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117A -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 Google Patents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117A
KR20140008117A KR1020120075242A KR20120075242A KR20140008117A KR 20140008117 A KR20140008117 A KR 20140008117A KR 1020120075242 A KR1020120075242 A KR 1020120075242A KR 20120075242 A KR20120075242 A KR 20120075242A KR 20140008117 A KR20140008117 A KR 2014000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upling
car seat
infa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영
김영대
홍길표
Original Assignee
(유)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송 filed Critical (유)삼송
Priority to KR102012007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8117A/ko
Publication of KR2014000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002/2815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a belt tension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차량 시트에 안착되는 시트부(100)와; 상기 시트부(100)와 중첩되거나 혹은 상기 시트부(100)에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200)와; 상기 시트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차량 시트의 프레임(1)이 삽입시에 상기 프레임(1)이 체결되어 상기 시트부가 상기 차량 시트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300)와; 상기 결합부재(300)와 상기 프레임(1)의 결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확인수단(400)을; 구비함으로써, 유아용 카시트와 차량 시트 사이의 결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결합확인수단을 마련하여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사고로부터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CAR-SEAT FOR INFANT HAVING COMBINATION CONFIRMATION MEANS}
본 발명은 차량용 유아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승한 유아를 사고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의 시트에 유아용 카시트가 정확하게 결합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의 탑승시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맨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된다. 그런데, 대개의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집이 적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아용 보호시트, 일 명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여 그 카시트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하고 있다.
종래의 카시트는 대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가 없는 의자 형태의 본체상에 쿠션재질의 커버지가 둘러싸여 지고, 등받이 전면 상부로부터 바닥면 사이를 잇는 한 쌍의 체결벨트가 장착되어 이루어진 구조로서, 이러한 카시트에 앉혀지는 유아는 양 어깨를 지나 가랑이 사이로 체결되는 체결벨트에 의해서 몸체의 이동이 억제된다.
상기에서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또한 유아를 카시트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구조 역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고정하는 방법 중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차량 탑승자가 사용하는 안전밸트를 유아용 카시트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간에 통과시켜 안전밸트의 버클을 상호 체결시킴으로써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차량이 사고시에 유아용 카시트가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밀착되지 않고 사고 충격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서 유아용 카시트가 들뜨게 됨으로 인하여 유아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최근에 새롭게 개발된 방법으로는 시트부와 등받이부로 이루어진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의 하측 후방으로 별도의 결합부재를 마련하여 이러한 결합부재가 차량 시트의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에 체결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별도로 마련된 결합부재와 차량 시트 내부의 프레임 사이의 결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지 않아 결합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단단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아를 유아용 카시트에 탑승시키고 차량을 운행시에 사고가 발생한다면 유아에게는 치명적인 위험이 가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아용 카시트와 차량 시트 사이의 결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결합확인수단을 마련하여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사고로부터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는,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차량 시트에 안착되는 시트부(100)와; 상기 시트부(100)와 중첩되거나 혹은 상기 시트부(100)에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200)와; 상기 시트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차량 시트의 프레임(1)이 삽입시에 상기 프레임(1)이 체결되어 상기 시트부가 상기 차량 시트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300)와; 상기 결합부재(300)와 상기 프레임(1)의 결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100) 또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확인수단(4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결합부재(310)에 삽입시에 상기 프레임과 체결되는 체결부재(320)와, 상기 체결부재(320)가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확인수단(400)은 일단이 상기 체결부재(320)의 일측과 접촉되며 상기 프레임(1)의 내부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410)와, 상기 등받이부(200)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부재(42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슬라이딩 운동과 연동하며 상기 체결부재(320)와 상기 프레임(1)이 상호 체결시에 상기 걸림부재(420)와 걸림상태가 해체되는 연동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430)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와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이동에 의하여 일단과 타단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시트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일면에는 경사면(412)이 형성되며, 상기 연동부재(430)는 일단이 상기 경사면(412)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시트부(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시트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420)는 상기 연동부재(43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421)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200)의 회전 운동의 중심과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상기 등받이부(200)에 고정 결합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와 상기 연동부재(430)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이동을 상기 연동부재(430)로 전달하는 별도의 전달부재(44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달부재(440)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에 고정 결합되는 와이어(441)와, 상기 와이어(441)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연동부재(430)의 회동운동을 구속하도록 일측이 상기 연동부재(430)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4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440)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동부재(43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연동부재(430)를 회동 구동시키는 연동와이어(44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41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별도의 제1복원스프링(4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동부재(430)의 일측에는 상기 연동부재(43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별도의 제2복원스프링(4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확인수단(400)은 상기 프레임(1)과 상기 결합부(300)가 상호 결속 완료시에 점등되는 표시등(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는, 유아용 카시트와 차량 시트 사이의 결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결합확인수단을 마련하여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사고로부터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에서 등받이부가 이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에서 등받이부가 이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에서 등받이부가 이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에서 등받이부가 이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에서 등받이부가 이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에서 등받이부가 이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에서 등받이부가 이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에서 등받이부가 이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는,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차량 시트에 안착되는 시트부(100)와, 시트부(100)와 중첩되거나 혹은 시트부(100)에서 펼쳐질 수 있도록 시트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200)와, 시트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차량 시트의 프레임(1)이 삽입시에 프레임(1)이 체결되어 시트부가 상기 차량 시트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300)와, 결합부재(300)와 프레임(1)의 결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트부(100) 또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확인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트부(100)는 차량 시트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재로서 유아가 착석시에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도록 큐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면은 차량이 회전시에 유아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등받이부(200)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시트부(100)에 착석한 유아의 등을 지지하게 되며, 차량이 회전시에 유아의 옆구리와 어깨를 지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부(200)의 양측면은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부(200)는 시트부(100)와 중첩된 상태로 부피를 줄여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고, 유아를 카시트에 착석시킬 경우에는 시트부(100)로부터 일정 각도 회전시켜 유아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시트부(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등받이부(200)의 배면 일측에는 프레임(1)과 연동부재(430)의 결속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합확인수단(40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프레임(1)과 결합부(300)가 상호 결속 완료시에 점등되는 표시등(210)으로 구성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시트부(100)와 등받이부(200)를 차량 시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차량 시트의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1)에 그 단부가 체결되는 부재로서, 시트부(100)의 하부 일측에 시트부(100)의 후방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300)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시트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프레임(1)이 결합부재(310)에 삽입시에 프레임(1)과 체결되는 체결부재(320)와, 체결부재(320)가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33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310)는 내부에 체결부재(320)와 탄성스프링(330)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단부는 체결부재(320)가 외부로 노출되어 프레임(1)과 체결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재(320)는 차량 시트의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1)과 체결될 수 있도록 그 단부는 고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결합부재(310)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단부는 결합부재(310)의 개구 형성된 일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탄성스프링(330)은 체결부재(320)의 회전 운동을 탄성지지하는 부재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320)가 프레임(1)과 체결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며,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320)가 프레임(1)과 체결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차량 시트에 구비된 프레임(1)이 개구 형성된 결합부재(310)의 일측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체결부재(320)를 밀게 되면 체결부재(320)가 회전 운동하여 고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단부가 프레임(1)에 걸리게 되어 상호 체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결합확인수단(400)은 일단이 체결부재(320)의 일측과 접촉되며 프레임(1)의 내부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410)와, 등받이부(200)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부재(420)와, 슬라이딩부재(410)의 슬라이딩 운동과 연동하며 체결부재(320)와 프레임(1)이 상호 체결시에 걸림부재(420)와 걸림상태가 해체되는 연동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슬라이딩부재(41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일단부는 체결부재(320)를 지지하고 있으며, 타단부는 연동부재(430)와 접촉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41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부재(410)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는 제1복원스프링(411)이 구비되는데, 제1복원스프링(411)은 슬라이등부재(410)를 결합부재(310)의 개구된 면을 향하여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부재(430)는 일단이 슬라이딩부재(410)와 접촉되어 슬라이딩부재(410)의 이동에 의하여 일단과 타단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시트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연동부재(430)의 타단은 등받이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재(420)에 걸려서 등받이부(200)의 회전 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연동부재(430)의 일단이 슬라이딩부재(410)에 의하여 밀리는 경우에는 타단이 걸림부재(420)에서 이탈된 상태가 되므로 등받이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슬라이딩부재(410)가 원위치에 배치되어 연동부재(43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동부재(430)의 타단이 걸림부재(420)와 걸린 상태가 되어 등받이부(200)가 회전 운동시키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연동부재(430)도 슬라이딩부재(410)와 마찬가지로 회전 후에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일측에 제2복원스프링(431)이 구비되는데, 제2복원스프링(431)은 연동부재(430)의 회전 운동을 탄성지지할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에 체결하기 위하여 시트부(100)를 차량 시트에 안착시킨 후에 차량 시트의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1)과 결합부재(310)의 개구된 면이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시트부(100)를 프레임(1) 측으로 밀면, 프레임(1)이 개구된 면을 통하여 그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슬라이딩부재(410)를 밀어내게 되며, 그와 동시에 슬라이딩부재(410)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던 체결부재(320)가 회전 구동하면서 프레임(1)과 걸려서 상호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410)가 연동부재(430)의 일단을 밀어서 연동부재(430)가 회전 구동하여 연동부재(430)의 타단이 걸림부재(420)에서 이탈된 상태가 되어 등받이부(20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표시등(210)이 점등된다.
따라서, 프레임(1)에 체결부재(320)가 정확하게 결합됨이 확인되며 사용자는 등받이부(200)를 회전시켜 유아를 카시트에 앉힐 수 있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부에서 등받이부가 이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다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슬라이딩부재(410)의 일면에는 경사면(412)이 형성되며, 연동부재(430)는 일단이 경사면(412)과 접촉되고 타단이 슬라이딩부재(410)의 이동에 따라 시트부(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시트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410)에 형성된 경사면(412)은 슬라이딩부재(410)가 시트부(100)의 내측으로 이동시에 연동부재(430)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슬라이딩부재(41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부재(410)를 복원시킬 수 있는 별도의 제1복원스프링(41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420)는 연동부재(43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421)이 형성되며 등받이부(200)의 회전 운동의 중심과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등받이부(200)에 고정 결합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에 체결하기 위하여 시트부(100)를 차량 시트에 안착시킨 후에 차량 시트의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1)과 결합부재(310)의 개구된 면이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시트부(100)를 프레임(1) 측으로 밀면 프레임(1)이 개구된 면을 통하여 그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체결부재(320)를 회전 구동시켜 체결부재(320)와 프레임(1)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결부재(320)의 회전에 의하여 체결부재(320)의 일측에 지지되어 있던 슬라이딩부재(410)가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부재(410)의 경사면(412)을 따라 연동부재(43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연동부재(430)의 단부가 걸림부재(420)의 삽입홈(421)에서 이탈되어 등받이부(20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그와 동시에 표시등(210)이 점등된다.
따라서, 프레임(1)에 체결부재(320)가 정확하게 결합됨이 확인되며 사용자는 등받이부(200)를 회전시켜 유아를 카시트에 앉힐 수 있게 된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슬라이딩부재(410)와 연동부재(430) 사이에는 슬라이딩부재(410)의 이동을 연동부재(430)로 전달하는 별도의 전달부재(440)가 구비될 수 있다.
전달부재(440)는 일단이 슬라이딩부재(410)에 고정 결합되는 와이어(441)와, 와이어(441)의 타단과 연결되어 연동부재(430)의 회동운동을 구속하도록 일측이 연동부재(430)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44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441)의 일단은 슬라이딩부재(41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슬라이딩부재(41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부재(44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시트부(100)의 내부 일측에는 와이어(441)가 경유하는 롤러(44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41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부재(410)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는 제1복원스프링(411)이 구비되며, 연동부재(430)의 일측에는 연동부재(430)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는 제2복원스프링(431)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에 체결하기 위하여 시트부(100)를 차량 시트에 안착시킨 후에 차량 시트의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1)과 결합부재(310)의 개구된 면이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시트부(100)를 프레임(1) 측으로 밀면 프레임(1)이 개구된 면을 통하여 그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체결부재(320)를 회전 구동시켜 체결부재(320)와 프레임(1)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결부재(320)의 회전에 의하여 체결부재(320)의 일측과 접촉되어 지지되던 슬라이딩부재(410)가 이동하면서 와이어(441)를 통하여 지지부재(442)를 하측으로 당기게 되어 연동부재(430)가 회전하면서 등받이부(200)에 구비된 걸림부재(420)가 연동부재(430)에서 이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등받이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되며, 그와 동시에 표시등(210)이 점등된다.
따라서, 프레임(1)에 체결부재(320)가 정확하게 결합됨이 확인되며 사용자는 등받이부(200)를 회전시켜 유아를 카시트에 앉힐 수 있게 된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의 전달부재(440)는 일단이 슬라이딩부재(41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연동부재(43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연동부재(430)를 회동 구동시키는 연동와이어(443)로 구성될 수 있다.
연동와이어(443)의 타단은 시트부(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동부재(430)의 회전 중심보다 상측의 연동부재(430)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슬라이딩부재(410)가 이동시에 연동부재(430)의 단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걸림부재(420)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41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부재(410)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는 제1복원스프링(411)이 구비되며, 연동부재(430)의 일측에는 연동부재(430)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는 제2복원스프링(431)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 시트에 체결하기 위하여 시트부(100)를 차량 시트에 안착시킨 후에 차량 시트의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1)과 결합부재(310)의 개구된 면이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시트부(100)를 프레임(1) 측으로 밀면 프레임(1)이 개구된 면을 통하여 그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체결부재(320)를 회전 구동시켜 체결부재(320)와 프레임(1)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결부재(320)의 회전에 의하여 체결부재(320)의 일측과 접촉되어 지지되던 슬라이딩부재(410)가 이동하면서 와이어(441)가 연동부재(430)를 당기게 되어 연동부재(430)가 회전하면서 등받이부(200)에 구비된 걸림부재(420)가 연동부재(430)에서 이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등받이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되며, 그와 동시에 표시등(210)이 점등된다.
따라서, 프레임(1)에 체결부재(320)가 정확하게 결합됨이 확인되며 사용자는 등받이부(200)를 회전시켜 유아를 카시트에 앉힐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시트부 200 : 등받이부
210 : 보조결합확인수단
300 : 결합부 310 : 결합부재
320 : 체결부재 330 : 탄성스프링
400 : 결합확인수단 410 : 슬라이딩부재
420 : 걸림부재 430 : 연동부재

Claims (12)

  1.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차량 시트에 안착되는 시트부(100)와;
    상기 시트부(100)와 중첩되거나 혹은 상기 시트부(100)에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200)와;
    상기 시트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차량 시트의 프레임(1)이 삽입시에 상기 프레임(1)이 체결되어 상기 시트부가 상기 차량 시트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300)와;
    상기 결합부재(300)와 상기 프레임(1)의 결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100) 또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확인수단(4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결합부재(310)에 삽입시에 상기 프레임(1)과 체결되는 체결부재(320)와, 상기 체결부재(320)가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33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확인수단(400)은 일단이 상기 체결부재(320)의 일측과 접촉되며 상기 프레임(1)의 내부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410)와, 상기 등받이부(200)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부재(42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슬라이딩 운동과 연동하며 상기 체결부재(320)와 상기 프레임(1)이 상호 체결시에 상기 걸림부재(420)와 걸림상태가 해체되는 연동부재(4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430)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와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이동에 의하여 일단과 타단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시트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일면에는 경사면(412)이 형성되며, 상기 연동부재(430)는 일단이 상기 경사면(412)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시트부(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시트부(10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20)는 상기 연동부재(43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421)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200)의 회전 운동의 중심과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상기 등받이부(200)에 고정 결합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와 상기 연동부재(430)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이동을 상기 연동부재(430)로 전달하는 별도의 전달부재(4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440)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에 고정 결합되는 와이어(441)와, 상기 와이어(441)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연동부재(430)의 회동운동을 구속하도록 일측이 상기 연동부재(430)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44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440)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동부재(43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연동부재(430)를 회동 구동시키는 연동와이어(4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41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41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별도의 제1복원스프링(41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430)의 일측에는 상기 연동부재(43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별도의 제2복원스프링(43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확인수단(400)은 상기 프레임(1)과 상기 결합부(300)가 상호 결속 완료시에 점등되는 표시등(2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KR1020120075242A 2012-07-10 2012-07-10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KR20140008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242A KR20140008117A (ko) 2012-07-10 2012-07-10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242A KR20140008117A (ko) 2012-07-10 2012-07-10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117A true KR20140008117A (ko) 2014-01-21

Family

ID=5014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242A KR20140008117A (ko) 2012-07-10 2012-07-10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81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59B1 (ko) 2014-12-05 2016-01-20 이지영 잠금부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의 리어커버 및 이를 이용한 유아용 카시트
KR101586960B1 (ko) 2014-12-05 2016-01-20 이지현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CN110001471A (zh) * 2017-12-21 2019-07-12 宝得适罗姆儿童安全有限公司 具有带式枢轴连接的儿童安全座椅
KR20190093359A (ko) * 2018-02-01 2019-08-09 임정호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US10604035B2 (en) 2016-01-29 2020-03-31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352A (ja) * 1991-12-05 1994-06-14 Takata Kk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JPH06344816A (ja) * 1993-06-08 1994-12-20 Takata Kk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JPH07323770A (ja) * 1994-05-30 1995-12-12 Takata Kk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KR100288091B1 (ko) * 1991-12-05 2001-05-02 다카다 쥬이치로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KR100288089B1 (ko) * 1991-12-05 2001-05-02 다카다 쥬이치로 유아용 구속 보호시이트
JP2001130299A (ja) * 1999-11-02 2001-05-15 Daihatsu Motor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JP3775203B2 (ja) * 2000-10-13 2006-05-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352A (ja) * 1991-12-05 1994-06-14 Takata Kk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KR100288091B1 (ko) * 1991-12-05 2001-05-02 다카다 쥬이치로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KR100288089B1 (ko) * 1991-12-05 2001-05-02 다카다 쥬이치로 유아용 구속 보호시이트
JPH06344816A (ja) * 1993-06-08 1994-12-20 Takata Kk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JPH07323770A (ja) * 1994-05-30 1995-12-12 Takata Kk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JP2001130299A (ja) * 1999-11-02 2001-05-15 Daihatsu Motor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JP3775203B2 (ja) * 2000-10-13 2006-05-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支持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59B1 (ko) 2014-12-05 2016-01-20 이지영 잠금부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의 리어커버 및 이를 이용한 유아용 카시트
KR101586960B1 (ko) 2014-12-05 2016-01-20 이지현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US10604035B2 (en) 2016-01-29 2020-03-31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US10940779B2 (en) 2016-01-29 2021-03-09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CN110001471A (zh) * 2017-12-21 2019-07-12 宝得适罗姆儿童安全有限公司 具有带式枢轴连接的儿童安全座椅
KR20190093359A (ko) * 2018-02-01 2019-08-09 임정호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8117A (ko)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KR101612542B1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JP4852601B2 (ja) 車両シート内又は関連する進歩的構造
KR101740378B1 (ko) 어린이용 시트
JP2558451Y2 (ja) 車両用シート
US20070052264A1 (en) Backrest structure of foldable safety seat
JP2004090907A (ja) 自動車用子供座席
KR101315120B1 (ko)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KR100825110B1 (ko)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KR102208169B1 (ko) 차량용 시트
JP5704462B2 (ja) 車両シート装置
KR200477727Y1 (ko) 내장형 카시트
JP2011143920A (ja) 複数の着座姿勢を有する幼児搬送装置
US20200017004A1 (en) Portable car seat
KR101402737B1 (ko) 운송수단용 보조시트
KR101788719B1 (ko) 카시트
JP3075720B1 (ja) 自動車シートを利用したチャイルドシートシステム及びその保護部材
KR101963394B1 (ko) 좌석 일체형 카시트
KR102281303B1 (ko)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KR101526393B1 (ko) 차량용 시트 조절장치
KR101348368B1 (ko) 차량용 유아보호 시트
CN219806729U (zh) 一种多功能座椅底座及儿童安全座椅
TWI839816B (zh) 安全座椅
KR102024154B1 (ko) 자동차의 유아용 안전보호구
JP3181338U (ja) 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車両シ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