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864A - 정제 카세터 - Google Patents

정제 카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864A
KR20140006864A KR1020137020421A KR20137020421A KR20140006864A KR 20140006864 A KR20140006864 A KR 20140006864A KR 1020137020421 A KR1020137020421 A KR 1020137020421A KR 20137020421 A KR20137020421 A KR 20137020421A KR 20140006864 A KR20140006864 A KR 20140006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main body
support point
lid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5878B1 (ko
Inventor
겐조 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카세터는, 덮개부(15) 아래에서는, 본체(49)에 배출 구멍(48)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45)에 수납되어 이송된 정제(70)는 덮개부(15) 아래에 도달하면 배출 구멍(48)으로부터 하부로 낙하하고, 홈(45)으로부터 일부분이 비어져 나온 상태로 이송된 정제(70)는 덮개부(15)와 접촉한다. 본체부(12)는, 덮개부(15)와 정제(70)의 접촉이 개시된 상태에서 덮개부(15) 중 정제(70)와의 접촉 부분이 정제(70)를 통해 압박되어 이동하는 동작의 지지점이 되는 제1 지지점(101)과, 제1 지지점을 지지점으로 한 본체부(12) 및 연장부(13)의 동작이 종료된 후에 덮개부(15) 중 정제(70)와의 접촉 부분이 정제(70)를 통해 압박되어 이동하는 동작의 지지점이 되는 제2 지지점(102)을 갖는다.

Description

정제 카세터{TABLET CASSETTE}
본 발명은, 주로 병원 등에 설치되어, 정제(錠劑), 캡슐 등의 약제(藥劑)를 환자마다 처방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취출하기 위한 약제 공급 장치에 장착되는 정제 등의 약제 공급 장치의 정제 카세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제 카세터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성09-266940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성09-266940호 공보
종래의 카세터에서는, 정제를 안내하기 위한 칸막이판에 정제가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경우에 정제에 지나치게 큰 부담이 가해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정제에 지나치게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제 카세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정제 카세터는, 정제를 수납하기 위한 본체와, 본체에 수납된 정제를 받아들이기 위한 홈이 형성된 이송 부재와, 본체에 부착되는 탄성부와, 탄성부에 부착되어 홈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는 것이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칸막이 부재를 구비하며, 덮개부 아래에서는 본체에 구멍이 뚫려 있고, 홈에 수납되어 이송된 정제는 덮개부 아래에 도달하면 본체의 구멍으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며, 홈으로부터 일부분이 비어져 나온 상태로 이송된 정제는 덮개부와 접촉하고, 탄성부는, 덮개부와 정제의 접촉이 개시된 상태에서 덮개부 중 정제와의 접촉 부분이 정제를 통해 압박되어 이동하는 동작의 지지점이 되는 제1 지지점과, 제1 지지점을 지지점으로 한 탄성부의 동작이 종료된 후에 덮개부 중 정제와의 접촉 부분이 정제를 통해 압박되어 이동하는 동작의 지지점이 되는 제2 지지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제 카세터에서는, 2개의 지지점을 갖기 때문에, 정제의 위치에 따라서 지지점을 바꿈으로써, 작은 힘으로 탄성부를 변형시킬 수 있어, 정제에 지나치게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점은, 제2 지지점보다 정제의 흐름의 하류측에 위치해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는, 정제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서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편(片)을 가지며, 제1 편이 한쪽 단부측에서 본체에 부착되고, 제2 편이 덮개부에 부착되며, 제1 편과 제2 편은 다른쪽 단부측에서 서로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칸막이 부재는 금속판을 굽힘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정제 카세터는, 정제를 수납하기 위한 본체와, 본체에 수납된 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이송 부재와, 본체에 부착되는 탄성부와, 탄성부에 부착되어 홈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는 것이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칸막이 부재를 구비하며, 덮개부 아래에서는 본체에 구멍이 뚫려 있고, 홈에 수납되어 이송된 정제는 덮개부 아래에 도달하면 본체의 구멍으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며, 홈으로부터 일부분이 비어져 나온 상태로 이송된 정제는 덮개부와 접촉하고, 탄성부는, 정제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서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편을 가지며, 제1 편이 정제의 흐름의 상류측의 한쪽 단부측에서 본체에 부착되고, 제2 편이 덮개부에 부착되며, 제1 편과 제2 편은 하류측의 다른쪽 단부측에서 서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제 카세터에서는, 제1 편과 제2 편이 마련됨으로써, 덮개부가 정제를 통해 압박된 경우라 하더라도, 한쪽 단부 및 다른쪽 단부 중 어느 한쪽을 지지점으로 하여 덮개부를 요동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작은 힘으로 탄성부를 변형시킬 수 있어, 정제에 지나치게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정제 카세터에서 이용되는 칸막이판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화살표 Ⅱ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화살표 Ⅲ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 중의 화살표 Ⅳ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 중의 화살표 Ⅴ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 중의 화살표 Ⅵ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 중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 중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칸막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정제 카세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정제 카세터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정제 카세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카세터가 이용되는 정제 카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정제 카세터 내에서의 정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정제 카세터 내에서의 정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정제와 접촉하기 직전의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덮개부에 정제가 접촉을 개시한 상태의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서부터 정제가 더 이송된 상태의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서부터 정제가 더 이송된 상태의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정제가 통과한 후의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비교예에 따른 칸막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비교예에 따른 칸막이판에서의 정제와의 접촉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덮개부에 정제가 접촉을 개시한 상태의 비교예에 따른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서부터 정제가 더 이송된 상태의 비교예에 따른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정제 카세터에서 이용되는 칸막이판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 중의 화살표 ⅩⅩⅥ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 중의 화살표 ⅩⅩⅦ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도 25 중의 화살표 ⅩⅩⅧ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저면도이다.
도 29는 도 25 중의 화살표 ⅩⅩⅨ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5 중의 화살표 ⅩⅩⅩ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좌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25 중의 ⅩⅩⅩⅠ-ⅩⅩⅩ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5에 나타내는 칸막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정제 카세터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정제 카세터 내에서의 정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5는 정제 카세터 내에서의 정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정제 카세터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에 관해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정제 카세터에서 이용되는 칸막이판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화살표 Ⅱ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화살표 Ⅲ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 중의 화살표 Ⅳ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 중의 화살표 Ⅴ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 중의 화살표 Ⅵ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 중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 중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칸막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해 보면, 실시형태 1에 따른 정제 카세터에서 이용되는 칸막이판(10)은, 정제 카세터에 부착되는 부착부(11)와, 부착부(11)에 접속되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13)와, 본체부(12)와 연장부(13)를 접속하는 접속부(19)와, 연장부(13)에 마련되는 덮개부(15)를 갖는다. 부착부(11)에는 2개의 구멍(21, 22)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구멍(21, 22)은 모두 긴 구멍 형상이며, 정제 카세터에 대한 칸막이판(10)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체부(12)와 부착부(11)의 경계 근방이 제2 지지점(102)이다. 제2 지지점(102)을 중심으로 하여, 본체부(12)는 요동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부(12)가 요동함으로써, 본체부(12) 및 본체부(12)에 접속되는 연장부(13)가 요동 운동한다.
본체부(12)와 연장부(13)를 접속하는 접속부(19) 부근이 제1 지지점(101)이 된다. 제1 지지점(101)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부(13)가 요동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부(12)와 연장부(13)의 사이에는 슬릿(30)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30)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접속부(19)의 길이가 짧아진다. 접속부(19)의 슬릿 방향의 길이는, 제1 지지점(101)을 중심으로 한 연장부(13)의 요동 운동에 관련되어 있고, 접속부(19)의 슬릿(30) 방향의 길이가 길면, 접속부(19)의 강도가 커지기 때문에, 제1 지지점(101)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부(13)가 요동 운동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창(14)은, 이송되는 정제(캡슐을 포함)의 위치를 보기 위한 창이며, 로터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의 위치에 대하여 최적의 위치가 되도록 칸막이판(10)이 부착된다.
덮개부(15)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부착부(11)측으로부터 흘러오는 정제와 접촉하는 가장자리는, 원활하게 정제가 이동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점(101)측에 큰 산이 존재하고, 제2 지지점(102)측에 작은 산이 존재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정제 카세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정제 카세터의 저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정제 카세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해 보면, 정제 카세터(40)의 전면(前面)에, 비스(vis)(41, 42)에 의해 칸막이판(10)이 부착된다. 구멍(21, 22)은 긴 구멍 형상이며, 도 10에 도시하는 세로 방향으로 칸막이판(10)의 부착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정제 카세터(40) 내에 수납되는 정제의 종류(크기)에 따라서 칸막이판(10)의 부착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정제 카세터(40)에는,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43)가 설치된다. 이 기어(43)는 외부로부터 구동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카세터가 이용되는 정제 카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해 보면, 정제 카운터(60) 상에 정제 카세터(40)와, 카세터 베이스(50)가 마련되어 있다. 정제 카세터(40)에 수납된 정제는 카세터 베이스(50)를 경유하여 정제 카운터(60)에 이송되고, 정제 카운터(60) 내에서 그 수가 카운트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정제 카운터(60)에 정제 카세터(40)를 부착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정제 카세터(40)는 카세터 베이스(50)와 함께 분포기(分包機)에 부착되어도 좋다.
도 14는 정제 카세터 내에서의 정제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정제 카세터 내에서의 정제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해 보면, 정제 카세터(40) 내에서는, 로터(44)가 회전함으로써 정제(70)가 배출 구멍(48)으로부터 배출된다. 로터(44)에는 홈(45)이 형성되어 있고, 홈(45)에 감합된 정제(70)는, 덮개부(15)의 하측을 통과하여 배출 구멍(48)으로부터 배출된다. 그러나,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45)으로부터 일부분이 비어져 나와 상측으로 돌출된 정제(70)가 화살표 R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로터(44)에 의해 이송되면, 이 정제는 덮개부(15)와 접촉한다.
도 16은 정제와 접촉하기 직전의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해 보면, 정제(70)는 홈(45)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로 로터(44)에 의해 정제(70)가 이송되면, 정제(70)는 덮개부(15)에 근접한다.
도 17은 덮개부에 정제가 접촉을 개시한 상태의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해 보면, 정제(70)가 덮개부(15)에 접촉하면, 정제(70)는 화살표 7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덮개부(15)에 힘을 가한다. 이 힘에 의해, 덮개부(15)가 제1 지지점(10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운동한다. 그 결과, 덮개부(15)의 위치가 도 16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변화되어, 로터(44)와 덮개부(15) 사이의 간극이 커진다. 그리고, 정제(70)가 로터(44)에 의해 이송된다.
도 18은 도 17에서부터 정제가 더 이송된 상태의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70)가 더 이송되어 정제(70)는, 제1 지지점(101)과 제2 지지점(102)의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1 지지점(101) 및 제2 지지점(102) 양자 모두를 중심으로 하여 덮개부(15)가 요동 운동하여, 덮개부(15)는, 도 16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거의 평행하게 좌측으로 이동한 위치가 된다.
도 19는 도 18에서부터 정제가 더 이송된 상태의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해 보면, 정제(70)가 더 이송되면, 정제(70)는 화살표 7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15)에서의 제1 지지점(101)측의 부분에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덮개부(15)는, 제2 지지점(102)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운동을 한다. 그리고, 덮개부(15) 중, 정제(70)와 접촉하지 않은 부분(15a)은 홈(45)의 일부분을 덮는다.
도 20은 정제가 통과한 후의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해 보면, 덮개부(15)와 정제(70)가 접촉하지 않은 상태라면, 덮개부(15)는 통상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정제 카세터(40)는, 정제(70)를 수납하기 위한 본체(49)와, 본체(49)에 수납된 정제(70)를 받아들이기 위한 홈(45)이 형성된 이송 부재로서의 로터(44)와, 본체(49)에 부착되는 탄성부로서의 본체부(12) 및 연장부(13)와, 본체부(12)에 부착되어 홈(45)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것이 가능한 덮개부(15)를 포함하는 칸막이판(10)을 구비한다. 덮개부(15) 아래에서는, 본체(49)에 배출 구멍(48)이 형성되어 있고, 홈(45)에 수납되어 이송된 정제(70)는 덮개부(15) 아래에 도달하면 배출 구멍(48)으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며, 홈(45)으로부터 일부분이 비어져 나온 상태로 이송된 정제(70)는 덮개부(15)와 접촉한다. 본체부(12)는, 덮개부(15)와 정제(70)의 접촉이 개시된 상태에서 덮개부(15) 중 정제(70)와의 접촉 부분이 정제(70)를 통해 압박되어 이동하는 동작의 지지점이 되는 제1 지지점(101)과, 제1 지지점을 지지점으로 한 본체부(12) 및 연장부(13)의 동작이 종료된 후에 덮개부(15) 중 정제(70)와의 접촉 부분이 정제(70)를 통해 압박되어 이동하는 동작의 지지점이 되는 제2 지지점(102)을 갖는다.
제1 지지점(101)은, 제2 지지점(102)보다 정제(70)의 흐름의 하류측에 위치해 있다. 탄성부는, 정제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서로 연장되는 제1 편으로서의 본체부(12)와 제2 편으로서의 연장부(13)를 가지며, 본체부(12)는 한쪽 단부측에서 본체(49)에 부착되고, 연장부(13)가 덮개부(15)에 부착되며, 본체부(12) 및 연장부(13)는 다른쪽 단부측에서 서로 접속된다. 칸막이판(10)은 금속판을 굽힘으로써 제조된다.
도 21은 비교예에 따른 칸막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21에서는, 본체부(12)에 직접 덮개부(15)가 부착되어 있는 점에서, 본체부(12)와 덮개부(15)의 사이에 연장부가 개재되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칸막이판과 상이하다.
도 22는 비교예에 따른 칸막이판에서의 정제와의 접촉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해 보면, 정제(70)가 로터(44)에 의해 이송되고, 이 경우에 있어서, 정제(70)의 위치가 부적절하다면, 이 정제(70)는 덮개부(15)에 접촉한다.
도 23은 덮개부에 정제가 접촉을 개시한 상태의 비교예에 따른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70)가 덮개부(15)에 접촉하면, 제1 지지점(101)을 중심으로 하여 덮개부(15)가 크게 요동 운동한다.
도 24는 도 23에서부터 정제가 더 이송된 상태의 비교예에 따른 칸막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해 보면, 정제(70)가 더 이송되면, 보다 크게 덮개부(15)가 요동 운동한다. 이때, 덮개부(15)는 배출 구멍(48)의 상측을 거의 덮지 않은 상태가 되어, 배출 구멍(48)은 개방된다. 배출 구멍(48)의 상측이 개방되면, 홈(45)에 정제가 떨어져, 이 정제가 배출 구멍(48)을 통해 낙하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정제 카세터 및 이에 이용되는 칸막이판에서는, 비교예와 달리, 정제(70)가 덮개부(15)와 접촉해 있는 동안에, 항상 덮개부(15)의 일부분이 로터의 홈(45)을 덮고 있다. 그 결과, 배출 구멍(48)이 항상 덮개부(15)로 덮이기 때문에, 비교예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점(101) 및 제2 지지점(102)을 마련하여, 정제(70)와 지지점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고, 지지점과 작용점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덮개부(15)가 용이하게 요동 운동한다. 이에 따라, 정제에 지나치게 큰 부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판(10)에 지나치게 큰 부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덮개부(15)의 상하 방향의 변형이 저감된다.
또한, 원활하게 정제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로터(4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 및 로터(44)와 구동원의 사이에 개재되는 기어(43) 등의 동력 전달부에 지나치게 큰 부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지지점을 2개소 마련함으로써, 정제의 흐름에 따른 덮개부(15)의 릴리프가 가능해지고, 또한 배출 구멍을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배출 구멍의 덮개가 되는 부분의 근원의 굽힘 거리를 길게 하면, 상하 방향의 변형이 저감된다.
또한, 칸막이판(10)의 재질은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 또는 고무이어도 좋다.
(실시형태 2)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정제 카세터에서 이용되는 칸막이판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 중의 화살표 ⅩⅩⅥ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 중의 화살표 ⅩⅩⅦ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도 25 중의 화살표 ⅩⅩⅧ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저면도이다. 도 29는 도 25 중의 화살표 ⅩⅩⅨ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5 중의 화살표 XXX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칸막이판의 좌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25 중의 ⅩⅩⅩⅠ-ⅩⅩⅩ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5에 나타내는 칸막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정제 카세터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정제 카세터 내에서의 정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5는 정제 카세터 내에서의 정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35를 참조해 보면, 실시형태 2에 따른 정제 카세터에서 이용되는 칸막이판(10)은, 정제 카세터에 부착되는 부착부(11)와, 부착부(11)에 접속되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13)와, 본체부(12)와 연장부(13)를 접속하는 접속부(19)와, 연장부(13)에 마련되는 덮개부(15)를 가지며, 상측에 본체부(12)가 마련되고, 하측에 연장부(13) 및 덮개부(15)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 2에 따른 정제 카세터(40)에서도, 실시형태 1에 따른 정제 카세터(40)와 동일한 효과가 있다.
(실시형태 3)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정제 카세터의 평면도이다. 도 36을 참조해 보면, 실시형태 3에 따른 정제 카세터에서는, 제1 지지점(101) 및 제2 지지점(102)이 코일 스프링(81, 82)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에 따른 정제 카세터와 상이하다.
10 : 칸막이판 11 : 부착부
12 : 본체부 13 : 연장부
14 : 창 15 : 덮개부
19 : 접속부 21, 22 : 구멍
30 : 슬릿 40 : 정제 카세터
41, 42 : 비스 43 : 기어
44 : 로터 45 : 홈
48 : 배출 구멍 49 : 본체
50 : 카세터 베이스 60 : 정제 카운터
70 : 정제 81, 82 : 코일 스프링
101 : 제1 지지점 102 : 제2 지지점

Claims (5)

  1. 정제(70)를 수납하기 위한 본체(49)와,
    상기 본체에 수납된 정제를 받아들이기 위한 홈이 형성된 이송 부재(44)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탄성부(12)와, 상기 탄성부에 부착되어 상기 홈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는 것이 가능한 덮개부(15)를 포함하는 칸막이 부재(10)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 아래에서는 상기 본체에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홈에 수납되어 이송된 정제는 상기 덮개부 아래에 도달하면 상기 본체의 구멍으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며,
    상기 홈으로부터 일부분이 비어져 나온 상태로 이송된 정제는 상기 덮개부와 접촉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덮개부와 정제의 접촉이 개시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 중 상기 정제와의 접촉 부분이 정제를 통해 압박되어 이동하는 동작의 지지점이 되는 제1 지지점(101)과, 상기 제1 지지점을 지지점으로 한 상기 탄성부의 동작이 종료된 후에 상기 덮개부 중 상기 정제와의 접촉 부분이 상기 정제를 통해 압박되어 이동하는 동작의 지지점이 되는 제2 지지점(102)을 갖는 것인 정제 카세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점은, 상기 제2 지지점보다 상기 정제의 흐름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것인 정제 카세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정제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서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편을 가지며, 상기 제1 편은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편은 상기 덮개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편은 다른쪽 단부측에서 서로 접속되는 것인 정제 카세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는 금속판을 굽힘으로써 제조되는 것인 정제 카세터.
  5. 정제를 수납하기 위한 본체(49)와,
    상기 본체에 수납된 정제를 받아들이기 위한 홈이 형성된 이송 부재(44)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탄성부(12)와, 상기 탄성부에 부착되어 상기 홈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는 것이 가능한 덮개부(15)를 포함하는 칸막이 부재(10)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 아래에서는 상기 본체에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홈에 수납되어 이송된 정제는 상기 덮개부 아래에 도달하면 상기 본체의 구멍으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며,
    상기 홈으로부터 일부분이 비어져 나온 상태로 이송된 정제는 상기 덮개부와 접촉하고,
    상기 탄성부는, 정제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서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편을 가지며, 상기 제1 편은 정제의 흐름의 상류측의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편은 상기 덮개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편은 하류측의 다른쪽 단부측에서 서로 접속되는 것인 정제 카세터.
KR1020137020421A 2011-02-01 2012-01-11 정제 카세터 KR101735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9676A JP5957747B2 (ja) 2011-02-01 2011-02-01 錠剤カセッター
JPJP-P-2011-019676 2011-02-01
PCT/JP2012/050358 WO2012105286A1 (ja) 2011-02-01 2012-01-11 錠剤カセッ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864A true KR20140006864A (ko) 2014-01-16
KR101735878B1 KR101735878B1 (ko) 2017-05-15

Family

ID=4660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421A KR101735878B1 (ko) 2011-02-01 2012-01-11 정제 카세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57950B2 (ko)
EP (1) EP2671564A4 (ko)
JP (1) JP5957747B2 (ko)
KR (1) KR101735878B1 (ko)
CN (1) CN103338739B (ko)
AU (1) AU2012212820B2 (ko)
CA (1) CA2825902A1 (ko)
HK (1) HK1188709A1 (ko)
WO (1) WO2012105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2363A1 (en) * 2010-05-17 2013-03-14 Yuyama Mfg. Co., Ltd. Tablet Cassette
KR101871840B1 (ko) * 2011-01-14 2018-06-2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정제 카세트
KR101449717B1 (ko) * 2013-01-02 2014-10-15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 포장장치용 정제 카트리지
JP6000195B2 (ja) * 2013-07-03 2016-09-28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カセット
US9663260B2 (en) * 2014-01-31 2017-05-30 Yuyama Mfg. Co., Ltd. Drug feeder
JP6391063B2 (ja) * 2015-06-04 2018-09-19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カセット用仕切板
JP6569911B2 (ja) * 2016-07-27 2019-09-04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カセット
EP3389022A1 (de) * 2017-04-11 2018-10-17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Vorratsbehälter für eine vorrats- und abgabe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8011A (en) * 1961-09-20 1964-04-07 Howard W Bleiman Coin operated vending machine
JPS50143953A (ko) 1974-05-08 1975-11-19
JPS5819755Y2 (ja) 1977-12-14 1983-04-2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テ−プカセットのパッドばね
JP2831951B2 (ja) * 1995-08-02 1998-12-0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JP3886178B2 (ja) * 1996-04-02 2007-02-28 高園産業株式会社 錠剤等の薬剤選択供給装置用の薬剤収容容器
US6287385B1 (en) * 1999-10-29 2001-09-11 The Boc Group, Inc. Spring clip for sensitive substrates
JP4351016B2 (ja) 2003-10-01 2009-10-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カセット
WO2005097600A1 (ja) * 2004-03-31 2005-10-20 Yuyama Mfg. Co., Ltd. 錠剤フィーダ
JP2006230763A (ja) * 2005-02-25 2006-09-07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US20080029535A1 (en) 2006-08-02 2008-02-07 Jun Ho Kim Tablet cassette with silicon partition
KR100800290B1 (ko) * 2006-11-01 2008-02-01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용 카세트 장치
US8616409B2 (en) * 2008-01-16 2013-12-31 Parata Systems, Llc Devices for dispensing objects useful i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JP4527810B2 (ja) * 2008-09-18 2010-08-1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WO2010119949A1 (ja) * 2009-04-17 2010-10-2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フィーダ及び薬剤払出装置
US20130062363A1 (en) * 2010-05-17 2013-03-14 Yuyama Mfg. Co., Ltd. Tablet Cassette
KR101449717B1 (ko) * 2013-01-02 2014-10-15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 포장장치용 정제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38739A (zh) 2013-10-02
US20140084020A1 (en) 2014-03-27
AU2012212820B2 (en) 2015-09-24
EP2671564A1 (en) 2013-12-11
AU2012212820A1 (en) 2013-08-01
CN103338739B (zh) 2015-01-21
JP5957747B2 (ja) 2016-07-27
JP2012157569A (ja) 2012-08-23
EP2671564A4 (en) 2016-10-12
HK1188709A1 (en) 2014-05-16
US9457950B2 (en) 2016-10-04
CA2825902A1 (en) 2012-08-09
WO2012105286A1 (ja) 2012-08-09
KR101735878B1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6864A (ko) 정제 카세터
CN100521562C (zh) 带滑动组装体的滑动型移动电话和便携电话的滑动组装体
CN101845740B (zh) 洗衣机盖体开闭用铰链装置
US20160345695A1 (en) Bistable spring stand and housing for a handheld device
EP1796523B1 (en) Slow closure mechanism for toilet covers
EP2425745B1 (en) Low mount-type sliding apparatus equipped with an automatic closing apparatus
SE446416B (sv) Bildbetraktningsapparat
KR200485106Y1 (ko) 손목 운동기
CN103732446A (zh) 滑动结构
JP4626816B2 (ja) パチンコ機
JP6442936B2 (ja) カバー開閉構造
JP6142150B2 (ja) 錠剤カセッター
US20120234659A1 (en) Push button structure with curved lever
CN210312325U (zh) 一种具备轨迹槽的物料翻转机构
CN1718897B (zh) 带上送机构的缝纫机的润滑剂泄漏防止装置
CN101500920B (zh) 胶带切割机
CN110829066A (zh) 卡托盘以及电子设备
KR102002070B1 (ko) 차량용 도어체커
JP6905715B2 (ja) 把持機構及び供給装置
JP3206447U (ja) カードコネクタ
JP5108079B2 (ja) チューブポンプ
KR200439617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가이드 장치
CN112527052A (zh) 可穿戴设备
ATE449391T1 (de) Tassenhandhabungsmechanismus, im besonderen für einen getränkeautomaten
JP2004124990A (ja) 簡易軸受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口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