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940B1 -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940B1
KR102609940B1 KR1020230055173A KR20230055173A KR102609940B1 KR 102609940 B1 KR102609940 B1 KR 102609940B1 KR 1020230055173 A KR1020230055173 A KR 1020230055173A KR 20230055173 A KR20230055173 A KR 20230055173A KR 102609940 B1 KR102609940 B1 KR 102609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k
flame retardant
paint composition
flam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선
김병직
김제일
Original Assignee
송현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엘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현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2Luminous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08K3/105Compounds containing metals of Groups 1 to 3 or of Groups 11 to 13 of the Periodic 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C08K5/5373Esters of phosphonic ac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not representing cyclic esters of phospho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4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형광 휘도, 시인성, 및 분산성이 개선된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은 난연 물질을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축형광 휘도, 시인성, 및 분산성을 가지는 것이므로, 산업 전반에서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Paint compositions having function of axial light, fluorescence and flame retarda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축형광 휘도, 시인성, 및 분산성이 개선된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형광 도료란 물질이 빛의 자극에 의해서 발광하는 형광 기능과 빛이 있는 환경에서 빛을 잠시 물질 내에 축적해 두었다가 축적된 빛에너지를 암전 시 발광하는 축광 기능을 동시에 포함하는 도료로, 각종 도로 시설물, 비상구 방향유도 표지판, 안전복, 안전물품, 스포츠 의류, 신발 또는 기타 장식용품 등에서는 특정 정보의 표식이나 디자인의 부각 등과 같이 시인성이 요구되는 산업 부분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축형광 도료의 산업상 이용 분야를 고려할 때, 바람직한 축형광 도료는 시인성 및 내구성이 좋고 원활한 시공이 가능하여야 하며, 또한 설치비용에 비해 유효수명이 적절하게 길어서 투자효율이 높아야 할 것이다. 특히 축형광 도료가 비상구 방향유도에 이용되는 경우, 도료는 야간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시인성이 좋아야 할 것이며,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을 고려하여 난연성이 우수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축형광 물질과 난연 물질은 간섭 현상이 있어, 도료 조성물 내 난연 물질이 첨가되면 축형광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연 물질을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축형광 휘도, 시인성, 및 분산성을 가지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는 산업 전반에서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KR 2002-0069934 A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KR 2014-0066049 A 호
본 발명은 난연 물질을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축형광 휘도, 시인성, 및 분산성을 가지는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열가소성 수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열가소성 수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인계 난연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 내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형광(fluorescence)”은 물질이 빛의 자극에 의해서 발광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물질의 반사색이나 투과색과는 다른 색조(色調)를 띠고, 일반적으로 조사광(照射光)보다 파장이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태양광선 아래 관찰되는 붉은색 잉크에서 볼 수 있는 녹색, 또는 등유의 유청색(乳靑色) 등이 있다. 자외선이 많이 들어 있는 광선을 사용하면 특히 많은 물질들이 다소간의 형광성을 나타내게 되는데, 형광등이 관 내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의 자극으로 생기는 형광(가시광선)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가시광선 이외에 X선, 방사선, 음극선 등도 형광을 발생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빛을 조사할 때 조사광을 제거해도 계속 발광하는 것을 인광, 조사광을 제거하면 바로 소멸해 버리는 것을 형광이라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인광은 흔히 고체에서 발생하고, 형광은 액체나 기체에서 주로 발생한다. 인광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저하되면 밝기가 감소하나, 형광은 밝기가 변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축광(axial light)”은 야광과 같은 개념으로, 빛이 있는 환경에서 빛을 잠시 물질 내에 축적해 두었다가 축적된 빛에너지를 암전 시 발광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축광은 빛이 없는 환경에서도 빛을 내는 것이고, 형광은 빛이 있는 환경에서만 빛을 낸다는 점에서 서로 차별화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형광펜은 밝은 곳에서도 형광이 식별되지만, 야광 스티커는 밝은 곳에서는 야광이 식별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도료 조성물”은 결합제(수지) 또는 필름 형성제(film former)라 부르는 바인더(binder)와 용제, 안료 및 첨가제로 구성된 것으로, 콘크리트 보드, 시멘트 보드, 중간 밀도 파이버(MDF) 보드, 목재, 석재, 금속, 플라스틱, 벽지 및 섬유 같은 기재가 프라이머로 프리-프라임된 모든 기재에 적용된다. 상기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난연 물질을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축형광 휘도, 시인성, 및 분산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구성물에 일반적으로 해당 분야의 당업자에게 이용 가능한 방법을 이용해서, 이용 가능한 성분이 추가될 수 있다. 이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수지 바인더에 용제, 안료, 난연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 바인더는 단일 수지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수지가 혼합된 것일 수 있고, 폴리레스테르 수지인 것일 수 있으며, 실록산기 또는 메톡시기와 같은 반응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수지는 도막을 형성하고, 내식성, 가공성, 내약 품성, 경도, 부착성 등 도막의 기본 물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도막의 내후성 및 불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지는 실리콘 중간체, 알코올 모노머 및 산 모노머의 축합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모노머로는 다관능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고, 지방족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2-부틸렌글리콜(1,2-Butylene glyc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1,6-헥산디올(1,6-Hexanediol), 펜타에리 트리톨(Pentaerythritol),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 글리세롤(Glycerol), 비스페놀-A(BPA), BA320TK와 같은 알콕시화 알코올(alkoxylated alcohol)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알코올 모노머는 3관능 이하의 지방족 알코올 및 4관능의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6-헥산디올과 펜타에리트리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모노머는 3관능 이하의 지방족 알코올과 4 관능의 지방족 알코올을 80 내지 60 : 20 내지 40, 예를 들어 75 내지 65 : 25 내지 3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3관능 이하의 지방족 알코올과 4관능의 지방족 알코올을 상기 혼합 비율로 사용함으로써, 수지의 가교 밀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도막의 가공성 및 내후성이 향상될 수 있다. 4관능의 지방족 알코올에 대한 3관능 이하의 지방족 알코올의 혼합 비율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가교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 초과인 경우 가교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산 모노머로는 지방족 산, 방향족 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디프산(Adipic acid), 세바스산(Sebacic acid), 석신산(succin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트리멜리트산 무수물(Trimellitic anhydride), 벤젠트리카르복실 산 무수물(benzenetricarboxylic acid anhydride), 나프탈렌 트리카르복실산 무수물(naphthalene tricarboxylic acid anhydride)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 모노머는 방향족 산 및 지방족 산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무수프탈산 및 아디프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합의 산 모노머를 사용할 경우, 내후성과 가공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산 모노머 는 방향족 산 및 지방족 산을 20 내지 40 : 80 내지 60, 예를 들어 25 내지 35 : 75 내지 6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산에 대한 지방족 산의 혼합 비율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주쇄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 초과인 경우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모노머와 상기 산 모노머의 혼합비는 1.0 내지 2.0 : 1, 예를 들어 1.2 내지 1.4 : 1일 수 있다. 산 모노머에 대한 알코올 모노머의 혼합비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분자량이 커지기 때문에 겔화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 초과인 경우 분자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30,000 g/mol, 예를 들어 20,000 내지 3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소 지와의 부착성 및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5 내지 30 ℃, 예를 들어 5 내지 15 ℃일 수 있다. 상기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내약품성 및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의 유연성이 낮아져 도료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수산기가가 80 내지 160 KOHmg/g, 예를 들어 120 내지 160 KOHmg/g이고, 산가가 20 KOHmg/g 이하, 예를 들어 5 내지 20 KOHmg/g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기가 및 산가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내수성 및 경화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 및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실리콘의 함량(고형분 기준)은 60 내지 80 중량%, 예를 들어 65 내지 75 중량%일 수 있다. 실리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겔화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60 내지 95%, 예를 들어 70 내지 80%이고, 점도가 Z 내지 Z6일 수 있다. 상기 수지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7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30 내지 50 중량%, 또는 30 내지 40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수지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도료의 상용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도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제로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에스테르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알코올계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용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사이클로헥사논, 자일렌, 톨루엔,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디베이직에스터,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아세테이트,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메탄올, 에탄올, 이소 프로판올, n-부탄올, 아밀알콜, 부틸 카비톨, 이소포론 또는 이들의 혼합 용제 등이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5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작업성이 개선되고 도막의 우수한 물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본 발명의 목적상 축형광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상기 축형광 안료에 추가로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유색 안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형광 안료는 황록색과 청록색 발광특성을 나타내는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SrAl2O4)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색 안료는 도료에 원하는 색상을 부여하거나 도막의 강도나 광택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색 안료로는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메탈릭 안료, 알루미늄-페이스트(Al-paste), 펄(pearl)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티탄 백색, 시아닌 블루, 산화철 적색, 카본 블랙, 크롬 옐로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상기 유색 안료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막의 경화도 및 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의 고유 특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되는 것으로, 도료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일 수 있다.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경화제, 난연제, 라벨링제, 소포제, 촉매제 등이 있다.
상기 경화제는 전술한 수지 바인더와 경화 반응을 일으켜 안정한 도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멜라민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로는 메톡시 멜라민 수지, 부톡시 멜라민 수지, 메톡시/부톡시 혼합형 멜라민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내지 3,000 g/mol, 예를 들어 300 내지 1,000 g/mol이고, 고형분 함량이 70 내지 100 부피%, 예를 들어 75 내지 100 부피%일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수지와의 부착성 및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는 점도가 X 내지 Z2이고, 비중이 1.15 내지 1.25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폴리올로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 디올, 폴리부타디엔 디올,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올, 폴리부틸렌옥사이드 디올, 트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헥사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HM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메타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MXDI), 테트라메틸자 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상기 MDI의 벤젠 고리에 수소를 첨가하여 지환족으로 만든 디이소시아네이트(H12 MDI),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의 벤젠 고리에 수소를 첨가하여 지환족으로 만든 디이소시아네이트(수첨 XDI)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의 점도(23 ℃)는 1,000 내지 7,000 mPa.s, 예를 들어 2,800 내지 5,800 mPa.s일 수 있고, 고형분 함량(NV)은 60 내지 90 부피%, 예를 들어 70 내지 80 부피%일 수 있고, 수평균분자량은 500 내지 3,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500 g/mol일 수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5,000 g/mol, 바람직하게는 1,700 내지 2,300 g/mol일 수 있고, 이소시아네이트 당량은 200 내지 600 g/eq,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50 g/eq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일 경우 경화도 및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도 및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의 이소시아네이트 당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일 경우 경도 및 내약품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막의 경화도가 높아져 도막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도료의 연소 시간을 지연시키고, 연소 가스의 유독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난연제로서 인(P)계 난연제 및 비(非)인계 난연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 및 비(非)인계 난연제는 할로겐 난연제와 달리 연소될 때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연소 과정에서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우수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로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트리스(2-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Tris(2-chloroethyl)phosphate), 적린(Red Phosphorus), 트리스(2-클로 로에틸)포스페이트(Tris(2-chloroethyl)Phosphate), 이소프로필페닐 디페닐 포스페이트(Isopropylphenyl Diphenyl Phosphate),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riethyl Phosphate), 트리옥틸 포스페이트(Trioctyl Phosphate), 레조르시놀 디포스페이트(Resorcinol diphosphate), 트리크레실 포 스페이트(Tricresyl Phosphate), BAEPP-EP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인계 난연제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트리스(2-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또는 BAEPP-EP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비(非)인계 난연제로는 수산화알루미늄(Al(OH)3), 탄산칼슘(CaCO3), 삼산화 안티몬(Antimony trioxide, Sb2O3), 오산화 안티몬(Sb2O5), 삼산화 몰리브덴(MoO3), 주석산아연(Zn2SnO4), 탄산마그네슘(Mg(HCO3)2), 징크 보 레이트(zinc borate), 수산화마그네슘(Mg(OH)2),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비(非)인계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일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도막이 충분한 난연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고, 전술 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내구성, 내식성, 외관 특성이 열세해질 수 있다.
상기 라벨링제는 도료 조성물이 평탄하고 매끄럽게 코팅되도록 레벨링함으로써, 조성물 내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면서 도막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벨링제로는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민계 레벨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도장 시 발생되는 기포를 억제함으로써 도막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포제로는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리콘계 또는 비실리콘계(예, 아크릴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제는 경화 반응을 촉진하고, 도막의 고온 신뢰성 및 연속 작업성의 주기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촉매로는 아민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 산 화합물(예, p-톨루엔 설폰산(p-TSA)) 및 주석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 수지 바인더의 분산력을 증진시키는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BYK), 도료의 침전을 방지하는 침강 방지제(흄드 실리카(fumed silica)), 도막 표면에 슬립(slip)성을 부여하는 왁스(파라핀 왁스),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라디컬을 흡수하는 광안정제(HALS), 광택을 조절하는 소광제(실리콘 다이옥사이드), 자외선을 차단함으로서 안료의 기능을 유지시키는 차광제(징크옥사이드, 또는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코팅제 등을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코팅제는 비와이케이케미사의 BYK-370, BYK-371, BYK-375, BYK-3700, BYK-UV3500, BYK-UV3510, BYK-UV3530, BYK-UV3570 중 선택되는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난연 물질을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축형광 휘도, 시인성, 및 분산성을 가지는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Strontium Aluminate),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염화비닐수지, 초산비닐수지, abs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불소수지, 폴르시티렌수지, 폴리에탈렌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수지이다. 선택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동일한 도료 조성물의 특성을 구현하지 위한 타성분의 구체적 조성비가 달라질 수 있음은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는 초기 밝기가 밝고, 방사성이 없고, 내열성이 강하며, 환경침식에 강하고, 항산화 성능이 좋아서 친환경에너지절약 재료이다. 또한 이는 종래 발광 재료로 이용되던 황화아연(ZnS) 계열의 발광재료, 또는 알칼리토금속 알루민산염(alkaline earth metal aluminate) 발광재료에 비해 잔광시간이 긴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는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23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200 중량%, 110 내지 190 중량%, 120 내지 180 중량%, 또는 130 내지 1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40 내지 1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에서 유색 안료로 이용되는 것이며, 이는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유색 안료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중량을 기준으로 8 내지 17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9 내지 15 중량%, 9 내지 13 중량%, 10 내지 15 중량%, 또는 9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 내지 1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제는 인(P)계 난연제 및 비(非)인계 난연제 중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인계 난연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트리스(2-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Tris(2-chloroethyl)phosphate), 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AEPP-EP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난연제인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AEPP-EP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작용기가 없거나 에틸렌기이고, R2는 페닐기이며, R3은 작용기가 없거나 메틸기이다.
본 발명의 상기 난연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AEPP-EP 화합물에서 R1은 에틸렌기이고, R2는 페닐기이며, R3은 작용기가 없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제는 이를 제외한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8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및 이산화티타늄에 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제는 사이클로헥사논, 톨루엔, 자일렌,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디베이직에스터,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아세테이트,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메탄올, 에탄올, 이소 프로판올, n-부탄올, 아밀알콜, 부틸 카비톨, 이소포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중량을 기준으로 14 내지 2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21 중량%, 17내지 21 중량%, 19 내지 21 중량%, 또는 17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은 BYK-370, BYK-371, BYK-375, BYK-3700, BYK-UV3500, BYK-UV3510, BYK-UV3530, BYK-UV3570,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BYK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차단함으로서 안료의 기능을 유지시키는 차광제라면 제한없이 선택될 수 있으나, 징크옥사이드, 또는 티타늄디옥사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난연 물질을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축형광 휘도, 시인성, 및 분산성을 가지는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방법은 열가소성 수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Strontium Aluminate),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및 난연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이산화티탄늄, 또는 난연제에 대한 각 부분의 제한사항은 상기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에서 기재한 바와 중복되어, 이하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는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233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 내지 200 중량%, 110 내지 190 중량%, 120 내지 180 중량%, 또는 130 내지 17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40 내지 17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인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중량을 기준으로 8 내지 17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9 내지 15 중량%, 9 내지 13 중량%, 10 내지 15 중량%, 또는 9 내지 15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 내지 13 중량%로 혼합되는 것인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제는 인(P)계 난연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트리스(2-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Tris(2-chloroethyl)phosphate), 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AEPP-EP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난연제인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AEPP-EP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작용기가 없거나 에틸렌기이고, R2는 페닐기이며, R3은 작용기가 없거나 메틸기이다. 본 발명의 상기 난연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AEPP-EP 화합물에서 R1은 에틸렌기이고, R2는 페닐기이며, R3은 작용기가 없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제는 이를 제외한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하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8 중량% 이하로 혼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5 중량% 이하로 혼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난연제를 혼합하는 단계에 용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에 대한 각 부분의 제한사항은 상기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에서 기재한 바와 중복되어, 이하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자일렌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중량을 기준으로 14 내지 21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 내지 21 중량%, 17내지 21 중량%, 19 내지 21 중량%, 또는 17 내지 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인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열가소성 수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난연제를 혼합하는 단계에 BYK 첨가제, 자외선 차단제, 또는 난연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 BYK 첨가제, 자외선 차단제, 또는 난연제에 대한 각 부분의 제한사항은 상기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에서 기재한 바와 중복되어, 이하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입각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축형광 도료의 산업상 이용 분야를 고려할 때, 바람직한 축형광 도료는 시인성 및 내구성이 좋고 원활한 시공이 가능하여야 하며, 또한 설치비용에 비해 유효수명이 적절하게 길어서 투자효율이 높아야 할 것이다. 특히 축형광 도료가 비상구 방향유도에 이용되는 경우, 도료는 야간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시인성이 좋아야 할 것이며,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을 고려하여 난연성이 우수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은 난연 물질을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축형광 휘도, 시인성, 및 분산성을 가지는 것이므로, 산업 전반에서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축형광 도료의 축형광 휘도 확인
도료 조성물의 기초 바인더인 열가소성 수지의 일종인 아크릴 수지에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SrAl2O4) 축형광 안료를 다양한 조성비로 혼합하였다. 구체적인 조성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No Material(중량%)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1 Binder 80 65 50 30 15 5
2 축형광안료 1130 20 35 50 70 85 95
Binder 100% 기준
축형광안료 중량비
(소수점 이하 반올림)
25 54 100 233 567 1900
상기 제조예 1 내지 6에 대하여 대한민국 소방청고시 제2022-28호의 축광표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휘도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축광유도표지 및 축광위치표지의 표시면을 0㏓ 상태에서 1시간이상 방치한 후 200㏓ 밝기의 광원으로 20분간 조사시킨 상태에서 다시 주위조도를 0㏓로 하여 휘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기준에 따르면, 5분간 발광시킨 후의 휘도는 1㎡당 110m㏅ 이상이어야 하고, 10분간 발광시킨 후의 휘도는 1㎡당 50m㏅ 이상이어야 하며, 20분간 발광시킨 후의 휘도는 1㎡당 24m㏅ 이상이어야 하며, 60분간 발광시킨 후의 휘도는 1㎡당 7m㏅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Bright Index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5min 발광 후 휘도 19 92 204 196 171 324
10min 발광 후 휘도 17 53 130 129 70 58
30min 발광 후 휘도 5 9 55 56 23 18
제조예 1 내지 2는 5분 발광 후 휘도가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제조예 6 내지 6은 30분 발광 후 휘도가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수지를 100% 기준으로 했을 때 축형광 안료의 조성비가 1900%로 혼합된 제조예 6은 발광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휘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시험 결과를 고려하면, 축형광 도료에 포함되는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의 바람직한 조성비는 수지 100% 기준 100 내지 233%인 것으로 파악된다.
실시예 2. 축형광 도료의 시인성 확인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축형광 도료 조성물은 주간에도 시인성이 높을 것이 요구되는 바, 실시예 1에서 선택된 제조예 3 내지 4의 조성비에 이산화티타늄 백색 안료를 다양한 조성비로 혼합하였다. 구체적인 조성비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No Material(중량%)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1 Binder 30 30 30 30 30 30
2 축형광안료 1130 68 65 60 50 40 60
3 Tio2(10nM) 2 5 10 20 30 40
축형광안료 100% 기준
유색안료 중량비
(소수점 이하 반올림)
3 8 17 40 75 133
상기 제조예 7 내지 12에 대하여 50럭스, 1,000럭스, 5,000럭스 조명 환경에서 시인성 관능 검사를 수행하였다. 상기 50럭스는 일반적인 가정집 거실의 조도, 1,000럭스는 책상 스탠드의 조도, 5,000럭스는 시계 수리 등 정밀 작업이 필요한 환경에서도 조도이다. 시인성 관능 검사는 양안의 시력이 1.0 이상인 성인이 5m 거리에서 바탕이 각 제조예의 조성물로 도색된 시력검사표의 0.3 기준 시안을 식별할 수 있는가로 시험하였고, 20인을 대상으로 하되, 잘 보이는 경우를 5점, 전혀 보이지 않는 경우를 0점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시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Lux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50럭스 3.2 4.7 4.5 2.7 2.2 1.5
1,000럭스 4.5 5.0 5.0 4.8 4.9 4.3
5,000럭스 1.8 3.1 2.9 2.0 1.4 0.9
시험 결과, 축형광안료 100% 기준으로 유색 안료의 첨가비가 미비하거나(제조예 7), 또는 과도하면(제조예 10 내지 제조예 12) 어둡거나 매우 밝은 곳에서 오히려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시험 결과를 고려하면, 축형광 도료에 포함되는 유색 안료의 바람직한 조성비는 축형광안료 100% 기준 8 내지 17%인 것으로 파악된다.
실시예 3. 축형광 도료의 분산성 확인
종래 축형광 도료는 도료 내 축광 물질과 형광 물질이 간섭하여 도료의 혼탁성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도료 내 조성물이 원활히 분산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응집되는 이유로부터 야기되는 문제이므로, 하기 표 5와 같이 다양한 조성의 용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분산도를 시험하였다.
No Material(중량%) 제조예 13 제조예 14 제조예 15 제조예 16 제조예 17 제조예 18
1 Binder 30 30 30 30 30 30
2 축형광안료 1130 50 49 50 49 50 49
3 Tio2(10nM) 5 5 5 5 5 5
4 Dispersion 9 7 4 5 1 2
5 Anti sediment 3 5 4 3 4 3
6 Xylene 3 3 7 7 10 10
7 BYK-371 0 1 0 1 0 1
상기 제조예 13 내지 18에 대하여 HAAKE 광학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도료의 분산도를 측정한 결과, 제조예 16과 제조예 18은 무작위 추출 샘플 5개에서 오차범위 5% 이내의 균일한 분산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14 내지 15, 및 17은 추출 샘플 5개 중 1개 이상이 오차범위 밖의 분산도를 나타내어,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상기 시험 결과를 고려하면, 축형광 도료에 자일렌(Xylene)이 축형광안료 100% 기준 14 내지 21% 비율로 포함되고, 추가로 BYK가 포함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실시예 4. 난연 기능성 축형광 도료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도출된 본 발명의 축형광 도료에 인계 난연제로서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이하 난연제 A), 트리스(2-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이하 난연제 B), 또는 BAEPP-EP 화합물(이하 난연제 C)을 첨가하여, 하기 표 6과 같이 난연 기능성 축형광 도료를 제조하였다.
No Material(중량%) 제조예 18 제조예 19 제조예 20 제조예 21 제조예 22 제조예 23 제조예 24
1 제조예 18 100 90 80 90 80 90 80
2 난연제 A 0 10 20 0 0 0 0
3 난연제 B 0 0 0 10 20 0 0
4 난연제 C 0 0 0 0 0 10 20
상기 제조예 18 내지 24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휘도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Bright Index 제조예 18 제조예 19 제조예 20 제조예 21 제조예 22 제조예 23 제조예 24
5min 발광 후 휘도 187 154 111 146 108 204 187
10min 발광 후 휘도 112 70 44 58 46 131 89
30min 발광 후 휘도 56 50 20 48 27 75 60
시험 결과, 제조예 18 내지 24 중 10%의 난연제가 혼합된 제조예는 모두 소방청고시 제2022-28호의 축광표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른 휘도 기준을 충족하였으나, 일부 난연제의 경우 20% 혼합된 제조예에서 10분 이상 발광 시의 휘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체로 난연제 혼합 비율이 증가할수록 휘도 성능이 저하되어, 난연제가 축형광안료와 간섭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난연제 C가 10% 혼합된 제조예 23은 난연제가 포함되지 않은 제조예 18보다 휘도 성능이 높게 나타나, 난연제 C의 경우 특정 비율의 혼합 시 오히려 축형광안료와 시너지 작용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상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혼합 비율을 특정하기 위해, 하기 표 8과 같이 혼합 비율을 세분화한 난연 기능성 축형광 도료를 제조하였고, 이의 휘도시험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No Material(중량%) 제조예 18 제조예 25 제조예 26 제조예 27 제조예 28 제조예 29 제조예 30
1 제조예 18 100 97 94 91 88 85 82
4 난연제 C 0 3 6 9 12 15 18
Bright Index 제조예 18 제조예 25 제조예 26 제조예 27 제조예 28 제조예 29 제조예 30
5min 발광 후 휘도 187 188 195 210 202 194 193
10min 발광 후 휘도 112 118 127 138 134 127 78
30min 발광 후 휘도 56 64 69 70 71 63 61
시험 결과, 난연제 C가 3 내지 18 중량% 혼합된 제조예 25 내지 30은 5분 발광 후 휘도 결과에서 모두 축형광안료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조예 30에서 10분 발광 후 휘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고려하면, 도료 조성물에 난연제 C는 18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의 조성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열가소성 수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Strontium Aluminate),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AEPP-EP 화합물인 것이고,
    상기 난연제는 도료 조성물 내 3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에틸렌기이고, R2는 페닐기이며, R3은 수소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의 중량비는 100 : 100 내지 233 이고,
    상기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와 이산화티타늄의 중량비는 100: 8 내지 17인 것인,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사이클로헥사논, 자일렌, 톨루엔,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디베이직에스터,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아세테이트,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메탄올, 에탄올, 이소 프로판올, n-부탄올, 아밀알콜, 부틸 카비톨, 이소포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BYK-370, BYK-371, BYK-375, BYK-3700, BYK-UV3500, BYK-UV3510, BYK-UV3530, BYK-UV3570,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BYK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5. 삭제
  6. 열가소성 수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Strontium Aluminate),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및 난연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AEPP-EP 화합물인 것이고,
    상기 난연제는 도료 조성물 내 3 내지 15 중량%로 혼합하는 것인,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에틸렌기이고, R2는 페닐기이며, R3은 수소이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의 중량비는 100 : 100 내지 233 으로 혼합하는 것이고,
    상기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와 이산화티타늄의 중량비는 100: 8 내지 17 로 혼합하는 것인,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사이클로헥사논, 자일렌, 톨루엔,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디베이직에스터,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아세테이트,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메탄올, 에탄올, 이소 프로판올, n-부탄올, 아밀알콜, 부틸 카비톨, 이소포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제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인,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BYK-370, BYK-371, BYK-375, BYK-3700, BYK-UV3500, BYK-UV3510, BYK-UV3530, BYK-UV3570,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BYK 첨가제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인,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230055173A 2023-04-27 2023-04-27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09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173A KR102609940B1 (ko) 2023-04-27 2023-04-27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173A KR102609940B1 (ko) 2023-04-27 2023-04-27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940B1 true KR102609940B1 (ko) 2023-12-06

Family

ID=8916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173A KR102609940B1 (ko) 2023-04-27 2023-04-27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9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992A (ja) * 1997-10-27 1999-05-18 Nippon Paint Co Ltd 放光性塗料組成物、放光性塗膜形成方法及び放光性塗装物
KR20140066049A (ko) * 2012-11-22 2014-05-30 한국화학연구원 인산 에스테르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9870A (ko) * 2015-05-29 2016-12-07 동양제강 주식회사 축광성이 우수한 코팅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992A (ja) * 1997-10-27 1999-05-18 Nippon Paint Co Ltd 放光性塗料組成物、放光性塗膜形成方法及び放光性塗装物
KR20140066049A (ko) * 2012-11-22 2014-05-30 한국화학연구원 인산 에스테르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9870A (ko) * 2015-05-29 2016-12-07 동양제강 주식회사 축광성이 우수한 코팅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6199B2 (en) Phosphorescent/fluorescent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2056574B1 (ko) 차열성능을 갖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CA2771287C (en) Photoluminescent device
US6692659B2 (en) Phosporescent polycarbonate, concentrate and molded articles
US9243151B2 (en) Afterglow coating for cabins
KR101738999B1 (ko)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CN104105730A (zh) 紫外线固化性氨基甲酸酯丙烯酸酯组合物、薄膜成形体、光学膜、及薄膜成形体的制造方法
KR102609940B1 (ko) 난연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09951B1 (ko) 축형광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8323528B1 (en) Phosphorescent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compositions
KR100791959B1 (ko) 타이어의 야광 착색 코팅 방법
CN101133132A (zh) 可自由基固化的涂料配混物
KR102484293B1 (ko)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축광석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바닥 시공방법
CN115948104B (zh) 涂料组合物
EP1753830B1 (en) Colour changing coating composition
JPH11130991A (ja) プレコート用放光性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及び放光性塗装物
KR100617620B1 (ko) 발광잉크용 폴리우레탄 수지 바인더 및 그 제조방법
JPH103276A (ja) 蓄光性蛍光シ−ト
KR102559212B1 (ko) 시인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조성물
KR102285155B1 (ko)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하이브리드 나노 도막
KR102141949B1 (ko) 광 연출 시광입자
KR102602457B1 (ko) 도료 조성물
KR102119454B1 (ko) 난접착소재용 친환경 나노세라믹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조성물
KR20240063227A (ko) 형광 분체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형광 분체 도장방법
KR20240063230A (ko) 형광 분체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형광 분체 도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