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199A - 약제분포장치 - Google Patents

약제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199A
KR20140009199A KR1020137013057A KR20137013057A KR20140009199A KR 20140009199 A KR20140009199 A KR 20140009199A KR 1020137013057 A KR1020137013057 A KR 1020137013057A KR 20137013057 A KR20137013057 A KR 20137013057A KR 20140009199 A KR20140009199 A KR 20140009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ver
cleaner
shaft
brush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383B1 (ko
Inventor
지세이 아사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0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과제) 청소성 및 유지보수성이 우수한 구성으로 한다.
(해결수단) 원반상에 형성한 환상홈(10)에 잔류하는 약제를 청소하는 클리너 장치(18)를 설치한다. 클리너 장치(18)는, 흡인부(41)를 구비하는 축수부(26)가 형성되고, 원반(8)의 상방에 위치하는 클리너 본체(21)와, 클리너 본체(21)의 축수부(26, 27)에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흡인부(41)에 접속되는 통모양부(66)를 구비하는 브러시 커버(23)와, 브러시 커버(23)에 축부(67)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부(67)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환상홈(10)을 슬라이딩 가능한 브러시부(22)를 구비한다. 브러시 커버(23)는,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브러시부(22)를 덮는 청소위치와, 브러시부(22)를 노출시키는 대기위치로 회전하고, 브러시부(22)와 함께 클리너 본체(21)에 착탈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약제분포장치{DRUG PACKAGING DEVICE}
본 발명은, 클리너 장치를 구비한 약제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클리너 장치를 구비한 약제분포장치로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구성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1에는, 원반상에 형성한 환상홈에 약제를 수용하고, 상기 약제를 긁어내기장치에 의하여 1포분씩 긁어내서 분포하도록 한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홈에 잔류하는 약제를 청소하는 클리너 장치를 설치하고, 클리너 장치는, 상기 원반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환상홈을 슬라이딩 하는 브러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브러시부를 회전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환상홈으로부터 잔류하는 약제를 쓸어내는 약제쓸기수단과, 약제쓸기수단에 의하여 쓸어내어진 약제를 회수하는 약제회수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약제쓸기수단의 브러시부를, 그 회전중심이 상기 원반의 지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약제분포장치에서는, 클리너 장치가 브러시부 만을 떼어낼 수 있는 것으로서, 브러시 커버를 떼어낼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클리너 장치 자체가 약제분포장치의 안쪽의 유지보수를 하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브러시부는 특수한 부착구를 이용하여 브러시 커버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러시부를 떼어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브러시 커버의 청소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브러시 커버에는 가루약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고 오염(contamination)의 문제가 있어서, 가능하면 떼어내서 전체를 청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청소성 및 유지보수성의 점에서 개량이 갈망되고 있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허 제3905812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청소성 및 유지보수성이 우수한 클리너 장치를 구비한 약제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반상에 형성한 환상홈에 가루약을 공급하고, 상기 가루약을 긁어내기장치에 의하여 1포분씩 긁어내서 분포하도록 한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홈에 잔류하는 약제를 청소하는 클리너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클리너 장치는, 흡인부를 구비하는 축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반의 상방에 위치하는 클리너 본체와, 상기 클리너 본체의 축수부에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흡인부에 접속되는 통모양부를 구비하는 브러시 커버와, 상기 브러시 커버에,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환상홈을 슬라이딩 가능한 브러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는,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브러시부를 덮는 청소위치와 상기 브러시부를 노출시키는 대기위치로 회전하고, 상기 브러시부와 함께 상기 클리너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클리너 본체로부터 브러시부와 브러시 커버를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부와 브러시 커버를 별체(別體)로 하여 전체를 청소할 수 있어, 간단하고 또한 적절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원반의 환상홈에 슬라이딩 해서 열화하기 쉬운 브러시부의 교환을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클리너 본체의 흡인부는, 축심방향을 따라 장착위치와 가압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신축덕트와, 신축덕트를 가압위치로부터 장착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브러시 커버의 통모양부에 의하여,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신축덕트를 압입하는 것 만으로, 클리너 본체에 대하여 브러시 커버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클리너 본체는, 모터와, 회전축에 설치한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를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커버용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는, 통모양부측의 외주면에, 상기 커버용 구동부의 구동기어에 교합하는 커버용 피동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구동기어를 사용하여 전달시키는 경우이더라도 브러시 커버에는 통모양부에 의하여 잔류약제의 배출루트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클리너 본체는, 모터와, 회전축에 설치한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부를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브러시용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는 중간기어를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부의 축부는, 상기 브러시 커버로부터의 돌출부분에 브러시용 피동기어를 설치되고, 상기 중간기어는, 상기 브러시용 구동부의 구동기어와, 상기 브러시부의 브러시용 피동기어에 교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각 기어를 대형화 하지 않고서, 브러시용 구동부의 모터의 구동력을 원활하게 브러시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브러시 커버에 착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브러시 커버 및 브러시부의 청소를 보다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버용 구동부의 회전축과 상기 브러시용 구동부의 회전축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클리너 본체에 대하여 브러시 커버를 착탈할 때에, 각 회전축에 설치한 구동기어의 상하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일방의 구동기어를 브러시 커버의 커버용 피동기어부에, 타방의 구동기어를 브러시용 피동기어에 각각 원활하게 교합시키거나 또는 이간시킬 수 있다. 즉, 클리너 본체에 대한 브러시 커버의 착탈작업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브러시부는, 축본체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선재부를 설치하고,
상기 선재부는, 상기 브러시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선재부가 원반의 환상홈으로부터 긁어낸 약제를 통모양부측으로 안내하도록, 축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나선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브러시부를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원반의 환상홈으로부터 긁어낸 약제를 통모양부로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통모양부로부터의 흡인력과도 상승효과를 발휘하여 약제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부는, 축본체의 축심방향이 상기 원반의 지름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부의 선재부는, 양단부를 향하여 감에 따라 서서히 축본체로부터의 돌출치수가 작아져서 환상홈의 지름방향의 단면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브러시부의 각 선재부를 환상홈의 형상을 따르게 할 수 있어, 무리가 없는 원활한 긁어내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원반은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는, 상기 원반의 회전방향 하류측의 긁어모으기 위치에, 착탈 가능한 긁어모으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브러시부를 회전시킨다고 하여도, 긁어낸 약제가 긁어모으기 부재에 의하여 주위로 비산(飛散)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반과 슬라이딩 하는 긁어모으기 부재는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마모에 의하여 열화(劣化)되어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반상에 형성한 환상홈에 가루약을 공급하고, 상기 가루약을 긁어내기장치에 의하여 1포분씩 긁어내서 분포하도록 한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홈에 잔류하는 약제를 청소하는 클리너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클리너 장치는, 축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반의 상방에 위치하는 클리너 본체와, 상기 클리너 본체의 축수부에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커버용 피동기어부를 구비하는 브러시 커버와, 상기 브러시 커버에,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브러시용 피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환상홈을 슬라이딩 가능한 브러시부와, 상기 클리너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 커버의 커버용 피동기어부를 통하여 상기 브러시 커버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커버용 구동부와, 상기 클리너 본체에 설치되는 브러시용 구동부와, 상기 클리너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용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브러시용 피동기어에 전달하는 중간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의 커버용 피동기어부와, 상기 중간기어는, 상기 브러시 커버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는,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브러시부를 덮는 청소위치와 상기 브러시부를 노출시키는 대기위치로 회전하고, 상기 브러시부와 함께 상기 클리너 본체에 착탈 가능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브러시 커버를 브러시부와 함께 클리너 본체에 착탈하면, 브러시 커버의 커버용 피동기어부와 브러시 커버용 구동부 사이 및 브러시부의 브러시용 피동기어와 브러시용 구동부 사이를 동시에 동력전달 또는 차단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커버용 피동기어부와 브러시용 피동기어는 동일축심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커버는, 상기 커버용 피동기어부가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기어는, 상기 브러시 커버에 회전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브러시 커버용 구동부에 의하여 커버용 피동기어부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브러시 커버의 회전과, 상기 브러시용 구동부에 의하여 중간기어 및 브러시용 피동기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브러시부의 회전을 독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일련의 청소작업이 끝난 후에 브러시 커버를 대기위치로 회전시키고, 브러시부만을 회전시키면, 원반에 가루약을 낙하시키지 않고 브러시 커버내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클리너 장치는,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축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너 본체는, 상기 양 축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리너 본체로부터 브러시부 뿐만 아니라 브러시 커버도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게다가 전영역에 걸쳐서 철저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부품이 열화되었을 경우에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도1]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분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도1로부터 외장체의 일부(상면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분포장치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4]도2의 클리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도4의 클리너 장치를 상방측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6]도4의 클리너 장치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7]도4로부터 본체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도7의 클리너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도7로부터 제2플레이트를 더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0]도8로부터 본체 케이스를 더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도7의 브러시 커버 및 거기에 장착되는 각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2]도10의 브러시 커버를 나타내는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3]도7의 신축덕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4]도7의 신축덕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5]도7의 신축덕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6]도7의 신축덕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7]도7의 신축덕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도7의 제2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a)는 도2의 클리너 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품인 브러시부의 사시도, (b)는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20](a)는 도1의 흡인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노즐부를 노즐 가이드에 의하여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1]도20의 흡인덕트의 접속부와, 이 접속부를 접속하는 배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2]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리너 장치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23]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리너 장치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분포장치를 나타낸다. 이 약제분포장치는, 약제공급부(1), 약제포장부(2) 및 제어부(3)를 구비하고 있다.
약제공급부(1)는,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제공급부(4)와 가루약 공급부(5)로 이루어진다. 가루약 공급부(5)는, 도2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6)의 상면에 가루약 피더(7)와 원반(8)과 긁어내기장치(9)를 구비한다. 가루약 피더(7)는, 수용된 가루약(과립(顆粒)을 포함하여도 좋다)을 일정량씩 공급한다. 원반(8)은 대략 도넛 모양으로서, 상면 외주부에 환상홈(10)을 구비하고, 외주 가장자리가 외경방향으로 더 연장된 외주 연장부(11)로 되어 있고, 모터(12)의 구동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가루약 피더(7)로부터 가루약을 공급할 때에, 원반(8)을 회전시키면서 공급함으로써 환상홈(10)내에는 균등하게 가루약이 수용된다. 긁어내기장치(9)는, 원반(8)의 회전에 의하여 환상홈(10)내의 가루약을 원주방향으로 긁어모은 후에, 지름방향으로 긁어내어 1포분 만이 호퍼(13)로 배출된다. 약제포장부(2)는, 롤(14)에 감은 포장지(15)를 공급하여 인쇄부(16)에 의하여 소정의 인쇄를 실시한 후에, 자루모양으로 하여 호퍼(13)로부터 공급되는 정제 또는 가루약을 1포분씩 수용하여 밀봉부(17)로 밀봉한다.
상기 가루약 공급부(5)에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부분인 클리너 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도2에서는 가루약 피더(7) 및 긁어내기장치(9)를 생략하고 있다). 클리너 장치(18)는,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6)의 상면에 고정한 지지 플레이트(19)에 설치한 축부재(20)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클리너 장치(18)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리너 본체(21), 브러시부(22), 브러시 커버(23), 본체커버(24)를 구비한다. 클리너 장치(18)는, 원반(8)에 대하여 장치본체(6)의 정면으로부터 약90도 회전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약제공급부(1)에 구비한 상면커버를 개방시켜서 원반(8)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클리너 장치(18)를 전방측에서 유지보수를 하거나 청소하거나 할 수 있다.
클리너 본체(21)는, 도7 및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통부(25)와, 그 양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는 축수부(제1축수부(26) 및 제2축수부(27))로 구성되는 중공구조(中空構造)의 것이다. 구체적인 구성부품으로서는, 제1축수부(26) 및 몸통부(25)의 외벽을 구성하는 대략 L자형의 제2플레이트(29)와, 제2축수부(27)의 외벽을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28)와, 그 이외를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30)로 이루어진다.
클리너 본체(21)의 내부에는,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브러시용 모터(31)와 브러시 커버용 모터(3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브러시용 모터(31)의 회전축에는 브러시용 구동기어(33)가 고정되고, 이 브러시용 구동기어(33)에는 브러시용 제1중간기어(34)가 교합하고 있다. 그리고 브러시용 제1중간기어(34)에는, 후술하는 브러시용 제2중간기어(71)가 교합하고, 이 브러시용 제2중간기어(71)로부터 브러시부(22)에 고정한 브러시용 피동기어(68)를 통하여 브러시부(22)를 회전하도록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브러시용 피동기어(68)에는, 자성재료인 하이코렉스(hicorex)를 링 모양으로 하여 인서트 성형한 피검출부(68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검출부(68a)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자기센서(磁氣sensor)에 의하여 검출되어, 브러시 커버(23)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청소위치 또는 대기위치의 어디에 위치하는 것일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피검출부(68a)는 인서트 성형 되어 브러시용 피동기어(68)와 일체화 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 커버(23)를 클리너 본체(21)로부터 떼어냈다고 하여도, 피검출부(68a)가 떨어져서 분실되는 등의 불량을 발생시키지도 않는다.
브러시 커버용 모터(32)의 회전축에는 브러시 커버용 구동기어(35)가 고정되고, 이 브러시 커버용 구동기어(35)에는 브러시 커버용 중간기어(36)가 교합하고 있다. 그리고 브러시 커버용 중간기어(36)에는, 후술하는 브러시 커버(23)의 커버용 피동기어부(75)가 교합하여, 브러시 커버(23)를 회전하도록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축수부(27)의 내벽에는,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공간으로 돌출하는 제1통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제1통부(37)에는,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브러시 커버(23)의 일단측의 제1축부(67)(상세하게는 제1축부(67)에 외장된 축수링(軸受ring)(3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축수부(27)의 기부(몸통부(25)와의 경계부분)에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용 제1중간기어(34)의 일부를 돌출시키기 위한 절단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25)에는, 회전하는 브러시 커버(23)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오목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제1축수부(26)에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4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0)에는 신축덕트(伸縮duct)(41)가 지지되어 있다.
신축덕트(41)는,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덕트본체(42), 슬리브(43), 커플링(44), 접속부(45)를 구비하고, 접속부(45)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흡인장치에 연결된다.
덕트본체(42)는 원통 모양으로서, 일단측으로부터 약1/3의 제1덕트부(46)에 비하여, 나머지 약2/3의 제2덕트부(47)에서의 외경치수가 약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덕트부(46)에는, 제2덕트부(47)에 연속해있는 부분의 외경치수가 더 커진 환상돌출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제1덕트부(46)내에는, 후술하는 브러시 커버(23)의 접속통부(73)가 접속되게 되어 있다.
제2덕트부(47)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49)이 배치된다. 코일스프링(49)의 일단측은 제1덕트부(46)의 환상돌출부(48)의 단차부(段差部)에 접촉하고, 타단측은 접속부(45)의 내단면(內端面)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덕트본체(42)가 제1축수부(26)로부터 내측, 즉 제2축수부(27)측으로 가압된다. 단, 환상돌출부(48)가 제1축수부(26)의 내벽에 형성한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제1덕트부(46)는 내벽으로부터 소정의 치수만큼 돌출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슬리브(43)는 원통 모양으로서, 제1슬리브부(50), 이 제1슬리브부(50)보다도 큰 직경의 제2슬리브부(51)와, 그 일단측에 형성되는 돌출부(52)로 구성되어 있다.
제1슬리브부(50)의 선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한 쌍의 슬릿(53)이 3조 형성됨으로써, 원주방향으로 3등분 하여 설편(5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설편(54)의 선단 테두리에는 외경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출부(5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슬리브부(51)는, 제1슬리브부(50)와의 경계부분에 단차부를 구비한다. 이 단차부는, 제1슬리브부(50)의 결합 돌출부(55)와의 사이에서 후술하는 커플링(44)을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돌출부(52)의 외주 2군데에는 돌기(5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2)는 제1축수부(26)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슬리브(43)가 제1축수부(26)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돌기(52a)는, 제1축수부(26)의 외벽을 구성하는 제2플레이트(29)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대응하는 장소에 형성한 결합 오목부(29b)(도18 참조)에 각각 결합하여, 제1축수부(26)에 대한 슬리브(43)의 회전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
커플링(44)은 원통 모양으로서, 제1커플링부(56), 이 제1커플링부(56)보다도 큰 직경의 제2커플링부(57)로 이루어진다. 제1커플링부(56)에는 원주방향으로 3등분하여 오목부(56a)가 형성되고, 거기에는 결합 돌출부(56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45)는, 통모양 장착부(58), 그로부터 굴곡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파이프부(59)로 구성되어 있다.
통모양 장착부(58)는, 개구 가장자리부에서 원주방향으로 3등분하고, 축방향을 향하여 결합구멍(60a)을 구비하는 피결합편(60)이 돌출하고 있다. 파이프부(59)는 통모양 장착부(58)의 내경치수보다도 작고, 통모양 장착부(58)와 파이프부(59)의 경계부분에는 접촉면(61)이 형성된다. 통모양 장착부(58)는, 커플링(44)의 제1커플링부(56)의 외주에 배치되고, 그 단면이 접촉면(61)에 접촉한 시점에서 피결합편(60)에 형성한 결합구멍(60a)이 제2커플링부(57)의 결합 돌출부(56b)에 결합함으로써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신축덕트(41)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한다. 우선,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덕트본체(42)의 제2덕트부(47)의 외주부분에 코일스프링(49)을 배치한다. 그리고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덕트부(47)의 외주에 배치한 코일스프링(49)의 외주에 슬리브(43)를 배치한다. 계속하여 슬리브(43)의 제1슬리브(50)측을 제2플레이트(29)의 내측으로부터 개구부(29a)에 삽입하고, 돌출부(52)에 형성한 돌기(52a)를 결합 오목부(29b)에 결합함으로써 회전방향의 위치를 결정한다. 계속하여 제2플레이트(29)의 외면측으로 돌출하는 슬리브(43)의 제1슬리브부(50)에 커플링(44)을 외장한다. 이 때에,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슬리브부(50)의 설편(54)의 선단에 형성한 결합 돌출부(55)를 커플링(44)의 개구 단면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부재는 제2플레이트(29)에 가고정된다(도16에서는 제2플레이트(29)를 생략). 그 후에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구멍(60a)에 결합 돌출부(56b)를 결합시킴으로써 커플링(44)에 접속부(45)를 장착한다. 이에 따라 신축덕트(41)를 조립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2플레이트(29)에 대한 조립을 완료한다.
브러시부(22)는, 도19(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통 모양의 축본체(62)와, 그 외주면에 부착한 복수개의 선재부(63)로 구성되어 있다. 브러시부(22)는, 축본체(62)의 축방향이 원반(8)의 지름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축본체(62)의 일단면 중심부에는 통모양 축수부(64)가 설치되고, 타단면 중심부에는 결합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통모양 축수부(64)에는, 후술하는 브러시 커버(23)의 제2축부(74)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타방의 결합구멍(65)에는, 후술하는 브러시용 구동기어(68)의 지축(68a)이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선재부(63)는, 탄성을 구비하는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수염 모양의 것으로서, 축본체(62)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나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선재부(63)는, 양단부를 향하여 감에 따라 서서히 축본체(62)로부터의 돌출치수가 작아져서, 각 선재부(63)의 선단이 원반(8)의 환상홈(10)의 지름방향의 단면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부(22)를 원반(8)의 환상홈(10)내에 배치하면, 각 선재부(63)의 선단이 환상홈(10)의 표면을 따르거나, 또는 균등하게 접촉되거나 또는 압접된 상태가 된다. 또한 축본체(62)에 부착한 각 선재부(63)의 나선방향의 배치는, 브러시부(22)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원반(8)의 환상홈(10)내의 가루약을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반송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가루약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흡인덕트(83)가 배치된다).
브러시 커버(23)는, 도10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방측을 제외하고 브러시부(22)를 덮을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료를 성형가공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 커버(23)의 일단면에는, 통모양부(66)와 제1축부(6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통모양부(66)에는 브러시용 피동기어(68)의 지축(68a)이 삽입되고, 이 지축(68a)은 브러시 커버(23)내에 배치된 브러시부(22)의 결합구멍(65)에 결합하여 일체화 되도록 되어 있다. 제1축부(67)는,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가이드편(69)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편(69)의 선단부에는 외경측으로 돌출하는 결합부(69a)가 형성되어 있다. 제1축부(67)에는, 원통 모양이고 일단측에 돌출부(70a)를 구비한 제1가이드링(70)을 사이에 두고 브러시용 제2중간기어(7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가이드링(70) 및 브러시용 제2중간기어(71)는, 마찬가지로 제1축부(67)에 장착되는 제2가이드링(72)에 의하여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축부(67)의 선단부는 제2가이드링(72)을 사이에 두고 제2축수부(27)의 제1통부(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브러시 커버(23)의 타단면에는, 상기 신축덕트(41)의 제1덕트부(46)내에 삽입되어서 접속되는 접속통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통부(73)의 중심축과 상기 제1축부(67)의 중심축은 일치하고 있어, 브러시 커버(23)는 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접속통부(73)의 하방측의 내면으로부터는 제2축부(74)가 돌출하여 상기 브러시부(22)의 통모양 축수부(64)에 삽입되어, 브러시부(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브러시 커버(23)의 타단측에는, 접속통부(73)의 외주면에 커버용 피동기어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용 피동기어부(75)는, 브러시 커버(23)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고, 거기에는 브러시 커버용 중간기어(36)가 교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 커버용 모터(32)를 구동하면, 브러시 커버용 구동기어(35), 브러시 커버용 중간기어(36) 및 커버용 피동기어부(75)를 통하여, 브러시 커버(23)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상세하게는, 브러시 커버(23)는 180도의 범위에서 회전하고, 브러시부(22)를 덮음과 아울러 원반(8)의 환상홈(10)에 접근시켜서, 선재부(63)를 환상홈(10)의 표면을 따르거나 또는 균등하게 접촉시키는 청소위치와, 브러시부(22)를 환상홈(1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시켜서 그 하방측에서 브러시부(22)로부터 낙하하는 가루약을 수용 가능한 대기위치에 위치가 결정된다.
브러시 커버(23)의 일방의 가장자리부는, 원반(8)의 환상홈(10)의 지름방향의 단면형상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 커버(23)의 타방의 테두리측에서는, 가장자리부로부터 소정의 치수만큼 상방측이 나온 돌출부(76)가 형성되고, 그 하방측은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브러시 커버(23)의 축심방향에 대하여 원호 모양으로 만곡한 측면부(77)로 되어 있다. 측면부(77)의 중앙부분에는, 압입(壓入) 가능하고 선단 표면에 결합 돌출부(78a)를 구비하는 탄성편(78)이 형성되고, 양측 부분에는 하방측으로 돌출하는 결합편(79)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77)에는 긁어모으기 부재(80)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긁어모으기 부재(80)는, 부착 플레이트(81)와, 이 부착 플레이트(81)에 점착(粘着) 등에 의하여 고정된 긁어모으기편(82)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착 플레이트(81)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긁어모으기편(82)은 고무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부착 플레이트(81) 및 긁어모으기편(82)의 일단측은 원반(8)의 외주 연장부(11)를 따라 연장되어, 이 부분으로 비산한 가루약도 긁어모으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부착 플레이트(81)에는, 상기 브러시 커버(23)의 탄성편(78) 및 결합편(79)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구멍(81a, 8l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결합구멍(8lb)을 결합편(79)에 걸면서, 탄성편(78)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중앙의 결합구멍(81a)에 탄성편(78)의 결합 돌출부(78a)를 결합하고, 상부 테두리부를 돌출부(76)를 따르게 함으로써 간단하게 브러시 커버(23)에 긁어모으기 부재(8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떼어내는 경우에는, 결합 돌출부(78a)를 압입하여 탄성편(78)을 변형시킨 상태에서, 긁어모으기 부재(80)를 하방측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것만으로 떼어내기가 이루어진다.
긁어모으기편(82)의 선단형상은, 원반(8)의 환상홈(10)의 지름방향에 있어서의 단면형상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환상홈(10)의 표면에 압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반(8)이 회전하면, 긁어모으기편(82)이 환상홈(10)의 표면을 슬라이딩 하여 잔류하는 가루약을 확실하게 긁어모으는 것이 가능하다.
브러시 커버(23)의 내면은, 브러시부(22)를 회전시켰을 때의 선재부(63)의 선단위치의 궤적을 따라 거의 균일한 간격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브러시부(22)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흡인장치를 구동하면, 원반(8)의 환상홈(10)내에 잔류하는 가루약은 브러시부(22)에 의하여 수거할 수 있어 원활하게 흡인되어 제거된다.
본체커버(24)는, 투광성을 구비하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브러시 커버(23)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장착상태에서는, 클리너 본체(21) 뿐만 아니라 브러시부(22)를 덮는 브러시 커버(23)도 완전하게 덮어진 상태가 된다.
또 83은 흡인덕트를 나타낸다. 이 흡인덕트(83)는, 도20 및 도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흡인기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연속되는 배기덕트(84)에 접속되는 접속부(85)와, 이 접속부(85)로부터 연장되는 주름상자 모양의 호스(86)와, 이 호스(86)의 선단에 접속되는 노즐부(87)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85)는, 호스(86)에 연결되는 내통부(88)와, 그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통부(89)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가요성(可撓性)을 구비하는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외통부(89)는 선단측의 내경치수가 커진 단차가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통부(88)과 외통부(89)의 간격(틈)에 배기덕트(84)가 압입에 의하여 접속되게 되어 있다.
노즐부(87)는, 지축(87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일단측 내주면에는 호스(86)의 주름상자 형상에 대응한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노즐부(87)에는 호스(86)를 나사결합에 의하여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노즐부(87)의 선단부분은, 약제분포장치의 측면부분에 설치한 노즐 가이드(90)에 의하여 지지된다.
노즐 가이드(90)는, 노즐부(87)의 선단부분을 삽입 가능한 사각형 통모양의 삽입로(91)를 구비한다. 삽입로(91)를 구성하는 저면부분은 노즐부(87)의 삽입방향 전방측으로 연장되고, 거기에는 볼록부(9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92)와 천장면에 의하여, 삽입한 노즐부(87)의 선단부분이 지지되어 떨어짐이 방지된다. 또한 노즐 가이드(90)의 하면으로부터는 상기 배기덕트(84)가 돌출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약제포장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약제의 포장동작은 종래와 같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원반(8)의 청소작업에 대하여만 언급한다.
즉 원반(8)의 환상홈(10)에 수용한 가루약을 긁어내기장치(9)에 의하여 긁어내는 사이에, 브러시 커버(23)를 대기위치로 위치결정한다. 그리고 환상홈(10)의 가루약이 모두 긁어내어지면, 브러시 커버(23)를 회전시켜 청소위치로 위치결정한다.
이 때에, 브러시부(22)의 축심방향이 원반(8)의 지름방향과 합치하고, 각 선재부(63)의 선단이 환상홈(10)의 표면을 따른 상태에서 압접한다. 또한 긁어모으기 부재(80)의 선단 가장자리부도 환상홈(10)의 표면을 따른 상태에서 압접한다. 거기에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흡인기구를 구동하여 신축덕트(41)를 통하여 브러시 커버(23)내를 흡인한다. 또한 브러시용 모터(31)를 구동하고, 각 기어를 통하여 브러시부(22)를 회전시킨다. 또한 원반(8)을 회전시켜, 상기 긁어모으기 부재(80)에 의하여 환상홈(10)내에 잔류하는 가루약을 원주방향으로 긁어모은다.
그런데 브러시부(22)의 회전방향은 원반(8)의 중심측에서 외경방향을 볼 때에 시계방향이며, 브러시부(22)의 각 선재부(63)의 나선방향과 합치하고 있다. 따라서 환상홈(10)에 잔류하는 가루약이 각 선재부(63)에 의하여 긁어내져서 반송되는 방향과 흡인방향이 일치하여, 가루약은 원활하게 흡인기구측으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원반(8)의 환상홈(10)내에 잔류하는 가루약을 긁어내지만, 클리너 장치 자체에 가루약이 잔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하여 클리너 장치(18)의 청소를 한다.
즉 장치본체(6)의 상면커버(6a)를 개방하여, 클리너 장치(18)를 노출시킨다. 클리너 장치(18)는, 장치본체(6)의 정면에 대하여 좌측의, 다른 부품이 가까이 없는 비교적 넓은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고,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계속하여 본체커버(24)를 개방하여, 브러시 커버(23)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브러시 커버(23)를 파지하여 신축덕트(41)측으로 압입한다. 이에 따라 신축덕트(41)의 덕트본체(42)가 코일스프링(4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1축수부(26)의 개구부(40)내로 압입되어, 브러시 커버(23)의 제1축부(67)가 제2축수부(27)의 제1통부(37)로부터 떨어진다. 이 결과, 클리너 본체(21)로부터 브러시 커버(23) 및 브러시부(22)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브러시 커버(23)로부터 브러시용 피동기어(68)를 떼어냄으로써 브러시 커버(23)로부터 브러시부(22)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긁어모으기 부재(80)는, 결합 돌출부(78a)를 압입하여 탄성편(78)을 변형시켜 하방측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 만으로, 브러시 커버(23)로부터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클리너 본체(21)로부터 떼어낸 브러시 커버(23) 및 브러시부(22)는, 다음과 같이 하여 클리너 본체(21)에 장착할 수 있다. 즉 브러시 커버(23)에 브러시부(22)를 조립한 상태로 접속통부(73)를 덕트본체(42)의 제1덕트부(46)에 삽입하고, 스프링(4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입한다. 그리고 브러시 커버(23)를 축심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가이드링(72)을 외장한 제1축부(67)를 제2축수부(27)의 관통구멍에 삽입한다. 브러시 커버(23)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커버용 피동기어부(75)와 브러시용 제2중간기어(71)가 각각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에 교합 가능하게 브러시 커버용 중간기어(36)와 브러시용 제1중간기어(34)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브러시 커버(23)를 축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 커버용 피동기어부(75)를 브러시 커버용 중간기어(36)에, 브러시용 제2중간기어(71)를 브러시용 제1중간기어(34)에 원활하게 교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루약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는 브러시 커버(23) 및 브러시부(22)를 클리너 본체(21)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함으로써 양자를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커버(23)로부터는 긁어모으기 부재(80)도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부재의 청소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브러시 커버(23) 및 브러시부(22)의 청소에서는, 전체를 청소할 수도 있고, 열화가 되면 그 부품(특히, 브러시부(22)나 긁어모으기 부재(80))을 교환할 수도 있다.
또한 원반(8) 이외로 비산한 가루약은 흡인덕트(83)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흡인한다. 흡인덕트(83)는, 사용에 의하여 주름상자 모양의 호스(86)가 손상되기 쉽다. 따라서, 호스(86)가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노즐부(87)와의 나사결합상태를 해제하여 노즐 가이드(9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호스(86) 만을 떼어내서 교환한다. 이 때문에 호스(86)에 비해서 비싼 노즐부(87)를 교환하지 않고 끝나기 때문에 저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클리너 본체(21)에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축수부(제1축수부(26) 및 제2축수부(27))를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축수부를 신축덕트(41) 등을 구비하는 일방만의 외팔보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브러시부(22)의 축본체(62)를 축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위치에서 중간기어(상기 브러시용 제2중간기어(71))에 교합시키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축수부에는, 장착한 브러시 커버(23)가 떨어지지 않도록 빠짐방지 기구를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리너 장치(18)를 더 한층 조밀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 장치(18)는, 다음과 같이 하여 단일 축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외팔보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즉 도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브러시 커버(23)의 일단벽에 통모양부(66)를 형성하고, 이 통모양부(66)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가요성을 구비하는 호스를 접속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 커버(23)의 일단벽에는 커버용 피동기어부(7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커버용 피동기어부(75)과 동축(同軸)상에 브러시용 제2중간기어(71)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커버(23)의 일단벽에는 브러시부(22)의 축부재에 일체화한 브러시용 피동기어(68)가 노출하여, 상기 브러시용 제2중간기어(71)에 교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용 피동기어부(75)에는 브러시 커버용 중간기어(36)를 사이에 두고 브러시 커버용 구동기어(35)가 교합하고, 브러시 커버용 모터(32)로부터의 구동력이 브러시 커버(23)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용 제2중간기어(71)에는 브러시용 제1중간기어(34)를 사이에 두고 브러시용 구동기어(33)가 교합하여, 브러시용 모터(31)로부터의 구동력이 브러시부(22)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모양부(66)와는 관계없이, 브러시 커버(23)와 브러시부(22)를 구동시키는 기구를 설치할 수 있어, 가공성 및 조립성이 우수하다.
다른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2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R원반(8)은 외주 연장부(11)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외주 연장부(11)보다 하방 또는 상방에 위치한 돌출부(94)를 구비하더라도 좋다. 또, 외주 연장부(11)를 대신하여, 환상홈(10)의 내측에 내주 연장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돌출부(94)도 내측에 위치시킨다. 돌출부(94)는 지지롤러(93)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돌출부(94)를 구비했을 경우에, 외주 연장부(11)를 지지롤러(93)로 지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지지롤러(93)로의 가루약의 진입이 경감된다. 따라서 R원반(8)의 회전동작에 지장이 없다. 도23(b)에서는 브러시 커버(23)를 돌출부(94)의 상방까지 연장시키고 있다. 그리고 청소시의 R원반(8)의 회전방향 하류측(브러시부(22)보다 하류측)에서 외주 연장부(11)와 환상홈(10)의 가루약을 긁어모으는 기능을 하는 긁어모으기편(82)과, 돌출부(94)의 상방에 형성된 돌출부용 긁어모으기편(95)이 나타나 있다. 이 돌출부용 긁어모으기편(95)에 의하여 돌출부(94)의 가루약도 확실하게 긁어모으는 것이 가능하고, 긁어모은 가루약을 흡인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94)를 청소하는 다른 실시 예로서, 돌출부(94)로부터 신축덕트(41)(흡인부) 또는 돌출부(94)로부터 접속통부(73)까지 가루약이 흡인되기 쉽게 하기 위한 통로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도23(b)에서는 부착 플레이트(81)는 생략하고 있다.
1…약제공급부
2…약제포장부
3…제어부
4…정제공급부
5…가루약 공급부
6…장치본체
7…가루약 피더
8…원반
9…긁어내기장치
10…환상홈
11…외주 연장부
12…모터
13…호퍼
14…롤
15…포장지
16…인쇄부
17…밀봉부
18…클리너 장치
19…지지 플레이트
20…축부재
21…클리너 본체
22…브러시부
23…브러시 커버
24…본체커버
25…몸통부
26… 제1축수부
27…제2축수부
28…제1플레이트
29…제2플레이트
30…본체 케이스
31…브러시용 모터
32…브러시 커버용 모터
33…브러시용 구동기어
34…브러시용 제1중간기어
35…브러시 커버용 구동기어
36…브러시 커버용 중간기어
37…제1통부
38…축수링
39…절단구멍
40…개구부
41…신축덕트(흡인부)
42…덕트본체
43…슬리브
44…커플링
45…접속부
46…제1덕트부
47…제2덕트부
48…환상돌출부
49…코일스프링
50…제1슬리브부
51…제2슬리브부
52…돌출부
53…슬릿
54…설편
55…결합 돌출부
56…제1커플링부
57…제2커플링부
58…통모양 장착부
59…파이프부
60…피결합편
61…접촉면
62…축본체
63…선재부
64…통모양 축수부
65…결합구멍
66…통모양부
67…제1축부
68…브러시용 피동기어
69…가이드편
70…제1가이드링
71…브러시용 제2중간기어
72…제2가이드링
73…접속통부
74…제2축부
75…커버용 피동기어부
76…돌출부
77…측면부
78…탄성편
79…결합편
80…긁어모으기 부재
81…부착 플레이트
82…긁어모으기편
83…흡인덕트
84…배기덕트
85…접속부
86…호스
87…노즐부
88…내통부
89…외통부
90…노즐 가이드
91…삽입로
92…볼록부
93…지지롤러
94…돌출부
95…돌출부용 긁어모으기편

Claims (12)

  1. 원반(圓盤)상에 형성한 환상홈(環狀홈)에 가루약을 공급하고, 상기 가루약을 긁어내기장치에 의하여 1포분(1包分)씩 긁어내서 분포(分包)하도록 한 약제분포장치(藥劑分包裝置)에 있어서,
    상기 환상홈에 잔류(殘留)하는 약제를 청소하는 클리너 장치(cleaner 裝置)를 설치하고,
    상기 클리너 장치는,
    흡인부(吸引部)를 구비하는 축수부(軸受部)가 형성되고, 상기 원반의 상방에 위치하는 클리너 본체와,
    상기 클리너 본체의 축수부에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흡인부에 접속되는 통모양부를 구비하는 브러시 커버(brush cover)와,
    상기 브러시 커버에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환상홈을 슬라이딩 가능한 브러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는,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브러시부를 덮는 청소위치와 상기 브러시부를 노출시키는 대기위치로 회전하고, 상기 브러시부와 함께 상기 클리너 본체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본체의 흡인부는, 축심방향을 따라 장착위치와 가압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신축덕트(伸縮duck)와, 신축덕트를 가압위치로부터 장착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본체는, 모터와, 회전축에 설치한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를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커버용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는, 통모양부측의 외주면에 상기 커버용 구동부의 구동기어에 교합하는 커버용 피동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본체는, 모터와, 회전축에 설치한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부를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브러시용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는 중간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부의 축부는, 상기 브러시 커버로부터의 돌출부분에 브러시용 피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중간기어는, 상기 브러시용 구동부의 구동기어와 상기 브러시부의 브러시용 피동기어에 교합(咬合)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브러시 커버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용 구동부의 회전축과 상기 브러시용 구동부의 회전축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축본체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선재부(線材部)가 설치되고,
    상기 선재부는, 상기 브러시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선재부가 원반의 환상홈으로부터 긁어낸 약제를 통모양부측으로 안내하도록, 축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나선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축본체의 축심방향이 상기 원반의 지름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부의 선재부는, 양단부(兩端部)를 향하여 감에 따라 서서히 축본체로부터의 돌출치수가 작아져서 환상홈의 지름방향의 단면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은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는, 상기 원반의 회전방향 하류측의 긁어모으기 위치에, 착탈 가능한 긁어모으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10. 원반상에 형성한 환상홈에 가루약을 공급하고, 상기 가루약을 긁어내기장치에 의하여 1포분씩 긁어내서 분포하도록 한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홈에 잔류하는 약제를 청소하는 클리너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클리너 장치는,
    축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반의 상방에 위치하는 클리너 본체와,
    상기 클리너 본체의 축수부에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커버용 피동기어부를 구비하는 브러시 커버와,
    상기 브러시 커버에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브러시용 피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환상홈을 슬라이딩 가능한 브러시부와,
    상기 클리너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 커버의 커버용 피동기어부를 통하여 상기 브러시 커버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커버용 구동부와,
    상기 클리너 본체에 설치되는 브러시용 구동부와,
    상기 클리너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용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브러시용 피동기어에 전달하는 중간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의 커버용 피동기어부와 상기 중간기어는, 상기 브러시 커버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브러시 커버는,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브러시부를 덮는 청소위치와 상기 브러시부를 노출시키는 대기위치로 회전하고, 상기 브러시부와 함께 상기 클리너 본체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커버는, 상기 커버용 피동기어부가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기어는 상기 브러시 커버에 회전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브러시 커버용 구동부에 의하여 커버용 피동기어부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브러시 커버의 회전과, 상기 브러시용 구동부에 의하여 중간기어 및 브러시용 피동기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브러시부의 회전을 독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장치는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축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너 본체는, 상기 양 축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KR1020137013057A 2011-02-03 2012-02-01 약제분포장치 KR101947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21964 2011-02-03
JPJP-P-2011-021964 2011-02-03
PCT/JP2012/052317 WO2012105627A1 (ja) 2011-02-03 2012-02-01 薬剤分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199A true KR20140009199A (ko) 2014-01-22
KR101947383B1 KR101947383B1 (ko) 2019-02-13

Family

ID=4660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057A KR101947383B1 (ko) 2011-02-03 2012-02-01 약제분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20225B2 (ko)
KR (1) KR101947383B1 (ko)
TW (1) TWI594924B (ko)
WO (1) WO2012105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275793B2 (en) 2014-06-19 2019-09-05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an assembly
JP7357188B2 (ja) * 2017-03-28 2023-10-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CN112758430B (zh) * 2020-12-22 2022-06-07 甘肃仕合源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饲料添加剂生产用灌装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4930A (ja) * 1990-06-26 1992-02-21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
JP2006508757A (ja) * 2002-12-06 2006-03-16 テクトロニック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吸引式掃除機用ヘッド
JP3905812B2 (ja) * 2002-09-25 2007-04-1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機
KR100831039B1 (ko) * 2007-05-16 2008-05-20 김덕림 블리스터 포장정제의 제포장치
KR20090054486A (ko) * 2007-11-27 2009-06-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 기계의 기어 백래쉬 조절 장치
KR20100027099A (ko) * 2007-07-03 2010-03-10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포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9809U1 (ko) * 1991-08-07 1991-10-31 Wessel-Werk Gmbh & Co. Kg, 5226 Reichshof, De
US5960514A (en) * 1997-11-10 1999-10-05 The Hoover Company Wheel driven suction nozzle
CN100462286C (zh) * 2004-04-16 2009-02-18 株式会社汤山制作所 散药供给装置
JP5039485B2 (ja) * 2007-09-12 2012-10-03 高園産業株式会社 分包装置
JP5165620B2 (ja) * 2009-03-02 2013-03-21 株式会社エルクエスト クリーナー装置、散薬分包機
JP5407507B2 (ja) * 2009-04-10 2014-02-0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散薬掻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4930A (ja) * 1990-06-26 1992-02-21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
JP3905812B2 (ja) * 2002-09-25 2007-04-1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機
JP2006508757A (ja) * 2002-12-06 2006-03-16 テクトロニック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吸引式掃除機用ヘッド
KR100831039B1 (ko) * 2007-05-16 2008-05-20 김덕림 블리스터 포장정제의 제포장치
KR20100027099A (ko) * 2007-07-03 2010-03-10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포장 장치
KR20090054486A (ko) * 2007-11-27 2009-06-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 기계의 기어 백래쉬 조절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6-508757호(2006.03.16.) 1부.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905812호(2007.04.18.)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5627A1 (ja) 2012-08-09
KR101947383B1 (ko) 2019-02-13
JPWO2012105627A1 (ja) 2014-07-03
TWI594924B (zh) 2017-08-11
JP5920225B2 (ja) 2016-05-18
TW201236925A (en) 201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7892B1 (en) Robot cleaner
EP3778042A1 (en) Tool for cleaning electric heating smoking set
US11163262B2 (en) Process cartridge
CN105361738A (zh) 改进的食品加工机
KR20140009199A (ko) 약제분포장치
JPH107403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2843946B (zh) 电动吸尘器的吸入装置
US20200214437A1 (en) Cleaning roller for cleaning robots
CN103735225A (zh) 表面处理设备
US9720350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centerless auger to a rotatable member
CN216364941U (zh) 一种清洁头及表面清洁设备
US6604255B2 (en) Soldering iron cleaning apparatus
KR20170123802A (ko) 바퀴의 이물질 제거장치
WO2011049168A1 (ja) 散薬分配装置及び軸受カバー
WO2008088530A3 (en) Self-cleaning pet litter box
WO2016013284A1 (ja) 掃除ユニット及びそれを利用した掃除機
CN208659192U (zh) 扫地机器人和用于扫地机器人的驱动组件、主机和清洁刷
JP5175510B2 (ja) 分包装置
JP2017131312A (ja) 除粉機用の固形物順送り装置および除粉機
CN219542600U (zh) 一种管道去毛刺装置
AU2010347852A1 (en) Vacuum cleaner with dust visualization device
JP2009067434A (ja) 分包装置
WO2022243086A1 (en) Wet floor cleaner
JP2021536383A (ja) プリンタローラー用ブレードアセンブリ
KR20150069292A (ko) 연원료 부착 방지를 위한 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