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999B1 -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 Google Patents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999B1
KR101738999B1 KR1020150157980A KR20150157980A KR101738999B1 KR 101738999 B1 KR101738999 B1 KR 101738999B1 KR 1020150157980 A KR1020150157980 A KR 1020150157980A KR 20150157980 A KR20150157980 A KR 20150157980A KR 101738999 B1 KR101738999 B1 KR 10173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phosphorescent
coating composition
white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157A (ko
Inventor
최아나
Original Assignee
(주)에코리엔트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리엔트글로벌 filed Critical (주)에코리엔트글로벌
Priority to KR1020150157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9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2Luminous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D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석유수지(Petroleum resin); 폴리에틸렌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수지; 축광안료 분말; 이산화티타늄 분말;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여, 친환경적이고, 우수한 발광 특성과 내구성을 갖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Solvent-free luminescent paint composition and road line mark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석유수지(Petroleum resin); 폴리에틸렌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수지; 축광안료 분말; 이산화티타늄 분말;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노면 표시는 도로구조를 보존하고, 도로교통 안전과 원활한 교통소통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로의 노면에 도로 이용자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하기 위한 도로교통 안전시설로서 매우 중요한 시설이다.
이러한 도로의 노면 표시의 기본적인 요건은 주간, 야간뿐만 아니라 강우시에도 시인성이 좋아야 하고, 내구성과 원활한 시공이 가능해야 하며, 또한 설치비용에 비해 유효수명이 적절하게 길어서 투자효율이 높아야 한다. 무엇보다도 노면 표시의 생명은 시인성과 양호한 내구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는 이러한 도로의 노면 표시가 야간에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유리알을 포함하는 액상도료를 도색하거나 또는 반사시트를 시공하여 야간에 불빛에 반사하게 함으로써 식별효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발광효과가 매우 적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액상도료를 도장하여 원하는 수준의 발광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도막이 두껍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액상도료로 도장하는 경우에는 액상도료의 유동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도막을 얻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도장된 면의 두께가 얇아서 발광효과가 다소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였다. 물론, 액상도료로 도장하는 경우에도 도장을 여러 번 반복적으로 행하면 두꺼운 도장면을 얻을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도장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다수 회 반복하여야하므로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우, 내구성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액상도료와 달리 한 번의 도장으로 두꺼운 도막의 형성이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하면서, 발광효과가 뛰어나고, 지속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40 내지 70 중량%; 석유수지(Petroleum resin) 10 내지 25 중량%; 폴리에틸렌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수지 1 내지 15 중량%; 축광안료 분말 10 내지 25 중량%; 이산화티타늄 분말 5 내지 15 중량%; 및 기타 첨가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은 18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혼합 및 교반하고, 건조하여 고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를 1: 1 내지 2 중량비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각각 1: 1: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축광안료 분말은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은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색 프라이머층 상에, 1 내지 5 mm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노면의 먼지, 수분 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노면 상에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을 스프레이 도포한 후, 20 내지 25 ℃의 온도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건조하여 백색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백색 프라이머층 상에 상기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18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융착도장하고, 건조시켜 노면 상에 1 내지 5 mm의 두께의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은 종래 축광성을 가지는 액상도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발광효과가 뛰어나고, 지속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로써, 상기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한 번의 도장으로 용이하게 두꺼운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우수한 발광 특성과 내구성을 갖는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고체상으로 제조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고체상의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융착 도장하기 위한 융착 도장용 건(독일 BUHNEN 사)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40 내지 70 중량%; 석유수지(Petroleum resin) 10 내지 25 중량%; 폴리에틸렌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수지 1 내지 15 중량%; 축광안료 분말 10 내지 25 중량%; 이산화티타늄 분말 5 내지 15 중량%; 및 기타 첨가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은 18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혼합 및 교반하고, 건조하여 고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상의 일 구현예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고체상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한 번의 도장으로 용이하게 두꺼운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도막의 두께는 1 내지 5 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별도의 유기용매가 없이도, 용이하게 도막 형성이 가능하게 하고, 형성된 도막이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축광안료 분말의 잔광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한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를 1: 1 내지 2 중량비 범위로 포함하여 상기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1: 1.05 중량비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는 비닐 아세테이트(VA)를 함유량이 20 내지 40 중량%인 것이고, 연화점이 80 내지 90 ℃인 것을 사용하여, 우수한 성형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고, 도막에 우수한 내크랙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석유수지(Petroleum resin)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의 가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함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석유류의 열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비점 범위가 140 내지 280 ℃의 분해 증류분을 인덴 함유율 30 내지 70 중량%, 디시클로펜타디엔 함유율 5 중량% 미만으로 되도록 정제한 원료유를, 프리델크라프츠(Friedel-Crafts)형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온도 50 내지 90 ℃에서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보강수지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의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함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각각 1: 1: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축광안료 분말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보다 구체적으로 Al2O3, SrO3 또는 B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광안료 분말은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 보다 긴 잔광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그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축광안료 분말의 표면을 불소 첨가 에틸렌 프로필렌(FEP) 공중합체, 실리콘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코팅 처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소 첨가 에틸렌 프로필렌(FEP) 공중합체로는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과 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펜의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과 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펜과 퍼플루오르알킬 비닐 에테르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상기 실리콘계 공중합체로는 트리메틸실옥시실리케이트와 싸이클로테트라실록산의 공중합체, 트리메틸실옥시실리케이트와 싸이클로펜타실록산의 공중합체, 트리메틸실옥시실리케이트와 이소도데칸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불소 첨가 에틸렌 프로필렌을 사용하여, 베이스 수지와의 결합을 증진시킴으로서,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가 되어 있는 축광안료 분말의 함수율은 0.03 중량%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축광안료 분말은 평균입경이 35 내지 150 μ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이산화티타늄 분말은 아나타제 타입(Anatase Type), 루타일(금홍석) 타입 혹은 아나타제와 루타일의 결정혼합형 타입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나노입자 크기의 아나타제 결정형을 갖는 이산화티타늄 분말을 사용하면 유해 물질(VOCs)을 제거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산화티타늄 분말은 평균입경이 1 내지 100 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기타 첨가제는 왁스,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충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첨가제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 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은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색 프라이머층 상에, 1 내지 5 mm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백색 프라이머층은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으로서,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면에서의 축광도료의 발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이산화티타늄; 탄산칼슘; 탈크;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의 발광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 이산화티타늄 1 내지 10 중량%; 탄산칼슘 30 내지 40 중량%; 탈크 10 내지 20 중량%; 잔량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유기용매로는 톨루엔, 자일렌, 디메틸에테르, 용매 나프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색 프라이머층은 0.05 내지 2 mm 두께로 도포되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의 발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노면의 먼지, 수분 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노면 상에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을 스프레이 도포한 후, 20 내지 25 ℃의 온도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건조하여 백색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백색 프라이머층 상에 상기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18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융착도장하고, 건조시켜 노면 상에 1 내지 5 mm의 두께의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백색 프라이머층은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으로서,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면과 축광도료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이산화티타늄; 탄산칼슘; 탈크;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의 발광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 이산화티타늄 1 내지 10 중량%; 탄산칼슘 30 내지 40 중량%; 탈크 10 내지 20 중량%; 잔량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유기용매로는 톨루엔, 자일렌, 디메틸에테르, 용매 나프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색 프라이머층은 50 내지 100 μm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은 종래 축광성을 가지는 액상도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발광효과가 뛰어나고, 지속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로써, 상기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한 번의 도장으로 용이하게 두꺼운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우수한 발광 특성과 내구성을 갖는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180 ℃의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호퍼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 범위의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 및 일반 축광도료 조성물(비교예 1 내지 2)을 투입하여, 스크류 회전에 의해 고르게 교반하였다. 충분히 용융된 상기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성형틀에 넣고, 20 ℃의 온도로 냉각하여 제품을 제조하였다.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1 비교예 2
베이스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BASF 사(社))
20 30 30 40 -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 20 30 20 - 40
석유수지(BASF 사(社)) 20 15 10 10 10
보강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BASF 사(社)) 5 3 2 10 10
알키드 수지(엘투이테크) 5 2 2 5 5
에틸렌-1-옥텐 코폴리머(엘투이테크) 5 - 2 5 5
축광안료 분말(중방화학)
(주성분: Al2O3SrO3B2O3)
15 11 20 20 20
이산화티타늄 분말(tayca 사(社)) 8 8 12 8 8
첨가제 왁스 1 - 1 1 1
산화방지제 1 1 1 1 1
시험예 1
도 2에 도시된 융착 도장용 건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제조된 축광도료 조성물을 180 ℃의 온도로 용융한 후, 50 ㎜ × 50 ㎜ 너비 및 2 mm 두께로 도장하였다. 상기 시료에 대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잔광휘도를 측정한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 때 시험방법은 상기 준비된 시료를 20 시간 이상 햇빛이나 기타 광을 차단하여 보관한 다음, 25 W의 전구로 20 ㎝의 거리에서 15 분간 빛을 투과한 후 다시 빛을 차단하고, 그 이후에 시간 경과에 따른 휘도를 탑콘(TOPCON) BM-5 렌즈의 시도 2˝로 측정한 값이다.
시간(min)
잔 광 (mcd/㎡)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1 비교예 2
2 1782 1527 1628 1087 1229
3 1438 1298 1383 827 991
6 672 537 619 423 497
9 435 367 379 311 352
15 251 197 221 134 179
25 121 107 137 98 102
30 107 97 115 71 77
40 71 67 93 55 47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발광효과가 뛰어나고, 잔광의 지속성이 우수한 것을 학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제품의 강도 평가 (내후성 및 저온충격성 )
KSM6080에 제시된 시험방법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축광도료 조성물층이 형성된 도막에 내후성 시험기 QUV-B로 200 시간 동안 조사한 후, 색도(1uminace)의 편차를 측정함으로써 내후성을 평가하였다. 색도 편차가 0.05 이하는 양호, 초과하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또한, 도막 자체의 저온충격성 평가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축광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지름이 5 cm이고 두께가 2.5 cm인 저온충격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된 시편에 저온 및 2 m의 높이에서 강구를 떨어트려 시편이 깨지거나 균열이 있는지 평가하였다. 0 ℃에서 66.8 g의 강구를 떨어트려 10개의 시편 중 6개 이상이 균열이 없는 경우 C11 등급으로 표시, -10 ℃에서 66.8 g의 강구를 떨어뜨려 10개의 시편 중 6개 이상 균열이 없을 경우 C12 등급으로 표시, -10 ℃에서 110 g의 강구를 떨어뜨려 10개의 시편 중 6개 이상 균열이 없을 경우 C13 등급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내후성 및 저온 충격성의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1 비교예 2
내후성 0.01(양호) 0.02(양호) 0.02(양호) 0.04(양호) 0.06(불량)
저온충격성 C13 C13 C13 C11 C12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내후성 및 저온에서의 축격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7)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40 내지 70 중량%;
    석유수지(Petroleum resin) 10 내지 25 중량%;
    폴리에틸렌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수지 1 내지 15 중량%;
    축광안료 분말 10 내지 25 중량%;
    이산화티타늄 분말 5 내지 15 중량%; 및
    기타 첨가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은 18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혼합 및 교반하고, 건조하여 고체상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를 1: 1 내지 2 중량비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각각 1: 1: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안료 분말은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은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색 프라이머층 상에, 1 내지 5 mm 두께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7. 노면의 먼지, 수분 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노면 상에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을 스프레이 도포한 후, 20 내지 25 ℃의 온도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건조하여 백색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백색 프라이머층 상에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을 18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융착도장하고, 건조시켜 노면 상에 1 내지 5 mm의 두께의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KR1020150157980A 2015-11-11 2015-11-11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KR10173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980A KR101738999B1 (ko) 2015-11-11 2015-11-11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980A KR101738999B1 (ko) 2015-11-11 2015-11-11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157A KR20170055157A (ko) 2017-05-19
KR101738999B1 true KR101738999B1 (ko) 2017-05-23

Family

ID=5904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980A KR101738999B1 (ko) 2015-11-11 2015-11-11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9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636B1 (ko) * 2020-09-16 2021-02-09 에코리엔트샤인 (주)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노면표시용 친환경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102269859B1 (ko) 2020-07-07 2021-06-28 주식회사에코블럭 축광안료를 포함하는 보차도용 블록의 제조방법.
KR102322040B1 (ko) 2021-03-17 2021-11-03 신동진 축광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축광 도료
KR20220037001A (ko) * 2020-09-16 2022-03-24 에코리엔트샤인 (주)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축광석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바닥 시공방법
KR102528725B1 (ko) 2022-02-17 2023-05-09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축광석과 조명을 활용한 경관시설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646537B1 (ko) 2023-09-22 2024-03-13 에코리엔트샤인 (주) 친환경 투수성 축광 포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867B1 (ko) * 2020-05-07 2022-09-20 에코리엔트샤인 (주)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
KR102184360B1 (ko) * 2020-08-25 2020-11-30 대호공구산업 주식회사 3d 프린터용 축광 필라멘트 조성물
KR102622716B1 (ko) * 2023-04-18 2024-01-09 서무창 휘도 유지력 및 복합 기능성을 갖는 융착형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3165A (ja) 2010-06-04 2011-12-15 Maruo Calcium Co Ltd 路面標示用複合反射素子およ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路面標示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3165A (ja) 2010-06-04 2011-12-15 Maruo Calcium Co Ltd 路面標示用複合反射素子およ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路面標示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859B1 (ko) 2020-07-07 2021-06-28 주식회사에코블럭 축광안료를 포함하는 보차도용 블록의 제조방법.
KR102213636B1 (ko) * 2020-09-16 2021-02-09 에코리엔트샤인 (주)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노면표시용 친환경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20220037001A (ko) * 2020-09-16 2022-03-24 에코리엔트샤인 (주)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축광석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바닥 시공방법
KR102484293B1 (ko) 2020-09-16 2023-01-05 에코리엔트샤인 (주)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축광석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바닥 시공방법
KR102322040B1 (ko) 2021-03-17 2021-11-03 신동진 축광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축광 도료
KR102528725B1 (ko) 2022-02-17 2023-05-09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축광석과 조명을 활용한 경관시설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646537B1 (ko) 2023-09-22 2024-03-13 에코리엔트샤인 (주) 친환경 투수성 축광 포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157A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999B1 (ko)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KR102056574B1 (ko) 차열성능을 갖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057023B1 (ko) 수용성 도료 조성물
KR20070085450A (ko) 하나 이상의 다작용성 아이소시아누레이트로부터 형성된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코팅 조성물, 연관된 다층 복합코팅, 방법 및 코팅된 기판
NZ578371A (en) Coating composition
KR102204064B1 (ko) 각종 시설물의 오염방지 도장용 도료 제조방법
KR101780896B1 (ko) 이액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KR101037033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및 과속방지턱 제조용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KR102444867B1 (ko)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
KR101472358B1 (ko) 노면표지용 융착식 도료
KR101176043B1 (ko) 혼합 비드를 함유하는 도로의 차선용 액상 도료 조성물
CN106519950A (zh) 风挡橡胶漆及其制备方法
KR102143785B1 (ko) 우천시 시인성이 향상된 열 융착식 노면 표지용 도료조성물
KR100943389B1 (ko)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는 도로 표지용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도색 공법
KR101461046B1 (ko) 융착식 차선 도료 조성물
KR101841214B1 (ko) 에폭시-폴리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KR101110574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며 내크랙성 및 휘도가 우수한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KR101797373B1 (ko) 수용성아크릴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이액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KR20230042226A (ko) 내오염성 인조잔디, 인조잔디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
TW201313826A (zh) 室溫硬化性氟聚醚系橡膠組成物及其硬化物
KR101255239B1 (ko) 도로의 차선 표시용 융착식 도료 조성물
KR101812242B1 (ko)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US7642312B2 (en) Non-flammable waterproofing composition
KR101537541B1 (ko) 내구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차선도료 조성물
KR20120021739A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부품의 도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