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561B1 - 차량용 안전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4561B1 KR101554561B1 KR1020150084004A KR20150084004A KR101554561B1 KR 101554561 B1 KR101554561 B1 KR 101554561B1 KR 1020150084004 A KR1020150084004 A KR 1020150084004A KR 20150084004 A KR20150084004 A KR 20150084004A KR 101554561 B1 KR101554561 B1 KR 1015545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guide
- longitudinal
- backrest
- shou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 B60N2002/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차량용 안전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는 영유아의 신체를 받쳐주는 등받이부가 구비되되, 상기 시트벨트의 어깨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면에는 제1 어깨벨트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 어깨벨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벨트의 허리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어깨벨트 홈의 하부에는 허리벨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와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벨트부가 구비되되, 상기 벨트부는 종방향으로 감싸는 종방향 벨트부와 횡방향으로 감싸는 횡방향 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는 상기 종방향 벨트부의 좌우 유동과 횡방향 벨트부의 상하 유동을 동시에 가이드하는 허리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차량용 안전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는 영유아의 신체를 받쳐주는 등받이부가 구비되되, 상기 시트벨트의 어깨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면에는 제1 어깨벨트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 어깨벨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벨트의 허리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어깨벨트 홈의 하부에는 허리벨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와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벨트부가 구비되되, 상기 벨트부는 종방향으로 감싸는 종방향 벨트부와 횡방향으로 감싸는 횡방향 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는 상기 종방향 벨트부의 좌우 유동과 횡방향 벨트부의 상하 유동을 동시에 가이드하는 허리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영유아의 신체를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와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는 벨트부 그리고 상기 벨트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허리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등받이부는 제1,2 어깨밸트 홈을 구비하여 시트벨트의 종류와 영유아의 신체 사이즈와 무관하게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며, 상기 허리 가이드부는 상기 벨트부의 종방향 벨트부의 좌우 유동과 횡방향 벨트부의 상하 유동을 동시에 가이드하는 차량용 안전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시트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는 성인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영유아의 경우에는 별도의 차량용 안전시트를 구비하여 영유아의 신체를 안전하게 고정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영유아용 안전시트는 차량에 안전시트를 결합하는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안전시트의 사이즈가 비대하여 시트벨트에 안전시트를 결합하더라도 안전시트의 사이즈로 인하여 차량의 작은 움직임에도 안전시트가 유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시트가 영유아의 신체를 구속하는 것에 주된 목적을 지니고 제작되어, 영유아의 신체가 시트로부터 자유롭지 않았으며, 안전시트를 세탁하거나 분리하는 것에 번거로움이 동반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전시트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시트벨트에 안전시트를 결합하는 과정을 간소화하고, 등받이만을 구비하여 영유아의 신체가 비교적 자유로우며, 커버부만을 분리하여 세탁도 간이한 차량용 안전시트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520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2013. 9. 30.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가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의 양 측면에만 시트벨트 고정홈이 형성되어 영유아의 신체 사이즈와 무관하게 시트벨트의 어깨부가 측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구비되어야만 했기에 어느 정도 성장이 이루어진 영유아의 경우 안정적인 고정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벨트 구속수단을 구비하여 벨트의 좌우 유동 및 상하 유동을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상기 구속수단이 고정밴드와 나사로 구성되어 안정적인 고정력 확보 및 유동 방지가 곤란하였으며, 영유아의 체중이나 유동에 의하여 고정밴드가 나사에 의하여 쉽게 찢어지거나 분리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술표준원은 자동차용 어린이보호장치와 관련하여 일부 안전인증기준을 제2009-0977호(2009. 12. 30.)로 개정한 바 있으며, 보호장치를 어린이의 체중범위에 따라 W1 내지 W4로 구분하여 각각의 구분에 따른 구체적 조건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구 분 | 연소자의 체중 범위(kg) |
W1 | 10 미만 |
W2 | 9 이상 18 이하 |
W3 | 15 이상 25 이하 |
W4 | 22 이상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전시트의 사이즈를 간이하게 제작하여 차량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며, 차량의 움직임에도 안전시트가 쉽게 유동하지 않고, 영유아의 신체가 안전시트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우며, 안전시트를 세탁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간편하고, 영유아의 신체 사이즈와 무관하게 시트벨트에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가이드부를 통하여 벨트부의 충분한 고정력과 유동 방지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차량용 안전시트(CS)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CS)는 영유아의 신체를 받쳐주는 등받이부(100)가 구비되되, 상기 시트벨트의 어깨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등받이부(100)의 양 측면에는 제1 어깨벨트 홈(1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 어깨벨트 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벨트의 허리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어깨벨트 홈(110)의 하부에는 허리벨트 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100)와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벨트부(200)가 구비되되, 상기 벨트부(200)는 종방향으로 감싸도록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로 구성되는 종방향 벨트부(210)와 횡방향으로 감싸는 횡방향 벨트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는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좌우 유동과 횡방향 벨트부(220)의 상하 유동을 동시에 가이드하는 허리 가이드부(300)가 구비되되,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는 가이드 몸체(310)의 내측에 복수의 가이드 리브(320)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벨트(211)를 가이드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320)에는 각각 리브홈(340)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횡방향 벨트부(220)를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 몸체(310)의 양 단부에 플랜지편(330)이 형성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는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의 상부에 종방향 벨트부(210)의 좌우 유동을 가이드하는 어깨 가이드부(400)가 구비되되, 상기 어깨 가이드부(400)는 가이드 몸체(410)의 내측에 복수의 가이드 리브(420)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를 가이드하며, 상기 가이드 몸체(410)의 양 단부에 커버편(430)이 형성되어 등받이부(10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어깨 가이드부(400)는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단 양 측에는 경사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어깨 가이드부(400)의 커버편(430)은 상기 경사부(1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편(430)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이부(4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00)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는 일측 단부가 상호결합되어 하나의 가랑이 벨트(212)를 형성하되, 상기 가랑이 벨트(212)의 단부에는 체결몸체(213)가 구비되고, 상기 종방향 벨트(211)는 각각 체결편(214)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몸체(213)와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횡방향 벨트부(220)의 양 단부에는 벨트조절부(221)가 구비되고,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체결편(214)은 각각 사선형 가이드홈(214a)이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벨트(211)의 타측 단부의 방향을 횡방향으로 전환하되, 상기 종방향 벨트(211)의 타측 단부는 상기 벨트조절부(221)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랑이 벨트(212)에는 가랑이 패드(212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는 각각 전면에 어깨조임부(215)가 구비되어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시트에 의하면 영유아의 신체가 안전시트의 등받이부에 의하여 고정되는바, 안전시트의 사이즈를 간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를 차량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에도 안전시트가 쉽게 유동하지 않고, 영유아의 신체가 안전시트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에 별도의 커버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를 세탁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등받이부의 양 측면에는 제1 어깨벨트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 어깨벨트 홈이 형성되어 시트벨트의 어깨부가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영유아의 신체 사이즈와 무관하게 시트벨트에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방향 벨트부의 좌우 유동과 횡방향 벨트부의 상하 유동을 동시에 가이드하는 허리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벨트부의 충분한 고정력과 유동 방지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를 도시한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시트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가이드부 및 어깨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시트를 도시한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와 등받이부의 고정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시트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가이드부 및 어깨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시트를 도시한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와 등받이부의 고정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시트는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차량용 안전시트(CS)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CS)는 영유아의 신체를 받쳐주는 등받이부(100)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100)는 영유아의 신체를 받치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영유아의 신체가 받쳐진 상태에서 후술할 벨트부(200)가 등받이부(100)와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시트(CS)는 상기 등받이부(100)를 제외한 기타 불필요한 부재를 생략하여 차량용 안전시트(CS)의 사이즈를 간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CS)를 차량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에도 쉽게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이 가능하며, 영유아의 다리나 팔 그리고 목 등의 신체가 안전시트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100)의 전면에는 쿠션부(500)가 구비되어 영유아의 신체에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를 도시한 분해도로서, 양 측면에만 시트벨트 고정홈이 형성되어 시트벨트의 어깨부가 측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구비되어야만 했다.
이로 인하여 어느 정도 성장이 이루어진 영유아의 경우 안정적인 고정이 되지 않았으며, 벨트 구속수단이 고정밴드와 나사로 구성되어 안정적인 고정력 확보 및 유동 방지가 곤란하였으며, 영유아의 체중이나 유동에 의하여 고정밴드가 나사에 의하여 쉽게 찢어지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시트(CS)는 상기 시트벨트의 어깨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등받이부(100)의 양 측면에는 제1 어깨벨트 홈(1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 어깨벨트 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벨트의 허리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어깨벨트 홈(110)의 하부에는 허리벨트 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어깨벨트 홈(110) 뿐만 아니라 제2 어깨벨트 홈(120)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의 어깨부가 제1 어깨벨트 홈(110) 또는 제2 어깨벨트 홈(120)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의 신체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제1 어깨벨트 홈(110)에 고정하고, 영유아가 어느 정도 성장한 경우에는 제2 어깨벨트 홈(120)에 고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영유아의 무게중심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술표준원에서 규정하고 있는 영유아의 체중 범위가 W2 구분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어깨벨트 홈(11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중 범위가 W3 구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제2 어깨벨트 홈(120)에 고정할 수 있는바, W2와 W3 구분과 무관하게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CS)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영유아의 신체 사이즈와 무관하게 시트벨트에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100)와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벨트부(200)가 구비되되, 상기 벨트부(200)는 종방향으로 감싸는 종방향 벨트부(210)와 횡방향으로 감싸는 횡방향 벨트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부(200)의 종방향 벨트부(210)는 영유아의 어깨와 가슴 그리고 가랑이를 순차적으로 감싸며, 상기 횡방향 벨트부(220)는 허리를 감싸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허리는 신체의 양 옆구리 및 그 하부의 골반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는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좌우 유동과 횡방향 벨트부(220)의 상하 유동을 동시에 가이드하는 허리 가이드부(300)가 구비된다.
영유아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벨트부(200)의 종방향 벨트부(210)와 횡방향 벨트부(220)는 헐거워질 수 있는바,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는 종방향 벨트부(210)와 횡방향 벨트부(220)의 유동을 방지하여 긴결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는 종방향 벨트부(210)와 횡방향 벨트부(220)의 유동을 동시에 가이드하여야 하는바 등받이부(100)의 배면측 하부, 즉 영유아의 허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는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로 구성된다. 즉 일측 종방향 벨트(211)는 좌측 어깨와 가슴을 순차적으로 고정하며, 타측 종방향 벨트(211)는 우측 어깨와 가슴을 순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는 가이드 몸체(310)의 내측에 복수의 가이드 리브(320)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벨트(211)를 가이드하며, 상기 가이드 몸체(310)의 양 단부에 플랜지편(330)이 형성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종방향 벨트(211)는 상기 가이드 리브(320)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됨과 동시에 좌우 유동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편(330)에 의하여 체결수단을 매개로 등받이부(100)와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통상의 나사, 핀 결합일 수 있으며,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의 복수의 가이드 리브(320)에는 각각 리브홈(340)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횡방향 벨트부(2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는 허리 가이드부(300)에 의하여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바, 횡방향 벨트부(220)는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와 결합함으로써 상대적인 위치가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횡방향 벨트부(220)의 자유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종방향 벨트부(210)에 구속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의 가이드 리브(320)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리브홈(340)을 형성함으로써 횡방향 벨트부(220)를 상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는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의 상부에 종방향 벨트부(210)의 좌우 유동을 가이드하는 어깨 가이드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가 종방향 벨트부(210)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으나, 어깨에 위치한 종방향 벨트부(210)는 여전히 좌우 유동의 여지가 있는바,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의 상부에 어깨 가이드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 가이드부(400)는 가이드 몸체(410)의 내측에 복수의 가이드 리브(420)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종방향 벨트(211)의 어깨부는 상기 가이드 리브(420)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됨과 동시에 좌우 유동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몸체(410)의 양 단부에 커버편(430)이 형성되어 등받이부(10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어깨 가이드부(400)는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깨 가이드부(400)의 가이드 몸체(410)는 허리 가이드부(300)의 가이드 몸체(3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가이드 리브(420)를 지니도록 제작되는 바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커버편(430)이 등받이부(10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단 양 측에는 경사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어깨 가이드부(400)의 커버편(430)은 상기 경사부(1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편(430)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이부(4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0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즉, 어깨 가이드부(400)를 등받이부(100)에 구비함에 있어서, 경사부(14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어깨 가이드부(400)를 점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특정위치에 어깨 가이드부(400)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후 체결수단을 매개로 등받이부(100)의 배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어깨 가이드부(400)의 걸이부(440)를 통하여 등받이부(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는 일측 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가랑이 벨트(212)를 형성하되, 상기 가랑이 벨트(212)의 단부에는 체결몸체(213)가 구비되고, 상기 종방향 벨트(211)는 각각 체결편(214)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몸체(213)와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종방향 벨트부(210)는 한 쌍의 체결편(214)을 각각 체결몸체(213)에 체결함으로써 등받이부(100)와 영유아의 신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는 각각 체결편(214)을 구비함으로써 독자적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바, 착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100)의 하부에는 가랑이 홈(150)이 형성되어 상기 가랑이 벨트(212)가 전면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등받이부(100)의 하부에 가랑이 벨트(212)가 눌러져 여유분의 벨트가 있음에서 전방으로 충분한 조임력을 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가랑이 벨트(212)가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전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100)는 전체적으로 배면부가 볼록한 형상을 지니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는 복수의 보강리브(16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보강리브(160)는 배면측으로 볼록부(161)를 지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의 움직임에 의한 횡방향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보강리브(160)의 볼록부(161)의 형상을 바탕으로 응력에 의한 변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최대 변형량도 11mm 내외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횡방향 벨트부(220)의 양 단부에는 벨트조절부(221)가 구비되고,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체결편(214)은 각각 사선형 가이드홈(214a)이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벨트(211)의 타측 단부의 방향을 횡방향으로 전환하되, 상기 종방향 벨트(211)의 타측 단부는 상기 벨트조절부(221)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체결편(214)은 각각 사선형 가이드홈(214a)을 형성하여, 상기 종방향 벨트(211)가 각각 가이드홈(214a)을 관통하되, 사선형 형상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횡방향으로 방향 전환된다.
이로써, 벨트조절부(221)에 종방향 벨트(211)의 타측 단부가 구비되는바, 영유아의 신체에 적합하도록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랑이 벨트(212)에는 가랑이 패드(21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영유아의 가랑이가 가랑이 벨트(212)에 의하여 자극되지 않고 영유아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는 각각 전면에 어깨조임부(215)가 구비되어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어깨조임부(215)는 등받이부(100)의 전면에 영유아의 어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가 좌우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영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어깨조임부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안전시트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S:차량용 안전시트 100:등받이부
110:제1 어깨벨트 홈 120:제2 어깨벨트 홈
130:허리벨트 홈 140:경사부
200:벨트부 210:종방향 벨트부
211:종방향 벨트 212:가랑이 벨트
212a:가랑이 패드 213:체결몸체
214:체결편 214a:가이드홈
215:어깨조임부 220:횡방향 벨트부
221:벨트조절부 300:허리 가이드부
310:가이드 몸체 320:가이드 리브
330:플랜지편 340:리브홈
400:어깨 가이드부 410:가이드 몸체
420:가이드 리브 430:커버편
440:걸이부 500:커버부
110:제1 어깨벨트 홈 120:제2 어깨벨트 홈
130:허리벨트 홈 140:경사부
200:벨트부 210:종방향 벨트부
211:종방향 벨트 212:가랑이 벨트
212a:가랑이 패드 213:체결몸체
214:체결편 214a:가이드홈
215:어깨조임부 220:횡방향 벨트부
221:벨트조절부 300:허리 가이드부
310:가이드 몸체 320:가이드 리브
330:플랜지편 340:리브홈
400:어깨 가이드부 410:가이드 몸체
420:가이드 리브 430:커버편
440:걸이부 500:커버부
Claims (8)
-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차량용 안전시트(CS)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CS)는 영유아의 신체를 받쳐주는 등받이부(100)가 구비되되, 상기 시트벨트의 어깨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등받이부(100)의 양 측면에는 제1 어깨벨트 홈(1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 어깨벨트 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벨트의 허리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어깨벨트 홈(110)의 하부에는 허리벨트 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100)와 영유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벨트부(200)가 구비되되, 상기 벨트부(200)는 종방향으로 감싸도록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로 구성되는 종방향 벨트부(210)와 횡방향으로 감싸는 횡방향 벨트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는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좌우 유동과 횡방향 벨트부(220)의 상하 유동을 동시에 가이드하는 허리 가이드부(300)가 구비되되,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는 가이드 몸체(310)의 내측에 복수의 가이드 리브(320)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벨트(211)를 가이드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320)에는 각각 리브홈(340)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횡방향 벨트부(220)를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 몸체(310)의 양 단부에 플랜지편(330)이 형성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는 상기 허리 가이드부(300)의 상부에 종방향 벨트부(210)의 좌우 유동을 가이드하는 어깨 가이드부(400)가 구비되되, 상기 어깨 가이드부(400)는 가이드 몸체(410)의 내측에 복수의 가이드 리브(420)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를 가이드하며, 상기 가이드 몸체(410)의 양 단부에 커버편(430)이 형성되어 등받이부(10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어깨 가이드부(400)는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등받이부(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단 양 측에는 경사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어깨 가이드부(400)의 커버편(430)은 상기 경사부(1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편(430)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이부(4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00)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한 쌍의 종방향 벨트(211)는 일측 단부가 상호결합되어 하나의 가랑이 벨트(212)를 형성하되, 상기 가랑이 벨트(212)의 단부에는 체결몸체(213)가 구비되고, 상기 종방향 벨트(211)는 각각 체결편(214)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몸체(213)와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 제6항에 있어서,
횡방향 벨트부(220)의 양 단부에는 벨트조절부(221)가 구비되고, 상기 종방향 벨트부(210)의 체결편(214)은 각각 사선형 가이드홈(214a)이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벨트(211)의 타측 단부의 방향을 횡방향으로 전환하되, 상기 종방향 벨트(211)의 타측 단부는 상기 벨트조절부(221)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 제6항에 있어서,
등받이부(100)의 하부에는 가랑이 홈(150)이 형성되어 상기 가랑이 벨트(212)가 전면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4004A KR101554561B1 (ko) | 2015-06-15 | 2015-06-15 | 차량용 안전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4004A KR101554561B1 (ko) | 2015-06-15 | 2015-06-15 | 차량용 안전시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4561B1 true KR101554561B1 (ko) | 2015-09-21 |
Family
ID=5424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4004A KR101554561B1 (ko) | 2015-06-15 | 2015-06-15 | 차량용 안전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456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26172A (ja) | 2002-02-05 | 2003-08-12 | Kazuo Yuki | 乗物用幼児拘束装置 |
KR101315120B1 (ko) * | 2011-04-20 | 2013-10-08 | 박연옥 |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
KR101382542B1 (ko) * | 2013-08-20 | 2014-04-07 | 김정율 | 어린이용 시트벨트 |
-
2015
- 2015-06-15 KR KR1020150084004A patent/KR1015545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26172A (ja) | 2002-02-05 | 2003-08-12 | Kazuo Yuki | 乗物用幼児拘束装置 |
KR101315120B1 (ko) * | 2011-04-20 | 2013-10-08 | 박연옥 |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
KR101382542B1 (ko) * | 2013-08-20 | 2014-04-07 | 김정율 | 어린이용 시트벨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233012B (zh) | 幼童车用座椅系统 | |
US8210617B2 (en) | Child restraint system | |
US20180206653A1 (en) | Child carrier with base width adjustment rail | |
US8282165B2 (en) | Reboard system | |
AU2014340935B2 (en) | Footrest for car seat | |
KR101225929B1 (ko) |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 |
US20060181125A1 (en) | Child car seat | |
US20100244517A1 (en) | Child restraint safety device | |
RU2556267C2 (ru) | Детское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 |
CN101289069A (zh) | 用于运输儿童的设备 | |
KR101716568B1 (ko) | 어린이 안전시트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보조시트 | |
KR102679137B1 (ko) | 유아 캐리어 | |
KR101554561B1 (ko) | 차량용 안전시트 | |
KR20120010102A (ko) |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및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 |
KR101402186B1 (ko) | 차량의 어린이 승객용 4점 지지 보조안전벨트 | |
EP0745036B1 (en) | Infant car seats | |
KR20150084512A (ko) | 높이 조절식 카시트 머리 받침대 | |
CN107097695B (zh) | 儿童汽车安全座及其安装方法 | |
CN106458063A (zh) | 约束元件 | |
KR102668214B1 (ko) | 휴대용 안전벨트 | |
KR102340597B1 (ko) | 아동용 안전시트 | |
CN215322435U (zh) | 立体式儿童安全束缚系统 | |
JP2022106688A (ja) | 肩ベルトアセンブリ及びベビーカー | |
KR20140005046U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 |
KR100231542B1 (ko) | 자동차후부좌석의높이조절식유아용좌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