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323A -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323A
KR20140003323A KR1020130036680A KR20130036680A KR20140003323A KR 20140003323 A KR20140003323 A KR 20140003323A KR 1020130036680 A KR1020130036680 A KR 1020130036680A KR 20130036680 A KR20130036680 A KR 20130036680A KR 20140003323 A KR20140003323 A KR 20140003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ixing
force
fixed
foo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0425B1 (ko
Inventor
이동현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주)오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비트 filed Critical (주)오비트
Publication of KR2014000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04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필름의 양단 일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식품용기의 상방에 수평상태로 필름이 인출되도록 하는 구동부로 구비된 필름인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식품용기에 필름이 균일하게 밀봉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식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수단과,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된 식품용기의 상방에 필름을 인출시키는 필름인출장치와, 상기 식품용기의 상방에 필름이 인출되면 열 융착으로 상기 식품용기에 필름이 융착됨에 따라 밀봉되도록 하는 히팅수단을 포함하는 식품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필름인출장치(20)는, 상기 필름(3)의 양단 일부를 각각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식품용기(2)의 상방에 수평하도록 이송시켜 상기 식품용기(2)와 필름(3)이 수평상태를 유지시켜 히팅수단(18)에 의해 균일한 열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Film Drawing Apparatus of Food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일회성 식품용기를 낱개로 포장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의 양단 일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식품용기의 상방에 수평상태로 필름이 인출되도록 하는 구동부로 구비된 필름인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식품용기에 필름이 균일하게 밀봉되도록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성 음식물은 식품용기에 담은 후 식품용기를 식품포장기에 서 낱개로 포장하여 공급하고 있다.
종래의 식품포장기(1)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와, 내측에 식품용기(2)가 안착되고 상기 본체(4)의 내측과 외측을 이송하는 용기투입도어(5)와, 상기 용기투입도어(5)에 왕복 이송력을 제공하는 도어구동부(6)와, 상기 본체(4)의 내측에 구비되고 히팅부가 구비된 히팅플레이트(7)와, 상기 히팅플레이트(7)가 승강되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는 히팅구동부(8)와, 상기 식품용기(2)의 상방에 필름(3)을 제공하는 필름공급롤, 및 상기 용기투입도어(5)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투입도어(5)가 본체(4)의 내측으로 이송될 때 필름(3)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식품용기(2)에 덮이도록 하는 클립(9)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용기투입도어(5)에 식품용기(2)를 안착한 후 도어구동부(6)를 구동하면 상기 용기투입도어(5)가 상기 본체(4)의 내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클립(9)의 일측에 위치한 필름(3)이 상기 용기투입도어(5)의 진입으로 상기 클립(9)과 맞닿게 되어 상기 필름(3)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용기투입도어(5)의 진입에 따라 상기 클립(9)을 밀게 됨으로써, 상기 필름(3)이 식품용기(2)의 상방을 덮게 된다.
이후, 상기 용기투입도어(5)의 진입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구동부(8)의 하강력에 의해 히팅플레이트(7)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식품용기(2)에 필름(3)을 열융착시켜 상기 식품용기(2)의 밀봉이 완료된다.
상기 식품용기(2)의 밀봉이 완료되면, 상기 히팅플레이트(7)는 상기 히팅구동부(8)의 상승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도어구동부(6)의 이송력에 의해 용기투입도어(5)는 본체(4)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밀봉된 식품용기(2)를 꺼내면 된다.
그런데, 종래의 식품포장기(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이 식품용기(2)에 대하여 사선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되고, 히팅플레이트(7)는 상기 식품용기(2)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히팅플레이트(7)가 하강할 때 필름(3)의 일측을 용융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히팅플레이트(7)에 의해 일측이 용융된 상태로 필름(3)이 식품용기(2)에 열 융착되면, 미리 용융된 필름(3) 부분이 상기 식품용기(2)에 확고하게 융착되지 못함으로써, 식품용기(2)의 확고한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기투입도어(5)의 이송에 따라 클립(9)과 맞닿은 상태에 의해 필름(3)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식품포장기(1)의 자체 진동 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용기투입도어(5)와 클립(9)에 필름(3)의 일부만 고정되어 확고한 필름(3)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필름(3)의 확고한 고정력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용기투입도어(5)가 본체(4)의 내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투입도어(5)와 클립(9) 사이에서 이탈됨에 따라 식품용기(2)의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름(3)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이송될 경우 편중된 고정력에 의해 필름공급롤에서 필름(3)이 편중되게 인출됨으로써, 식품용기(2)에 덮이는 필름(3)의 밀봉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의 양단 일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식품용기의 상방에 수평상태로 필름이 인출되도록 하는 구동부로 구비된 필름인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식품용기에 필름이 균일하게 밀봉되도록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름을 고정하는 고정부에 돌기나, 고정침, 압착부재 또는 공압을 제공하는 배기공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를 통해 필름을 확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필름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서 필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수단과,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된 식품용기의 상방에 필름을 인출시키는 필름인출장치와, 상기 식품용기의 상방에 필름이 인출되면 열 융착으로 상기 식품용기에 필름이 융착됨에 따라 밀봉되도록 하는 히팅수단을 포함하는 식품포장기에 있어서, 필름인출장치는, 상기 필름의 양단 일부를 각각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식품용기의 상방에 수평하도록 이송시켜 상기 식품용기와 필름이 수평상태를 유지시켜 히팅수단에 의해 균일한 열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구비된 힌지축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일단이 필름의 일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한 조의 집게; 상기 한 조의 집게의 일단에 구비되어 밀림력을 제공 또는 해제함으로써, 상기 한 조의 집게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쐐기로 구성되는 제1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 조의 집게 사이에는 상기 쐐기의 밀림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한 조의 집게가 상호 벌어지도록 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쐐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쐐기가 한 조의 집게에 압박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해제하도록 구비되는 회동캠; 및 상기 회동캠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 조의 집게의 일단에는 상기 쐐기의 밀림력에 의해 원활하게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기울기를 가지는 제1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쐐기의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울기를 가지는 제2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는 고정집게; 상기 고정집게의 일측에 구비된 제2힌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되어 필름을 고정 또는 해제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가동집게; 및 상기 가동집게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집게가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부는, 일측에 제1고정부가 고정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에 구비되는 피니언; 및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어, 상기 제2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랙기어로 구성되는 제1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단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축과; 상기 복수의 나사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복수의 풀리; 정, 역회전력을 발생하는 제3모터; 및 상기 제3모터와 복수의 풀리를 선회하면서 상기 제3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풀리로 전달시켜 상기 나사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벨트로 구성되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부는, 정, 역회전력을 발생하는 제4모터와; 상기 제4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원동기어; 식품용기에 필름의 인출을 간섭하지 않는 간격으로 상기 원동기어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종동기어; 및 일측에 고정부가 고정되고, 상기 원동기어와 종동기어를 선회하면서 상기 고정부가 식품용기의 상방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왕복 이송되도록 하는 타이밍벨트로 구성된 제3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왕복 이송력을 발생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고정부가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에 제공되는 왕복 이송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식품용기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왕복 이송시키는 피스톤으로 구성된 제4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팅수단은, 내측에 히팅부가 구비된 히팅플레이트와;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승강력을 제공하여 식품용기에 필름이 융착되도록 하는 히팅솔레노이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절단칼; 및 상기 절단칼에 승강력을 제공하여 필름이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의 왕복 이송범위를 제한하여 식품포장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본체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의 한 조의 집게와, 고정집게 및 가동집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각각에는, 필름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의 한 조의 집게와, 고정집게 및 가동집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각각에는, 필름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고정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의 한 조의 집게와, 고정집게 및 가동집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각각에는, 필름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압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착부재는 마찰계수가 높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의 한 조의 집게와, 고정집게 및 가동집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각각에는, 필름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필름의 일부가 밀리도록 하는 배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의 양단 일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식품용기의 상방에 수평상태로 필름이 인출되도록 하는 구동부로 구비된 필름인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식품용기에 필름이 균일하게 밀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을 고정하는 고정부에 돌기나, 고정침, 압착부재 또는 공압을 제공하는 배기공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를 통해 필름을 확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필름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서 필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품포장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식품포장기에서 식품용기에 필름을 열융착시키는 일부확대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히팅플레이트가 필름의 일부를 용융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품포장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이송수단에 의해 식품용기가 이송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필름인출장치에 의해 식품용기의 상방에 필름이 인출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4에서 히팅수단에 의해 식품용기에 필름이 열 융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름인출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름인출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름인출장치의 집게가 필름을 집기 전 상태의 일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름인출장치의 집게가 필름을 집은 상태의 일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필름인출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품포장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가 필름을 집기 전 상태의 일부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가 필름을 집은 상태의 일부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필름인출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가 필름을 집기 전 상태의 일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가 필름을 집은 상태의 일부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필름인출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가 필름을 집기 전 상태의 일부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가 필름을 집은 상태의 일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식품포장기(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식품용기(2)가 안착되는 안착수단(14)과, 상기 안착수단(14)이 이송되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수단(16)과, 상기 식품용기(2)의 상방에 상기 식품용기(2)와 수평상태로 필름(3)이 덮이도록 인출하는 인출필름장치(20)와, 상기 식품용기(2)에 필름(3)이 열 융착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히팅수단(18)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2)에는 필름(3)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19)가 구비된다.
상기 히팅수단(18)은, 내측에 히팅부가 구비된 히팅플레이트(18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182)가 승강되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는 히팅솔레노이드(184)와, 상기 히팅플레이트(182)의 일측에 구비되어 필름(3)을 절단시키는 절단칼(186), 및 상기 절단칼(186)을 승강시키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는 절단솔레노이드(18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식품포장기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수단(14)에 식품용기(2)를 안착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16)에서 제공되는 이송력에 의해 상기 안착수단(14)은 히팅수단(18)이 구비된 상방으로 이송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인출장치(20)가 필름(3)을 식품용기(2)의 상방으로 인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품용기(2)의 상방에 필름(3)이 인출되면, 히팅수단(18)에 의해 상기 식품용기(2)에 필름(3)을 열융착시킨다.
즉, 상기 히팅수단(18)의 히팅솔레노이드(184)에 전류가 인가되면 플런저의 하강으로 히팅플레이트(182)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히팅플레이트(182)에 의해 식품용기(2)에 필름(3)이 융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필름(3)은 식품용기(2)와 수평한 상태이므로, 균일한 열 융착에 의해 필름(3)이 식품용기(2)에 균일하게 융착된다.
또한, 상기 히팅플레이트(182)의 일측에 구비된 절단솔레노이드(188)에 전류가 인가되어 플런저가 하강함으로써, 절단칼(186)이 하강하여 필름(3)을 절단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식품용기(2)에 필름의 밀봉이 완료되면, 상기 히팅솔레노이드(184) 및 절단솔레노이드(188)에 인가되었던 전류가 차단되어 각각의 플런저가 상승함으로써, 히팅플레이트(182) 및 절단칼(186)이 상승한다.
이어서, 이송수단(16)의 하강력에 의해 안착수단(14)이 하강하고, 작업자는 상기 안착수단(14)에서 밀봉된 식품용기(2)를 얻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부인 필름인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필름인출장치(20)는, 필름(3)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하는 복수의 제1고정부(210), 및 상기 제1고정부(210)를 식품용기(2)와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이송시켜 필름(3)이 상기 식품용기(2)의 상방에 인출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212)과, 상기 제1브라켓(212)에 구비되는 복수의 힌지축(216)과, 상기 복수의 힌지축(216) 각각에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216)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한 조의 집게(214)와, 상기 한 조의 집게(214)의 일단에 구비되어 압박력을 제공하는 쐐기(215)와, 상기 쐐기(215)의 일단에 구비되어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회동캠(218), 및 상기 회동캠(218)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캠(218)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21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210)에는, 상기 한 조의 집게(214)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스프링(2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브라켓(212)은,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일단이 상기 제1구동부(220)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220)의 구동력에 의해 용기(2)의 상단부를 왕복 이송한다.
상기 힌지축(216)은, 상기 제1브라켓(212)에 일단이 고정되고 일정높이 돌출되어, 상기 한 조의 집게(214)가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한 조의 집게(214)는, 일측에 상기 힌지축(216)이 삽입되는 삽입공(2142)과, 일단에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할 때 확고한 고정력을 발휘하여 이송과정에서 필름(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2144)와, 타단에 상기 쐐기(215)의 일단이 밀착되는 제1경사면(2146), 및 중앙에 상기 스프링(213)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2148)으로 구비된다.
상기 돌기(2144)는, 일정높이로 다수가 돌출되어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할 때 미끄러지거나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필름(3)이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기(2144)는, 필름(3)의 일부를 고정했을 때, 상기 필름(3)에 흠집이 나지 않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돌기(2144)는 필름(3)의 일부를 고정했을 때 미끄럼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예컨대 널링(Knurling)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돌기(2144)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2146)은, 쐐기(215)의 일단과 면 밀착되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되는 기울기로 형성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215)에서 압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쐐기(215)의 일단이 상기 제1경사면(2146)을 따라 진입되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힌지축(21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타단의 상기 한 조의 집게(214)가 상호 오므려져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쐐기(215)는, 제1브라켓(212)에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되고, 한 조의 집게(214)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1모터(219)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캠(218)의 편심 길이의 차이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한 조의 집게(214)에 압박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쐐기(215)의 일단은, 상기 집게(214)의 제1경사면(2146)과 면 밀착되도록 동일 또는 유사한 경사면을 가지는 제2경사면(2152)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캠(218)은, 쐐기(215)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215)에 밀림력을 제공하여 한 조의 집게(214)에 압박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회동캠(218)은, 회전각도에 따라 중심에서 쐐기(215)까지 작용하는 길이를 달리하도록 편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캠(218)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편심캠 또는 유선형 캠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219)는 상기 회동캠(218)을 일정각도 분할 회전시켜, 쐐기(215)의 이송거리를 제어한다.
상기 스프링(213)은, 힌지축(216)이 삽입되는 삽입공(2142)과 돌기(2144) 사이에 위치한 삽입홈(2148)에 구비되어, 상기 한 조의 집게(214)에 쐐기(215)의 압박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 한 조의 집게(214)가 벌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구동부(220)는, 제2브라켓(222)과, 상기 제2브라켓(222)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모터(224)와, 상기 제2모터(224)의 연장축에 구비되는 피니언(226)과, 상기 피니언(226)에 치합되고 식품용기(2)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도록 본체(12)의 일측에 고정되는 랙기어(22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220)는, 필름(3)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는 피니언(226)을 연결하여, 하나의 제2모터(224)의 회전력에 의해 동일하게 왕복 이송이 되도록 연결하는 연결축(229)을 포함한다.
상기 제2브라켓(222)은,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그 일단에는 제1브라켓(212)이 고정된다.
상기 제2모터(224)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1구동부(220)가 왕복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피니언(226)은, 상기 제2모터(224)의 정, 역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랙기어(2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한다.
상기 랙기어(228)는, 본체(12)의 일측에 고정되어, 식품용기(2)의 길이방향으로 제1구동부(220) 및 제1고정부(210)가 왕복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상기 제1구동부(220)는, 피니언(226)과 랙기어(228)에 의해 왕복 이송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체인과 체인스프로킷 또는 유압이나 공압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제1고정부(210)를 식품용기(2)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방으로 필름(3)을 인출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름인출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의 양단 각각에 구비된 제1고정부(210)는, 한 조의 집게(214)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21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한 조의 집게(214)가 상호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필름인출장치(20)로 구동신호가 전송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219)에서 회전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모터(219)에 구비된 회동캠(218)이 일정각도 회전을 한다.
이때, 상기 회동캠(218)의 편심길이에 의해 쐐기(215)를 상기 한 조의 집게(214) 측으로 밀게 된다.
상기 쐐기(215)는, 상기 쐐기(215)의 제2경사면(2152)과 동일한 한 조의 집게(214)의 제1경사면(2146)을 밀게 됨으로써, 상기 한 조의 집게(214)는 힌지축(216)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조의 집게(214)의 일측에 구비된 돌기(2144)가 필름(3)의 일부를 집어서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한 조의 집게(214)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213)은 압축력을 받게 된다.
이후, 제1구동부(220)의 제2모터(224)에서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2모터(224)에 구비된 피니언(226)이 회전한다. 이때, 상기 피니언(226)은 치합된 랙기어(2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의 양단을 고정한 제1고정부(210)가 상기 제1구동부(220)의 이송력에 의해 이송되면서 용기(2)의 상방에 필름(3)을 인출시킨다.
한편, 히팅수단(18)에 의해 식품용기(2)에 필름(3)의 밀봉이 완료되면, 상기 필름인출장치(20)는, 제1고정부(210)의 제1모터(229)에서 발생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모터(229)에 구비된 회동캠(218)이 일정각도 회전하여, 쐐기(215)에 제공되었던 압박력이 해제된다.
상기 쐐기(215)에 제공되었던 밀림력이 해제되면, 한 조의 집게(214) 사이에서 압축력을 받던 스프링(21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한 조의 집게(214)가 상호 벌어지게 된다.
상기 한 조의 집게(214)가 벌어지면, 제1경사면(2146)에 밀착된 쐐기(215)의 제2경사면(2152)을 밀게됨에 따라 상기 쐐기(215)는 압박력이 해제된 회동캠(218) 측으로 밀려지게 된다.
이후, 제1구동부(220)의 제2모터(224)에서 역회전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2모터(224)에 구비된 피니언(226)이 역회전되면서 랙기어(228)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귀됨으로써, 필름인출장치(20)에 의한 필름(3)의 인출 및 제1고정부(210)의 복귀과정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용기(2)와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제1구동부(220)의 구동력에 의해 필름(3)이 인출됨으로써, 상기 식품용기(2)에 필름(3)이 안정적으로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210)의 한 조의 집게(214)와 상기 집게(214)에 구비된 돌기에 의해 필름(3)의 일부를 확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이송 중 필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 예>
제2실시 예의 필름인출장치(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제2고정부(230), 및 상기 제2고정부(230)를 이송시켜 식품용기(2)의 상방에 필름(3)이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에는, 제2고정부(230)의 왕복 이송거리가 일정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1센서(32) 및 제2센서(3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센서(32)(34)는 상기 제2고정부(230)의 왕복 이송범위를 제한시켜, 식품포장기(1)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원활한 식품용기(2)의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1고정부(230)의 왕복 이송거리는 식품용기(2)의 크기에 따라 작업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센서(32)(34)는, 제2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실시 예의 제1고정부(210)의 왕복 이송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고정부(23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232)과, 상기 제2브라켓(232)의 양단 각각에 고정되는 고정집게(234)와, 상기 고정집게(234)의 일측에 구비된 제2힌지(235)에 의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집게(236)와, 상기 가동집게(236)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집게(236)에 제2힌지(235)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238)를 포함한다.
상기 제2브라켓(232)은 제2구동부(240)의 이송력에 의해 식품용기(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된다.
상기 고정집게(234)는 상기 제2브라켓(232)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필름(3)의 양단 각각을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집게(234)의 일측에는 제2힌지(235)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집게(236)는 상기 제2힌지(235)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일단이 상기 고정집게(234)의 일단과 맞닿아서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집게(234) 또는 가동집게(236) 중 어느 하나에는, 상호 맞닿는 일단에 필름(3)을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고정침(237)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침(237)이 삽입되는 함몰홈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집게(234)와 가동집게(236)의 상호 맞닿는 고정력과 상기 고정침(237)의 고정에 의해 상기 필름(3)을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238)는, 일단이 상기 가동집게(236)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플런저(239)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238)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류의 인가로 인해 상승되면서 제2힌지(23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동집게(236)의 일단이 고정집게(234)의 일단과 맞닿아 필름(3)의 일단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2구동부(24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230)의 제2브라켓(232)의 양단 각각에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축(242)과, 상기 나사축(242)의 일단에 고정되는 복수의 풀리(244)와, 정, 역회전력을 발생하는 제3모터(246)와, 상기 제3모터(246)와 복수의 풀리(244) 사이를 선회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벨트(24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240)에는 제3모터(246)와 복수의 풀리(244)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248)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축(242)은 본체(12)에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나사축(242)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브라켓(232)이 회전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된다.
상기 풀리(244)는 상기 나사축(242)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나사축(242)에 회전을 전달한다.
상기 벨트(248)는 상기 제3모터(246)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력을 상기 풀리(244)로 전달하여 상기 나사축(242)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 예의 필름인출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38)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런저(239)가 하강된 상태이므로, 상기 플런저(239)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가동집게(236)가 제2힌지(235)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단이 고정집게(234)의 일단과 상호 벌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고정집게(234)와 가동집게(236) 사이에는 필름(3)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상기 솔레노이드(238)에 전류가 인가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39)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가동집게(236)의 일단이 상승되고, 상기 가동집게(236)의 타단은 제2힌지(23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집게(236)의 일단이 고정집게(234)의 일단에 맞닿게 되어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집게(236)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침(237)에 의해 필름(3)의 일부가 고정됨에 따라 필름(3)의 고정력이 증폭된다.
이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모터(246)의 정회전력에 의해 풀리(244)가 정회전되고, 상기 풀리(244)에 고정된 나사축(242)이 정회전됨에 따라, 상기 나사축(242)의 정회전에 의해 제2브라켓(232)이 전진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브라켓(232)에 고정된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한 고정집게(234)와 가동집게(236)가 전진하면서 식품용기(2)의 상방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필름(3)을 인출한다.
한편, 히팅수단(18)에 의해 식품용기(2)에 필름(3)의 열 융착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238)에 인가된 전류가 차단되고, 이를 통해 플런저(239)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239)와 일단이 힌지 결합된 가동집게(236)가 제2힌지(23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집게(234)와 상호 벌려지게 된다.
이어서, 제3모터(246)에서 역회전력이 발생되면, 벨트(248)를 통해 풀리(244)가 역회전됨에 따라 나사축(242)이 역회전 된다. 또한, 상기 나사축(242)의 역회전에 의해 제2브라켓(242)은 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 예의 필름인출장치(2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제2고정부(230), 및 상기 제2고정부(230)를 이송시켜 식품용기(2)의 상방에 필름(3)이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구동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부(23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232)과, 상기 제2브라켓(232)의 양단 각각에 고정되는 고정집게(234)와, 상기 고정집게(234)의 일측에 구비된 제2힌지(235)에 의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집게(236)와, 상기 가동집게(236)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집게(236)에 제2힌지(235)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238)를 포함한다.
상기한 제2고정부(230)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2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집게(234)와 가동집게(236)가 상호 맞닿는 일단에는,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압착부재(23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압착부재(233)에는 필름(3)과의 면접촉 면적을 확대하고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착부재(233)는 연질로 이루어져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할 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구동부(260)는, 정, 역회전력을 발생하는 제4모터(262)와, 상기 제4모터(262)의 정, 역회전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원동기어(264)와, 상기 원동기어(264)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종동기어(266), 및 상기 원동기어(264)와 종동기어(266) 사이를 선회하는 타이밍벨트(268)를 포함한다.
상기 제4모터(262)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원동기어(264)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원동기어(264)는 상기 제4모터(262)를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타이밍벨트(268)가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한다.
상기 종동기어(266)는 상기 원동기어(264)의 회전으로 타이밍벨트(268)가 선회할 수 있도록 일단에 구비된다. 상기 원동기어(264) 및 종동기어(266) 사이의 간격은, 제2고정부(230)가 식품용기(2)에 필름(3)을 인출시키는데 간섭되지 않는 범위로 유지한다.
상기 타이밍벨트(268)는 상기 원동기어(264)와 종동기어(266) 사이를 선회하고, 일측에 제2고정부(230)의 제2브라켓(232)이 고정되어, 상기 제2고정부(230)가 식품용기(2)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방에 필름(3)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왕복 이송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4모터(26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력에 의해 원동기어(264)를 통해 타이밍벨트(268)가 종동기어(266)를 선회하면서, 상기 타이밍벨트268)의 일측에 구비된 제2고정부(230)를 식품용기(2)의 상방으로 왕복 이송시킨다.
<제4실시 예>
제1 내지 제3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 예의 필름인출장치(2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제2고정부(230), 및 상기 제2고정부(230)를 이송시켜 식품용기(2)의 상방에 필름(3)이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4구동부(28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부(23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232)과, 상기 제2브라켓(232)의 양단 각각에 고정되는 고정집게(234)와, 상기 고정집게(234)의 일측에 구비된 제2힌지(235)에 의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집게(236)와, 상기 가동집게(236)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집게(236)에 제2힌지(235)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238)를 포함한다.
제2고정부(230)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2실시 예에 구성 및 작동관계가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집게(234) 또는 가동집게(236)의 어느 하나에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공압을 배기시켜, 상기 고정집게(234)와 가동집게(236) 사이의 고정력에 의해 고정되는 필름(3)의 일부가 공압력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상기 필름(3)의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하는 배기공(231)을 포함한다.
상기 제4구동부(28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이송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282), 및 상기 엑츄에이터(282)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에 제2고정부(230)의 제2브라켓(232)의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엑츄에이터(282)의 이송력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제2고정부(230)가 이송되도록 하는 피스톤(284)을 포함한다.
상기 엑츄에이터(282)는, 공압, 유압과 같은 압력에 의해 왕복 이송력을 상기 피스톤(284)에 제공한다.
상기 피스톤(284)은 일단이 제2고정부(230)의 제2브라켓(232)에 고정되어, 상기 엑츄에이터(282)에서 제공되는 왕복 이송력에 의해 식품용기(2)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필름(3)이 상방으로 인출되도록 제2고정부(230)를 왕복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282)로 제공되는 공압의 일부를 상기 고정집게(234) 또는 가동집게(236)의 배기공(231)으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 예의 제1 내지 제4구동부(220)(240)(260)(280)는, 제1브라켓(212) 또는 제2브라켓(232)에 고정되는 어느 하나는 랙기어(228)와, 나사축(242), 타이밍벨트(268) 및 피스톤(284)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제1 내지 제4구동부(220)(240)(260)(280)의 구동력에 의해 왕복이송을 안내하도록 장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실시 예의 제1 및 제2고정부(210)(230), 또는 제1 내지 제4구동부(220)(240)(260)(280)는 상호 치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일회성 식품용기를 낱개로 포장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식품포장기 12: 본체
14: 안착수단 16: 이송수단
18: 히팅수단 182: 히팅플레이트
184: 히팅솔레노이드 186: 절단칼
188: 절단솔레노이드 20: 필름인출장치
210: 제1고정부 212: 제1브라켓
214: 한 조의 집게 2142: 삽입공
2144: 돌기 2146: 제1경사면
2148: 삽입홈 215: 쐐기
2152: 제2경사면 216: 힌지축
218: 회동캠 219: 제1모터
220: 제1구동부 222: 제2브라켓
224: 제2모터 226: 피니언
228: 랙기어 230: 제2고정부
231: 배기공 232: 제2브라켓
233: 압착부재 234: 고정집게
235: 제2힌지 236: 가동집게
237: 고정침 238: 솔레노이드
239: 플런저 240: 제2구동부
242: 나사축 244: 풀리
246: 제3모터 248: 벨트
260: 제3구동부 262: 제4모터
264: 원동기어 266: 종동기어
268: 타이밍벨트 280: 제4구동부
282: 엑츄에이터 284: 피스톤

Claims (17)

  1. 식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수단과,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된 식품용기의 상방에서 필름을 인출시키는 필름인출장치와, 상기 식품용기의 상방에 필름이 인출되면 열 융착으로 상기 식품용기에 필름이 융착됨에 따라 밀봉되도록 하는 히팅수단을 포함하는 식품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필름인출장치(20)는, 상기 필름(3)의 양단 일부를 각각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식품용기(2)의 상방에 수평하도록 이송시켜 상기 식품용기(2)와 필름(3)이 수평상태를 유지시켜 히팅수단(18)에 의해 균일한 열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1브라켓(212)과;
    상기 제1브라켓(212)에 구비된 힌지축(216)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일단이 필름(3)의 일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한 조의 집게(214);
    상기 한 조의 집게(214)의 일단에 구비되어 밀림력을 제공 또는 해제함으로써, 상기 한 조의 집게(214)가 상기 힌지축(216)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쐐기(215)로 구성되는 제1고정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조의 집게(214) 사이에는 상기 쐐기(215)의 밀림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한 조의 집게(214)가 상호 벌어지도록 하는 스프링(2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쐐기(215)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쐐기(215)가 한 조의 집게(214)에 압박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해제하도록 구비되는 회동캠(218); 및
    상기 회동캠(218)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2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조의 집게(214)의 일단에는 상기 쐐기(215)의 밀림력에 의해 원활하게 힌지축(216)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기울기를 가지는 제1경사면(2146)이 구비되고;
    상기 쐐기(215)의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2146)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울기를 가지는 제2경사면(215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2브라켓(232)과;
    상기 제2브라켓(232)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는 고정집게(234);
    상기 고정집게(234)의 일측에 구비된 제2힌지(235)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되어 필름(3)을 고정 또는 해제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가동집게(236); 및
    상기 가동집게(236)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집게(236)가 제2힌지(235)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238)로 구성된 제2고정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측에 제1고정부(210)가 고정되는 제2브라켓(222)과;
    상기 제2브라켓(222)에 고정되는 제2모터(224);
    상기 제2모터(224)에 구비되는 피니언(226); 및
    본체(12)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피니언(226)과 치합되어, 상기 제2모터(2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피니언(226)이 회전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랙기어(228)로 구성되는 제1구동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단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축(242)과;
    상기 복수의 나사축(242)의 일단에 고정되는 복수의 풀리(244);
    정, 역회전력을 발생하는 제3모터(246); 및
    상기 제3모터(246)와 복수의 풀리(244)를 선회하면서 상기 제3모터(246)의 회전력을 상기 풀리(244)로 전달시켜 상기 나사축(242)이 회전되도록 하는 벨트(248)로 구성되는 제2구동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정, 역회전력을 발생하는 제4모터(262)와;
    상기 제4모터(262)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원동기어(264);
    식품용기(2)에 필름(3)의 인출을 간섭하지 않는 간격으로 상기 원동기어(264)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종동기어(266); 및
    일측에 고정부가 고정되고, 상기 원동기어(264)와 종동기어(266)를 선회하면서 상기 고정부가 식품용기(2)의 상방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왕복 이송되도록 하는 타이밍벨트(268)로 구성된 제3구동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왕복 이송력을 발생하는 엑츄에이터(282); 및
    상기 고정부가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엑츄에이터(282)에 제공되는 왕복 이송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식품용기(2)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왕복 이송시키는 피스톤(284)으로 구성된 제4구동부(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18)은,
    내측에 히팅부가 구비된 히팅플레이트(18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182)에 승강력을 제공하여 식품용기(2)에 필름(3)이 융착되도록 하는 히팅솔레노이드(184);
    상기 히팅플레이트(182)의 일측에 구비되는 절단칼(186); 및
    상기 절단칼(186)에 승강력을 제공하여 필름(3)이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솔레노이드(18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12.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왕복 이송범위를 제한하여 식품포장기(1)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본체(12)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센서(32)(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13.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한 조의 집게(214)와, 고정집게(234) 및 가동집게(236)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각각에는,
    필름(3)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돌기(21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14.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한 조의 집게(214)와, 고정집게(234) 및 가동집게(236)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각각에는,
    필름(3)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고정침(23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15.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한 조의 집게(214)와, 고정집게(234) 및 가동집게(236)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각각에는,
    필름(3)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압착부재(2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233)는 마찰계수가 높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1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한 조의 집게(214)와, 고정집게(234) 및 가동집게(236)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각각에는,
    필름(3)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필름(3)의 일부가 밀림되도록 하는 배기공(2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KR20130036680A 2012-06-29 2013-04-04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KR101510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0988 2012-06-29
KR1020120070988 2012-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23A true KR20140003323A (ko) 2014-01-09
KR101510425B1 KR101510425B1 (ko) 2015-04-10

Family

ID=5013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6680A KR101510425B1 (ko) 2012-06-29 2013-04-04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24B1 (ko) * 2014-09-02 2015-04-08 주식회사 윌시스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8722A (zh) * 2016-10-31 2017-02-22 东阿阿胶股份有限公司 自动封装阿胶糕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85Y2 (ja) * 1992-06-23 1995-04-12 株式会社エス・エヌ・ケイ クレーンゲーム機の把持つめ開閉装置
US6189302B1 (en) * 1997-03-17 2001-02-2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Film gripper and a film packag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24B1 (ko) * 2014-09-02 2015-04-08 주식회사 윌시스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425B1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5891B2 (ja) 包装内容物の自動取り出し方法および装置
EP3476584B1 (en) Bag opening apparatus and bag opening method
KR20140003323A (ko)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KR102413292B1 (ko) 밴딩 포장 장치
JP5901898B2 (ja) 容器の包装装置
JP3990680B2 (ja) 縦型充填包装機
KR100898779B1 (ko) 용기 밀봉장치
CN211468978U (zh) 一种塑料发酵袋热合封口装置
DK2644519T3 (en) Accessories indexes to pose up space
JPH11348933A (ja) 包装袋のシール装置
JP2019099171A (ja) 包装装置
JP2009161207A (ja) テープ結束装置
KR20220151352A (ko) 포장물의 연속포장이 가능한 포장장치
JP4375798B2 (ja) 物品包装機
JP3930492B2 (ja) 縦型充填包装機および包装袋の製造方法
CN217260901U (zh) 抽真空装置
JP6650220B2 (ja) シール装置
KR100584198B1 (ko) 우편물 자동 포장 장치
KR100541233B1 (ko) 모서리 개봉형 지퍼포장용기의 합성수지제 지퍼 열접착장치
KR102466104B1 (ko) 파우치 공급 장치
JP4255666B2 (ja) 変圧器カバーのパッキン剥離方法及び装置
CN109591307B (zh) 收缩膜加工设备
KR102208480B1 (ko) 포장기계용 탈기장치
KR102402867B1 (ko) 과자 포장지용 열융착장치
CN211893809U (zh) 真空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