, 열 발포제 2(열팽창성 미소구, 상품명 「마쯔모또 마이크로스피어 F-48D*」 마쯔모또 유시 세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20질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0.2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열 발포제 2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33을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33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10.0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94㎛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32와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32와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가열 팽창형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86질량%이었다.
그리고 또한, 얻어진 상기 양면 점착 시트(점착제층)의 한쪽 면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그 양면 점착 시트(점착제층)를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루미러 S-10」, 두께 12㎛,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양면에 각각 핸드 롤러로 접합하고, 실시예 33에 있어서의 PET 기재를 넣은 가열 팽창형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시럽II의 100질량부에, DPHA 0.05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C1을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C1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8.5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8.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C1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C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0㎛)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 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69질량%이었다.
〔비교예 2〕
시럽II의 100질량부에, DPHA 0.025질량부와, 상품명 「중질탄산칼슘(천연 중질 탄산칼슘, 평균 입경 3.2 내지 12㎛, 비중 2.71g/㎤)」(마루오 칼슘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40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C2를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C2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8.5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8.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C2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C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17㎛)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57질량%이었다.
〔비교예 3〕
시럽II의 100질량부에, DPHA 0.05질량부와, 중공 유리 벌룬(평균 입경 45㎛, 비중 0.25g/㎤, 상품명 「Sphericel(등록 상표) 25P45(규산염 유리)」(포타즈 바로티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20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C3을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C3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8.5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8.5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C3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C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10㎛)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 3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68질량%이었다.
〔비교예 4〕
시럽II의 100질량부에, HDDA 0.025질량부와, 아크릴산(AA) 15질량부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16.5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C4를 얻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C4 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에는,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30.4질량% 포함되어 있다(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31.5질량부, 극성 단량체 성분: 40질량부).
또한, 점착제 조성물 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C4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C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두께: 200㎛)을 구비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적층 구조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 4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율은, 78질량%이었다.
(평가 시험)
실시예 1 내지 29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해서, 각 양면 점착 시트의 가압 접착력 및 내낙하충격 특성(상온 조건 하)의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30 내지 3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가압 접착력 및 내낙하충격 특성(상온 조건 하)의 평가 시험을 행함과 함께, 또한, 180° 박리 점착력에 대해서, 초기(가열 전)와 가열 후의 조건에서 측정을 행하고, 점착성(접착성)과 분리·해체성(박리 용이성)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1: 가압 접착력>
도 2는, 가압 접착력을 측정할 때에 사용하는 평가용 샘플의 개략도(상면도)이다. 제작한 양면 점착 시트를,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폭 1㎜의 창틀 형상(프레임 형상)(가로: 40㎜, 세로: 60㎜)으로 절단 가공하여, 창틀 형상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상기 창틀 형상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아크릴판(아크릴 렌즈, 가로: 40㎜, 세로: 60㎜, 두께: 1㎜)과, 중앙부에 직경 15㎜의 관통 구멍을 뚫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PC판)(가로: 70㎜, 세로: 80㎜, 두께: 2㎜)을, 소정의 압착 하중(2kg)의 롤러 1왕복의 조건에서 압착함으로써 접합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도면 부호 2는 창틀 형상 양면 점착 시트, 도면 부호 3은 아크릴판, 도면 부호 4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의 관통 구멍을 나타낸다.
이어서, 이들 평가용 샘플을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장치명 「인장 압축 시험기, TG-1kN」 미네베아(주)제)에 세트하여, 환봉을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의 관통 구멍에 통과시켜, 환봉(직경: 10㎜)으로 아크릴판을 10㎜/min의 조건에서 가압하고, 아크릴판과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이 분리될 때까지의 최대 응력을 가압 접착력으로서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상온(23℃)에서 행하였다.
도 4는, 가압 접착력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도면 부호 2는 창틀 형상 양면 점착 시트, 도면 부호 3은 아크릴판, 도면 부호 21은 환봉, 도면 부호 22는 지지대를 나타낸다. 평가용 샘플은, 인장 압축 시험기의 지지대(22)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되고, 평가용 샘플의 아크릴판(3)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1)의 관통 구멍을 통과한 환봉(21)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평가용 샘플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판(1)은, 아크릴판이 가압될 때에 부하가 걸려, 휘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일은 없었다.
<평가2: 상온 하에서의 내낙하충격 특성>
도 5는, 내낙하충격 특성을 평가할 때에 사용하는 평가용 샘플의 개략도(상면도)이다. 제작한 양면 점착 시트를,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폭 1㎜의 창틀 형상(프레임 형상)(가로: 40㎜, 세로: 60㎜)으로 절단 가공하여, 창틀 형상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이 창틀 형상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아크릴판(아크릴 렌즈, 가로: 40㎜, 세로: 60㎜, 두께: 1㎜)과, 폴리카르보네이트판(PC판)(가로: 70㎜, 세로: 80㎜, 두께: 2㎜)을 2kg 롤러 1왕복의 조건에서 압착함으로써 접합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도면 부호 31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도면 부호 32는 창틀 형상 양면 점착 시트, 도면 부호 33은 아크릴판(아크릴 렌즈)을 나타낸다.
도 7은, 내낙하충격 특성의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에 추(34)를 달아서 총 질량을 110g으로 하고나서, 평가용 샘플을 1.2m의 높이로부터 콘크리트판(35)(도 7 참조)에 자유 낙하시켜, 내낙하충격 특성을 평가하였다. 내낙하충격 특성의 평가는, 상온(23℃)에서 12회 자유 낙하시킴으로써 실시하였다.
또한, 평가 샘플의 자유 낙하는, 1회째(폴리카르보네이트판(31)의 추(34) 측의 판면으로부터의 낙하), 2회째(폴리카르보네이트판(31)의 아크릴판(33) 측의 판면으로부터의 낙하), 3회째(폴리카르보네이트판(31)의 한쪽의 세로 측 단부면으로부터의 낙하), 4회째(폴리카르보네이트판(31)의 다른 쪽의 세로 측 단부면으로부터의 낙하), 5회째(폴리카르보네이트판(31)의 한쪽의 가로 측 단부면으로부터의 낙하), 6회째(폴리카르보네이트판(31)의 다른 쪽의 가로 측 단부면으로부터의 낙하)의 순서로 행하였다. 즉, 내낙하충격 특성의 평가는, 상기 6회의 낙하를, 2회 반복해서 행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 기준]
양호: 「상온 하에서의 12회의 자유 낙하에 대해서, 아크릴판의 박리가 발생하지 않고, 아크릴판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
불량: 「상온 하에서의 자유 낙하로 아크릴판의 박리가 발생한 것」, 횟수는, 아크릴판의 박리되었을 때의 낙하 횟수
<평가3: 180° 박리 점착력>
실시예 30 내지 33에서 얻어진 가열 팽창형 양면 점착 시트의 편측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루미러 S-10」, 두께: 50㎛,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배접 기재로서 접합한 후, 그것을 20㎜ 폭으로 절단하였다. 그 후, 양면 점착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점착력 측정용 폴리카르보네이트판(PC판)에 2kg 롤러 1왕복의 조건에서 압착한 것을 평가 샘플로 하였다. 또한, 평가 샘플은, 각 실시예 30 내지 33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서, 초기 점착력(후술)을 측정하기 위한 것과, 가열 후 점착력(후술)을 측정하기 위한 것을 각각 준비하였다.
(초기(가열 전) 점착력)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평가 샘플을, 압착후 3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그 평가 샘플에 대해서, 23℃의 분위기 하에서, 인장 시험기(상품명 「TG-1kN」미네베아사제)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평가 샘플의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것에 의해, 각 평가 샘플에 있어서의 박리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된 박리 점착력을, 초기 점착력(20/㎜)으로 하였다. 또한, 측정된 초기 점착력(20/㎜)에 기초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실시예 30 내지 33의 각 평가용 샘플의 점착성(접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양면 점착 시트의 피착체(PC판)에 대한 접착성이 충분(5.0[N/20㎜] 이상).
△: 양면 점착 시트의 피착체(PC판)에 대한 접착성이 약간 떨어짐(2.5[N/20㎜] 이상 5.0[N/20㎜] 미만).
×: 양면 점착 시트의 피착체(PC판)에 대한 접착성이 불충분(2.5[N/20㎜] 미만).
(가열 후 점착력)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평가 샘플을, 압착후 3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평가 샘플을, 각각 소정 온도(후술하는 표 4 참조)의 열풍 건조기에 10분간 투입하고, 가열 처리를 행하였다. 가열 처리 종료 후, 23℃의 분위기 하에서 2시간 방치하고나서, 초기 접착력의 측정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평가 샘플의 양면 점착 시트에 대하여 박리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된 박리 점착력을, 가열 후 점착력(20/㎜)으로 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가열 후 점착력(20/㎜)에 기초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실시예 30 내지 33의 각 평가용 샘플의 분리·해체성(박리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양면 점착 시트가 피착체(PC판)로부터 약한 힘으로 저절로 박리됨(0.5[N/20㎜]) 미만).
△: 양면 점착 시트가 피착체(PC판)로부터, 손으로 인장될 정도의 힘으로 용이하게 박리됨(0.5[N/20㎜] 이상 2.0[N/20㎜] 미만).
×: 용이하게 박리할 수 없거나, 또는 박리할 수 없음(2.0[N/20㎜] 이상).
상술한 각 평가 시험의 결과는, 하기 표 1 내지 표 3 및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각 표에는, 실시예 1 내지 29, 실시예 30 내지 3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사용한 점착제 조성물의 성분도 아울러 나타냈다. 각 표 중의 「부」는, 질량부를 의미하고, 각 표 중의 「-」는, 없음(제로)을 의미한다. 또한, 표 중에 나타나는 약어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AA: 아크릴산
NVP: N-비닐-2-피롤리돈
HEA: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HDDA: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DPHA: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GB: 중공 유리 벌룬(상품명 「Sphericel(등록 상표)25P45」)
중숯: 천연 중질 탄산칼슘(상품명 「중질탄산칼슘」)
경숯: 합성 경질 탄산칼슘(상품명 「하쿠레이카 CC-R」)
흑색 안료: 상품명 「AT DN101 블랙」
수소 첨가 수지: 수소 첨가 석유 수지(상품명 「알콘 P125」)
H31: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H31히길리트」)
열 발포제 1: 열팽창성 미소구(상품명 「열팽창성 마이크로스피어 051DU40」)
열 발포제 2: 열팽창성 미소구(상품명 「마쯔모또 마이크로스피어 F-48D*」)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표 1,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9 내지 30질량%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갖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실시예 1 내지 29의 양면 점착 시트는, 모두 우수한 가압 접착력, 및 우수한 내낙하충격 특성(23℃ 조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9질량% 미만인 비교예 1 내지 3의 양면 점착 시트는, 내낙하충격 특성은 우수하기는 하지만, 충분한 가압 접착력을 구비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30질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4에 대해서는, 가압 접착력은 우수하기는 하지만, 충분한 내낙하충격 특성을 구비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6의 양면 점착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이즈가 85%이며, 전체 광 투과율이 3.4%이었다. 이 양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점착제 조성물 26에는, 아크릴계 중합체(A)(베이스 중합체) 이외에, 수소 첨가 석유 수지(연화점 125℃, 상품명 「알콘 P125」(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가 포함되어 있다. 이 수소 첨가 석유 수지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 대한 상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아크릴계 중합체(A)에 대하여 상분리하고, 아크릴계 중합체(A) 중에, 확산(분산)된 상태로 된다. 즉, 아크릴계 중합체(A)에 대하여 소정량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가 첨가되면, 광의 확산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그 결과, 얻어지는 점착제층(양면 점착 시트)의 은폐성(차광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점착제 조성물 중에, 수소 첨가 석유 수지를 배합하여, 상분리에 의해 확산성을 높여, 얻어지는 점착제층(양면 점착 시트)의 은폐성(차광성)을 높여도 된다.
실시예 1의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가압 접착력은,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28N/㎠이었다.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 1은, 시럽I로부터 제조되고, 극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2, 13의 각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각 가압 접착력은,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 29N/㎠, 41N/㎠이었다. 실시예 12, 13의 각 점착제 조성물 12, 13은, 각각 시럽I에, N-비닐-2-피롤리돈(NVP)이 추가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로 인해, 각 점착제 조성물 12, 13은, 극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이외에, NVP를 포함하고 있다. 즉, 실시예 12, 13에서는, 극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일례)과, NVP(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의 일례)가 병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극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과 NVP가 병용되어 있으면, 병용되지 않는 경우(아크릴산만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얻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점착제층)의 가압 접착력이 높아져,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은, 극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AA)만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11은, 극성 단량체로서, NVP, HEAA 및 아크릴산(AA)이 병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2, 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산(AA) 및 NVP가 병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4는, 극성 단량체로서, NVP 및 HEA가 병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5 내지 26은, 극성 단량체로서, NVP, HEA 및 아크릴산(AA)이 병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27은, 극성 단량체로서, NVP 및 HEA가 병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28은, 극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AA), NVP 및 HEA가 병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29는, 극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AA), NVP 및 HEA가 병용되어 있다.
실시예 28의 점착제 조성물 28은, 40질량부의 시럽I(2EHA/AA=90/10)에, 단량체 성분으로서, NVP 17질량부, HEA 4질량부 및 2EHA 39질량부가 추가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실시예 29의 점착제 조성물 29는, 66.7질량부의 시럽IV(2EHA/AA=94/6)에, 단량체 성분으로서, NVP 17질량부, HEA 4질량부 및 2EHA 12.3질량부가 추가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 28과 실시예 29에서는, 사용하는 시럽이 상이하지만, 각 조성물 28, 29 중의 성분비(질량비)는 모두, 2EHA/AA/HEA/NVP=75/4/4/17로 되어 있다. 실시예 28의 양면 점착 시트와, 실시예 29의 양면 점착 시트는,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모두 동일 정도의 성능(가압 접착력, 내낙하충격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점착제 조성물을 제작할 때, 실시예 28, 29와 같이, 단량체의 첨가 방법이 상이해도, 얻어지는 점착제층(양면 점착 시트)의 물성에는 거의 영향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층이 열 발포제 1 또는 열 발포제 2를 포함하는 실시예 30 내지 33의 각 양면 점착 시트는, 모두 우수한 가압 접착력, 및 우수한 내낙하충격 특성(23℃ 조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30 내지 33의 각 양면 점착 시트는, 가열 전의 상태(초기 상태)에서는, 우수한 점착력(180° 박리 점착력)을 구비하면서, 가열 후의 상태에서는, 우수한 분리·해체성(박리 용이성)을 구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포 함유율)
또한, 실시예 1 내지 29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각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각 점착제층의 기포 함유율은, 모두 1체적% 이하였다.
또한, 실시예 30 내지 33의 각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각 점착제층의 기포 함유율(가열 처리전)은 모두 1체적% 이하였다.
100 : 양면 점착 시트
110 : 점착제층
120, 130 : 박리 라이너
1 : 폴리카르보네이트판
2 : 창틀 형상 양면 점착 시트
3 : 아크릴판
4 :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의 관통 구멍

Claims (10)

  1. 극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9 내지 30질량%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갖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 고정에 사용되는 양면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테이프 형상, 스트립 형상, U자 형상, L자 형상 및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양면 점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단량체가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및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양면 점착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기포의 함유율이 3체적% 이하인 양면 점착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90㎛ 내지 1,500㎛인 양면 점착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열 발포제를 더 함유하는 양면 점착 시트.
  10.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고정된 휴대 전자 기기.
KR1020130093562A 2012-08-07 2013-08-07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 기기 KR102052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5290 2012-08-07
JP2012175290 2012-08-07
JP2013058413A JP6140491B2 (ja) 2012-08-07 2013-03-21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JPJP-P-2013-058413 2013-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759A true KR20140019759A (ko) 2014-02-17
KR102052211B1 KR102052211B1 (ko) 2019-12-04

Family

ID=4894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562A KR102052211B1 (ko) 2012-08-07 2013-08-07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44915A1 (ko)
EP (1) EP2695925A1 (ko)
JP (1) JP6140491B2 (ko)
KR (1) KR102052211B1 (ko)
CN (1) CN103571362A (ko)
TW (1) TWI582207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704A (ko) * 2016-09-29 2018-04-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필러 함유 감압 점착 테이프 및 필러 함유 감압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US10040980B2 (en) 2014-03-21 2018-08-07 Lg Chem, Ltd.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dhesive film and adhesive film
KR20190047294A (ko) 2017-10-27 2019-05-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층,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KR20190060171A (ko) 2017-11-24 2019-06-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제층 및 광학부재
KR20190070613A (ko) 2017-12-13 2019-06-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층,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5259B2 (en) * 2013-11-18 2017-11-14 Apple Inc. Reworkable adhesive tape for joining device structures
JP6522993B2 (ja) * 2014-03-05 2019-05-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両面黒色粘着テープ
KR101471361B1 (ko) * 2014-03-18 2014-12-11 (주)앤디포스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2015212359A (ja) * 2014-04-17 2015-11-26 日東電工株式会社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6513347B2 (ja) * 2014-07-07 2019-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747784B2 (ja) * 2014-07-23 2020-08-26 日東電工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用粘着シート
JP2016056244A (ja) * 2014-09-05 2016-04-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透明接着フィルム
WO2016204075A1 (ja) * 2015-06-15 2016-12-22 日東電工株式会社 固定部材
JP6224169B2 (ja) * 2015-06-15 2017-11-01 日東電工株式会社 固定部材及び携帯電子機器
JP6774806B2 (ja) * 2015-09-18 2020-10-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KR20180093047A (ko) * 2015-12-15 2018-08-2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경화성 조성물, 감압 접착제, 접착 테이프, 접착 제품
CN108473835B (zh) * 2015-12-25 2021-03-02 三菱化学株式会社 导电构件用粘合片、导电构件层叠体及图像显示装置
CN112500805A (zh) * 2016-02-03 2021-03-16 河北永乐胶带有限公司 一种新型耐高温聚氯乙烯胶带的制作方法
CN105739181B (zh) * 2016-04-28 2019-01-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口字胶、口字胶的制作方法及背光模组的制作方法
WO2018002055A1 (en) * 2016-06-28 2018-01-04 Olympic Holding B.V.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KR102343734B1 (ko) 2017-07-12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03726B1 (ko) * 2017-12-27 2023-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면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703238B (zh) * 2018-09-05 2023-04-04 王子控股株式会社 透明构件贴合用粘合片、层叠体的制造方法及层叠体
CN109137537B (zh) * 2018-09-10 2020-03-27 钟金榜 封闭多孔复合材料、隔热材料、隔音材料、其制造方法
JP7339087B2 (ja) * 2018-09-25 2023-09-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7038091B2 (ja) * 2019-09-30 2022-03-17 三菱製紙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21080383A (ja) * 2019-11-20 2021-05-2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21080384A (ja) * 2019-11-20 2021-05-2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21120440A (ja) * 2020-01-31 2021-08-19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CN112029449A (zh) * 2020-08-03 2020-12-04 新纶科技(常州)有限公司 热固化印刷的压敏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7087162B2 (ja) * 2020-08-31 2022-06-2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KR102426905B1 (ko) * 2020-12-08 2022-08-01 (주)트러스 광경화형 점착제와 열발포제를 포함하는 재박리 가능한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박리 가능한 점착테이프
WO2024095322A1 (ja) * 2022-10-31 2024-05-10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粘着剤組成物及び該粘着剤組成物から形成された粘着シート、並びに、該粘着シートが用いられた物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7299A (ko) * 2007-01-15 2008-07-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열박리형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피착체의 가공방법
JP2009108314A (ja) 2007-10-12 2009-05-21 Dic Corp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JP2010241864A (ja) * 2009-04-01 2010-10-28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的機能性フィルムおよび粘着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1021109A (ja) * 2009-07-16 2011-02-03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2574B2 (ja) * 1992-09-30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497519B2 (ja) * 1992-12-18 2004-02-1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多層発泡状感圧接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45357A (ja) * 1993-11-24 1995-06-06 Nitto Denko Corp 加熱剥離シート及び剥離方法
JP2002088320A (ja) * 2000-09-13 2002-03-27 Sliontec Corp 加熱剥離型粘着テープ・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381967B2 (ja) * 2004-12-07 2009-12-09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接合体、接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DE102005027350A1 (de) * 2005-06-13 2006-12-14 Tesa Ag Doppelseitige Haftklebebänder zur Herstellung bzw. Verklebung von LC-Displays mit lichtabsorbierenden Eigenschaften
JP5586821B2 (ja) * 2006-08-01 2014-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衝撃吸収粘着剤および衝撃吸収粘着剤シート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5235294B2 (ja) * 2006-11-10 2013-07-10 日東電工株式会社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2009256607A (ja) * 2008-03-17 2009-11-05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粘着剤、アクリル系粘着剤層、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400357B2 (ja) * 2008-11-13 2014-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巻回体
JP2010132745A (ja) * 2008-12-03 2010-06-17 Nitto Denko Corp 化粧パネル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
US20110223394A1 (en) * 2008-12-04 2011-09-15 Nitto Denko Corporation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solar cell modules
JP5294931B2 (ja) * 2009-03-11 2013-09-18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
JP2010209261A (ja) * 2009-03-11 2010-09-24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
JP5404174B2 (ja) * 2009-05-14 2014-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熱剥離性感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US20120177901A1 (en) * 2009-09-16 2012-07-12 Nitto Denko Corporation Acrylic pressure-sensitive tape
JP2011168658A (ja) * 2010-02-17 2011-09-01 Daio Paper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US20120328873A1 (en) * 2010-03-10 2012-12-27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2011231319A (ja) * 2010-04-09 2011-11-17 Nitto Denko Corp 粘着性組成物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JP2012067315A (ja) * 2011-11-02 2012-04-05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接着方法
JP5856463B2 (ja) * 2011-12-09 2016-02-09 日東電工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部材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
JP2013127012A (ja) * 2011-12-16 2013-06-27 Toyo Ink Sc Holdings Co Ltd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5937864B2 (ja) * 2012-03-28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が備わる電子端末用画像表示部材
JP5904860B2 (ja) * 2012-04-26 2016-04-20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透明電極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剤層含有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622867B1 (ko) * 2012-06-27 2016-05-20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7299A (ko) * 2007-01-15 2008-07-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열박리형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피착체의 가공방법
JP2009108314A (ja) 2007-10-12 2009-05-21 Dic Corp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JP2010241864A (ja) * 2009-04-01 2010-10-28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的機能性フィルムおよび粘着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1021109A (ja) * 2009-07-16 2011-02-03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0980B2 (en) 2014-03-21 2018-08-07 Lg Chem, Ltd.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dhesive film and adhesive film
KR20180035704A (ko) * 2016-09-29 2018-04-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필러 함유 감압 점착 테이프 및 필러 함유 감압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20190047294A (ko) 2017-10-27 2019-05-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층,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KR20190060171A (ko) 2017-11-24 2019-06-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제층 및 광학부재
KR20190070613A (ko) 2017-12-13 2019-06-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층,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8752A (zh) 2014-03-01
JP6140491B2 (ja) 2017-05-31
JP2014051644A (ja) 2014-03-20
TWI582207B (zh) 2017-05-11
US20140044915A1 (en) 2014-02-13
CN103571362A (zh) 2014-02-12
EP2695925A1 (en) 2014-02-12
KR102052211B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211B1 (ko)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 기기
JP6653290B2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TWI468485B (zh) 黏膠帶
JP7018260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CN104774570B (zh) 双面粘合片
JP7175622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KR101353747B1 (ko)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KR20110113584A (ko) 점착성 조성물 및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CN112400001B (zh) 粘合片
TW201402763A (zh) 黏膠帶
JP6013092B2 (ja) 両面粘着シート
CN109196067B (zh) 丙烯酸类橡胶泡沫和包含其的双面胶带
JP7063690B2 (ja) 粘着シート
US2013027436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20190039861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WO2016114241A1 (ja) 両面粘着シート
KR20140032321A (ko) 양면 점착 시트
KR102589157B1 (ko) 점착 시트
JP6729836B2 (ja) 両面粘着テープ
KR102659187B1 (ko) 점착 시트
TW201905137A (zh) 黏著片及電子機器
KR102607273B1 (ko) 점착 시트
WO2019059081A1 (ja) 両面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