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456U -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 Google Patents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456U
KR20140003456U KR2020120011155U KR20120011155U KR20140003456U KR 20140003456 U KR20140003456 U KR 20140003456U KR 2020120011155 U KR2020120011155 U KR 2020120011155U KR 20120011155 U KR20120011155 U KR 20120011155U KR 20140003456 U KR20140003456 U KR 201400034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uide
frame
cell
cel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1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456U/ko
Publication of KR20140003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4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 부분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 일측부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가이드 바에 연결되며, 셀 가이드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는, 바퀴가 구비된 프레임부와, 프레임부 양측에 직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와, 지지대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셀 가이드 지지용 브래킷이 구비된 가이드부가 포함되도록 구성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셀 가이드를 운반할 수 있고, 셀 가이드를 취부한 후에 블록에 간섭받지 않도록 브래킷을 접어 내려 블록 하부에서 이동 할 수 있어, 가이드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A device for attaching a cell guide}
본 고안은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 등과 같은 선박은 화물창과 상갑판 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선박으로, 선박의 용도 특성상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이송을 위하여 횡격벽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다수개의 셀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셀 가이드는 선박의 제조 중 블록 상부에 탑재하거나 혹은 하부에서 끌어올려 취부하고 있다.
셀 가이드를 취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셀 가이드를 특정 마킹 위치로 이동시켜 조정 및 세팅시키는 취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2명 이상이 두 개 이상의 레버 풀러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블록의 상부 가이드와 취부하고자 하는 셀 가이드 사이에 걸고, 레버 풀러를 작동시켜 길이가 길고 중량체인 셀 가이드를 블록의 상부로 인양한 후, 작업자 중 어느 한명이 특정 마킹 위치로 셀 가이드를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는 조정을 완료한 다음, 그 위치에서 서포터나 베이스 플레이트와 정반 및 또 다른 공구 등을 이용하여 그 위치에 고정시켜 주는 세팅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레벨 풀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기능만 구비하고 있어 셀 가이드의 인양 후 특정 마킹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조정 및 세팅시키는 작업은 2명 이상의 작업자가 서로 분담하여 직접 수행해야만 하므로 결국 많은 인력과 시간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장비의 과다 투입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 기일이 길어지게 됨은 물론 생산비가 많이 들게 되고, 특히 많은 장비 및 공구 등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공구 등이 추락하게 되는 등의 원인으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바퀴가 구비된 프레임부와 복수 개의 셀 가이드 지지용 브래킷이 구비된 가이드부가 포함되도록 구성시켜, 복수 개의 셀 가이드를 운반할 수 있고, 셀 가이드를 취부한 후에 브래킷을 접어 내려 블록 하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셀 가이드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는, 바닥 부분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 일측부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가이드 바에 연결되며, 셀 가이드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는, 바퀴가 구비된 프레임부와, 프레임부 양측에 직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와, 지지대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셀 가이드 지지용 브래킷이 구비된 가이드부가 포함되도록 구성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셀 가이드를 운반할 수 있고, 셀 가이드를 취부한 후에 블록에 간섭받지 않도록 브래킷을 접어 내려 블록 하부에서 이동 할 수 있어, 가이드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브래킷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브래킷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는, 프레임부(10), 지지부(20), 가이드부(30), 고정부(4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는, 바닥 부분에 설치되어 셀 가이드(2)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횡축 프레임(11), 제1 및 제2 종축 프레임(12a, 12b), 바퀴(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횡축 프레임(11)은, "ㅗ"자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 단부가 후술할 제1 종축 프레임(12a)의 중앙 부분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제2 종축 프레임(12a)의 중앙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종축 프레임(12a, 12b) 각각은, "ㄴ"자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종축 프레임(12a)은, 수직측면 중앙 부분에 횡축 프레임(11)의 일측 단부가 고정 연결되고, 수평면 중앙 부분에 직상방향으로 후술할 제1 지지대(21a)의 하단부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2 종축 프레임(12b)은, 수직측면 중앙 부분에 횡축 프레임(11)의 타측 단부가 고정 연결되고, 수평면 중앙 부분에 직상방향으로 후술할 제2 지지대(21b)의 하단부가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종축 프레임(12a)의 수평면 양측 하단부와 제2 종축 프레임(12b)의 수평면 양측 하단부 각각에 한 쌍의 바퀴(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종축 프레임(12a), 횡축 프레임(11), 제2 종축 프레임(12b)은, "H"자 형태를 이루며,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의 지지틀 역할을 한다.
바퀴(13)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종축 프레임(12a, 12b) 각각의 수평면 양측 하단부에 설치된다. 각각의 바퀴(13)는 이동 시에 핸들링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회전형(Swiveling Type)일 수 있고, 작업 중에는 고정시킬 수 있도록 락킹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후술할 가이드부(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지지대(21a)와 제2 지지대(2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21a)는, 하단부가 제1 종축 프레임(12a)의 수평면 중앙 부분에 고정 연결되며, 상단부가 후술할 가이드 바(31)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대(21b)는, 하단부가 제2 종축 프레임(12b)의 수평면 중앙 부분에 고정 연결되며, 상단부가 후술할 가이드 바(31)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대(21a, 21b) 각각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종축 프레임(12, 12b) 각각의 수평면에서 직상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부(30)는, 셀 가이드(2)를 수용 지지하고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지지대(21a, 21b) 상단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부(30)는, 가이드 바(31), 브래킷(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31)는, 후술할 브래킷(32)을 용이하게 회전 및 좌우 이동 시킬 수 있도록 원형의 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부가 제1 지지대(21a)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지지대(21b)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된다. 가이드 바(31)에는, 후술할 고정 핀(41)이 삽입되어 후술할 브래킷(32)을 가이드 바(3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311)이 중심선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바(31)에는 후술할 고정 핀(41)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양측부에 고리(312)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바(31)에 관통공(311)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후술할 복수 개의 브래킷(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복수 개의 브래킷(32)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셀 가이드(2) 사이의 간격 또한 설정된 위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브래킷(32)은, 가이드 바(31)에 연결되어 회전 및 좌우 이동 가능하며, 가이드 바(3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몸체(321)와, 셀 가이드(2)의 일측부를 수용 지지할 수 있도록 "U"자 형상이며, 몸체(321)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거치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래킷(32)은, 도 1에서 2개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었지만, 가이드 바(31)에 복수 개로 설치할 수 있다.
원통형의 몸체(321)에는, 후술할 고정 핀(41)이 삽입되어 가이드 바(31)에 브래킷(3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323)이 중심선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40)는, 셀 가이드(2) 설치 작업시 셀 가이드(2)를 거치하는 브래킷(32)을 고정시키며, 고정 핀(41)과 체인(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 핀(41)은, 브래킷(32)의 거치대(322)가 셀 가이드(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상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브래킷(32)의 체결공(323)과 가이드 바(31)의 관통공(31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삽입함에 의해 브래킷(32)을 가이드 바(31)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셀 가이드(2) 설치 작업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핀(41)을 뽑으면, 브래킷(32)의 거치대(322)가 직하방향으로 내려지게 되어, 셀 가이드(2)가 취부된 블록(도시하지 않음) 하부에서도 블록의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체인(42)은, 일단부가 고정 핀(41)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가이드 바(31)에 구비된 고리(312)에 연결되어, 고정 핀(41)을 잃어버리지 않고 보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는, 셀 가이드(2)의 하중을 고려하여, 횡축 프레임(11)과 제1 및 제2 종축 프레임(12a, 12b) 각각과의 사이, 그리고 가이드 바(31)와 제1 및 제2 지지대(21a, 21b) 각각과의 사이에 보강대(50)를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를 사용하여 셀 가이드(2)를 설치하는 작업 과정을 도 1을 다시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 개의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를 설정된 위치에 배열 시키고,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 각각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브래킷(32)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조정한 후, 고정 핀(41)으로 고정시키고, 크레인 등으로 셀 가이드(2)를 리프팅하여 브래킷(32)에 거치시킨다. 셀 가이드(2)가 거치된 상태에서, 크레인 등으로 블록(도시하지 않음)을 리프팅하여 셀 가이드(2)의 상부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취부하고자 블록의 특정 마킹 위치에 셀 가이드(2)를 취부시키게 된다. 셀 가이드(2) 설치 작업이 완료되면, 셀 가이드(2)가 취부된 블록에 간섭받지 않도록 고정 핀(41)을 뽑아 브래킷(32)의 거치대(322)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를 이동 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바퀴(13)가 구비된 프레임부(10)와, 프레임부(10) 양측에 직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21a, 21b)와, 지지대(21a, 21b)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셀 가이드 지지용 브래킷(32)이 구비된 가이드부(30)가 포함되도록 구성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셀 가이드(2)를 운반할 수 있고, 셀 가이드(2)를 취부한 후에 블록에 간섭받지 않도록 브래킷(32)을 접어 내려 블록 하부에서 이동 할 수 있어, 가이드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레벨 풀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기능만 구비하고 있어 셀 가이드의 인양 후 특정 마킹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조정 및 세팅시키는 작업은 2명 이상의 작업자가 서로 분담하여 직접 수행해야만 하므로 결국 많은 인력과 시간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장비의 과다 투입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 기일이 길어지게 됨은 물론 생산비가 많이 들게 되고, 특히 많은 장비 및 공구 등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공구 등이 추락하게 되는 등의 원인으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등의 종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2: 셀 가이드
10: 프레임부 11: 횡축 프레임
12a, 12b: 제1 및 제2 종축 프레임 13: 바퀴
20: 지지부 21a, 21b: 제1 및 제2 지지대
30: 가이드부 31: 가이드 바
311: 관통공 312: 고리
32: 브래킷 321: 몸체
322: 거치대 323: 체결공
40: 고정부 41: 고정 핀
42: 체인 50: 보강대

Claims (8)

  1. 바닥 부분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
    일측부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가이드 바에 연결되며, 셀 가이드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ㅗ"자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빔 형태로 이루어지는 횡축 프레임;
    상기 횡축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종축 프레임;
    상기 횡축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종축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종축 프레임 각각의 양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종축 프레임은,
    "ㄴ"자형, 사각형, 원형의 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빔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상기 제1 종축 프레임의 중앙 부분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빔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상기 제2 종축 프레임의 중앙 부분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원형의 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중심선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가이드 바에 연결되어 회전 및 좌우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셀 가이드의 일측부를 수용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중심선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거치대가 직상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 핀을 삽입하여 상기 가이드 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KR2020120011155U 2012-11-30 2012-11-30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KR201400034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55U KR20140003456U (ko) 2012-11-30 2012-11-30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55U KR20140003456U (ko) 2012-11-30 2012-11-30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456U true KR20140003456U (ko) 2014-06-10

Family

ID=5244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155U KR20140003456U (ko) 2012-11-30 2012-11-30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45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989B1 (ko) 철근망 배근 가변형 작업대
KR20140073982A (ko) 차량용 트랜스미션 로딩장치
KR20180063952A (ko) 코일 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밴딩장치
KR20140003456U (ko)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CN210505292U (zh) 一种物品输送用的起重机
JP2011219184A (ja) 安全柵取付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安全柵並びに安全柵取付方法
KR20140003457U (ko)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KR20140002060U (ko) 컨테이너선용 패드 지지 장치
EP2808141B1 (en) Support framework for molds
JP3226746U (ja) 親綱支柱取付具及び高所作業用安全具
KR20140006129U (ko) 족장판 운반장치
KR20140004562U (ko) 러그 취부용 장치
JP2014083604A (ja) 工具昇降装置
JP6470012B2 (ja) リフト式セグメント組立装置
KR20140036689A (ko) 선박 묘쇄공 설치용 사다리
KR102372617B1 (ko) 걸림부가 형성된 보관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JP2018166645A (ja) 転落防止具
JP7314465B2 (ja) 運搬装置
CN202054925U (zh) 多晶硅铸锭炉上料用坩埚吊装夹具
CN217080309U (zh) 一种移动登高车及针织大圆机
KR20130024455A (ko) 용접기 이송용 지그
CN209859793U (zh) 一种小型干式变压器装配工装
JP3121377U (ja) 線材コイル転倒防止装置
TW202243975A (zh) 保管架
JP6544793B2 (ja) 昇降式上下二段駐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