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457U -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 Google Patents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457U
KR20140003457U KR2020120011156U KR20120011156U KR20140003457U KR 20140003457 U KR20140003457 U KR 20140003457U KR 2020120011156 U KR2020120011156 U KR 2020120011156U KR 20120011156 U KR20120011156 U KR 20120011156U KR 20140003457 U KR20140003457 U KR 201400034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ell guide
support
base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1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457U/ko
Publication of KR20140003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4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가 개방된 직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부에 셀 가이드를 거치하는 브래킷이 구비되는 리프트; 및 몸체에 연결되는 제1 고리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연결되고, 체인에 연결되는 제2 고리가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레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는, 본 고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는, 바닥에 고정 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이동바퀴를 구비시켜, 작업장간 이동 및 셀 가이드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직상방향으로 지지대를 구비하되, 지지대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리프트를 설치하여 레버블록으로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리프트를 상하로 이동시켜, 리프트 상단부에 거치되는 셀 가이드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시킴으로써, 가이드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A device for attaching a cell guide}
본 고안은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 등과 같은 선박은 화물창과 상갑판 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선박으로, 선박의 용도 특성상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이송을 위하여 횡격벽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다수개의 셀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셀 가이드는 선박의 제조 중 블록 상부에 탑재하거나 혹은 하부에서 끌어올려 취부하고 있다.
셀 가이드를 취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셀 가이드를 특정 마킹 위치로 이동시켜 조정 및 세팅시키는 취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2명 이상이 두 개 이상의 레버 풀러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블록의 상부 가이드와 취부하고자 하는 셀 가이드 사이에 걸고, 레버 풀러를 작동시켜 길이가 길고 중량체인 셀 가이드를 블록의 상부로 인양한 후, 작업자 중 어느 한명이 특정 마킹 위치로 셀 가이드를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는 조정을 완료한 다음, 그 위치에서 서포터나 베이스 플레이트와 정반 및 또 다른 공구 등을 이용하여 그 위치에 고정시켜 주는 세팅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레벨 풀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기능만 구비하고 있어 셀 가이드의 인양 후 특정 마킹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조정 및 세팅시키는 작업은 2명 이상의 작업자가 서로 분담하여 직접 수행해야만 하므로 결국 많은 인력과 시간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장비의 과다 투입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 기일이 길어지게 됨은 물론 생산비가 많이 들게 되고, 특히 많은 장비 및 공구 등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공구 등이 추락하게 되는 등의 원인으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에서 셀 가이드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셀 가이드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는,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가 개방된 직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부에 셀 가이드를 거치하는 브래킷이 구비되는 리프트; 및 몸체에 연결되는 제1 고리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연결되고, 체인에 연결되는 제2 고리가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레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는, 바닥에 고정 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이동바퀴를 구비시켜, 작업장간 이동 및 셀 가이드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직상방향으로 지지대를 구비하되, 지지대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리프트를 설치하여 레버블록으로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리프트를 상하로 이동시켜, 리프트 상단부에 거치되는 셀 가이드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시킴으로써, 가이드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지지대(20), 리프트(30), 브래킷(40), 레버블록(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되어, 상부면에 설치되는 후술할 지지대(20)가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고, 후술할 리프트(30)의 상단부에 거치되는 셀 가이드(2)를 안전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저부면가 수평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바닥에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이동바퀴(11)를 설치하여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의 작업장간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동바퀴(11)는, 셀 가이드(2) 설치 작업 시 또는 보관 시, 즉,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부면가 바닥에 밀착되어 있을 때는 바닥으로부터 간섭되지 않게 바닥으로부터 떨어지게 하고, 작업장간 이동시에는 바닥에 닿아 주행할 수 있게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지지대(20)는,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가 개방된 직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이며, 제1 고정편(21), 가이드 홈(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편(21)은, 지지대(20)의 상부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레버블록(50)의 제1 고리(52)를 체결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2)은, 지지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후술할 리프트(30)가 후술할 레버블록(50)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지지대(20)의 상단부로부터 지지대(20)의 하부까지 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지지대(20)의 일부를 절개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30)는, 둥근 막대 형상으로 지지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레버블록(5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단부에 후술할 브래킷(40)이 설치될 수 있다. 리프트(30)는, 제2 고정편(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편(31)은, 리프트(30)의 하부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고정편(31)은 지지대(20)에 형성된 가이드 홈(2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후술할 레버블록(50)의 제2 고리(54)를 체결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40)은, 셀 가이드(2)의 일측부를 수용 지지할 수 있도록 "U"자 형상이며, 리프트(3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레버블록(50)은, 레버로 조작하는 체인 블록으로, 작업자의 힘으로 무거운 셀 가이드(2)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레버가 구비되는 몸체(51)와, 몸체(51)에 연결되는 제1 고리(52)와, 체인(53)과, 체인(53)에 연결되는 제2 고리(5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리(52)는 지지대(20)에 구비되는 제1 고정편(21)에 연결되고, 제2 고리(54)는 리프트(30)에 구비되는 제2 고정편(31)에 연결되어, 레버블록(50)의 조작으로 리프트(3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레버블록(50)은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라 정의되며,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레버블록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버블록(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를 사용하여 셀 가이드(2)를 설치하는 작업 과정을 도 1을 다시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 개의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를 설정된 위치에 배열 시키고, 크레인 등으로 셀 가이드(2)를 리프팅하여 복수 개의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의 브래킷(40)에 거치시킨다. 셀 가이드(2)가 거치된 상태에서, 크레인 등으로 블록(도시하지 않음)을 리프팅하여 셀 가이드(2)의 상부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레버블록(50)을 조작하여 리프트(30)를 상하 이동시켜 취부하고자 블록의 특정 마킹 위치에 셀 가이드(2)가 정확히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바닥에 고정 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이동바퀴(11)를 구비시켜,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1)의 작업장간 이동 및 셀 가이드(2)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직상방향으로 지지대(20)를 구비하되, 지지대(20)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리프트(30)를 설치하여 레버블록(50)으로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리프트(30)를 상하로 이동시켜, 리프트(30) 상단부에 거치되는 셀 가이드(2)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시킴으로써, 가이드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레벨 풀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기능만 구비하고 있어 셀 가이드의 인양 후 특정 마킹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조정 및 세팅시키는 작업은 2명 이상의 작업자가 서로 분담하여 직접 수행해야만 하므로 결국 많은 인력과 시간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장비의 과다 투입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 기일이 길어지게 됨은 물론 생산비가 많이 들게 되고, 특히 많은 장비 및 공구 등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공구 등이 추락하게 되는 등의 원인으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등의 종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2: 셀 가이드
10: 베이스 플레이트 11: 이동바퀴
20: 지지대 21: 제1 고정편
22: 가이드 홈 30: 리프트
31: 제2 고정편 40: 브래킷
50: 레버블록 51: 몸체
52: 제1 고리 53: 체인
54: 제2 고리

Claims (5)

  1.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가 개방된 직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부에 셀 가이드를 거치하는 브래킷이 구비되는 리프트; 및
    몸체에 연결되는 제1 고리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연결되고, 체인에 연결되는 제2 고리가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레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부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부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블록의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상기 제1 고리를 체결할 수 있는 제1 고정편; 및
    상단부로부터 하부까지 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어 상기 리프트가 상하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레버블록의 상기 체인에 연결되는 상기 제2 고리를 체결할 수 있고, 하부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KR2020120011156U 2012-11-30 2012-11-30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KR201400034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56U KR20140003457U (ko) 2012-11-30 2012-11-30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56U KR20140003457U (ko) 2012-11-30 2012-11-30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457U true KR20140003457U (ko) 2014-06-10

Family

ID=5244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156U KR20140003457U (ko) 2012-11-30 2012-11-30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45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72U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선박 블록용 지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72U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선박 블록용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44481A1 (ja) エレベータの揚重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枠及びエレベータの揚重方法
JP2007202339A (ja) 柱装吊上装置
KR20140003457U (ko)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KR20160126791A (ko)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KR20140004732U (ko) 선장 작업용 대차
KR20150019638A (ko) 중장비 차량 및 농기계용 솔리드형 타이어 조립장치
KR20140002060U (ko) 컨테이너선용 패드 지지 장치
KR102447770B1 (ko) 락 다운 장치 유지 공구 및 균형차 장치의 위치 조정 방법
KR20140003456U (ko) 셀 가이드 취부용 장치
CN210457292U (zh) 一种道路桥梁施工用工具快速提升设备
CN104003296B (zh) 一种可移动大口径管道空中对口托架
KR20130006534U (ko) 지게차 포크 부착형 지그
JP6080741B2 (ja) 重量物運搬方法、及び重量物運搬装置
KR101490620B1 (ko) 조형물 설치작업용 보조 장치
KR102015138B1 (ko) 견인 핀 체결 구조
KR20160142615A (ko)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용 브라켓
KR200478137Y1 (ko) 풍력타워 설치용 가이드
JP2014083604A (ja) 工具昇降装置
KR100792222B1 (ko) 통신 중계기용 테스트 거치대
JP2014213975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内かごガイドレールの芯出し雇および芯出し方法
KR20140003445U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 가이드 설치용 지그
CN111232807B (zh) 电梯用品起重装置
KR20140127011A (ko) 성형평가용 펀칭장치
CN203833467U (zh) 一种可移动大口径管道空中对口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