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512A - 높이 조절식 카시트 머리 받침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식 카시트 머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512A
KR20150084512A KR1020140004610A KR20140004610A KR20150084512A KR 20150084512 A KR20150084512 A KR 20150084512A KR 1020140004610 A KR1020140004610 A KR 1020140004610A KR 20140004610 A KR20140004610 A KR 20140004610A KR 20150084512 A KR20150084512 A KR 20150084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er
headrest
rail
car sea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현
이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이지영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4000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4512A/ko
Publication of KR2015008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신생아나 유아의 체구에 맞추어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한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카시트 머리 받침대는, 제 1 고정쇠(122)가 제 1 탄성수단(124)의 탄성에 의하여 복수의 제 1 걸림홈(142)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제 1 어드저스터(120)는 제 1 레일(140)에 고정되고, 제 2 고정쇠(132)가 제 2 탄성수단(134)의 탄성에 의하여 복수의 제 2 걸림홈(152)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제 2 어드저스터(130)는 제 2 레일(150)에 고정되며, 조작 레버(114)가 제 1 상태에 놓이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쇠(122)가 상기 복수의 제 1 걸림홈(14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가 상기 제 1 레일(140)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2 고정쇠(132)가 상기 복수의 제 2 걸림홈(15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가 상기 제 2 레일(150)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 및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머리 받침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식 카시트 머리 받침대{Headrest of the Carseat for Adjusting the Height}
본 발명은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승한 신생아나 유아의 체구에 맞추어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한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카시트(car seat)는 신생아 또는 유아 등의 연소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차량의 좌석에 장착되는 기구로서, 급제동, 급출발, 충돌 등이 발생할 경우 신생아나 유아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이다. 안전만을 고려할 경우 신생아나 유아들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여 차량 탑승 시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므로, 이러한 카시트는 신생아나 유아들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카시트를 신생아용과 유아용으로 사용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시트는 신생아용과 유아용으로 나누어 사용되었다.
신생아용 카시트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좌석에 후향으로 설치되며, 신생아의 작은 체구를 고려하여 머리 받침대가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신생아 전용으로 사용되며, 신생아용으로 사용된 후에는 분리될 수 있었다. 신생아용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는 끈 형상으로 고정되거나 시트에 일체화되어 설계되었으며, 시트에 일체화된 머리 받침대는 높이 조절이 불가하였다.
유아용 카시트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좌석에 전향으로 설치되며, 신생아용 머리 받침대를 떼어낸 후 머리 받침대 없이 사용되었다. 또는 머리 받침대가 설치되어 있어도 벨트 및 끈 형상으로 본체에 고정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시트는 머리 받침대의 조절이 불가능하였으며, 사용이 불편하고, 잘못 사용되는 등 안전성 관점에서 문제가 많았다. 특히, 신생아나 유아가 위험에 노출될 경우 성인에 비하여 위험성이 훨씬 크다는 점에 비추어 차량 탑승 시 안전성을 증진시킬 필요성은 더욱 중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37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탑승한 신생아나 유아의 체구에 맞추어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한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머리 받침대가 어드저스터를 따라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목을 잘 가누지 못하는 신생아나 유아의 체격에 맞추어 머리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복수의 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신장에 맞게 적절한 높이를 설정할 수 있어 안전성과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 받침대가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머리 받침대의 커버 교체가 용이하며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착탈을 안전 레버로 조절함으로써 안전적인 사용이 가능한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 받침대의 측면이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측면 충돌로부터 신생아나 유아의 두부(頭部)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 받침대의 높이 조절 및 착탈이 간편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이 크게 들지 않으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본체(20) 및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된 머리 받침대(100)로 구성된 카시트(car seat)의 상기 머리 받침대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카시트 머리 받침대는,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받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설치되는 조작 레버(114),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어드저스터(120), 제 1 탄성수단(124)에 의하여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와 연결되는 제 1 고정쇠(122),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어드저스터(130), 제 2 탄성수단(134)에 의하여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와 연결되는 제 2 고정쇠(132), 상기 조작 레버(114)를 상기 제 1 고정쇠(122) 및 상기 제 2 고정쇠(132)와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12),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와 결합되고 복수의 제 1 걸림홈(142)이 형성된 제 1 레일(140) 및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와 결합되고 복수의 제 2 걸림홈(152)이 형성된 제 2 레일(1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쇠(122)는 상기 제 1 탄성수단(124)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걸림홈(142)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가 상기 제 1 레일(140)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고정쇠(132)는 상기 제 2 탄성수단(134)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제 2 걸림홈(152)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가 상기 제 2 레일(150)에 고정되며, 상기 길이방향은 상기 머리 받침대(100)에서 상기 본체(20)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조작 레버(114)가 제 1 상태에 놓이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쇠(122)가 상기 복수의 제 1 걸림홈(14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가 상기 제 1 레일(140)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2 고정쇠(132)가 상기 복수의 제 2 걸림홈(15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가 상기 제 2 레일(150)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 및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머리 받침대(100)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레일(140) 및 상기 제 2 레일(15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안전 레버(116)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 레버(116)는 상기 머리 받침대(100)가 상기 본체(20)로부터 착탈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조작 레버(114)가 상부로 당겨진 상태이고, 상기 연결부재(112)는 상기 조작 레버(114)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112)의 하부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쇠(122) 및 상기 제 2 고정쇠(132)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112)와 상기 제 1 고정쇠(122)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제 1 탄성수단(124)이 위치되고, 상기 연결부재(112)와 상기 제 2 고정쇠(132)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제 2 탄성수단(134)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을 덮는 쿠션부(102) 중 적어도 하나의 양 측면은 전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신생아나 유아의 체구에 맞추어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한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머리 받침대가 어드저스터를 따라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목을 잘 가누지 못하는 신생아나 유아의 체격에 맞추어 머리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복수의 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신장에 맞게 적절한 높이를 설정할 수 있어 안전성과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 받침대가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머리 받침대의 커버 교체가 용이하며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착탈을 안전 레버로 조절함으로써 안전적인 사용이 가능한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 받침대의 측면이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측면 충돌로부터 신생아나 유아의 두부(頭部)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 받침대의 높이 조절 및 착탈이 간편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이 크게 들지 않으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카시트의 머리 받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카시트를 신생아용과 유아용으로 사용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카시트 머리 받침대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카시트 머리 받침대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카시트 머리 받침대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쇠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카시트 머리 받침대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쇠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카시트 머리 받침대에 사용되는 쿠션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머리 받침대의 높이가 조절되는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머리 받침대가 탈착되는 카시트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카시트 머리 받침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카시트 머리 받침대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카시트 머리 받침대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머리 받침대(10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 연결부재(112), 조작 레버(114), 제 1 어드저스터(120), 제 2 어드저스터(130), 제 1 레일(140), 제 2 레일(1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머리 받침대(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프레임(110)은 머리 받침대(100)의 골조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신생아나 유아와 같은 카시트(10)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받치는 부분이다. 프레임(110)의 배면에는 조작 레버(114)가 설치되며, 조작 레버(114)는 커버부(118)에 의하여 고정된다. 조작 레버(11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당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조작 레버(114)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작 레버(114)는 프레임(110)의 배면에 설치됨으로써 카시트(10)에 착석한 신생아나 유아의 등에 접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예기치 아니하게 조작 레버(114)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한 조작이 가능하다.
프레임(110)의 양측에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어드저스터가 설치된다. 즉, 프레임(110) 배면의 일측에는 제 1 어드저스터(120)가 설치되고, 프레임(110) 배면의 타측에는 제 2 어드저스터(130)가 설치된다. 프레임(110)은 이러한 어드저스터(120, 1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 1 고정쇠(122)는 제 1 어드저스터(120)에 위치하며, 탄성력을 갖는 제 1 탄성수단(124)에 의하여 제 1 어드저스터(120)와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고정쇠(132)는 제 2 어드저스터(130)에 위치하며, 제 2 탄성수단(134)에 의하여 제 2 어드저스터(130)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탄성수단(124)과 제 2 탄성수단(134)으로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용수철, 고무 재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112)는 조작 레버(114)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112)는 상기 조작 레버(114)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재(112)의 하부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12)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제 1 고정쇠(122)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고정쇠(122)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제 1 탄성수단(124)이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부재(112)의 하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제 2 고정쇠(132)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고정쇠(132)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제 2 탄성수단(134)이 위치될 수 있다.
제 1 레일(140)은 카시트(10)의 본체(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제 1 레일(140)은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제 1 걸림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레일(150)은 카시트(10)의 본체(2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된다. 제 2 레일(150)은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제 2 걸림홈(15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상에는 제 1 걸림홈(142)과 제 2 걸림홈(152)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고정쇠(122)와 제 2 고정쇠(132)의 일단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고정쇠에 의한 고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 4를 먼저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카시트 머리 받침대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쇠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쇠(122)과 제 1 어드저스터(120)를 연결하는 제 1 탄성수단(124)의 탄성에 의하여 제 1 고정쇠(122)의 일단은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렇게 전진된 제 1 고정쇠(122)의 일단은 복수의 제 1 걸림홈(142) 중 하나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제 1 어드저스터(120)가 제 1 레일(14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고정쇠(132)의 일단도 제 2 탄성수단(134)의 탄성에 의하여 제 2 어드저스터(130)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렇게 전진된 제 2 고정쇠(132)의 일단은 복수의 제 2 걸림홈(152) 중 하나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제 2 어드저스터(130)가 제 2 레일(15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제 1 레일(140)과 제 2 레일(150)은 각각 제 1 어드저스터(120)와 제 2 어드저스터(130)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작 레버(114)가 상부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제 1 상태), 조작 레버(114)에 연결된 연결부재(112)도 함께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12)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하여 제 1 어드저스터(120) 및 제 2 어드저스터(1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114)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부재(112)도 함께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연결부재(112)의 움직임에 의하여 제 1 고정쇠(122) 및 제 2 고정쇠(132)의 일단은 후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고정쇠(122) 및 제 2 고정쇠(132)는 각각 제 1 걸림홈(142) 및 제 2 걸림홈(152)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제 1 어드저스터(120)는 제 1 레일(14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 2 어드저스터(130)는 제 2 레일(15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카시트 머리 받침대의 작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안전 레버에 의한 카시트 머리 받침대의 작동을 살펴본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카시트 머리 받침대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쇠의 작동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머리 받침대(100)는 착탈 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 레버(116)를 마련하고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레버(116)는 안전 스프링(117)의 탄성력에 의하여 항상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에서는 잠금 발톱이 잠금구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머리 받침대(100)는 카시트(10)의 본체(20)에 고정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레버(116)를 일 방향으로 밀게 되면 안전 스프링(117)이 작동되면서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머리 받침대(100)는 카시트(10)의 본체(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상태의 해제는 안전 레버(116)의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5a에서처럼 반드시 일 방향으로 미는 동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본 발명의 머리 받침대(100)는 필요에 따라 본체(20)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으며, 머리 받침대(100)의 쿠션부(102)의 교체가 매우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지 및 관리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착탈 기능을 활용함에 따라, 카시트(10)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카시트 머리 받침대에 적용되는 쿠션의 기능을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카시트 머리 받침대에 사용되는 쿠션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머리 받침대(100)의 프레임(110) 전면에는 쿠션부(102)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양 측면은 소정 범위만큼 전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쿠션부(102)의 양 측면은 소정 범위만큼 전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측면 충돌이나 흔들림에 대하여 신생아나 유아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머리 받침대(100)는 카시트(10)의 본체(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머리 받침대(100)의 쿠션부(102)는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머리 받침대(100)에 대한 관리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쿠션부(102)는 훅을 이용하여 프레임(110)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카시트 머리 받침대의 높이 조절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머리 받침대의 높이가 조절되는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머리 받침대(100)는 어드저스터(120, 130)가 슬라이딩되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머리 받침대(100)가 낮은 위치에 고정되는 경우가 신생아용(W1)에 해당되며, 머리 받침대(100)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가 각각 유아용(W2, W3)에 해당된다.
이러한 머리 받침대(100)의 높이 조절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14)의 조작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조작 레버(114)가 상부로 당겨지는 경우, 연결부재(112)도 함께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걸림홈(142) 및 제 2 걸림홈(152)에 각각 삽입 고정된 제 1 고정쇠(122) 및 제 2 고정쇠(132)의 일단은 후퇴되면서 제 1 걸림홈(142) 및 제 2 걸림홈(152)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제 1 어드저스터(120)는 제 1 레일(14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 2 어드저스터(130)는 제 2 레일(15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머리 받침대(10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카시트 머리 받침대의 탈착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머리 받침대가 탈착되는 카시트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이 적용된 카시트(10)는 안전 레버(116)를 조작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받침대(100)는 카시트(10)의 본체(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 받침대(100)의 쿠션부(102)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카시트(10)의 본체(20)를 덮는 커버부분도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이는 카시트(10)의 사용과 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 머리 받침대에 의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져 편리성과 안전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을 신생아나 유아의 등이 접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구성하여 쿠션을 교환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 대형 쿠션 패드를 설치하여 측면 충돌에 대한 보호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카시트
20: 본체
100: 머리 받침대
102: 쿠션부
110: 프레임
112: 연결부재
114: 조작 레버
116: 안전 레버
117: 안전 스프링
118: 커버부
120: 제 1 어드저스터
122: 제 1 고정쇠
124: 제 1 탄성수단
130: 제 2 어드저스터
132: 제 2 고정쇠
134: 제 2 탄성수단
140: 제 1 레일
142: 제 1 걸림홈
150: 제 2 레일
152: 제 2 걸림홈

Claims (4)

  1.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본체(20); 및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된 머리 받침대(100);로 구성된 카시트(car seat)의 상기 머리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설치되는 조작 레버(114);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어드저스터(120);
    제 1 탄성수단(124)에 의하여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와 연결되는 제 1 고정쇠(122);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어드저스터(130);
    제 2 탄성수단(134)에 의하여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와 연결되는 제 2 고정쇠(132);
    상기 조작 레버(114)를 상기 제 1 고정쇠(122) 및 상기 제 2 고정쇠(132)와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12);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와 결합되고, 복수의 제 1 걸림홈(142)이 형성된 제 1 레일(140); 및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와 결합되고, 복수의 제 2 걸림홈(152)이 형성된 제 2 레일(1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쇠(122)가 상기 제 1 탄성수단(124)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걸림홈(142)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는 상기 제 1 레일(140)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고정쇠(132)가 상기 제 2 탄성수단(134)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제 2 걸림홈(152)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는 상기 제 2 레일(150)에 고정되며,
    상기 길이방향은 상기 머리 받침대(100)에서 상기 본체(20)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조작 레버(114)가 제 1 상태에 놓이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쇠(122)가 상기 복수의 제 1 걸림홈(14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가 상기 제 1 레일(140)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2 고정쇠(132)가 상기 복수의 제 2 걸림홈(15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가 상기 제 2 레일(150)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1 어드저스터(120) 및 상기 제 2 어드저스터(130)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머리 받침대(100)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 머리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140) 및 상기 제 2 레일(15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안전 레버(116);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 레버(116)는 상기 머리 받침대(100)가 상기 본체(20)로부터 착탈되도록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 머리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조작 레버(114)가 상부로 당겨진 상태이고,
    상기 연결부재(112)는 상기 조작 레버(114)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112)의 하부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쇠(122) 및 상기 제 2 고정쇠(132)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112)와 상기 제 1 고정쇠(122)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제 1 탄성수단(124)이 위치되고, 상기 연결부재(112)와 상기 제 2 고정쇠(132)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제 2 탄성수단(134)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 머리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을 덮는 쿠션부(102) 중 적어도 하나의 양 측면은 전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 머리 받침대.
KR1020140004610A 2014-01-14 2014-01-14 높이 조절식 카시트 머리 받침대 KR20150084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610A KR20150084512A (ko) 2014-01-14 2014-01-14 높이 조절식 카시트 머리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610A KR20150084512A (ko) 2014-01-14 2014-01-14 높이 조절식 카시트 머리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512A true KR20150084512A (ko) 2015-07-22

Family

ID=5387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610A KR20150084512A (ko) 2014-01-14 2014-01-14 높이 조절식 카시트 머리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45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9922A (zh) * 2016-03-16 2017-09-26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头枕调节装置、座椅主体和座椅
KR20230057922A (ko) *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이동형 머리 받침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9922A (zh) * 2016-03-16 2017-09-26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头枕调节装置、座椅主体和座椅
KR20230057922A (ko) *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이동형 머리 받침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92651B2 (en) Adjustable head rest for child car seat
KR101399896B1 (ko) 카시트용 발받침
KR101328828B1 (ko) 어린이 안전시트용 머리받침, 및 어린이용 안전시트
US9579996B2 (en) Infant holder for vehicle seat
WO2014171079A1 (ja) 幼児拘束装置
KR20160058169A (ko) 어린이 안전 시트
US8845021B2 (en) Adjustment mechanism for positioning a headrest in an infant car seat
NO154822B (no) Sikkerhetsinnretning for barn i kjoeretoey.
KR20140090832A (ko)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KR20130004959A (ko)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NO344017B1 (en) Child safety seat for a vehicle
KR101586958B1 (ko) 분리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
KR20150084512A (ko) 높이 조절식 카시트 머리 받침대
KR200438960Y1 (ko) 유아용 카시트
CN203110967U (zh) 一种用于儿童安全支撑物的基座
KR101305677B1 (ko) 뒷좌석을 이용한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
KR101586960B1 (ko)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CN112937873A (zh) 一种民航货运飞机用机组成员躺坐两用休息装置
KR101642604B1 (ko)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KR200477990Y1 (ko) 이륜차용 등받이
CN214493349U (zh) 一种民航货运飞机用机组成员躺坐两用休息装置
JP2014031057A (ja) 幼児拘束装置
KR20040024426A (ko) 다목적 유아용 카시트
KR200299154Y1 (ko) 다목적 유아용 카시트
KR200299147Y1 (ko) 머리받침대가 형성된 유아용 안전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