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104B1 - 파우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104B1
KR102466104B1 KR1020220070051A KR20220070051A KR102466104B1 KR 102466104 B1 KR102466104 B1 KR 102466104B1 KR 1020220070051 A KR1020220070051 A KR 1020220070051A KR 20220070051 A KR20220070051 A KR 20220070051A KR 102466104 B1 KR102466104 B1 KR 102466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pulley
unit
rotating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휘도
Original Assignee
조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휘도 filed Critical 조휘도
Priority to KR102022007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0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rippers, e.g. suction or gripper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4Details of grippers; Actuating-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Bags, sachets and pouc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기에서 진입부로부터 진입된 파우치를 파지하여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그립퍼로 공급하는 파우치 공급 장치에 있어서, 작동부가 작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구동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부를 상하로 회전시키되, 구동부에 의해 승강하는 수직로드와, 일단부는 수직로드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회전축에 연결되어 상하로 스윙 회전하는 회전로드 및 회전로드와 연결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축을 포함하는 작동부;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스윙 회전하여 공급부를 그립퍼로 이송하되, 일단부가 제1회전축에 연결되어 상하로 스윙 회전하는 커버체와, 커버체의 제1회전축 외측에 설치된 제1풀리와, 커버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2풀리,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연결하고 커버체의 상하 스윙 회전시 양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풀리를 회전시키는 연결벨트, 연결벨트의 한쪽 중간에 설치되어 연결벨트를 가압하는 가압풀리 및 제2풀리의 회전에 따라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이송부; 및 이송부의 제2회전축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진입부와 그립퍼 사이로 이송되어 파우치를 집어서 그립퍼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우치 공급 장치{APPARATUS FOR FEEDING POUCHES}
본 발명은 파우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리 포장기에서 진입부로부터 진입된 파우치를 고정시켜 파지하여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그립퍼로 공급하기 위한 파우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턴트 식품은 물론이고 다양한 음식물이나 약품, 각종 생활용품 등의 제품이 소정의 양으로 계량되어 파우치(봉지)에 내용물로 담겨져 제공되어 소비자가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파우치는 주로 합성수지의 필름을 사용하고, 제품 내용물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장방형, 정방형, 스틱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며 내용물의 누출 방지를 위하여 개구부를 씰링하여 폐쇄하고 있다.
도 1a를 참고하여 로터리 포장기에 의해 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포장하는 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진입부(10)를 통해 진입된 파우치(P)는 파우치 공급 장치(20)에 의해 파지되어 턴테이블(2)에 설치된 그립퍼(3)로 공급되고, 이때 파우치(P)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그립퍼(3)에 그립된 채 턴테이블(2)을 회전시켜 파우치 벌림 장치(30)에 의해 파우치(P) 내부가 벌려진 후 파우치 충진 장치(40)에 의해 파우치(P)에 내용물이 충진되며, 계속해서 턴테이블(2)을 회전시켜 파우치 씰링 장치(50)에 의해 파우치(P)의 입구를 열간 씰링한 후, 파우치(P)를 그립퍼(3)에서 낙하시켜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그런데, 파우치 공급 장치는 수평으로 공급된 파우치를 파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그립퍼로 전달해야 하므로, 종래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링크부재(1a)와 연결된 집게(1b)가 소정의 회전반경을 갖고 회전하거나, 회전수단의 회전과 함께 샤프트축이 전후로 왕복 이동하면서, 진입부에 진입된 파우치를 파지하여 턴테이블의 그립퍼로 이송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수단을 구성하는 여러 링크부재들이 회전하면서 큰 회전반경을 가진 채 전후방으로 크게 동작하여 움직이게 되고, 샤프트축이 전후로 반복 이동하면서 큰 변위로 움직이기 때문에, 장치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위험에 상시 노출되어 있어 안전성이 떨어지고, 진동과 소음이 증가하며, 내구성이 떨어지고, 포장기의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나 안전도어도 회전수단의 큰 회전반경이나 샤프트축의 큰 변위를 고려하여 더 바깥쪽에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면적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8787호(2013.07.29.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기술 대비 이송부와 공급부의 회전반경이 작고 작동시 움직임이 크지 않아서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위험을 감소시켜 안전성이 증대되고, 포장기의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나 안전도어를 더 안쪽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면적이 감소하며, 기존 대비 보다 컴팩트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진동과 소음이 감소되며, 내구성이 증가되고, 파우치의 안정된 파지와 전달이 가능한 파우치 공급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장기에서 진입부로부터 진입된 파우치를 파지하여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그립퍼로 공급하는 파우치 공급 장치에 있어서, 작동부가 작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구동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부를 상하로 회전시키되, 구동부에 의해 승강하는 수직로드와, 일단부는 수직로드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회전축에 연결되어 상하로 스윙 회전하는 회전로드 및 회전로드와 연결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축을 포함하는 작동부;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스윙 회전하여 공급부를 그립퍼로 이송하되, 일단부가 제1회전축에 연결되어 상하로 스윙 회전하는 커버체와, 커버체의 제1회전축 외측에 설치된 제1풀리와, 커버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2풀리,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연결하고 커버체의 상하 스윙 회전시 양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풀리와 제2풀리를 회전시키는 연결벨트, 제2풀리의 회전에 따라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이송부; 및 이송부의 제2회전축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진입부와 그립퍼 사이로 이송되어 파우치를 집어서 그립퍼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 대비 이송부와 공급부의 회전반경이 작고 작동시 움직임이 크지 않아서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위험을 감소시켜 안전성이 증대되고, 포장기의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나 안전도어를 더 안쪽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면적이 감소하며, 기존 대비 보다 컴팩트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진동과 소음이 감소되며, 내구성이 증가되고, 파우치의 안정된 파지와 전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로터리 포장기의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의 파우치 공급 장치의 사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파우치 공급 장치가 포함된 로터리 포장기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파우치 공급 장치가 포함된 로터리 포장기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구동부의 구성 및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작동부의 작동에 따른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작동부의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작동부와 이송부의 구성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이송부의 내부 사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공급부의 사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공급부의 작동을 도시한 사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공급 장치(20)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2a를 참고하여 로터리 포장기(1)에 대해 설명하면 로터리 포장기(1)는 인스턴트 식품, 여러 음식물이나 약품, 각종 생활용품 등의 제품이 파우치(P)에 담겨져 씰링 포장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진입부(10)를 통해 진입된 파우치(P)는 파우치 공급 장치(20)에 의해 파지되어 턴테이블(2)에 설치된 그립퍼(3)로 공급되고, 이때 파우치(P)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그립퍼(3)에 그립된 채 턴테이블(2)을 회전시켜 파우치 벌림 장치(30)에 의해 파우치(P) 내부가 벌려진 후 파우치 충진 장치(40)에 의해 파우치(P)에 내용물이 충진되며, 계속해서 턴테이블(2)을 회전시켜 파우치 씰링 장치(50)에 의해 파우치(P)의 입구를 열로 씰링한 후, 파우치(P)를 그립퍼(3)에서 낙하시켜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도 2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파우치 공급 장치(20)는 로터리 포장기(1)에서 진입부(10)로부터 진입된 파우치(P)를 집어서 파지하여 턴테이블(2)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그립퍼(3)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부(100), 작동부(200), 이송부(300) 및 공급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구동부(100)는 작동부(200)가 작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110)에 구동캠(130)이 편심되게 연결되어 회전하고, 구동캠(130)은 편심 회전하면서 종동캠(141)과 접촉되어 제1링크바(140)를 전후 방향으로 스윙 회전시킨다. 제1링크바(140)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에 종동캠(14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종동캠(141)은 구동캠(130)과 접촉되면서 회전되며, 제1링크바(140)의 하단부가 구동축(110) 하측에 설치된 고정축(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로써, 종동캠(141)과 연결된 제1링크바(140)는 편심 회전하는 구동캠(130)에 의해 밀리는 정도에 따라 고정축(120)을 회전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스윙 회전한다. 이때, 탄성부재(170)는 제1링크바(140)의 상단부에 전방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장치의 구조물과 연결되고, 탄성부재(170)는 구동캠(130)에 의한 제1링크바(140)의 스윙 회전시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제1링크바(140)의 스윙 회전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100)는, 제1링크바(140)의 상부에 제2링크바(150)가 전방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링크바(140)의 스윙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스윙되고, 제2링크바(150)의 끝단부에 수직바(161)와 수평바(162)를 구비한 "┓"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3링크바(16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3링크바(160)는 수직바(161)와 수평바(162)가 만나는 중간부가 회동핀(16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수직바(161)의 하단부는 제2링크바(150)의 전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평바(162)의 후단부가 작동부(200)의 수직로드(210)의 하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로써, 제2링크바(150)가 전후 방향으로 스윙됨에 따라 제3링크바(160)의 수직바(161)의 하단부를 밀거나 당겨서 제3링크바(160)의 수평바(162)의 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스윙 회전시켜서 작동부(200)의 수직로드(210)를 승강시킨다.
일례로, 도 3a를 참고하면 구동축(110)에 대하여 편심 회전하는 구동캠(130)의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부분인 대경부가 종동캠(141)과 접촉되면 탄성부재(170)가 신장되면서 제1링크바(140)가 고정축(120)을 회전축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링크바(150)가 후진하면서 제3링크바(160)의 수직바(161)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당기며, 제3링크바(160)의 수평바(162)의 후단부가 상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작동부(200)의 수직로드(210)가 상승 이동한다.
반대로, 도 3b를 참고하면 구동축(110)에 대하여 편심 회전하는 구동캠(130)의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부분인 소경부가 종동캠(141)과 접촉되면 탄성부재(170)가 압축되면서 제1링크바(140)가 고정축(120)을 회전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링크바(150)가 전진하면서 제3링크바(160)의 수직바(161)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밀게 되며, 제3링크바(160)의 수평바(162)의 후단부가 하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작동부(200)의 수직로드(210)가 하강 이동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작동부(200)는 구동부(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파우치(P)를 파지한 공급부(400)를 그립퍼(3)로 이송시키는 이송부(30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구동부(100)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수직로드(210)를 구비하고, 수직로드(210)의 상단부는 회전로드(220)의 일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로드(210)의 승강에 따라 회전로드(220)의 일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스윙 회전하며, 회전로드(220)의 타단부는 제1회전축(230)에 고정 연결되어 회전로드(2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스윙 회전에 따라 제1회전축(230)이 양 방향으로 반복하여 교번 회전하게 된다.
일례로, 도 4c와 같이 수직로드(210)가 상승 이동하면 회전로드(220)의 일단부가 상측으로 회전하고, 회전로드(220)의 타단부와 연결된 제1회전축(23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230)과 연결된 이송부(300)의 커버체(310)가 상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도 4b와 같이 수직로드(210)가 하강 이동하면 회전로드(220)의 일단부가 하측으로 회전하고, 회전로드(220)의 타단부와 연결된 제1회전축(230)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230)과 연결된 이송부(300)의 커버체(310)가 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부(300)는 하부가 작동부(200)의 제1회전축(230)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스윙 회전하면서, 파우치(P)를 파지한 공급부(400)를 진입부(10)에서 그립퍼(3)로 이송시킨 후 새로운 파우치(P)를 파지하기 위하여 공급부(400)를 그립퍼(3)에서 진입부(10)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송부(300)는 일단부가 제1회전축(230)에 고정 연결되어 상하로 스윙 회전하는 외부의 커버체(310)를 구비하고, 커버체(310)의 내부에 제1풀리(320), 제2풀리(330), 가압풀리(360) 및 연결벨트(340)가 내장된다.
제1풀리(320)는 커버체(310)의 일단부에 설치되되 커버체(310)와 고정 연결된 제1회전축(230)의 외측에 제1회전축(230) 회전시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제1풀리(320)와 제1회전축(230)과의 사이에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제2풀리(330)는 커버체(310)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제1풀리(320)와 제2풀리(330)는 연결벨트(340)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벨트(340)의 한쪽 중간에 가압풀리(360)가 설치되어 연결벨트(340)의 한쪽을 가압하고, 제2풀리(330)는 제2회전축(350)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된다. 작동부(200)에 의해 커버체(310)가 상하로 스윙 회전할 때(공전시) 그 회전력에 의해 연결벨트(340)를 매개로 제2풀리(330)가 양 방향으로 회전(자전)되고, 제2풀리(3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풀리(330)와 연결된 제2회전축(350)도 함께 회전된다.
이때, 제1풀리(320)의 직경은 제2회전축(350)이 연결된 제2풀리(3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풀리(330)의 직경을 조절하여 제2회전축(350)의 회전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연결벨트(340)는 내측면에 복수 개의 돌부와 홈부가 교번 형성되고, 제1풀리(320) 및 제2풀리(330)도 외측면에 복수 개의 돌부와 홈부가 교번 형성되며, 연결벨트(340)는 돌부와 홈부가 제1풀리(320) 및 제2풀리(330)의 홈부와 돌부와 맞물린 채 움직인다.
일례로, 도 5a 내지 도 5b를 참고하면, 제1회전축(23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송부(300)의 커버체(310)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커버체(310)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2풀리(330)와 제2회전축(350)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파우치(P)를 파지한 공급부(400)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그립퍼(3)로 이송되며, 이러한 상태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반대로, 제1회전축(230)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송부(300)의 커버체(310)가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커버체(310)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2풀리(330)와 제2회전축(35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새로운 파우치(P)의 파지를 위하여 공급부(400)가 하측으로 회전되어 진입부(10)로 이송되며, 이러한 상태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상기 공급부(400)는 이송부(300)의 제2회전축(350)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고 진입부(10)와 그립퍼(3) 사이를 왕복하면서 파우치(P)를 집어서 그립퍼(3)로 공급하거나, 파우치(P)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 후 진입부(10)로 회전 이동하여 새로운 파우치(P)를 파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급부(400)는, 중간에 제2회전축(350)이 연결되어 제2회전축(350)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지편(410)을 구비하고, 지지편(410) 상부에 로드(421)가 전후로 인출입되는 실린더(420)가 설치되고, 로드(421) 끝단에 체결고리(430)가 연결되며, 지지편(410)의 전단부의 상부에 회전편(4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회전편(440)의 상부는 체결고리(430)에 연결되어 로드(421)의 전후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패드(460)를 상하로 회전시키고, 지지편(410)의 전단부의 하부에 고정패드(450)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회전패드(460)가 고정패드(450)와 인접하여 나란히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회전패드(460)는 회전편(44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고정패드(450)와의 사이에 파우치(P)를 개재시켜 고정하여 파지하거나, 파우치(P)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
또한, 상기 진입부(10)는, 진입롤러(12)에 의해 안내된 파우치(P)를 진공패드(13)로 진공 흡착한 후,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진공패드(13)가 설치되어 있는 진입프레임(11)을 회전시켜 파우치(P)를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들어올리고, 이와 함께 상기 공급부(400)의 고정패드(450)와 회전패드(460)도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진입부(10)로 이송된 상태에서 파우치(P)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파우치 공급 장치(20)는 도 7a와 같이 진공패드(13)로 진공 흡착되어 공급 대기중인 파우치(P)로 공급부(400)를 이송된 상태에서, 도 7b와 같이 실린더(420)의 로드(421)를 전진시켜 회전패드(460)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고정패드(450)와 회전패드(460) 사이에 파우치(P)를 고정시켜 파지한 후, 도 7c와 같이 커버체(310)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제2회전축(350)에 연결된 공급부(40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공급부(400)를 그립퍼(3)로 이송하며, 이때 도 7d와 같이 실린더(420)의 로드(421)를 후퇴시켜 회전패드(46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파우치(P)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면 파우치(P)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채 그립퍼(3)에 의해 그립된다.
그리고, 도 7a와 같이 커버체(310)를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제2회전축(350)에 연결된 공급부(400)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진입부(10)로 이송하며, 이때 도 7b와 같이 실린더(420)의 로드(421)를 전진시켜 회전패드(460)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새로운 파우치(P)를 고정시켜 파지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공급 장치(20)는 종래기술 대비 이송부와 공급부의 회전반경이 작고 작동시 움직임이 크지 않아서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위험을 감소시켜 안전성이 증대되고, 포장기의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나 안전도어를 더 안쪽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면적이 감소하며, 기존 대비 보다 컴팩트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진동과 소음이 감소되며, 내구성이 증가되고, 파우치의 안정된 파지와 전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로터리 포장기 2. 턴테이블
3. 그립퍼 10. 진입부
11. 진입프레임 12. 진입롤러
13. 진공패드 20. 파우치 공급 장치
30. 파우치 벌림 장치 40. 파우치 충진 장치
50. 파우치 씰링 장치 100. 구동부
110. 구동축 120. 고정축
130. 구동캠 140. 제1링크바
141. 종동캠 150. 제2링크바
160. 제3링크바 161. 수직바
162. 수평바 163. 회동핀
170. 탄성부재 200. 작동부
210. 수직로드 220. 회전로드
230. 제1회전축 300. 이송부
310. 커버체 320. 제1풀리
330. 제2풀리 340. 연결벨트
350. 제2회전축 360. 가압풀리
400. 공급부 410. 지지편
420. 실린더 421. 로드
430. 체결고리 440. 회전편
450. 고정패드 460. 회전패드
P. 파우치

Claims (6)

  1. 포장기에서 진입부로부터 진입된 파우치를 파지하여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그립퍼로 공급하는 파우치 공급 장치에 있어서,
    작동부가 작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되,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편심 회전하고 종동캠과 접촉되어 제1링크바를 전후로 스윙 회전시키는 구동캠,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에 종동캠이 구동캠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단부가 고정축에 연결된 채 전후로 스윙 회전되는 제1링크바, 제1링크바의 상부에 전방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전후로 스윙되는 제2링크바, 수직바와 수평바를 구비한 "┓"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수직바의 하단부가 제2링크바의 전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평바의 후단부가 작동부의 수직로드의 하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하로 스윙 회전하면서 수직로드를 승강시키는 제3링크바, 및 제1링크바의 상단부에 전방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링크바의 스윙 회전을 가이드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동부;
    구동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부를 상하로 회전시키되, 구동부에 의해 승강하는 수직로드와, 일단부는 수직로드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회전축에 연결되어 상하로 스윙 회전하는 회전로드 및 회전로드와 연결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축을 포함하는 작동부;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스윙 회전하여 공급부를 그립퍼로 이송하되, 일단부가 제1회전축에 고정 연결되어 상하로 스윙 회전하는 커버체와, 커버체의 제1회전축 외측에 설치된 제1풀리와, 커버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2풀리,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연결하고 커버체의 상하 스윙 회전시 양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풀리를 회전시키는 연결벨트, 연결벨트의 한쪽 중간에 설치되어 연결벨트를 가압하는 가압풀리 및 제2풀리의 회전에 따라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이송부; 및
    이송부의 제2회전축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진입부와 그립퍼 사이로 이송되어 파우치를 집어서 그립퍼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되,
    제1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송부의 커버체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커버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2풀리와 제2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파우치를 파지한 공급부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그립퍼로 이송되고, 제1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송부의 커버체가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커버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2풀리와 제2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파우치의 파지를 위하여 공급부가 하측으로 회전되어 진입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제1풀리의 직경은 제2풀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연결벨트는 내측면에 돌부와 홈부가 교번 형성되며, 제1풀리 및 제2풀리는 외측면에 돌부와 홈부가 교번 형성되고, 연결벨트의 돌부와 홈부가 제1풀리 및 제2풀리의 홈부와 돌부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공급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중간에 제2회전축이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하는 지지편, 지지편에 고정 설치되고 로드가 전후로 인출입되는 실린더, 로드 끝단에 연결된 체결고리, 지지편의 전단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결고리에 연결되어 로드의 전후진에 따라 회전하면서 회전패드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편, 지지편의 전단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고정패드 및 고정패드와 인접하여 나란히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회전편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고정패드와의 사이에 파우치를 개재시켜 고정하여 파지하거나 파우치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회전패드를 포함하는 파우치 공급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는, 파우치를 진공패드로 진공 흡착한 후, 구동수단에 의해 진공패드가 설치된 진입프레임을 회전시켜 파우치를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들어올리고,
    상기 공급부의 고정패드와 회전패드도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이송된 상태에서 파우치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공급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20070051A 2022-06-09 2022-06-09 파우치 공급 장치 KR102466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051A KR102466104B1 (ko) 2022-06-09 2022-06-09 파우치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051A KR102466104B1 (ko) 2022-06-09 2022-06-09 파우치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104B1 true KR102466104B1 (ko) 2022-11-10

Family

ID=84101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051A KR102466104B1 (ko) 2022-06-09 2022-06-09 파우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1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504A (ja) * 2002-07-25 2003-03-05 General Packer Co Ltd 包装機の給袋装置
JP3123709U (ja) * 2006-05-12 2006-07-27 株式会社古川製作所 包袋機に対する包袋の供給装置
KR101288787B1 (ko) 2012-05-31 2013-07-29 주식회사 솔팩 로터리형 자동포장기의 그립퍼 작동장치
JP7005125B2 (ja) * 2016-04-22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素子、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素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504A (ja) * 2002-07-25 2003-03-05 General Packer Co Ltd 包装機の給袋装置
JP3123709U (ja) * 2006-05-12 2006-07-27 株式会社古川製作所 包袋機に対する包袋の供給装置
KR101288787B1 (ko) 2012-05-31 2013-07-29 주식회사 솔팩 로터리형 자동포장기의 그립퍼 작동장치
JP7005125B2 (ja) * 2016-04-22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素子、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素子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59609A (zh) 一种包装袋自动装袋机
CN108820274B (zh) 一种给袋式包装机
CN110282193B (zh) 连杆式连续给袋机构及操作方法
CN108569440A (zh) 一种自动装料插袋机
KR102466104B1 (ko) 파우치 공급 장치
CN210162382U (zh) 一种真空包装机构及采用该机构的包装线
CN1169938A (zh) 将折平的箱坯抽取,张开并送入包装作业线的顺序作业装置
US5013213A (en) Automatic denesting machine
KR100296061B1 (ko) 반도체가포장권취된테이프릴포장장치
CN218229607U (zh) 一种高效的塑料母粒装袋打包装置
JP2007210677A (ja) 肉部位の包装方法及びその装置
EP1863711B1 (en) Bag loader
EP0868350B1 (en)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valved bags to a filling machine
CN108773527A (zh) 一种自动装料插袋机的控制方法
CN111250618B (zh) 一种灭火器瓶生产工艺
CN208498911U (zh) 一种自动装料插袋机
KR101139798B1 (ko) 상토충전용 연질포트 공급장치
JP3524578B2 (ja) 物品供給装置
CN109105454A (zh) 一种螃蟹清洗装置
JP3954768B2 (ja) 袋敷設装置
CN110053954A (zh) 一种多片状物件定时分批传递运输机及其方法
KR101123912B1 (ko) 비닐봉투 실링장치
CN217436189U (zh) 一种大包装清水笋自动给袋真空密封包装一体装置
CN209796032U (zh) 一种纸巾包装设备的压包装置
JP2006232403A (ja) ファスナー付き包袋の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