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120B1 -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120B1
KR101315120B1 KR1020110036533A KR20110036533A KR101315120B1 KR 101315120 B1 KR101315120 B1 KR 101315120B1 KR 1020110036533 A KR1020110036533 A KR 1020110036533A KR 20110036533 A KR20110036533 A KR 20110036533A KR 101315120 B1 KR101315120 B1 KR 101315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belt
seat
child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893A (ko
Inventor
강주일
박연옥
Original Assignee
박연옥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옥,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filed Critical 박연옥
Priority to KR102011003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12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 차량내 좌석에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트에 앉은 유아나 어린이의 신체를 견고하게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의 안전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양측 상하 각각에 시트벨트의 어깨벨트와 허리벨트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시트벨트 고정홈이 형성되어지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일정크기의 등받이; 등받이의 전면에 배열되는 일정두께의 등받이 쿠션; 등받이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다음 등받이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어지되 등받이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어깨와 허리 및 가랑이를 구속하는 5점식 구조의 안전벨트; 등받이의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안전벨트 끝단에 설치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가랑이 사이로 위치되는 버클; 등받이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형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부분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버클에 체결되는 고정후크; 및 등받이의 배면에서 안전벨트를 구속하는 안전벨트 구속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Car safety seats for children}
본 발명은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차의 뒷좌석에 구성된 시트벨트를 통해 승용차의 뒷좌석에 고정시키는 구조의 안전시트에 유아나 어린이를 구속시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행 중에는 추돌이나 충격으로부터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모든 자동차의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하여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적으로 작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거의 무용지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20011년 4월 1일자로 자동차 전용도로의 경우 차량의 뒷좌석에도 안전벨트 의무화에 따른 법 개정으로 인하여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된 뒷좌석의 안전벨트는 신체적으로 작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 있어서는 오히려 사고의 위험성을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추돌이나 충격으로부터 유아나 어린이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없다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에 따라 신체적으로 나약한 유아나 어린이들을 차량에 탑승시킬 경우 유아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량 내 좌석에 설치 고정하여 유아를 앉힐 수 있는 각 종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가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각 종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대부분은 유아들이 앉을 수 있는 좌석시트, 좌석시트와 일체로 구성되어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시트, 좌석시트에 앉은 유아의 몸을 구속하여 추돌이나 충격에 의해 안전시트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시트벨트 및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좌석시트에 앉은 유아의 가슴부분을 보호하는 가슴 보호대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에 있어서는 유아들을 좌석시트에 앉힌 후 시트벨트와 가슴보호대를 통해 상체를 구속함으로써 추돌사고나 충격 등의 유사시 안전시트에 앉힌 유아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안전시트는 탑승객 즉, 유아나 어린이들의 신체를 구속하는 것에만 주안점을 둔 것으로 통상 합성수지로 성형된 시트에 쿠션재를 씌운 후 그 위로 직물지의 커버를 덮어씌우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커버가 손상된 경우나 더러워진 경우 분해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세탁에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안전시트는 유아나 어린이의 신체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크기를 갖는 좌석시트와 등받이시트에 커버를 덮어씌우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체가 큰 어린이의 경우 안전시트에 앉혀도 오히려 몸이 구속되지 못하므로 만일의 사태에 안전을 도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안전시트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이를 차량의 좌석에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휴대하는 문제에 있어서도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는 대체적으로 고가이므로 구입하는데 따른 비용 부담의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내 좌석에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트에 앉은 유아나 어린이의 신체를 견고하게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의 안전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보다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저렴한 비용의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를 제공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입하는데 따른 비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2점식 시트벨트, 3점식 시트벨트 및 5점식 시트벨트 등 어떠한 시트벨트에도 등받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를 통해 어떠한 차량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세탁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는 차량의 뒷좌석에 구성된 시트벨트를 통해 고정시켜 유아나 어린이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에 있어서,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는 양측 상하 각각에 시트벨트의 어깨벨트와 허리벨트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시트벨트 고정홈이 형성되어지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일정크기의 등받이; 등받이의 전면에 배열되는 일정두께의 등받이 쿠션; 등받이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다음 등받이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어지되 등받이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어깨와 허리 및 가랑이를 구속하는 5점식 구조의 안전벨트; 등받이의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안전벨트 끝단에 설치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가랑이 사이로 위치되는 버클; 등받이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형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부분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버클에 체결되는 고정후크; 및 등받이의 배면에서 안전벨트를 구속하는 안전벨트 구속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등받이 양측 각각에 형성된 시트벨트 고정홈은 외측방향으로 시트벨트의 어깨벨트와 허리벨트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안전벨트는 하나의 벨트 양끝단을 버클을 통해 연결하여 두 겹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두 겹의 안전벨트 사이에 등받이를 위치시킨 다음 버클이 설치된 부분을 등받이의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배열되도록 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등받이 양측 각각에 형성된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의 하부에는 안전벨트의 측면 연장부분을 구속하기 위한 벨트 구속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안전벨트 구속수단은 등받이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벨트부분의 상하 유동을 구속하는 상하 구속수단; 및 등받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되어 등받이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는 벨트부분의 좌우 유동을 구속하는 좌우 구속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안전벨트 구속수단을 구성하는 상하 구속수단은 등받이의 배면 하부측 양측에 형성된 제 1a 나사홈; 제 1a 나사홈 사이의 중간 부분 하부의 등받이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 1b 나사홈; 등받이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벨트부분을 구속하되 하나의 밴드를 두 겹으로 겹친 구조의 제 1 고정밴드; 및 제 1 고정밴드 각각을 제 1 나사홈 상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나사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안전벨트 구속수단을 구성하는 좌우 구속수단은 등받이의 배면 상부측 양측에 형성된 제 2 나사홈; 등받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되어 등받이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는 벨트부분을 구속하는 제 2 고정밴드; 및 제 2 고정밴드의 양 끝단을 제 2 나사홈에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나사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등받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다음 등받이 상단으로 연장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어깨를 구속하는 벨트부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벨트의 어깨 넓이를 조절하는 어깨넓이 조절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차량내 좌석에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트에 앉은 유아나 어린이의 신체를 견고하게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의 안전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보다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저렴한 비용의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를 제공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입하는데 따른 비용의 부담을 줄일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2점식 시스벨트, 3점식 시트벨트 및 5점식 시트벨트 등 어떠한 시트벨트에도 등받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를 통해 어떠한 차량에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쿠션만을 분리하여 세탁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정면측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정면측을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등받이 배면을 보인 배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배면측을 분리하여 부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를 차량의 뒷좌석 시트벨트를 통해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에 어린이의 구속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에 어린이의 구속을 보인 실제 사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정면측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정면측을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등받이 배면을 보인 배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배면측을 분리하여 부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를 차량의 뒷좌석 시트벨트를 통해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에 어린이의 구속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에 어린이의 구속을 보인 실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는 차량의 뒷좌석에 구성된 시트벨트(10)를 통해 고정시켜 유아나 어린이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이나 본 발명은 시트가 없는 등받이만 이는 구조라는 점에서 종래의 기술과는 상이하다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는 시트는 차량의 시트를 그대로 이용하되 등받이만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양측 상하 각각에 시트벨트(10)의 어깨벨트(12)와 허리벨트(14)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시트벨트 고정홈(112, 114)이 형성되어지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일정크기의 등받이(110), 등받이(110)의 전면에 배열되는 일정두께의 등받이 쿠션(120), 등받이(110)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다음 등받이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어지되 등받이(110)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어깨와 허리 및 가랑이를 구속하는 5점식 구조의 안전벨트(130), 등받이(110)의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끝단에 설치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가랑이 사이로 위치되는 버클(140), 등받이(110)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형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부분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버클(140)에 체결되는 고정후크(150) 및 등받이(110)의 배면에서 안전벨트(130)를 구속하는 안전벨트 구속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는 차량의 뒷좌석에 등받이(110)의 배면을 뒷좌석의 등받이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차량의 뒷좌석에 구성된 시트벨트(10)를 잡아 빼어 어깨밸트(12) 부분은 등받이(110)의 양측에 형성된 상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2)을 통해 삽입되어 등받이(110)의 전면을 사선 방향으로 경유하도록 하고, 시트벨트(10)의 허리벨트(14)는 등받이(110)의 양측에 형성된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4)을 통해 삽입되어 등받이(110)의 전면을 횡방향으로 경유하도록 한 다음, 시트벨트(10)의 후크(22)를 차량의 뒷좌석에 구성된 고정버클(20) 상에 체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를 차량의 뒷좌석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를 차량의 뒷좌석에 고정시킨 다음에는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의 버클(140)과 후크(150)를 해제하여 안전벨트(130)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유아나 어린이를 차량의 뒷좌석에 앉혀 등받이 쿠션(120)을 조절한 다음, 버클(140)을 유아나 어린이의 가랑이 사이로 올린 상태에서 후크(150)를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를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에 구속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버클(140)에 후크(150)를 체결하여 유아나 어린이를 구속한 다음에는 안전벨트(1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에 유아나 어린이의 안전한 구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등받이(110)는 구속되는 유아나 어린이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등받이(110)는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상하 각각에 시트벨트(10)의 어깨벨트(12)와 허리벨트(14)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시트벨트 고정홈(112, 114)이 형성되어지되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등받이(110)의 구성에서 등받이(110) 양측 각각에 형성된 시트벨트 고정홈(112, 114)은 외측방향으로 시트벨트(10)의 어깨벨트(12)와 허리벨트(14)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등받이(110)의 구성에서 등받이(110) 양측 각각에 시트벨트 고정홈(112, 114)을 상하 두 깨씩 형성한 것은 차량의 뒷좌석 좌우 양측에 대비하여 형성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시트(100)를 차량의 뒷좌석 중 왼쪽 좌석의 3점식 시트벨트(10)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트벨트(10)의 어깨벨트(12)가 등받이(110)의 왼쪽 상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2)을 통해 삽입되어 역사선의 등받이(110) 전면을 통해 오른쪽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4)으로 삽입되고, 허리벨트(14)는 왼쪽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4)을 통해 삽입되어 등받이(110) 전면을 통해 횡방향의 오른쪽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4)으로 삽입되어진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시트(100)를 차량의 뒷좌석 중 오른쪽 좌석의 3점식 시트벨트(10)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트벨트(10)의 어깨벨트(12)가 등받이(110)의 오른쪽 상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2)을 통해 삽입되어 사선의 등받이(110) 전면을 통해 왼쪽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4)으로 삽입되고, 허리벨트(14)는 오른쪽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4)을 통해 삽입되어 등받이(110) 전면을 통해 횡방향의 왼쪽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4)으로 삽입되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전시트(100)를 허리 부분만 고정시키는 2점식 시트벨트를 통해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허리벨트를 는 오른쪽 또는 왼쪽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4)을 통해 삽입되어 등받이(110) 전면을 통해 횡방향의 왼쪽 또는 오른쪽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4)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허리벨트를 통해 안전시트를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2점식 시트벨트와 3점식 시트벨트 이외에도 5점식 시트벨트 등 어떠한 구조의 시트벨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안전시트(100)는 고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110)의 구성에서 등받이(110) 양측 각각에 형성된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114)의 하부에는 유아나 어린이를 구속하기 위한 안전벨트(130)의 측면 연장부분을 구속하기 위한 벨트 구속홈(116)이 더 형성되어 안전벨트(130)의 측면 연장부분이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등받이 쿠션(120)은 안전시트(100)에 구속되는 유아나 어린이의 등에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등받이 쿠션(120)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두께로 구성되어 등받이(110)의 전면에 배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의 구성에서 등받이 쿠션(120)은 등받이(110)의 전면에 위치되기는 하나 등받이(110)에 고정되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등받이 쿠션(120)은 유아나 어린이를 구속시키는 경우에만 유아나 어린이의 등과 등받이(110) 전면 사이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 쿠션(120)은 등받이(110)에 고정되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염되는 경우 등받이 쿠션(120) 만을 분리하여 세탁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의 등받이 쿠션(120)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안전벨트(130)는 등받이(110)에 유아나 어린이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안전벨트(130)는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10)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다음 등받이(110)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어지되 등받이(110)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어깨와 허리 및 가랑이를 구속하는 5점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안전벨트(130)는 하나의 벨트 양끝단을 버클(140)을 통해 연결하여 두 겹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두 겹의 안전벨트(130) 사이에 등받이(110)를 위치시킨 다음 버클(140)이 설치된 부분을 등받이(110)의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배열되도록 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버클(140)이 설치된 벨트부분 또는 측면 방향의 벨트부분에는 안전벨트(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 조절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안전벨트(130)는 유아나 어린이의 어깨와 허리 및 가랑이 부분의 벨트를 배 부분에서 버클(140)과 후크(150)로 고정시킴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를 등받이 쿠션(120)에 밀착되도록 하여 구속시킬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클(140)은 후술하는 후크(150)와의 체결을 통해 안전벨트(130)로 유아나 어린이를 구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버클(140)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10)의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안전벨트(130) 끝단에 설치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가랑이 사이로 위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버클(140)의 상단에는 후크(15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이 삽입홀을 통해 어깨와 허리를 연장한 안전벨트(130) 부분에 구성된 후크(150)를 체결함으로써 안전벨트(130)의 5점식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버클(140)과 세트로 이루어지는 후크(150)는 버클(140)과 체결을 통해 안전벨트(130)로 유아나 어린이를 구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후크(150)는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10)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형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벨트부분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면으로부터 횡방형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벨트부분이 양측에 구성되기 때문에 후크(150) 역시 두 개를 필요로 한다. 이처럼 두 개의 후크(150)와 하나의 버클(140)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안전벨트(130)는 5점식의 고정구조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안전벨트 구속수단은 등받이(110)의 배면으로 연장된 안전벨트(130)의 배면측 벨트부분을 구속시켜 상하 및 좌우의 유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안전벨트 구속수단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10)의 배면에서 안전벨트(130)를 구속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전벨트 구속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등받이(110)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벨트부분의 상하 유동을 구속하는 상하 구속수단(160a) 및 등받이(110)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되어 등받이(110)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는 벨트부분의 좌우 유동을 구속하는 좌우 구속수단(160b)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전벨트 구속수단의 구성에서 상하 구속수단(160a)은 등받이(110)의 배면 하부측 양측에 형성된 제 1a 나사홈(162a), 제 1a 나사홈(162a) 사이의 중간 부분 하부의 등받이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 1b 나사홈(164a), 등받이(110)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벨트부분을 구속하되 하나의 밴드를 두 겹으로 겹친 구조의 제 1 고정밴드(166a) 및 제 1 고정밴드(166a) 각각을 제 1a 및 제 1b 나사홈(162a, 164a) 상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나사(168a)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하 구속수단(160a)의 구성에서 두 개의 제 1a 나사홈(162a)은 동일 수평선 상에 형성되고, 하나의 제 1b 나사홈(164a)은 두 개의 제 1a 나사홈(162a) 중간으로부터 하부측에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상하 구속수단(160a)의 구성에서 제 1 고정밴트(166a)는 하나의 밴드를 두 겹으로 겹쳐 가운데 홈이 형성된 구조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형성된 제 1a 나사홈(162a) 상의 고정밴드(166a)는 하향의 수직방향으로, 제 1b 나사홈(164a) 상의 고정밴드(166a)는 상향의 수직방향으로 하여 등받이(110)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벨트부분이 고정밴드(166a)의 홈을 관통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a 나사홈(162a) 상의 고정밴드(166a)는 하향의 수직방향으로, 제 1b 나사홈(164a) 상의 고정밴드(166a)는 상향의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를 관통한 횡방향의 벨트부분은 상하로 움직임이 제한되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전벨트 구속수단을 구성하는 좌우 구속수단(160b)의 구성을 살펴보면 좌우 구속수단(160b)은 등받이(110)의 배면 상부측 양측에 형성된 제 2 나사홈(162b), 등받이(110)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되어 등받이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는 벨트부분을 구속하는 제 2 고정밴드(164b) 및 제 2 고정밴드(164b)의 양 끝단을 제 2 나사홈(162b)에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나사(166b)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좌우 구속수단(160b)의 구성에서 제 2 고정밴드(164b)는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횡방향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어 양 끝단이 제 2 고정나사(166b)를 통해 양측의 제 2 나사홈(162b) 상에 고정됨으로써 등받이(110 배면과 제 2 고정밴드(164b) 내측면 사이를 통해 등받이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는 벨트부분이 통과되도록 하여 좌우 양측의 제 2 나사홈(162b) 사이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에는 등받이(110)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다음 등받이(110) 상단으로 연장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어깨를 구속하는 벨트부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벨트의 어깨 넓이를 조절하는 어깨넓이 조절구(170)가 더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어깨넓이 조절구(170)는 어깨부분의 벨트가 벌어져 구속된 유아나 어린이가 안전시트(100)로부터 상체가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신체 조건이 다른 유아나 어린이를 대비하여 유아나 어린이의 어깨를 구속하는 벨트부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100)는 등받이(110)를 차량의 뒷좌석에 구성된 시트벨트(10)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안전시트(100)의 고정과 고정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등받이 쿠션(120)이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세척이 용이하고, 무엇보다 저가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안전시트 110. 등받이
112, 114. 시트벨트 고정홈 116. 벨트 구속홈
120. 등받이 쿠션 130. 안전벨트
140. 버클 150. 후크
160a. 상하 구속수단 160b. 좌우구속수단
162a. 제 1a 나사홈 164a. 제 1b 나사홈
166a. 제 1 고정밴드 168a. 제 1 고정나사
162b. 제 2 나사홈 164b. 제 2 고정밴드
166b. 제 2 고정나사

Claims (8)

  1. 차량의 뒷좌석에 구성된 시트벨트를 통해 고정시켜 유아나 어린이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는 양측 상하 각각에 상기 시트벨트의 어깨벨트와 허리벨트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시트벨트 고정홈이 형성되어지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일정크기의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전면에 배열되는 일정두께의 등받이 쿠션;
    상기 등받이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다음 등받이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어지되 등받이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어깨와 허리 및 가랑이를 구속하는 5점식 구조의 안전벨트;
    상기 등받이의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상기 안전벨트 끝단에 설치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가랑이 사이로 위치되는 버클;
    상기 등받이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형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부분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버클에 체결되는 고정후크;
    상기 등받이의 배면 하부측 양측에 형성된 제 1a 나사홈, 상기 제 1a 나사홈 사이의 중간 부분 하부의 상기 등받이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 1b 나사홈, 상기 등받이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벨트부분을 구속하되 하나의 밴드를 두 겹으로 겹친 구조의 제 1 고정밴드 및 상기 제 1 고정밴드 각각을 상기 제 1 나사홈 상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나사로 이루어져 등받이의 배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벨트부분의 상하 유동을 구속하는 상하 구속수단과 상기 등받이의 배면 상부측 양측에 형성된 제 2 나사홈, 상기 등받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되어 등받이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는 벨트부분을 구속하는 제 2 고정밴드 및 상기 제 2 고정밴드의 양 끝단을 상기 제 2 나사홈에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나사로 이루어져 상기 등받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되어 등받이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연장되는 벨트부분의 좌우 유동을 구속하는 좌우 구속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등받이의 배면에서 안전벨트를 구속하는 안전벨트 구속수단;
    상기 등받이 양측 각각에 형성된 하부측 시트벨트 고정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벨트의 측면 연장부분을 구속하는 벨트 구속홈; 및
    상기 등받이 양측면을 통해 전면으로 연장된 다음 등받이 상단으로 연장 형성되어지되 유아나 어린이의 어깨를 구속하는 벨트부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벨트의 어깨 넓이를 조절하는 어깨넓이 조절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양측 각각에 형성된 시트벨트 고정홈은 외측방향으로 상기 시트벨트의 어깨벨트와 허리벨트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는 하나의 벨트 양끝단을 상기 버클을 통해 연결하여 두 겹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두 겹의 안전벨트 사이에 상기 등받이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버클이 설치된 부분을 상기 등받이의 상단을 통해 배면으로 배열되도록 한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036533A 2011-04-20 2011-04-20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KR101315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533A KR101315120B1 (ko) 2011-04-20 2011-04-20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533A KR101315120B1 (ko) 2011-04-20 2011-04-20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893A KR20120118893A (ko) 2012-10-30
KR101315120B1 true KR101315120B1 (ko) 2013-10-08

Family

ID=4728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533A KR101315120B1 (ko) 2011-04-20 2011-04-20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561B1 (ko) * 2015-06-15 2015-09-21 이재효 차량용 안전시트
KR20150114761A (ko) 2014-04-02 2015-10-13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42B1 (ko) * 2013-08-20 2014-04-07 김정율 어린이용 시트벨트
KR101479700B1 (ko) * 2013-09-05 2015-01-12 최현숙 유아용 안전시트
GB2536913A (en) 2015-03-31 2016-10-05 Osei-Owusu Paul Child safety harness
CN107804199A (zh) * 2017-11-24 2018-03-16 安徽羽贝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安全座椅用靠背调档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527Y1 (ko) * 1991-09-16 1993-09-24 정숙자 자동차의 시트에고정되어 종횡의 안전밸트를 가진 착용상의
JP2001180432A (ja) * 1999-12-22 2001-07-03 Yamaoka Kinzoku Kogyo Kk 乗車時における幼児用保護部材
JP2002508274A (ja) * 1997-12-16 2002-03-19 マグナ インテリア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小児拘束シートの安全ベルト組立体
JP2003226172A (ja) * 2002-02-05 2003-08-12 Kazuo Yuki 乗物用幼児拘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527Y1 (ko) * 1991-09-16 1993-09-24 정숙자 자동차의 시트에고정되어 종횡의 안전밸트를 가진 착용상의
JP2002508274A (ja) * 1997-12-16 2002-03-19 マグナ インテリア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小児拘束シートの安全ベルト組立体
JP2001180432A (ja) * 1999-12-22 2001-07-03 Yamaoka Kinzoku Kogyo Kk 乗車時における幼児用保護部材
JP2003226172A (ja) * 2002-02-05 2003-08-12 Kazuo Yuki 乗物用幼児拘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761A (ko) 2014-04-02 2015-10-13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시트
KR101554561B1 (ko) * 2015-06-15 2015-09-21 이재효 차량용 안전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893A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120B1 (ko)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US8251457B2 (en) Child restraint safety device
WO2013168864A1 (ko)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WO2014171079A1 (ja) 幼児拘束装置
EP3554889B1 (en) Child safety seat for a vehicle
KR101026860B1 (ko) 어린이용 안전시트
US8534757B2 (en) Child safety seat and its installation method
JP2019507056A (ja) 携帯用の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締結装置
US9114738B2 (en) Flip forward buckle assembly
KR101716568B1 (ko) 어린이 안전시트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보조시트
KR101382542B1 (ko) 어린이용 시트벨트
CA2936872C (en) Safety seat/booster seat harness pad
KR102404435B1 (ko) 시트형 카시트
CA2815420C (en) Flip forward buckle assembly
KR102201179B1 (ko) 차량 좌석의 등받이와 안전시트 등받이 사이의 공간이 벌이지지 않게 고정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안전시트.
KR200261829Y1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KR20200076122A (ko) 차량용 어린이 보호대
KR100618087B1 (ko) 시트벨트 장치
KR102224406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WO2013170088A1 (en) Harness guard safety system
KR102128052B1 (ko) 차량용 유아 시트
KR102269951B1 (ko) 어린이용 안전벨트 쿠션장치
KR20030012296A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KR20140115799A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의 벨트 가이드부재
KR101382280B1 (ko) 차량용 뒷좌석 시트벨트의 웨빙 루트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