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981A - 수소를 발생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소를 발생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981A
KR20140012981A KR1020137022687A KR20137022687A KR20140012981A KR 20140012981 A KR20140012981 A KR 20140012981A KR 1020137022687 A KR1020137022687 A KR 1020137022687A KR 20137022687 A KR20137022687 A KR 20137022687A KR 20140012981 A KR20140012981 A KR 20140012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kin
mgh
particles
magnesium 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코 오타
푸미아키 오타
히로시 우에스기
Original Assignee
바이오 코크 랩. 씨오., 엘티디.
하이드로겐 헬쓰 메디칼 라보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 코크 랩. 씨오., 엘티디., 하이드로겐 헬쓰 메디칼 라보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바이오 코크 랩.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01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를 보유하고, 보유한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소를 흡장한 금속합금을 배합한, 항산화 작용, 항염증성 작용, 항알러지 작용을 갖는 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소화 마그네슘 등의 수소 흡장 합금의 미립자를 배합한 피부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소를 발생하는 조성물{HYDROGEN-EMIT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산화 작용ㆍ항염증 작용ㆍ항알러지 작용을 갖고, 수소를 흡장한(absorbing) 금속 또는 금속합금을 배합한, 수소를 발생시키는 피부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분자상 수소(H2의 화학식으로 나타나는 분자)에는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이 밝혀지고, 건강증진, 다양한 질병의 치료효과와 예방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또한, 항염증 작용ㆍ항알러지 작용이 있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또한, 피부의 주름을 경감시키는 등, 노화의 억제효과가 있는 것임이 나타나 있다.
분자상 수소를 용해한 물이나 음료수, 혹은 화장품이 시판되어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수소가스봄베, 분자상 수소를 용존시킨 용액은 운반이 불편하다. 또한, 대량으로 수소가스를 사용하는 경우나, 대량으로 분자상 수소를 발생시키게 되면 연소ㆍ폭발의 안전성의 위험이 있고, 실제로는 그것들의 위험이 없는 농도의 경우라도 안심이라는 관점에서 거절될 가능성이 있다.
피부에 도포하는 분자상 수소 함유 화장수의 경우는 수소가스는 발산되어 버리므로 피부 내로 분자상 수소가 들어가는 것보다도 피부의 외측, 즉 대기 중으로 나가버린다. 그 때문에 장시간 보지(保持:보유,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해서 유효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기미, 주근깨, 반흔 등의 피부의 검음은 멜라닌에 기인하고, 미백화장품으로서 멜라닌 합성 저해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직접 멜라닌을 환원해서 담색화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환원제를 사용해야만 하고, 멜라닌을 직접 담색화할 수는 없다. 직접 멜라닌의 담색화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단기간에 피부를 희게 할 수는 없다(특허문헌 1).
금속은 일반적으로 그 표면 혹은 내부에 원자상 수소(H로 나타나는 단원자)를 보유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팔라듐이나 마그네슘은 금속 내에 원자상 수소를 다량으로 보유할 수 있고, 니켈이나 백금은 표면에 원자상 수소를 보유할 수 있다. 원자상 수소는 강력한 환원작용을 나타내고, 표면적을 크게 한 니켈 스펀지를 사용해서 수소화 반응에 공업적으로 사용하고 있다(특허문헌 2).
수소 흡장 합금을 화장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소(분자상 수소와 원자상 수소를 합쳐서 수소라고 언급한다)를 금속으로부터 유리시킬 필요가 있으며, 팔라듐, 니켈이나 백금에서는 수소가 발생된 후, 물에 불용의 금속이 체내에 잔존하게 되므로 안전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특허문헌 1).
수소화 마그네슘(일반적으로 MgH2의 화학식으로 나타나는 H의 함량은 일정하지 않고 0∼2이다)은 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서 이하의 반응식에 따라서 분자상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 80℃ 이상의 고온으로 하거나, MgCl2나 산 등의 촉매를 필요로 하게 된다. 기출원 특허에서는 MgH2로부터 수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산을 사용하고 있다.
MgH2+2H2O → Mg(OH)2+2H2
원자상 수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환원력이 강하지만, 수소 흡장 합금을, 수소를 유지한 채 세포 내로 합입시키는 것은 곤란해서, 화장품에는 분자상 수소의 이용에 한정되어 왔다. 혹은, 나노입자에 의해 세포 내로 들어갈 수 있어도 금속이 잔존하는 경우에는, 잔류금속이 생체에 있어 유해가 될 위험성이 있다.
분자상 수소와 원자상 수소를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것에 의해서 수소를 발생시켜 수소의 효과를 발휘시키는 화장품ㆍ의약부외품ㆍ의료용 용품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5194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H09-132536호
본 발명은 수소를 보유하고, 보유한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소를 흡장한 금속 또는 금속합금을 배합한 외용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발명자는 수소를 직접 피부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예의 검토를 실시하고, 수소를 흡장하는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사용에 착안하고, 수소화 마그네슘(MgH2)을 수소의 피부로의 적용에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MgH2는 금속 Mg와는 달리 단시간에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는 경우는 없으므로, 입자간의 충돌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미분화된다. 충돌속도와 충돌빈도에 의해서, 특정한 크기의 입자를 제작한다. 표피를 통과할 수 있는 나노입자의 제작도 가능했다.
또한, MgH2의 비중은 약 1.7이므로, 비중 1.26의 글리세롤에 현탁하면 입자가 침전해서 균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침전한다. 침전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상품으로 하는 경우는, 사용시에 교반하지 않으면 안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균일한 현탁액을 제작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입경 2㎛ 이하로 하면 비중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글리세롤이나 말오일 등의 현탁액에서는 장기에 걸쳐서 침전하지 않음 발견했다.
또한, 수소 흡장 합금을 현탁해서 균일하고 미끈미끈한 용액 혹은 크림상의 소재와 함께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수소가 피부에 흡수되는 것, 피부에 포함되는 수분 혹은 피부세포로부터 발생하는 물과 반응하는 것에 의해서, 수소가 발생하여, 공기 중에 이산하기 전에 피부로부터 체내에 흡수되는 것, 수소화 마그네슘의 경우에는 물과 반응 후는 Mg(OH)2가 되고, Mg(OH)2는 물에 난용이기는 하지만 가용이므로 용이하게 흡수 또는 배출되어 피부에 아무런 장해를 제공하지 않아 안전한 것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수소를 흡장하고 있는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미립자를 배합한 것을 포함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2] 상기 [1]에서, 수소를 흡장하고 있는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미립자가 원자상 수소를 흡장하고 있는 수소화 마그네슘의 미립자 피부외용 조성물.
[3] 상기 [2]에서, 피부에 적용했을 경우에, 촉매 없이 분자상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소화 마그네슘의 미립자를 배합한 피부외용 조성물.
[4] 상기 [2]에서, 표피를 통과하는 원자상 수소를 흡장하는 수소화 마그네슘의 미립자를 배합한 피부외용 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서, 크림상 또는 겔상인 피부외용 조성물.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미백용인 피부외용 조성물.
[7]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염증, 알러지, 창상, 화상, 타박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장해를 치료하기 위한 피부외용 조성물.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서, 화장품, 마사지 보조액, 에스테틱 보조액, 의약부외품 및 의료용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피부외용 조성물.
[9] 수소화 마그네슘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균일한 조성물로써, 수소화 마그네슘의 미립자가 무수액체 중에 균일하게 현탁되어 있는 조성물.
[10] 상기 [9]에서, 분자상 수소를 고농도로 용해한 용액을 제작하기 위한 무수액체 중에 균일하게 현탁되어 있는 조성물.
[11] 상기 [9] 또는 [10]에서, 무수액체가 글리세롤 또는 오일인 조성물.
[12] 상기 [9]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수용액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소 함유 수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13] 상기 [12]에서, 수용액이 음료품 또는 화장품인 방법.
본 발명의 수소 흡장 합금은 피부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수소를 발생시키고, 그 수소가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항알러지 작용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수소화 마그네슘은 균일한 현탁액으로서 장기간에 걸쳐서 보존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할 때마다 교반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소화 마그네슘을 수용액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실온 1분 정도의 단시간에 수소 용존 수용액을 만들 수 있다. 사용자의 연구에 의해서 넓은 용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균일하고 미끈미끈한 전연성이 있는 위화감이 없은 크림 등의 외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소를 발생시키는 조성물은 그 항산화 작용에 의해서, 피부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서, 미백작용을 발휘하고, 미백화장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염증을 억제함으로써, 창상이나 화상의 치유 촉진효과가 있다.
도 1a는 미세화 전의 MgH2 입자의 입경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b는 미세화 후의 MgH2 입자의 입경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수소화 마그네슘을 배합한 조성물의 멜라닌 담색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수소화 마그네슘을 배합한 조성물의 피부의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수소화 마그네슘을 배합한 조성물의 피부의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수소화 마그네슘을 배합한 조성물의 피부의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수소화 마그네슘을 배합한 조성물의 창상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수소화 마그네슘을 배합한 조성물의 화상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수소화 마그네슘을 배합한 조성물의 타박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수소화 마그네슘을 배합한 조성물 중의 수소농도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소를 흡장해서 보유하고 있는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미립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라고 하는 경우, 원자상 수소 및/또는 분자상 수소를 포함한다.
수소를 보유하고 있는 수소 흡장 금속 또는 금속합금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직접 피부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소 흡장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부터 분자상 수소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발생한 수소는 생체 외로 확산되지 않고, 피부를 통해서 생체 내로 흡수된다. 피부표면으로부터 분자상 수소는 확산에 의해, 세포 내로 들어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금속미립자는 표피를 통과해서 진피세포 내로 합입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소를 흡장하고 있는 금속미립자는 수소를 흡장한 상태에서 세포 내로 합입되고, 세포 내에서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수소는 원자상 수소로서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미립자에 흡장된다. 발생된 수소는 원자상 수소로서 생체에 작용하는 경우도, 분자상 수소를 형성해서 생체에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원자상 수소 및 분자상 수소 모두 생체 내에서 환원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원자상 수소의 환원력이 강해서, 원자상 수소로서 생체 내에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를 흡장할 수 있는 금속으로서 마그네슘(Mg), 티타늄(Ti), 바나듐(V), 란탄(L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 흡장 금속 또는 금속합금이란 수소와 화합해서 수소화물이 되는 것에 의해, 수소를 흡장할 수 있는 상기 금속 및 그 합금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도, 피부 내에 머물기 어렵고 배출되는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이 바람직하다. 수소를 흡장한 금속화합물을 수소화 금속화합물이라 하며, 예를 들면, 수소를 흡장한 마그네슘을 수소화 마그네슘(MgH2)이라고 한다.
수소화 마그네슘의 경우에는, 피부의 내부유래의 수분과 반응하고, 분자상 수소를 발생하고, 나머지는 Mg(OH)2가 되므로 안전하다. Mg(OH)2는 물에 난용이기는 하지만 가용이므로, 피부 내에 머물지 않고, 생체외부로 배출되므로 생체에 대해서 무해가 된다. 피부의 내부유래의 수분은 피부가 내부에 갖는 수분, 대사에 의해 발생하는 수분, 땀 등이 포함된다.
원자상 수소(H)의 흡수는 원자상 수소 흡장 금속 또는 금속합금인 수소화 마그네슘이 미립자인 경우, 수소화 마그네슘인 상태로 표피를 통과해서, 환원력이 강한 작용을 나타내고, MgH2로부터 발생한 원자상 수소는 접촉한 멜라닌(예를 들면, 이하의 화학식에서는 X로 나타내지만 멜라닌에 한정되지 않는다) 등의 분자를 환원한다.
MgH2+2X → Mg+2H+2X → Mg+2XH
남은 Mg는 H2O와 반응하고, Mg(OH)2가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세포 내에 잔존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무해하다.
본 발명의 수소 흡장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미립자의 사이즈는 평균입경이 0.5㎛∼10㎛, 바람직하게는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이다.
또한, 미립자를 더욱 세분화(나노화)하고, 나노미터 사이즈의 나노입자로 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나노입자의 사이즈는 평균입경 5∼500nm, 바람직하게는 10∼100nm이다. 100nm 이하의 크기가 된 나노입자는 생체의 표피를 통과해서 진피까지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세포는 나노입자를 합입하는 성질이 있다. 예를 들면, 나노 사이즈의 수소화 마그네슘이 세포 안까지 들어가면, 세포 중에서 수소를 방출하고, 환원작용을 발휘한다. 수소화 마그네슘은 물과 반응하면 피막으로서 Mg(OH)2가 형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진피까지 도달한다. 또한, Mg(OH)2는 물에 난용이지만, 서서히 녹을 때에 전체의 입자가 작아져 간다. 따라서 수소화 마그네슘은 피부를 통해서 진피까지 도달할 수 없을 정도의 사이즈의 미립자라고 해도, 피부를 통과 중에 세분화되어, 진피까지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나노 사이즈보다 큰 미립자를 사용해도, 피부에 적용했을 경우, 서서히 세분화되어 피부를 통과해서 진피에 도달할 수 있다.
목적에 따라서 서로 다른 입경을 갖는 미립자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서, 양자의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사이즈가 큰 미립자의 경우에는, 천천히 수소를 발생시키고, 사이즈가 작은 미립자는 표면적이 크므로 빨리 수소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이즈가 작은 미립자와 사이즈의 큰 미립자를 혼합시키면, 신속하게 수소를 발생시키며, 또한 장시간에 걸쳐서 수소를 계속해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소 흡장 금속 또는 금속합금은 금속에 수소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공지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금속과 수소의 존재 하에서 가압하면 된다. 수득된 수소 흡장 금속 또는 금속합금을 분말의 충돌 등에 의해 세분화할 수 있다.
MgH2의 비중은 약 1.7이므로, 입자경이 큰 상태, 예를 들면 평균 입자경이 수십 ㎛ 이상인 경우, 비중 1.26의 글리세롤에 현탁하면 입자가 침전해서 균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다. 침전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제품으로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시에 교반해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MgH2를 평균입경 2㎛ 이하로 해서 글리세롤이나 말오일 등의 오일에 현탁시키는 것에 의해, 장기에 걸쳐서 MgH2는 침전하지 않고, 균일한 현탁액으로 보존할 수 있다. 이것은, 미립자로 하는 것에 의해, 전자의 대전에 의해 입자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서로 반발하는 등의 성질이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MgH2를 글리세롤이나 오일 등의 액상매체에 현탁하고, MgH2의 균일한 현탁액으로 하고, 그 현탁액을 화장수 등의 화장품이나 음료품 등의 수용액에 첨가했을 경우, MgH2는 수용액의 하층부에 가라앉는다. 하층부에서 발생한 분자상 수소는 상부에 부상하는 과정에서 수용액에 용해되므로, 고농도 수소수, 예를 들면 분자상 수소가 포화 상태로 포함되는 포화 수소수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MgH2를 미립자인 상태로 수용액에 첨가했을 경우, 수용액의 상층부에서 반응이 진행되어 분자상 수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소는 수용액에 충분하게 용해되지 않고, 고농도 용존 수소수를 제작할 수가 없다.
수소 흡장 합금인 수소화 마그네슘이 미립자가 아닌 경우도, 물과 MgH2 입자가 반응하고, 생성된 Mg(OH)2가 물에 녹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작아져서 표피를 통과하는 경우도 있다. MgH2는 금속 Mg와는 달리 단시간에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입자간의 충돌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미분화한다. 충돌속도와 충돌빈도에 의해서, 특정한 크기의 입자를 제작한다. 표피를 통과할 수 있는 미립자의 제작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밀폐용기 내에서 MgH2 미립자를 불활성의 기체(예를 들면, 질소)를 캐리어 가스로 해서, 입자 상호간의 충돌이나, 벽면과 충돌시키는 방식에 의해 새로운 미분화가 가능하다. 이때, 원주방향을 향하는 캐리어 가스의 압력, 가스유량 및 MgH2 분체의 투입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사이즈의 MgH2 미립자가 수득된다. 목적으로 하는 입경 이하가 된 MgH2 미립자는 그 겉보기 비중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입경이 작아진 것일 수록 중심부에 모인다. 그리고 캐리어 가스에 수반되어, 계 외부로 배출된다. 즉, 분쇄 대상물질을 캐리어 가스로 원주방향으로 운동하는 에너지를 제공해서, 도처에서 난류화시키는 가스류에 의해 목적물 입자 상호간 혹은 벽면이나 장해물에 충돌시키는 것에 의해 수소 흡장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미립자를 또한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습식 비드밀을 사용해서 수소화 마그네슘을 미세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소화 마그네슘의 입자와, 오일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비드밀에 투입함으로써, 수소화 마그네슘의 입자를 평균입경 약 1㎛의 미립자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수소화 마그네슘의 분쇄의 방식은 1예이며, 이것들의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소를 흡장한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미립자는 미립자의 분말로 보존하고, 필요할 때에 다른 시약과 혼합하고,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글리세롤, 오일 등의 무수액 중에 현탁시켜 보존하고, 필요할 때에 다른 시약과 혼합하고,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오일로서는 말오일(마유), 고래 오일(경유), 라놀린 오일(양오일), 스쿠알렌 오일(교유) 등의 동물성 오일, 호호바 오일, 올리브 오일, 코코넛 오일, 동백 오일(동백기름) 등의 식물성 오일을 들 수 있다. 또한, 시어버터 등의 유지도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수소를 흡장한 금속 또는 금속합금은 크림상 또는 겔상의 형태로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은 천연 오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인공적으로 합성한 유기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수소를 흡장한 금속합금은 촉매 없이 원자상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원자상 수소자체는 피부를 통과할 수 없지만, MgH2의 미립자로 해서 통과해 세포 내에서 원자상 수소를 발생해서 환원작용을 발휘한다. 발생한 원자상 수소가 분자상 수소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고, 분자상 수소도 원자상 수소에 비교하면 환원력은 약하지만 생체 내에서 환원작용을 발휘한다.
수소를 흡장한 금속합금의 미립자는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외용 조성물로서는 피부외용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그 피부외용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그 피부외용 조성물은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멜라닌을 담색화 할 수 있고,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미백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부의 염증성 질병, 피부의 알러지 질병치료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염증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창상, 화상, 타박 등의 치유를 촉진할 수도 있다. 염증성 질병에는 황색 포도상 구균, 치조농루 등의 세균에 의한 염증성 질병이나 창상, 할퀸 상처, 화상, 타박 등의 염증성 질병이 포함된다. 또한, 알러지 질병으로서는 아토피성 피부염, 꽃가루 알러지 등이 포함된다. 또한, 항알러지 작용 등에 의해 가려움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부외용 조성물은 항노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피부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상기의 작용을 갖는 피부 외용제나 피부화장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부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마사지용 오일 등의 마사지 용보조액, 에스테티크(미백 등의 전신미용술)용 보조액, 의약부외품 및 의료용품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피부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마사지용 보조액을 피부에 도포해 마사지를 실시함으로써 근육통이나 어깨결림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의약품, 마사지용 보조액, 에스테티크용 보조액, 의약부외품 및 의료용품 등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화장수, 유액, 보습 크림, 클렌징 크림, 마사지 크림, 세안 크림, 팩, 미용액 등의 기초화장품, 입욕제 등의 목욕용 화장품,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아이새도 등의 메이크업 화장품, 선스크린 등의 특수화장품, 에프터쉐이브 로션, 바디소프 등의 형태로 할 수 있다. 이것들은, 예를 들면, 크림상, 겔상의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각종성분을 조합해서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장품의 경우에는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향료, 색소, 안료, 밀랍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유분으로서는 말 오일이나 고래 오일 등의 동물유, 호호바 오일이나 코코넛 오일 등의 식물유, 어유, 조유(鳥油)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소를 흡장한 금속 또는 금속합금은 pH 11 이상의 강알칼리에서는 수소의 발생에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상기의 조성물이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의약품, 마사지용 보조액, 에스테티크용 보조액, 의약부외품의 pH는 약알칼리성, 중성, 산성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pH 11 미만, 바람직하게는 pH 10 미만 정도이다. 단, 수소발생 후의 pH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중화하기 위한 고체산 등의 첨가는 불필요하다.
수소화 마그네슘을 현탁해서 균일해서 미끈미끈한 용액 혹은 크림상의 소재와 함께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수소가 피부에 흡수된다. 피부에 포함되는 수분 또는 피부세포로부터 발생하는 물과 반응하는 것에 의해서 수소가 발생하고, 공기 중에 이산되기 전에 피부로부터 체내로 흡수된다. 수소화 마그네슘의 경우에는 물과 반응 후는 Mg(OH)2가 되고, Mg(OH)2는 물에 난용이기는 하지만 가용이므로 용이하게 흡수 또는 배출되어 피부에 아무런 장해를 제공하지 않고 안전하다.
미백효과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는,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강한 항산화 작용을 발휘한다. 수분과 반응하는 것에 의해서 입자는 작아지게 되어 미립자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마사지용 보조액이나 에스테티크용 보조액으로 사용하는 경우, 마사지를 실시할 때나 에스테티크를 시행할 때에 피부에 도포하기 위해서는 말 오일 등의 오일에 MgH2를 1∼5%(wt/vol)로 현탁해서 사용한다. 이때, 피시행자의 체질이나 효과를 발휘시키려고 하는 시간을 고려해서 MgH2 함량을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크림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호호바 오일 등의 오일과 밀랍을 가열 보온하고 나서 MgH2를 현탁하고, 냉각하는 것에 의해 MgH2가 봉입된 크림을 제작할 수 있다. 크림의 딱딱함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밀랍의 양을 적당하게 조절하면 된다. 또한, 향료를 첨가해도 된다. 오일과 밀랍에 한정되지 않고, 유화 왁스, 시어버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의료용품으로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수소를 흡장한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미용용의 페이스 마스크(페이스 시트, 파운데이션, 페이스 팩용 시트 등을 포함한다), 붕대, 리버테이프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이스 마스크나 붕대의 클로스 부분에 수소 흡장 마그네슘을 도포할 수 있다. 페이스 마스크나 붕대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수소 흡장 마그네슘이 피부와 접촉하고, 피부로부터 발생한 수분과 반응해서 수소가 발생하고, 피부세포에 합입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분무기 등에 의해 수분을 첨가할 수 있다.
MgH2는 촉매의 비존재 하에서 실온 또는 체온에서 분자상 수소를 발생시키므로, 본 발명의 수소 흡장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미립자를 사용해서 수소를 발생시킬 때는 촉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수소화 마그네슘 미립자의 글리세롤이나 오일 등의 무수액체 중의 균일한 현탁액은 화장수 등의 수용액에 적하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 실온에서 촉매 없이 고농도 분자상 수소 용존액이 된다. 또한, 수소화 마그네슘 미립자의 무수액체 중을 커피, 차류, 쥬스, 된장국, 스프, 우유, 술 등의 음료품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그 음료품 중에서 분자상 수소가 발생하고, 고농도 분자상 수소 용존 음료품을 얻을 수 있다. 이것들의 음료품에 의해, 분자상 수소를 액체와 함께 섭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료품에 수소화 마그네슘을 첨가하고, 실온 약 1분간으로 수소가 포화한 상태로 용존한 음료품을 제조할 수 있다.
수소가 포화된 상태로 포함되는 화장수는 아름다운 살결 등의 미용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소가 포화된 상태로 포함되는 음료품도 항산화 작용을 갖는 건강식품, 기능성식품, 특정 보건용식품, 영양보조 식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경 2㎛의 수소화 마그네슘 입자를 탈수처리한 글리세롤에 현탁하고, MgH2가 3.3%(wt/vol)가 되도록 현탁했을 경우, 그 현탁액 1방울(50㎕ 정도)을 화장수나 음료품 100㎖에 첨가하면 포화 수소수용액을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생한 수소의 50% 이상이 물에 용해되므로, 여분의 수소가스에 의한 연소나 폭발의 걱정은 없다.
실시예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립자 MgH 2 의 제작
평균입경 60㎛의 MgH2 입자를 세분화하고, 평균입경 2㎛로 해서 미립자 MgH2를 제조했다.
또한, 평균입경 2㎛의 MgH2의 미립자를 세분화하고, 평균입경 10∼100nm의 MgH2의 나노입자를 제조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입경이라고 하는 경우, 평균입경을 말한다.
또한, 습식 비드밀을 사용해서 평균입경 60㎛의 MgH2 입자를 세분화하고, 평균입경 1.035㎛의 미립자 MgH2를 제조했다.
도 1a는 미세화 전의 MgH2 입자의 입경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 1b는 미세화 후의 MgH2 입자의 입경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횡축은 MgH2 입자의 입경, 종축은 빈도의 비율이다. 예를 들면,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균입경 60㎛의 MgH2 입자 1kg와, 호호바오일 4kg를 혼합하고, 습식 비드밀에 투입하고, 유량 1.5∼2.5ℓ/m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균입경 1.035㎛의 MgH2 입자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하는 액체는 1예이고, 올리브 오일, 말 오일 등을 사용해도 된다. 올리브 오일을 사용했을 경우, 평균입경 1.34㎛의 MgH2 입자가 수득된다. 이렇게, 습식 비드밀을 사용하는 것이 상기한 건식에 비해서 더욱 미세한 MgH2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멜라닌의 담색화 효과
멜라닌(Sigma-Aldrich사)을 약알칼리 용액에 용해 후, 희초산으로 중화하고, 입경 2㎛의 MgH2의 10% 글리세롤 현탁액을 적하했다. 대조로서 입경 2㎛의 MgH2의 10% 글리세롤 현탁액을 미리 물과 반응시키고, 수소를 방출시킨 후에 상기 멜라닌 용액에 적하했다. 그 일부를 마이크로플레이트 채취하고, 사진을 찍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의 좌측 위는 MgH2를 물로 처리한 후 멜라닌 용액에 첨가한 대조 시료이고, 우측 위는 MgH2로 처리한 멜라닌 용액이고, 좌측 아래는 수소가스로 처리한 멜라닌 용액이고, 우측 아래는 MgH2로 처리한 멜라닌 용액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MgH2 처리 멜라닌에서 담색화하고 있는 한편, 대조자료에서는 색의 변화는 없었다.
실시예 3: 미백효과
입경 2㎛의 MgH2를 10%(wt/vol) 포함하는 크림을 피부에 도포하고, 24시간 방치한 후, 사진촬영했다. 도 3a의 좌측이 크림 도포전의 피부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a의 우측이 도포후의 피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의 아래는 도포한 위치를 나타낸다. 화살표는 크림을 도포한 위치를 나타낸다. 주위에 비해 하얗게 되어 있다.
도 3b는 입경 2㎛의 MgH2를 10%(wt/vol) 포함하는 크림을 피부에 도포하고, 24시간 방치한 후에 사진촬영한 다른 실험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의 상측 도면이 크림 도포전의 피부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의 하측 도면이 크림 도포후의 피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의 각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거의 중앙부에 나타난 기미가 사라지고, 하얗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c는 입경 2㎛의 MgH2를 10%(wt/vol) 포함하는 크림을 피부에 1일 1회 도포하고, 1주가 경과한 후에 사진촬영한 다른 실험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c의 상측 도면이 크림 도포전의 피부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c의 하측 도면이 크림 도포후의 피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c의 각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측 윗부분에 나타난 기미가 사라지고, 하얗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창상에 대한 효과
고양이에게 할퀸 상처는 동일 영역에 동일 정도의 상처가 된다. 도 4의 좌측은 고양이에게 할퀸 직후의 사진으로, 2곳의 상처의 깊이는 동일한 정도이다. 상부만을 입경 2㎛의 MgH2를 1.4%(wt/vol) 포함하는 크림을 피부에 도포하고, 하부를 대조의 Mg(OH)2를 10%(wt/vol: 몰수를 MgH2와 맞추었다.) 크림을 도포하고, 1일후 비교했다(도 4의 우측). 사진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관뿐만 아니라 베인 상처 특유의 열을 갖는 것과 같은 염증이 일어나지 않고, 또 치유후의 반흔이 빨리 없어지는 등, 양자의 차이는 뚜렷했다.
실시예 5: 화상에 대한 효과
화상흔으로 거무스름해 진 영역의 중앙부에만 입경 2㎛의 MgH2를 1.4%(wt/vol) 포함하는 크림을 피부에 도포했다. 도포 전(도 5의 중앙)은 중앙부가 가장 거무스름해져 있었지만, 1일후(도 5의 좌측)에는 중앙부만이 담색화하고 있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5의 우측에는 MgH2 크림을 도포한 영역을 나타낸다.
실시예 6: 타박에 대한 효과
자동차의 도어에 상완(위팔)를 부딪치고, 몇 시간 후에 입경 2㎛의 MgH2를 1.4%(wt/vol) 포함하는 크림을 부딪친 영역의 일부에 1㎠ 피부에 도포하고 밴드에이드로 보호했다. 1일후의 타박영역을 사진 촬영하면 MgH2 도포영역만이 거무스름해 지지 않는 것임을 알 수 있고, 항염증 작용을 나타냈다(도 6).
실시예 7: 모기에 물린 가려움에 대한 효과
(1) 모기에 물린 후, 입경 60㎛의 MgH2를 용해시켜 수소를 발생시킨 욕조에 5분∼8분 입욕했더니, 가려움이 해소되었다(200리터의 온욕(40∼41℃)에 MgH2를 0.8∼1그램 투입하고, 5분 후에 입욕했다.)
(2) 모기에 물린 후, 입경 2㎛의 MgH2를 환부에 도포한 바, 가려움이 해소되었다.
이것들의 결과는 수소 흡장 금속이 알러지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8: 무좀(족부백선)의 치료
족부백선 환자를 10개월간, 입경 60㎛의 MgH2를 용해시켜 수소를 발생시킨 욕조(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에서 치료한 바(주 5∼7회, 10∼20분 정도의 입욕), 족부백선이 치유되었다.
실시예 9: 수소농도의 측정
입경 2㎛의 MgH2의 글리세롤 현탁액을 물 150㎖(pH 6.8)에 적하한 후, 신속하게 교반했다. 수소농도를 수소전극으로 측정하고, 리코더로 시간변화를 기록했다. 리코더는 2cm/분의 속도를 사용했다. 도 7에 차트를 나타낸다. 10% MgH2를 1방울 떨어뜨렸을 때는 30초에서 포화 100%에 달했다(도 7의 좌측). 3.3% MgH2를 1방울 떨어뜨렸을 때는 2분에서 포화 60%용액을 제작할 수 있었다(도 7의 우측).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수소를 발생하는 수소를 흡장한 금속합금을 배합한 피부외용 조성물, 및 그 피부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품, 의약부외품 및 의료용품 등은 이하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1)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항알러지 작용을 갖는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항염증성을 나타내는 크림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염증부위를 개선시킬 수 있다.
(4) 항산화 작용에 의한 항알러지를 나타낸다.
(5) 근육통을 경감 혹은 예방하는 마사지 오일로서 사용할 수 있다.
(6) 항산화 작용에 의해 항노화 작용을 나타내는 화장품, 에스테틱용 액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7) 혈류개선에 의한 질병개선(어깨결림, 냉증)을 나타낸다.
(8) 진통효과(립크림으로 이용했을 때, 통증이 경감되었다.)를 나타내다.
(9) 세안액ㆍ세안분에 대한 배합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물에 풀어서 세안액으로 한다.). 본액을 사용해서 세안을 실시하면 피부의 탄력의 (항당화 유사)개선을 느낄 수 있다.
(10) 중증의 치조농루, 구내염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11) 아크네 여드름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12) 눈꺼풀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눈가의 기미 개선효과).

Claims (13)

  1. 수소를 흡장(吸藏)하고 있는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미립자를 배합한 피부외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를 흡장하고 있는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미립자가 원자상 수소를 흡장하고 있는 수소화 마그네슘의 미립자인 피부외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에 적용했을 경우에, 촉매 없이 분자상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소화 마그네슘의 미립자를 배합한 피부외용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표피를 통과하는 원자상 수소를 흡장하는 수소화 마그네슘의 미립자를 배합한 피부외용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림상 또는 겔상인 피부외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백용인 피부외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증, 알러지, 창상, 화상, 타박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장해를 치료하기 위한 피부외용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품, 마사지 보조액, 에스테틱 보조액, 의약부외품 및 의료용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피부외용 조성물.
  9. 수소화 마그네슘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균일한 조성물로서, 수소화 마그네슘의 미립자가 무수액체 중에 균일하게 현탁되어 있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분자상 수소를 고농도로 용해한 용액을 제작하기 위한, 무수액체 중에 균일하게 현탁되어 있는 조성물.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무수액체가 글리세롤 또는 오일인 조성물.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수용액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소 함유 수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수용액이 음료품 또는 화장품인 방법.
KR1020137022687A 2011-02-17 2012-02-17 수소를 발생하는 조성물 KR201400129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2633 2011-02-17
JPJP-P-2011-032633 2011-02-17
JP2011126690 2011-06-06
JPJP-P-2011-126690 2011-06-06
PCT/JP2012/053891 WO2012111834A1 (ja) 2011-02-17 2012-02-17 水素を発生する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981A true KR20140012981A (ko) 2014-02-04

Family

ID=4667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687A KR20140012981A (ko) 2011-02-17 2012-02-17 수소를 발생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323190A1 (ko)
JP (1) JP6076092B2 (ko)
KR (1) KR20140012981A (ko)
CN (1) CN103415294A (ko)
WO (1) WO2012111834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609A (ko) 2016-11-03 2016-11-23 김현수 수소 발생제 조성물
KR101859325B1 (ko) * 2017-04-13 2018-05-17 이윤정 수소 비누
WO2018212428A1 (ko) * 2017-05-17 2018-11-22 (주)하이씨엔티 수소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10948A (ko) * 2017-07-24 2019-02-01 소프트팩(주)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KR20190040560A (ko) * 2017-10-11 2019-04-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하이그린팜 천연식물이 첨가된 수소 분말비누 제조 방법
KR20200020599A (ko)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분말 수소 발생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화장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소 마스크 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스킨 케어 방법
KR20200020600A (ko)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소 발생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KR20230018675A (ko) * 2021-07-30 2023-02-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9689A (ja) * 2012-07-23 2014-02-03 Kracie Home Products Ltd 水素発生用粉末
JP6046936B2 (ja) * 2012-07-23 2016-12-21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水素発生用布および水素発生用紙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6081729B2 (ja) * 2012-07-31 2017-02-15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水素発生用組成物
JP2015054074A (ja) * 2013-09-11 2015-03-23 恵和株式会社 絆創膏
JP2015167840A (ja) * 2014-03-11 2015-09-28 ナチュラ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有限会社 衛生用品
JP6348330B2 (ja) * 2014-04-22 2018-06-27 株式会社テ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水素放出器、水素ガス供給方法及び水素放出システム
WO2016010139A1 (ja) * 2014-07-18 2016-01-21 株式会社ヴェルシーナ 化粧用塗布剤、化粧用水素充填物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用水素充填物
RU2622764C2 (ru) * 2015-08-20 2017-06-19 Сергей Дмитриевич Филиппов Водородный коктейль с повышенной антиоксидант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JP2017088518A (ja) * 2015-11-05 2017-05-25 Cts株式会社 マッサージ方法及びマッサージ用セット
CN105456288B (zh) * 2015-12-15 2020-07-14 上海交通大学 一种补镁兼具抗氧化作用的保健药品制剂及其制备方法
JP6773309B2 (ja) * 2016-04-25 2020-10-21 株式会社バスクリン 水素発生入浴剤
WO2018012596A1 (ja) * 2016-07-13 2018-01-18 株式会社マイトス 水素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軽度認知障害又は認知症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US11544545B2 (en) 2017-04-04 2023-01-03 Hailo Technologies Ltd. Structured activation based sparsity i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US10387298B2 (en) 2017-04-04 2019-08-20 Hailo Technologies Ltd Artificial neural network incorporating emphasis and focus techniques
US11551028B2 (en) 2017-04-04 2023-01-10 Hailo Technologies Ltd. Structured weight based sparsity i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US11615297B2 (en) 2017-04-04 2023-03-28 Hailo Technologies Ltd. Structured weight based sparsity i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ompiler
US11238334B2 (en) 2017-04-04 2022-02-01 Hailo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of input alignment for efficient vector operations i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JP6694118B2 (ja) * 2017-10-05 2020-05-13 株式会社新菱 クリ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81867B2 (ja) * 2018-01-16 2023-05-26 一般社団法人水素医療研究所 水素を豊富に含有した皮膚塗布剤
US11904124B2 (en) 2018-04-06 2024-02-20 H2 Univers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opical application of molecular hydrogen
US11364261B2 (en) 2018-07-30 2022-06-21 H2 Universe, LLC Alleviating common cold and influenza symptoms with molecular hydrogen
KR102194089B1 (ko) * 2019-03-18 2020-12-22 랩앤피플주식회사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를 갖는 플렉시블 금속 패치 및 그 사용방법
CN113616671B (zh) * 2020-05-09 2022-06-28 上海交通大学 微纳米MgH2化合物颗粒在制备抑制利什曼原虫感染及治疗利什曼病药物中的应用
EP3936120A1 (en) * 2020-07-06 2022-01-12 Ira Yasmin Lehmann Hydrogen-generating compositions and ki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9406A (ja) * 2003-07-09 2005-02-03 Honda Motor Co Ltd 水素ガスの製造方法
JPWO2005082561A1 (ja) * 2004-02-27 2007-10-25 有限会社サンサーラ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ロイダル金属
KR100990010B1 (ko) * 2005-11-10 2010-10-26 가부시끼가이샤 히로마이또 수소 발생제 및 그의 용도
JP4406040B2 (ja) * 2007-07-30 2010-01-27 洋平 田中 生体組織の近赤外線損傷の防止剤及びそれを用いた製品
WO2009038778A1 (en) * 2007-09-19 2009-03-26 Technology Holding, Llc Topical product containing sacrificial material for neutralizing free radicals
EP2236144A1 (en) * 2007-12-28 2010-10-06 MIZ Co., Ltd. External preparation for preventive or therapeutic use
JP5637424B2 (ja) * 2008-05-26 2014-12-10 国立大学法人群馬大学 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品材料
WO2010095279A1 (ja) * 2009-02-17 2010-08-26 株式会社創造的生物工学研究所 アルカリ還元性ミネラルイオン水を含む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95643A (ja) * 2009-02-26 2010-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水素発生方法及び水素発生システ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609A (ko) 2016-11-03 2016-11-23 김현수 수소 발생제 조성물
KR101859325B1 (ko) * 2017-04-13 2018-05-17 이윤정 수소 비누
WO2018212428A1 (ko) * 2017-05-17 2018-11-22 (주)하이씨엔티 수소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10948A (ko) * 2017-07-24 2019-02-01 소프트팩(주)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KR20190040560A (ko) * 2017-10-11 2019-04-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하이그린팜 천연식물이 첨가된 수소 분말비누 제조 방법
KR20200020599A (ko)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분말 수소 발생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화장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소 마스크 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스킨 케어 방법
KR20200020600A (ko)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소 발생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KR20230018675A (ko) * 2021-07-30 2023-02-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111834A1 (ja) 2014-07-07
US20130323190A1 (en) 2013-12-05
JP6076092B2 (ja) 2017-02-08
CN103415294A (zh) 2013-11-27
WO2012111834A1 (ja)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6092B2 (ja) 皮膚外用組成物
Salvioni et al. The emerging role of nanotechnology in skincare
Nafisi et al. Nanotechnology in cosmetics
CN110327261B (zh) 一种紧致肌肤用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456476B (zh) 用于增强碱性有益剂的局部施用的组合物及方法
TWI818972B (zh) 複合組成物
KR101391834B1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926312B2 (ja) 白金コロイド含有化粧品
US20100129465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ed to Acne Treatment
JPH11502505A (ja) 皮膚刺激を軽減するための製剤および方法
JP6646993B2 (ja) 発泡性皮膚外用剤
CN114449994A (zh) 用于清洁和/或去除化妆品的美容组合物或皮肤病学组合物,包括琥珀酸,用于预防、减少或消除皮肤缺陷、治疗皮肤疾病以及预防、治疗和对抗头皮的过度脂溢性病症
JPH0987188A (ja) 皮膚外用剤及び浴用剤
EP2268257A2 (fr) Compositions a base de complexes polymere-peroxyde d'hydrogene et leurs utilisations
JP2002193734A (ja) 外用組成物
EP1670430A2 (en) Cosmetic and hygiene products containing deuterium-depleted water
JP2002265348A (ja) 外用組成物
Rohilla et al. Global Trends of Cosmeceutical in Nanotechnology: A Review
Virmani et al. Consumer nanoproducts for cosmetics
JPH02108612A (ja) 二価三価複合鉄塩配合化粧品
CN102670420A (zh) 负离子面膜
JPH0256409A (ja) 二価三価鉄塩配合化粧品
KR102116050B1 (ko) 콜라겐 생성 촉진용 칼코지나이드계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1302454A (ja) 化粧料
JP2004010505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