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103A - 충격 흡수 부재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103A
KR20140013103A KR1020137035037A KR20137035037A KR20140013103A KR 20140013103 A KR20140013103 A KR 20140013103A KR 1020137035037 A KR1020137035037 A KR 1020137035037A KR 20137035037 A KR20137035037 A KR 20137035037A KR 20140013103 A KR20140013103 A KR 20140013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absorbing member
buckling
flang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9568B1 (ko
Inventor
사토시 히로세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3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3Deformation involving a bending action, e.g. strap moving through multiple rollers, folding of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축선(O)과 상기 축선(O)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은 복수의 직사각형의 벽부(1a, 1b, 1c, 1d) 와 축선(O)에 대하여 수직인 다각형 단면을 가지고,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 에너지를 축선(O) 방향에 좌굴 변형하면서 흡수하는 축선(O) 방향으로 뻗은 중공 주상의 충격 흡수 부재(1)가, 복수의 벽부 중 적어도 2조의 인접하는 벽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모서리부(1e, 1f, 1g, 1h)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플랜지부(2a, 2b, 2c, 2d)를 구비하고, 이 적어도 2개의 플랜지부는 그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충격 흡수 부재{SHOCK ABSORBING MEMBER}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 에너지를 좌굴 변형하면서 흡수하는 충격 흡수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는 연비나 운동 성능의 향상을 꾀하는 한편으로, 한층 더 충돌 안전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자동차의 차체는 경량화와 고강성화를 양립시키기 위하여, 모노코크 바디라고 불리는 프레임과 바디를 일체화한 차체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차체에는 충돌시에 운전자 및 동승자의 생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엔진 룸이나 트렁크 룸 등의 객실 이외의 공간을 우선적으로 찌그러뜨리면서, 객실에 가하여지는 충격을 가능한 한 완화하여, 객실의 변형을 최소한에 그치게 하는, 이른바 충격 흡수 구조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충돌 안전성이 우수한 차체 구조로 하려면, 충돌시의 충격 에너지를 어떻게 유효하게 흡수시킬 지가 중요한 과제가 된다. 이 때문에, 충돌시의 충격 에너지를 효율 좋게 흡수시키기 위한 충격 흡수 부재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16을 참조).
일반적으로, 충격 흡수 부재에는 강판을 프레스 성형한 것을 용접 등으로 접합하고, 중공 주상으로 성형한 박육 구조체(중공 주상 부재)가 사용된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는 전술한 경량화와 고강성화를 양립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진 중공 부재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충격 흡수 부재는 예를 들면, 차체의 프런트 사이드 멤버 등에 사용되고 있는데, 충돌시에 그 일단측으로부터 충격 하중을 받았을 때에, 축선 방향으로 좌굴 변형(축 압궤)함으로써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따라서, 충격 흡수 성능을 높이려면, 이와 같은 좌굴 변형을 효율 좋게 일어나게 하는 것과, 그 좌굴 하중을 높이는 것의 2가지가 중요하게 된다.
종래,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한 재료면에서의 대책으로서, 충격 흡수 부재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비교적 두꺼운 강판이나, 비교적 강도가 높은 고강도 강판을 사용하거나 하여, 좌굴 하중을 높이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구조면에서의 대책으로서는, 비드라 불리는 좌굴 변형의 단서를 제공하는 오목부(비드부)를 형성하여, 효율 좋게 좌굴 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중공의 충격 흡수 부재의 단면을 다각형상으로 함으로써, 좌굴 하중을 높이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충격 흡수 부재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은 부재의 중량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 충격 흡수 부재를 채용하는 차체의 중량 증가를 초래하고, 그 결과, 자동차의 연비나 주행 성능을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고강도 강판은 그 강도에 반비례하여 연신율이 저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성형성도 악화되어, 현재로서는 충격 흡수 부재용 강판의 고강도화에는 자연히 한계가 있다.
그런데, 단지 충격 흡수 부재의 좌굴 하중을 증가시키는 것은 좌굴을 일으키게 하는 최저 충격 하중의 증대로 이어진다. 이 경우, 충격 흡수 부재에 가하여지는 충격 하중이 충격 흡수 부재의 변형에 의하여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객실 등의 다른 구조 부분으로 전달된다. 또한, 본래는 변형되어서는 안될 부분에 좌굴 변형이 생기거나 객실의 변형에 의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의 생존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큰 가속도 변화가 운전자 및 동승자에 가하여지거나 함으로써, 운전자 및 동승자에 대한 상해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충격 흡수 부재에서는, 예를 들면 좌굴의 개시단에서부터 단면 형상을 매우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좌굴에 의한 변형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격 흡수 부재를 직선화하는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에 가하여지는 초기 충격 하중을 저하하기 위하여, 전술한 비드의 배치에 의하여 충돌시에 사복상의 좌굴 변형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비드의 배치에 대하여는, 그것을 구하는 확고한 이론은 없고,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한 좌굴 시험이나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다수 반복함으로써 구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 때문에, 각종 차량마다 상기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을 반복할 필요가 있어서, 설계 효율이 나쁠 뿐만 아니라, 실제의 충돌시에 예상되는 여러 가지 하중 조건이나 좌굴 모드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그러한 수법을 이용하여 비드의 배치를 최적화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9-286221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9-285668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9-168115호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9-154587호 특허 문헌 5: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9-113596호 특허 문헌 6: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8-018792호 특허 문헌 7: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7-030725호 특허 문헌 8: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6-207726호 특허 문헌 9: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6-207724호 특허 문헌 10: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5-225394호 특허 문헌 1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5-153567호 특허 문헌 12: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5-001462호 특허 문헌 13: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10-138950호 특허 문헌 14: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09-277954호 특허 문헌 15: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09-277953호 특허 문헌 16: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2011-56997호
그런데, 전술한 충격 흡수 부재를 사복상으로 좌굴 변형시키는 좌굴 모드(Compact-mode) 중에는 「요철 혼합 모드」라고 불리는 것과, 「요철 독립 모드」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이 중, 요철 혼합 모드는 충격 하중을 가함으로써 사복상으로 좌굴 변형한 중공 주상의 충격 흡수 부재의 임의의 횡단면에 있어서, 사복상의 골부(오목부)와 산부(볼록부)가 혼재하는 변형 모드이다. 한편, 요철 독립 모드는 마찬가지로 임의의 횡단면에 있어서, 오목부 또는 볼록부만이 존재하는 변형 모드이다. 이 경우, 요철 독립 모드는 요철 혼합 모드보다 부재 전체에 대한 변형 부분의 비율이 커지기 때문에, 그 변형량(찌그러짐 량)에 대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량이 많아서,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충격 흡수 부재에서는 축선 방향으로 사복상으로 좌굴 변형 시키면서, 그 충격 에너지의 흡수량을 높이는 것에 대하여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술한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키는 것에 대하여는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았다. 즉, 종래의 충격 흡수 부재에 의한 좌굴 모드는 요철 혼합 모드가 주(主)이고, 요철 독립 모드를 발생시키는 메커니즘까지는 해명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충격 흡수 부재, 특히,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충격 흡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축선과, 상기 축선에 있어서 평행하게 뻗은 복수의 직사각형의 벽부와, 상기 축선에 대하여 수직인 다각형 단면을 가지고,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 에너지를 상기 축선 방향으로 좌굴 변형하면서 흡수하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뻗은 중공 주상의 충격 흡수 부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적어도 2조의 인접하는 벽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모서리부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이 적어도 2개의 플랜지부는 그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충격 흡수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적어도 1개의 벽부에 비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비드부는 이 충격 흡수 부재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딤플 또는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한 팽윤부로 할 수 있다. 딤플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측에 치우치게 하여 배치되고, 팽윤부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측에 치우치게 하여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벽부 및/또는 모서리부에, 축선 방향으로 좌굴 변형하는 경우에 각 모서리부의 능선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으로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하도록, 그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좌굴 유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충격 흡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킴으로써, 축선 방향으로 효율 좋게 좌굴 변형을 일으키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 에너지의 흡수량을 높이고,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정방형의 단면을 가진 중공 주상 부재에, 그 일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에, 중공 주상 부재에 생기는 변형을 FEM 수치 해석에 의하여 구한 사시도로서, 국소적인 좌굴에 의하여 절곡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와 같은 중공 주상 부재에 생기는 변형을 FEM 수치 해석에 의하여 구한 사시도로서, 축선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좌굴 변형한 비컴팩트 모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c는 도 1a와 같은 중공 주상 부재에 생기는 변형을 FEM 수치 해석에 의하여 구한 사시도로서, 축선 방향으로 사복상으로 좌굴 변형하는 컴팩트 모드 중에서 요철 혼합 모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d는 도 1a와 같은 중공 주상 부재에 생기는 변형을 FEM 수치 해석에 의하여 구한 사시도로서, 축선 방향으로 사복상으로 좌굴 변형하는 컴팩트 모드 중 에서 요철 독립 모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요철 혼합 모드에 있어서의 중공 주상 부재의 축선에 대하여 수직의 임의의 횡단면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b는 요철 혼합 모드에 있어서의 중공 주상 부재의 축선에 대하여 수직인 도 2a와는 상이한 다른 횡단면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요철 독립 모드에 있어서의 중공 주상 부재의 축선에 대하여 수직인 임의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b는 요철 독립 모드에 있어서의 중공 주상 부재의 축선에 대하여 수직인 도 3a와는 상이한 다른 횡단면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a는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로서, 플랜지부가 한쪽의 벽부를 따라서 연장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로서, 플랜지부가 한쪽 및 다른 한쪽의 벽을 각각 다른 각도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좌굴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좌굴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좌굴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좌굴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좌굴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비교예 1의 각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 충격 하중을 가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실시예 1의 각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 충격 하중을 가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c는 실시예 2의 각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 충격 하중을 가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d는 실시예 3의 각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 충격 하중을 가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e는 실시예 4의 각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 충격 하중을 가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 상태를 FEM 수치 해석에 의하여 구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 상태를 FEM 수치 해석에 의하여 구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 상태를 FEM 수치 해석에 의하여 구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3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 상태를 FEM 수치 해석에 의하여 구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4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 상태를 FEM 수치 해석에 의하여 구한 사시도이다.
도 15a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충격 흡수 부재로부터의 반력과 변형량(찌그러짐 량)과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5b는 실시예 2와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충격 흡수 부재로부터의 반력과 변형량(찌그러짐 량)과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5c는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충격 흡수 부재로부터의 반력과 변형량(찌그러짐 량)과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5d는 실시예 4와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충격 흡수 부재로부터의 반력과 변형량(찌그러짐 량)과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6a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량(찌그러짐 량)과 흡수한 에너지량과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6b는 실시예 2와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량(찌그러짐 량)과 흡수한 에너지량과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6c는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량(찌그러짐 량)과 흡수한 에너지량과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6d는 실시예 4와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량(찌그러짐 량)과 흡수한 에너지량과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는 축선과 상기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은 복수의 직사각형의 벽부와, 상기 축선에 대하여 수직인 다각형 단면을 가지고,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 에너지를 상기 축선 방향으로 좌굴 변형하면서 흡수하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뻗은 중공 주상의 충격 흡수 부재이다. 상기 복수의 벽부 중에서 적어도 2조의 인접하는 벽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모서리부로부터 적어도 2개의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고, 이 적어도 2개의 플랜지부는 그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충격 흡수 부재는 적어도 1개의 벽부에 비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비드부는 이 충격 흡수 부재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딤플 또는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한 팽윤부로 할 수 있다. 딤플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측에 치우치게 배치되고, 팽윤부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정방형의 단면을 가진 직선상의 중공 주상 부재에 대하여, 그 일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에, 이 중공 주상 부재에 생기는 각종 변형 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하는 변형 모드는 이 중공 주상 부재들에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 상태를 FEM(Finite Element Method) 수치 해석(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구한 것이다.
도 1a는 국소적인 좌굴에 의하여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b는 축선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좌굴 변형한 비컴팩트 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c, 1d는 축선 방향으로 사복상으로 좌굴 변형하는 모드, 즉, 축선 방향에 있어서 산부와 골부를 교호적으로 반복하면서 압궤하는 컴팩트 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1c는 컴팩트 모드 중 요철 혼합 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요철 혼합 모드는 도 2a, 2b에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중공 주상 부재의 임의의 횡단면에 있어서, 사복상의 골부(오목부)와 산부(볼록부)가 혼재되어 나타나는 모드이다. 이에 대하여, 도 1d는 컴팩트 모드 중에서 요철 독립 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요철 독립 모드는 도 3a, 3b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중공 주상 부재의 임의의 횡단면에 있어서, 사복상의 골부(오목부) 또는 산부(볼록부)만이 나타나는 모드이다. 「요철 독립 모드」 및 「요철 혼합 모드」라는 용어는 「확장 모드(extension mode)」 및 「비확장 모드(inextension mode)」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도 1a에 도시하는 변형 모드로부터 도 1d에 도시하는 변형 모드를 향하여 감에 따라서, 부재 전체에 대한 변형 부분의 비율이 커진다. 따라서, 부재의 변형량(찌그러짐 량)에 대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량이 가장 높은 것은 도 1d에 도시하는 요철 독립 모드이다. 즉, 이 요철 독립 모드는 축선 방향으로 가장 효율 좋게 좌굴 변형을 일으키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충격 흡수 부재에서는 적어도 2개의 모서리부에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는 모서리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이란, 예를 들면 도 4a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랜지부(100A)와 같이, 이 플랜지부(100A)를 구성하는 한쪽의 벽부(101)와 당해 플랜지부(100A)가 이루는 각 α와, 다른 한쪽의 벽부(102)와 당해 플랜지부(100A)가 이루는 각 β 중에서, 그 열림 각이 작아지는 측의 벽부(본 도면에서는 β<α에 의하여 다른 한쪽의 벽부(102))가 위치하는 방향을 말하고, 이 방향(향하는 방향)을 충격 흡수 부재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플랜지부(100A)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4a에서는 이 플랜지부(100A)가 한쪽 벽부(101)를 따라서 연장된 구성(β<α=180°)으로 되어 있으나, 플랜지부는 이와 같은 구성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4b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랜지부(100B)와 같이, 한쪽 벽부(101) 및 다른 한쪽의 벽부(102)를 각각 다른 각도로 절곡하여 플랜지부(100B)를 구성(β<α<180°) 하는 것도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β<180°<α가 되는 플랜지부(도시하지 않음)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내는 정방형의 단면을 가진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 부재(1A)는 중심 축선(O)과, 이 중심 축선(O)의 주위에 배치된 4개의 벽부(1a, 1b, 1c, 1d)를 가지고 있고, 이 4개의 벽부(1a, 1b, 1c, 1d)의 각각의 사이를 접합함으로써, 4개의 모서리부(1e, 1f, 1g, 1h)로부터 플랜지부(2a, 2b, 2c, 2d)가 형성된다. 각 플랜지부(2a, 2b, 2c, 2d)는 그 모서리부(1e, 1f, 1g, 1h)로부터 돌출하는 방향 X가,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충격 흡수 부재(1)의 일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충격 하중을 가함으로써, 각 모서리부(1e, 1f, 1g, 1h)의 능선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 즉, 각 플랜지부(2a, 2b, 2c, 2d)에 대한 열림 각이 작아지는 측의 벽부(1a, 1b, 1c, 1d)가 위치하는 방향 X로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정방형의 단면을 가진 충격 흡수 부재(1B)와 같이, 벽부(1a, 1d)로 이루어지는 패널과, 벽부(1b, 1c)로 이루어지는 패널을 벽부(1a, 1b)의 사이와 벽부(1c, 1d)의 사이에서 접합함으로써, 2개의 모서리부(1e, 1g)로부터 플랜지부(2)가 돌출되어 형성되었을 경우, 각 플랜지부(2)는 그 모서리부(1e, 1g)로부터 돌출하는 방향 X가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를 향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이 충격 흡수 부재(1B)에 있어서, 플랜지부(2)가 설치된 모서리부(1e, 1g)와는 다른 모서리부(1f, 1h)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쪽의 벽부(1a, 1c)에,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딤플(3)을 형성하였을 경우, 각 딤플(3)은 당해 벽부(1a, 1c)의 중앙부에 대하여,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2)가 돌출하는 방향 X와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1f, 1h)측에 치우쳐서 배치된다.
이 경우, 충격 흡수 부재(1B)의 일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충격 하중을 가함으로써, 모서리부(1e, 1g)의 능선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 즉, 각 플랜지부(2)에 대한 열림 각이 작아지는 측의 벽부(1b, 1d)가 위치하는 방향 X로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한다. 또한, 모서리부(1f, 1h)의 능선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 즉, 딤플(3)을 형성한 측(X 방향)으로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하는 정방형의 단면을 가진 충격 흡수 부재(1C)와 같이, 벽부(1a′, 1d′)로 이루어지는 패널과, 벽부(1b′, 1c′)로 이루어지는 패널을 벽부(1a′, 1b′)의 사이와 벽부(1c′, 1d′)의 사이에서 접합함으로써, 2개의 모서리부(1e′, 1g′)로부터 플랜지부(2′)가 돌출하여 형성하였을 경우, 각 플랜지부(2′)는 모서리부(1e′, 1g′)로부터 돌출하는 방향 X′가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를 향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이 충격 흡수 부재(1C)에 있어서, 플랜지부(2′)가 설치된 모서리부(1e′, 1g′)와는 다른 모서리부(1f′, 1h′)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쌍의 벽부(1a′, 1c′)에 그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팽윤부(3′)를 형성하였을 경우, 각 팽윤부(3′)는 당해 벽부(1a′, 1c′)의 중앙부에 대하여,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2′)가 돌출하는 방향 X′에 위치하는 모서리부(1f′, 1h′)측에 치우쳐서 배치한다.
이 경우, 충격 흡수 부재(1C)의 일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충격 하중을 가함으로써, 모서리부(1e′, 1g′)의 능선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 즉, 각 플랜지부(2′)에 대한 열림 각이 작아지는 측의 벽부(1a′, 1c′)가 위치하는 방향 X′로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한다. 또한, 모서리부(1f′, 1h′)의 능선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 즉, 팽윤부(3′)를 형성한 측과는 반대측(X′방향)으로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충격 흡수 부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모서리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적어도 1개의 벽부에 충격 흡수 부재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딤플 또는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한 팽윤부를 형성한다.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 이 딤플은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측에 치우쳐서 배치한다. 팽윤부를 형성하는 경우, 이 팽윤부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측으로 치우쳐서 배치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하는 정방형의 단면을 가진 충격 흡수 부재(1D)와 같이, 벽부(1a, 1d, 1c, 1b)로 이루어지는 패널을 벽부(1a, 1b)의 사이에서 접합함으로써, 1개의 모서리부(1e)로부터 플랜지부(2)가 돌출하여 설치되었을 경우, 이 플랜지부(2)가 설치된 모서리부(1e)와는 다른 모서리부(1f, 1g, 1h)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쪽의 벽부(1a, 1c, 1d)에, 충격 흡수 부재(1D)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딤플(3)을 형성하고, 또한, 각 딤플(3)을, 당해 벽부(1a, 1c, 1d)의 중앙부에 대하여,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2)가 돌출하는 방향 X와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1f, 1h, 1g)측에 치우쳐서 배치한다.
이 경우, 충격 흡수 부재(1D)의 일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충격 하중을 가함으로써, 모서리부(1e)의 능선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 즉, 각 플랜지부(2)에 대한 열림 각이 작아지는 측의 벽부(1b)가 위치하는 방향 X를 향하여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한다. 또한, 그 이외의 모서리부(1f, 1g, 1h)의 능선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 즉, 딤플(3)을 형성한 측(X 방향)으로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다. ′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정방형의 단면을 가진 충격 흡수 부재(1E)와 같이, 벽부(1a′, 1d′, 1c′, 1b′)로 이루어지는 패널을 벽부(1a′, 1b′)의 사이에서 접합함으로써, 1개의 모서리부(1e)로부터 플랜지부(2′)가 돌출하여 설치되었을 경우, 이 플랜지부(27)가 설치된 모서리부(1e′)와는 다른 모서리부(1f′, 1g′, 1h′)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쪽의 벽부(1a′, 1c′, 1d′)에, 충격 흡수 부재(1E)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한 팽윤부(3′)를 형성하고, 또한 각 팽윤부(3′)를, 당해 벽부(1a′, 1c′, 1d′)의 중앙부에 대하여,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2)가 돌출하는 방향 X′에 위치하는 모서리부(1f′, 1h′, 1g′)측에 치우쳐서 배치한다.
이 경우, 충격 흡수 부재(1E)의 일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충격 하중을 가함으로써, 모서리부(1e′)의 능선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 즉, 각 플랜지부(2′)에 대한 열림 각이 작아지는 측의 벽부(1a′)가 위치하는 방향 X로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한다. 또한, 그 이외의 모서리부(1f′, 1g′, 1h′)의 능선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Y′, 즉, 팽윤부(3′)를 형성한 측과는 반대측(X′ 방향)으로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플랜지부 및 비드부는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키는 좌굴 유발부로서 충격 흡수 부재가 축선 방향으로 좌굴 변형할 때에, 각 모서리부의 능선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으로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하도록, 그 방향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비드부는 상기 종래의 비드부와 같이 좌굴 변형의 단서를 제공하는 기능과 달리, 직접적으로 좌굴 변형의 단서는 되지 않고, 오히려 모서리부의 능선이 무너진 후(좌굴 후)에, 요철 독립 모드로 신속하게 이행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충격 흡수 부재에서는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킴으로써, 축선 방향으로 효율 좋게 좌굴 변형을 일으키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 에너지의 흡수량을 높이고,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체에 있어서, 이와 같은 충격 흡수 부재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차체의 경량화와 고강성화를 양립시키면서, 연비 및 운동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충돌 안전성이 우수한 차체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a, 6b에 도시하는 충격 흡수 부재(1A 내지 1E)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을 적용한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는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 에너지를 축선 방향으로 좌굴 변형(축 압궤)하면서 흡수하는 중공 주상의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충격 흡수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강판을 프레스 성형한 것을 용접 등으로 접합함으로써 플랜지부가 형성된 중공 주상의 박육 구조체(중공 주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비드부는 이 중공 주상 부재를 접합하기 전후에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의 재질에 대하여는, 전술한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철, 알루미늄, 구리, 또는 그러한 합금 등의 금속 재료나, FRP 등의 수지 재료 등,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 에너지를 축선 방향으로 좌굴 변형(축 압궤) 하면서 흡수 가능한 것이면 좋다. 또한, 용접 등에 의하여 접합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압출 성형 등에 의하여 중공 주상으로 성형한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비드부는 성형 후에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는 경량화와 고강성화를 양립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 사각형 내지 팔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내는 육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도, 플랜지부(2)의 돌출하는 방향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당해 플랜지부(2)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a,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딤플(3)은 충격 흡수 부재의 좌굴의 개시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딤플(3)은 벽부의 한 변의 길이 피치로 배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장 개시단측에 위치하는 딤플(3)은 이 개시단으로부터 벽부의 한 변의 길이의 1/2 이상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하여, 사복상의 좌굴 변형을 안정적으로 생기게 할 수 있다.
또한, 비드부의 형상에 대하여는, 상기 본 발명의 비드부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면, 전술한 구면(球面)의 일부를 가진 형상의 딤플이나 팽윤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V자 형상이나 U자 형상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도 8a, 8b에 도시하는 딤플(3)은 충격 흡수 부재(1)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횡단면 방향)으로 뻗은 홈 형태의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본 발명의 비드부로서의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홈 형태의 딤플(3)의 충격 흡수 부재(1)의 축선(O)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L1)는, 좋기로는 1/10W≤L1≤3/4W (W:벽부의 폭이며 충격 흡수 부재(1)의 능선 사이의 거리)로 한다. 홈 형태의 딤플(3)의 충격 흡수 부재(1)의 축선(O)의 방향의 길이(L2)는 좋기로는 1/20L1≤L2≤L1로 한다. 또한, 딤플(3)과 능선과의 사이의 거리(L3)는 좋기로는 T≤L3≤1/5T (T:판 두께)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 흡수 부재의 적어도 1개의 벽부에 있어서 한쪽 모서리부에 치우쳐서 비드부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요철 독립 모드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1개의 벽부에 치우쳐서 형성된 비드부를 기점으로 하고, 이 비드부가 치우친 측에 있는 모서리부의 능선이 무너지는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에, 그 밖의 모서리부의 능선에 대하여도, 그 기점이 된 모서리부의 능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무너지는 것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서리부의 동일한 방향으로의 무너짐을 안정화시키려면 2개의 벽부에 비드부를 모서리부측에 치우쳐서 배치하는 것이 더 좋고, 또한, 모든 벽부에 비드부를 모서리부측에 치우쳐서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즉, 비드부를 부여한 부분은 좌굴 변형 후에 충격 흡수 부재의 단면 내에서 사복상의 골부(오목부)가 된다. 이 때문에, 모든 벽부에 비드부를 배치한 경우에는, 그 횡단면에 있어서 비드부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모서리부가 좌굴 변형 후에 사복상의 산부(볼록부)가 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벽부에 비드부를 모서리부측에 치우쳐서 배치하는 경우에는, 다각형상의 단면의 대각을 이루는 벽부로부터 순서대로 배치해 나가는 것이, 비드부의 배치의 밸런스를 생각해서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비드부를 모서리부측에 치우쳐서 배치한다는 것은 비드부가 벽부의 중앙부에 걸리지 않을(중앙부를 변형시키지 않을) 정도로 모서리부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비드부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 때, 모서리부의 근방이란, 모서리부의 능선에 걸리지 않을(모서리부를 변형시키지 않을) 정도로 모서리부에 접근시킨 위치를 말하고, 비드부의 중심을 벽부의 폭에 대하여 1/4 이하 정도 모서리부 측에 접근한 위치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드부를 모서리부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모서리부의 능선이 무너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실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모서리부에 비드부가 형성되면, 좌굴은 안정되지만, 모서리부가 지탱하는 하중이 저하되기 때문에, 그 결과로서 좌굴 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량이 저하하게 된다. 다만, 플랜지부가 있는 모서리부는 이 모서리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벽부의 접합 부분이기 때문에, 변형 저항이 높고, 하중의 저하가 적다. 따라서, 좌굴 안정성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플랜지부나, 이 플랜지부가 설치된 모서리부에 비드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플랜지부와 벽부와의 사이에 비드부를 가늘고 길게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드부를 치우치는 방향을 충격 흡수 부재에 가하는 비틀림 방향의 하중의 방향과 일치시킴으로써, 이 비틀림 하중에 대하여도 유효하게 충격 흡수 성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더 분명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 그 일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 상태를 FEM 수치 해석(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구하였다. 또한, 이 FEM 수치 해석에 의한 해석 조건은 판 두께 1.4 mm, 한 변이 50 mm, 길이가 300 mm인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직선상의 중공 주상 부재를 모델로 하였다. 이 모델의 재료 정수는 아래 표 1과 같다.
Figure pct00001
또한, 이 중공 주상 부재의 일단(상단) 측에 1000 ㎏의 강체 벽을 4.44m/s로 낙하시켰을 때의 변형 상태를 구하였다. 또한, 이 FEM 수치 해석에서 사용하는 구성 방정식은 아래에 나타내는 Swift+Cowper-Symonds의 식이다. 또한, 해석 시간은 50 ms로 하였다.
Figure pct00002
(비교예 1)
비교예 1은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른바 모자(hat) 형태의 중공 주상 부재이며, 2개의 플랜지부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이다. 또한, 이 모자 형태의 중공 주상 부재의 치수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굴 변형의 초기 단계로부터 요철 혼합 모드에서 좌굴 변형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 주상 부재의 대각을 이루는 2개의 모서리부에 플랜지부(돌출량 20 mm)가 형성되고, 이 2개의 플랜지부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경우이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굴 변형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요철 독립 모드로 좌굴 변형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에, 추가로 플랜지부가 형성된 모서리부와는 다른 2개의 모서리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벽부의 한쪽에, 충격 흡수 부재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딤플을 형성하고, 또한 이 딤플을, 당해 벽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측에 치우쳐서 배치한 경우이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굴 변형의 초기 단계로부터 요철 독립 모드로 좌굴 변형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도 9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의 구성에, 추가로 플랜지부가 형성된 2개의 모서리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벽부의 한쪽에, 충격 흡수 부재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딤플을 형성하고, 또한 이 딤플을 당해 벽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측에 치우쳐서 배치한 경우이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굴 변형의 초기 단계로부터 요철 독립 모드로 좌굴 변형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도 9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충격 흡수 부재에 있어서, 추가로 플랜지부에 딤플을 형성한 예이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굴 변형의 초기 단계로부터 요철 독립 모드로 좌굴 변형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 그 일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에, 충격 흡수 부재로부터의 반력(충격 에너지에 대한 부재의 저항력)과 변형량(찌그러짐 량)과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 15a 내지 도 15d에 나타낸다. 도 15a 내지 도 15d에 있어서, 도 15a의 그래프는 실시예 1의 경우, 도 15b의 그래프는 실시예 2의 경우, 도 14c의 그래프는 실시예 3의 경우, 도 14d의 그래프는 실시예 4의 경우이며, 각 그래프는 비교예 1과의 비교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로부터의 반력과 찌그러짐 량과의 곱이 흡수한 에너지량에 상당하기 때문에, 반력이 높을수록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하여, 그 일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충격 하중을 가하였을 때에, 변형량(찌그러짐 량)과 흡수한 에너지량과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 16a 내지 도 16d에 나타낸다. 도 16a 내지 도 16d에 있어서, 도 16a의 그래프는 실시예 1의 경우, 도 16b의 그래프는 실시예 2의 경우, 도 16c의 그래프는 실시예 3의 경우, 도 15d의 그래프는 실시예 4의 경우이며, 각 그래프는 비교예 1과의 비교로 나타내고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 및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충격 흡수 부재에서는 요철 독립 모드를 유발시킴으로써, 비교예 1의 요철 혼합 모드보다 변형량(찌그러짐 량)에 대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량의 비율이 높아져 있어서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A   충격 흡수 부재
1B   충격 흡수 부재
1C   충격 흡수 부재
1D   충격 흡수 부재
1E   충격 흡수 부재
1a   벽부
1b   벽부
1c   벽부
1d   벽부
1a′   벽부
1b′   벽부
1c′   벽부
1d′   벽부
1e   모서리부
1f   모서리부
1g   모서리부
1h   모서리부
1e′  모서리부
1f′   모서리부
1g′   모서리부
1h′   모서리부
2a   플랜지부
2b   플랜지부
2c   플랜지부
2d   플랜지부
2a′   플랜지부
2b′   플랜지부
2c′   플랜지부
2d′   플랜지부
3   딤플
3′   팽윤부

Claims (6)

  1. 축선과, 상기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은 복수의 직사각형의 벽부와, 상기 축선에 대하여 수직인 다각형 단면을 가지고,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 에너지를 상기 축선 방향으로 좌굴 변형하면서 흡수하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뻗은 중공 주상의 충격 흡수 부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부 중에서 적어도 2조의 인접하는 벽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모서리부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이 적어도 2개의 플랜지부는 그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충격 흡수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벽부에 비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비드부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딤플 또는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한 팽윤부이고, 상기 딤플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측에 치우치게 하여 배치되며, 상기 팽윤부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측에 치우치게 하여 배치되어 있는 충격 흡수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부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상기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홈 형태로 형성된 딤플인 충격 흡수 부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상기 좌굴의 개시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충격 흡수 부재.
  6.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 에너지를 축선 방향으로 좌굴 변형하면서 흡수하는 중공 주상의 충격 흡수 부재로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벽부 및/또는 모서리부에 상기 축선 방향으로 좌굴 변형하는 때에 각 모서리부의 능선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으로 무너지면서 좌굴하기 시작하도록, 그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좌굴 유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부재.
KR1020137035037A 2011-08-09 2012-08-07 충격 흡수 부재 KR101779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4201 2011-08-09
JP2011174201 2011-08-09
PCT/JP2012/070092 WO2013021996A1 (ja) 2011-08-09 2012-08-07 衝撃吸収部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726A Division KR20160043127A (ko) 2011-08-09 2012-08-07 충격 흡수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103A true KR20140013103A (ko) 2014-02-04
KR101779568B1 KR101779568B1 (ko) 2017-09-18

Family

ID=476685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5037A KR101779568B1 (ko) 2011-08-09 2012-08-07 충격 흡수 부재
KR1020167008726A KR20160043127A (ko) 2011-08-09 2012-08-07 충격 흡수 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726A KR20160043127A (ko) 2011-08-09 2012-08-07 충격 흡수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28629B2 (ko)
JP (1) JP5549783B2 (ko)
KR (2) KR101779568B1 (ko)
CN (1) CN103717938B (ko)
TW (1) TWI518261B (ko)
WO (1) WO2013021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8769B2 (ja) * 2011-08-09 2014-05-1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
AT515804B1 (de) * 2014-12-11 2015-12-15 Siemens Ag Oesterreich Verformungselement
TWI658960B (zh) * 2017-10-31 2019-05-11 日商新日鐵住金股份有限公司 構造材
TWI630135B (zh) * 2017-11-21 2018-07-21 財團法人金屬工業研究發展中心 車架模組化鋼樑
CN110103259A (zh) * 2019-05-05 2019-08-09 南京理工大学 扭转吸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7871A (ja) * 1985-06-17 1986-12-18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サイドメンバ
JP3676491B2 (ja) 1996-04-12 2005-07-2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
JPH09277954A (ja) 1996-04-15 1997-10-28 Nippon Steel Corp テーパー付き衝撃吸収部材
JPH10138950A (ja) 1996-11-12 1998-05-26 Nissan Motor Co Ltd 衝撃吸収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321766A1 (de) * 2003-05-15 2004-12-09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Crashbox
JP4621883B2 (ja) 2003-06-10 2011-01-26 株式会社 ニッセイ 車両の衝撃吸収部材
JP2005153567A (ja) 2003-11-20 2005-06-16 Toyota Motor Corp 衝撃吸収部材
JP2005170082A (ja) 2003-12-08 2005-06-30 Nissan Motor Co Ltd エネルギ吸収装置
JP4365232B2 (ja) 2004-02-13 2009-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衝撃吸収部材
JP2005247166A (ja) 2004-03-05 2005-09-15 Nissan Motor Co Ltd 衝撃エネルギ吸収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371059B2 (ja) 2005-01-28 2009-11-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
JP4604740B2 (ja) 2005-01-28 2011-01-0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
JP4818655B2 (ja) 2005-07-28 2011-11-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
JP4350731B2 (ja) 2006-07-11 2009-10-21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衝撃吸収部材
JP5348910B2 (ja) 2007-03-01 2013-11-2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及びその配置構造
JP5330674B2 (ja) 2007-11-05 2013-10-30 豊田鉄工株式会社 クラッシュボックス
JP2009113675A (ja) 2007-11-07 2009-05-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エネルギー吸収部材、車両前部構造、及び車両後部構造。
JP5078597B2 (ja) 2007-12-25 2012-11-21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構造
JP5167823B2 (ja) 2008-01-15 2013-03-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
JP5114676B2 (ja) 2008-05-27 2013-01-0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製中空柱状部材
JP5141379B2 (ja) 2008-05-28 2013-02-1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製中空柱状部材
US8539737B2 (en) * 2008-09-19 2013-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welve-cornered strengthening member
US9533710B2 (en) * 2008-09-19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welve-cornered strengthening member
JP5353209B2 (ja) 2008-11-28 2013-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
US8317258B2 (en) 2009-07-08 2012-11-27 Mazda Motor Corporation Frame structure for vehicle
JP4983867B2 (ja) 2009-07-08 2012-07-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フレーム構造および車両用フレーム製造方法
JP2011056997A (ja) * 2009-09-07 2011-03-24 Nippon Steel Corp 金属製中空柱状部材
EP2479452A4 (en) * 2009-09-14 2014-10-08 Toyota Motor Co Ltd DAMPING STRUCTURE
US8827352B2 (en) * 2012-02-29 2014-09-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umper reten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127A (ko) 2016-04-20
TWI518261B (zh) 2016-01-21
US20140174867A1 (en) 2014-06-26
JP5549783B2 (ja) 2014-07-16
CN103717938B (zh) 2017-05-17
US9228629B2 (en) 2016-01-05
WO2013021996A1 (ja) 2013-02-14
JPWO2013021996A1 (ja) 2015-03-05
KR101779568B1 (ko) 2017-09-18
TW201319425A (zh) 2013-05-16
CN103717938A (zh)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1059B2 (ja) 衝撃吸収部材
WO2014030592A1 (ja) クラッシュボックス及び自動車車体
US7252314B2 (en) Crash energy absorption member
JP5549964B2 (ja) 耐衝突性能に優れた車両用骨格部材構造
KR101779568B1 (ko) 충격 흡수 부재
KR20130126716A (ko) 금속제 중공 기둥 형상 부재
JP5488769B2 (ja) 衝撃吸収部材
JP4604740B2 (ja) 衝撃吸収部材
KR102558628B1 (ko) 차량용 구조 부재
WO2014126183A1 (ja) エネルギー吸収部材
JP5723258B2 (ja) エネルギ吸収部材およびエネルギ吸収部材の断面変形制御方法
JP5034793B2 (ja) 衝撃吸収方法
JP7264597B2 (ja) 車両用構造部材及び車両
JP4036234B2 (ja) クラッシュボックス
JP7192837B2 (ja) 車両用構造部材
JP2021172117A (ja) 自動車骨格部材および電気自動車
EP3604086B1 (en) Shock-absorbing member and side member of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0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01

Effective date: 201704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