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035B1 -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035B1
KR101503035B1 KR20140112500A KR20140112500A KR101503035B1 KR 101503035 B1 KR101503035 B1 KR 101503035B1 KR 20140112500 A KR20140112500 A KR 20140112500A KR 20140112500 A KR20140112500 A KR 20140112500A KR 101503035 B1 KR101503035 B1 KR 101503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llumination
pedestrian
light
lumi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인식
임창섭
Original Assignee
이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희 filed Critical 이은희
Priority to KR2014011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90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21W2111/02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for pedestrian walk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도 육교, 지하 보도, 자전거 도로, 교량, 지하 주차장 등에 설치되며 보행자 등의 보행을 감지하여 보행로를 조명하고 아울러 빛을 축광하여 적은 수량의 조명등을 사용하여도 안전한 보행을 위한 넓은 지역을 조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은,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복수의 지주(11)를 포함하는 난간 프레임(10)과; 상기 난간 프레임의 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 사이를 막으며 주변의 빛을 축광하는 축광판(20)과; 상기 난간 프레임 또는 상기 축광판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보행자를 포함하는 근접 통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30)와; 상기 난간 프레임과 축광판 중 일측 이상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근접센서에 의한 보행자의 근접 신호가 발생되면 점등하는 것으로 LED를 포함하는 조명등(40)과; 상기 근접센서에 의한 감지 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조명등 중에서 상기 보행자를 감지한 근접센서와 대응하는 조명등을 일정 시간 동안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축광판은 상기 보행자의 보행로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축광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SENSING PHOSPHORESCENT LIGHTING HANDRAI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도 육교, 지하 보도, 자전거 도로, 교량, 지하 주차장 등에 설치되며 보행자 등의 보행을 감지하여 보행로를 조명하고 아울러 빛을 축광하여 적은 수량의 조명등을 사용하여도 안전한 보행을 위한 넓은 지역을 조명할 수 있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자의 보행로(보도 육교, 보차도, 지하 보도, 산책로, 등산로 등), 자전거 도로, 교량, 지하 주차장 등에는 보행자 등이 안전하게 통행하도록 난간이 설치된다.
아울러, 전술한 보행로 등에는 야간에도 보행자 등이 안전하게 통행하도록 보행등이 설치된다.
종래 난간의 보행등은 보행자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여 점등 제어된다.
종래 난간은 조명등만을 이용하여 보행로를 조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적은 수량의 보행등을 설치하면 보행로를 밝게 조명하지 못하여 보행등의 수량을 많이 설치하여야 하고, 따라서 많은 시공 비용을 필요로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현실적이지 못하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1311466호)은 지면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보행로 안내창과, 상기 보행로 안내창보다 상부에 주변인지용 안내창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상기 주변인지용 안내창을 통해 광을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된 제1광원모듈과;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상기 보행로 안내창을 통해 광을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된 설치된 제2광원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광원모듈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가 어레이되어 있고, 상기 제2광원모듈은 백색광을 출사하는 발광다이오드가 어레이되어 있으며, 상기 제2광원모듈은 상기 본체 내에 광축이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기 백색광을 출사하는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광원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을 지면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함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인체 유무를 검출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센서와; 상기 제1광원모듈을 구동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광원모듈을 구동하는 제2구동부와; 상기 조도 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이하가 되면 조명모드로 판단하고, 조명모드에서 상기
제1광원모듈과 상기 제2광원모듈이 모두 온되게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하되,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2광원모듈은 설정된 제1기준듀티로 구동되게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광원모듈의 발광 색온도가 상승되게 상기 제1기준듀티보다 듀티가 높은 제2기준듀티로 구동되게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사각부분과, 상기 제1사각부분 상부에서 상기 제1사각부분보다 좁은 폭으로 상방으로 연장된 제2사각부분과, 상기 제2사각부분 상부에서 상기 제2사각부분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제3사각부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제1사각부분에 상기 보행로 안내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사각부분에 상기 주변인지용 안내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함체는 상기 보행로 안내창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상방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분과, 상기 제1경사부분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광원모듈의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는 제2경사부분과, 상기 제2경사부분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보행로 안내창 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3경사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며, 주변인식을 위한 광과 보행을 안내하기 위한 광을 분리되게 구동하고, 인체 감지유무에 따라 지면을 향하도록 광출사 방향이 조정된 보행용 광의 색온도를 증가되게 가변시킴으로써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LED 보행등만을 이용하는 조명이기 때문에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허문헌 2(등록실용신안 제20-0423552호)는 난간에 부착되어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수단과, 상기한 발광수단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차량이 스쿨존으로 진입하는 것을 미리 감지하는 감지봉 및 감지봉에 설치된 센서와, 상기한 스쿨존으로 차량 진입 시 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출력된 신호로 발광수단을 일정시간동안 발광하도록 설치된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수단만을 이용하는 것일 뿐이다.
등록특허 제10-131146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2355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행자 등의 보행을 감지하여 보행로를 조명하고 빛을 축광하여 적은 수량의 조명등을 사용하여도 안전한 보행을 위한 넓은 지역을 조명할 수 있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은,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복수의 지주를 포함하는 난간 프레임과; 상기 난간 프레임의 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 사이를 막으며 주변의 빛을 축광하는 축광판과; 상기 난간 프레임 또는 상기 축광판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보행자를 포함하는 근접 통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난간 프레임과 축광판 중 일측 이상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근접센서에 의한 보행자의 근접 신호가 발생되면 점등하는 것으로 LED를 포함하는 조명등과; 상기 근접센서에 의한 감지 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조명등 중에서 상기 보행자를 감지한 근접센서와 대응하는 조명등을 일정 시간 동안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등은 상기 난간 프레임의 지주 또는 상기 난간 프레임의 핸드 레일 또는 상기 축광판의 후방 중 일측 이상에 설치되어 조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에 의하면, 보행자 등의 감지를 근거로 하여 필요시에만 조명등을 점등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보행로를 밝게 조명하고, 보행로를 조명하는 빛 등을 축광하여 조명등으로부터 먼 곳도 조명함으로써 적은 수량의 조명등을 사용하여도 보행로를 밝고 안전하게 조명하는 효과가 있고 따라서 적은 시공 비용으로 안전한 보행로를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시예 1의 경우 광확산판을 통해 일부 빛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앞쪽을 밝게 조명하고 일부 빛을 이용하여 보행자 주변을 넓게 조명하여 보행자가 보행 속도를 구애받지 않고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2의 경우 축광판을 이용하여 조명등에 의한 빛의 조사 방향을 유도하여 단순한 시설을 통해 보행로를 조명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에 적용된 난간 프레임의 조립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에 적용된 축광판의 사시도.
도 6과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에 적용된 축광판 고정수단의 사시도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에 적용된 광확산판의 설치 상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의 측면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에 적용된 조명등의 디밍 제어를 도시한 것으로,
도 11은 보행자가 적거나 보행 속도가 느린 경우의 제어이고,
도 12는 보행자가 많거나 보행 속도가 빠른 경우의 제어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은, 보행자와 자전거(본 발명은 보도 육교, 지하 보도, 자전거 도로, 교량 등의 난간용으로 사용되며, 이하에서는 보행자를 예로 들어 설명함)의 안전을 위하여 가드(guard)를 형성하는 난간 프레임(10), 주위 빛을 축광하고 축광된 빛을 조사하는 축광판(20), 보행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센서(30), 근접센서(30)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여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40) 및 조명등(40)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난간 프레임(10)은 지주(11)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지주(11)는 복수개가 사용되며 저부가 지중이나 슬래브에 정착되고, 도면에 도시된 구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착되어 세워진다.
지주(11)들 사이에는 예컨대 횡방향의 제1,2핸드레일(12,13)이 적용되어 이웃하는 지주(11)들 사이를 막고 지주(11)들을 지지한다.
제1핸드레일(12)은 지주(11)들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지주(1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브래킷(14)(도 4에 도시됨)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제2핸드레일(13)은 이웃하는 2개의 지주(11)들의 사이에 개재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측이 지주(11)에 체결구(볼트와 너트 등)를 통해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축광판(20)은 판상이며 표면(일측 이상의 표면)에 축광도료가 도포되거나 축광시트가 부착되어 주변 빛을 축광한 후 빛을 조사함으로써 보행로를 조명하고, 또한, 지주(11)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가드의 기능도 겸한다.
축광판(20)은 축광 및 조명 기능을 높이기 위하여 평평한 판재보다는 돌출형의 축광부(21)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광부(21)는 보행로를 향하면서 중심을 향해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즉 보행자의 시선과 직각 방향의 면을 제공함으로써 축광 및 조명 효과를 증대한다. 즉 축광부(21)는 사각뿔인 경우 4개의 면을 갖는 것이고, 물론 사각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축광부(21)는 하나의 축광판(20)에 종횡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아울러, 축광부(21)의 표면에는 반사지가 적용될 수도 있다.
축광판(20)은 난간 프레임(10)의 제2핸드레일(13)의 아래쪽에 노면과 근접(보행자의 빠짐을 막기 위한 근접)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풍압에 의한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공(22)이 형성된다. 즉 축광판(20)은 뿔 형상이지만 통공(22)의 형성을 위하여 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통공(22)은 보행로와 보행로 반대쪽이 통하도록 형성되어 바람이 통하도록 함으로써 축광판(20)에 가해지는 풍압을 낮춘다.
축광판(20)은 지주(11)들의 사이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지주(11)나 제2핸드레일(13) 등에 직접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알루미늄 등을 재질로 하는 틀을 매개로 하여 설치될 수 있다.
축광판(20)은 축광판 고정수단을 통해 설치된다.
도 6과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축광판 고정수단(50)은 지주(11)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51), 제1고정편(51)에 결합되어 제1고정편(51)과 함께 축광판 고정홈을 형성하는 제2고정편(52)으로 구성되며, 제1,2고정편(51,52)의 축광판 고정홈을 통해 축광판(20)의 둘레부를 고정한다.
도면에서처럼 제1고정편(51)은 지주(11)에 피스 등을 통해 직접 고정되면서 제2고정편(52)이 삽입되는 체결홈(53)이 구성되고, 제2고정편(52)은 체결홈(53)에 삽입되는 체결돌기(54)가 구비되어 체결돌기(54)가 체결홈(53)에 끼움 고정된다.
제1,2고정편(51,52)은 고정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피스가 제1고정편(51)의 체결홈(53)을 관통하면 체결돌기(54)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된다.
축광판(20)이 제1,2고정편(51,52)의 사이에 흔들림 없이 끼움 고정되도록 제1,2고정편(51,52)의 마주하는 면에는 탄성패드(55,56)가 각각 부착된다.
근접센서(30)는 조명등(40)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수단이며 현재 사용되는 모든 근접센서가 사용 가능하고, 난간 프레임(10)[도면에는 지주(11)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함] 또는 축광판(20)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근접센서(30)와 조명등(40)이 세트로 구성되는 것이며, 따라서, 근접센서(30)와 조명등(40)은 지주(11)에 각각 설치된다.
조명등(40)은 LED가 바람직하고, 지주(1)에 상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근접센서에 의한 보행자의 근접 신호가 발생되면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점등하고 반대로 보행자가 없으면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소등한다.
물론 조명등(40)은 제1,2핸드레일(12,13)에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조명등(40)이 난간 프레임(10)에 설치되므로 난간 프레임측 조명등이다.
조명등(40)은 상시 일정 전류(예컨대 1W) 이상을 인가받아 일정 조도의 빛을 조사하는 점등상태를 유지하며 이를 통해 상시 조명등(40)이 발열함으로써 저온에서도 조명등(40)의 손상을 방지한다. 물론 모든 조명등(40)이 상시 저전력으로 점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일부 조명등(40)만이 상시 저전력으로 점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온에서 조명등(40)의 발열에 의한 보호는 조명등(40)이 상시 점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저온의 경우에만 필요한 것이므로 주변 온도에 의한 상시 점등 제어도 바람직하다.
조명등(40) 주변에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컨트롤러는 기 저장된 기준 온도[조명등(40)이 손상되는 온도로서 자유 설정이 가능하므로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와 현재 온도를 비교하여 현재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일부 조명등(40) 또는 모든 조명등(40)이 상시 저전력으로 점등되도록 하고, 따라서 현재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점등 상태를 소등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조명등(40)뿐만 아니라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소자(칩)도 저온에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등을 컨트롤러 주변에 설치하여 상기 조명등의 점등에 의한 발열에 의해 컨트롤러를 보호한다.
또한 조명등(40)은 보행자의 인원수에 따른 디밍(DIMMING) 제어되고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조명등(40)에서 조사되는 빛을 보행을 위한 최적의 상태로 조사하기 위하여 광확산판(60)이 포함된다.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광확산판(60)은 조명등(40)의 앞에 설치되어 조명등(40)에서 조사되는 빛을 보행자의 앞쪽으로 투과시켜 보행자의 앞쪽을 밝게 조명하고 일부 빛을 축광판(20)으로 확산 반사시키는 축광에너지를 확보하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광확산판(60)은, 조명등(40)에서 조사되는 빛을 보행로를 향해 확산 투과시켜 조명하는 투명의 확산부(61), 확산부(61)와 조명등(40) 사이의 빛의 조사 경로(도면에는 양쪽으로 도시됨)에 배치되며 조명등(40)을 향하는 반사면을 통해 빛을 축광판(20)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62)로 구성된다.
광확산판(60)은 도면에서처럼, 확산부(61)와 반사부(62)를 갖는 중공의 박스형일 수 있고 지주(11)에 체결구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센서(30)에 의해 보행자의 감지 값이 감지되면 컨트롤러는 근접센서(30)와 대응 또는 근접하는 조명등(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조명등(40)을 점등 제어한다.
조명등(40)은 조명등(40) 주변에 빛을 조사하여 보행로를 밝게 조명함으로써 보행을 돕는다.
이때, 축광판(20)은 주변의 빛을 축광한 후 발광하여 보행로를 조명함으로써 조명등(40)으로부터 먼 곳도 조명이 가능하고 따라서 조명등(40)의 설치 수량을 줄이는 효과를 도출한다.
<실시예 2>
도 9와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은,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조명등(40)(축광판측 조명등)을 축광판(20)에 설치하여 축광판(20)을빛의 가이드로도 사용하는데 특징이 있다.
조명등(40)은 축광판(20)의 뒤쪽(보행로의 반대쪽)이나 앞쪽 중 일측 이상에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축광판(20)의 뒤쪽에 설치되는 경우 조명등(40)에서 조사되는 빛은 축광판(20)의 통공(22)을 통해서만 보행로를 향해 조사되고, 또한 축광판(20)의 앞쪽에 설치되는 경우 빛은 축광판(20)의 아래쪽으로는 조사되지 못하고 축광판(20)의 경사를 따라 조사된다.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 1,2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난간 프레임측 조명등(40)과 실시예 2의 축광판측 조명등(40)이 함께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조명등(40)의 디밍에 대해 설명한다.
1. 기본 조명.
하나의 근접센서와 이 근접센서와 이웃하는 1개 그룹의 조명등은 세트로 구성되며, 근접센서가 보행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경우 보행자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세트로 구성되는 1개 그룹의 조명등이 점등하고, 보행자를 감지하지 못하면 점등 상태의 1개 그룹의 조명등은 소등된다.
따라서, 보행자가 본 발명의 난간을 따라 보행하는 경우 보행자의 보행을 따라 근접센서들이 차례로 보행자를 감지하게 되고, 따라서 보행로를 따라 설치된 조명등이 차례로 점등되어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하게 된다.
2. 안전 조명.
기본 조명은 1개 그룹의 조명등만 점등하는 것이며, 안전 조명은 근접센서와 대응하는 조명등과 함께 전후에 배치되는 조명등 총 3개 그룹의 조명등이 점등되는 것이다.
도 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2근접센서(S2)가 보행자를 감지한 경우 제2근접센서(S2)와 대응하는 제2조명등(L2)과 제2조명등(L2) 전후의 제1,3조명등(L1,L3)이 함께 점등되도록 제어된다. 즉 제3근접센서(S3)가 보행자를 감지한 경우 제2,3,4조명등(L2,L3,L4)가 점등되는 것이다.
3. 보행 상황에 따른 조명.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의 수와 보행 속도를 고려하는 제어도 가능하다.
이웃하는 2개의 근접센서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기준 타임(예컨대 2초)을 설정하고, 현재 입력되는 2개의 근접센서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감지 타임을 근거로 하여 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며, 감지 타임이 기준 타임(2초)보다 크면 보행자가 적거나 보행 속도가 느린 것이므로 전술한 것처럼, 3개 그룹의 조명등(L1,L2,L3)이 점등되도록 한다.
한편 감지 타임이 기준 타임보다 작으면 보행자가 많거나 보행속도가 빠른 것이므로 보행자를 감지한 제3근접센서(S3)와 대응하는 제3조명등(L3)과 함께 이를 기준으로 전후 양측 2개 그룹의 조명등인 제1,2,4,5조명등(L1,L2,L4,L5)이 함께 점등되도록 한다.
또한, 모든 근접센서 중에서 일정 수량 이상의 근접센서가 동시에 보행자를 감지하는 경우 예를 들어 1/4 이상의 근접센서가 보행자를 감지한 경우 모든 조명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난간 주변에 보행자가 많은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불필요하게 조명등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지 않고 모든 조명등을 점등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조명등의 점멸(점등과 소등의 반복)로 인한 혼란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의 시공 방법은, 난간 프레임(10)을 설치하는 공정, 지주(11)들의 사이에 축광판(20)을 설치하는 공정, 근접센서(30)를 설치하는 공정, 조명등(40)을 난간 프레임(10) 또는 축광판(20)에 설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10 : 난간 프레임, 11 : 지주
12,13 : 제1,2핸드레일, 20 : 축광판
21 : 축광부, 22 : 통공
30 : 근접센서, 40 : 조명등
50 : 축광판 고정수단, 60 : 광확산판

Claims (15)

  1.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복수의 지주(11)를 포함하는 난간 프레임(10)과;
    상기 난간 프레임의 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 사이를 막으며 주변의 빛을 축광하는 축광판(20)과;
    상기 난간 프레임 또는 상기 축광판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보행자를 포함하는 근접 통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30)와;
    상기 난간 프레임과 축광판 중 일측 이상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근접센서에 의한 보행자의 근접 신호가 발생되면 점등하는 것으로 LED를 포함하는 조명등(40)과;
    상기 근접센서에 의한 감지 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조명등 중에서 상기 보행자를 감지한 근접센서와 대응하는 조명등을 일정 시간 동안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축광판은 보행로를 향하면서 중심을 향해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뿔 형상의 다수의 축광부를 포함하면서 상기 보행로와 보행로 반대쪽이 통하는 통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축광판의 뒤쪽에 설치되어 상기 축광판의 통공을 통해 상기 보행로를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난간 프레임의 지주에 상하 종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난간 프레임의 지주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핸드레일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축광판의 뒤쪽에 설치되어 상기 축광판의 통공을 통해 상기 보행로를 조명하는 축광판측 조명등 및 상기 난간 프레임의 지주에 상하 종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난간 프레임의 지주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핸드레일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난간 프레임측 조명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의 앞쪽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킴과 아울러 확산 반사시키는 광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판은, 상기 조명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보행로를 향해 확산 투과시켜 조명하는 투명의 확산부, 상기 확산부와 상기 조명등 사이의 빛의 조사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조명등을 향하는 반사면을 통해 빛을 상기 축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9. 청구항 1과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판은, 축광판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난간 프레임의 지주에 고정되고, 상기 축광판 고정수단은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 상기 제1고정편에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편과 함께 축광판 고정홈을 형성하는 제2고정편을 포함하여 상기 제1,2고정편의 고정홈을 통해 상기 축광판의 둘레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10. 청구항 1과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시 일정 전류 이상을 인가받아 일정 조도의 빛을 조사하면서 발열하여 상기 조명등과 상기 컨트롤러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11. 청구항 1과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의 주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기 저장된 기준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현재 온도의 비교를 통해 현재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조명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점등 제어하여 발열에 의해 상기 조명등과 컨트롤러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12. 청구항 1과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들 중에서 이웃하는 근접센서들의 작동 타임이 기준 타임보다 긴 경우 다수의 근접센서 중에서 보행자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대응하는 조명등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양측에서 각각 가장 근접하는 조명등이 함께 점등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13. 청구항 1과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들 중에서 이웃하는 근접센서들의 작동 타임이 기준 타임보다 짧은 경우 다수의 근접센서 중에서 보행자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대응하는 조명등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양측에서 각각 근접하는 2개 이상의 조명등이 함께 점등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14. 청구항 1과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 중에서 일정 수량 이상의 근접센서가 보행자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조명등 전체가 점등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15. 청구항 1에 의한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의 시공 방법으로서,
    보행자 도로, 자전거 도로, 보도 육교, 지하 보도,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에 보행 또는 주행 방향을 따라 난간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난간 프레임에 주변의 빛을 축광하는 축광판, 근접 통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조명등을 직접 또는 상기 난간 프레임을 매개로 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시공 방법.
KR20140112500A 2014-08-27 2014-08-27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 KR10150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2500A KR101503035B1 (ko) 2014-08-27 2014-08-27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2500A KR101503035B1 (ko) 2014-08-27 2014-08-27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035B1 true KR101503035B1 (ko) 2015-03-16

Family

ID=5302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2500A KR101503035B1 (ko) 2014-08-27 2014-08-27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0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58A (ko) 2018-07-31 2020-02-10 유니콘스(주) 안전 휀스
KR20200141731A (ko) * 2019-06-11 2020-12-21 신지혁 무단횡단 감지 및 경고방송을 통한 스마트 보행자 안전관리 장치
KR102328831B1 (ko) 2021-06-07 2021-11-22 주식회사 웰콘 투명 디스플레이 글라스를 이용한 미디어 난간
KR102557712B1 (ko) * 2022-07-01 2023-07-20 이브이컴퍼니 주식회사 경관조명등이 구비된 난간
KR102576192B1 (ko) 2023-04-04 2023-09-07 에세라이트 주식회사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9818A (ja) 2006-08-01 2008-02-21 Fujifilm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80073106A (ko) * 2007-02-05 2008-08-08 (유)꽃탑월드 조경용 양면 엘이디 조명판
KR101026695B1 (ko) * 2008-12-02 2011-04-07 박현숙 조명 펜스
KR101206946B1 (ko) * 2012-05-21 2012-11-30 주식회사 백향우드 축광물질이 구비된 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9818A (ja) 2006-08-01 2008-02-21 Fujifilm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80073106A (ko) * 2007-02-05 2008-08-08 (유)꽃탑월드 조경용 양면 엘이디 조명판
KR101026695B1 (ko) * 2008-12-02 2011-04-07 박현숙 조명 펜스
KR101206946B1 (ko) * 2012-05-21 2012-11-30 주식회사 백향우드 축광물질이 구비된 난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58A (ko) 2018-07-31 2020-02-10 유니콘스(주) 안전 휀스
KR20200141731A (ko) * 2019-06-11 2020-12-21 신지혁 무단횡단 감지 및 경고방송을 통한 스마트 보행자 안전관리 장치
KR102282776B1 (ko) * 2019-06-11 2021-07-28 신지혁 무단횡단 감지 및 경고방송을 통한 스마트 보행자 안전관리 장치
KR102328831B1 (ko) 2021-06-07 2021-11-22 주식회사 웰콘 투명 디스플레이 글라스를 이용한 미디어 난간
KR20220165170A (ko)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웰콘 투명 디스플레이 글라스를 이용한 미디어 난간
KR102557712B1 (ko) * 2022-07-01 2023-07-20 이브이컴퍼니 주식회사 경관조명등이 구비된 난간
KR102576192B1 (ko) 2023-04-04 2023-09-07 에세라이트 주식회사 축광성 보호코팅층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035B1 (ko)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
KR100732916B1 (ko) 도로용 안전발광난간
KR20150051644A (ko) 엘이디 발광 횡단보도
US20120057341A1 (en) Lantern, and Method for Retrofitting a Lantern
KR200439258Y1 (ko) 안전휀스용 발광포스트
FI122000B (fi) Valaisinlaite ja järjestelmä liikenneväylän risteyskohdan turvallisuuden parantamiseksi
KR101590420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1140531B1 (ko)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
KR200403486Y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1904994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CN108018786B (zh) 人行横道夜间安全通行方法
US7264370B2 (en) Light emitting diode roadway lighting system
JP6980428B2 (ja) 発光防護柵
KR102089431B1 (ko) 안전 유도장치
KR200443453Y1 (ko) 발광부를 갖는 볼라드
KR100826612B1 (ko) 차도용 조명등기구
KR101553557B1 (ko) 주행 차량 운전자 인식을 위한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표시램프
KR101653981B1 (ko) 차량 주행광 감지에 따라 디밍 제어를 수행하는 보행자 안전등
KR20170019841A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101624553B1 (ko) 양면 조명식 도로교통 표시장치
KR101412035B1 (ko) 조명 장치
JP7426601B2 (ja) 照明システム
KR101042946B1 (ko)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갖는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101071375B1 (ko) 시설물용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