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685A -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685A
KR20130143685A KR1020137008120A KR20137008120A KR20130143685A KR 20130143685 A KR20130143685 A KR 20130143685A KR 1020137008120 A KR1020137008120 A KR 1020137008120A KR 20137008120 A KR20137008120 A KR 20137008120A KR 20130143685 A KR20130143685 A KR 20130143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group
surfactant
aci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886B1 (ko
Inventor
미요코 오기하라
모모코 시오야마
마사히코 다나카
노보루 요시노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7726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14368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10Amino carboxylic acids; Imino carboxylic acids; Fatty acid condensat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0Beta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일정량 이상 함유하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세정용 조성물이며, 적절한 점도를 갖고, 컨디셔닝 효과가 풍부한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CLEANING SCALP AND HEAD HAIR}
본 발명은 적당한 점도를 가지며, 컨디셔닝 효과를 갖는 사용감이 우수한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샴푸 등의 모발 화장료의 컨디셔닝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음이온 계면활성제, 수용성 수지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피부나 모발을 아프게 하지 않고 세정 작용을 갖는 자극성이 낮은 우수한 계면활성제로서 신체용 및 모발용 세정제에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2).
일반적으로 바디 소프(soap)나 샴푸 등의 세정제는 용기로부터 손바닥에 취출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적절한 점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높으면, 그 모발 세정제의 점성은 낮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 저점성을 보충할 목적에서는 구아검 등의 증점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이용되지만, 다당류 등의 증점제에 따라서는, 그 첨가에 의해 백탁 등의 색조 변화나 침전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의 증점제를 첨가한 경우의 색조 변화나 침전 등의 문제로부터 하나의 해결 수단으로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증점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아실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 세정 성분으로서 함유한 경우에 있어서는, 비이온성 성분을 첨가하여도 그 증점 작용이 발휘되지 않아 점성을 높이는 것이 곤란하다고 되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주 세정 성분으로 하는 경우에는 저점도로 되어 사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실제,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저농도에서의 사용에 한정된다. 그 결과,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에 기대되는 컨디셔닝 효과는 낮아져 실리콘 등의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컨디셔닝 효과의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은 모발ㆍ두피에 축적되어 기름기있는 감촉을 나타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고농도로 사용한 세정 조성물에서는 거품이 적은 등의 문제가 있다.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고농도로 함유하면서 사용에 적합한 점도를 유지하며, 우수한 속포성(速泡性)을 갖는 세정 조성물은 알려져 있지 않다.
국제 공개 WO2005/074868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06908호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에의 자극이 적기 때문에 두피 두발용 등으로서 유용한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대해서는, 통상의 계면활성제보다도 점도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취급의 점에서 샴푸 등에 고함량으로 배합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적당한 점도를 가지며, 고함량으로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아울러 우수한 컨디셔닝 작용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바, 고함량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특정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일정한 범위로 함유시킴으로써, 증점제를 사용하지 않고 적절한 점도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3 성분에 양이온성 고분자를 첨가함으로써 두피 자극성이 낮고, 또한 모발 보호 작용이 높은 세정용 조성물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세정제로서 고객의 편리성 및 사용감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실리콘 등을 배합하지 않고 컨디셔닝 작용도 갖는 세정제, 특히 샴푸, 컨디셔닝 샴푸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아실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 성분을 통상 이용되는 함량보다 높은 5 내지 20중량% 포함하고,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300mPaㆍs 이상의 고점도를 갖는 조성물이다. 또한, 양이온성 고분자를 배합함으로써, 본 세정용 조성물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능이 높아져 손상모의 수복 등의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검토를 더 거듭함으로써 완성시킨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항 1.
성분 (a):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5 내지 20중량%
성분 (b):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성분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5 내지 10중량%
를 포함하며, 20℃에서의 점도가 300 내지 4000mPaㆍ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조성물.
항 2.
성분 (a)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가 하기 식을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
Figure pct00001
[식 중,
R은 탄소수 8 내지 20의 아실기이고,
n은 1 또는 2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류 금속, 암모늄기,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 또는 알칸올아민의 양이온성 잔기임]
항 3.
R이 카프릴로일기, 카프리노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야자유 지방산 아실기, 팜핵유 지방산 아실기, 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항 2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
항 4.
성분 (a)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가 라우로일아스파라긴산, 코코일글루탐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
항 5.
성분 (a)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가 7 내지 15중량%, 성분 (c)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2 내지 5중량% 포함되는, 상기 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
항 6.
성분 (b)의 배합량이 성분 (c)의 중량의 0.5 내지 7배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
항 7.
성분 (c)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알킬렌 부가형, 폴리옥시프로필렌ㆍ에틸렌 부가형, 아민옥시드계, 모노 또는 디에탄올아미드계,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경화 피마자유계, 알킬에테르계 및 알킬글루코시드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
항 8.
성분 (d): 양이온성 고분자를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025 내지 1배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
항 9.
성분 (d)의 양이온성 고분자가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및/또는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ㆍ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8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
항 10.
성분 (e): 성분 (a) 이외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
항 11.
성분 (e)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6 내지 20의 아실기와 타우린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실기와 알라닌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술폰산 또는 그의 염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항 10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
항 12.
두피 두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
항 13.
성분 (a): 아스파라긴산 또는 글루탐산기를 갖는 아실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5 내지 20중량%,
성분 (b):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성분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성분 (d): 양이온성 고분자
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성분 (b)는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25 내지 2배량이고,
성분 (c)는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배량이고,
성분 (d)는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025 내지 1배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항 14.
상기 항 13에 기재된 세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 조성물을 물로 5 내지 100배로 희석하였을 때, 코아세르베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3에 기재된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항 15.
성분 (e): 성분 (a) 이외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상기 항 13 또는 14에 기재된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항 16.
성분 (e)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6 내지 20의 아실기와 타우린 골격 또는 알라닌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술폰산 및 그의 염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항 17.
성분 (e)가 코코일메틸타우린, 카프로일메틸타우린, 라우로일메틸알라닌, 테트라데센술폰산 및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3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항 18.
성분 (a): 아스파라긴산 또는 글루탐산기를 갖는 아실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5 내지 20중량%,
성분 (b):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성분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성분 (e): 탄소수 6 내지 20의 아실기와 타우린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실기와 알라닌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술폰산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를 포함하며,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25 내지 2배량의 성분 (b), 0.1 내지 1배량의 성분 (c), 0.01 내지 0.6배량의 성분 (e)를 함유하는, 세정용 조성물.
항 19.
성분 (d): 양이온성 고분자
를 더 함유하며, 상기 성분 (d)를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025 내지 1배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8에 기재된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으면서 적절한 점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두피 및 두발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소정량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와 함께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그에 의해,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세정용 조성물로서 적당한 점도를 가지며, 두피 자극성이 낮고, 컨디셔닝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조성물에 양이온성 고분자를 첨가함으로써,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이 촉진되어, 세정시의 부드러움이나 건조 후의 손가락 빗질 등의 머리카락의 매끄러움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시험예 5-1에 있어서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양이온성 고분자를 더 배합한 세정액의 희석에 의한 코아세르베이트 형성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시험예 5-2에 있어서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복수종의 양이온성 고분자를 더 조합하여 배합한 세정액의 희석에 의한 코아세르베이트 형성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시험예 7에 있어서 손상모를 세정액 10으로 처리한 전후의 모발 표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5 내지 20중량% 포함하며,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이란, 예를 들면 두피 및/또는 두발 및 전신의 세정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두피 두발용 샴푸 및 컨디셔닝 샴푸를 들 수 있고, 또한 전신용 샴푸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란, 아실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이며, 특히 아실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미노산기를 2개 이상 부가한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아실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카르보닐기이다.
아실기에는, 예를 들면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크산, 팔미톤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야자유 지방산, 피마자유 지방산, 올리브유 지방산, 팜유 지방산, 팜핵유 지방산, 경화 우지 지방산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아실기를 들 수 있다.
아실기의 탄소수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탄소수 8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세정 후의 머리카락 빗질 등의 유효성 면에서 탄소수 10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서, 구체적으로는 라우로일아스파라긴산이나 코코일글루탐산, 미리스토일글루탐산,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탐산, 라우로일메틸알라닌, 코코일사르코신, 코코일글리신 및 이들의 염이 예시되며,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의 금속염 외에 암모늄염, 아민염, 염기성 아미노산염, 콜린염 등을 들 수 있다.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에 포함되는 아미노산기의 종류로서는 아스파라긴산 및 글루탐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로일아스파라긴산이나 코코일글루탐산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아미노포머(상표)나 아미노서팩트(상표)(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로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적으로 사용되는 탄소수가 10 내지 15인 아실기와 산성 아미노산기를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로일아스파라긴산이나 코코일글루탐산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에는 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2TEA, 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디에틸, 라우로일아스파라긴산 Na, 라우로일아스파라긴산아연, 카프릴로일글루탐산 2Na, 코코일글루탐산, 코코일글루탐산 2Na, 코코일글루탐산 K, 코코일글루탐산 Na, 코코일글루탐산 TEA, 디라우로일글루탐산 Mg, 디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 Na, 스테아로일글루탐산, 스테아로일글루탐산 2Na, 스테아로일글루탐산 Al, 스테아로일글루탐산 K, 스테아로일글루탐산 Na, 스테아로일글루탐산 디옥틸도데실, 팔미토일글루탐산 Mg, 미리스토일글루탐산, 미리스토일글루탐산 K, 미리스토일글루탐산 Na, 라우로일글루탐산, 라우로일글루탐산 2Na, 라우로일글루탐산 K, 라우로일글루탐산 Na, 라우로일글루탐산 TEA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한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서, 하기 식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2
[식 중,
R은 탄소수 8 내지 20(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15)의 아실기이고,
n은 1 또는 2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알칼리토류 금속(예를 들면 칼슘, 마그네슘), 암모늄기,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리신, 아르기닌) 또는 알칸올아민(예를 들면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의 양이온성 잔기임]
바람직한 R의 예로서는 카프릴로일기, 카프리노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야자유 지방산 아실기, 팜핵유 지방산 아실기, 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가 10 내지 15인 R에는, 예를 들면 카프리노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야자유 지방산 아실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 중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으로서는 5 내지 2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2중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란, 양이온(양이온(cation)기)과 음이온(음이온(anion)기)의 쌍방을 함께 갖고 있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베타인 골격(일부가 치환된 형태를 포함함)을 갖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이하,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라고 함)가 적합하다.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디메틸베타인, 미리스틸디메틸베타인, 팔미틸디메틸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베타인, 올레일디메틸베타인, 야자유 알킬디메틸베타인, 라우릴메틸에틸베타인, 라우릴디히드록시에틸베타인, 스테아릴디히드록시에틸베타인, 야자유 알킬디히드록시에틸베타인 등의 알킬카르복시베타인; 옥타데실옥시메틸디메틸베타인 등의 에테르카르복시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베타인, 미리스트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베타인, 스테아르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베타인, 올레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등의 아미도카르복시베타인 등을 포함하는 카르복시베타인형; 라우릴디메틸히드록시프로필술포베타인, 미리스틸디메틸히드록시프로필술포베타인, 라우릴디메틸프로필술포베타인, 야자유알킬디메틸프로필술포베타인 등의 알킬술포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히드록시프로필술포베타인, 라우로일아미도프로필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의 아미도술포베타인 등을 포함하는 술포베타인형; 라우릴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미리스틸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스테아릴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알킬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의 이미다졸린형 외에, 글리신형, 아미노프로피온산형, 술폰산형, 황산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인산형 또는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에 있어서는 베타인 골격과 탄소수 10 내지 18의 지방산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그 이하인 지방산에 있어서는 자극성이, 그 이상인 것에 있어서는 거품의 저하가 우려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의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 중의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중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일반적으로 화장료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POE)알킬에테르, POE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POE 아릴에테르, POE 경화 피마자유 에테르, POE 피마자유 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POE 모노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POE 소르비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부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라우로일부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화 다당 등의 당 유도체,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지방산 알칸올아미드(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메틸에탄올아미드), POE 알킬아민, 아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알킬글리콜과 프로필렌글리콜을 축합시킨 구조를 취하는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되며, 예를 들면 라우릴글리콜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 또는 미리스틸글리콜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알킬렌 부가형(예를 들면 라우로일부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ㆍ에틸렌 부가형, 아민옥시드계, 모노 또는 디에탄올아미드계(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메틸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POE 모노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POE 소르비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경화 피마자유계, 알킬에테르계(예를 들면 라우릴글리콜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 및 알킬글루코시드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 중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이다.
본 조성물에 있어서는 세정용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적당한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에 있어서 바람직한 점도로서는 300 내지 4000mPaㆍs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3000mPaㆍs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본 조성물은 바디 소프나 샴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기로부터 손에 취할 때 적절한 사용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점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B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 측정 방법을 들 수 있으며, 20℃에서 로터 No.2 또는 3을 이용하여 매분 12 또는 30회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일본 약전(일반 시험법, 점도 측정법, 제2법 (2) 회전 점도계법, 단일 원통형 회전 점도계, 20℃, 매분 12 또는 30회전, 로터 No.2 또는 3)에 기초한 방법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 중의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서는,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유 중량을 1로 하였을 때, 0.25 내지 2배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배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배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 중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서는,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유 중량을 1로 하였을 때, 0.1 내지 1배량,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7배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배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점도를 가져오기 위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 비율로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 중량을 1로 하였을 때,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0.5 내지 7배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배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배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에 있어서는, 또한 성분 (d):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을 촉진하여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더 높이고, 세정 후의 마무리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양이온성 고분자로서는, 양이온성 기를 포함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염화 O-[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염화히드록시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가수분해 단백질, 양이온화 비닐계 또는 아크릴계 중합체(예를 들면,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ㆍ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또는 양이온화 비닐계 또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고분자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쿼터늄-4/히드록시프로필전분 공중합체,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64, 폴리쿼터늄-7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이온성 고분자는 2종 이상의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 중의 양이온성 고분자의 함유량으로서는,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을 위하여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에 맞추어 배합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유 중량을 1로 한 경우, 0.025 내지 1배량,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6배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5배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코아세르베이트(또는 코아세르베이션)란,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고분자를 배합한 세정액(샴푸)을 물로 희석하였을 때 특정한 농도 영역에서 형성되는 불용성 콤플렉스(complex)이며,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은 모발과 손가락의 마찰을 감소시켜 양호한 슬립감, 손가락 빗질감을 만들어내어 세정 후의 머리카락의 손가락 빗질이나 머리빗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모발의 컨디셔닝에 기여한다. 코아세르베이트가 모발 세정시, 특히 헹굴 때에도 그 형성이 유지됨으로써 세정 후의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의 코아세르베이트 효과는 두피, 두발 세정시(세정 원액을 1로 하였을 때의 상대 농도는 통상 0.1 내지 0.2임) 외에, 세정 후의 헹굼시(세정 원액을 1로 하였을 때의 상대 농도는 통상 0.1 이하임)에 있어서도 효과를 갖기 때문에, 넓은 사용 로케이션에 있어서 코아세르베이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세정용 조성물의 pH는, 통상 두피 두발에 이용되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pH를 특정한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pH는 4 내지 8, 또한 제조에 있어서 점성을 안정화시키는 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5의 범위이다.
또한, 본 조성물에 있어서는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속포성을 보충할 목적에서, 성분 (e):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해당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아스파라긴산이나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기를 갖는 아실아미노산계(성분 (a)) 이외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라우로일메틸타우린, 라우로일메틸알라닌, 테트라데센술폰산, 코코일메틸타우린, 코코일에틸에스테르술폰산, 카프로일메틸타우린 및 이들의 염(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트리에탄올아민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성분 (e):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아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20)와 타우린 골격 또는 알라닌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코코일메틸타우린, 카프로일메틸타우린, 라우로일메틸알라닌 및 그의 염이나,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술폰산, 예를 들면 알킬벤젠술폰산이나 테트라데센술폰산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실기와 타우린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란, 예를 들면 하기 식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코코일메틸타우린, 카프로일메틸타우린이 포함된다.
Figure pct00003
[식 중,
R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아실기이고,
X1은 수소,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알칼리토류 금속(예를 들면 칼슘, 마그네슘), 암모늄기,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리신, 아르기닌) 또는 알칸올아민(예를 들면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의 양이온성 잔기임]
여기서, 아실기란,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예를 들면 카프로일기, 카프릴로일기, 카프리노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야자유 지방산 아실기, 팜핵유 지방산 아실기, 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기를 들 수 있다.
아실기와 알라닌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란, 예를 들면 하기 식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라우로일메틸알라닌이 포함된다.
Figure pct00004
[식 중,
R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아실기이고,
X1은 수소,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알칼리토류 금속(예를 들면 칼슘, 마그네슘), 암모늄기,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리신, 아르기닌) 또는 알칸올아민(예를 들면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의 양이온성 잔기임]
여기서, 아실기란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예를 들면 카프로일기, 카프릴로일기, 카프리노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야자유 지방산 아실기, 팜핵유 지방산 아실기, 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기를 들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술폰산으로서 바람직한 예로서는, 알킬(C10-14)벤젠술폰산이나, α-올레핀(C10-20)술폰산, α-올레핀(C12-16)술폰산, α-올레핀(C12-14)술폰산, α-올레핀(C14-16)술폰산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속포성을 보충할 목적에서 추가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으로서는 조성물 중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 중의 상기 속포성을 보충할 목적에서 추가되는 성분 (e)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으로서, 성분 (a)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유 중량을 1로 하였을 때, 0.01 내지 0.6배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배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극성을 낮게 유지한 채로, 또한 상쾌감을 높일 목적에서 여러가지 청량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배합하는 청량 성분으로서는 천연 유래, 합성품, 그의 염, 이들을 포함하는 성분 등의 형태에 있어서는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이들은 1종 단독,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배합되는 청량 성분으로서는 멘톨 외에 청량감을 부여하는 정유, 식물 유래 성분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 중의 청량 성분의 함량으로서는 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2 내지 0.6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상의 양을 배합한 경우에는 피부에의 자극을 수반할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에,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이점이 손상될 가능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실리콘 성분이란, 예를 들면 산화규소(SiO)를 기본 골격으로 한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에 친수성 치환기를 도입한 것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ㆍ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프로필렌ㆍ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ㆍ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테트라히드로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스테아르옥시메틸폴리실록산, 세톡시메틸폴리실록산, 메틸폴리실록산 에멀젼,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규산, 가교형 메틸폴리실록산, 가교형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카르복실 변성 실리콘, 카르비놀 변성 실리콘, 메타크릴 변성 실리콘, 머캅토 변성 실리콘, 페놀 변성 실리콘, 편말단 반응성 실리콘, 이종 관능기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메틸스티릴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친수성 특수 변성 실리콘,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함유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등의 각종 유도체도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실리콘 성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실리콘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캐리 오버(carryover)나 보존액 중에 포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실리콘 성분을 유효량 포함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모발의 코팅 작용 등의 컨디셔닝 효과를 발휘하는 농도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점도를 향상시키는 데 증점제(예를 들면, 셀룰로오스검, 구아검, 젤란검, 스클레로티움검, 셀룰로오스검 등의 구아검) 등을 포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투명성이 높은 조성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장기간 보존하에서의 산화에 의한 착색을 방지하고 투명성을 유지시킬 목적에서는, 예를 들면 아황산나트륨 등의 산화 방지제나 착색 방지제를 예를 들면 0.01 내지 0.5중량% 배합할 수도 있다. 한편, 투명성이 높은 본 조성물에 있어서는, 그 착색은 용이하며, 시판 중인 착색료를 첨가함으로써 기대되는 색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세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용제로서는 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유량은 0.5 내지 5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 양은 다른 성분에 의존하여 적량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통상 세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통상 세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으로서는, 상술한 것도 포함시켜 계면활성제, 중합체 성분, 보습제, 방부제, 이소프로필메틸페놀 등의 살균제, 글리실리진 등의 항염증제, 수산화나트륨이나 시트르산 등의 pH 조정제, EDTA 등의 금속 봉쇄제, 등장화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발의 표면을 더 보호하기 위한 트리트먼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에는 적절하게 활성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활성 성분이란, 육모 성분이나 발모 성분, 방취, 항비듬 성분 등 외에 두피, 두발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성분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활성 성분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아데노신, 아데노신인산, 비타민류, 미네랄류, 에데트산, 유장 등의 젖 유래 성분, 염화카르프로늄, 카밀레유, 히노키티올, 벤질아미노푸린, 미녹시딜, 피나스테라이드 및 이들의 염 또는 유도체, 생강, 은행나무, 알로에, 마늘, 감초, 카밀레, 회향풀, 팅크, 자주쓴풀, 상근피, 인삼, 목단피, 동충하초, 푸코이단 등의 해초 유래 성분, 키토필머, 살리실산, 이프시톨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시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특단의 기재가 없는 한, 그 표기는 중량%(w/w%)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시험예 1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에 의한 사용감 변화의 검토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종류나 양 및 조합에 의한 두발 세정제로서의 사용감의 변화를 검토할 목적에서 표 1과 같이 세정제를 제조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 방법 및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내어지는 세정제를 제조하고, 미리 적신 상태의 두발에 세정제를 각각 적량 거품내어 사용하고, 두발을 세정하였을 때 및 씻어낸 사용감에 대하여 검토하였다(표 중, 수치는 중량비를 나타냄).
Figure pct00005
상기 표 1에서 기재되는 사용감이란, 두발 세정시의 두피에의 자극, 세정 후의 헹굼시의 손가락 빗질이나, 사용 후의 두피 두발의 부시시한 느낌을 평가한 것이다.
불만족한 사용감인 경우: △, 만족한 사용감인 경우: ○로서 나타내었다.
또한, 처방의 제조는 종래 사용되는 일반적인 수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 결과에 의해 사용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성 아미노산기를 갖는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5중량% 이상, 특히 그 아미노산이 아스파라긴산 및 글루탐산 등인 것이 좋다는 것이 밝혀졌다.
시험예 2 점성의 검토
다음에,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제의 저점성을 보충할 목적에서,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였을 때의 점도 변화를 검토하였다.
점도 측정 방법: 본 조성물의 점도의 측정은 B형 점도계(BL형(도끼 산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저점도의 제제(<400mPaㆍs)는 로터 No.2를, 점성이 비교적 높은 것은 로터 No.3을 사용하여 20℃의 조건하에서 12 또는 30rpm의 속도로 정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우선,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로일아스파라긴산나트륨과 코코일글루탐산 트리에탄올아민을 등량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점도를 높이는 데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발견할 목적에서, 최종 농도 3중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혼합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합쳐서 최종 농도 15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물을 첨가하여 3 계면활성제 혼합 조성물(즉,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혼합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물의 혼합물)을 제조하여 그 점도 변화를 검토하였다. 또한, 여기서 이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로일아미도프로필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알킬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또는 라우릴아미노디아세트산염이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로일부틸렌글리콜, 라우릴글리콜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 또는 야자유 지방산 메틸에탄올아미드이다.
여기서 점도 변화란,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혼합 조성물(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최종 농도 15중량%와 물의 혼합물)의 점도에 대하여, 3 계면활성제 혼합물(즉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혼합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물의 혼합물)의 점도는 증가하였는지의 여부를 의미한다.
또한, 점도를 측정한 조성물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라우로일부틸렌글리콜, 라우릴글리콜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 또는 야자유 지방산 메틸에탄올아미드)는 3중량%이고,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합쳐서 15중량%이다.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Figure pct00006
이 결과,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베타인 골격을 갖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조합함으로써,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저점성이 개선되고, 점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의 점성을 검토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정하였더니, 점성이 높아진 조성물에서는 거품질 및 거품의 유지성도 높아져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시험예 3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농도에 의한 점도 변화
다음에,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과 점도의 관계를 검토할 목적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POE 모노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을 이용하고, 하기 표 3에 기재하는 시험액 1 내지 4를 제조하여 그 점도 변화를 측정하였다(표 중, 수치는 중량비를 나타냄).
Figure pct00007
점도의 측정 방법은 시험예 2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본 결과로부터 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존재가 필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액 2 내지 4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300mPaㆍs 이상의 점도를 갖기 때문에, 샴푸 등으로서 적합한 점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4 속포성의 개선
상기 시험예 1 내지 3에서 검토한 조성물에 있어서, 거품, 특히 속포성을 보충할 목적에서,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였을 때의 거품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속포량의 검토를 위하여, 하기 표 4에 기재된 대조액 및 제조액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표 중, 수치는 중량비를 나타냄). 그 후, 대조액과 제조액 1 내지 5를 각각 정제수로 7배로 희석하고, 파이버 믹서(MX-X58(파나소닉))를 이용하여 실온하에서 저속 모드로 5초간 교반시켰다. 직후에 얻어진 거품량(mL)을 속포량으로 하고, 대조액과 제조액의 거품량의 차를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8
그 결과, 대조액에 대하여 아스파라긴산이나 글루탐산기를 갖는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더 증량, 첨가한 제조액 1, 2에 있어서는 거품량의 증가는 약간이었다. 그에 대하여, 다른 종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첨가한 제조액 3 내지 5에 있어서는, 그 거품량이 크고, 속포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5-1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
시험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양이온성 고분자를 더 첨가한 조성물의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우선, 표 5와 같이 양이온성 고분자인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1의 첨가량이 상이한 세정액 1 내지 4를 제조하였다(표 중, 수치는 중량비를 나타냄). 제조 후, 각각을 정제수로 희석하고, 희석액의 40℃에서의 420nm에서의 투과율(%)을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UV-1800(시마즈 세이사꾸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투과율로부터 탁도(%)를 이하의 식으로 산출하고,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량으로서 평가하였다.
탁도(%)=100-투과율(%)
Figure pct00009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액 1의 희석액의 탁도의 상승은 작고,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이 적은 것이 확인되었다. 그에 대하여, 세정액 2 내지 4는 희석에 의해 충분한 탁도의 상승이 확인되었다. 이것으로부터 세정액 2 내지 4에 있어서는 세정 또는 헹굼시에 코아세르베이트가 형성되어 샴푸로서 두발에 사용한 경우, 높은 컨디셔닝 효과가 기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5-2
또한, 중합도가 상이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나 양이온화 중합체의 존재하에서의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을 확인할 목적에서, 하기 표 6에 기재된 세정액 5 내지 9를 제조하고, 시험예 5-1과 마찬가지로 희석시의 탁도 변화로부터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의 변화를 평가하였다(표 중, 수치는 중량비를 나타냄).
Figure pct00010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합도가 상이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나 양이온화 중합체를 조합한 세정액 5 내지 8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높은 탁도가 확인되었다. 한편, 세정액 9에서는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은 확인되지만, 희석에 의해 응어리가 형성되어 액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조성물에 있어서,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6
본 발명 조성물의 실제 모발에의 영향을 확인할 목적에서, 이하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람 모발을 묶은 머리 다발에 브리치 처리, 퍼머 처리 및 초음파 세정을 행하여 손상모를 제조하였다. 그 손상모에 하기 표 7에 나타내는 세정액 10(0.2g)을 손상모에 도포하여 1분간 거품을 낸 후, 세정액을 제거하였다(표 중, 수치는 중량비를 나타냄). 다시 0.1g의 세정액 10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1분간 거품을 낸 후, 세정액을 제거하고 건조시켰다. 상기 처리를 행한 머리 다발의 매끄러움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찰감 테스터 KES-SE-DC(가토테크)를 이용하여 그 처리 유무에 의한 차이를 측정하였다.
상기 마찰감 테스터는 인간이 물체의 표면을 문지를 때에 느끼는 매끄러움, 거칠한 느낌을 분석하는 시험기이다. 거칠한 느낌은 평균 마찰 계수의 변동(MMD)으로서 수치화되며, MMD의 값이 작을수록 물체의 표면은 매끄러운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세정액 처리모 다발에서는 손상모 다발에 비하여 매끄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세정액 10의 처리가 손상모의 매끄러움을 개선시킨 것이 확인되었다. 세정액 10의 처리에 의해 모발에 코아세르베이트가 형성된 것에 의해, 손상모의 매끄러움을 개선하였다고 생각된다.
시험예 7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의 모발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목적에서, 처치 후 모발의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판 중인 탈색액과 모발 염색약으로 처리하여 사람 머리 다발로부터 손상모를 제조하고, 이것을 처리 전 샘플로 하였다. 그것을 50℃의 10% 세정액 10에 1분간 침지한 후에, 세정, 건조시킨 것을 처리 후 샘플로 하였다. 그 전후에서의 모발의 표면 변화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JSM-6380LV(니혼 덴시))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전의 손상모에 있어서는 모발 표면의 다개소에 박리가 확인되었다. 그에 대하여, 처리 후 샘플에 있어서는 박리가 감소되고, 모발의 표면이 매끄럽게 되어 있는 것이 구조적으로 확인되었다.
이하 조성의 투명성이 높은 두피, 두발용 세정제가 제조된다.
Figure pct00013

Claims (15)

  1. 성분 (a):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5 내지 20중량%
    성분 (b):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성분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5 내지 10중량%
    를 포함하며, 20℃에서의 점도가 300 내지 4000mPaㆍ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가 하기 식을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조성물.
    Figure pct00014

    [식 중,
    R은 탄소수 8 내지 20의 아실기이고,
    n은 1 또는 2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류 금속, 암모늄기,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 또는 알칸올아민의 양이온성 잔기임]
  3. 제2항에 있어서, R이 카프릴로일기, 카프리노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야자유 지방산 아실기, 팜핵유 지방산 아실기, 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정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가 라우로일아스파라긴산, 코코일글루탐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의 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가 7 내지 15중량%, 성분 (c)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2 내지 5중량% 포함되는 세정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의 배합량이 성분 (c)의 중량의 0.5 내지 7배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 양이온성 고분자를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025 내지 1배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성분 (d)의 양이온성 고분자가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및/또는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ㆍ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e): 성분 (a) 이외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성분 (e)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6 내지 20의 아실기와 타우린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실기와 알라닌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술폰산 또는 그의 염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정용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피 두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조성물.
  12. 성분 (a): 아스파라긴산 또는 글루탐산기를 갖는 아실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5 내지 20중량%,
    성분 (b):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성분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성분 (d): 양이온성 고분자
    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성분 (b)는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25 내지 2배량이고,
    성분 (c)는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배량이고,
    성분 (d)는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025 내지 1배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 조성물을 물로 5 내지 100배로 희석하였을 때, 코아세르베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성분 (e): 성분 (a) 이외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15. 성분 (a): 아스파라긴산 또는 글루탐산기를 갖는 아실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5 내지 20중량%,
    성분 (b):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성분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성분 (e): 탄소수 6 내지 20의 아실기와 타우린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실기와 알라닌 골격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술폰산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를 포함하며,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25 내지 2배량의 성분 (b), 0.1 내지 1배량의 성분 (c), 0.01 내지 0.6배량의 성분 (e)를 함유하는 세정용 조성물.
KR1020137008120A 2010-08-31 2011-08-09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KR101879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94281 2010-08-31
JPJP-P-2010-194281 2010-08-31
PCT/JP2011/068154 WO2012029514A1 (ja) 2010-08-31 2011-08-09 頭皮頭髪洗浄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685A true KR20130143685A (ko) 2013-12-31
KR101879886B1 KR101879886B1 (ko) 2018-08-17

Family

ID=4577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120A KR101879886B1 (ko) 2010-08-31 2011-08-09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216491A1 (ko)
EP (1) EP2612653B2 (ko)
JP (2) JP6004940B2 (ko)
KR (1) KR101879886B1 (ko)
CN (1) CN103179946B (ko)
AU (1) AU2011297347B2 (ko)
SG (1) SG188332A1 (ko)
TW (1) TWI590834B (ko)
WO (1) WO20120295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789A (ko) * 2017-04-28 2019-11-01 로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88332A1 (en) * 2010-08-31 2013-04-30 Otsuka Pharma Co Ltd Composition for cleaning scalp and head hair
JP5902929B2 (ja) * 2011-12-01 2016-04-13 中野製薬株式会社 毛髪洗浄料および毛髪保護料、並びに毛髪処理方法
JP2013170163A (ja) * 2012-02-23 2013-09-02 Asahi Kasei Chemicals Corp 毛髪処理剤
US10864275B2 (en) 2012-05-30 2020-12-15 Clariant International Ltd. N-methyl-N-acylglucamine-containing composition
US10813862B2 (en) 2012-05-30 2020-10-27 Clariant International Ltd. Use of N-methyl-N-acylglucamines as solubilizers
EP2854951B1 (de) * 2012-05-30 2016-09-07 Clariant International Ltd. Zusammensetzung enthaltend aminosäuretenside, betaine und n-methyl-n-acylglucamine mit verbesserter schaumqualität und höherer viskosität
DE102012021647A1 (de) 2012-11-03 2014-05-08 Clariant International Ltd. Wässrige Adjuvant-Zusammensetzungen
JP6113461B2 (ja) * 2012-11-14 2017-04-12 株式会社ミルボン シャンプー組成物
US20160074310A1 (en) * 2013-04-20 2016-03-17 Clariant International Ltd. Composition Containing Oil Bodies, Fatty Acids, Amino Acid Surfactants And N-Methyl-N-Acylglucamines
JP6454980B2 (ja) * 2014-04-21 2019-01-23 日油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
DE102014005771A1 (de) 2014-04-23 2015-10-29 Clariant International Ltd. Verwendung von wässrigen driftreduzierenden Zusammensetzungen
JP6654573B2 (ja) * 2014-10-30 2020-02-26 株式会社コーセー シャンプー組成物
JP6715572B2 (ja) * 2015-03-20 2020-07-01 株式会社ミルボン シャンプー組成物
CN107530257B (zh) 2015-04-23 2022-03-29 宝洁公司 表面活性剂可溶性去头皮屑剂的递送
RU2746990C2 (ru) 2015-05-01 2021-04-23 Л'Ореаль Применение активных агентов при 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е
DE102015219608B4 (de) 2015-10-09 2018-05-03 Clariant International Ltd Universelle Pigmentdispersionen auf Basis von N-Alkylglukaminen
DE102015219651A1 (de) 2015-10-09 2017-04-13 Clariant International Ltd.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Zuckeramin und Fettsäure
JP6666684B2 (ja) * 2015-10-20 2020-03-1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毛髪洗浄組成物、褪色抑制剤、及びそれらを用いた毛髪の褪色を抑制する方法
RU2771234C2 (ru) 2015-11-24 2022-04-28 Л'Ореаль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лос
WO2017091797A1 (en) 2015-11-24 2017-06-01 L'oreal Compositions for treating the hair
ES2893123T3 (es) 2015-11-24 2022-02-08 Oreal Composiciones de tratamiento del cabello
KR20180109879A (ko) 2015-12-14 2018-10-08 시노 라이온 유에스에이 엘엘씨 농밀화 클렌징 조성물 및 그의 적용 및 제조 방법
CN108697609A (zh) 2016-03-03 2018-10-23 宝洁公司 气溶胶去头皮屑组合物
DE202016003070U1 (de) 2016-05-09 2016-06-07 Clariant International Ltd. Stabilisatoren für Silikatfarben
US11154467B2 (en) 2016-10-21 2021-10-26 The Procter And Gamble Plaza Concentrated shampoo dosage of foam designating hair conditioning benefits
WO2018075847A1 (en) 2016-10-21 2018-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shampoo dosage of foam designating hair volume benefits
MX2019003107A (es) 2016-10-21 2019-09-13 Procter & Gamble Productos de champu compactos y estables con baja viscosidad y agente reductor de viscosidad.
CN109862941A (zh) 2016-10-21 2019-06-07 宝洁公司 用于提供毛发护理有益效果的浓缩型洗发剂泡沫剂型
US11135150B2 (en) 2016-11-21 2021-10-05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emically treated hair
JP6828889B2 (ja) * 2017-02-15 2021-02-10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WO2018183880A1 (en) * 2017-03-31 2018-10-04 L'oreal Methods for treating hair
WO2018183893A1 (en) * 2017-03-31 2018-10-04 L'oreal Kit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11433011B2 (en) 2017-05-24 2022-09-06 L'oreal Methods for treating chemically relaxed hair
US11141370B2 (en) 2017-06-06 2021-10-1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air compositions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 mixture and providing improved in-use wet feel
US11679073B2 (en) 2017-06-06 2023-06-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ompositions providing improved in-use wet feel
US11224567B2 (en) 2017-06-06 2022-01-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air compositions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silicone mixture providing improved in-use wet feel
EP4108228A1 (en) 2017-10-10 2022-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lfate free clear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low inorganic salt
MX2020003316A (es) 2017-10-10 2021-12-06 Procter & Gamble Composición de champú compacto que contiene surfactantes libres de sulfato.
MX2020003318A (es) * 2017-10-10 2021-12-06 Procter & Gamble Composición de champú compacta con surfactantes aniónicos a base de aminoácidos y polímeros catiónicos.
MX2020003315A (es) 2017-10-10 2021-12-06 Procter & Gamble Método para tratar el cabello o la piel con una composición para el cuidado personal en forma de espuma.
CN113616552A (zh) 2017-12-29 2021-11-09 欧莱雅 用于改变毛发颜色的组合物
EP3813774A1 (en) 2018-06-29 2021-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surfactant aerosol antidandruff composition
US11090249B2 (en) 2018-10-31 2021-08-17 L'oreal Hair treatment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treating hair
JP6593897B1 (ja) * 2018-12-18 2019-10-23 資生堂ホネケーキ工業株式会社 染色処理毛髪用シャンプー
JP7189825B2 (ja) * 2019-04-01 2022-12-14 川研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
US11419809B2 (en) 2019-06-27 2022-08-23 L'oreal Hair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CN110731915B (zh) * 2019-11-25 2023-05-16 广州宏度精细化工有限公司 清洁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化妆品
US11980679B2 (en) 2019-12-06 2024-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lfate free composition with enhanced deposition of scalp active
WO2021173203A1 (en) 2020-02-27 2021-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ti-dandruff compositions with sulfur having enhanced efficacy and aesthetics
JP6941895B1 (ja) * 2020-04-23 2021-09-29 玉理化学株式会社 毛髪損傷個所を視覚化する化粧料
CN112043614B (zh) * 2020-08-21 2023-05-05 云南白药集团健康产品有限公司 选择性清洗组合物及头皮毛发护理产品
US11819474B2 (en) 2020-12-04 202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malodor reduction materials
CN112957998B (zh) * 2021-02-08 2022-12-13 张家港格瑞特化学有限公司 一种表面活性剂组合物的制备方法
US11771635B2 (en) 2021-05-14 2023-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mposition
US11986543B2 (en) 2021-06-01 2024-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inse-off compositions with a surfactant system that is substantially free of sulfate-based surfactants
DE102022200126A1 (de) * 2022-01-07 2023-07-13 Henkel Ag & Co. Kgaa Fucoidane als vergrauungsinhibierende Wirkstoff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8833A1 (en) * 1993-03-30 1995-04-19 Ajinomoto Co., Inc. Detergent composition
WO2005074868A1 (en) 2004-02-09 2005-08-1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Hair cosmetic material
JP2006306908A (ja) 2005-04-26 2006-11-09 Nof Corp 洗浄剤組成物
JP2008024628A (ja) * 2006-07-20 2008-02-07 Ichimaru Pharcos Co Ltd 毛髪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7614A (ja) * 1984-03-21 1985-10-07 Shionogi & Co Ltd 低刺激性シヤンプ−組成物
CN1214628A (zh) * 1996-01-29 1999-04-21 庄臣消费者有限公司 洗涤剂组合物
JP3774735B2 (ja) * 1997-07-03 2006-05-17 味の素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AU5436698A (en) 1997-11-12 1999-05-31 Procter & Gamble Company, The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s
JP2001181354A (ja) * 1999-12-28 2001-07-03 Lion Corp カチオン性ポリマー
JP2002161297A (ja) * 2000-11-29 2002-06-04 Sansho Iyaku Kk 液体洗浄剤組成物封入型ソフトカプセル
JP4613439B2 (ja) * 2001-04-24 2011-01-19 味の素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2005307019A (ja) * 2004-04-22 2005-11-04 Asahi Kasei Chemicals Corp 洗浄剤組成物
JP2005350645A (ja) * 2004-05-13 2005-12-22 Asahi Kasei Chemicals Corp 洗浄剤組成物
JP2006348101A (ja) * 2005-06-14 2006-12-28 Asahi Kasei Chemicals Corp 増粘性を改良された洗浄剤組成物
JP2007138023A (ja) * 2005-11-18 2007-06-07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洗浄剤組成物
JP5591436B2 (ja) 2006-07-07 2014-09-17 味の素株式会社 低温安定クリーム状洗浄剤組成物
EP1925290B1 (en) * 2006-11-06 2015-10-07 Kao Germany GmbH Cleansing composition
JP4825142B2 (ja) * 2007-01-15 2011-11-30 ホーユー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及び毛髪処理方法
EP2018841A1 (en) 2007-07-26 2009-01-28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lor enhancing shampoo composition
EP2161017A1 (en) 2008-09-05 2010-03-10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leansing composition
EP2184051A1 (en) * 2008-11-11 2010-05-12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leansing composition
EP2196186A1 (en) * 2008-12-15 2010-06-16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leansing composition
JP2010241909A (ja) * 2009-04-02 2010-10-28 Asahi Kasei Chemicals Corp 洗浄剤組成物
JP5653007B2 (ja) * 2009-06-12 2015-01-14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処理剤組成物
SG188332A1 (en) * 2010-08-31 2013-04-30 Otsuka Pharma Co Ltd Composition for cleaning scalp and head 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8833A1 (en) * 1993-03-30 1995-04-19 Ajinomoto Co., Inc. Detergent composition
WO2005074868A1 (en) 2004-02-09 2005-08-1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Hair cosmetic material
JP2006306908A (ja) 2005-04-26 2006-11-09 Nof Corp 洗浄剤組成物
JP2008024628A (ja) * 2006-07-20 2008-02-07 Ichimaru Pharcos Co Ltd 毛髪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789A (ko) * 2017-04-28 2019-11-01 로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9514A1 (ja) 2012-03-08
EP2612653A4 (en) 2015-01-14
US20130216491A1 (en) 2013-08-22
CN103179946B (zh) 2016-03-16
CN103179946A (zh) 2013-06-26
TWI590834B (zh) 2017-07-11
EP2612653B2 (en) 2021-06-09
AU2011297347B2 (en) 2014-02-27
EP2612653A1 (en) 2013-07-10
JP6004940B2 (ja) 2016-10-12
SG188332A1 (en) 2013-04-30
JP2016210775A (ja) 2016-12-15
EP2612653B1 (en) 2017-10-11
AU2011297347A1 (en) 2013-03-21
KR101879886B1 (ko) 2018-08-17
TW201210628A (en) 2012-03-16
JPWO2012029514A1 (ja)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3685A (ko)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KR102448210B1 (ko) 개인 위생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CZ297195B6 (cs) Kosmetické detergentní prostredky a jejich pouzití
JP7050491B2 (ja) 毛髪の洗浄及びコンディショニングのための組成物
JPH04230617A (ja) 毛髪および皮膚洗浄・調整用組成物
KR102442935B1 (ko) 액체 피부 세정제 조성물
RU2209619C2 (ru) Детергентная и кондиционирующая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мытья и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кератин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US20140301965A1 (en) Cleaning agent having high conditioning effectiveness
JP2008127329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KR101168434B1 (ko) 세정제 조성물
RU2160083C2 (ru) Очищающая и кондицион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и способ мытья и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кератиновых волокон
JP3807483B2 (ja) 洗浄用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102432544B1 (ko) 개인 위생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0981600B1 (ko) 세안제 조성물
GB2570180A (en) Structure strengthening hair treatment agent with increased care effect
JP2004196811A (ja) 両性界面活性剤とシリコーン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とその用途
JP2018188406A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US7179770B2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polymer mixture, for cleaning, conditioning and styling keratinous fibers
JP2019014659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CZ210999A3 (cs) Kondicionérový a detengertní prostředek a jeho použití
KR20100123455A (ko) 투명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