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106Y1 - 손목 운동기 - Google Patents

손목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106Y1
KR200485106Y1 KR2020160002329U KR20160002329U KR200485106Y1 KR 200485106 Y1 KR200485106 Y1 KR 200485106Y1 KR 2020160002329 U KR2020160002329 U KR 2020160002329U KR 20160002329 U KR20160002329 U KR 20160002329U KR 200485106 Y1 KR200485106 Y1 KR 200485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ail
cushioning
hous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463U (ko
Inventor
페이-쑹 추앙
Original Assignee
나노-세컨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세컨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노-세컨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4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1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wris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by overcoming gyroscopic forces, e.g. by turning the spi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운동기는 하우징 및 회전본체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 1 커버, 제 2 커버,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를 포함한다. 지지부 및 완충부는 제 1 커버와 제 2 커버 사이에 설치된다. 지지부의 양단은 각각 제 1 커버와 제 2 커버에 당접되며, 지지부의 강성은 완충부의 강성보다 크다. 완충부는 레일 및 완충체를 갖고 있으며, 완충체의 위치는 레일에 대응된다. 회전본체는 링 및 로터를 포함한다. 링은 하우징 내부에 있으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레일에 설치된다. 로터는 볼 및 회전축을 포함하며, 볼은 하우징 내부에 있으며, 회전축은 볼을 관통하며, 회전축의 양단은 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손목 운동기{WRIST EXERCISER}
본 고안은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목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 운동기는 하우징, 링 및 로터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내부에 레일이 있으며, 링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레일에 설치된다. 로터는 볼과 회전축을 포함하고, 회전축은 볼을 관통하며, 회전축의 양단은 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손목 운동기는 자이로스코프의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손목 운동기를 수동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로터가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원심력 및 관성력의 작용에 의해 강력한 회전력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목 운동기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력에 의해 손목과 어깨의 관련 근육 운동 효과를 나태낼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손목 운동기에 있어서, 볼은 오직 회전축의 양단이 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걸려 있으며, 즉 볼의 무게는 단지 회전축에 의해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손목 운동기를 바닥에 떨어뜨리면 회전축은 볼의 무게 및 회전축의 고속 회전의 영향을 받아 만곡 변형된다. 회전축이 만곡 변형되면 손목 운동기의 본래 구조상 및 위치상 상대적 관계가 개변되므로 손목 운동기에 소음 또는 진동 등 문제가 생기면서 로터의 회전에 영향준다. 또한, 사용자가 큰 힘으로 하우징을 지나치게 꽉 잡으면, 하우징이 잠시 변형되어 하우징, 링 및 로터가 서로 접촉하면서 로터의 회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손목 운동기가 외부 충격을 받아 회전축이 변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손목 운동기를 너무 큰 힘으로 지나치게 꽉 잡아 하우징이 잠시 변형되어 손목 운동기가 원래의 기능을 잃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개선된 기술방안을 제공하여,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손목 운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운동기는 하우징 및 회전본체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 1 커버, 제 2 커버,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를 포함한다. 지지부 및 완충부는 제 1 커버와 제 2 커버 사이에 설치된다. 지지부의 양단은 각각 제 1 커버와 제 2 커버에 당접되며, 지지부의 강성은 완충부의 강성보다 크다. 완충부는 레일 및 완충체를 갖고 있으며, 완충체의 위치는 레일에 대응된다. 회전본체는 링 및 로터를 포함한다. 링은 하우징 내부에 있으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레일에 설치된다. 로터는 볼 및 회전축을 포함하며, 볼은 하우징 내부에 있으며, 회전축은 볼을 관통하며, 회전축의 양단은 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운동기에 있어서, 레일은 완충체의 탄성완충변형능력에 따라 회전축을 연동하여 볼과 함께 이동하게 함으로써 충격 응력이 회전축의 피벗부와 적재부가 교접되는 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완충부의 탄성완충변형능력에 의해 회전축이 감당하는 충격력을 분담하여 회전축이 충격으로 인해 만곡되는 것을 피하게 된다. 또한 나란히 설치된 지지부의 강성은 완충부의 강성보다 크므로 사용자가 손목 운동기를 손에 쥐여 하우징에 외력을 줄 때에 지지부는 제 1 커버와 제 2 커버를 지지하면서 제 1 커버와 제 2 커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목 운동기를 큰 힘으로 지나치게 꽉 잡아도 하우징은 변형되지 않으며, 로터의 정상 작동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기의 입체조립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목 운동기의 입체분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목 운동기의 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손목 운동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기의 입체분해도,
도 6은 제5도에 도시된 손목 운동기의 입체조립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운동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기의 입체조립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목 운동기의 입체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목 운동기의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손목 운동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운동기(10)는 하우징(100) 및 회전본체(20)를 포함하며, 회전본체(20)는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된다.
하우징(100)은 제 1 커버(111), 제 2 커버(121),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14),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140), 제 1 연결부(160), 제 1 레일(113) 및 제 2 레일(123)을 포함한다. 지지부(114) 및 완충부(140)는 제 1 커버(111)와 제 2 커버(121) 사이에 설치된다. 지지부(114)의 양단은 각각 제 1 커버(111)와 제 2 커버(121)에 당접되며, 지지부(114)의 강성은 완충부(140)의 강성보다 크다. 본 실시예 및 일부분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114)의 개수는 세개이며, 완충부(140)의 개수도 세개이며, 각 지지부(114)는 인접된 두개의 완충부(140) 사이에 설치된다. 하지만 지지부(114) 및 완충부(140)의 개수는 본 고안처럼 세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우징(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상부 케이싱 부재(110) 및 하부 케이싱 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부(140)는 제 1 완충구조(112) 및 제 2 완충구조(122)를 포함한다. 제 1 커버(111), 제 1 완충구조(112), 제 1 레일(113) 및 지지부(114)는 상부 케이싱 부재(110)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 2 커버(121), 제 2 완충구조(122) 및 제 2 레일(123)은 하부 케이싱 부재(120)에 위치한다. 제 1 커버(111)는 상부 케이싱 부재(110)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 1 레일(113)은 상부 케이싱 부재(110)의 반대측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커버(121)는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 2 레일(123)은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반대측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제 1 완충구조(112)는 제 2 완충구조(12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 케이싱 부재(110)를 하부 케이싱 부재(120)에 장착하면 그 내부에 회전본체(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30)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당접된다》는 것은 한 부품이 연결방식이나 또는 기대는 방식에 의해 다른 한 부품에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 및 일부분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114)의 양단은 각각 제 1 커버(111)와 제 2 커버(121)에 당접된다. 지지부(114)는 자유단(114b)과 고정단(114c)을 갖고 있다. 지지부(114)의 고정단(114c)은 제 1 커버(111)와 직접 연결되며, 즉 지지부(114)와 제 1 커버(111)는 일체성형된다. 지지부(114)의 자유단(114b)은 제 2 커버(121)에 당접된다.
본 실시예 및 일부분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완충구조(112)는 계합 구멍(112b)을 포함하고, 제 2 완충구조(122)는 계합 갈고리(122b)를 포함하며, 제 2 완충구조(122)의 계합 갈고리(122b)는 제 1 완충구조(112)의 계합 구멍(112b)에 착탈 가능하게 계합된다. 상부 케이싱 부재(110) 및 하부 케이싱 부재(120)는 계합 갈고리(112b)와 계합 구멍(112b)의 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서로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및 일부분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완충구조(112)는 제 1 연결부(160)에 의해 제 1 커버(111)에 연결되며, 지지부(114)와 제 1 완충구조(112)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 제 1 연결부(160)의 넓이는 제 1 완충구조(112)의 넓이보다 좁기 때문에 제 1 커버(111)와 제 1 완충구조(112) 사이에 제 1 슬롯(115)이 형성된다. 제 1 슬롯(115) 및 제 1 연결부(160)에 의해 제 1 완충구조(112)와 제 1 커버(111)는 제 1 거리 D1 정도로 떨어져 있다. 하부 케이싱 부재(120)는 복수개의 제 2 연결부(260)를 포함하며, 제 2 완충구조(122)는 제 2 연결부(260)에 의해 제 2 커버(121)에 연결된다. 복수개의 제 2 슬롯(125)은 제 2 커버(121)와 제 2 완충구조(122) 사이에 형성되며, 제 2 완충구조(122)와 제 2 커버(121)는 제 2 거리 D2 정도로 떨어져 있다.
본 실시예 및 일부분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완충구조(112)에 복수개의 제 1 채널(112a)이 있으며, 제 1 채널(112a)과 제 1 슬롯(115)은 교차 배열(交錯排列)된다. 제 2 완충구조(122)에 복수개의 제 2 채널(122a)이 있으며, 제 2 채널(122a)과 제 2 슬롯(125)은 교차 배열된다. 본 실시예 및 일부분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채널(112a)과 제 2 채널(122a)은 모두 제 1 슬롯(115)과 제 2 슬롯(125)에 평행되며, 제 1 채널(112a)은 제 2 채널(122a)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 및 일부분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채널(112a)은 제 2 채널(122a)에 대응된다는 것은 제 1 채널(112a)이 레일(141)에 투영된 위치와 제 2 채널(122a)이 레일(141)에 투영된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 및 일부분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손목 운동기(10)는 고정 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100)에 고정부(150)가 있으며, 고정부(150)는 제 2 커버(121)에 연결되며 또한 제 1 커버(111)를 향해 연장된다. 지지부(114)에 제 1 고정구멍(114a)이 있으며, 고정부(150)에 제 2 고정구멍(151)이 있으며, 고정부재(500)는 제 1 고정구멍(114a) 및 제 2 고정구멍(151)을 관통한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500)는 나사못이며, 제 1 고정구멍(114a) 및 제 2 고정구멍(151)에 모두 나사산이 있다. 고정부재(500)가 제 1 고정구멍(114a) 및 제 2 고정구멍(151)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부(114) 양단이 제 1 커버(111)와 제 2 커버(121)에 당접되는 고정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완충부(14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완충부(140)는 레일(141) 및 완충체(142)를 포함하며, 완충체(142)의 위치는 레일(141)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부(140)의 개수는 복수개이며, 복수개의 완충부(140)의 레일(141)은 서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14)는 레일(141)을 뛰어넘는다. 본 실시예 및 일부분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141)은 제 2 완충구조(12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완충체(142)는 상술한 제 1 완충구조(112) 및 제 2 완충구조(122)를 포함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체(142)는 단지 상부 케이싱 부재(110)에 위치한 제 1 완충구조(111)만 포함할 뿐 제 2 완충구조(122)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체(142)는 단지 하부 케이싱 부재(120)에 위치한 제 2 완충구조(121)만 포함할 뿐 제 1 완충구조(112)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일(141)의 내측면(143)은 수용공간(130)을 향하고 있다. 환상 홈(144)은 레일(141)의 내측면(143)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커버(111), 제 2 커버(121) 및 레일(141)의 재질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커버(111), 제 2 커버(121) 및 레일(141)의 재질은 금속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채널(112a)의 좌우양측의 두 측면사이의 거리는 상부 케이싱 부재(110)의 외측면(116)으로부터 내측면(143)에 이르기까지 점점 가까와지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채널(112a)의 좌우양측의 두 측면은 서로 평행되거나 또는 제 1 채널(112a)의 좌우양측의 두 측면사이의 거리는 상부 케이싱 부재(110)의 외측면(116)으로부터 내측면(143)에 이르기까지 점점 멀어지고 있다. 유사하게 제 2 채널(122a)의 좌우양측의 두 측면사이의 거리는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외측면(116)으로부터 내측면(143)에 이르기까지 점점 가까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레일(113)은 제 1 지지홈(113a) 및 제 1 지지링(113b)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링(113b)은 제 1 지지홈(113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레일(113)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레일(123)은 제 2 지지홈(123a) 및 제 2 지지링(123b)를 포함한다. 제 2 지지링(123b)은 제 2 지지홈(123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2 레일(123)를 구성한다.
제 1 레일(113)과 제 2 레일(123)은 레일(141)의 환상 홈(144)을 구성하며, 환상 홈(144)은 하우징(100)의 내측면(143)에 고리모양으로 설치되며, 제 1 채널(112a)과 제 2 채널(122a)의 연장방향은 환상 홈(144)에 평행된다.
회전본체(20)는 링(200) 및 로터(300)를 포함한다. 링(200)과 로터(300)는 수용공간(130) 내부에 위치한다. 링(200)은 레일(1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200)은 환상 돌출부(210)와 두개의 피벗 구멍(220)을 갖고 있다. 환상 돌출부(210)는 링(200)의 외표면에 있으며, 환상 돌출부(210)는 환상 홈(14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두개의 피벗 구멍(220)의 위치는 서로 마주하고 있다. 로터(300)는 수용공간(130) 내부에 위치한다. 로터(300)는 볼(310) 및 회전축(320)을 포함하며, 볼(310)은 하우징(100) 내부에 있다. 회전축(320)은 적재부(321)과 두개의 피벗부(322)를 포함한다. 적재부(321)는 두개의 피벗부(322) 사이에 연결되며, 피벗부(322)의 축반경은 적재부(321)의 축반경보다 작다. 회전축(320)의 적재부(321)는 볼(310)을 관통한다. 회전축(320) 양단의 두 피벗부(322)는 볼(310) 외부로 노출되며, 링(200)의 두개의 피벗 구멍(2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하우징(100)의 지지부(114)의 강성은 완충부(140)의 강성보다 크므로 사용자가 손목 운동기(10)를 손에 쥐여 하우징(100)에 외력을 줄 때에 지지부(114)는 제 1 커버(111)와 제 2 커버(121)를 지지하면서 제 1 커버(111)와 제 2 커버(12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목 운동기(10)를 큰 힘으로 지나치게 꽉 잡아도 하우징(100)은 변형되지 않으며, 볼(310)의 정상 작동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00)은 제 1 슬롯(115), 제 2 슬롯(125), 제 1 채널(112a) 및 제 2 채널(122a)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에 외력을 줄 때, 제 1 슬롯(115), 제 2 슬롯(125), 제 1 채널(112a) 및 제 2 채널(122a)은 완충부(140)에게 변형가능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외력을 흡수하여 회전본체(20)에 전달되는 외력을 감소시킨다.
실수로 손목 운동기(10)를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 하우징(100)은 충격력을 받게 된다.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제 2 커버(121)를 예로 한다.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제 2 커버(121)가 충격을 받으며, 또한 충격력 F가 제 2 완충구조(122)의 초기변형력보다 클 때, 레일(141)은 제 2 완충구조(122)의 탄성완충변형능력에 따라 볼(310)과 회전축(320)이 함께 제 2 커버(121) 방향으로 운동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목 운동기(10)의 충격 과정은 대체로 두 단계로 나눈다. 첫번째 단계는 볼(310)이 아직 하우징(100)에 접촉하지 않았을 때, 레일(141)은 제 2 완충구조(122)의 탄성완충변형능력에 따라 회전축(320)을 연동하여 볼(310)과 함께 이동하게 함으로써 충격응력이 적재부(321)와 피벗부(322)가 교접되는 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단계는 제 2 완충구조(122)의 탄성완충변형능력에 의해 회전축(320)이 감당하는 충격력을 분담하여 회전축(320)이 충격으로 인해 만곡되는 것을 피하게 된다.
두번째 단계는 볼(310)이 이미 하우징(100)에 접촉하였을 때, 하우징(100)에 의해 볼(310)의 무게를 지지함으로써 회전축(320)이 감당하는 반경방향 외력을 저감하여 회전축(320)의 만곡 또는 단절을 피하게 된다.
제 1 레일(113) 및 제 2 레일(123)은 조합식구조이며, 제 1 레일(113)과 제 2 레일(123)에 의해 이루어진 환상 홈(144)이 회전축(320)의 마찰 또는 충격을 받아 마손되었을 때, 사용자는 새로운 제 1 지지링(113b)과 제 2 지지링(123b)으로 이미 마손된 제 1 지지링(113b)과 제 2 지지링(123b)을 바꾸기만 하면 되며, 새로운 손목 운동기(10)를 다시 살 필요가 없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기의 입체분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손목 운동기의 입체조립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기(10)는 보호링(400)을 더 포함한다. 보호링(400)은 하우징(100)의 완충부(140)를 둘러싸며 또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보호링(400)은 완충부(140)를 보호하며, 완충부(140)가 외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보호링(4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그 마찰계수는 하우징(100)의 마찰계수보다 크다. 따라서 보호링(400)이 사용자의 손에 잡힐 때에 아주 편한 사용느낌을 갖게 되며, 손에 잡히기 쉬워 손목 운동기(10)가 실수로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손목 운동기(10)는 센서(600)를 더 포함하며, 센서(600)는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개구(126)에 설치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센서(600)는 계합 갈고리(610)를 포함하며, 센서(600)는 계합 갈고리(610)에 의해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개구(126)에 착탈 가능하게 계합된다. 센서(600)는 볼(310)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그 정보를 표시하거나 다른 전자장치에 전송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운동기에 있어서, 레일은 완충체의 탄성완충변형능력에 따라 회전축을 연동하여 볼과 함께 이동하게 함으로써 충격 응력이 회전축의 피벗부와 적재부가 교접되는 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완충부의 탄성완충변형능력에 의해 회전축이 감당하는 충격력을 분담하여 회전축이 충격으로 인해 만곡되는 것을 피하게 된다. 또한 나란히 설치된 지지부의 강성은 완충부의 강성보다 크므로 사용자가 손목 운동기를 손에 쥐여 하우징에 외력을 줄 때에 지지부는 제 1 커버와 제 2 커버를 지지하면서 제 1 커버와 제 2 커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목 운동기를 큰 힘으로 지나치게 꽉 잡아도 하우징은 변형되지 않으며, 로터의 정상 작동을 유지할 수 있다.
볼이 하우징에 접촉했을 때, 하우징은 볼의 무게를 보조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회전축이 감당하는 충격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완충부에 의해 하우징은 회전축이 감당하는 충격 응력을 공동으로 분담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손목 운동기 20 --- 회전본체
100 --- 하우징 110 --- 상부 케이싱 부재
111 --- 제 1 커버 112 --- 제 1 완충구조
112a --- 제 1 채널 112b --- 계합 구멍
113 --- 제 1 레일 113a --- 제 1 지지홈
113b --- 제 1 지지링 114 --- 지지부
114a --- 제 1 고정구멍 114b --- 자유단
114c --- 고정단 115 --- 제 1 슬롯
116 --- 외측면 120 --- 하부 케이싱 부재
121 --- 제 2 커버 122 --- 제 2 완충구조
122a --- 제 2 채널 122b --- 계합 갈고리
123 --- 제 2 레일 123a --- 제 2 지지홈
123b --- 제 2 지지링 125 --- 제 2 슬롯
126 --- 개구 130 --- 수용공간
140 --- 완충부 141 --- 레일
142 --- 완충체 143 --- 내측면
144 --- 환상 홈 150 --- 고정부
151 --- 제 2 고정구멍 160 --- 제 1 연결부
200 --- 링 210 --- 환상 돌출부
220 --- 피벗 구멍 300 --- 로터
310 --- 볼 320 --- 회전축
321 --- 적재부 322 --- 피벗부
400 --- 보호링 500 --- 고정부재
600 --- 센서 610 --- 계합 갈고리
D1 --- 제 1 거리 D2 --- 제 2 거리

Claims (17)

  1. 제 1 커버, 제 2 커버,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게 되는 하우징의 외부 표면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에 당접되며, 상기 지지부의 강성은 상기 완충부의 강성보다 더 크게 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목 운동기를 손에 쥐여 하우징에 외력을 줄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완충부는 레일 및 완충체를 갖고 있으며, 상기 완충체의 위치는 상기 레일에 대응되는 하우징과,
    링 및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링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있으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로터는 볼 및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볼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있으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볼을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의 양단은 상기 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지지부는 일체성형되며, 상기 지지부의 자유단은 상기 제 2 커버에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부가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2 커버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제 1 커버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에 제 1 고정구멍이 있으며, 상기 고정부에 제 2 고정구멍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고정구멍과 상기 제 2 고정구멍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개수는 복수개이며, 복수개의 완충부의 레일은 서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일을 뛰어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체는 제 1 완충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완충구조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 1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 1 완충구조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의 넓이는 상기 제 1 완충구조의 넓이보다 좁기 때문에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완충구조 사이에 제 1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구조에 제 1 채널이 있으며,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1 슬롯은 교차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1 슬롯에 평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체는 제 2 완충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완충구조는 상기 제 2 완충구조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제 2 완충구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구조는 계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완충구조는 계합 갈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 갈고리는 상기 계합 구멍에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구조에 제 1 채널이 있으며, 상기 제 2 완충구조에 제 2 채널이 있으며,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의 연장방향은 모두 상기 레일의 환상 홈에 평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내측면 및 환상 홈이 있으며, 상기 내측면은 상기 로터를 향하고 있으며, 상기 환상 홈은 상기 레일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링에 환상 돌출부가 있으며, 상기 환상 돌출부는 상기 환상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케이싱 부재 및 하부 케이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제 1 완충구조 및 제 2 완충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싱 부재의 가장자리에 제 1 레일이 있으며, 상기 제 1 커버 및 상기 제 1 완충구조는 상기 상부 케이싱 부재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케이싱 부재의 가장자리에 제 2 레일이 있으며, 상기 제 2 커버 및 상기 제 2 완충구조는 상기 하부 케이싱 부재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케이싱 부재를 상기 하부 케이싱 부재에 장착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레일 및 상기 제 2 레일은 상기 레일의 환상 홈을 구성하며, 상기 링과 상기 로터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은 제 1 지지홈 및 제 1 지지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링은 상기 제 1 지지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은 제 2 지지홈 및 제 2 지지링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링은 상기 제 2 지지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체의 최대완충변위량은 상기 볼로부터 상기 하우징까지의 거리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기.
KR2020160002329U 2015-06-17 2016-04-29 손목 운동기 KR2004851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209755 2015-06-17
TW104209755U TWM518101U (zh) 2015-06-17 2015-06-17 腕力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63U KR20160004463U (ko) 2016-12-27
KR200485106Y1 true KR200485106Y1 (ko) 2017-11-28

Family

ID=5513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29U KR200485106Y1 (ko) 2015-06-17 2016-04-29 손목 운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27463B2 (ko)
JP (1) JP3205608U (ko)
KR (1) KR200485106Y1 (ko)
DE (1) DE102016104954B4 (ko)
GB (1) GB2539519B (ko)
TW (1) TWM51810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813B1 (ko) * 2017-09-22 2019-01-22 월드잉 (주) 자이로스코프원리를 이용한 손목운동구
TWM613058U (zh) * 2020-12-30 2021-06-11 宜強科技股份有限公司 腕力球及腕力球之轉動裝置
CN114210029B (zh) * 2021-12-06 2022-09-23 上海铼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使用安全的腕力球
USD996537S1 (en) * 2022-01-26 2023-08-22 Nano-Second Technology Co., Ltd. Wrist ball
US11904197B2 (en) * 2022-05-20 2024-02-20 Nano-Second Technology Co., Ltd. Upper limbs training device and housing thereof
USD998731S1 (en) * 2022-05-20 2023-09-12 Nano-Second Technology Co., Ltd. Hand trainer
TWI810991B (zh) * 2022-06-27 2023-08-01 蔡育倫 健身球結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8278A1 (en) * 2013-06-25 2014-12-25 Nano-Second Technology Co., Ltd. Wrist exerciser having a protectiv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30417U (en) * 1997-07-25 1998-04-21 pei-song Zhuang Improved wrist exerciser
TW364383U (en) * 1998-12-31 1999-07-11 Jian-De Lin Improvement on structure of wrist-ball
US6053846A (en) * 1999-07-28 2000-04-25 Lin; Chien-Der Wrist exerciser
US20020068663A1 (en) * 2000-02-18 2002-06-06 Smith Floyd Thomas Gyroscopic wrist exerciser
US6770012B2 (en) * 2002-09-06 2004-08-03 Hsiu-Min Kuo Self-generating wrist ball
US7033304B2 (en) * 2002-09-27 2006-04-25 Yun Yu Chuang Actuating device of wrist exerciser
US7086990B2 (en) * 2003-11-18 2006-08-08 Yun Yu Chuang Data transmission device of wrist exerciser
US7101315B2 (en) * 2003-11-26 2006-09-05 Yun Yu Chuang Wrist exerciser having display and transmission device
TWM308777U (en) * 2006-07-31 2007-04-01 Yung-Yu Juang Wrist training ball featured with aid start power
US7736275B2 (en) * 2006-09-05 2010-06-15 Yun Yu Chuang Wrist exerciser with sound generator
TWM350393U (en) * 2008-08-22 2009-02-11 yong-yu Zhuang Light-emitting wrist strength training ball
EP2509689B1 (en) * 2009-12-10 2014-04-02 Movea S.A Gyroscopic exercise ball
US8652012B2 (en) * 2011-07-07 2014-02-18 Tom Smith Color changing gyroscopic exerciser
TWM446007U (zh) * 2012-05-17 2013-02-01 Nano Second Technology Co Ltd 腕力訓練裝置
TWI520760B (zh) * 2013-06-25 2016-02-11 宜強科技股份有限公司 腕力球及其外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8278A1 (en) * 2013-06-25 2014-12-25 Nano-Second Technology Co., Ltd. Wrist exerciser having a protectiv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519813D0 (en) 2015-12-23
JP3205608U (ja) 2016-08-04
GB2539519A (en) 2016-12-21
GB2539519B (en) 2021-03-24
KR20160004463U (ko) 2016-12-27
TWM518101U (zh) 2016-03-01
US9827463B2 (en) 2017-11-28
DE102016104954A1 (de) 2016-12-22
DE102016104954B4 (de) 2018-10-25
US20160367852A1 (en)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106Y1 (ko) 손목 운동기
US9463354B2 (en) Wrist exerciser having a protective structure
JP5727059B2 (ja) 耐衝撃性センターホイール
US8618895B2 (en) Vibration device for an article and vibration generating shoe
US10603539B2 (en) Omnidirectional treadmill apparatus
US8366560B2 (en)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rotating shaft and a rotating member, and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3649400A (zh) 具有改进的摩擦元件的减震器
CN102625636A (zh) 风扇固定装置
CN110441907B (zh) 头戴式显示装置
US20200180145A1 (en) Robot and leg assembly thereof
CN106090119A (zh) 一种具有驱动板的动力系机构
KR20150128184A (ko) 전방향 트레드밀
CN105383542B (zh) 轮子组件及具有此轮子组件的婴儿车
KR101940813B1 (ko) 자이로스코프원리를 이용한 손목운동구
GB2515653A (en) Wrist exerciser having a protective structure
JP4049644B2 (ja) 歩行ロボットの衝撃吸収機構
KR101280909B1 (ko) 회전각도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동 접철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CN218418709U (zh) 固定装置及可穿戴设备
CN106143326B (zh) 滑动结构
CN104248821A (zh) 腕力球及其外壳
CN106310605A (zh) 腕力球
KR101524513B1 (ko) 2방향 직교 트레드밀 장치
CN209469755U (zh) 减速机
KR100828396B1 (ko) 하이트 어드저스터
JP2931343B2 (ja) マッサージ機のモータ軸支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