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524B1 -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524B1
KR101503524B1 KR20140116476A KR20140116476A KR101503524B1 KR 101503524 B1 KR101503524 B1 KR 101503524B1 KR 20140116476 A KR20140116476 A KR 20140116476A KR 20140116476 A KR20140116476 A KR 20140116476A KR 101503524 B1 KR101503524 B1 KR 101503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ripper
heating plate
eleva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래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시스
Priority to KR2014011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4Feeding webs from roll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기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용기용 실링장치는, 융착수단으로서, 히터에 의해 가열되며, 필름이 용기에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에 열을 가하는 히팅플레이트;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승하강 작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수단; 및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어 함께 승하강 작동되며, 하강 작동시 일단부가 상기 필름을 눌러 필름을 고정시키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히팅플레이트의 전단부에서는 고정부에 의해 필름이 고정되고, 히팅플레이트의 후단부에서는 고정바에 의해 필름이 고정되는바, 히팅플레이트 하방의 필름이 편편하고 팽팽한 상태로 펼쳐지게 되면서 필름의 겹쳐짐이나 뭉개짐 등이 없이 히팅플레이트에 의한 열융착이 더욱 깔끔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특히 커터가 필름에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커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장용기용 실링장치{Apparatus for sealing on packing vessel}
본 발명은 포장용기를 실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의 융착 및 커팅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안착프레임의 하부공간을 커버하여 안착프레임의 이송불량과 사용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며, 필름의 열융착 불량 문제를 해소하고, 필름의 고정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포장용기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백화점 등에서는 소비자들이 구매한 음식물을 일회성 식품포장용기(이하, '포장용기'라 함)에 담은 후, 이 포장용기를 식품포장용 실링장치(또는 '진공포장기'라고도 함)에 넣고 낱개로 포장한 뒤 소비자에게 판매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식품포장용 실링장치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식품용기(2)가 안착되는 안착수단(14)과, 상기 안착수단(14)이 이송되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수단(16)과, 상기 식품용기(2)의 상방에 상기 식품용기(2)와 수평상태로 필름(3)이 덮이도록 인출하는 인출필름장치(20)와, 상기 식품용기(2)에 필름(3)이 열 융착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히팅수단(18)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2)에는 필름(3)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19)가 구비된다.
상기 히팅수단(18)은, 내측에 히팅부가 구비된 히팅플레이트(18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182)가 승강되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는 히팅솔레노이드(184)와, 상기 히팅플레이트(182)의 일측에 구비되어 필름(3)을 절단시키는 절단칼(186), 및 상기 절단칼(186)을 승강시키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는 절단솔레노이드(188)로 구성된다.
즉, 안착수단(14)에 식품용기(2)를 안착하면, 상기 안착수단(14)은 히팅수단(18)이 구비된 상방으로 이송되고, 필름인출장치(20)가 필름(3)을 식품용기(2)의 상방으로 인출하고, 이어서 히팅수단(18)에 의해 상기 식품용기(2)에 필름(3)을 열융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히팅플레이트(182)의 일측에 구비된 절단칼(186)이 하강하여 필름(3)을 절단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식품용기(2)에 필름의 밀봉이 완료되면, 히팅플레이트(182) 및 절단칼(186)이 상승 복원되고, 이송수단(16)의 하강력에 의해 안착수단(14)이 하강하면서 밀봉된 식품용기(2)를 얻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경우, 히팅플레이트의 하강에 의해 필름을 열융착하고 커팅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필름인출장치를 통해 필름의 전단부에서만 필름이 고정됨으로써, 필름이 평평하게 펼쳐지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이로 필름 커팅시 절단칼이 필름 표면에서 미끌리게 되면서 필름이 제대로 커팅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안착수단의 상방 이동시, 상기 안착수단의 저면부와 상기 안착수단을 지지하는 본체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 공간을 막을 수 있는 수단이 전무하여 상기한 공간으로 이물질 등이 투입되는 문제가 있고, 이 경우 안착수단이 하부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안착수단이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바, 히팅플레이트에 의한 필름 융착시, 외팔보의 자유단은 고정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밑으로 쳐지게 되면서 히팅플레이트가 접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상기한 안착수단의 자유단에 위치한 필름의 경우는 용기에 제대로 융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름인출장치의 경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한 조의 집게 중 상부에 위치한 집게만이 회전되고, 하부의 집게는 회전되지 않아 집게의 벌림량이 부족하다. 따라서, 절단칼에 의해 절단된 필름의 단부가 하부를 향해 구부러져 있는 경우, 하부의 집게가 벌어지지 않는 구조 특성상, 필름을 제대로 잡지 못하게 되어 필름 인출에 실패하는 작동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다만, 종래 기술의 경우, 상하부 집게가 함께 회전하는 필름인출장치의 구조가 함께 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한 필름인출장치의 경우는 온/오프 작동되는 솔레노이드가 아닌 복잡한 제어가 필요한 모터 제어를 이용함으로써, 구조 및 제어가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KR 10-2014-0003323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출된 필름의 전후단을 함께 지지하여 필름의 융착 및 커팅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포장용기용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착프레임의 하부공간을 커버하여 이물질 유입에 따른 안착프레임의 이송불량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하도록 한 포장용기용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착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필름의 열융착 불량 문제를 해소하도록 한 포장용기용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솔레노이드를 이용하면서도 필름을 고정하는 상하 그립퍼가 함께 회전되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필름의 고정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포장용기용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프레임 위에서 상기 용기 상부로 필름을 인출시키는 필름인출수단과, 상기 필름의 인출을 통해 열융착으로 용기에 필름이 융착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융착수단을 포함하는 포장용기의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융착수단은, 히터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필름이 용기에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에 열을 가하는 히팅플레이트;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승하강 작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수단; 및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어 함께 승하강 작동되며, 하강 작동시 일단부가 상기 필름을 눌러 필름을 고정시키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의 일단부에 상기 고정바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마찰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필름과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는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인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가 직선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마찰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플레이트와 함께 승하강 작동되며, 하강 작동시 상기 필름을 절단하는 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터는 히팅플레이트와 고정바 사이에서 필름을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전환수단; 상기 히팅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제1전환수단을 통해서 전달되어 직선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수단은, 상기 제1모터를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 일단부가 상기 제1모터의 축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편심 회전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 커넥팅로드; 일단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관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하강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에 쿠션핀의 상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며; 상기 쿠션핀의 하단에 히팅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상기 히팅플레이트가 직선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착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프레임을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하부를 향하여 승하강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은, 정,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2전환수단;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제2전환수단을 통해서 전달되어 직선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고, 하면이 본체 하부에 마련된 지지플레이트에 지지 가능하게 구비된 안착프레임; 및 상기 안착프레임과 지지플레이트 사이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의 승강 이동시 상기 안착프레임과 지지플레이트 사이를 커버하는 커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링은 지그재그 형태의 폴딩된 구조로 마련되어,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전환수단은, 상기 제2모터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승강리드스크류; 상기 승강리드스크류와 나란하게 배치된 승강가이드레일; 및 중단부가 상기 승강리드스크류에 나사 결합되고, 양 단부가 상기 승강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 구비되어, 상기 승강리드스크류를 따라 승하강 이송되는 승강스크류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프레임 일단의 고정단이 상기 승강스크류너트에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프레임은, 상기 승강스크류너트와 결합된 고정단에서 자유단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용기의 상면이 가상의 수평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인출수단은, 상기 필름의 양단을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상기 용기의 상방에서 수평하게 이동시켜 인출된 필름을 용기의 상방에 덮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되는 이동브라켓;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중단부가 힌지축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시소 회전하면서 상기 필름을 고정 및 해제시키는 한 쌍의 제1그립퍼 및 제2그립퍼; 상기 제1그립퍼 및 제2그립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그립퍼 및 제2그립퍼의 일단부가 필름을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그립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립퍼 및 제2그립퍼 중 하나의 그립퍼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그립퍼 및 제2그립퍼를 동시에 시소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립퍼에는 힌지축의 반경방향으로 치 형상의 가압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그립퍼에는 힌지축의 반경방향으로 치 형상의 밀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의 일면과 밀림부의 일면이 면 접촉되는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그립퍼의 타단부를 가압시 상기 가압부가 밀림부를 밀어 상기 제1그립퍼 및 제2그립퍼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히팅플레이트의 전단부에서는 고정부에 의해 필름이 고정되고, 히팅플레이트의 후단부에서는 고정바에 의해 필름이 고정되는바, 히팅플레이트 하방의 필름이 편편하고 팽팽한 상태로 펼쳐지게 되면서 필름의 겹쳐짐이나 뭉개짐 등이 없이 히팅플레이트에 의한 열융착이 더욱 깔끔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특히 커터가 필름에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커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안착프레임의 상방 이동시, 커버링을 통해 상기 안착프레임과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게 되는바, 이물질 등이 상기 공간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착프레임의 승하강 작동을 원활하게 관리 유지하는 것은 물론, 실링장치의 사용 중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안착프레임과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끼면서 발생될 수 있는 부상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착프레임의 자유단을 고정단보다 상향 위치되도록 승강스크류너트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기의 상면에 히팅플레이트가 눌려져 자유단이 고정단 부분보다 약간 더 눌려지게 되더라도 상향된 자유단 부분의 각도 변형을 통해 히팅플레이트가 용기의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접촉되고, 이로 인해 용기의 전부분에 걸쳐 필름의 열융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제1그립퍼의 가압시, 제2그립퍼가 연동하여 회전 작동되면서 벌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그립퍼 사이의 벌림량이 증대되는바, 절단된 필름의 단부가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도 필름을 안정적으로 그립핑하게 되어, 필름 인출 작동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포장용기용 실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용 실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용 실링장치에서 고정바 및 커터의 구성과 함께 융착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링 및 이송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이송수단의 이송 작동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인출수단에서 고정부의 고정 및 해제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인출수단에서 구동부의 수평 이동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용 실링장치는 크게 본체(100)와, 안착프레임(210)과, 이송수단과, 필름인출수단 및 융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안착프레임(210)에 용기(P)가 안착 및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신호 인가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안착프레임(210)이 이송수단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필름인출수단을 통해 필름(F)의 단부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300)가 구동부(400)를 통해 필름(F)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필름(F)이 용기(P)의 상방을 덮게 된다.
이어서, 상기 융착수단을 통해 상기 히팅플레이트(120)가 하강하여 필름(F)을 용기(P)에 열융착시켜 밀봉하고, 커터(140)가 함께 하강하여 밀봉이 이루어진 필름(F)을 절단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밀봉된 용기(P)가 하강 이송되는바, 밀봉된 용기(P)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히팅플레이트(120) 및 커터(140)는 상방으로 복귀 이송되고, 상기 고정부(300) 역시 후방으로 복귀 이동하여, 절단된 필름(F)의 단부를 다시 고정하여 다음 열융착 작동에 대기하게 된다.
상기한 작동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 기술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융착수단은, 다시 히팅플레이트(120)와, 승강수단과, 고정바(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바(130)에 의해 상기 필름(F)을 하방으로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히팅플레이트(120)는 히터(126)가 연결되어, 상기 히터(126)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열을 이용하여 상기 필름(F)이 용기(P)에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F)에 열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에 승하강 작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시 제1모터(150)와, 제1전환수단 및 승강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30)는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와 함께 승하강 작동되며, 하강 작동시 일단부가 상기 필름(F)을 눌러 필름(F)을 고정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의 후단에 고정바(130)가 마련되어 필름(F)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필름(F)의 열융착을 위해 히팅플레이트(120)의 하강 작동시,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와 함께 고정바(130)가 하강하여 하부에 펼쳐진 필름(F)을 눌러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의 전단부에서는 고정부(300)에 의해 필름(F)이 고정되고, 히팅플레이트(120)의 후단부에서는 고정바(130)에 의해 필름(F)이 고정되는바, 히팅플레이트(120) 하방의 필름(F)이 편편하고 팽팽한 상태로 펼쳐지게 되면서 필름(F)의 겹쳐짐이나 뭉개짐 등이 없이 히팅플레이트(120)에 의한 열융착이 더욱 깔끔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고정바(130)의 일단부에 상기 고정바(130)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마찰부재(132)가 마련되어, 상기 필름(F)과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부재(132)로서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부재(132)가 상기 고정바(130)의 하단에 코팅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바(130)의 하단부가 상기 필름(F)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고정바(130) 접촉에 따른 필름(F)의 손상 위험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종국적으로는 필름(F) 융착 및 커팅시에 필름(F)이 미끄러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130)는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의 승강 이동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고정바(130)가 직선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마찰스프링(134)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스프링(134)의 하단부는 상기 고정바(130)의 하단에 지지되고, 상기 마찰스프링(134)의 상단부는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히팅플레이트(120)의 하강 이동시, 상기 고정바(130)가 함께 하강하여, 상기 고정바(130)의 하단부가 필름(F)에 접촉된다. 이어서, 상기 히팅플레이트(120)를 필름(F)을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히팅플레이트(120)를 더 밑으로 하강하면, 상기 고정바(130)가 상기 승강프레임(110)에 대해 상승 이동하면서 마찰스프링(134)이 압축되는바, 상기 고정바(130)에 탄성력이 제공되고, 이에 상기 고정바(130)에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서 필름(F)을 더욱 강한 힘으로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와 함께 커터(140)가 승하강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터(140)의 하강 작동시 상기 필름(F)을 절단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커터(140)는 브라켓을 통해 상기 승강프레임(110) 및 히팅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터(140)는 히팅플레이트(120)와 고정바(130) 사이에 마련되어 필름(F)을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의 후단부에서 고정바(130)를 통해 상기 필름(F)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필름(F)이 최대한 편편하게 당겨지게 되는바, 커터(140)가 필름(F)에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필름(F)을 커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승강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모터(150)에서 회전력을 제공하며, 제1전환수단에 의해 상기 제1모터(150)에서 제공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히팅플레이트(120)의 상부에는 승강프레임(110)이 결합되는데, 상기 제1모터(150)의 회전력이 상기 제1전환수단을 통해 상기 승강프레임(110)에 전달되어 상기 승강프레임(110) 및 히팅플레이트(120)가 상하 직선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전환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1모터(150)가 설치되도록 고정플레이트(16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60)는 승강프레임(110)의 상방에 설치되어, 본체(100)에 고정된다.
또한, 커넥팅로드(170)의 일단부가 상기 제1모터(150)의 축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편심 회전되고, 상기 커넥팅로드(170)의 타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프레임(110)은 상부의 제1승강플레이트(110a)와 하부의 제2승강플레이트(110b)가 결합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바, 상기 커넥팅로드(170)의 타단부는 상기 제1승강플레이트(11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히팅플레이트(120)는 상기 제2승강플레이트(110b)에 결합될 수 있다.
또, 가이드샤프트(180)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160)에 관통되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180)의 타단부는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제1승강플레이트(110a)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승하강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모터(150)가 회전하면, 상기 모터의 축에 편심 결합된 커넥팅로드(170)의 상단부가 편심 회전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커넥팅로드(170)의 하단부가 상기 제1승강플레이트(110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샤프트(18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60)에 관통 구비되어 제1승강플레이트(110a)의 직선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승강프레임(110)과 함께 히팅플레이트(120)가 상하로 직선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승강프레임(110)에 쿠션핀(122)의 상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핀(122)의 하단에 히팅플레이트(120)가 고정된다. 특히, 상기 히팅플레이트(120)가 직선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착스프링(12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히팅플레이트(120)의 하강 이동시,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의 하단부가 상기 필름(F)에 접촉되면, 상기 쿠션핀(122)이 상기 승강프레임(110)에 대해 상승 이동하면서 압착스프링(124)이 압축되는바, 상기 쿠션핀(122)에 탄성력이 제공되고, 이에 상기 쿠션핀(122)에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서 히팅플레이트(120)의 전반에 걸쳐 필름(F)을 균일하게 열융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안착프레임(210)을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의 하부를 향하여 승하강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송수단은 크게 제2모터(230)와, 제2전환수단과, 안착프레임(210) 및 커버링(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모터(230)는 정,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전환수단을 통해 상기 제2모터(230)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모터(230)의 회전력이 상기 제2전환수단을 통해서 안착프레임(210)에 전달되어 상기 안착프레임(210)이 직선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고, 상기 안착프레임(210)의 하면이 본체(100) 하부에 마련된 지지플레이트(200)에 지지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상기 안착프레임(210)과 지지플레이트(200) 사이를 감싸는 형상으로 커버링(220)이 마련되어, 상기 안착프레임(210)의 승강 이동시 상기 안착프레임(210)과 지지플레이트(200) 사이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링(220)이 본체(100)의 전방 및 양측방을 감싸도록 'ㄷ'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링(220)의 상단은 안착프레임(210)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링(220)의 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안착프레임(210)이 지지플레이트(2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모터(230)가 작동되면서 안착프레임(210)이 지지플레이트(200)로부터 이격되어 승강리드스크류(240) 및 승강가이드레일(250)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안착프레임(210)의 상방 이동시, 상기 커버링(220)을 통해 상기 안착프레임(210)과 지지플레이트(20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게 되는바, 이물질 등이 상기 공간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착프레임(210)의 승하강 작동을 원활하게 관리 유지하는 것은 물론, 특히 실링장치의 사용 중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안착프레임(210)과 지지플레이트(200) 사이에 끼면서 발생될 수 있는 부상 위험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커버링(220)은, 지그재그 형태의 폴딩된 구조로 마련되어, 신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서 일명 자바라로 불리는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제2전환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2모터(230)에 승강리드스크류(240)가 축 결합되어 상기 제2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승강리드스크류(24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리드스크류(240)의 양측에 승강가이드레일(250)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리드스크류(240)에 승강스크류너트(260)의 중단부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승강스크류너트(260)의 양 단부가 상기 승강가이드레일(250)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모터(230)의 회전시 상기 승강스크류너트(260)는 상기 승강리드스크류(240)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 이송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리드스크류(240)와 승강가이드레일(250)은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안착프레임(210)이 상기 승강리드스크류(240)와 승강가이드레일(250)을 따라 상승 및 하강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스크류너트(260)에는 상기 안착프레임(210) 일단의 고정단(212)이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 이동된다.
특히, 상기 안착프레임(210)은, 상기 승강스크류너트(260)와 결합된 고정단(212)에서 자유단(214)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안착프레임(210)에 안착된 용기(P)의 상면이 가상의 수평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0.5°일 수 있다.
즉, 상기 안착프레임(210)이 외팔보타입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한 안착프레임(210)의 자유단(214)을 고정단(212)보다 상향 위치되도록 승강스크류너트(26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기(P)의 상면에 히팅플레이트(120)가 눌려져 자유단(214)이 고정단(212) 부분보다 약간 더 눌려지게 되더라도 상향된 자유단(214) 부분의 각도 변형을 통해 히팅플레이트(120)가 용기(P)의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접촉되고, 이로 인해 용기(P)의 전부분에 걸쳐 필름(F)의 열융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름인출수단은, 상기 필름(F)의 양단을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부(300)와, 상기 고정부(300)를 상기 용기(P)의 상방에서 수평하게 이동시켜 인출된 필름(F)을 용기(P)의 상방에 덮도록 구성된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부(300)는, 이동브라켓(310)과, 한 쌍의 그립퍼 및 그립스프링(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브라켓(310)은 구동부(400)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가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의 중단부가 각각 힌지축(322,332)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3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각 힌지축(322,332)을 중심으로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가 각각 시소 회전하면서 상기 제1그립퍼(320)의 일단부와 제2그립퍼(330)의 일단부 사이에서 상기 필름(F)을 고정 및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 사이에는 그립스프링(340)이 마련되어,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의 일단부가 필름(F)을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힌지축(322,332)과 그립퍼(320,330) 타단부 사이에서 상기 그립스프링(340)의 양 단부가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그립스프링(340)의 탄성력이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에 제공되면서 제1그립퍼(320)의 일단부 및 제2그립퍼(330)의 일단부가 서로 압착되고, 이로 인해 필름(F)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 중 하나의 그립퍼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를 동시에 시소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솔레노이드(350)를 통해 제1그립퍼(320)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그립퍼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350)에 전류 인가시, 상기 솔레노이드(350)의 플런저(352)가 하강 작동되면서 제1그립퍼(320)의 타단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의 일단부 사이가 벌어지면서 필름(F)의 고정을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그립퍼(320)에는 제2그립퍼(330)를 향한 힌지축(322)의 반경방향으로 치 형상의 가압부(324)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그립퍼(330)에는 상기 제1그립퍼(320)를 향한 힌지축(332)의 반경방향으로 치 형상의 밀림부(33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324)의 일면과 밀림부(334)의 일면이 면 접촉되는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그립퍼(320)의 타단부를 솔레노이드(350)에 의해 가압시 상기 가압부(324)가 밀림부(334)를 밀어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제1그립퍼(320)의 가압시, 제2그립퍼(330)가 연동하여 회전 작동되면서 벌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그립퍼의 벌림량이 증대되는바, 절단된 필름(F)의 단부가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도 필름(F)을 안정적으로 그립핑하게 되어, 필름(F) 인출 작동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동부(400)는 정,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모터(410)와, 상기 제3모터(410)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수평리드스크류(420)와, 상기 수평리드스크류(420)와 나란하게 배치된 수평가이드레일(430)과, 상단부에 이동브라켓(310)이 고정되고, 중단부가 상기 수평리드스크류(420)에 나사 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 수평가이드레일(430)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 구비되어, 상기 수평리드스크류(420)를 따라 승하강 이송되는 수평스크류너트(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400)는 양측의 고정부(300)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300)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의 리드스크류 사이에 풀리와 타이밍벨트(450)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벨트(450)의 일부에는 텐션롤러(460)를 구름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타이밍벨트(450)의 텐션을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필름(F)이 권취된 권취롤(470)이 본체(10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필름(F)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모터(410)의 회전작동에 의해 수평리드스크류(420)가 회전되면, 상기 수평리드스크류(420)에 결합된 수평스크류너트(440)가 전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평스크류너트(440)에 고정된 이동브라켓(310)을 함께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브라켓(310)에 고정된 고정부(300)를 함께 전후로 이동시키게 되는바,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 사이에 필름(F)이 고정된 상태에서 필름(F)을 용기(P)의 상방으로 인출하여 덮을 수 있고, 융착 이후에는 상기 고정부(300)를 복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 승강프레임
110a : 제1승강플레이트 110b : 제2승강플레이트
120 : 히팅플레이트 122 : 쿠션핀
124 : 압착스프링 126 : 히터
130 : 고정바 132 : 마찰부재
134 : 마찰스프링 140 : 커터
150 : 제1모터 160 : 고정플레이트
170 : 커넥팅로드 180 : 가이드샤프트
200 : 지지플레이트 210 : 안착프레임
212 : 고정단 214 : 자유단
220 : 커버링 230 : 제2모터
240 : 승강리드스크류 250 : 승강가이드레일
260 : 승강스크류너트 300 : 고정부
310 : 이동브라켓 320 : 제1그립퍼
322 : 힌지축 324 : 가압부
330 : 제2그립퍼 332 : 힌지축
334 : 밀림부 340 : 그립스프링
350 : 솔레노이드 352 : 플런저
400 : 구동부 410 : 제3모터
420 : 수평리드스크류 430 : 수평가이드레일
440 : 수평스크류너트
F : 필름 P : 용기

Claims (14)

  1.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프레임(210) 위에서 상기 용기 상부로 필름(F)을 인출시키는 필름인출수단과, 상기 필름(F)의 인출을 통해 열융착으로 용기에 필름(F)이 융착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융착수단을 포함하는 포장용기의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융착수단은,
    히터(126)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필름(F)이 용기(P)에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F)에 열을 가하는 히팅플레이트(120);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에 승하강 작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수단; 및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의 일측에 마련되어 함께 승하강 작동되며, 하강 작동시 일단부가 상기 필름(F)을 눌러 필름(F)을 고정시키는 고정바(130);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프레임(210)을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의 하부를 향하여 승하강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은,
    정,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230);
    상기 제2모터(230)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2전환수단;
    상기 제2모터(230)의 회전력이 상기 제2전환수단을 통해서 전달되어 직선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고, 하면이 본체(100) 하부에 마련된 지지플레이트(200)에 지지 가능하게 구비된 안착프레임(2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전환수단은,
    상기 제2모터(230)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승강리드스크류(240);
    상기 리드스크류와 나란하게 배치된 승강가이드레일(250); 및
    중단부가 상기 승강리드스크류(240)에 나사 결합되고, 양 단부가 상기 승강가이드레일(250)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 구비되어, 상기 승강리드스크류(240)를 따라 승하강 이송되는 승강스크류너트(260);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프레임(210) 일단의 고정단(212)이 상기 승강스크류너트(260)에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30)의 일단부에 상기 고정바(130)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마찰부재(132)가 마련되어, 상기 필름(F)과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30)는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에 대해 상대적인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130)가 직선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마찰스프링(1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와 함께 승하강 작동되며, 하강 작동시 상기 필름(F)을 절단하는 커터(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터(140)는 히팅플레이트(120)와 고정바(130) 사이에서 필름(F)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150);
    상기 제1모터(150)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전환수단;
    상기 히팅플레이트(120)와 결합되며, 상기 제1모터(150)의 회전력이 상기 제1전환수단을 통해서 전달되어 직선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승강프레임(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환수단은,
    상기 제1모터(150)를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160);
    일단부가 상기 제1모터(150)의 축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편심 회전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 커넥팅로드(170);
    일단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160)에 관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승하강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샤프트(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110)에 쿠션핀(122)의 상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며;
    상기 쿠션핀(122)의 하단에 히팅플레이트(120)가 고정되고;
    상기 히팅플레이트(120)가 직선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착스프링(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프레임(210)과 지지플레이트(200) 사이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안착프레임(210)의 승강 이동시 상기 안착프레임(210)과 지지플레이트(200) 사이를 커버하는 커버링(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220)은 지그재그 형태의 폴딩된 구조로 마련되어,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프레임(210)은,
    상기 승강스크류너트(260)와 결합된 고정단(212)에서 자유단(214)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안착프레임(210)에 안착된 용기(P)의 상면이 가상의 수평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인출수단은,
    상기 필름(F)의 양단을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부(300);
    상기 고정부(300)를 상기 용기(P)의 상방에서 수평하게 이동시켜 인출된 필름(F)을 용기(P)의 상방에 덮도록 구성된 구동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구동부(400)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되는 이동브라켓(310);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중단부가 힌지축(322,332)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3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322,332)을 중심으로 각각 시소 회전하면서 상기 필름(F)을 고정 및 해제시키는 한 쌍의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의 일단부가 필름(F)을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그립스프링(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 중 하나의 그립퍼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를 동시에 시소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퍼(320)에는 힌지축(322)의 반경방향으로 치 형상의 가압부(324)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그립퍼(330)에는 힌지축(332)의 반경방향으로 치 형상의 밀림부(334)가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324)의 일면과 밀림부(334)의 일면이 면 접촉되는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그립퍼(320)의 타단부를 가압시 상기 가압부(324)가 밀림부(334)를 밀어 상기 제1그립퍼(320) 및 제2그립퍼(330)가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20140116476A 2014-09-02 2014-09-02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101503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6476A KR101503524B1 (ko) 2014-09-02 2014-09-02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6476A KR101503524B1 (ko) 2014-09-02 2014-09-02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524B1 true KR101503524B1 (ko) 2015-04-08

Family

ID=5303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6476A KR101503524B1 (ko) 2014-09-02 2014-09-02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52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894A (ko) 2016-10-18 2018-05-08 주식회사 에스피엘코리아 진공포장용 실링장치
CN108400368A (zh) * 2018-01-25 2018-08-14 苏州三屹晨光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包装膜推滚顶封机构
WO2018212637A1 (ko) * 2017-05-19 2018-11-22 주식회사 네고펙 식품용기용 밀봉 포장기
CN109229604A (zh) * 2018-09-14 2019-01-18 浙江鼎业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薄膜的侧边烫封及封切机构
CN109775000A (zh) * 2019-01-24 2019-05-21 北京鸿庄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压膜组件及配方机
KR102090396B1 (ko) 2018-09-13 2020-03-17 (주) 세창실업 일회용 포장용기 자동실링기
CN111332549A (zh) * 2020-04-07 2020-06-26 江苏创源电子有限公司 一种热切贴标设备
KR20220169718A (ko) 2021-06-21 2022-12-28 주식회사 에이치앤디에스 비대면 포장용기용 실링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0908A (ja) * 1997-06-28 1999-03-16 Illinois Tool Works Inc <Itw> 荷に延伸フィルムを巻き付け、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3768446B2 (ja) * 2002-01-31 2006-04-19 知久 末永 熔断シール装置
KR20090114257A (ko) * 2008-04-29 2009-11-03 김형훈 자동 용기 실링 장치
KR20140003323A (ko) * 2012-06-29 2014-01-09 (주)오비트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0908A (ja) * 1997-06-28 1999-03-16 Illinois Tool Works Inc <Itw> 荷に延伸フィルムを巻き付け、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3768446B2 (ja) * 2002-01-31 2006-04-19 知久 末永 熔断シール装置
KR20090114257A (ko) * 2008-04-29 2009-11-03 김형훈 자동 용기 실링 장치
KR20140003323A (ko) * 2012-06-29 2014-01-09 (주)오비트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894A (ko) 2016-10-18 2018-05-08 주식회사 에스피엘코리아 진공포장용 실링장치
WO2018212637A1 (ko) * 2017-05-19 2018-11-22 주식회사 네고펙 식품용기용 밀봉 포장기
CN108400368A (zh) * 2018-01-25 2018-08-14 苏州三屹晨光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包装膜推滚顶封机构
CN108400368B (zh) * 2018-01-25 2024-03-19 苏州三屹晨光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包装膜推滚顶封机构
KR102090396B1 (ko) 2018-09-13 2020-03-17 (주) 세창실업 일회용 포장용기 자동실링기
CN109229604A (zh) * 2018-09-14 2019-01-18 浙江鼎业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薄膜的侧边烫封及封切机构
CN109229604B (zh) * 2018-09-14 2023-10-20 浙江鼎业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薄膜的侧边烫封及封切机构
CN109775000A (zh) * 2019-01-24 2019-05-21 北京鸿庄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压膜组件及配方机
CN111332549A (zh) * 2020-04-07 2020-06-26 江苏创源电子有限公司 一种热切贴标设备
KR20220169718A (ko) 2021-06-21 2022-12-28 주식회사 에이치앤디에스 비대면 포장용기용 실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524B1 (ko)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US7383676B1 (en) Packaging machine for bedding products
US3191356A (en) Packaging apparatus
US5653085A (en) Sealing device for packaging machine
US20080229715A1 (en) Packaging machine for bedding products
US3553059A (en) Heat sealing apparatus
FR2466397A1 (fr) Machine d&#39;enveloppement d&#39;objets dans une pellicule
JP2008007116A (ja) パック詰め品の包装装置
TW464629B (en) Packaging method and packaging apparatus
JP4084708B2 (ja) 包装装置
JP6279455B2 (ja) 容器の帯巻き装置
JP5498731B2 (ja) 胴巻き包装機
JP5833873B2 (ja) 包装機におけるシール用ロール圧着装置
KR101510425B1 (ko) 식품포장기의 필름인출장치
JP5918632B2 (ja) 包装装置
JP5573096B2 (ja) ヒートシール包装装置
US3248848A (en) Wrapping machine
JP5521426B2 (ja) フィルムフィード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包装装置
JP2010254327A (ja) シール包装装置、及びシール包装方法並びにその包装体
EP10431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straws of flexible bags
JP2004276930A (ja) 縦型充填包装機の縦シール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7682152B (zh) 绿色环保型彩盒印刷包装覆膜装置
JP2005313963A (ja) 縦型充填包装機および包装袋の製造方法
KR20200013333A (ko) 부메뉴식품 실링이 별개로 되는 식품용기포장장치
JP4570496B2 (ja) 製袋充填包装機のジッパ貼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