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633A -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633A
KR20140005633A KR1020120073493A KR20120073493A KR20140005633A KR 20140005633 A KR20140005633 A KR 20140005633A KR 1020120073493 A KR1020120073493 A KR 1020120073493A KR 20120073493 A KR20120073493 A KR 20120073493A KR 20140005633 A KR20140005633 A KR 20140005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polyurethane composition
weight
parts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9743B1 (ko
Inventor
심세용
Original Assignee
심세용
심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세용, 심영준 filed Critical 심세용
Priority to KR102012007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7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08K7/2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축광 안료 15-20 중량부 및 형광 안료 5-10 중량부, 유리 비드 1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POLYURETHAN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VISIBILITY}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 상태, 반사도, 발광 지속시간, 및 식별거리가 우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는 축광 형광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광이란 빛을 잠시 축적하였다가 축적된 빛 에너지가 어두운 암전상태에서 발광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축광은 형광(fluorescence), 인광(phosphorescence),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으로 나뉜다.
축광과 형광은 모두 빛 (짧은 파장의 가시광선) 또는 여러 형태의 에너지 (전기장, 고속전자, 화학에너지 등)를 받아서 빛을 내는 발광 현상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발광하는 시점에서의 차이가 존재한다. 즉, 에너지를 받는 중에 발광하면 형광, 에너지를 받고도 어느 시간 지나서 발광하는 현상을 축광이라 한다.
한편, 축광 물질은 평상시에 빛을 축적하고 있다가 일몰 및 정전 등에 의해 어두워지면 빛을 내는 특징이 있는데, 축광 물질의 특성을 이용한 제품으로서는 축광 안료, 축광 시트, 혹은 축광 필름, 축광 테이프 등이 있으며, 이들 제품은 안전표지, 유도표지, 도로표지, 위치표지 등의 각종 표지판으로 사용되거나, 헬멧이나 작업복 등의 안전용품에 응용되거나, 지하철이나 지하실 (지하차고, 창고, 기관실) 혹은 빌딩 등 안전관리 대상지역에 적용되며, 기타 광고용품이나 인테리어용품, 팬시용품 등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지하철이나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전이나 화재 등으로 인해 출구유도 표시의 중요성이 한층 강화되고 있어 축광 물질에 대한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축광 안료 15-20 중량부, 형광 안료 5-10 중량부 및 유리 비드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시인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개시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재 상에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광 형광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축광 안료 15-20 중량부, 형광 안료 5-10 중량부 및 유리 비드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이 개시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 범퍼의 긁힘 방지, 책상 모서리 긁힘 방지, 안전 대피, 자전거 안전봉, 및 간판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용도가 개시된다.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트의 발광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트의 빛 존재시 발광 모습을 나타낸다.
도 3는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트의 발광 후 2시간 경과시의 발광 모습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달리 정의되어 않는 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당업계에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용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과학적 사전이 잘 알려져 있고, 당업계에서 이용가능하다. 비록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 또는 등가인 임의의 방법 및 물질이 본원의 실행 또는 시험에 사용되는 것으로 발견되나, 몇몇 방법 및 물질이 설명되어 있다. 당업자가 사용하는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방법학, 프로토콜 및 시약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은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복수의 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은 "및/또는"을 의미한다. 더욱이, 용어 "포함하는"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 예를 들어, "가지는", "이루어지는" 및 "구성되는"는 제한적이지 않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씌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씌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씌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제목은 다양한 면 또는 전체적으로 명세서의 참조로서, 하기의 구현예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야간 또는 악천후로 인하여 시계가 좋지 못한 상황에서 사물 또는 사람에게 입사된 빛은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기 때문에 근접하지 않으면 그 존재의 식별이 어려우며, 표면이 어두울 경우에는 빛이 난반사되어 식별이 더욱 어렵게 된다. 따라서, 발광 효과가 있는 야광 부재 또는 재귀반사 부재를 사물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사물 또는 사람의 존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야광 부재는 잔광 시간이 짧으며, 빛이 전혀 없는 곳에 노출될 경우에는 발광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편, 재귀반사 부재는 빛이 전혀 없는 곳에서는 발광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빛을 반사시키는 층이 표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마찰이나 충격에 의해 손상되어 반사 기능이 저하되고, 외관이나 품질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반사 부재는 습기나 태양광으로 인한 박리 및 변경이 일어나기 쉬우며, 이물질의 침투에 취약하다.
한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88131호는 글래스 비드(glass bead), 또는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 분말, 또는 글래스 비드와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 분말의 혼합물이 함침되어 있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판넬, 상기 형광 및 야광 우레탄 판넬 밑면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 상기 양면 테이프 밑면에 부착된 부틸 고무, 및 상기 부틸 고무 밑면에 부착된 접착 수단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보 제89-003892호는 이형지에 1액형 또는 2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 수지층을 형성시킨 후, 그 위에 축광 물질 15-40 중량부를 함유하는 축광 물질층을 형성시키고, 기포지를 라미네이팅하며, 마지막으로 이형지를 떼어냄으로써, 드레이프성과 세탁 및 마찰 내구성이 우수한 축광성 포지를 제고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야간의 시인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장시간 잔광을 유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 상태, 반사도 및 식별거리 등의 물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이 못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내의 축광 안료 및 형광 안료의 함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발광 상태, 발광 지속시간, 반사도 및 식별거리가 우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이르렀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우수한 시인성을 갖고, 내수성, 발수성,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형광 안료, 축광 안료, 글래스 비드 및 잔부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로서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디올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의미한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페닐 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 방향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등)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부가물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디올은 디올과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면, 저급 알킬에스테르, 산무수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디올 뿐만 아니라, 락톤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은 예를 들면 지방족 디올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헥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과 같은 C2 -10 알킬렌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옥시C2 -4 알킬렌글리콜), 지환식 디올, 방향족 디올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올은 필요에 따라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스리톨 과 같은 폴리올과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에는, 예를 들면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박산, 도데칸디카르복실산과 같은 C4 -14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필요에 따라 트리멜리트산과 같은 폴리카르복실산과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락톤은 예를 들면 부티로락톤, 발레로락톤, 카프로락톤, 라우로락톤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현예에서 형광 안료는 형광을 발하는 물질의 총칭으로서, 특히 가시광을 발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형광 안료는 형광 옐로우(fluorescent yellow), 형광 오렌지-레드(fluorescent orange-red), 형광 레드(fluorescent red), 형광 핑크(fluorescent pink), 형광 블루(fluorescent blue), 및 형광 마젠타(fluorescent magenta)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형광 안료는 흡유량이 높아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도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분산성, 휘도 등을 고려하여 그 함량이 결정될 수 있지만,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형광 안료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의 경우 형광 상태가 만족하지 못할 수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야광 및 축광상태가 감소하고,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축광 안료는 태양 광, 전등 광, 자외선 등의 조사에 의해 저장된 에너지를 암소에서 광으로 변화시켜 발광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축광 안료는 Cu 또는 Bi로 활성화시킨 CaSrS, ZnCdS, ZnS 또는 CaS이거나; 또는 (Sr1 - xMx)Al2O4:R (상기 식에서, x는 0.1 내지 0.9이고, M은 칼슘, 아연, 바륨,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이며, R은 유로퓸, 란탄, 셀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및 텔루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이거나; 또는 MAl2O4 (상기 식에서, M은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이거나 이 하나 이상의 금속에 마그네슘이 첨가된 것)을 모결정으로 하는 것, 상기 모결정에 부활제로서의 유로폼이 첨가된 것, 또는 상기 모결정에 부활제로서의 유로폼과 공부활제로서의 란탄, 셀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텔루륨 또는 루테튬이 첨가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축광 안료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수지를 기준으로, 1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축광 안료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의 경우 만족스러운 수준의 반사도 및 발광 지속시간을 얻기 힘드며, 축광 안료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초과하는 경우 용액의 안정성이 감소하고,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유리 비드는 둥근 구슬형태로 어느 방향에서 빛을 받아도 빛의 반사가 일어나며, 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산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및 내열성을 발휘하여 지속적인 빛 반사는 물론, 그 상태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리 비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반사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식별기능의 특별한 향상 없이 오히려 다른 성분들의 필수 함량을 감소시켜 조성물의 물성 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잔부의 용매는 순수 또는 자일렌, 에틸렌 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셀루솔브아세테이트, 에 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이황화탄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틸렌, 노말헥산, 디클로로메탄, 메탄올, 에탄올, 메틸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놀, 메틸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1-부탄올, 2-부탄올,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헥사놀, 아세톤,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미네랄 스피리트, 크레졸, 벤젠, 클로로벤젠, 크실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에테르, 메틸알콜, 에틸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오르토-디클로로벤젠, 이소펜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의 함량에 따라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점도가 조절되고, 용매의 함량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원하는 점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첨가제는 정착제, 안정화제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화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윤활제, 블로킹 방지제, 충전제, 소포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축광 형광 시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기재 상에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기재는 코팅층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는 한, 불투명, 반투명 또는 투명한 기재와 같은 임의의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고체상 기재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기재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재는 금속, 유리, 실리콘, 웨이퍼, 및 점착성을 띠는 고분자 기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그것의 목적 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평면 기재, 롤러, 굴곡이 있는 기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점착제가 표면에 특정 패턴 또는 모양으로 코팅되거나, 음각 및 양각이 표면에 형성되어, 표면이 패터닝될 수도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500 내지 3,000 mg/m2, 또는 800 내지 2,500 g/m2의 양으로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수행하기에 용이하게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은 수작업에 의해, 또는 에어 나이프 코팅, 블레이드 코팅, 로드 코팅, 바 코팅, 컴머 코팅 또는 그레이버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현예에서,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은 주형 제조 또는 프레스 방법에 의해 성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은 저온경화가 가능한 것으로, PMT(Peak Metal Temperatuer) 온도에서 건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은 110 내지 120 ℃에서 약 1 내지 3시간 동안 1차 건조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수행하기에 용이하게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의 1차 건조는 열풍가열 또는 유도가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건조된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은 상기 기재로부터 제거된 후, 100℃ 내지 120℃ 에서 8시간 내지 6시간의 온도에서 2차 건조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수행하기에 용이하게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의 2차 건조는 오븐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자동차 범퍼의 긁힘 방지, 책상 모서리 긁힘 방지, 안전 대피, 자전거 안전봉, 및 간판에서의 용도가 제공된다.
상기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형광 축광 시트는 빛이 존재하는 곳에서 시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빛이 없는 곳에서도 높은 휘도로 장시간 잔광을 유지할 수 있으며, 내수성, 발수성, 평활성,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안전표지, 유도표지, 도로표지, 위치표지 등의 각종, 헬멧이나 작업복 등의 안전용품, 지하철이나 지하실(지하차고, 창고, 기관실) 혹은 빌딩 등 안전관리 대상지역, 기타 광고용품이나 인테리어용품, 팬시용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는한 "부"는 중량를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우레탄 수지 100g 기준으로, 축광 안료 15 중량부, 형광 안료 5 중량부, 및 글라스 비드 10 중량부를 혼합 용기에 담아 용기를 회전시켜 혼합시켰다. 그 다음 혼합물을 2,000 mg/m2의 양으로 금형(외경 ∮46 x 내경 ∮40 x 높이 320cm)에 부은 후 120 ℃의 온도에서 1차 가열하였다. 상기 금형으로부터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거한 후 오븐 내에 넣고 100 ℃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2차 가열함으로써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함유하는 축광 형광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글라스 비드의 함량을 2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에 축광 형광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형광 안료의 함량을 1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에 축광 형광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축광 안료의 함량을 1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에 축광 형광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형광 안료의 함량을 1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에 축광 형광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시트의 발광 상태, 반사도, 발광 지속 시간 및 식별거리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발광 상태* 반사도* 발광지속시간* 식별거리*
실시예 1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2 우수 우수 양호 우수
실시예 3 우수 양호 우수 우수
비교예 1 열악 양호 양호 불량
비교예 2 우수 양호 열악 불량
[평가 기준]
발광 상태: 우수-(축광 빛으로 사물 식별), 양호-(보통), 열악-(식별 못함)
반사도: 우수-(30미터 이상 식별), 양호-(10~15미터 식별), 열악-(10미터 이하)
발광 지속 시간: 우수-(2-3시간), 양호-(1-2시간), 열악-(1시간 미만)
식별 거리: 우수-(30미터 이상), 양호-(15-30미터), 열악-(15-이하)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축광 안료 및 형광 안료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3의 발광 상태, 반사도, 발광 지속시간 및 식별거리는 모두 우수하였다. 특히, 실시예 1에서 축광 안료 15 중량부 및 형광 안료 5 중량부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발광 상태, 반사도, 발광 지속시간, 및 식별거리가 가장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시트의 발광 모습을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 1 및 2의 시트는 발광 상태, 반사도, 발광 지속시간 및 식별거리가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모두 미흡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8)

  1.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축광 안료 15-20 중량부, 형광 안료 5-10 중량부 및 유리 비드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시인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안료는 형광 옐로우(fluorescent yellow), 형광 오렌지-레드(fluorescent orange-red), 형광 레드(fluorescent red), 형광 핑크(fluorescent pink), 형광 블루(fluorescent blue), 형광 마젠타(fluorescent magent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 안료는 Cu 또는 Bi로 활성화시킨 CaSrS, ZnCdS, ZnS 또는 CaS이거나; 또는 (Sr1 - xMx)Al2O4:R (x는 0.1 내지 0.9이고, M은 칼슘, 아연, 바륨,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이며, R은 유로퓸, 란탄, 셀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및 텔루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이거나; 또는 MAl2O4 (M은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이거나 이 하나 이상의 금속에 마그네슘이 첨가된 것)을 모결정으로 하는 것, 상기 모결정에 부활제로서의 유로폼이 첨가된 것, 또는 상기 모결정에 부활제로서의 유로폼과 공부활제로서의 란탄, 셀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텔루륨 또는 루테튬이 첨가된 것인 조성물.
  4. 기재 상에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광 형광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축광 안료 15-20 중량부, 형광 안료 5-10 중량부 및 유리 비드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500 내지 3,000 mg/m2, 또는 800 내지 2,500 g/m2의 양으로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제공되는 것인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성형하는 단계는 주형 제조 또는 프레스 방법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건조시키는 단계는 110 내지 12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1차 건조된 폴리우레탄 조성물 코팅층을 상기 기재로부터 제거한 후, 100℃ 내지 120℃에서 8시간 내지 6시간 동안 2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자동차 범퍼의 긁힘 방지, 책상 모서리 긁힘 방지, 안전 대피, 자전거 안전봉, 및 간판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KR1020120073493A 2012-07-05 2012-07-05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KR101409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493A KR101409743B1 (ko) 2012-07-05 2012-07-05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493A KR101409743B1 (ko) 2012-07-05 2012-07-05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33A true KR20140005633A (ko) 2014-01-15
KR101409743B1 KR101409743B1 (ko) 2014-06-24

Family

ID=5014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493A KR101409743B1 (ko) 2012-07-05 2012-07-05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7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51U (ko) * 2016-10-07 2018-04-17 김타이거 라이저 파이프 및 드릴링 파이프 보호용 축광 폴리우레탄 프로텍터 커버
KR20190033807A (ko) 2017-09-22 2019-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승용농기계 자세제어 성능평가 방법
CN110982249A (zh) * 2019-12-20 2020-04-10 广东省稀有金属研究所 一种tpu夜光母粒及其制备方法
KR102559212B1 (ko) * 2023-03-02 2023-07-24 심세용 시인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5041A1 (en) * 2019-04-18 2020-10-22 Lopez Steven Fluorescent anodization dye and associated methods
KR20210067803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축광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4449C2 (sv) * 1998-10-23 2001-02-26 Cleanosol Ab Ytbeläggning avsedd att användas på markeringsbeläggningar för vägar, parkeringsplatser och liknande
KR20030064122A (ko) * 2002-01-25 2003-07-31 이영기 형광 인조석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91572A (ko) * 2002-05-28 2003-12-03 동 규 김 반사기능을 갖는 우레탄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01199B1 (ko) * 2007-06-26 2009-06-08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휘도와 강도가 개선된 시인성 형광/축광 폴리우레탄 필름의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51U (ko) * 2016-10-07 2018-04-17 김타이거 라이저 파이프 및 드릴링 파이프 보호용 축광 폴리우레탄 프로텍터 커버
KR20190033807A (ko) 2017-09-22 2019-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승용농기계 자세제어 성능평가 방법
CN110982249A (zh) * 2019-12-20 2020-04-10 广东省稀有金属研究所 一种tpu夜光母粒及其制备方法
KR102559212B1 (ko) * 2023-03-02 2023-07-24 심세용 시인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743B1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743B1 (ko)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US7547894B2 (en) Phosphoresc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using the same
US20120183677A1 (en) Photoluminescent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Novel Uses
US7910022B2 (en) Phosphorescent compositions for identification
US20050035331A1 (en) Phosphorescent blends
EP3835091A1 (en) Color-changing tire accordant with external conditions
JP4827455B2 (ja) 再帰反射シート
JP2002366065A (ja) 誘導プレート
KR20160139870A (ko) 축광성이 우수한 코팅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59212B1 (ko) 시인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조성물
KR101588220B1 (ko) 광학 시트
KR101800126B1 (ko) 인쇄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037080A (ja) 屋外用内照式膜材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物
JPH10250006A (ja) 夜光性積層シート
KR100882220B1 (ko) 축광층이 코팅된 흙블록 및 그 제조 방법
CN202169904U (zh) 一种发光汽车仪表板
JP3064319U (ja) 夜間表示用標識
KR20170122473A (ko) 내구성이 향상된 차열 및 축광 도료 조성물
JP2000123622A (ja) 蛍光灯被覆材
KR102576192B1 (ko)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KR102609951B1 (ko)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09940B1 (ko)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0282027A (ja) 蓄光性蛍光体の輝度向上剤及び輝度向上方法と、高輝度蓄光性蛍光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高輝度蓄光性蛍光シート
CN202200922U (zh) 一种发光车牌
JPH103276A (ja) 蓄光性蛍光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