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211U -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 - Google Patents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211U
KR20130007211U KR2020130004340U KR20130004340U KR20130007211U KR 20130007211 U KR20130007211 U KR 20130007211U KR 2020130004340 U KR2020130004340 U KR 2020130004340U KR 20130004340 U KR20130004340 U KR 20130004340U KR 20130007211 U KR20130007211 U KR 201300072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eads
photoluminescent
lane
silic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미즈시게오
Original Assignee
시미즈시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미즈시게오 filed Critical 시미즈시게오
Publication of KR20130007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2/00Powdered glass; Bead compositions
    • C03C12/02Reflective b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에 부설되어 차선을 표시하는 유리 비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표면에 축광층이 형성되어 발광함으로써 식별성이 강화된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는 유리 비드를 기준으로 5~20 중량%의 축광안료가 유리 비드의 표면에 코팅되어 이루어지되, 보조수단으로서 실리콘 혼합액이 함께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PHOSPHORESCENT GLASS BEAD FOR TRAFFIC LANE}
본 고안은 도로에 부설되어 차선을 표시하는 유리 비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스스로 발광하여 차선을 강조 표시하는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는 운행수단의 통행 구분을 위해 흰색, 황색 또는 청색의 차선이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차선은 색상 및 모양에 따라 정지구간, 추월가능구간 또는 버스전용구간 등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해서는 운전자가 각 차선을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차선의 구분을 강조하기 위해서, 빛을 반사하는 유리 비드가 차선의 표면에 살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선은 모두 주간에만 식별이 가능하며, 일몰 직후 또는 황혼시에는 시인성이 떨어지고, 흐린 날이나 야간에는 차선이 거의 보이지 않아 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특히, 우천 시에는 수막현상에 의해 시인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안전운행에 큰 불편이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2-226786호 공보(2002.08.14. 공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광층이 유리 비드 표면에 형성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높은 발광성능을 갖는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표면에 축광층이 코팅된 차선 표시용 유리 비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축광층은 축광안료와 실리콘 혼합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광안료는 유리 비드 100 중량%에 대하여 5~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축광 유리 비드는 80.0~94.3 중량%의 유리비드와, 4.5~16.6 중량%의 축광안료와, 0.8~4.6 중량%의 실리콘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리콘 혼합액은 25~55 중량%의 실리콘과 45~75 중량%의 무수 알코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선의 표면에 시공함으로써 주간과 야간에 걸쳐 식별성이 탁월한 차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빛을 반사함과 더불어 스스로도 축광성에 의해 발광하므로, 강우 시에 도로가 빗물에 덮여 반사광을 얻을 수 없어도 안전 표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의 단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차선표시용 유리 비드 표면에 축광층이 형성된 축광 유리 비드의 단면도이다. 유리 비드에 형성된 축광층(4)은 축광안료(2)와 실리콘(3)으로 이루어진다.
축광안료(2)는, 태양광 또는 조명 등에 포함된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받으면, 가시광선으로 바꿔 저장한 후, 서서히 방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방사되는 광선의 파장은 대부분 507nm이고 388~644nm 사이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다. 이러한 축광안료(2)를 유리 비드(1)에 코팅하면, 어두운 환경에서도 스스로 발광하는 축광 유리 비드를 제공할 수 있다.
축광안료(2)를 유리 비드(1)에 코팅시키기 위한 코팅 보조수단으로는 실리콘(3)이 사용된다. 실리콘(3)은 흡착력이 우수하여 축광안료(2)를 유리 비드(1)에 강력하게 접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리콘(3)은, 코팅된 후에는 타 원료와 반응하지 않아 축광안료(2)의 축광성을 유지시킨다. 나아가, 실리콘(3)이 형성하는 코팅층은 내후성이 강하며 빛 투과성이 좋으므로 차선표시용으로 적합하다. 이러한 실리콘(3)은 축광안료(2)와 함께 유리 비드(1)에 코팅되어 견고한 축광층(4)을 형성한다.
그러나 축광안료(2)는 무기물계 물질로서, 그 자체만으로는 유기 용매인 실리콘(3)과의 균일한 혼합이 매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축광안료(2)와 실리콘(3)의 비중 차로 인하여 축광안료(2)의 침강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축광안료(2)와 실리콘(3)을 그대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축광안료(2)를 유리 비드(1)에 코팅하기 위해서는, 축광안료(2)가 유리 비드(1)에 코팅되는 순간에 실리콘(3)을 분무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코팅하게 되면, 유리 비드(1)의 표면에는 축광안료(2)와 실리콘(3)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적합한 축광층(4)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팅 보조수단이 되는 실리콘(3)으로서, 신월 화학주식회사(Shin-Etsu Chemical Co, Ltd.)의 KBM-3063을 사용한다. KBM-3063은 실리콘 코팅제의 일종인 실란 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로, 성질이 다른 이질적인 재료 간의 결합력을 높인다. 이러한 KBM-3063은 알코올과 같은 유기 용매에 희석시켜 코팅하면 얇은 코팅이 가능할 뿐 아니라, 경화 후에는 단단하고 내후성이 좋은 실리콘(3) 코팅층을 형성하므로 적합한 보조 코팅수단이 된다.
축광안료(2)와 실리콘(3)을 유리 비드(1)에 코팅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무수 알코올에 상술한 실리콘(3)을 희석하여 실리콘 혼합액을 만든다. 이때 만들어지는 실리콘 혼합액은 실리콘 25~55 중량%, 무수 알코올 45~75 중량%의 비율을 갖도록 한다.
그 후에, 유리 비드(1)와 축광안료(2)를 1:1의 비율로 교반기에 넣고 교반시킨다. 교반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미리 배합해둔 실리콘 혼합액을 교반기 안에 분무한다. 분무되는 실리콘 혼합액의 중량은 유리 비드 100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 이 되도록 한다. 그러면 유리 비드(1)의 표면에는 축광안료(2)와 실리콘 혼합액이 균일하게 분산된 축광층(4)이 형성된다.
축광안료(2)가 유리 비드(1)의 표면에 코팅된 것이 확인되면, 교반기의 구동을 멈추고 유리 비드(1)를 꺼낸다. 표면이 코팅된 유리 비드(1)를 평평한 곳에 펼쳐놓으면, 무수 알코올은 증발되고, 실리콘(3)은 공기 중의 산소 및 수분과 반응하여 경화된다. 실리콘(3)은 상온에서 30시간 정도 건조시키면 자연적으로 경화되는데, 200℃의 항온 가열로에서 건조시키면 1시간 만에 경화가 가능하다.
상술한 과정을 거치면, 최종적으로 80.0~94.3 중량%의 유리 비드, 4.5~16.6 중량%의 축광안료 및 0.8~4.6 중량%의 실리콘 혼합액으로 이루어지는 축광 유리 비드가 제조된다. 완전히 건조된 유리 비드(1)의 표면에는, 축광안료(2)와 실리콘(3)이 코팅되어 강고한 축광층(4)이 형성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축광 유리 비드를 이용하여 도로의 차선을 시공할 때에는, 축광안료가 표면에 코팅되지 않은 종래의 일반 유리 비드와 축광 유리 비드를 함께 배합하여 사용한다. 축광 유리 비드와 일반 유리 비드와의 배합은 1:1 내지 1:3 중량비의 범위 내에서 필요한 휘도에 적합한 중량으로 한다. 배합된 유리 비드는 시공하고자 하는 차선의 표면에 살포한다.
축광 유리 비드를 이용하여 차선을 시공하면, 도로의 차선은 태양광의 자외선을 흡수 및 축광하여 야간에는 스스로 발광하게 된다. 이로써 인공의 조명 없이도 선의 위치와 색을 명확하게 표시한다. 또한, 야간에는 자동차 전조등의 빛이 차선에 비춰지는데, 차선이 이 빛을 축광하여 발광하므로 운전자가 차선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야간 강우 시에는 도로에 물이 차오르기 때문에 전조등의 빛이 차선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 그러나 축광 유리 비드로 시공한 차선은 수중에서도 자동차의 전조등 빛을 흡수하여 즉시 발광하므로 자동차의 운전자는 차선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고, 이는 교통안전에 중대한 공헌을 하게 된다.
1: 유리 비드
2: 축광안료
3: 실리콘
4: 축광층

Claims (3)

  1. 표면에 축광층이 코팅된 차선 표시용 유리 비드에 있어서,
    상기 축광층은, 축광안료와 실리콘 혼합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광안료는, 유리 비드 100 중량%에 대하여 5~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광 유리 비드는, 80.0~94.3 중량%의 유리비드와, 4.5~16.6 중량%의 축광안료와, 0.8~4.6 중량%의 실리콘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혼합액은, 25~55 중량%의 실리콘과 45~75 중량%의 무수 알코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
KR2020130004340U 2012-06-07 2013-05-30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 KR2013000721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2-003412 2012-06-07
JP2012003412U JP3177801U (ja) 2012-06-07 2012-06-07 道路線引き用蓄光ガラスビー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11U true KR20130007211U (ko) 2013-12-17

Family

ID=4800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340U KR20130007211U (ko) 2012-06-07 2013-05-30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77801U (ko)
KR (1) KR2013000721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296B1 (ko) * 2016-04-21 2016-07-13 주식회사 삼기엔텍 야광비드 및 고휘도 반사비드가 혼합된 도로 포장재 및 그 시공공법
KR102171835B1 (ko) * 2020-01-15 2020-10-29 박신영 도로의 차선 도색 방법 및 도로의 차선 형성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7316A (zh) * 2024-03-18 2024-04-16 广东邦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滑型路面标线涂料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731B2 (ja) * 1996-06-07 2003-02-04 美濃窯業株式会社 発光性骨材及び該発光性骨材の製造方法
JP2007277935A (ja) * 2006-04-07 2007-10-25 Sekisui Jushi Co Ltd 道路用標示体
JP2009126769A (ja) * 2007-11-27 2009-06-11 Shigeo Shimizu 夜光モルタル
JP2011194828A (ja) * 2010-03-23 2011-10-06 Housetec Inc 蓄光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296B1 (ko) * 2016-04-21 2016-07-13 주식회사 삼기엔텍 야광비드 및 고휘도 반사비드가 혼합된 도로 포장재 및 그 시공공법
KR102171835B1 (ko) * 2020-01-15 2020-10-29 박신영 도로의 차선 도색 방법 및 도로의 차선 형성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77801U (ja)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4473A (zh) 一种高亮度长余辉发光标牌及其制备方法
CN104559625A (zh) 一种热熔型自发光道路标线涂料及其生产工艺
CN101372598A (zh) 蓄能自发光道路标线涂料
EP3115677B1 (en) Lighting apparatus
PT2609049E (pt) Composições fosforescentes e respetivas aplicações
CN101864228A (zh) 一种厚浆型自发光交通标线漆及其制备方法
JP5924506B2 (ja) 道路標示塗料、この塗料のマスターバッチペレット及びこのペレットを用いて施工された白色道路標示物
KR20130007211U (ko)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
KR102444867B1 (ko)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미장 도장 시공 방법
Lin et al. Active luminous road markings: A comprehensive review of technologies, materials, and challenges
CN1800278A (zh) 长余辉发光阻燃涂料
KR20160039866A (ko) 축광기능을 포함하는 노면 표시용 도료 조성물
CN102850837A (zh) 一种荧光路面漆用的添加剂
CN110081346A (zh) 一种可提高视距的隧道照明灯及隧道照明系统
CN115181486A (zh) 一种长余辉自发光道路标线涂料及其制备方法
CN204454881U (zh) 带有发光涂料层的超长余辉发光玻璃颗粒
JP2009209294A (ja) 蓄光機能と再帰反射機能とを有する蓄光ビーズ
KR20170122473A (ko) 내구성이 향상된 차열 및 축광 도료 조성물
KR101747372B1 (ko)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축광안료를 이용한 노면 표지용 조성물
KR20100045348A (ko) 도로표시용 발광 / 미끄럼 방지 도료 및 노면표시 방법
KR101180299B1 (ko) 폐자재를 이용한 야광도료 제조방법
US20140319416A1 (en) Epoxy encapsulated fluorescent coating
CN112011206A (zh) 一种发光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73693B1 (ko) 도로표지 시공방법
CN204869905U (zh) 一种立体环保彩光防水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