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233A -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재 - Google Patents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233A
KR20140014233A KR1020137026870A KR20137026870A KR20140014233A KR 20140014233 A KR20140014233 A KR 20140014233A KR 1020137026870 A KR1020137026870 A KR 1020137026870A KR 20137026870 A KR20137026870 A KR 20137026870A KR 20140014233 A KR20140014233 A KR 20140014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ass
fatigue strength
steel material
pressure fati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후지마쓰
Original Assignee
산요오도꾸슈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오도꾸슈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오도꾸슈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6Surface hard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Abstract

자동차나 산업 기계 등에 사용되는 기어나 샤프트 등의 동력 전달용의 부품으로서 사용되는 기계 구조용 강재(鋼材)로 이루어지는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강재가 제공된다. 이 강재는, 질량%로, C: 0.15%∼0.35%, Si: 0.30%∼0.95%, Mn: 0.10%∼1.00%, P: 0%∼0.030%, S: 0%∼0.030%, Cr: 0.80%∼2.30%, Cu: 0%∼0.30%, Al: 0.008%∼0.500%, O: 0%∼0.0030%, N: 0.0020%∼0.0300%, Ni: 0%∼3.00%, Mo: 0%∼0.29%, Ti: 0%∼0.200%, Nb: 0%∼0.20%, B: 0%∼0.0050%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이 강재는, 질량%로, Si+Cr-2Mn으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1.05 이상이며, 또한 0.7Si+2.5Mn+2.0Cr+2.5Ni+4.0Mo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6.30 이하이다.

Description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재{STEEL MATERIAL FOR MACHINE STRUCTURAL USE HAVING EXCELLENT CONTACT PRESSURE FATIGUE STRENGTH}
본 출원은, 2011년 4월 2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1-95390호에 따른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의 개시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나 산업 기계 등에 사용되는 기어나 샤프트 등의 동력 전달 부품으로서 사용되는 기계 구조용 강재(鋼材)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스 침탄(浸炭)을 행하여 부품을 제조한 경우에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재에 관한 것이다.
가스 침탄에 의해 강(鋼) 부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침탄 이상(異常) 층은, 통상의 JIS 규격의 강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많은 경우, 입계(粒界) 산화를 수반한다. 입계 산화는, 표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쐐기형으로 관찰되며, 이것이 면압 피로 강도를 저하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입계 산화를 저감함으로써, 면압 피로 강도 향상이 도모되어 왔다.
그런데, 일반적인 JIS SCr420이나 SCM420에 대하여, Si량을 저감함으로써, 침탄 이상 층의 깊이를 저감하고, 또한 Cr, Mo 등의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템퍼링 연화 저항성을 높여 면압 피로 강도를 개선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0-297347호 공보) 참조). 한편, 종래의 JIS 규정의 표면 경화강(surface-hardened steel)에 대하여, Si를 증량 첨가하고, 템퍼링 연화 저항성을 높이고, 또한, 침탄 이상 층의 깊이를 저감함으로써, 면압 피로 강도를 향상시킨 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7-25879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들 특허 문헌에는, Si 이외의 원소가 침탄 이상 층의 깊이나 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0-297347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 7-258793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나 산업 기계 등에 사용되는 기어나 샤프트 등의 동력 전달용의 부품으로서 사용되는 기계 구조용 강으로 이루어지는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하면,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재로서,
상기 강재가, 질량%로,
C: 0.15%∼0.35%,
Si: 0.30%∼0.95%,
Mn: 0.10%∼1.00%,
P: 0%∼0.030%,
S: 0%∼0.030%,
Cr: 0.80%∼2.30%,
Cu: 0%∼0.30%,
Al: 0.008%∼0.500%,
O: 0%∼0.0030%,
N: 0.0020%∼0.0300%,
Ni: 0%∼3.00%,
Mo: 0%∼0.29%,
Ti: 0%∼0.200%,
Nb: 0%∼0.20%,
B: 0%∼0.0050%
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재가, 질량%로, Si+Cr-2Mn으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1.05 이상이며, 또한 0.7Si+2.5Mn+2.0Cr+2.5Ni+4.0Mo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6.30 이하인, 기계 구조용 강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강재는, 질량%로, Ni, Mo, Ti, Nb 및 B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불가피한 불순물 레벨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강재는, 질량%로, Ni: 0.20%∼3.00% 및 Mo: 0.05%∼0.29% 중 1종 또는 2종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강재는, 질량%로, Ni: 0.20%∼3.00% 및 Mo: 0.05%∼0.29% 중 적어도 1종 이상과, Ti: 0.020%∼0.200%, Nb: 0.02%∼0.20% 및 B: 0.0003%∼0.0050%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롤러 피칭 시험편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수치의 단위는 ㎜이다.
도 2는 가스 침탄에 의한 담금질과 템퍼링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침찬 담금질, (b)는 템퍼링의 각 히트 패턴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각 성분 원소의 %는 질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재는, 질량%로, C: 0.15%∼0.35%, Si: 0.30%∼0.95%, Mn: 0.10%∼1.00%, P: 0%∼0.030%, S: 0%∼0.030%, Cr: 0.80%∼2.30%, Cu: 0%∼0.30%, Al: 0.008%∼0.500%, O: 0%∼0.0030%, N: 0.0020%∼0.0300%, Ni: 0%∼3.00%, Mo: 0%∼0.29%, Ti: 0%∼0.200%, Nb: 0%∼0.20%, B: 0%∼0.0050%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이들 원소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부터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원소 및 불가피한 불순물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C를 0.15%∼0.35%, 바람직하게는 0.20%∼0.30% 포함한다. C는, 기계 구조용 부품으로서 강재의 침탄 담금질 템퍼링 후의 심부(芯部)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원소이다. C의 함유량이 0.15% 미만에서는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고, 0.35%를 초과하면 인성(靭性)이 저하되고, 또한 소재의 경도가 상승하여 가공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Si를 0.30%∼0.95%, 바람직하게는 0.40∼0.85% 포함한다. Si는, 탈산에 필요한 원소이며, 또한 강에 필요한 강도 및 담금질성을 부여하고, 또한 일정량 이상 첨가하면 침탄 이상 층 깊이를 얕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하여, 0.30% 이상의 Si의 첨가가 필요하다. 한편, Si 첨가량이 0.95%를 초과하면 소재의 경도를 높이기 때문에,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Mn을 0.10%∼1.00%, 바람직하게는 0.20∼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0.55% 포함한다. Mn은, 담금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원소이다. 그러나, Mn이 0.10% 미만에서는 담금질성에 대한 효과는 충분히 얻어지지 않으며, 1.00%를 초과하면 기계적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P를 0%∼0.030%, 전형적으로는 0% 초과 0.030% 이하 포함한다. P는, 스크랩으로부터 함유되는 불가피한 임의 원소이지만, 그 함유량이 0.030%를 초과하면 입계에 편석(偏析)하여 충격 강도나 굴곡 강도 등의 특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S를 0%∼0.030%, 전형적으로는 0% 초과 0.030% 이하 포함한다. S는, 피삭성을 향상시키는 임의 원소이지만, 그 함유량이 0.030%를 초과하면 비금속 개재물인 MnS를 생성하여 가로 방향의 인성 및 피로 강도를 저하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Cr을 0.80%∼2.30%, 바람직하게는 1.10%∼2.15% 포함한다. Cr은, 담금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원소이다. 그러나, Cr이 0.80% 미만에서는 담금질성에 대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으며, 2.30%를 초과하면 침탄을 저해하고, 또한 소재 경도를 상승시켜 기계적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Ni를 0%∼3.00%, 바람직하게는 0.20%∼3.00% 포함한다. Ni는, 담금질성을 높이고, 또한, 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면압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는 임의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20% 이상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또한, 0.20% 이상 첨가함으로써 침탄층의 담금질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Ni는 3.00%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가공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또한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Mo를 0%∼0.29%, 바람직하게는 0.05%∼0.29% 포함한다. Mo는, 담금질성을 높이고, 또한, 강재의 템퍼링 연화 저항성을 높이는 작용에 의해 면압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임의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으려면 0.05% 이상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또한, 0.05% 이상 첨가함으로써 침탄층의 담금질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Mo는 0.29%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Cu를 0%∼0.30%, 전형적으로는 0% 초과 0.30% 이하 포함한다. Cu는, 스크랩으로부터 함유되는 불가피한 임의 원소이지만, 시효성(時效性)을 가지고, 강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Cu는 0.30%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Al을 0.008%∼0.500%, 바람직하게는 0.014%∼0.300% 포함한다. Al은, 탈산재로서 사용되는 원소이며,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N과 결합하여 AlN으로서 석출되어 결정립(結晶粒) 조대화(粗大化) 억제 효과를 가져온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하여, Al은 0.008%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Al을 0.500%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대형 알루미나계 개재물을 형성하여, 피로 특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B를 0%∼0.0050%, 바람직하게는 0.0003%∼0.0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0.0050% 포함한다. B는, 극소량의 함유에 의해 강의 담금질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임의 원소이며, 첨가함으로써 다른 합금 원소의 첨가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강재 비용을 저감하는 데 유효하다. B는, 0.0003% 미만에서는 담금질성의 향상 효과가 작으며, 한편, 0.0050%를 초과하면 강도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O를 0%∼0.0030%, 전형적으로는 0% 초과 0.0030%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20% 이하 포함한다. O는, 강 중에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임의 원소이다. 그러나, O가 0.0030%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산화물의 증가에 의한 가공성이나 피로 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N을 0.0020%∼0.0300%, 바람직하게는 0.0020%∼0.0220% 포함한다. N은, 강 중에서 AlN이나 Nb 질화물로서 미세 석출되며, 결정립 조대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오며, 이 효과를 얻기 위해 0.0020% 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0.0300%를 초과하면 질화물이 증가하고, 피로 강도나 가공성이 저하된다. 단, Ti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Ti와 N이 결합하여 경질의 TiN을 형성하여, 기계적 가공성을 현저하게 해치므로, 특히 Ti를 첨가하는 강에 있어서는, N은 0.0020%∼0.0100%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0%∼0.0080%로 규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Ti를 0%∼0.200%, 바람직하게는 0.020%∼0.200% 포함한다. Ti는, 강 중의 C와 결합하여 탄화물을 미세하게 형성하고, 결정립 조대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임의 원소이지만, 이 효과를 얻고자 할 경우에는, Ti를 0.020% 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0.200%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기계적 가공성을 해치기 때문에, 상한은 0.200%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Nb를 0%∼0.20%, 바람직하게는 0.02%∼0.2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12% 포함한다. Nb는, 탄화물 또는 질화물을 형성하고, 결정립 조대화 방지 효과를 가져오는 임의 원소이며, 특히 강 중에 미세하게 분산한 나노 오더 사이즈의 NbC 또는 Nb(C, N)가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한다. Nb가 0.02% 미만에서는, 그 효과는 얻을 수 없고, 0.20%를 초과하면 석출물의 양이 과잉으로 되어 가공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질량%로, Si+Cr-2Mn으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1.0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5∼2.3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2.20이다. 가스 침탄 담금질에 의해 형성되는 침탄 이상 층은, 가스 침탄 분위기 중에 약간 존재하는 산소가 부품 표면으로부터 공급되고, 이 산소가 산화되기 쉬운 원소인 Si, Mn, Cr 등과 결합하여 산화물을 형성하고, 합금 원소를 소비함으로써, 그 주위의 합금 원소를 결핍시켜, 담금질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생긴다. 통상, 침탄 이상 층은 가스 침탄의 가열 유지 중에 형성되는 입계 산화를 수반하므로, 이것이 표면 결함으로서 작용함으로써 면압 피로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예의(銳意) 연구하여, Si+Cr-2Mn으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1.05 이상으로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면압 피로 강도 저하의 하나의 요인인 입계 산화가 저감되고, 표면 부근에 치밀한 침탄 이상 층이 형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는, 질량%로, 0.7Si+2.5Mn+2.0Cr+2.5Ni+4.0Mo로 표시되는 파라미터(Ni 및 Mo를 포함하지 않는 태양의 강재에서는 0.7Si+2.5Mn+2.0Cr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6.3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20∼6.30, 더욱 바람직하게는 3.80∼5.80이다. 이 파라미터를 6.30 이하로 제어해 둠으로써, 침탄층 내의 담금질성을 낮게 억제함으로써, 침탄 이상 층의 경도를 연질화할 수 있다. 상기 침탄 이상 층의 치밀성, 및 침탄층의 담금질성에 대한 파라미터를 함께 만족함으로써, 치밀하면서 연질인 침탄 이상 층을 부품끼리의 접촉면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부품끼리 조립하여 길들여질 때까지 경질인 매트릭스끼리의 금속 접촉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침탄 이상 층이 적절하게 마모되면서 적정한 접촉면을 형성하므로 양호한 윤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침탄 이상 층이 연질이므로, 피로 균열의 진전을 억제하는 작용도 발휘된다. 이들 효과에 의하여,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우수한 효과에 의하여, 면압 피로 강도 향상을 위한 숏 피닝(shot peening)이나 미립자 숏 피닝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숏 피닝이나 미립자 숏 피닝을 행하면 면압 피로 강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강 성분 및 파라미터를 가지는 강으로 이루어지는 강재이며, 이 강재를 사용하여 가스 침탄 담금질과 템퍼링을 행하여, 자동차나 산업 기계 등에 사용되는 기어나 샤프트 등의 동력 전달 부품을 제조함으로써, 이들 용도로 사용했을 때, 면압 피로 강도가 높은 부품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하기의 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1에 나타내는, 본 발명강의 실시예 및 비교강의 실시예의 화학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강을, 100 kg 진공 용해로에서 용제(溶製)하여, 잉곳을 얻었다. 이어서, 이 잉곳을 1250℃로 가열하여 5시간 유지한 후, 직경 32 ㎜의 봉강(棒鋼)으로 단조(鍛造)했다. 이어서, 이 직경 32 ㎜의 봉강을 900℃로 가열하고, 1시간 유지한 후, 공랭하여 노멀라이징(normalizing)했다. 다음으로, 이들 강의, 도 1에 나타내는, 롤러 피칭 시험편(1)을 제작하고, 도 2에 나타내는 히트 패턴의 조건에 의해 가스 침탄에 의한 침탄 담금질과 템퍼링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비교강 No.29에 대해서는, 가스 침탄 담금질 및 템퍼링 후, 미립자 숏 피닝을 실시하고, 또한, 비교강 No.30에 대해서는 가스 침탄 담금질 및 템퍼링 후에 숏 피닝을 실시하였다.
[0034]
[표 1]
Figure pct00001
이어서, 이들 침탄 담금질 템퍼링 처리를 행하고, 또한 비교를 위해 미립자 숏 피닝 또는 숏 피닝한 롤러 피칭 시험편(1)에, 롤러 피칭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면압 피로 강도의 지표로 한 롤러 피칭 수명은 비교강 21(JIS SCM420에 상당)의 강도를 1.00으로 했을 때의 강도비로 나타낸다.
[0036]
[표 2]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강은 소정 범위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Si+Cr-2Mn으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1.05 이상이며, 또한 0.7Si+2.5Mn+2.0Cr로 표시되는 파라미터 또는 0.7Si+2.5Mn+2.0Cr+2.5Ni+4.0Mo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6.3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비교강 No.17∼28의 각 강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강은 롤러 피칭 수명이 대폭 향상되어 있다. 또한, 숏 피닝이나 미립자 숏 피닝을 행한 비교예 No.29 및 No.30의 강과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강은, 이들과 동등 이상의 롤러 피칭 수명을 가지고 있다.

Claims (10)

  1.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재(鋼材)로서,
    상기 강재가, 질량%로,
    C: 0.15%∼0.35%,
    Si: 0.30%∼0.95%,
    Mn: 0.10%∼1.00%,
    P: 0%∼0.030%,
    S: 0%∼0.030%,
    Cr: 0.80%∼2.30%,
    Cu: 0%∼0.30%,
    Al: 0.008%∼0.500%,
    O: 0%∼0.0030%,
    N: 0.0020%∼0.0300%,
    Ni: 0%∼3.00%,
    Mo: 0%∼0.29%,
    Ti: 0%∼0.200%,
    Nb: 0%∼0.20%,
    B: 0%∼0.0050%
    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재가, 질량%로, Si+Cr-2Mn으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1.05 이상이며, 또한 0.7Si+2.5Mn+2.0Cr+2.5Ni+4.0Mo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6.30 이하인, 기계 구조용 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가, 질량%로, C: 0.15%∼0.35%, Si: 0.30%∼0.95%, Mn: 0.10%∼1.00%, P: 0%∼0.030%, S: 0%∼0.030%, Cr: 0.80%∼2.30%, Cu: 0%∼0.30%, Al: 0.008%∼0.500%, O: 0%∼0.0030%, N: 0.0020%∼0.0300%, Ni: 0%∼3.00%, Mo: 0%∼0.29%, Ti: 0%∼0.200%, Nb: 0%∼0.20%, B: 0%∼0.00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만으로 이루어지는, 기계 구조용 강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가, Ni, Mo, Ti, Nb 및 B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기계 구조용 강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가, Ni, Mo, Ti, Nb 및 B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기계 구조용 강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가, 질량%로, Ni: 0.20%∼3.00% 및 Mo: 0.05%∼0.29% 중 1종 또는 2종을 포함하는, 기계 구조용 강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가, 질량%로, Ni: 0.20%∼3.00% 및 Mo: 0.05%∼0.29% 중 1종 또는 2종을 포함하는, 기계 구조용 강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가, 질량%로, Ti: 0.020%∼0.200%, Nb: 0.02%∼0.20% 및 B: 0.0003%∼0.0050%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계 구조용 강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가, 질량%로, Ti: 0.020%∼0.200%, Nb: 0.02%∼0.20% 및 B: 0.0003%∼0.0050%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계 구조용 강재.
  9. 제1항에 있어서,
    질량%로, Ni: 0.20%∼3.00% 및 Mo: 0.05%∼0.29% 중 적어도 1종 이상과, Ti: 0.020%∼0.200%, Nb: 0.02%∼0.20% 및 B: 0.0003%∼0.0050%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계 구조용 강재.
  10. 제2항에 있어서,
    질량%로, Ni: 0.20%∼3.00% 및 Mo: 0.05%∼0.29% 중 적어도 1종 이상과, Ti: 0.020%∼0.200%, Nb: 0.02%∼0.20% 및 B: 0.0003%∼0.0050%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계 구조용 강재.
KR1020137026870A 2011-04-21 2012-04-12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재 KR201400142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5390 2011-04-21
JP2011095390A JP5777090B2 (ja) 2011-04-21 2011-04-21 面圧疲労強度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鋼材
PCT/JP2012/060055 WO2012144423A1 (ja) 2011-04-21 2012-04-12 面圧疲労強度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233A true KR20140014233A (ko) 2014-02-05

Family

ID=4704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870A KR20140014233A (ko) 2011-04-21 2012-04-12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30136A1 (ko)
JP (1) JP5777090B2 (ko)
KR (1) KR20140014233A (ko)
WO (1) WO2012144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4832B2 (ja) * 2011-07-29 2015-11-04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ねじり疲労特性に優れた浸炭用鋼からなる鋼材
JP6085210B2 (ja) * 2013-03-28 2017-02-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転動疲労特性に優れた肌焼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5435B1 (ko) 2013-12-24 201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탄소침탄강 소재 및 이를 이용한 기어 제조방법
JP6078007B2 (ja) * 2014-01-17 2017-02-08 Jfe条鋼株式会社 肌焼鋼および機械構造用部品の製造方法
JP6078008B2 (ja) * 2014-01-17 2017-02-08 Jfe条鋼株式会社 肌焼鋼および機械構造用部品の製造方法
JP2016098426A (ja) * 2014-11-26 2016-05-30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浸炭肌で使用する耐ピッチング特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肌焼鋼
CN104532167B (zh) * 2014-12-29 2016-12-14 王文明 一种耐高温合金模具钢的制备方法
JP6832618B2 (ja) * 2015-06-01 2021-02-24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耐ピッチング特性に優れる機械構造用肌焼鋼及び機械構造用部品素材
CN104911497B (zh) * 2015-06-10 2016-11-23 本钢板材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渗碳齿轮钢19CrNi5生产方法
JP6819198B2 (ja) * 2016-02-08 2021-01-27 日本製鉄株式会社 冷間鍛造調質品用圧延棒線
CN106521316B (zh) * 2016-11-15 2018-08-07 江阴兴澄特种钢铁有限公司 一种紧固件用高淬透性中碳低合金圆钢及其制造方法
CN108342640B (zh) * 2017-01-22 2020-03-2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淬透性齿轮钢及其制造方法
JP6987625B2 (ja) * 2017-12-07 2022-01-05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浸炭肌で使用される耐ピッチング特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のはだ焼きされた鋼および該鋼からなるはだ焼きされた歯車等の機械部品
JP7378889B2 (ja) * 2019-07-30 2023-11-14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研削肌での耐ピッチング特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からなる浸炭された鋼部材
CN110592477A (zh) * 2019-09-16 2019-12-20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富Cr锰硼合金钢及其热处理方法
JP7408331B2 (ja) * 2019-09-27 2024-01-05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浸炭肌での歯面疲労強度に優れる機械構造用の肌焼鋼及び該肌焼鋼を用いた機械構造用部品
CN112795854A (zh) * 2020-12-23 2021-05-14 石家庄钢铁有限责任公司 高强度紧固件螺栓用钢及其生产方法
CN114855073A (zh) * 2022-04-08 2022-08-05 张家港广大特材股份有限公司 一种高品质模铸风电齿轮钢及其制备方法
CN114959502B (zh) * 2022-06-30 2023-07-25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Nb微合金化细晶粒高扭矩输出齿轮钢及其制造方法和生产齿轮的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3969B2 (ja) * 2005-06-29 2007-11-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疲労強度に優れた熱間鍛造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機械構造部品
JP5178104B2 (ja) * 2007-09-12 2013-04-10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面圧疲労強度と衝撃強度及び曲げ疲労強度に優れたはだ焼鋼
JP5213393B2 (ja) * 2007-09-12 2013-06-19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面圧疲労強度と衝撃強度及び曲げ疲労強度に優れたはだ焼鋼
JP5185852B2 (ja) * 2009-02-13 2013-04-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剥離損傷性に優れた歯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4423A1 (ja) 2012-10-26
JP5777090B2 (ja) 2015-09-09
JP2012224928A (ja) 2012-11-15
US20140030136A1 (en) 201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4233A (ko) 면압 피로 강도가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재
JP4677057B2 (ja) 浸炭鋼部品
JP5149156B2 (ja) 焼戻しマルテンサイト鋼、該鋼からの部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ように得られた部品
KR101464712B1 (ko) 템퍼링 연화 저항성이 우수한 강 부품
KR101520208B1 (ko) 기소강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기소강을 이용한 기계 구조 부품
JP4728883B2 (ja) 低サイクル疲労特性に優れた浸炭焼入れ鋼材及び浸炭焼入れ部品
WO2012043074A1 (ja) 肌焼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05263B2 (ja) 低サイクル疲労特性に優れた浸炭焼入れ鋼材及び浸炭焼入れ部品
CN112292471B (zh) 机械部件
JP5558887B2 (ja) 低サイクル疲労強度に優れるTi、B添加鋼を用いた高強度部品の製造方法
JP2009299148A (ja) 高強度浸炭部品の製造方法
JP6794012B2 (ja) 耐結晶粒粗大化特性、耐曲げ疲労強度および耐衝撃強度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
JP5541048B2 (ja) 耐ピッチング性に優れた浸炭窒化鋼部品
JP5804832B2 (ja) ねじり疲労特性に優れた浸炭用鋼からなる鋼材
JP5020066B2 (ja) 機械的部品用の鋼材、該鋼材から機械的部品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該鋼材を用いて得られる機械的部品
JP4347763B2 (ja) 高温浸炭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16344B1 (ko) 변속기 기어 및 샤프트용 초고강도 크롬-몰리브덴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
JP4488228B2 (ja) 高周波焼入れ用鋼材
JP5868099B2 (ja) 靭性、耐磨耗性に優れる鋼
JP2000273574A (ja) 浸炭あるいは浸炭窒化処理用鋼
KR101795401B1 (ko) 침탄강 및 침탄강의 제조방법
JP2009299165A (ja) 高強度浸炭部品の高周波焼入れによる製造方法
JP4828321B2 (ja) 低サイクル疲労特性に優れた高周波焼入れ鋼材及び高周波焼入れ部品
JP2010007117A (ja) 高強度浸炭部品の製造方法
JPH0559432A (ja) 疲労強度の優れた浸炭歯車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