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761A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761A
KR20150114761A KR1020140039352A KR20140039352A KR20150114761A KR 20150114761 A KR20150114761 A KR 20150114761A KR 1020140039352 A KR1020140039352 A KR 1020140039352A KR 20140039352 A KR20140039352 A KR 20140039352A KR 20150114761 A KR20150114761 A KR 20150114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afety
belt
chil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169B1 (ko
Inventor
허경
이석호
이봉현
배철용
유성민
지성원
강여진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169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002/2815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a belt tension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성인 탑승객이 착석하는 시트쿠션, 상기 시트쿠션의 후단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및 소아 탑승객이 착석하도록 상기 시트쿠션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시트부는 성인 탑승객 착석시 시트쿠션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수납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차량에 마련된 시트쿠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안전시트를 이용해서 소아 탑승객을 편안하게 착석시키고, 시트벨트와 추가로 마련된 안전벨트를 이용해서 안전하게 구속해서 사고 발생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탑승 시 유아나 소아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소아용 안전시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되는 시트는 성인의 신체 조건에 따라 설계됨에 따라, 성인과 신체 조건이 현저하게 차이가 있는 소아에게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또한, 차량 주행 중 추돌이나 충격으로부터 탑승객을 보호하는 시트벨트도 성인의 신체 조건을 기준으로 해서 설계되기 때문에 소아에게 사용하는 경우, 오히려 사고의 위험성을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영유아를 차량에 탑승시킬 때 안전에 대한 인식의 강도가 강해지고 있고, 영유아를 위한 안전시트를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차량용 안전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유아가 안착되는 시트 쿠션, 시트 쿠션과 일체로 형성되고 유아의 등과 머리를 지지하는 시트 백, 시트백과 시트 쿠션에 설치되어 유아를 안전하게 고정하는 유아용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와 유아용 안전벨트의 일측에는 차량의 충돌시 유아의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하기 위한 유아용 에어백이 장착되는 안전벨트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양측 상하 각각에 시트벨트의 어깨벨트와 허리벨트가 통과하여 고정되는 시트벨트 고정홈이 형성되는 등받이, 등받이의 전면에 배열되는 등받이 쿠션, 유아나 어린이의 어깨와 허리 및 가랑이를 구속하는 5점식 구조의 안전벨트, 안전벨트 끝단에 설치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가랑이 사이로 위치되는 버클, 등받이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버클에 체결되는 고정후크 및 등받이의 배면에서 안전벨트를 구속하는 안전벨트 구속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과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안전시트는 유아나 어린이를 좌석시트에 앉힌 후 안전시트에 마련된 안전벨트를 이용해서 상체를 구속함에 따라, 추돌사고나 충격 등의 유사 시에 안전시트에 앉힌 유아나 어린이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106734호(2004년 12월 18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고 제10-1315120호(2013년 9월 30일 공고)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안전시트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서 차량의 좌석에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안전시트를 상시 장착하여 운행하는 경우,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고, 차량의 적재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 연비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은 유아용 안전시트를 사용한 이후에, 아이가 만 6세 이상의 아동으로 성장하는 경우, 특허문헌 2와 같은 아동용 안전시트를 추가 구매해야 하지만, 추가적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소아용 안전시트를 장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추돌 사고 또는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에 탑승한 소아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시트쿠션에 소아용 안전시트가 일체로 마련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에 탑승한 소아 탑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설계되는 소아용 안전시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는 성인 탑승객이 착석하는 시트쿠션, 상기 시트쿠션의 후단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및 소아 탑승객이 착석하도록 상기 시트쿠션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시트부는 성인 탑승객 착석시 시트쿠션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시트부는 상기 시트쿠션의 삽입공간 양측에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일단부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시트는 소아 탑승객이 착석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의 선단에 형성되는 목보호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등받이 및 목보호대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 양측에 형성되는 양측벽은 소아 탑승객의 팔을 안착시키는 팔걸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아 탑승객이 차량에 마련되는 시트벨트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소아 탑승객을 2중으로 구속하는 안전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벨트부는 소아 탑승객의 허벅지 부분부터 가슴 부분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안전패드, 상기 안전패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벨트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벨트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조절모듈은 상기 벨트부재를 일측으로 가압해서 고정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승강 동작하는 레버 및 상기 가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조절모듈은 상기 벨트부재의 일단부를 감는 롤러, 상기 롤러를 구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는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쿠션에는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위치 조절 가능하게 머리받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차량에 마련된 시트쿠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안전시트를 이용해서 소아 탑승객이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시트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거나, 미사용시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차량 내부의 공간활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마련되는 3점식 시트벨트에 최적화된 위치에 소아 탑승객을 착석시킨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이용해서 소아 탑승객을 구속하여 차량의 추돌사고나 충격 발생 시 소아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소아 탑승객의 허벅지 부분부터 가슴 부분을 구속하는 안전벨트부를 추가적으로 마련해서 2중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충돌사고 발생시 차량용 시트의 높이에서 하향 대각선 방향으로의 반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시트와 머리받침을 회전 동작시킨 동작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안전벨트부가 적용된 차량용 시트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2단 안전시트가 적용된 차량용 시트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시트와 머리받침을 회전 동작시킨 동작 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소아'는 성인이 되기 이전에 성장, 발육을 지속하는 상태의 영아, 유아, 아동, 청소년을 모두 포함한다.
차량용 시트는 차량의 앞좌석에 위치되는 프런트 시트와 뒷자석에 위치되는 리어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시트는 운전석을 제외한 보조석을 말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 사고 시 안전을 위해 리어 시트에 소아용 시트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프런트 시트에 마련되도록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프런트 시트 중에서 좌측 시트에 안전시트부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런트 시트 중에서 우측 시트나 중앙에 안전시트부가 마련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인 탑승객이 착석하는 시트쿠션(20), 시트쿠션(20)의 후단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30) 및 소아 탑승객이 착석하도록 시트쿠션(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시트부(40)를 포함한다.
시트쿠션(2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시트쿠션(20)의 선단부에는 안전시트부(4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1)이 형성될 수 있다.
시트백(30)에는 탑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머리받침(31)이 마련될 수 있다.
머리받침(31)은 시트백(31)의 상단부에 설치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안전시트부(40)는 시트쿠션(20)의 삽입공간(21) 양측에 설치되는 회전축(41) 및 삽입공간(21)에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공간(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축(41)에 일단부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시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시트(42)는 성인 탑승객이 탑승하는 경우에는 시트쿠션(20)의 삽입공간(21)에 삽입되고, 소아 탑승객이 탑승하는 경우에는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운동하여 시트쿠션(20)의 후측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시트(42)의 길이는 시트쿠션(20) 길이의 1/2과 동일하거나 약간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안전시트(42)가 시트쿠션(20)의 상면에 안착되면, 안전시트(42)의 선단은 시트백(30)과 밀착되어 시트백(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안전시트를 회전운동시켜 소아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안전시트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거나, 미사용시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전시트의 상부에 소아 탑승객을 착석시키는 경우, 소아 탑승객의 다리 및 발을 시트쿠션의 삽입공간 저면에 안착시켜 편안한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마련되는 3점식 시트벨트에 최적화된 위치에 소아 탑승객을 착석시킨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이용해서 소아 탑승객을 구속하여 차량의 추돌사고나 충격 발생 시 소아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 차량의 안전벨트를 이용해서 소아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나, 소아 탑승객의 허벅지 부분부터 가슴 부분을 구속하는 안전벨트부(50)를 추가적으로 마련하여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안전벨트부가 적용된 차량용 시트의 예시도이다.
안전벨트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아 탑승객의 허벅지 부분부터 가슴 부분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안전패드(51), 안전패드(51)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벨트부재(52) 및 한 쌍의 벨트부재(52)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모듈(53)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패드(51)는 소아 탑승객의 신체를 부드럽게 구속할 수 있도록 면과 같은 천연섬유나 합성섬유 재질을 이용해서 미리 설정된 두께로 제조된 천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벨트부재(52)는 안전패드(5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안전패드(51)의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한 쌍의 벨트부재(52) 중에서 하나 이상의 일단은 안전패드(51)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길이조절모듈(53)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길이조절모듈(53)은 벨트부재(52)를 일측으로 가압해서 고정하는 가압부재(54), 가압부재(54)의 일측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승강 동작하는 레버(55) 및 가압부재(5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54)는 벨트부재(52)가 설치되는 설치관 내부에서 벨트부재(52)를 설치관의 일측면을 향해 가압해서 벨트부재(52)의 일측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탄성부재(56)는 가압부재(54)과 설치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56)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다양한 형상의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아 탑승객의 허벅지부터 가슴 부위를 구속하는 안전벨트를 추가적으로 마련하여 2중으로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 충돌사고 발생시 차량용 시트의 높이에서 하향 대각선 방향으로의 반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소아 탑승객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길이조절모듈을 이용해서 안전벨트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해서 소아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길이조절모듈(53)은 가압부재(54)와 레버(55) 및 탄성부재(56)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길이조절모듈(53)이 벨트부재(52)의 일단부를 감는 롤러와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조절모듈(53)에 솔레노이드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마련해서 조작 스위치를 통한 조작명령에 따라 벨트부재(52)의 일단부를 고정 또는 해제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안전벨트부(50)는 성인 탑승객 착석 시에는 시트쿠션(20)에 형성된 설치공간(21) 내부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트백의 일부에 안전시트를 마련하여 회전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안전시트를 2단 이상으로 마련하여 소아 탑승객의 등과 목 및 머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2단 안전시트가 적용된 차량용 시트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시트(42)는 소아 탑승객이 착석하는 본체(43) 및 본체(43)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안전시트(44)는 등받이(44)의 선단에 결합되는 목보호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43)에는 등받이(44)가 결합되는 결합공간(45)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간(45) 양측에 형성되는 양측벽(46)은 소아 탑승객의 팔을 편안하게 안착시키는 팔걸이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시트를 2단으로 마련함에 따라, 소아 탑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함과 동시에, 등과 목 및 머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서 보호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성인 탑승객 착석 시 안전시트(42)는 시트쿠션(20)에 마련된 삽입공간(21)에 삽입되어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와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
반면, 소아 탑승객 착석 시, 안전시트(42)는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여 시트쿠션(20)의 후단부 상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아 탑승객이 안전시트(42)에 착석하면, 소아 탑승객의 다리와 발은 안전시트(42)의 전면 및 시트쿠션(20)의 삽입공간(21) 저면에 안착되어 편안하게 지지된다.
이어서, 차량에 마련된 시트벨트를 이용해서 소아 탑승객의 상체 및 복부를 구속한다.
이와 함께, 삽입공간(21)에 수납된 안전벨트부(50)를 인출해서 안전패드(51)를 소아 탑승객의 허벅지부터 가슴부위에 배치한 후, 한 쌍의 벨트부재(52) 중에서 하나 이상을 길이조절모듈(53)을 통과시켜 외부로 인출한다.
이때, 길이조절모듈(53)의 레버(55)를 조작해서 가압부재(54)에 의한 벨트부재(52)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소아 탑승객이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적절한 길이만큼 벨트부재(52)의 일단부를 잡아당겨 벨트부재(52)의 길이를 조절한다.
벨트부재(52)의 길이를 조절한 후 레버(55)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56)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재(54)가 상승 동작하여 벨트부재(52)의 일단부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소아 탑승객은 차량의 시트벨트와 안전벨트부에 의해 2중으로 구속되고, 차량의 추돌사고나 충격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마련된 시트쿠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안전시트를 이용해서 소아 탑승객을 편안하게 착석시키고, 시트벨트와 추가로 마련된 안전벨트를 이용해서 안전하게 구속해서 사고 발생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마련된 시트쿠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안전시트를 이용해서 소아 탑승객을 편안하게 착석시키고, 시트벨트와 추가로 마련된 안전벨트를 이용해서 안전하게 구속해서 사고 발생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시트 기술에 적용된다.
10: 차량용 시트 20: 시트쿠션
21: 삽입공간 30: 시트백
31: 머리받침 40: 안전시트부
41: 회전축 42 안전시트
43: 본체 44: 등받이
45: 결합공간 46: 양측벽
50: 안전벨트부 51: 안전패드
52: 벨트부재 53: 길이조절모듈
54: 가압부재 55: 레버
56: 탄성부재

Claims (9)

  1. 성인 탑승객이 착석하는 시트쿠션,
    상기 시트쿠션의 후단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및
    소아 탑승객이 착석하도록 상기 시트쿠션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시트부는 성인 탑승객 착석시 시트쿠션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시트부는 상기 시트쿠션의 삽입공간 양측에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일단부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시트는
    소아 탑승객이 착석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의 선단에 형성되는 목보호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등받이 및 목보호대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 양측에 형성되는 양측벽은 소아 탑승객의 팔을 안착시키는 팔걸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아 탑승객이 차량에 마련되는 시트벨트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소아 탑승객을 2중으로 구속하는 안전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부는
    소아 탑승객의 허벅지 부분부터 가슴 부분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안전패드,
    상기 안전패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벨트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벨트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모듈은
    상기 벨트부재를 일측으로 가압해서 고정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승강 동작하는 레버 및
    상기 가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모듈은
    상기 벨트부재의 일단부를 감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구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는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에는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위치 조절 가능하게 머리받침이 마련되는 것을 차량용 시트.
KR1020140039352A 2014-04-02 2014-04-02 차량용 시트 KR102208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352A KR102208169B1 (ko) 2014-04-02 2014-04-02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352A KR102208169B1 (ko) 2014-04-02 2014-04-02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761A true KR20150114761A (ko) 2015-10-13
KR102208169B1 KR102208169B1 (ko) 2021-01-27

Family

ID=5434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352A KR102208169B1 (ko) 2014-04-02 2014-04-02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1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94B1 (ko) * 2017-11-22 2019-03-28 김종석 좌석 일체형 카시트
CN111137187A (zh) * 2018-11-05 2020-05-12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提供五点式儿童安全带和增高垫的双面坐垫
CN114750652A (zh) * 2022-03-25 2022-07-15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集成式安全座椅以及汽车
KR20230173504A (ko) 2022-06-17 2023-12-27 이경목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8628A (ko) 2022-02-28 2023-09-0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보조석용 다용도 수납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060Y1 (ko) * 1994-09-03 1998-10-15 전성원 뒷좌석 어린이용 헤드 레스트
JP2000238562A (ja) * 1999-02-23 2000-09-0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格納式チャイルドシート
KR20040106734A (ko) 2003-06-11 2004-1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유아용 시트의 안전벨트
JP2005225304A (ja) * 2004-02-12 2005-08-25 Nissan Motor Co Ltd 幼児用着座構造付シート
KR20130011118A (ko) * 2011-07-20 2013-01-30 권명출 차량용 유아보호 시트
KR101315120B1 (ko) 2011-04-20 2013-10-08 박연옥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060Y1 (ko) * 1994-09-03 1998-10-15 전성원 뒷좌석 어린이용 헤드 레스트
JP2000238562A (ja) * 1999-02-23 2000-09-0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格納式チャイルドシート
KR20040106734A (ko) 2003-06-11 2004-1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유아용 시트의 안전벨트
JP2005225304A (ja) * 2004-02-12 2005-08-25 Nissan Motor Co Ltd 幼児用着座構造付シート
KR101315120B1 (ko) 2011-04-20 2013-10-08 박연옥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KR20130011118A (ko) * 2011-07-20 2013-01-30 권명출 차량용 유아보호 시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94B1 (ko) * 2017-11-22 2019-03-28 김종석 좌석 일체형 카시트
CN111137187A (zh) * 2018-11-05 2020-05-12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提供五点式儿童安全带和增高垫的双面坐垫
CN114750652A (zh) * 2022-03-25 2022-07-15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集成式安全座椅以及汽车
KR20230173504A (ko) 2022-06-17 2023-12-27 이경목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169B1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617B2 (en) Child restraint system
KR102109040B1 (ko) 유아 구속 장치
KR20150114761A (ko) 차량용 시트
JP5325784B2 (ja) 飛行機用座席
KR101225929B1 (ko)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US8708415B2 (en) Child head restraint system and methods using same
US10940779B2 (en) Portable car seat
EP1223075B1 (en) Automotive seat with height adjustable seat cushion
GB2256364A (en) Child safety-seat arrangement
KR101402737B1 (ko) 운송수단용 보조시트
JP5584035B2 (ja) 育児器具の座席構造および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2325244B1 (ko) 차량용 어린이 안전벨트 장치
WO2013009659A1 (en) Child head restraint system and methods of using same
JP4421585B2 (ja) シート着座補助装置
EP1990234B1 (en) Integrated sleeping support device for car seats
KR200261829Y1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KR20170023790A (ko) 조임 부재
JP3407864B2 (ja) 携帯用チャイルドシート
AU2010100631A4 (en) Child Safety Seat for a Vehicle
JP2000190763A (ja) 幼児用安全椅子
KR20140005046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US20110140495A1 (en)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JP2024521387A (ja) 自動車シートに取り付けるためのインパクトシールド付きチャイルドシート
CN117104095A (zh) 未成年人汽车座椅系统
KR0128703Y1 (ko) 유야용 아암 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