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289A -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289A
KR20140016289A KR1020137024299A KR20137024299A KR20140016289A KR 20140016289 A KR20140016289 A KR 20140016289A KR 1020137024299 A KR1020137024299 A KR 1020137024299A KR 20137024299 A KR20137024299 A KR 20137024299A KR 20140016289 A KR20140016289 A KR 20140016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processing
cutting
grain stem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나카하타
타카유키 쿠보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34985A external-priority patent/JP57817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34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57633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34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70391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1/00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ize; 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crops other than cereals
    • A01F11/06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ize; 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crops other than cereals for maize, e.g. removing kernels from co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급실 커버(18)는 급동(13)의 상방과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상방을 적어도 덮는다. 급동(13)이 갖는 급치(17)는 급동(13)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평면을 따라 편평하게 형성된다.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는 급동(13)에서 발생한 절단 이삭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축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 급실 커버(18)는 급동(13)의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급동(13)의 외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급동(13)의 상방 및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급동(13)의 외주로부터 곡간(22)이 멀어질 수 있으므로 곡간(22)이 급동(13)에 감겨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급동(13)의 여분의 동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곡 장치{GRAIN THRESHER}
본 발명은 주로 탈곡 장치가 구비하는 각 구성의 레이아웃에 관한 것이다.
대략 원통상의 급동의 주위에 급치를 설치하고, 상기 급동을 회전시킴으로써 탈곡을 행하는 탈곡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급동에 의해 곡간의 이삭끝에 붙은 곡립을 떼어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급동에 의한 탈곡에서는 곡립만이 이삭끝으로부터 깨끗하게 떨어진다고는 할 수 없고, 곡립에 지경이 붙은 상태의 것 등이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지경이 붙은 곡립 등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동을 급동과는 별도로 설치한 구성의 탈곡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처리동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콤바인이 구비하는 처리동(송진구 2번 처리동)은 급동에서 전부 처리할 수 없었던 절단 이삭 곡립·지경부착 등을 처리하고, 상기 처리동 하방에 배치된 크림프망에 의해 탈립된 곡립을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콤바인은 선별 장치로 선별된 2번물을 재처리해서 지경을 제거하는 2번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2번 처리 장치는 처리동에 부착된 길경 처리 날개와, 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투스바에 의해 2번물을 문지르도록 해서 지경의 제거를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3의 콤바인과 같이, 급동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장치와, 선별 장치에서 선별된 2번물을 처리하는 장치를 별체로서 구비한 구성은 장치가 복잡화해서 비용상승으로 이어짐과 아울러 장치 자체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처리 장치는 회전 구동되는 처리동과, 상기 처리동의 아래를 덮는 수망(크림프망)을 갖고 있다. 이 처리 장치는 수망에 의해 피처리물을 받아냄과 아울러 상기 수망과 회전하는 처리동에 의한 문질러 비비는 작용에 의해 피처리물에 포함되는 곡립을 탈립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선별 기구에서 선별된 2번물도 처리실에 보내어져서 처리동의 회전에 의해 분리 처리된다.
이렇게,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처리실은 급동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역할과, 선별 장치에서 선별된 2번물을 처리하는 역할을 겸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급동에서 발생한 피처리물과, 선별 장치에서 선별된 2번물을 따로 따로의 장치에서 처리하는 특허문헌 1의 구성에 비해 비용절감을 꾀하고 장치 전체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2-1126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11-75504호 공보 일본 특허 제3814210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3에 기재되어 있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처리동 아래는 수망(크림프망)에 의해 덮여져 있다. 그러나, 수망을 구비한 구성의 처리 장치는 대량의 피처리물이 투입되었을 때에 수망과 처리동 사이의 피처리물이 체류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수망과 처리동 사이에 대량의 피처리물이 체류했을 경우, 처리동을 회전시키기 위한 소비 동력이 커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이렇게 대량의 피처리물이 있는 환경에서는 탈립의 효율도 저하되어 버린다.
한편, 처리동 하래에 수망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도 알려져 있다. 이 경우는 수망과 처리동 사이에 피처리물이 대량으로 쌓인다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수망에 의한 마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탈립의 효율은 매우 나쁜 것이 되어 버린다.
또한, 종래의 탈곡 장치에 있어서는 급치는 선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었다. 이렇게 선재로 이루어지는 급치는 곡간과의 충돌 빈도가 낮기 때문에 탈곡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 점, 특허문헌 1은 판상의 급치(탈곡판)를 구비한 탈곡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렇게, 급치를 판상(편평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선재로 이루어지는 급치에 비해 곡간과의 충돌 빈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탈곡 장치는 처리 효율이 높고, 곡간의 이삭 부분을 신속하게 떼어낼 수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탈곡 장치는 곡간의 이삭의 부분을 신속하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상기 이삭 부분은 급동의 전반부분(곡간의 반송방향 상류측)에서 대부분 떼어내어진다. 이 결과,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급동으로부터 처리실에 투입되는 피처리물이 곡간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치우쳐서 분포되게 된다. 피처리물이 치우친 상태로 처리실에 도입되면 처리동의 전체길이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처리를 행할 수 없다. 이렇게,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처리동의 처리 능력을 충분히 발휘시킨다고 하는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는 급치와 곡간의 충돌 빈도를 높이기 위해서 급동의 외주를 따라 곡간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도 1 및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급실을 형성하는 케이싱의 천정부분을 급동의 외주를 따라 만곡된 형상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급실내에 도입된 곡간을 상기 천정부분을 따라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곡간을 급동을 따르게 하도록 해서 탈곡을 행할 수 있다. 또 특허문헌 2의 도 3에도 곡간을 급동을 따라 가이드하기 위한 내부 커버를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급동을 따르도록 해서 곡간을 안내하면 상기 곡간이 급동에 감기게 되므로 상기 곡간과의 마찰이 커져 급동의 회전에 여분의 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케이싱이 급동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탈곡에 의해 발생된 곡립, 절단 이삭 등이 급동으로부터 멀어져 가지 않으므로 곡간에 재충돌하기 쉬워진다. 곡간에 재충돌한 곡립, 절단 이삭 등은 곡간과 곡간 사이에 들어가 버리고, 그대로 상기 곡간과 함께 탈곡기의 기외로 배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곡립의 회수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상기 내부 커버를 갖고 있지 않은 구성을 그 도 2에 개시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급동의 외주를 따라 곡간을 안내할 수 없다. 특허문헌 2는 선재로 이루어지는 급치를 구비한 탈곡 장치인 것이 상기 도 2로부터 명확하다. 이렇게, 특허문헌 2의 도 2의 구성에서는 곡간과의 충돌 빈도가 낮은 종래의 급치를 채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곡간을 급동을 따라 안내하도록 구성하고 있지 않으므로 충분한 탈곡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요한 목적은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킨 탈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의 탈곡 장치가 제공된다. 즉, 이 탈곡 장치는 급동과, 처리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급동은 급실내에서 회전함으로써 곡간을 탈곡한다.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급동에서 곡간을 탈곡할 때에 발생된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해서 상기 피처리물의 낙하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급동은 상기 급동의 외주면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급치를 복수 갖는다. 상기 급치는 상기 급동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평면을 따라 편평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축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어 있고, 상기 축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급치의 선단이 상기 급동의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급동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처리동과, 상기 처리동의 하방에 배치된 수망을 구비한다.
이렇게, 편평상으로 형성한 급치를 급동에 설치함으로써 곡간을 효율 좋게 탈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곡에 의해 발생한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장치를 설치한 것에 의해 곡립을 효율 좋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탈곡 장치는 상기 급동의 상방과, 상기 처리 장치의 상방을 적어도 덮는 급실 커버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급실 커버는 상기 급동의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급동의 외주로부터 서서히 멀어져 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급동의 상방 및 상기 처리 장치의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동의 상방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급동의 외주로부터 곡간이 멀어지므로 곡간이 급동에 감겨 버리는 것을 방지해서 급동의 여분의 동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탈곡에 의해 발생한 피처리물(탈립된 곡립, 절단 이삭 등)은 상기 공간으로 방출되게 되므로 상기 피처리물이 곡간에 재충돌하기 어려워져 탈곡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처리동은 그 축중심이 상기 급동의 축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수망의 상기 급동측의 단부 상방에 있어서 상기 급동과 상기 처리동 사이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동은 상기 급동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동과 처리동 사이를 연통시켜 두고, 급동과 처리동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처리동의 회전의 힘에 의해 처리 장치로부터 급동을 향해서 피처리물이 방출된다. 이렇게 처리 장치로부터 피처리물을 방출함으로써 피처리물이 처리동과 수망 사이에 과도하게 축적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동으로 방출된 피처리물은 상기 급동 및 급치에 충돌함으로써 단립화가 촉진된다. 이것에 의해 탈곡 장치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탈곡 장치는 곡간 반송 기구와, 선별 장치와, 환원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곡간 반송 기구는 상기 급동에 의해 탈곡되는 상기 곡간을 반송한다. 상기 선별 장치는 상기 처리 장치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피처리물을 재처리가 불필요한 1번물과, 재처리가 필요한 2번물로 선별한다. 상기 환원 기구는 상기 선별 장치에서 선별된 2번물을 상기 처리 장치로 리턴시킨다. 그리고, 상기 환원 기구는 상기 곡간의 반송방향에서 상기 처리동의 중앙보다 하류측에 치우친 위치에 상기 2번물을 리턴시킨다.
즉, 급동으로부터 처리동에 투입되는 피처리물은 곡간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치우쳐져 있다. 그래서, 선별 장치로부터의 2번물은 처리동의 하류측에 환원됨으로써 처리동에 공급되는 피처리물의 분포를 상기 처리동의 축방향에서 균일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처리 장치의 처리 능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상기 급실에 도입된 상태의 곡간을 상기 급동의 축선방향 비스듬히 상향으로 반송하는 곡간 반송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곡간이 급실내를 반송함에 따라 이삭끝이 급동으로부터 멀어져 가므로 급동에 곡간이 감기기 어려워져 동력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급실의 축방향으로 일측의 단부에 상기 곡간의 도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급실 커버는 상기 도입구측의 단부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급동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확대부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입구에 투입된 곡간의 이삭끝은 급치에 대하여 급동의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근접하도록 해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이삭끝이 급치에 대하여 급동의 축방향으로부터 공급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급치로 되밀려지기 어려워져 곡간의 공급이 안정된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급동의 상방 및 상기 처리 장치의 상방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급동의 축선방향에 대한 각도를 조정 가능한 판상의 리드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급동의 축방향에서 피처리물의 분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처리 장치에 투입되는 피처리물의 양을 축방향에서 균일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처리 장치의 효율이 향상되어 처리 유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동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처리 톱니와, 상기 처리 톱니끼리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수망측에 형성된 복수의 절단 톱니를 구비한다. 상기 수망은 상기 처리 톱니의 회전 궤적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절단 톱니는 상기 처리동의 회전방향에서 적어도 상기 수망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처리동이 회전함으로써 처리 톱니와 수망에 의한 마찰 작용에 의해 피처리물을 단립화하고 수망을 통과시켜서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수망으로부터 낙하하지 않은 피처리물은 처리동이 회전하는 힘에 의해 수망의 단부로부터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비산되게 되지만, 이 때에 처리 톱니와 절단 톱니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분리 처리된다. 이것에 의해 피처리물의 단립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급동의 상기 급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용 톱니를 상기 수망의 상기 급동측 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처리 장치로부터 급동을 향해서 방출된 피처리물의 일부는 처리 장치와 급동 사이를 통과해서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지만, 이 때 급치와 수용 톱니에 의해 분리 처리되므로 단립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동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처리 톱니와, 상기 처리 톱니끼리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수망측에 설치된 복수의 절단 톱니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곡간의 반송방향에서 상기 처리동의 중앙보다 상류측의 부분과 하류측의 부분에서는 상기 처리 톱니의 간격 또는 상기 처리 톱니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다르게 한다.
즉,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처리동의 상류측에는 급동으로부터의 피처리물이, 하류측에는 선별 장치로부터 2번물이 각각 공급되는 것이며, 처리 장치는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다른 내용구성의 것을 처리하게 된다. 그래서, 처리 장치의 스펙을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다르게 함으로써 최적의 처리가 가능해지고, 소비 동력의 증가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단립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탈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급동의 전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급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급실내의 모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급동의 후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곡간 공급판 및 급실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곡간 공급판 및 급실 커버의 다른 각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의한 탈곡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이어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케이싱(11)과, 곡간 반송 기구(12)와, 급동(13)과, 절단 이삭 처리 장치(처리 장치)(14)와, 선별 장치(15)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1) 내에는 탈곡을 행하기 위한 공간인 급실(16)이 형성되어 있다. 급실(16)의 내부에는 급동(13)과,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11)은 급실 커버(18)를 갖는다. 급실 커버(18)는 급동(13) 및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상방을 덮고, 급실(16)의 천정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급동(13)은 금속판에서 대략 8각형 기둥상의 중공상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축선이 장치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해서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급동(13)의 외주에는 복수의 급치(17)가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급동(13)은 도시가 생략된 구동원에 의해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치(17)는 편평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편평한 면의 연장면내에서 일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형성되어 있다. 급치(17)는 그 편평한 면이 급동(13)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급동(13)에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급치(17)가 급동(13)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치(17)의 선단부는 선단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대략 V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급치(17)끼리의 사이는 선단을 향해서 폭이 넓어지는 V형 홈(1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V형 홈(19)의 내측에는 환형(또는 다각형)의 빠짐 구멍(20)이 상기 V형 홈(19)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곡간 반송 기구(1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곡간 반송 기구(12)는 무단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피드 체인(23)과, 피드 체인(23)의 상면에 대하여 압박되도록 설치된 압박부재(24)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드 체인(23)과 압박부재(24) 사이에 곡간(22)을 끼워넣은 상태로, 도시가 생략된 구동원에 의해 피드 체인(23)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곡간(22)을 장치 후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구성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실(16)의 앞측 단부에는 곡간 도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곡간 반송 기구(12)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은 상기 곡간 도입구(21)를 통해 급실(16)의 내부에 도입된다.
급실(16)에 도입된 곡간(22)은 급치(17)와 급치(17) 사이의 부분(V형 홈(19) 및 빠짐 구멍(20))에 끼워 넣는다. 이 상태로 급동(13)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급치(17)에 의해 곡간(22)이 이삭끝(22a)을 향해서 훑어져서 상기 곡간(22)으로부터 이삭의 부분만이 떨어진다. 또한, 이렇게 곡간(22)으로부터 떨어진 이삭의 부분을 절단 이삭이라고 칭한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동(13)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급치(17)는 상기 급치(17)의 선단이 급동(13)의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하도록 급동(13)의 법선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삭끝(22a)을 급동(13)을 향해서 가까이 끌어 당기도록 해서 훑을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곡간(22)으로부터 절단 이삭을 취할 수 있다.
또한, 급동(13)에 있어서는 절단 이삭에 추가해서 곡립이나 짚부스러기 등이 발생한다. 이들 혼합물은 급동(13)의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방축되어 낙하된다. 절단 이삭 등의 낙하 위치에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가 배치되어 있다.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투입되는 절단 이삭, 곡립, 짚부스러기 등의 혼합물을 피처리물이라고 칭한다. 피처리물은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서 처리되어 단립화(곡립을 지경으로부터 떼는 것)된다.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이삭 처리동(처리동)(40)과, 수망(41)을 구비하고 있다.
절단 이삭 처리동(40)은 대략 사각통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축선이 급동(13)의 축선과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절단 이삭 처리동(40)은 그 축중심의 위치가 급동(13)의 축중심의 위치보다 낮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급동(13)으로부터 낙하하는 피처리물을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절단 이삭 처리동(40)은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도시가 생략된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절단 이삭 처리동(40)은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처리 톱니(42)를 갖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처리 톱니(42)는 편평봉상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처리 톱니(42)는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축선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 톱니(42)는 후퇴각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즉, 처리 톱니(42)의 선단이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회전방향 상류측을 향해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망(41)은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하반분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망(41)은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회전하는 처리 톱니(42)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망(41)은 처리 톱니(42)의 사이를 통과하는 절단 톱니(43)를 갖고 있다.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도입된 절단 이삭 등의 피처리물은 처리 톱니(42)와 수망(41) 사이에서 문질러 푸는 작용을 받아 단립화가 촉진된다. 탈립된 곡립은 수망(41)을 통과하여 선별 장치(15)에 낙하한다. 또한, 탈립된 나머지의 지경, 짚부스러기 등은 처리 톱니(42)와 절단 톱니(43)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분리 처리되어, 자잘하게 세단되어서 수망(41)으로부터 선별 장치(15)에 낙하한다. 이렇게, 곡립, 짚부스러기 등은 차례로 수망으로부터 낙하하므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짚부스러기 등이 대량으로 체류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짚부스러기 등이 적은 환경에서 단립화를 행할 수 있으므로, 높은 처리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망(41)의 급동(13)측의 단부에는 그 선단이 급동(13)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수용 톱니(45)가 부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톱니(45)는 그 선단이 대략 V자형이 되도록 형성된 판상부재이며, 또한 급동(13)의 축선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톱니(45)는 급치(17)끼리의 사이(V형 홈(19))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 톱니(45)를 설치한 것에 의해 급동(13)에서 발생한 절단 이삭이 급동(13)과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 사이를 통과해서 선별 장치(15)에 낙하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급동(13)에서 발생한 절단 이삭의 대부분을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채로 선별 장치(15)에 낙하되어 버리는 절단 이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절단 이삭 등은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서 처리되지 않은 채, 급동(13)과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 사이를 통과해서 낙하되어 버리지만, 그 경우이어도, 상기 절단 이삭 등은 급치(17)와 수용 톱니(45) 사이를 통과할 때에 문질러 푸는 작용을 받아서 단립화가 촉진된다. 이상과 같이, 급동(13)에서 발생하는 절단 이삭 등을 확실하게 처리한 후에 선별 장치(15)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단립화의 효율이 우수하고, 선별 장치(15)에 있어서의 부하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선재로 이루어지는 급치를 구비한 종래의 탈곡 장치와 비교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편평상으로 형성된 급치를 구비한 탈곡 장치의 우수한 점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선재로 이루어지는 급치를 구비한 종래의 탈곡 장치는 급치가 이삭끝에 충돌하는 충격에 의해 탈곡하는 것이었으므로, 상기 충돌에 의해 짚부스러기가 대량으로 발생한다. 이 때문에, 짚부스러기가 많은 환경에서 단립화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동력소비가 많았다.
본 실시형태의 급동(13)은 급치(17)에 의해 곡간(22)을 끼워넣어 훑는 구성이기 때문에, 급치를 충돌시킨 충격으로 탈곡하는 종래의 급동에 비해 짚부스러기의 발생이 적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곡간(22)으로부터 절단 이삭을 취하는 장치(급동(13))와, 절단 이삭을 처리해서 단립화하는 장치(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를 달리함으로써 짚부스러기가 적은 환경에서 단립화를 실시할 수 있어 동력절약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급치(17)는 편평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동(13)이 회전함으로써 바람이 발생한다. 급치(17)에 의해 발생한 바람은 급실(16)내를 도시가 생략된 짚출구를 향해서 흐른다. 이것에 의해 자잘한 티끌이 배출됨으로써 선별 장치(15)에 떨어지는 티끌이 적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드 체인(23)의 하방에 있어서 급실(16)에 개구하는 에어 흡입구(50)를 케이싱(11)에 형성하고 있다. 이 에어 흡입구(50)로부터 공기를 흡입시킴으로써 급치(17)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을 급실(16)내에서 강력하게 흘릴 수 있으므로, 급실(16)내의 티끌을 효율 좋게 짚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선별 장치(15)에 떨어지는 티끌이 더욱 줄어들으므로, 선별 장치(15)의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피드팬(35)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드팬(35)은 급동(13) 및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와, 선별 장치(1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급동(13) 및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로부터 낙하해 온 곡립, 짚부스러기, 절단 이삭 등의 혼합물(이하, 피선별물이라고 칭한다)은 이 피드팬(35) 위에 일단 낙하한다. 피드팬(35)은 대략 수평하게 배치된 판상부재이다. 또한, 장치 좌우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도 1)에 있어서 피드팬(35)의 상면의 단면 윤곽은 대략 거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거치상의 상면은 앞측을 향하는 면의 경사가 뒤측을 향하는 면의 경사보다 급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피드팬(35)을 전후 요동시킴으로써 피드팬(35)의 상방에 떨어진 피선별물은 장치 앞측을 향해서 반송된다. 또한, 이렇게 피드팬(35)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동안에 피처리물은 장치 좌우방향에서 분산된다. 이것에 의해 선별 장치(15)에 대하여 장치 좌우방향에서 균일하게 피처리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급동(13)은 편평상의 급치(17)를 갖고 있으므로, 급동(13)이 회전함으로써 강력한 바람이 발생한다. 이 급치(17)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이 풍 선별부(33)에 있어서의 선별풍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는 급동(13)의 아래에 피드팬(35)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피드팬(35)이 바람막이의 역할을 한다. 이것에 의해 급동(13)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이 풍 선별부(33)에 있어서의 선별풍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선별 장치(15)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별 장치(15)는 요동 선별부(32)와, 풍 선별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수망(41)으로부터 낙하한 피선별물은 요동 선별부(32) 및 풍 선별부(33)에 의해 선별된다.
요동 선별부(3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요동 선별부(32)는 전후 요동함으로써 피선별물을 선별하는 것이다. 요동 선별부(32)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채프 시브(36)와, 산형 판(37)을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구성이다.
상술의 피드팬(35)에 의해 장치 앞측으로 보내진 피선별물은 상기 피드팬(35)의 앞측 단부로부터 채프 시브(36) 위에 떨어진다. 채프 시브(36)는 장치의 대략 좌우방향으로 횡가된 복수의 채프핀(46)을 장치의 대략 전후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구비하고 있다. 채프 시브(36)는 피드팬(35)으로부터 보내진 피선별물의 조선별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채프 시브(36)를 전후 요동시킴으로써 곡립 등의 무겁고 작은 피선별물은 채프핀(46)의 사이를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지고, 짚부스러기 등의 가볍고 큰 피선별물은 채프핀(46)에 걸려서 남는다.
각 채프핀(46)은 그 상면이 비스듬히 전방을 향하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채프 시브(36) 전체를 전후 요동시킴으로써 피선별물은 요동 선별되면서 장치 후측을 향해서 반송되어 간다. 채프 시브(36)의 후단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대부분의 곡립은 낙하하고, 채프 시브(36) 위에는 절단 이삭이나 짚부스러기만이 남는다.
그러나, 채프핀(46)의 사이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절단 이삭이나 짚부스러기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 채프 시브(36)로부터 절단 이삭이나 짚부스러기가 대량으로 낙하하면, 그레인 시브(39) 위에 걸려서 풍 선별부(33)의 선별 능력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서는 채프 시브(36)와 그레인 시브(39) 사이에 복수의 산형 판(37)을 배치하고 있다.
이 산형 판(37)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치의 대략 좌우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산형 판(37)은 장치의 대략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채프핀(46)은 장치의 대략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채프핀(46)의 사이를 지나 떨어져 오는 절단 이삭, 짚부스러기 등은 그 길이방향이 대략 좌우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이 많다. 그래서, 장치 좌우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된 산형 판(37)을 복수 설치함으로써 채프핀(46)의 사이로부터 떨어져 온 절단 이삭, 짚부스러기 등을 산형 판(37)에 걸리도록 해서 받아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절단 이삭, 짚부스러기 등이 그레인 시브 위에 대량으로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채프 시브(36)에서 선별되어서 떨어져 온 곡립은 산형 판(37)의 사이를 통과하여 그레인 시브(39)까지 떨어질 수 있다.
이 산형 판(37)의 상단면은 대략 거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거치상의 상단면은 후방을 향하는 면의 경사가 전방을 향하는 면의 경사보다 급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산형 판(37)을 전후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산형 판(37) 위에 걸려 있는 절단 이삭, 짚부스러기 등을 장치 후측을 향해서 반송할 수 있다.
다음에 풍 선별부(33)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풍 선별부(33)는 풍구팬(38)과, 그레인 시브(39)를 구비하고 있다.
그레인 시브(39)는 망목상의 프레스, 또는 크림프망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산형 판(37)의 하방에 배치된다. 상기 그레인 시브(39)의 하방에는 스크류 컨베이어로서 구성된 1번 컨베이어(47)가 배치되어 있다.
풍구팬(38)은 경사 후방 상향의 선별풍을 발생시키고, 상기 선별풍을 그레인 시브(39)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그레인 시브(39) 상에 낙하한 피선별물에 대하여 풍구팬(38)이 생기(生起)하는 선별풍이 닿게 된다. 그리고, 이 선별풍에도 상관없이 그레인 시브(139)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낙하해 오는 비중이 무거운 것은 1번물이라고 불린다. 이 1번물은 주로 탈곡의 목적물인 곡립이다. 1번물은 1번 컨베이어(47)에 도입되고, 그 이외의 비중이 가벼운 것은 후방을 향해서 불어날려진다.
1번 컨베이어(47)에 도입된 1번물(곡립)은 상기 1번 컨베이어(47)에 의해 반송되고, 예를 들면 도시가 생략된 그레인 탱크에 저장된다. 이상에 의해 피선별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해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그레인 시브(39)가 절단 이삭이나 짚부스러기 등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크리닝 브러시(51)를 갖고 있다. 이 크리닝 브러시는 장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된 원통상의 브러시이며,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크리닝 브러시(51)는 톱니 부착 벨트나 랙앤피니온 등의 적당한 기구에 의해 그레인 시브(39) 위를 장치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크리닝 브러시(51)의 전후 이동과 회전에 의해 그레인 시브(39)에 걸린 절단 이삭이나 짚부스러기를 떨어뜨리고, 선별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리닝 브러시(51)의 회전 및 전후 이동은 상시 행해도 좋고 간헐적으로 행해도 좋다.
채프 시브(36), 산형 판(37), 및 그레인 시브(39)의 뒤측 단부 하방에는 스크류 컨베이어로서 구성된 2번 컨베이어(48)가 배치되어 있다.
채프 시브(36)나 산형 판(37) 위에 남은 절단 이삭, 짚부스러기 등은 장치 후측으로 반송되어서 2번 컨베이어(48)에 낙하한다. 또한, 그레인 시브(39)에 낙하한 피처리물 중 풍구팬(38)의 선별풍에 의해 불어날려진 절단 이삭, 짚부스러기 등도 2번 컨베이어(48)에 낙하한다. 풍 선별부(33)는 2번 컨베이어(48)에 낙하하는 피선별물에 대하여 후방 상향의 바람을 보내는 송풍 팬(49)을 갖고 있다.
2번 컨베이어(48)에 낙하하는 피선별물 중 곡립이 붙은 절단 이삭 등은 비교적 무거우므로, 송풍 팬(49)의 바람에도 상관없이 낙하해서 2번 컨베이어(48)에 도입된다. 한편, 곡립이 붙어 있지 않은 짚부스러기 등의 불필요물(3번물)은 송풍 팬(49)의 바람에 의해 불어 날려져 도시가 생략된 짚출구로부터 장치의 밖으로 배출된다.
곡립이 붙은 절단 이삭 등은 단립화의 처리를 다시 실시함으로써 곡립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회수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다시 단립화의 대상으로 하는 것을 2번물이라고 칭한다. 풍 선별부(33)에서 선별되어서 2번 컨베이어(48)에 도입된 2번물은 상기 2번 컨베이어(48)에 의해 반송되고, 환원 컨베이어(환원 기구)(52)의 단부에 공급된다. 환원 컨베이어(52)는 스크류 컨베이어로서 구성되어 있고, 2번물을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환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환원된 2번물은 상기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있어서 재처리되어 곡립이 인출된다.
또한, 종래의 탈곡 장치는 급동에서 발생한 절단 이삭을 처리하는 장치와, 2번물을 처리하는 장치를 따로따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가 구비하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는 급동(13)에서 발생한 절단 이삭을 처리하는 역할과, 2번물을 처리하는 역할을 겸하고 있다. 이렇게 1개의 장치에 의해 절단 이삭과 2번물을 처리하므로, 탈곡 장치(10)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의 급실(16)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 종래의 탈곡 장치는 선재로 이루어지는 급치를 구비하고 있었다. 선재로 이루어지는 급치는 이삭끝에 대한 충돌 빈도가 작으므로, 충분한 탈곡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이삭끝에 대한 충돌 횟수를 많이 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급실의 케이싱을 급동의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함으로써, 급동의 주위에 곡간을 감도록 안내해서 이삭끝과 급치의 충돌 횟수의 증대를 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급동의 외주에 곡간을 감도록 안내하는 구성에서는 급동을 회전시킬 때의 저항이 커져 소비 동력이 증대한다는 과제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같이 편평상의 급치(17)를 구비한 탈곡 장치(10)는 급치(17)와 이삭끝(22a)의 충돌 빈도가 높고, 곡간(22)으로부터 이삭의 부분을 신속하게 빼낼 수 있으므로, 종래의 탈곡 장치보다 적은 충돌 횟수로 충분한 탈곡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원 발명자들은 이 점을 착안하여 본원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편평형상의 급치(17)를 구비한 탈곡 장치(10)이면, 충돌 횟수의 증대를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급동(13)의 외주에 곡간을 감도록 구성하지 않아도 충분한 탈곡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 급치(17)에 의해 어느 정도 훑어진 이삭끝(22a)은 급동(13)으로부터 멀어져 버려도 좋은 것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동(13)의 상방 및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고, 급동(13)으로부터 곡간(22)이 멀어질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동(13)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급실 커버(18)는 적어도 급동(13)의 곡간 반송 기구(12)측의 측방에 있어서 급치(17)의 회전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곡간 반송 기구(12)에서 반송되는 곡간은 급실 커버(18)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급동(13)의 측면에 압박되어 급치(17)에 의해 확실하게 훑어진다.
한편, 급실 커버(18)는 급동(13)의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급동(13)의 외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실 커버(18)는 적어도 급동(13)의 축선의 직상 위치에 있어서는 급치(17)의 선단의 회전 궤적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급동(13)의 상방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급실(16)내에 있어서 곡간(22)은 급동(13)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급치(17)에 의해 곡간(22)을 상향으로 훑는 「상방 훑음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곡간 반송 기구(12)는 급동(13)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곡간(22)의 줄기를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실(16)에 도입된 직후의 곡간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13)의 측면에 이삭끝(22a)이 밀착되는 자세가 된다. 이것에 의해 이삭끝(22a)이 급치(17)에 의해 훑어지므로, 확실하게 곡간(22)으로부터 이삭의 부분을 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곡간 반송 기구(12)는 급동(13)의 축선방향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곡간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드 체인(23)이 후방 비스듬하게 상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곡간(22)이 곡간 반송 기구(12)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어 가면 상기 곡간 반송 기구(12)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줄기의 부분에 위치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곡간(22)의 이삭끝(22a)은 급동(13)의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곡간(22)의 이삭끝(22a)의 부분이 급동(13)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도 6 참조).
상술과 같이, 급동(13)의 상방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곡간 반송 기구(12)에 의해 장치 후방으로 반송된 곡간(22)의 이삭끝(22a)은 도 6과 같이, 급동(13)의 외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곡간(22)의 이삭끝(22a)의 부분은 이미 급치(17)에 의해 훑어진 후이기 때문에 상기 이삭끝(22a)이 급동(13)으로부터 멀어졌다해도 곡립의 회수율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이렇게 이삭끝(22a)이 급동(13)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곡간(22)이 급동(13)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급동(13)의 회전시에 여분의 동력이 억제되어 짚부스러기 등의 발생량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급실 커버(18)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상방에도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동(13)의 상방의 공간과,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상방의 공간은 연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급동(1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곡립, 절단 이삭 등은 상기 공간으로 방출되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투입된다. 이렇게, 곡립, 절단 이삭 등을 공간으로 방출하므로, 상기 곡립, 절단 이삭 등이 이삭끝(22a)에 재충돌하기 어려워져 곡립의 회수율이 향상한다.
또한, 종래의 탈곡 장치는 급동의 하측에 상기 급동의 형상을 따른 크림프망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1∼3도 이렇게 급동 아래를 크림프망으로 덮은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 구성은 급동에서 발생한 절단 이삭 등을 크림프망에서 받고, 크림프망과 급치에 의한 마찰 작용에 의해 단립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노린 것이다. 이렇게, 급동에서 발생한 절단 이삭 등 크림프망에서 일단 받아내는 것에 의해 선별 장치에 절단 이삭이 직접 떨어지지 않으므로, 선별 장치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급동의 하방을 크림프망으로 덮으면 크림프망과 급동 사이에 짚부스러기 등이 축적되어 급동의 동력소비가 커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 크림프망이 급동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므로, 곡간의 이삭끝이 급동과 크림프망 사이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곡간이 급동의 외주에 감기기 쉬워지고, 이 점에서도 급동의 동력소비가 커진다.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급동(13)의 하방에는 크림프망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급동(13)의 아래를 개방해서 선별 장치(15)에 직접 대면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급동(13)과 크림프망 사이에 짚부스러기 등이 축적되는 일도 없고, 급동(13)에 곡간이 감기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급동(13)의 여분의 동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동의 하방의 크림프망을 생략한 구성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고 1-21930호 공보에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고 1-21930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은 급동에서 발생한 절단 이삭 등이 선별 장치에 직접 투입되는 구성이며, 단립화의 효율은 매우 낮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급동(13)의 하방은 개방되어 있지만, 급동(13)에서 발생한 절단 이삭 등은 선별 장치(15)에 직접 투입되는 것이 아니고,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서 처리된 후 선별 장치(15)에 투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급동(13)의 하래의 크림프망을 생략하고 있지만,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의해 절단 이삭의 단립화를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 급동(13)의 상방 및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상방에 형성된 공간에는 리드 밸브(28)가 배치되어 있다. 각 리드 밸브(28)는 급실 커버(18)의 하면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드 밸브(28)는 급동(13)의 축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는 급실 커버(18)와, 급동(13) 및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렇게, 급동(13)의 상방 및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상방에 리드 밸브(28)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각 리드 밸브(28)는 급동(13)의 축선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평면으로 볼 때(도 5)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급동(13)의 회전에 의해 곡간(22)으로부터 떨어진 절단 이삭, 곡립 등은 급실 커버(18)의 하면을 따르도록 해서 비산되고, 리드 밸브(28)에 의해 안내되면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낙하한다. 따라서, 리드 밸브(28)가 급동(13)의 축선방향과 직교해서 배치되어 있으면, 절단 이삭, 곡립 등은 평면으로 볼 때(도 5) 급동(13)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날아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도입된다. 한편, 리드 밸브(28)가 급동(13)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어 있으면, 절단 이삭, 곡립 등은 평면으로 볼 때(도 5) 급동(13)의 축선에 사행하는 방향으로 날아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도입된다. 절단 이삭이나 곡립이 급동(13)의 축선에 사행하는 방향으로 비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절단 이삭이나 곡립은 급동(13)의 축선방향으로 분산되기 쉬워진다.
그런데, 급실(16)에 도입된 곡간(22)은 장치 후방으로 반송됨에 따라 이삭의 부분이 떨어져 가므로 급동(13)의 앞측 단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절단 이삭의 양은 많고, 급동(13)의 뒤측 단부에서 발생하는 절단 이삭의 양은 적어진다. 이 때문에,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투입되는 절단 이삭의 양은 급동(13)의 축선방향에서 불균일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투입되는 절단 이삭의 양이 축선방향에서 균일해지도록 리드 밸브(28)의 각도를 조정하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면시에 있어서 리드 밸브(28)와, 급동(13)의 축선에 직교 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장치 앞측의 리드 밸브(28)일수록 커지도록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급동(13)의 앞측에서 발생한 절단 이삭일수록 상기 급동(13)의 축선방향에서 분산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공급하는 절단 이삭의 양을 급동(13)의 축선방향일수록 균일화할 수 있다. 이렇게, 리드 밸브(28)를 조정함으로써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공급하는 절단 이삭의 양을 축선방향에서 균일화할 수 있으므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처리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실 커버(18)는 그 앞측 단부 근방에 있어서 장치 전방을 향함에 따라 급동(13)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서 넓어지도록 형성된 확대부(18a)를 갖고 있다. 또한, 급실 커버(18)의 앞측 단부는 급동(13)의 반경방향에서 곡간 공급판(25)의 뒤측 단부 근방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곡간 공급판(25)은 곡간(22)의 이삭끝 부분을 안내해서 상기 곡간(22)을 적절한 자세로 급실(16)에 도입하기 위한 안내부재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간 공급판(25)은 그 대부분이 급실(16)의 앞측 단부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간 공급판(25)은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이 곡간 도입구(21)까지 매끄럽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간(22)은 곡간 반송 기구(12)에 의해 줄기의 부분이 협지되어 반송될 때, 그 이삭끝(22a)의 부분이 곡간 공급판(25)의 상면에 의해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곡간 반송 기구(12)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의 전체를 적절한 자세로 곡간 도입구(21)까지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이, 급실 커버(18)의 앞측 단부는 급동(13)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서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곡간 공급판(25)과 급실 커버(18) 사이에 곡간이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곡간(22)을 곡간 도입구(21)에 원활하게 도입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급실(16)에 투입된 곡간(22)이 급치(17)에 대하여 급동(13)의 축선방향으로부터(도 1의 좌측으로부터) 근접해 가면 상기 곡간(22)은 급치(17)에 대하여 측면으로부터 충돌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곡간(22)은 급치(17)에 의해 전방으로(도 1의 좌측으로) 되밀리는 힘을 받는다. 이 때문에, 곡간(22)의 공급이 안정되지 않거나, 케이싱(11)의 외부로 곡립이 비산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곡간(22)을 급치(17)에 대하여 급동(1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근접해 가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간 공급판(25)의 후단부는 앞측의 1개째의 급치(17)(도 1의 가장 좌측의 급치)의 선단보다 급동(13)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상기 1개째의 급치(17)의 선단보다 급동(13)의 축선방향에서 후방 근처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 급실 커버(18)는 상기 확대부(18a)를 갖고 있으므로, 그 앞측 단부로부터 뒤를 향함에 따라 급동(13)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곡간 공급판(25)과 급실 커버(18) 사이를 지나 곡간 도입구(21)까지 안내된 곡간(22)은 급치(17)의 반경방향 외측에 공급된다. 이 곡간(22)은 또한 급실 커버(18)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급치(17)에 대하여 급동(1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근접해 가게 된다. 곡간(22)을 이렇게 하여 급실(16)에 도입함으로써 상기 곡간(22)이 급치(17)에 의해 되밀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곡간(22)의 공급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급실 커버(18)와 곡간 공급판(25) 사이에는 막상으로 형성된 비산 방지 고무(26)를 곡간 도입구(21)를 막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급실(16)내에서 발생한 곡립이 곡간 도입구(21)로부터 밖으로 날아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산 방지 고무(26)는 그 상단부를 급실 커버(18)에 고정하고, 그 하단부는 자유단으로 하고 있으므로, 곡간(22)이 급실(16)에 도입될 때에는 이것을 밀어 젖힐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급동(13)과,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와, 급실 커버(18)를 구비한다. 급동(13)은 급실(16)내에서 회전함으로써 곡간(22)을 탈곡한다.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는 급동(13)에서 곡간(22)을 탈곡할 때에 발생한 절단 이삭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 절단 이삭의 낙하 위치에 배치된다. 급실 커버(18)는 급동(13)의 상방과,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상방을 적어도 덮는다. 또한, 급동(13)은 상기 급동(13)의 외주면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급치(17)를 복수 갖고 있다. 급치(17)는 급동(13)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평면을 따라 편평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축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급치(17)는 상기 급치(17)의 선단이 급동(13)의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는 급동(13)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절단 이삭 처리동(40)과,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하방에 배치된 수망(41)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축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 급실 커버(18)는 급동(13)의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급동(13)의 외주로부터 서서히 멀어져 가도록 형성됨으로써 급동(13)의 상방 및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동(13)의 상방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급동(13)의 외주로부터 곡간(22)이 멀어지므로 곡간(22)이 급동(13)에 감겨 버리는 것을 방지해서 급동(13)의 여분의 동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탈곡에 의해 발생한 피처리물(탈립된 곡립, 절단 이삭 등)은 상기 공간으로 방출되게 되므로, 상기 피처리물이 곡간(22)에 재충돌하기 어려워져 탈곡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상기 급실(16)에 도입한 상태의 곡간(22)을 급동(13)의 축선방향 비스듬히 상향으로 반송하는 곡간 반송 기구(12)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곡간이 급실(16)내를 반송함에 따라 이삭끝(22a)이 급동(13)으로부터 멀어져 가므로 급동(13)에 곡간(22)이 감기기 어려워져 동력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 급실(16)의 축방향에서 일측의 단부에 곡간 도입구(21)가 형성된다. 급실 커버(18)는 곡간 도입구(21)측의 단부에 근접함에 따라 급동(1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확대부(18a)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곡간 도입구(21)에 투입된 곡간(22)의 이삭끝(22a)은 급치(17)에 대하여 급동(1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근접하도록 해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이삭끝(22a)이 급치(17)에 대하여 급동(13)의 축방향으로부터 공급되는 경우에 비해 급치(17)로 되밀려지기 어려워져 곡간의 공급이 안정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는 급동(13)의 상방 및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상방에 형성된 공간에 급동(13)의 축선방향에 대한 각도를 조정 가능한 판상의 리드 밸브(28)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급동(13)의 축방향에서 절단 이삭의 분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투입되는 절단 이삭의 양을 축방향에서 균일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효율이 향상되어 처리 유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의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투입되는 절단 이삭의 양은 급동(13)의 축선방향에서 불균일해지는 경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투입되는 피처리물의 양은 곡간(22)의 반송방향 상류측에서 많고, 하류측에서 적다. 즉, 급동(13)로부터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도입되는 피처리물은 곡간(22)의 반송방향 상류측(장치 앞측)에 치우쳐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리드 밸브(28)에 의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공급되는 절단 이삭의 양을 축선방향에서 균일화되도록 조정할 수 있지만, 리드 밸브(28)만에서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공급되는 절단 이삭의 양의 치우침을 완전히는 해소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급동(13)으로부터의 피처리물이 앞측에 치우쳐져 있는 경우, 그 상태에서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뒤측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2번물을 환원하는 위치를 연구함으로써, 상기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뒤측을 유효하게 이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곡간(22)의 반송방향에서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중앙위치보다 하류측에 가까운 위치(즉,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뒤측)에 2번물을 환원하도록 환원 컨베이어(52)가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급동(13)으로부터의 피처리물의 공급량이 적은 개소(즉,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뒤측)에 2번물을 환원함으로써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서 처리되는 절단 이삭 등의 분포를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축선방향에서 균일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를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켜서 높은 처리 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급동(13)에서 발생하는 피처리물과, 선별 장치(15)로부터의 2번물은 그 내용구성이 다르다. 예를 들면, 선별 장치(15)로부터의 2번물은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의해 일단 처리된 것이기 때문에, 급동(13)으로부터 투입되는 피처리물보다 자잘하게 세단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과 같이, 급동(13)으로부터 피처리물은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앞측에, 선별 장치(15)로부터의 2번물은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뒤측에 각각 공급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스펙을 전반부분과 후반부분에서 바꿈으로써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간(22)의 반송방향에서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중앙보다 하류측의 부분(즉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후반부분, 부호 40b로 나타내는 부분)은 상류측의 부분(즉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전반부분, 부호 40a로 나타내는 부분)보다 처리 톱니(42) 및 절단 톱니(43)의 간격을 좁게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급동(13)으로부터의 피처리물과, 선별 장치(15)로부터의 2번물을 그 내용구성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곡간 반송 기구(12)와, 선별 장치(15)와, 환원 컨베이어(52)를 구비한다. 곡간 반송 기구(12)는 곡간(22)을 반송한다. 선별 장치(15)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하방에 배치되고,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서 처리된 피처리물을 재처리가 불필요한 1번물과, 재처리가 필요한 2번물과, 불필요물로서 기외로 배출되는 3번물로 선별한다. 환원 컨베이어(52)는 선별 장치(15)에서 선별된 2번물을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로 되돌린다. 그리고, 환원 컨베이어(52)는 곡간(22)의 반송방향에서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중앙보다 하류측에 가까운 위치로 2번물을 되돌린다.
즉, 급동(13)으로부터 절단 이삭 처리동(40)에 투입되는 피처리물은 곡간(22)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치우쳐져 있다. 그래서, 선별 장치(15)로부터의 2번물은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하류측으로 환원함으로써, 절단 이삭 처리동(40)에 공급되는 피처리물의 분포를 상기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축방향에서 균일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처리 능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는 절단 이삭 처리동(40)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처리 톱니(42)와, 처리 톱니(42)끼리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수망(41)측에 설치된 복수의 절단 톱니(43)를 구비한다. 그리고, 곡간(22)의 반송방향에서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중앙보다 상류측의 부분과 하류측의 부분에서는 처리 톱니(42)의 간격을 다르게 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 절단 이삭 처리동(40)이 회전함으로써 처리 톱니(42)와 수망(41)에 의한 마찰 작용에 의해 급동(13)으로부터의 피처리물 및 선별 장치(15)로부터의 2번물을 단립화하고, 수망(41)을 통해서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상류측에는 급동(13)으로부터의 피처리물이, 하류측에는 선별 장치(15)로부터 2번물이 각각 공급되는 것이며,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는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다른 내용구성의 것을 처리하게 된다. 그래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스펙을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다르게 함으로써 최적의 처리가 가능해지고, 소비 동력의 증가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단립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의 급동(13)과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 사이의 부분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는 회전 구동되는 절단 이삭 처리동(40)을 구비하고 있다.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도입된 피처리물은 상술의 마찰 작용에 의해 단립화·세단화되어 수망(41)을 통과하여 선별 장치(15)에 낙하한다. 그러나, 피처리물의 일부는 수망(41)으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회전의 힘에 의해 수망(41)의 단부로부터 튀어나오려고 한다.
종래의 탈곡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로부터 튀어나온 피처리물이 급동(13)에 감겨 있는 곡간(22)에 충돌하고, 곡간(22)과 곡간(22) 사이에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곡간(22) 사이에 피처리물이 들어가면 급동(13)의 회전 부하가 커져 버린다. 또한, 곡간(22) 사이에 들어간 피처리물은 그대로 곡간(22)과 함께 기외로 배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서 곡립의 회수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렇게, 피처리물이 곡간에 재충돌하면 탈곡의 효율이 악화되므로, 상기 재충돌은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종래의 탈곡 장치가 구비하는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처리 장치내의 피처리물이 급동을 향해서 튀어 나오지 않도록 연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상기 특허문헌 1의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처리동을 급동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렇게, 처리동을 급동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처리동의 회전의 힘에 의해 피처리물이 튀어 나오는 방향은 급동과는 반대 방향이 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급동에 감겨져 있는 곡간에 대하여 피처리물이 재충돌할 우려는 적다.
또한, 특허문헌 1은 그 도 8에 처리동을 급동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처리동은 급동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의 낙하 위치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의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와는 전혀 발상이 다른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도 8과 같이, 피처리물의 낙하 위치와는 반대측에 처리동을 배치하고 있는 경우는 급동과 처리동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피처리물이 튀어 나오는 방향은 급동과는 반대 방향이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도 8의 구성이어도 피처리물이 급동을 향해서 튀어 나올 일은 없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처리동이 급동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지만, 처리동과 급동 사이에 구획판을 설치하고, 처리동으로부터 급동을 향해서 피처리물이 튀어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어쨌든, 종래의 탈곡 장치에 있어서는 처리동내의 처리물을 급동을 향해서 방출한다고 하는 구성을 취하는 일은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피처리물이 처리 장치로부터 튀어 나오지 않도록 구성하면, 피처리물이 처리 장치에 축적되기 쉬워진다. 특히, 피처리물의 유입량이 많은 경우에는 수망과 처리동 사이에 피처리물이 축적되어 가서 처리동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소비도 커짐과 아울러 처리 장치의 탈립성능도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로부터 튀어 나온 피처리물이 곡간(22)과 곡간(22) 사이에 들어가 버린다고 하는 종래의 탈곡 장치가 갖고 있었던 문제는 급동(13)에 곡간(22)이 감겨져 있는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문제이다. 이 점,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급동(13)의 상방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곡간(22)이 급동(13)에 감기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곡간(22)이 급동(13)에 감기지 않고 있는 것이라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로부터 급동(13)을 향해서 피처리물을 꺼냈다고 해도 상기 피처리물이 곡간(22)에 충돌할 우려는 적다.
본원 발명자는 상기 점을 착안하여 본원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서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내의 피처리물을 급동(13)을 향해서 방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이삭 처리동(40)을 급동(13)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내의 피처리물이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회전하는 힘에 의해 수망(41)의 급동(13)측의 단부로부터 급동(13)을 향해서 방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망(41)의 급동(13)측의 단부의 상방은 개방되어 있다(즉,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탈곡 장치가 갖고 있는 구획판은 급동(13)과 절단 이삭 처리동(40) 사이에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로부터 방출된 피처리물은 차단되지 않고 급동(13)으로 날아가서 급동(13)의 외주면, 또는 급치(17)에 충돌하게 된다.
급동(13)을 향해서 방출된 피처리물은 상기 급동(13) 또는 급치(17)에 충돌한 충격에 의해 단립화가 촉진된다. 또한, 급동(13) 또는 급치(17)에 충돌한 피처리물은 일부는 튀어 되돌아와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에 다시 도입되고, 일부는 급동(13)과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 사이를 통과해서 선별 장치(15)에 낙하한다. 이 때, 상기 피처리물은 급치(17)와 수용 톱니(45) 사이를 통과하므로, 이것에 의해 마찰 작용을 받아서 단립화가 촉진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내의 피처리물을 급동(13)을 향해서 방출함으로써 상기 피처리물을 급동(13)과 상호작용시켜서 단립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수망(41)은 처리 톱니(42) 사이를 통과하는 절단 톱니(43)를 갖고 있다. 이 절단 톱니(43)는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회전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수망(41)의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수망(41)으로부터 급동(13)을 향해서 튀어나오려고 하는 피처리물은 처리 톱니(42)와 절단 톱니(43)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분리 처리되어, 자잘하게 세단된다. 이렇게, 피처리물을 확실하게 처리하고나서 급동(13)을 향해서 방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내의 피처리물을 급동(13)을 향해서 방출할 수 있으므로, 절단 이삭 처리동(40)과 수망(41) 사이에 피처리물이 지나치게 쌓일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는 절단 이삭 처리동(40)을 회전시킬 때의 소비 동력이 과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는 짚부스러기 등의 피처리물이 적은 상태로 단립화를 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의 단립화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하단의 높이와, 급동(13)의 하단의 높이가 대략 일치하도록 양자가 배치되어 있다. 절단 이삭 처리동(40)을 이 높이로 함으로써 상기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회전에 의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방출되는 피처리물을 급동(13)에 대하여 양호하게 충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절단 이삭 처리동(40)과 급동(13)의 하단의 높이를 일치시킴으로써 급실(16)이 상하 방향으로 컴팩트해지므로, 탈곡 장치(10) 전체를 상하 방향으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절단 이삭 처리동(40)은 그 축중심이 급동(13)의 축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수망(41)의 급동(13)측 단부 상방에 있어서 급동(13)과 절단 이삭 처리동(40) 사이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절단 이삭 처리동(40)은 급동(13)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동(13)과 절단 이삭 처리동(40) 사이를 연통시켜 두고, 급동(13)과 절단 이삭 처리동(4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회전의 힘에 의해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로부터 급동(13)을 향해서 피처리물이 방출된다. 이렇게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로부터 피처리물을 방출함으로써 피처리물이 절단 이삭 처리동(40)과 수망(41) 사이에 과도하게 축적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동(13)에 방출된 피처리물은 상기 급동(13) 및 급치(17)에 충돌함으로써 단립화가 촉진된다. 이것에 의해 탈곡 장치(10)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는 절단 이삭 처리동(40)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처리 톱니(42)와, 처리 톱니(42)끼리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수망(41)측에 설치된 복수의 절단 톱니(43)를 구비한다. 수망(41)은 처리 톱니(42)의 회전 궤적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절단 톱니(43)는 절단 이삭 처리동(40)의 회전방향에서 수망(41)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절단 이삭 처리동(40)이 회전함으로써 처리 톱니(42)와 수망(41)에 의한 마찰 작용에 의해 피처리물을 단립화하고, 수망(41)을 통해서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수망(41)으로부터 낙하하지 않은 피처리물은 절단 이삭 처리동(40)이 회전하는 힘에 의해 수망(41)의 단부로부터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튀어 나오게 되지만, 이 때에 처리 톱니(42)와 절단 톱니(43)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분리 처리된다. 이것에 의해 피처리물의 단립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0)에 있어서는 급동(13)의 급치(17)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구성된 복수의 수용 톱니(45)를 수망(41)의 급동(13)측 단부에 설치하고 있다.
즉,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로부터 급동(13)을 향해서 방출된 피처리물의 일부는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와 급동(13) 사이를 통과해서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지만, 이 때 급치(17)와 수용 톱니(45)에 의해 분리 처리되므로, 단립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상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구성은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곡 장치는 거치의 탈곡 장치, 하비스터 내장의 탈곡 장치, 콤바인 내장의 탈곡 장치 등 여러가지 탈곡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급동(13)은 장치 앞측의 지름이 작고, 장치 후방의 지름이 커지도록 지름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원추대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급동(13)의 장치 앞측에 있어서는 상기 급동(13)과 급실 커버(18) 사이에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곡간의 혼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곡간(22)의 반송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처리 톱니(42)의 간격을 변경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대신해서, 또는 이것에 추가해서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처리 톱니(42)의 길이를 변경해도 좋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이삭 처리 장치를 상하 2단으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단의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1)에서 처리할 수 없었던 절단 이삭이나 곡립 부착 지경을 하단의 절단 이삭 처리 장치(142)에서 재처리하기 때문에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상하 2단으로 단립화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단립의 비율이 증가하고, 2번물로서 환원되는 비율이 줄어드므로 전체적으로 처리 효율이 향상되어 보다 대량의 피처리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단, 절단 이삭 처리 장치를 상하로 3단 이상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10: 탈곡 장치 12: 곡간 반송 기구
13: 급동 14: 절단 이삭 처리 장치(처리 장치)
15: 선별 장치 16: 급실
17: 급치 18:급실 커버
21: 곡간 도입구(도입구) 28: 리드 밸브
40: 절단 이삭 처리동(처리동) 41: 수망
42: 처리 톱니 43: 절단 톱니
45: 수용 톱니 52: 환원 컨베이어(환원 기구)

Claims (10)

  1. 급실내에서 회전함으로써 곡간을 탈곡하는 급동과,
    상기 급동에서 곡간을 탈곡할 때에 발생한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해서 상기 피처리물의 낙하 위치에 배치되는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급동은 상기 급동의 외주면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급치를 복수 갖고,
    상기 급치는 상기 급동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평면을 따라 편평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축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어 있고, 상기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급치의 선단이 상기 급동의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급동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처리동과, 상기 처리동의 하방에 배치된 수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의 상방과 상기 처리 장치의 상방을 적어도 덮는 급실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급실 커버는 상기 급동의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급동의 외주로부터 서서히 멀어져 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급동의 상방 및 상기 처리 장치의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동은 그 축중심이 상기 급동의 축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수망의 상기 급동측의 단부 상방에 있어서 상기 급동과 상기 처리동 사이가 연통되어 있고,
    상기 처리동은 상기 급동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에 의해 탈곡되는 상기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기구와,
    상기 처리 장치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피처리물을 재처리가 불필요한 1번물과 재처리가 필요한 2번물로 선별하는 선별 장치와,
    상기 선별 장치에서 선별된 2번물을 상기 처리 장치로 되돌리는 환원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환원 기구는 상기 곡간의 반송방향에서 상기 처리동의 중앙보다 하류측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2번물을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실에 도입된 상태의 곡간을 상기 급동의 축선방향 비스듬히 상향으로 반송하는 곡간 반송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실의 축방향에서 일측의 단부에 상기 곡간의 도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급실 커버는 상기 도입구측의 단부로 근접함에 따라 상기 급동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확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실 커버와, 상기 급동의 상방 및 상기 처리 장치의 상방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급동의 축선방향에 대한 각도를 조정 가능한 판상의 리드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동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처리 톱니와, 상기 처리 톱니끼리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수망측에 설치된 복수의 절단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수망은 상기 처리 톱니의 회전 궤적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절단 톱니는 상기 처리동의 회전방향에서 적어도 상기 수망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의 상기 급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용 톱니를 상기 수망의 상기 급동측의 단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동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처리 톱니와, 상기 처리 톱니끼리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수망측에 설치된 복수의 절단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곡간의 반송방향에서 상기 처리동의 중앙보다 상류측의 부분과 하류측의 부분에서는 상기 처리 톱니의 간격 또는 상기 처리 톱니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다르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KR1020137024299A 2011-02-21 2012-01-27 탈곡 장치 KR201400162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4985A JP5781786B2 (ja) 2011-02-21 2011-02-21 脱穀装置
JPJP-P-2011-034986 2011-02-21
JPJP-P-2011-034985 2011-02-21
JP2011034986A JP5763364B2 (ja) 2011-02-21 2011-02-21 脱穀装置
JPJP-P-2011-034994 2011-02-21
JP2011034994A JP2012170391A (ja) 2011-02-21 2011-02-21 脱穀装置
PCT/JP2012/000528 WO2012114653A1 (ja) 2011-02-21 2012-01-27 脱穀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289A true KR20140016289A (ko) 2014-02-07

Family

ID=4672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299A KR20140016289A (ko) 2011-02-21 2012-01-27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40016289A (ko)
CN (1) CN103379821A (ko)
WO (1) WO20121146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615A (ko) * 2019-09-26 2020-10-05 강옥자 다중 탈곡부를 구비한 잡곡 탈곡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6995A1 (ja) * 2014-03-25 2015-10-0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5875079B (zh) * 2016-04-19 2017-11-03 河南科技大学 一种螺旋回转式玉米脱粒机
CN105993405A (zh) * 2016-06-06 2016-10-12 长春继鑫农业装备有限公司 链板式排叶器
CN106664985B (zh) * 2016-11-18 2019-10-22 唐山曹妃甸区稻口香米业有限公司 一种粮食去皮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4021U (ja) * 1983-03-31 1984-10-16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脱穀機
CN2228266Y (zh) * 1994-11-21 1996-06-05 沈阳农业大学 小型麦稻站杆脱粒收获机
JP2002112618A (ja) * 2000-10-04 2002-04-1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脱穀装置
JP2005295846A (ja) * 2004-04-08 2005-10-27 Kubota Corp 脱穀装置
JP4867144B2 (ja) * 2004-07-29 2012-02-01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CN2755946Y (zh) * 2004-12-16 2006-02-08 甘学明 一种全喂入纹杆式脱粒机
JP2008161086A (ja) * 2006-12-27 2008-07-17 Iseki & Co Ltd 脱穀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615A (ko) * 2019-09-26 2020-10-05 강옥자 다중 탈곡부를 구비한 잡곡 탈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9821A (zh) 2013-10-30
WO2012114653A1 (ja)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6289A (ko) 탈곡 장치
JP5781786B2 (ja) 脱穀装置
JP5836012B2 (ja) 脱穀装置
KR102646943B1 (ko) 탈곡 장치
JP5763364B2 (ja) 脱穀装置
JP2014023451A (ja) 脱穀装置
KR101035203B1 (ko) 콤바인
JP2009027978A (ja) 脱穀装置
JP2014023492A (ja) 脱穀装置
JP5743799B2 (ja) 脱穀装置
JP5841773B2 (ja) 脱穀装置
JP5769600B2 (ja) 揺動選別装置
JP5836014B2 (ja) 脱穀装置
WO2013031132A1 (ja) 脱穀装置
JP2006006205A (ja) 脱穀選別装置
JP2008048696A (ja) 脱穀装置
JP2013039041A (ja) 脱穀装置
JP2009219399A (ja) コンバイン
JP3686604B2 (ja)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WO2013021605A1 (ja) 脱穀装置
JP6037696B2 (ja) 脱穀装置
JP2012170391A (ja) 脱穀装置
JP2007174996A (ja) 脱穀装置の選別処理物搬送構造
JP2005333822A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装置
JP2009034057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