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975A - 프린터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975A
KR20140013975A KR1020130087100A KR20130087100A KR20140013975A KR 20140013975 A KR20140013975 A KR 20140013975A KR 1020130087100 A KR1020130087100 A KR 1020130087100A KR 20130087100 A KR20130087100 A KR 20130087100A KR 20140013975 A KR20140013975 A KR 20140013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paper roll
core
shaft portion
record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151B1 (ko
Inventor
데츠히로 이시카와
스미오 와타나베
마사히로 츠치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6Supporting web roll both-end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5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by deformation of an elastic or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2Web rolls or spindles; Attaching webs to core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4Both ends type arrangement
    • B65H2301/41346Both ends type arrangement separate elements engaging each end of the roll (e.g. chuck)

Landscapes

  • Unwinding Web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가 공급될 때에 용지 롤 지지축을 중심으로 치우치지 않는 프린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는, 프린터 본체부와 접속되어 있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와 접속되어 있는 용지 롤 지지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의 한쪽 단부는 아암부와 접속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중공인 코어의 외측에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의 코어를 넣어 상기 기록지를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제 1 지지축과 제 2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의 내측은 제 1 지지축에 있어서의 접촉점과, 제 2 지지축에 있어서의 접촉점에서 접촉하고 있다.

Description

프린터장치{PRINTER DEVICE}
본발명은 프린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프린터는 상점 등의 레지스터, 은행 등의 ATM(Automated Teller Machine)나 CD(Cash Dispenser) 등의 용도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프린터에서는 통상적으로 기록지가 되는 감열지를 반송하면서, 써멀 헤드 등에 의해 기록지의 소정의 위치에 인자 등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써멀 헤드 등으로 기록지에 인자 등을 하는 프린터에 있어서는, 기록지를 써멀 헤드와 플라텐 롤러의 사이에 개재시켜 인자 등이 이루어지지만, 인자 등이 되는 기록지는 속이 빈 코어에 롤형상으로 감겨지고, 용지 롤 지지축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써멀 헤드가 형성되어 있는 측으로 공급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1984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21729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29215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246508호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롤 지지축(920)의 직경은 기록지(940)가 감겨져 있는 코어(94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자 등이 된 기록지(940)가 공급됨으로써 코어(941)에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940)는 회전하지만,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940)가 회전할 때에, 도 2의 화살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롤 지지축(920)을 중심으로 기록지(940)의 전체가 한쪽으로 크게 치우친다. 이와 같이 기록지(940)의 전체가 크게 치우치면 기록지(940)의 위치가 안정되지 않고, 기록지(940)의 잔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940)가 용지 롤 지지축(920)을 중심으로 치우치고, 나아가 기록지(940)가 공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치우친 경우에는, 기록지(940)의 공급이 방해되어 미도시의 써멀 헤드가 형성된 측으로 기록지(940)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가 공급될 때에 용지 롤 지지축을 중심으로 치우치지 않는 프린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는, 프린터 본체부와 접속되어 있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와 접속되어 있는 용지 롤 지지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한쪽 단부에서 아암부와 접속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중공인 코어의 외측에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의 코어를 넣어 상기 기록지를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로서,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제 1 지지축과 제 2 지지축을 갖고, 상기 코어의 내측과 제 1 지지축에 있어서의 접촉점과, 제 2 지지축에서의 접촉점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는, 프린터 본체부와 접속되어 있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와 접속되어 있는 용지 롤 지지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한쪽 단부에서 아암부와 접속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중공인 코어의 외측에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의 코어를 넣어 상기 기록지를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로서,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2이상의 지지축과,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2이상의 상기 지지축은 2이상의 상기 지지축에 있어서의 2이상의 접촉점에서 상기 코어의 내측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는, 프린터 본체부와 접속되어 있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와 접속되어 있는 용지 롤 지지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한쪽 단부에서 아암부와 접속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중공인 코어의 외측에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의 코어를 넣어 상기 기록지를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로서,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하나의 지지축과,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지지축에 있어서의 2이상의 접촉점에서 상기 코어의 내측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의하면,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가 공급될 때에 용지 롤 지지축을 중심으로 치우치지 않는 프린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린터장치의 설명도(1)이다.
도 2는 종래의 프린터장치의 설명도(2)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의 사시도(1)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의 사시도(2)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의 용지 롤 지지축부와 아암부의 사시도(1)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의 용지 롤 지지축부와 아암부의 사시도(2)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의 용지 롤 지지축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용지 롤 지지축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플랜지부를 제거한 상태의 용지 롤 지지축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용지 롤 지지축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플랜지부를 제거한 상태의 용지 롤 지지축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1)이다.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2)이다.
도 1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3)이다.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4)이다.
도 1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5)이다.
도 1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6)이다.
도 19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7)이다.
도 2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1)이다.
도 21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2)이다.
도 22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3)이다.
도 2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4)이다.
도 24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용지 롤 지지축부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용지 롤 지지축부에 대한 기록지의 설치방법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동일한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프린터장치)
본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 등을 하는 프린터 본체부(10),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를 지지하는 용지 롤 지지축부(20), 프린터 본체부(10)와 용지 롤 지지축부(20)를 접속하고 있는 아암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프린터 본체부(10)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아암부(30)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용지 롤 지지축부(20)와 아암부(30)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과 같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과 같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프린터 본체부(10)는 소위 프린터메카를 구비하고 있고, 써멀 헤드 등의 프린터 헤드, 플라텐 롤러, 기록지를 반송하기 위한 모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용지 롤 지지축부(20)는 한쪽 단부에서 아암부(30)와 접속되고, 다른쪽 단부로부터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의 코어를 넣어 기록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용지 롤 지지축부(20)에 대하여 도 7~도 11을 근거로 설명한다. 도 7은 용지 롤 지지축부(20)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용지 롤 지지축부(20)의 측면도이고, 도 9는 용지 롤 지지축부(20)의 플랜지부(26)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용지 롤 지지축부(2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용지 롤 지지축부(20)의 플랜지부(26)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기록지는 내측의 속이 비어있는(중공인) 코어(101)의 외측에 롤형상으로 감겨지며, 도 8~도 11에서는 기록지의 코어(101)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코어(101)만이 기재되어 있다.
본실시형태에 따른 용지 롤 지지축부(20)는 제 1 지지축(21), 제 2 지지축(22), 지지 샤프트부(23), 압하부재(24), 스프링(25), 플랜지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지지축(21) 및 제 2 지지축(22)은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의 코어(101)의 길이와 동일한 정도이거나, 그 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축(21)과 제 2 지지축(22)은 도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떨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지지축(21)의 직경은 제 2 지지축(22)의 직경과 상이해도 된다. 지지 샤프트부(23)는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의 코어(101)의 길이와 동일한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고, 지지 샤프트부(23)를 중심으로 가동하는 압하부재(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하부재(24)와 제 1 지지축(21)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되는 코일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압하부재(24)는 기록지의 코어(101)의 내측과 접촉부(24a)에서 접촉하고, 압하부재(24)의 접촉부(24a)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기록지의 코어(101)의 내측으로 압압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제 1 지지축(21) 및 제 2 지지축(22)은 기록지의 코어(101)가 회전한 경우에도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지지축(21) 및 제 2 지지축(22)은 코어(101)와의 마찰이 작아지도록 표면이 매끈매끈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기록지의 코어(101)의 내측은 제 1 지지축(21)과의 접촉점(21a)과, 제 2 지지축(22)과의 접촉점(22a)과, 압하부재(24)의 접촉부(24a)의 3점에서 접촉하고, 이들 3점이 코어(101)의 내측과 접촉함으로써 기록지가 유지된다. 코어(101)와 접촉하고 있는 3점중, 접촉부(24a)에서는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압하부재(24)의 접촉부(24a)가 기록지의 코어(101)의 내측을 압압하고 있으므로, 3점에 의한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를 공급할 때에 기록지의 코어(101)가 회전하여도 기록지의 코어(101)가 치우치지 않으므로, 기록지의 잔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나아가 기록지를 프린터 본체부(10)가 형성되어 있는 측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롤 지지축부(20)으로부터 기록지의 코어(101)가 빠지지 않도록 플랜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6)는 용지 롤 지지축부(20)의 다른쪽 단부에 형성되고, 기록지의 코어(101)의 내측으로부터 밖으로 튀어 나온 억제부(26a)를 갖고 있다. 이로써, 기록지의 코어(101)는 한쪽에서는 아암부(30)에 의해 유지되고, 다른쪽에서는 플랜지부(26)의 억제부(26a)에 의해 유지되므로, 통상적인 인자 등의 동작시에는 용지 롤 지지축부(20)로부터 기록지가 빠지지 않는다.
또한, 플랜지부(26)의 전체는 기록지의 코어(101)의 내측보다 작은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기록지의 코어(101)를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저항해 용지 롤 지지축부(20)에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록지의 코어(101)를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저항해 용지 롤 지지축부(20)에 넣음으로써, 압하부재(24)의 접촉부(24a)에서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기록지의 코어(101)가 압압된다. 이로써, 기록지를 용지 롤 지지축부(20)에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5)으로서 토션(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이용하고, 이 토션 코일스프링이 지지 샤프트부(23)의 주위에 감겨지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스프링(25)의 종류나 설치 위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5)으로서 코일스프링(25a)을 사용한 구조이어도 되고,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5)으로서 판스프링(25b)을 사용한 구조이어도 된다. 나아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5)의 중심이 제 2 지지축(22)의 중심과 대략 같은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어도 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5) 등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압하부재(24) 자체가 탄성력을 갖는 것(탄성부재)이어도 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실시형태에서는 압하부재(24)의 회전축에 제 1 지지축(21), 제 2 지지축(22)을 사용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압하부재(24)는 제 2 지지축(22)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장착되고, 기록지(100)의 코어(101)의 내측을 접촉부(24a)에서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코어(100)의 내측은 제 1 지지축(21)상의 접촉점(21a), 제 2 지지축(22)상의 접촉점(22a), 압하부재(24)의 접촉부(24a)의 3점에서 접촉시킬 수 있어, 기록지(100)의 치우침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롤 지지축부는 판스프링(126)을 구비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지(100)의 코어(101)의 내측을 판스프링(126)의 접촉부(126a)에서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작용하는 판스프링(126)의 복원력에 의해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로써, 코어(100)의 내측은 제 1 지지축(21)상의 접촉점(21a), 제 2 지지축(22)상의 접촉점(22a), 판스프링(126)의 접촉부(126a)의 3점에서 접촉시킬 수 있어, 기록지(100)의 치우침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하부재(24), 스프링(25) 등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지지축(21)과 제 2 지지축(22)를 형성함으로써, 기록지(100)의 코어(101)의 내측은 제 1 지지축(21)상의 접촉점(21a) 및 제 2 지지축(22)상의 접촉점(22a)의 2점에서 접촉시킬 수 있다. 이로써, 지지축이 1개인 경우보다, 기록지(100)가 공급될 때에 회전함으로써 생기는 기록지(100)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제 1 지지축(21)의 직경과 제 2 지지축(22)의 직경의 합이 기록지(100)의 코어(101)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함으로써, 기록지(100)가 회전할 때에 생기는 기록지(100)의 치우침 폭 등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의 용지 롤 지지축부(20) 등과는 상이한 구조의 용지 롤 지지축부를 갖는다.
본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롤 지지축부가 대략 원기둥형상인 제 1 지지축(121)과, 대략 원기둥형상인 제 2 지지축(122)과, 대략 원기둥형상인 제 3 지지축(223)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지지축(121), 제 2 지지축(122) 및 제 3 지지축(223)을 형성함으로써, 기록지(100)의 코어(101)의 내측은 제 1 지지축(121)상의 접촉점(121a), 제 2 지지축(122)상의 접촉점(122a) 및 제 3 지지축(223)상의 접촉점(223a)의 3점에서 접촉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보다 기록지(100)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형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24 및 225)를 더 형성한 구조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지지축(121)과 제 3 지지축(223)의 사이가 넓어지도록 하는 복원력을 갖는 코일스프링(224)을 제 1 지지축(121)과 제 3 지지축(223)의 사이에 설치하고, 제 2 지지축(122)과 제 3 지지축(223)의 사이가 넓어지도록 하는 복원력을 갖는 코일스프링(225)을 제 2 지지축(122)과 제 3 지지축(223)의 사이에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로써, 화살표 D에 나타낸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고, 기록지(100)의 코어(101)의 내측이 압압되므로, 기록지(100)의 코어(101)의 내측과 제 1 지지축(121), 제 2 지지축(122) 및 제 3 지지축(223)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24 및 225)을 대신하여 토션 코일스프링(226)을 형성한 구조이어도 된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24 및 225)을 대신하여 토션 판스프링(227)을 형성한 구조이어도 된다. 이들 구조에서도, 도 21에 나타나는 구조와 마찬가지로, 화살표 D로 나타낸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고, 기록지(100)의 코어(101)의 내측이 압압되므로, 도 2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장치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9에 나타낸 압하부재(24)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의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플랜지부(326)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측이 되도록 장착된 구조이다. 이로써, 기록지(100)의 코어(101)를 용지 롤 지지축부에 넣은 후,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기록지(100)가 아래로 낙하하므로, 기록지(100)의 코어(101)의 측면을 플랜지부(326)에 의해 유지(압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롤 지지축부(320)는 한쪽 단부에서 아암부와 접속되고, 다른쪽 단부에는 플랜지부(32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26)는 용지 롤 지지축부(320)의 중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장착되어 있고, 용지 롤 지지축부(320)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기록지(100)의 코어(101)를 삽입한다. 그 후, 기록지(100)의 코어(101)의 전체가 플랜지부(326)의 내측까지 이동하면,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기록지(100)가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떨어져, 기록지(100)의 코어(101)의 상측과 용지 롤 지지축부(320)이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기록지(100)의 코어(101)는 한쪽이 아암부에 의해 유지(압압)되고, 다른쪽이 플랜지부(326)에 의해 유지되므로, 용지 롤 지지축부(320)로부터 기록지(100)가 빠지지 않는다.
지금까지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였지만, 본발명은 관계되는 특정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본출원은 2012년 7월 24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2-164042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일본특허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 프린터 본체부
20 용지 롤 지지축부
21 제 1 지지축
21a 접촉점
22 제 2 지지축
22a 접촉점
23 지지 샤프트부
23a 접촉점
24 압하부재
25 스프링
26 플랜지부
30 아암부
100 기록지
101 코어

Claims (8)

  1. 프린터 본체부와 접속되어 있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와 접속되어 있는 용지 롤 지지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한쪽 단부에서 아암부와 접속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중공인 코어의 외측에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의 코어를 넣어 상기 기록지를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제 1 지지축과, 제 2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의 내측은 제 1 지지축상에 있어서의 접촉점과, 제 2 지지축에 있어서의 접촉점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제 3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의 내측은 제 1 지지축에 있어서의 접촉점과, 제 2 지지축에 있어서의 접촉점과, 제 3 지지축에 있어서의 접촉점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에는 상기 코어의 내측을 압압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에는 상기 코어의 내측과 접하는 압하부재와, 상기 압하부재에 의해 상기 코어의 내측을 압압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코일스프링, 코일스프링 및 판스프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다른쪽 단부에는 상기 코어 내측의 형상보다 작은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에 상기 코어가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코어의 양측은 각각 상기 아암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
  7. 프린터 본체부와 접속되어 있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와 접속되어 있는 용지 롤 지지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한쪽 단부에서 아암부와 접속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중공인 코어의 외측에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의 코어를 넣어 상기 기록지를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2이상의 지지축과,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2이상의 상기 지지축은 상기 2이상의 상기 지지축에 있어서의 2이상의 접촉점에서 상기 코어의 내측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
  8. 프린터 본체부와 접속되어 있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와 접속되어 있는 용지 롤 지지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한쪽 단부에서 아암부와 접속되고,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중공인 코어의 외측에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의 코어를 넣어 상기 기록지를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롤 지지축부는 하나의 지지축과,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지지축에 있어서의 2이상의 접촉점에서 상기 코어의 내측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
KR20130087100A 2012-07-24 2013-07-24 프린터장치 KR101486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4042A JP6118516B2 (ja) 2012-07-24 2012-07-24 プリンタ装置
JPJP-P-2012-164042 2012-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975A true KR20140013975A (ko) 2014-02-05
KR101486151B1 KR101486151B1 (ko) 2015-01-23

Family

ID=4880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7100A KR101486151B1 (ko) 2012-07-24 2013-07-24 프린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42831B2 (ko)
EP (2) EP2689936B1 (ko)
JP (1) JP6118516B2 (ko)
KR (1) KR101486151B1 (ko)
CN (1) CN1035685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05481A1 (en) * 2016-10-14 2018-04-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Bio-based methacrylic acid and other alkenoic-derived monomers via catalytic decarboxylation
CN107777407A (zh) * 2017-10-17 2018-03-09 阜阳市悦梦圆纸品有限公司 一种纸张分切用续切装置
JP7207696B2 (ja) * 2018-09-11 2023-01-18 株式会社寺岡精工 ラベルロールの保持機構及びラベル発行装置
CN114634065A (zh) * 2022-04-01 2022-06-17 威海光威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纸筒自动胀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9634A (en) * 1969-09-08 1971-06-29 Edwin C Mason Multiroll surveyor ribbon dispenser
JPH0374544U (ko) 1989-11-27 1991-07-26
JP2843709B2 (ja) * 1992-05-27 1999-01-06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紙搬送装置
JPH0699057B2 (ja) * 1992-07-08 1994-12-07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巻取紙輪転機の給紙装置
JP3437316B2 (ja) 1994-12-13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ール状ペーパーの支軸部材とその収納方法、ロール状ペーパー支軸部材を用いる記録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US5904329A (en) 1994-12-13 1999-05-18 Canon Kabushiki Kaisha Roll-paper supporting member
US5725321A (en) * 1995-12-07 1998-03-10 Interbold Journal printer paper feed fault detection system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JP3483418B2 (ja) * 1997-02-28 2004-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ャム処理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3719334B2 (ja) * 1997-10-02 2005-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巻取り軸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2000238946A (ja) * 1999-02-19 2000-09-05 Sato Corp プリンタの用紙供給装置
JP2002356252A (ja) * 2001-03-26 2002-12-10 Nippon Signal Co Ltd:The ロール紙装填装置
JP4667663B2 (ja) 2001-07-09 2011-04-1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2003246508A (ja) 2002-02-22 2003-09-02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紙ロールホルダ装置
JP2004292158A (ja) * 2003-03-28 2004-10-21 Sato Corp プリンタのロール紙支持装置
JP4429884B2 (ja) * 2004-11-30 2010-03-10 株式会社サトー 印字用紙巻取り装置
JP2008049670A (ja) * 2006-08-28 2008-03-06 Sato Corp ラベルプリンタ
CN101239679B (zh) * 2007-02-06 2012-06-06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卷绕轴和使用该卷绕轴的打印机
US8568046B2 (en) * 2007-09-17 2013-10-29 Avery Dennison Corporation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of loading and/or unloading rolls
JP2009166946A (ja) * 2008-01-16 2009-07-30 Ishida Co Ltd フィルムロール支持装置
JP5169250B2 (ja) * 2008-01-28 2013-03-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ル媒体支持装置、記録装置
TWI378034B (en) * 2010-06-25 2012-12-01 Primax Electronics Ltd Sheet pick-up device of automatic document feeder
KR101432362B1 (ko) * 2011-06-29 2014-08-20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프린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24615A (ja) 2014-02-06
CN103568587B (zh) 2015-08-26
EP3284606B1 (en) 2020-12-09
KR101486151B1 (ko) 2015-01-23
EP3284606A1 (en) 2018-02-21
CN103568587A (zh) 2014-02-12
EP2689936A1 (en) 2014-01-29
JP6118516B2 (ja) 2017-04-19
EP2689936B1 (en) 2020-09-02
US20140027559A1 (en) 2014-01-30
US9242831B2 (en)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5072B2 (ja) ロール紙ホルダおよび該ホルダを用いたプリンタ
KR101486151B1 (ko) 프린터장치
JP2004345793A (ja) 媒体搬送装置
JP5865126B2 (ja) プリンタ装置
US7753308B2 (en) Mechanism for preventing a winding slack of a roll paper
US83064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accuracy in forming a gap between a developing unit and a photoreceptor drum
JP2006044900A (ja) ロール紙ガイド装置、ロール紙ガイド方法、ロール紙支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97518B2 (ja) プリンタ装置
CN104249939A (zh) 供纸装置以及具备该供纸装置的图像形成装置
JP5969189B2 (ja) プリンタ装置
JP3120074U (ja) ロール紙保持機構
JP6302374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用紙ガイド装置
JP5977516B2 (ja) プリンタ装置
JP4711004B2 (ja) 給紙装置
JP2011059356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308453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46784B2 (ja) 画像形成装置
JP4649427B2 (ja) ロール紙供給機構
JP7445398B2 (ja) プリンタ
JP2002347962A (ja) 給紙装置
JP2008239266A (ja) 給紙装置
JP2010089896A (ja) 画像形成装置
JP5858742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08253A (ja) 給紙装置
JP2008030864A (ja) 給紙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