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192B1 -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192B1
KR102576192B1 KR1020230044197A KR20230044197A KR102576192B1 KR 102576192 B1 KR102576192 B1 KR 102576192B1 KR 1020230044197 A KR1020230044197 A KR 1020230044197A KR 20230044197 A KR20230044197 A KR 20230044197A KR 102576192 B1 KR102576192 B1 KR 10257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ating layer
photoluminescent
protectiv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석
윤상복
Original Assignee
에세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세라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세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7Details of housings or case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base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housings or c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90Methods of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10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LED 칩이 실장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LED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되는 투명 커버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투명 커버를 향해 광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자외선 LED 광원이 실장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측에 대향하는 투명 커버의 내부면에 각각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축광성 보호코팅층은 주제 50 내지 80 중량%와 경화제 10 내지 40 중량% 및 기능성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제는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50 중량부,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 1 내지 20 중량부, 축광안료 분산물 1 내지 20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경화제는 폴리에틸렌 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디에틸톨루엔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및 디알킬아미노디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민계 화합물 10 내지 50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 100 중량부, 알킬레조르시놀 1 내지 10 중량부 및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함으로써,
외부 전원 공급 없이 LED 광원으로부터 빛을 축광성 보호코팅층에 축적시켜 LED 광원의 소등 후에 축광된 빛을 발산 또는 발광할 수 있고, 방수성 뿐만 아니라 습기 등의 환경하에서 부식현상을 방지하여 기기수명을 대폭 연장하면서 유지관리가 간편한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LED lighting device equipped with a photoluminescent protective coating layer}
본 발명은 외부 전원 공급 없이 LED 광원으로부터 빛을 축광성 보호코팅층에 축적시켜 LED 광원의 소등 후에 축광된 빛을 발산 또는 발광할 수 있고, 방수성 뿐만 아니라 습기 등의 환경하에서 부식현상을 방지하여 기기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광은 일반 빛에너지 태양광, 형광등을 포함한 모든 영역의 광원(밝음상태)을 에너지로 흡수하여 어두운 곳에서 축광된 빛 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스스로 발광하는 빛의 흡수, 축적, 발광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으로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진다.
이러한 축광은 근래에 우수한 축광 소재가 개발되어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자연채광이 차단된 지하나 대형건물의 내부시설에 적용하면 정전시 비상 유도기능 및 일상적인 전원 오프 시 보행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축광을 이용한 축광 조명은 통상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을 안전하게 안내하게 된다.
그러나, 실외에 설치되는 축광 조명은 환경적 변화에 민감하여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된다. 특히 외부 부식성이 강한 염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해안이나 해상의 환경에서 사용되는 LED등은 부식성이 강한 염기 성분에 의한 내구성에 치명적인 취약점을 보이고 있다.
한편, 산업화 이후 인간의 주 활동 공간이 실외에서 실내로 바뀌게 되면서 조명은 우리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을 조명시켜 주기 위한 조명기구의 램프로서 현재까지도 백열전구나 형광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근래에는 형광등보다 더 밝고 수명이 긴 것을 물론 눈의 피로도를 줄여줄 수 있는 삼파장 전구도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기구들은 빛을 내는 형광등, 전구 등의 광원과 상기 광원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광원을 은폐하면서 빛이 투과광 형태로 전파되게 하면서 외관이 미려하도록 부착된다. 이러한 조명기구들은 지금까지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기능적 요소와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의 장식적 요소로만 파악되어 왔으나, 근래에 있어 감성공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와 관련한 감성 조명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감성 조명들에 관한 연구 중 인간의 감정이나 상황을 대입시키기 위한 연구는 미비한 수준이고, 단순히 공간이나 시간과 관련한 통상적인 정보에 맞춘 감성 조명의 조절이나 주변 감성과 관련한 요소와 같은 하위 정보를 통한 조명의 조절에 대해서만 다루어져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63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303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 전원 공급 없이 LED 광원으로부터 빛을 축광성 보호코팅층에 축적시켜 LED 광원의 소등 후에 축광된 빛을 발산 또는 발광할 수 있고, 방수성 뿐만 아니라 습기 등의 환경하에서 부식현상을 방지하여 기기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LED 칩이 실장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LED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되는 투명 커버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투명 커버를 향해 광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자외선 LED 광원이 실장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측에 대향하는 투명 커버의 내부면에 각각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축광성 보호코팅층은 주제 50 내지 80 중량%와 경화제 10 내지 40 중량% 및 기능성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제는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50 중량부,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 1 내지 20 중량부, 축광안료 분산물 1 내지 20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경화제는 폴리에틸렌 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디에틸톨루엔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및 디알킬아미노디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민계 화합물 10 내지 50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 100 중량부, 알킬레조르시놀 1 내지 10 중량부 및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은 아크릴 단량체, 4급 암모늄염 함유 폴리머, 플라바논 및 플로레틴을 함유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polyether urethane acrylate)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polyester urethane acrylate)를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펜탄 1 중량비,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0.1 내지 0.5 중량비 및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0.1 내지 0.5 중량비로 함유된 용액에,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압력 3 내지 20 torr 및 온도 50 내지 100 ℃ 조건하에서 진공 증류법으로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은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 100 중량부, 아크릴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부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며,
상기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는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및 3-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은 소디움 메틸 실리코네이트, 포타슘 메틸 실리코네이트로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주제는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메타)아크릴레이트 1 중량과 상기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 (메타)아크릴레이트 0.5 내지 1 중량이 혼합된 혼합물 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축광안료 분산물은
축광안료 100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10 내지 50 중량부 및 소포로지질(SLP)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은
용매에, 탄산칼슘 100 중량부, 아크릴 단량체 10 내지 50 중량부, 4급 암모늄염 함유 폴리머 1 내지 20 중량부, 플라바논 1 내지 10 중량부 및 플로레틴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분산하는 단계와,
상기 분산된 혼합물을 고액 분리하여 건조하여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4급 암모늄염 함유 폴리머는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61 및 폴리쿼터늄-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는 외부 전원 공급 없이 LED 광원으로부터 빛을 축광성 보호코팅층에 축적시켜 LED 광원의 소등 후에 축광된 빛을 발산 또는 발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는 방수성 뿐만 아니라 습기 등의 환경하에서 부식현상을 방지하여 기기수명을 대폭 연장하면서 유지관리가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는 이액형으로 구성되어 계절에 영향없이 작업용이성, 저장용이성 등이 확보되고 장시간 사용에도 광 및 열에 의한 손상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LED 칩이 실장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LED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되는 투명 커버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투명 커버를 향해 광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자외선 LED 광원이 실장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측에 대향하는 투명 커버의 내부면에 각각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축광성 보호코팅층은 주제 50 내지 80 중량%와 경화제 10 내지 40 중량% 및 기능성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제는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50 중량부,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 1 내지 20 중량부, 축광안료 분산물 1 내지 20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경화제는 폴리에틸렌 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디에틸톨루엔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및 디알킬아미노디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민계 화합물 10 내지 50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 100 중량부, 알킬레조르시놀 1 내지 10 중량부 및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은 아크릴 단량체, 4급 암모늄염 함유 폴리머, 플라바논 및 플로레틴을 함유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는 외부 전원 공급 없이 LED 광원으로부터 빛을 축광성 보호코팅층에 축적시켜 LED 광원의 소등 후에 축광된 빛을 발산 또는 발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는 방수성 뿐만 아니라 습기 등의 환경하에서 부식현상을 방지하여 기기수명을 대폭 연장하면서 유지관리가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는 이액형으로 구성되어 계절에 영향없이 작업용이성, 저장용이성 등이 확보되고 장시간 사용에도 광 및 열에 의한 손상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a) 바 타입, (b) 라운드 타입, (c) 사각 타입 및 (d) 볼라드 타입의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하기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타입의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 2의 라운드 타입의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는 케이스 본체(10), 상기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형성되고 LED 칩(23)이 실장된 베이스 플레이트(25)를 포함하는 LED 광원부(20) 및 상기 광원부(20) 상에 배치되는 투명 커버(3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금속, 특히 전기아연도금 강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는 플라스틱 등의 사출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출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투명 커버(30) 방향으로 갈수록 케이스 본체의 지름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측면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 LED 칩(23)이 실장된 베이스 플레이트(25)를 포함하는 LED 광원부(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LED 광원부(20)는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5) 및 LED 칩(23)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LED 칩은 다양한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실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본체(10)의 측면 내측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25)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는 케이스 본체(10)의 측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케이스 본체(10)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내부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내부 고정부는 베이스 플레이트(25)를 충분히 견고하게 지지해야 하므로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세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 고정부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본체(10) 측면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 부분을 내측으로 절곡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LED 칩(23)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LED 조명장치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배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LED 칩은 파장이 약 405 nm인 칩을 사용하였다.
상기 투명 커버(30)는 LED 광원부(20)의 빛을 투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광 커버(30)는 상기 광원부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광원부 전체 표면을 덮는 덮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커버(30)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케이스 본체(10)의 측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에 걸리게 되어 투명 커버(30)와 케이스 본체(1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측에 대향하는 투명 커버(30)의 내부면에 각각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축광성 보호코팅층은 주제 50 내지 80 중량%와 경화제 10 내지 40 중량% 및 기능성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한다.
상기 주제는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50 중량부,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 1 내지 20 중량부, 축광안료 분산물 1 내지 2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한다.
상기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도막과의 부착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polyether urethane acrylate)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polyester urethane acrylate)를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펜탄 1 중량비,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0.1 내지 0.5 중량비 및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0.1 내지 0.5 중량비로 함유된 용액에,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압력 3 내지 20 torr 및 온도 50 내지 100 ℃ 조건하에서 진공 증류법으로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특정비로 혼합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을 사용하여 내충격성 및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용액은 도막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을 희석시키고 광 및 열에 의한 도막의 손상을 개선하는 위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펜탄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을 희석시키고,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및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는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 및 열에 의한 도막의 산화 및 열화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용액의 함량비는 상기한 역할을 발휘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이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은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반응시 국부적인 반응이 발생하거나 반응기의 온도 유지가 어려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진공 증류는 압력 및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유기 용제의 제거가 부족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저하되거나 혼합용매의 폐기량이 많거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이 분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내충격 강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내습성,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의 제반 물성의 특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상기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점도가 높아 교반효율이 저하되고 오히려 딱딱하게 굳어져 접착력 저하 및 박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은 도막의 수분 침투를 막아 방수성을 부여하면서, 도막과의 부착성 및 방식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은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 100 중량부, 아크릴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부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와 아크릴 단량체는 부착성, 방식성 및 고내후성이 강화되며, 특히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은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와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치밀한 도막을 형성하므로 방수성 및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는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및 3-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은 소디움 메틸 실리코네이트, 포타슘 메틸 실리코네이트로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은 상기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축광안료 분산물은 낮동안 태양광 또는 UV 램프로부터 빛을 받은 후에 야간 등과 같이 어두운 상황에서 고휘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야간에 시인성 및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광안료 분산물은 축광안료의 분산성 및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및 소포로지질(SLP)을 일정량 혼합하여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축광안료 100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10 내지 50 중량부 및 소포로지질(SLP)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축광안료는 소량의 희토류 원소, 바람직하게는 유로피늄(Eu), 가돌리늄(Gd), 디스프로슘(Dy), 터븀(Tb) 및 이터늄(Y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희토류 원소가 도핑된 알카리토류 금속의 알루미나 성분의 복합물인 무기계 축광안료를 사용하되,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 알루미나 성분의 복합물로는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칼륨, 산화스트론튬 및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들의 복합체로서, Al2O3CaO, Al2O3MgO, SrAl2O4, SrAl2O4(OH) 또는 Al2O3CaOSrOB2O3 등과 같은 염들의 복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희토류 원소가 도핑된 알루미나 성분(Al2O3-SrO3-B2O3)의 축광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광안료는 평균입경이 25 내지 35 μm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축광안료 분산물은 상기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축광안료 분산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광안료 분산물은 상기 축광안료의 시인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고, 주간에도 우수한 시인성을 제공하여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형광안료를 추가로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형광안료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형광안료는 상기 축광안료 분산물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는 도막의 팝핑(popping) 방지와 평활성을 유지하면서 점도조절 등의 용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는 상기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성 보호코팅층의 주제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메타)아크릴레이트 1 중량과 상기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 (메타)아크릴레이트 0.5 내지 1 중량이 혼합된 혼합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도막의 내충격성, 유연성, 내마찰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한다,
이러한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메타)아크릴레이트과 상기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 (메타)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된 혼합물은 상기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메타)아크릴레이트과 상기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 (메타)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된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경화제는 폴리에틸렌 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디에틸톨루엔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및 디알킬아미노디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민계 화합물 10 내지 50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아민계 화합물은 경화제로 사용되며, 특히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활성아민기(NH2)를 가져 연쇄적인 반응을 수행하는 쇄연장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디에틸톨루엔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및 디알킬아미노디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디에틸톨루엔디아민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아민계 화합물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아민계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평활성이 저하되어 미려한 외관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는 도막의 팝핑(popping) 방지와 평활성을 유지하면서 점도조절 등의 용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는 상기 폴리에틸렌 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 100 중량부, 알킬레조르시놀 1 내지 10 중량부 및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한다.
상기 탄산칼슘은 도장 시 도막의 두께를 유지하는 충전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 내에서 상기 탄산칼슘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광 및 열에 의한 산화, 열화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을 사용한다.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은 용매에, 탄산칼슘 100 중량부, 아크릴 단량체 10 내지 50 중량부, 4급 암모늄염 함유 폴리머 1 내지 20 중량부, 플라바논 1 내지 10 중량부 및 플로레틴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분산하는 단계와, 상기 분산된 혼합물을 고액 분리하여 건조하여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각 성분으로 혼합하여 분산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구체적으로 건조가 용이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도막과의 혼화성을 고려하면, n-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점도가 증가하여 균일한 코팅층 형성이 어려울 수 있는 문제점 있다.
상기 4급 암모늄염 함유 폴리머는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61 및 폴리쿼터늄-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4급 암모늄염 함유 폴리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오리혀 뭉침이 발생하여 탄산칼슘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라바논 및 플로레틴은 광 및 열로 부터 도막을 보호하고 안정화하여 열화 및 산화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플라바논 및 플로레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막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조르시놀은 도막에 부착력 및 발림성 등의 작업성을 개선하면서 도막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알킬레조르시놀은 구체적으로 4-헥실레조르시놀, 4-페닐에틸레조르시놀, 4-사이클로펜틸 레조르시놀 및 4-사이클로헥실레조르시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알킬레조르시놀은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알킬레조르시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상분리가 발생하거나 저장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는 온도 변화 및 광에 의한 도막의 변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는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타 성분과의 결합력이 저하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광성 보호코팅층은 왁스,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및 충전제 등 목적에 따라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조예 1>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유기용제로 아이소파 E(Exxon mobile사 제품, 끓는점: 114~136℃) 100 중량부에, 폴리에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 중량비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0.6 중량비로 함유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이후에, 펜탄 1 중량비,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0.3 중량비 및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0.3 중량비로 함유된 용액 100 중량부에,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 40 중량부를 혼합하고, 압력 10 torr 및 온도 95 ℃에서 3시간 동안 진공 증류하여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폴리에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 중량비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 중량비로 함유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
3-메타크릴옥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00 중량부, n-부틸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및 소디움 메틸 실리코네이트 5 중량부를 30 ℃에서 반응시켜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표면 처리된 축광안료
축광안료 100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30 중량부 및 소포로지질(SLP) 5 중량부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표면 처리된 축광안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
이소프로필알콜 100 중량부에, 탄산칼슘 100 중량부, n-부틸 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폴리쿼터늄-6 10 중량부, 플라바논 5 중량부 및 플로레틴 5 중량부를 혼합한 후 비즈밀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상기 고액 분리하고 80 ℃에서 2시간 건조하여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축광성 보호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비교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도 2와 같이, 케이스 본체(10), 상기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형성되고 자외선 LED 칩(23)이 12개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25) 및 상기 투명 커버(30)로 구성된 LED 조명장치를 제조하였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5)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측에 대향하는 투명 커버(30)의 내부면에 각각 상기 축광성 보호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비교용 조성물을 용액 코팅하고 건조하여 보호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주제 60 60 60 60 60
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제조예1
(100)
제조예2
(100)
제조예2
(100)
100 제조예1
(100)
폴리디메틸실록산 13 13 13 17 17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 제조예3
(4)
제조예3
(4)
제조예3
(4)
- -
축광안료 제조예4
(7)
제조예4
(7)
제조예4
(7)
7 7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5 5 5 5 5
디펜타에리트리톨 (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 - 5 - -
경화제 33 33 33 33 33
중량부 폴리에틸렌 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 50 50 100 -
디에틸톨루엔디아민 30 15 15 - 100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 15 15 - -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5 5 5 5 5
기능성 첨가제 7 7 7 7 7
중량부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 제조예5
(100)
제조예5
(100)
제조예5
(100)
탄산칼슘
(100)
탄산칼슘
(100)
4-헥실레조르시놀 5 5 5 - -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2 2 2 - -
디펜타에리트리톨 (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메타)아크릴레이트 1중량비 +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 (메타)아크릴레이트 0.7 중량비
<시험예>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축광성 보호코팅층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 1 및 2의 특성을 비교한 실험결과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1> 잔광휘도
도 2와 같이, 54W의 소비전력을 갖는 LED 칩이 배열된 광원에 20 분간 405 nm 파장으로 노출시키고 광원 차단 후, 시간 변화에 따른 발광휘도(mcd/m2)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간(분) 발광휘도(mcd/m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2 1114 1131 1179 43 201
6 487 494 515 19 88
15 197 199 208 8 35
25 136 138 144 5 25
30 71 72 75 3 13
40 50 51 53 2 9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축광성 보호코팅층은 비교예 1 내지 2의 축광성 보호코팅층과 비교하여 우수한 발광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방수성능
1250mm × 654 mm × 400 mm의 철제 수조에 수조에 물을 300 mm까지 채워 준비하였다. 이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LED 조명장치를 수조 바닥에 안착시켰다. 이후에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LED 칩(램프)의 소등 개수를 확인하여 방수성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방수성능 0 0 0 8 5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형성된 LED 조명장치는 비교예 1 내지 2의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형성된 LED 조명장치에 비해 소등된 LED 칩(램프)이 없는 것으로 보다 방수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내부식성
밀폐된 장치 내에서 5% 염분농도액을(전세계 바닷물 평균 염도는 3.5%) 연속자동분무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부식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조명장치를 넣고 미리 설정된 타이머가 울리면 육안 검사방식으로 조명장치의 부식정도와 LED 램프의 소등 개수를 확인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24시간 48시간 100시간 150시간
실시예1 소등램프개수 0 0 1 1
부식정도 부식없음 부식없음 3%면적 4%면적
실시예2 소등램프개수 0 0 0 1
부식정도 부식없음 부식없음 부식없음 2%면적
실시예3 소등램프개수 0 0 0 0
부식정도 부식없음 부식없음 부식없음 부식없음
비교예1 소등램프개수 0 9 12 -(쇼트발생)
부식정도 부식없음 35% 면적 70% 면적 전면적
비교예2 소등램프개수 0 0 5 8
부식정도 부식없음 부식없음 15% 면적 30% 면적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형성된 LED 조명장치는 비교예 1 내지 2의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형성된 LED 조명장치에 비해 내부식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내후성(코팅층의 박리)
UV 전영역대에 노출 시험을 수행하여 LED 조명장치의 코팅층의 박리정도를 확인하여 내후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노출 시험의 소요시간은 약 6 개월에 걸쳐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코팅층의 박리정도를 0 내지 3으로 표기(숫자가 커질수록 정도가 심함)하였다. 이때, 0은 코팅층의 박리가 전혀 없음, 3은 완전 박리를 나타낸다.
구분 노출시간
30 60 120 180
실시예1 0 0 0 1
실시예2 0 0 0 0
실시예3 0 0 0 0
비교예1 1 3 3 3
비교예2 0 2 2 3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형성된 LED 조명장치는 비교예 1 내지 2의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형성된 LED 조명장치에 비해 자외선에 의한 코팅층의 밀착력 저하로 인한 박리가 일어나지 않아 내후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본체
20 : LED 광원부
23 : LED 칩
25 : 베이스 플레이트
30 : 투명 커버

Claims (6)

  1.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LED 칩이 실장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LED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되는 투명 커버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투명 커버를 향해 광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자외선 LED 광원이 실장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측에 대향하는 투명 커버의 내부면에 각각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축광성 보호코팅층은 주제 50 내지 80 중량%와 경화제 10 내지 40 중량% 및 기능성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제는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50 중량부,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 1 내지 20 중량부, 축광안료 분산물 1 내지 20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경화제는 폴리에틸렌 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디에틸톨루엔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및 디알킬아미노디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민계 화합물 10 내지 50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 100 중량부, 알킬레조르시놀 1 내지 10 중량부 및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은 아크릴 단량체, 4급 암모늄염 함유 폴리머, 플라바논 및 플로레틴을 함유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polyether urethane acrylate)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polyester urethane acrylate)를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펜탄 1 중량비,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0.1 내지 0.5 중량비 및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0.1 내지 0.5 중량비로 함유된 용액에,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압력 3 내지 20 torr 및 온도 50 내지 100 ℃ 조건하에서 진공 증류법으로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아크릴 에멀젼은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 100 중량부, 아크릴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부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며,
    상기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는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및 3-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은 소디움 메틸 실리코네이트, 포타슘 메틸 실리코네이트로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개질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메타)아크릴레이트 1 중량과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 (메타)아크릴레이트 0.5 내지 1 중량이 혼합된 혼합물 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안료 분산물은
    축광안료 100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10 내지 50 중량부 및 소포로지질(SLP)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은
    용매에, 탄산칼슘 100 중량부, 아크릴 단량체 10 내지 50 중량부, 4급 암모늄염 함유 폴리머 1 내지 20 중량부, 플라바논 1 내지 10 중량부 및 플로레틴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분산하는 단계와,
    상기 분산된 혼합물을 고액 분리하여 건조하여 코팅층이 형성된 탄산칼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4급 암모늄염 함유 폴리머는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61 및 폴리쿼터늄-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KR1020230044197A 2023-04-04 2023-04-04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KR10257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197A KR102576192B1 (ko) 2023-04-04 2023-04-04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197A KR102576192B1 (ko) 2023-04-04 2023-04-04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192B1 true KR102576192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197A KR102576192B1 (ko) 2023-04-04 2023-04-04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1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373B1 (ko) 2009-08-11 2011-07-05 한신조명(주) 원적외선 방출 및 축광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용 커버
KR20110124116A (ko) * 2010-09-14 2011-11-16 주식회사 패턴크리트 자전거 도로에 적용 가능한 스텐실 포장 공법
KR101503035B1 (ko) 2014-08-27 2015-03-16 이은희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
JP2015133221A (ja) * 2014-01-10 2015-07-2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照明装置
KR20170076258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표면 처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된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9129114A (ja) * 2018-01-26 2019-08-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光体、照明用外装装置、及び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373B1 (ko) 2009-08-11 2011-07-05 한신조명(주) 원적외선 방출 및 축광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용 커버
KR20110124116A (ko) * 2010-09-14 2011-11-16 주식회사 패턴크리트 자전거 도로에 적용 가능한 스텐실 포장 공법
JP2015133221A (ja) * 2014-01-10 2015-07-2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照明装置
KR101503035B1 (ko) 2014-08-27 2015-03-16 이은희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
KR20170076258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표면 처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된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9129114A (ja) * 2018-01-26 2019-08-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光体、照明用外装装置、及び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5634B2 (en) Heat curable thermosetting luminescent resins
AU767819C (en) Luminescent gel coats and moldable resins
US20050142371A1 (en) Phosphorescent sheets or films having protective topcoa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5347504B2 (ja) 蓄光性蛍光体、蛍光ランプ、蓄光性表示体、及び蓄光性成型品
US20050035331A1 (en) Phosphorescent blends
CN1817984A (zh) 蓄光型发光涂料及涂布该涂料的发光纤维物
CN105128473A (zh) 一种反光发光膜
JP5568839B2 (ja) 蓄光性蛍光体、蛍光ランプ、蓄光性表示体、及び蓄光性成型品
KR101409743B1 (ko)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EP1580251B1 (en) Fluorescent lamp
KR102576192B1 (ko)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US6253698B1 (en) Phosphorescent marine products
US20050148717A1 (en) Phosphorescent light cover or coating
KR20160139870A (ko) 축광성이 우수한 코팅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306982B2 (ja) 蓄光シリコーンゲルシート
JP2009249396A (ja) 蓄光性白色発光蛍光体、蛍光ランプ、蓄光性表示体、及び蓄光性成型品
JP2007118203A (ja) 蓄光性シリコーンゴム製シート
JP2009037080A (ja) 屋外用内照式膜材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物
KR20170122473A (ko) 내구성이 향상된 차열 및 축광 도료 조성물
KR100882220B1 (ko) 축광층이 코팅된 흙블록 및 그 제조 방법
JP4764143B2 (ja) 蓄光性幅木の製造方法
JP2004176457A (ja) 誘導用蓄光床材
KR102559212B1 (ko) 시인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조성물
JP2006219585A (ja) 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
KR200364377Y1 (ko) 축광성 발광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