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163A - 발광 장치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5163A KR20140015163A KR1020127022096A KR20127022096A KR20140015163A KR 20140015163 A KR20140015163 A KR 20140015163A KR 1020127022096 A KR1020127022096 A KR 1020127022096A KR 20127022096 A KR20127022096 A KR 20127022096A KR 20140015163 A KR20140015163 A KR 201400151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layer
- electrode
- emitting device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10000476 molybden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PQQKPALAQIIWST-UHFFFAOYSA-N oxo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O PQQKPALAQIIW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IBHBKWKFFTZAHE-UHFFFAOYSA-N n-[4-[4-(n-naphthalen-1-ylanilino)phenyl]phenyl]-n-phenylnaphthalen-1-amine Chemical group C1=CC=CC=C1N(C=1C2=CC=CC=C2C=CC=1)C1=CC=C(C=2C=CC(=CC=2)N(C=2C=CC=CC=2)C=2C3=CC=CC=C3C=CC=2)C=C1 IBHBKWKFFTZAH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RHZWSUVWRRXEJF-UHFFFAOYSA-N indium tin Chemical compound [In].[Sn] RHZWSUVWRRXEJF-UHFFFAOYSA-N 0.000 claims 2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claims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claims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0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4
- -1 aromatic amine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XJHCXCQVJFPJIK-UHFFFAOYSA-M caes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F-].[Cs+] XJHCXCQVJFPJIK-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2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49 co-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66 electron beam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150000001342 alkalin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KRHYYFGTRYWZRS-UHFFFAOYSA-M Flu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83 Tr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VBVAVBCYMYWNOU-UHFFFAOYSA-N coumarin 6 Chemical compound C1=CC=C2SC(C3=CC4=CC=C(C=C4OC3=O)N(CC)CC)=NC2=C1 VBVAVBCYMYWNO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YYMBJDOZVAITBP-UHFFFAOYSA-N rubr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C1=C(C=2C=CC=CC=2)C2=CC=CC=C2C(C=2C=CC=CC=2)=C11)=C(C=CC=C2)C2=C1C1=CC=CC=C1 YYMBJDOZVAIT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UOOBIWAELCOCHK-BQYQJAHWSA-N 870075-87-9 Chemical compound O1C(C(C)C)=CC(=C(C#N)C#N)C=C1\C=C\C1=CC(C(CCN2CCC3(C)C)(C)C)=C2C3=C1 UOOBIWAELCOCHK-BQYQJAHW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PQXKHYXIUOZZFA-UHFFFAOYSA-M lith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Li+].[F-] PQXKHYXIUOZZF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ZVFQEOPUXVPSLB-UHFFFAOYSA-N 3-(4-tert-butylphenyl)-4-phenyl-5-(4-phenylphenyl)-1,2,4-tr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C)(C)C)=CC=C1C(N1C=2C=CC=CC=2)=NN=C1C1=CC=C(C=2C=CC=CC=2)C=C1 ZVFQEOPUXVPSL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IOJUPLGTWVMSFF-UHFFFAOYSA-N cyclobenzothiazole Natural products C1=CC=C2SC=NC2=C1 IOJUPLGTWVMSF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295 emissi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Chemical compound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UFVXQDWNSAGPHN-UHFFFAOYSA-K bis[(2-methylquinolin-8-yl)oxy]-(4-phenylphenoxy)alumane Chemical compound [Al+3].C1=CC=C([O-])C2=NC(C)=CC=C21.C1=CC=C([O-])C2=NC(C)=CC=C21.C1=CC([O-])=CC=C1C1=CC=CC=C1 UFVXQDWNSAGPHN-UHFFFAOYSA-K 0.000 description 3
- XZCJVWCMJYNSQO-UHFFFAOYSA-N butyl pbd Chemical compound C1=CC(C(C)(C)C)=CC=C1C1=NN=C(C=2C=CC(=CC=2)C=2C=CC=CC=2)O1 XZCJVWCMJYNS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UKWITHWXAAZEY-UHFFFAOYSA-L calcium difluoride Chemical compound [F-].[F-].[Ca+2] WUKWITHWXAAZE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UCJHNOBJLKZNU-UHFFFAOYSA-M dilithium;hydroxide Chemical compound [Li+].[Li+].[OH-] XUCJHNOBJLKZN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FZFYOUJTOSBFPQ-UHFFFAOYSA-M dipotassium;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K+] FZFYOUJTOSBFP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KPUWHANPEXNPJT-UHFFFAOYSA-N disiloxane Chemical class [SiH3]O[SiH3] KPUWHANPEXNP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17 electron-beam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768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KKCBUQHMOMHUOY-UHFFFAOYSA-N sodium oxide Chemical compound [O-2].[Na+].[Na+] KKCBUQHMOMHU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IYZMXHQDXZKNCY-UHFFFAOYSA-N 1-n,1-n-diphenyl-4-n,4-n-bis[4-(n-phenylanilino)phenyl]benzene-1,4-di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CC(=CC=1)N(C=1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 IYZMXHQDXZKNC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PDPTFAJSFKAMT-UHFFFAOYSA-N 1-n-[4-[4-(n-[4-(3-methyl-n-(3-methylphenyl)anilino)phenyl]anilino)phenyl]phenyl]-4-n,4-n-bis(3-methylphenyl)-1-n-phenylbenzene-1,4-d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C(N(C=2C=CC(=CC=2)N(C=2C=CC=CC=2)C=2C=CC(=CC=2)C=2C=CC(=CC=2)N(C=2C=CC=CC=2)C=2C=CC(=CC=2)N(C=2C=C(C)C=CC=2)C=2C=C(C)C=CC=2)C=2C=C(C)C=CC=2)=C1 SPDPTFAJSFKAM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OCMXZLNHQBBOS-UHFFFAOYSA-N 2-(1,3-benzoxazol-2-yl)phenol zinc Chemical compound [Zn].Oc1ccccc1-c1nc2ccccc2o1.Oc1ccccc1-c1nc2ccccc2o1 UOCMXZLNHQBBO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QJQNLKWTRGIEB-UHFFFAOYSA-N 2-(4-tert-butylphenyl)-5-[3-[5-(4-tert-butylphenyl)-1,3,4-oxadiazol-2-yl]phenyl]-1,3,4-oxad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C)(C)C)=CC=C1C1=NN=C(C=2C=C(C=CC=2)C=2OC(=NN=2)C=2C=CC(=CC=2)C(C)(C)C)O1 FQJQNLKWTRGI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LYPIBBGWLKELC-RMKNXTFCSA-N 2-[2-[(e)-2-[4-(dimethylamino)phenyl]ethenyl]-6-methylpyran-4-ylidene]propanedinitrile Chemical compound C1=CC(N(C)C)=CC=C1\C=C\C1=CC(=C(C#N)C#N)C=C(C)O1 YLYPIBBGWLKELC-RMKNXTFCSA-N 0.000 description 2
- OBAJPWYDYFEBTF-UHFFFAOYSA-N 2-tert-butyl-9,10-dinaphthalen-2-ylanthrac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3=C4C=CC=CC4=C(C=4C=C5C=CC=CC5=CC=4)C4=CC=C(C=C43)C(C)(C)C)=CC=C21 OBAJPWYDYFEBT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HDHJYNTEFLIHY-UHFFFAOYSA-N 4,7-diphenyl-1,10-phenanthrol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NC2=C1C=CC1=C(C=3C=CC=CC=3)C=CN=C21 DHDHJYNTEFLIH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FUDMQLBKNMONU-UHFFFAOYSA-N 9-[4-(4-carbazol-9-ylphenyl)phenyl]carbazole Chemical group C12=CC=CC=C2C2=CC=CC=C2N1C1=CC=C(C=2C=CC(=CC=2)N2C3=CC=CC=C3C3=CC=CC=C32)C=C1 VFUDMQLBKNMON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0 bery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ATBAMAFKBVZNFJ-UHFFFAOYSA-N beryllium atom Chemical compound [Be] ATBAMAFKBVZN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MHQVHHXPFUNSP-UHFFFAOYSA-M copper(1+);methylsulfanylmethane;bromide Chemical compound Br[Cu].CSC PMHQVHHXPFUNSP-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ZYGHJZDHTFUPRJ-UHFFFAOYSA-N coumarin Chemical compound C1=CC=C2OC(=O)C=CC2=C1 ZYGHJZDHTFUP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ZUOUZKKEUPVFJK-UHFFFAOYSA-N diphenyl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47 get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OFUROIFQGPCGE-UHFFFAOYSA-N nile red Chemical compound C1=CC=C2C3=NC4=CC=C(N(CC)CC)C=C4OC3=CC(=O)C2=C1 VOFUROIFQGPCG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YRZZLAGRKZIJJI-UHFFFAOYSA-N oxyvanadium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V+2]=O.C12=CC=CC=C2C(N=C2[N-]C(C3=CC=CC=C32)=N2)=NC1=NC([C]1C=CC=CC1=1)=NC=1N=C1[C]3C=CC=CC3=C2[N-]1 YRZZLAGRKZIJJ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IEQIEDJGQAUEQZ-UHFFFAOYSA-N phthalocyanine Chemical class N1C(N=C2C3=CC=CC=C3C(N=C3C4=CC=CC=C4C(=N4)N3)=N2)=C(C=CC=C2)C2=C1N=C1C2=CC=CC=C2C4=N1 IEQIEDJGQAUE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TZWGKCFKSJGPK-VOTSOKGWSA-N (e)-2-(2-methyl-6-(2-(1,1,7,7-tetramethyl-1,2,3,5,6,7-hexahydropyrido[3,2,1-ij]quinolin-9-yl)vinyl)-4h-pyran-4-ylidene)malononitrile Chemical compound O1C(C)=CC(=C(C#N)C#N)C=C1\C=C\C1=CC(C(CCN2CCC3(C)C)(C)C)=C2C3=C1 DTZWGKCFKSJGPK-VOTSOKGWSA-N 0.000 description 1
- PFNQVRZLDWYSCW-UHFFFAOYSA-N (fluoren-9-ylideneamino) n-naphthalen-1-ylcarbamate Chemical compound C12=CC=CC=C2C2=CC=CC=C2C1=NOC(=O)NC1=CC=CC2=CC=CC=C12 PFNQVRZLDWYS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URODNXVJUWPMZ-UHFFFAOYSA-N 1,2-diphenylanthrac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C(C=C2C(C=CC=C2)=C2)C2=C1C1=CC=CC=C1 OURODNXVJUWP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637 1-naphth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2C(*)=C([H])C([H])=C([H])C2=C1[H] 0.000 description 1
- HONWGFNQCPRRFM-UHFFFAOYSA-N 2-n-(3-methylphenyl)-1-n,1-n,2-n-triphenylbenzene-1,2-d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C(N(C=2C=CC=CC=2)C=2C(=CC=CC=2)N(C=2C=CC=CC=2)C=2C=CC=CC=2)=C1 HONWGFNQCPRRF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ZLZJGZGJHZQAU-UHFFFAOYSA-N 3-(4-tert-butylphenyl)-4-(4-ethylphenyl)-5-(4-phenylphenyl)-1,2,4-tr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C)=CC=C1N1C(C=2C=CC(=CC=2)C(C)(C)C)=NN=C1C1=CC=C(C=2C=CC=CC=2)C=C1 PZLZJGZGJHZQ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GGKVJMNFFSDEV-UHFFFAOYSA-N 3-methyl-n-[4-[4-(n-(3-methylphenyl)anilino)phenyl]phenyl]-n-phenylaniline Chemical group CC1=CC=CC(N(C=2C=CC=CC=2)C=2C=CC(=CC=2)C=2C=CC(=CC=2)N(C=2C=CC=CC=2)C=2C=C(C)C=CC=2)=C1 OGGKVJMNFFSD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XWWMGJBPGRWRS-CMDGGOBGSA-N 4- -2-tert-butyl-6- -4h-pyran Chemical compound O1C(C(C)(C)C)=CC(=C(C#N)C#N)C=C1\C=C\C1=CC(C(CCN2CCC3(C)C)(C)C)=C2C3=C1 HXWWMGJBPGRWRS-CMDGGOBGSA-N 0.000 description 1
- MRUWJENAYHTDQG-UHFFFAOYSA-N 4H-pyran Chemical compound C1C=COC=C1 MRUWJENAYHTDQ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IZUPBYFLORCRA-UHFFFAOYSA-N 9,10-dinaphthalen-2-ylanthracene Chemical compound C12=CC=CC=C2C(C2=CC3=CC=CC=C3C=C2)=C(C=CC=C2)C2=C1C1=CC=C(C=CC=C2)C2=C1 VIZUPBYFLORC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XGIRTCIFPJUEQ-UHFFFAOYSA-N 9-anthracen-9-ylanthracene Chemical group C1=CC=CC2=CC3=CC=CC=C3C(C=3C4=CC=CC=C4C=C4C=CC=CC4=3)=C21 SXGIRTCIFPJU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AYRUJLWNCNPSJ-UHFFFAOYSA-N Aniline Chemical compound NC1=CC=CC=C1 PAYRUJLWNCNPS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LZUEZXRPGMBCV-UHFFFAOYSA-N Butylhydroxy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O)C(C(C)(C)C)=C1 NLZUEZXRPGMB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SDMPJCOOXURQD-UHFFFAOYSA-N C545T Chemical compound C1=CC=C2SC(C3=CC=4C=C5C6=C(C=4OC3=O)C(C)(C)CCN6CCC5(C)C)=NC2=C1 MSDMPJCOOXUR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YHNNYVSQQEPJS-UHFFFAOYSA-N Gallium Chemical compound [Ga] GYHNNYVSQQEP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CQWOFVYLHDMMC-UHFFFAOYSA-N Oxazole Chemical compound C1=COC=N1 ZCQWOFVYLHDM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8 Si–O–S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JANXHGTPQOBST-VAWYXSNFSA-N Stilbene Natural products C=1C=CC=CC=1/C=C/C1=CC=CC=C1 PJANXHGTPQOBST-VAWYXSNFSA-N 0.000 description 1
- FZWLAAWBMGSTSO-UHFFFAOYSA-N Thiazole Chemical compound C1=CSC=N1 FZWLAAWBMGSTS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83 Zinc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HCLAFWTIXFWPH-UHFFFAOYSA-N [O-2].[O-2].[O-2].[O-2].[O-2].[V+5].[V+5] Chemical compound [O-2].[O-2].[O-2].[O-2].[O-2].[V+5].[V+5] XHCLAFWTIXFWP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SCWAEJMTAWNJL-UHFFFAOYSA-K aluminium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l](Cl)Cl VSCWAEJMTAWNJL-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4 anthrac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82 aromatic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84 aromatic di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ZJYKHNJTSNBHV-UHFFFAOYSA-N benzo[h]quinoline Chemical group C1=CN=C2C3=CC=CC=C3C=CC2=C1 WZJYKHNJTSNB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MIVXZPTRXBADB-UHFFFAOYSA-N benzocyclobut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2=C1 UMIVXZPTRXBA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90 bipheny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16 carbazo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CJYREBRNVKWGJ-UHFFFAOYSA-N copper(II)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Cu+2].C12=CC=CC=C2C(N=C2[N-]C(C3=CC=CC=C32)=N2)=NC1=NC([C]1C=CC=CC1=1)=NC=1N=C1[C]3C=CC=CC3=C2[N-]1 XCJYREBRNVKW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956 coum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71 coum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49 haf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IHZLLGSGQNAGK-UHFFFAOYSA-N hafnium(4+);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Hf+4] WIHZLLGSGQNA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BTKNAXYKSUFRK-UHFFFAOYSA-N heliogen blue Chemical compound [Cu].[N-]1C2=C(C=CC=C3)C3=C1N=C([N-]1)C3=CC=CC=C3C1=NC([N-]1)=C(C=CC=C3)C3=C1N=C([N-]1)C3=CC=CC=C3C1=N2 RBTKNAXYKSUF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770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37 in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JXISJQVUVHSOJ-UHFFFAOYSA-N indium(iii) oxide Chemical compound [O-2].[O-2].[O-2].[In+3].[In+3] PJXISJQVUVHS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5 interfe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BTARNINKXHZNM-UHFFFAOYSA-K iron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Cl)Cl RBTARNINKXHZNM-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6 lig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4 liqu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SFSWXKUCNTZAPG-UHFFFAOYSA-N n,n-diphenyl-4-[3-[4-(n-phenylanilino)phenyl]quinoxalin-2-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CC(=CC=1)C=1C(=NC2=CC=CC=C2N=1)C=1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 SFSWXKUCNTZAP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KIPCGCSRZVDKT-UHFFFAOYSA-N n-[4-[3-[4-(n-naphthalen-1-ylanilino)phenyl]phenanthro[9,10-b]pyrazin-2-yl]phenyl]-n-phenylnaphthalen-1-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2=CC=CC=C2C=CC=1)C1=CC=C(C=2C(=NC3=C4C=CC=CC4=C4C=CC=CC4=C3N=2)C=2C=CC(=CC=2)N(C=2C=CC=CC=2)C=2C3=CC=CC=C3C=CC=2)C=C1 FKIPCGCSRZVDK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KFHAJHLJHVUDM-UHFFFAOYSA-N n-vinylcarb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N(C=C)C3=CC=CC=C3C2=C1 KKFHAJHLJHVUD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84 niob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URLJKFSTXLNXLG-UHFFFAOYSA-N niobium(5+);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O-2].[O-2].[O-2].[Nb+5].[Nb+5] URLJKFSTXLNX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GLKJKCYBOYXKC-UHFFFAOYSA-N nonaoxidotritungsten Chemical compound O=[W]1(=O)O[W](=O)(=O)O[W](=O)(=O)O1 QGLKJKCYBOYX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YIZHKNUQPHNJY-UHFFFAOYSA-N oxorhenium Chemical compound [Re]=O DYIZHKNUQPHN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PUBBGLMJRNUCC-UHFFFAOYSA-N oxygen(2-);tantalum(5+) Chemical compound [O-2].[O-2].[O-2].[O-2].[O-2].[Ta+5].[Ta+5] BPUBBGLMJRNU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VTZCBVAJQQJTK-UHFFFAOYSA-N oxygen(2-);zirconium(4+) Chemical compound [O-2].[O-2].[Zr+4] RVTZCBVAJQQJ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43 quinolinyl group Chemical group N1=C(C=CC2=CC=CC=C12)*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49 rhe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25 ruthe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OCIAKWEIIZHES-UHFFFAOYSA-N ruthenium(iv) oxide Chemical compound O=[Ru]=O WOCIAKWEIIZH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JANXHGTPQOBST-UHFFFAOYSA-N stilb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CC1=CC=CC=C1 PJANXHGTPQOB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86 stilb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36 tantal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VIVIEFSHFOWTE-UHFFFAOYSA-K tri(quinolin-8-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Al+3].C1=CN=C2C([O-])=CC=CC2=C1.C1=CN=C2C([O-])=CC=CC2=C1.C1=CN=C2C([O-])=CC=CC2=C1 TVIVIEFSHFOWTE-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30 tungste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35 vana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19 vapor deposi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JSCNDWICOIXKY-UHFFFAOYSA-L zinc 2-(2-hydroxyphenyl)-1H-pyridine-2-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Zn+2].OC1=C(C=CC=C1)C1(NC=CC=C1)C(=O)[O-].OC1=C(C=CC=C1)C1(NC=CC=C1)C(=O)[O-] ZJSCNDWICOIXK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DRDVZXDWVBGGMH-UHFFFAOYSA-N zinc;sulfide Chemical compound [S-2].[Zn+2] DRDVZXDWVBGG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28 zirco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10K50/13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with spacer layers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7—Hole transporting layers betwee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cathod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7—Electron transporting layers betwee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anod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10K59/805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발명의 목적은 발광층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에서 각각의 발광층으로부터 발광색이 미려하게 표시되고 전력소비가 낮은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한 특징은 전극들 사이에 적층된 발광층들을 포함하는 발광소자에서, 발광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발광층과 전극간 각각의 거리가 이들 사이에 제공된 층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것이다.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종래의 소자에 비해 층에 대해 고 도전성 물질을 사용하여 구동전압이 낮아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수단, 광원 등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발광소자(이하, 발광 장치라 함)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넓은 시야각 및 높은 응답특성을 가지며 액정소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즉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낮은 전력소비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발광 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었다.
발광소자는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을 포함한다.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광물질을 여기시킴으로써, 소정의 발광성 색이 얻어질 수 있다. 발광소자의 방출 휘도(emission luminance)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대량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즉, 고전압이 한 쌍의 전극들에 인가될 수 있는데, 따라서 낮은 전력소비의 이점이 얻어질 수 없다. 또한, 발광소자의 열화는 대량의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가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적층하고 단일층과 동일한 전류밀도를 갖는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방출 휘도가 증가되는 발광소자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일본특허공개 번호 2003-272860 참조). 이 발광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단일층의 전류밀도의 반 미만을 갖는 전류가 인가될지라도, 적층 구조를 갖는 발광소자에 의해서 소정의 휘도가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들 사이에 존재하는 동일 구조를 갖는 n개의 발광유닛들이 제공된다면 전류밀도를 증가시킴이 없이 n배의 휘도가 달성될 수 있다고 한다. 이때, 구동전압 또한 n배 이상이 되나, n배 휘도가 수명을 희생시킴이 없이 얻어질 수 있다는 큰 이점이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위의 특허문헌 1은 복수의 방출 위치들이 개별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각 방출 위치부터 반사 전극까지의 모든 광학막 두께들이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로 설정됨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 실시예 5는 청색 방출 위치부터 반사 전극까지의 광학 거리가 청색 발광유닛 및 적색 발광유닛을 구비한 발광소자 내 발광유닛의 α-NPD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층의 두께를 의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제어됨을 개시하고 있다.
α-NPD와 같은 정공 수송층의 특성은 낮은 도전율을 가진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에 비교해 볼 때 발광층의 특성에 가깝다. 그러므로, 정공 수송층의 두께를 증가시킨 구조는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증가된다면 구동전압이 증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발광 출력 효율이 낮아지지 않는 거리는 방출 파장에 따라 다르며, 따라서, 발광유닛들에서 α-NPD의 막 두께는 발광소자 내에서 서로 차별될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전체 발광소자의 발광 출력 효율은 청색 발광유닛 내 α-NPD의 막 두께들만을 차별화함으로써 향상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라, 적색 발광유닛 내 α-NPD의 막 두께가 다른 유닛들 내 막 두께들과 차별화되었을 때, 전체 발광소자의 막 두께가 증가되고 구동전압이 증가된다. 구동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발광 장치의 전력 소비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유발된다.
또한, 발광효율은 각각의 발광색에 따라 다르다. 발광 장치의 전체 방출에 휘도의 균형을 취하기 위해서, 열등한 발광효율을 가진 발광소자에 대해 대량의 전류를 인가할 것이 요구되고, 따라서, 발광소자의 열화가 가속화되는 난점이 있다.
발명의 목적은 발광 장치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 장치 내 화소의 휘도 변화에 기인한 열화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발광층으로부터 미려한 발광색이 표시되고 발광층들이 적층된 발광소자에서 낮은 전력소비로 동작하는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들에 비추어, 본 발명의 한 특징은 전극들 사이에 적층된 발광층들을 포함하는 발광소자에서, 각각의 발광층에서 전극까지의 광학적 거리(이하, 거리라 함)가 제어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발명의 한 특징은 발광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사 전극과 각각의 발광층간 거리가 이들 사이에 제공된 층의 두께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는 것이다.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발광층들이 적층된 발광소자와 발광층이 하나인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화소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낮은 방출 휘도의 문제를 갖는 발광소자는 발광층들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고, 또 다른 발광소자는 하나의 발광층으로 형성된다.
발명의 구체적인 형태는 서로 면하여 있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간에 복수의 발광층들이 적층되고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각각의 발광층과 제 1 전극간에 제공된 층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발광층들의 각각으로부터 제 1 전극까지의 거리가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 (2m-l)λ/4(m: 자연수)인 발광 장치이다. 어떤 경우들에 있어서 막 형성 정확성 때문에 단지 1/4 파장의 기수배인 것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어 "대략"이 여기에서 사용되는 것에 유의한다. 발명은 대략 기수배의 1/4 파장을 인용할 때 기수배의 1/4 파장 ±10%의 범위를 포함한다.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서로 면하여 있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간에 복수의 발광층들이 적층되고, 복수의 발광층들로부터 방출되는 각각의 광이 다른 색을 가지며,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발광층과 제 1 전극간에 제공되고 복수의 발광층들 각각과 접촉한 층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발광층들의 각각으로부터 제 1 전극까지의 거리가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발광 장치이다.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서로 면하여 있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간에 복수의 발광층들이 적층된 적층형 발광소자, 및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하나의 발광층을 구비하는 단층형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발광층과 제 1 전극간에 제공된 층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발광층들의 각각부터 제 1 전극까지의 모든 거리가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발광 장치이다.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서로 면하여 있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간에 복수의 발광층들이 적층된 적층형 발광소자, 및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하나의 발광층을 구비하는 단층형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발광소자에서 발광층과 제 1 전극간에 제공되고 복수의 발광층들 각각과 접촉한 층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발광층들의 각각으로부터 제 1 전극까지의 거리가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발광 장치이다.
발명의 한 특징은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제어를 위해 층에 대해 고 도전성 물질이 사용되고 반사 전극에서 발광층까지의 거리가 제 1 층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것이다. 거리를 결정하는 막은 발명에 따라 발광소자에서 고 도전성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따라서 위의 특허문헌 1에 비해 구동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발명에서, 트리플렛 여기상태에서 방출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싱글렛 여기상태에서 방출을 나타내는 물질이 발광층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리플렛 여기상태에서 방출 및 싱글렛 여기상태에서 방출이 포함되는 방출은 적층된 발광층들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명백하게, 트리플렛 여기상태로부터 방출만이 또는 싱글렛 여기상태로부터 방출만이 적층된 발광층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적층된 발광층들을 포함하는 발광소자는 자연수 n을 사용함으로써 전극들 사이에 n개의 발광층들을 포함하는 발광소자라 칭할 수 있다.
발명에 따라서, 동일 전류량이 공급될 때 얻어지는 휘도는 단일층의 발광층을 구비한 발광소자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즉, 전극들 사이에 흐르는 동일 휘도를 얻기 위한 전류량은 낮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d는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의 화소회로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0은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의 화소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4a 내지 도 14e는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5a 내지 도 15c는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6은 발광소자들의 파장에 관한 휘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7은 발광소자들의 파장에 관한 휘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8a 및 도 18b는 본 실시예에 다른 발광소자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9는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를 도시한 도면.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들은 도면들을 참조로 상세히 기술된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및 상세들은 본 발명의 목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쉽게 알 것이다. 그러므로, 이하 주어질 실시형태들의 설명은 본 발명의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을 것임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동일 부분들 또는 기능을 갖는 동일 부분들에 동일 참조부호들이 주어지고 이들에 대한 설명이 반복되지 않는 것에 유의한다.
(실시형태 1)
이 실시형태에서, 발광유닛들의 적층되는 발광소자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 1은 제 1 발광유닛(100B), 제 2 발광유닛(100G), 및 제 3 발광유닛(100R)이 제 1 전극(101)과 제 2 전극(102) 사이에 순차로 적층된 발광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발광유닛들(100B, 100G, 100R)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색들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발광유닛이 청색 방출을 나타내고, 제 2 발광유닛이 녹색 방출을 나타내고, 제 3 발광유닛이 적색 방출을 나타내는 경우가 이 실시형태에서 설명된다.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는 2이상의 발광유닛들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 3개의 발광유닛들이 적층된 상태가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발광소자에서, 제 1 전극(101)은 고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2 전극(102)은 제 2 전극(102)으로부터 광을 인출하기 위해 고 광투과 특성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발광유닛(100R)은 제 1 층(111R), 제 2 층(112R), 및 제 3 층(113R)을 포함하고, 발광유닛(100G)은 제 1 층(111G), 제 2 층(112G), 및 제 3 층(113G)을 포함하고, 발광유닛(100B)은 제 1 층(111B), 제 2 층(112B), 및 제 3 층(113B)을 포함한다.
발광유닛들 각각은 발광층을 포함하는 층으로서 제 2 층들(112)의 각각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 1 층(111)(111B, 111G, 111R)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제 1 전극(101)에서 각 발광유닛 내 제 2 층(112)(112B, 112G, 112R)까지의 거리가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특징을 갖는다. 즉, 발광소자들 각각은 제 1 전극(101)과 발광층 사이에 제공된 층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거리가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특징을 갖는다. 그러므로, 제 1 층들(111R, 111G, 111B)의 두께들은 각 발광유닛에서 다르다.
제 1 전극(101)에서 각각의 발광층들까지의 거리들은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발광유닛들이 적층되기 때문에 서로간에 다르다. 그러므로, 제 1 전극(101)과 각 발광층 사이에 제공된 제 1 층들(111)의 두께들이 각각 제어되는 발광소자가 제공된다. 결국, 발광 출력 효율이 높은 상태가 제공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광 효율은 발광유닛들을 적층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고, 그러므로, 전류량은 동일한 휘도를 얻기 위해 낮게 유지될 수 있고 발광소자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모든 제 1 층들(111R, 111G, 111B)의 두께들이 제어되는 형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발명에 따라서,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 내 포함된 제 1 층들(111) 중 어느 하나의 두께가 제어될 수도 있다. 제 1 층들(111) 중 어느 한 층을 제어함으로써, 발광 출력 효율이 높은 상태가 제공될 수 있고 전류량이 낮게 유지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 발명에서,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는 각각이 서로 다른 발광색들을 나타내는 발광층들을 포함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즉, 발명에 따라서, 동일 발광층을 나타내는 층들이 적층될 수도 있다. 이것은 동일 발광층들을 나타내는 층들이 적층될지라도 발광 효율이 높은 상태가 제공될 수 있고 전류량이 낮게 유지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 층(111)은 고 도전성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1 층(111)의 두께가 제어되고, 따라서, 구동전압은 특허문헌 1 등에 언급된 종래의 소자에 비해 낮아질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113B, 113G, 113R)은 스퍼터링 방법, 증기증착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전극들이 설명될 것이다. 제 1 전극(101)은 고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2 전극(102)은 광투과 특성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광투과 특성은 전혀 광투과 특성이 없는 물질을 사용하여 상당히 얇은 막을 형성함으로써도 얻어질 수 있다.
제 1 전극(101)용의 물질로서, 티탄(Ti), 알루미늄(Al), 금(Au), 백금(Pt), 니켈(Ni), 텅스텐(W), 크롬(Cr), 몰리브덴(Mo), 철(Fe), 코발트(Co), 구리(Cu), 또는 팔라듐(Pd)과 같은 금속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위의 금속물질의 단일층 또는 적층된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전극(101)은 예를 들면 스퍼터링 방법, 증기증착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극(102)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실리콘 산화물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2 내지 20%의 아연 산화물을 함유하는 인듐 산화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투과 특성을 갖추기 위해서, 이를테면 금(Au), 백금(Pt), 니켈(Ni), 텅스텐(W), 크롬(Cr), 몰리브덴(Mo), 철(Fe), 코발트(Co), 구리(Cu), 또는 팔라듐(Pd)과 같은 전혀 광투과 특성이 없는 금속물질로부터 형성된 박막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전극(102)에 관하여, 위에 금속물질들의 단일층 또는 적층된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적층된 층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혀 광투과 특성이 없는 금속물질이 얇게 형성되고 광투과 물질이 그 위에 적층되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얇은 제 2 전극(102)의 형성에 기인하여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조 배선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전극(101) 또는 제 2 전극(102)은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각각, 애노드 또는 캐소드일 수 있다. 애노드의 경우엔 고 일함수(4.0eV 이상의 일함수) 및 캐소드의 경우엔 낮은 일함수(3.8eV 이하의 일함수)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전극(101) 또는 제 2 전극(102)은 스퍼터링 방법, 증기증착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증기증착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 1 전극(101),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 및 제 2 전극(102)이 공기에 노출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계면들 등에 혼합되는 불순물은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에 노출됨이 없이 발광소자를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는 각각의 발광층과 제 1 전극(101) 사이에 제공된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발광 출력 효율이 높은 상태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발명에 따라서, 동일 전류밀도에서 발광 효율이 발광소자를 적층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전류밀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고, 발광소자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를 구비한 발광 장치는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낮은 전력 소비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 2 )
이 실시형태에서, 위에 기술된 실시형태의 구조와는 다른 발광소자의 구조가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모든 발광소자들에 적용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발광층들 각각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는 적어도 한 발광소자에 대해서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가 될 수 있고, 따라서, 발광 출력 효율이 높은 상태가 얻어질 수 있고, 동일 전류밀도에서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인가되는 전류의 밀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전류밀도를 낮게 유지하는 결과로서, 발광소자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발광색을 나타내는 하나의 발광소자가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인 경우가 설명된다.
도 2는 제 1 발광소자(100B), 제 2 발광소자(100G), 및 제 3 발광소자(100R)가 동일 기판 상에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발광소자들(100B, 100G, 100R)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색들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발광소자가 청색 방출을 나타내며, 제 2 발광소자가 녹색 방출을 나타내며, 제 3 발광소자가 적색 방출을 나타내는 경우가 설명된다.
청색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소자에 대해 발광유닛(100B)(1) 및 발광유닛(100B)(2)이 적층된 발광소자가 사용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는 편리하게 적층형 발광소자라 칭한다. 또한, 각각 적색 방출 또는 녹색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소자들(100R, 100G)에 대해서 각각이 하나의 발광유닛을 포함하는 발광소자들이 사용되고, 이들 발광소자들은 편리하게 단층형 발광소자들이라 칭한다.
제 1 전극(101) 및 제 2 전극(102)의 구조들은 위에 기술된 실시형태 1에서의 구조와 유사하고, 그러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111B(1), 111B(2))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결국,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고, 전류밀도는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전류밀도를 낮게 유지함으로써, 적층형 발광소자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제 2 층(112)(112B(1) 및 112B(2)) 및 제 3 층(113)(113B(1) 및 113B(2))은 발광유닛들 각각에 포함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광 효율은 적층형 발광소자에 의해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전류흐름의 밀도는 낮게 유지될 수 있고,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쉽게 열화되는 발광소자에 적층형 발광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층형 발광소자에서,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111G, 111R)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일 수 있다. 결국, 발광 출력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 2 층(112)(112G, 112R) 및 제 3 층(113)(113G, 113G)은 발광유닛들 각각에 포함된다.
적층형 발광소자 및 단층형 발광소자에서, 제 1 층(111)(111B(1), 111B(2), 111G, 111R)은 고 도전성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1 층(111)의 두께가 제어되며, 따라서, 구동전압은 특허문헌 1 등에 언급된 종래의 소자에 비해 낮아질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발광색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에 대해 적층형 발광소자가 사용되는 발광 장치는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낮은 전력소비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 3 )
이 실시형태에서, 위에 실시형태에서 발광색과는 다른 발광색을 나타내는 발광소자에 적층형 발광소자가 적용된 경우가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적층형 발광소자는 제 1 발광소자(100B)를 제외하고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층형 발광소자는 녹색 방출과 같은 사람 눈에 관하여 고 감도를 가진 발광색을 나타내는 발광소자(100G)로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발광소자(100G)는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 포함된 발광층들의 수가 각각 적색 방출 또는 청색 방출을 나타내는 적층형 발광소자들(100R, 100B)의 수보다 적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조의 설명은 위의 실시형태와 유사하므로 생략된다.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결국,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고, 전류밀도는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전류밀도를 낮게 유지함으로써, 적층형 발광소자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단층형 발광소자에서,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일 수 있다. 결국,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람 눈에 관하여 낮은 감도를 가진 발광색을 나타내는 발광소자에서 그리고 사람 눈에 관하여 고 감도를 가진 발광색을 나타내는 발광소자에서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 제공된 발광층들의 수를 차별함으로써, 각 색의 휘도가 효율적으로 조화될 수 있다.
적층형 발광소자 및 단층형 발광소자에서, 제 1 층(111)은 고 도전성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1 층(111)의 두께가 제어되며, 그러므로, 구동전압은 특허문헌 1 등에서 언급된 종래 소자에 비해 낮아질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층형 발광소자가 발광색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에 대해 사용되는 발광 장치는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낮은 전력 소비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 4 )
이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발광소자의 구조 및 물질이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은 제 1 전극(101)부터 순차로 적응되는 제 1 층(111), 제 2 층(112), 및 제 3 층(113)을 포함한다.
발광유닛을 구비한 이 발광소자에 제 1 전극(101)의 전위가 제 2 전극(102)의 전위보다 높도록 전압이 인가될 때, 정공들이 제 1 층(111)으로부터 제 2 층(112)으로 주입되고, 전자들이 제 3 층(113)으로부터 제 2 층(112)으로 주입된다. 이어서, 정공들 및 전자들이 제 2 층(112)에서 재결합되고 발광물질은 여기상태로 되고, 따라서, 여기상태의 발광물질이 기저상태로 돌아갈 때 발광이 생성된다.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의 물질이 설명될 것이다.
제 1 층(111)은 정공들을 발생하는 층이다. 이 기능은 정공 수송성 물질 및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정공 수송성 물질에 관하여 몰비가 0.5 대 2(=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정공 수송성 물질)가 되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성 물질은 정공들의 수송특성이 전자들의 수송특성보다 큰 물질이며, 예를 들면, 4,4'-비스[N-(l-나프틸)-N-페닐아미노] 바이페닐(약어:α-NPD), 4,4'-비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 바이페닐(약어:TPD), 4,4',4"-트리스(N,N-디페닐아미노) 트리페닐아민(약어:TDATA),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 트리페닐아민(약어:MTDATA), 및 4,4'-비스[N-{4-(N,N-디-m-톨릴아미노)페닐}-N-페닐아미노] 바이페닐(약어:DNTPD) 등의 방향족 아민 화합물들과 같은 유기 화합물들; 또는 프탈로시아닌 (약어:H2Pc), 구리 프탈로시아닌 (약어:CuPc), 및 바나딜 프탈로시아닌(약어:VOPc)과 같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정공 수송성 물질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나타내는 물질로서는 주기율표에서 4족 내지 12족 중 어느 한 족에 속하는 금속의 산화물(금속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주기율표에서 4족 내지 8족 중 어느 한 족에 속하는 금속의 산화물은 흔히 높은 전자 수용성을 가지며, 산화바나듐, 산화몰리브덴, 산화니오븀, 산화레늄, 산화텅스텐, 산화루테늄, 산화티타늄, 산화크롬, 산화지르코늄, 산화하프늄, 및 산화탄탈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화물들 외에도, 위에 언급된 금속들의 질화물들 및 옥시나이트라이드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삼염화 철(FeCl3), 삼염화 알루미늄(AlCl3), 또는 7,7,8,8-테트라시아노-2,3,5,6-테트라플루오로-퀴노디메탄(약어:F4TCNQ)이 사용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 1 층(111)은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공 수송성 물질과,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며 위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물질과의 혼합층을 포함한다. 혼합층은 유기 화합물 및 무기 화합물이 혼합된 층, 또는 유기 화합물 및 무기 화합물의 각각이 얇게 형성된 층을 포함하는 것에 유의한다.
유기 화합물 및 무기 화합물의 이 혼합층을 사용함으로써, 유기 화합물의 결정화가 억제될 수 있고 제 1 층(111)은 저항을 증가시킴이 없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기 화합물과,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며 위에 금속 산화물로부터 형성되는 물질과의 혼합층은 고 도전율을 가지며, 그러므로, 막은 저항을 증가시킴이 없이 두껍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전극(101) 상에 분진, 오염물 등에 기인하여 함몰/돌기가 있을지라도, 함몰/돌기는 제 1 층(111)이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함몰/돌기에 기인한 제 1 전극(101)과 제 2 전극(102)간 단락회로와 같은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101) 및 제 2 층(112)은 제 1 층(111)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서로간에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금속에 기인한 방출 켄치(quench)가 방지될 수 있다.
제 1 층(111)은 또 다른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또 다른 유기 화합물로서는 루브렌 등이 주어진다. 신뢰도는 루브렌을 첨가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 제 1 층(111)은 증기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화합물들의 혼합층이 제 1 층(111)으로서 형성될 때, 동시-증발(co-evaporation)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동시-증발 방법은 저항-가열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및 저항-가열 증발과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층(111)은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면 저항-가열 증발 및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 및 전자-빔 증발과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예는 2종류의 물질들을 포함하는 층을 보여준다. 그러나, 3이상 종류의 물질들이 포함될 때, 제 1 층(111)은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발광층을 포함하는 층인 제 2 층(112)이 설명된다. 발광층을 포함하는 층은 발광층만으로 형성된 단일층 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층일 수 있다. 경우를 인용하기 위해서, 특정의 복수층은 발광층 및 추가로 전자 수송층 및/또는 정공 수송층을 포함한다. 도 3은 제 2 층(112)이 정공 수송층(122), 발광층(123), 및 전자 수송층(124)을 포함하는 복수층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정공 수송층(122)은 공지의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전형적인 예들은 방향족 아민 기반의 화합물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4,4'-비스[N-(l-나프틸)-N-페닐-아미노]-바이페닐(이하,α-NPD라 함), 4,4',4"-트리스(N,N-디페닐-아미노) -트리페닐아민(이하, TDATA라 함), 및 4,4',4"-트리스[T-(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이하 MTDATA라 함)과 같은 스타 버스트 방향족 아민 화합물들이 주어진다.
발광층(123)은 발광물질보다 큰 에너지 갭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된 층 내 분산된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 갭은 LUMO 레벨과 HOMO 레벨간 에너지 갭을 나타내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유리한 발광효율을 제공하며 요망되는 방출 파장의 발광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이 발광물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발광물질을 분산시키는 사용되는 물질에 대해서, 예를 들면, 안트라센 유도체들로서 이를테면 9,10-디(2-나프틸)-2-터트-부틸안트라센(약어:t-BuDNA); 카바졸 유도체들로서 이를테면 4,4'-비스(N-카바졸릴)바이페닐(약어:CBP); 금속착물들로서 이를테면 비스[2-(2-하이드옥시페닐)피리디나토] 아연(약어:Znpp2), 및 비스[2-(2-하이드로옥시페닐)벤조옥사졸라토]아연(약어:ZnBOX);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발광물질을 분산시키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은 이들 물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물질이 분산된 발광층(123)에 의해서, 집중에 기인한 발광물질로부터의 방출 켄치가 방지될 수 있다.
다음에, 발광층(123)용의 발광물질들이 언급될 것이다. 적색 방출이 얻어질 것이 요망될 때, 4-디시아노메칠렌-2-이소프로필-6-[2-(l,l,7,7-테트라메칠쥴로리딘-9-일)에테닐]-4H-피란(약어:DCJTI), 4-디시아노메칠렌-2-메칠-6-[2-(1,1,7,7-테트라메칠쥴로리딘-9-일)에테닐]-4H-피란(약어:DCJT), 4-디시아노메칠렌-2-터트-부틸-6-[2-(l,l,7,7-테트라메칠쥴로리딘-9-일)에테닐]-4H-피란(약어:DCJTB), 페리플란텐, 2,5-디시아노-1,4-비스[2-(10-메톡시-l,1,7,7-테트라메칠쥴로리딘-9-일)에테닐]벤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적색 방출을 얻기 위한 물질은 이들 물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방출 스펙트럼에서 600nm 내지 680nm의 피크를 가진 방출을 나타내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녹색 방출이 얻어질 것이 요망될 때, N-N'-디메칠퀴나크리돈(약어:DMQd), 쿠마린 6, 쿠마린 545T,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약어:Alq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녹색 방출을 얻기 위한 물질은 이들 물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방출 스펙트럼에서 500nm 내지 550nm의 피크를 가진 방출을 나타내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청색 방출이 얻어질 것이 요망될 때, 9,10-디(2-나프틸)-2-터트-부틸안트라센(약어:t-BuDNA), 9,9'-바이안트릴, 9,10-디페닐안트센(약어:DPA), 9,10-비스(2-나프틸)안트라센(약어:DNA), 비스(2-메칠-8-퀴놀리노라토)-4-페닐페노라토-갈륨(약어:BGaq), 비스(2-메칠-8-퀴놀리라토)-4-페닐페놀라토-알루미늄(약어:BAlq),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청색 방출을 얻기 위한 물질은 이들 물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방출 스펙트럼에서 420nm 내지 500nm의 피크를 가진 방출을 나타내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풀 컬러 디스플레이의 발광 장치는 이러한 발광물질을 선택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백색 방출이 얻어질 것이 요망될 때, 예를 들면, TPD(방향족 디아민), 3-(4-터트-부틸페닐)-4-페닐-5-(4-바이페닐릴)-l,2,4-트리아졸(약어:TAZ), 트리스(8-퀴놀리라토)알루미늄(약어:Alq3), 적색 발광안료인 나일 레드가 도핑된 Alq3, 및 Alq3이 증기증착 방법 등에 의해 제 1 전극(101)측부터 순차로 적층된다.
또한, α-NPD, 페릴렌이 도핑된α-NPD, DCM1이 도핑된 비스(2-메칠-8-퀴놀리라토)-4-페닐페노라토-알루미늄(약어:BAlq), 및 Alq3이 증기증착 방법 등에 의해 제 1 전극(101)측부터 순차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백색 방출은 전자 수송제로서 30wt%의 2-(4-바이페닐릴)-5-(4-터트-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약어:PBD)을 폴리(N-비닐카바졸)(약어:PVK)에 분산하고 적정량의 4종류의 안료들(TPB, 쿠마린 6, DCM1, 및 나일 레드)을 분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적색, 청색, 녹색, 및 백색 중 어느 한 색의 단일 색을 표시하는 발광 장치가 형성될지라도, 컬러필터에 의해 요망하는 방출이 나타날 수 있고, 또한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행해질 수 있다.
발광층(123)으로서, 금속 산화물이 유기 화합물에 혼합되는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화합물과 금속 산화물과의 혼합층을 사용함으로써, 제 2 층(112)이 저항을 증가시킴이 없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전자 수송층(124)이 설명된다. 전자 수송층(124)은 주입된 전자들을 제 2 전극(102)에서 발광층(123)으로 수송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제 2 전극(102)과 발광층(123)을 서로간에 더 분리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식으로 전자 수송층(124)을 제공함으로써, 금속에 기인한 방출 켄치가 방지될 수 있다.
전자 수송층(124)이 전자 이동도가 정공 이동도보다 큰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수송층(124)이 10-6cm2/Vs 이상의 전자 이동도를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수송층(124)은 위에 기술된 물질을 포함하는 2이상의 층들을 조합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층 구조를 갖는 층일 수 있다. 전자 수송층을 위한 구체적인 물질로서는, 퀴놀린 스켈레톤 또는 벤조퀴놀린 스켈레톤을 구비한 금속착물로서, 이를테면 트리스(8-퀴놀리라토)알루미늄(약어:Alq3), 트리스(5-메칠-8-퀴놀리라토)알루미늄(약어:Almq3), 비스(10-하이드로옥시벤조[h]-퀴놀리나토)베릴륨(약어:BeBq2), 또는 위에 언급된 BAlq이 바람직하다. 또한, 옥사졸 기반 또는 티아졸 기반의 리간드를 갖는 금속착물로서, 이를테면 비스[2-(2-하이드로옥시페닐)-벤조옥사졸라토]아연(약어:Zn(BOX)2) 또는 비스[2-(2-하이드로옥시페닐)-벤조티아졸라토]아연(약어:Zn(BTZ)2)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금속착물들 외에도, 2-(4-바이페닐릴)-5-(4-터트-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약어:PBD), 1,3-비스[5-(p-터트-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벤젠(약어:OXD-7), 3-(4-터트-부틸페닐)-4-페닐-5-(4-바이페닐릴)-1,2,4-트리아졸(약어:TAZ), 3-(4-터트-부틸페닐)-4-(4-에칠페닐)-5-(4-바이페닐릴)-1,2,4-트라아졸(약어:p-EtTAZ), 베토페난트롤린(약어:BPhen), 바토쿠프로인(약어:BCP),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제 2 층(112)은 제 2 층(112)이 단일 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를 갖든지 간에 증기증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 2 층(112)에 포함된 층들에 대해 혼합층이 형성될 때, 동시-증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동시-증발 방법은 저항-가열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및 저항-가열 증발 및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층(112)은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면 저항-가열 증발과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 및 전자-빔 증발과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예는 2종류의 물질들을 포함하는 층을 보여준다. 그러나, 3이상 종류의 물질들이 포함될 때, 제 2 층(112)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전자들을 발생하는 층인 제 3 층(113)이 설명된다. 제 3 층(113)으로서, 예를 들면, 전자 수송 물질 및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하는 층이 인용될 수 있다.
전자 수송 물질은 전자들의 수송 특성이 정공들보다 큰 물질이며, 예를 들면, 금속착물들로서 이를테면 트리스(8-퀴놀리라토)알루미늄(약어:Alq3), 트리스(4-메칠-8-퀴놀리라토)알루미늄(약어:Almq3), 비스(10-하이드로옥시벤조[h]-퀴놀리라토)베릴륨(약어:BeBq2), 비스(2-메칠-8-퀴놀리라토)-4-페닐페놀라토-알루미늄(약어:BAlq), 비스[2-(2-하이드록옥시페닐)벤조옥사졸라토]아연(약어:Zn(BOX)2), 및 비스-(2-하이드로옥시페닐)벤조티아졸라토]아연(약어:Zn(BTZ)2); 2-(4-바이페닐릴)-5-(4-터트-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약어:PBD); 1,3-비스[5-(p-터트-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벤젠(약어:OXD-7); 3-(4-터트-부틸페닐)-4-페닐-5-(4-바이페닐릴)-1,2,4-트라아졸(약어:TAZ); 3-(4-터트-부틸페닐)-4-(4-에칠페닐)-5-(4-바이페닐릴)-1,2,4-트라아졸(약어:p-EtTAZ); 바토페날트롤린(약어:BPhen); 바토쿠프로인(약어:BCP); 및 4,4'-비스(5-메칠-벤조옥사졸-2-일)스틸벤(약어:BzOs)이 사용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제 3 층(113)은 n형 반도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수송 물질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구체적으로, 리튬(Li), 칼슘(Ca), 나트륨(Na), 칼륨(K), 마그네슘(Mg), 등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금속의 질화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질화물 등은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인 물질로서, 산화리튬(Li2O), 산화칼슘(CaO),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륨(K2O), 산화마그네슘(MgO), 등이 주어진다.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 및 알칼리 토류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이 주어지며, 구체적으로, 불화리튬(LiF), 불화세슘(CsF), 불화칼슘(CaF2), 등이 주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전자 수송 물질에 관하여 몰비가 0.5 대 2(=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전자 수송 물질)가 되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제 3 층(113)은 산화아연, 황화아연, 셀렌화아연, 산화주석, 또는 산화티타늄과 같은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층(113)은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 수송 물질과,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과의 혼합층을 포함한다. 제 3 층(113)용으로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의 결정화는 유기 화합물과 무기 화합물과의 이 혼합층을 사용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고, 제 3 층(113)은 저항을 증가시킴이 없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며 위에 금속 산화물로부터 형성되는 물질과의 혼합층은 고 도전율을 가지며, 그러므로, 막은 두껍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판 상에 분진, 오염물 등에 기인하여 함몰/돌기가 있을지라도, 함몰/돌기는 제 3 층(113)이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함몰/돌기에 기인한 제 1 전극(101)과 제 2 전극(102)간 단락회로와 같은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101) 및 제 2 층(112)은 제 3 층(113)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서로간에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금속에 기인한 방출 켄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으로부터 선택된 물질, 구체적으로, 리튬(Li), 칼슘(Ca), 나트륨(Na), 칼륨(K), 마그네슘(Mg), 등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의 산화물이 주어진다. 구체적인 금속 산화물로서,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의 산화물이 주어진다. 구체적으로, 산화리튬(Li2O), 산화칼슘(CaO),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륨(K2O), 산화마그네슘(MgO), 등이 주어진다.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 및 알칼리 토류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이 주어지며, 구체적으로, 불화리튬(LiF), 불화세슘(CsF), 불화칼슘(CaF2) 등이 주어진다. 또한,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면 금속의 옥시나이트라이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제 3 층(113)은 증기증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혼합층이 제 3 층(113)으로서 형성될 때, 동시-증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동시-증발 방법은 저항-가열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및 저항-가열 증발 및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제 3 층(113)은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면 저항-가열 증발과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 및 전자-빔 증발과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예는 2종류의 물질들을 포함하는 층을 보여준다. 그러나, 3이상 종류의 물질들이 포함될 때, 제 3 층(113)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발광층들간에 제공된 제 3 층(113)은 여기 에너지가 발광층들 중 어느 하나만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층으로서도 작용한다. 제 3 층(113)은 제 3 층(113) 밑에 형성된 발광층보다 큰 이온화 전위를 가지며 제 3 층(113) 위에 형성된 발광층의 LUMO레벨보다 큰 LUMO 레벨을 갖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3 층은 1 내지 30nm의 막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제 1 층들(111) 및 제 3 층들(113)의 각각은 바이폴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폴라 물질은 한 캐리어의 이동도와 다른 캐리어의 이동도가 서로 비교될 때, 전자 및 정공 중 어느 하나인 한 캐리어의 이동도 대 다른 캐리어의 이동도의 비의 값이 100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물질이다. 특히, 바이폴라 물질들 중에서, 정공 및 전자의 이동도가 1x 10-6 cm2/Vs 이상인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폴라 물질로서, 예를 들면, 2,3-비스(4-디페닐아미노페닐)퀴노옥살린(약어:TPAQn), 2,3-비스{4-[N-(1-나프틸)-W-페닐아미노]페닐}-디벤조[f,h]퀴노옥살린(약어:NPADiBzQn), 등이 주어진다. 또한, 제 1 층들(111) 및 제 3 층들(113)의 각각은 동일 바이폴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은 발광 출력 효율이 높도록 각 발광소자 내 제 1 층들(111)의 두께들이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며,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발광 소자의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도 3이 제 3 층(113)과 접촉하여 형성된 전자 수송층(124)이 구비된 구조를 보이고 있을지라도, 전자 수송층(124)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발광층(123)은 제 3 층(113)과 접촉하여 있고, 그러므로, 발광물질을 분산시키기 위한 물질이 발광층(123)에 대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정공 수송층(122)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분산됨이 없이 발광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 이를테면 Alq3가 발광층(123)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Alq3 등이 유리한 캐리어 수송특성을 갖는 발광물질이기 때문에, Alq3만으로 구성된 층은 분산됨이 없이 발광층(123)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들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은 증기증착 방법과 같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그러므로 공기에 노출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계면 등에 혼합되는 분순물은 이러한 방법으로 공기에 노출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을 형성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구조와는 다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 보인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 1 층(111), 제 2 층(112), 제 3 층(113), 및 제 4 층(128)을 포함하며, 구조는 제 4 층(128)을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제 4 층(128)은 제 1 층(111)과 동일한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는 위에 기술되었으므로, 설명은 생략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4 층(128)을 제공함으로써, 제 2 전극(102)이 형성될 때 각 층에의 손상은 감소될 수 있다.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에서, 각각의 발광소자 내 제 1 층들(111)의 두께들은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차별화된다. 차별화된 두께들의 경우에, 유기 화합물과 금속 산화물과의 혼합층이 제 1 층(11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4 층(128)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제 4 층(128)에 대해 혼합층을 사용함으로써, 막이 두껍더라도 구동 전압은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제 4 층(128)에 대해 혼합층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이 동등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면 금속의 질화물 또는 옥시나이트라이드가 사용될 수도 있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제 2 전극(102)이 형성될 때 야기되는 손상은 제 4 층(128)을 두껍게 함으로써 더욱 감소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 화합물과 금속 산화물과의 혼합층이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 내 제 1 층(111) 및 제 4 층(128)에 대해 사용되며 발광 출력 효율이 층이 두께에 의해 향상되며, 저 전압에서 구동이 달성될 수 있는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123) 및 제 2 전극(101), 또는 발광층(123) 및 제 2 전극(102)은 층들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서로간에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금속에 기인한 방출 켄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는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전극들간에 단락회로가 방지될 수 있고, 대량생산이 향상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층을 갖는 적층형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는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소비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 5)
이 실시형태에서, 3개의 화소들이 단면도가 도 5를 참조로 설명되며, 여기서 발광소자를 향한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구동 트랜지스터)는 p형 박막 트랜지스터(TFT)(611)이고 발광소자(603)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제 2 전극(102) 측으로부터 인출된다(탑 방출형). 이 실시형태에서, 각각 R, G, B의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유닛들(100R, 100G, 100B)이 적층되고, 따라서, 색들이 혼합되어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백색광으로서 인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대향 기판(610) 상에 형성되는 각 색의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을 사용함으로써 행해지는 형태를 나타낸다.
이 외에도, 백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는 적색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유닛과 초록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이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색들을 혼합함으로써,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백색광으로서 인지될 수 있다.
도 5에서, p형 TFT(611)은 기판(600) 상에 형성되며 제 1 전극(101) 및 TFT(611)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R, G, B 각각의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유닛들이 적층되고 제 2 전극(102)은 제 1 전극(101) 상에 적층된다. 발광소자의 구조가 위의 실시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을 포함하고 제 4 층(128)을 더 포함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TFT(611)은 불순물 원소가 첨가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두께가 10 내지 200nm인 분리된 섬 형상의 반도체막에 형성된 채널 형성영역을 갖는다. 반도체막에 대해서, 비정질 반도체막, 결정질 반도체막, 및 마이크로결정질 반도체막 중 어느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정질 반도체막의 경우에, 비정질 반도체막을 먼저 형성하고 이어서 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결정된 반도체막이 사용될 수 있다. 열처리는 가열 노(heating furnace), 레이저 조사, 레이저광 대신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의한 조사(이하, 램프 어닐링이라 함),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한 처리를 나타낸다. 레이저 조사를 사용하는 경우에, 연속파 레이저(CW 레이저) 또는 펄스-발진 레이저(펄스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이들 레이저들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속파 기본파의 레이저 광 및 연속파 고조파의 레이저광이 방출될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연속파 기본파의 레이저 광 및 펄스-발진 고조파의 레이저광이 방출될 수도 있다. 복수의 레이저광들을 방출함으로써, 에너지가 보상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방사의 경우에, 레이저의 입사각은 반도체막에 관하여 θ(0°<θ<90°) 가 되게 설정될 수 있다. 결국, 레이저 광간섭(interferometry)이 방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레이저광에 의해 반도체막을 용융시키고부터 이를 고화시키기까지의 기간 동안 다음 펄스 레이저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반복율로 레이저 광을 발진시킴으로써 주사방향으로 연속하여 성장되는 결정 그레인을 얻을 수 있는 펄스 레이저가 사용될 수도 있다. 펄스 발진의 기간이 반도체막을 용융시키고부터 이의 고화를 완료하기까지의 기간보다 짧게 되도록, 하한을 갖는 주파수로 방출되는 펄스 빔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펄스 빔의 반복율은 10MHz 이상이고, 수십 내지 수백 Hz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 대역이 사용된다.
열처리에 의한 또 다른 결정화 방법으로서, 가열 노를 사용하는 경우에, 2 내지 20 시간동안 500 내지 550℃에서 비정질 반도체막을 가열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 온도는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500 내지 550℃ 범위에서 다단계 조절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막 내에 수소 등이 낮은 온도에서 초기 가열 단계에서 방출되기 때문에, 결정화에 의한 막 거칠기가 감소될 수 있고, 또한, 댕글링 본드가 종단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가열 온도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비정질 반도체막 상에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금속 원소, 예를 들면 Ni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원소를 사용한 결정화의 경우에서도, 반도체막은 600 내지 950℃로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원소를 형성하는 경우에, 반도체 원소의 전기적 특성에 악영향이 야기되는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금속원소를 감소 또는 제어하기 위한 게터링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게터링 싱크로서 비정질 반도체막에 금속원소를 포획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TFT(611)은 반도체막 및 게이트 전극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며, 수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은 게이트 전극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결정질 반도체막 내 댕글링 본드가 수소에 의해 종단을 이룰 수 있다.
TFT(611)는 고농도 불순물 영역들로서, 소스영역 및 드레인 영역만을 포함하는 단일-드레인 구조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TFT(611)는 저농도 불순물 영역 및 고농도 불순물 영역들을 포함하는 LDD(Lightly Doped Drain)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TFT(611)은 저농도 불순물 영역이 게이트 전극과 중첩되는 GOLD(Gate Overlapped LDD)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TFT(611)은 층간 절연막(607)으로 덮이고, 개구를 가진 절연막(608)은 층간 절연막(607) 상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발명은 층간 절연막(607) 및 절연막(608)을 구비하는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층간 절연막(607)은 단일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일 수 있고, 무기 물질, 유기 물질, 또는 무기물질과 유기물질의 적층구조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물질이 사용될 때, 평탄도가 향상될 수 있다. 유기물질로서,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아미드, 레지스트,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607)에 대해 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실록산은 출발물질로서 실록산 기반의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된 Si-O-Si 본드를 포함하는 절연막이다. 폴리실록산은 출발물질로서 실리콘(Si) 및 질소(N)의 본드를 갖는 폴리머 물질을 함유하는 액체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된 절연막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층간 절연막(607)이 무기물질로부터 형성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제 1 전극(101)은 절연막(608)의 개구부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제 1 전극(101), 발광유닛들(100B, 100G, 100R), 및 제 2 전극(102)이 개구에 순차로 적층되는 적층형 발광소자가 형성된다.
발광유닛들(100B, 100G, 100R)의 경우에, 각 제 1 층(111)의 두께는 각각의 발광층(123)으로부터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또한, 두께 증가에 기인하여 구동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층(111)에 대해 유기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이 혼합된 층이 사용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발광유닛은 발광층(123)을 구비하는 제 2 층(112) 외에도, 정공 수송성 물질을 구비하는 제 1 층(111), 전자 수송 물질을 구비하는 제 3 층(113), 등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TFT(611)이 p채널형이므로, 제 1 전극(101)은 애노드이고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1 층(111), 발광층(123)을 갖는 제 2 층(112), 및 전자 수송 물질을 갖는 제 3 층(113)이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대안적으로, TFT(611)가 n형일 때, 제 1 전극(101)은 캐소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자 수송 물질을 갖는 제 3 층(113), 발광층(123)을 갖는 제 2 층(112), 및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1 층(111)이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탑 방출형이 채용되며, 따라서, 제 1 전극(101)은 반사율(즉, 비-광투과 특성)을 가지며, 제 2 전극(102)이 광투과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이들 물질들에 대해서는 위에 기술된 실시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화소의 경우에, 발광소자(603)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전극(102) 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에 의해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단일층을 갖는 백색 물질로부터 형성된 발광소자에 비해, 각각의 R, G, B의 방출 파장들이 서로 더해진 넓은 범위를 가진 백색 방출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R, G, B의 각각의 발광유닛에서, 제 1 층(111)의 두께는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그러므로, 제 1 층들(111)의 두께들은 R, G, B의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르며, 특별히 두껍게 할 것이 요구되는 제 1 층(111)에 대해 유기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이 혼합된 층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 1 층의 두께가 증가될지라도 구동전압이 상승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TFT(611)은 n형이 되게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3 층(113), 발광층(123)을 갖는 제 2 층(112), 및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1 층(111)이, 제 1 전극(101)을 캐소드로서 작용하게 함으로써 제 1 전극(101)부터 순차로 적층될 수 있다.
(실시형태 6)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판(600) 밑에 형성된 각 색의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에 의한 풀 컬러 디스플레이를 행하는 형태를 보이며, 여기서 트랜지스터(611)는 p형이고 발광소자(603)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제 1 전극(101) 측으로부터 인출된다(바텀 방출형).
도 6에서, 발광소자(603)의 제 1 전극(101) 및 TFT(611)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발광유닛들(10OB, 10OG, 1OOR) 및 제 2 전극(102)는 제 1 전극(101) 상에 적층된다.
TFT(611)은 위에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발명은 층간 절연막(607) 및 절연막(608)을 구비하는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바텀 방출형이 채용되기 때문에, 제 1 전극(101)은 광투과 특성을 가지며, 제 2 전극(102)은 반사율을 갖는다. 이들 물질들에 대해서, 위에 기술된 실시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각 색의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은 광 방출 측에 있는 제 1 전극(101) 측에서 기판(600) 밑에 제공된다.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은 기판(600) 밑에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발광 방향에 제공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은 층간 절연막(607)에서와 동일한 층에 제공될 수 있다.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603)는 위에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유닛들(100B, 100G, 100R)의 각각에서, 제 3 층(113)의 각각의 두께는 각 발광층(123)으로부터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또한, 유기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이 혼합된 층은 두께 증가에 기인하여 구동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3 층(113)에 대해 사용된다. 제 3 층(113)에 구체적인 물질로서, 산화리튬(Li2O), 산화칼슘(CaO),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륨(K2O), 산화마그네슘(MgO), 등이 주어진다.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 및 알칼리 토류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이 주어지며, 구체적으로, 불화리튬(LiF), 불화세슘(CsF), 불화칼슘(CaF2), 등이 주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화소의 경우에, 발광소자(603)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극(101) 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에 의해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수행될 수 있다.
발명에 따라서, 단일층을 갖는 백색 물질로부터 형성된 발광소자에 비해, 각각의 R, G, B의 방출 파장들이 서로 더해진 넓은 범위를 가진 백색 방출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R, G, B의 각각의 발광유닛에서, 제 3 층(113)의 두께는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그러므로, 제 3 층들(113)의 두께들은 R, G, B의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르며, 특별히 두껍게 할 것이 요구되는 제 3 층(113)에 대해 유기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이 혼합된 층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두께가 증가될지라도 구동전압이 상승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TFT(611)이 n형인 경우에, 제 1 전극(101)은 캐소드로서 작용하게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전자 수송 물질을 갖는 제 1 층, 발광층을 갖는 제 2 층, 및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3 층이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실시형태 7 )
이 실시형태에서, 발광유닛들(10OR, 10OG, 1OOB)의 각각에 대한 각각의 발광색을 나타내는 발광 물질들을 사용함으로써 컬러 필터들을 사용하지 않고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행해지는 경우가 설명된다.
도 7에 도시된 탑 방출형 발광 장치가 설명되며, 여기서 TFT(611)은 p형이고 발광소자(603)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제 2 전극(102) 측으로부터 인출된다. TFT(611) 및 발광소자(100R, 100G, 100B)의 각각은 기판(600) 상에 제공된다. 이 때, 적층형 발광소자(100B)는 청색(B)에 대해 사용되고, 단층형 발광소자들(100R, 100B)은 적색(R) 및 녹색(G)에 대해 각각 사용된다. 이때, 각각의 발광소자의 제 1 층(111)의 두께는 발광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제 1 층(111)의 두께는 각 발광소자에 따라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청색 발광소자는, 청색을 방출하는 발광소자가 다른 색들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들에 비해 낮은 발광 효율을 가져 짧은 수명을 갖기 때문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층된다. 발광 효율이 낮기 때문에, 고전압에서 구동할 것이 요구되며, 따라서, 열화가 발생하기가 쉽다. 발광소자를 적층함으로써, 동일 전류밀도에서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전류흐름의 밀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고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TFT(611), 층간 절연막(607), 및 절연막(608)의 구조들은 위에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고, 따라서, 설명은 생략된다. 이 경우, 제 1 전극(101)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2 전극(102)은 광투과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해질지라도,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은 기판(600) 상에 또는 위에 실시형태에서 보인 바와 같이 대향 기판(6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방출 스펙트럼의 폭이 좁을 수 있어 미려한 이미지가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TFT(611)이 n형일 수 있고, 이 경우, 제 1 전극(101)이 바람직하게는 캐소드인 것에 유의한다. 그러면, 전자 수송 물질을 갖는 제 3 층(113), 발광층(123)을 갖는 제 2 층(112), 및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1 층(111)이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적층형 발광소자는 청색(B) 이외에 적색(R) 및 녹색(G) 발광소자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발광소자를 적층함으로써, 동일 전류밀도에서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전류밀도는 낮게 유지될 수 있고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형태 8)
이 실시형태에서, 대향 기판(610)에 의해 밀봉된 발광 장치에서 외부회로에 접속될 수 있는 모듈의 형태가 설명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층간 절연막(607) 및 절연막(608)을 구비하는 구조가 아니라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가 설명된다.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단계들의 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대량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a는 기판(600) 상에 화소부(720), 화소부의 주변에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 및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623)가 집적되는 발광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 및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가 가요성 인쇄회로(716)를 통해 각각 외부회로에 접속된다.
발광 장치는 발광소자가 공기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밀봉은 기판(600) 및 대향 기판(610)을 밀봉물질(712)에 의해 서로 본딩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8b는 도 8a에 E-F의 단면도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된 내부(751)는 공동이고, 내부는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가스로, 또는 발광소자의 열화를 야기하는 산소 또는 습기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수지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외부회로로부터 신호입력은 접속 와이어(705)로부터 가요성 인쇄회로(716)를 통해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 및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3)에 입력되고, 이미지로서 표시될 드라이버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각 발광소자에 따라 방출상태 또는 비-방출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716) 및 접속 와이어(705)는 이방성 도전성 물질(715)을 통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600)에서 대향 기판(610)까지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밀봉물질(712)에 의해 본딩되는 스페이서(752)가 제공된다. 스페이서(752)가 TFT(611)의 층간 절연막(607) 상에 제공될지라도,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페이서(752)는 원주(columnar) 형상 또는 구형의 형상일 수 있다.
발광소자(603)가 단색 방출 또는 R, G, B의 방출을 나타내는 경우에서, 컬러필터(612)는 대향 기판(6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컬러필터(612)의 위치는 대향 기판(610) 측이 아니라 기판(600) 측일 수 있다. 미려한 이미지가 컬러필터(612)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8c는 도 8a에 E-F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c는 기판(600) 및 대향기판(610)이 밀봉물질(712)에 의해서가 아니라 수지(753)에 의해 본딩된 점에서, 도 8b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 수지(753)에 의해 기판을 본딩함으로써, 밀봉 물질(712)을 형성시 불량(inferiority)이 제거될 수 있다. 수지(753)에 건조제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광투과 특성을 갖는 수지(753)가 방출 방향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 및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는 화소부(720)만이 형성된 기판에 TAB(테이프 자동 본딩)에 의해 실장되고,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 및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는 화소부(720) 및 이의 주변에 COG(칩 온 글래스) 방법에 의해 실장되고, 또는 화소부(720),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및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는 기판(600) 상에 집적될 수 있고,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는 개별적으로 IC로서 실장될 수도 있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어떤 형태의 드라이버 회로에서든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결정질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TFT 또는 비정질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TFT가 드라이버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및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에 비해 고속으로 동작할 것이 요구되지 않으며, 따라서, 비정질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TFT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TFT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에서도 회로들의 일부로서, 예를 들면, 버퍼 회로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 9 )
이 실시형태에서, 위에 실시형태와는 다른 발광 장치의 형태가 예시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층간 절연막(607) 및 절연막(608)을 구비하는 구조가 아니라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가 설명된다.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단계들의 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대량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5a는 도 5에 도시된 탑 방출형 발광 장치 및 도 6에 도시된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가 하나의 발광 장치가 되게 서로 본딩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탑 방출형 발광 장치의 기판(600)은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의 대향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소자(603)까지의 형성은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에서 행해진다. 이어서, 탑 방출형 발광 장치 및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가 밀봉물질(712)에 의해 서로 본딩된다. 이 때, 탑 방출형 발광 장치는 대향 기판(610)이 접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위에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딩에 의해 생성된 공간은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가스, 또는 수지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접착성을 가지며, 그러므로, 접착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5b는 도 5에 도시된 탑 방출형 발광 장치 및 도 6에 도시된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가 하나의 발광 장치가 되게 서로 본딩되고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 또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가 공유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탑 방출형 발광 장치의 기판(600)은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의 대향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 또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를 공유한다는 것은 한 발광 장치의 기판(600) 상에 제공된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 또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로부터 또 다른 발광 장치 상에 제공된 발광소자(603)로 신호가 공급되도록 배선들의 형성이 행해짐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화소부(720)만이 기판(600) 상에 제공된 상태에서 또 다른 발광 장치가 본딩될 수 있다.
위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딩에 의해 생성된 공간은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가스, 또는 수지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접착성을 가지며, 그러므로, 접착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발광 장치는 탑 방출형 발광 장치 및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와 같은 서로 다른 방출 방향들을 갖는 발광 장치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방출 방향들을 갖는 발광 장치들이 서로 본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들은 하나의 발광 장치가 되게 서로 본딩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출 방향은 동일하며, 따라서,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들은 서로 면하도록 배열되고, 광을 외부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밀봉물질(712)에 의해 서로 본딩된다. 유사하게, 도 5에 도시된 탑 방출형 발광 장치들은 하나의 발광 장치가 되도록 서로 본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판들(600)은 외부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서로 본딩될 수 있다.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들을 서로 면하도록 본딩하는 경우에, 본딩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 기판(610)을 제공함이 없이 행해질 수 있다. 결국, 발광 장치를 얇게 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소자(603)까지의 형성은 2개의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들에서 행해진다. 이어서, 탑 방출형 발광 장치들이 밀봉물질(712)에 의해 서로 본딩된다. 명백히, 대향 기판(610)이 공유될 수 있고, 본딩은 대향 기판(610)이 각각의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에 접착된 상태에서 행해질 수 있다.
위의 실시형태에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딩에 의해 생성된 공간은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가스, 또는 수지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접착성을 가지며, 그러므로, 접착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위의 실시형태들과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봉이 도 8c에 도시된 밀봉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수지(753)에 의해 행해지는 구조가 이 실시형태에서 보인 발광 장치에 대해 채용될 수 있다.
발광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 부가가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달성될 수 있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형태 10 )
이 실시형태에서, 발광 장치에 포함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가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로 설명된다.
도 9a는 신호선(912), 전원공급선(915), 및 주사선(910), 및 발광소자(603), 트랜지스터들(611, 911), 및 커패시터 소자(904)를 포함하는 화소의 등가회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TFT는 트랜지스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등가회로에서, 비디오 신호가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에서 신호선(912)으로 입력된다. 트랜지스터(911)는 주사선(910)에 입력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611)의 게이트에 비디오 신호의 전위의 공급을 제공할 수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라 칭한다. 트랜지스터(611)는 비디오 신호의 전위에 따라 발광소자(603)에 전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구동 트랜지스터라 칭한다. 발광소자는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방출상태 또는 비-방출 상태가 되고, 이것은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커패시터 소자(904)는 트랜지스터(911)의 게이트와 소스간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b는 주사선(919) 및 트랜지스터(918)가 추가로 도 9a에 도시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에 제공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트랜지스터(918)는 발광소자(603)에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 상태가 강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트랜지스터(611)의 게이트 및 소스의 전위들을 서로 동일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소거 트랜지스터라 칭한다. 그러므로, 시간 그레이-스케일 디스플레이에서, 비디오 신호는 모든 화소들에 비디오 신호들을 입력하기 전에 입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듀티비가 더 커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이오드(다이오드 소자)로서 기능하는 소자(938)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거 트랜지스터(918) 대신에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면, 발광소자(603)에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 상태가 소거 트랜지스터(918)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강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동작방법으로서, 주사선(910)은 트랜지스터(911)를 ON 상태가 되게 선택되고, 신호가 신호선(912)에서 커패시터 소자(904)로 입력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611)의 전류가 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전류는 전원공급선(915)으로부터 발광소자(603)에 흘려 광을 방출한다. 발광소자(603)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전압은 구동전압에 대응한다.
신호를 소거하는 경우에, 트랜지스터(611)의 게이트 전압이 하이가 되도록 다이오드 소자(938)에 전압이 인가되게 하기 위해 주사선(919)이 선택된다. 결국, 구동 트랜지스터(611)는 OFF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류는 전원공급선(915)에서 발광소자(603)로 흐르지 않는다. 결국, 비-점등 기간이 생성될 수 있고 점등 기간의 길이가 자유롭게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듀티비가 더 커질 수 있다.
다이오드 소자(938)는 제한되지 않고 정류가 되는 어떠한 소자들이든 사용될 수 있다. 다이오드 소자는 PN 다이오드, PIN 다이오드, 쇼트키 다이오드, 또는 제너 다이오드일 수 있고, 또는 다이오드 접합(고 전위측에 게이트 전극 및 전극의 접속)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c에서, 다이오드 접합의 N형 트랜지스터(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접속)가 다이오드 소자(938)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P형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P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서로 접속된다.
도 9d는 트랜지스터(925) 및 배선(926)이 추가로 도 9b에 도시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에 제공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트랜지스터(925)의 게이트는 배선(926)에 의해 고정된 전위를 갖는다. 또한, 트랜지스터들(611, 925)은 전원공급선(915)과 발광소자(603)간에 직렬로 접속된다. 그러므로, 도 9d에서, 트랜지스터(925)는 발광소자(603)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을 제어할 수 있고, 트랜지스터(611)는 전류가 발광소자(603)에 공급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화소들의 등가회로들은 디지털 방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디지털 방법에 의한 구동의 경우에, 각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어떤 변동들은 트랜지스터들이 스위칭 소자들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있다고 해도, 무시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의 화소의 등가회로는 디지털 방법 또는 아날로그 방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화소의 등가회로는 신호라인(912), 전원공급선(915), 및 주사선(910), 발광소자(603), 트랜지스터들(911, 920, 921), 및 커패시터 소자(904)를 포함한다. 도 10에서, p형 트랜지스터들인 트랜지스터들(920, 921)은 전류 미러 회로를 형성한다. 화소의 이 등가회로에서, 디지털 방법의 경우에,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신호선(912)으로부터 입력되고, 발광소자(603)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은 시간 그레이-스케일에 따라 제어된다. 대안적으로, 아날로그 방법의 경우에,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신호선(912)으로부터 입력되고, 발광소자(603)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아날로그 방법에 의해 등가회로를 구동하는 경우에, 저 전력소비가 달성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각각의 화소에서, 신호들이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로부터 신호선(912), 전원공급선들(915) 및 배선(926)에 입력된다. 또한,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로부터 신호들이 주사선들(910, 919)에 입력된다. 하나 이상의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들 및 하나 이상의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들이 화소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도시된 화소에서, 발광소자(603)에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 상태는 도 9b를 참조로 기술된 바와 같이 강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911)는 발광소자(603)가 점등된 순간에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에 의해 선택되고, 발광소자(603)에 어떠한 전류도 강제적으로 인가하지 않기 위한 신호는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에 의해 주사선(910)에 공급된다. 전류를 강제적으로 인가하지 않기 위한 신호(기입 소거 신호)는 발광소자(603)의 제 1 및 제 2 전극들(101, 102)이 동일 전위를 갖도록 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603)에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 상태가 강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듀티비가 커질 수 있게 된다.
커패시터 소자(904)가 도 9a 내지 도 9d 및 도 10에 도시되었지만,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용량 또는 또 다른 기생 용량이 충분할 때 커패시터 소자(904)가 제공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의 화소의 각종 유형들의 등가회로들이 채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 11 )
이 실시형태에서, 위의 실시형태와는 다른 수동형 발광 장치가 설명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600) 상에 기저 절연막(311)이 제공되고, 전극이 될 제 1 도전체(312) 및 제 2 도전체(313)가 적층된다. 전류는 전극을 제어함으로써 발광소자(603)에 공급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가 행해질 수 있다. 발광소자(603)는 행렬 및 2차원으로 배열되고, 이것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스크린 내 포함된다.
이방성 도전성 물질들(324, 325)을 통해 접속되는 IC 칩(323)에 의해, 전극을 제어하는 신호가 형성된다. 또한, 이방성 도전성 물질(715)에 의해 접속되는 가요성 인쇄회로(716)를 통해 외부신호 등이 IC 칩(323)에 입력된다.
발광소자(603)의 밀봉은 패시베이션 막(713), 밀봉 매질(317), 대향 기판(610)에 의해 행해진다. 패시베이션 막(713)은 이를테면 질화실리콘과 같은, 수증기가 스며들기 어려운 절연막으로 형성된다. 질화실리콘막의 광 투과율은 자외선에 가까운 영역에서 약간 낮으며, 따라서, 광 투과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산소가 첨가된 질화산화실리콘막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질화알루미늄 또는 질화산화 알루미늄이 패시베이션 막(713)에 적용될 수 있다. 대향 기판(610)은 유리, 플라스틱, 등 외에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603)의 광이 대향 기판(610) 측으로부터 방출되는 경우에, 광을 투과시키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이 대향 기판(610)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에 대해서 아크릴, 폴리에칠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판 형태 또는 막 형태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이 대향 기판(610)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에, 수증기 등을 차폐하는 가스 장벽막 또는 표면의 경도를 증가시키는 하드 코팅 막이 제공될 수도 있다. 대향기판(610)과 패시베이션 막(713) 사이에 제공된 밀봉 매질(317)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와 같은 수지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밀봉 매질(317)은 대향기판(610) 및 기판(600)을 고정시키며 대향 기판(610)에서 기판(600)까지의 고정된 거리를 유지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스페이서가 될 실리카 입자 등이 밀봉 매질(317)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구조에 따라서, 발광소자(603)의 열화를 야기하는 습기 등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603)는 적층형 발광소자이며, 따라서,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각 발광소자 내 발광층과 반사 전극간 거리는 발광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그러므로, 인가되는 전류량은 낮게 유지될 수 있어, 발광소자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수동형 발광 장치는 주사선과 화소부 내 신호선고의 교차부에 반도체 소자가 제공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개구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향 기판(610) 등에 컬러필터들을 제공함으로써,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행해질 수 있다.
(실시형태 12 )
이 실시형태에서,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가 적용된 텔레비전 수신기가 설명된다.
도 11은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 및 회로기판(802)이 조합된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회로기판(802)은 예를 들면 제어회로, 신호 분할회로, 등이 구비된다. 발광 장치는 위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다.
발광 장치들은 발광소자가 각 화소에 제공된 화소부(720), 제 1 및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들(721, 722), 및 비디오 신호를 선택된 화소에 공급하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는 가요성 인쇄회로(716)를 통해 회로기판(802)에서 발광 장치로 보내진다. 회로기판(802)는 제어회로(814) 및 신호 분할회로(815)를 구비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를 실장함으로써 저 전력 소비의 고 정밀 텔레비전 수신기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2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주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802)에 형성된 외부회로의 구성은 비디오 신호의 입력측 상에, 튜너(811)에서 수신된 신호들 중에서 비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비디오 신호 증폭기 회로(812); 비디오 신호 증폭기 회로(8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각의 색에 대응하는 색 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회로(813); 비디오 신호를 드라이버 IC의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회로(814); 등을 포함한다. 신호가 제어회로(814)로부터 제 1 및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들(721, 722) 및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에 각각 출력된다. 디지털 구동을 행하는 경우에, 신호 분할회로(815)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가 m개로 분할되어 공급되는 구조를 갖도록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와 제어회로(814) 간에 제공된다.
튜너(8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중에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증폭기 회로(816)에 보내지고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처리회로(817)를 통해 스피커(818)에 공급된다. 제어회로(819)는 입력부(820)로부터 사운드 볼륨 및 수신국(수신 주파수)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신호가 튜너(811) 및 오디오 신호 처리회로(817)에 보내진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신기는 외부회로가 실장된 발광 장치를 새시(831)에 탑재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832)은 발광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부속 장비로서, 스피커(818), 조작 스위치들(834), 등이 적합하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는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텔레비전 수신기는 발광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13)
디스플레이부에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가 구비된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 이동전화 세트(간단히 셀룰라 전화 세트 또는 셀룰라 전화라 함), PDA와 같은 휴대 정보 단말, 휴대 게임기, 컴퓨터용 모니터, 컴퓨터, 자동차 오디오 세트와 같은 음향 재생 장치, 홈 게임기와 같은 기록매체를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들은 도 14a 내지 도 14e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4a에 도시된 휴대 정보 단말은 본체(9201), 디스플레이부(9202), 등을 포함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부(9202)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하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b에 도시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디스플레이부(9701), 디스플레이부(9702), 등을 포함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부(9701)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c에 도시된 셀룰라 전화는 본체(9101), 디스플레이부(9102), 등을 포함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부(9102)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하는 셀룰라 전화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d에 도시된 휴대 텔레비전은 본체(9301), 디스플레이부(9302) 등을 포함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부(9302)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하는 휴대 텔레비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이를테면 셀룰라 전화와 같은 휴대 단말에 탑재되는 소형 크기의 텔레비전 또는 휴대할 수 있는 중간 크기의 텔레비전과 같은 각종 유형들의 휴대 텔레비전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e에 도시된 휴대 컴퓨터는 본체(9401), 디스플레이부(9402), 등을 포함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부(9402)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하는 휴대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 장치는 발광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한다.
(실시예 1)
이 실시예에서, 청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 적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이 제 1 전극(101)부터 순차로 적층되는 소자 구조가 설명된다.
고 반사율을 가지며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전극이 제 1 전극(101)에 대해 사용되고, 고 광투과 특성을 가지며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극은 제 2 전극(102)에 대해 사용된다.
청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에서, 제 1 층(111B)은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로부터 형성되며; 제 2 층(112B)은 α-NPD의 증발된 층, t-BuDNA의 증발된 층, 및 Alq3의 증발된 층이 순차로 적층되는 층으로 형성되며; 제 3 층(113B)는 BzOs 및 Li의 동시-증발된 층으로 형성된다.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에서, 제 1 층(111G)은 α-NPD 및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된 층(이 층은 동시-증발 방법에 의해 형성되므로 동시-증발층이라 함)으로 형성되고; 제 2 층(112G)은 α-NPD의 증발된 층, Alq3 및 쿠마린 6의 동시-증발층, Alq3의 증발된 층이 순차로 적층된 층으로 형성되고; 제 3 층(113G)은 BzOs 및 Li의 동시-증발층으로 형성된다. Alq3:쿠마린 6의 질량비는 1:0.005가 되도록 설정된다.
적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에서, 제 1 층(111R)은 유기 화합물로서 α-NPD을 사용하여 α-NPD 및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된 층(이 층은 동시-증발 방법에 의해 형성되므로 동시-증발층이라 함)으로 형성되고; 제 2 층(112R)은 α-NPD의 증발된 층 및 Alq3, 루브렌, 및 DCJTI의 동시-증발층이 순차로 적층된 층으로 형성되고; 제 3 층(113R)은 BzOs 및 Li의 동시-증발층으로 형성된다. Alq3:루브렌:DCJTI의 질량비는 1:1:0.02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각각의 발광소자의 제 3 층(113)에 대해 사용되는 BzOs:Li의 질량비는 1:0.01이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 1 층(111)에 대해 사용되는 산화몰리브덴: α-NPD의 질량비는 1:0.25가 되도록 설정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은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층(111B)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DNTPD와 같은 정공 주입특성이 우수한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층은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로부터 형성되는 제 1 층(111B)과 제 2 층(112B)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한 특징은,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 및 적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에서, α-NPD이 전형인 유기 화합물과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된 층이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층에 대해 사용된다는 것이다. 산화몰리브덴과 유기 화합물이 혼합된 층이 두껍더라도 구동전압이 상승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므로, 산화몰리브덴과 유기 화합물이 혼합된 층은, 구동전압을 증가시킴이 없이 막 두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발광층(t-BuDNA로부터 형성된 층, Alq3 및 쿠마린 6으로부터 형성된 층, 및 Alq3, 루브렌, 또는 DCJTI로부터 형성된 층)부터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서 각각이 녹색 및 적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들이 적층된 발광소자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 대신에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α-NPD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이 제 1 층(111B)에 대해 사용되며, 청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 및 적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이 위에 실시예에와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소자 구조가 이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한 특징은, α-NPD이 전형인 유기 화합물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이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층에 대해 사용된다는 것이다. 산화몰리브덴과 유기 화합물과의 혼합층이 두껍더라도 구동전압이 상승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므로, 산화몰리브덴과 유기 화합물과의 혼합층은, 막 두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발광층(t-BuDNA을 포함하는 층, Alq3 및 쿠마린 6을 포함하는 층, 및 Alq3, 루브렌, 및 DCJTI을 포함하는 층)부터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서 발광유닛들이 적층된 모든 발광소자들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이 실시예에서, 시뮬레이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발광소자와 단층형 발광소자를 사용하여 휘도가 비교된다. 적층형 발광소자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들(100a, 100b)이 제 1 전극(101)과 제 2 전극(102) 사이에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소자들(100a, 100b) 각각은 제 1 층들(111a, 111b), 제 2 층들(112a, 112b), 및 제 3 층들(113a, 113b)을 구비하며, 제 1 내지 제 3 층들은 위에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1 층(111a)은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을 갖는 층으로 형성되고, 제 1 층(111b)은 α-NPD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으로 형성된다. 제 1 전극(101)은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되고 제 2 전극(102)은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로부터 형성된다. 제 1 전극(101)이 100nm 두께로 형성되고, 제 1 전극(101)이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로부터 40nm 두께로 형성되고, α-NPD의 증발된 층이 10nm 두께로 형성되고, Alq3 및 쿠마린 6의 동시-증발층이 40nm 두께로 형성되고, 3개의 층들로 각각 형성되는 제 2 층들(112a, 112b)를 형성하기 위해 Alq3의 증발된 층이 20nm 두께로 형성되고, 제 3 층들(113a, 113b)를 형성하기 위해 BzOs 및 Li의 동시-증발층이 20nm 두께로 형성되고, α-NPD 및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되는 제 1 층(111b)이 30nm 두께로 형성되고, 제 2 전극(102)이 110nm 두께로 형성되는, 상태 하에서 시뮬레이션이 행해진다.
단층형 발광소자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101)과 제 2 전극(102) 사이에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100a)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100a)은 제 1 층(111a), 제 2 층(112a), 및 제 3 층(113a)을 구비하며, 제 1 내지 제 3 층들은 도 18a에 도시된 이들 소자들과 동일한 물질들로부터 형성되며, 제 1 층(111a)은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을 구비하는 층으로 형성된다.
도 16은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발광소자에서 파장(nm)에 관한 휘도의 그래프이다. 소자 A는 도 18b에 도시된 발광소자인 단층형 발광소자이며, 여기서 제 1 전극(101)부터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가 아니다. 소자 B는 도 18a에 도시된 발광소자인 적층형 발광소자의 상위 측 발광소자이며, 여기서 제 1 전극(101)에서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소자 C는 도 18a에 도시된 발광소자인 적층형 발광소자의 하위 측 발광소자이며, 여기서 제 1 전극(101)에서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소자 D는 소자 B와 소자 C의 휘도를 결합한 결과를 의미한다.
소자 A를 도 16에서 소자 B 또는 소자 C와 비교함으로써, 제 1 전극(101)에서 발광층까지의 거리들이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들을 갖는 제 1 층(111a)의 두께를 제어하고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α-NPD과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되는 제 1 층(111B)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경우에 휘도가 증가됨이 드러난다.
도 17은 파장(nm)에 관한 휘도의 그래프이며, 이것은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제 1 층(111a)으로서 α-NPD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한 결과이다. 즉, 소자 A 내지 소자 D의 상태들은 α-NPD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으로 형성된 제 1 층(111a)을 구비하는 점에서 도 16의 경우와는 다르다. 소자 A에서 α-NPD와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으로 형성된 제 1 층(111a)은 35nm의 막 두께를 갖는다.
소자 A를 도 17에서 소자 B 또는 소자 C와 비교함으로써, 제 1 전극(101)에서 발광층까지의 거리가 α-NPD과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된 제 1 층들(111a, 111b)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경우에 휘도가 증가됨이 드러난다.
또한, 도 17을 도 16과 비교함으로써, α-NPD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으로 형성된 제 1 층(111a)을 사용한 발광소자는 더 큰 방출 휘도를 갖는 것으로 드러난다. 또한, 제 1 층(111a)이 α-NPD만을 갖는 층보다 큰 도전율을 가지며 막이 두껍더라도 구동전압이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α-NPD과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된 제 1 층(111a)이 바람직한 것으로 드러난다.
이 출원은 2005 년 1월 25일에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05-013688에 근거하며, 이를 참조로 여기 포함시킨다.
도 2는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d는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의 화소회로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0은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의 화소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4a 내지 도 14e는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5a 내지 도 15c는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6은 발광소자들의 파장에 관한 휘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7은 발광소자들의 파장에 관한 휘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8a 및 도 18b는 본 실시예에 다른 발광소자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9는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를 도시한 도면.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들은 도면들을 참조로 상세히 기술된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및 상세들은 본 발명의 목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쉽게 알 것이다. 그러므로, 이하 주어질 실시형태들의 설명은 본 발명의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을 것임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동일 부분들 또는 기능을 갖는 동일 부분들에 동일 참조부호들이 주어지고 이들에 대한 설명이 반복되지 않는 것에 유의한다.
(실시형태 1)
이 실시형태에서, 발광유닛들의 적층되는 발광소자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 1은 제 1 발광유닛(100B), 제 2 발광유닛(100G), 및 제 3 발광유닛(100R)이 제 1 전극(101)과 제 2 전극(102) 사이에 순차로 적층된 발광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발광유닛들(100B, 100G, 100R)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색들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발광유닛이 청색 방출을 나타내고, 제 2 발광유닛이 녹색 방출을 나타내고, 제 3 발광유닛이 적색 방출을 나타내는 경우가 이 실시형태에서 설명된다.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는 2이상의 발광유닛들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 3개의 발광유닛들이 적층된 상태가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발광소자에서, 제 1 전극(101)은 고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2 전극(102)은 제 2 전극(102)으로부터 광을 인출하기 위해 고 광투과 특성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발광유닛(100R)은 제 1 층(111R), 제 2 층(112R), 및 제 3 층(113R)을 포함하고, 발광유닛(100G)은 제 1 층(111G), 제 2 층(112G), 및 제 3 층(113G)을 포함하고, 발광유닛(100B)은 제 1 층(111B), 제 2 층(112B), 및 제 3 층(113B)을 포함한다.
발광유닛들 각각은 발광층을 포함하는 층으로서 제 2 층들(112)의 각각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 1 층(111)(111B, 111G, 111R)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제 1 전극(101)에서 각 발광유닛 내 제 2 층(112)(112B, 112G, 112R)까지의 거리가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특징을 갖는다. 즉, 발광소자들 각각은 제 1 전극(101)과 발광층 사이에 제공된 층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거리가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특징을 갖는다. 그러므로, 제 1 층들(111R, 111G, 111B)의 두께들은 각 발광유닛에서 다르다.
제 1 전극(101)에서 각각의 발광층들까지의 거리들은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발광유닛들이 적층되기 때문에 서로간에 다르다. 그러므로, 제 1 전극(101)과 각 발광층 사이에 제공된 제 1 층들(111)의 두께들이 각각 제어되는 발광소자가 제공된다. 결국, 발광 출력 효율이 높은 상태가 제공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광 효율은 발광유닛들을 적층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고, 그러므로, 전류량은 동일한 휘도를 얻기 위해 낮게 유지될 수 있고 발광소자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모든 제 1 층들(111R, 111G, 111B)의 두께들이 제어되는 형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발명에 따라서,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 내 포함된 제 1 층들(111) 중 어느 하나의 두께가 제어될 수도 있다. 제 1 층들(111) 중 어느 한 층을 제어함으로써, 발광 출력 효율이 높은 상태가 제공될 수 있고 전류량이 낮게 유지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 발명에서,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는 각각이 서로 다른 발광색들을 나타내는 발광층들을 포함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즉, 발명에 따라서, 동일 발광층을 나타내는 층들이 적층될 수도 있다. 이것은 동일 발광층들을 나타내는 층들이 적층될지라도 발광 효율이 높은 상태가 제공될 수 있고 전류량이 낮게 유지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 층(111)은 고 도전성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1 층(111)의 두께가 제어되고, 따라서, 구동전압은 특허문헌 1 등에 언급된 종래의 소자에 비해 낮아질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113B, 113G, 113R)은 스퍼터링 방법, 증기증착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전극들이 설명될 것이다. 제 1 전극(101)은 고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2 전극(102)은 광투과 특성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광투과 특성은 전혀 광투과 특성이 없는 물질을 사용하여 상당히 얇은 막을 형성함으로써도 얻어질 수 있다.
제 1 전극(101)용의 물질로서, 티탄(Ti), 알루미늄(Al), 금(Au), 백금(Pt), 니켈(Ni), 텅스텐(W), 크롬(Cr), 몰리브덴(Mo), 철(Fe), 코발트(Co), 구리(Cu), 또는 팔라듐(Pd)과 같은 금속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위의 금속물질의 단일층 또는 적층된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전극(101)은 예를 들면 스퍼터링 방법, 증기증착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극(102)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실리콘 산화물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2 내지 20%의 아연 산화물을 함유하는 인듐 산화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투과 특성을 갖추기 위해서, 이를테면 금(Au), 백금(Pt), 니켈(Ni), 텅스텐(W), 크롬(Cr), 몰리브덴(Mo), 철(Fe), 코발트(Co), 구리(Cu), 또는 팔라듐(Pd)과 같은 전혀 광투과 특성이 없는 금속물질로부터 형성된 박막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전극(102)에 관하여, 위에 금속물질들의 단일층 또는 적층된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적층된 층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혀 광투과 특성이 없는 금속물질이 얇게 형성되고 광투과 물질이 그 위에 적층되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얇은 제 2 전극(102)의 형성에 기인하여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조 배선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전극(101) 또는 제 2 전극(102)은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각각, 애노드 또는 캐소드일 수 있다. 애노드의 경우엔 고 일함수(4.0eV 이상의 일함수) 및 캐소드의 경우엔 낮은 일함수(3.8eV 이하의 일함수)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전극(101) 또는 제 2 전극(102)은 스퍼터링 방법, 증기증착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증기증착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 1 전극(101),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 및 제 2 전극(102)이 공기에 노출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계면들 등에 혼합되는 불순물은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에 노출됨이 없이 발광소자를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는 각각의 발광층과 제 1 전극(101) 사이에 제공된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발광 출력 효율이 높은 상태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발명에 따라서, 동일 전류밀도에서 발광 효율이 발광소자를 적층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전류밀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고, 발광소자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를 구비한 발광 장치는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낮은 전력 소비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 2 )
이 실시형태에서, 위에 기술된 실시형태의 구조와는 다른 발광소자의 구조가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모든 발광소자들에 적용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발광층들 각각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는 적어도 한 발광소자에 대해서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가 될 수 있고, 따라서, 발광 출력 효율이 높은 상태가 얻어질 수 있고, 동일 전류밀도에서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인가되는 전류의 밀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전류밀도를 낮게 유지하는 결과로서, 발광소자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발광색을 나타내는 하나의 발광소자가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인 경우가 설명된다.
도 2는 제 1 발광소자(100B), 제 2 발광소자(100G), 및 제 3 발광소자(100R)가 동일 기판 상에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발광소자들(100B, 100G, 100R)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색들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발광소자가 청색 방출을 나타내며, 제 2 발광소자가 녹색 방출을 나타내며, 제 3 발광소자가 적색 방출을 나타내는 경우가 설명된다.
청색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소자에 대해 발광유닛(100B)(1) 및 발광유닛(100B)(2)이 적층된 발광소자가 사용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는 편리하게 적층형 발광소자라 칭한다. 또한, 각각 적색 방출 또는 녹색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소자들(100R, 100G)에 대해서 각각이 하나의 발광유닛을 포함하는 발광소자들이 사용되고, 이들 발광소자들은 편리하게 단층형 발광소자들이라 칭한다.
제 1 전극(101) 및 제 2 전극(102)의 구조들은 위에 기술된 실시형태 1에서의 구조와 유사하고, 그러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111B(1), 111B(2))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결국,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고, 전류밀도는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전류밀도를 낮게 유지함으로써, 적층형 발광소자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제 2 층(112)(112B(1) 및 112B(2)) 및 제 3 층(113)(113B(1) 및 113B(2))은 발광유닛들 각각에 포함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광 효율은 적층형 발광소자에 의해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전류흐름의 밀도는 낮게 유지될 수 있고,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쉽게 열화되는 발광소자에 적층형 발광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층형 발광소자에서,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111G, 111R)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일 수 있다. 결국, 발광 출력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 2 층(112)(112G, 112R) 및 제 3 층(113)(113G, 113G)은 발광유닛들 각각에 포함된다.
적층형 발광소자 및 단층형 발광소자에서, 제 1 층(111)(111B(1), 111B(2), 111G, 111R)은 고 도전성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1 층(111)의 두께가 제어되며, 따라서, 구동전압은 특허문헌 1 등에 언급된 종래의 소자에 비해 낮아질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발광색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에 대해 적층형 발광소자가 사용되는 발광 장치는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낮은 전력소비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 3 )
이 실시형태에서, 위에 실시형태에서 발광색과는 다른 발광색을 나타내는 발광소자에 적층형 발광소자가 적용된 경우가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적층형 발광소자는 제 1 발광소자(100B)를 제외하고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층형 발광소자는 녹색 방출과 같은 사람 눈에 관하여 고 감도를 가진 발광색을 나타내는 발광소자(100G)로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발광소자(100G)는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 포함된 발광층들의 수가 각각 적색 방출 또는 청색 방출을 나타내는 적층형 발광소자들(100R, 100B)의 수보다 적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조의 설명은 위의 실시형태와 유사하므로 생략된다.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결국,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고, 전류밀도는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전류밀도를 낮게 유지함으로써, 적층형 발광소자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단층형 발광소자에서,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일 수 있다. 결국,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람 눈에 관하여 낮은 감도를 가진 발광색을 나타내는 발광소자에서 그리고 사람 눈에 관하여 고 감도를 가진 발광색을 나타내는 발광소자에서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 제공된 발광층들의 수를 차별함으로써, 각 색의 휘도가 효율적으로 조화될 수 있다.
적층형 발광소자 및 단층형 발광소자에서, 제 1 층(111)은 고 도전성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1 층(111)의 두께가 제어되며, 그러므로, 구동전압은 특허문헌 1 등에서 언급된 종래 소자에 비해 낮아질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층형 발광소자가 발광색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에 대해 사용되는 발광 장치는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낮은 전력 소비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 4 )
이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발광소자의 구조 및 물질이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은 제 1 전극(101)부터 순차로 적응되는 제 1 층(111), 제 2 층(112), 및 제 3 층(113)을 포함한다.
발광유닛을 구비한 이 발광소자에 제 1 전극(101)의 전위가 제 2 전극(102)의 전위보다 높도록 전압이 인가될 때, 정공들이 제 1 층(111)으로부터 제 2 층(112)으로 주입되고, 전자들이 제 3 층(113)으로부터 제 2 층(112)으로 주입된다. 이어서, 정공들 및 전자들이 제 2 층(112)에서 재결합되고 발광물질은 여기상태로 되고, 따라서, 여기상태의 발광물질이 기저상태로 돌아갈 때 발광이 생성된다.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의 물질이 설명될 것이다.
제 1 층(111)은 정공들을 발생하는 층이다. 이 기능은 정공 수송성 물질 및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정공 수송성 물질에 관하여 몰비가 0.5 대 2(=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정공 수송성 물질)가 되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성 물질은 정공들의 수송특성이 전자들의 수송특성보다 큰 물질이며, 예를 들면, 4,4'-비스[N-(l-나프틸)-N-페닐아미노] 바이페닐(약어:α-NPD), 4,4'-비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 바이페닐(약어:TPD), 4,4',4"-트리스(N,N-디페닐아미노) 트리페닐아민(약어:TDATA),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 트리페닐아민(약어:MTDATA), 및 4,4'-비스[N-{4-(N,N-디-m-톨릴아미노)페닐}-N-페닐아미노] 바이페닐(약어:DNTPD) 등의 방향족 아민 화합물들과 같은 유기 화합물들; 또는 프탈로시아닌 (약어:H2Pc), 구리 프탈로시아닌 (약어:CuPc), 및 바나딜 프탈로시아닌(약어:VOPc)과 같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정공 수송성 물질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나타내는 물질로서는 주기율표에서 4족 내지 12족 중 어느 한 족에 속하는 금속의 산화물(금속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주기율표에서 4족 내지 8족 중 어느 한 족에 속하는 금속의 산화물은 흔히 높은 전자 수용성을 가지며, 산화바나듐, 산화몰리브덴, 산화니오븀, 산화레늄, 산화텅스텐, 산화루테늄, 산화티타늄, 산화크롬, 산화지르코늄, 산화하프늄, 및 산화탄탈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화물들 외에도, 위에 언급된 금속들의 질화물들 및 옥시나이트라이드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삼염화 철(FeCl3), 삼염화 알루미늄(AlCl3), 또는 7,7,8,8-테트라시아노-2,3,5,6-테트라플루오로-퀴노디메탄(약어:F4TCNQ)이 사용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 1 층(111)은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공 수송성 물질과,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며 위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물질과의 혼합층을 포함한다. 혼합층은 유기 화합물 및 무기 화합물이 혼합된 층, 또는 유기 화합물 및 무기 화합물의 각각이 얇게 형성된 층을 포함하는 것에 유의한다.
유기 화합물 및 무기 화합물의 이 혼합층을 사용함으로써, 유기 화합물의 결정화가 억제될 수 있고 제 1 층(111)은 저항을 증가시킴이 없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기 화합물과, 정공 수송성 물질에 대해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며 위에 금속 산화물로부터 형성되는 물질과의 혼합층은 고 도전율을 가지며, 그러므로, 막은 저항을 증가시킴이 없이 두껍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전극(101) 상에 분진, 오염물 등에 기인하여 함몰/돌기가 있을지라도, 함몰/돌기는 제 1 층(111)이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함몰/돌기에 기인한 제 1 전극(101)과 제 2 전극(102)간 단락회로와 같은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101) 및 제 2 층(112)은 제 1 층(111)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서로간에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금속에 기인한 방출 켄치(quench)가 방지될 수 있다.
제 1 층(111)은 또 다른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또 다른 유기 화합물로서는 루브렌 등이 주어진다. 신뢰도는 루브렌을 첨가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 제 1 층(111)은 증기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화합물들의 혼합층이 제 1 층(111)으로서 형성될 때, 동시-증발(co-evaporation)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동시-증발 방법은 저항-가열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및 저항-가열 증발과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층(111)은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면 저항-가열 증발 및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 및 전자-빔 증발과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예는 2종류의 물질들을 포함하는 층을 보여준다. 그러나, 3이상 종류의 물질들이 포함될 때, 제 1 층(111)은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발광층을 포함하는 층인 제 2 층(112)이 설명된다. 발광층을 포함하는 층은 발광층만으로 형성된 단일층 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층일 수 있다. 경우를 인용하기 위해서, 특정의 복수층은 발광층 및 추가로 전자 수송층 및/또는 정공 수송층을 포함한다. 도 3은 제 2 층(112)이 정공 수송층(122), 발광층(123), 및 전자 수송층(124)을 포함하는 복수층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정공 수송층(122)은 공지의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전형적인 예들은 방향족 아민 기반의 화합물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4,4'-비스[N-(l-나프틸)-N-페닐-아미노]-바이페닐(이하,α-NPD라 함), 4,4',4"-트리스(N,N-디페닐-아미노) -트리페닐아민(이하, TDATA라 함), 및 4,4',4"-트리스[T-(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이하 MTDATA라 함)과 같은 스타 버스트 방향족 아민 화합물들이 주어진다.
발광층(123)은 발광물질보다 큰 에너지 갭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된 층 내 분산된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 갭은 LUMO 레벨과 HOMO 레벨간 에너지 갭을 나타내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유리한 발광효율을 제공하며 요망되는 방출 파장의 발광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이 발광물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발광물질을 분산시키는 사용되는 물질에 대해서, 예를 들면, 안트라센 유도체들로서 이를테면 9,10-디(2-나프틸)-2-터트-부틸안트라센(약어:t-BuDNA); 카바졸 유도체들로서 이를테면 4,4'-비스(N-카바졸릴)바이페닐(약어:CBP); 금속착물들로서 이를테면 비스[2-(2-하이드옥시페닐)피리디나토] 아연(약어:Znpp2), 및 비스[2-(2-하이드로옥시페닐)벤조옥사졸라토]아연(약어:ZnBOX);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발광물질을 분산시키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은 이들 물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물질이 분산된 발광층(123)에 의해서, 집중에 기인한 발광물질로부터의 방출 켄치가 방지될 수 있다.
다음에, 발광층(123)용의 발광물질들이 언급될 것이다. 적색 방출이 얻어질 것이 요망될 때, 4-디시아노메칠렌-2-이소프로필-6-[2-(l,l,7,7-테트라메칠쥴로리딘-9-일)에테닐]-4H-피란(약어:DCJTI), 4-디시아노메칠렌-2-메칠-6-[2-(1,1,7,7-테트라메칠쥴로리딘-9-일)에테닐]-4H-피란(약어:DCJT), 4-디시아노메칠렌-2-터트-부틸-6-[2-(l,l,7,7-테트라메칠쥴로리딘-9-일)에테닐]-4H-피란(약어:DCJTB), 페리플란텐, 2,5-디시아노-1,4-비스[2-(10-메톡시-l,1,7,7-테트라메칠쥴로리딘-9-일)에테닐]벤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적색 방출을 얻기 위한 물질은 이들 물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방출 스펙트럼에서 600nm 내지 680nm의 피크를 가진 방출을 나타내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녹색 방출이 얻어질 것이 요망될 때, N-N'-디메칠퀴나크리돈(약어:DMQd), 쿠마린 6, 쿠마린 545T,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약어:Alq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녹색 방출을 얻기 위한 물질은 이들 물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방출 스펙트럼에서 500nm 내지 550nm의 피크를 가진 방출을 나타내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청색 방출이 얻어질 것이 요망될 때, 9,10-디(2-나프틸)-2-터트-부틸안트라센(약어:t-BuDNA), 9,9'-바이안트릴, 9,10-디페닐안트센(약어:DPA), 9,10-비스(2-나프틸)안트라센(약어:DNA), 비스(2-메칠-8-퀴놀리노라토)-4-페닐페노라토-갈륨(약어:BGaq), 비스(2-메칠-8-퀴놀리라토)-4-페닐페놀라토-알루미늄(약어:BAlq),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청색 방출을 얻기 위한 물질은 이들 물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방출 스펙트럼에서 420nm 내지 500nm의 피크를 가진 방출을 나타내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풀 컬러 디스플레이의 발광 장치는 이러한 발광물질을 선택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백색 방출이 얻어질 것이 요망될 때, 예를 들면, TPD(방향족 디아민), 3-(4-터트-부틸페닐)-4-페닐-5-(4-바이페닐릴)-l,2,4-트리아졸(약어:TAZ), 트리스(8-퀴놀리라토)알루미늄(약어:Alq3), 적색 발광안료인 나일 레드가 도핑된 Alq3, 및 Alq3이 증기증착 방법 등에 의해 제 1 전극(101)측부터 순차로 적층된다.
또한, α-NPD, 페릴렌이 도핑된α-NPD, DCM1이 도핑된 비스(2-메칠-8-퀴놀리라토)-4-페닐페노라토-알루미늄(약어:BAlq), 및 Alq3이 증기증착 방법 등에 의해 제 1 전극(101)측부터 순차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백색 방출은 전자 수송제로서 30wt%의 2-(4-바이페닐릴)-5-(4-터트-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약어:PBD)을 폴리(N-비닐카바졸)(약어:PVK)에 분산하고 적정량의 4종류의 안료들(TPB, 쿠마린 6, DCM1, 및 나일 레드)을 분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적색, 청색, 녹색, 및 백색 중 어느 한 색의 단일 색을 표시하는 발광 장치가 형성될지라도, 컬러필터에 의해 요망하는 방출이 나타날 수 있고, 또한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행해질 수 있다.
발광층(123)으로서, 금속 산화물이 유기 화합물에 혼합되는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화합물과 금속 산화물과의 혼합층을 사용함으로써, 제 2 층(112)이 저항을 증가시킴이 없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전자 수송층(124)이 설명된다. 전자 수송층(124)은 주입된 전자들을 제 2 전극(102)에서 발광층(123)으로 수송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제 2 전극(102)과 발광층(123)을 서로간에 더 분리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식으로 전자 수송층(124)을 제공함으로써, 금속에 기인한 방출 켄치가 방지될 수 있다.
전자 수송층(124)이 전자 이동도가 정공 이동도보다 큰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수송층(124)이 10-6cm2/Vs 이상의 전자 이동도를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수송층(124)은 위에 기술된 물질을 포함하는 2이상의 층들을 조합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층 구조를 갖는 층일 수 있다. 전자 수송층을 위한 구체적인 물질로서는, 퀴놀린 스켈레톤 또는 벤조퀴놀린 스켈레톤을 구비한 금속착물로서, 이를테면 트리스(8-퀴놀리라토)알루미늄(약어:Alq3), 트리스(5-메칠-8-퀴놀리라토)알루미늄(약어:Almq3), 비스(10-하이드로옥시벤조[h]-퀴놀리나토)베릴륨(약어:BeBq2), 또는 위에 언급된 BAlq이 바람직하다. 또한, 옥사졸 기반 또는 티아졸 기반의 리간드를 갖는 금속착물로서, 이를테면 비스[2-(2-하이드로옥시페닐)-벤조옥사졸라토]아연(약어:Zn(BOX)2) 또는 비스[2-(2-하이드로옥시페닐)-벤조티아졸라토]아연(약어:Zn(BTZ)2)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금속착물들 외에도, 2-(4-바이페닐릴)-5-(4-터트-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약어:PBD), 1,3-비스[5-(p-터트-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벤젠(약어:OXD-7), 3-(4-터트-부틸페닐)-4-페닐-5-(4-바이페닐릴)-1,2,4-트리아졸(약어:TAZ), 3-(4-터트-부틸페닐)-4-(4-에칠페닐)-5-(4-바이페닐릴)-1,2,4-트라아졸(약어:p-EtTAZ), 베토페난트롤린(약어:BPhen), 바토쿠프로인(약어:BCP),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제 2 층(112)은 제 2 층(112)이 단일 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를 갖든지 간에 증기증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 2 층(112)에 포함된 층들에 대해 혼합층이 형성될 때, 동시-증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동시-증발 방법은 저항-가열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및 저항-가열 증발 및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층(112)은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면 저항-가열 증발과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 및 전자-빔 증발과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예는 2종류의 물질들을 포함하는 층을 보여준다. 그러나, 3이상 종류의 물질들이 포함될 때, 제 2 층(112)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전자들을 발생하는 층인 제 3 층(113)이 설명된다. 제 3 층(113)으로서, 예를 들면, 전자 수송 물질 및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하는 층이 인용될 수 있다.
전자 수송 물질은 전자들의 수송 특성이 정공들보다 큰 물질이며, 예를 들면, 금속착물들로서 이를테면 트리스(8-퀴놀리라토)알루미늄(약어:Alq3), 트리스(4-메칠-8-퀴놀리라토)알루미늄(약어:Almq3), 비스(10-하이드로옥시벤조[h]-퀴놀리라토)베릴륨(약어:BeBq2), 비스(2-메칠-8-퀴놀리라토)-4-페닐페놀라토-알루미늄(약어:BAlq), 비스[2-(2-하이드록옥시페닐)벤조옥사졸라토]아연(약어:Zn(BOX)2), 및 비스-(2-하이드로옥시페닐)벤조티아졸라토]아연(약어:Zn(BTZ)2); 2-(4-바이페닐릴)-5-(4-터트-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약어:PBD); 1,3-비스[5-(p-터트-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벤젠(약어:OXD-7); 3-(4-터트-부틸페닐)-4-페닐-5-(4-바이페닐릴)-1,2,4-트라아졸(약어:TAZ); 3-(4-터트-부틸페닐)-4-(4-에칠페닐)-5-(4-바이페닐릴)-1,2,4-트라아졸(약어:p-EtTAZ); 바토페날트롤린(약어:BPhen); 바토쿠프로인(약어:BCP); 및 4,4'-비스(5-메칠-벤조옥사졸-2-일)스틸벤(약어:BzOs)이 사용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제 3 층(113)은 n형 반도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수송 물질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구체적으로, 리튬(Li), 칼슘(Ca), 나트륨(Na), 칼륨(K), 마그네슘(Mg), 등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금속의 질화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질화물 등은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인 물질로서, 산화리튬(Li2O), 산화칼슘(CaO),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륨(K2O), 산화마그네슘(MgO), 등이 주어진다.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 및 알칼리 토류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이 주어지며, 구체적으로, 불화리튬(LiF), 불화세슘(CsF), 불화칼슘(CaF2), 등이 주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전자 수송 물질에 관하여 몰비가 0.5 대 2(=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전자 수송 물질)가 되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제 3 층(113)은 산화아연, 황화아연, 셀렌화아연, 산화주석, 또는 산화티타늄과 같은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층(113)은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 수송 물질과,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과의 혼합층을 포함한다. 제 3 층(113)용으로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의 결정화는 유기 화합물과 무기 화합물과의 이 혼합층을 사용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고, 제 3 층(113)은 저항을 증가시킴이 없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며 위에 금속 산화물로부터 형성되는 물질과의 혼합층은 고 도전율을 가지며, 그러므로, 막은 두껍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판 상에 분진, 오염물 등에 기인하여 함몰/돌기가 있을지라도, 함몰/돌기는 제 3 층(113)이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함몰/돌기에 기인한 제 1 전극(101)과 제 2 전극(102)간 단락회로와 같은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101) 및 제 2 층(112)은 제 3 층(113)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서로간에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금속에 기인한 방출 켄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 물질에 대한 전자 수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으로부터 선택된 물질, 구체적으로, 리튬(Li), 칼슘(Ca), 나트륨(Na), 칼륨(K), 마그네슘(Mg), 등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의 산화물이 주어진다. 구체적인 금속 산화물로서,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의 산화물이 주어진다. 구체적으로, 산화리튬(Li2O), 산화칼슘(CaO),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륨(K2O), 산화마그네슘(MgO), 등이 주어진다.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 및 알칼리 토류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이 주어지며, 구체적으로, 불화리튬(LiF), 불화세슘(CsF), 불화칼슘(CaF2) 등이 주어진다. 또한,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면 금속의 옥시나이트라이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제 3 층(113)은 증기증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혼합층이 제 3 층(113)으로서 형성될 때, 동시-증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동시-증발 방법은 저항-가열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 및 저항-가열 증발 및 전자-빔 증발에 의한 동시-증발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제 3 층(113)은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면 저항-가열 증발과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 및 전자-빔 증발과 스퍼터링에 의한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예는 2종류의 물질들을 포함하는 층을 보여준다. 그러나, 3이상 종류의 물질들이 포함될 때, 제 3 층(113)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 유형의 방법들 또는 서로 다른 유형들의 방법들을 조합함으로써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발광층들간에 제공된 제 3 층(113)은 여기 에너지가 발광층들 중 어느 하나만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층으로서도 작용한다. 제 3 층(113)은 제 3 층(113) 밑에 형성된 발광층보다 큰 이온화 전위를 가지며 제 3 층(113) 위에 형성된 발광층의 LUMO레벨보다 큰 LUMO 레벨을 갖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3 층은 1 내지 30nm의 막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제 1 층들(111) 및 제 3 층들(113)의 각각은 바이폴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폴라 물질은 한 캐리어의 이동도와 다른 캐리어의 이동도가 서로 비교될 때, 전자 및 정공 중 어느 하나인 한 캐리어의 이동도 대 다른 캐리어의 이동도의 비의 값이 100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물질이다. 특히, 바이폴라 물질들 중에서, 정공 및 전자의 이동도가 1x 10-6 cm2/Vs 이상인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폴라 물질로서, 예를 들면, 2,3-비스(4-디페닐아미노페닐)퀴노옥살린(약어:TPAQn), 2,3-비스{4-[N-(1-나프틸)-W-페닐아미노]페닐}-디벤조[f,h]퀴노옥살린(약어:NPADiBzQn), 등이 주어진다. 또한, 제 1 층들(111) 및 제 3 층들(113)의 각각은 동일 바이폴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은 발광 출력 효율이 높도록 각 발광소자 내 제 1 층들(111)의 두께들이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며,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발광 소자의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도 3이 제 3 층(113)과 접촉하여 형성된 전자 수송층(124)이 구비된 구조를 보이고 있을지라도, 전자 수송층(124)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발광층(123)은 제 3 층(113)과 접촉하여 있고, 그러므로, 발광물질을 분산시키기 위한 물질이 발광층(123)에 대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정공 수송층(122)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분산됨이 없이 발광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 이를테면 Alq3가 발광층(123)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Alq3 등이 유리한 캐리어 수송특성을 갖는 발광물질이기 때문에, Alq3만으로 구성된 층은 분산됨이 없이 발광층(123)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들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은 증기증착 방법과 같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그러므로 공기에 노출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계면 등에 혼합되는 분순물은 이러한 방법으로 공기에 노출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을 형성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구조와는 다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 보인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 1 층(111), 제 2 층(112), 제 3 층(113), 및 제 4 층(128)을 포함하며, 구조는 제 4 층(128)을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제 4 층(128)은 제 1 층(111)과 동일한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는 위에 기술되었으므로, 설명은 생략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4 층(128)을 제공함으로써, 제 2 전극(102)이 형성될 때 각 층에의 손상은 감소될 수 있다.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에서, 각각의 발광소자 내 제 1 층들(111)의 두께들은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차별화된다. 차별화된 두께들의 경우에, 유기 화합물과 금속 산화물과의 혼합층이 제 1 층(11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4 층(128)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제 4 층(128)에 대해 혼합층을 사용함으로써, 막이 두껍더라도 구동 전압은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제 4 층(128)에 대해 혼합층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이 동등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면 금속의 질화물 또는 옥시나이트라이드가 사용될 수도 있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제 2 전극(102)이 형성될 때 야기되는 손상은 제 4 층(128)을 두껍게 함으로써 더욱 감소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 화합물과 금속 산화물과의 혼합층이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 내 제 1 층(111) 및 제 4 층(128)에 대해 사용되며 발광 출력 효율이 층이 두께에 의해 향상되며, 저 전압에서 구동이 달성될 수 있는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123) 및 제 2 전극(101), 또는 발광층(123) 및 제 2 전극(102)은 층들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서로간에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금속에 기인한 방출 켄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는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전극들간에 단락회로가 방지될 수 있고, 대량생산이 향상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층을 갖는 적층형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는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소비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 5)
이 실시형태에서, 3개의 화소들이 단면도가 도 5를 참조로 설명되며, 여기서 발광소자를 향한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구동 트랜지스터)는 p형 박막 트랜지스터(TFT)(611)이고 발광소자(603)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제 2 전극(102) 측으로부터 인출된다(탑 방출형). 이 실시형태에서, 각각 R, G, B의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유닛들(100R, 100G, 100B)이 적층되고, 따라서, 색들이 혼합되어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백색광으로서 인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대향 기판(610) 상에 형성되는 각 색의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을 사용함으로써 행해지는 형태를 나타낸다.
이 외에도, 백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는 적색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유닛과 초록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이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색들을 혼합함으로써,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백색광으로서 인지될 수 있다.
도 5에서, p형 TFT(611)은 기판(600) 상에 형성되며 제 1 전극(101) 및 TFT(611)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R, G, B 각각의 방출을 나타내는 발광유닛들이 적층되고 제 2 전극(102)은 제 1 전극(101) 상에 적층된다. 발광소자의 구조가 위의 실시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층들(111 내지 113)을 포함하고 제 4 층(128)을 더 포함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TFT(611)은 불순물 원소가 첨가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두께가 10 내지 200nm인 분리된 섬 형상의 반도체막에 형성된 채널 형성영역을 갖는다. 반도체막에 대해서, 비정질 반도체막, 결정질 반도체막, 및 마이크로결정질 반도체막 중 어느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정질 반도체막의 경우에, 비정질 반도체막을 먼저 형성하고 이어서 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결정된 반도체막이 사용될 수 있다. 열처리는 가열 노(heating furnace), 레이저 조사, 레이저광 대신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의한 조사(이하, 램프 어닐링이라 함),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한 처리를 나타낸다. 레이저 조사를 사용하는 경우에, 연속파 레이저(CW 레이저) 또는 펄스-발진 레이저(펄스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이들 레이저들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속파 기본파의 레이저 광 및 연속파 고조파의 레이저광이 방출될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연속파 기본파의 레이저 광 및 펄스-발진 고조파의 레이저광이 방출될 수도 있다. 복수의 레이저광들을 방출함으로써, 에너지가 보상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방사의 경우에, 레이저의 입사각은 반도체막에 관하여 θ(0°<θ<90°) 가 되게 설정될 수 있다. 결국, 레이저 광간섭(interferometry)이 방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레이저광에 의해 반도체막을 용융시키고부터 이를 고화시키기까지의 기간 동안 다음 펄스 레이저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반복율로 레이저 광을 발진시킴으로써 주사방향으로 연속하여 성장되는 결정 그레인을 얻을 수 있는 펄스 레이저가 사용될 수도 있다. 펄스 발진의 기간이 반도체막을 용융시키고부터 이의 고화를 완료하기까지의 기간보다 짧게 되도록, 하한을 갖는 주파수로 방출되는 펄스 빔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펄스 빔의 반복율은 10MHz 이상이고, 수십 내지 수백 Hz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 대역이 사용된다.
열처리에 의한 또 다른 결정화 방법으로서, 가열 노를 사용하는 경우에, 2 내지 20 시간동안 500 내지 550℃에서 비정질 반도체막을 가열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 온도는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500 내지 550℃ 범위에서 다단계 조절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막 내에 수소 등이 낮은 온도에서 초기 가열 단계에서 방출되기 때문에, 결정화에 의한 막 거칠기가 감소될 수 있고, 또한, 댕글링 본드가 종단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가열 온도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비정질 반도체막 상에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금속 원소, 예를 들면 Ni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원소를 사용한 결정화의 경우에서도, 반도체막은 600 내지 950℃로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원소를 형성하는 경우에, 반도체 원소의 전기적 특성에 악영향이 야기되는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금속원소를 감소 또는 제어하기 위한 게터링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게터링 싱크로서 비정질 반도체막에 금속원소를 포획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TFT(611)은 반도체막 및 게이트 전극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하며, 수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은 게이트 전극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결정질 반도체막 내 댕글링 본드가 수소에 의해 종단을 이룰 수 있다.
TFT(611)는 고농도 불순물 영역들로서, 소스영역 및 드레인 영역만을 포함하는 단일-드레인 구조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TFT(611)는 저농도 불순물 영역 및 고농도 불순물 영역들을 포함하는 LDD(Lightly Doped Drain)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TFT(611)은 저농도 불순물 영역이 게이트 전극과 중첩되는 GOLD(Gate Overlapped LDD)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TFT(611)은 층간 절연막(607)으로 덮이고, 개구를 가진 절연막(608)은 층간 절연막(607) 상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발명은 층간 절연막(607) 및 절연막(608)을 구비하는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층간 절연막(607)은 단일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일 수 있고, 무기 물질, 유기 물질, 또는 무기물질과 유기물질의 적층구조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물질이 사용될 때, 평탄도가 향상될 수 있다. 유기물질로서,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아미드, 레지스트,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607)에 대해 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실록산은 출발물질로서 실록산 기반의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된 Si-O-Si 본드를 포함하는 절연막이다. 폴리실록산은 출발물질로서 실리콘(Si) 및 질소(N)의 본드를 갖는 폴리머 물질을 함유하는 액체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된 절연막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층간 절연막(607)이 무기물질로부터 형성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제 1 전극(101)은 절연막(608)의 개구부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제 1 전극(101), 발광유닛들(100B, 100G, 100R), 및 제 2 전극(102)이 개구에 순차로 적층되는 적층형 발광소자가 형성된다.
발광유닛들(100B, 100G, 100R)의 경우에, 각 제 1 층(111)의 두께는 각각의 발광층(123)으로부터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또한, 두께 증가에 기인하여 구동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층(111)에 대해 유기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이 혼합된 층이 사용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발광유닛은 발광층(123)을 구비하는 제 2 층(112) 외에도, 정공 수송성 물질을 구비하는 제 1 층(111), 전자 수송 물질을 구비하는 제 3 층(113), 등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TFT(611)이 p채널형이므로, 제 1 전극(101)은 애노드이고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1 층(111), 발광층(123)을 갖는 제 2 층(112), 및 전자 수송 물질을 갖는 제 3 층(113)이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대안적으로, TFT(611)가 n형일 때, 제 1 전극(101)은 캐소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자 수송 물질을 갖는 제 3 층(113), 발광층(123)을 갖는 제 2 층(112), 및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1 층(111)이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탑 방출형이 채용되며, 따라서, 제 1 전극(101)은 반사율(즉, 비-광투과 특성)을 가지며, 제 2 전극(102)이 광투과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이들 물질들에 대해서는 위에 기술된 실시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화소의 경우에, 발광소자(603)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전극(102) 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에 의해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단일층을 갖는 백색 물질로부터 형성된 발광소자에 비해, 각각의 R, G, B의 방출 파장들이 서로 더해진 넓은 범위를 가진 백색 방출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R, G, B의 각각의 발광유닛에서, 제 1 층(111)의 두께는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그러므로, 제 1 층들(111)의 두께들은 R, G, B의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르며, 특별히 두껍게 할 것이 요구되는 제 1 층(111)에 대해 유기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이 혼합된 층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 1 층의 두께가 증가될지라도 구동전압이 상승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TFT(611)은 n형이 되게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3 층(113), 발광층(123)을 갖는 제 2 층(112), 및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1 층(111)이, 제 1 전극(101)을 캐소드로서 작용하게 함으로써 제 1 전극(101)부터 순차로 적층될 수 있다.
(실시형태 6)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판(600) 밑에 형성된 각 색의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에 의한 풀 컬러 디스플레이를 행하는 형태를 보이며, 여기서 트랜지스터(611)는 p형이고 발광소자(603)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제 1 전극(101) 측으로부터 인출된다(바텀 방출형).
도 6에서, 발광소자(603)의 제 1 전극(101) 및 TFT(611)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발광유닛들(10OB, 10OG, 1OOR) 및 제 2 전극(102)는 제 1 전극(101) 상에 적층된다.
TFT(611)은 위에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발명은 층간 절연막(607) 및 절연막(608)을 구비하는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바텀 방출형이 채용되기 때문에, 제 1 전극(101)은 광투과 특성을 가지며, 제 2 전극(102)은 반사율을 갖는다. 이들 물질들에 대해서, 위에 기술된 실시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각 색의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은 광 방출 측에 있는 제 1 전극(101) 측에서 기판(600) 밑에 제공된다.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은 기판(600) 밑에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발광 방향에 제공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은 층간 절연막(607)에서와 동일한 층에 제공될 수 있다.
발광유닛들이 적층되는 발광소자(603)는 위에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유닛들(100B, 100G, 100R)의 각각에서, 제 3 층(113)의 각각의 두께는 각 발광층(123)으로부터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또한, 유기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이 혼합된 층은 두께 증가에 기인하여 구동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3 층(113)에 대해 사용된다. 제 3 층(113)에 구체적인 물질로서, 산화리튬(Li2O), 산화칼슘(CaO),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륨(K2O), 산화마그네슘(MgO), 등이 주어진다.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 및 알칼리 토류 금속의 질화물 또는 불화물이 주어지며, 구체적으로, 불화리튬(LiF), 불화세슘(CsF), 불화칼슘(CaF2), 등이 주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화소의 경우에, 발광소자(603)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극(101) 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에 의해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수행될 수 있다.
발명에 따라서, 단일층을 갖는 백색 물질로부터 형성된 발광소자에 비해, 각각의 R, G, B의 방출 파장들이 서로 더해진 넓은 범위를 가진 백색 방출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R, G, B의 각각의 발광유닛에서, 제 3 층(113)의 두께는 발광 출력 효율이 향상되도록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그러므로, 제 3 층들(113)의 두께들은 R, G, B의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르며, 특별히 두껍게 할 것이 요구되는 제 3 층(113)에 대해 유기 화합물 및 금속 산화물이 혼합된 층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두께가 증가될지라도 구동전압이 상승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TFT(611)이 n형인 경우에, 제 1 전극(101)은 캐소드로서 작용하게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전자 수송 물질을 갖는 제 1 층, 발광층을 갖는 제 2 층, 및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3 층이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실시형태 7 )
이 실시형태에서, 발광유닛들(10OR, 10OG, 1OOB)의 각각에 대한 각각의 발광색을 나타내는 발광 물질들을 사용함으로써 컬러 필터들을 사용하지 않고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행해지는 경우가 설명된다.
도 7에 도시된 탑 방출형 발광 장치가 설명되며, 여기서 TFT(611)은 p형이고 발광소자(603)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제 2 전극(102) 측으로부터 인출된다. TFT(611) 및 발광소자(100R, 100G, 100B)의 각각은 기판(600) 상에 제공된다. 이 때, 적층형 발광소자(100B)는 청색(B)에 대해 사용되고, 단층형 발광소자들(100R, 100B)은 적색(R) 및 녹색(G)에 대해 각각 사용된다. 이때, 각각의 발광소자의 제 1 층(111)의 두께는 발광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제 1 층(111)의 두께는 각 발광소자에 따라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청색 발광소자는, 청색을 방출하는 발광소자가 다른 색들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들에 비해 낮은 발광 효율을 가져 짧은 수명을 갖기 때문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층된다. 발광 효율이 낮기 때문에, 고전압에서 구동할 것이 요구되며, 따라서, 열화가 발생하기가 쉽다. 발광소자를 적층함으로써, 동일 전류밀도에서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전류흐름의 밀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고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TFT(611), 층간 절연막(607), 및 절연막(608)의 구조들은 위에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고, 따라서, 설명은 생략된다. 이 경우, 제 1 전극(101)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2 전극(102)은 광투과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해질지라도, 컬러필터들(612R, 612G, 612B)은 기판(600) 상에 또는 위에 실시형태에서 보인 바와 같이 대향 기판(6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방출 스펙트럼의 폭이 좁을 수 있어 미려한 이미지가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TFT(611)이 n형일 수 있고, 이 경우, 제 1 전극(101)이 바람직하게는 캐소드인 것에 유의한다. 그러면, 전자 수송 물질을 갖는 제 3 층(113), 발광층(123)을 갖는 제 2 층(112), 및 정공 수송성 물질을 갖는 제 1 층(111)이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적층형 발광소자는 청색(B) 이외에 적색(R) 및 녹색(G) 발광소자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발광소자를 적층함으로써, 동일 전류밀도에서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전류밀도는 낮게 유지될 수 있고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형태 8)
이 실시형태에서, 대향 기판(610)에 의해 밀봉된 발광 장치에서 외부회로에 접속될 수 있는 모듈의 형태가 설명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층간 절연막(607) 및 절연막(608)을 구비하는 구조가 아니라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가 설명된다.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단계들의 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대량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a는 기판(600) 상에 화소부(720), 화소부의 주변에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 및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623)가 집적되는 발광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 및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가 가요성 인쇄회로(716)를 통해 각각 외부회로에 접속된다.
발광 장치는 발광소자가 공기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밀봉은 기판(600) 및 대향 기판(610)을 밀봉물질(712)에 의해 서로 본딩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8b는 도 8a에 E-F의 단면도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된 내부(751)는 공동이고, 내부는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가스로, 또는 발광소자의 열화를 야기하는 산소 또는 습기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수지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외부회로로부터 신호입력은 접속 와이어(705)로부터 가요성 인쇄회로(716)를 통해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 및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3)에 입력되고, 이미지로서 표시될 드라이버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각 발광소자에 따라 방출상태 또는 비-방출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716) 및 접속 와이어(705)는 이방성 도전성 물질(715)을 통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600)에서 대향 기판(610)까지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밀봉물질(712)에 의해 본딩되는 스페이서(752)가 제공된다. 스페이서(752)가 TFT(611)의 층간 절연막(607) 상에 제공될지라도,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페이서(752)는 원주(columnar) 형상 또는 구형의 형상일 수 있다.
발광소자(603)가 단색 방출 또는 R, G, B의 방출을 나타내는 경우에서, 컬러필터(612)는 대향 기판(6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컬러필터(612)의 위치는 대향 기판(610) 측이 아니라 기판(600) 측일 수 있다. 미려한 이미지가 컬러필터(612)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8c는 도 8a에 E-F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c는 기판(600) 및 대향기판(610)이 밀봉물질(712)에 의해서가 아니라 수지(753)에 의해 본딩된 점에서, 도 8b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 수지(753)에 의해 기판을 본딩함으로써, 밀봉 물질(712)을 형성시 불량(inferiority)이 제거될 수 있다. 수지(753)에 건조제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광투과 특성을 갖는 수지(753)가 방출 방향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 및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는 화소부(720)만이 형성된 기판에 TAB(테이프 자동 본딩)에 의해 실장되고,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 및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는 화소부(720) 및 이의 주변에 COG(칩 온 글래스) 방법에 의해 실장되고, 또는 화소부(720),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및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는 기판(600) 상에 집적될 수 있고,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는 개별적으로 IC로서 실장될 수도 있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어떤 형태의 드라이버 회로에서든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결정질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TFT 또는 비정질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TFT가 드라이버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1) 및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722)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에 비해 고속으로 동작할 것이 요구되지 않으며, 따라서, 비정질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TFT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TFT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에서도 회로들의 일부로서, 예를 들면, 버퍼 회로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 9 )
이 실시형태에서, 위에 실시형태와는 다른 발광 장치의 형태가 예시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층간 절연막(607) 및 절연막(608)을 구비하는 구조가 아니라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가 설명된다. 층간 절연막(607)만을 구비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단계들의 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대량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5a는 도 5에 도시된 탑 방출형 발광 장치 및 도 6에 도시된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가 하나의 발광 장치가 되게 서로 본딩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탑 방출형 발광 장치의 기판(600)은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의 대향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소자(603)까지의 형성은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에서 행해진다. 이어서, 탑 방출형 발광 장치 및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가 밀봉물질(712)에 의해 서로 본딩된다. 이 때, 탑 방출형 발광 장치는 대향 기판(610)이 접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위에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딩에 의해 생성된 공간은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가스, 또는 수지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접착성을 가지며, 그러므로, 접착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5b는 도 5에 도시된 탑 방출형 발광 장치 및 도 6에 도시된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가 하나의 발광 장치가 되게 서로 본딩되고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 또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가 공유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탑 방출형 발광 장치의 기판(600)은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의 대향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 또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를 공유한다는 것은 한 발광 장치의 기판(600) 상에 제공된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 또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로부터 또 다른 발광 장치 상에 제공된 발광소자(603)로 신호가 공급되도록 배선들의 형성이 행해짐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화소부(720)만이 기판(600) 상에 제공된 상태에서 또 다른 발광 장치가 본딩될 수 있다.
위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딩에 의해 생성된 공간은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가스, 또는 수지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접착성을 가지며, 그러므로, 접착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발광 장치는 탑 방출형 발광 장치 및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와 같은 서로 다른 방출 방향들을 갖는 발광 장치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방출 방향들을 갖는 발광 장치들이 서로 본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들은 하나의 발광 장치가 되게 서로 본딩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출 방향은 동일하며, 따라서,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들은 서로 면하도록 배열되고, 광을 외부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밀봉물질(712)에 의해 서로 본딩된다. 유사하게, 도 5에 도시된 탑 방출형 발광 장치들은 하나의 발광 장치가 되도록 서로 본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판들(600)은 외부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서로 본딩될 수 있다.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들을 서로 면하도록 본딩하는 경우에, 본딩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 기판(610)을 제공함이 없이 행해질 수 있다. 결국, 발광 장치를 얇게 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소자(603)까지의 형성은 2개의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들에서 행해진다. 이어서, 탑 방출형 발광 장치들이 밀봉물질(712)에 의해 서로 본딩된다. 명백히, 대향 기판(610)이 공유될 수 있고, 본딩은 대향 기판(610)이 각각의 바텀 방출형 발광 장치에 접착된 상태에서 행해질 수 있다.
위의 실시형태에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딩에 의해 생성된 공간은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가스, 또는 수지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접착성을 가지며, 그러므로, 접착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위의 실시형태들과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봉이 도 8c에 도시된 밀봉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수지(753)에 의해 행해지는 구조가 이 실시형태에서 보인 발광 장치에 대해 채용될 수 있다.
발광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 부가가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달성될 수 있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형태 10 )
이 실시형태에서, 발광 장치에 포함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가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로 설명된다.
도 9a는 신호선(912), 전원공급선(915), 및 주사선(910), 및 발광소자(603), 트랜지스터들(611, 911), 및 커패시터 소자(904)를 포함하는 화소의 등가회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TFT는 트랜지스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등가회로에서, 비디오 신호가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에서 신호선(912)으로 입력된다. 트랜지스터(911)는 주사선(910)에 입력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611)의 게이트에 비디오 신호의 전위의 공급을 제공할 수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라 칭한다. 트랜지스터(611)는 비디오 신호의 전위에 따라 발광소자(603)에 전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구동 트랜지스터라 칭한다. 발광소자는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방출상태 또는 비-방출 상태가 되고, 이것은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커패시터 소자(904)는 트랜지스터(911)의 게이트와 소스간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b는 주사선(919) 및 트랜지스터(918)가 추가로 도 9a에 도시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에 제공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트랜지스터(918)는 발광소자(603)에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 상태가 강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트랜지스터(611)의 게이트 및 소스의 전위들을 서로 동일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소거 트랜지스터라 칭한다. 그러므로, 시간 그레이-스케일 디스플레이에서, 비디오 신호는 모든 화소들에 비디오 신호들을 입력하기 전에 입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듀티비가 더 커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이오드(다이오드 소자)로서 기능하는 소자(938)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거 트랜지스터(918) 대신에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면, 발광소자(603)에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 상태가 소거 트랜지스터(918)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강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동작방법으로서, 주사선(910)은 트랜지스터(911)를 ON 상태가 되게 선택되고, 신호가 신호선(912)에서 커패시터 소자(904)로 입력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611)의 전류가 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전류는 전원공급선(915)으로부터 발광소자(603)에 흘려 광을 방출한다. 발광소자(603)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전압은 구동전압에 대응한다.
신호를 소거하는 경우에, 트랜지스터(611)의 게이트 전압이 하이가 되도록 다이오드 소자(938)에 전압이 인가되게 하기 위해 주사선(919)이 선택된다. 결국, 구동 트랜지스터(611)는 OFF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류는 전원공급선(915)에서 발광소자(603)로 흐르지 않는다. 결국, 비-점등 기간이 생성될 수 있고 점등 기간의 길이가 자유롭게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듀티비가 더 커질 수 있다.
다이오드 소자(938)는 제한되지 않고 정류가 되는 어떠한 소자들이든 사용될 수 있다. 다이오드 소자는 PN 다이오드, PIN 다이오드, 쇼트키 다이오드, 또는 제너 다이오드일 수 있고, 또는 다이오드 접합(고 전위측에 게이트 전극 및 전극의 접속)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c에서, 다이오드 접합의 N형 트랜지스터(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접속)가 다이오드 소자(938)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P형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P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서로 접속된다.
도 9d는 트랜지스터(925) 및 배선(926)이 추가로 도 9b에 도시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에 제공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트랜지스터(925)의 게이트는 배선(926)에 의해 고정된 전위를 갖는다. 또한, 트랜지스터들(611, 925)은 전원공급선(915)과 발광소자(603)간에 직렬로 접속된다. 그러므로, 도 9d에서, 트랜지스터(925)는 발광소자(603)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을 제어할 수 있고, 트랜지스터(611)는 전류가 발광소자(603)에 공급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화소들의 등가회로들은 디지털 방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디지털 방법에 의한 구동의 경우에, 각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어떤 변동들은 트랜지스터들이 스위칭 소자들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있다고 해도, 무시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의 화소의 등가회로는 디지털 방법 또는 아날로그 방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화소의 등가회로는 신호라인(912), 전원공급선(915), 및 주사선(910), 발광소자(603), 트랜지스터들(911, 920, 921), 및 커패시터 소자(904)를 포함한다. 도 10에서, p형 트랜지스터들인 트랜지스터들(920, 921)은 전류 미러 회로를 형성한다. 화소의 이 등가회로에서, 디지털 방법의 경우에,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신호선(912)으로부터 입력되고, 발광소자(603)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은 시간 그레이-스케일에 따라 제어된다. 대안적으로, 아날로그 방법의 경우에,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신호선(912)으로부터 입력되고, 발광소자(603)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아날로그 방법에 의해 등가회로를 구동하는 경우에, 저 전력소비가 달성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각각의 화소에서, 신호들이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로부터 신호선(912), 전원공급선들(915) 및 배선(926)에 입력된다. 또한,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로부터 신호들이 주사선들(910, 919)에 입력된다. 하나 이상의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들 및 하나 이상의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들이 화소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도시된 화소에서, 발광소자(603)에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 상태는 도 9b를 참조로 기술된 바와 같이 강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911)는 발광소자(603)가 점등된 순간에 제 1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에 의해 선택되고, 발광소자(603)에 어떠한 전류도 강제적으로 인가하지 않기 위한 신호는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에 의해 주사선(910)에 공급된다. 전류를 강제적으로 인가하지 않기 위한 신호(기입 소거 신호)는 발광소자(603)의 제 1 및 제 2 전극들(101, 102)이 동일 전위를 갖도록 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603)에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 상태가 강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듀티비가 커질 수 있게 된다.
커패시터 소자(904)가 도 9a 내지 도 9d 및 도 10에 도시되었지만,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용량 또는 또 다른 기생 용량이 충분할 때 커패시터 소자(904)가 제공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의 화소의 각종 유형들의 등가회로들이 채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 11 )
이 실시형태에서, 위의 실시형태와는 다른 수동형 발광 장치가 설명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600) 상에 기저 절연막(311)이 제공되고, 전극이 될 제 1 도전체(312) 및 제 2 도전체(313)가 적층된다. 전류는 전극을 제어함으로써 발광소자(603)에 공급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가 행해질 수 있다. 발광소자(603)는 행렬 및 2차원으로 배열되고, 이것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스크린 내 포함된다.
이방성 도전성 물질들(324, 325)을 통해 접속되는 IC 칩(323)에 의해, 전극을 제어하는 신호가 형성된다. 또한, 이방성 도전성 물질(715)에 의해 접속되는 가요성 인쇄회로(716)를 통해 외부신호 등이 IC 칩(323)에 입력된다.
발광소자(603)의 밀봉은 패시베이션 막(713), 밀봉 매질(317), 대향 기판(610)에 의해 행해진다. 패시베이션 막(713)은 이를테면 질화실리콘과 같은, 수증기가 스며들기 어려운 절연막으로 형성된다. 질화실리콘막의 광 투과율은 자외선에 가까운 영역에서 약간 낮으며, 따라서, 광 투과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산소가 첨가된 질화산화실리콘막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질화알루미늄 또는 질화산화 알루미늄이 패시베이션 막(713)에 적용될 수 있다. 대향 기판(610)은 유리, 플라스틱, 등 외에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603)의 광이 대향 기판(610) 측으로부터 방출되는 경우에, 광을 투과시키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이 대향 기판(610)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에 대해서 아크릴, 폴리에칠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판 형태 또는 막 형태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이 대향 기판(610)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에, 수증기 등을 차폐하는 가스 장벽막 또는 표면의 경도를 증가시키는 하드 코팅 막이 제공될 수도 있다. 대향기판(610)과 패시베이션 막(713) 사이에 제공된 밀봉 매질(317)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와 같은 수지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밀봉 매질(317)은 대향기판(610) 및 기판(600)을 고정시키며 대향 기판(610)에서 기판(600)까지의 고정된 거리를 유지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스페이서가 될 실리카 입자 등이 밀봉 매질(317)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구조에 따라서, 발광소자(603)의 열화를 야기하는 습기 등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603)는 적층형 발광소자이며, 따라서,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각 발광소자 내 발광층과 반사 전극간 거리는 발광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그러므로, 인가되는 전류량은 낮게 유지될 수 있어, 발광소자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수동형 발광 장치는 주사선과 화소부 내 신호선고의 교차부에 반도체 소자가 제공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개구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향 기판(610) 등에 컬러필터들을 제공함으로써, 풀 컬러 디스플레이가 행해질 수 있다.
(실시형태 12 )
이 실시형태에서,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가 적용된 텔레비전 수신기가 설명된다.
도 11은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 및 회로기판(802)이 조합된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회로기판(802)은 예를 들면 제어회로, 신호 분할회로, 등이 구비된다. 발광 장치는 위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다.
발광 장치들은 발광소자가 각 화소에 제공된 화소부(720), 제 1 및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들(721, 722), 및 비디오 신호를 선택된 화소에 공급하는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는 가요성 인쇄회로(716)를 통해 회로기판(802)에서 발광 장치로 보내진다. 회로기판(802)는 제어회로(814) 및 신호 분할회로(815)를 구비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를 실장함으로써 저 전력 소비의 고 정밀 텔레비전 수신기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2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주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802)에 형성된 외부회로의 구성은 비디오 신호의 입력측 상에, 튜너(811)에서 수신된 신호들 중에서 비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비디오 신호 증폭기 회로(812); 비디오 신호 증폭기 회로(8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각의 색에 대응하는 색 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회로(813); 비디오 신호를 드라이버 IC의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회로(814); 등을 포함한다. 신호가 제어회로(814)로부터 제 1 및 제 2 주사선 드라이버 회로들(721, 722) 및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에 각각 출력된다. 디지털 구동을 행하는 경우에, 신호 분할회로(815)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가 m개로 분할되어 공급되는 구조를 갖도록 신호선 드라이버 회로(723)와 제어회로(814) 간에 제공된다.
튜너(8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중에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증폭기 회로(816)에 보내지고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처리회로(817)를 통해 스피커(818)에 공급된다. 제어회로(819)는 입력부(820)로부터 사운드 볼륨 및 수신국(수신 주파수)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신호가 튜너(811) 및 오디오 신호 처리회로(817)에 보내진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신기는 외부회로가 실장된 발광 장치를 새시(831)에 탑재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832)은 발광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부속 장비로서, 스피커(818), 조작 스위치들(834), 등이 적합하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는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텔레비전 수신기는 발광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13)
디스플레이부에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가 구비된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 이동전화 세트(간단히 셀룰라 전화 세트 또는 셀룰라 전화라 함), PDA와 같은 휴대 정보 단말, 휴대 게임기, 컴퓨터용 모니터, 컴퓨터, 자동차 오디오 세트와 같은 음향 재생 장치, 홈 게임기와 같은 기록매체를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들은 도 14a 내지 도 14e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4a에 도시된 휴대 정보 단말은 본체(9201), 디스플레이부(9202), 등을 포함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부(9202)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하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b에 도시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디스플레이부(9701), 디스플레이부(9702), 등을 포함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부(9701)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c에 도시된 셀룰라 전화는 본체(9101), 디스플레이부(9102), 등을 포함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부(9102)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하는 셀룰라 전화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d에 도시된 휴대 텔레비전은 본체(9301), 디스플레이부(9302) 등을 포함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부(9302)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하는 휴대 텔레비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이를테면 셀룰라 전화와 같은 휴대 단말에 탑재되는 소형 크기의 텔레비전 또는 휴대할 수 있는 중간 크기의 텔레비전과 같은 각종 유형들의 휴대 텔레비전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e에 도시된 휴대 컴퓨터는 본체(9401), 디스플레이부(9402), 등을 포함한다.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부(9402)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하는 휴대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 장치는 발광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이미지 질이 선명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저 전력 소비로 동작한다.
(실시예 1)
이 실시예에서, 청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 적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이 제 1 전극(101)부터 순차로 적층되는 소자 구조가 설명된다.
고 반사율을 가지며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전극이 제 1 전극(101)에 대해 사용되고, 고 광투과 특성을 가지며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극은 제 2 전극(102)에 대해 사용된다.
청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에서, 제 1 층(111B)은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로부터 형성되며; 제 2 층(112B)은 α-NPD의 증발된 층, t-BuDNA의 증발된 층, 및 Alq3의 증발된 층이 순차로 적층되는 층으로 형성되며; 제 3 층(113B)는 BzOs 및 Li의 동시-증발된 층으로 형성된다.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에서, 제 1 층(111G)은 α-NPD 및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된 층(이 층은 동시-증발 방법에 의해 형성되므로 동시-증발층이라 함)으로 형성되고; 제 2 층(112G)은 α-NPD의 증발된 층, Alq3 및 쿠마린 6의 동시-증발층, Alq3의 증발된 층이 순차로 적층된 층으로 형성되고; 제 3 층(113G)은 BzOs 및 Li의 동시-증발층으로 형성된다. Alq3:쿠마린 6의 질량비는 1:0.005가 되도록 설정된다.
적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에서, 제 1 층(111R)은 유기 화합물로서 α-NPD을 사용하여 α-NPD 및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된 층(이 층은 동시-증발 방법에 의해 형성되므로 동시-증발층이라 함)으로 형성되고; 제 2 층(112R)은 α-NPD의 증발된 층 및 Alq3, 루브렌, 및 DCJTI의 동시-증발층이 순차로 적층된 층으로 형성되고; 제 3 층(113R)은 BzOs 및 Li의 동시-증발층으로 형성된다. Alq3:루브렌:DCJTI의 질량비는 1:1:0.02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각각의 발광소자의 제 3 층(113)에 대해 사용되는 BzOs:Li의 질량비는 1:0.01이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 1 층(111)에 대해 사용되는 산화몰리브덴: α-NPD의 질량비는 1:0.25가 되도록 설정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은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층(111B)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DNTPD와 같은 정공 주입특성이 우수한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층은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로부터 형성되는 제 1 층(111B)과 제 2 층(112B)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한 특징은,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 및 적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에서, α-NPD이 전형인 유기 화합물과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된 층이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층에 대해 사용된다는 것이다. 산화몰리브덴과 유기 화합물이 혼합된 층이 두껍더라도 구동전압이 상승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므로, 산화몰리브덴과 유기 화합물이 혼합된 층은, 구동전압을 증가시킴이 없이 막 두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발광층(t-BuDNA로부터 형성된 층, Alq3 및 쿠마린 6으로부터 형성된 층, 및 Alq3, 루브렌, 또는 DCJTI로부터 형성된 층)부터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서 각각이 녹색 및 적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들이 적층된 발광소자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 대신에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α-NPD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이 제 1 층(111B)에 대해 사용되며, 청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 및 적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이 위에 실시예에와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제 1 전극(101)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소자 구조가 이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한 특징은, α-NPD이 전형인 유기 화합물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이 발광층에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층에 대해 사용된다는 것이다. 산화몰리브덴과 유기 화합물과의 혼합층이 두껍더라도 구동전압이 상승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므로, 산화몰리브덴과 유기 화합물과의 혼합층은, 막 두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발광층(t-BuDNA을 포함하는 층, Alq3 및 쿠마린 6을 포함하는 층, 및 Alq3, 루브렌, 및 DCJTI을 포함하는 층)부터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된 제 1 전극(101)까지의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서 발광유닛들이 적층된 모든 발광소자들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이 실시예에서, 시뮬레이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발광소자와 단층형 발광소자를 사용하여 휘도가 비교된다. 적층형 발광소자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들(100a, 100b)이 제 1 전극(101)과 제 2 전극(102) 사이에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소자들(100a, 100b) 각각은 제 1 층들(111a, 111b), 제 2 층들(112a, 112b), 및 제 3 층들(113a, 113b)을 구비하며, 제 1 내지 제 3 층들은 위에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제 1 층(111a)은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을 갖는 층으로 형성되고, 제 1 층(111b)은 α-NPD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으로 형성된다. 제 1 전극(101)은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되고 제 2 전극(102)은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로부터 형성된다. 제 1 전극(101)이 100nm 두께로 형성되고, 제 1 전극(101)이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로부터 40nm 두께로 형성되고, α-NPD의 증발된 층이 10nm 두께로 형성되고, Alq3 및 쿠마린 6의 동시-증발층이 40nm 두께로 형성되고, 3개의 층들로 각각 형성되는 제 2 층들(112a, 112b)를 형성하기 위해 Alq3의 증발된 층이 20nm 두께로 형성되고, 제 3 층들(113a, 113b)를 형성하기 위해 BzOs 및 Li의 동시-증발층이 20nm 두께로 형성되고, α-NPD 및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되는 제 1 층(111b)이 30nm 두께로 형성되고, 제 2 전극(102)이 110nm 두께로 형성되는, 상태 하에서 시뮬레이션이 행해진다.
단층형 발광소자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101)과 제 2 전극(102) 사이에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100a)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녹색을 나타내는 발광유닛(100a)은 제 1 층(111a), 제 2 층(112a), 및 제 3 층(113a)을 구비하며, 제 1 내지 제 3 층들은 도 18a에 도시된 이들 소자들과 동일한 물질들로부터 형성되며, 제 1 층(111a)은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을 구비하는 층으로 형성된다.
도 16은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발광소자에서 파장(nm)에 관한 휘도의 그래프이다. 소자 A는 도 18b에 도시된 발광소자인 단층형 발광소자이며, 여기서 제 1 전극(101)부터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가 아니다. 소자 B는 도 18a에 도시된 발광소자인 적층형 발광소자의 상위 측 발광소자이며, 여기서 제 1 전극(101)에서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소자 C는 도 18a에 도시된 발광소자인 적층형 발광소자의 하위 측 발광소자이며, 여기서 제 1 전극(101)에서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제 1 층(111)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이다. 소자 D는 소자 B와 소자 C의 휘도를 결합한 결과를 의미한다.
소자 A를 도 16에서 소자 B 또는 소자 C와 비교함으로써, 제 1 전극(101)에서 발광층까지의 거리들이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들을 갖는 제 1 층(111a)의 두께를 제어하고 적층형 발광소자에서 α-NPD과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되는 제 1 층(111B)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경우에 휘도가 증가됨이 드러난다.
도 17은 파장(nm)에 관한 휘도의 그래프이며, 이것은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제 1 층(111a)으로서 α-NPD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한 결과이다. 즉, 소자 A 내지 소자 D의 상태들은 α-NPD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으로 형성된 제 1 층(111a)을 구비하는 점에서 도 16의 경우와는 다르다. 소자 A에서 α-NPD와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으로 형성된 제 1 층(111a)은 35nm의 막 두께를 갖는다.
소자 A를 도 17에서 소자 B 또는 소자 C와 비교함으로써, 제 1 전극(101)에서 발광층까지의 거리가 α-NPD과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된 제 1 층들(111a, 111b)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1/4 파장의 대략 기수배인 경우에 휘도가 증가됨이 드러난다.
또한, 도 17을 도 16과 비교함으로써, α-NPD과 산화몰리브덴과의 혼합층으로 형성된 제 1 층(111a)을 사용한 발광소자는 더 큰 방출 휘도를 갖는 것으로 드러난다. 또한, 제 1 층(111a)이 α-NPD만을 갖는 층보다 큰 도전율을 가지며 막이 두껍더라도 구동전압이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α-NPD과 산화몰리브덴이 혼합된 제 1 층(111a)이 바람직한 것으로 드러난다.
이 출원은 2005 년 1월 25일에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05-013688에 근거하며, 이를 참조로 여기 포함시킨다.
Claims (14)
-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위에 설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위에 설치되고, 실리콘, 인듐 주석을 포함하는 제 1 층;
상기 제 1 층 위에 설치되는 제 1 발광층;
상기 제 1 발광층 위에 설치되는 제 2 발광층;
상기 제 2 발광층 위에 설치되는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 위에 설치되는 컬러 필터; 및
상기 컬러 필터 위에 설치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반사 전극인 발광 장치. -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위에 설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위에 설치되는 제 1 발광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전극 위에 설치되고, 실리콘, 인듐 주석을 포함하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 위에 설치되는 제 1 발광층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발광 유닛;
상기 제 1 발광 유닛 위에 설치되는 제 2 발광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발광층 위에 설치되는 제 2 발광층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발광 유닛;
상기 제 2 발광 유닛 위에 설치되는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 위에 설치되는 컬러 필터; 및
상기 컬러 필터 위에 설치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반사 전극인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1 발광층 사이의 제 3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층은 정공 주입 특성을 가진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실리콘, 인듐, 및 주석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층과 상기 제 2 발광층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층은 유기 화합물과 무기 화합물의 혼합층인 발광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4,4'-비스[N-(l-나프틸)-N-페닐아미노]바이페닐 및 산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제 1 전극과 접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층은 제 1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발광층은 상기 제 1 유기 화합물과 다른 제 2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는 상기 제 2 기판과 접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및 금속 기판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것인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발광층으로부터 상기 제 1 전극까지의 광학적 거리가 상기 제 1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발광색의 1/4파장의 기수배의 ±10%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는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카메라, 휴대 전화 장치, 휴대 정보 단말, 휴대형 게임기, 컴퓨터용 모니터, 컴퓨터, 음향 재생 장치, 및 화상 재생 장치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013688 | 2005-01-21 | ||
JPJP-P-2005-013688 | 2005-01-21 | ||
PCT/JP2006/300921 WO2006078005A1 (en) | 2005-01-21 | 2006-01-17 | Light emitting devic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19078A Division KR101395579B1 (ko) | 2005-01-21 | 2006-01-17 | 발광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5163A true KR20140015163A (ko) | 2014-02-06 |
KR101395590B1 KR101395590B1 (ko) | 2014-05-16 |
Family
ID=366923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19078A KR101395579B1 (ko) | 2005-01-21 | 2006-01-17 | 발광 장치 |
KR1020127022096A KR101395590B1 (ko) | 2005-01-21 | 2006-01-17 | 발광 장치 및 전자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19078A KR101395579B1 (ko) | 2005-01-21 | 2006-01-17 | 발광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3) | US20070176161A1 (ko) |
EP (2) | EP1842398B1 (ko) |
JP (3) | JP4939809B2 (ko) |
KR (2) | KR101395579B1 (ko) |
WO (1) | WO200607800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39809B2 (ja) * | 2005-01-21 | 2012-05-30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発光装置 |
JP2007012369A (ja) * | 2005-06-29 | 2007-01-18 | Sony Corp | 有機発光素子および有機発光装置 |
CN101931056B (zh) * | 2006-06-01 | 2014-07-09 |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 发光元件、发光器件和电子器件 |
US9397308B2 (en) | 2006-12-04 | 2016-07-19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DE102006062067A1 (de) * | 2006-12-29 | 2008-07-03 |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 Leuchtdiodenchip |
DE102007058005B4 (de) * | 2007-09-25 | 2018-05-17 | Osram Oled Gmbh | Strahlungsemittieren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
KR20090060750A (ko) | 2007-12-10 | 2009-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DE102008025755A1 (de) * | 2008-05-29 | 2009-12-03 |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 Organisches Licht emittierendes Bauteil und Leuchtmittel mit einem solchen Bauteil |
CN102077386B (zh) * | 2008-06-30 | 2012-07-18 | 佳能株式会社 | 发光显示装置 |
KR101613865B1 (ko) * | 2009-03-26 | 2016-04-20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발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
KR101274719B1 (ko) * | 2010-06-11 | 2013-06-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과 그를 가지는 평판 표시 소자 |
TWI647973B (zh) * | 2011-02-11 | 2019-01-11 |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 發光元件、發光裝置以及顯示裝置 |
US8957442B2 (en) * | 2011-02-11 | 2015-02-17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Light-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
KR101880183B1 (ko) * | 2011-02-11 | 2018-07-19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
KR101894898B1 (ko) | 2011-02-11 | 2018-09-04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를 사용한 전자 기기 |
JP2012199231A (ja) | 2011-03-04 | 2012-10-18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表示装置 |
WO2012128188A1 (en) * | 2011-03-23 | 2012-09-27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
TWI562424B (en) | 2011-03-25 | 2016-12-11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Light-emitting panel,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emitting panel |
KR101960759B1 (ko) | 2011-04-08 | 2019-03-21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
US9083000B2 (en) | 2011-04-29 | 2015-07-14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
KR101917752B1 (ko) | 2011-05-11 | 2018-11-13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발광 소자, 발광 모듈, 발광 패널, 발광 장치 |
KR101933952B1 (ko) * | 2011-07-01 | 2018-12-31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
JP5942349B2 (ja) * | 2011-07-07 | 2016-06-2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センサー装置 |
WO2013008765A1 (en) | 2011-07-08 | 2013-01-17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Light-emitting module,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emitting module |
KR101970675B1 (ko) | 2011-08-04 | 2019-04-19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발광 장치 및 조명 장치 |
US20130069067A1 (en) * | 2011-09-20 | 2013-03-21 | Keun Chun You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9793444B2 (en) | 2012-04-06 | 2017-10-17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US9711110B2 (en) | 2012-04-06 | 2017-07-18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Display device comprising grayscale conversion portion and display portion |
TWI588540B (zh) | 2012-05-09 | 2017-06-21 |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 顯示裝置和電子裝置 |
TWI675222B (zh) | 2012-05-09 | 2019-10-21 |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 驅動半導體裝置的方法 |
CN103427028B (zh) * | 2012-05-14 | 2016-04-13 |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
WO2014030666A1 (ja) | 2012-08-24 | 2014-02-27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透明電極、電子デバイス、および透明電極の製造方法 |
TW201412190A (zh) * | 2012-09-03 | 2014-03-16 | Ultimate Image Corp | 光源模組 |
KR101429725B1 (ko) * | 2012-10-31 | 2014-08-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JP6099420B2 (ja) | 2013-02-08 | 2017-03-22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発光装置 |
JP6314974B2 (ja) | 2013-03-29 | 2018-04-25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照明装置、表示装置、有機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発光性薄膜と組成物及び発光方法 |
JP6350518B2 (ja) | 2013-03-29 | 2018-07-04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それを具備した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
KR102132697B1 (ko) * | 2013-12-05 | 2020-07-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휘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
US9929368B2 (en) * | 2014-02-06 | 2018-03-27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Light-emitting element, ligh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
TWI745740B (zh) | 2014-05-15 | 2021-11-11 |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 發光元件、發光裝置、電子裝置以及照明設備 |
KR102377360B1 (ko) * | 2014-08-08 | 2022-03-21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발광 소자, 발광 장치,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기기 |
US9343691B2 (en) | 2014-08-08 | 2016-05-17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
KR102305143B1 (ko) * | 2014-08-20 | 2021-09-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360783B1 (ko) | 2014-09-16 | 2022-02-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US9660220B2 (en) | 2014-10-24 | 2017-05-23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Multiple light-emitting element device |
US9627650B2 (en) | 2014-10-24 | 2017-04-18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Multiple light-emitting element device each with varying wavelength |
JP5831654B1 (ja) | 2015-02-13 | 2015-12-09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芳香族複素環誘導体、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
KR102333934B1 (ko) * | 2015-07-29 | 2021-12-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
JP6788314B2 (ja) | 2016-01-06 | 2020-11-25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
US10524319B2 (en) | 2016-02-10 | 2019-12-31 | Konica Minolta, Inc. |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 emitting device |
WO2018037791A1 (ja) | 2016-08-24 | 2018-03-01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装置 |
CN107799656B (zh) * | 2016-09-07 | 2019-12-06 |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 有机发光元件 |
JP7171609B2 (ja) * | 2017-04-14 | 2022-11-15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耐久性のある低放射性窓用フィルム構造体 |
KR102532307B1 (ko) | 2017-11-02 | 2023-05-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KR101982768B1 (ko) * | 2017-11-23 | 2019-05-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
US10892297B2 (en) * | 2017-11-27 | 2021-01-12 | Seoul Viosys Co., Ltd. | Light emitting diode (LED) stack for a display |
JP7057134B2 (ja) * | 2018-01-10 | 2022-04-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
JPWO2019220283A1 (ja) | 2018-05-18 | 2021-07-01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
US11903232B2 (en) | 2019-03-07 | 2024-02-13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charge-generation layer between light-emitting units |
KR102392914B1 (ko) * | 2020-08-24 | 2022-04-2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기발광소자용 전극 및 그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Family Cites Families (6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925B2 (ja) * | 1985-03-05 | 1995-03-06 | 株式会社東芝 | 導電性薄膜 |
US5294870A (en) * | 1991-12-30 | 1994-03-15 | Eastman Kodak Company | Organic electroluminescent multicolor image display device |
JP2821347B2 (ja) * | 1993-10-12 | 1998-11-05 | 日本電気株式会社 | 電流制御型発光素子アレイ |
US5707745A (en) * | 1994-12-13 | 1998-01-13 |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 Multi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
JP4477150B2 (ja) * | 1996-01-17 | 2010-06-09 |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 有機薄膜el素子 |
EP0845924B1 (en) * | 1996-11-29 | 2003-07-16 |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US6091195A (en) * | 1997-02-03 | 2000-07-18 |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 Displays having mesa pixel configuration |
US5834893A (en) * | 1996-12-23 | 1998-11-10 |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 High efficiency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with light directing structures |
JPH10270171A (ja) | 1997-01-27 | 1998-10-09 | Junji Kido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
JP4486713B2 (ja) | 1997-01-27 | 2010-06-23 | 淳二 城戸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
JPH11251059A (ja) * | 1998-02-27 | 1999-09-17 | Sanyo Electric Co Ltd | カラー表示装置 |
US6384529B2 (en) * | 1998-11-18 | 2002-05-07 | Eastman Kodak Company | Full color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having an integrated shadow mask |
JP4136185B2 (ja) * | 1999-05-12 | 2008-08-20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多色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0340366A (ja) * | 1999-05-27 | 2000-12-08 | Tdk Corp | 発光ダイオード |
JP2001052866A (ja) * | 1999-08-05 | 2001-02-23 | Fuji Electric Co Ltd | 蛍光変換フィルタ及び該フィルタを備えた有機発光素子 |
WO2001015244A1 (en) | 1999-08-20 | 2001-03-01 | Emagin Corporatio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with high work function metal-oxide anode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on of same |
JP4824848B2 (ja) * | 2000-02-29 | 2011-11-30 | 淳二 城戸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群及びその発光スペクトルの特定方法 |
KR20010050711A (ko) | 1999-09-29 | 2001-06-15 | 준지 키도 | 유기전계발광소자, 유기전계발광소자그룹 및 이런소자들의 발광스펙트럼의 제어방법 |
US7102282B1 (en) * | 1999-11-22 | 2006-09-05 | Sony Corporation | Display device with a cavity structure for resonating light |
US20010043043A1 (en) * | 2000-01-07 | 2001-11-22 | Megumi Aoyama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ed therefor |
JP2001196175A (ja) * | 2000-01-07 | 2001-07-19 | Tdk Corp | 有機el表示装置 |
KR20010085420A (ko) * | 2000-02-23 | 2001-09-07 | 기타지마 요시토시 |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
JP2002056973A (ja) | 2000-03-06 | 2002-02-22 | Mitsubishi Chemicals Corp |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感光性高分子 |
US7579203B2 (en) * | 2000-04-25 | 2009-08-25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Light emitting device |
US6466354B1 (en) * | 2000-09-19 | 2002-10-15 | Silicon Light Machines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ometric modulation of light |
JP2002216976A (ja) * | 2001-01-15 | 2002-08-02 | Sony Corp |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US7288887B2 (en) * | 2001-03-08 | 2007-10-30 | Lg.Philips Lcd Co. Ltd. | Devices with multiple organic-metal mixed layers |
JP2003045661A (ja) * | 2001-08-02 | 2003-02-14 | Fuji Photo Film Co Ltd | 発光性ナノ構造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発光素子 |
JP2003204161A (ja) | 2001-10-29 | 2003-07-18 | Ngk Spark Plug Co Ltd | 配線基板の製造方法 |
JP4164251B2 (ja) | 2001-10-31 | 2008-10-15 |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 有機elカラー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3234186A (ja) * | 2001-12-06 | 2003-08-22 | Sony Corp |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3264083A (ja) * | 2002-03-08 | 2003-09-19 | Sharp Corp | 有機led素子とその製造方法 |
JP3783937B2 (ja) * | 2002-03-18 | 2006-06-07 |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有機el素子 |
JP3933591B2 (ja) * | 2002-03-26 | 2007-06-20 | 淳二 城戸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
EP1367659B1 (en) * | 2002-05-21 | 2012-09-05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
JP2004055461A (ja) * | 2002-07-23 | 2004-02-19 | Seiko Epson Corp |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
US6747618B2 (en) | 2002-08-20 | 2004-06-08 | Eastman Kodak Company |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improved lifetime |
JP4131924B2 (ja) | 2002-09-26 | 2008-08-13 |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有機el表示装置 |
JP4986373B2 (ja) * | 2002-10-07 | 2012-07-25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
CN100449779C (zh) * | 2002-10-07 | 2009-01-07 |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
JP4343511B2 (ja) * | 2002-10-08 | 2009-10-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多色発光素子 |
JP2004241194A (ja) * | 2003-02-04 | 2004-08-26 | Chi Mei Electronics Corp | 画像表示装置 |
JP2004247137A (ja) | 2003-02-13 | 2004-09-02 | Seiko Epson Corp |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
WO2004097915A1 (ja) * | 2003-04-25 | 2004-11-11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液滴吐出装置、パターンの形成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KR100527187B1 (ko) * | 2003-05-01 | 2005-11-0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고효율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US6936961B2 (en) | 2003-05-13 | 2005-08-30 | Eastman Kodak Company | Cascad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connecting units with N-type and P-type organic layers |
JP2004355975A (ja) | 2003-05-29 | 2004-12-16 | Sony Corp | 表示装置の製造方法 |
AU2003241652A1 (en) * | 2003-06-13 | 2005-01-04 |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 Organic el device and organic el panel |
JP4016144B2 (ja) * | 2003-09-19 | 2007-12-05 | ソニー株式会社 | 有機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
JP4453316B2 (ja) | 2003-09-19 | 2010-04-21 | ソニー株式会社 | 有機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
TWI255669B (en) * | 2003-09-19 | 2006-05-21 | Sony Corp |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4179119B2 (ja) | 2003-09-19 | 2008-11-12 | ソニー株式会社 | 有機発光装置の製造方法 |
JP4823478B2 (ja) * | 2003-09-19 | 2011-11-24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発光装置の作製方法 |
TW200515836A (en) * | 2003-10-22 | 2005-05-01 | Hannstar Display Corp |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
JP4243237B2 (ja) * | 2003-11-10 | 2009-03-25 | 淳二 城戸 | 有機素子、有機el素子、有機太陽電池、及び、有機fet構造、並びに、有機素子の製造方法 |
JP2005156871A (ja) | 2003-11-25 | 2005-06-16 | Fuji Photo Film Co Ltd | 露光光源 |
JP4689176B2 (ja) * | 2004-02-26 | 2011-05-25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
JP2005302313A (ja) | 2004-04-06 | 2005-10-27 | Idemitsu Kosan Co Ltd | 有機el表示装置及びフルカラーデバイス |
JP2005322435A (ja) | 2004-05-06 | 2005-11-17 | Seiko Epson Corp | 電界発光素子及び表示素子 |
CN101640254B (zh) * | 2004-05-21 | 2016-01-20 |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 发光元件和发光设备 |
JP2006006873A (ja) * | 2004-06-23 | 2006-01-12 | Harumi Murao | 発汗促進ポリエステル内蔵タオルマスク |
CN101027942B (zh) * | 2004-09-24 | 2010-06-16 |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 发光器件 |
JP4939809B2 (ja) * | 2005-01-21 | 2012-05-30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発光装置 |
JP2011065528A (ja) * | 2009-09-18 | 2011-03-31 | Toyota Motor Corp |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
-
2006
- 2006-01-16 JP JP2006006873A patent/JP493980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1-17 KR KR1020077019078A patent/KR10139557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6-01-17 WO PCT/JP2006/300921 patent/WO200607800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1-17 US US10/590,041 patent/US2007017616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1-17 EP EP06712137A patent/EP1842398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01-17 EP EP12167680.3A patent/EP248773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01-17 KR KR1020127022096A patent/KR10139559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3-24 JP JP2011065528A patent/JP539641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8-09 US US13/205,872 patent/US990580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5-14 JP JP2012110203A patent/JP560870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8
- 2018-02-14 US US15/896,588 patent/US1033310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396419B2 (ja) | 2014-01-22 |
JP2012178361A (ja) | 2012-09-13 |
JP2011146401A (ja) | 2011-07-28 |
EP1842398A1 (en) | 2007-10-10 |
US20070176161A1 (en) | 2007-08-02 |
JP4939809B2 (ja) | 2012-05-30 |
EP1842398A4 (en) | 2010-01-06 |
US9905809B2 (en) | 2018-02-27 |
JP5608703B2 (ja) | 2014-10-15 |
KR101395590B1 (ko) | 2014-05-16 |
EP2487734A3 (en) | 2014-08-27 |
JP2006228712A (ja) | 2006-08-31 |
WO2006078005A1 (en) | 2006-07-27 |
US20180175330A1 (en) | 2018-06-21 |
KR20070094864A (ko) | 2007-09-21 |
EP2487734B1 (en) | 2019-09-25 |
EP2487734A2 (en) | 2012-08-15 |
US20110291088A1 (en) | 2011-12-01 |
US10333108B2 (en) | 2019-06-25 |
EP1842398B1 (en) | 2013-04-03 |
KR101395579B1 (ko) | 2014-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5590B1 (ko) | 발광 장치 및 전자 장치 | |
US9147820B2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164440B1 (ko) | 발광 소자 및 이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발광 장치 | |
US9246056B2 (en) | Light emitting device | |
JP4823629B2 (ja) | 発光装置 | |
JP4684042B2 (ja) | 発光素子、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US8476827B2 (en) |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ic appliance using the same | |
JP5255748B2 (ja) | 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 |
JP5222461B2 (ja) | 発光装置の作製方法、及び発光装置 | |
JP5409854B2 (ja) | 発光装置 | |
JP5084123B2 (ja) | 発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