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867B1 -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867B1
KR102444867B1 KR1020200054189A KR20200054189A KR102444867B1 KR 102444867 B1 KR102444867 B1 KR 102444867B1 KR 1020200054189 A KR1020200054189 A KR 1020200054189A KR 20200054189 A KR20200054189 A KR 20200054189A KR 102444867 B1 KR102444867 B1 KR 102444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esin
weight
phosphorescent
photolumin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257A (ko
Inventor
최아나
Original Assignee
에코리엔트샤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리엔트샤인 (주) filed Critical 에코리엔트샤인 (주)
Priority to KR102020005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8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4Physical treatment, e.g. grinding, treatment with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포화폴리에스텔(unsaturated polyester resin) 수지 및 폴리우레탄 (polyurethane)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석유수지(Petroleum resin);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 methacrylate)수지,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수지; 축광안료 분말; 글라스비드(Glass beads)분말; 글라스 비드 형광안료(Glass fluorescent pigment) 분말;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분말;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여, 친환경적이고, 우수한 발광 고휘도 반사, 다양한 색상, 광촉매 기능과 내구성을 갖는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도노면의 경관 및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미장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axial ore composition and floor material plaster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축광석 불포화폴리에스텔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석유수지(Petroleum resin);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수지; 축광안료; 글라스비드(Glass beads); 글라스형광안료(Glass fluorescent pigment);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도노면, 자전거도로, 공원산책로, 테마공원의 보도노면 주야간안전, 주야간경관, 보도이용자의 대하여 각종 정보를 반사, 야광으로 표시되는 보도노면 바닥재로 제공하기 위한 축광석 바닥재이다.
이러한 보도노면의 기본요건은 다양한 칼라, 안전, 경관용 으로 악천후 등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시인성이 좋아야 하고, 내후성과 원활한 시공이 가능해야 한다. 보도 노면의 생명은 보행자의 안전 및 경관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는 이러한 보도의 노면 표시가 주야간에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LED조명, 축광페인트 또는 야광테이프를 부착하여 야간에 발광하게 함으로써 식별효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축광안료의 특성상 색상이 제한되고 발광효과가 매우 적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9466호 등에서는 축광안료 및 형광안료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한 문제점으로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축광페인트(액상도료)로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는 것은 제약이 많고 발광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도막이 두껍게 형성되어야 하나 액상도료의 유동성으로 인하여 두꺼운 도막도장이 불가능하여 발광 휘도가 미미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은 일 구현예는 액상도료와 달리 고휘도 발광, 고휘도 반사 성능으로 보도노면 바닥재 형성이 가능하고 내후성, 내구성, 내마모성 및 지속성 우수한 축광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다양한 색상, 유해물질(VOCs) 제거하는 축광촉매(광촉매)를 포함하는 바닥재 형성이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축광석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휘도 발광, 고휘도반사,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고, 유해 물질(VOCs)을 제거하는 축광촉매(광촉매)를 포함하는 보도노면 시공 도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불포화폴리에스텔(unsaturated polyester resin) 수지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30 내지 60 중량%; 석유수지(Petroleum resin) 10 내지 25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수지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수지 1 내지 15 중량%; 축광안료 분말 10 내지 25 중량% ; 글라스 비드(Glass beads) 5 내지 15 중량%; 글라스비드 형광안료(Glass fluorescent pigment) 5 내지 15 중량%;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5 내지 15 중량%; 및 기타 첨가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축광석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축광석 조성물은 상온 또는 8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혼합 및 교반하고, 건조하여 고체상의 색상, 크기별로 분쇄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축광석 조성물은 상온 또는 8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글라스비드 (Glass beads)와 혼합 및 교반하고, 건조하여 고체상의 색상, 크기별로 분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축광석 조성물은 상온 또는 8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글라스비드 형광안료(Glass fluorescent pigment)와 혼합 및 교반하고, 건조하여 고체상의 색상별, 크기별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축광석 조성물은 상온 또는 8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과 혼합 및 교반하고, 건조하여 고체상의 색상, 크기별로 분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불포화폴리에스텔(unsaturated polyester resin) 수지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를 1: 1 내지 2 중량비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글라스비드(Glass beads), 글라스형광안료(Glass fluorescent pigment),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을 1: 1: 1: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축광안료 분말은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비드(Glass beads)는 고굴절 및 고휘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33 내지 45 μm 크기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형광 안료(Glass fluorescent pigment)는 형광용 전색제를 조합하여 분사시킨 내광성이 우수하고, 특히 명시도가 높은 글라스 형광안료로 제조된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분말은 나노입자 크기의 아나타제 결정형을 갖는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으로서, 축광안료에 반응하여 유해 물질(VOCs)을 제거하는 광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축광석 조성물은 베이스 골재 상에, 3 내지 5 mm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축광석 조성물을 포함하는 축광석 조성물층 상에는 유해 물질(VOCs)을 제거하는 광촉매, 축광촉매(photocatalyst)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20 내지 30 μm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도보노면에 별도의 충전원으로 구동되는 UV LED 투광등을 설치하되, 상기 UV LED 투광등은 상기 축광석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포면을 향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노면의 먼지, 수분 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보도 상에 베이스 골재 도포한 후, 20 내지 25 ℃의 온도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건조하여 베이스 골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골재층 상에 상기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석 조성물을 교반하여 미장도장하고, 건조시켜 1 내지 5 mm의 두께의 축광석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축광석 조성물층 상에 광촉매, 축광촉매(photocatalyst)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25 내지 30 μm 두께의 광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도보노면에 UV LED 투광등을 설치하되, 상기 UV LED 투광등이 상기 축광석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포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안 보도노면 축광석 시공 도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석 조성물은 종래 축광성을 가지는 축광재, 액상도료,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고휘 발광, 고휘도 반사, 다양한 색상, 광촉매, 반영구적 기능을 얻을 수 있고, 명도가 높은 발광 색상으로 시인성 우수하고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광촉매가 축광안료(축광촉매)와 반응하여 유해 물질(VOCs)을 제거하며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뛰어난 내구성, 내후성, 내마모성 기능의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로써, 상기 축광석 조성물을 이용하면 한 번의 시공도장으로 용이하게 두꺼운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고휘도 발광, 고굴절 반사, 명시도, 높은 시인성, 다양한 색상구현 성능, 유해물질제거 특성과 기능의 지속성 우수한 내구성, 내후성, 내마모성을 갖는 보도 시공 도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구현예는 축광석 조성물은 상기 축광석 조성물을 이용하면 보도노면 보행자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주야간 안전(시인성), 주야간 도시 경관재로 효과가 뛰어난 보도노면 바닥재로 친환경적이며, 고휘도발광, 고휘도반사, 다양한색상, 유해물질제거 기능을 갖는 보도노면의 조성물 및 이의 도장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고체상의 축광석 조성물을 도장하기 위한 시공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석 조성물을 고체상으로 제조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고체상의 축광석 조성물을 도장하기 위한 시공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불포화폴리에스텔(unsaturated polyester resin) 수지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30 내지 60 중량%; 석유수지(Petroleum resin) 10 내지 25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수지 1 내지 15 중량%; 축광안료 분말 10 내지 25 중량%; 글라스 비드(Glass beads) 5 내지 15 중량%; 글라스 형광 안료(Glass fluorescent pigment) 5 내지 15 중량%;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5 내지 15 중량%; 및 기타 첨가제 1 내지 5 중량%기타 첨가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축광석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축광석 조성물은 상온건조 8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혼합 및 교반하고, 건조하여 고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상의 일 구현예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고체상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석 조성물을 이용하면 한 번의 미장도장 으로 용이하게 두꺼운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도막의 두께는 1 내지 5 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별도의 유기용매가 없이도, 용이하게 도막 형성이 가능하게 하고, 형성된 도막이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축광안료 분말의 고휘도발광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한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불포화폴리에스텔(unsaturated polyester resin) 수지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를 1: 1 내지 2 중량비 범위로 포함하여 상기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는 비닐 아세테이트(VA)를 함유량이 20 내지 40 중량%인 것이고, 연화점이 80 내지 90 ℃인 것을 사용하여, 우수한 성형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고, 도막에 우수한 내크랙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hane) 는 폴리계 수지 중에서 메타크릴산 수지의 원료로 사용되는 단량체(monomer)로서 무색투명의 액체이며, 반응성이 뛰어나 경화 후, 우수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석유수지(Petroleum resin)는 석유수지는 조성물의 가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함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석유류의 열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비점 범위가 80 내지 120 ℃의 분해 증류분을 인덴 함유율 30 내지 70 중량%, 디시클로펜타디엔 함유율 5 중량% 미만으로 되도록 정제한 원료유를, 프리델크라프츠(Friedel-Crafts)형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온도 50 내지 90 ℃에서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보강수지는 축광석 조성물의 고휘도 발광, 고휘도 반사, 다양한 색상을 위하여, 상기한 함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강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수지, 글라스비드(Glass beads), 글라스 비드 형광(Glass fluorescent pigment) 및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을 각각 1: 1: 1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축광안료 분말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보다 구체적으로 Al2O3, SrO3 또는 B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광안료 분말은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 외부용으로 보다 긴 잔광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그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축광안료 분말의 표면을 불소 첨가 에틸렌 프로필렌(FEP) 공중합체, 실리콘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코팅 처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가 되어 있는 축광안료 분말의 함수율은 0.03 중량%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축광안료 분말은 평균입경이 25 내지 35 μ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분말은 아나타제 타입(Anatase Type), 루타일(금홍석) 타입 혹은 아나타제와 루타일의 결정혼합형 타입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나노입자 크기의 아나타제 결정형을 갖는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분말을 사용하면 유해 물질(VOCs)을 제거하는 광촉매, 축광촉매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분말은 평균입경이 25 내지 30 μ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글라스비드(Glass beads), 글라스 비드 형광안료(Glass fluorescent pigment)는 고굴절율 산화물인 TiO2 및 BaO와, 안정화제로서 안정화 산화물인 SiO2, 수식 산화물인 MgO, CaO, ZnO, Na2O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 첨가제는 왁스,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충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첨가제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 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삭제
삭제
상기 축광석 조성물은 베이스 골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베이스 골재층 상에, 1 내지 5 mm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골재층은 베이스 골재층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으로서,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도노면와 축광석의 접착성 향상과 여러가지 디자인을 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골재 조성물은 콩자갈, 칼라골재, 탄성고무칩, 칼라규사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석 조성물의 발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골재 친환경 골재로 3-5mm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베이스 수지로는 MMA, 우레탄, 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골재층은 5 내지 15 mm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보도노면의 먼지, 수분 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보도노면 상에 베이스 골재 조성물을 미장도장 도포한 후, 20 내지 25 ℃의 온도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건조하여 베이스 골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골재층 상에 상기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석 조성물을 교반하여서 미장도장하고, 건조시켜 노면 상에 3 내지 5 mm의 축광석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도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골재층은 베이스 골재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도노면과 축광도료의 접착성 및 디자인 구현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골재는 콩자갈, 칼라 골재, 탄성 고무칩, 칼라 규사, 친환경골재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석 조성물의 발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골재는 콩자갈, 칼라 골재, 탄성 고무칩, 칼라 규사, 친환경 골재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 골재층은 3 내지 15 mm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석 조성물은 종래 축광성을 가지는 액상도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발광효과가 뛰어나고, 지속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로써, 상기 축광석 조성물을 이용하면 한 번의 미장도장으로 용이하게 두꺼운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우수한 발광 특성과 내구성을 갖는 보도노면 안전 디자인 경관 미장도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120 ℃의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호퍼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 범위의 축광석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 및 일반 축광석 조성물(비교예 1 내지 2)을 투입하여, 스크류 회전에 의해 고르게 교반하였다. 충분히 용융된 상기 축광석 조성물을 성형틀에 넣고, 20 ℃의 온도로 냉각하여 제품을 제조하였다.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1 비교예 2
베이스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텔(unsaturated polyester resin) 수지
(세원화성))
25 30 30 40 -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
(애경)
25 30 20 - 40
석유수지(BASF) 25 15 10 10 10
보강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methyl methacrylate) (BASF ) 5 3 2 10 10
글라스 비드(Glass beads)(애경화학) 5 2 2 5 5
글라스비드 형광(Glass fluorescent pigment) (애경화학) 5 - 2 5 5
축광안료 분말(중방화학)
(주성분: Al2O3SrO3B2O3)
15 11 20 20 20
이산화티타늄 분말(tayca ) 5 8 12 8 8
첨가제 왁스 1 - 1 1 1
산화방지제 1 1 1 1 1
시험예 1
도 2에 미장도장 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제조된 축광석 조성물을 120 ℃의 온도로 용융한 후, 100 ㎜ × 100 ㎜ 너비 및 5 mm 두께로 도장하였다. 상기 시료에 대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잔광휘도를 측정한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 때 시험방법은 상기 준비된 시료를 20 시간 이상 햇빛이나 기타 광을 차단하여 보관한 다음, 30 W의 전구로 20 ㎝의 거리에서 15 분간 빛을 투과한 후 다시 빛을 차단하고, 그 이후에 시간 경과에 따른 휘도를 탑콘(TOPCON) BM-5 렌즈의 시도 2˝로 측정한 값이다.
시간(min)
잔 광 (mcd/㎡)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1 비교예 2
2 1960 1729 1628 1091 1333
3 1581 1298 1521 909 999
6 672 591 680 466 501
9 4785 367 379 474 378
15 251 216 243 134 179
25 1331 107 137 98 111
30 107 106 120 89 85
40 781 67 97 65 53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석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발광효과가 뛰어나고, 잔광의 지속성이 우수한 것을 학인할 수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9)

  1. 비닐 아세테이트(VA)를 함유량이 20 내지 40 중량%인 것이고, 연화점이 80 내지 90 ℃인 불포화폴리에스텔(unsaturated polyester resin) 수지: 및 폴리우레탄 (polyurethane)수지를 1: 1 내지 2 중량비 범위로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30 내지 60 중량%; 석유수지(Petroleum resin) 10 내지 25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수지 1 내지 15 중량%; 축광안료 분말 10 내지 25 중량%; 글라스 비드 분말 5 내지 15 중량%; 글라스 비드 형광안료 분말 5 내지15 중량%; 이산화티타늄 분말 5 내지 15 중량%; 및 기타 첨가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축광석 조성물을 8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혼합 및 교반하고, 성형틀에 넣고, 냉각 및 건조하여 고체상으로 색상별, 크기별로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보강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수지, 글라스비드(Glass beads), 글라스 비드 형광(Glass fluorescent pigment) 및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을 각각 1: 1: 1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이고;
    별도의 유기용매가 없이도, 우수한 내구성, 고휘도발광 성능, 성형 가공성 및 내크랙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석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안료 분말은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석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석 조성물은 베이스 골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골재층 상에, 1 내지 5 mm 두께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석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노면의 먼지, 수분 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도보노면 상에 베이스 골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미장시공 도포한 후, 20 내지 25 ℃의 온도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건조하여 베이스 골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골재층 상에 청구항 제1항 및 제5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축광석 조성물을 상온 온도에서 교반 미장도장하고, 건조시켜 1 내지 5 mm의 두께의 축광석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축광석 조성물층 상에 광촉매, 축광촉매(photocatalyst)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25 내지 30 μm 두께의 광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도보노면에 UV LED 투광등을 설치하되, 상기 UV LED 투광등이 상기 베이스 골재층 상에 형성된 축광석 조성물층을 향하여,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 노면 미장 도장방법.
KR1020200054189A 2020-05-07 2020-05-07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 KR10244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189A KR102444867B1 (ko) 2020-05-07 2020-05-07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189A KR102444867B1 (ko) 2020-05-07 2020-05-07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257A KR20210137257A (ko) 2021-11-17
KR102444867B1 true KR102444867B1 (ko) 2022-09-20

Family

ID=7870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189A KR102444867B1 (ko) 2020-05-07 2020-05-07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608B1 (ko) * 2022-02-17 2024-03-21 에코리엔트샤인 (주) 축광 탄성칩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46534B1 (ko) * 2022-06-17 2024-03-13 에코리엔트샤인 (주) 친환경성 축광 바닥재용 우레탄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12325B1 (ko) * 2023-10-26 2023-12-12 주식회사 고산건업 터널내 피난 유도 픽토그램용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809B1 (ko) * 2009-07-06 2009-10-08 신철균 탄성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포장체의 시공방법
KR101702343B1 (ko) * 2016-07-22 2017-02-03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시인성 및 변별력을 향상시킨 보행신호 및 방향표시용 안전유도블럭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666A (ko) * 2001-08-03 2003-02-12 이영기 축광성 장잔광 형광체 분말을 포함하는 다용도 슬러리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99466A (ko) * 2009-03-03 2010-09-13 오태길 시인성이 향상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한 버스 정류장의 지붕 구조물
KR101738999B1 (ko) * 2015-11-11 2017-05-23 (주)에코리엔트글로벌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809B1 (ko) * 2009-07-06 2009-10-08 신철균 탄성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포장체의 시공방법
KR101702343B1 (ko) * 2016-07-22 2017-02-03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시인성 및 변별력을 향상시킨 보행신호 및 방향표시용 안전유도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257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867B1 (ko)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
KR101734086B1 (ko) 기능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 급속 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US3253146A (en) Fluorescent marker pigment for roadways
KR101311704B1 (ko)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046627B1 (ko) 장기 차열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이액형 상온경화형 도로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1738999B1 (ko) 무용제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시선의 도장방법
KR100832922B1 (ko) 도로표지용 융착식 도료 조성물
KR102213636B1 (ko)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노면표시용 친환경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PT2609049E (pt) Composições fosforescentes e respetivas aplicações
KR102220617B1 (ko) 상온 경화형 차선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1639296B1 (ko) 야광비드 및 고휘도 반사비드가 혼합된 도로 포장재 및 그 시공공법
KR101176043B1 (ko) 혼합 비드를 함유하는 도로의 차선용 액상 도료 조성물
DE102008017356A1 (de) Nachleuchtende Beschichtung für Innenkabinen
KR101037033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및 과속방지턱 제조용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KR100653118B1 (ko) 비가열 급속경화성 살포식 박층포장 및 차선도색용 도료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KR102351674B1 (ko) 차열 특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2366065A (ja) 誘導プレート
KR20230016090A (ko) 내구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2273B1 (ko)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KR102205286B1 (ko) 야간 시인성이 개선된 자체발광 스마트 횡단보도의 시공방법
KR101110574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며 내크랙성 및 휘도가 우수한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KR102484293B1 (ko)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축광석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바닥 시공방법
KR101488816B1 (ko) 미끄럼 방지 기능과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표시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KR101613074B1 (ko) 유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JPH11292597A (ja) 人造石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